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54656A - 아마 추출물과 알파히드록시산을 함유하는 피부보호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마 추출물과 알파히드록시산을 함유하는 피부보호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4656A
KR20010054656A KR1019990055549A KR19990055549A KR20010054656A KR 20010054656 A KR20010054656 A KR 20010054656A KR 1019990055549 A KR1019990055549 A KR 1019990055549A KR 19990055549 A KR19990055549 A KR 19990055549A KR 20010054656 A KR20010054656 A KR 20010054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hydroxy acid
aha
extract
ac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길
김범준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유상옥,송운한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옥,송운한,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유상옥,송운한
Priority to KR1019990055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4656A/ko
Publication of KR20010054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65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45Proteins of vegetable orig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마 추출물(Linseed extract)과 알파히드록시산(AHA: α-Hydroxy Acid)을 함유하는 피부 보호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 주름 및 과각질 제거, 기미, 주근깨 제거, 색소 침착을 개선할 수 있는 알파 히드록시산(AHA: α-Hydroxy Acid)에 아마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서 알파 히드록시산에 의한 피부 자극을 완화시켜 피부 자극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여 이를 함유하는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아마 추출물과 알파히드록시산을 함유하는 피부보호 화장료 조성물{Skin care composition containing Linseed extract and α-Hydroxy acid}
본 발명은 아마추출물(Linseed extract)과 알파히드록시산(α-Hydroxy acid(AHA)을 함유하는 피부보호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를 이루고 있는 가장 큰 기관인 피부는 외부로부터 피부 안쪽의 다양한 기관을 보호하는 기능과 내부의 수분 및 유용성분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장벽기능, 온도조절기능, 배설기능, 호흡 기능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아주 중요한 기관이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피부의 두께가 얇아져 피부 장벽 기능이 저하되고 피부의 수분함량의 급격한 감소로 피부가 건조해지는 등 피부의 생리적 기능이 저하된다. 또한, 자외선량의 증가, 대기오염, 현대인의 과도한 피로와 스트레스 등으로 생성된 반응성이 높은 활성산소, 자유라디칼은 단백질, 핵산, 세포막 지질 등의 생체성분을 산화시키거나 변성시켜 피부의 생리적 기능 저하를 일으켜 외부의 작은자극원에 의해서도 피부자극이 쉽게 일어나게 한다. 아울러 피부의 노화에 따라 주름, 기미, 주근깨 및 색소 침착이 발생되는 등의 피부 자극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알파히드록시산(AHA: α-Hydroxy Acid)을 사용하여 과각질 제거 및 피부 세포의 활성을 촉진시켜 피부를 개선하였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알파히드록시산(AHA: α-Hydroxy Acid)은 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의 α 위치에 있는 탄소에 알코올기(Alcohol group) 또는 히드록시기(Hydroxy group)를 첨가한 화합물로 각질 세포의 이온결합 에너지를 낮추어 과각질을 제거하거나 새로운 세포의 형성을 촉진하여 피부가 노화되면서 길어지는 각질화과정의 주기를 짧게 하여 피부 세포의 활성을 촉진시켜 피부를 개선하는 것이다. 또한, 섬유아세포(Fibroblast)에 의한 콜라겐(Collagen)과 엘라스틴(Elastin)의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를 탄력있고, 부드럽게 하고 진피의 중요한 세포외 기질 성분인 뮤코폴리사카라이드(Mucopolysaccharide)의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보습을 증진시킨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는 알파히드록시산은 오래전부터 사용된 것으로 고대 이집트인들은 피부를 건강하고 아름답게 유지하기 위해 우유를 발효시켰을 때 생성되는 알파히드록시산의 일종인 젖산(lactic acid)을 목욕할 때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고, 200년 전 프랑스의 귀족여인들은 묵은 포도주를 얼굴에 발라 부드럽고 깨끗한 피부를 유지하였는데, 이는 묵은 포도주 속에 함유된 알파히드록시산 성분인 사과산(Malic acid)과 주석산(Tartaric acid)을 사용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진 알파히드록시산은 최근 미국 템플대학병원의 피부과 전문의 Dr.E.J.Scott에 의해 노화방지, 여드름개선, 기미, 주근깨등 색소침착 예방 및 개선(임상실험)에 관한 특허(USP4105783)가 등록된 이후, 이와 관련된 다수의 특허가 등록되었다.
현재, 알파히드록시산은 발효우유나 효소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젖산(Lactic acid, MW=90.08), 레몬이나 오렌지등 과일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구연산(Citric acid, MW=210.14), 사과, 포도, 딸기 등에 다량 함유된 사과산(Malic acid, MW=130.98) 및 포도에서 얻어지는 주석산(Tartaric acid, MW=150.09)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젖산은 세포재생 효과, 수분조절 효과 및 과각질 제거 효과가 우수하며 AHA중에서는 피부 자극이 낮아 화장료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반면, 사탕수수에서 얻어지는 글리콜릭산(Giycolic acid, MW=76.05)은 AHA 중 분자량이 가장 작아 피부 침투가 빨라 효과는 좋으나 피부에서의 자극이 심하고 균형적인 필링(Peeling)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그 사용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최근에 AHA의 피부자극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고, 그 중 대체 기재로 BHA의 사용을 들 수 있다.
상기 베타히드록시산(BHA: β-Hydroxy Acid)은 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의 β위치에 있는 탄소에 알코올기(Alcohol group) 또는 히드록시기(Hydroxyl group)가 붙여진 구조를 가진 화합물로 분자량(105-194)이 AHA(76.1-210.1)보다 커서 피부 내부로 쉽게 침투되지 않아 피부 자극이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BHA에 의한 피부 자극도 상당히 크고 AHA에 비해 피부 보습 효과, 세포 재생 효과,미백효과, 주름 개선 효과, 피부 탄력 효과 등이 떨어지는 등 AHA의 대체 기재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외에도 AHA를 단독으로 사용함으로서 피부 속의 물질과 반응하여 염(SALT)을 생성하거나 중화되어 효과가 떨어지기도 한다. 또한, 생리활성을 갖기 위해서 제품의 산도(pH)가 2에서 3사이 이어야 하는데 이는 피부에 매우 강한 자극 즉, 타는듯하거나, 붉어짐, 건조 등의 피부 부작용을 수반한다.
따라서, AHA를 리포좀 형태로 캡슐화화여 pH를 5에서 6 사이로 제형하여 피부 자극을 거의 줄였으나 이때는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나타나 요즘에는 다양한 종류의 과일산(AHA)과 그 유도체를 복합하여 AHA 콤플렉스(Complex)를 만들어줌으로서 산도(pH 3.8-4.0)에 의한 피부 자극은 최소화하고 효과는 상승시키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피부에 대한 자극 문제는 남아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피부 주름 및 과각질 제거, 기미, 주근깨 제거, 색소 침착을 개선할 수 있는 알파 히드록시산(AHA: α-Hydroxy Acid)에 아마 추출물을 함유하여 알파 히드록시산(AHA: α-Hydroxy Acid)의 피부 자극을 완화할 수 있는 피부 보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건조 중량에 대해 아마 추출물을 0.01-10.0중량%로, 알파히드록시산을 0.01-20.0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아마 추출물과 알파히드록시산(AHA: α-Hydroxy Acid)을 함유하는 피부 보호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피부 주름 및 과각질 제거, 기미, 주근깨등 색소 침착을 개선할 수 있는 알파 히드록시산에 아마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자극을 완화할 수 있는 피부 보호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아마(Linum usitatissimumL.)는 높이 30-100cm에 이르는 한 해 살이 풀로 잎은 좁은 버들잎 모양이고 열매는 타원형으로 10개의 씨가 들어있다. 상기 씨에는 건성유가 48%, 단백질 20%, 탄수화물 12∼20%, 물분해 되는 다당류(점액) 3∼9%, 기타 아미노산, 유기산, 리노찌나마린, 리나마린등이 소량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아마(Linum usitatissimumL.)추출물은 함영증 작용이 뛰어난 아마씨의 점액 부분을 추출한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아마 추출물은 아마씨를 깨끗한 물로 세척, 건조한 후 미세하게 분말화하고, 분말화한 아마씨에 추출 용매로 물, 아세톤, 에칠아세테이트 또는 1,3-부칠렌글리콜 수용액을 사용하여 아마씨 건조중량에 대하여 1-15 부피배의 양으로 가하고, 냉각콘덴서가 부착된 추출기에서 50-95℃로 1-20 시간 동안 가열한 후, 추출용매를 냉각콘덴서가 부착된 증류장치로 감압 농축하여 얻는다.
또는, 상기 아마씨 분말에 추출 용매로 물, 아세톤, 에칠아세테이트 또는1,3-부칠렌글리콜 수용액을 사용하여 아마씨 건조중량에 대하여 1-15 부피배의 양으로 가하고, 5-40℃에서 1-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추출용매를 냉각콘덴서가 부착된 증류장치로 감압 농축하여 얻는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아마(Linum usitatissimumL.) 추출물은 베타-글루칸(β-glucan), 우론산(Uronic acids), 펩티드글리칸(Peptidoglycans)등을 유효 성분으로 하여 단백질(proteins) 30-35%, 당(total sugars) 40-45%, 우론산(uronic acids) 4-6%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화장료 건조 중량에 대해 0.01-10.0중량%, 바람직하게 0.1-5.0중량%로 배합된다.
또한, 상기 AHA는 통상 화장료에 사용되고 있는 글리콜릭산, 주석산, 구연산, 젖산, 사과산 등으로 그 종류가 한정적이지 않으며 이들을 화장료의 건조 중량에 대해 0.01-20.0중량%, 바람직하게 0.01-10.0중량%로 배합한다.
상기 아마 추출물과 AHA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파우더, 엣센스, 팩 등 그 제형에 있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상기 아마 추출물과가 AHA외의 다른 성분을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아래의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배합량은 중량%로 나타낸다.
실시예: 크림 제조
배합성분 실시예 비교예
1. AHA(젖산) 10.0 10.0
2. 아마추출물 4.0 -
3. 바셀린 7.0 7.0
4. 유동파라핀 10.0 10.0
5. 밀납 2.0 2.0
6. 폴리솔베이트 60 2.0 2.0
7.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 2.5
8. 스쿠알란 3.0 3.0
9. 프로필렌글리콜 6.0 6.0
10. 글리세린 4.0 4.0
11. 트리에탄올아민 0.5 0.5
1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0.5
13.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0.1
14. 향, 방부제 미량 미량
15. 정제수 to 100 to 100
제조 방법:
1) 원료 3-8을 교반하면서 70℃로 가온하여 유상 용액을 만든다.
2) 정제수에 원료 9-10, 12-13을 넣어 교반하면서 70℃로 가온하여 수상 용액을 제조한다.
3) 상기 2)에 유상 용액인 1)과 원료 11을 혼합한 후 유화시켜 냉각한다.
4) 상기 3)에 원료 1-2, 14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30℃까지 냉각시켜 얻는다.
시험예: 피부 첩포 실험(Patch Test)
본 발명의 아마 추출물, AHA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AHA만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실시예와 비교예로 하여 피부 안정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피검자 40명(평균연령 22세 , 연령분포 19세-34세)을 대상으로 A, B 2그룹으로 나누어 A그룹을 대상으로 실시예를, B그룹을 대상으로 비교예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박에 피부 첩포 실험(Patcn Test)을 한다. 단, 건선(Psoriasis), 습진(Eczema), 기타 피부 병변 보유자나 임신, 수유부 또는 피임제, 항히스타민제 등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본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상기 피부 첩포 실험을 위해 시험부위인 상박 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킨 다음 A, B 그룹에 각각 실시예와 비교예를 15㎍씩 Chamber에 적하 시킨 후 시험 부위에 얹어 고정시킨다. 24시간 동안 첩포를 도포한 후 제거하고 펜(Marking Pen)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시험부위를 관찰한다.
피부안정성에 대한 판정은 하기 표 2의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ICDRG)의 규정에 따라 첩포 제거 30분, 24시간, 48시간, 72시간 후에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의 판정 기준
기호 판정 기준 평가 Mean Score
±++++++- Doubtful or slight reaction and erythemaErythema + IndurationErythema + Induration + VesicleErythema + Induration + BullaeNegative 미소자극경자극중자극강자극무자극 0∼0.91.0∼2.93.0∼4.95.0이상0
피부 첩포 실험
경과시간 실시예 비교예
24시간 0.5 4.5
48시간 0 1.5
72시간 0 0.5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 첩포 실험에 따른 피부안전성 실험결과 실시예는 처음 24시간에서만 아주 낮은 미소자극을 보이고 48시간 이후에는 자극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아마추출물이 AHA에 의한 피부 자극을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줌을 알 수 있다. 반면, AHA만을 함유한 비교예는 24시간 후에 평균 자극정도가 4.5로 피부에 강한 자극을 나타내며 48시간 이후에도 자극이 계속 남아 있어 피부 자극 정도가 심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피부 자극감 실험(Stinging Potential Test)
실시예와 비교예의 피부보호 화장료에 대한 피부 자극감 실험을 실시하기 위해, 피검자 20명(평균연령 22세 , 연령분포 19세-34세)을 대상으로 Steam Generator를 사용하여 15분간 충분히 스위팅(Sweating) 시킨 뒤 얼굴의 왼쪽 부분에 실시예를, 오른쪽 부분에 비교예를 코 주위 및 뺨을 중심으로 강하게 비비면서 바른다. Stinging grade는 적용 후 자극 반응이 나타나는 시간에 따라 30초 이내에 나타나면 Intense stinging, 2.5분 이내는 mild stinging, 5분 이내는 moderate stinging, 8분 이내는 delayed stinging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단건선(Psoriasis), 습진(Eczema), 기타 피부병변 보유자나 임신, 수유부 또는 피임제, 항히스타민제 등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본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판정은 시료(실시예, 비교예)를 얼굴에 바른 후 나타나는 피부반응(가려움, 따가움, 쓰라림, 붉어짐, 부어오름등)을 8분 동안 관찰하여 자극정도(Response score)를 피검자수(n)로 나누어 자극양성율(Response rate(%))을 구하여 자극을 평가하였다. 자극양성율(Response rate(%))에 따른 피부자극 정도는 하기 표 4의 기준에 따라 판정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피부자극감실험(Stinging Potential Test) 판정 기준
Grade Response rate(%) 판정
1 0.00 - 0.75 무자극
2 0.76 - 1.50 미자극
3 1.51 - 2.50 경자극
4 2.51 - 4.00 중자극
5 4.01이상 강자극
피부자극감실험(Stinging Potential Test)
실시예 비교예
Response rate(%) 0.80 4.50
판정 미자극 강자극
Grade 2 5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 자극감 실험에 따른 피부안전성 실험결과 실시예(Response rate(%): 0.8)는 비교예(Response rate(%): 4.5)에 비해 매우 낮은 피부자극을 나타내고, 이는 일반적으로 AHA를 함유한 화장료가 강한 자극을갖고 있음을 감안할 때 본 발명의 조성물 아마추출물이 AHA의 피부 자극을 효과적으로 억제, 완화시켜 매우 안전한 화장료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AHA의 각질제거 효과 및 피부 자극 측정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해 AHA의 각질제거에 의한 피부 과각질 제거 효과, 즉 피부색 밝기 및 부드러움 개선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기미, 주근깨 및 색소 침착증을 갖고 있는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무작위로 10명씩 A, B 2개 그룹으로 나눈다. A그룹을 대상으로는 실시예를, B그룹을 대상으로는 비교예를 각각 1일 2회씩 6주간 도포한 후 과각질의 제거 정도를 크로마메타(Minolta CR300)를 이용하여 색의 밝기변화(ΔL)를 측정하고, 피검자에 의한 주관적 육안관찰로 과각질 제거 효과 정도에 대해 하기 평가 기준(7등급)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또한, AHA에 의한 피부 홍반의 발생정도(ΔE)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 색의 밝기 변화(ΔL) 측정 부위를 멕사미터(MEXAMETER: C+K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각각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해 사용전과 사용후의 Erythema Index(E)를 측정한 후 ΔE값을 구한다. ΔE값이 커질수록 피부 홍반의 정도가 커져 AHA에 의한 피부자극이 심한 것으로 ΔE값으로 피부 자극 정도에 대해 알아보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과각질 제거효과
피검자 피부색의 밝기 변화(ΔL)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 비교예
1 5.2 4.4 3 2
2 5.9 4.0 2 3
3 4.3 7.3 3 1
4 4.9 5.8 3 2
5 4.5 5.5 2 3
6 5.5 6.1 3 3
7 6.9 3.8 2 1
8 4.3 5.4 2 3
9 7.7 6.5 3 3
10 8.3 4.6 3 2
평균값 5.8 5.3 2.6 2.3
* 평가 기준 :
-3: 매우 악화, -2: 악화, -1: 약간 악화, 0: 변화 없음
1: 약간 개선, 2: 개선, 3: 매우 개선
과각질 제거에 따른 피부홍반 정도
피검자 Erythema Index 변화(ΔE)
실시예 비교예
사용전 사용후 ΔE 사용전 사용후 ΔE
1 580 585 5 545 560 15
2 575 575 0 510 525 15
3 600 595 -5 615 640 25
4 520 530 10 555 560 5
5 495 505 10 480 515 35
6 620 620 0 520 530 10
7 515 515 0 570 590 20
8 575 580 5 540 565 25
9 530 530 0 590 625 35
10 560 570 10 540 555 15
평균값 3.5 20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아마추출물과 AHA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A그룹과 AHA만을 함유한 B그룹의 평균 ΔL값은 각각 5.8(P<0.01), 5.3(P<0.01)로 실시예 및 비교예 모두 과각질 제거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에서도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A그룹 2.6(P<0.01), B그룹 2.3(P<0.01)로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도 매우 유효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AHA의 각질 제거에 따른 피부 자극 정도를 나타낸 표 7의 실험결과를 보면 비교예의 ΔE값이 20으로 피부가 심하게 붉어져 피부자극이 심함을 알 수 있다. 반면, 실시예의 피부 붉어짐(홍반) 정도는 ΔE값 3.5로 육안으로 홍반의 정도를 구분하기 힘들다. 즉, 피부자극이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따라서, 아마 추출물과 AHA를 함유한 실시예와 AHA만을 함유한 비교예의 과각질 제거 효과 및 피검자의 사용 효과는 모두 비슷하지만, 그 사용에 따른 피부 자극 정도는 실시예가 훨씬 낮음을 볼 때, 아마 추출물이 AHA사용에 따른 피부 자극을 완화시켜 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제형의 안정성 시험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해 분리 및 변색 정도에 대한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와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 내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을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동안 보관한 후 분리 및 변색 정도를 비교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이때 제품의 분리 및 변색 정도는 하기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분리 및 변색정도
온 도 실시예 비교예
45℃ 0 0
4℃ 0 0
* 분리 및 변색 평가 기준 :
0: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분리(변색), 2: 조금 분리(변색)
3: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 4: 심하게 분리(변색), 5: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
상기 표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비교예 모두 변색 및 분리현상이 전혀 없어 안정한 기제임을 알 수 있다.
제형예:
본 발명의 아마추출물과 알파히드록시산(AHA: α-Hydroxy Acid)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품에 도입한 것으로, 아마추출물을 화장료의 건조중량에 대해 0.01-10중량%로, 알파히드록시산을 화장료의 건조중량에 대해 0.01-20중량%로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하기의 제형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 화장수(스킨 로션) 제조
본 발명의 아마추출물과 알파히드록시산을 함유하는 유연 화장수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9에 기재된 것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배합성분 중량부
Lactic acid 0.1
아마추출물 0.5
1,3-부틸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올레일알코올 0.1
폴리솔베이트 20 0.5
에탄올 15.0
벤조페논-9 0.05
향, 방부제 미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2 : 영양 화장수(밀크로션) 제조
본 발명의 아마추출물과 알파히드록시산을 함유하는 영양 화장수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10에 기재된 것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배합성분 중량부
Lactic acid 2.0
아마추출물 1.0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
유동 파라핀 5.0
스쿠알란 3.0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산탄검 0.3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3 : 영양 크림 제조
본 발명의 아마추출물과 알파히드록시산을 함유하는 영양 크림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11에 기재된 것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배합성분 중량부
Lactic acid 5.0
아마추추물 1.0
바셀린 7.0
유동파라핀 10.0
밀납 2.0
폴리솔베이트 60 2.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스쿠알란 3.0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산탄검 0.5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4 : 마사지 크림 제조
하기 표 12에 기재된 성분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 제조 방법에 따라 마사지 크림을 제조한다.
배합성분 중량부
Lactic acid 2.0
아마추출물 0.5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밀납 2.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폴리솔베이트 60 3.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
세테아릴알코올 2.0
유동파라핀 30.0
산탄검 0.5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5: 팩
하기 표 13에 기재된 성분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 제조 방법에 따라 팩을 제조한다.
배합성분 중량부
Lactic acid 3.0
아마추출물 1.0
프로필렌글리콜 2.0
글리세린 4.0
폴리비닐알콜 10.0
에탄올 7.0
피이지-40 히드로게비이티드 캐스터 오일 0.8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아마 추출물과 알파히드록시산(AHA: α-Hydroxy Acid)을 함유하는 피부 보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및 기미, 주근깨, 색소 침착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알파히드록시산으로부터의 피부 자극을 아마추출물을 함유함으로서 감소, 완화시켜 피부 자극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이를 함유하는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피부 보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아마 추출물(Linseed extract)과 알파히드록시산(AHA: α-Hydroxy Acid)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화장료의 건조 중량에 대해 아마 추출물이 0.01-10.0중량%, 알파히드록시산이 0.01-2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아마 추출물은 아마씨 분말을 물, 아세톤, 에칠아세테이트, 1, 3-부칠렌글리콜 수용액을 추출 용매로 사용해 제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아마 추출물은 단백질(Proteins) 30-35%, 당(Total Sugars) 40-45%, 유론산(Uronic acids) 4-6%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 화장료 조성물.
KR1019990055549A 1999-12-07 1999-12-07 아마 추출물과 알파히드록시산을 함유하는 피부보호화장료 조성물 Ceased KR20010054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549A KR20010054656A (ko) 1999-12-07 1999-12-07 아마 추출물과 알파히드록시산을 함유하는 피부보호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549A KR20010054656A (ko) 1999-12-07 1999-12-07 아마 추출물과 알파히드록시산을 함유하는 피부보호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656A true KR20010054656A (ko) 2001-07-02

Family

ID=19624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549A Ceased KR20010054656A (ko) 1999-12-07 1999-12-07 아마 추출물과 알파히드록시산을 함유하는 피부보호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46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415B1 (ko) * 2006-02-03 2007-08-07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추출혼합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WO2008043944A3 (fr) * 2006-10-05 2008-11-27 Silab Sa Utilisation d'un principe actif issu de lin agissant sur le derme papillaire, pour son action anti-a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6707A1 (en) * 1992-02-19 1993-09-02 Smithkline Beecham Plc Linseed mucilage
US5736128A (en) * 1996-05-14 1998-04-07 Isp Investments Inc. Cosmetic composition for rejuvenation of skin without skin irritation
KR19990058639A (ko) * 1997-12-30 1999-07-15 손경식 아마인 추출물과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을함유한 항자극성, 항염증성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6707A1 (en) * 1992-02-19 1993-09-02 Smithkline Beecham Plc Linseed mucilage
US5736128A (en) * 1996-05-14 1998-04-07 Isp Investments Inc. Cosmetic composition for rejuvenation of skin without skin irritation
KR19990058639A (ko) * 1997-12-30 1999-07-15 손경식 아마인 추출물과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을함유한 항자극성, 항염증성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415B1 (ko) * 2006-02-03 2007-08-07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추출혼합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WO2008043944A3 (fr) * 2006-10-05 2008-11-27 Silab Sa Utilisation d'un principe actif issu de lin agissant sur le derme papillaire, pour son action anti-age
EP3744311A1 (fr) * 2006-10-05 2020-12-02 Société Industrielle Limousine d'Application Biologique Dite SILAB Utilisation d'un principe actif issu de lin agissant sur le derme papillaire, pour son action anti-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8564B1 (en)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lotus for skin treatment
US8101214B2 (en)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complex of herbal extracts
CN115137665B (zh) 一种具有长效保湿及舒缓功效的组合物及其应用
CA2485403C (en) Use of purslane to treat facial wrinkles
KR102227355B1 (ko) 비자극성 약산성 각질제거 및 상피세포 영양 공급을 위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20100128733A (ko) 편백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55963B1 (ko)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CN105997772A (zh) 一种美白补水面膜液及其制备方法
CN111544348A (zh) 一种祛皱霜及其制备方法
KR100377397B1 (ko) 레티놀 및 표피성장인자를 함유하는 피부보호 화장료 조성물
US20180353413A9 (en) Skin compositions containing hydrocortisone
CN108451806B (zh) 一种天然抗敏保湿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13136533A (ja) 老化防止化粧料
CN118873475A (zh) 一种美白护肤霜及其制备方法
CN116459169B (zh) 一种抗炎保湿皮肤外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653084B (zh) 一种含生长因子的男士用护肤组合物及其应用
KR20020016960A (ko)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36819B1 (ko) 피부 보습, 진정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5154360A (zh) 一种具有美白祛斑及保湿功效的组合物及其应用
KR20050097578A (ko)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JPH09255546A (ja) 皮膚外用剤
KR20010054656A (ko) 아마 추출물과 알파히드록시산을 함유하는 피부보호화장료 조성물
KR100434898B1 (ko)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약용 식물 복합 추출액 함유 화장료조성물
KR20130115566A (ko) 두족류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KR20100003955A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11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12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7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3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