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9955A - 냉각수단을 구비한 헤드밴드 - Google Patents
냉각수단을 구비한 헤드밴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69955A KR20010069955A KR1020010028078A KR20010028078A KR20010069955A KR 20010069955 A KR20010069955 A KR 20010069955A KR 1020010028078 A KR1020010028078 A KR 1020010028078A KR 20010028078 A KR20010028078 A KR 20010028078A KR 20010069955 A KR20010069955 A KR 200100699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s
- transfer pipe
- band
- head
- headban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10—Cooling bags, e.g. ice-ba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수단을 구비한 헤드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온, 저압에서 급속하게 팽창되면서 냉기를 발생하는 가스가 저장된 압축가스통을 가스통수납클립에 수납하여서 가스연결수단으로서 가스를 공급하고, 가스개폐수단에서 가스의 공급을 개폐한 후, 압축가스가 팽창되면서 냉기를 사용자의 머리에 공급하며, 냉기가 소진된 냉매를 가스배출수단의 가스배출공을 통하여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에서 발생한 열을 지속적이고 효율적으로 식혀주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기를 발생하는 헤드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온 저압에서 급속하게 팽창되면서 냉기를 발생하는 가스가 저장된 압축가스통을 가스통수납클립에 수납하여서 가스연결수단으로서 가스를 공급하고, 가스개폐수단에서 가스의 공급을 개폐한 후, 압축가스가 팽창되면서 냉기를 사용자의 머리에 공급하며, 냉기가 소진된 냉매를 가스배출수단의 가스배출공을 통하여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에서 발생한 열을 지속적이고 효율적으로 식혀주도록 하는 냉각수단을 구비한 헤드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감기 혹은 기타 다른 질환으로 인하여 신체에서 열이 발생하는 경우 머리에서 발생하는 열이 신체에서 가장 민감한 부분인 머리의 뇌에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가 있다.
보통 사람의 신체온도는 36.5℃ 일 때 가장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하며, 대략적으로 38℃정도 이상이 되면 신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우려가 있으므로 땀을 흘린다던지 기타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서 신체의 열을 내려주어야 한다.
민간적인 요법으로 내려오는 방법으로는 머리에 차거운 물수건을 대거나 혹은 얼음을 내장한 얼음봉투를 대고서 사람들의 머리의 이마부분에서 발생된 열을 배출하도록 보조하는 작용을 하였다.
그런데, 상기 물수건을 사용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보조역할을 하는 사람이 환자의 측면부분에서 대기하고서 짧은 시간의 범위 내에서 반복적으로 물수건을 물에 담구어서 짜준후에 이마에 대고서 열을 식혀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얼음봉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차거움을 느끼거나 얼음봉투내에서 얼음이 녹아서 물이 되는 상태에 있으므로 유동이 발생하여 한손 혹은 보조 기구를 사용하여 머리의 이마에 대고 있어야 하므로 사용자가 신체를 움직이지 못하여 사용상에 신체적인 제한을 받게 되는 문제점을 지닌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저온 저압에서 급속하게 팽창되면서 냉기를 발생하는 가스가 저장된 압축가스통을 가스통수납클립에 수납하여서 가스연결수단으로서 가스를 공급하고, 가스개폐수단에서 가스의 공급을 개폐한 후, 압축가스가 팽창되면서 냉기를 사용자의 머리에 공급하며, 냉기가 소진된냉매를 가스배출수단의 가스배출공을 통하여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에서 발생한 열을 지속적이고 효율적으로 식혀주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단을 구비한 헤드밴드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단을 구비한 헤드밴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연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개폐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배출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밴드의 저면에서 보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헤드밴드 10 : 압축가스통
12 : 주입구 14 : 수나사부
20 : 밴드체 22 : 접촉직물체
24 : 단열보온재 26 : 가스이송관
30 : 가스통수납클립 32 : 수납홈부
40 : 가스연결수단 42 : 조임체
44 : 암나사부 50 : 가스개폐수단
52 : 작동버튼 54 : 지지봉
56 : 차단부 58 : 요홈부
60 : 스프링 70 : 가스배출수단
72 : 배출회전버튼 74 : 지지체
75 : 이동체 77 : 가스배출공
이러한 목적은 사용자의 머리에 접촉하여 주는 밴드체를 갖는 헤드밴드에 있어서, 상기 밴드체의 내부에 충진되어서 단열 및 보온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열보온재와; 상기 밴드체의 내측면에 부착되어서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직물고정체와; 상기 밴드체의 끝단부분에 설치되어서 사용자의 머리에 접촉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신장되고, 버클 고정되어지는 밴드고정수단과; 상기 밴드체의 일측면에 진입부와 수납홈부를 갖도록 형성된 다수의 가스통수납클립과; 상기 가스통수납클립의 수납홈부에 탄성적으로 수납 고정되어서 주입구로 가스가 배출될 때, 냉기를 발생하도록 하는 압축가스가 내장된 압축가스통과; 상기 압축가스통의 주입구에 결합되거나 분리되어서 가스이송관으로 가스를 공급하도록 하는 연결하여 주는 가스연결수단과; 상기 가스이송관을 통하여 이송하는 가스가 개폐되도록 가스이송관에 설치되는 가스개폐수단과; 상기 가스개폐수단의 개방에 의하여 가스이송관을 통하여 이송하는 가스가 냉기를 일정 시간 동안 발생하고, 가스의 재충전시에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가스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각수단을 구비한 헤드밴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단을 구비한 헤드밴드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2는 도 1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단을 구비한 헤드밴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연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개폐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배출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밴드의 저면에서 보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우선, 본 고안의 구성은, 사용자의 머리(B)에 접촉하여 주는 밴드체(20)를 갖는 헤드밴드(A)에 있어서, 상기 밴드체(20)의 내부에 충진되어서 단열 및 보온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열보온재(24)와; 상기 밴드체(2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서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직물고정체(22)와; 상기 밴드체(20)의 끝단부분에 설치되어서 사용자의 머리(B)에 접촉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신장되고, 버클 고정되어지는 밴드고정수단(90)과; 상기 밴드체(20)의 일측면에 진입부(34)와 수납홈부(32)를 갖도록 형성된 다수의 가스통수납클립(30)과; 상기 가스통수납클립(30)의 수납홈부(32)에 탄성적으로 수납 고정되어서 주입구(12)로 배출될 때, 냉기를 발생하도록 하는 압축가스가 내장된 압축가스통(10)과; 상기 압축가스통(10)의 주입구(12)에 결합되거나 분리되어서 가스이송관(26)으로 가스를 공급하도록 하는 연결하여 주는 가스연결수단(40)과; 상기 가스이송관(26)을 통하여 이송하는 가스가 개폐되도록 가스이송관(26)에 설치되는 가스개폐수단(50)과; 상기 가스개폐수단(50)의 개방에 의하여 가스이송관(26)을 통하여 이송하는 가스가 냉기를 일정 시간 동안 발생하고, 가스의 재충전시에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가스배출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밴드고정수단(90)은, 상기 상기 밴드체(20)의 양측 부분에 설치되어서 길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밴드부(80)과, 상기 밴드부(80)의 일측 끝단부분에 고정되어서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94)을 갖도록 대응되어서 형성된 끼움클립(92)와; 상기 끼움클립(92)이 수납되어서 걸림턱(94)에 걸려지는 걸림홈(97)을 형성하고, 분리시 끼움클립(92)을 이젝트시키는 누름부(98)를 형성하여 상기 다른 밴드부(80)에 설치되는 수납클립(9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스연결수단(40)은, 상기 압축가스통(10)의 주입구(12)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14)와; 상기 수나사부(14)에 체결되는 암나사부(44)가 형성되고, 가스이송관(26)의 이탈방지턱(28)에 걸려져서 상기 주입구(12)를 이탈방지턱(28)에 밀착하여 고정하는 조임체(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개폐수단(50)은, 상기 가스이송관(26)에서 외부로 연결되어 개방되어지는 안내공(57)과; 상기 안내공(57)에 연하여서 가스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요홈부(58)와; 상기 안내공(57)을 따라서 지지봉(54)이 이동하고, 요홈부(58)에 삽입되거나 가스이송관(26)을 차단하도록 하는 차단부(56)를 갖는 차단부재(55)와; 상기 차단부재(55)의 지지봉(54)의 끝단부분에 고정되어서 차단부재(55)를 작동하도록 하는 작동버튼(52)과; 상기 차단부재(55)의 지지봉(54)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요홈부(58)에 설치되어서 차단부(56)를 가스이송관(26)을 밀어주도록 하는 스프링(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배출수단(70)은, 상기 가스이송관(26)이 밴드체(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외부로 가스를 배출하도록 하는 가스배출공(77)과;상기 가스배출공(77)을 차단하도록 가스이송관(26)을 따라서 이동하는 이동체(75)와; 상기 이동체(75)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수나사부(76)가 형성되어 가스배출관(26)의 끝단 부분에 형성된 암나사부(78)에 조여지거나 풀려져서 상기 이동체(75)를 이동시키는 지지체(74)와; 상기 지지체(74)의 끝단 부분에 고정되어서 지지체(74)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배출회전버튼(7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축가스통(10)에 내장된 압축가스는, 인체에 무해하고, 고압으로 압축 되었다가 증발할 때, 주위의 열을 흡수 하도록 하는 기체라면 어떤 기체라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가스이송관(26)은 도 3의 "a"로 표시된 영역에서 상,하로 주름져서 배치되어 사용자의 이마(B)에 많은 냉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사용자의 머리에 대고서 사용하는 상태를 일례로 보였으나, 본 구성을 다른 신체 부위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단을 구비한 헤드밴드의 사용 상태를 살펴 보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밴드(A)를 사용자의 머리(B)에 대고서 밴드고정수단(90)인 끼움클립(92)을 수납클립(96)에 진입시켜 삽입하여 끼움클립(92)의 걸림턱(94)이 수납클립(96)의 걸림홈(97)에 걸려지도록 한다.
상기 끼움클립(92)은 탄성력에 의하여 양측을 벌려지려는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홈(97)에 탄성적으로 걸려져서 고정되어진다.
이 때, 상기 밴드체(20)에 고정된 밴드부(80)에 의하여 길이가 조정되면서사용자의 머리(B) 사이즈에 관계 없이 헤드밴드(A)를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밴드체(20)의 내측면에 설치된 접촉직물체(22)에 의하여 사용자의 머리(B)에 부드럽게 이물감 없이 고정 되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헤드밴드(A)가 사용자의 머리(B)에 착용된 상태에서 압축가스통(10)을 밴드체(20)의 일측면에 형성된 가스통수납클립(30)의 수납홈부(32)에 진입부(34)를 통하여 진입시켜서 장착하도록 한다.
상기 진입부(34)는 상기 압축가스통(10)이 진입하면서 탄성적으로 벌려졌다가 오므려지므로 압축가스통(10)이 견고하게 수납홈부(32)에 설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가스통(10)의 주입구(12)를 상기 가스연결수단(40)인 조임체(42)의 암나사부(44)에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 가스이송관(26)의 이탈방지턱(28)에 걸려져서 이탈이 방지된 상기 조임체(42)를 회전하여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고, 주입구(12)의 끝단부가 가스이송관(26)에 밀착 접촉되어지면서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압축가스통(10)이 가스통수납클립(30)에 삽입되어지면 상기 주입구(12)가 눌려지면서 가스가 공급될 수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가스개폐수단(50)인 개폐버튼(52)을 잡아당겨 주게 되면, 요홈부(58)의 내부로 차단부재(55)인 차단부(56)가 진입되어지면서 가스이송관(26)을 개방하게 되고, 가스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하여서 가스배출수단(70)이 설치되어져 있는 부분까지 완전하게 충진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스이송관(20)으로 일정량의 가스가 충진되어지면서 가스개폐수단(50)인 작동버튼(52)을 놓아주게 되면, 요홈부(58)에 진입되어진 스프링(60)의 탄성력이 회복되어지면서 차단부(56)를 전방으로 밀어서 차단부재(55)가 좌측으로 이동하여서 가스이송관(26)을 차단하여 가스의 공급이 중단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스이송관(26)에 충진되어진 가스는 저압 저온 상태로 압축되어져 있다가 갑자기 팽창되어지므로 주위 열을 지속적이면서 서서히 빼앗으면서 사용자의 머리(B)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스이송관(26)에 충진된 가스가 완전하게 많은 열을 빼앗아서 상온의 상태에 가까워지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배출수단(70)인 배출회전버튼(72)을 돌려서 지지체(74)의 수나사부(76)가 가스이송관(26)의 끝단부분에 형성된 암나사부(78)에서 회전하여서 좌측으로 이동하여서 가스배출공(77)을 개방하여서 충진된 가스를 배출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가스이송관(26)에 새로운 가스를 충진하고자 한다면, 상기 가스개폐수단(50)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개방하여서 가스이송관(26)의 내부에 가스를 공급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을 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노약자 혹은 장기간 누워 있는 환자등과 같은 사용자가 다른 사람의 보조 없이 지속적으로 압축가스통(10) 만 교환한다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단을 구비한 헤드밴드를 사용하게 되면, 저온 저압에서 급속하게 팽창되면서 냉기를 발생하는 가스가 저장된 압축가스통을 가스통수납클립에 수납하여서 가스연결수단으로서 가스를 공급하고, 가스개폐수단에서 가스의 공급을 개폐한 후, 압축가스가 팽창되면서 냉기를 사용자의 머리에 공급하며, 냉기가 소진된 냉매를 가스배출수단의 가스배출공을 통하여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에서 발생한 열을 지속적이고 효율적으로 식혀주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Claims (5)
- 사용자의 머리(B)에 접촉하여 주는 밴드체(20)를 갖는 헤드밴드(A)에 있어서,상기 밴드체(20)의 내부에 충진되어서 단열 및 보온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열보온재(24)와;상기 밴드체(2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서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직물고정체(22)와;상기 밴드체(20)의 끝단부분에 설치되어서 사용자의 머리(B)에 접촉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신장되고, 버클 고정되어지는 밴드고정수단(90)과;상기 밴드체(20)의 일측면에 진입부(34)와 수납홈부(32)를 갖도록 형성된 다수의 가스통수납클립(30)과;상기 가스통수납클립(30)의 수납홈부(32)에 탄성적으로 수납 고정되어서 주입구(12)로 배출될 때, 냉기를 발생하도록 하는 압축가스가 내장된 압축가스통(10)과;상기 압축가스통(10)의 주입구(12)에 결합되거나 분리되어서 가스이송관(26)으로 가스를 공급하도록 하는 연결하여 주는 가스연결수단(40)과;상기 가스이송관(26)을 통하여 이송하는 가스가 개폐되도록 가스이송관(26)에 설치되는 가스개폐수단(50)과;상기 가스개폐수단(50)의 개방에 의하여 가스이송관(26)을 통하여 이송하는가스가 냉기를 일정 시간 동안 발생하고, 가스의 재충전시에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가스배출수단(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단을 구비한 헤드밴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고정수단(90)은, 상기 상기 밴드체(20)의 양측 부분에 설치되어서 길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밴드부(80)과, 상기 밴드부(80)의 일측 끝단부분에 고정되어서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94)을 갖도록 대응되어서 형성된 끼움클립(92)와; 상기 끼움클립(92)이 수납되어서 걸림턱(94)에 걸려지는 걸림홈(97)을 형성하고, 분리시 끼움클립(92)을 이젝트시키는 누름부(98)를 형성하여 상기 다른 밴드부(80)에 설치되는 수납클립(9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단을 구비한 헤드밴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연결수단(40)은, 상기 압축가스통(10)의 주입구(12)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14)와; 상기 수나사부(14)에 체결되는 암나사부(44)가 형성되고, 가스이송관(26)의 이탈방지턱(28)에 걸려져서 상기 주입구(12)를 이탈방지턱(28)에 밀착하여 고정하는 조임체(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단을 구비한 헤드밴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개폐수단(50)은, 상기 가스이송관(26)에서 외부로 연결되어 개방되어지는 안내공(57)과; 상기 안내공(57)에 연하여서 가스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요홈부(58)와; 상기 안내공(57)을 따라서 지지봉(54)이 이동하고, 요홈부(58)에 삽입되거나 가스이송관(26)을 차단하도록 하는 차단부(56)를 갖는 차단부재(55)와; 상기 차단부재(55)의 지지봉(54)의 끝단부분에 고정되어서 차단부재(55)를 작동하도록 하는 작동버튼(52)과; 상기 차단부재(55)의 지지봉(54)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요홈부(58)에 설치되어서 차단부(56)를 가스이송관(26)으로 밀어주도록 하는 스프링(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단을 구비한 헤드밴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수단(70)은, 상기 가스이송관(26)이 밴드체(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외부로 가스를 배출하도록 하는 가스배출공(77)과; 상기 가스배출공(77)을 차단하도록 가스이송관(26)을 따라서 이동하는 이동체(75)와; 상기 이동체(75)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수나사부(76)가 형성되어 가스배출관(26)의 끝단부분에 형성된 암나사부(78)에 조여지거나 풀려져서 상기 이동체(75)를 이동시키는 지지체(74)와; 상기 지지체(74)의 끝단부분에 고정되어서 지지체(74)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배출회전버튼(7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단을 구비한 헤드밴드.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10028078A KR20010069955A (ko) | 2001-05-22 | 2001-05-22 | 냉각수단을 구비한 헤드밴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10028078A KR20010069955A (ko) | 2001-05-22 | 2001-05-22 | 냉각수단을 구비한 헤드밴드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10021191U Division KR200253735Y1 (ko) | 2001-07-12 | 2001-07-12 | 냉각수단을 구비한 헤드밴드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10069955A true KR20010069955A (ko) | 2001-07-25 |
Family
ID=1970978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10028078A Abandoned KR20010069955A (ko) | 2001-05-22 | 2001-05-22 | 냉각수단을 구비한 헤드밴드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10069955A (ko) |
-
2001
- 2001-05-22 KR KR1020010028078A patent/KR20010069955A/ko not_active Abandoned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S2779024T3 (es) | Inhalador de aerosol | |
| KR102787254B1 (ko) |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 | |
| US6405912B2 (en) | Protective case for carrying a fragile object | |
| US2746264A (en) | Miniature cooling unit | |
| US4669476A (en) | Cold application and compressive bandage | |
| US8500355B2 (en) | Liquid dispensing massage device with switch lock | |
| EP0043990B1 (fr) | Dispositif de protection notamment pour motocyclistes | |
| JP4917730B2 (ja) | 人間工学的な取っ手を具備したリード | |
| ES2391445T3 (es) | Aguja | |
| JP2004515270A (ja) | 噴霧方式寒冷療法のための手持ち装置 | |
| EP0569458A4 (en) | Heat transfer device | |
| US3530857A (en) | Resuscitator mask | |
| KR200253735Y1 (ko) | 냉각수단을 구비한 헤드밴드 | |
| ES2985863T3 (es) | Aparato de crioadhesión | |
| KR20010069955A (ko) | 냉각수단을 구비한 헤드밴드 | |
| JP2008510890A (ja) | 物体を冷却するための装置 | |
| HUP9701213A1 (hu) | Patron nyomás alatti közeg tárolásához, valamint gáztovábbító rendszer | |
| AR027639A1 (es) | Valvula interruptora de vacio para un aparato de refrigeracion. | |
| JPS61181474A (ja) | 呼吸防護装置 | |
| ES2206252T3 (es) | Sistema de depilacion con dispositivo depilador y dispositivo de refrigeracion que tiene ciertos parametros. | |
| JP6261969B2 (ja) | 氷嚢 | |
| KR200281390Y1 (ko) | 귀마개 | |
| KR200326066Y1 (ko) | 이중구조로 된 물베개 | |
| KR20240088244A (ko) | 손목 착용형 열쇠 홀더 | |
| ES2323096T3 (es) | Soporte de porra.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2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27 |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