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17729A - 촉각 및 음성 인터페이스기반의 시각장애인용 정보단말기 - Google Patents

촉각 및 음성 인터페이스기반의 시각장애인용 정보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7729A
KR20010017729A KR1019990033393A KR19990033393A KR20010017729A KR 20010017729 A KR20010017729 A KR 20010017729A KR 1019990033393 A KR1019990033393 A KR 1019990033393A KR 19990033393 A KR19990033393 A KR 19990033393A KR 20010017729 A KR20010017729 A KR 20010017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ctile
braille
visually impaired
information terminal
vo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헌주
장병태
박찬용
성만규
이의택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90033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7729A/ko
Publication of KR20010017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72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7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both tactile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촉각 및 청각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전자화된 정보(텍스트, 이미지)를 접할 수 있고 휴대가 가능한 소형화, 저전력화된 고기능의 촉각 및 음성 인터페이스 기반의 시각장애인용 정보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촉각 및 음성 인터페이스 기반의 시각장애인용 정보단말기는, 시각장애인용 표준 점자키보드와; 입력되는 점자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디코딩하여 3차원의 이미지로 표현하는 촉각생성기; 및 상기 점자키보드 및 촉각생성기와 인터페이스되며 시각장애인용 웹브라우저를 통해 웹 접속이 가능하고, 점자와 문자를 번역/역번역하여 상기 촉각생성기에 점자데이터나 영상데이터를 출력하고, 문자를 음성합성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정보처리소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촉각 및 음성 인터페이스기반의 시각장애인용 정보단말기 {Tactile and voice interface based information system for the blind}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촉각 및 청각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전자화된 정보(텍스트, 이미지)를 접할 수 있고 휴대가 가능한 소형화, 저전력화된 고기능의 촉각 및 음성 인터페이스 기반의 시각장애인용 정보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음성, 문자, 그림, 영상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서비스가 발달함에 따라 사회복지 실현의 차원에서 장애인을 위하여 이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정보단말기에 대한 요구가 절실해지고 있다.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정보단말기는 특히 청각과 촉감 등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강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적용함으로서 사용자가 지닌 제한적 능력을 보완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시각장애인이 전자화된 정보(텍스트, 이미지)나 인터넷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한 관련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시각장애자용 정보단말기로서, 미국의 스탠포드(Stanford)대학 음향 및 음악 컴퓨터연구센터(CCRMA)에서는 시각 장애자를 위한 스크린을 통하여 3차원의 그래픽 모형을 촉감에 의해 인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미국의 Blazie Eng. 사는 점자 입, 출력 및 합성음(영문지원) 출력형태의 시각 장애인용 정보단말기를 상용화하여 제품 판매 중에 있다.
또한, 미국의 TiNi Alloy 사는 5x6 어레이 형태의 촉각 생성기를 개발 중이나 핀 구동기의 소형화 문제로 상용화 시기가 늦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일본의 쓰꾸바 대학에서는 인터넷 상의 3차원 그래픽 모형을 촉감에 의해 인식할 수 있는 헵틱웹(HapticWeb)과 촉감을 지원하는 3차원의 메뉴 시스템에 대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외에도 미국 카네기 멜론대학, 엠아이티(MIT)의 Touch Lab., 맥길(McGill) 대학, 및 샌디에고 슈퍼컴퓨터센터 등에서 촉각 인터페이스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시각장애자용 정보단말기에 대한 국내기술로서, (구)시스템공학연구소에서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와 음성 인식을 이용한 컴퓨터 문서편집 및 출력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는 필담 전화기, 음성낭독기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또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음성인식 인터페이스기술이 산업계를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진행 중이며 인식율이 90%를 상회한다. 또한, 충북대학교 컴퓨터과학과 김석일교수팀과 청주맹인학교에서는 시각 장애자용 응용소프트웨어(application S/W)를 개발하기 위하여 약 5년 이상의 장기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바, 문자의 점자 번역과 관련한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현재까지 시각장애자용 단말기는 점자디스플레이(Braille Display), 점자키보드(Braille Keyboard) 등을 이용한 텍스트 판독기(Text Reader)나 워드프로세서(word Processor) 용도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만을 가지는 시각장애자용 단말기들은 다양한 정보의 접근을 위한 정보단말기로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없다. 즉, 시각장애자에게는 음성의 사용기술과 더불어 다양한 촉각 인식기술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촉각 인식기술의 대부분은 문자정보에 대한 인식수준으로 영상정보에 대한 촉각정보를 생성하거나 인식하는 기술을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는 인간의 촉각을 이용한 정보통신장비의 인터페이스 기술은 전무한 실정으로서, 촉각을 이용한 문자인식, 영상형태인식, 음성인터페이스가 통합된 시각장애자용 정보단말기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기술들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촉각 인터페이스기술, 음성인식 및 합성기술 등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음성 유저인터페이스(VUI:Voice User Interface) 기능과, 촉감 유저인터페이스(TUI:Tactile User Interface)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청각 및 촉감을 이용하여 전자화된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촉각 및 음성 인터페이스 기반의 시각장애인용 정보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정보단말기의 구성도,
도 2은 도 1에 도시된 시각장애인용 정보처리소자의 하드웨어를 도시한 세부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각장애인용 정보처리소자의 소프트웨어를 도시한 세부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촉각 생성기 12 : 점자키보드
13 : 정보처리소자 14 : 스피커
21 : 프로세서모듈 22 : 사운드카드
23 : 촉각컨트롤러 24 : 배터리
25 : 촉각생성기 26 : 점자키보드
27 : 키보드 컨트롤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각장애인용 표준 점자키보드와; 입력되는 점자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디코딩하여 3차원의 이미지로 표현하는 촉각생성기; 및 상기 점자키보드 및 촉각생성기와 인터페이스되며 시각장애인용 웹브라우저를 통해 웹 접속이 가능하고, 점자와 문자를 번역/역번역하여 상기 촉각생성기에 점자데이터나 영상데이터를 출력하고, 문자를 음성합성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정보처리소자를 포함한 촉각 및 음성 인터페이스 기반의 시각장애인용 정보단말기가 제공된다.
양호하게는, 상기 점자키보드는 6개의 점자키와 스페이스바를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촉각생성기는, 3차원 이미지 생성이 가능하도록 핀의 다단계운동이 가능하며, 바이모프(Bimorph) 방식의 구동기를 사용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정보처리소자는 리튬-이온(Li-Ion) 배터리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촉각 및 음성 인터페이스 기반의 시각장애인용 정보단말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촉각 및 음성 인터페이스 기반의 시각장애인용 정보단말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3차원 촉각 유저인터페이스(TUI: Tactile User Interface)와 음성 유저인터페이스(VUI: Voice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문자 및 영상을 촉각으로 인식하고, 문자 정보의 합성음을 지원하는 소형, 저전력의 휴대형 시각장애인용 정보단말기를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정보단말기는, 시각장애인용 촉각 생성기(11)와, 점자키보드(12), 정보처리소자(13), 스피커(14), 및 다수의 외부장비들로 구성된다.
시각장애인용 촉각생성기(tactile device)(11)는 어레이(array)방식으로 점자패드의 확장 및 축소가 자유롭고, 단순한 핀의 상하 운동(on-off)뿐만 아니라 다단계 운동이 가능하다. 이 촉각생성기(11)는 점자 뿐만 아니라 텍스트의 이미지 출력, 그래픽 데이터 등의 간단한 이미지 출력이 가능하고, 바이모프(Bimorph) 방식의 구동기를 사용한다. 또한, 촉각생성기(11) 내부의 인터페이스소자를 통해 정보처리소자(13)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서 컨트롤러가 이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시각장애인용 점자키보드(braille keyboard)(12)는 시각장애인 전용의 표준 점자키보드로서 6개의 키보드로 구성된다. 컨트롤러는 키보드 입력데이터를 인코딩하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처리소자(13)와 인터페이스한다.
시각장애인용 정보처리소자(13)는 저전력의 컴퓨터 프로세스, 램(RAM), 롬(ROM),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 등에 운영체계(OS)가 설치, 운영되어 기존의 컴퓨터 장치와 유사하다. 이 정보처리소자(13)에는 점자의 변환/역변환 엔진, 음성합성 엔진 등이 탑재된다. 또한, 네트워크 모듈과 시각장애인용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웹 접속이 가능하며 데이터의 다운로드(download) 및 업로드(upload)가 가능하다. 또한, 정보처리소자는 입출력(I/O) 포트를 통해 시각장애인용 촉각생성기 및 점자키보드와 인터페이스하며, 사운드 기능을 이용하여 음성 합성 및 스피커(14)로의 출력이 가능하다. 이 정보처리소자는 자체 내장 배터리(Battery)를 이용하여 휴대가 가능하며, 외부 장비로 데스크탑 PC(15), braille Lite 40(16), 및 점자프린터(17) 등과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다.
상기한 시각장애인용 정보처리소자에는 점자변환/역변환 엔진과 음성합성 엔진이 포함되는 바, 이 정보처리소자의 소프트웨어는 기존의 운영체계를 활용한다. 이 정보처리소자의 소프트웨어에는 점자/문자를 번역/역번역하는 소프트웨어와, 음성합성 소프트웨어, 시각장애인용 웹브라우저, 촉각생성기 및 점자키보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동 소프트웨어, 및 시각장애인에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소프트웨어 등을 포함한다. 이 기본 소프트웨어는 달력, 전자수첩, 알람시계, 및 문서읽기 기능을 포함한 소프트웨어이다.
도 2는 시각장애인용 정보처리소자의 하드웨어를 도시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모듈(21)과 사운드카드(22), 및 촉각컨트롤러(23)는 내부 버스로 연결된다. 촉각컨트롤러(23)의 전원은 내부 버스나 배터리(24)를 통해 공급받으며, 촉각생성기(25)와 인터페이스된다. 배터리(24)는 리튬-이온(Li-Ion) 배터리로서 시스템을 휴대하며 사용할 경우 전원을 공급한다. 프로세서모듈(21)에는 외부장치와의 인터페이스가 연결된다. 즉, 점자키보드(26) 및 키보트 컨트롤러(27)는 프로세서모듈(21)과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이 점자키보드(26)는 6개의 점자키와 스페이스바로 구성된다.
도 3은 시각장애인용 정보처리소자의 소프트웨어를 도시한 세부 구성도이다. 운영체계(OS)는 기존의 운영체제를 사용하며 점자의 입력 및 출력을 위한 소프트웨어, 음성합성을 위한 소프트웨어, 기타 응용소프트웨어로서 맹인을 위한 달력, 시계, 노트패드 등으로 구성된다.
위에서 양호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이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이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며, 위와 같은 변화예나 변경예 또는 조절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데이터에 대한 촉각 정보처리기능을 추가하여 영상정보의 인식이 가능하며, 소형화하여 휴대하기가 용이하다. 특히, 시각장애인용 웹브라우저를 통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인터넷에서 얻어진 문서데이터와 영상데이터를 촉각생성기 또는 음성합성기능을 통해 3차원 이미지로 표현하거나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시각장애인들에게 보다 다양하고 많은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시각장애인용 표준 점자키보드와;
    입력되는 점자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디코딩하여 3차원의 이미지로 표현하는 촉각생성기; 및
    상기 점자키보드 및 촉각생성기와 인터페이스되며 시각장애인용 웹브라우저를 통해 웹 접속이 가능하고, 점자와 문자를 번역/역번역하여 상기 촉각생성기에 점자데이터나 영상데이터를 출력하고, 문자를 음성합성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정보처리소자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각 및 음성 인터페이스 기반의 시각장애인용 정보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키보드는 6개의 점자키와 스페이스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각 및 음성 인터페이스 기반의 시각장애인용 정보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촉각생성기는,
    3차원 이미지 생성이 가능하도록 핀의 다단계운동이 가능하며, 바이모프 방식의 구동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각 및 음성 인터페이스 기반의 시각장애인용 정보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소자는 리튬-이온(Li-Ion) 배터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각 및 음성 인터페이스 기반의 시각장애인용 정보단말기.
KR1019990033393A 1999-08-13 1999-08-13 촉각 및 음성 인터페이스기반의 시각장애인용 정보단말기 Ceased KR200100177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393A KR20010017729A (ko) 1999-08-13 1999-08-13 촉각 및 음성 인터페이스기반의 시각장애인용 정보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393A KR20010017729A (ko) 1999-08-13 1999-08-13 촉각 및 음성 인터페이스기반의 시각장애인용 정보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729A true KR20010017729A (ko) 2001-03-05

Family

ID=19607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393A Ceased KR20010017729A (ko) 1999-08-13 1999-08-13 촉각 및 음성 인터페이스기반의 시각장애인용 정보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7729A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614A (ko) * 2001-02-21 2001-07-13 백상기 슬라이더셀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무지점자표시장치
KR20020064865A (ko) * 2001-02-03 2002-08-10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비가시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데이터 처리시스템 및 객체의 비가시적 표현을 제공하는 방법
KR20020092290A (ko) * 2002-11-04 2002-12-11 박수규 산소공급 및 광물질을 내장한 모래찜질방 시스템.
KR100405636B1 (ko) * 2000-05-23 2003-11-15 이성환 시각 장애인용 착용 가능 보행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0454806B1 (ko) * 2001-04-12 2004-11-05 정용석 점자에 기반한 새로운 다목적 시각 언어 시스템
US6887080B2 (en) 2001-04-12 2005-05-03 Yong-Seok Jeong Multi-purpose visual-language system based on braille
KR20050068020A (ko) * 2003-12-29 2005-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각인이 된 컨트롤패널 장치
KR100810573B1 (ko) 2006-06-07 2008-03-18 (주)아이디팩트글로벌 점자 단말기
KR100868336B1 (ko) * 2002-04-26 2008-11-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진동촉각 장치
KR101043427B1 (ko) * 2008-11-21 2011-06-22 노도영 입체 형상 구현 장치 및 방법
KR101518490B1 (ko) * 2014-02-14 2015-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WO2017183853A1 (ko) * 2016-04-20 2017-10-2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촉각 인터페이스장치 및 촉각 인터페이스방법
KR20200076462A (ko) 2018-12-19 2020-06-29 김주은 점자 변환 장치
KR20200125199A (ko) * 2019-04-26 2020-11-04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전자문서에 포함되는 특수 텍스트 제공방법 및 그 전자장치
CN114417934A (zh) * 2022-01-24 2022-04-29 西北工业大学 一种自修复自供能盲文识别传感系统及制备方法
KR102669383B1 (ko) * 2022-12-06 2024-05-27 (주)마이크로텍시스템 모듈화된 점자유닛 장치 및 이들을 결합한 점자표시 장치
KR102731978B1 (ko) 2024-03-27 2024-11-18 정윤옥 시각장애인 및 청각장애인용 코딩 블록 운용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636B1 (ko) * 2000-05-23 2003-11-15 이성환 시각 장애인용 착용 가능 보행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020064865A (ko) * 2001-02-03 2002-08-10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비가시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데이터 처리시스템 및 객체의 비가시적 표현을 제공하는 방법
KR20010067614A (ko) * 2001-02-21 2001-07-13 백상기 슬라이더셀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무지점자표시장치
US6887080B2 (en) 2001-04-12 2005-05-03 Yong-Seok Jeong Multi-purpose visual-language system based on braille
KR100454806B1 (ko) * 2001-04-12 2004-11-05 정용석 점자에 기반한 새로운 다목적 시각 언어 시스템
KR100868336B1 (ko) * 2002-04-26 2008-11-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진동촉각 장치
KR20020092290A (ko) * 2002-11-04 2002-12-11 박수규 산소공급 및 광물질을 내장한 모래찜질방 시스템.
KR20050068020A (ko) * 2003-12-29 2005-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각인이 된 컨트롤패널 장치
KR100810573B1 (ko) 2006-06-07 2008-03-18 (주)아이디팩트글로벌 점자 단말기
KR101043427B1 (ko) * 2008-11-21 2011-06-22 노도영 입체 형상 구현 장치 및 방법
KR101518490B1 (ko) * 2014-02-14 2015-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US9880624B2 (en) 2014-02-14 2018-01-30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hereof
WO2017183853A1 (ko) * 2016-04-20 2017-10-2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촉각 인터페이스장치 및 촉각 인터페이스방법
KR20200076462A (ko) 2018-12-19 2020-06-29 김주은 점자 변환 장치
KR20200125199A (ko) * 2019-04-26 2020-11-04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전자문서에 포함되는 특수 텍스트 제공방법 및 그 전자장치
CN114417934A (zh) * 2022-01-24 2022-04-29 西北工业大学 一种自修复自供能盲文识别传感系统及制备方法
KR102669383B1 (ko) * 2022-12-06 2024-05-27 (주)마이크로텍시스템 모듈화된 점자유닛 장치 및 이들을 결합한 점자표시 장치
KR102731978B1 (ko) 2024-03-27 2024-11-18 정윤옥 시각장애인 및 청각장애인용 코딩 블록 운용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7729A (ko) 촉각 및 음성 인터페이스기반의 시각장애인용 정보단말기
US7299182B2 (en) Text-to-speech (TTS) for hand-held devices
Freitas et al. Speech technologies for blind and low vision persons
US20030200858A1 (en) Mixing MP3 audio and T T P for enhanced E-book application
US20090012788A1 (en) Sign language translation system
KR20130032966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WO2001045088A1 (en) Electronic translator for assisting communications
DK1454312T3 (da) Fremgangsmåde og system til realtids talesyntese
CN112712788B (zh) 语音合成方法、语音合成模型的训练方法及装置
Nosirov et al. Display integrated mobile phone prototype for blind people
Akila et al. A text reader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raspberry pi
Mittal et al. Speech based command and control system for mobile phones: issues and challenges
Mukherjee et al. A Bengali speech synthesizer on Android OS
Kumar et al. Smart Electronic Speaking Glove for Physically Challenged Person
KR20030030328A (ko) 음성합성엔진을 이용한 전자책 브라우저 시스템
KR20010069847A (ko) 음성기술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전용 컴퓨터 제어방법
WO2003012662A1 (en) Braille generating apparatus
Nandyal et al. Raspberrypi based assistive communication system for deaf, dumb and blind person
JP2866932B2 (ja) 視覚障害者のテキストレイアウト確認方法
Rani et al. Raspberry Pi based programmed SMS reader for blind people
KR200341190Y1 (ko) 핸드폰의 문자메세지 입력 처리장치
Alsaka et al. Portable speech recognition for the speech and hearing impaired
Karthiga et al. Sign Language to Speech Using Arduino Uno
Rahimi et al. A computing environment for the blind
Condado et al. EasyVoice: Breaking barriers for people with voice disab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8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11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108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