[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71037A - 평판형 필터 엘리먼트 및 필터 엘리먼트로 구성된 필터 모듈 - Google Patents

평판형 필터 엘리먼트 및 필터 엘리먼트로 구성된 필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1037A
KR20000071037A KR1019997007304A KR19997007304A KR20000071037A KR 20000071037 A KR20000071037 A KR 20000071037A KR 1019997007304 A KR1019997007304 A KR 1019997007304A KR 19997007304 A KR19997007304 A KR 19997007304A KR 20000071037 A KR20000071037 A KR 20000071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element
opening
openings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하르트 스트롬
조오지 슈나이더
볼프강 헤프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메르크
사이츠-필테르-베르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메르크, 사이츠-필테르-베르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메르크
Publication of KR20000071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037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22Cell-type filters
    • B01D25/26Cell-type stack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02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in which the elements are pre-formed independent filtering units, e.g. modul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31Self-supporting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01D29/5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9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 which the filtering elements are moved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Particular measures for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ing elements; Transport systems fo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6Several filtrate discharge conduits each connected to one filter element or group of filter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엘리먼트와 필터 엘리먼트로 구성된 필터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넓은 필터 표면으로 처리할 때 배치와 조정이 용이하다. 필터 엘리먼트는 개구부(30a-f, 21a,b 30a-g, 31a,b)로 형성된 최소한 하나의 내부 구조물로 구성되고, 심층 여과재(12)로 형성된 개구부(20,21a,b,30a,b,31a,b)를 한정하는 표면은 필터 엘리먼트 수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유동면(11a,b)을 이룬다.

Description

평판형 필터 엘리먼트 및 필터 엘리먼트로 구성된 필터 모듈{FLAT FILTER ELEMENT AND FILTER MODULE COMPOSED OF FILTER ELEMENTS}
시트 필터(sheet filter)와 필터 베드(filter bed)는 심층 여과재로 구성되고, 심층 여과재는 다공성이며 이것을 통해 유동이 발생하는, 즉 이것을 통해 물질의 대류 이동이 가능한, 재료로 한정된다. 심층 여과재는 유기물 및/또는 무기물, 섬유 및/또는 입자성 소재를 가질 수 있다. 심층 여과재용 천연소재는 예컨대 셀룰로오스, 플라스틱 섬유, 규조토, 펄라이트 또는 금속 산화물일 수 있다. 여기서 규조토와 펄라이트는 내표면을 증가시켜 예비여과 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필터층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처리될 유체의 캐비티 성분(cavities component)은 블록킹 작용 및/또는 흡수/흡착 작용에 의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심층 필터의 필수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재료의 예들은 종이, 마분지(cardboard), 필터 베드, 멤브레인, 다공성 세라믹 소재, 금속 또는 폴리머 직물, 부직포, 및 예컨대 금속, 금속 산화물, 유리 또는 폴리머의 소결 소재를 포함한다.
필터 베드(filter beds)의 적용 분야는 모든 음료산업의 액체정화와 처리에서 의학산업과 화학산업으로 확장되고 있다. 필터 베드는 거친 미립자가 필터 베드의 표면에 그대로 남게되는 스크리닝 작용 뿐만 아니라 심층 여과재 내의 캐비티에 그대로 남게되는 미세한 미립자에 대한 정밀 여과작용을 갖는다. 사용된 소재 형태에 따라, 이들 필터 베드는 흡착작용을 또한 가질 수 있고 그 표면이 적용분야에 따라 후처리될 수 있어 임의의 섬유질 입자가 건조 및 습한 상태에서 분리할 수 있다. 습한 상태에서 필터 베드는 비교적 부드럽고 팽창하는 성향이 있다. 이것은 예컨대 휴에팅-베르라그 하이델베르그(Huething-verlag Heidelberg) 소재(所在)의 호스트 가스퍼(Horst Gasper)에 의해 1990년에 출간한 " 산업 고체-액체 여과 핸드북(Handbook of Industrial Solid-Liquid Filtration)"의 239 ff 쪽에 기술되어 있다.
종래의 이들 필터 베드는 필터 플레이트 또는 필터 프레임 사이에 클램핑되므로서 시트 필터장치 또는 필터 프레스(filter presses) 내에서 작동된다. 이 기술분야의 선행기술 조사내용는 마찬가지로 호스트 가스퍼의 "고체-액체 여과산업 핸드북" 166 ff 쪽에서 기록되어 있다.
필터 베드가 수동으로 수평 또는 수직 랙에 각각 삽입된 후, 고품질 강철 또는 플라스틱 프레임이 필터 베드의 여과작용을 위해 제공되고 여과되지 않은 물질을 분리하고 여과된 물질을 회수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필터 베드가 랙에서 분리될 때 필터 베드를 랙에 삽입하는 대규모 수동 작업 때문에 그리고 필터 랙을 계속해서 세척해야 하기 때문에 이들 필터의 작동은 많은 작업인원 비용과 연관된다. 세척작업은 특히 복잡하고 부식성 매개물이 여과될 때 작업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필터 장치의 설비 비용이 매우 많이들고 특정 디자인의 필터 프레임이 각각의 필터 베드에 필요하다.
또한, 작동중에 이들 필터들은 개방구조이기 때문에 필터 베드의 표면에서 누출되는 적지만 측정 가능한 유체 손실을 갖는다. 유체 손실은 오직 다수의 시일(seal)을 가진 구형상의 복합체로만 방지될 수 있다. 주변을 밀봉하는 한 형태가 독일 특허 제 39 06 816 C3호에 주어져 있다.
조정에 대한 단점은 이것이 계속해서 작동하는 기계에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필터 베드 또는 필터 부직포의 생산이 상대적으로 경제적이라는 장점에 대조된다.
심층 필터 모듈은 여러가지 모양이 공지되어 있다. 유니트가 필터 마분지, 베드, 종이, 부직포 또는 평판형 직물 소재로 제조되는 필터모듈이 가장 일반적이다. 유럽 특허 제 0 461 424 B1호에는 여과표면을 증가시키기 위해 주름진 필터베드를 갖는 심층 필터가 기술되어 있다. 주름진 필터 베드를 통해 유동이 필터 베드 표면에 수직하게 발생한다.
유사한 장치가 유럽 특허 제 0 475 708 A1호에 기술되어 있다. 다른 공지의 실시예들은 내부 코아 둘레에 하나 이상의 베드로 권취되고 여과 표면을 증가시키기 위해 필터 매개물이 루프(loop)에서 내부 코아 둘레에 권취되는 심층 여과재에 관한 것이다. 이들 실시예에서 필터 매개물은 필터베드의 표면에 수직하게 통과한다.
적층된 시트 필터 엘리먼트의 필터 모듈은 유럽 특허 제 0 291 833 A3호에 기술되어 있다. 기술된 모듈을 제조하기 위해, 제일 먼저 내부 배수 소재의 필터 포켓이 제조되고 그것들은 시일링 요소와 플라스틱 재료로 감싸여 진다. 그 후 이들 포켓이 서로 적층된다. 이러한 필터 모듈에서는 필터베드를 이격되게 배열하기 위해 추가의 구성요소가 필요하다. 필터 베드의 수평면에서 필터 모듈을 통과하는 유동이 발생하고, 필터 베드의 수평면을 통과하는 유동은 여과 작용을 위해 베드의 수평면에 수직하게 발생해야 한다.
국제 출원 제 94/09880호에는 심층 여과용 필터 엘리먼트가 기술되어 있으며 필터 엘리먼트는 중공 코아를 가진 다공성이며 벽이 두꺼운 자체 지지하는 튜브형 필터 엘리먼트로 구성된다. 튜브형 필터 엘리먼트는 실질적으로 큰 기공을 갖는 외측 외피와 미세한 기공을 갖는 내측 외피의 2개의 외피로 구성된다. 균일한 구조를 가진 미세한 기공 필터 모듈이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경우, 그것들은 유체에 큰 저항을 제공하지 않는 한편 여과면이 작다.
본 발명은 여과된 물질과 여과되지 않은 물질의 유동면과 외측 윤곽부를 가진 심층 여과재(deep-bed filter material)의 평판형 필터 엘리먼트 특히 필터 디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들 필터 엘리먼트로 구성되는 필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구불구불한 형상의 필터 엘리먼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필터 엘리먼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엘리먼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필터 엘리먼트를 도시한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 내지 도 9는 여러가지 다른 실시예의 필터 엘리먼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필터 엘리먼트의 슬롯만을 도시한 개략도
도 11은 필터 모듈의 사시도
도 12는 필터 모듈을 도시한 분해 조립도
도 13은 서로 적층된 필터 엘리먼트들 중 2개의 필터 엘리먼트만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14는 필터 모듈을 갖춘 필터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평판형 필터 엘리먼트 특히 필터 디스크와, 이들 필터 엘리먼트로 구성되며, 간단하게 조정을 할 수 있고 큰 여과면으로 처리할 수 있는 필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최소한 하나의 개구부로 형성되는 내부 구조물과, 유동면을 형성하는 심층 필터 엘리먼트로 형성되는 개구부의 경계면과 필터 엘리먼트의 수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위치되는 유동면을 갖는 평판형 필터 엘리먼트로 달성된다.
심층 필터 모듈은 최소한 2개의 필터 엘리먼트로 구성되고, 상기 이들 필터 엘리먼트는 서로 적층되어 오직 같은 타입의 개구부 만이 서로 연결되고 이러한 방법으로 여과된 물질과 여과되지 않은 물질 채널을 형성한다.
실시예의 장점은 종속 특허 청구항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중간판 등이 없이 심층 여과재의 필터 디스크가 디스크의 수평면에 수직하지 않게 그리고 외주면을 통해 방사상이 아닌 필터 엘리먼트를 통해 유동이 발생할 때 사용된다는 것에 근거한다. 작동모드에서 여과면이 작기 때문에 이러한 방향으로 발달이 빠르게 진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여과된 물질과 여과되지 않은 물질의 유동면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개구부를 제공하므로서 다른 표면이 노출되기 때문에 내부 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결점이 배제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의 장점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내부 구조물의 기하학적 구조에 근거하여 여과 두께의 크기가 여과면 즉 유동면의 크기가 자유롭게 서로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심층 여과재 구조물이 이러한 방식으로 절개될 수 있다. 개방 기공의 심층 여과재에서 큰 여과 깊이 즉 개구부들 사이의 더 큰 거리는 더 작은 기공과 작은 여과 깊이를 갖는 소재로도 여과율을 같게 조정할 수 있고 따라서 충분하게 여과할 수 있다.
또한, 심층 여과재의 흡착 성능은 여과 깊이 즉 심층 여과재의 실제 여과 면적이 선행기술에서 처럼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청구된 것처럼 필터 모듈에 선행기술의 지지 프레임이 배제되기 때문에, 흡착 성능이 증가한다. 즉, 밀폐된 공간에서 더 많은 대체소재가 필터 모듈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활성탄, PVP, PVPP 및 철 대체소재 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흡착제와 활성 매개체가 활성 특성을 가진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장점은 필터 모듈의 처리 면적이 증가하는 것이다. 중간판 또는 다른 소재의 지지 프레임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필터 모듈은 다른 소재의 필터 디스크를 분리할 필요없이 전체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소위 바이오 베드로 일컬어지는 100% 유기물 소재의 필터 엘리먼트는 완전히 열처리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필터 엘리먼트의 개구부는 대응하는 형상으로 가공된 인서트를 사용하므로서 필터 베드를 제조하는 중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 필터 엘리먼트를 제조한 후 개구부를 만들 수 있다. 이것은 펀칭 또는 워터젯 커팅의 종래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필터 엘리먼트에서 분리된 소재는 추가의 필터 엘리먼트를 제조하는 공정으로 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폐기물이 형성되지 않는다.
유동면의 정렬은 제조 공정에 좌우된다. 따라서, 펀칭 가공중에 경사진 유동면이 제조될 수 있고, 유동면은 필터 엘리먼트의 수평면에 수직하게 정렬되지 않고 다소 경사지게 된다. 디스크에서 이것은 최대 ±10°우측각으로 편향된 디스크 수평면이다. 필터 엘리먼트 내에 위치되지 않은 유동면들 중 하나는 필터 엘리먼트의 표면 즉 필터 디스크의 외주면일 수 있다.
필터 엘리먼트 내에 위치된 외측 유동면과 내측 유동면인 필터 엘리먼트의 모든 유동면의 총합은 필터 엘리먼트의 어느 한 개구부로 파여진 매우 큰 볼록한 바디의 외측 외주면과 필터 엘리먼트를 감싸는 매우 작은 블록한 바디의 외측 외주면에 총 합보다 더 크다. 볼록한 바디는 구, 타원체, 원통, 원뿔, 각체, 사면체 또는 육면체이고, 라이프지히(Leipzing) 소재의 VEB 비블리오그라피스체스 인스티튜트(VEB Bibliographisches Institut)에서 1979년에 출간한 "작은 수학 백과사전 (small Mathematical Encyclopedia)"의 625쪽에 기술되어 있다.
필터 엘리먼트가 내부 구조물에 결합되는 외측 외곽부를 가지므로서 심층 여과재의 여과 작용면의 폭이 어디서나 동일하다. 이것은 필터 엘리먼트의 여과작용이 모든 외주면을 따라 어디서나 같은 것을 보장한다. 그러나, 고정 구조물을 선택적으로 지지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터 엘리먼트의 내부보다 더 큰 외부 면적에 넓은 여과 작용 영역을 만든다는 것 또한 좋은 생각이다.
넓은 여과면을 달성하기 위해, 손가락 형상의 개구부 타입이 개구부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 엘리먼트의 내부 구조물에 외측 윤곽부를 결합시키는 것은 큰 외주면을 가진 구불구불한 형상을 생성하므로서 개구부의 넓은 경계면을 만든다. 이와같이 하나의 평판형 필터 엘리먼트는 외측의 여과되지 않은 물질이 외주면을 따라 어디서나 심층 여과재의 균일하게 두꺼운 여과 작용 영역을 통과하도록 노출될 수 있다. 여과된 물질은 이 경우 개구부에서 회수되고 해당하는 악세사리 부분을 통해 배출된다.
서로 연결되지 않는 최소한 2개의 개구부가 있고, 이것은 여과된 물질과 여과되지 않은 물질 채널로 사용된다. 이들 개구부는 서로 교대로 위치되며 그 사이에 위치된 심층 여과재의 여과 작용 영역이 어디서나 균일하다.
필터 베드의 두께는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 필터 엘리먼트 또는 필터 디스크가 두꺼울수록 더 작은 엘리먼트가 필터 모듈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또한 심층 여과재에 비례하여 개구부를 생산하는 비용이 감소한다.
여과 작용 영역은 두께가 5㎜ 이상 특히 8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여과 작용 영역은 필터 엘리먼트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거나 심지어 더 클 수 있다. 0.5㎜ 개구부 폭과 2㎜ 두께를 가진 여과 작용 영역이 또한 가능하다. 여과 작용은 이러한 방법으로 개구부를 배열하는 것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아주 미세한 정화 영역에서 미립자의 부하가 아주 작기 때문에 개구부가 큰 크기를 가질 필요가 없어 개구부에 의해 형성된 여과된 물질 또는 여과되지 않은 물질 채널의 막힘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순한 슬릿이 개구부로 필터 엘리먼트 또는 필터 디스크에 만들어지기에 충분하다. 슬릿은 방사상 방향으로 그리고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더 넓은 개구부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슬릿은 칼날(Knife)에 의해 심층 여과재에 단순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제조공정으로 복귀되어야 하는 펀칭 가공에서 여과재를 성형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여과되지 않은 물질을 필터 엘리먼트의 내부로 운반할 수 있기 위해 그리고 여과된 물질을 필터 엘리먼트에서 배출시키기 위해 필터 엘리먼트의 가장자리에서 멀리까지 연장되거나 최소한 하나의 연결 개구부에 연결되는 최소한 하나의 개구부(제 1 타입의 개구부)가 있다. 제 1 타입의 개구부는 여과되지 않은 물질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반대 작동 모드에서 여과된 물질을 배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 1 타입의 이들 개구부는 최소한 하나의 개구부(제 2 타입의 개구부)와 결합될 수 있고, 제 2 타입의 개구부는 제 1 타입의 개구부에 연결되고 최소한 하나의 회수 개구부로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최소한 하나의 연결 개구부를 통해 회수 개구부에 연결된다. 필터 엘리먼트의 구불구분할 구조와 반대로 몇개의 개구부가 필터의 가장자리에서 멀리까지 연장된다.
필터 엘리먼트의 가장자리에서 멀리까지 연장되는 개구부는 여과되지 않은 물질 또는 여과된 물질을 필터 엘리먼트의 내부로 또는 외부로 이송 또는 배출하는 것이 엔드 플레이트(경판(鏡板); end plate)에 의해 보장될 때 없을 수 있다. 둥근 외측 외곽부를 가진 필터 디스크는 제 1 및 제 2 타입의 개구부가 동심원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타입의 개구부는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개구부를 통해 디스크의 가장자리에 연결된다. 회수 개구부는 방사형 연결 개구부를 통해 제 2 타입으 개구부에 연결되는 디스크의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넓게 여과면을 형성하기 위해 제 1 타입과 제 2 타입의 개구부가 교대로 배열된다. 필터 엘리먼트의 사용 가능한 표면이 개구부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부위 폭은 각각의 여과 작용에 매칭되어야 한다. 작은 폭은 필터 엘리먼트에서 가능한한 많은 개구부를 제공하여 넓은 여과면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매우 미세한 정화 영역에서 작업하지 않을 경우, 개구부의 크기는 필터 엘리먼트를 교체해야 하는 막힘이 매우 짧은 시간내에 발생하지 않도록 너무 작게 선택되지 말아야 한다.
필터 디스크는 원형 또는 타원형 외측 윤곽부 뿐만 아니라 n개의 모서리를 가진 외측 윤곽부, 디스크의 어느 한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개구부를 갖는다.
필터 디스크가 원형 외측 윤곽부를 갖는 경우, 제 1 타입의 개구부와 제 2 타입의 개구부는 최소한 하나의 나선형으로 놓인다. 이 경우 나선이 서로 꼬여져 개개의 나선 내에서 여과가 같은 두께의 큰 여과 작용 영역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필터 엘리먼트 내에서 가능한한 크게 여과면을 얻기 위해 가능한한 협소한 세장의 개구부가 필터 엘리먼트에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내부 구조물은 제 1 타입과 제 2 타입의 개구부 사이의 심층 여과재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필터 엘리먼트의 안정을 위해 체(screen) 또는 격자(grid)와 같은 것이 된다. 안정성 향상을 위해, 개구부 및/또는 연결 개구부는 보강 다리(steffening bridges)를 갖는다. 이들 보강 다리는 필터 엘리먼트와 같은 재료로 구성되고, 필터 엘리먼트와 같은 두께이거나, 필터 엘리먼트 보다 얇게 이루어 질 수 있다. 개구부가 펀칭 가공될 때 보강 다리가 동시에 팽창되거나 압축되어 두께가 필터 엘리먼트의 두께보다 얇게 된다.
개구부 내의 보강 다리가 필터 엘리먼트와 같은 두께를 가질 때 필터 디스크가 서로 적층될 때 예컨대 여관된 물질이 모든 개구부에서 회수 개구부에 도달할 수 없어 본 발명에 의해 만들어진 필터 모듈의 엔드 플레이트(end plate)가 여과된 물질과 여과되지 않은 물질 유동통로를 겸용할 필요가 있다. 같은 타입의 개구부들을 연결하기 위해, 필터 엘리먼트는 개구부와 보강다리의 구조에 따라 서로 적층되거나 감겨지거나 방향이 변경된다.
위의 방법으로 서로 적층될 때, 개개의 필터 엘리먼트의 정렬을 보장하기 위해, 가장자리가 최소한 하나의 고정 오목부를 갖는다. 이것은 필터 엘리먼트가 서로 적층될 때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필터 엘리먼트 내에 고정 오목부가 있을 수 있다. 불규칙한 외측 또는 내측 윤곽부가 적절한 구성요소와 함께 필터 엘리먼트와 고정 및 배열될 수 있다.
동일하거나 다른 타입의 필터 엘리먼트가 필터 모듈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적층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경우 동일하거나 다른 타입의 필터 엘리먼트 또는 디스크가 단순하게 거울 대칭될 수 있다.
필터 엘리먼트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개구부를 갖는 필터 엘리먼트는 필터 엘리먼트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지 않은 개구부를 갖는 필터 엘리먼트와 결합된다. 그 후 이들 필터 엘리먼트는 서로 교대로 적층된다. 다리 구조와 개구부의 배열에 따라 필터 엘리먼트가 서로 적층되어야 하고 서로에 대해 방향이 변경되어야 하므로 필터의 관련 개구부가 여과된 물질과 여과되지 않은 물질용 채널을 형성한다. 회전 각은 보강 다리의 위치와 폭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예컨대 180°회전 고정각으로 정해질 수 있다.
필터 엘리먼트는 다른 필터 엘리먼트의 상부에 직접 적층될 수 있으나, 그것들은 시멘트 또는 본드 결합될 수 있다. 필터 모듈의 안정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구부를 갖거나 갖지 않으며 미끄럽지 않은 소재의 중간층을 두 필터 엘리먼트 사이에 배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필터 모듈의 역여과(backflushing)가 수행될 때 중요하다. 개구부가 없고 내부 구조물이 없는 해당 막(film) 또는 종래의 필터 디스크가 이러한 목적에 적절하다.
필터 모듈은 2개의 엔드 플레이트를 갖고, 2 엔드 플레이트들 사이에 필터 엘리먼트가 위치되고, 특히 어느 한 엔드 플레이트는 필터 베드의 팽창 성능에 의해 이동되도록 지지된다.
도 1a는 구불구분할 형태의 구조를 갖는 평판형 필터 엘리먼트(10)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필터 엘리먼트를 정방향으로 제조한 후, 개구부(20)를 필터 엘리먼트(10)에 만들면, 이것에 의해 내부구조(17)가 완성된다. 심층 여과재(12)에 의해 확장된 개구부(20)의 표면은 같은 면적을 가진 링의 대응 표면에 약 2배이며 여과된 물질과 여과되지 않은 물질이 유동하는 유동면(11a 또는 11b)을 형성한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외측 윤곽부(18)가 예컨대 펀칭가공에 의해 손가락 형상의 개구부(20)에 적합하게 된다. 따라서 심층 여과재(12)는 구불구분할 구조를 가지며, 여과 작용면의 폭이 모든 곳에서 동일하다.
이러한 필터 엘리먼트(10)가 외측에서 외주면(19)을 거쳐 방사상으로 유동하는 유체에 노출되는 경우, 외측의 루프(loops)는 외과되지 않은 물질 공간(25)을 형성한다. 필터 엘리먼트(10) 내의 여과된 물질은 포집되고 도시하지 않은 엔드 플레이트에 있는 파선으로 도시한 코아홀(36)을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필터 엘리먼트(10)는 여과되지 않은 물질이 코아홀(34)을 통과한 후 개구부(20)을 통과하는 방식으로 반대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에 노출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필터 엘리먼트(10)는 필터 엘리먼트의 수평면에 평행하게 유동하는 유체 즉, 방사상으로 유동하는 유체에 노출된다.
도 1b는 블록한 바디(60,62)를 설명하기 위해 도 1a에 도시된 필터 엘리먼트(10)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필터 엘리먼트(10)는 가능한한 가장 작은 볼록한 바디(외측바디) 감싸여지고, 볼록한 바디(외측바디)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육각형 베이스면과 라운딩된 가장자리들을 갖는 다면체이다. 적절한 외측 외주면(61)은 필터 엘리먼트(16) 둘레에 위치된 밴드(band)로 가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능한한 넓은 볼록한 바디(내측 바디)(62)는 개구부(20)에 삽입되고 외주면(63)을 갖는다. 이러한 볼록한 내부 바디는 사각형 베이스면을 갖는다. 필터 엘리먼트(10)의 다각형 형상으로 유동면(11a,19)의 총 합은 외주면(61,63)의 총 합보다 더 크다.
도 2는 2개의 동심 환형 개구부(20,30)가 필터 디스크(10')에 형성된 디스크(10') 형태의 필터 엘리먼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개구부(20,30)는 서로 연결되지 않으며, 제 1 타입의 개구부와 제 2 타입의 개구부를 형성한다. 볼록한 외측바디(60)의 외측 외주면(61)은 필터 디스크(10')의 외측 외주면(19)에 일치한다.
개구부(20,30)들은 각각 원형의 개구부(20,30)와 교차하는 연결 개구부(21,31)가 있기 때문에 링 안쪽으로 완전히 막혀 있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연결 개구부(31)는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측 환형 개구부(30)를 소위 회수 개구부(33)로 표시된 중심의 원형홀에 연결한다.
회수 개구부(33)가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필터 디스크(10') 내에서 가장 큰 개구부로 도시되므로 회수 개구부(33)에 일치하는 가능한 가장 큰 볼록한 내측바디(62)(해칭 단면으로 도시됨)가 삽입될 수 있다. 유동면의 총 면적을 표면(61)과 표면(63)의 총 면적과 비교할 경우, 전체 유동면의 합이 더 크다.
외주면(19)과 외측 개구부(30) 또는 외측 개구부(30)와 내측 개구부(20) 사이의 여과 작용 구역의 폭과 내측 개구부(20)와 회수 개구부(33) 사이의 여과 작용 구역의 폭이 어디서나 같으므로 필터 디스크(10') 어디에서나 같은 여과 작용이 이루어 진다.
필터 디스크는 여과되지 않은 물질이 24로 표시된 연결 개구부(21)의 유입구를 거쳐 내부 개구부(20)로 공급되도록 작동된다. 따라서 필터 엘리먼트는 외주면(19) 뿐만 아니라 내측 개구부(20)가 형성된 유동면을 거쳐 내측으로 유동하는 유체에 노출된다.
도 2 에 도시된 필터 엘리먼트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살표(13) 방향으로 여과되지 않은 물질이 외측에서 여과 작용 구역 즉 유동면을 형성하는 외측면(19)을 통해 여과된다. 여과된 물질은 유동면에서 대응 개구부(30) 내로 유동하고 대응 개구부(30)에서 여과된 물질은 연결 개구부(31)를 통해 회수 개구부(33)에 도달 회수된다.
동시에 도 2에만 도시된 연결 개구부(21)를 통해 여과된 물질이 개구부(20)로 공급되고, 개구부(20)에서 여과되지 않은 물질은 유동면(11a)을 통해 심층 여과재를 투과한다. 그 후 여과된 물질은 유동면(11b)을 통해 개구부(30)로 그리고 회수 개구부(33)로 이동한다.
반대 작동 모드에 있어서 여과되지 않은 물질은 회수 개구부(33)를 통해 운반되고 회수 개구부(33)에서 여과된 물질이 연결 개구부(31)를 거쳐 개구부(30)에 도달하고, 내부 개구부(20)에서 여과된 물질이 여과 작용 영역을 통과 한다. 여과된 물질은 그 후 각각 연결 개구부(21)를 통해 배출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필터 엘리먼트에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임의의 환경에서 전체 필터 디스크(10')는 특히 직경이 매우 크고 필터 엘리먼트의 두께가 매우 작은 환형 개구부(20,30) 때문에 아주 불안정하게 될 수 있다.
안정성 향상을 위해, 개구부(20) 내에 2개의 보강다리(41)가 있고, 보강다리(41)는 개구부(20)를 거의 같은 크기의 3개원 원호 부분으로 분리한다. 필터 디스크(10')가 도 11에 도시된 필터 모듈(1)을 형성하기 위해 다른 디스크 상부에 적층될 때,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디스크가 정확하게 정렬되어 연결 개구부(21,31)가 개구부(20 또는 30)들 중 어느 하나를 우연하게 가로 지르지 않는다는 것이 고찰되어야 한다. 이것은 여과된 물질과 여과되지 않은 물질의 혼합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하는 동안 제 1 타입의 개구부(20,21)가 제 2 타입의 개구부(30,31,33)에 연결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외주면(19) 상에 필터 디스크(10')를 정렬시키기 위해, 고정구조물(44)이 있고, 도 11에 도시된 로드(71)가 고정구조물(44)에 끼워진다. 도 11에서는 도 4에 도시된 필터 디스크(10')가 외측 가장자리에 연결되지 않은 개구부를 갖는 다른 실시예에 도시된 필터 엘리먼트와 결합된다.
도 4의 실시예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필터 디스크(10')가 다른 필터 디스크의 상부에 적층될 때, 연결 개구부(21) 모두가 다른 필터 디스크의 연결 개구부 상부에 놓이고, 이것은 해당 엔드 플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필요로 하여 개구부(20,30)의 개개의 부분이 서로 통할 수 있다. 따라서 복합 엔드 플레이트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 필터 디스크(10')는 서로에 대해 다소 비틀어진 다른 필터 디스크의 상부에 적층될 수 있다. 비틀림 각은 보강다리(41,42)의 폭에 따라 선택되어야 하므로 인접한 필터 디스크(10')의 개구부(20,30)가 보강 다리를 커버한다. 다른 한편, 연결 개구부(21,31)가 개구부(20,30)를 가로지를 만큼 크게 비틀림이 선택되지 말아야 한다.
도 5는 총 6개의 동심 환형 개구부가 있는 다른 실시예에 도시한 것이다. 개구부(20a 내지 20c)는 제 1 타입의 개구부를 형성하지만, 개구부(30a 내지 30c)는 공동 연결 개구부(31)를 통해 회수 개구부(33)에 연결되는 제 2 타입의 개구부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개구부(20a 내지 20c)는 연결 개구부(21)를 통해 외주면(19)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는 또한 보강 다리(41,42)를 갖는다. 아래 표에는 0.4㎝ 두께를 가진 250개의 필터 엘리먼트로 구성되는 필터 모듈에 알맞은 수 평방 미터의 유동면이 기록되어 있다. 환형 개구부의 수(N)가 증가로, N=15 거의 70㎡인 개구부가 필터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더 큰 최대 외경(d)에 도달하고, 개구부의 폭은 5㎜이고 여과 작용 면적의 폭은 20㎜이다.
N d max [㎜] 여과된 물질 {㎡}
0123456789101112131415 60160260360460560660760860960106011601260136014601560 0.170.822.043.826.169.0812.5516.6021.2126.3832.1238.4345.3052.7360.7369.30
필터 두께가 다양한 필터면과 필터 모듈이 차지하는 공간의 비율은 이 값이 공간에 대한 필터 모듈의 수용 용량을 나타내기 때문에 중요하다. 종래의 베드 여과에서 베드 사이의 1㎜ 두께의 필터 프레임이 있는 것을 고려하면, 이 비율은 29%이다. 반대로, 본 발명에서 청구된 모듈(예컨대 N=12)에서는 이 비율이 73%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청구된 모듈은 더 많은 사용 공간을 갖는다.
도 6은 서로 얽혀진 나선 형태의 2개의 개구부(20,30)가 있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들 개구부(20,30)는 보강다리(41,42)를 갖는다.
도 7은 직선 개구부(20a 내지 20f)(30a 내지 30g)가 제공되는 필터 디스크(10')를 도시한 것이다. 제 1 타입의 모든 개구부(20a 내지 20f)는 외주면(19)에서 뻗어 있고 제 2 타입의 모든 개구부(30a 내지 30g)는 2개의 방사상 연결 개구부(31a 및 31b)를 통해 회수 개구부(33)에 연결된다.
도 8은 정방형 외측 윤곽을 가진 유사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개구부(20,30)는 필터 엘리먼트(10)의 측부 모서리에 평행하게 뻗어 있다. 또한, 2개의 회수 개구부(33a,33b)가 있다. 제 2 타입(30a 내지 30c 및 30d 내지 30f)의 개구부 내에 2개의 그룹이 다시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보강다리(41,42)가 있고, 보강 다리는 개개의 개구부(20e 내지 20f 및 30a 내지 30f)를 다른 길이 구간으로 분할한다.
도 9는 개구부(20a 내지 20f, 30a 내지 30g)와 연결 개구부(21a,21b 및 31a,31b) 모두에 보강다리(41,42,43)가 제공된다. 필터 모듈을 형성하기 위해 동일한 필터 디스크(10')가 다른 필터 디스크 상부에 적층될 수 있다. 이것은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따라서 인접한 디스크는 각각 180°회전 배열될 수 있다. 이것은 각각의 연결 다리(41,42,43)에 의해 해당 개구부 위에 안착되는 것이 보장되므로 오직 같은 타입의 개구부만이 서로 연결되고 여과된 물질과 여과되지 않은 물질의 혼합이 발생하지 않는다. 각각 n번째 엘리먼트를 180°회전시키는 것 또한 고려할 수 있다.
도 10은 넓은 개구부(20,30)에 슬롯(27,37)이 연결되고 슬롯(27,37)이 개개의 슬롯에 연결되는 필터 엘리먼트(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슬롯(27,37)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응하는 9개의 필터 디스크(10')를 갖는 필터모듈(1)을 도시한 것이다. 필터 엘리먼트는 엔드 플레이트(70) 상에 위치되고, 2개의 로드(71)가 엔드 플레이트(70)에 부착되고 디스크 모서리의 해당 고정 오목부(44)에 끼워지고 이러한 방법으로 필터 디스크(10')의 정렬이 보장된다. 로드(71)상의 전체 모듈은 여과장치에서 착탈 가능하다. 복잡한 착탈이 배제된다. 또한 로드(71)과 엔드 플레이트(7)를 제외한 전체 모듈은 서로 분리될 수 있는 개개의 디스크를 갖지 않고도 일체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2는 필터 디스크(10a,10b)의 2 실시예가 서로 교대로 적층되는 필터 디스크의 스택을 분해 조립도로 도시한 것이다. 필터 디스크(10d)는 모서리에 하나의 엔트리(24 ; entry)를 가진 방사형 연결 개구부(21)를 갖지만, 필터 디스크(10b')는 동심 개구부(20,30) 만을 갖는다. 개구부 내에 보강 다리의 대응배열은 제 1 타입의 개구부가 제 2 타입의 개구부와 교차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다른 개구부의 상부에 있는 회수 개구부(33)는 점선으로 표시된 여과된 물질용 채널을 형성하지만, 여과되지 않은 물질용 공간(36)은 필터 엘리먼트(10a',10b')를 감싸는 공간을 형성한다.
도 13은 적층된 2개의 필터 디스크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여과되지 않은 물질은 연결 개구부(21b)를 통해 공급되고 개구부(20b) 내로 공급된다. 상부 디스크(10a')의 보강다리(41a,42a)가 하부 디스크(10b')의 대응 개구부 위에 있는 것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따라서 보강다리(41b,42b)는 상부 디스크(10a')의 대응 개구부(20a,30) 영역에 위치된다. 여과되지 않은 물질(13)의 유체(13)와 여과된 물질의 유체(14)는 보강다리(41b,42b)의 오버플로우와 언더플로우에 의해 파동방식으로 개개의 홀들 내로 순환된다. 여과되어 회수된 물질은 연결 개구부(31b)를 통해 배출된다.
보강다리(41a,42a,41b,42b)는 필터 디스크(10a',10b')와 같은 두께를 가질 필요가 없다. 설명을 위해 보강 다리(41a')가 축소된 두께로 도시되어 있다.
도 14는 다수의 필터 디스크(10')로 구성된 필터 모듈(1)이 설치된 여과 수단(51)을 도시한 것이다. 필터 모듈은 바닥의 단단한 엔드 플레이트(53)에 설치된다. 모듈의 작동 위치 변경에 따른 보정을 위해, 상부 엔드 플레이트(52)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여과되지 않은 물질용 공간 모듈(1)의 외측과 위에 위치된다. 여과된 물질용 공간은 모듈(1) 내에 그리고 하부에 위치된다. 여과되지 않은 물질은 용기 자켓의 측벽에 있는 연결부(54)를 통해 여과수단(51) 안쪽으로 이동하고 여과되지 않은 물질은 중심 연결부(55)를 통해 여과수단 바닥에 남는다.
본 발명은 중간판 등이 없이 심층 여과재의 필터 디스크가 디스크의 수평면에 수직하지 않게 그리고 외주면을 통해 방사상이 아닌 필터 엘리먼트를 통해 유동이 발생할 때 사용된다는 것에 근거한다. 작동모드에서 여과면이 작기 때문에 이러한 방향으로 발달이 빠르게 진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여과된 물질과 여과되지 않은 물질의 유동면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개구부를 제공하므로서 다른 표면이 노출되기 때문에 내부 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결점이 배제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의 장점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내부 구조물의 기하학적 구조에 근거하여 여과 두께의 크기가 여과면 즉 유동면의 크기가 자유롭게 서로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심층 여과재 구조물이 이러한 방식으로 절개될 수 있다. 개방 기공의 심층 여과재에서 큰 여과 깊이 즉 개구부들 사이의 더 큰 거리는 더 작은 기공과 작은 여과 깊이를 갖는 소재로도 여과율을 같게 조정할 수 있고 따라서 충분하게 여과할 수 있다.
또한, 심층 여과재의 흡착 성능은 여과 깊이 즉 심층 여과재의 실제 여과 면적이 선행기술에서 처럼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개선될 수 있다.

Claims (26)

  1. 여과된 물질과 여과되지 않은 물질용 유동면과 외측 윤곽부를 가진 심층 여과재의 적층 가능한 평판식 필터 엘리먼트 특히 필터 디스크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개구부(20a-20f,20a,20b,30a-30g,31a31b)와, 유동면(11a,11b)을 형성하는 심층 여과재(12)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20a-20f,21a,21b,30a-30g,31a,31b)의 경계면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구조물(17)를 가지며, 유동면(11a,11b)이 필터 엘리먼트(10)의 수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2. 제 1항에 있어서,
    필터 엘리먼트(10)의 외주면(19)은 마찬가지로 유동면(11a,11b)들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필터 엘리먼트(10)의 유동면(11a,11b)의 총 면적은
    - 필터 엘리먼트를 감싸는 매우 작은 볼록한 바디(60)의 외측 외주면(61)과
    - 필터 엘리먼트의 어느 개구부(20a-20f,21a,21b,30,31a,31b,33)에 내접하는 매우 큰 볼록한 바디(62)의 외측 외주면(63)의 총합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심층 여과재(12)의 여과 작용 영역의 폭이 어디서나 동일하도록 내부 구조물(17)에 매칭되는 외측 윤곽부(1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여과 작용 영역은 구불구불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6.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지 않은 최소한 2개의 개구부(20,30)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어 두 개구부(20,30) 사이에 위치되는 여과 작용 영역의 폭이 어디서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7. 제 6항에 있어서,
    여과 작용 영역의 두께는 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8.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개구부(20)(제 1 타임의 개구부)는 외주면(19)에서 길게 연장되거나 최소한 하나의 연결 개구부(21)를 거쳐 필터 엘리먼트의 외주면(19)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9. 제 1항 내지 제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타입의 개구부(20)에 연결되지 않은 최소한 하나의 개구부(30)(제 2 타입의 개구부)는 최소한 하나의 회수 개구부(33)에 직접 연결되거나 최소한 하나의 연결 개구부(31)을 통해 회수 개구부(3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10. 제 1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 엘리먼트(10)는 원형의 외측 윤곽부를 갖고, 제 1 및 제 2 타입의 개구부(20,30)는 동심원에 놓이고, 제 1 타입의 개구부(20)는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개구부(21)를 통해 필터 엘리먼트의 외주면(19)에 연결되고, 회수 개구부(33)는 방사형 연결 개구부(31)를 통해 제 2 타입의 개구부(30)에 연결되는 필터 엘리먼트(10)의 중심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11. 제 1항 내지 제 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타입과 제 2 타입의 개구부(20,30)가 교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12. 제 1항 내지 제 9 또는 제 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 엘리먼트(10)는 N개의 모서리를 가진 외측 윤곽부를 갖고 개구부(20,30)는 필터 엘리먼트의 어느 한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13.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 엘리먼트(10)는 원형 또는 타원형 외측 윤곽부를 가지며 제 1 타입의 개구부(20)와 제 2 타입의 개구부(30)는 최소한 하나의 나선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구부(20,30) 및/또는 연결 개구부(21,31)는 보강다리(41,42,4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강다리(41,42,43)는 필터 엘리먼트(10)와 같은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16.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 엘리먼트(10)의 외주면(19)은 최소한 하나의 고정 구조물(4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1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구부(20,21,30,31,33)는 펀칭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구부는 슬롯(27,3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 엘리먼트(10,10a,10b)가 서로 적층되어 같은 타입의 개구부(20,21,30,31,33)만이 서로 연결되고 이러한 방법으로 여과된 물질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한 2 필터 엘리먼트(10,10a,10b)의 필터 모듈.
  20. 제 19항에 있어서,
    동일한 필터 엘리먼트(10)가 서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모듈.
  21. 제 19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외주면(19)에 연결되는 개구부(20,30)를 가진 필터 엘리먼트(10a,10b)는 외주면(19)에 연결되지 않은 개구부(20,30)을 가진 필터 엘리먼트(10a,10b)와 서로 교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모듈.
  22. 제 19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 엘리먼트(10)가 서로에 대해 비틀린 상태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모듈.
  23. 제 19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 엘리먼트(10)는 다른 필터 엘리먼트의 상부에 똑바로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모듈.
  24. 제 19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 엘리먼트(10)는 서로 시멘트 접착되거나 본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모듈.
  25. 제 19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 필터층(10) 사이에 개구부를 가진 하나의 중간층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모듈.
  26. 제 19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 엘리먼트(10)는 2개의 엔드 플레이트 사이에 고정되고, 2개의 엔드 플레이트들 중 어느 한 엔드 플레이트는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모듈.
KR1019997007304A 1997-02-15 1998-02-09 평판형 필터 엘리먼트 및 필터 엘리먼트로 구성된 필터 모듈 Withdrawn KR200000710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05856.6 1997-02-15
DE19705856A DE19705856A1 (de) 1997-02-15 1997-02-15 Flaches Filterelement und aus Filterelementen zusammengesetztes Filtermodu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037A true KR20000071037A (ko) 2000-11-25

Family

ID=7820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304A Withdrawn KR20000071037A (ko) 1997-02-15 1998-02-09 평판형 필터 엘리먼트 및 필터 엘리먼트로 구성된 필터 모듈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20020046971A1 (ko)
EP (1) EP0959977B1 (ko)
JP (1) JP2001511695A (ko)
KR (1) KR20000071037A (ko)
CN (1) CN1247479A (ko)
AT (1) ATE224760T1 (ko)
AU (1) AU6100098A (ko)
BR (1) BR9807354A (ko)
CA (1) CA2278803A1 (ko)
DE (2) DE19705856A1 (ko)
PL (1) PL335086A1 (ko)
TR (1) TR199901866T2 (ko)
WO (1) WO1998035740A1 (ko)
YU (1) YU609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7257A1 (de) * 1998-08-17 2000-02-24 Seitz Filter Werke Filtermodul
DE19836949A1 (de) * 1998-08-17 2000-07-27 Seitz Filter Werke Filtermodul
JP4545880B2 (ja) * 2000-05-16 2010-09-15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固液分離装置
DE10029960A1 (de) * 2000-06-26 2002-01-10 Seitz Schenk Filtersystems Gmb Filtermodul
JP2004535915A (ja) * 2001-04-18 2004-12-02 キュノ、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レンチキュラ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用ハンドル
US8215494B2 (en) 2001-11-13 2012-07-10 Pall Corporation Filter modul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DE10155591B4 (de) * 2001-11-13 2004-05-06 Seitzschenk Filtersystems Gmbh Filtermodu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16305A1 (de) * 2002-04-10 2003-11-06 Pall Corp Filtervorrichtung, Filterwagen und Nachrüstsatz für Filtervorrichtungen
CA2614433C (en) 2005-07-28 2013-07-23 Pall Corporation Filter module and process for manufacture of same
DE602006021029D1 (de) 2005-07-28 2011-05-12 Pall Corp Filtermodu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WO2007017111A1 (en) 2005-07-28 2007-02-15 Pall Corporation Filter module and process for manufacture of same
US7934604B2 (en) 2006-07-26 2011-05-03 Pall Corporation Filter module and process for manufacture of same
US9149750B2 (en) * 2006-09-29 2015-10-06 Mott Corporation Sinter bonded porous metallic coatings
US8312997B2 (en) 2007-02-14 2012-11-20 Pall Corporation Module for processing a fluid and a process for manufacture of same
US20100140177A1 (en) * 2007-02-14 2010-06-10 Pall Corporation Fluid processing system
US8245853B2 (en) 2007-02-14 2012-08-21 Pall Corporation Filter module
JP2010522070A (ja) * 2007-03-19 2010-07-01 ポール・コーポレーション ポスト及び/又はバンドが流体処理エレメントの間に置かれる流体処理エレメント及び流体処理装置、並びに流体エレメント及び流体処理装置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WO2008115789A1 (en) * 2007-03-19 2008-09-25 Pall Corporation Fluid treatment arrangements with sets of fluid treatment element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EP2125140A2 (en) * 2007-03-19 2009-12-02 Pall Corporation Fluid treatment arrangements with fluid treatment element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US20100193437A1 (en) * 2007-03-19 2010-08-05 Pall Corporation Fluid treatment elements and fluid treatment arrangements with fluid treatment elements having different fluid treatement characteristic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US8640884B2 (en) * 2007-03-19 2014-02-04 Pall Corporation Fluid treatment elements and fluid treatment arrangements with spaces between fluid treatment element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WO2008115792A1 (en) * 2007-03-19 2008-09-25 Pall Corporation Fluid treatment elements and fluid treatment arrangements with fluid treatment elements having uneven surfac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US20080257814A1 (en) * 2007-04-23 2008-10-23 Millipore Corporation Filtration Cartridge
US8636034B2 (en) * 2011-08-31 2014-01-28 Plitek, L.L.C. Oil-less and wetted pressure relief valves having an integrated filter
US9187229B2 (en) 2011-08-31 2015-11-17 Plitek, L.L.C. Oil-less pressure relief valves
US10358275B1 (en) 2017-06-16 2019-07-23 Plitek, L.L.C. Pressure relief valve with a plural-part dry strap
CN109200674A (zh) * 2017-07-04 2019-01-15 刘广宣 一种精密过滤材料
CN107596745A (zh) * 2017-10-30 2018-01-19 佛山市金凯地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纹路式过滤结构的吹气式压滤板
EP3620219B1 (en) 2018-09-06 2024-05-29 Pall Corporation Filter element and filter module comprising same
US11352183B2 (en) 2020-03-05 2022-06-07 Plitek, L.L.C. Pressure relief valve with wetting fluid reservoirs
CN113634030B (zh) * 2021-07-28 2022-07-19 武汉椿岭科技有限公司 一种过滤器清液万向连管组件以及过滤器
CN118005117B (zh) * 2024-04-09 2024-06-11 济南美丰环保产品有限公司 一种可适应多种原水的除盐水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380A (en) * 1904-07-01 1905-10-31 John Wickre Building-block.
GB570960A (en) * 1942-05-21 1945-07-31 Fram Corp Improvements in liquid filtration
US2522502A (en) * 1945-07-28 1950-09-19 Auto Appliance Patents Co Filter
US2521060A (en) * 1946-04-19 1950-09-05 William W Hallinan Fil ter
US2519506A (en) * 1946-09-27 1950-08-22 Luber Finer Inc Filter
US2631732A (en) * 1950-11-08 1953-03-17 Wm W Nugent & Co Inc Fiber disk filter assembly
US3702659A (en) * 1969-11-26 1972-11-14 Brunswick Corp Filter cores
US4290889A (en) * 1980-01-24 1981-09-22 Brunswick Corporation Support for backflushable filter media
US4383060A (en) * 1982-06-01 1983-05-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Epoxy adhesive for structurally bonding molded SMC
EP0291883A3 (de) * 1987-05-16 1989-10-25 Sartorius Ag Filtermodul aus Schichtenfilterelementen
DE4012972A1 (de) * 1989-04-26 1990-10-31 Sartorius Gmbh Filterstapel fuer den einbau in einer nach dem crossflow-prinzip betreibbaren filtervorrichtung fuer fluide
DE4012971C2 (de) * 1989-04-26 1999-09-09 Sartorius Gmbh Nach dem Crossflow-Prinzip betreibbare Filtervorrichtung
US5112503A (en) * 1990-04-09 1992-05-12 Systems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Corp. Modular filter assembly
GB9019855D0 (en) * 1990-09-11 1990-10-24 Pall Corp Depth filter media
US5580454A (en) * 1995-11-03 1996-12-03 Zaiter; Sohail Backwashing filter with increased filtration surface 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35086A1 (en) 2000-04-10
EP0959977B1 (de) 2002-09-25
WO1998035740A1 (de) 1998-08-20
US20040035783A1 (en) 2004-02-26
TR199901866T2 (xx) 2000-04-21
BR9807354A (pt) 2000-03-21
US20020046971A1 (en) 2002-04-25
EP0959977A1 (de) 1999-12-01
DE19705856A1 (de) 1998-09-03
ATE224760T1 (de) 2002-10-15
AU6100098A (en) 1998-09-08
DE59805690D1 (de) 2002-10-31
CA2278803A1 (en) 1998-08-20
YU6098A (en) 1999-11-22
JP2001511695A (ja) 2001-08-14
CN1247479A (zh)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1037A (ko) 평판형 필터 엘리먼트 및 필터 엘리먼트로 구성된 필터 모듈
EP1554028B1 (en) Filterelement including filtration media with multi-layer pleat support
US4793928A (en) Polymer filtering apparatus
US4358371A (en) Backwashable filter
KR20000071101A (ko) 여과장치
JPS6230517A (ja) フイルタ及びフイルタ組立体
US20050082217A1 (en) Filter sector for rotarydisc filters
US9962639B2 (en) Filter element having at least one mat-type or sheet-type filter web
GB2202760A (en) Filter disc
KR100495202B1 (ko) 필터 디스크를 구비한 필터 디바이스
KR101983289B1 (ko) 필터 요소
US6527954B1 (en) Layered bag filter elements
US10799815B2 (en) High pressure resistant filter
US4358370A (en) Backwashable filter
US4549963A (en) Filtering device comprising one or more filtering elements consisting of filtering discs
JPH02245207A (ja) 流体フィルタ
US7261817B2 (en) Filter module and device for static filtration of fluids with such a module
KR20050014824A (ko) 고점성유체용 필터유닛 및 방사팩
GB2095572A (en) Filter elements
US20180369727A1 (en) Modular Sectorised Filter Element
JPH0155884B2 (ko)
JPH10244104A (ja) プリーツ型カートリッジフィルタ
JPH061219Y2 (ja) エアクリーナ
GB2074886A (en) A backwashable filter
CZ247699A3 (cs) Plochý filtrační prvek a filtrační modul sestavený z těchto prvk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8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