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72176A - 원격 에너지 감시/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에너지 감시/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2176A
KR20000072176A KR1020000046506A KR20000046506A KR20000072176A KR 20000072176 A KR20000072176 A KR 20000072176A KR 1020000046506 A KR1020000046506 A KR 1020000046506A KR 20000046506 A KR20000046506 A KR 20000046506A KR 20000072176 A KR20000072176 A KR 20000072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information
monitoring
control
pow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주
Original Assignee
이기표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박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표,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박기주 filed Critical 이기표
Priority to KR1020000046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72176A/ko
Publication of KR20000072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2176A/ko
Priority to AU2001280219A priority patent/AU2001280219A1/en
Priority to CNB018011586A priority patent/CN100433503C/zh
Priority to PCT/KR2001/001376 priority patent/WO2002015364A1/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monito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8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involving the use of Internet protoco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1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information or by user interaction, e.g.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s [SCADA] or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30State monitoring, e.g. fault, temperature monitoring, insulator monitoring, corona dis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40Display of information, e.g. of data or contr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8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involving the use of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전력 수요처에 제공된 전력 감시/제어기 및 이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전력 감시/제어 서버를 이용하여, 전력 수요처의 전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력 감시/제어 서버에 제공하여 이를 관리하도록 하며 장애 발생시 전력 감시/제어 서버로부터의 제어 정보 또는 전력 감시/제어기에 미리 설정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즉시 장애를 복구할 수 있는 전력 감시/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원격 에너지 감시/제어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ENERGY MONITORING/CONTROLLING}
본 발명은 원격 에너지 감시/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너지 수요처에 제공된 에너지 감시/제어기 및 이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원격지에 위치하는 에너지 감시/제어 서버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에너지 수요처에서의 에너지 감시 및 제어를 할 수 있는 원격 에너지 감시/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감시/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전력 감시/제어, 송유 감시/제어, 가스 감시/제어 등 각 에너지에 적합한 소정의 측정기와 제어기를 이용하여 에너지 감시/제어기를 구성할 수 있는 어떤 기술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리상 주로 전력 감시/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소비 전력 관리 방식에 있어서는, 다수의 전력 수요처, 예를 들어 공장, 학교, 사무실 건물 등의 전력 수요처에서 전력을 사용하는 경우, 통상 전력 수요처에서의 전력 공급 및 소비 상황을 감시하는 중앙 통제소가 원격지에 위치해 있으며, 이 중앙 통제소는 전력 수요처에 과부하 등의 장애가 발생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장애 발생 상황을 디스플레이하고, 이에 따라 중앙 통제소 요원이 장애 발생 사실을 해당 전력 수요처에 상주해 있는 작업자에게 알려주어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경우에는, 전력의 감시 및 제어를 위하여 중앙 통제소의 감시 결과를 통지 받는 작업자가 각 전력 수요처에 항상 대기하고 있어야 하므로, 이는 인건비 상승의 원인이 되고 또한 중앙 통제소와 작업자 사이에 신속한 연락이 수행되지 않거나 작업자가 신속하고 적절한 제어 동작을 취하지 않은 경우 전력 손실은 물론 엄청난 재해가 발생할 수도 있는 위험성이 내재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위험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 수요처에 제공된 전력 감시/제어기 및 이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전력 감시/제어 서버를 이용하여 전력 수요처의 전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력 감시/제어 서버에 제공하여 이를 관리하도록 하며, 장애 발생시 전력 감시/제어 서버로부터의 제어 정보 또는 전력 감시/제어기에 미리 설정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즉시 장애를 복구할 수 있는 전력 감시/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력 감시/제어 서버에 저장된 전력 정보 및 장애 정보를 인터넷을 이용하여 해당 전력 수요처에 관련된 고객에게 전송하고 필요한 경우 고객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소정의 전력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함으로써, 원격으로 전력 수요처의 전력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한 전력 감시/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전력 수요처의 개별 부하에서의 전력 소비 상황을 감시/제어하고, 다수의 전력 수요처를 그룹화하여 해당 그룹에 속하는 각 전력 수요처별로 전력 소비 상황을 감시/제어할 수 있는 전력 감시/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전력량을 원격으로 검침할 수 있는 전력 감시/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력 감시/제어 시스템은 본 명세서의 특허청구범위 각 항에 기재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전력 감시/제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감시/제어기에 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전력 감시/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감시/제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전력 감시/제어 시스템은 다수의 전력 수요처에 제공된 전력 감시/제어기(101), 전력 감시/제어기(101)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에 연결하는 통신 단말기(102),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단말기(103)와 연결되어 있는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 및 인터넷을 통해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와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104)를 포함한다.
전력 감시/제어기(101)는 통상 전력 수요처의 변압기에 제공되며, 전력 수요처에 제공되는 전기의 전압, 전류, 전력량, 유효전력, 무효전력, 피상전력, 역률, 최대전력, 평균전력, 주파수, 피크부하, 불평형률, 변압기온도, 변압기판넬온도 등 해당 변압기의 전력 상황을 측정하여 이를 전력 정보로서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로 제공한다. 전력 감시/제어기(101)는 한편, 상기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전력 공급 상태(공급 또는 중단), 피크부하상태(피크치 초과 또는 이내), 역률상태(역률발생 또는 정상), 온도변화(변압기온도변화) 등을 24시간 감시하여 소정을 정상 상태를 벗어날 경우 장애 상태임을 알리는 경보를 발생시키고 장애 상태를 자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시에 내부에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하기하는 바와 같이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제어 명령에 따라 변압기를 제어하여 장애 상태를 복구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감시/제어기(101)의 일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전력 감시/제어기(101)에 다수의 입출력 릴레이가 연결될 경우, 전력 감시/제어기(101)는 해당 전력 수요처의 개별 부하에 있어서의 전력 소비 상황을 감시하고 이에 따라 경보 발생, 장애 복구 및 전력 정보 전송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전력 감시/제어기(101)는 통신 단말기(102)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에 연결된다. 통신 단말기는 예를 들어 유선 통신망에 연결된 PC, 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핸드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기, 또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전력 감시/제어용 로봇일 수 있다. 여기서의 전력 감시/제어용 로봇이라 함은 전력 감시/제어기(101)와 통신망을 연결하여 전력 감시/제어기(101)로부터의 전력 정보 신호를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로 전송하고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로부터의 전력 제어 정보 신호를 전력 감시/제어기(101)로 전송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통신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통신 단말기(102)가 전력 감시/제어기(101)와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전력 감시/제어기(101) 내에 소정의 통신 모듈이 내장되어 전력 감시/제어기(101)가 직접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될 수도 있다.
전력 감시/제어기(101)로부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정보는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로 수신된다.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는 전송받은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4)로 제공하며, 장애 복구를 위한 명령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전력 감시 명령 또는 전력 설정치 변경 명령 등의 전력 제어 정보를 전력 감시/제어기(101)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는 통상적인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과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는 전력 감시/제어기(101)로부터 수신된 전력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전력 정보 DB, 전력 수요처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장애 정보 DB, 장애 복구를 위한 전력 제어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제어 정보 DB, 사용자 단말기(104)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DB, 전력 감시/제어기(101)나 사용자 단말기(104)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에러가 존재하거나 수신 정보 자체에 이상이 있을 경우 이에 관한 사항을 저장하기 위한 에러 정보 DB, 다수의 전력 수요처가 수 개의 그룹으로 구분될 경우 각 그룹별 전력 수요처 목록을 저장하는 그룹 정보 DB 등을 가진 저장 장치(113)를 구비하고 있다. 저장 장치(113)는 또한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의 중앙 처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도 저장하고 있다. 중앙 처리 장치는 이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전력 감시/제어기(101)로부터의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104)로부터의 정보 및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정보를 상기한 각 DB로 저장한다.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에서 이루어지는 이하의 동작은 이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정해지며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전력 감시/제어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력 감시/제어 시스템은 주기적으로 전력 감시/제어기(101)를 통해 전력 정보 등을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로 전송하고 이를 저장함은 물론, 사용자의 요구가 있을 때마다 상기 전송 및 저장 동작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전력 설정치를 변경하거나 전력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 단말기(104)로 제공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력 감시/제어 시스템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인 전력량 원격 검침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전력 감시/제어 시스템의 일부 동작은 본 출원인의 2000년 7월 6일자 특허출원 2000-3861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출원에 기재된 사항은 본 출원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객과 서버 관리자는 모두 본 발명의 전력 감시/제어 시스템의 사용자가 되며, 고객은 인터넷을 통해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에 접속할 수 있으며, 서버 관리자는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에 접속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4)를 가지고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에 접속하게 되면, 사용자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 ID와 비밀 번호를 입력하라는 초기 화면이 제공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사용자 인증 과정이 수행된다.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에 의해 전송되는 모든 정보에 있어서, 정보 신호 자체에 기술적 에러가 발생하거나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허용 기준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 이에 관한 정보가 에러 정보로서 저장장치(113)의 에러 정보 DB에 저장된다.
사용자 인증은 사용자 정보 DB에 저장된 정보와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비교 결과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허용 기준에 적합하지 않으면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는 이를 에러 정보 DB에 기록하고 사용자 단말기(104)로 접속 거부 메시지를 전송한다.
비교 결과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허용 기준에 적합할 경우,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는 사용자로부터의 현재 전력 정보 요청 여부 체크하고 현재 전력 정보 요청이 있을 경우 현재 시간의 전력 정보를 전력 감시/제어기(101)로부터 수신한다. 이어서,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는 수신 신호에 에러가 있을 경우 이를 에러 정보 DB에 저장하며, 수신 신호에 에러가 없을 경우 전력 정보를 전력 정보 DB에 저장하는 한편 미리 설정된 종류의 전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4)로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기(104)로 제공되는 전력 정보의 종류는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전력 수요처를 비롯한 전력 계통상에 피크부하, 전력 공급 이상, 변압기온도이상 등과 같은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제어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력 감시/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도 3을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에 근거한 주기적인 전력 정보 감시 또는 사용자의 전력 정보 요청에 의한 전력 정보 감시가 수행되어 전력 정보가 전력 감시/제어기(101)로부터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로 수신된다(단계 301). 다음 사용자 정보와 관련하여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전력 정보 신호에 대해서도 에러 체크가 이루어진다(단계 303).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는 전력 정보에 에러가 있을 경우 이를 에러 정보 DB에 저장하고(단계 304) 다시 전력 정보를 수신하며, 에러가 없을 경우 상기 전력 정보를 분석하여 장애가 있는 지를 체크하고(단계 305), 장애가 없으면 이를 전력 정보 DB에 저장하고(단계 306) 사용자 단말기(104) 또는 핸드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즉, 서버 관리자 또는 고객에게 전력 정보를 전송하지만(단계 316), 장애가 있을 경우 장애가 발생된 현재 시간 및 장애 상황 등을 포함하는 장애 정보를 장애 정보 DB에 저장하고(단계 307), 이 장애 정보를 상기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전송한다(단계 309). 서버 관리자가 다수의 장애 종류 및 그에 따른 제어 방법을 소정의 제어 규칙으로 프로그램화하고 개별 제어 정보를 제어 정보 DB로 저장해 놓은 경우,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는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정해지는 소정의 제어 규칙에 따라 장애 복구를 위한 제어 정보를 제어 정보 DB로부터 호출하여 이를 전력 감시/제어기(101)로 전송함으로써(단계 311) 전력 수요처(또는 전력 수요처의 개별 부하)에 발생한 장애를 복구할 수 있다(단계 313).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장애가 복구된 후, 다시 전력 정보 수신 단계(단계 301)로 돌아가 전력 정보가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로 제공되어 장애 정보 DB와 전력 정보 DB에 저장되고, 전력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함에 따라 서버 관리자와 고객을 포함하는 사용자가 장애 조치 현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단계 316). 여기에서 장애 종류 및 그에 따른 제어 방법은 전력 제어에 관한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는 전력 설정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의 전력 소비 감소를 원하는 사용자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104)를 통해 변경된 전력 설정치를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에 제공함으로써 전력 소비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의 전력 설정치 변경 요구가 있을 경우,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는 이를 사용자 정보 DB 또는 전력 정보 DB에 저장하는 동시에 상기한 소정의 방법을 통해 이를 서버 관리자에게 통지하고 상기한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정해지는 제어 규칙에 따라 제어 정보 DB로부터 필요한 제어 정보를 호출하여 전력 감시/제어기(101)로 전송한다.
사용자로부터의 전력 정보 요청이나 전력 설정치 변경이 없을 때에도,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는 전력 감시/제어기(101)로부터 주기적으로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주기적 전력 정보 수신은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정해진 소정의 설정 시간을 기준으로 행해진다. 현재 시간이 소정의 설정 시간인 경우, 전력 감시/제어기(101)는 현재의 전력 정보를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로 제공한다. 이후의 동작은 사용자로부터의 전력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와 유사하다. 즉,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는 전력 정보 신호 분석에 따라 이를 에러 정보 DB, 전력 정보 DB, 장애 정보 DB에 적절하게 저장하고 상기한 방식에 따라 전력 정보와 장애 정보를 서버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한편, 현재의 전력 소비 상황에 적합한 제어 정보를 전력 감시/제어기(101)로 전송함으로써 제어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력량의 원격 검침은 이러한 주기적 전력 정보 수신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전력 감시/제어 시스템은 동시에 다수의 전력 수요처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때 다수의 전력 수요처가 수 개의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의 저장장치(113)는 각 그룹별 전력 수요처 목록을 저장하는 그룹 정보 DB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고객이 다수의 전력 수요처를 가진 경우, 주요 산업 시설에 대해 전체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다수의 전력 수요처가 동종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이를 통괄하여 제어할 필요가 있을 경우 등이 해당된다. 하나의 전력 수요 그룹에 대해 전력 정보 감시를 하고자 하는 경우, 전력 감시/제어 서버(103)는 해당 그룹을 식별한 후 그 그룹에 속하는 각 전력 수요처에 해당하는 전력 정보, 장애 정보, 에러 정보, 제어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추출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전력 감시/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해당 그룹의 각 전력 수요처에 대한 전력 감시/제어는 각 수요처별로(또는 각 수요처의 개별 부하별로) 이루어지며, 이 때 각 전력 수요처별 전력 공급 우선 순위나 각 전력 수요처의 개별 부하별 전력 공급 우선 순위를 제어 정보 DB에 저장하여, 미리 설정된 순위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전력 감시/제어 시스템을 그 예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 의해 감시/제어될 수 있는 에너지는 전기 에너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원유나 석유등의 공급 및 관리를 위한 송유 감시/제어 시스템이나 천연가스, 도시가스 등의 공급 및 관리를 위한 가스 감시/제어 시스템, 기타 해당 에너지의 상태를 적절하게 측정하고 제어할 수 있는 소정의 측정기와 제어기가 구비되어 있는 다른 에너지 감시/제어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력 감시/제어 시스템은 화재 및 안전 감시 및 관리를 위한 소방 시스템, 열에너지의 공급 및 관리를 위한 열공급 감시/제어 시스템, 공장자동화를 위한 공장자동화 감시/제어 시스템 등에도 응용될 수 있다.
상기한 에너지 감시/제어 시스템의 경우 상기 실시예에서의 전력 감시/제어기(101)에 해당될 수 있는 에너지 감시/제어기가 에너지 감시기 및 에너지 제어기로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송유 감시/제어 시스템의 경우 시간당 전송 유량, 구간별 전송 유량, 유류 및 유류 저장고의 온도, 피크부하 등이 감시 대상 정보가 될 수 있으며, 가스 감시 제어 시스템의 경우에도 이와 유사한 항목들이 감시 대상 정보가 될 수 있다. 그러나, 그 외의 부분 즉, 에너지 상태의 주기적 감시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감시, 에너지 정보의 전송 및 저장, 사용자의 에너지 설정치 변경에 따른 제어, 장애 발생에 따른 통지 및 장애 복구 제어 등은 이상 개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수행된다. 따라서, 각 에너지의 공급 및 소비 상황 파악에 필요한 적합한 감시 및 제어 항목과 이에 대응하는 적합한 측정 장치와 같은 감시기 및/또는 제어기는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당업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상기 실시예의 전력 감시/제어 시스템을 타 에너지 감시/제어 분야에도 전용할 수 있을 것이며, 그러한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너지 수요처의 에너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에너지 감시/제어 서버에 제공하여 이를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장애 발생시 에너지 감시/제어 서버로부터의 제어 정보 또는 에너지 감시/제어기에 미리 설정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즉시 장애를 복구할 수 있는 에너지 감시/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너지 감시/제어 서버에 저장된 전력 정보 및 장애 조치 정보를 인터넷을 이용하여 에너지 수요처에 관련된 고객에게 전송하고 필요한 경우 고객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에너지 제어를 함으로써, 원격으로 에너지 수요처의 전력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한 에너지 감시/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에너지 수요처의 개별 부하에서의 에너지 소비 상황을 감시/제어하고, 다수의 에너지 수요처를 그룹화하여 해당 그룹에 속하는 각 에너지 수요처별로 에너지 소비 상황을 감시/제어할 수 있는 에너지 감시/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전력량을 원격으로 검침할 수 있는 전력 감시/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에너지 설정치의 변경이나 에너지 수요처 그룹화에 의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 에너지 소비 감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애가 발생한 경우 이를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정해진 제어 규칙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신속하고 적절한 장애 복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재해 발생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Claims (20)

  1. 다수의 에너지 수요처에 제공된 에너지 감시/제어기,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에 연결하는 통신 단말기,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는 에너지 감시/제어 서버, 및 인터넷을 통해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에너지 감시/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기는 상기 에너지 수요처에 제공되는 에너지의 공급 및 소비 상황을 측정하여 이를 에너지 정보로서 상기 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 서버는 상기 에너지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소정의 항목별로 저장하는 동시에, 상기 에너지 정보에 대응하는 에너지 제어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기로 전송하며, 상기 에너지 정보에 관련된 에너지 출력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기로 전송된 상기 에너지 제어 정보에 의해 상기 에너지의 공급 및 소비 상황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감시/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공급 및 소비 상황의 전송 및 제어는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 서버에 의해 정해지는 소정의 설정 시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감시/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공급 및 소비 상황의 전송 및 제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력 감시/제어 서버로 에너지 정보 요청이 전송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감시/제어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기는 또한 상기 에너지 정보에 대응하는 에너지 제어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에너지 공급 및 소비 상황을 제어 및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감시/제어 시스템.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기는 상기 에너지 수요처를 구성하는 각 개별 부하에 연결된 다수의 입출력 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입출력 릴레이를 통해 각 개별 부하에 대해 에너지 공급 및 소비 상황의 전송 및 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감시/제어 시스템.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에너지 수요처는 수 개의 에너지 수요 그룹으로 구분되며,
    상기 에너지 수요 그룹에 관한 정보는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 서버에 상기 소정의 항목과는 별도의 항목으로서 저장되며,
    상기 에너지 공급 및 소비 상황의 전송 및 제어는 상기 에너지 수요 그룹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감시/제어 시스템.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PC, 휴대용 통신기, 그리고 전용 감시/제어 로봇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감시/제어 시스템.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는 전력, 유류, 그리고 가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감시/제어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정보는 전력량, 유량, 가스량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기로부터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 서버로의 상기 에너지 정보의 전송에 의해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 검침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감시/제어 시스템.
  10. 원격으로 에너지의 공급 및 소비를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저장 장치; 그리고
    상기 저장 장치에 연결된 처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 장치는 상기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처리 장치로 하여금
    (a) 다수의 에너지 수요처로부터 에너지의 공급 및 소비 상황을 포함하는 에너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b) 상기 에너지 정보를 분석하여 소정의 항목별로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동시에, 상기 에너지 정보 분석에 따른 에너지 공급 및 소비 상황 제어를 위해 상기 에너지 정보에 대응하는 에너지 제어 정보를 상기 다수의 에너지 수요처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감시/제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 장치는 인터넷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와 연결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처리 장치로 하여금
    (a)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에너지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b)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에너지 설정치 변경 요청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제어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감시/제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에너지 수요처는 수 개의 에너지 수요 그룹으로 구분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처리 장치로 하여금
    (a) 상기 에너지 수요 그룹에 관한 정보를 상기 소정의 항목과는 별도의 항목으로서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b) 저장된 상기 에너지 수요 그룹에 관한 정보에 따라 에너지 정보 및 에너지 제어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감시/제어 장치.
  13. 다수의 에너지 수요처에 제공된 에너지 감시/제어기,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에 연결하는 통신 단말기,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는 에너지 감시/제어 서버, 및 인터넷을 통해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에너지 감시/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에너지 공급 및 소비 상황을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에너지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 서버가 상기 에너지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기로부터 에너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 서버가 상기 에너지 정보를 분석하여 소정의 항목별로 저장하는 동시에,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에너지 정보에 관련된 에너지 출력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에너지 정보 분석에 따른 에너지 공급 및 소비 상황 제어를 위해 상기 에너지 정보에 대응하는 에너지 제어 정보를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감시 및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 서버가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 서버에 의해 정해지는 소정의 설정 시간에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기로부터 에너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감시 및 제어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에너지 설정치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 서버가 상기 에너지 설정치 변경 요청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제어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감시 및 제어 방법.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기가 상기 에너지 정보에 대응하는 에너지 제어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에너지 공급 및 소비 상황을 제어 및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감시 및 제어 방법.
  17.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전용 감시/제어 로봇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감시 및 제어 방법.
  18.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기는 상기 유무선 통신망과의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을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감시 및 제어 방법.
  19.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는 전기 에너지이며,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기는 전력 감시/제어기로서 상기 에너지 수요처에 구비된 변압기에 장착되며,
    상기 에너지 정보는 전력량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기로부터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 서버로의 상기 에너지 정보의 전송 단계에 의해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 검침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감시 및 제어 방법.
  20.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에너지 수요처는 수 개의에너지 수요 그룹으로 구분되며,
    상기 에너지 수요 그룹에 관한 정보가 상기 에너지 감시/제어 서버에 상기 소정의 항목과는 별도의 항목으로서 저장되는 단계; 그리고
    저장된 상기 에너지 수요 그룹에 관한 정보에 따라 에너지 정보 및 에너지 제어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감시 및 제어 방법.
KR1020000046506A 2000-08-11 2000-08-11 원격 에너지 감시/제어 시스템 및 방법 Ceased KR20000072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506A KR20000072176A (ko) 2000-08-11 2000-08-11 원격 에너지 감시/제어 시스템 및 방법
AU2001280219A AU2001280219A1 (en) 2000-08-11 2001-08-11 Remote energy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CNB018011586A CN100433503C (zh) 2000-08-11 2001-08-11 远程电力监测设备和方法
PCT/KR2001/001376 WO2002015364A1 (en) 2000-08-11 2001-08-11 Remote energy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506A KR20000072176A (ko) 2000-08-11 2000-08-11 원격 에너지 감시/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176A true KR20000072176A (ko) 2000-12-05

Family

ID=19682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506A Ceased KR20000072176A (ko) 2000-08-11 2000-08-11 원격 에너지 감시/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000072176A (ko)
CN (1) CN100433503C (ko)
AU (1) AU2001280219A1 (ko)
WO (1) WO200201536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420A (ko) * 2001-06-19 2002-12-3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에어컨의 전력제어장치 및 방법
KR101313657B1 (ko) * 2012-05-23 2013-10-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관리 장치 및 이의 에너지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6605B2 (ja) * 2008-11-28 2013-05-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力監視装置および電力監視方法ならびに部品実装用装置
JP2011019301A (ja) * 2009-07-07 2011-01-27 Toshiba Corp 配電系統操作システム
CN101738556B (zh) * 2009-12-24 2012-08-29 卡斯柯信号有限公司 一种新型故障信息显示处理系统
JP5609267B2 (ja) 2010-05-26 2014-10-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蓄電装置管理システム
CN102854379B (zh) * 2011-06-30 2017-04-12 海尔美国电器解决方案有限公司 辅助计量电器的功耗的方法
RU2601353C2 (ru) * 2011-08-17 2016-11-10 Апм Терминалс Менеджмент Б.В.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для рефрижераторных контейнеров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0800A (en) * 1976-11-22 1980-02-26 Scientific-Atlanta, Inc. Electrical load management system
US4972290A (en) * 1989-09-29 1990-11-20 Abb Power T & D Company Inc. Electric power system with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rotective relays
JPH09308107A (ja) * 1996-05-10 1997-11-28 Toshiba Corp 電力系統監視制御装置
KR100393640B1 (ko) * 2000-03-24 2003-08-06 (주) 시스파워 전자식 전력 감시 제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420A (ko) * 2001-06-19 2002-12-3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에어컨의 전력제어장치 및 방법
KR101313657B1 (ko) * 2012-05-23 2013-10-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관리 장치 및 이의 에너지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72714A (zh) 2002-10-02
AU2001280219A1 (en) 2002-02-25
WO2002015364A1 (en) 2002-02-21
CN100433503C (zh) 2008-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57020A (zh) 远程运维管理系统
US20050240315A1 (en) Interactive system for managing and remotely connecting customer utility loads
US200701834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d managing high-availability power infrastructures with flexible load prioritization
KR101183388B1 (ko) 전력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플러그 모듈
CN109257564A (zh) 一种电气设备运行状态监控系统
CN101666645B (zh) 一种机房微细环境监测系统
KR102076428B1 (ko) 154kV용 IoT 집중감시제어반을 이용한 SCADA 감시 제어 시스템
KR100663956B1 (ko)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KR20000072176A (ko) 원격 에너지 감시/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770347B1 (ko) IoT기반의 LTE 이동통신망을 활용한 무정전전원장치 상태정보 전송 및 원격 감시 및 관리제어 시스템
JP2001331571A (ja) ビル管理システム及びビル管理方法
US10797978B2 (en) Communication adapter and connection test run method therefor
KR200426642Y1 (ko) 인터넷 망을 이용한 실시간 이상 발생 자동 감지 및 원격제어용 부스터 펌프 제어장치
JP2003032764A (ja) 保守装置、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およびメンテナンス方法
KR102724402B1 (ko) 수처리 제어와 관련한 네트워크 감시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050106650A (ko) 인터넷을 통한 보일러 원격제어 및 통합관리 시스템
KR102406905B1 (ko) 산업 IoT 플랫폼을 이용한 엣지 컴퓨팅 기반 HMI 시스템
JP2009026184A (ja) 遠隔端末の保守システムおよび保守方法
KR101561396B1 (ko) 이중 네트워크를 통한 히트 트레이싱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히트 트레이싱 시스템
JP2019190690A (ja) 温水機器
KR102076429B1 (ko) 345kV용 IoT 집중감시제어반을 이용한 SCADA 감시 제어 방법
KR20080007929A (ko) 무인화 변전소 경보시스템 및 무인화 변전소 경보제어방법
EP2884624B1 (en) Energy management device, and energy-management-device control method
JP2003248888A (ja) 火災報知システム
KR20000072022A (ko) 원격 전력 감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907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112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012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