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00463A -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463A
KR20010000463A KR1020000057783A KR20000057783A KR20010000463A KR 20010000463 A KR20010000463 A KR 20010000463A KR 1020000057783 A KR1020000057783 A KR 1020000057783A KR 20000057783 A KR20000057783 A KR 20000057783A KR 20010000463 A KR20010000463 A KR 20010000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laser beam
reflecting
horizontal
verti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성
Original Assignee
박순성
권혁만
이재희
이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성, 권혁만, 이재희, 이종태 filed Critical 박순성
Priority to KR1020000057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0463A/ko
Publication of KR20010000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463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40Arrangement of two or more semiconductor las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S5/02 - H01S5/30
    • H01S5/4025Array arrangements, e.g. constituted by discrete laser diodes or laser bar
    • H01S5/4087Array arrangements, e.g. constituted by discrete laser diodes or laser bar emitting more than one wavelength
    • H01S5/4093Red, green and blue [RGB] generated directly by laser action or by a combination of laser action with nonlinear frequency conver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4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 G02B27/149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using crossed beamsplitting surfaces, e.g. cross-dichroic cubes or X-cub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3/00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bistable devices
    • G02F3/02Optical bistable devices
    • G02F3/026Optical bistable devices based on laser ef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레이저 디스플레이장치는, 표시해야 할 문자 또는 영상신호에 따라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레이저빔을 컨버징(converging)하기 위한 복수의 반사면을 가지는 컨버징 수단;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며, 입사되는 레이저빔을 반사시키는 반사부 및 반사부의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부의 회전에 따른 반사부 위치변화에 의해, 입사되는 레이저빔의 수평방향 반사각도를 변화시키는 레이저빔의 수평방향 반사수단;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면, 입사되는 레이저빔을 반사시키는 반사부 및 반사부의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부의 회전에 따른 반사부의 위치변화에 의해, 입사되는 레이저빔의 수직방향 반사각도를 변화시키는 레이저빔의 수직방향 반사수단; 및 상기 표시해야 할 영상신호, 및 상기 수평방향 반사수단 및 상기 수직방향 반사수단에 포함된 위치센서로부터의 각 위치정보들을 참조하여 상기 광원부와 수평방향 반사수단과 수직방향 반사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적색,녹색,청색의 레이저에서 각각 방출되는 각 레이저빔을 삼각 프리즘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하는 수평반사기 및 수직반사기로 반사하여 스크린에 대하여 주사하여 스크린의 영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레이저에서 방출되는 레이저빔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Device of Laser Display}
본 발명은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색,녹색,적색의 레이저에서 발생되는 레이저빔을 프리즘 형상으로 된 수평반사기와 수직반사기가 회전되어 스크린에 주사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소비자의 욕구가 커짐에 따라 화면의 크기가 대형화되는 실정에서 기존의 CRT(Cathode Ray Tube)나, 액정 표시소자(LCD)는 화면을 대형화 하고자 할수록 제작이 어렵고, 해상도가 저하되어 실용화할 수 있는 화면의 크기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음극선관이나 액정표시소자에서 얻은 영상을 렌즈로 확대하여 스크린에 투사함으로 대형화면을 실현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렌즈에 의한 영상 확대에 따라 스크린상에 투영되는 화질의 저하를 줄이기 위해 거리에 따른 광 감쇠 특성이 양호한 레이저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은 백색광을 발생시키는 백색광 레이저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광원에서 방출되는 백색광 레이저빔의 주요 파장은 각각 488nm, 514nm, 647nm 이다. 이 광원의 광 경로 상에는 광원(10)에서 발생되는 레이저빔의 주요 경로를 바꿔주는 고반사 미러(21), 레이저빔을 평행광으로 만들어주는 콜리메이팅 렌즈(22)와, 평행빔의 크기를 줄여주는 텔리스코핑 렌즈계(23,24)로 이루어진 광학계(20)가 배치된다. 텔리스코핑 렌즈계(23,24)는 앞단에 초점거리가 긴 것이 뒷단에 초점거리가 짧은 것이 놓이게 된다. 일정한 발산각을 가진 레이저빔은 광학계(20)의 콜리메이팅 렌즈(22)를 통과하면서 평행빔이 되고, 텔리스코핑 렌즈계(23,24)를 통과하면서 텔리스코핑 렌즈를 구성하는 두 렌즈의 배율비 만큼 축소된 빔의 크기를 가지게 된다.
광분리부(30)는 광학계의 텔리스코핑 렌즈계(23,24)로부터 입사된 백색광의 레이저빔을 적,녹,청색의 단색광으로 분리하여 준다. 광분리부(30)는 두 개의 다이크로익 미러(31)(32)와 하나의 고반사 미러(33)를 구비한다. 마이크로익 미러(31)는 청색광을 99%이상 반사시키고, 나머지 파장의 광은 95%이상 투과시킨다. 마찬가지로, 다이크로익 미러(32)는 녹색광을 99% 반사시키고, 적색광은 95%이상 투과시킨다. 고반사미러(33)는 투과된 적색광을 반사시켜 광변조기(40)에 입사시킨다.
광 분리부(30)를 거쳐 광변조기(40)로 입사되는 빔의 굵기는 200 ??Lm가 되어야 하며, 이것은 포커싱 렌즈(35,36,37)들을 각각 일정한 거리만큼 광변조기(40)들 앞단에 설치함으로써 가능하다. 여기서 포커싱 렌즈(35,36,37)로 입사되는 빔 크기에 따라서 포커싱 렌즈(35,36,37)들과 광변조기(40)들 사이의 거리가 각각 결정된다. 빔크기가 작으면 작을수록 광변조기(40)들에서 200 ??Lm가 빔 웨이스트 직경을 얻기 위한 포커싱 렌즈(35,36,37)와 광변조기(40)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게 된다. 그러나 빔 크기를 너무 작게 줄이게 되면 단위 면적당 광출력이 증가되어 렌즈나 미러들이 손상을 입게되므로, 적당한 빔 직경의 크기를 결정하여야 한다.
광변조부는 영상신호 발생부에서 제공되는 영상신호에서 색분리 디코더(미도시)에 의해 분리된 색신호에 따라서 광원(40)에서 제공되는 백색광의 빔이 광학계(20)와 광분리부(30)를 거쳐 분리된 적,녹,청색의 단색광의 빔을 각각 단색광의 광 신호로 변조하는 3개의 광변조기(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광 합성부(50)는 광변조기(40)에서 광신호로 변조된 단색광의 빔들을 하나의 모아서 다양한 색상의 빔 형태의 영상신호를 형성한다. 광합성부(50)는 단색광의 빔들을 스크린(60)에 투사하기 위한 상기 빔 형태의 영상신호로 합성하기 위하여 설치된 다이크로익 미러(51,52) 및 분리된 단색광의 경로를 바꾸어 주기 위한 고반사미러(53)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수직주사부(61)는 갈바노미터이고, 수평주사부(62)는 폴리고날 미러이다. 수직주사부(61)의 갈바노미터와 수평주사부(62)의 폴리고날 미러 사이에는 릴레이 렌즈계(63,64)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광원(10)으로부터 방출된 백색광은 고반사 미러(21)에 반사되어 콜리메이팅 렌즈(22)에서 평행광 형태의 레이저빔으로 된다. 이 레이저빔은 텔리스코핑 렌즈계(23,24)를 통과한 다음, 다이크로익 미러(31,32)를 통과하면서 차례로 청색,녹색,적색광으로 분리되어 광변조기(40)로 입사된다. 즉, 청색광은 다이크로익 미러(31)에서 99%이상 반사되어 광변조기(40)로 입사되고, 나머지 파장의 광은 95%이상 투과된다. 마찬가지로 녹색광은 다이크로익 미러(32)에서 99% 이상 반사되어 광 변조기(40)로 입사되고 적색광은 95%이상 투과된다. 투과된 적색광은 고반사 미러(33)에 의하여 반사되어 광 변조기(40)로 입사된다.
또한, 영상신호 발생부(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는 색신호 분리 디코더(미도시)에 의해 청,녹,적색광의 색신호가 각각 분리된다. 상기 광변조기(40)에 의해 광변조된 청,녹,적색의 단색광은 다이크로익 미러(51,52)와 고반사미러(53)에 의해 다시 하나의 빔으로 합쳐지게 된다. 녹색광은 다이크로익 미러(51)에서 반사되고 적색광은 투과되며, 청색광은 다이크로익 미러(52)에서 투과되고 적색 및 녹색광은 반사된다.
광합성부(50)에서 합성된 광은 수직주사부(61)에 의해 수직 주사되며, 수평주사부(62)에 의해 수평 주사되어 스크린 상에 영상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광원인 백색광 레이저에서 발생되는 백색광을 적,녹,청색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광분리부(30) 즉, 두 개의 다이크로익 미러(31,32)와 하나의 고반사 미러(33)가 구비되어야 하고, 이렇게 분리된 각 빔을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변조하는 광변조기(40)가 각각 구비되어야 하며, 광변조기(40)에서 변조된 각 빔을 합성하는 광합성부(50)가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품의 구조가 매우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제품의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나의 백색광에서 적,녹,청색으로 광분리부(30)로 분리하여 광변조시킨 후에, 다시 광합성부(50)를 이용하여 하나의 빔으로 합성해야 하기 때문에, 광을 분리시키고 합성시키는 과정에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빔의 효율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광원에서 발생되어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되어 주사되는 적,녹,청색 및 황색의 레이저빔을 삼각 형태의 프리즘으로 형성되고 회전되는 수평반사부와 수직반사부로 반사시키고 스크린에 주사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제품의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3a 및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원부를 보인 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빔의 반사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및 수직반사기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및 수직반사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광원 101,102,103,104; 적,녹,청,황색 레이저
105; 제1부재 110; 하우징
111; 레이저 하우징 112; 스프링
113; 조절부재 121; 수평반사기
121a,141a; 반사부 122,142; 모터
125,145; 위치센서 140; 수직반사기
150; 스크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해야 할 문자 또는 영상신호에 따라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레이저빔을 컨버징(converging)하기 위한 복수의 반사면을 가지는 컨버징 수단;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며, 입사되는 레이저빔을 반사시키는 반사부 및 반사부의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부의 회전에 따른 반사부 위치변화에 의해, 입사되는 레이저빔의 수평방향 반사각도를 변화시키는 레이저빔의 수평방향 반사수단;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면, 입사되는 레이저빔을 반사시키는 반사부 및 반사부의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부의 회전에 따른 반사부의 위치변화에 의해, 입사되는 레이저빔의 수직방향 반사각도를 변화시키는 레이저빔의 수직방향 반사수단; 및 상기 표시해야 할 영상신호, 및 상기 수평방향 반사수단 및 상기 수직방향 반사수단에 포함된 위치센서로부터의 각 위치정보들을 참조하여 상기 광원부와 수평방향 반사수단과 수직방향 반사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은 청색,적색,녹색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고, 하우징에 일정각도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청색,적색 녹색 레이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색,적색,녹색 레이저는 레이저 하우징에 그 전단부의 양측이 힌지 고정되고, 그 후단부의 저면은 탄력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되며, 후단부의 상단에는 후단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전단부를 회동시키기 위한 조절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광원은 황색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황색 레이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컨버징수단은 상기 적,녹,청,황색 레이저빔 중 복수의 레이빔을 반사시키기 위한 복수의 반사면을 가지고, 상기 각 레이저빔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빔은 투과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반사수단은 복수의 반사부를 가지는 수평반사기이고, 상기 수직반사수단은 복수의 반사부를 가지는 수직반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인 구성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원부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광원부의 반사부재를 보인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반사부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및 수평반사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해야 할 문자 또는 영상신호에 따라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광원(100)과, 상기 레이저빔을 반사하여 컨버징(converging)하기 위한 복수의 반사면(105a)을 가지는 컨버징수단(105)과,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고 반사부와 위치센서를 가지며 입사되는 레이저빔의 수평방향 반사각도를 변화시키는 레이저빔의 수평방향 반사수단과,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고 반사부와 위치센서를 가지며 입사되는 레이저빔의 수직방향 반사각도를 변화시키는 레이저빔의 수직방향 반사수단과, 상기 회전구동수단, 수평 및 수직반사수단 및 광원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광원(100)은 적,녹,청색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고, 하우징에 일정각도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적,녹,청색 레이저(101,102,103)를 포함하며, 상기 적,녹,청색 레이저(101,102,103)의 중앙부에 위치되며 황색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황색레이저(104)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적,녹,청색 레이저(101)(102)(103)는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 일정각도의 간격으로 즉, 120°의 간격으로 설치되며, 적,녹,청색 레이저(101)(102)(103)의 중앙에는 컨버징 수단인 제1부재(105)가 하우징(110)의 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105)에는 각 레이저(101,102,103)에서 발생되는 각 레이저빔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반사면(105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황색레이저(104)는 상기 제1부재(105)의 후방에 설치되어 황색 레이저빔을 제1부재(105)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발생시켜 주사하도록 된 것이다.
여기에서, 황색 레이저(104)는 종래의 영상기기들의 단점으로 지적되었던 것 중 색깔의 파장 영역이 제일 작아서 사람이 실물과 영상을 비교하게 되었을 때 차이가 많이 나게 되는 황색 부분을 적,녹,청색으로는 표시하기에 부족하기 때문에, 이 황색부분을 보충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광원부인 적,녹,청,황색 레이저(101,102,103,104)는 반도체 레이저인 것이 바람직하나, 레이저의 고전압의 전압과 펄스를 활용하여 좀더 강력한 광원을 가지고 밝은 레이저를 활용하여 실내외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기체나 고체 레이저를 활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부재(105)의 복수의 반사면(105a)은 적,녹,청색의 레이저빔을 완전할 수 있도록 코팅된다. 그리고, 제1부재(105)는 황색 레이저빔에 대해서는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부재(105)는 적,녹,청색 레이저빔이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면(105a)에 반사되어, 그 전방으로 방출되도록 삼각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황색레이저 빔은 통과시킬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적,녹,청색 레이저(101,102,103)는 하우징(110)에 고정되는 레이저 하우징(111)에 그 전단부가 회동되도록 설치된다. 즉, 각 레이저(101,102,103)는 전단부 양측이 레이저 하우징(111)의 내측에 힌지 고정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된 구조로서, 후단부 저면에는 레이저하우징(111)의 바닥에 탄력 지지되는 스프링(112)이 개재되고, 후단부 상면에는 레이저하우징(111)의 상면을 관통하여 나사식으로 고정되는 조절부재(113)에 의해 눌려지도록 된다.
즉, 적,녹,청색 레이저(101)(102)(103)는 도 3c와 같이, 상기 조절부재(113)의 높이를 조절하여, 각 레이저(101)(102)(103)의 전단부를 소정각도로 회동시켜서 제1부재(105)의 반사면(105a)에 의해 전방으로 반사되는 각 레이저빔을 하나의 초점으로 형성되도록 그 전단부가 회동되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각 레이저빔이 주사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150)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각 레이저빔에 의해 형성되는 초점은 각 레이저빔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150)의 크기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평반사수단은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며, 입사되는 레이저빔을 반사시키는 반사부(121a) 및 반사부(121a)의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센서(125)를 포함하는 수평반사기(121)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반사수단은 상기 반사부(121a)의 회전에 따른 반사부 위치변화에 의해, 입사되는 레이저빔의 수평방향 반사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령반사기(121)는 삼각프리즘 형상으로 되고, 상기 반사부(121a)는 수평반사기(121)의 일면의 전체에 대하여 일부만 코팅되어 형성된다.
또한, 수직반사수단은,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며, 입사되는 레이저빔을 반사시키는 반사부(141a) 및 반사부(141a)의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센서(145)를 포함하는 수직반사기(141)이다. 그리고, 상기 수직반사수단은 상기 반사부(141a)의 회전에 따른 반사부 위치변화에 의해, 입사되는 레이저빔의 수직방향 반사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수직반사기(141)는 상기 수평반사기(121)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되고 일정 길이의 삼각기둥 프리즘 형상으로 되며, 반사부(141a)는 수직반사기(141)의 일면의 전체에 대하여 일부만 코팅되어 형성된다. 즉, 수평 및 수직반사기(121)(141)는 사각형상의 3개의 면과 삼각형상의 2개의 면으로 구성되는데, 3개의 면에는 레이저빔을 반사하기 위하여 코팅된 반사부(121a,141a)가 형성되고, 2개의 면은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회동되는 회전중심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평 및 수직반사기(121,141)에서 사각형상으로 된 3개의 면의 모서리부는 모서리 부분에서 난반사를 막기 위하여 흑색으로 무반사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제척으로는 수평 및 수직반사기(121,141)는 상기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데, 회전구동수단은 모터(122,142)이며, 상기 모터는 스템핑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 및 수직반사기(121,141)에서 삼각형상으로 된 2개의 면중 하나의 면에서 상기 반사부(121a,141a)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위치센서(125,145)가 마련되며, 위치센서(125,145)는 수평 및 수직반사기(121)(141)의 회전시 반사부(121a,141a)의 회전에 따른 반사부의 위치변화를 제어수단으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영상기기의 대표적인 텔레비젼은 수평주사선이 525본의 선으로 매초 약 30장의 그림을 보내어 스크린에 움직이는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평반사기(121)는 레이저빔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121a)가 3면으로 이루어지므로, 약 175회 회전을 해야 1장의 영상을 나타내므로, 1초에 30장의 영상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약 5250회전을 해야 한다. 따라서, 수평반사기(121)를 회전시키는 모터(122)는 약 5250rp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수단은 입력되어 수평 및 수직신호로 분리되고 지연되는 신호의 정보와, 상기 센서(125,145)에 의해 수평 및 수직반사기(121,141)의 위치정보를 반사기 제어기(220)에 의해 전달받아 상기 각 레이저(101,102,103,104), 모터(122,142), 수평 및 수직반사기(121,1410)를 제어하는 마이콤(2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문자 또는 영상 신호가 입력되면 수평 및 수직신호분리기(200)에서 수평 및 수직신호로 분리된다. 그리고, 이렇게 분리된 수평신호와 수직신호는 신호지연기(210)에서 지연되어, 지연된 수평 및 수직 영상신호가 반사기 제어기(220)로 입력된다. 즉, 상기 신호지연기(210)는 삼각 프리즘 형상으로 된 수평 및 수직반사기(121)(141)에 형성된 반사부(121a,141a)에서 도 7과 같이 a점에서 반사가 시작되어 f점에서 반사가 끝나면 다른면의 반사부(121a,141a)에 의해 반사가 시작되는 점까지의 공백이 발생되는데, 이 공백만큼 영상신호 즉, 수평과 수직신호를 지연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수평 및 수직(121,141)에 마련된 위치센서(125,145)는 코팅된 반사부(121a,141a)의 위치 정보를 반사기제어기(22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반사기 제어기(220)는 상기 신호지연기(210)로부터 전달되는 수평 및 수직영상신호와 상기 수평반사기(121)와 수직반사기(141)의 위치 정보를 마이콤(230)으로 전달한다. 마이콤(230)은 수평반사기(121)와 수직반사기(141)의 위치 정보를 레이저 제어기(240)로 전달하고, 레이저제어기(240)는 상기 수평반사기(121)와 수직반사기(141)의 위치 정보와 지연된 수평 및 수직영상신호에 의한 광원(100)의 레이저빔 발생과 수평반사기(121)와 수직반사기(141)를 구동하는 모터(125,145)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레이저제어기(240)에 의해 제어되어 광원(100)의 레이저 빔이 발생되면, 각 레이저빔은 반사부재(105)에 의해 반사되어 회전하는 수평반사기(121)로 주사된다.
그러면, 수평반사기(121)는 위치정보를 전달받은 마이콤(230)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125)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마이콤(230)에 의해 제어되는 광원(100)의 레이저빔을 회전하면서, 각면의 반사부에 대하여 레이점 빔을 일정각도로 수직반사기(141)로 반사하여 주사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수직반사기(141)도 수평반사기(121)와 마찬가지로 마이콤(230)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마이콤(230)에 의해 제어되는 광원(100)의 레이저빔을 회전하면서 각면의 반사부에 대하여 레이점 빔을 일정각도로 반사하여 스크린에 주사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레이저빔이 수평반사기(121)에 의해 수평으로 반사되어 주사되고, 수직반사기(141)에 의해 수직으로 반사되어 스크린(150)에 주사됨으로써, 영상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색,녹색,청색의 레이저에서 각각 방출되는 각 레이저빔을 삼각 프리즘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하는 수평반사기 및 수직반사기로 반사하여 스크린에 대하여 주사하여 스크린의 영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레이저에서 방출되는 레이저빔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광분리기와 광합성부와 같은 별도의 구성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제품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표시해야 할 문자 또는 영상신호에 따라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레이저빔을 컨버징(converging)하기 위한 복수의 반사면을 가지는 컨버징 수단;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며, 입사되는 레이저빔을 반사시키는 반사부 및 반사부의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부의 회전에 따른 반사부 위치변화에 의해, 입사되는 레이저빔의 수평방향 반사각도를 변화시키는 레이저빔의 수평방향 반사수단;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면, 입사되는 레이저빔을 반사시키는 반사부 및 반사부의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부의 회전에 따른 반사부의 위치변화에 의해, 입사되는 레이저빔의 수직방향 반사각도를 변화시키는 레이저빔의 수직방향 반사수단; 및
    상기 표시해야 할 영상신호, 및 상기 수평방향 반사수단 및 상기 수직방향 반사수단에 포함된 위치센서로부터의 각 위치정보들을 참조하여 상기 광원과 수평방향 반사수단과 수직방향 반사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청색,적색,녹색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고, 하우징에 일정각도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청색,적색 녹색 레이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적색,녹색 레이저는 레이저 하우징에 그 전단부의 양측이 힌지 고정되고, 그 후단부의 저면은 탄력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되며, 후단부의 상단에는 후단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전단부를 회동시키기 위한 조절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 내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황색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황색 레이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징수단은 상기 적,녹,청,황색 레이저빔 중 복수의 레이빔을 반사시키기 위한 복수의 반사면을 가지고, 상기 각 레이저빔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빔은 투과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반사수단은 복수의 반사부를 가지는 수평반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부는 상기 수평반사부의 각 면에 대하여 일측부에 완전반사 코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반사수단은 복수의 반사부를 가지는 수직반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00057783A 2000-10-02 2000-10-02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Abandoned KR200100004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783A KR20010000463A (ko) 2000-10-02 2000-10-02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783A KR20010000463A (ko) 2000-10-02 2000-10-02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463A true KR20010000463A (ko) 2001-01-05

Family

ID=19691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783A Abandoned KR20010000463A (ko) 2000-10-02 2000-10-02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046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1373A (ko) * 1987-12-31 1989-08-14 최근선 레이저 빔을 이용한 텔레비젼
KR940017701A (ko) * 1992-12-24 1994-07-27 문정환 레이저광 주사장치
JPH09114397A (ja) * 1995-10-19 1997-05-02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H10282901A (ja) * 1997-03-31 1998-10-23 Toyoda Gosei Co Ltd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1373A (ko) * 1987-12-31 1989-08-14 최근선 레이저 빔을 이용한 텔레비젼
KR940017701A (ko) * 1992-12-24 1994-07-27 문정환 레이저광 주사장치
JPH09114397A (ja) * 1995-10-19 1997-05-02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H10282901A (ja) * 1997-03-31 1998-10-23 Toyoda Gosei Co Ltd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5765B1 (ko) 프로젝터/프로젝션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US6471356B1 (en) Portable image projection system having reduced weight and profile
US7690799B2 (en) Optical relay for compact head up display
US8094355B2 (en) Laser projection system with a spinning polygon for speckle mitigation
US6170953B1 (en) Laser video projector for projecting image to a plurality of screens
CA2247884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6426781B1 (en) Laser video projector
KR20010033854A (ko) 프로젝터와 편광경을 구비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US6089719A (en) Projecting device for displaying electrical images
JP2012230321A (ja) 走査型画像表示装置
EP4249987A1 (en) Reflective pupil relay optics for mems scanning system
US6530663B2 (en) Projecting device for displaying electrical images
KR20030018740A (ko) 투사 장치
KR100441506B1 (ko) 영상투사장치
US20100141855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RU203084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на экране изображения
JPH09138377A (ja) 液晶プロジェクタ
KR100617587B1 (ko) 틸팅장치
JPWO2005078519A1 (ja) 投写型表示装置、および投写型表示方法
KR20010000463A (ko)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0030226A (ko) 가동 미러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프로젝터
KR100389866B1 (ko) 슬림형 프로젝터
KR100425336B1 (ko) 다면투사용레이저영상투사장치
KR100424767B1 (ko) 투사형 영상기기
KR19990029124A (ko) 하이브리드 비디오 레이저 칼라 믹서를 이용한 대화면 콤팩트영상투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0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010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628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