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44720A - 유리용탕을 이용한 유해폐기물의 열분해가스화 처리 및잔류 고형분의 유리화 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용탕을 이용한 유해폐기물의 열분해가스화 처리 및잔류 고형분의 유리화 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4720A
KR20010044720A KR1020010014283A KR20010014283A KR20010044720A KR 20010044720 A KR20010044720 A KR 20010044720A KR 1020010014283 A KR1020010014283 A KR 1020010014283A KR 20010014283 A KR20010014283 A KR 20010014283A KR 20010044720 A KR20010044720 A KR 20010044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yrolysis
hazardous waste
chamber
glass
ga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생
김명식
Original Assignee
강희생
김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생, 김명식 filed Critical 강희생
Priority to KR1020010014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4720A/ko
Publication of KR20010044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72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75Disposal of medical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25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solids treatment
    • C10J2300/1628Ash post-treatment
    • C10J2300/1634Ash vitr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폐기물의 열분해 가스화 처리 및 잔류회분의 유리화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병원 폐기물과 같은 유해폐기물을 분리하지 않고 연소에 필요한 외기를 차단한 상태에서 고온의 유리용탕에 투입하여 폐기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키며 유기물은 열 분해시키고 분해되지 않고 남아있는 고형분은 유리용탕과 혼합되어 유리화 됨으로써 분리되고 금속분은 비중에 의해 유리용탕 하부에 축적되어 주기적으로 수집되는 열분해 장치와 유해폐기물의 투입장치 및 분해된 가스의 후처리를 위한 가스정화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열분해장치는 유해폐기물 투입장치, 유해폐기물에 섞여 있는 세균의 확산을 방비하기 위한 멸균실과 멸균실 가열용 가열전원 공급장치, 상기 건조로를 거친 유해폐기물의 열분해에 필요한 열원을 공급하고 열 분해되고 남은 고형물을 용해 유리화 하는 유리용탕으로 이루어지는 전기저항 가열 열분해 및 유리화로와 유리가열용해용 전원공급장치, 상기 열분해에 필요한 공간인 열분해실, 분해된 분해가스의 유리탄소를 없애기 위한 분해가스 가열장치, 분해된 가스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분리 제거하기 위한 분해가스 정화설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폐기물 가스화 처리 및 잔류회분 유리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안정된 열분해와 제2차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게 실용화 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인 것이다.

Description

유리용탕을 이용한 유해폐기물의 열분해가스화 처리 및 잔류 고형분의 유리화 방법과 그 장치{The Pyrolysis and Vitrification process and Equipments for a toxic wastes on the molten Glass Pool}
본 발명은 유해폐기물의 열분해 가스화 처리 및 잔류회분의 유리화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병원폐기물과 같은 유해성 폐기물을 분리하지 않고 고온으로 용해되어 있는 유리용탕에 직접 투입됨으로써 유리용탕의 고온 열에 의해서 유해폐기물이 열 분해되어 가스와 고형물로 분리되며 분리된 가스는 정제실을 거처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연료가스로 되어 분리되고, 고형물은 유리용탕에 용해되어 유리화 된다.
또한 고형물 중 금속류는 유리용탕 위에서 용해되어 비중 차에 의해 유리용탕의 하부에 모이게 되고, 모아진 금속분은 금속용탕취출구를 통해 취출되어진다.
위와 같은 처리로서 무해한 유리질 고형물 및 금속분으로 분리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기물을 일반 소각로에서 소각하면 다이옥신 등의 유독 물질이 발생하고 질소산화물 등의 유독가스가 발생하며 소각되지 않은 고형물들이 그대로 남아 있어 2차 공해의 염려가 많았다.
다이옥신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고온에서 연소시켜 급속히 냉각시키는 방법이 좋으나 950℃이상의 고온에서 공기로 연소시키면 공기중의 질소가 산소와 반응하여 질소산화물이 생겨서 이 질소 산화물을 제거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한편, 소각되지 않고 남은 고형물들은 지금까지는 매립장에 매립하고 있으나 이들 고형물들도 부피가 크고 유해물질의 함유 가능성이 커 함부로 매립하기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이들 종래의 소각에는 공기를 이용하고 있음으로써 연소가스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 연소가스 정화설비의 규모가 커지고 처리비용도 많이 들게 된다.
현재 열분해로에서 열 분해시키는 경우 열분해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용탕을 처리하기 위하여 용탕가열에 필요한 열원은 코크스(cokes)나 산소가스버너에 의한 상부 직접가열방식을 쓰고 있는데 이 방식에서는 용탕 하부의 온도를1500℃이상 유지하기 위해서 용탕 상부온도를 2000℃이상으로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과도한 열량공급과 분해로의 수명이 문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해폐기물의 열분해 가스화 처리 방법 및 그 장치(출원번호 제10-1998-41347호)가 있었으며 그 구성 및 특징을 첨부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건에 대한 기본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유해폐기물(4)을 투입하는 투입장치(5)와, 투입된 유해폐기물(4)을 열분해에 의해 가스로 분해하는 열분해장치(6)와, 열 분해된 가스를 후처리하는 가스정화장치(3)로 구성되는 유해폐기물의 열분해 가스화처리 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분해장치(5)는, 유해폐기물(4)에 존재하는 액상의 물질을 예열에 의해 증발시키는 건조 및 열분해로(16a)와, 상기 건조 및 열분해로(16a)를 예열 시키는 가열전원 공급장치(33)와, 상기 건조 및 열분해로(16a)를 거친 유해폐기물(4)의 열분해에 필요한 열원을 공급하고 일정한 고온으로 유지시키는 전기유도 금속용융로(20a)와, 상기 전기유도 금속용융로(20a)를 고주파 유도에 의해 가열하는 고주파 유도장치(38)와, 상기 전기유도 금속용융로(20a)의 열원에 의해 유해폐기물(4)을 열 분해하는 열분해실(22a)로 구성된다.
상기 투입장치(5)는 유해폐기물(4)이 투입되는 투입구인 홉퍼(10)와, 홉퍼(10)를 통해 투입된 유해폐기물(4)이 적재되는 투입실(11)과, 투입실(11)에 적재된 유해폐기물(4)을 1차 예열하기 위해 유해폐기물(4)을 이동시키는 투입실린더(12a)와, 차폐 상태로 있다가 투입실린더(12a)가 전진할 때에 상부로 이동하는 차폐유압실린더(13a)와, 열분해장치(6)의 건조 및 열분해로(16a)에 적재된 유해폐기물(4)을 이송시키는 이송유압실린더(14a)로 구성된다.
가스정화장치(3)는 상기 열분해장치(5)의 열분해실(22)에서 분해된 가스를 세정수로 냉각하면서 유해 가스를 흡수하는 냉각 및 세정탑(30)과, 세정된 가스를 이송시키는 가스흡입송풍기(35)와, 상기 가스흡입송풍기(35)에 의해 이송된 가스를 저장하는 가스저장조(37)와, 상기 냉각 및 세정탑(30)에 세정수를 계속하여 순환시키는 순환펌프(36)와, 농축된 세정수의 일부를 폐수 처리장(32)으로 이송시키는 슬러지이송펌프(31)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지는 종래의 유해폐기물의열분해 가스화처리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되어진다.
즉, 홉퍼(10)를 통하여 유해폐기물(4)이 투입되어지면 투입실(11)에 쌓이게 되고, 쌓여진 유해폐기물(4)은 투입실린더(12a)의 작동에 의해 건조 및 열분해로(16a)로 떨어 뜨려지게 되며, 이때 차폐유압실린더(13a)가 위쪽으로 작동하여 투입실(11)을 개방시키게 된다.
건조 및 열분해로(16a)에서 쌓여진 유해폐기물(4)은 가열전원 공급장치(33)의 전열방식에 의해 400~600℃로 가열되고 이 열에 의해 함유수분이나 용제 등과 같은 액상의 물질이 증발되면서 1차로 열분해가스를 발생한다.
이송유압실린더(14a)의 작동에 의해 유해폐기물(4)은 건조 및 열분해로(16a)에서 열분해실(22a)로 밀려나게 되며, 열분해실(22a)로 밀려난 유해폐기물(4)은 전기유도 금속용융로(20a)에서 고주파 유도장치(38)에 의해 가열코일(H)에서 열이 발생되어 열분해가 이루어지는 지고, 열분해로 인해 가스화되고 가스화되지 안는 금속 고형물은 용융되어 용융금속(ML)으로 생성되어지며, 용융금속(ML)은 냉각되어져 고형폐기물 형태로 방출되고 금속부분은 재활용으로 사용된다.
분해되어진 가스는 가스정화장치(3)로 유입되어 정화되는 것으로 가스정화장치(3)로 유입된 가스는 냉각 및 세정탑(30)에서 세정수에 의해 냉각되면서 유해가스가 흡수되어 깨끗한 가스로 변환되고 변환된 가스는 가스저장조(37)에 저장되어지며, 냉각 및 세정탑(30)에서는 순환펌프(36)에 의해 세정수를 계속 순환시켜 세정작업을 실시하게되고 농축된 세정수중에 일부는 슬러지이송펌프(31)에 의해 폐수처리장(32)으로 보내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해폐기물의열분해 가스화처리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어진다.
즉, 전기유도 금속용융로(20a)는 건조 및 열분해로(16a)와 연통되어져 있으므로 금속용융로(20a)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 및 병원균 등이 역으로 상승하여 투입실(11)쪽으로 유입되어지는 폐단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하여 2차 오염의 우려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기유도 금속용융로(20a)에서 생성되는 용융금속(ML)의 결정체와 유리화 되어진 결정체를 분리하여 수거할 수가 없는 것으로 재차 분리 공정을 거처야만 하는 폐단이 지적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병원폐기물을 포함한 유해성 폐기물을 분리하지 않고 몰리브덴 전극을 이용하여 전기저항 가열 유리용해로 상부의 고온 열에 의해 유해 폐기물을 흡열반응으로 열 분해함으로써 분해 효율을 높이고, 액체 또는 고형물과 같은 부산물이나 유독 성분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실용화가 용이하도록 하는 유해 폐기물의 열분해 가스화 처리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분해실과 분리 및 압축실을 항상 차폐되어지도록 하여 열분해실에서 발생되어진 유해가스가 투입실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는 유해 폐기물의 열분해 가스화 처리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리용탕에서 생성되어지는 금속용탕과 유리질용탕을 용이하게 분리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유해 폐기물의 열분해 가스화 처리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유해폐기물을 투입하는 투입장치와 투입된 유해폐기물 열분해에 의해 가스와 고형물로 분해시키는 열분해장치와 열 분해된 가스를 후처리하는 가스정화장치로 구성하는 것과,
상기 투입장치는 폐기물을 투입하기 위한 일시 저장 홉퍼, 폐기물을 가열실에 투입하는 투입실린더, 투입을 위하여 압축을 시작하면 오염물질이 확산되면서 병원균이나 기타 미생물 등의 확산을 막기 위한 멸균실, 멸균실의 폐기물을 압축실에 투입하는 압축실린더, 분리 및 압축실, 이송유압실린더가 있고 멸균실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 가열장치로 구성하는 것과,
상기 열분해장치는 폐기물의 열분해 열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저항가열 유리용해로, 열분해 열을 추가로 공급하기 위한 보조산소버너, 열분해가 일어나는 열분해실, 분해된 가스를 1200℃이상으로 가열하기 위한 산소버너로 구성되며 용해로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저항가열장치로 구성하는 것과,
상기 가스정화장치는 분해된 가스를 냉각하고 가스에 포함된 유해가스를 중화시켜 깨끗한 가스로 정제하는 냉각 및 세정탑, 세정된 가스를 이용하는 가스흡입송풍기, 세정수를 순환시키는 세정수 순환펌프, 세정수가 분해가스와 반응하여 희석되면 이 세정수일부와 침전고형물을 폐수처리 시설에 이송하는 슬러지이송펌프, 세정된 정제가스를 저장하는 가스저장조, 이송펌프로 이송된 액상물질을 처리하는 폐수처리시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폐기물의 열분해 가스화 및 유리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정흐름도
도 2는 종래의 열분해 공정을 보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5: 투입장치 2, 6: 열분해장치 3: 가스정화장치
4: 유해폐기 물 10: 홉퍼 11: 투입실
12, 12a: 투입실린더 13: 압축실린더 13a: 차폐유압실린더
14, 14a: 이송유압실린더 15: 멸균실 16, 16a: 압축실
20: 전기저항가열 유리용해로 20a: 전기유도 금속용융로
21: 유리용탕
22, 22a: 열분해실 23: 산소버너 24: 보조산소버너
25: 유리용탕취출구 26: 금속용탕취출구 27:가열전국
30: 냉각 및 세정탑 31:슬러지이송펌프 32:폐수처리장
33: 멸균실 가열전원 공급장치 34: 유리용해로 전기공급장치
35: 가스흡입송풍기 36: 순환펌프 37: 가스저장조
ML: 용융금속 H: 가열코일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및 유리화공정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은 유해폐기물을 안전하게 열분해로에 투입하기 위한 투입장치(1), 투입된 유해폐기물을 열 분해하는 열분해장치(2), 분해된 가스를 정화하는 가스정화장치(3)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투입장치(1)는 유해폐기물(4)이 투입되는 투입구인 홉퍼(10)와 홉퍼(10)를 통해 투입된 유해폐기물(4)이 적재되는 투입실(11)과 투입실(11)에 적재된 유해폐기물(4)을 멸균실(15)로 이송하는 투입실린더(12)와, 이송되어온 유해폐기물(4)에 포함되어 있는 균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멸균실(15)과, 멸균실에 있는 유해폐기물(4)을 압축실(16)로 이송하는 압축실린더(13)와, 압축실린더(13)에 의해 이송된 유해폐기물(4)을 이송유압실린더(14)가 전진하면서 압축하면 압축 초기는 압축기 벽에 설치된 스크린 망에 의해서 수분이 분리되고 이송유압실린더(14)가 더 전진하면 유해폐기물(4)이 압축되면서 밀려나가 열분해로(20)에 투입되는 압축실(16)과 멸균실을 150℃정도로 가열하기 위한 히팅수단(15a)을 구비하고, 멸균실(15)의 히팅수단(15a)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33)로 구성된다.
열분해장치(2)는 유해폐기물(4)이 압축실(16)을 통해 열분해실(22)에 투입되면 고온의 유리용탕(21)위에 떨어지게 된다. 유리용탕(21)에 떨어진 유해폐기물(4)은 용탕에서 열을 흡수하면서 분해되어 가스와 잔류고형물로 분해된다. 유리용탕(21)의 열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보조수단인 보조산소버너(24)를 열분해실(22)의 하측에 장착하였다.
유리용탕(21)을 유지하기 위한 전기저항가열 유리용해로(20)가 있고 여기에는 잔류고형물이 유리에 용해되어 유리화 됨으로서 증가하는 유리용탕(21)의 일부를 연속적으로 유출하기 위한 유리용탕취출구(25)가 있으며, 이 하부에는 유리용탕(21)에서 분리 침전된 용융금속을 취출하기 위한 금속용탕취출구(26)가 장착되어 있고 전기저항가열 유리용해로(2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가열전극(27)과 전기저항유리용해로 전기공급장치(34)로 구성되어 진다.
한편 열분해실(22)에서 분해된 가스를 1200℃이상으로 가열하기 위한 상부 분해가스가열을 위한 산소버너(23)가 있다.
가스정화장치(3)는 종래의 유해 폐기물의 열분해 가스화 처리장치와 동일한 구성으로 상기 열분해장치(2)의 열분해실(22)에서 분해된 가스가 상부분해가스가열용 산소버너(23)로 가열된 후 유입된 분해가스를 가성소다 액으로 냉각 세정하는 냉각 및 세정탑(30)과 세정된 가스를 이송하는 가스흡입송풍기(35), 세정시 발생하는 슬러지를 이송하는 슬러지이송펌프(31), 슬러지를 처리하는 폐수처리장(32), 가성소다 액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36), 분리된 분해가스를 저장하는 가스저장조(37)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병원폐기물과 같이 대부분 수분이 함유되어 있고 여러 가지 물질이 혼합되어 있으며 전처리가 어렵고 따라서 분리하기가 어려운 유해폐기물(4)을 분리하지 않고 직접 열분해가스화 하는 방식으로 상술한 구성에 의한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해폐기물(4)이 홉퍼(10)를 통해 투입되어 하부의 투입실(11)에 쌓이게 되면 투입실린더(12)가 전진하면서 유해폐기물(4)을 멸균실(15)로 이송한다 이 멸균실(15)은 폐기물 전체를 멸균할 목적은 아니며 멸균실(15)벽이 150℃이상으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멸균실(15)에서 밖으로의 오염을 억제하기 위한 목적이 더 크다.
멸균실(15)에 적재되어있던 유해폐기물(4)은 다시 압축실린더(13)에 의해서 압축실(16)로 이송되고, 압축실(16)로 이송된 유해폐기물(4)은 이송유압실린더(14)가 전진하면서 압축하면 압축실(16)의 저단에 설치되어 있는 스크린 망(미도시)에 의해서 일부 수분이 분리되고 계속해서 압축을 받아 열분해실(22)에 밀려나가게 된다.
특히, 압축실(16)의 일측은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져 압축실(16)에 쌓여진 유해폐기물(4)은 이송실린더(14)에 의해 열분해실(22)로 밀려나게 되는데 이때 이송실린더(14)의 로드단부는 일정한 거리(S1)만큼만 전진 및 후퇴를 반복하게 되고, 유해폐기물(4)은 압축실(16)의 단부에서 뭉쳐져 압축실을 폐쇄하게 되어 유체의 흐름을 억제하게 된다.
압축실(16)에는 압축실린더(13)에 의해 유해폐기물(4)이 재차 유입되어지고, 새로이 유입된 유해폐기물(4)은 이송실린더(14)에 의해 전진하여 단부에 뭉쳐진 유해폐기물(4)을 밀어내게 되고 재차 압축실(16)의 단부를 폐쇄시켜 분해가스가 투입실로 유통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열분해실(22)에 투입된 유해폐기물(4)은 유리용탕(21)과 보조산소버너(24)에서 열을 흡수하며 열분해를 일으켜 가연성 복합가스, 유리탄소, 미분해 잔류고형분으로 되는데 복합가스와 유리탄소는 열분해실(22)상부로 이동하여 상부분해가스가열산소버너(23)에 의해서 1200℃이상으로 가열된다. 1200℃이상으로 가열하는 목적은 다이옥신의 분해 및 매연으로 나타나는 유리탄소를 분해하려는 것이다.
한편 가스화하지 않은 미분해 잔류 고정분은 열분해실(22)하부의 유리용탕(21)위에 떨어져 유리용탕(21)에 용해된다. 이때 유리용탕(21)의 온도는 1550℃이상의 온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잔류고형분은 유리용탕(21)에 용해되어 유리화 된다. 잔류 고형분 중 금속성분의 고형물은 유리용탕(21)의 열을 받아 용해되어 비중 차로 유리용탕(21)의 하부에 모이게 된다.
잔류고형분이 계속 유리용탕(21)에 용해되면 유리용탕(21)의 액이 증가하는데 이 증가 분만큼 유리용탕취출구(25)를 통해 외부로 취출되고, 금속성분은 금속용탕취출구(26)를 통해 취출된다. 유리용탕(21)은 몰리브덴 가열전극(27)을 통하여 용융유리의 자체전기 저항으로 가열되며 1550℃에서 1600℃사이로 유지되게 유리용해로 전기공급장치(34)에 의해서 조절된다.
열분해실(22)에서 1200℃이상으로 가열되어 냉각 및 세정탑(30)으로 넘어온 분해가스는 열 분해된 유해폐기물(4)의 성상과 열분해실(22)의 조건에 따라 여러 가지 성질과 상태로 되어 나오나 가성소다 액으로 세정하면 염소(Cl), 황산화물 등은 중화되어 세정 액에 흡수되고 세정과정에서 충분한 세정 액을 분사하면 온도도 70℃이하로 냉각된다.
여기에서 열분해실(22)에의 공기유입을 막으면 질소(N2)의 유입을 막게되고 고온의 열분해가스온도에서 질소가 없음으로 질소산화물(NOx)제거설비는 필요 없게 된다.
70℃이하로 냉각되고 세정된 분해가스는 무공해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연료가 됨으로 가스흡입송풍기(31)로 이를 수집 가스저장조(37)에 저장하여 연료로 사용할 수 있고, 양이 적으면 태워버릴 수도 있다.
냉각 및 세정탑(30)에는 순환수 펌프에 의해 계속 세정수가 순환되고 농축된 세정수의 일부를 폐수처리장(32)에 이송하는 슬러지이송펌프(31)가 장착되어 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 및 유리화방법은 유해폐기물(4)을 분리하지 않고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차단한 상태에서 전기 저항가열에 의한 유리용탕의 열에 의해 흡열반응으로 열분해 가스화하고 미분해 고형물은 유리화하며 용융금속은 분리 수집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병원폐기물과 같은 감염성폐기물을 분리하지 않고 멸균실을 두어 처리함으로서 병원균 등의 확산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병원폐기물과 같은 유해성 폐기물을 분리하지 않고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차단한 상태에서 전기저항가열에 이한 용융유리용탕의 고온 열에 의해 유해폐기물을 흡열반응으로 열 분해함으로서 분해효율을 높이고 미분해 고형물은 유리화 시키며, 금속은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상태로 얻어지고 분해가스는 연료로 사용할 수 있어 실용화가 용이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유해폐기물(4)을 열분해에 의해 가스화한 후 후처리하는 유해폐기물의 열분해 및 유리화방법에 있어서,
    분리시키지 않은 유해폐기물(4)을 히팅수단(15a)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된 멸균실(15)에서 멸균시키면서 통상의 압축실린더(13)에 의해 이송시켜 주도록 하는 공정과,
    멸균된 유해폐기물(4)을 통상의 이송유압실린더(14)에 의해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압축실(16)을 압축 통과시키되 압축된 유해폐기물(4)이 항상 압축실(16)의 내부의 선단부를 폐쇄상태로 유지시켜 주도록 하는 공정과,
    상기 유해폐기물(4) 중의 미분해 잔류물을 유리용탕(21)에서 용해시키고 상기 미분해 잔류물 중의 고 융점의 금속결정체와 유리용탕을 비중차에 의해 구분되어지도록 하여 회수하도록 하는 공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폐기물의 열분해 가스화 처리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멸균실(15)의 내부를 100~250℃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폐기물의 열분해 가스화 처리방법.
  3. 유해폐기물을 투입하는 투입장치(1)와 투입된 유해폐기물 열분해에 의해 가스와 고형물로 분해시키는 열분해장치(2)와 열 분해된 가스를 후처리하는 가스정화장치(3)로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투입장치(1)는 유해폐기물(4)을 투입하기 위한 일시 저장 홉퍼(10)의 하측에 투입실(11)을 형성하되, 투입실(11)의 일측에 투입실린더(12)를 장착하고, 투입실(11)의 타측에 히팅수단(15a)이 구비된 멸균실(15)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되, 멸균실(15)의 상단에는 통상의 압축실린더(13)를 장착하며, 멸균실(15)의 하측에는 서로 연통되는 압축실(16)을 가로방향으로 형성하되, 압축실(16)의 일측에는 이송유압실린더(14)를 장착하고, 압축실(16)의 선단부는 열분해실(22)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하는 것과,
    상기 열분해장치(2)는 유해폐기물(4)의 열분해 열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저항가열 유리용해로(20)를 연통되게 형성하되 열분해실(22)의 상하측에는 보조산소버너(23)와 산소버너를 구비하고, 하측의 유리용해로(20)의 중하측에 가열전극(27)을 구비하되 가열전극(27)의 상하측에는 유리용탕취출구(25) 및 금속용탕취출구(26)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폐기물의 열분해 가스화 및 유리화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압축실(16)은 열분해실(22)로 이어지는 선단부를 테이퍼진 경사면(T)으로 형성한 것과,
    압축실(16)의 일측에 장착되어진 이송유압실린더(14)의 로드는 압축실(16)의 선단부에 형성된 경사면(T)의 직전까지만 왕복 작동하도록 하여 압축실(16)의 단부에 유해폐기물(4)이 잔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폐기물의 열분해 가스화 및 유리화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유리용탕(21)의 내측에 유리용탕취출구(25)와 금속용탕취출구(26) 및 가열전극(27)을 장착하되 금속용탕취출구(26)를 유리용탕(21)의 바닥 면 쪽에 장착하고, 유리용탕취출구(25)는 금속용탕취출구(26)의 상측에 장착하여서 구성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폐기물의 열분해 가스화 및 유리화 장치.
KR1020010014283A 2001-03-20 2001-03-20 유리용탕을 이용한 유해폐기물의 열분해가스화 처리 및잔류 고형분의 유리화 방법과 그 장치 Ceased KR20010044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283A KR20010044720A (ko) 2001-03-20 2001-03-20 유리용탕을 이용한 유해폐기물의 열분해가스화 처리 및잔류 고형분의 유리화 방법과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283A KR20010044720A (ko) 2001-03-20 2001-03-20 유리용탕을 이용한 유해폐기물의 열분해가스화 처리 및잔류 고형분의 유리화 방법과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720A true KR20010044720A (ko) 2001-06-05

Family

ID=19707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283A Ceased KR20010044720A (ko) 2001-03-20 2001-03-20 유리용탕을 이용한 유해폐기물의 열분해가스화 처리 및잔류 고형분의 유리화 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47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841A (ko) * 2021-02-03 2022-08-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유리화설비의 폐기물 공급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4011A2 (en) * 1994-08-05 1996-02-15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Novel compound to mimic a naturally occurring peptide's effect
JPH10110922A (ja) * 1996-10-01 1998-04-28 Daido Steel Co Ltd 廃棄物の熱分解残渣又は燃焼性固体炭素を含む焼却残渣の溶融処理方法
KR19990050775A (ko) * 1997-12-17 1999-07-05 이해규 폐기물의 열분해 가스화 용융 처리 장치
JPH11290810A (ja) * 1998-04-07 1999-10-26 Toshiba Corp 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廃棄物処理装置
KR19990080422A (ko) * 1998-04-16 1999-11-05 정용길 저준위 방사성 및 유해 폐기물의 열분해 및 플라즈마 유리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4011A2 (en) * 1994-08-05 1996-02-15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Novel compound to mimic a naturally occurring peptide's effect
JPH10110922A (ja) * 1996-10-01 1998-04-28 Daido Steel Co Ltd 廃棄物の熱分解残渣又は燃焼性固体炭素を含む焼却残渣の溶融処理方法
KR19990050775A (ko) * 1997-12-17 1999-07-05 이해규 폐기물의 열분해 가스화 용융 처리 장치
JPH11290810A (ja) * 1998-04-07 1999-10-26 Toshiba Corp 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廃棄物処理装置
KR19990080422A (ko) * 1998-04-16 1999-11-05 정용길 저준위 방사성 및 유해 폐기물의 열분해 및 플라즈마 유리화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841A (ko) * 2021-02-03 2022-08-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유리화설비의 폐기물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i et al. Thermal plasma treatment of medical waste
KR100343396B1 (ko) 유해 폐기물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170086B1 (ko) 폐기물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6987275A (zh) 工业废弃物的高温等离子体气化熔融处理系统及方法
JP4675804B2 (ja) ポリ塩化ビフェニル汚染物の処理設備
KR101020512B1 (ko) 감염성 폐기물 처리장치
US20130199092A1 (en) Process and system for converting waste material to fuel or synthetic gas feedstock
KR101562856B1 (ko) 플라즈마 토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및 비가연성 생활폐기물 또는 병원폐기물 일괄 처리 방법
JP2007216204A (ja) 廃棄物熱分解処理装置
KR20010044720A (ko) 유리용탕을 이용한 유해폐기물의 열분해가스화 처리 및잔류 고형분의 유리화 방법과 그 장치
KR100311904B1 (ko) 가스증폭플라즈마고온열분해소각방법및그시스템
JP2902384B2 (ja) 中・低準位放射性廃棄物の処理装置
KR100489224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병원폐기물 및 중금속함유유해폐기물의 열적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303473B1 (ko) 유해폐기물의열분해가스화처리방법및그장치
KR100364379B1 (ko)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19990050775A (ko) 폐기물의 열분해 가스화 용융 처리 장치
KR20150003073U (ko) Al-PE 폐기물의 저온 연소처리장치
JP2005172276A (ja) 高温処理方法及び高温処理装置
JP2004154666A (ja) 廃棄物の処理方法
KR20230047260A (ko) 폐열 회수 구조를 갖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감염성 폐기물의 열분해용융 장치 및 그 방법
JP2009051867A (ja) 医療系プラスチック廃棄物等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KR100582561B1 (ko) 폐기물 탄소화처리장치
KR200253364Y1 (ko) 고주파 용해로를 구비한 이동식 폐기물 처리설비
Mossé et al. Analysis and simulation of the process of medicobiological waste treatment in a plasma chamber incinerator
KR20040083227A (ko) 탄화플라즈마 연소장치와 그 연소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3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11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