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4414A - Cube corner sheeting mol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ube corner sheeting mol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14414A KR20010014414A KR1019997012598A KR19997012598A KR20010014414A KR 20010014414 A KR20010014414 A KR 20010014414A KR 1019997012598 A KR1019997012598 A KR 1019997012598A KR 19997012598 A KR19997012598 A KR 19997012598A KR 20010014414 A KR20010014414 A KR 200100144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ove
- thin plate
- grooves
- reference plane
- form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05—Production of reflex reflectors
- B29D11/00625—Moulds for reflex reflec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03—Laminated m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ornment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귀 반사성 입방체 모서리 요소의 성형을 위한 몰드와 그것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박판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박판은 제1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열의 입방체 모서리 요소와 선택적으로 대향 배치된 제2 열의 입방체 모서리 요소를 포함한다. 박판의 가공 표면은 3개의 홈 세트에 의해 획정된 광학 표면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입방체 모서리 요소를 구비한다. 마주하는 제1 및 제2 홈 세트는 박판의 가공 표면에 형성된다. 제1 홈 세트는 제1 및 제2 광학 표면을 가지는 복수개의 구조체를 형성하며, 상기 광학 표면들은 기준 엣지를 따라 교차하는 상호 수직 평면에 배치된다. 제2 홈 세트는 박판의 반대 측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구조체를 형성한다. 제3 홈은 제1 및 제2 홈 세트의 홈의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축을 따라 박판의 가공 표면에 형성된다. 제3 홈의 표면은 실질적으로 상호 수직인 평면에서 복수개의 구조체와 교차되어, 복수개의 입방체 모서리 요소를 형성한다. 그러한 복수개의 박판을 조립함으로써, 입방체 모서리을 갖는 박판과 같은 재귀 반사성 물품의 제조에 유용한 몰드를 성형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in plate suitable for use in a mold for forming a retroreflective cube edge element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xemplary thin plates include cubic edge elements in a first row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cubic edge elements in a second row optionally arranged opposite. The machined surface of the sheet has a plurality of cube edge elements formed into optical surfaces defined by three sets of grooves. A set of opposing first and second grooves is formed in the machined surface of the sheet. The first set of grooves form a plurality of structures having first and second optical surfaces, the optical surfaces being disposed in mutually perpendicular planes intersecting along the reference edge. The second set of grooves forms a plurality of structures corresponding to opposite sides of the thin plate. The third groove is formed on the machined surface of the thin plate along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xes of the grooves of the first and second groove sets. The surface of the third groove intersects the plurality of structures in substantially mutually perpendicular planes to form a plurality of cube edge elements.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such thin plates, a mold useful for producing a retroreflective article such as a thin plate having a cube edge is formed.
Description
재귀 반사성 소재는 그 소재로 입사하는 빛을 다시 원래의 광원으로 재진행시키는 능력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성은 재귀 반사성 박판을 다양한 유사 용례에 널리 사용되도록 하는데 기여하였다. 재귀 반사성 박판 물품은 예컨대, 도로 표지판과 바리케이트와 같은 평평하고 경질의 물품에 널리 사용되지만, 불규칙하거나 유연한 표면에 대해서도 사용된다. 예컨대, 재귀 반사성 박판은 트럭 트레일러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으나, 이 경우 박판을 주름부나 돌출 리벳 너머로 통과시켜 부착하는 것을 요한다. 또한, 상기 박판은 노상 작업자의 안전 조끼나 기타 유사 안전 의류와 같은 유연한 부분에도 부착될 수 있다. 하부 부착면이 불규칙하거나 유연한 경우, 재귀 반사성 박판은 재귀 반사성을 희생시키지 않고 하부 부착면에 순응하는 능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귀 반사성 박판은 두루말이 형태로 포장되거나 선적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코어 둘레로 감겨지도록 충분히 유연한 것을 필요로 한다.Retroreflective materials are characterized by the ability to redirect light incident on the material back to the original light source. This property contributed to making the retroreflective sheet widely used in a variety of similar applications. Retroreflective laminate articles are widely used for flat and rigid articles such as road signs and barricades, but are also used for irregular or flexible surfaces. For example, the retroreflective thin plate may be attached to the side of a truck trailer, but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pass the thin plate past the pleats or overhanging rivets. The sheet can also be attached to flexible parts such as road vests' safety vests or other similar safety clothing. If the lower attachment surface is irregular or flexible, the retroreflective sheeting preferably has the ability to conform to the lower attachment surface without sacrificing the retroreflective property. In addition, the retroreflective sheeting needs to be flexible enough to be wound around the core, since the roll is often packaged or shipped in form.
공지된 두가지 종류의 재귀 반사성 박판은 미소구체형 박판과 입방체 모서리를 갖는 박판이다. 때로 "비드형" 박판으로도 불리는 미소구체형 박판은 전형적으로 결합제층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되고 입사광을 재귀 반사하기 위한 거울형 반사 재료 또는 디퓨즈 반사 재료[예, 안료 입자, 금속 조각 또는 증기 코트(coat) 등]가 합체되어 있는 복수개의 미소구체를 채용한다. 이에 대한 예시적인 예가 미국 특허 제3,190,178호(McKenzie에게 허여), 제4,025,159호(McGrath에게 허여), 제5,066,098호(Kult에게 허여)에 개시되어 있다. 미소구체형 박판은 주름지거나 유연한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이 유익하다. 또한, 비드형 재귀 반사체의 대칭적인 기하 구조로 인해, 미소구체형 박판은 박판의 표면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방향에 따른 총 광 복귀량이 비교적 균일한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그러한 미소구체형 박판은 박판이 소정 표면 위에 놓여지는 방향에 대해 비교적 낮은 민감도를 나타내는 특성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그러한 박판은 입방체 모서리를 갖는 박판에 비해 재귀 반사 효율이 낮다.Two types of retroreflective thin plates known are thin spherical thin plates and thin plates with cube edges. Microspheres, sometimes referred to as "bead-like" plates, are typically specular or diffuse reflecting materials (e.g. pigment particles, pieces of metal or vapor coats) in which the binder layer is at least partially embedded and retroreflects incident light. coat, etc.] are employed. Illustrative examples of this are disclosed in US Pat. Nos. 3,190,178 to McKenzie, 4,025,159 to McGrath, and 5,066,098 to Kult. It is advantageous that the microsphere-shaped sheets can be attached to wrinkled or flexible surfaces. In addition, due to the symmetrical geometry of the bead-type retroreflector, the microsphere-shaped thin plate exhibits a relatively uniform characteristic of total light return along the direction when rota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thin plate. Thus, such microsphere-shaped thin plates are characterized by exhibiting relatively low sensitivity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hin plates are placed on a given surface. In general, however, such thin plates have a lower retroreflective efficiency compared to thin plates having cube edges.
입방체 모서리를 갖는 박판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베이스 표면과, 그 베이스 표면에 대향하는 복수개의 입방체 요소를 갖는 구조화된 표면을 전형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본체 영역을 가진다. 각각의 입방체 모서리 요소는 서로 실질적으로 수직인 3개의 광학면을 구비하며, 그 3개의 광학면은 단일 기준점, 즉 정점에서 교차한다. 입방체 모서리 요소의 베이스는 빛이 입방체 모서리 요소 안으로 투과되는 구멍으로서 작용한다. 사용시, 박판의 베이스 표면으로 입사되는 빛은 박판의 베이스 표면에서 반사되고, 박판에 배치된 입방체 모서리 요소의 베이스를 통해 투과되며, 3개의 수직한 입방체 모서리 광학면 각각으로부터 반사되며, 다시 광원 쪽으로 진행된다. 광축(光軸)으로도 불리는 입방체 모서리 요소의 대칭축은 입방체 모서리의 정점을 통해 연장되고 입방체 모서리 요소의 3개의 광학면과는 동일한 각도를 이루는 그러한 축이다. 입방체 모서리 요소는 전형적으로 대략 광축을 따라 상기 요소의 베이스로 입사되는 빛에 반응하여 최고의 광학적 효율성을 나타낸다. 입방체 모서리를 가지는 재귀 반사체에 의해 재귀 반사되는 빛의 양은 입사각이 광축으로부터 편의됨에 따라 감소된다.A thin plate having a cube edge has a body region that typically has a substantially flat base surface and a structured surface having a plurality of cube elements opposite the base surface. Each cube edge element has three optical planes that ar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three optical planes intersecting at a single reference point, ie a vertex. The base of the cube edge element acts as a hole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into the cube edge element. In use, light incident on the base surface of the sheet is reflected off the base surface of the sheet, transmitted through the base of the cubic corner element disposed in the sheet, reflected from each of the three vertical cube corner optical surfaces, and then back toward the light source. do. The axis of symmetry of the cube edge element, also called the optical axis, is such an axis extending through the vertex of the cube edge and making the same angle as the three optical surfaces of the cube edge element. Cube edge elements typically exhibit the highest optical efficiency in response to light entering the base of the element along approximately the optical axis. The amount of light that is retroreflected by the retroreflector with cuboid edges is reduced as the angle of incidence is biased from the optical axis.
입방체 모서리를 가지는 재귀 반사성 박판의 최대 재귀 반사 효율은 박판의 구조화된 표면상의 입방체 모서리 요소의 기하학적 형상의 함수이다. '활성 영역'과 '유효 구멍'이란 용어는 당업계에서 입방체 모서리 요소의 베이스에 입사되는 빛을 재귀 반사하는 입방체 모서리 요소의 부분을 특징화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입방체 모서리 요소 구성의 활성 구멍의 결정과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은 본 명세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다. 입방체 모서리의 기하학적 형상의 유효 구멍을 결정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 에크하르트(Eckhardt)의 1971년 7월호 어플라이드 옵틱스(Applied Optics) 제10권 7호 1559-1566면에 소개되어 있다. 스트로벨(Straubel)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835,648호에서도 유효 구멍의 개념을 논하고 있다. 주어진 입사각에서, 활성 영역은 반사된 입사광에 수직한 평면에서의 3개의 입방체 모서리 면의 돌출부와 동일한 평면에서의 제3의 반사를 위한 이미지 면의 돌출부가 기하학적으로 교차되는 것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활성 영역 비율'이란 용어는 활성 영역을 입방체 모서리 면의 돌출부의 총 면적으로 나눈 것으로서 정의된다. 재귀 반사성 박판의 재귀 반사 효율은 박판상의 입방체 모서리 요소의 활성 영역 비율과 직접 상관된다.The maximum retroreflective efficiency of a retroreflective sheet having cuboid edges is a function of the geometry of the cube edge element on the sheet's structured surface. The terms 'active area' and 'effective hole' are used in the art to characterize the portion of the cube edge element that retroreflects light incident on the base of the cube edge element. Specific details relating to the determination of active holes in the cubic corner element configuration are beyond the scope of this specification. One method for determining the effective hole of the geometry of a cube edge is introduced in Eckhardt, July 1971, Applied Optics, Vol. 10, No. 7, pp. 1559-1566. U.S. Pat.No. 835,648 to Straubel also discusses the concept of effective holes. At a given angle of incidence, the active region may be determined by the geometric intersection of the projections of the image plane for third reflection in the same plane as the projections of the three cube edge faces in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reflected incident light. The term 'active area ratio' is defined as the active area divided by the total area of the protrusions of the cube edge face. The retroreflective efficiency of the retroreflective sheet is directly correlated with the active area ratio of the cubic edge elements on the sheet.
또한, 재귀 반사성 박판의 재귀 반사 패턴의 광학적 특성은 부분적으로는 입방체 모서리 요소의 기하학적 형태의 함수이다. 따라서, 입방체 모서리 요소의 기하학적 형태가 왜곡되면, 박판의 광학적 특성에도 상응하는 왜곡이 생길 수 있다. 바람직하지 않은 물리적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재귀 반사성 박판의 입방체 모서리 요소는 박판을 휘거나 탄력적으로 신장시키는 동안 입방체 모서리 요소가 물리적으로 왜곡되지 않도록 충분히 큰 탄성 계수를 갖는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전형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재귀 반사성 박판은 주름지거나 그 자체가 유연한 기재에 박판을 부착하기 용이하거나 또는 저장 및 선적을 위해 재귀 반사성 박판을 말아서 롤을 형성할 수 있도록 충분히 유연한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많다.In addition,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retroreflective pattern of the retroreflective sheeting are in part a function of the geometric shape of the cuboid edge element. Thus, if the geometric shape of the cube corner elements is distorted, corresponding distortions may occur in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thin plate. To prevent undesired physical deformation, the cubic edge elements of the retroreflective sheeting are typicall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ufficiently large modulus of elasticity such that the cube corner elements are not physically distorted while bending or elastically stretching the sheet. As mentioned above, it is often desirable for the retroreflective thin plate to be easily corrugated or to itself adhere the thin plate to a flexible substrate, or sufficiently flexible to roll the retroreflective thin plate to form a roll for storage and shipping.
입방체 모서리를 갖는 재귀 반사성 박판의 제조는 입방체 모서리 요소의 소망하는 기하학적 형태를 암형이나 수형으로 조형한 마스터 몰드를 제작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몰드는 니켈 전기 도금, 화학적 증착 또는 물리적 증착을 이용하여, 입방체 모서리를 갖는 재귀 반사성 박판을 성형하기 위한 도구를 제조하는 것에 의해 복제될 수 있다. 프리콘(Pricone)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156,863호에서는 입방체 모서리를 갖는 재귀 반사성 박판의 제조에 사용되는 도구의 성형을 위한 개괄적인 공정을 예시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공지된 마스터 몰드 제작 방법은 핀-다발법(pin-bundling technique), 직접 가공법 및 라미네이트법(laminate technique)을 포함한다. 각각의 이들 방법은 장점과 한계를 갖는다.The manufacture of retroreflective thin plates with cuboid edges begins with the fabrication of a master mold in which the desired geometry of the cubic edge element is molded in female or male form. The mold can be replicated by making a tool for forming a retroreflective sheet having cubic edges, using nickel electroplating, chemical vapor deposition, or physical vapor deposition. U. S. Patent No. 5,156, 863 to Pricon et al. Illustrates an overview process for forming a tool used for the production of retroreflective sheeting with cuboid edges. Known master mold fabrication methods include pin-bundling techniques, direct processing, and laminate techniques. Each of these methods has advantages and limitations.
핀-다발법의 경우, 소정 형상의 일단부를 갖는 핀 다수개를 함께 묶어 입방체 모서리형 재귀 반사성 표면을 형성한다. 이에 대한 예시적인 예가 미국 특허 제1,591,572호(Stimson에게 허여), 제3,926,402호(Heenan에게 허여), 제3,541,606호(Heenan 등에게 허여), 제3,632,695호(Howell에게 허여)에 제시된다. 핀-다발법은 단일 몰드에서 다양한 입방체 모서리 형태를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핀-다발법은 작은 입방체 모서리 요소(예, 약 1.0mm 미만)의 제조에 있어 경제적, 기술적으로 실제적이지 못하다.In the case of the pin-bundle method, a plurality of pins having one end of a predetermined shape are bundled together to form a cubic edged retroreflective surface. Exemplary examples are presented in US Pat. Nos. 1,591,572 to Stimson, 3,926,402 to Henan, 3,541,606 to Henan et al., 3,632,695 to Howell. The pin-bundle method provides the ability to fabricate various cube edge shapes in a single mold. However, the pin-bundling method is not economically and technically practical in the production of small cube edge elements (eg, less than about 1.0 mm).
직접 가공법의 경우, 단일의 기재에 일련의 홈을 형성하여, 입방체 모서리를 갖는 재귀 반사성 표면을 형성한다. 이에 대한 예시적인 예가 미국 특허 제3,712,706호(Stamm에게 허여), 제4,588,258호(Hoopman에게 허여)에 제시되고 있다. 직접 가공법은 가요성의 재귀 반사성 박판과 양립 가능한 매우 작은 입방체 모서리 요소를 정밀 가공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직접 가공법을 이용하여 저 진입 각도(entrance angle)에서 매우 높은 효용의 유효 구멍을 가지는 일정한 입방체 모서리 형상을 제작하는 것이 실제로 가능하지 않다. 예를 통해, 미국 특허 제3,712,706호에 설명된 입방체 모서리 요소 형상의 이론적인 최대 총 광 복귀량은 약 67%이다.In the case of direct processing, a series of grooves are formed in a single substrate to form a retroreflective surface having cube edges. Illustrative examples of this are provided in US Pat. Nos. 3,712,706 to Stamm and 4,588,258 to Hoopman. Direct machining provides the ability to precisely machine very small cube edge elements that are compatible with flexible retroreflective sheeting. However, it is not practically possible to use a direct machining method to produce a constant cube edge shape with very high effective holes at low entrance angles. By way of example, the theoretical maximum total light return of the cube edge element shape described in US Pat. No. 3,712,706 is about 67%.
라미네이트법의 경우, 소정 형상의 일단부를 갖는 라미네이트 다수개를 조립하여, 입방체 모서리를 갖는 재귀 반사성 표면을 형성한다. 독일 특허 공보(OS) 제19 17 292호, 국제 공개 공보 제WO 94/18581(Bohn 등), WO 97/04939(Mimura 등), WO 97/04940(Mimura 등)에 개시된 성형된 반사체의 경우, 다수개의 판에 홈이 형성된 표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판은 일정 각도로 틸팅되고 각각의 제2 판이 십자형으로 이동된다. 이 공정의 결과, 제1 판에 2개의 가공 표면이 제2 판에는 하나의 측면이 각기 형성된 그러한 복수개의 입방체 모서리 요소가 얻어진다. 독일 특허 제DE 42 36 799호(Gubela에게 허여)에는 입방체 모서리를 제조하기 위한 입방체 표면을 갖는 성형 도구의 제작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밴드의 일 엣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제1 방향으로 경사면을 연삭 또는 절삭한다. 그런 다음, 제2 방향으로 복수개의 노치를 형성하여, 밴드상의 입방체 모서리 반사체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밴드의 측면에 수직하게 복수개의 노치를 형성한다. 관련 특허로는 독일 특허 공보 제44 10 994 C2(Gubela)가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반사체는 오목한 곡률의 반사면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ase of the lamination method, a plurality of laminates having one end of a predetermined shape are assembled to form a retroreflective surface having a cube edge. In the case of molded reflectors disclosed in German Patent Publication (OS) 19 17 292,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WO 94/18581 (Bohn et al.), WO 97/04939 (Mimura et al.), WO 97/04940 (Mimura et al.), Grooves are formed on a plurality of plates. In this case, the plates are tilted at an angle and each second plate is moved crosswise. As a result of this process, a plurality of such cube corner elements are obtained in which two machining surfaces are formed on the first plate and one side is formed on the second plate, respectively. DE 42 36 799, issued to Gubela, discloses a method of making a molding tool having a cube surface for producing cube edges. The inclined surface is ground or cut in the first direction over the entire length of one edge of the band. Then, a plurality of notches are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to form a band-shaped cube edge reflector. Finally, a plurality of notches ar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side of the band. A related patent is German Patent Publication No. 44 10 994 C2 (Gubela). The reflector disclosed in this patent is characterized by a reflective surface of concave curvatur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입방체 모서리를 갖는 재귀 반사성 박판의 성형에 사용되기 적합한 몰드와 그것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얇은 층상체로부터 성형된 몰드와 그것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generally to a mold suitable for use in forming a retroreflective sheet having a cuboid edg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 molded from a plurality of thin layered bodie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개시된 방법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단일 박판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ngle sheet of steel suitable for use in the disclosed method.
도 2는 제1 기계 가공 단계를 거친 단일 박판의 단부도이다.2 is an end view of a single sheet of steel that has undergone a first machining step.
도 3은 제1 기계 가공 단계를 거친 단일 박판의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of a single sheet of steel having undergone a first machining step.
도 4는 제1 기계 가공 단계를 거친 단일 박판의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of a single sheet of steel that has undergone a first machining step.
도 5는 제2 기계 가공 단계를 거친 단일 박판의 단부도이다.5 is an end view of a single sheet of steel that has undergone a second machining step.
도 6은 제2 기계 가공 단계를 거친 단일 박판의 측면도이다.6 is a side view of a single sheet of steel undergoing a second machining step.
도 7은 제2 기계 가공 단계를 거친 단일 박판의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of a single sheet of steel that has undergone a second machining step.
도 8은 제2 기계 가공 단계를 거친 단일 박판의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ngle sheet of steel that has undergone a second machining step.
도 9는 제3 기계 가공 단계를 거친 단일 박판의 단부도이다.9 is an end view of a single sheet of steel that has undergone a third machining step.
도 10은 제3 기계 가공 단계를 거친 단일 박판의 측면도이다.10 is a side view of a single sheet of steel that has undergone a third machining step.
도 11은 제3 기계 가공 단계를 거친 단일 박판의 평면도이다.11 is a plan view of a single sheet of steel that has undergone a third machining step.
도 12는 제3 기계 가공 단계를 거친 단일 박판의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ngle sheet metal having undergone a third machining step.
도 13은 제3 기계 가공 단계를 거친 단일 박판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Figure 13 is a plan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single sheet of steel that has undergone a third machining step.
도 14는 제3 기계 가공 단계를 거친 단일 박판의 다른 실시예의 단부도이다.14 is an end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single sheet of steel that has undergone a third machining step.
도 15는 제3 기계 가공 단계를 거친 단일 박판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15 i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single sheet of steel that has undergone a third machining step.
도 16은 복수 개 박판의 사시도이다.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rality of thin plates.
도 17은 제1 방향으로 배향된 복수 개 박판의 단부도이다.17 is an end view of a plurality of thin plates oriented in the first direction.
도 18은 제1 기계 가공 작업을 거친 복수 개 박판의 단부도이다.18 is an end view of a plurality of thin sheets subjected to a first machining operation.
도 19는 제1 기계 가공 작업을 거친 복수 개 박판의 측면도이다.19 is a side view of a plurality of thin sheets subjected to a first machining operation.
도 20은 제2 방향으로 배향된 복수 개 박판의 단부도이다.20 is an end view of a plurality of thin plates oriented in a second direction.
도 21은 제2 기계 가공 작업을 거친 복수 개 박판의 단부도이다.21 is an end view of a plurality of thin sheets that have undergone a second machining operation.
도 22는 제2 기계 가공 작업을 거친 복수 개 박판의 측면도이다.22 is a side view of a plurality of thin sheets subjected to a second machining operation.
도 23은 제3 기계 가공 작업을 거친 복수 개 박판의 단부도이다.23 is an end view of a plurality of thin sheets subjected to a third machining operation.
도 24는 제3 기계 가공 작업을 거친 복수 개 박판의 평면도이다.24 is a plan view of a plurality of thin sheets subjected to a third machining operation.
도 25는 단일 박판의 가공 표면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25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the processed surface of a single thin plate;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가공 표면의 측입면도이다.FIG. 26 is a side elevation view of the machining surface shown in FIG. 25.
도 27은 도 25에 도시된 가공 표면의 측입면도이다.FIG. 27 is a side elevation view of the machining surface shown in FIG. 25.
본 발명은 복수개의 층상체로부터 재귀 반사성 박판을 성형하는 용도에 적합한 마스터 몰드와 그 몰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마스터 몰드는 100%에 가까운 수준의 재귀 반사 효율을 나타내는 재귀 반사성 입방체 모서리를 갖는 박판의 제조를 가능케 한다. 가요성 재귀 반사성 박판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개시된 방법은 그 폭이 0.010mm 또는 그 미만인 입방체 모서리를 갖는 재귀 반사성 요소의 제조를 가능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다른 방향에서 대칭적인 재귀 반사 능력을 나타내는 입방체 모서리를 갖는 재귀 반사성 박판의 제조를 가능케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ter mold suitable for use in forming a retroreflective thin plate from a plurality of layered bodie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old. Master molds made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s disclosed herein enable the production of thin plates having retroreflective cube edges exhibiting levels of retroreflective efficiency close to 100%. In order to facilitate the manufacture of flexible retroreflective thin plates, the disclosed method enables the production of retroreflective elements having cube edges whose width is 0.010 mm or les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production of retroreflective sheets having cuboid edges exhibiting symmetrical retroreflective capabilities in at least two different directions.
복수개의 층상체로 성형된 몰드를 효율적이고 비용 절감적으로 제작하는 방법도 개시되어 있다. 특히, 개시된 방법에 다르면, 박판에서 입방체 모서리 요소를 예정된 밀도로 형성하는데 필요한 층상체의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그러한 몰드의 제조에 관련된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킨다.Also disclosed is a method for efficiently and cost-effectively manufacturing a mold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ed bodies.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disclosed method, by reducing the number of layered bodies required to form a cube edge element in a predetermined density in sheet metal, it saves time and costs associated with the manufacture of such a mold.
일 실시예로서, 입방체 모서리를 갖는 재귀 반사성 물품 성형용 몰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박판은, 사이에 제1 기준 평면을 형성하는 대향하는 제1 주표면과 제2 주표면을 구비함과 아울러, 이 제1 주표면과 제2 주표면 사이를 연결하는 가공 표면을 또한 구비하고, 이 가공 표면은 그것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제1 기준 평면과는 직각인 제2 기준 평면과, 상기 제1 기준 평면 및 제 2 기준 평면에 대해서 직각인 제3 기준 평면을 획정(劃定)한다. 상기 박판은 (a) 박판의 가공 표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제1 기준 엣지를 형성하는 제1 홈 표면과 제2 홈 표면을 갖는 평행하게 인접한 V자형 홈을 2개 이상 포함하는 제1 홈 세트와, (b) 박판의 가공 표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제2 기준 엣지를 형성하는 제3 홈 표면과 제4 홈 표면을 갖는 평행하게 인접한 V자형 홈을 2개 이상 포함하는 제2 홈 세트와, 그리고 (c) 박판의 가공 표면에, 제5 홈 표면과 제6 홈 표면을 가지며, 상기 제5 홈 표면은 상기 제1 홈 표면 및 제2 홈 표면과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제1 방향으로 배치된 1개 이상의 제1 입방체 모서리를 형성하고, 상기 제6 홈 표면은 상기 제3 홈 표면 및 제4 홈 표면과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상기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배치된 1개 이상의 제2 입방체 모서리를 형성하는 그러한 홈을 1개 이상 포함하는 그러한 제3 홈 세트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a thin plate suitable for use in a mold for forming a retroreflective article having a cuboid edge has an opposite first major surface and a second major surface defining a first reference plane therebetween, And further comprising a machining surface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major surface and the second major surface, the machining surfac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reference plane, and the first reference plane. And a third reference plane perpendicular to the second reference plane. The thin plate comprises: (a) a first groove set comprising at least two parallelly adjacent V-shaped grooves having a first groove surface and a second groove surface that ar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form a first reference edge on the machined surface of the thin plate; And (b) a second set of grooves comprising at least two parallelly adjacent V-shaped grooves having a third groove surface and a fourth groove surface that ar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a processing surface of the thin plate to form a second reference edge; And (c) having a fifth groove surface and a sixth groove surface on the processed surface of the thin plate, the fifth groove surface being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first groove surface and the second groove surface,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One or more first cube edges formed, wherein the sixth groove surface is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so as to b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third groove surface and the fourth groove surface. 2 containing at least one such groove forming a corner of a cube It includes such a third groove se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홈 세트는 그 각각의 기준 엣지가 평면도상으로 제1 기준 평면에 수직한 축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제3 홈 세트는 제3 기준 평면에 의해 포함된 축을 따라 연장하는 정점을 갖는 단일 홈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박판은 제1 홈 세트의 홈과 제3 홈 의해 획정된 제1 열의 입방체 모서리 요소와, 제2 홈 세트의 홈과 제3 홈에 의해 획장된 제2 열의 입방체 모서리 요소를 구비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sets of grooves are formed such that their respective reference edges extend along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reference plane in plan view. The third set of grooves includes a single groove having a vertex extending along an axis included by the third reference plane. In this embodiment, the sheet comprises a first row of cubical edge elements defined by a groove and a third groove of the first set of grooves, and a second row of cube edge elements defined by a groove and a third groove of the second groove set. do.
각 입방체 모서리 요소의 상호 직교하는 3개의 광학면은 단일 박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개의 광학면 모두는 광학적 품위의 표면을 보장하기 위한 가공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렬상의 문제점과 박판의 취급에 따른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공 과정 및 그에 후속하는 과정중에 인접하는 제1 및 제2 주표면 사이에는 평탄형 계면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ree mutually orthogonal optical surfaces of each cube edge element are preferably formed of a single thin plate. All three optical surfaces are preferably formed by a machining process to ensure the surface of the optical quality. In order to minimize alignment problems and damage due to the handling of the sheet, it is desirable to maintain a flat interface between the adjacent first and second major surfaces during the machining and subsequent processes.
본 발명은 입방체 모서리를 갖는 재귀 반사성 물품 성형용 몰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박판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도 개시하고 있는데, 이 방법에서 상기 박판은, 사이에 제1 기준 평면을 형성하는 대향하는 제1 주표면과 제2 주표면을 구비함과 아울러, 이 제1 주표면과 제2 주표면 사이를 연결하는 가공 표면을 또한 구비하고, 이 가공 표면은 그것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제1 기준 평면과는 직각인 제2 기준 평면과, 상기 제1 기준 평면 및 제 2 기준 평면에 대해서 직각인 제3 기준 평면을 획정한다. 상기 방법은, (a)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제1 기준 엣지를 형성하는 제1 홈 표면과 제2 홈 표면을 갖는 평행하게 인접한 V자형 홈을 2개 이상 포함하는 제1 홈 세트를 상기 박판의 가공 표면에 형성하는 단계, (b)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제2 기준 엣지를 형성하는 제3 홈 표면과 제4 홈 표면을 갖는 평행하게 인접한 V자형 홈을 2개 이상 포함하는 제2 홈 세트를 상기 박판의 가공 표면에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c) 제5 홈 표면과 제6 홈 표면을 가지며, 상기 제5 홈 표면은 상기 제1 홈 표면 및 제2 홈 표면과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제1 방향으로 배치된 1개 이상의 제1 입방체 모서리를 형성하고, 상기 제6 홈 표면은 상기 제3 홈 표면 및 제4 홈 표면과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상기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배치된 1개 이상의 제2 입방체 모서리를 구비하는 그러한 홈을 1개 이상 포함하는 제3 홈 세트를 상기 박판의 가공 표면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discloses a method for producing a thin plate suitable for use in a mold for forming a retroreflective article having a cubic edge, in which the thin plate opposes a first major surface forming a first reference plane therebetween. And a second major surface, and also having a machining surface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major surface and the second major surface, the machining surfac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hereto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reference plane. A second reference plane that is, and a third reference plane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planes are defined. The method comprises: (a) processing a first set of grooves comprising at least two firstly parallel V-shaped grooves having a first groove surface and a second groove surface that ar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form a first reference edge; Forming a second groove set comprising (b) at least two second groove sets comprising at least two parallel adjacent V-shaped grooves having a third groove surface and a fourth groove surface that ar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form a second reference edge; Forming on the processed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c) at least one first cube edge having a fifth groove surface and a sixth groove surface, wherein the fifth groove surface is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groove surface and the second groove surface. And the sixth groove surface has one or more second cube edges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so as to b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third groove surface and the fourth groove surface. Forming a third set of grooves on the processed surface of the sheet;
본 발명은 복수개의 박판을 구비하는 몰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기도 한데, 이때 상기 박판은 사이에 제1 기준 평면을 형성하는 대향하는 평행한 제1 주표면과 제2 주표면을 구비함과 아울러, 이 제1 주표면과 제2 주표면 사이를 연결하는 가공 표면을 또한 구비하고, 이 가공 표면은 그것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제1 기준 평면과는 직각인 제2 기준 평면과, 상기 제1 기준 평면 및 제 2 기준 평면에 대해서 직각인 제3 기준 평면을 획정한다. 복수개의 박판의 가공 표면은, (a) 각 박판의 가공 표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각 박판에 제1 기준 엣지를 형성하는 제1 홈 표면과 제2 홈 표면을 갖는 평행하게 인접한 V자형 홈을 2개 이상 포함하는 제1 홈 세트와, (b) 각 박판의 가공 표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각 박판에 제2 기준 엣지를 형성하는 제3 홈 표면과 제4 홈 표면을 갖는 평행하게 인접한 V자형 홈을 2개 이상 포함하는 제2 홈 세트와, 그리고 (c) 복수개의 박판의 가공 표면에, 제5 홈 표면과 제6 홈 표면을 가지며, 상기 제5 홈 표면은 상기 제1 홈 표면 및 제2 홈 표면과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제1 방향으로 배치된 1개 이상의 제1 입방체 모서리를 형성하고, 상기 제6 홈 표면은 상기 제3 홈 표면 및 제4 홈 표면과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상기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배치된 1개 이상의 제2 입방체 모서리를 형성하는 그러한 홈을 1개 이상 포함하는 그러한 제3 홈 세트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old assembly having a plurality of thin plates, wherein the thin plates have opposing parallel first and second major surfaces defining a first reference plane therebetween. And further comprising a machining surface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major surface and the second major surface, the machining surfac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reference plane, and the first reference plane. And a third reference plane perpendicular to the second reference plane. The processing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comprise (a) parallel adjacent adjacent V-shaped grooves having a first groove surface and a second groove surface that ar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processing surfaces of each thin plate to form a first reference edge in each thin plate. A first set of grooves comprising two or more, and (b) a parallel adjacent V having a fourth groove surface and a third groove surface that is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machined surface of each thin plate to form a second reference edge in each thin plate. A second set of grooves including two or more male grooves, and (c) a fifth groove surface and a sixth groove surface on the machined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the fifth groove surface having the first groove surface and Form at least one first cube edge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a second groove surface, wherein the sixth groove surface is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third groove surface and the fourth groove surface; At least one second mouth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t includes such a third groove set including such a groove forming the at least one body edge.
이러한 몰드 조립체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홈 세트는 실질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박판의 각 제1 주표면 전체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제2 홈 세트는 실질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박판의 각 제2 주표면 전체에 걸쳐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1 홈 세트 및 제2 홈 세트는 그 각 기준 엣지가 평면도에서 보았을 때, 각 제1 기준 평면에 수직한 축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3 홈 세트는 각 박판의 제3 기준 평면에 평행한 축을 따라 연장되는 정점부가 있는 각 박판 내에 단 하나의 홈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서, 각 박판에는 제1 홈 세트 및 제3 홈 세트의 홈에 의해 획정되는 제1 열의 입방체 모서리형 요소와, 제2 홈 세트 및 제3 홈 세트의 홈에 의해 획정되는 제2 열의 입방체 모서리형 요소가 포함된다.In one embodiment of such a mold assembly, the first set of grooves extends substantially throughout each first majo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and the second set of grooves is substantially each second of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It extends across the major surface. Further, the first groove set and the second groove set are formed to extend along an axis perpendicular to each first reference plane when the respective reference edges are viewed in plan view. Finally, the third set of grooves includes only one groove in each sheet having vertices extending along an axis parallel to the third reference plane of each she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each thin plate has a cubic cornered element in a first row defined by the grooves of the first and third groove sets, and a second defined by the grooves of the second and third groove sets. Rows of cuboid edge elements are included.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것은 입방체 모서리를 갖는 재귀 반사성 물품 성형용 몰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복수 매의 박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각 박판은 사이에 제1 기준 평면을 형성하는 대향하는 제1 주표면과 제2 주표면을 구비함과 아울러, 이 제1 주표면과 제2 주표면 사이를 연결하는 가공 표면을 또한 구비하고, 이 가공 표면은 그것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제1 기준 평면과는 직각인 제2 기준 평면과, 상기 제1 기준 평면 및 제 2 기준 평면에 대해서 직각인 제3 기준 평면을 획정하는 그러한 복수 개의 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a) 복수의 박판을 그들의 개별적인 제1 기준 평면이 서로 평행하고 또한 고정된 기준축에 관하여 제1 각도를 취하도록 정향시키는 단계와, (b)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개별적인 각 박판상의 제1 기준 엣지를 형성하는 제1 홈 표면과 제2 홈 표면을 갖는 평행하게 인접한 V자형 홈을 2개 이상 포함하는 제1 홈 세트를 각 박판의 가공 표면에 형성하는 단계와, (c) 복수 매의 박판을 그들의 개별적인 제1 기준 평면이 상호 평행하고, 또 상기 고정된 기준축에 대하여 제2 각도로 배치되도록 정향시키는 단계와, (d)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개별적인 각 박판상의 제2 기준 엣지를 형성하는 제3 홈 표면과 제4 홈 표면을 갖는 평행하게 인접한 V자형 홈을 2개 이상 포함하는 제2 홈 세트를 각 박판의 가공 표면에 형성하는 단계와, (e) 제5 홈 표면과 제6 홈 표면을 가지며, 상기 제5 홈 표면은 상기 제1 홈 표면 및 제2 홈 표면과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제1 방향으로 배치된 1개 이상의 제1 입방체 모서리를 형성하고, 상기 제6 홈 표면은 상기 제3 홈 표면 및 제4 홈 표면과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상기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배치된 1개 이상의 제2 입방체 모서리를 형성하는 그러한 홈을 1개 이상 포함하는 제3 홈 세트를 상기 복수개의 박판의 가공 표면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other disclosed herei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lurality of sheets of thin sheet suitable for use in a mold for forming a retroreflective article having a cubic edge, each sheet having an opposing first major surface defining a first reference plane therebetween. In addition to having a second major surface, there is also a machining surface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major surface and the second major surface, the machining surfac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hereto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reference plan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lurality of such thin plates defining a second reference plane and a third reference plane perpendicular to the first reference plane and the second reference plane.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a) orienting a plurality of thin plates such that their respective first reference planes take a first angl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axis that is parallel to each other and to a fixed reference axis; (C) forming a first set of grooves on the machined surface of each thin plate, the first groove set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ly adjacent V-shaped grooves having a first groove surface and a second groove surface forming a first reference edge; Directing the thin plates of so that their respective first reference planes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disposed at a secon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xed reference axis; and (d) forming substantially second orthogonal second reference edges on each individual thin plate. Forming a second set of grooves on the machined surface of each thin plate, the second set of groove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ly contiguous V-shaped grooves having a third groove surface and a fourth groove surface; Going groove surface And the fifth groove surface forms at least one first cube edge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groove surface and the second groove surface, and the sixth groove surface is the third groove. A plurality of third set of grooves comprising at least one such groov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and the fourth groove surface to form at least one second cube edge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Forming on the processed surface of the two thin plates.
개시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매의 박판은 베이스면을 형성하는 적당한 고정구에서 조립된다. 이 고정구는 그 제1 기준 평면이 실질상 평행하고, 상기 베이스면에 대해 법선 벡터인 고정된 기준축에 대해 약 1°내지 약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내지 약 60°사이의 제1 각도를 두고 배치되게 상기 박판을 고정한다. 다음에, 예컨대 룰링, 플라이 절삭 가공, 그라인딩 또는 밀링과 같은 적당한 재료 제거 기술을 이용하여 복수 매의 박판의 가공 표면에 인접한 각 박판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1 홈 세트를 형성한다. 다음에, 그 복수 매의 박판을 고정구에서 재조립하고, 그 제1 기준 평면이 실질상 평행하고, 상기 베이스면에 대해 법선 벡터인 고정된 기준축에 대해 약 1°내지 약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내지 약 60°사이의 제2 각도를 두고 배치되게 그 박판을 고정한다. 다음에, 상기한 것가 같은 적당한 재료 제거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홈 세트를 형성한다. 다음에, 고정구에서 상기 복수 매의 박판을 재조립하고, 제2 기준 평면이 상기 기준축과 실질상 평행하도록 그 박판을 고정한다. 다음에, 상기한 적당한 재료 제거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제3 홈 세트를 형성한다. 상기 제3 홈 세트는 각 박판에 하나의 홈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In the disclosed method,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is assembled in a suitable fixture forming a base surface. The fastener has a first reference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and between about 1 ° and about 85 °, more preferably between about 10 ° and about 60 °, relative to a fixed reference axis that is normal to the base plane. The thin plate is fixed to be arranged at an angle. The first set of grooves is then formed by removing a portion of each thin plate adjacent to the machined surface of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using, for example, suitable material removal techniques such as ruling, ply cutting, grinding or milling.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is then reassembled in the fixture and the first reference plane is substantially parallel and is about 1 ° to about 85 ° with respect to a fixed reference axis that is normal to the base plane, more preferably. Preferably, the sheet is secured to be placed at a second angle between about 10 degrees and about 60 degrees. Next, the second groove set is formed by using a suitable material removal technique as described above. Next,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are reassembled by a fastener, and the thin plates are fixed such that the second reference plane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eference axis. The third set of grooves is then formed using the appropriate material removal technique described above. The third groove set preferably forms one groove in each thin plate.
이하에서 여러 실시예를 설명할 때, 명확성을 위해 특별한 전문 용어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문 용어는 제한적인 의미로 의도된 것은 아니며, 선택된 각 용어에는 유사하게 기능하는 모든 기술적 등가물이 포함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와 동일자로 출원된 관련 출원으로는 '입방체 모서리가 있는(입방체 모서리형) 재귀 반사성 박판 몰드 및 이에 의해 성형된 박판(Retroreflective Cube Corner Sheeting Mold and Sheeting Formed Therefrom)(Atty.Docket No.53305USA5A)', '재귀 반사성 입방체 모서리형 박판, 몰드 및 그러한 박판의 제조 방법(Retroreflective Cube Corner Sheeting, Molds Therefor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Atty.Docket No.53318USA8A)', '크게 경사진 입방체 모서리형 요소로 구성된 타일형 재귀 반사성 박판(Tiled Retroreflective Sheeting Composed of Highly Canted Cube Corner Elements(Atty.Docket No.53285USA9A)', '재귀 반사성 입방체 모서리형 박판 몰드 및 이의 제조 방법(Retroreflective Cube Corner Sheeting Mol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Atty.Docket No.51952USA6A)' 및 '이중 배향의 재귀 반사성 박판(Dual Orientation Retroreflective Sheeting)(Atty.Docket No.52303USA8B)'이 있다.In describing the various embodiments below, special terminology is used for the sake of clarity.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terminology is not intended to be in a limiting sense, and that each term selected includes all technical equivalents that function similarly. Related applications filed on the same day as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 'Retroreflective Cube Corner Sheeting Mold and Sheeting Formed Therefrom' (Atty.Docket No.53305USA5A). ',' Retroreflective Cube Corner Sheeting, Molds Therefor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Atty.Docket No.53318USA8A) ',' Highly Inclined Cube Corner Elements Tiled Retroreflective Sheeting Composed of Highly Canted Cube Corner Elements (Atty.Docket No.53285USA9A), 'Retroreflective Cube Corner Sheeting Mol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tty.Docket No.51952USA6A) and 'Dual Orientation Retroreflective Sheeting (Atty.Docket No.52303USA8B)' The.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서는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된 완전한 입방체 모서리형 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정렬되어 인접하는 완전한 입방체 모서리형 요소들의 베이스 엣지는 모두가 동일 평면 상에 있는 것은 아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정렬되어 인접하는 절두형 입방체 모서리형 요소들의 베이스 엣지는 통상 동일 평면 상에 있다. 완전한 입방체 모서리형 요소는 주어진 경사 정도에 대해 절두형 입방체 모서리형 요소보다 총 복귀광(復歸光; light return)이 더 크지만, 보다 큰 입사각에서는 총 복귀광이 보다 빨리 소실된다. 완전한 입방체 모서리형 요소의 한 이점은, 보다 큰 입사각에서의 그 성능을 크게 잃어버리지 않으면서, 작은 입사각에서 총 복귀광이 더 크다는 것이다.In the disclosed embodiments, full cuboid edge element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may be used. The base edges of aligned and adjacent complete cuboid corner elements are not all co-planar. In contrast, the base edges of aligned and adjacent truncated cube edge elements are usually on the same plane. A complete cuboid corner element has a greater total light return than a truncated cubic corner element for a given degree of inclination, but at larger angles of incidence the total return light is lost more quickly. One advantage of a perfect cuboid edge element is that the total return light is greater at small angles of incidence without largely losing its performance at larger angles of incidence.
결합된 입방체 모서리 쌍 배열에 대한 예상된 총 복귀광(total light return, TLR)은 활성 영역(active area) 비율 및 광도(ray intensity)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광도는 재귀 반사된 광선에 대한 3개의 입방체 모서리형 표면 중 각 표면으로부터의 반사 및 전방 표면의 손실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총 복귀광은 활성 영역 비율 및 광도의 곱 또는 총 입사광 중 재귀 반사되는 빛의 비율로서 정의된다. 직접 기계 가공된 입방체 모서리 배열부에 대한 총 복귀광과 관련한 상세한 내용은 스탐(Stamm)의 미국 특허 제3,712,706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expected total light return (TLR) for the combined cubic edge pair arrays can be calculated from the active area ratio and the ray intensity. The brightness can be reduced by reflection from each of the three cube edge surfaces and the loss of the anterior surface for retroreflected light rays. Total return light is defined as the product of the active area ratio and the luminosity or the proportion of light that is retroreflected out of the total incident light. Details regarding total return light for a directly machined cuboid edge arrangement are disclosed in Stamm, US Pat. No. 3,712,706.
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재귀 반사성 박판을 성형하는 데 적합한 몰드의 제조에 유용한 대표적인 박판(10)이 도시되어 있다. 박판(10)에는 제1 주표면(12), 이와 반대쪽의 제2 주표면(14)이 있다. 박판(10)에는 가공 표면(16), 이와 반대쪽에서 제1 주표면(12)과 제2 주표면(14) 사이로 연장되는 바닥면(18)도 있다. 박판(10)에는 제1 단부면(20), 이와 반대쪽의 제2 단부면(22)도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박판(10)은 상기 서로 반대쪽의 표면들이 실질적으로 평행한 직사각형 다면체이다. 그러나, 박판(10)의 상기 표면들이 평행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An embodiment of a thin plat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1 and 2 show representative thin plates 10 useful for the manufacture of molds suitable for forming retroreflective thin plates. The thin plate 10 has a first major surface 12 and an opposite second major surface 14. The thin plate 10 also has a working surface 16, and a bottom surface 18 extending from the opposite side between the first major surface 12 and the second major surface 14. The thin plate 10 also has a first end face 20 and a second end face 22 opposite thereto.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thin plate 10 is a rectangular polyhedron whose surfaces opposite each other are substantially parallel.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surfaces of the thin plate 10 need not be parallel.
설명의 목적을 위해, 박판(10)은 3차원 공간에서, 그 구조에 데카르트 좌표계를 겹쳐 놓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기준 평면(24)이 제1 주표면(12)과 제2 주표면(14) 사이의 가운데에 있다. x-z 평면이라고도 하는 제1 기준 평면(24)에는 그 법선 벡터로서 y축이 있다. x-y 평면이라고도 하는 제2 기준 평면(26)이 박판(10)의 가공 표면(16)과 실질상 동일 평면 상에서 연장되고, 그 법선 벡터로서 z축을 갖는다. y-z 평면이라고도 하는 제3 기준 평면(28)이 제1 단부면(20)과 제2 단부면(22) 사이의 가운데에 있고, 그 법선 벡터로서 x축을 갖는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여러 기하 형태 속성을 본 명세서에서는 데카르트 기준 평면을 참고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하 형태 속성은 다른 좌표계나 박판의 구조를 참고로 하여 설명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the thin plate 10 is characterized by superimposing a Cartesian coordinate system on its structure in three-dimensional space. The first reference plane 24 is in the middle between the first major surface 12 and the second major surface 14. The first reference plane 24, also called the x-z plane, has a y-axis as its normal vector. The second reference plane 26, also called the x-y plane, extends substantially on the same plane as the machining surface 16 of the thin plate 10 and has a z axis as its normal vector. A third reference plane 28, also referred to as the y-z plane, is centered between the first end face 20 and the second end face 22, and has an x axis as its normal vector. For clarity, various geometrical attributes of this embodiment are described herein with reference to the Cartesian reference plane.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such geometry properties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coordinate systems or sheet structures.
도 2 내지 도 12에는 박판(10)의 가공 표면(16)에서 광학적으로 대향하는 복수 개의 입방체 모서리형 요소를 포함하는 구조화된 표면을 형성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적어도 2개의 평행하고 인접하는 홈(30a, 30b, 30c 등)(총괄적으로 30으로 나타낸다)을 포함하는 제1 홈 세트가 박판(10)의 가공 표면(16)에 형성되어 있다(도 2 내지 도 4). 적어도 2개의 평행하고 인접하는 홈(38a, 38b, 38c 등)(총괄적으로 38로 나타낸다)을 포함하는 제2 홈 세트가 박판(10)의 가공 표면(16)에 형성되어 있다(도 5 내지 도 7). 상기 제1 홈 세트와 제2 홈 세트는, 복수 개의 교호(交互) 피크(peak) 및 V형 계곡부(도 8)를 포함하는 구조화된 표면을 형성하도록 대략 제1 기준 평면(24)을 따라 교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 홈 세트 및 제2 홈 세트(30, 38)가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정렬될 필요는 없다. 별법으로서, 상기 피크 및 V형 계곡부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오프셋(off-set) 될 수도 있다.2 to 12 illustrate the formation of a structured surface comprising a plurality of cubic edged elements optically opposite at the machining surface 16 of the thin plate 10. In brief,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a first set of grooves comprising at least two parallel and adjacent grooves 30a, 30b, 30c, etc. (collectively denoted as 30) is provided with a machined surface ( 16) (FIGS. 2 to 4). A second set of grooves comprising at least two parallel and adjacent grooves 38a, 38b, 38c and the like (collectively denoted by 38) is formed on the machined surface 16 of the thin plate 10 (FIGS. 5 to FIG. 5). 7). The first set of grooves and the second set of grooves are generally along a first reference plane 24 to form a structured surface comprising a plurality of alternating peaks and a V-shaped valley (FIG. 8). It is good to cross. The first and second groove sets 30, 38 need not be aligned as shown in FIG. Alternatively, the peak and V-shaped valleys may be offset relative to one another, as shown in FIG. 13.
다음에, 제3 홈(46)이 박판(10)의 가공 표면(16)에 형성된다(도 9 내지 도 11). 제3 홈(46)은 상기 제1 홈 및 제2 홈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에 대략 수직한 축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 좋다. 제3 홈(46)을 형성하면, 박판에 서로 수직한 광학면을 갖는 복수 개의 입방체 모서리형 요소를 포함하는 구조화된 표면이 생긴다(도 12).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홈 세트(groove set)"라는 용어는 박판(10)의 가공 표면(16)에 형성된 모든 평행한 홈을 지칭한다.Next, a third groove 46 is formed in the processing surface 16 of the thin plate 10 (FIGS. 9 to 11). The third groove 46 preferably extends along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are formed. Formation of the third groove 46 results in a structured surface comprising a plurality of cuboid edge elements with optical surface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the thin plate (FIG. 12). The term "groove set" as used herein refers to all parallel grooves formed in the machining surface 16 of the thin plate 10.
이하에서는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적어도 2개의 평행하고 인접하는 홈(30a, 30b, 30c 등)(총괄적으로 도면 부호 30으로 나타낸다)을 포함하는 제1 홈 세트가 박판(10)의 가공 표면(16)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은 홈의 정점부(33b, 33c, 33d 등)(총괄적으로 도면 부호 33으로 나타낸다)에서 교차하는 제1 홈 표면(32a, 32b, 32c 등)(총괄적으로 도면 부호 32로 나타낸다) 및 제2 홈 표면(34b, 34c, 34d 등)(총괄적으로 도면 부호 34로 나타낸다)을 형성한다. 박판의 엣지에는 상기 홈 형성 작업에 의해 단일의 홈 표면(32a)이 형성될 수 있다. 인접하는 홈의 홈 표면(32a, 34b)은 기준 엣지(36a)를 따라 대략 직각으로 교차한다. 본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직각'이라든지 '대략 직각'이라는 용어는 각 표면 사이의 이면각(二面角, dihedral angle)이 약 90°라는 것을 의미하는데, 애플돈(Appledorn)의 미국 특허 제4,775,219호에 개시되고 청구된 것과 같이 직각의 정도를 약간 변화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유사하게, 인접하는 홈 표면(32b, 34c)은 제1 기준 엣지(36b)를 따라 대략 직각으로 교차한다. 이러한 패턴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판(10)의 가공 표면(16) 전체에 걸쳐 반복되는 것이 좋다. 각 홈의 정점부(33)는 약 0.01 mm 내지 약 1.0 mm 사이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것이 좋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2 to 4, a first set of grooves comprising at least two parallel and adjacent grooves 30a, 30b, 30c, etc. (collectively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30) is a machined surface of the thin plate 10. 16). The groove is a first groove surface 32a, 32b, 32c, etc. (collectively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32) and intersecting at the vertices 33b, 33c, 33d, etc. (collectively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33) of the groove. 2 groove surfaces 34b, 34c, 34d and the like (collectively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34) are formed. A single groove surface 32a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thin plate by the groove forming operation. Groove surfaces 32a, 34b of adjacent grooves intersect at right angles along reference edge 36a. As used herein, the term 'substantially right angle' or 'approximately right angle' means that the dihedral angle between each surface is about 90 °, which is described in Appledon US Patent No. 4,775,219. It is also conceivable to slightly vary the degree of right angle as disclosed and claimed in the call. Similarly, adjacent groove surfaces 32b and 34c intersect at right angles along the first reference edge 36b. This pattern is preferably repeated throughout the processing surface 16 of the thin plate 10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vertices 33 of each groove are preferably separated by a distance between about 0.01 mm and about 1.0 mm.
도 2의 실시예에서, 각 홈의 정점부(33)와 제1 기준 엣지(36)가 박판(10)의 제1 주표면(12)과 가공 표면(16)을 교차하는 축을 따라 연장되도록 홈(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박판(10)의 가공 표면(16)에는 복수 개의 홈(30)을 형성함으로써 변하지 않은 채 남아 있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가공 표면(16) 내로 더 깊이 홈을 형성함으로써, 각 홈의 정점부(33)와 제1 기준 엣지(36)가 박판(10)의 제1 주표면(12) 및 제2 주표면(14)과 교차하는 축을 따라 연장되도록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는, 도 4의 평면도에서 기준 엣지(36)가 기준 평면(24)에 수직으로 나타나게 하는 직각으로 제1 기준 평면(24) 및 제2 기준 평면(26)과 교차하는 평면에 각각의 제1 기준 엣지(36)가 배치되게 홈(30)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2, the grooves such that the vertices 33 and the first reference edge 36 of each groove extend along an axis intersecting the first major surface 12 of the thin plate 10 and the machining surface 16. 30 is formed. In this embodiment, the machining surface 16 of the thin plate 10 includes portions that remain unchanged by forming a plurality of grooves 30. By forming grooves deeper into the machining surface 16, the vertices 33 and the first reference edge 36 of each groove are formed in the first major surface 12 and the second major surface 14 of the thin plate 10. It can be appreciated that the grooves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an axis that intersects with.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FIGS. 2-4, the first reference plane 24 and the second reference plane 26 at right angles such that the reference edge 36 appears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plane 24 in the plan view of FIG. 4. The groove 30 is formed such that each of the first reference edges 36 is disposed in a plane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 약 27.8°의 예각(θ1)으로 제2 기준 평면(26)과 교차하는 공통면에 제1 기준 엣지(36) 모두가 배치되도록 홈(30)이 형성되어 있다. 별법으로서, 기준 엣지(36)가 27.8°이외의 각도로 기준 평면(26)과 교차하도록 홈(3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각 기준 엣지(36)가 약 1°내지 약 85°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내지 약 60°사이의 임의의 각도로 기준 평면(26)과 교차하게 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2-4, the grooves 30 are formed such that all of the first reference edges 36 are disposed on a common plane intersecting the second reference plane 26 at an acute angle θ 1 of about 27.8 °. It is. Alternatively, the groove 3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reference edge 36 intersects the reference plane 26 at an angle other than 27.8 °. In general, it is also possible for each reference edge 36 to be grooved to intersect the reference plane 26 at any angle between about 1 ° and about 85 °, more preferably between about 10 ° and about 60 °. Do.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적어도 2개의 평행하고 인접하는 홈(38a, 38b, 38c 등)(총괄적으로 도면 부호 38로 나타낸다)을 포함하는 제2 홈 세트가 박판(10)의 가공 표면(16)에 형성되어 있다. 홈(38)은 도시된 바와 같이, 홈의 정점부(41b, 41c, 41d 등)(총괄적으로 도면 부호 41로 나타낸다)에서 교차하는 제3 홈 표면(40a, 40b, 40c 등)(총괄적으로 도면 부호 40으로 나타낸다) 및 제4 홈 표면(42b, 42c, 42d 등)(총괄적으로 도면 부호 42로 나타낸다)을 형성한다. 박판의 엣지에는 상기 홈의 형성 작업에 의해 단일의 홈 표면(40a)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인접하는 홈의 홈 표면(40a, 42b)은 기준 엣지(44a)를 따라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는데, 이는 본 발명의 개시 목적을 위해 설명하면, 홈 표면(40a, 42b) 사이의 이면각이 약 90°라는 것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인접하는 홈 표면(40b, 42c)은 제2 기준 엣지(44b)를 따라 대략 직각으로 교차한다. 이러한 패턴은 박판(10)의 가공 표면(16) 전체에 걸쳐 반복되는 것이 좋다. 홈의 정점부(41)는 약 0.01 mm 내지 0.10 mm 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이 좋다.5 to 8, a second set of grooves comprising at least two parallel and adjacent grooves 38a, 38b, 38c, etc. (collectively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38) is provided with a machined surface ( 16). The grooves 38 are, as shown, third groove surfaces 40a, 40b, 40c, etc. intersecting at the vertices 41b, 41c, 41d, etc. (collectively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41) of the grooves (collectively the drawings). And the fourth groove surface 42b, 42c, 42d, etc. (collectively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42) are formed. At the edge of the thin plate, a single groove surface 40a may be formed by the groove forming operation. Groove surfaces 40a and 42b of adjacent grooves intersect at substantially right angles along reference edge 44a, which,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a backside angle between groove surfaces 40a and 42b of about 90 degrees. Means °. Similarly, adjacent groove surfaces 40b and 42c intersect at right angles along the second reference edge 44b. This pattern is preferably repeated throughout the machining surface 16 of the thin plate 10. The apex portions 41 of the groove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bout 0.01 mm to 0.10 mm.
도 5를 참조하면, 기준 엣지(44)가 박판(10)의 가공 표면(16) 및 제2 주표면(14)과 교차하는 축을 따라 연장되게 홈(38)이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기준 엣지(44)[및 홈의 정점부(41)]는 약 27.8°의 예각(θ2)으로 박판(10)의 제2 기준 평면(26)과 교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약 1°내지 85°사이의 임의의 각도로 기준 평면(26)과 교차하는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groove 38 is formed such that the reference edge 44 extends along an axis that intersects the machining surface 16 and the second major surface 14 of the thin plate 10. In this embodiment, the reference edge 44 (and the vertex 41 of the groove) intersects the second reference plane 26 of the thin plate 10 at an acute angle θ 2 of about 27.8 °. As noted above, grooves may be formed that intersect the reference plane 26 at any angle between about 1 ° and 85 °.
도 5 내지 도 8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의 평면도에서 기준 엣지(44)가 제1 기준 평면(24)에 수직으로 나타나게 하는 직각으로 제1 기준 평면(24) 및 제2 기준 평면(26)과 교차하는 평면에 기준 엣지(44) 각각이 배치되도록 홈(3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특히 도 7을 참조하면, 홈의 정점부(41)가 홈의 정점부(33)와 실질상 동일 평면 상에 있고, 기준 엣지(44)가 기준 엣지(36)와 실질상 동일 평면 상에 있게 홈(38)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별법으로서, 홈의 정점부(33, 41)와 기준 엣지(36, 44)는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홈의 정점부(33, 41)의 깊이는 서로에 대해 변화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S. 5-8, the first reference plane 24 and the second reference plane 26 at right angles such that the reference edge 44 appears perpendicular to the first reference plane 24 in the top view of FIG. 7. The groove 38 is formed such that each of the reference edges 44 is disposed in a plane intersecting with the cross-section. 7, in particular, the apex 41 of the groove is substantially coplanar with the apex 33 of the groove, and the reference edge 44 is substantially coplanar with the reference edge 36.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groove 38 to be at. Alternatively, the vertices 33 and 41 of the groove and the reference edges 36 and 44 can be moved relative to each other. In other embodiments, the depths of the vertices 33, 41 of the grooves may vary with respect to each other.
도 8은 홈(38)의 성형을 완성한 대표적인 박판(10)의 사시도이다. 박판(1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공 표면(16)에 형성된 일련의 홈(30, 38)이 포함되어 있다. 기준 엣지(36, 44)는 대략 제1 기준 평면(24)을 따라 교차하여, 복수 개의 피크를 형성한다. 유사하게, 홈의 정점부(33, 41)는 대략 제1 기준 평면을 따라 교차하여, 상기 피크 사이에 복수 개의 계곡부를 형성한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presentative thin plate 10 that has completed the shaping of the groove 38. The thin plate 10 includes a series of grooves 30, 38 formed in the processing surface 16 as described above. The reference edges 36, 44 intersect approximately along the first reference plane 24, forming a plurality of peaks. Similarly, the vertices 33, 41 of the grooves intersect approximately along the first reference plane, forming a plurality of valleys between the peaks.
도 9 내지 도 12에는 박판(10)의 제3 홈(46) 형성에 이은 박판(10)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3 홈(46)은 제1 기준 평면(24)에 의해 포함되어 있는 축을 따라 홈의 정점부(52)에서 교차하는 제5 홈 표면(48) 및 제6 홈 표면(50)을 형성한다. 제5 홈 표면(48)이 제1 홈 표면(32) 및 제2 홈 표면(34)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에 배치되도록 제3 홈(46)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제5 홈 표면(48)이 제1 기준 평면(24)에 대해 각도(θ1)와 동일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제6 홈 표면도 마찬가지로 제1 기준 평면(24)에 대해 각도(θ2)와 동일한 각도를 형성하게 제3 홈(46)을 형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θ1, θ2는 도 5에 도시한 θ1, θ2와 동일하다). 제5 홈 표면(48)을 형성함으로써, 박판(10)의 가공 표면(16)에 복수 개의 입방체 모서리형 요소(60a, 60b 등)(총괄적으로 도면 부호 60으로 나타낸다)가 생긴다. 각 입방체 모서리형 요소(60)는 입방체 모서리 피크 또는 정점(62)을 형성하는 지점에서 상호 교차하는 제1 홈 표면(32), 제2 홈 표면(34), 제5 홈 표면(48)의 일부에 의해 정해진다. 유사하게, 입방체 모서리 피크 또는 정점(72)를 형성하는 지점에서 상호 교차하는 제3 홈 표면(40) 및 제4 홈 표면(42)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에 제6 홈 표면(50)이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6 홈 표면(50)을 형성함으로써, 박판(10)의 가공 표면(16)에 복수 개의 입방체 모서리형 요소(70a, 70b 등)(총괄적으로 도면 부호 70으로 나타낸다)가 생긴다. 각 입방체 모서리형 요소(70)는 제3 홈 표면(40), 제4 홈 표면(42), 제6 홈 표면(50)의 일부에 의해 정해진다. 제5 홈 표면(48)과 제6 홈 표면(50)은 모두 박판(10)의 가공 표면(16)에 복수 개의 입방체 모서리형 요소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제5 홈 표면(48) 또는 제6 홈 표면(50) 만이 입방체 모서리형 요소를 형성하게 제3 홈(36)을 형성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9 to 12 show an embodiment of the thin plate 10 following the formation of the third groove 46 of the thin plate 10. In this embodiment, the third groove 46 intersects the fifth groove surface 48 and the sixth groove surface 50 at the apex 52 of the groove along the axis encompassed by the first reference plane 24. ). It is important to form the third groove 46 such that the fifth groove surface 48 is disposed in a plan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groove surface 32 and the second groove surface 34. This causes the fifth groove surface 48 to form an angle equal to the angle θ 1 with respect to the first reference plane 24, preferably the sixth groove surface likewise with respect to the first reference plane 24. It can be achieved by forming a third groove 46 to form the same angle (θ 2) (θ 1, θ 2 is equal to the θ 1, θ 2 in FIG. 5). By forming the fifth groove surface 48, a plurality of cuboid edge elements 60a, 60b, etc. (collectively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60) are formed on the machined surface 16 of the thin plate 10. Each cube edge element 60 is a portion of the first groove surface 32, the second groove surface 34, and the fifth groove surface 48 that intersect at a point forming a cube edge peak or vertex 62. Determined by Similarly, the sixth groove surface 50 is disposed in a plan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third groove surface 40 and the fourth groove surface 42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t the point forming the cube edge peak or vertex 72. do. Similarly, by forming the sixth groove surface 50, a plurality of cuboid edge elements 70a, 70b, etc. (collectively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70) are formed on the processed surface 16 of the thin plate 10. Each cube edge element 70 is defined by a portion of the third groove surface 40, the fourth groove surface 42, and the sixth groove surface 50. It is preferable that both the fifth groove surface 48 and the sixth groove surface 50 form a plurality of cube edge elements on the machining surface 16 of the thin plate 10. However, it can be appreciated that only the fifth groove surface 48 or the sixth groove surface 50 may form the third groove 36 to form a cubic edged element.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박판(10)의 여러 특징을 설명한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홈(30, 38)의 대향 표면에 의해 정해지는 이면각은 90°이다. 제1 기준 엣지(36)와 제2 기준 엣지(44)는, 직각으로 제1 기준 평면(24) 및 제2 기준 평면(26)과 교차하는 평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11의 평면도에서, 기준 엣지(36, 44)는 제1 기준 평면(24)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축을 따라 연장된다. 기준 엣지(36)는, 박판(10)의 제1 주표면(12)과 교차하고 약 27.8°의 예각으로 제2 기준 평면(26)과 교차하는 축을 따라 연장된다. 기준 엣지(44)도, 박판(10)의 제2 주표면(14)과 교차하고 약 27.8°의 예각으로 제2 기준 평면(26)과 교차하는 축을 따라 연장된다. 제3 홈(46)의 정점부는 제1 기준 평면(24)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을 따라 연장되고, 제5 홈 표면(48)과 제6 홈 표면(50) 사이의 이면각은 약 55.6°이다.Various features of the thin plate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In the disclosed embodiment, the back angle defined by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grooves 30, 38 is 90 °. The first reference edge 36 and the second reference edge 44 are disposed in a plane crossing the first reference plane 24 and the second reference plane 26 at right angles. Thus, in the top view of FIG. 11, the reference edges 36, 44 extend along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reference plane 24. Reference edge 36 extends along an axis that intersects first major surface 12 of sheet 10 and intersects second reference plane 26 at an acute angle of about 27.8 °. The reference edge 44 also extends along an axis that intersects the second major surface 14 of the thin plate 10 and intersects the second reference plane 26 at an acute angle of about 27.8 °. The vertex of the third groove 46 extends along a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reference plane 24, and the backside angle between the fifth groove surface 48 and the sixth groove surface 50 is about 55.6 °. .
가공 표면(16)은, 예컨대 룰링(ruling), 밀링(miliong), 홈 가공(grooving), 플라이 절삭 가공(fly-cutting)과 같은 기술 및 정밀 기계 가공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박판(10)의 제2 주표면(14)은 정밀 기계 가공 공구의 표면과 같이 실질상 평탄면에 정합될 수 있고, 사잇각(included angle)이 90°인 V형 절삭 공구를 제1 가공 표면(12) 및 제2 기준 평면(26)과 27.8°의 각도(θ1)로 교차하는 축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제1조 홈의 각 홈(30a, 30b 등)을 가공 표면(16)에 형성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각 홈(30)은 가공 표면에서 동일한 깊이로 형성되고, 절삭 공구는 홈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인접 홈 사이에서 동일한 거리만큼 측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음에, 박판(10)의 제1 주표면(12)은 평탄면과 정합될 수 있고, 사잇각이 90°인 V형 절삭 공구를 제2 가공 표면(14) 및 제2 기준 평면(26)과 27.8°의 각도(θ2)로 교차하는 축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각 홈(38a, 38b 등)을 가공 표면(16)에 형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박판(10)의 바닥면(18)은 평탄면에 정합될 수 있고, 사잇각이 55.6°인 V형 절삭 공구를 베이스 표면(18)과 실질상 평행하고 제1 기준 평면(24)에 의해 포함된 축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제3 홈(46)을 가공 표면(16)에 형성할 수 있다. 3개의 홈 형성 단계를 특정 순서로 반복하였지만, 당업자라면, 그 단계의 순서는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알 것이다. 즉, 상기 홈 형성 단계는 임의의 순서로 실행될 수 있다. 추가하여, 당업자라면 3조의 홈이 한 위치에서 정합된 박판에 형성될 수 있고, 본 출원은 이러한 방법을 고려하고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또한, 박판을 물리적, 화학적 또는 전자기적으로 고정하는 특정 기구는 중요하지 않다.The machining surface 16 is preferably formed using techniques such as ruling, milling, grooving, fly-cutting and precision machining.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major surface 14 of the thin plate 10 can be substantially matched to a substantially flat surface, such as the surface of a precision machining tool, and has a V-shaped cutting tool with an included angle of 90 °. Is moved along an axis that intersects the first machining surface 12 and the second reference plane 26 at an angle θ 1 of 27.8 °, thereby moving each groove 30a, 30b, etc. of the first article groove to the machining surface ( 16) can be formed. In the disclosed embodiment, each groove 30 is formed to the same depth at the machining surface, and the cutting tool is laterally moved by the same distance between adjacent grooves with substantially the same grooves. Next, the first major surface 12 of the thin plate 10 may be matched with the flat surface, and the V-shaped cutting tool having an angle of 90 ° may be connected with the second machining surface 14 and the second reference plane 26. By moving along the axis intersecting at an angle θ 2 of 27.8 °, each groove 38a, 38b, or the like can be formed in the machining surface 16. Finally, the bottom surface 18 of the thin plate 10 may be mated to a flat surface, and a V-shaped cutting tool having a 55.6 ° angle of inclination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ase surface 18 and in the first reference plane 24. By moving along the axis included therein, the third groove 46 can be formed in the machining surface 16. Although the three groove forming steps were repeated in a specific ord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order of the steps is not important. That is, the groove forming step may be performed in any order.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ree sets of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matched sheet at one location, and the present application contemplates this method. In addition, the particular mechanism for physically, chemically or electromagnetically fixing the sheet is not critical.
재귀 반사성 물품을 성형할 때 사용하기에 적당한 몰드를 형성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입방체 모서리형 요소(60, 70)를 포함하는 가공 표면(16)이 있는 복수 개의 박판(10)을 적당한 고정구에서 함께 조립할 수 있다. 다음에, 예컨대 니켈 전기 도금과 같은 정밀 복제 기술을 이용하여 가공 표면(16)을 복제함으로써, 가공 표면(16)의 네가티브 복제부(negative copy)을 형성한다. 전기 도금 기술은 재귀 반사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술이다[예컨대, 프리콘(Pricone) 등의 미국 특허 제4,478,769호 및 제5,156,863호를 참조]. 다음에 가공 표면(16)의 상기 포지티브 복제부 복제부는 가공 표면(16)의 포지티브 복제부(positive copy)를 갖는 재귀 반사성 물품을 성형하는 몰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보편적으로는, 전기적으로 형성된 추후 세대의 복제품이 성형되고 함께 조립되어 보다 큰 몰드를 형성한다. 박판(10)의 원가공 표면(16) 또는 가공 표면의 포지티브 복제부는 재귀 반사성 물품을 성형하는 엠보싱 도구(embossing tool)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일본 8-309851 및 프리콘의 미국 특허 제4,601,861호 참조). 당업자라면 각 박판(10)의 가공 표면(16)이 재귀 반사체로서 독립적으로 기능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몰드에서 인접 박판을 서로에 대해 정밀한 각도 또는 거리를 두고 배치할 필요는 없다.In order to form a mold suitable for use in shaping the retroreflective article, a plurality of thin plates 10 having a processing surface 16 comprising the cuboid edge elements 60 and 70 formed as described above may be fitted with a suitable fixture. Can be assembled together. Next, by replicating the processing surface 16 using, for example, a precision replication technique such as nickel electroplating, a negative copy of the processing surface 16 is formed. Electroplating techniques are thos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retroreflective technology (see, eg, US Pat. Nos. 4,478,769 and 5,156,863 to Pricon et al.). The positive replica replica of the machining surface 16 can then be used as a mold to form a retroreflective article having a positive copy of the machining surface 16. More generally, future generations of electrically formed replicas are molded and assembled together to form larger molds. The positive replica of the processing surface 16 or the processing surface of the thin plate 10 may also be used as an embossing tool for forming a retroreflective article (see Japanese 8-309851 and US Pat. No. 4,601,861 to Pricon). .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machined surface 16 of each thin plate 10 functions independently as a retroreflective body. Thus, it is not necessary to place adjacent thin plates in the mold at precise angles or distances from each other.
도 16 내지 도 24는 재귀 반사성 물풀을 형성하는 데 적당한 몰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복수 개의 박판을 형성하는 다른 방법을 제공한다. 도 16 내지 도 24의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입방체 모서리형 요소가 복수 개의 박판의 가공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박판은 전술한 것처럼 별개로 유지되기 보다는 조립된 상태로 함께 유지되어 있다. 복수 개의 박판(10)은 그 가공 표면(16)이 실질상 동일 평면 상에 있도록 조립하는 것이 좋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박판(10)은 그 각각의 제1 기준 평면이 고정된 기준축(82)(도 17)에 대해 제1 각도(β1)를 두고 배치되게 배향된다. 적어도 2개의 V형 홈을 포함하는 제1조의 홈이 복수 개의 박판(10)의 가공 표면(16)에 형성되어 있다(도 18 및 도 19). 다음에, 박판은 그 각각의 제1 기준 평면이 기준축(82)에 대해 제2 각도(β2)를 두고 배치되게 배향된다(도 20). 적어도 2개의 V형 홈을 포함하는 제2조의 홈이 복수 개의 박판(10)의 가공 표면(16)에 형성되어 있다(도 21 및 도 22). 각 박판(10)의 가공 표면(16)에 적어도 하나의 V형 홈을 포함하는 것이 좋은 제3 홈 세트도 형성되어 있다(도 23). 제3 홈 세트를 형성함으로써, 복수 개의 박판(10)의 가공 표면에 복수 개의 입방체 모서리형 요소를 포함하는 구조화된 표면이 생긴다(도 24).16-24 provide another method of forming a plurality of thin plates suitable for use in a mold suitable for forming retroreflective water pools. In the embodiment of FIGS. 16 to 24, a plurality of cuboid edge elements are formed on the machined surface of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and the thin plates are held together in an assembled state rather than being kept separate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10 may be assembled such that the machining surface 16 is substantially coplanar. In brief, the thin plates 10 are oriented such that their respective first reference planes are arranged at a first angle β 1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axis 82 (FIG. 17) to which it is fixed. A first set of grooves including at least two V-shaped grooves are formed in the processing surface 16 of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10 (FIGS. 18 and 19). The thin plates are then oriented such that their respective first reference planes are arranged at a second angle β 2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axis 82 (FIG. 20). A second set of grooves including at least two V-shaped grooves are formed in the processing surface 16 of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10 (FIGS. 21 and 22). A third set of grooves, which preferably include at least one V-shaped groove, is also formed on the processing surface 16 of each thin plate 10 (FIG. 23). By forming a third set of grooves, a structured surface is formed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cuboid edge-like elements on the machined surface of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10 (FIG. 24).
도 16 내지 도 24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에서, 한 박판(10)의 제1 주표면(12)이 인접 박판(10)의 제2 주표면(14)에 인접하도록 복수 개의 박판(10)을 함께 조립한다. 박판(10)은 서로 인접하는 복수 개의 박판을 고정할 수 있는 종래의 고정구에서 조립하는 것이 좋다. 고정구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고정구는 박판(10)이 도 1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위치될 때 박판(10)의 바닥면(18)에 실질상 평행한 것이 좋은 베이스면(80)을 정한다. 복수개의 박판(10)은 전술한 것과 같이 데카르트 좌표계를 특징으로 한다. 복수 개의 박판(10)의 가공 표면(16)은, 제1 기준 평면(24)을 베이스면(80)에 수직하게 한 채 박판이 배치될 때 실질상 동일 평면 상에 있는 것이 좋다.16 to 24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IG. 16, a plurality of thin plates 10 are assembled together such that the first major surface 12 of one thin plate 10 is adjacent to the second major surface 14 of the adjacent thin plate 10. The thin plate 10 may be assembled in a conventional fixture capable of fixing a plurality of adjacent thin plates. The details of the fixture are not important. However, the fixture defines a base surface 80 which is preferably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18 of the thin plate 10 when the thin plate 10 is positioned as shown in FIG. 16.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10 is characterized by a Cartesian coordinate system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ing surface 16 of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10 is preferably substantially coplanar when the thin plates are placed with the first reference plane 24 perpendicular to the base surface 80.
도 17에서, 박판(10)은 그 제1 기준 평면(24)이 베이스면(80)에 수직한 고정된 기준축(82)으로부터 제1 각도(β1)를 두고 배치되게 배향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β1)는 약 27.8°이다. 그러나, 별법으로서 제1 각도(β1)는 약 1° 내지 약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내지 약 60°사이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In FIG. 17, the thin plate 10 is oriented such that its first reference plane 24 is disposed at a first angle β 1 from a fixed reference axis 82 perpendicular to the base surface 80. In one embodiment, the first angle β 1 is about 27.8 °. However, the first angle β 1 may alternatively be in a range between about 1 ° and about 85 °, more preferably between about 10 ° and about 60 °.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평행하게 인접하는 V형 홈(30a, 30b, 30c 등)(총괄적으로 도면 부호 30으로 나타낸다)을 포함하는 제1조의 홈은 박판이 상기 각도(β1)를 두고 배치된 채로 복수 개의 박판(10)의 가공 표면(16)에 형성되어 있다. 적어도 2개의 인접 홈(30)이 복수 개의 박판(10)의 가공 표면(16)에 형성되어 있다. 홈(30)은 도시된 것과 같이 홈의 정점부(33b, 33c, 33d 등)(총괄적으로 도면 부호 33으로 나타낸다)에서 교차하는 제1 홈 표면(32a, 32b, 32c 등)(총괄적으로 도면 부호 32로 나타낸다) 및 제2 홈 표면(34b, 34c, 34d 등)(총괄적으로 도면 부호 34로 나타낸다)을 정한다. 박판의 엣지에는 상기 홈의 형성 작업에 의해 단일 홈 표면(32a)이 형성될 수 있다. 인접 홈의 홈 표면(32a, 34b)은 기준 엣지(36a)를 따라 대략 직각으로 교차한다. 유사하게, 인접 홈 표면(32b, 34c)은 기준 엣지(36b)를 따라 대략 직각으로 교차한다. 이러한 패턴은 박판(10)의 가공 표면(16) 전체에 걸쳐 반복되는 것이 좋다.18 and 19, the first set of grooves including a plurality of parallelly adjacent V-shaped grooves (30a, 30b, 30c, etc.) (collectively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30) is a thin plate is the angle (β 1 ) Is formed on the machining surface 16 of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10. At least two adjacent grooves 30 are formed in the machining surface 16 of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10. The groove 30 is a first groove surface 32a, 32b, 32c, etc. (collectively referred to) intersecting at the vertices 33b, 33c, 33d, etc. (collectively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33) of the groove, as shown. 32) and second groove surfaces 34b, 34c, 34d, etc. (collectively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34) are determined. A single groove surface 32a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thin plate by the forming operation of the groove. Groove surfaces 32a and 34b of adjacent grooves intersect at approximately right angles along reference edge 36a. Similarly, adjacent groove surfaces 32b and 34c intersect at right angles along the reference edge 36b. This pattern is preferably repeated throughout the machining surface 16 of the thin plate 10.
밀링, 룰링, 홈 가공 및 플라이 절삭 가공 등과 같은 정밀 기계 가공 기술, 화학적 에칭 또는 레이저 박리 기술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재료 제거 기술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박판의 가공 표면(16)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홈(30)을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홈(30)은, 사잇각이 90°인 다이아몬드 절삭 공구를 실질적으로 베이스면(80)에 평행한 축을 따라 복수 개의 박판(10)의 가공 표면(16)에 걸쳐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고정밀 기계 가공 작업에서 형성된다. 별법으로서, 상기 다이아몬드 절삭 공구는 이 공구가 복수 개의 박판(10)을 가로질러 가변 깊이로 절삭하게 베이스면(80)에 평행하지 않은 축을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박판은 운동 상태로 배치된 채 기계 가공 공구는 정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으며, 박판(10)과 기계 가공 공구 사이에서의 상대적인 운동도 고려할 수 있다.By removing a portion of the machining surface 16 of the plurality of thin sheets using various material removal techniques including precision machining techniques such as milling, ruling, grooving and fly cutting, chemical etching or laser stripping techniques, etc. 30). In one embodiment, the groove 30 transversely crosses the machining surface 16 of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10 along a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ase surface 80 with a diamond cutting tool having an angle of 90 °. It is formed in high precision machining operations. Alternatively, the diamond cutting tool may move along an axis that is not parallel to the base surface 80 such that the tool cuts to varying depths across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10.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machining tool may remain stationary while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are placed in motion, and the relative motion between the thin plate 10 and the machining tool may also be considered.
도 18 및 도 19의 실시예에서, 홈(30)은 각 제1 기준 엣지(36)가 박판의 제1 주표면(12) 및 제2 주표면(14)과 교차하게 하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8의 단부도에서, 기준 엣지(36)와 홈의 정점부(33)는 베이스면(80)에 평행한 축을 따라 연장되는 실질상 연속 라인을 형성한다. 또한, 홈(30)은 기준 엣지(36)가 각 제1 기준 평면(24) 및 제2 기준 평면(26)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평면에 배치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와 유사한 평면도에서, 제1 기준 엣지(36)는 각 제1 기준 평면(24)과 수직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홈(3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되거나 다른 축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S. 18 and 19, the groove 30 is formed to a depth such that each first reference edge 36 intersects the first major surface 12 and the second major surface 14 of the sheet. . Thus, in the end view of FIG. 18, the reference edge 36 and the apex 33 of the groove form a substantially continuous line extending along an axis parallel to the base surface 80. In addition, the groove 30 is formed such that the reference edge 36 is disposed in a plane crossing at right angles with each of the first reference plane 24 and the second reference plane 26. Thus, in a plan view similar to FIG. 4, the first reference edge 36 appears perpendicular to each first reference plane 24. However, the grooves 30 may be formed at smaller depths or along other axes, as shown in FIGS.
도 20에서, 박판(10)은 각기 그 제1 기준 평면(24)이 베이스면(80)의 수직 방향의 고정 기준축(82)으로부터 제2 각도(β2)에 놓여지도록 배향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각도(β2)는 대략 27.8°이다. 그러나, 제2 각도(β2)는 약 1°내지 약 85°, 바람직하게는 약 10°내지 약 60°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각도(β2)는 각도(β1)와 무관하며, 각도(β1)와 동일할 필요는 없다. 복수 개의 박판(10)를 각도(β2)로 배향하기 위하여, 박판(10)는 고정물로부터 분리되어 각기 그 제1 기준 평면이 각도(β2)에 놓여지도록 재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FIG. 20, the thin plates 10 are each oriented such that their first reference planes 24 lie at a second angle β 2 from a fixed reference axis 82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ase surface 80.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angle β 2 is approximately 27.8 °. However, the second angle β 2 may optionally vary between about 1 ° and about 85 °, preferably between about 10 ° and about 60 °. Angle (β 2) and is independent of the angle (β 1), need not be the same as the angle (β 1). In order to orient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10 at an angle β 2 , the thin plates 10 are preferably separated from the fixture and reassembled so that their first reference planes are each placed at an angle β 2 .
도 21과 도 22에서, 인접하는 복수 개의 평행한 V자형 홈(38b, 38c 등)(통틀어 도면 부호 38로 표시)을 포함하는 제2 홈 세트가 각도(β2)에 놓여 있는 박판(10)의 가공 표면(16)에 형성된다. 2개 이상의 인접한 홈(38)이 복수 개의 박판(10)의 가공 표면(16)에 형성된다. 홈(38)은 도시된 바와 같이 홈의 정점부(41b, 41c, 41d 등)[통틀어 도면 부호 41로 표시]에서 교차하는 제3 홈 표면(40a, 40b, 40c 등)[통틀어 도면 부호 40으로 표시]과, 제4 홈 표면(42b, 42c, 42d 등)[통틀어 도면 부호 42로 표시]을 형성한다. 박판의 엣지에 형성되는 홈은 단일 홈 표면(40a) 만을 형성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인접한 홈의 제3 홈 표면(40a)과 제4 홈 표면(42b)이 기준 엣지(44a)를 따라 대략 직각으로 교차한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3 홈 표면(40b)과 제4 홈 표면(42c)도 기준 엣지(44b)를 따라 대략 직각으로 교차한다. 이러한 패턴이 복수 개의 박판(10)의 전체 가공 표면(16)을 가로질러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21 and 22, a thin plate 10 in which a second set of grooves comprising a plurality of adjacent parallel V-grooves 38b, 38c, etc. (collectively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38) lies at an angle β 2 . Is formed on the machining surface 16. Two or more adjacent grooves 38 are formed in the machining surface 16 of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10. The groove 38 is referred to as a third groove surface 40a, 40b, 40c, etc. (collectively 40) intersecting at the apex portions 41b, 41c, 41d, etc. (collectively denoted by 41) of the groove as shown. Display] and fourth groove surfaces 42b, 42c, 42d and the like (collectively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42). The grooves formed at the edges of the thin plate may form only a single groove surface 40a. Importantly, the third groove surface 40a and the fourth groove surface 42b of the adjacent grooves intersect at right angles along the reference edge 44a. Similarly, third groove surface 40b and fourth groove surface 42c also intersect at right angles along reference edge 44b. This pattern is preferably repeated across the entire processing surface 16 of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10.
홈(38)은 또한 고정밀 기계 가공 작업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기계 가공 작업에서는 사잇각이 90°인 다이아몬드 절단 공구가 베이스면(80)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절단 축선을 따라 복수 개의 박판(10)의 가공 표면(16)을 횡단하여 반복적으로 이동된다. 인접한 홈(38)의 표면이 기준 엣지(44)를 따라 교차하여 직각의 이면각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측정되는 각 홈의 사잇각은 도 15와 관련하여 기술되는 바와 같이 90°이외의 각도일 수 있다. 홈(38)은 복수 개의 박판(10)의 가공 표면(16)에 제1 홈 세트의 홈(30)과 대략 동일한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홈(38)은 그 정점부(41)가 홈 정점부(33)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으며 기준 엣지(44)는 기준 엣지(36)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홈(38)의 형성 후, 각 박판(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roove 38 is also preferably formed by a high precision machining operation, in which a diamond cutting tool with a 90 ° angle is formed by a plurality of thin plates along a cutting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ase surface 80. It is repeatedly moved across the machining surface 16 of 10). It is important that the surfaces of adjacent grooves 38 intersect along the reference edge 44 to form a right backside angle. The angle of measurement of each groove measured may be an angle other than 90 ° a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FIG. 15. The groove 38 is preferably formed in the processing surface 16 of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10 to the same depth as the groove 30 of the first groove set. Further, the groove 38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its vertex 41 is substantially coplanar with the groove vertex 33 and the reference edge 44 is substantially coplanar with the reference edge 36. . After the formation of these grooves 38, each thin plate 10 preferably has a shape as shown in FIG.
도 23과 도 24에서, 각 박판(10)의 하나 이상의 홈(4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제3 홈 세트가 복수 개의 박판(10)의 가공 표면(16)에 형성된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제3 홈(46a, 46b, 46c 등)[통틀어 도면 부호 46으로 표시]은 각각의 제1 기준 평면(24)에 평행한 축선을 따라 홈 정점부(52a, 52b, 52c 등)[통틀어 도면 부호 52로 표시]에서 교차하는 제5 홈 표면(48a, 48b, 48c 등)[통틀어 도면 부호 48로 표시]과 제6 홈 표면(50a, 50b, 50c 등)[통틀어 도면 부호 50으로 표시]을 형성한다. 중요한 것은, 각각의 제5 홈 표면(48)이 각각의 제1 홈 표면(32)과 각각의 제2 홈 표면(34)에 실질적으로 직각 평면에 놓여지도록 형성된다는 것이다. 제5 홈 표면(48)의 형성시 각각의 박판(10)의 가공 표면(16)에는 복수 개의 입방체 모서리 요소(60a, 60b 등)[통틀어 도면 부호 60으로 표시]가 생성된다.In FIGS. 23 and 24, a third set of grooves, preferably including one or more grooves 46 of each thin plate 10, are formed on the machined surface 16 of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10. In the disclosed embodiment, the third grooves 46a, 46b, 46c, etc. (collectively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46) are groove vertices 52a, 52b, 52c, etc., along an axis parallel to the respective first reference plane 24. ) Fifth groove surfaces (48a, 48b, 48c, etc.) intersecting at [typically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52] (collectively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48) and sixth groove surfaces (50a, 50b, 50c, etc.) (collectively 50 Mark]. Importantly, each fifth groove surface 48 is formed to lie in a plan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each first groove surface 32 and each second groove surface 34. In the formation of the fifth groove surface 48, a plurality of cuboid edge elements 60a, 60b, etc. (collectively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60) are produced on the machined surface 16 of each thin plate 10.
각 입방체 모서리 요소(60)는 입방체 모서리 정점(62)을 형성하도록 일 지점에서 상호 교차하는 제1 홈 표면(32)과, 제2 홈 표면(34), 그리고 제5 홈 표면(48)의 일부에 의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6 홈 표면(50)은 제3 홈 표면(40)과 제4 홈 표면(42)에 실질적으로 직각의 평면에 놓여있다. 또한, 제6 홈 표면(50)의 형성시 박판(10)의 가공 표면(16)에는 복수 개의 입방체 모서리 요소(70a, 70b 등)[통틀어 도면 부호 70으로 표시]가 생성된다. 각 입방체 모서리 요소(70)는 입방체 모서리 정점(72)을 형성하도록 일 지점에서 상호 교차하는 제3 홈 표면(40)과, 제4 홈 표면(42), 그리고 제6 홈 표면(50)의 일부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양 제5 홈 표면(48)과 제6 홈 표면(50)은 박판(10)의 가공 표면(16) 상에 복수 개의 입방체 모서리 요소를 형성한다. 그러나, 제3 홈(46)은 단지 제5 홈 표면(48) 또는 제6 홈 표면(50)이 입방체 모서리 요소를 형성하도록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Each cube edge element 60 is a portion of the first groove surface 32, the second groove surface 34, and the fifth groove surface 48 that intersect at one point to form a cube edge vertex 62. Is formed by. Likewise, the sixth groove surface 50 lies in a plan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third groove surface 40 and the fourth groove surface 42. In addition, when forming the sixth groove surface 50, a plurality of cuboid edge elements 70a, 70b, etc. (collectively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70) are generated on the machined surface 16 of the thin plate 10. Each cube edge element 70 is a portion of the third groove surface 40, the fourth groove surface 42, and the sixth groove surface 50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t one point to form a cube edge vertex 72. Is formed by. Preferably, both fifth groove surface 48 and sixth groove surface 50 form a plurality of cube edge elements on the machining surface 16 of the thin plate 10. However, the third groove 46 may optionally be formed such that only the fifth groove surface 48 or the sixth groove surface 50 forms a cube edge element.
각 입방체 모서리 요소(60, 70)의 3개의 상호 수직 방향의 광학면(32, 40, 48)과 광학면(34, 42, 50)은 각기 단일 박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개의 광학면 전부 광학적 품질 수준의 표면을 보장하도록 기계 가공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판 취급시의 정렬 문제 및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계 가공 단계 및 그 후속 단계 동안 인접한 박판 사이에 평평한 계면(12, 14)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ree mutually perpendicular optical surfaces 32, 40, 48 and the optical surfaces 34, 42, 50 of each cube edge element 60, 70 are each preferably formed in a single sheet. All three optical surfaces are preferably formed by a machining process to ensure a surface of optical quality level. In order to minimize alignment problems and damage in thin plate handling, it is desirable to maintain flat interfaces 12 and 14 between adjacent thin plates during the machining step and subsequent steps.
바람직한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박판(10)는 복수 개의 홈(46)이 형성되기에 앞서 각각의 제1 기준 평면(24)이 기준축(82)에 대략 평행하게 놓여지도록 재배향된다. 그러나, 홈(46)은 각기 그 제1 기준 평면이 기준축(82)에 대해 각도를 이루도록 배향된 박판에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조 공정에서 추가의 배향 단계를 배제하기 위하여 각도(β2)에 놓여 있는 각각의 박판(10)에 각각의 제3 홈(4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홈(46)은 또한 고정밀 기계 가공 작업에 의해 형성된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사잇각이 55.6°인 다이아몬드 절단 공구는 축선을 따라 각 박판(10)의 가공 표면(16)을 가로질러 이동되는데, 상기 축선은 실질적으로 박판(10)의 기준 평면(24)에 마련되는 것으로 베이스면(80)에 평행하다. 홈(46)은 그 각각의 홈 정점부(52)가 제1 홈 세트와 제2 홈 세트의 홈 정점부보다 약간 더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46)의 형성시 실질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표면을 갖는 복수 개의 박판(10)가 생성된다.In a preferred method,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10 are reoriented so that each first reference plane 24 lies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reference axis 82 before the plurality of grooves 46 are formed. However, the grooves 46 may each be formed in a thin plate oriented such that its first reference plane is angled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axis 82. In particular, in some embodiments, it may be desirable to form each third groove 46 in each thin plate 10 lying at an angle β 2 to exclude additional alignment step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Preferably, the grooves 46 are also formed by high precision machining operations. In the disclosed embodiment, the diamond cutting tool having a 55.6 ° angle is moved along the axis across the machining surface 16 of each thin plate 10, which axis is substantially in the reference plane 24 of the thin plate 10. It is provided and parallel to the base surface 80. The grooves 46 preferably have their respective groove vertices 52 formed slightly deeper than the groove vertices of the first and second groove sets. Upon formation of the groove 46 a plurality of thin plates 10 having a surface of a structure substantially as shown in FIG. 12 is produced.
가공 표면(16)은 재귀 반사면으로서의 여러 가지 필요한 특징을 나타낸다. 박판(10)의 가공 표면(16)에 형성되는 입방체 모서리 요소의 기하학적 형상은 그 기하학적 형상이 100%에 가까운 최대로 효과적인 구멍을 나타내기 때문에 "완전한" 또는 "고효율" 입방체 모서리 요소의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가공 표면(16)의 복제품으로서 형성되는 재귀 반사면은 대략 입방체 모서리 요소의 대칭 축선을 따라 재귀 반사면 상에 입사되는 빛에 응답하여 높은 광학 효율을 나타낸다. 또한, 입방체 모서리 요소(60, 70)는 대향하는 방위로 놓여 있으며, 제1 기준 평면(24)에 대하여 대칭적이고, 큰 도입 각도로 재귀 반사면 상에 입사되는 빛에 응답하여 대칭적인 재귀 반사 성능을 나타낸다. 그러나, 입방체 모서리 요소가 기준 평면을 중심으로 대칭일 필요는 없다.The machining surface 16 exhibits various necessary features as the retroreflective surface. The geometric shape of the cube edge element formed on the machined surface 16 of the thin plate 10 represents the geometry of the “complete” or “high efficiency” cube edge element because the geometry exhibits the most effective holes close to 100%.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Thus, the retroreflective surface formed as a replica of the processing surface 16 exhibits high optical efficiency in response to light incident on the retroreflective surface along the axis of symmetry of the cuboid edge element. In addition, the cubic edge elements 60, 70 lie in opposite orientations and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irst reference plane 24 and symmetrical retroreflective performance in response to light incident on the retroreflective surface at a large introduction angle. Indicates. However, the cube edge elements need not be symmetric about the reference plane.
도 1 내지 도 12, 그리고 도 16 내지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박판은 그 홈의 간격과 깊이 그리고 가공 표면을 제조하는 공구의 각도를 일정하게 하여 형성되므로, 입방체 모서리 요소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이러한 인자들은 입방체 모서리 요소의 크기, 형상 및 방위가 상이한 가공 표면을 제조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는 본 명세서의 영역 내에서 제조되는 예시적인 변형예의 박판이 도시되어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12 and 16-24, the thin plate is formed by keeping the spacing and depth of its grooves and the angle of the tool making the machined surface constant, so that the cube corner elements are substantially the same. Do. However, these factors can be altered to produce machined surfaces that differ in size, shape and orientation of the cube edge elements. 13-15 illustrate thin plates of exemplary variations fabricat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3에는 제1 방향으로 놓여 있는 소정 열의 입방체 모서리 요소(160a, 160b, 160c 등)[통틀어 도면 부호 160으로 표시]와, 제2 방향으로 놓여 있는 소정 열의 입방체 모서리 요소(170a, 170b, 170c 등)[통틀어 도면 부호 170으로 표시]를 포함하는 박판(11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의 박판(110)은 각종 홈 세트가 평면에서 보아 기준 평면(24)에 수직 방향이 아닌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박판(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또는 조립체의 일부로서, 각각의 기준 엣지가 빗각(φ1)으로 제3 기준 평면(28)과 교차하면서 제2 기준 평면(26)과는 직각으로 교차하는 평면에 놓이도록 제1 홈과 제2 홈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홈은 빗각(φ1)으로 제1 기준 평면(24)과 교차하는 축선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입방체 모서리 요소(160)는 박판(10) 상에서 입방체 모서리 요소(170)와 정렬되지 않는다. 박판(110)는 크기 및 형상이 가변적인 구멍을 구비한 복수 개의 입방체 모서리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멍의 크기 및 형상 변경은, 예를 들어 박판(110)의 복제품으로서 형성되는 재귀 반사 물품의 재귀 반사 패턴의 균일성을 증대시키는 것과 같은 소정의 광학적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바람직할 수도 있다.Fig. 13 shows cubic corner elements 160a, 160b, 160c, etc. (collectively denoted by 160) in a predetermined row ly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cube corner elements 170a, 170b, 170c, etc. in a predetermined row lying in the second direction. ), A thin plate 110 is shown. The thin plate 110 of FIG. 1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ous groove sets are formed at an angle other tha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plane 24 when viewed in plan. The thin plates 110, as described above, individually or as part of the assembly, cross each other at right angles to the second reference plane 26 with each reference edge intersecting the third reference plane 28 at an oblique angle φ 1 . It can be formed by forming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so as to lie in the plane. Similarly, the third groove is formed along an axis crossing the first reference plane 24 at an oblique angle φ 1 . In addition, the cube edge element 160 is not aligned with the cube edge element 170 on the sheet 10. The thin plate 110 includes a plurality of cube edge elements with holes varying in size and shape. Such changes in size and shape of the holes may be desirable to achieve certain optical objectives, such as, for example, to increase the uniformity of the retroreflective pattern of the retroreflective article formed as a replica of the thin plate 110.
도 14에는 제3 홈(246)이 제1 기준 평면(24)과 평행하기는 하지만 그 기준 평면으로부터 변위되어 있는 축선(216)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박판(210)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각도(θ1)와 각도(θ2)는 서로 상이하므로, 각각의 대향하는 입방체 모서리 요소(214, 216)의 대칭 축선이 제2 기준 평면(26)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경사지게 된다.FIG. 14 shows a thin plate 210 formed along an axis 216 where the third groove 246 is parallel to the first reference plane 24 but displaced from the reference plane. In addition, since the angle θ 1 and the angle θ 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axis of symmetry of each opposing cube edge element 214, 216 is inclined at a different ang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reference plane 26.
도 15에는 사잇각이 변화하는 공구에 의해 형성되어, 크기 및 사잇각이 변화하는 복수 개의 입방체 모서리 요소(312a, 312b, 312c, 312d, 312e, 312f)를 갖는 구조의 표면을 생성하는 제1 홈 세트 및/또는 제2 홈 세트의 홈(A1, A2, A3, A4, A5)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홈(A1, A4, A5)의 각도는 90°일 수 있는 반면, 홈(A2)의 각도는 105°이고, 홈(A3)의 각도는 75°일 수 있다. 또한, 입방체 모서리 요소(312)의 각각의 피크 및 정점은 박판(310)의 바닥면(318)으로부터 가변 거리에 놓여있다.15 shows a first set of grooves formed by a tool with varying angles to create a surface of a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cube edge elements 312a, 312b, 312c, 312d, 312e, 312f with varying sizes and angles; And / or the grooves A 1 , A 2 , A 3 , A 4 , A 5 of the second set of grooves are shown. For example, the angles of the grooves A 1 , A 4 , A 5 may be 90 °, while the angle of the grooves A 2 may be 105 ° and the angle of the grooves A 3 may be 75 °. . In addition, each peak and vertex of the cube edge element 312 lies at a variable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318 of the thin plate 310.
전술한 방법에 의해 입방체 모서리의 기하학적 형상을 다양한 범위로 제조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박판의 표면에 형성되는 입방체 모서리 요소의 크기, 방위 및 경사각은 변경할 수 있다. 박판의 복제품으로서 물품이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에는 입방체 모서리의 기하학적 형상의 복수개의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후술하는 단락에는 당업자가 각종 입방체 모서리 요소의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을 제조할 수 있도록 입방체 모서리 요소의 표면 사이의 각도 관계가 일반적으로 설명된다.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the geometric shape of the cube edges can be produced in various ranges. The size, orientation and inclination angle of the cube edge element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can be changed. The article can be made as a replica of a thin sheet. The foregoing discloses a plurality of embodiments of the geometry of the cube edges. The following paragraphs generally describe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the surfaces of the cube edge element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produce various geometric shapes of the various cube edge elements.
도 25 내지 도 27는 한 쌍의 대향하는 입방체 모서리 요소(460, 470)가 형성되어 있는 박판(410)의 가공 표면의 상면도와 측입면도이다. 박판(4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준 평면(424, 426, 428)에 의해 3차원 공간에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를 위해, 입방체 모서리 요소(460)는 3개의 실질적으로 상호 연직의 광학면(432, 434, 448)을 구비한 단위 입방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광학면(432, 434)은 기준 엣지(436)를 따라 교차하는 평행한 홈(430a, 430b)의 대향 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광학면(448)은 홈(446)의 일 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홈(430a, 430b)은 임의의 각도(φ)에서 제3 기준 평면과 교차하는 축선을 따라 연장하는 각각의 정점부(433a, 433b)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홈(446)은 임의의 각도(φ)에서 제1 기준 평면과 교차하는 축선을 따라 연장한다. 각도(φ)는 박판의 표면 상의 입방체 모서리 요소의 회전 각도이다. 기계 가공 제한 요건에 따라, 홈 세트가 기준 평면(424, 428)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축선을 따라 형성되도록 각도(φ)의 범위는 0°에서부터 거의 90°까지 변화할 수 있다. 그러나, 각도(φ)는 0°내지 45°인 것이 바람직하다.25-27 are top and side elevation views of the machined surface of the thin plate 410 on which a pair of opposing cube edge elements 460, 470 are formed. The thin plate 41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laced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by the reference planes (424, 426, 428) as described above. For illustration purposes, the cube edge element 460 can be formed as a unit cube with three substantially mutual optical surfaces 432, 434, and 448. Optical surfaces 432 and 434 are formed by opposing surfaces of parallel grooves 430a and 430b that intersect along reference edge 436. The optical surface 448 is formed by one surface of the groove 446. The grooves 430a and 430b have respective vertex portions 433a and 433b extending along an axis crossing the third reference plane at any angle φ. Likewise, the groove 446 extends along an axis crossing the first reference plane at any angle φ. The angle φ is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cube edge element on the surface of the sheet. Depending on the machining constraints, the range of angles φ may vary from 0 ° to almost 90 ° such that the groove set is formed along an axis substantially coincident with the reference planes 424, 428.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angle (phi) is 0 degrees-45 degrees.
도 26은 선(26-26)을 따라 절취한 단위 입방체(460)의 측입면도이다. 기준 평면(456)은 홈(446)의 정점부와 일치하며, 제2 기준 평면(426)에 수직 방향으로 놓여 있다. 각도(α1)는 입방체 표면(448)과 기준 평면(456) 사이의 예각을 형성한다. 홈 정점부(433a, 433b)는 제2 기준 평면(426)에 대해 예각(θ)에 놓여 있다. 도 27은 선(27-27)을 따라 절취한 단위 입방체(460)의 측입면도이다. 기준 평면(450a, 450b)은 각각 정점부(433a, 433b)와 일치한다. 각도(α2)는 입방체 표면(432)과 기준 평면(450a) 사이의 예각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각도(α3)는 입방체 표면(434)과 기준 평면(450b) 사이의 예각을 형성한다.FIG. 26 is a side elevational view of unit cube 460 taken along lines 26-26. The reference plane 456 coincides with the vertex of the groove 446 and li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reference plane 426. The angle α 1 forms an acute angle between the cube surface 448 and the reference plane 456. Groove vertices 433a and 433b lie at an acute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second reference plane 426. FIG. 27 is a side elevational view of the unit cube 460 taken along lines 27-27. Reference planes 450a and 450b coincide with vertices 433a and 433b, respectively. The angle α 2 forms an acute angle between the cube surface 432 and the reference plane 450a. Likewise, angle α 3 forms an acute angle between the cube surface 434 and the reference plane 450b.
제2 데카르트 좌표계가 단위 입방체(460)를 형성하는 기준축으로서의 홈 정점부를 사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특히, x-축선은 기준 평면(456)과 제2 기준 평면(426)과의 교차선에 평행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y-축선은 기준 평면(450b)과 제2 기준 평면(426)의 교차선에 평행하게 설정될 수 있고, z-축선은 제2 기준 평면(426)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좌표계를 채택함으로써, 표준 단위 벡터(N1, N2, N3)가 아래와 같이 각각의 단위 입방체 표면(448, 432, 434)에 대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artesian coordinate system may be set using the groove vertex as a reference axis forming the unit cube 460. In particular, the x-axis may be set parallel to the intersection of the reference plane 456 and the second reference plane 426, the y-axis being the intersection of the reference plane 450b and the second reference plane 426. It can be set parallel to the line, and the z-axis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reference plane 426. By adopting this coordinate system, standard unit vectors N 1 , N 2 , N 3 can be formed for each unit cube surface 448, 432, 434 as follows.
표면(432, 434, 448)은 실질적으로 상호 수직 방향에 놓여 있어야 한다. 따라서, 표준 벡터의 도트 곱은 제로(0)이다.Surfaces 432, 434, 448 should lie in substantially mutually perpendicular directions. Therefore, the dot product of the standard vector is zero.
따라서, 아래의 조건이 유지된다.Thus,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maintained.
각도(α1, α2, α3, θ)의 세트는 재귀 반사 입방체 모서리 요소를 형성하는 이 조건에 부합한다. 실제로, 재귀 반사 입방체 모서리를 갖는 박판의 제조는 몰드의 복제품으로서 형성되는 재귀 반사 박판의 베이스면에 대해 원하는 각도로 입방체 모서리 요소의 광축을 배향하도록 각도(α1) 값을 선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재귀 반사된 빛의 패턴 특징을 변경하도록 설계된 완전 직각으로부터 거의 편의되지 않도록 의도된 것이다.The set of angles α 1 , α 2 , α 3 , θ corresponds to this condition forming a retroreflective cube edge element. In practice, the manufacture of thin plates with retroreflective cube edges can select an angle α 1 value to orient the optical axis of the cubic edge element at a desir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ase face of the retroreflective thin plate formed as a replica of the mold. As noted above, this specification is intended to be of little deviation from a perfect right angle designed to alter the pattern characteristics of the retroreflected light.
박판은 기계 가공 가능한 플라스틱(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라프탈레이트,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금속(예를 들어, 황동, 니켈,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정밀한 허용 오차를 유지할 수 있는 치수 안정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박판의 물리적 치수는 주로 기계 가공 제한 요건에 의해 제한된다. 박판은 두께가 0.1 mm 이상이고, 높이가 5.0 내지 100.0 mm이며, 폭이 10 내지 50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측정치는 단지 예시를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제한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Sheet metal is dimensioned to maintain precise tolerances, such as machined plastic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thyl methacrylate, polycarbonate) or metals (e.g. brass, nickel, copper or aluminum). 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stability. The physical dimensions of the sheet are mainly limited by the machining constraints. The thin plate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at least 0.1 mm, a height of 5.0 to 100.0 mm, and a width of 10 to 500 mm. These measurements are provided for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재귀 반사 박판과 같은 재귀 반사 물품의 제조에 있어서, 복수 개의 박판의 구조 표면은 전기 성형법이나 다른 종래의 복제 기술을 사용하여 복제될 수 있는 마스터 몰드로서 사용된다. 복수 개의 박판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입방체 모서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크기, 기하학적 형상, 또는 방위가 가변적인 입방체 모서리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당업계에서 "스탬퍼(stamper)"라 칭하는 복제품의 구조 표면은 입방체 모서리 요소의 음각(陰刻) 영상(negative image)을 갖고 있다. 이 복사품은 재귀 반사면을 형성하는 몰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통상적으로는 복수개의 양각 또는 음각 복제품이 조합되어 재귀 반사 박판을 형성하는 데에 상당히 유용한 몰드를 형성한다. 재귀 반사 박판은 또한 예를 들어 예비 성형된 박판을 전술한 바와 같은 입방체 모서리 요소의 열로써 엠보싱 처리하거나 또는 몰드에 유체 재료를 주형 성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재귀 반사 박판은 PCT 출원 제WO 95/11464호 및 미국 특허 제3,648,348호에 교시된 바와 같이 예비 성형된 필름에 입방체 모서리 요소를 접촉시켜 주형 성형함으로써, 또는 예비 성형된 입방체 모서리 요소에 예비 성형된 필림을 적층시킴으로써 층상체(layered) 물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예로써, 이러한 박판은 마스터 몰드 상에 니켈을 전해 도금하여 형성된 니켈 몰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전기 성형 몰드는 굴절률이 약 1.59이고 두께가 대략 500㎛인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상에 몰드 패턴을 엠보싱 처리하는 스탬퍼로서 사용된다. 몰드는 압축이 대략 175 내지 20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프레스에 사용될 수 있다.In the manufacture of retroreflective articles, such as retroreflective thin plates, the structural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are used as master molds that can be replicated using electroforming or other conventional replication techniques.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may comprise substantially the same cuboid edge elements, or may comprise cuboid edge elements of varying size, geometry, or orientation. The structural surface of the replica, referred to in the art as a "stamper", has a negative image of the cuboid edge element. This copy can be used as a mold to form the retroreflective surface. More typically, however, a plurality of embossed or intaglio copies are combined to form a mold that is quite useful for forming retroreflective laminates. Retroreflective thin plates can also be produced, for example, by embossing the preformed thin plates with a row of cube edge elements as described above or by molding a fluid material in the mold. Optionally, the retroreflective sheeting may be molded by contacting a cube edge element with a preformed film as taught in PCT Application WO 95/11464 and US Pat. No. 3,648,348, or preformed with a preformed cube edge element. It can be prepared as a layered article by laminating the shaped films. By way of example, such a thin plate can be manufactured using a nickel mold formed by electroplating nickel on a master mold. The electroforming mold is used as a stamper for embossing a mold pattern on a polycarbonate film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about 1.59 and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500 mu m. The mold may be used in a press where the compression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175 to 200 ° C.
이러한 반사 박판의 제조에 유용한 재료는 치수 안정성이 있고, 내구성이며,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고, 원하는 형상으로 신속하게 성형 가능한 재료가 바람직하다. 적당한 재료의 예를 들자면, 롬 앤 하스(Rohm and Haas)사의 플렉시글라스(Plexiglas) 수지와 같이 일반적으로 굴절률이 약 1.5인 아크릴; 굴절률이 약 1.6인 열가소성 아크릴레이트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바람직하게는 방사 경화된(radiation cured)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계 이오노머(ionomer)(상품명 "서린(SURLYN)"으로 시판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그리고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가 있다. 통상 열 및 압력을 받아 성형 가능하고 일반적으로 광학적으로 투과성을 갖는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재귀 반사 박판을 형성하는 데에 적당한 다른 재료가 스미스(Smith) 등의 명의의 미국 특허 제5,450,235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박판은 착색제, 염료, UV 흡수제, 또는 다른 필요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Materials useful for the production of such reflective thin plates are those having dimensional stability, durability, which are not affected by weather, and which can be molded quickly into a desired shape. Examples of suitable materials include acrylics, which generally have a refractive index of about 1.5, such as Plexiglas resin from Rohm and Haas; Thermoplastic acrylates and epoxy acrylates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about 1.6, preferably radiation cured polycarbonates; Polyethylene-based ionomers (commercially available under the trade name "SURLYN"); Polyester; And cellulose acetate butyrate. Materials that are moldable under ordinary heat and pressure and that are generally optically transmissive may be used. Other materials suitable for forming retroreflective thin plates are disclosed in US Pat. No. 5,450,235 to Smith et al. The thin plates may also contain colorants, dyes, UV absorbers, or other necessary additives.
어떤 환경에서는 재귀 반사 박판에 백킹 층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킹 층은 총 내부 반사 원리에 따라 빛을 반사하는 재귀 반사 박판에 특히 유용하다. 적당한 백킹 층은 개시된 재귀 반사 박판과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착색 재료를 함유한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적당한 백킹 재료로는, 알루미늄 박판, 아연 도금 강철,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비닐 플루오르화물,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 염화물, 폴리우레탄과 같은 중합체성 재료, 그리고 이들 재료와 다른 재료로 제조되는 각종 라미네이트가 있다.In some circumstances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backing layer in the retroreflective sheeting. The backing layer is particularly useful for retroreflective laminates that reflect light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otal internal reflection. Suitable backing layers can be effectively combined with the disclosed retroreflective thin plates and can be made of transparent or opaque materials containing coloring materials. Suitable backing materials include aluminum sheets, galvanized steel, polymethyl methacrylates, polyesters, polyamides, polyvinyl fluorides, polycarbonates, polymeric materials such as polyvinyl chloride, polyurethane, and these and other materials. There are various laminates that are made with.
백킹 층 또는 박판은 격자 무늬로 또는 반사 요소에 적당한 어떤 다른 형상으로 밀봉될 수 있다. 밀봉은 초음파 용접, 접착제를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또는 반사 요소의 열 중의 별개의 위치에서의 가열 밀봉(미국 특허 제3,924,928호 참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밀봉은 흙 및/또는 수분과 같은 오염물의 진입을 방지하는 데에 바람직하며, 또한 입방체 모서리 요소의 반사 표면에 인접한 공간에 공기를 보존하는 데에도 바람직하다.The backing layer or sheet may be sealed in a grid or any other shape suitable for the reflective element. Sealing may be accomplished using various methods, including ultrasonic welding, adhesives, or by heat sealing at separate locations in the row of reflective elements (see US Pat. No. 3,924,928). Sealing is desirable to prevent the ingress of contaminants such as soil and / or moisture, and is also desirable to preserve air in the space adjacent to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cube edge element.
컴포짓에 강도 또는 인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부티레이트 또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된 백킹 박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되는 재귀 반사 재료의 가요성 정도에 따라, 재료는 스트립 또는 다른 적당한 구조로 말려지거나 절단될 수도 있다. 재귀 반사 재료에는 또한 접착제 및 릴리스 시트가 백킹 처리될 수 있어, 접착제를 부착하거나 다른 체결 수단을 사용하는 추가의 단계 없이도 재귀 반사 재료가 기재에 부착될 수 있게 된다.If the composite needs to be strengthened in strength or toughness, a backing sheet of polycarbonate, polybutyrate or fiber reinforced plastic can be us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flexibility of the retroreflective material so formed, the material may be rolled up or cut into strips or other suitable structures. The retroreflective material may also be backed with adhesive and release sheet, such that the retroreflective material may be attached to the substrate without the additional step of attaching the adhesive or using other fastening means.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입방체 모서리 요소는 미국 특허 제4,775,219호에 교시된 바와 같이, 물품에 의해 재귀 반사된 빛이 원하는 무늬나 발산 프로파일로 분산되도록 개별적으로 맞춤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홈의 반각 오차는 ±20 arc minute 이하이며, 종종 ±5 arc minute 이하이다.The cube corner elements disclosed herein can be individually tailored such that light retroreflected by the article is dispersed in a desired pattern or divergence profile, as taught in US Pat. No. 4,775,219. Typically, half-angle errors of grooves are less than ± 20 arc minute, often less than ± 5 arc minute.
실시예Example
길이가 127.0 mm이며, 높이가 25.4 mm이고, 두께가 0.508 mm인 대략 25개의 박판을 실질적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물로 조립하였다. 박판은 70/30 황동으로 형성하였으며, 복수 개의 박판의 제1 주표면과 제2 주표면은 표면 거칠기가 대략 0.005 내지 0.025 미크론이 되도록 연마하였다. 정밀하게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한 웨지 블록을 그 경사면이 고정물의 베이스면에 연직의 기준축으로부터 27.8°의 각도에 놓여지는 고정 위치에서 조립체에 유지하여, 복수 개의 박판의 각각의 제1 기준 평면이 기준축으로부터 27.8°의 각도에 놓여지도록 하였다. 제1 홈 세트는 박판의 주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의 축선을 따라 복수 개의 박판을 횡단하여 다이아몬드 기계 가공 공구를 이동시켜 형성하였다. 홈은 대략 0.154 mm의 깊이로 균일하게 형성하였으며, 홈 정점부는 대략 0.308 mm의 거리로 떨어져 있도록 하였다.Approximately 25 thin plates, 127.0 mm in length, 25.4 mm in height, and 0.508 mm in thickness, were assembled into a fixture substantially as shown in FIG. 16. The thin plates were formed of 70/30 brass, and the first and second majo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were polished to have a surface roughness of approximately 0.005 to 0.025 microns. A wedge block having a precisely formed inclined surface is held in the assembly at a fixed position in which the inclined surface lies at an angle of 27.8 ° from the vertical reference axis to the base surface of the fixture, so that each first reference plane of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The angle was set at an angle of 27.8 ° from the axis. The first set of grooves were formed by moving a diamond machining tool across a plurality of thin plates along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surface of the thin plates. The grooves were formed uniformly to a depth of approximately 0.154 mm and the groove vertices were spaced at a distance of approximately 0.308 mm.
그 후, 복수 개의 박판을 고정물로부터 분리시키고, 복수 개의 박판의 제1 기준 평면이 기준축으로부터 27.8°의 각도에 놓여지도록 배치하였다. 제2 홈 세트를 박판의 주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의 축선을 따라 복수 개의 박판을 횡단하여 다이아몬드 기계 가공 공구를 이동시켜 형성하였다. 홈은 대략 0.154 mm의 깊이로 균일하게 형성하였으며, 홈 정점부는 대략 0.308 mm의 거리로 떨어져 있도록 하였다. 또한, 홈은 제1 홈 세트의 대응 홈의 축선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의 축선을 따라 형성하였다.Thereafter,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was separated from the fixture and placed so that the first reference planes of the plurality of thin plates were placed at an angle of 27.8 ° from the reference axis. A second set of grooves was formed by moving a diamond machining tool across a plurality of thin plates along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surface of the thin plates. The grooves were formed uniformly to a depth of approximately 0.154 mm and the groove vertices were spaced at a distance of approximately 0.308 mm. The grooves were also formed along an axis substantially coplanar with the axis of the corresponding groove of the first set of grooves.
복수 개의 박판을 고정물로부터 분리시키고, 각각의 박판의 제1 기준 평면이 고정물의 베이스면에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이 되도록 재배치하였다. 그 후, 제3 홈 세트를 조립체의 각 박판의 제1 기준 평면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축선을 따라 55.6°의 경사각으로 다이아몬드 기계 가공 공구를 이동시켜 형성하였다. 이 기계 가공 단계에 의해 실질적으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적으로 대향하는 입방체 모서리 요소의 열의 양각 이미지를 갖는 가공 표면이 형성되었다.The plurality of thin plates was separated from the fixture and rearranged such that the first reference plane of each thin plate wa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base surface of the fixture. A third set of grooves was then formed by moving the diamond machining tool at an inclination angle of 55.6 ° along an axis substantially coincident with the first reference plane of each thin plate of the assembly. This machining step resulted in a machining surface having an embossed image of a row of optically opposed cube edge elements as substantially shown in FIG. 24.
그 후, 박판을 조립체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하고, 고정물에서 재조립하여 마스터 공구를 형성하였다. 니켈의 화학적 증착을 사용하여 마스터 공구의 표면으로부터 니켈 스탬퍼 공구를 형성하였다. 눈부신 빛에 대한 거울과 같은 니켈 표면의 반사 계수는 약 0.62 내지 약 0.64이다. 니켈 스탬퍼를 약 0°의 배향 각도와 약 -4°의 도입 각도로 배열하고 이에 대해 광 복귀율을 측정하였다. 광 복귀율 데이타를 직경이 약 26.99 mm(1.0625 inch)인 원형 영역에 일치하도록 조절하였다. 다양한 관찰 각도에 대한 빛 복귀 증분율과 누적율을 아래의 표 1에 표시하였다.The thin plates were then removed from the assembly, washed and reassembled in the fixture to form a master tool. Nickel stamper tools were formed from the surface of the master tool using chemical vapor deposition of nickel. The reflection coefficient of the nickel surface, such as a mirror for dazzling light, is about 0.62 to about 0.64. The nickel stamper was arranged at an orientation angle of about 0 ° and an introduction angle of about -4 ° and the light return rate was measured for this. The light recovery rate data was adjusted to match a circular area of about 26.99 mm (1.0625 inch) in diameter. The light return increments and cumulative rates for various observation angles are shown in Table 1 below.
비교를 위해, 후프만(Hoopman) 명의의 미국 특허 제4,588,258호에 따른 기본 삼각형의 각도가 약 70°-55°-55°인 절두 원추형 입방체 모서리 요소를 구비한 재귀 반사 박판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된 니켈 스탬퍼 공구에 대한 광 복귀율을 측정하였다. 스템퍼 공구를 그 배향 각도가 약 180°이고 도입 각도가 약 -4°가 되도록 배치하였다. 빛 복귀율 데이타는 직경이 약 26.99 mm(1.0625 inch)인 원형 영역에 대한 것이다. 다양한 관찰 각도에 대한 빛 복귀 증분율과 누적율을 아래의 표 2에 표시하였다.For comparison, it is used to produce a retroreflective sheet with a truncated conical cuboid corner element with a basic triangle angle of about 70 ° -55 ° -55 ° according to Hoopman's US Pat. No. 4,588,258. The light recovery rate for the nickel stamper tool was measured. The stamper tool was positioned such that its orientation angle was about 180 ° and the introduction angle was about −4 °. The light recovery rate data is for a circular area about 26.99 mm (1.0625 inch) in diameter. The light return increments and cumulative rates for various observation angles are shown in Table 2 below.
지금까지 본 발명을 그 복수개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하였다. 당업자라면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남이 없이 기술된 실시예에서 다양한 변경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영역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람직한 구조 및 방법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아래의 청구범위의 폭넓은 영역에 의해 제한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lurality of embodiments so fa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in the 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preferred structures and methods described herein, but by the broad scope of the claims below.
Claims (4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US88607497A | 1997-07-02 | 1997-07-02 | |
| US08/886,074 | 1997-07-02 | ||
| PCT/US1998/012459 WO1999001275A1 (en) | 1997-07-02 | 1998-06-12 | Cube corner sheeting mol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10014414A true KR20010014414A (en) | 2001-02-26 |
| KR100573526B1 KR100573526B1 (en) | 2006-04-26 |
Family
ID=2538831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997012598A Expired - Lifetime KR100573526B1 (en) | 1997-07-02 | 1998-06-12 | Cube corner sheeting mol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4)
| Country | Link |
|---|---|
| US (3) | US6257860B1 (en) |
| EP (1) | EP1017557B1 (en) |
| JP (1) | JP4235750B2 (en) |
| KR (1) | KR100573526B1 (en) |
| CN (1) | CN1105637C (en) |
| AT (1) | ATE284306T1 (en) |
| AU (1) | AU728328B2 (en) |
| BR (1) | BR9810229A (en) |
| CA (1) | CA2294762A1 (en) |
| DE (1) | DE69828070T2 (en) |
| IL (1) | IL133857A0 (en) |
| NO (1) | NO996562L (en) |
| TR (1) | TR199903340T2 (en) |
| WO (1) | WO1999001275A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30222B1 (en) * | 2003-03-06 | 2013-02-05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 Lamina comprising cube corner elements and retroreflective sheeting |
| US8419197B2 (en) | 2003-03-06 | 2013-04-16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Retroreflective sheeting including cube corner element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015214A (en) * | 1996-05-30 | 2000-01-18 | Stimsonite Corporation | 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microcubes, and tools and methods for forming microcubes |
| US6253442B1 (en) * | 1997-07-02 | 2001-07-03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Retroreflective cube corner sheeting mold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IL133857A0 (en) * | 1997-07-02 | 2001-04-30 | Minnesota Mining & Mfg | Cube corner sheeting mol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US6540367B1 (en) | 1999-04-07 | 2003-04-01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Structured surface articles containing geometric structures with compound fac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
| US8728610B2 (en) | 2000-02-25 | 2014-05-20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Compound mold and structured surface articles containing geometric structures with compound faces and method of making same |
| US6700712B2 (en) | 2001-11-13 | 2004-03-02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Multidirectional single surface optically shaped film |
| DE10216579A1 (en) * | 2002-04-14 | 2003-10-23 | Sen Hans-Erich Gubela | Wide-angle sensor system with triple reflector and production of the tools |
| EP1512035B1 (en) * | 2002-06-11 | 2009-08-19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Methods of making a master and replicas thereof |
| US6884371B2 (en) | 2003-03-06 | 2005-04-26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Method of making retroreflective sheeting and articles |
| US7174619B2 (en) * | 2003-03-06 | 2007-02-13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Methods of making microstructured lamina and apparatus |
| US7201485B1 (en) * | 2003-08-15 | 2007-04-10 | University Of South Florida | Corner cube retroreflector |
| US7677146B2 (en) * | 2006-05-10 | 2010-03-16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Cutting tool using one or more machined tool tips in a continuous or interrupted cut fast tool servo |
| US8215943B2 (en) * | 2006-06-01 | 2012-07-10 | Avery Dennison Corporation | Heat-transfer label assembly and apparatus for applying heat-transfer labels |
| JP5091864B2 (en) | 2006-08-22 | 2012-12-05 |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 Triangular pyramid cube corner retroreflective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US7628100B2 (en) * | 2007-01-05 | 2009-12-08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Cutting tool using one or more machined tool tips with diffractive features in a continuous or interrupted cut fast tool servo |
| US7506987B2 (en) * | 2007-03-02 | 2009-03-24 | Technology Solutions & Invention Llc | Two-sided corner-cube retroreflecto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
| WO2009028162A1 (en) * | 2007-08-24 | 2009-03-05 | Nippon Carbide Industries Co., Inc | Cube corner retroreflective article |
| US7669508B2 (en) * | 2007-10-29 | 2010-03-02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Cutting tool using one or more machined tool tips with diffractive features |
| US20090147361A1 (en) * | 2007-12-07 | 2009-06-11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Microreplicated films having diffractive features on macro-scale features |
| TW200946975A (en) * | 2008-04-02 | 2009-11-16 | 3M Innovative Properties Co | Methods and systems for fabricating optical films having superimposed features |
| KR101609400B1 (en) * | 2008-04-02 | 2016-04-05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 Light directing film or light directing article |
| US8371703B2 (en) | 2008-10-22 | 2013-02-12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Retroreflective sheeting |
| WO2011026237A1 (en) | 2009-09-01 | 2011-03-10 | Dbm Reflex Entreprises Inc. | Multi-color vehicle lens having interconnected tir reflecting prisms |
| EP2518504A1 (en) | 2011-04-29 | 2012-10-31 | Miltenyi Biotec GmbH | A method for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zation of antigen-specific T cells recognizing a specific antigen |
| WO2012166448A1 (en) | 2011-05-31 | 2012-12-06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composite cube-corners and methods of making |
| KR20140035454A (en) | 2011-05-31 | 2014-03-21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 Method for making microstructured tools having discontinuous topographies, articles produced therefrom |
| EP2714358B1 (en) | 2011-05-31 | 2020-02-19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Methods for making differentially pattern cured microstructured articles |
| WO2014104781A1 (en) * | 2012-12-28 | 2014-07-03 | 미래나노텍 주식회사 | Retro reflection sheet using cube corner having modified structure |
| MX351877B (en) | 2013-03-15 | 2017-11-01 | 3M Innovative Properties Co | Microtiled prismatic cube corner articles. |
| US20160011346A1 (en) | 2014-07-14 | 2016-01-14 | Sergiy Vasylyev | High incidence angle retroreflective sheeting |
| CA3144994A1 (en) * | 2014-11-20 | 2016-05-26 | Steven R. Chapman | Tiled retroreflector with multi-stage dicing |
| CN106238582B (en) * | 2016-09-19 | 2017-12-08 | 哈尔滨工业大学 | A kind of mould using metal foil/deployable bay section of thin plate making space |
| JP6846530B2 (en) | 2017-02-14 | 2021-03-24 |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 Security article with a group of microstructures manufactured by end milling |
| US10444615B2 (en) | 2017-08-29 | 2019-10-15 | Avery Dennison Corporation | Retroreflective sheeting for projector-based display system |
| CN111065487B (en) | 2017-09-11 | 2022-08-19 | 美国奥拉福有限公司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etroreflector prism having polygonal diaphragm |
| KR20230056694A (en) * | 2020-08-27 | 2023-04-27 | 오러 옵티칼 시스템즈, 엘피 | Microprism retroreflective mold, sheet and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7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835648A (en) | 1906-03-13 | 1906-11-13 | Zeiss Carl Fa | Reflector. |
| US1591572A (en) * | 1925-02-05 | 1926-07-06 | Jonathan C Stimson |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central triple reflectors |
| US1906655A (en) | 1928-11-03 | 1933-05-02 | Stimson Jonathan Cass |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reflecting devices |
| US2205638A (en) | 1938-01-03 | 1940-06-25 | Jonathan C Stimson | Reflecting device |
| US2538638A (en) | 1939-07-17 | 1951-01-16 | Wilson Herbert Frederick | Mold for making reflectors |
| US2723595A (en) | 1951-12-26 | 1955-11-15 | Rupert Richard | Reflecting device |
| US3069721A (en) | 1960-03-04 | 1962-12-25 | Ciba Ltd | Tools for making surface patterns |
| FR1289029A (en) | 1961-04-17 | 1962-03-30 | Improvement in obtaining molded parts with optical surfaces | |
| US3190178A (en) | 1961-06-29 | 1965-06-22 | Minnesota Mining & Mfg | Reflex-reflecting sheeting |
| US3277535A (en) | 1963-10-21 | 1966-10-11 | Continental Reflectors Inc | Molding apparatus for reflecting devices |
| US3363875A (en) | 1963-12-05 | 1968-01-16 | Hedgewick Peter | Molding apparatus for reflectors |
| US3417959A (en) | 1966-11-14 | 1968-12-24 | Minnesota Mining & Mfg | Die for forming retro-reflective article |
| US4208090A (en) | 1967-03-24 | 1980-06-17 | Amerace Corporation | Reflector structure |
| US3443281A (en) | 1967-07-24 | 1969-05-13 | Rupert Mfg Co | Molding pin,matrix,and molding assembly for manufacture of reflective devices |
| US3541606A (en) | 1967-10-16 | 1970-11-17 | Amerace Esna Corp | Reflectorized vehicles and reflectors therefor |
| US3922065A (en) | 1968-05-31 | 1975-11-25 | Minnesota Mining & Mfg | Cube-corner retro-reflective article |
| DE1917292A1 (en) | 1969-04-03 | 1970-10-15 | Hans Hillesheim | Reflective prism-former manufacture |
| US3649153A (en) | 1969-11-04 | 1972-03-14 | Peter E Brudy | Faceted core |
| US3632695A (en) | 1970-03-05 | 1972-01-04 | Reflex Corp Canada Ltd | Making a combined lens and reflector |
| US3899154A (en) | 1970-09-05 | 1975-08-12 | Ichikoh Industries Ltd | Light reflector mold |
| US3810804A (en) | 1970-09-29 | 1974-05-14 | Rowland Dev Corp | Method of making retroreflective material |
| US3684348A (en) | 1970-09-29 | 1972-08-15 | Rowland Dev Corp | Retroreflective material |
| US3712706A (en) | 1971-01-04 | 1973-01-23 | American Cyanamid Co | Retroreflective surface |
| US3873184A (en) | 1973-02-16 | 1975-03-25 | Amerace Esna Corp | Reflector with interspersed angled reflex elements |
| US3923378A (en) | 1973-04-24 | 1975-12-02 | Amerace Corp | Cube-corner reflector with non-aligned cube axes and element axes |
| US3926402A (en) | 1973-04-24 | 1975-12-16 | Amerace Corp | Pin having nonaligned cube axis and pin axis and bundle of such pins |
| US3948714A (en) | 1973-05-23 | 1976-04-06 | Firma Hans Gubela | Large-area reflectors from plastics |
| USRE29396E (en) | 1975-02-18 | 1977-09-13 | Amerace Corporation | Pin having nonaligned cube axis and pin axis and bundle of such pins |
| US3924928A (en) | 1975-03-12 | 1975-12-09 | Robert C Trimble | Attachment for reflectors for spoke wheels |
| US4025159A (en) | 1976-02-17 | 1977-05-24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Cellular retroreflective sheeting |
| US4066331A (en) | 1976-06-25 | 1978-01-03 | Beatrice Foods Co. | Cube corner type retroreflectors with improved cube corner unit relationships |
| US4066236A (en) | 1976-06-25 | 1978-01-03 | Beatrice Foods Co. | Cube corner type retroreflector bodies and molds made therewith |
| US4095773A (en) | 1976-11-18 | 1978-06-20 | Beatrice Foods Co. | Subassemblies for cube corner type retroreflector molds |
| US4478769A (en) | 1982-09-30 | 1984-10-23 | Amerace Corporation | Method for forming an embossing tool with an optically precise pattern |
| US4601861A (en) | 1982-09-30 | 1986-07-22 | Amerace Corporation | Methods and apparatus for embossing a precision optical pattern in a resinous sheet or laminate |
| US5156863A (en) * | 1982-09-30 | 1992-10-20 | Stimsonite Corporation | Continuous embossing belt |
| US4588258A (en) | 1983-09-12 | 1986-05-13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Cube-corner 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wide angularity in multiple viewing planes |
| IT8383524A0 (en) | 1983-12-27 | 1983-12-27 | Seima Italiana Spa | BARS FOR REFLECTORS. |
| US4775219A (en) * | 1986-11-21 | 1988-10-04 |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 Cube-corner 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tailored divergence profiles |
| US5066098A (en) | 1987-05-15 | 1991-11-19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Cellular encapsulated-lens high whiteness retroreflective sheeting with flexible cover sheet |
| US5138488A (en) | 1990-09-10 | 1992-08-11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Retroreflective material with improved angularity |
| US5300263A (en) | 1992-10-28 | 1994-04-05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Method of making a microlens array and mold |
| DE4410994C2 (en) | 1992-10-30 | 1996-01-25 | Gubela Sen Hans Erich | Body or component of a strand-shaped triple reflector and tool element for molding triple reflectors |
| DE4236799C2 (en) * | 1992-10-30 | 1994-09-08 | Gubela Sen Hans Erich | Process for producing an impression tool with a cube-shaped surface for producing high-performance triple reflectors |
| DE4240680C2 (en) | 1992-12-03 | 1996-12-19 | Gubela Sen Hans Erich | Reflector surface consisting of a large number of microtrips |
| DE9217179U1 (en) | 1992-12-16 | 1993-04-22 | Gubela Sen., Hans-Erich, 77871 Renchen | Micro double triple surfaces |
| WO1994018581A1 (en) | 1993-01-30 | 1994-08-18 | Kernforschungszentrum Karlsruhe Gmbh | Shaping tool, process for producing it and triple mirror |
| DE69411936T2 (en) | 1993-10-20 | 1999-04-08 | Minnesota Mining And Mfg. Co., Saint Paul, Minn. | ULTRAFLEXIBLE RETRORE-REFLECTIVE CUBED COMPOSITE FILM AND PRODUCTION METHOD |
| US5691846A (en) | 1993-10-20 | 1997-11-25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Ultra-flexible retroreflective cube corner composite sheetings and methods of manufacture |
| EP0724733B1 (en) | 1993-10-20 | 2001-09-26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Multiple structure cube corner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e |
| US5585164A (en) | 1993-10-20 | 1996-12-17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Dual groove set retroreflective cube corner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e |
| US5600484A (en) | 1993-10-20 | 1997-02-04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Machining techniques for retroreflective cube corner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e |
| US5564870A (en) | 1993-10-20 | 1996-10-15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Method of manufacturing an asymmetric cube corner article |
| US5450235A (en) | 1993-10-20 | 1995-09-12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Flexible cube-corner retroreflective sheeting |
| US5512219A (en) | 1994-06-03 | 1996-04-30 | Reflexite Corporation | Method of casting a microstructure sheet having an array of prism elements using a reusable polycarbonate mold |
| DE4429683C1 (en) | 1994-08-22 | 1996-03-21 | Gubela Sen Hans Erich | Strip formed triple optical reflector and machining process |
| US5565151A (en) | 1994-09-28 | 1996-10-15 | Reflexite Corporation | Retroreflective prism structure with windows formed thereon |
| JPH08309851A (en) | 1995-05-17 | 1996-11-26 | Idemitsu Petrochem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lanar thermoplastic resin having embossed pattern |
| CN1147741C (en) * | 1995-06-09 | 2004-04-28 | 美国3M公司 | Cube corner article with improved entrance angle in single or multiple planes |
| JP3310297B2 (en) | 1995-07-28 | 2002-08-05 |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 Micro prism matrix |
| WO1997004939A1 (en) | 1995-07-28 | 1997-02-13 | Nippon Carbide Kogyo Kabushiki Kaisha | Microprism matrix manufacturing method |
| WO1997027035A1 (en) * | 1996-01-26 | 1997-07-31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Stacked laminate mold and method of making |
| US6159407A (en) | 1996-01-26 | 2000-12-12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Stacked laminate mold and method of making |
| US6015214A (en) | 1996-05-30 | 2000-01-18 | Stimsonite Corporation | 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microcubes, and tools and methods for forming microcubes |
| US5734501A (en) | 1996-11-01 | 1998-03-31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Highly canted retroreflective cube corner article |
| DE29701903U1 (en) | 1997-02-04 | 1997-03-27 | IMOS Gubela GmbH, 77871 Renchen | Metrology retro reflector |
| IL133857A0 (en) | 1997-07-02 | 2001-04-30 | Minnesota Mining & Mfg | Cube corner sheeting mol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US5981032A (en) | 1997-07-02 | 1999-11-09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Retroreflective cube corner sheeting mold and sheeting formed therefrom |
| US6253442B1 (en) | 1997-07-02 | 2001-07-03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Retroreflective cube corner sheeting mold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US5898523A (en) | 1997-07-02 | 1999-04-27 |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 Tiled retroreflective sheeting composed of highly canted cube corner elements |
-
1998
- 1998-06-12 IL IL133857A patent/IL133857A0/en unknown
- 1998-06-12 DE DE69828070T patent/DE69828070T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06-12 AT AT98930255T patent/ATE284306T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06-12 BR BR9810229-0A patent/BR9810229A/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06-12 WO PCT/US1998/012459 patent/WO1999001275A1/en active IP Right Grant
- 1998-06-12 CA CA002294762A patent/CA2294762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8-06-12 JP JP50718499A patent/JP4235750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06-12 AU AU79689/98A patent/AU728328B2/en not_active Ceased
- 1998-06-12 EP EP98930255A patent/EP1017557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06-12 TR TR1999/03340T patent/TR199903340T2/en unknown
- 1998-06-12 CN CN98808612A patent/CN1105637C/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06-12 KR KR1019997012598A patent/KR100573526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
- 1999-12-29 NO NO996562A patent/NO996562L/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0
- 2000-08-09 US US09/636,730 patent/US6257860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8-09 US US09/636,520 patent/US6318987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1
- 2001-09-27 US US09/965,389 patent/US6386855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30222B1 (en) * | 2003-03-06 | 2013-02-05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 Lamina comprising cube corner elements and retroreflective sheeting |
| US8419197B2 (en) | 2003-03-06 | 2013-04-16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Retroreflective sheeting including cube corner elements |
| KR101257631B1 (en) * | 2003-03-06 | 2013-04-29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 Lamina comprising cube corner elements and retroreflective sheeting |
| KR101285682B1 (en) * | 2003-03-06 | 2013-07-12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 Lamina comprising cube corner elements and retroreflective sheeting |
| US8851686B2 (en) | 2003-03-06 | 2014-10-07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Retroreflective sheeting including cube corner elements |
| US8998428B2 (en) | 2003-03-06 | 2015-04-07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Retroreflective sheeting including cube corner elements |
| US10101509B2 (en) | 2003-03-06 | 2018-10-16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Retroreflective sheeting including cube corner elements |
| US10495792B2 (en) | 2003-03-06 | 2019-12-03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Retroreflective sheeting including cube corner elements |
| US10884166B2 (en) | 2003-03-06 | 2021-01-05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Retroreflective sheeting including cube corner element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JP4235750B2 (en) | 2009-03-11 |
| ATE284306T1 (en) | 2004-12-15 |
| US6257860B1 (en) | 2001-07-10 |
| TR199903340T2 (en) | 2001-06-21 |
| NO996562L (en) | 2000-03-01 |
| EP1017557B1 (en) | 2004-12-08 |
| AU7968998A (en) | 1999-01-25 |
| KR100573526B1 (en) | 2006-04-26 |
| AU728328B2 (en) | 2001-01-04 |
| NO996562D0 (en) | 1999-12-29 |
| DE69828070D1 (en) | 2005-01-13 |
| DE69828070T2 (en) | 2005-12-08 |
| BR9810229A (en) | 2000-08-08 |
| IL133857A0 (en) | 2001-04-30 |
| EP1017557A1 (en) | 2000-07-12 |
| CN1105637C (en) | 2003-04-16 |
| CN1268921A (en) | 2000-10-04 |
| US6318987B1 (en) | 2001-11-20 |
| US20020028263A1 (en) | 2002-03-07 |
| JP2002507945A (en) | 2002-03-12 |
| US6386855B1 (en) | 2002-05-14 |
| WO1999001275A1 (en) | 1999-01-14 |
| CA2294762A1 (en) | 1999-01-1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573526B1 (en) | Cube corner sheeting mol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 US6447878B1 (en) | Retroreflective cube corner sheeting mold and sheeting formed therefrom | |
| US6253442B1 (en) | Retroreflective cube corner sheeting mold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 US6533887B1 (en) | Retroreflective cube corner sheeting, molds therefor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 |
| EP0991963B1 (en) | Tiled retroreflective sheeting composed of highly canted cube corner elements | |
| MXPA00000089A (en) | Cube corner sheeting mol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1999123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6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18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4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3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3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date: 20181212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