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22970A - 장치 및 주변장치들의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치 및 주변장치들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2970A
KR20010022970A KR1020007001578A KR20007001578A KR20010022970A KR 20010022970 A KR20010022970 A KR 20010022970A KR 1020007001578 A KR1020007001578 A KR 1020007001578A KR 20007001578 A KR20007001578 A KR 20007001578A KR 20010022970 A KR20010022970 A KR 20010022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function
command
peripheral device
contr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0125B1 (ko
Inventor
미첼 제이. 제이. 에이치. 반더르울프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10022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12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1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aving fewer capabilities than the client, e.g. thin client having less processing power or no tuning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H04B1/205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with control bus for exchanging commands between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명령들에 응답하여 장치의 기능들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114)을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통신 수단(113)을 통해 주변장치들에 연결가능하다.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에만 명령이 전송되거나 또는 동시에 상기 장치 및 그 주변장치들에 전송되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쉽게 제어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사용자는 상기 장치와 하나 또는 그 보다 많은 주변장치들에 공통인 태스크들을 쉽게 그리고 동시에 성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치 및 주변장치들의 시스템{System of apparatus and peripherals}
오디오 및 비디오 장치들을 구비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시스템들이 공지된다. 그중 하나는 메인 장치로, 그 밖의 것은 주변장치들로 불려진다. 예를 들어, 비디오 시스템에 있어서, 텔레비젼 수신기는 메인 장치로 불려지고, 비디오 리코더,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 셋톱 박스와 같은 장치들은 주변장치들로 불려진다. 각 장치는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그 기능들을 제어하는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인 그 자신의 제어 수단을 갖는다. 메인 장치는 종종 전체적으로 시스템의 기능들을 제어하는 몇몇 명령들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공지된 텔레비젼 수신기의 원격 제어 장치는 시스템의 모든 장치를 대기(standby) 상태로 만드는 버튼을 구비한다. 상기 버튼을 누르면 텔레비젼 수신기가 각 주변장치들의 대기 기능을 야기시키기 위해 제어 명령들을 전송하도록 지시하며, 이 후에 텔레비젼 수신기의 대기 기능이 야기된다. 시스템의 대기 기능에 대한 버튼이외에, 공지된 텔레비젼 수신기의 원격 제어 장치는 오직 텔레비젼 수신기의 대기 기능만을 야기시키는 다른 버튼을 가진다. 대기 기능은 단지 모든 장치들에 공통이며 동시에 다수의 장치들상에서 이루어지도록 규칙적으로 요구되는 기능들중의 한 예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주변장치에 연결가능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주변장치의 유사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주변장치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은 또한 장치 및 주변장치를 구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주변장치에 연결가능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주변장치의 유사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주변장치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은 또한 장치와 주변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주변장치의 유사한 기능을 제어하도록 상기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주변장치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로서 텔레비젼 수신기의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의 명령 처리 순서의 흐름도.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기능에 대한 중복적인 제어에 대한 필요없이 어떤 기능이 상기 장치에만 또는 동시에 상기 장치 및 하나 또는 그 보다 많은 그 주변장치들상에 야기되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쉽게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제 1 상태와 제 2 상태를 취하는 사용자 작동가능한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상태에서 제어 명령을 전송함을 중지하며 상기 제 2 상태에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데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상태이거나 제 2 상태를 선택하는 단지 하나의 사용자 제어 수단을 부가함에 의해, 전체 범위의 기능들은 상기 장치에만 또는 동시에 상기 장치와 하나 또는 그 보다 많은 그것의 주변장치들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상태이거나 제 2 상태의 선택은 다양한 방법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올바른 접근방법은 2가지 상태사이를 절환하는 토글(toggle)이며, 양자는 이후의 사용자 명령들에 적용된다. 제 2 항에 규정된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상태는 디폴트(default) 상태이다. 예를 들어 전용(dedicated) 버튼이 적용될 수 있는 제 2 상태를 취하기 위해, 상기 전용 버튼은 실제로 이루어져야될 기능을 제어하는 버튼의 이전 또는 이후에 눌러져야 한다. 많은 유리한 접근방법을 적용하는 장치는 청구항 3과 청구항 4에 기술되어, 사용자가 즉 이루어져야될 기능을 제어하는 버튼인 단지 하나의 버튼만을 동작시키도록 하며, 각각 반복적이거나 연장된 방법으로 버튼을 동작시킨다.
많은 장치들에 공통적인 기능은 대기 기능이다. 청구항 3 과 청구항 4의 접근 방법은 이 기능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왜냐하면 메인 장치가 대기 상태를 취하자마자, 대기 버튼의 반복적이거나 연장된 동작을 처리하는 제어 수단과 주변 장치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통신 수단은 더 이상 동작하지 않는다. 청구항 5는 표준 대기 상태에 더하여, 반-대기 상태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를 기술하며, 여기서 적어도 제어 수단과 통신 수단은 활성상태이다. 이 반-대기 상태는 대기 버튼의 반복적이거나 연장된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소정의 주기동안 유지된다. 그 후에, 상기 장치는 표준 대기 상태를 취한다.
대기 상태를 가지는 모든 시스템들의 장치들에 대하여, 본 발명은 게다가 파워-온(power-on) 기능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청구항 8에 기술된다. 만일 상기 장치와 주변장치가 다수의 신호원들중 각각 하나의 신호원에 동조시키는 튜너를 구비하면, 본 발명은 동조 기능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같은 신호원에 양쪽 장치들을 동조시킬 수 있게 하며, 이것이 청구항 9에 기술된다. 동조기를 구비하는 장치들은 종종 다수의 프리셋의 특성을 나타내며, 각각은 이름을 가지며, 다수의 신호원들중 각각 하나의 신호원의 동조 데이터를 기억시키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은 동조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능에 적용 될 수 있으며, 이는 청구항 10에 기술된다. 이는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가 양쪽 장치들의 프리셋들을 쉽게 프로그램시킬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는 상기 장치가 텔레비젼 수신기이고 상기 주변장치가 비디오 리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시스템에 대해서, 종종 같은 채널로 동조된 양쪽 장치들을 가지는 것이 편리한 반면에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같은 채널에 대한 동조 데이터를 포함하는 같은 이름의 프리셋들을 선호한다.
이는 WO 096/16512 는 예를 들어 오디오 또는 비디오 장치인 모든 장치들을 대기 상태로 만드는 대기 버튼을 구비하는 스위칭 장치를 기술한다. 이 스위칭 장치는 대기 버튼을 반복적이거나 연장되게 누름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장치들을 완전히 전원으로부터 단절시키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대기 버튼을 반복적이거나 연장되게 누름에 응답하여 전송된 상기 장치들을 스위칭 오프하는 명령이 즉 대기 기능인 원래 명령에 의해 야기된 기능에 유사한 기능을 야기시키지 않는다. 또한, 상기 장치들을 스위칭 오프시키는 명령은 공지된 스위칭 장치의 기능을 야기시키며, 이는 접속된 장치들의 전원을 스위치 오프시켜 상기 장치들의 정규 기능이 야기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신기들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라디오 수신기들에도 똑같이 만족스럽게 적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로서 텔레비젼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다수의 TV-채널들은 안테나(103)에 의해 대기중으로부터 또는 대안적으로 케이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다. 수신된 채널들중 하나는 튜너(104)에 의해 선택된다.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들은 신호 처리기(105)에 전송된다.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프로세서(106)와 스피커(107)에 의해 추가적으로 처리된다.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프로세서(109)에 의해 추가 처리되고 스크린(10)상에 제공된다. 신호 처리기(105)는 예를 들어 텔레텍스트 그래픽스(graphics)인 마이크로프로세서(112)로부터 얻어진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들, VCR 또는 카메라(도시되지 않음)으로 부터의 신호들 또는 SCART 접속(113)을 통해 얻어진 신호들을 또한 처리할 수 있다.
전원 장치(122)는 네트워크(123)로부터 전력을 수신한다. 전원 장치는 각각 전선들(115, 116,117,121)을 통해, SCART 접속(113)과 타이머(108)를 포함하는 한 그룹의 구성요소(111)들과 마이크로 프로세서(112), 제어 수단(114)을 포함하는 하나의 그룹(118)과 또한 신호 처리기(105) 및 스크린(110)과 프리셋 수단(102)과 튜너(104)를 포함한 한 그룹의 구성요소(101)들에 분배된다. 전원 장치(122)는 서로 독립적인 방법으로 TV-세트를 네트워크(123)로부터 완전히 단절시키는 전원 스위치(120)와 그룹들(101, 111, 118), 신호 처리기(105) 및 스크린(110)의 전원을 절환하는 스위칭 수단(124)을 포함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2)는 프리셋 수단(102), 튜너(104), 신호 처리기(105), 타이머(114), SCART 접속(113) 및 전원 장치(122)와 통신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12)는 예를 들어 특정 TV 채널을 선택하거나 텔레비젼 수신기를 대기 모드 로 놓여지게 하도록 튜너(104)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114)로부터 명령들을 수신한다.
TV-세트가 대기 모드에 있을 때, 제어 수단(114)와 마이크로프로세서(112)를 포함하는 상기 그룹(118)은 여전히 전원 장치(122)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며, 원격 제어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다. 그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적절한 신호를 수신하자마자, 그 제어 수단(114)는 상기 그룹들(101,111), 신호 처리기(105), 스크린(110)에 전원이 공급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상기 스위칭 수단(124)을 제어하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12)에 신호를 전송한다. 그 원격 제어 장치로 부터의 다른 신호는 대기 모드를 다시 개시하도록 점유되어, 상기 그룹들(101,111), 신호 처리기(104)와 스크린(110)에 전원을 스위치 오프하나 상기 그룹(118)에 전원을 유지한다.
제어 수단(114)은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상의 버튼에 의해 활성화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때, 상기 명령은 대응하는 기능을 야기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2)에 전송된다. 기능들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고, 그 마이크로프로세서 (112)가 액세스하는 메모리 수단(도시되지 않음)내에 기억된다. 제어 수단(114)은 제 1 상태와 제 2 상태를 취하는 사용자-작동가능한(user-operable) 수단(119)을 포함하며, 이는 상기 명령이 예를 들어 VCR(도시되지 않음)인 SCART 접속(113)에 접속된 주변장치들에 또한 전송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디폴트에 의해, 제어 수단은 제 1 상태를 취하며, 명령들이 텔레비젼 수신기의 기능들만을 야기한다. 사용자-작동가능한 수단(119)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상의 버튼이 눌러졌거나 예를 들어 3초인 소정의 시간 주기내의 제 2 시간동안 눌러졌는지 여부를 체크하며, 상기 시간 주기는 타이머(108)와 마이크로프로세서(112)에 의해 측정된다. 그 조건이 충족될 때, 제어 수단은 제 2 상태를 취하며, 이는 상기 명령이 또한 주변장치들에 전송되도록 한다. 명령이 처리된 후에, 제어 수단은 다시 제 1 상태를 취한다. 상기 명령이 대기 명령인 경우에, 텔레비젼 수신기는 반-대기(semi-standby) 모드를 취하며, 이는 타이머(108)와 SCART 접속(113)을 포함하는 상기 그룹(111)이 동작중이라는 점에서 표준 대기 모드와 다르다. 사용자에 대해서는, 표준 대기 모드와의 차를 인식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LED인 몇몇 가시적 표시가 표시를위해 인가될 수 있다. 첫째로 반-대기 상태 모드를 취함에 의해, 타이머(108)는 상기 시간의 주기를 측정하는데 유용하며, SCART 접속(113)은 주변 장치들에 명령을 전송하는데 유용하다. 도2는 상술된 명령 처리 순서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200)에서, 제어 수단은 처리될 명령을 기다린다. 테스트(202)는 수신된 명령이 대기 명령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테스트(202)가 실패하면, 그 명령은 규칙으로 단계(201)로 처리된다. 만일 테스트(202)가 성공하면, 단계(203)이 수행되며, 여기서 장치는 위에 기술된 반-대기 상태를 취한다. 그 후에, 3초간의 대기 상태를 개시하는 단계(204)가 수행된다. 이 시간 주기후에, 테스트(205)는 대기 버튼이 여전히 눌러져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테스트(205)가 실패하면, 장치는 단계(207)에서 표준 대기 상태를 취한다. 만일 테스트(205)가 성공하면, 단계(20 6)이 단계(207)보다 앞서며, 대기 명령이 주변장치들에 전송된다.
본 발명에 각각의 프리셋 위치로 특정 TV 채널의 동조 데이터를 기억시킴에 의해, 파워-온(power-on), 프리셋 수단(102)의 프리셋 선택명령 또는 프리셋 수단(102)을 프로그램밍하는 명령과 같은 다양한 명령들이 적용될 수 있다. 프리셋들은 원격 제어 장치상의 숫자 키들에 의해 자주 선택된다. 제 2 상태를 야기하는 숫자 키들상의 타임-아웃(time-out)은 2가지 숫자의 프리셋 수들의 입력 절차와 간섭할 수 있다. 그러한 문제들을 피하기 위해, 원격 제어 장치는 제 2 상태를 야기하는 부가적인 버튼을 구비한다. 만일 상기 버튼이 예를 들어 프리셋 선택명령인 정규 명령이전에 바로 눌러지면, 그 명령은 또한 주변장치들에 전송된다. 만일 정규 명령이 예를 들어 3초내에 입력되면, 상기 부가적인 버튼을 누를 필요가 없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 명령들에 응답하여 장치의 기능들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114)을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통신 수단(113)을 통해 주변장치들에 연결가능하다.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에만 명령이 전송되거나 또는 동시에 상기 장치 및 그 주변장치들에 전송되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쉽게 제어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사용자는 상기 장치와 하나 또는 그 보다 많은 주변장치들에 공통인 태스크들을 쉽게 그리고 동시에 성취할 수 있다.

Claims (12)

  1.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주변장치에 연결가능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주변장치의 유사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주변장치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데 적합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제 1 상태와 제 2 상태를 취하는 사용자 작동가능한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상태에서 제어 명령을 전송함을 중지하며 상기 제 2 상태에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데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는 디폴트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명령은 버튼을 누르는 명령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버튼을 누른 후에 소정의 시간 주기내의 제 2 시간동안 상기 버튼을 누름에 의해 취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명령은 버튼을 누르는 명령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버튼을 누른 후에 소정의 시간 주기동안 상기 버튼을 유지시킴으로써 취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대기(standby) 상태를 가지며, 상기 주변장치에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장치는 적어도 상기 제어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이 활성화되는 반-대기 상태를 가지며, 상기 장치의 기능과 상기 주변장치의 기능은 대기 기능이며, 상기 장치는 상기 사용자 명령후에 반-대기 상태를 취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후에 상기 대기 상태를 취하는데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텔레비젼 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장치 및 주변장치를 구비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주변장치에 연결가능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주변장치의 유사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주변장치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데 적합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제 1 상태와 제 2 상태를 취하는 사용자 작동가능한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상태에서 제어 명령을 전송함을 중지하며 상기 제 2 상태에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데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기능과 상기 주변장치의 기능은 각각 대기 상태로부터 상기 장치와 상기 주변 장치를 활성화시키는 파워-온(power-on)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 7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와 상기 주변장치는 다수의 신호원들중 각각 하나에 동조시키는 동조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장치의 기능과 상기 주변장치의 기능은 같은 각 신호원에 각각 상기 장치와 상기 주변장치를 동조시키는 동조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와 상기 주변장치는 다수의 프리셋을 더 구비하며, 각각의 프리셋은 이름(name)을 가지며 다수의 신호원들중 각 신호원의 동조 데이터를 기억하는데 적합하며,
    상기 장치의 기능과 상기 주변장치의 기능은 같은 각각의 신호원의 동조 데이터를 상기 장치의 프리셋과 상기 주변장치의 프리셋으로 기억시키는 기억 기능이며, 상기 장치의 프리셋과 상기 주변장치의 프리셋은 같은 이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 7항 내지 제 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텔레비젼 수신기이며, 상기 주변장치는 비디오 리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장치와 주변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주변장치의 유사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주변장치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데,
    상기 방법은 제 1 상태나 제 2 상태를 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제 1 상태가 아닌 상기 제 2 상태에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7001578A 1998-06-17 1999-06-03 장치 및 주변장치들의 시스템 Expired - Lifetime KR1009101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8202017.4 1998-06-17
EP98202017 1998-06-17
PCT/IB1999/001005 WO1999066724A2 (en) 1998-06-17 1999-06-03 System of apparatus and peripher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970A true KR20010022970A (ko) 2001-03-26
KR100910125B1 KR100910125B1 (ko) 2009-08-03

Family

ID=8233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578A Expired - Lifetime KR100910125B1 (ko) 1998-06-17 1999-06-03 장치 및 주변장치들의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04063B1 (ko)
EP (1) EP1038394B1 (ko)
JP (1) JP4704562B2 (ko)
KR (1) KR100910125B1 (ko)
CN (1) CN1157946C (ko)
WO (1) WO199906672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610B1 (ko) * 2001-01-10 2003-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저 전력 소모형 컴퓨터 주변 장치 및 그의 전력 절감 방법
GB0104120D0 (en) * 2001-02-20 2001-04-11 Pace Micro Tech Plc Remote control
US7196737B1 (en) * 2002-01-25 2007-03-27 Sige Semiconductor Inc. Method of using control loops in a broadband cable tuner
US20040051813A1 (en) * 2002-09-17 2004-03-18 Konin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elevision power saving system
BRPI0316830B1 (pt) * 2002-12-06 2018-02-06 Thomson Licensing S.A. "aparelho de processamento de sinais de televisão e método para controlar dissipação de potência em um aparelho de processamento de sinais"
JP3693112B2 (ja) * 2003-01-23 2005-09-07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4282876A (ja) * 2003-03-14 2004-10-07 Orion Denki Kk 複合電子機器の電源制御装置
JP2005167774A (ja) * 2003-12-04 2005-06-23 Orion Denki Kk 映像音響機器
JP2005318289A (ja) * 2004-04-28 2005-11-10 Orion Denki Kk Cs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100602206B1 (ko) * 2004-06-18 2006-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Scart 커넥터를 구비한 복합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737965B2 (ja) * 2004-09-30 2011-08-03 株式会社東芝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8077263B2 (en) 2006-10-23 2011-12-13 Sony Corporation Decoding multiple remote control code sets
JP2009124896A (ja) * 2007-11-16 2009-06-04 Oki Semiconductor Co Ltd 電子機器、遠隔操作装置、及び遠隔操作システム
KR20090065905A (ko) * 2007-12-18 2009-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시스템 및 영상처리장치의전원제어방법
US20110242268A1 (en) * 2010-03-31 2011-10-06 Jin Kim Television Appliance
CN102932684A (zh) * 2011-08-08 2013-02-13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控制方法、控制器及电子设备
US9158496B2 (en) * 2012-02-16 2015-10-13 High Sec Labs Ltd. Secure audio peripheral device
KR20160050879A (ko) * 2014-10-31 201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원격 제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9861B1 (ko) * 2015-09-16 2022-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3732A (en) * 1969-06-05 1971-09-07 Rca Corp Instant-on circuitry for solid state television receivers
DE3928175A1 (de) * 1989-01-21 1990-07-26 Nokia Unterhaltungselektronik Videoempfangseinrichtung
JPH02293999A (ja) * 1989-05-08 1990-12-05 Clarion Co Ltd 複数機器接続システムの盗難防止装置
US5367316A (en) * 1990-03-27 1994-11-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mote-control apparatus for electronics apparatus
US5193208A (en) * 1990-05-14 1993-03-09 Sony Corporation Signal transmission system
JPH06205237A (ja) * 1993-01-06 1994-07-22 Sony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DE59407503D1 (de) * 1993-01-30 1999-02-04 Thomson Brandt Gmbh Stromversorgungsschaltung für ein Gerät der Unterhaltungselektronik
KR970003439B1 (ko) * 1994-05-19 1997-03-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의 전원 제어회로
US5539391A (en) * 1994-09-22 1996-07-23 Gemstar Development Corporation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urning appliances on and off
EP0793886B1 (de) 1994-11-22 2004-04-28 Dangschat, Rainer, Dipl.-Ing. (FH) Fernsteuerbare schaltungsanordnung
US6341195B1 (en) * 1994-12-28 2002-01-22 E-Guide,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a television on-screen guide
KR0141751B1 (ko) * 1995-06-13 1998-06-15 구자홍 영상신호 처리기의 취침예약 확인방법
US5995155A (en) * 1995-07-17 1999-11-30 Gateway 2000, Inc. Database navigation system for a home entertainment system
US5900867A (en) * 1995-07-17 1999-05-04 Gateway 2000, Inc. Self identifying remote control device having a television receiver for use in a computer
EP0762765B1 (en) * 1995-09-05 2002-07-10 Hitachi, Ltd. Digital access control method
JP2974950B2 (ja) * 1995-10-26 1999-11-1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情報処理システム
DE19540077A1 (de) * 1995-10-27 1997-04-30 Nokia Deutschland Gmbh Fernbedienbare Videogeräteanordnung
JPH09135399A (ja) * 1995-11-09 1997-05-20 Sony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パワーセーブモード表示方法
DE19602535C1 (de) * 1996-01-25 1996-09-12 Grundig Emv Energiesparbetrieb bei einem Kommunikationsgerät
US5787259A (en) * 1996-03-29 1998-07-28 Microsoft Corporation Digital interconnects of a PC with consumer electronics devices
US5838983A (en) * 1996-08-20 1998-11-17 Compaq Computer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with low power audio CD-player
WO1998005288A1 (en) * 1996-08-02 1998-02-12 Jb Research, Inc. Microcontroller based massage system
JPH1097353A (ja) * 1996-09-19 1998-04-14 Toshiba Corp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適用するレジューム処理方法
US6285406B1 (en) * 1997-03-28 2001-09-04 Compaq Computer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schemes for apparatus with converged functionalities
US6202212B1 (en) * 1997-04-01 2001-03-13 Compaq Computer Corporation System for changing modalities
KR100247390B1 (ko) * 1997-04-14 2000-03-15 윤종용 Usb장치를이용하는디스플레이장치의dpms기능구현방법
KR100218003B1 (ko) * 1997-04-22 1999-09-01 윤종용 Usb 허브 전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521252B1 (ko) * 1997-06-16 2006-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출력상태 제어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5978923A (en) * 1997-08-07 1999-11-02 Toshiba America Information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mputer power management function including selective sleep states
US20020080163A1 (en) * 1998-02-23 2002-06-27 Morey Dale 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JP3831538B2 (ja) * 1998-11-26 2006-10-1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ディスプレイの省電力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04063B1 (en) 2004-03-09
JP4704562B2 (ja) 2011-06-15
JP2002518949A (ja) 2002-06-25
WO1999066724A2 (en) 1999-12-23
WO1999066724A3 (en) 2000-03-16
CN1157946C (zh) 2004-07-14
KR100910125B1 (ko) 2009-08-03
EP1038394A2 (en) 2000-09-27
EP1038394B1 (en) 2016-02-03
CN1300502A (zh) 2001-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125B1 (ko) 장치 및 주변장치들의 시스템
KR0121329B1 (ko) 오디오-비쥬얼 시스템
US20020057209A1 (en) Image display and remote control system for remotely displaying selected images
US843412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an interactive mode and a television program mode
JP2844593B2 (ja) 受信装置
JPH06311385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514968A (ja) オーデイオ・ビデオ機器の相互接続制御システム
JPH0879638A (ja) オーディオビデオ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0135154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테스트 패턴 신호 발생장치
JPH08249868A (ja) リモコンシステム
KR20010059927A (ko) 티브이의 멀티화면 구현방법
KR0133883Y1 (ko) 멀티미디어 텔레비젼
JPH09284737A (ja) Catvコンバータ用リモコン装置
KR20000027984A (ko) 더블클릭에 의한 채널조정방법
EP0660538A2 (en) Remote control system
JPH11331714A (ja) 視聴中番組瞬時録画システム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10071605A (ko) 위성 수신기 구동법
JPH0898050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19990041369A (ko) 티브이의 모드 자동 전환 방법
JPH03234199A (ja) リモコン集中管理装置
KR19990004200A (ko) 리모콘 원터치 전원온 기능을 갖는 vcr 및 관련된 방법
JPH07336779A (ja) 電気機器等の集中制御装置
JPH04249488A (ja) モニター画面記録vtr
JPH0338793B2 (ko)
KR19990023314U (ko) 티브이 예약녹화 기능을 갖는 브이시알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2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6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9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12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9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90430

Appeal identifier: 2006101010858

Request date: 20061213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11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13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8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060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904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116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7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7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91203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