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97449A - 가상 코디룸을 갖춘 인터넷 쇼핑몰과 이를 통한 역정보추출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코디룸을 갖춘 인터넷 쇼핑몰과 이를 통한 역정보추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7449A
KR20010097449A KR1020000021544A KR20000021544A KR20010097449A KR 20010097449 A KR20010097449 A KR 20010097449A KR 1020000021544 A KR1020000021544 A KR 1020000021544A KR 20000021544 A KR20000021544 A KR 20000021544A KR 20010097449 A KR20010097449 A KR 20010097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ion
product
products
information
c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1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영
Original Assignee
박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영 filed Critical 박지영
Priority to KR1020000021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7449A/ko
Publication of KR20010097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744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42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사용자와 가상현실의 상호작용을 통한 새로운 쇼핑 몰 형태에 관한 것으로,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타사 제품간 또는 다른 품목간 제품 코디' 환경을 구축하여 사용자에게 흥미롭고 유익한 쇼핑을 즐기게 하면서 동시에 자연스럽게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제품 형태를 조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이 쇼핑 몰은 '사이버 코디'라는 수단을 이용하여, 인터넷 몰에서만 가능한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과 신뢰성 높은 새로운 정보의 추출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핵심적 요소는 첫째, 상관 관계 있는 제품들 간의 카테고리 설정 둘째, 상품의 조합을 가상 실행할 수 있는 코디 룸 셋째, 사용자가 가공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코디 작품 전시실 등으로 요약 될 수 있는데, 특히 감각적 호감이 중시되는 패션 용품이나 인테리어 제품의 경우 더욱 적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옷을 사려는 사람은 A사의 상의와 B사의 하의 혹은 C사의 하의 등을 모델에게 수 차례 반복 코디 해 봄으로써 가장 적당한 옷을 고를 수 있을 뿐 아니라, 한 화면에서 그에 어울리는 구두나 모자 가방 등의 정보까지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이나 가격대를 지정하여 검색할 수 있어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상품을 고를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등록된 코디 작품이나 선택된 횟수는 대중의 각 제품에 대한 선호도 및 코디 경향의 반영으로서, 다른 사용자나 운영자에게 최신 유행과 참신한 코디 정보 및 소비자의 구매 기호 등을 전달하게 된다. 다른 예를 들면, 벽지를 구입하려는 사람은 가상 공간에 기존의 바닥재나 가구 등의 색깔과 디자인을 미리 설정해 놓고 각 사의 벽지 제품을 코디 해 볼 수도 있어, 보다 만족스러운 쇼핑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 쇼핑 몰에 DHTML을 이용한 코디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더불어 그 자발적인 코디 정보를 다시 받아들여 새로운 정보 창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상 코디룸을 갖춘 인터넷 쇼핑몰과 이를 통한 역정보 추출 방법{.}
90년대 초 인터넷이 HTML을 사용하여 정적인 정보 전달만이 가능한 형태로 시작한 이후, 좀더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하여 CGI, JavaScript, ASP등이 등장하였으나, 이 기술들은 정보 제공자가 준비한 정보를 표현하는 용도로만 사용되었다. 그리하여 기존의 인터넷 쇼핑 사이트들은 준비된 개별 상품 정보를 정리하여 그 카탈로그를 모니터에 옮겨 놓았을 뿐, 사용자가 참가하여 상품을 관찰할 수 있는 경험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함으로써, 상품의 실물을 보여 주지 못하는 인터넷쇼핑몰의 단점을 극복하기가 어렵다.
한편, 사용자의 정보 제공 측면에 있어 게시판, 온라인 설문조사, 또는 운영자에게로의 편지 쓰기 등의 기능이 일반화되었지만, 쇼핑 몰 방문자들에게 이런 게시판 등은 '쇼핑'이라는 본래 목적이외의 부가 작업이어서 얻고 싶은 정보만 얻으면 사이트를 떠나 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인터넷의 고유 속성인 '정보의 쌍방향 전달'이 쇼핑 몰에서는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에 유행하는 'Data WareHousing'이라는 기법은 사이트 방문자들의 이러한 Surfing 형태를 적극적으로 파악하여 사이트 운영자에게 좀더 의미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나 이는 정보의 전달·표현 기술이 아닌 정보 취합과 분석 기법이므로 사이트 방문자에게 적극적이고 왕성한 Surfing욕구를 불러일으키지는 못한다.
본 발명은 사이트 방문자에게 현실 세계에서는 불가능한 '타사 제품간 또는 다른 품목간 제품 코디'를 가능하게 하여 적극적인 Surfing 욕구를 고취시키고, 자신만의 코디 결과를 '코디 작품 전시실'에 전시함으로써 일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인터넷 쇼핑 몰의 정보 흐름을 한 차원 높여 이제까지 정보소비자일 뿐이던 사용자들을 자연스럽게 능동적인 정보 제공자로 유도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제까지의 정적 정보에서 동적 정보로, 서비스 부재의 지루한 쇼핑에서 흥미로운 간접 경험이 가능한 쇼핑으로, 그리고 수동적이던 정보 소비자를 능동적인 정보 제공자로 유도하는 바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기술적 요소가 필요하다.
첫째. 사용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유익한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며, 이를 통한 쇼핑 행위가 자연스럽게 정보 창출로 이어져야 한다.
본 발명은 사이트 표현 기술로 HTML4.0 부터 채택된 DHTML 을 사용한다. DHTML은 CSS(Cascading Style Sheet)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웹 화면상에 원하는 그림을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놓을 수 있다.
아래 [발명의 구성 및 작용] - '3. 가상 코디 룸'의 설명과 같이 사용자들은 제품들을 구입 하기 전에 자신이 원하는 모양으로 코디해 보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새로운 형태의 코디 방법을 창출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필요한 필요한 DHTML의 CSS(Cascading Style Sheet)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 MS Explorer 5.0을 기준으로 하였다. Netscape사의 브라우저와는 문법이 약간의 차이가 있다.
CSS 기술에서는 원하는 그림이나 글자를 다음과 같이 <DIV> 라는 TAG를 사용하여 원하는 곳에 위치시킬 수 있다.
<DIV style="....">와 </DIV> 사이에 놓이는 부분을 'CSS'라 하며 하나의 CSS를 원하는 위치에 놓는 것을 'Positioning'이라고 한다. 위 예에서 'sample.gif' 라는 그림은 화면의 좌표 (100,100)(단위는 pixel)에 놓인다. 2개 이상의 CSS가 겹칠 때는 z-index 값이 큰 CSS가 z-index 값이 작은 CSS보다 위에 놓여 보인다. 'id=item_img1'은 CSS를 가리키는 식별자로, JavaScript에서 이 CSS를 가리킬 때 사용된다. CSS의 위치 값이나 z-index 값은 JavaScript를 이용해서 동적으로 바꿔줄 수 있다. 다음 예를 보면,
위 JavaScript 코드의 함수 'moveImg(x,y)' 라는 함수에 인자를 주어 'moveImg(200,200)' 이라고 불러 주면 화면상의 그림은 좌표값 (200,200)(단위는 pixel) 위치로 옮겨간다.
이처럼 DHTML은 문장이나 그림을 CSS로 만들어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위치시킬 수 있다.
둘째. 창출된 정보가 적극적으로 사이트 운영자나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적절하고도 효과적인 방법이 있어야 한다.
HTML4.0 이후의 JavaScript는 마우스와 키보드의 Event를 처리하는 능력이 추가되어 사용자의 Mouse Click 동작과 Mouse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사이트 방문자가 다양한 제품을 사용하여 코디한 결과를 서버의 DB에 기록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게시판이나 사용자 의견 수렴 방법이 텍스트로 된 결과만 저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이트 운영자는 차별화 된 정보를 얻어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필요로하는 기술적 요소인 JavaScript에서 마우스의 위치와 Click 정보를 얻어내는 방법을 코드의 일부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단, MS Explorer 5.0을 기준으로 코드를 만들었다.
위의 JavaScript는 마우스 버튼을 누를 때나 놓을 때 또는 움직일 때마다 마우스 버튼의 좌표값을 알 수 있다.
마우스 버튼을 누를 때는 함수 'mouseDown(e)'가 불리며, 'e.pageX'와 'e.pageY' 값이 마우스 위치의 좌표값이 된다. 'mouseMove(e)'는 마우스를 화면상에서 움직이면 불리는 함수이고, 'mouseUp(e)'은 마우스 버튼을 놓을 때 불리는 함수이다. 따라서, 위 JavaScript를 아래와 같이 수정하면 첫번째 예의 'item_img1'라는 그림을 마우스가 움직이는 데로 따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이 코드 예에서는 'mouseDown(e)' 함수에서 현재 마우스가 눌린 위치가 'item_img1'의 영역 내에 있으면 'imgArea' 값을 'true'로 하여 이후 마우스가 움직일 때마다 'mouseMove(e)' 함수내에서 'moveImg(x,y)'를 부르도록 하여 그림을 움직이게 만든다. 마우스 버튼을 놓으면 'mouseUp(e)' 함수에서는 'imgArea'를 'false' 값으로 하여 이후 마우스가 움직여도 그림은 움직이지 않게 한다. 즉, 마우스로 그림을 클릭한 후 끌어서 움직이는 'drag-and-drop'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얻은 그림의 좌표값은 CGI 프로그램을 통하여 DB의 테이블에 저장되어 '역정보'로 활용된다. DB에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은 아래 '[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에서 자세히 기술한다.
[ 시스템 설계도의 간단한 설명 ]
시스템 설계도 1 - 본 발명을 웹으로 구축하는데 필요한 시스템
1) 웹 서버 및 CGI 프로그램 - HTTP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웹서버와 모든 절차를 처리할 CGI프로그램
2) MODEL_TBL, CODY_TBL, ITEM_TBL : 제품 및 코디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DB 테이블
3) HardDisk : 제품의 사진을 저장하고 있는 디스크
시스템 설계도 2 - 본 발명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DB 테이블 구조
1) 코디 모델 테이블 : MODEL_TBL
- 코디할 모델(패션 모델, 인테리어 모델 등..) 등록 테이블
2) 제품 품목 테이블 : ITEM_TBL
- 개별 제품 정보 기록 테이블
3) 코디 결과 테이블 : CODY_TBL
- 개별 제품을 모델에 코디한 결과 기록 테이블
주요 용어 정의
'역정보(逆情報)' - 운영자가 제공한 단편적인 정보를 사용자가 조합, 가공하여 역으로 운영자와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새로운 정보. 여기서는 개개의 제품에 대한 선호도 또는 조합하여 완성한 새로운 형태의 코디 방법 등
'제품 진열장' - 각 회사의 제품 정보와 사진을 볼 수 있고 검색할 수 있는 가상의 장소
'코디 작품 전시실' - 여러 제품을 조합하여 코디한 작품의 사진을 등록해 놓은 가상의 장소
'타사제품(他社製品)' - 제조 회사가 서로 다른 제품
'코디 모델' - 개별 제품을 코디할 대상. 패션 제품의 경우는 마네킹 또는 실물 모델의 사진, 인테리어 제품의 경우는 실내 사진 등
'타품목(他品目)' - 하나의 '코디 모델'에 조합 가능한 서로 다른 종류의 제품군. 패션 제품의 경우 '의류'와 '신발류'
첨부된 시스템 설계도에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조합 가능한 상품간의 카테고리 설정과 코디 환경 구축
첫째, 여러 품목이 하나의 모델에 코디 되려면 개개의 품목이 한 화면에 코디 될 수 있는 코디 모델 (MODEL_ID)이 지정되어야 하므로, 이에 따라 사이트 관리자는 하나의 모델에 조합 될 수 있는 상품들을 모아 그 카테고리를 설정해 주어야 한다.
(예) 패션 모델의 경우, 모자 옷 신발 가방 악세서리 등 코디 품목의 범위 설정, 인테리어 모델의 경우, 가구를 포함 시킬 것인지의 여부 결정 등
둘째, 결정된 모델과 상품들은 '코디 모델 테이블'과 '제품 품목 테이블' (시스템 설계도 2 )에 따라 각각 그 데이터가 지정, 저장된다.
1) 제품이 코디될 코디 모델(MODEL_ID)을 결정한다.
(예) 패션 용품을 코디할 모델은 마네킹이나 사람의 사진이 되고 인테리어 제품을 코디할 모델은 거실·방·욕실·베란다 등의 사진이 된다.
2) 각 제품이 어떤 코디 모델의 어느 위치에 코디 될 수 있는 제품인지 코디 번호 (CODY_ID)를 지정한다.
(예) 패션 모델의 경우 모자가 코디될 머리 부분은 CODY_ID가 1, 상의를 코디할 상반신 부분은 CODY_ID가 2 등등으로 지정 한다.
3) 제품의 z-index값을 지정한다. DHTML 에서는 z-index 값을 사용하여 겹쳐지는 그림 중 어느 그림이 위에 보이게 되는지 결정하는데, z-index 값이 클수록 겉옷이 된다.
(예) 코디 위치가 같은 상의라도 재킷은 티셔츠보다는 밖에 코디 되어야 하므로, z- index 값을 티셔츠는 1, 재킷은 2로 지정한다.
4) 제품을 실제 모델의 코디 위치에 입힌(또는 장식한) 상태에서 사진을 찍어, 'photo shop' 프로그램에서 Lasso, Pen, Magic wand 등의 tool을 사용하여 제품 모양만 잘라낸다. 이 사진을 ITEM_IMG 로 사용하며, 같은 제품이라도 연출하는 방법에 따라서 형태 변형이 가능한 것은 여러 장의 사진을 찍어서 저장한다.
(예) 재킷의 경우, 단추를 채운 상태와 열은 상태
스카프의 경우, 앞으로 묶은 상태와 옆으로 걸친 상태
5) 제품 사진을 Server의 디스크에 저장하고, 제품 관리 테이블(ITEM_TBL)에 등록한다.
(BOOTH_ID, MODE_ID, ITEM_ID, CODY_ID, Z_INDEX 값 저장)
2. 제품 진열장(ITEM_TBL)
이 진열장은 상품 검색 기능이 강화되어 사용자가 등록된 품목(ITEM_TBL)들을 살펴보고, 주문 또는 코디할 제품들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1) 제품별 분류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제품의 사진이 나열된다.
2) 마우스가 사진 위를 지나가면 제품의 상표와 가격정보가 풍선 도움말 형식으로 즉석에서 보이고, 더 자세한 내용을 원하면 '상품 정보 버튼'을 클릭 하면 된다.
3) 제품의 특성(ITEM_COMMENT) 값을 사용한 검색도 가능하다. ITEM_TBL의 ITEM_COMMENT에는 제품의 특징을 나타내는 단어들이 등록되어 있는데(색상, 재질, 가격, 브랜드명 등등..), 이 단어들을 검색에 이용한다.
(예)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 가격대 등을 구체적으로 지정하면, 그에 해당되는 제품 사진만 화면에 나열된다.
4) 구매를 원하는 경우 '주문' 버튼을 클릭하여 즉시 주문 가능하다.
5) 코디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가 코디 할 제품을 골라 '코디 box 등록 버튼'을 클릭하면 제품의 ITEM ID를 'Cookie' 라는 기술적 수단에 의해 '가상 코디 룸'으로 전달된다.
3. 가상 코디 룸
이 코디 룸은 사용자가 물건의 구입 이전에 제품들의 조합을 가상 실행해 볼 수 있는 장소로서, 현실에서는 거의 불가능한 '타사제품'간 또는 '타품목'간 코디를 미리 해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제품 코디 과정은 아래와 같다.
1) 원하는 모델을 선택(MODEL_ID ) 하면, 모델의 사진(MODEL_IMG)이 화면 왼쪽에 나타난다.
2) '코디 box'를 열면, 제품 진열장에서 선택한 제품의 사진들이 화면 오른쪽에 나열된다.
3) 제품 사진(ITEM_IMG)을 마우스로 클릭 하면 '연출 가능한 형태사진'을 보여준다.
4) 마우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연출 형태의 사진을 모델(MODEL_ID)의 코디 위치(CODY_ID, CODY_POS)에 drag-and-drop 방식으로 코디한다.
5) 수 차례 반복 코디가 가능하며, 코디 중에 제품 진열장을 열어 '코디 box'를 통해 다른 제품을 전달 받을 수도 있다.
6) 코디 작업이 끝나면, 코디된 모델의 사진과 코디에 사용된 제품들의 상세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코디한 결과가 '코디 결과 테이블'(CODY_TBL)에 저장되므로 코디된 그대로 주문할 수도 있다.
7) '종료'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작품 전시실'(CODY_TBL)에 전시할 지를 dialog-box를 사용해서 간단하게 '예/아니오'(SHOW=1/0)로만 묻는 화면이 나타난다. 사용자는 코디가 끝난 제품을 전시실에 등록하기 위하여 전시실을 방문할 필요없이 '예/아니오'에 답을 하는 것만으로 '코디 작품 전시실'에 등록할 수 있다.
4. 코디 작품 저장 구조
등록된 코디 작품은 <시스템 설계도 2 의 3 > 코디 결과 테이블에 따라 서버의 DB 에 저장된다.
코디 품목(ITEM_LIST)은 코디 대상 모델(MODEL_ID)의 사진(MODEL_IMG) 위에 상품을 위치한 결과이며, 아래와 같이 제품(ITEM_ID)을 나열해놓은 구조이다.
(예) 패션 코디인 경우
위 목록에 기록된 각 제품(ITEM_ID)이 코디 모델(MODE_ID)의 사진 (MODEL_IMG) 위에 어느 곳에 위치하는 가는 모델(MODEL_ID)에 따라서 달리 해석한다.
예로 MODEL_ID가 패션 모델인 경우 각 품목(ITEM_ID)이 위치할 좌표 (CODY_POS) 값은 아래와 같이 해석한다.
예를 들어 모자('ITEM_ID' 1)의 경우 'CODY_ID' 1에 위치할 품목이므로 모델의 사진상 위치의 좌표값은 코디 모델 테이블(MODEL_TBL)의 'CODY_POS' 1의 값에서 구한다.
5. 사용자 코디 작품 전시실
이 전시실은 개인의 코디 능력을 과시하는 경연장일 뿐 아니라 사이트 방문자에게 최신 유행 정보와 참신한 코디 정보를 주는 곳이며, 또한 제품 생산자는 소비자의 구매 기호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정보 창고가 된다.
1) 사용자는 등록된 코디 작품 사진을 살펴보고, 우수한 또는 가장 마음에 드는 작품을 선정하여 클릭 할 수 있다. 이 클릭 획수는 작품 사진 밑에 표시되고 일정 기간 누적된다.
2) 전시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전시실의 질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의 평가를 바탕으로 일정기간마다 우수 코디 작품만을 남기고 그외의 작품은 삭제됨으로써 계속적인 등록이 가능하도록 한다.
3) 제품의 일련 번호 (ITEM_ID) 를 지정하여 특정 제품을 사용한 코디 작품만의 검색도 가능하다. 이는 같은 제품을 사용한 다양한 코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다른 사용자와의 코디 방법을 비교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
(예) 청재킷의 제품 번호 0001을 지정하여 검색하면, 그 청재킷이 입혀진 코디 작품만 화면에 나열된다.
4) 제품의 특정( ITEM_COMMENT )을 이용한 검색도 할 수 있다.
(예) 붉은 색 상의가 코디된 작품만 나열시킨다.
5) 등록된 코디 제품의 개별 작품 정보를 검색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6. 역정보(逆情報) 추출 절차
본 쇼핑 몰은 운영자가 제공하는 상품을 사용자가 조합해 볼 수 있는 '가상코디 룸'과 이 기록을 저장하는 '코디 작품 전시실'을 둠으로써, 상품에 대한 소비자 반응과 함께 새롭게 창출된 정보 (예: 코디 방법, 유행 정보, 소비자 취향 등 )를 역으로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는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이를 우리는 일방적인 상품정보 전달만 하던 기존의 쇼핑몰과 차별하여 '역정보' 제공이라고 한다.
사용자는 '코디 작품 전시실'을 통하여 다른 사용자들이 제공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므로, 아래에서는 운영자의 역정보 추출 과정을 기술한다.
(1) 특정 제품의 선호도
1) 사용자가 '제품 진열장'을 검색하고 코디할 제품을 '코디 box'에 입력하면, 이 제품은 시스템내 DB 의 제품 품목 테이블 (ITEM_TBL)에 있는 해당 제품의 'POINT'에 그 횟수에 따라 1point 씩 저장된다.
2) 사용자가 최종 코디를 마치고 '코디 작품 전시실'에 등록하면, 이에 사용된 제품은 'CODY_TBL'의 'ITEM_LIST'로부터 추출되어 1) 과 같이 'ITEM_TBL'의 POINT 에 다시 1point 씩 저장된다.
3) 사용자가 주문한 제품 역시 1) 과 같이 1point 씩 저장된다.
4) 단계 1)에서 3)까지에서 저장된 point는 일정기간 누계 되고, 누계된 이 수치가 높을수록 그 제품의 소비자 선호도가 큰 것으로 해석된다.
(2) 소비자의 코디 경향
1) '코디 작품 전시실'의 방문자에게는 가장 우수한 또는 마음에 드는 코디 작품에 1회의 클릭이 허용되는데, 이 횟수는 '코디 결과 테이블'(CODY_TBL) 의 'POINT'에 1point 씩 저장, 누계 되며 화면상으로도 표시 된다.
2) 1)에서 누계된 수치가 높을수록 소비자 반응이 좋은 조합으로서, 최신 유행에 가까운 것으로 해석된다.
3) '코디 작품 전시실(CODY_TBL)'에 등록된 코디 결과중에서 특정 제품 (ITEM_ID)을 사용한 작품을 검색하여 특정 제품과 관련된 소비자의 구매 행태를 파악한다.
예) 청바지와 코디된 작품만을 검색하여 청바지를 즐겨 입는 사람들의 상의, 신발, 가방등에 대한 구매 경향등을 분석해 볼 수 있다.
사용자 측면
1) 고정된 나열식 정보에서 오는 지루함에서 벗어나, 가상 공간에서의 간접 경험을 통해 흥미롭고 유익한 인터넷 쇼핑을 유도 한다.
2) 상품 구매전에 브랜드간 또는 품목간 비교 분석이 용이할 뿐 아니라 여러 상품간의 조화를 고려할 수 있어 보다 구체적이고 합리적인 구매 계획의 수립을 가능하게 한다.
3) 상품의 동적인 구성, 조합이 자유로와 누구나가 코디네이터로서 자신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정보 가공을 통한 새로운 정보 창출로 이어 진다.
운영자 측면
1) 코디할 제품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들이 보다 세심하게 각 제품을 인지하게 되므로, 더욱 효과적인 광고를 할 수 있게 한다.
2) 소비자 구매 기호를 전달받아 새로운 제품 생산과 판매 전략을 위한 기초분석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
3) 제품 출시 전에 샘플만으로 제품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탐색할 수 있어, 제품 실패에 따른 부담을 최소화한다.
4) 상품과 상품의 연결 고리를 만듦으로써 관련 상품의 잠재적 구매 욕구를 상승시킬 수 있다.

Claims (3)

  1.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타사(他社) 제품간 또는 다른 품목간 코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가상 코디 룸'을 구축하는 절차에 있어서,
    Cookie 기술을 이용하여 개별 제품의 정보를 '가상 코디 룸'에 모으는 방법,
    DHTML의 CSS POSITIONING 기술을 이용하여 개별 제품 사진을 모델 사진위에 조합하는 방법,
    JavaScript의 mouse event 추출 기능을 이용하여 제품을 모델의 정확한 위치에 놓는 방법
    개별 제품이 놓인 위치를 CSS의 좌표값을 통하여 구하는 방법,
    CSS의 z-index값을 이용하여 겉과 속을 구별하여 코디 가능하게 하는 방법,
    제품의 연출 형태에 따른 차이를 세분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모양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하는 방법,
  2. 제품의 다양한 특성과 가상 코디한 결과를 DB 테이블에 저장하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제품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 사양(색상,가격대등)을 지정하여 제품을 검색, 나열하는 방법,
    사용자가 특정 제품을 지정하여 그 제품을 사용한 코디 작품(제품의 조합)을 검색, 나열하는 방법.
  3. 역정보(逆情報)를 추출하는 절차에 있어서,
    코디할 제품을 '가상 코디 룸'으로 모을 때 자동으로 'ITEM_TBL'의 'POINT' 에 point를 저장하는 방법,
    개별 제품을 사용하여 완성한 코디 작품을 '코디 작품 전시실'에 등록할 때 'ITEM-TBL'의 'POINT'에 point를 저장하는 방법,
    '코디 작품 전시실'의 작품에 대한 사용자 평가 점수를 'CODY_TBL'의 POINT 에 point로 저장하는 방법,
KR1020000021544A 2000-04-22 2000-04-22 가상 코디룸을 갖춘 인터넷 쇼핑몰과 이를 통한 역정보추출 방법 Ceased KR200100974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544A KR20010097449A (ko) 2000-04-22 2000-04-22 가상 코디룸을 갖춘 인터넷 쇼핑몰과 이를 통한 역정보추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544A KR20010097449A (ko) 2000-04-22 2000-04-22 가상 코디룸을 갖춘 인터넷 쇼핑몰과 이를 통한 역정보추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449A true KR20010097449A (ko) 2001-11-08

Family

ID=19666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544A Ceased KR20010097449A (ko) 2000-04-22 2000-04-22 가상 코디룸을 갖춘 인터넷 쇼핑몰과 이를 통한 역정보추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744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785A (ko) * 2000-05-08 2001-11-16 이국헌 맞춤구매가 가능한 전자상거래방법
KR20020053798A (ko) * 2002-06-17 2002-07-05 이한철 콜 코디네이션 시스템과 서비스
WO2008130067A1 (en) * 2007-04-20 2008-10-30 Jun Hur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ustomer's tast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238A (ko) * 1998-10-20 1999-05-25 한정혜 토탈 코디 시스템
US5930769A (en) * 1996-10-07 1999-07-27 Rose; Andrea System and method for fashion shopping
KR19990068557A (ko) * 1999-06-02 1999-09-06 홍건표 월드와이드웹에서의실시간영상합성방법
KR20000024568A (ko) * 2000-02-21 2000-05-06 박상경 인터넷을 이용한 남여정장 전자상거래 방법
JP2001101272A (ja) * 1999-07-26 2001-04-13 Masaru Fujibayashi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身体関連商品の購入システム
JP2001222644A (ja) * 2000-02-07 2001-08-17 Sanraizu:Kk インターネット上における三次元画像モデリングデータを用いる物品選択システム
KR20010091567A (ko) * 2000-03-16 2001-10-23 김종욱 인터넷상에서의 물품착용 구현 시스템
KR20010093913A (ko) * 2000-04-03 2001-10-31 한종훈 인터넷을 이용한 코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0769A (en) * 1996-10-07 1999-07-27 Rose; Andrea System and method for fashion shopping
KR19990037238A (ko) * 1998-10-20 1999-05-25 한정혜 토탈 코디 시스템
KR19990068557A (ko) * 1999-06-02 1999-09-06 홍건표 월드와이드웹에서의실시간영상합성방법
JP2001101272A (ja) * 1999-07-26 2001-04-13 Masaru Fujibayashi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身体関連商品の購入システム
JP2001222644A (ja) * 2000-02-07 2001-08-17 Sanraizu:Kk インターネット上における三次元画像モデリングデータを用いる物品選択システム
KR20000024568A (ko) * 2000-02-21 2000-05-06 박상경 인터넷을 이용한 남여정장 전자상거래 방법
KR20010091567A (ko) * 2000-03-16 2001-10-23 김종욱 인터넷상에서의 물품착용 구현 시스템
KR20010093913A (ko) * 2000-04-03 2001-10-31 한종훈 인터넷을 이용한 코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785A (ko) * 2000-05-08 2001-11-16 이국헌 맞춤구매가 가능한 전자상거래방법
KR20020053798A (ko) * 2002-06-17 2002-07-05 이한철 콜 코디네이션 시스템과 서비스
WO2008130067A1 (en) * 2007-04-20 2008-10-30 Jun Hur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ustomer's tas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6262B2 (ja) 服飾コーディネート支援処理サーバ、服飾コーディネート支援処理方法、服飾コーディネート支援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服飾コーディネート支援処理システム
US8768786B2 (en) Consumer representation rendering with selected merchandise
US73281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computer assisted personalization of on-line merchandise purchases
US86563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item management
US20100211900A1 (en) Virtual Marketplace Accessible To Widgetized Avatars
KR102582441B1 (ko) 가상 옷장 기반의 의류 판매 어플리케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040054752A1 (en) Fashion information server device and fash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KR20020084148A (ko) 가상현실 쇼핑시스템용 유저 인터페이스
CN108520453A (zh) 一种基于实体商业的线上全景购物方法及系统
US201201977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opping fashions
CN202615450U (zh) 橱窗互动试衣系统
EP12406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personal appearance
JP4935275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等
JPH10105829A (ja) インターネット上の電子モールシステムにおける商品情報表示方法
WO2025055537A1 (zh) 图片显示、处理、上传及生成方法、系统、电子设备
JP2001155179A (ja) 住居関連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2183542A (ja) 仮想試着システム、仮想試着方法、仮想試着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2092020A (ja) 色検索によるインターネット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
KR20010097449A (ko) 가상 코디룸을 갖춘 인터넷 쇼핑몰과 이를 통한 역정보추출 방법
JP2022118540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5099891A (ja) 販売支援システムおよび販売支援方法
JP2008052498A (ja) 販売支援システム、販売支援方法及び販売支援プログラム
JPH111813A (ja) 物品のコーディネート支援装置および物品のコーディネート画像の表示方法および物品の製造方法
JP2012194782A (ja) 着せ替えシミュレーション用サーバ、着せ替えシミュレーション用の衣服等の画像データの自動生成システム及び着せ替えシミュレーション用の衣服等の画像データの自動生成方法
KR20000030756A (ko) 사이버 코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4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7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210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07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