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74057A -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4057A
KR20010074057A KR1020010002837A KR20010002837A KR20010074057A KR 20010074057 A KR20010074057 A KR 20010074057A KR 1020010002837 A KR1020010002837 A KR 1020010002837A KR 20010002837 A KR20010002837 A KR 20010002837A KR 20010074057 A KR20010074057 A KR 20010074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p
broadcast
terminal
callback
short mess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덕기
Original Assignee
이호윤
주식회사 이엠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윤, 주식회사 이엠비 filed Critical 이호윤
Priority to KR1020010002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4057A/ko
Publication of KR20010074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057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자의 의뢰사항에 따라 해당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모든 단말기에 전송하고자 하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제작 및 편집하는 방송 메시지 편성장치와; 기지국 특정장치에 의해 선택된 기지국으로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방송센터와; 컨텐츠 부호화기 및 컨텐츠 복호화기를 포함하고, WAP 프로토콜과 WWW 프로토콜간의 변환작업을 수행하는 WAP 게이트웨이와; 이동통신 단말기에 WAP 컨텐츠를 제공하고,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다른 매체 또는 경로에 연계하고, 단말기로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 및 제어하는 WAP 컨텐츠 서버와; 이 장치들간의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 제공자는 단말기 사용자에게 원하는 정보를 푸시 방식으로 전달하고 필요 시 그에 대한 반응으로 컨텐츠를 손쉽게 액세스하게 함으로써 컨텐츠 제공에 의한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고, 단말기 사용자는 사용자 임의로 선택한 관심 분야에 해당하는 정보들을 적절한 지역에서 적절한 시간에 요약된 내용으로 제공받고 더 자세한 컨텐츠를 원하는 경우 단순하고 간편한 조작으로 원하는 매체를 통해 손쉽게 상세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Wireless Internet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또는 WAP과 ARS(Audio Response System)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단문 메시지 방송 서비스(CBS: Cell Broadcasting Service)와 연계하여 원하는 권역 내의 모든 단말기에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 세계의 도처에는 이미 수 억 명의 무선 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의 급증에 따라, 무선 통신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무선 통신 장치에는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양방향 호출기, (셀룰러 전화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기 및 파지형 컴퓨팅 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1890년대의 지상 송전탑 방식을시작으로 1960년대의 정지궤도 위성통신, 1980년대의 저궤도 이동위성통신 도입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해 왔다.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무선 인터넷 서비스도 같이 발전하였다.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이동전화로 언제 어디에서나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검색 등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동전화가 처음 도입됐을 때는 이동전화와 PC가 완전히 별개의 장치였지만 무선 데이터가 등장하면서 이들은 점차 융화되어 갔고 최근 무선 인터넷으로 발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동전화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은 브라우저의 유무에 따라 내장형과 비 내장형으로 분류되며, 이동전화만으로 모든 인터넷 서비스를 즐길 수 있는 내장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초기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디지털 이동전화 가입자가 짧은 문장을 한글 또는 영어로 다른 이동전화 가입자에게 전송하면 공중전화망,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을 통해 짧은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인 SMS(Short Message Service)에 지나지 않았지만 현재는 사이버 쇼핑, 주식매매, 은행거래, 생활정보 등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현재의 이동통신망에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폰닷컴(phone.com)사에서는 HDTP(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와 HDML(Handheld Device Markup Language)을 개발하고, 노키아(nokia)사에서는 TTML(Tagged Text Markup Language)을 개발하고, 에릭슨(ericsson)사에서는 ITTP(Intelligent Transfer Protocol)를 개발하였다. 국내에서도 무선 인터넷 열풍이 몰려오는 가운데 국내 포털 서비스 업체들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개시하면서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영역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예를 들면, 야후코리아(http://www.yahoo.co.kr)는 011, 017, 019 사업자와의 제휴를 통해 검색, 메일을 중심으로 한 유무선 포털 서비스를 개시하였고, 011, 017, 019 가입자들이 WAP 브라우저가 탑재된 단말기를 통해 야후코리아 사이트에 접속하면 신규메일 확인, 과거메일 확인, 메일 보내기, 외부메일 확인 등 메일 서비스를 비롯해 디렉토리 검색, 영어사전, 주가조회, 환율정보, 날씨정보 등에 관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네이버컴(http://www.naver.com)은 SK 텔레콤과 제휴를 맺고 컨텐츠 검색 서비스 및 WAP 기반 사이트에 대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며,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및 HDML로 구축된 국내 100여 개 사이트 및 해외 무선 사이트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다음커뮤니케이션(http://www.daum.net)은 무선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다음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라이코스코리아(http://www.lycos.co.kr)도 미래온라인의 위성방송과 자사의 컨텐츠를 결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무선 인터넷 서비스 업체에서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가입자가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직접 검색하여 이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일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업체들은 가입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정보가 있을 때 단문 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이용하는 방법을 시도했으나 이는 스팸의 성격을 띠게 되었고, 가입자의 동의를 구했다 하더라도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지역에 있는 가입자들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정보를 전달하기는어렵다. 둘째, 가입자가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WAP접속을 한 후 여러 단계의 메뉴 선택 과정이 필요하다. 이는 유선 인터넷에 비해 저속이고 단말기의 화면이 작은 무선 인터넷 환경을 고려할 때 불편함을 느낀다. 셋째, 가입자가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의 URL을 알고 있어 이를 입력함으로써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URL을 입력하는 것 또한 몹시 불편하다. 넷째, 가입자는 상황에 따라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에 가장 적절한 매체를 선택하고자 하나 적절한 방법이 없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운전하는 중에 유용한 정보를 받고 이를 검색하고자 한다면 WAP보다는 ARS를 이용하는 것이 더 적절하고 음악을 듣는 상황이라면 WAP이 더 적절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활성화의 저해 요소로 나타나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는 스팸성을 갖지 않으면서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지역에 있는 가입자들에게 저렴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필요 시 그에 대한 반응으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이용을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푸시 매체를 간절히 필요로 하고 있고, 가입자는 자신이 원하는 분야의 컨텐츠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손쉽게 얻고 필요 시 단순하고 간편한 조작으로 원하는 매체를 통해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을 원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컨텐츠에 대한 요약정보 및 콜백 정보를 담은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특정 권역 내의 모든 단말기에 제공하고, 요약정보를 읽은 단말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WAP을 사용하여 해당 단말기로전달해주는 즉, WAP 푸시 수단으로 단문 메시지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컨텐츠에 대한 요약정보 및 콜백 정보를 담은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특정 권역 내의 모든 단말기에 제공하고, 요약정보를 읽은 단말기 사용자의 요청을 일단 ARS를 통해 수신한 후 선택적으로 기존의 WAP 푸시 수단(예컨대, 단문 메시지 서비스)을 이용하여 해당 단말기로 WAP 푸시를 함으로써 WAP기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게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방송형 단문 메시지에 ARS 콜백 정보 또는 WAP 콜백 정보 또는 두 가지 정보 모두를 실어 보내고,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게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메시지 방송 후 단말기에 의해 요청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요구될 수 있는 매체 및 경로의 연계 또는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CBS 및 WAP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특정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권역 특정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BS 및 WAP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CBS 및 WAP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실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CBS, WAP 및 ARS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CBS, WAP 및 ARS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CBS, WAP 및 ARS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실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방송권역 특정장치 20: 기지국 특정장치
30: 방송 메시지 편성장치 40: 메시지 방송센터
50: 기지국 60: 단말기
70: WAP 게이트웨이 80: WAP 컨텐츠 서버
90: UMS/멀티미디어 서버 100: 교환기
110: ARS 120: WAP 푸시/단문 메시지 전송장치
130: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지역에 위치한 단말기에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방송권역을 지정해 주는 방송권역 특정장치와; 방송권역을 포함하는 기지국들의 집합을 설정하는 기지국 특정장치와; 컨텐츠 제공자의 의뢰사항에 따라 해당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모든 단말기에 전송하고자 하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제작 및 편집하는 방송 메시지 편성장치와; 기지국 특정장치에 의해 선택된 기지국으로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방송센터와; 컨텐츠 부호화기 및 컨텐츠 복호화기를 포함하고, WAP 프로토콜과 WWW 프로토콜간의 변환작업을 수행하는 WAP 게이트웨이와; 이동통신 단말기에 WAP 컨텐츠를 제공하고,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다른 매체 또는 경로에 연계하고, 단말기로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 및 제어하는 WAP 컨텐츠 서버; 및 교환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단말기로 제공하고, 필요 시 자동으로 또는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타 매체(예컨대, 단문 메시지 서비스 또는 WAP 푸시)에 의한 정보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음성 자동응답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소정의 지역에 위치한 단말기에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방송권역을 지정하는 단계와; 방송권역을 포함하는 기지국들의 집합을 설정하는 단계와; 컨텐츠 제공자의 의뢰사항에 따라 해당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모든 단말기에 전송하고자 하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편성하는 단계와; 편성된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메시지 방송센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해당 기지국들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모든 단말기로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에 콜백 유형을 기 설정 하였거나 정보 요청 당시에 선택하여 해당 매체로 접속하는 단계와; 해당 매체를 통하여 해당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와; 단말기 사용자가 다른 매체 또는 경로에 의한 정보 전달을 요구하는 단계; 및 해당 매체 또는 경로와 연계 또는 변환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단문 메시지 방송서비스와 연계하여 원하는 권역내의 모든 단말기에 제공함을 공통된 기반으로 하되, 콜백 유형의 차이에 따라 크게 WAP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와 WAP 및 ARS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로 분류되며, WAP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단말기에 전송되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사용자 데이터 필드에 WAP으로 콜백되는 메시지임을 알리는 WAP 콜백 구분자와 WAP 콜백 URL을 내포하고, WAP 및 ARS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 콜백 번호 필드에 음성 접속을 시도하기 위한 콜백 번호가 지정되어 있거나 또는 이와 함께 전술한 WAP 콜백 구분자와 WAP 콜백 URL과 함께 단말기로 전송된다. 이러한 WAP 및 ARS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단말기의 초기 제작 시에 설정된 기본값이나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기본값으로 우선 순위가 정해져 어느 하나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각 콜백 유형마다 지정된 접속 버튼을 가지고 있어 콜백 시 단말기 사용자가 누른 버튼에 따라 유형을 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 방송서비스와 연계하여 원하는 권역내의 모든 단말기에 제공하는 CBS 및 WAP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CBS 및 WAP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방송권역 특정장치(10), 기지국 특정장치(20), 방송 메시지 편성장치(30), 메시지방송센터(40), 기지국(50), 단말기(60), WAP 게이트웨이(70), WAP 컨텐츠 서버(80) 및 통합 메시징 서비스(UMS: Unified Messaging Service)/멀티미디어 서버(90)를 포함한다.
방송권역 특정장치(10)는 소정의 지역에 위치한 단말기에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컨텐츠 제공자의 선택에 따라 원하는 권역을 지정해 주는 장치이고, 기지국 특정장치(20)는 방송권역 특정장치(10)에 연결되어 있으며, 방송권역 특정장치(10)에서 지정된 권역을 포함하는 기지국들의 집합을 설정하는 장치이다. 방송권역 특정장치(10)에 의한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권역 지정 방법은 예를 들어, 방송형 단문 메시지가 단말기에 방송되기를 원하는 권역의 중심이 되는 위치 즉, 방송 요구 중심위치를 먼저 지정하고, 이어서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서비스 범위를 지정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기지국 특정장치(20)에 의한 기지국 특정 방법은 방송권역을 커버리지에 포함하는 기지국의 집합으로 구하는 방법 또는 미리 계산된 기지국의 커버리지의 조합으로 지정된 방송권역의 커버리지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집합을 구하는 방법 등을 이용한다.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권역 지정 방법 및 기지국 특정 방법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방송 메시지 편성장치(30)는 컨텐츠 제공자가 의뢰한 메시지 방송 관련 사항(예컨대, 방송시점, 방송채널, 방송권역, 음성 콜백 번호, WAP 콜백 URL 및 사용자 메시지 등)을 기초로 해당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모든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제작 및 편성하는 장치이다. 방송 메시지 편성장치(30)에 의해 제작된 방송형 단문 메시지는 콜백의 유형에 따라 각각의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된다. 예를 들면,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콜백을 WAP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사용자 데이터 필드에 사용자 메시지 이외에도 해당 메시지가 WAP으로 콜백 되는 메시지임을 알리는 WAP 콜백 구분자와 WAP 콜백 URL을 내포하고,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콜백을 ARS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콜백 번호 필드에 해당 콜백 번호를 지정한다. 또한,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콜백을 WAP 및 ARS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WAP 콜백 구분자와 WAP 콜백 URL을 내포함과 동시에 콜백 번호 필드에 해당 콜백 번호를 지정할 수 있으며, 콜백에 관련된 임의의 정보(예컨대, 콜백의 유형, 콜백의 실행 순서 등)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데이터 필드에는 WAP 콜백 구분자와 WAP 콜백 URL 이외에도 WAP 콜백 URL의 길이, 단말기에 전송하고자 하는 사용자 메시지 등이 함께 내포될 수 있고, 이 사용자 메시지는 문자열뿐 아니라 JPEG, GIF, BMP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방법으로 부호화된 이미지, 단말기의 벨소리용으로 제작된 멜로디, WAV, MP3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방법으로 부호화된 음향 또는 음성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내포한 메시지가 한 개의 방송형 단문 메시지가 수용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최대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 방송 메시지 편성장치 또는 메시지 방송 센터에서 메시지를 다수개의 방송형 단문 메시지에 나누어서 차례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단말기는 다시 합한 후 복호화 과정을 거쳐 디스플레이, 부저 또는 스피커 등 단말기의 출력 장치를 통해 이를 표현할 수 있다.
메시지 방송센터(40)는 기지국 특정장치(20) 및 방송 메시지 편성장치(30)에연결되어 있으며, 기지국 특정장치(20)에 의해 설정된 기지국(50)으로 방송정보가 포함된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메시지 방송센터(40)에 연결된 기지국 특정장치(20)와 방송 메시지 편성장치(30)는 별도의 장치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각각의 구성부에 대한 역할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므로 메시지 방송센터(40) 내에 포함시킬 수도 있으며, 방송권역 특정장치(10)와 기지국 특정장치(20)는 하나의 장치로 취합하여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지국(50)은 메시지 방송센터(40)에 연결되어 있으며, 메시지 방송센터(40)로부터 전송되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방송권역 특정장치(10)에 의해 설정된 방송권역으로 송신하는 역할 및 단말기와 링크된 전파(radio) 또는 원격 통신(telecommunication)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지국(50)에는 메시지 방송센터(40)에서 전송되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신호 채널(signaling channel)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data burst message)로 변환하는 기지국 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단말기에 송신되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는 중첩될 수 있으므로(여러 개의 기지국에서 동시에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송신될 때 단말기가 각각의 기지국에 중첩되어 위치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기지국은 방송권역이 중첩되는 지역에서도 단일한 데이터를 단말기가 수신할 수 있도록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사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방식으로 코드 분할 다중방식(CDMA), 주파수 분할 다중방식(FDMA), 시분할 다중방식(TDMA) 등이 가능하며, 코드 분할 다중방식은 각 채널의 신호에 부호화 처리를 하여 구별할 수 있도록 다원접속을 실현하는 방식을 말하고, 주파수 분할 다중방식은 하나의전송로를 통해 복수개의 반송 주파수에 각각 다른 신호를 실어서 전송하는 방식을 말하고, 시분할 다중방식은 시간 구간을 일정 간격으로 나누어 각 구간(Time Slot)에 각기 다른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지역적인 특성 및 효율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이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우리 나라에서 취하고 있는 코드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기(60)는 기지국(50)과 무선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단말기(60)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 브라우저와 WAP 브라우저를 탑재하여 단문 메시지 방송 서비스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용 단말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용 단말기의 범주에는 셀룰러(800MHz) 또는 PCS(1.8GHz) 및 이보다 높은 주파수(2GHz) 대역을 사용하는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2000용 단말기도 포함된다. 도 1에는 기지국(50)과 단말기(60)가 하나만 도시되어 있지만, 다수개의 기지국(50)과 단말기(60)가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WAP 게이트웨이(70)는 기지국(50)과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기(60)와 WAP 컨텐츠 서버(80) 사이에 위치하여 WAP 프로토콜과 WWW 프로토콜을 중간에서 변환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지국(50)과 WAP 게이트웨이(70) 사이에는 기지국 제어기(미도시), 교환기(미도시) 및 데이터 망 연동 장치(IWF: Inter-Working Function, 미도시)등 무선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 망 장치들이 있을 수 있으며, 이 장치들은 이동통신망의 특성 및 설계에 따라 다를 수 있고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특화 되거나 변경되는 장치가 아니므로 생략되어 있다. 모든 단말기(60)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요구는 WAP 게이트웨이(70)를 통과하게 되어 있으며, WAP 게이트웨이(70)는 WAP에 따라 요청 받은 서비스를 기존 유선 인터넷망을 통해 다시 서비스를 요청한다. 이어서 WAP 게이트웨이(70)가 WAP 컨텐츠 서버(80)로부터 응답을 받고 다시 서비스를 최초 요청했던 단말기(60)에게 WAP으로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WAP 게이트웨이는 WAP 프로토콜 스택(Stack)의 구성 요소인 WSP(Wireless Session Protocol), WTP(Wireless Transaction Protocol), WTLS(Wireless Transport Layer Security) 및 WDP(Wireless Datagram Protocol)를 웹 프로토콜 스택 즉, HTTP와 TCP/IP로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WAP 구조는 단말기의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확장 가능한 프로토콜 환경과 계층화 된 전체 네트워크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WAP 게이트웨이(70)는 컨텐츠 부호화기(Encoder) 및 컨텐츠 복호화기(Decoder)를 포함하여 네트워크 상에서의 데이터 크기를 줄이기 위해 WAP 컨텐츠를 간결하게 부호화 된 포맷으로 변환하거나 이를 다시 부호화 되기 이전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만일 WAP 컨텐츠 서버(80)가 WML로 만들어진 WAP 컨텐츠를 제공하면 WAP 게이트웨이(70)는 이를 기지국(50)을 통해 단말기(60)로 직접 전송하고, WAP 컨텐츠 서버(80)가 HTML로 만들어진 웹 컨텐츠를 제공하면 HTML 필터가 WML로 변환하여 이를 기지국(50)을 통해 단말기(60)로 전송한다.
WAP은 인터넷 중심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무선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산업체 표준이며, WAP의 목적은 디지털 셀룰러 전화와 무선 터미널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종류의 무선 통신망 기술에서 운용될수 있는 무선 프로토콜 규격을 개발하고 다른 종류의 무선 통신망 기술과 장비들에도 쓰일 수 있는 컨텐츠와 응용기술을 개발하는 데 있다. WAP의 컨텐츠와 응용 프로그램은 웹 컨텐츠 형식을 기반으로 작성되며, WAP 컨텐츠는 웹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통신 프로토콜인 WTP를 사용하여 전송된다. 무선 터미널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마이크로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전체 사이트를 항해(Navigation)하는데, 이것은 웹에서 이용되는 표준 웹브라우저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다. WAP 컨텐츠 유형과 프로토콜은 통신시장과 모든 휴대용 무선 장치에 최적화 되었으며, WAP는 무선 URL과 WAP 컨텐츠 서버(80) 사이의 원활한 연결을 위한 프록시(Proxy) 기술을 사용한다.
WAP 컨텐츠 서버(80)는 WAP 게이트웨이(70)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기(60)에 WAP 컨텐츠를 제공하고, 단말기(60)의 요청에 따라 다른 매체 또는 경로에 연계하여 원하는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일정한 형식(예컨대, WML, HTML 등)으로 변환하여 WAP 게이트웨이(7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기(60)에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 및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UMS/멀티미디어 서버(90)는 WAP 컨텐츠 서버(80)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음성, 팩스, 이메일 등 모든 형태의 메시지를 단말기(60)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모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UMS를 수행하고, 인터넷상에 분산되어 있는 각종의 자원 즉,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실시간 멀티미디어 입출력 디바이스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실시간 멀티미디어 입출력 디바이스 또는 멀티미디어 관련 프로세스 등을 엑세스하여 이를 처리하고 다시 분산 환경으로 분배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UMS는 기존에 인터넷으로만 주고 받던 이메일을 전화, 팩스, 핸드폰 등 개인의 다양한 통신수단을 하나로 통합시켜 더욱 편리한 통신을 가능케 해주는 통합 메시징 서비스이다. UMS에는 도착한 이메일을 웹 또는 POP3로 열람할 수 있는 e-mail to e-mail, 전화기만 가지고 음성으로 이메일을 수신할 수 있는 e-mail to voice, 음성 사서함 기능을 수행하는 voice to voice, 팩스로 대표번호에 접속한 후 이메일로 발송하는 fax to e-mail, 팩스로 도착한 문서를 팩스로 출력할 수 있는 fax to fax, 이메일을 팩스로 출력할 수 있는 e-mail to fax 기능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인터넷상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저장, 관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기술과 편리한 검색 환경을 제공하는 하이퍼미디어 시스템 기술이 바탕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바탕 위에서 멀티미디어 정보를 원격으로 저작 생성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저작 환경과 여러 명의 작업자가 공동작업을 할 수 있는 공동작업 환경 및 필요한 정보를 서로 교환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정보교환 환경 등이 제공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특정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고, 각각의 기지국들(100, 102, …, 138)은 자신의 커버리지(100, 102, …, 138)를 가지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커버리지는 육각형이지만 이는 단지 기지국 특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단순화한 것으로 실제의 커버리지는 원형이고, 각각의 커버리지는 인접하는 커버리지와 중첩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실제로는 중첩하는 지역이 다수 존재할 수 있음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컨텐츠 제공자가 원하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에 대한 권역의 중심이 되는 위치 즉, 방송 요구 중심위치(200)를 지정한다. 여기에서, 방송 요구 중심위치(200)는 컨텐츠 제공자의 업소가 위치한 지점으로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컨텐츠 제공자가 원하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송신 범위[즉, 방송권역(250)]을 지정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자가 방송 요구 중심위치(200)에서 3Km 이내에 있는 모든 단말기로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 방송권역(250)은 도 2에 도시된 원의 내부가 될 것이다. 이어서, 기지국 특정장치(20)는 지리 정보 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방송권역(250)의 커버리지에 포함되는 기지국의 최소 집합(도 2의 경우에는 104, 110, 112, 114, 120, 122, 124, 126, 132, 134)을 계산한다. 그 후, 방송형 단문 메시지는 상기한 바와 같이 특정된 기지국(104, 110, 112, 114, 120, 122, 124, 126, 132, 134)을 통하여 송신되며, 각 기지국의 커버리지(104, 110, 112, 114, 120, 122, 124, 126, 132, 134) 내에서 동작하고 있는 모든 단말기로 수신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한 방송 요구 중심위치(200) 및 방송권역(250)은 컨텐츠 제공자의 선택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권역 특정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방송권역 및 기지국 특정은 컨텐츠 제공자의 선택에 의해 정하는 방법과 기 계산된 참조표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도 3은 후자의 방법에 대한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방송권역 특정장치(10) 및 기지국 특정장치(20)는 하나의 블록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이 중 어느 하나에 권역 저장부(300) 및 기지국 집합 저장부(350)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먼저, 권역 저장부(300)에는 소정의 행정 구역 또는 상권 등의 의미있는 지역을 단위로 하는 다수의 사전 권역이 저장하고, 기지국 집합 저장부(350)에는 상기한 권역 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는 각 권역에 대한 커버리지를 갖는 최소한의 기지국 집합을 저장한다. 여기에서, 사전 권역은 시 또는 군 단위 권역, 구 단위 권역 또는 동 단위 권역 등으로 나누어 저장할 수 있으며, 기지국 집합은 미리 저장된 방송권역에 대응하여 기지국 커버리지를 통하여 방송형 단문 메시지가 송신할 기지국을 미리 계산하여 참조표의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강남구의 삼성동에는 기지국(1002, 1004, 1006)이 대응되어 저장되고, 대치동에는 기지국(1012, 1014, 1016)이 대응되어 저장된다. 이 때, 기지국(1012, 1014, 1016)의 커버리지는 삼성동을 포함하고, 기지국(1012, 1014, 1016)의 커버리지는 대치동을 포함한다. 물론, 이는 예시의 목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한 동에 대응하는 각 기지국의 수는 다르게 저장될 수 있으며, 상이한 동에 대응하여 저당되는 기지국 집합들은 서로 공통되는 기지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동작 상태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BS 및 WAP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CBS 및 WAP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실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먼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자의 의뢰사항에 따라 방송권역 및 기지국을 특정한다(S402). 즉, 컨텐츠 제공자의 요청에 따라 방송 요구 중심위치 및 방송권역이 지정되면, 방송권역 특정장치 및 기지국 특정장치는 도 3에 도시된 참조표를 기준으로 방송 요구 중심위치에 대한 기지국의 집합을 선택하여 컨텐츠 제공자가 원하는 방송권역 및 기지국을 특정한다. 물론, 방송권역 및 기지국의 특정은 참조표에 의하지 않고 방송권역 특정장치 및 기지국 특정장치에 의해 새로이 지정할 수 있다. 다음에, 메시지 편성장치는 컨텐츠 제공자가 의뢰한 사항(예컨대, 방송시점, 방송채널, 방송권역, 음성 콜백 번호 및 사용자 데이터 필드 등)을 기초로 각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모든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제작 및 편성한다(S404). 이 때,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콜백을 WAP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사용자 데이터 필드에 WAP으로 콜백 되는 메시지임을 알리는 콜백 구분자(즉, WAP 콜백 구분자) 및 콜백 URL(즉, WAP 콜백 URL)을 포함하여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편성한다. 이러한 방송형 단문 메시지는 방송권역 및 기지국의 특정 이전에 편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콜백 구분자는 콜백의 유형을 지정하기 위한 것이고, 콜백 URL은 단말기 사용자가 콜백을 요구할 때 해당 콜백의 경로를 지정하기 위한 것이다.
편성된 방송형 단문 메시지는 메시지 방송센터로 전송되고(S406), 메시지 방송센터는 상기 단계(S402)에서 특정된 모든 기지국으로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은 각각의 기지국들은 자신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모든 단말기로 해당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송신한다(S408).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송신은 컨텐츠 제공자가 원하는 시간에 이루어지며, 메시지 방송센터와 기지국간의 인터페이스는 이동 통신망의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모든 단말기는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시지 편성장치에서 전송된 최초의 메시지로 복원한 후, 이를 디스플레이 한다. 단말기는 수신된 메시지이외에 WAP 콜백 URL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예시도가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 단말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내용을 보고 원하는 정보를 요청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 사용자가 정보를 요청하고자 할 때는 일반적으로 단말기의 통화 버튼을 누르면 되지만, ARS와 WAP 콜백이 모두 가능한 경우 단말기에 특정한 버튼(예컨대, WAP 버튼)을 설정하여 ARS 콜백은 통화 버튼을 누르고 WAP 콜백은 WAP 버튼을 누르도록 설정할 수 있다.
WAP 컨텐츠 서버는 단말기 사용자가 접속하면 해당 정보를 WAP을 이용하여 해당 단말기에 제공한다(S410). 단말기로 전달된 컨텐츠를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전용 브라우저가 필요하며, 컨텐츠 네비게이션을 위해 단말기 상에 몇 가지 전용 버튼을 마련하여 간단하게 페이지간 이동을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WAP은 인터넷상의 HTML과는 다른 WML(또는 HDML)을 사용하며, 웹 상의 많은 컨텐츠들이 단말기까지 도착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터넷상에서 WAP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이동전화 무선데이터 네트워크를 통과하게 된다. 이를 위해 특정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하는데 인터넷상에서는 HTTP 형식으로 홈페이지를 열어보는 것처럼 이동전화 네트워크 상에서는 HDTP(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또는 이에 해당하는 WAP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WAP 게이트웨이를 경유한 데이터는 바이너리(binary) 파일로 변환되기 때문에 용량이 가벼워지고 전송 시 부담이 덜어진다는 이점이 있다. 해당 정보를 WAP 컨텐츠 서버에서 단말기로 전송할 때, WML(또는 HDML)로 만들어진 WAP 컨텐츠는 WAP 게이트웨이를 거쳐 단말기로 직접 전송되고, HTML로 만들어진 WAP 컨텐츠는 WAP 게이트웨이에 의해 WML로 변환되어 단말기로 전송된다. 단말기의 콜백 요청에 의해 WAP 컨텐츠 서버에서 단말기로 전송되는 컨텐츠가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하나의 예시도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단말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정보를 보고, 다른 매체 또는 경로를 통해 더 자세한 정보를 원하는 경우에는 전달되는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명령(예컨대, 통화버튼을 누르거나 이동키로 해당 메뉴에 이동하여 실행명령을 지시하는 것 등)을 내리면 된다.
WAP 컨텐츠 서버는 단말기 사용자가 다른 매체 또는 경로를 통해 보다 자세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접속을 요구하면 해당 매체 또는 경로와 연계하여 원하는 정보를 전송한다(S412). 즉, WAP 컨텐츠 서버는 단말기가 WAP 푸시 메시지에 내포되어 있는 WAP 콜백 URL로 WAP 접속을 시도하면 해당 URL로 단말기를 연계시킨다. 이 때, WAP 푸시 수단은 이동통신망에서 제공하는 통신 수단에 따라 단문메시지 서비스(SMS) 일 수도 있고, 착신이 가능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데이터 통신 서비스일 수도 있다. 데이터 통신의 형태로 WAP 푸시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이미 WAP 컨텐츠 서버와 단말기간의 접속은 이루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추가의 호연결 작업 없이 상호 정보의 교환이 가능한 상태이다. 단말기와 연계되는 매체 또는 경로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예컨대, 이메일, 팩스, 음성메일, 단문 메시지, 캐릭터, 멀티미디어 파일, 멀티미디어 스트림, 실행코드 등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WAP 푸시의 유형을 메시지의 사용자 데이터 필드에 WAP 홈페이지 URL이 내장되어 있는 SMS 메시지로 표현하였지만, CBS(Cell Broadcasting Service)로 하는 방법 또는 데이터 착신이 가능한 경우 이를 데이터 콜로 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CBS, ARS 및 WAP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CBS, ARS 및 WAP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은 상당 부분 도 1의 CBS 및 WAP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였고, 필요 없이 본 발명의 청구범위가 모호해지는 것을 방지하게 위해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CBS, ARS 및 WAP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CBS 및 WAP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부 이외에 교환기(100), 음성 자동응답 시스템(ARS)(110), WAP 푸시/단문 메시지 전송장치(120)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방송 메시지 편성장치에 의해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편성할 때, 단말기의 콜백 유형이 ARS인 경우에는 콜백 번호 필드에 해당 콜백 번호를 지정하여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편성하고, 단말기의 콜백유형이 WAP인 경우에는 사용자 데이터 필드에 WAP 콜백 구분자 및 WAP 콜백 URL을 포함하여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편성하고, 단말기의 콜백 유형이 ARS와 WAP를 동시에 포함하는 경우에는 콜백 번호, WAP 콜백 구분자 및 WAP 콜백 URL을 포함하여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편성한다.
교환기(100)는 기지국(50)에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기의 콜백 유형이 ARS인 경우에 단말기와 ARS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콜백 유형이 ARS인 경우에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콜백 번호 필드에 해당 콜백 번호가 지정되어 있으므로 콜백 번호에 해당하는 ARS와 단말기를 접속시킨다. ARS는 교환기(100)와 연결되어 있으며, 교환기(100)에 의해 단말기(60)와 연결되면 단말기(60)가 필요로 하는 음성정보를 단말기(6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WAP 푸시/단문 메시지 전송장치(120)는 ARS(110)와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기 사용자가 음성 정보이외의 다른 서비스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추가로 획득하고자 할 때 해당 정보를 단문 메시지 또는 WAP 푸시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ARS(110)와 WAP 푸시/단문 메시지 전송장치(120) 사이에는 통합 서비스 편성장치(미도시)와 같은 장치가 있어, 메시지 통보, 시간 간격을 둔 메시지 전송, 시간 주기를 가지는 다수 메시지의 전송 등, 보다 복잡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SMSC)(130)는 단말기로 한정된 크기의 문자(즉, 단문) 형태로 전달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임의의 순간에 수신 할 수 없는 단말기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단문을 그 사용자가 수신할 수 있을 때까지 저장한 후 전달하여 주고 통화중인 사용자에게도 전달하여 준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동작 상태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CBS, ARS 및 WAP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ARS 및 WAP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실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먼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자의 의뢰사항에 따라 방송권역 및 기지국을 특정한다(S602). 즉, 컨텐츠 제공자의 요청에 따라 방송 요구 중심위치 및 방송권역이 지정되면, 방송권역 특정장치 및 기지국 특정장치는 도 3에 도시된 참조표를 기준으로 방송 요구 중심위치에 대한 기지국의 집합을 선택하여 컨텐츠 제공자가 원하는 방송권역 및 기지국을 특정한다. 물론, 방송권역 및 기지국의 특정은 참조표에 의하지 않고 방송권역 특정장치 및 기지국 특정장치에 의해 새로이 지정할 수 있다. 다음에, 메시지 편성장치는 컨텐츠 제공자가 의뢰한 사항(예컨대, 방송시점, 방송채널, 방송권역, 음성 콜백 번호 및 사용자 데이터 필드 등)을 기초로 각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모든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제작 및 편성한다(S604). 이러한 방송형 단문 메시지는 방송권역 및 기지국의 특정 이전에 편성될 수도 있다. 방송 메시지 편성장치에 의해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편성할 때, 단말기의 콜백 유형이 ARS인 경우에는 콜백 번호 필드에 해당 콜백 번호를 지정하여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편성하고, 단말기의 콜백 유형이 WAP인 경우에는 사용자 데이터 필드에 WAP 콜백 구분자 및 WAP 콜백 URL을 포함하여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편성하고, 단말기의 콜백 유형이 ARS와 WAP를 동시에 포함하는 경우에는 콜백 번호, WAP 콜백 구분자 및 WAP 콜백 URL을 포함하여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편성한다.
편성된 방송형 단문 메시지는 메시지 방송센터로 전송되고(S606), 메시지 방송센터는 상기 단계(S602)에서 특정된 모든 기지국으로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은 각각의 기지국들은 자신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모든 단말기로 해당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송신한다(S608).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송신은 컨텐츠 제공자가 원하는 시간에 이루어지며, 메시지 방송센터와 기지국간의 인터페이스는 이동 통신망의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모든 단말기는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시지 편성장치에서 전송된 최초의 메시지로 복원한 후, 이를 디스플레이 한다. 단말기는 수신된 메시지이외에 ARS 콜백 번호 또는 WAP 콜백 URL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예시도가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 단말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내용을 보고 원하는 정보를 요청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 사용자가 정보를 요청하고자 할 때는 일반적으로 단말기의 통화 버튼을 누르면 되지만, ARS와 WAP 콜백이 모두 가능한 경우 단말기에 특정한 버튼(예컨대, WAP 버튼)을 설정하여 ARS 콜백은 통화 버튼을 누르고 WAP 콜백은 WAP 버튼을 누르도록 설정할 수 있다.
방송형 단문메시지에 대해 ARS 콜백만이 가능한 기존 단말기를 보유한 사용자에게 WAP 콜백을 이용한 WAP 컨텐츠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시스템은 특정한ARS 콜백 번호를 내포한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단말기에 전송하고 단말기 사용자가 정보를 요청하고자 하여 통화 버튼을 누르면 해당 ARS 번호로 호가 연결된다. 이 때 ARS 또는 ARS에 연결된 임의의 시스템은 호를 연결한 단말기로 원하는 WAP 컨텐츠의 URL이 내포된 WAP 푸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때, ARS는 WAP 푸시 메시지의 제공 안내나 광고 또는 정보에 관한 내용을 담은 음성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ARS의 IVR(Interactive Voice Response)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ARS 또는 WAP 등 원하는 방법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선택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방송형 단문메시지에 대해 ARS 콜백과 WAP 콜백이 모두 가능한 단말기의 경우는 (실시예 1)에 언급한 바와 같이 단말기의 기능상 가입자의 콜백 버튼 선택 또는 단말기에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가입자가 단말기에 미리 설정한 내용에 의해 원하는 미디어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단말기 기능 및 시스템 기능의 조합으로 [방송형 단문메시지 전송 -> ARS 콜백 -> 음성 컨텐츠 제공], [방송형 단문메시지 전송 -> WAP 콜백 -> WAP 컨텐츠 제공], [방송형 단문메시지 전송 -> ARS 콜백 -> WAP 푸시 메시지 전송 -> WAP 콜백 -> WAP 컨텐츠 제공], [방송형 단문메시지 전송 -> ARS 콜백 -> ARS의 IVR기능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 미디어의 선택 -> 음성 컨텐츠 제공 또는 WAP 푸시 메시지 전송과 WAP 콜백에 의한 WAP 컨텐츠 제공]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콜백 유형이 ARS인 경우, 단말기 사용자가 정보 요청 명령을 내리면(즉, 통화버튼을 누르면) 교환기는 단말기와 ARS를 연결(S610)하고, ARS의 IVR 기능에 따른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이 ARS이면, 기 저장된 ARS 컨텐츠를 단말기로 제공(S612)하여 단말기 사용자가 음성으로 해당 정보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ARS는 단말기 사용자가 음성 접속을 시도했을 때, 'WAP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고 있으니 메시지가 도착하면 확인하시고 통화를 누르세요'라는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ARS의 IVR 기능에 따른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이 WAP이면, WAP 푸시/단문 메시지 전송장치는 단말기로 WAP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고(S614), 단말기 사용자가 WAP 콜백을 수행하면 WAP 컨텐츠를 제공한다(S616).
콜백 유형이 WAP인 경우, 단말기 사용자가 정보 요청 명령을 내리면(즉, 통화버튼 또는 WAP 버튼이나 WAP 소프트 키 등 특정 버튼을 누르면) 교환기와 WAP 게이트웨이는 단말기와 WAP 컨텐츠 서버를 연결(S618)한 후 해당 콜백 URL에 저장된 WAP 컨텐츠를 단말기에 제공한다(S620). 단말기로 전달된 컨텐츠를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전용 브라우저가 필요하며, 컨텐츠 네비게이션을 위해 단말기 상에 몇 가지 전용 버튼을 마련하여 간단하게 페이지간 이동을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WAP은 인터넷상의 HTML과는 다른 HDML(이를 WAP에서는 WML으로 부른다)을 사용하며, 웹상의 많은 컨텐츠들이 단말기까지 도착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터넷상에서 WAP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이동전화 회선 네트워크를 통과하게 된다. 해당 정보를 WAP 컨텐츠 서버에서 단말기로 전송할 때, WML로 만들어진 WAP 컨텐츠는 WAP 게이트웨이를 거쳐 단말기로 직접 전송되고, HTML로 만들어진 WAP 컨텐츠는 WAP 게이트웨이에 의해 WML로 변환되어 단말기로 전송된다. 단말기의 콜백 요청에 의해 WAP 컨텐츠 서버에서 단말기로 전송되는 컨텐츠가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하나의 예시도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단말기 사용자는디스플레이 된 정보를 보고, 다른 매체 또는 경로를 통해 더 자세한 정보를 원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명령(예컨대, 통화버튼을 누르거나 이동키로 해당 메뉴에 이동하여 실행명령을 지시하는 것 등)을 내리면 된다.
콜백 유형이 ARS 및 WAP인 경우, 기 설정되거나 단말기 사용자가 선택한 콜백의 유형에 의해 단말기와 ARS로 접속되거나 단말기와 콜백 URL로 접속된다(S622). 즉, 콜백 번호 필드에 콜백 번호가 지정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사용자 데이터 필드에 WAP 콜백 구분자가 내포되어 있는 경우,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통화버튼이 눌려지면 음성 접속이 우선적으로 시도되거나 WAP 접속이 우선적으로 시도될 수 있고, 단말기 자체 기능을 이용하여 단말기 사용자가 선택한 접속이 우선적으로 시도될 수 있다. 음성 접속이 시도된 경우에는 상기 단계(S610)로 진행하여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고, WAP 접속이 시도된 경우에는 상기 단계(S618)로 진행하여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전송한다(S624).
상기 단계들(S612, S616, S620, S624) 다음에, 단말기 사용자가 다른 매체 또는 경로를 통해 보다 자세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접속을 요구하면 해당 매체 또는 경로와 연계하여 원하는 정보를 전송한다(S626). 또한, 단말기 사용자가 WAP 컨텐츠 이용의 결과로 다른 매체 또는 다른 경로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추가로 얻고자 하는 경우, WAP 컨텐츠 서버는 UMS/멀티미디어 서버로 명령을 보내거나 단문 메시지 전송장치로 명령을 보내 원하는 매체 또는 경로로 연계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ARS는 음성 정보를 통하여 연계되는 매체 또는 경로를 단말기 사용자가 선택하고 해당 정보의 전송을 위한 각종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연계되는 매체 또는 경로가 한 가지인 경우 단순한 통보 음성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 없이 바로 연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성 메시지의 내용이 '상세내용을 들으시면서 비밀번호를 단문 메시지로 받으시려면 1번, 상세정보를 WAP으로 검색하시려면 2번, 상세정보를 팩스로 받으시려면 3번을 눌러 주십시요'라는 음성 내용을 단말기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선택하도록 지시하거나 '현재 해당 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보내고 있습니다. 잠시 기다리십시오'라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음성 메시지 없이 즉시 WAP 푸시가 이루어지도록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다. 단말기와 연계되는 매체 또는 경로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예컨대, 이메일, 팩스, 음성메일, 단문 메시지, 캐릭터, 멀티미디어 파일, 멀티미디어 스트림, 실행코드 등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WAP 푸시의 유형을 메시지의 사용자 데이터 필드에 WAP 홈페이지 URL이 내장되어 있는 SMS 메시지로 표현하였지만, CBS(Cell Broadcasting Service, 단문메시지 방송 서비스)로 하는 방법 또는 데이터 착신이 가능한 경우 이를 데이터 콜로 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편성된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특정 방송권역 내의 모든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제공자는 단말기 사용자에게 원하는 정보를 푸시 방식으로 전달하고 필요 시 그에 대한 반응으로 컨텐츠를 손쉽게 액세스하게 함으로써 컨텐츠 제공에 의한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고, 단말기 사용자는 사용자 임의로 선택한 관심 분야에 해당하는 정보들을 적절한 지역에서 적절한 시간에 요약된 내용으로 제공받고 더 자세한 컨텐츠를 원하는 경우 단순하고 간편한 조작으로 원하는 매체를 통해 손쉽게 상세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소정의 지역에 위치한 단말기에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방송권역을 지정해 주는 방송권역 특정장치와 상기 방송권역을 포함하는 기지국들의 집합을 설정하는 기지국 특정장치를 포함하여 기지국을 통해 단말기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자가 의뢰한 방송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모든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제작 및 편집하는 방송 메시지 편성장치;
    상기 방송 메시지 편성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기지국 특정장치에 의해 선택된 기지국으로 상기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방송센터;
    상기 기지국과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컨텐츠 부호화기 및 컨텐츠 복호화기를 포함하고, WAP 프로토콜과 WWW 프로토콜간의 변환작업을 수행하는 WAP 게이트웨이; 및
    상기 WAP 게이트웨이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기에 WAP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다른 매체 또는 경로에 연계하고, 상기 단말기로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 및 제어하는 WAP 컨텐츠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WAP 컨텐츠 서버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통신 가능한 모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합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고, 인터넷상에 분산되어 있는 각종 자원을 엑세스하여 이를 처리하고 다시 분산 환경으로 분배해 주는 UMS/멀티미디어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정보는 방송시점, 방송채널, 방송권역, 음성 콜백 번호 및 사용자 데이터 필드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사용자 데이터 필드에 WAP 콜백 구분자와 WAP 콜백 URL을 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WAP 브라우저를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6. 소정의 지역에 위치한 단말기에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방송권역을 지정해 주는 방송권역 특정장치와 상기 방송권역을 포함하는 기지국들의 집합을 설정하는 기지국 특정장치를 포함하여 기지국을 통해 단말기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자가 의뢰한 방송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모든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제작 및 편집하는 방송 메시지 편성장치;
    상기 방송 메시지 편성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기지국 특정장치에 의해 설정된 기지국으로 상기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방송센터;
    상기 기지국과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컨텐츠 부호화기 및 컨텐츠 복호화기를 포함하고, 네트워크 상에서의 데이터 크기를 줄이기 위해 WAP 컨텐츠를 부호화 된 형식으로 변환하거나 이를 다시 부호화 되기 이전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WAP 게이트웨이;
    상기 WAP 게이트웨이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기에 WAP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다른 매체 또는 경로에 연계하고, 상기 단말기로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 및 제어하는 WAP 컨텐츠 서버; 및
    상기 단말기와 연결시켜 주는 교환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음성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고, 필요 시 자동으로 또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른 매체에 의한 정보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음성 자동응답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WAP 컨텐츠 서버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통신 가능한 모든 데이터를송수신할 수 있는 통합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고, 인터넷상에 분산되어 있는 각종 자원을 엑세스하여 이를 처리하고 다시 분산 환경으로 분배해 주는 UMS/멀티미디어 서버;
    상기 음성 자동응답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기 사용자가 음성 정보이외의 다른 서비스를 통해 정보를 검색하고자 할 때 기 저장된 데이터를 단문 메시지 또는 WAP 푸시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WAP 푸시/단문 메시지 전송장치; 및
    상기 WAP 게이트웨이 및 상기 WAP 푸시/단문 메시지 전송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된 데이터를 단문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정보는 방송시점, 방송채널, 방송권역, 음성 콜백 번호 및 사용자 데이터 필드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콜백을 WAP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사용자 데이터 필드에 WAP 콜백 구분자와 WAP 콜백 URL을 내포하고, 상기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콜백을 ARS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콜백 번호 필드에 상기 음성 콜백 번호를 지정하고, 상기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콜백을 WAP 및 ARS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WAP 콜백 구분자와 상기 WAP 콜백 URL 및 상기 콜백 번호 필드에 음성 콜백 번호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WAP 브라우저를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11. 소정의 지역에 위치한 단말기에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방송권역을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권역을 포함하는 기지국들의 집합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기지국을 통해 단말기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자가 의뢰사항에 따라 해당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모든 단말기에 전송하고자 하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편성하는 단계;
    편성된 상기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메시지 방송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모든 단말기로 상기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콜백 유형을 기 설정하였거나 정보 요청 당시에 선택하여 해당 매체로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매체를 통하여 해당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다른 매체 또는 경로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단말기와 해당 매체 또는 경로와 연계 또는 변환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사용자 데이터 필드에 WAP 콜백 구분자와 WAP 콜백 URL을 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방법.
  14. 소정의 지역에 위치한 단말기에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방송권역을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권역을 포함하는 기지국들의 집합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기지국을 통해 단말기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자가 의뢰한 방송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모든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편성하는 단계;
    편성된 상기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메시지 방송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모든 단말기로 상기 방송형 단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단말기 사용자가 정보를 요청하면, 요청된 정보의 콜백 유형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콜백 유형에 따라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다른 매체 또는 경로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단말기와 해당 매체 또는 경로를 연계하여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콜백 유형은 ARS, WAP, ARS와 WAP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콜백 유형에 따라 해당 정보를 푸시하는 단계는
    상기 콜백 유형이 ARS이면, 상기 단말기와 상기 ARS를 연결하여 음성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콜백 유형이 WAP이면, 상기 단말기와 상기 콜백 URL를 연결하여 해당 정보를 WAP으로 제공하고;
    상기 콜백 유형이 ARS와 WAP의 조합이면, 기 설정되거나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설정된 접속 순서에 따라 해당 정보를 전송 또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콜백을 WAP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사용자 데이터 필드에 WAP 콜백 구분자와 WAP 콜백 URL을 내포하고, 상기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콜백을 ARS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콜백 번호 필드에 상기 음성 콜백 번호를 지정하고, 상기 방송형 단문 메시지의 콜백을 WAP 및 ARS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WAP 콜백 구분자와 상기 WAP 콜백 URL 및 상기 콜백 번호 필드에 음성 콜백 번호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콜백 유형이 ARS이면 상기 단말기로 WAP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WAP 콜백이 형성되면 상기 단말기로 WAP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콜백 유형이 ARS이면 상기 단말기로 컨텐츠 제공 미디어 선택에 관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 제공 미디어를 ARS로 선택하면 음성 컨텐츠를 제공하고, WAP으로 선택하면 상기 WAP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WAP 콜백에 의한 WAP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방법.
KR1020010002837A 2001-01-18 2001-01-18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bandoned KR200100740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837A KR20010074057A (ko) 2001-01-18 2001-01-18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837A KR20010074057A (ko) 2001-01-18 2001-01-18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057A true KR20010074057A (ko) 2001-08-04

Family

ID=19704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837A Abandoned KR20010074057A (ko) 2001-01-18 2001-01-18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4057A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368A (ko) * 2001-11-01 2001-11-29 최한길 에스엠에스를 이용하여 휴대폰에 고용량의 데이터를전송하는 방법
KR20030028933A (ko) * 2001-10-04 2003-04-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주기적 단문 메시지 정보 서비스 방법
KR20030029169A (ko) * 2001-10-05 2003-04-14 최중인 단문메시지서비스를 통한 포워딩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94555A (ko) * 2002-06-04 2003-12-18 (주)엠비즈코리아 Cbs를 이용한 설문조사시스템 및 방법
KR20040008065A (ko) * 2002-07-15 2004-01-28 (주)모빌닉 Vm기반의 무선 인터넷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방법
KR20040063472A (ko) * 2003-01-07 2004-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역내의 개별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450875B1 (ko) * 2001-12-28 2004-10-0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장치 및 방법
WO2005041596A1 (en) * 2003-10-28 2005-05-06 Nets Co., Ltd. Gateway apparatus for information processing using mobile communication
WO2005125238A1 (en) * 2004-06-16 2005-12-29 Lg Electronics Inc. Broadcast/multicast service method based on user location information
KR100653261B1 (ko) * 2002-06-14 2006-12-01 멜코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lan 장치, 그 접속 방법, 및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0732326B1 (ko) * 2003-11-13 2007-06-25 와이즈임베드(주) 콜백 유알엘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접속 방법
KR100844318B1 (ko) * 2001-10-05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정보 단말기의 광고방송 방법
KR100877986B1 (ko) * 2002-10-19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푸시 메시지 관리 및 접속 방법
KR100966463B1 (ko) * 2003-03-24 2010-06-28 주식회사 케이티 가입자별 맞춤 컨텐츠를 제공하는 무선랜 서비스 방법
KR100989228B1 (ko) * 2008-04-17 2010-10-20 주식회사 케이티 방송 메시지를 이용한 위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100989931B1 (ko) * 2002-03-28 2010-10-26 노키아 코포레이션 단거리 무선 가능 이동 단말기에서의 푸시 페이지 사용자인터페이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186A (ko) * 1999-09-29 2000-01-15 정병주 무선 통신(호출기, PCS, Cellular Phone)문자 서비스를 이용한 문자 광고 시스템 구축 방법
WO2000022906A2 (en) * 1999-12-10 2000-04-27 Wcl Wireless Commerce Ltd. Oy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electronic auctions
KR20000054523A (ko) * 2000-06-09 2000-09-05 김성윤 이동전화를 이용한 상품판매
KR20000071912A (ko) * 2000-01-31 2000-12-05 김용욱 이동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광고방법
KR20010026914A (ko) * 1999-09-09 2001-04-06 서평원 휴대폰에서의 광고 표시 방법
KR20020024905A (ko) * 2000-09-27 2002-04-03 서제형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마케팅메세지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914A (ko) * 1999-09-09 2001-04-06 서평원 휴대폰에서의 광고 표시 방법
KR20000000186A (ko) * 1999-09-29 2000-01-15 정병주 무선 통신(호출기, PCS, Cellular Phone)문자 서비스를 이용한 문자 광고 시스템 구축 방법
WO2000022906A2 (en) * 1999-12-10 2000-04-27 Wcl Wireless Commerce Ltd. Oy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electronic auctions
KR20000071912A (ko) * 2000-01-31 2000-12-05 김용욱 이동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광고방법
KR20000054523A (ko) * 2000-06-09 2000-09-05 김성윤 이동전화를 이용한 상품판매
KR20020024905A (ko) * 2000-09-27 2002-04-03 서제형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마케팅메세지 제공방법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933A (ko) * 2001-10-04 2003-04-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주기적 단문 메시지 정보 서비스 방법
KR20030029169A (ko) * 2001-10-05 2003-04-14 최중인 단문메시지서비스를 통한 포워딩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44318B1 (ko) * 2001-10-05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정보 단말기의 광고방송 방법
KR20010106368A (ko) * 2001-11-01 2001-11-29 최한길 에스엠에스를 이용하여 휴대폰에 고용량의 데이터를전송하는 방법
KR100450875B1 (ko) * 2001-12-28 2004-10-0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989931B1 (ko) * 2002-03-28 2010-10-26 노키아 코포레이션 단거리 무선 가능 이동 단말기에서의 푸시 페이지 사용자인터페이스
KR20030094555A (ko) * 2002-06-04 2003-12-18 (주)엠비즈코리아 Cbs를 이용한 설문조사시스템 및 방법
KR100653261B1 (ko) * 2002-06-14 2006-12-01 멜코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lan 장치, 그 접속 방법, 및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040008065A (ko) * 2002-07-15 2004-01-28 (주)모빌닉 Vm기반의 무선 인터넷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방법
KR100877986B1 (ko) * 2002-10-19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푸시 메시지 관리 및 접속 방법
KR20040063472A (ko) * 2003-01-07 2004-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역내의 개별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966463B1 (ko) * 2003-03-24 2010-06-28 주식회사 케이티 가입자별 맞춤 컨텐츠를 제공하는 무선랜 서비스 방법
WO2005041596A1 (en) * 2003-10-28 2005-05-06 Nets Co., Ltd. Gateway apparatus for information processing using mobile communication
KR100732326B1 (ko) * 2003-11-13 2007-06-25 와이즈임베드(주) 콜백 유알엘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접속 방법
WO2005125238A1 (en) * 2004-06-16 2005-12-29 Lg Electronics Inc. Broadcast/multicast service method based on user location information
US7672280B2 (en) 2004-06-16 2010-03-02 Lg Electronics Inc. Broadcast/multicast service method based on user location information
US8064420B2 (en) 2004-06-16 2011-11-22 Lg Electronics Inc. Broadcast/multicast service method based on user location information
US8077687B2 (en) 2004-06-16 2011-12-13 Lg Electronics Inc. Broadcast/multicast service method based on user location information
KR100989228B1 (ko) * 2008-04-17 2010-10-20 주식회사 케이티 방송 메시지를 이용한 위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1784B1 (en) Method in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mmunication device
KR100526902B1 (ko) 정보제공장치및휴대형통신단말
US60186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oading tones to mobile terminals
JP4430717B2 (ja) 複数のアプリケーションをサポートする通信ネットワーク端末装置
US656045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bscriber-initiated information over the short message service (SMS) or a microbrowser
KR20010074057A (ko)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H10200966A (ja) 情報の無線検索方法
EP1148681A2 (en) Method for transferring resource information
US200300363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audio message delivery
WO2002076122A1 (en) Method for providing telephone directory service accompnying sms notification
KR20010095885A (ko) 음악화일의 방송 실시간 온 디멘드 다운로드시스템
JP4004776B2 (ja) 移動通信環境下のsmsと結合した無線受信機、無線プロトコルシステム、およびインターネット・コンテンツの配信方法
GB2361603A (en) Transferring browser information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KR100260821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부가서비스 방법
KR100414543B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의 웹사이트 접속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52716B1 (ko) 복수의 이동단말기에서 동일 컨텐츠를 설정하는 방법
KR100683895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방법
KR1005877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사서함 메뉴 목록 제공 방법
KR20010025659A (ko) 무선 단말기용 음성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27827B1 (ko) 유무선 통신 사업자간 연계를 통한 목적지 약도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85251B1 (ko) 문자메시지의 음성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361729B1 (ko)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08783A (ko) 이동단말기에서 발신자의 녹음메시지를 첨부하여 컨텐츠를선물하는 방법
MXPA97010240A (en) Method of recovery of information inalambr
KR20040105444A (ko) 자동응답 메시지의 이 메일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529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C1902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