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0095A - 생물체 눈의 외과적 수술에 사용되는 장치 및 홍채를퇴축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생물체 눈의 외과적 수술에 사용되는 장치 및 홍채를퇴축시키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110095A KR20010110095A KR1020010024706A KR20010024706A KR20010110095A KR 20010110095 A KR20010110095 A KR 20010110095A KR 1020010024706 A KR1020010024706 A KR 1020010024706A KR 20010024706 A KR20010024706 A KR 20010024706A KR 20010110095 A KR20010110095 A KR 200101100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raction member
- surgical device
- ophthalmic surgical
- tube
- iri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10000004087 cornea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01000 nickel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10000002159 anterior chamber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2781 shape memory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2815 thermop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5570 flexible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2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2
- 210000000554 iris Anatomy 0.000 description 47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786 sclera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2177 Cataract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232 limbus cornea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41000949648 Angu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RRHGJUQNOFWUDK-UHFFFAOYSA-N Isoprene Chemical compound CC(=C)C=C RRHGJUQNOFWUD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4693 Lacer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HZEWFHLRYVTOIW-UHFFFAOYSA-N [Ti].[Ni] Chemical compound [Ti].[Ni] HZEWFHLRYVTOI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0 ciliary bod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39 di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for ex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5 polyis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85 shape-memory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45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72 trau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holding wounds open, e.g. retractors; Tractors
- A61B17/023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holding wounds open, e.g. retractors; Tractors for eye surge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or corneal implants; Artificial eyes
- A61F2/15—Implant having one or more holes, e.g. for nutrient transport, for facilitating handl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17—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implantable in, or in contact with, the eye, e.g. ocular inser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7—Material properties shape memory effec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2009/00861—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adapted for treatment at a particular location
- A61F2009/00876—Ir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물체 눈에 대한 외과 수술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눈의 전방 내부로 삽입되는 퇴축 부재를 포함한다. 퇴축 부재는 홍채를 퇴축하기 위한 갈고리형 체결부를 가지며, 체결부의 적어도 일부는 형상기억 특성을 갖는 변형 가능 재료로 만들어진다. 퇴축 부재는 체결부가 대체로 직선 형상인 상태로 전방 내부로 삽입되고, 이어서 체결부는 재료 고유의 특성에 따라 본래의 갈고리 형상을 회복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과 수술에 사용되는 외과수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명체의 눈 수술에서 홍채(iris)를 퇴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퇴축(退縮; retraction) 부재에 관한 것이다.
퇴축 부재는 홍채를 퇴축시키기 위한 대체로 갈고리형(hook-shaped) 단부를 갖는 긴 본체부 및 그 본체부가 갈고리형 단부와 함께 각막에 형성된 적합한 절개(incision)를 통해 전방(anterior chamber) 속으로 삽입될 때 퇴축 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본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백내장 수술 중에 눈의 동공을 적절히 확장하는 것이 필수적임은 잘 알려져 있다. 특히 백내장을 제거하기 위해 눈의 후방부 및 전방부에서의 수술 절차는 외과의사의 충분히 넓고 일정한 시야를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동공의 확장은 약물의 투여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약물의 사용으로는 원하는 확장을 얻기에 불충분하므로, 홍채를 퇴축하는 외과적 장치의 사용, 즉 홍채에 부착하여 동공의 개방을 확장하도록 홍채를 바깥 쪽으로 잡아당기는 하나 이상의 적절한 간격을 이룬 홍채 견인기(牽引器; retractor)의 적용이 제안된다. 홍채 견인기 각각은 각막의 절개를 통해 눈의 전방 속으로 삽입되어 눈의 외부윤곽(outer contour)에서 고정 부재에 의해 당겨진 상태로 적절히 고정된다. 수술 후, 홍채 견인기는 홍채로부터 풀리고 눈의 전방으로부터 제거된다.
유럽특허 제0 653 197호에는 눈의 전방 속으로 삽입하여 홍채를 뒤로 잡아당기기 위한 갈고리형 체결부가 한 쪽 끝에 갖추어진 본체부를 갖는 안과 수술용 홍채 견인기가 제시되어 있다. 각막에서 공막(sclera)으로 바뀌는 전환 영역에서 본체부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판형(plate-shaped) 고정 부재가 본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홍채 견인기는 각막의 절개를 통해 전방 내부로 삽입되고, 외과수술이 완료된 후 인출된다.
미국특허 제5,716,328호에는 홍채를 퇴축하기 위해 눈의 절개를 통해 삽입하는 가요성(flexible) 재질의 긴 본체부를 포함하는 홍채 견인기로서, 본체부는 공통의 길이방향 에지를 따라 서로 고정되어 있는 두 개의 평행한 축을 포함하며, 각각의 축의 적어도 한 쪽 끝에 갈고리형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제시되어 있다. 본체부의 축은 갈고리형 부재가 길이방향 에지로부터 아래 쪽으로 서로 삿갓(∧) 형상을 이루는 각도로 벌어지도록 결합됨으로써 홍채의 가능한 한 넓은 범위를 포괄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안과수술용 홍채 견인기를 눈의 전방 또는 후방부에 사용하는 것은 부주의에 기인한 외상성 열상(traumatic laceration)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홍채 견인기가 적어도 갈고리형 체결부의 전폭과 동일한 폭의 절개를 필요로 하는 한 결점을 가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결점을 해소하는 개선된 홍채 견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전방 내부로 삽입하고, 전방에서 빼내기 위해 각막 내에 종래에 비하여 훨씬 작은 절개를 필요로 하며, 눈에 대한 상해 위험, 특히 퇴축 부재를 빼내는 과정에서의 상해 위험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개선된 퇴축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 및 이하에서 명백해질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홍채를 퇴축시키기 위한 갈고리형 체결부를 가지며, 적어도 상기 퇴축 부재의 체결부가 변형 가능한 형상기억 재료로 만들어짐으로써 체결부가 대체로 직선 형상을 이룬 상태로 퇴축 부재가 전방 속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 후 체결부는 그 재료의 특성 때문에 본래의 갈고리 형상을 회복할 수 있어 홍채를 퇴축시키게 되는 퇴축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퇴축 부재는 전방으로의 삽입 또는 전방에서의 인출을 위해 각막 내 상대적으로 작은 절개만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퇴축 부재가 인출되면 절개는 스스로 밀봉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퇴축 부재의 체결부와 함께 직선 형상으로 전방 속에 삽입될 수 있는 긴 튜브에 퇴축 부재가 수용되며, 튜브와 퇴축 부재 사이의 축 방향 상대적 운동에 의해 체결부를 노출시켜 본래의 갈고리 형상을 회복할 수 있게 한다.
퇴축 부재는 형상기억을 갖는 필라멘트로서 그 전장(全長)에 걸쳐 예를 들면폴리아미드와 같은 열가소성 물질인 가요성 고분자 재료 또는 니켈-티타늄 합금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체결부는 전방 내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전방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직선 형상으로 펴질 수 있고, 전방 내에서는 높은 온도로 인해 갈고리 형상을 회복한다. 예를 들면, 퇴축 부재의 체결부는 약 18℃ 내지 22℃의 실온에서 전방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대체로 직선 형상으로 펴질 수 있고, 전방 내에서는 생물체의 체온인 약 35℃ 내지 37℃로 온도가 올라 가면 체결부 본래의 갈고리 형상을 회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필라멘트 및/또는 튜브가 광학적 경계색(optical warning color), 바람직하게는 홍채의 색조(hue)와 대조되는 색으로 착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퇴축 부재의 삽입을 위해 전방 내부로 돌출되는 튜브형 부재를 구비하여 퇴축 부재를 빼낼 때 체결부의 상방향 벤딩을 위한 지지대를 제공하는 슬리브(sleeve)를 각막 위치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튜브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고 원하는 위치에서 조여질 수 있는 고정 부재를 퇴축 부재에 제공하고, 그 고정 부재는 디스크 형상을 가지며 광학적 경계색을 나타내는 탄성고무(caoutchouc) 혼합물로 만들어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눈의 일부분을 확대한 수평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축 부재를 직선 형상인 상태로 눈의 전방에 삽입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눈의 일부분을 확대한 수평 단면도로서, 퇴축 부재가 홍채의 퇴축을 위한 갈고리형 체결부(engagement part)를 갖는 본래 형상을 회복한 후의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3은 눈의 일부분을 확대한 수평 단면도로서, 퇴축 부재가 홍채에 걸리고 각막윤부(角膜輪部; corneal limbus) 근방에서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4는 눈의 일부분을 확대한 수평 단면도로서, 체결부를 홍채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퇴축 부재를 전방 속으로 더 밀어 넣은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눈의 일부분을 확대한 수평 단면도로서, 퇴축 부재가 전방으로부터 거의 빠진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눈의 일부분을 확대한 수평 단면도로서, 퇴축 부재의 삽입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막윤부 근방에 슬리브를 사용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7은 눈의 일부분을 확대한 수평 단면도로서, 전방 내부에 퇴축 부재와 튜브의 결합장치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의 눈의 일부분을 확대한 수평 단면도로서, 퇴축 부재의 앞 쪽 선단이 홍채의 퇴축을 위한 갈고리형 체결부를 갖는 본래 형상으로 복귀하도록 퇴축 부재와 튜브의 상대적 변위를 예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7의 눈의 일부분을 확대한 수평 단면도로서, 퇴축 부재가 홍채에 걸려 있고 튜브는 고정 부재에 의해 각막윤부 근방에 고정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10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된 고정 부재를 구비한 도 1의 퇴축 부재의 확대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퇴축 부재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에서 선분 XII-XII을 따른 퇴축 부재의 단면도.
도 12a는 변형된 퇴축 부재의 단면도.
도 13은 도 6의 슬리브를 상세히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
도 14는 도 7의 퇴축 부재 및 튜브의 결합 장치의 확대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튜브 내에 수용된 두 개의 본체부를 포함하는 변형된 퇴축 부재의 확대 평면도.
도 17은 도 10의 퇴축 부재 및 도 15에 따른 퇴축 부재와 튜브의 결합 장치에 의해 홍채가 퇴축되고 있는 눈의 일부에 대한 개략 평면도.
도 18은 도 16의 퇴축 부재에 의해 홍채가 퇴축되고 있는 눈의 일부에 대한개략 평면도.
전 도면을 통해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부재들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참고번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고하면, 특히 도 1에는 참고번호 10으로 일반적으로 표기된 생물체의 눈의 앞 부분을 확대한 개략적 예시도로서, 참고부호 V로 전체를 표기한 전방(anterior chamber), 수정체(ocular)(11), 동공(12), 일반적으로 참고번호 13으로 표기되고 원형 부분(13.1, 13.2), 소대 섬유(zonule fiber)(14.1) 및 모양체(14)를 포함하는 홍채, 각막(15), 공막(16), 및 각막(15)에서 공막(16)으로의 전환부(transition)(17)(각막윤부(corneal limbus)가 포함된다. 눈의 앞 부분 및 뒷 부분에서의 외과적 수술법에 있어서, 외과의사(안과의사)를 위한 가능한 한 최대의 일정한 시야를 제공하는 것이 성공적 수술을 위한 필요조건이다. 원하는 시야를 얻기 위해 일반적으로 참고번호 20으로 표기된 퇴축 부재가 각막(15)과 공막(16) 사이의 전환부(17) 영역에 적절한 기구로 만들어진 절개(incision)(18)를 통해 화살표 X 방향으로 전방(V)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퇴축 부재(20)는 긴 가요성 본체부(body portion)(21) 및 본체부(21) 상에 장착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고 전환부(17)의 적절한 위치에 퇴축 부재(20)를 고정하도록 원하는 위치에서 조임이 가능한 고정 부재(25)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25)는 적합하게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전환부(17)에 대체로 합치되도록 아치형 시트면(seat surface)(26)(도 10)을 가진다.
퇴축 부재(20)의 대체로 가요성인 본체부(21)는 니켈-티타늄 합금과 같은 금속 또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와 같은 열가소성 재료인 적합한 고분자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한편 고정 부재(25)는 예를 들면 실리콘 탄성고무 등의 탄성고무 혼합물과 같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본체부(21)용 재료는, 도 2에서 참고번호 22로 표기되고 전방(V)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그 선단부(forward section), 바람직하게는 긴 본체부(21) 전체가 변형가능하며 변형 후에 예를 들면 전방(V) 내에 보편적인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일반적으로 35℃ 내지 37℃)에 있게 되면 본래의 형상을 회복하는 형상기억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선택된다. 퇴축 부재(20)의 선단부(22)는 본래의 형상이 갈고리형으로 되어 있어 체결부(engagement part)(23)(도 2)를 형성한다. 그러나 절개(18)를 통해 전방(V) 내부로 삽입될 때 퇴축 부재(20)의 선단부(2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퇴축 부재(20)가 직선 형상을 가지도록 위로 펴짐으로써 절개(18)가 최소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퇴축 부재(20)가 전방(V) 내부로 삽입되고 나면 선단부(22)는 예를 들면 전방(V) 내의 높은 온도로 인해 갈고리 형상을 취하는 본래의 형상을 회복하고,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부(23)를 형성하게 된다. 퇴축 부재(20)가 그 본래의 형상을 회복하여 체결부(23)를 형성하는 즉시 외과의사는 본체부(21)를 움직여 홍채(13)의 원형 부분 중의 하나(도면에서는 원형 부분(13.2))와 체결시키고 퇴축 부재(20)를 화살표 X' 방향으로 뒤로 잡아당긴다(도 3). 이로써 원형 부분(13.2)에 부착된 체결부(23)를 포함한 퇴축 부재(20)는 고정 부재(25)에 의해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도 3은 홍채(13)의 원형 부분(13.2)을 걸고 있는 퇴축 부재(20)의 최대 바깥 쪽 위치를 나타내며, 여기서 고정 부재(25)는 화살표 X 방향으로 이동되어 전환부(17)(각막윤부) 영역에서 눈(10)의 외부 윤곽을 압박하고 본체부(21)에 조여진다.
외과적 수술을 마친 후, 고정 부재(25)는 풀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 X' 방향으로 이동된다. 계속해서, 퇴축 부재(20)는 화살표 X 방향으로 전방(V) 내부로 밀려 들어감으로써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홍채(13)의 원형 부분(13.2)으로부터 체결부(23)가 분리되고 원형 부분(13.2)은 본래의 상태를 취할 수 있다. 퇴축 부재(20)를 전방(V)으로부터 빼내는 것은 퇴축 부재(20)의 긴 본체부(21)를 그 길이방향 축(Y)을 중심으로 약 90°회전하여 D 방향으로 적절히 비틂으로써 이루어지고,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퇴축 부재(20)가 X' 방향으로 인출될 때 체결부(23)가 원형 부분(13.2)에 다시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부 고유의 탄성으로 인해 체결부(23)는 퇴축 부재(20)를 화살표 X' 방향으로 빼내는 동안 점차로 위 쪽으로 펴지고 마침내 퇴축 부재(20)의 선단부(22)는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퇴축 부재(20)가 전방(V)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다시 직선형으로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직선형 퇴축 부재(20)를 전방(V)에 정밀하게 삽입하는 것을 보장하는 동시에 퇴축 부재(20)를 전방(V)으로부터 빼내는 동안 체결부(23)의 직선화를 위한 지지대를 제공하기 위해 각막(15)의 절개(18) 위치에 슬리브(30)를 설치한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특히 퇴축 부재(20)를 빼내는 동안 상기 슬리브(30)는, 이 단계에서 아직 완전히 직선화되지 못한 체결부(23)에 의해 전방(V)의 내벽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퇴축 부재(20)를 전방(V) 내부로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탐침 또는 튜브(40)의 사용을 나타낸다. 퇴축 부재(20)를 삽입하기 전에, 퇴축 부재(20)의 본체부(21)를 튜브(40) 내에 동축방향으로 넣으면 본체부(21)가 튜브(40) 속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갈고리형 체결부(23)는 필연적으로 직선을 이룬다. 퇴축 부재(20)가 튜브(40)에 수용된 상태에서 튜브(40)는 절개(18)를 통해 화살표 X 방향으로 눈의 전방(V) 내부로 삽입된다. 고정 부재(25)는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튜브(40)의 외주에 장착되어 원하는 임의의 위치에서 조여질 수 있다.
직선형 퇴축 부재(20)가 들어있는 튜브(40)가 전방(V) 내부에 삽입되면, 튜브(40)를 화살표 X' 방향으로 퇴축 부재(20)와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점선으로 나타낸 선단부(22)를 노출시키고, 선단부는 그 재료의 특성 또는 시간의 경과 등으로 인해, 또는 전방(V) 내의 높은 온도로 인해 본래의 형상을 회복하여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갈고리형 체결부(23)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퇴축 부재(20) 및 튜브(40)는 화살표 X' 방향으로 뒤로 당겨져 체결부(23)가 홍채(13)의 원형 부분(13.1, 13.2) 중의 하나(여기서는 원형 부분(13.2))에 걸린다. 고정 부재(25)는 튜브(40)를 고정시키고 따라서 원형 부분(13.2)은 고정 부재(25)를 화살표 X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퇴축 부재(20)를 통해 임의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도 9는 고정 부재(25)가 튜브(4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눈의 외부 윤곽을 압박한 상태로 외과 수술용 퇴축 부재(20)가 들어있는 튜브(40)의 최외곽 위치를 나타낸다. 이 위치에서, 즉 홍채(13)가 퇴축되면 본체부(21)는 예를 들면 튜브(4) 내벽의 마찰, 또는 필요할 경우, 이 분야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른 수단에 의해 홍채(13)의 원형 부분(13.2)이 퇴축 부재(20)를 전방(V) 내부로 되돌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퇴축 부재(20)를 튜브(40)의 마주 보는 단부에 기대어 고정시키기 위한 본체부(21)의 체결부 말단 근방에 있는 고정 부재 즉 스토퍼 부재(45)와 같은 다른 고정 부재를 제공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외과 수술이 끝나면,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실시예의 고정 부재(25)를 먼저 화살표 X' 방향으로 빼내고, 이어서 튜브(40)를 퇴축 부재(20)와 함께 화살표 X 방향을 따라 전방(V) 내부로 밀어 넣는다. 갈고리형 체결부(23)가 원형 부분(13.2)으로부터 분리되는 즉시 가이드 본체(21)는 체결부(23)와 함께 튜브(40) 내측 방향으로 당겨짐으로써 체결부(23)가 위 쪽으로 휘면서 퇴축 부재(20)를 직선형으로 만든다. 다음에, 튜브(40) 및 퇴축 부재(20)는 화살표 X' 방향의 운동을 통해 전방(V)으로부터 인출된다. 튜브(40)가 퇴축 부재(20)와 함께 전방(V)으로부터 제거되므로, 홍채 각막각(angulus irido-cornealis) 영역에서 갈고리형 체결부(23)를 직선으로 만들 필요가 없다.
퇴축 부재(20)가 형상기억 재료로 만들어지므로, 퇴축 부재(20)의 삽입을 위한 각막(15)의 절개(18)는 폭이 0.2mm 내지 0.4mm에 불과한 외과용 메스(scalpel)나 나이프 등의 적절한 외과용 기구를 사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이렇게 비교적 작은 절개(18)는 퇴축 부재(20)가 제거된 후 부가적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스스로 밀봉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튜브(40)를 사용할 경우에도 퇴축 부재(20)의 직경이 0.15mm이고 적절히 얇은 벽을 갖는 튜브의 외경이 약 0.25mm 내지 0.35mm임을 감안할 때 이것은 사실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퇴축 부재(20) 및 긴 가요성 본체부(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 부재(25)의 확대 측면도가 예시된다. 선단부(22)는 본래 형상에 있어서 머리핀 방식으로 한 번 구부러져 갈고리형 체결부(23)를 형성함으로써 본체부(21)와 일정한 간격(24)을 갖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섕크(shank)(22')가 형성된다. 본체부(21)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고정 부재(25)는, 예를 들면 원형 디스크와 같이(도 11 참조) 본체부(21)가 관통하는 두 개의 소정 간격의 구멍(27)을 갖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구멍(27)은 가요성 고정 부재(25)가 본체부(21)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서로 대향하여 배열되고, 함께 조여지면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며, 고정 부재(25)를 풀어줌으로써 고정 부재(25)에 의해 형성된 아치형 시트면(26)이 각막윤부 영역에서 눈의 외부 윤곽 상에 놓이게 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21)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고, 또는 도 12a와 같이 타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퇴축 부재(20)의 가요성 본체부(21)는 필라멘트 또는 섬유(thread) 형태로 설계되며, 따라서 적어도 갈고리형 체결부(23)는 형상기억 특성을 갖는 변형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물론, 퇴축 부재(20) 전체를 형상기억 특성의 변형 가능한 재료로 만들 수도 있다. 본체부(21)로서 적합한 재료의 예에는 니켈-티타늄 합금과 같은 형상기억 합금 및 폴리아미드 등의 열가소성 재료와 같은 소위 "초고탄성(super-elasticity)" 또는 고분자 재료가 포함된다.
퇴축 부재(20)를 눈(10)의 전방(V) 내부로 삽입하기 전에, 전방(V) 내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 예를 들면 18℃ 내지 22℃, 그 중에도 예를 들면 20℃의 온도에서 체결부(23)의 섕크(22')는 도 10의 화살표 R 방향으로 펴져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21)를 직선으로 만든다. 직선인 상태에서 퇴축 부재(20)는 절개(18)를 통해 눈(10)의 전방(V) 속으로 삽입된다. 계속해서 특별한 재료의 물성 및 약 35℃ 내지 37℃인 눈(10)의 전방(V) 내 높은 온도로 인해 퇴축 부재(20)의 선단부(22)는 자동적으로 본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간다. 즉, 본체부(21)로부터 평행한 상태로 간격(24)을 이룬 섕크(22')를 구비한 갈고리형 체결부(23)를 형성한다.
도 13을 참고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개(18) 내에 배치되는 슬리브(30)의 상세한 단면도가 예시된다. 슬리브(30)는 관통공(32)을 갖는 튜브형 부재(31) 및 상기 관통공(32)과 경사를 이루며 연장되어 각막(15) 상에 슬리브(30)가 밀착되도록 해주는 플랜지(33)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단부를 포함한다(도 6 참조).
도 14는 퇴축 부재(20)를 수용하기 위한 긴 튜브(40)의 상세도로서, 고정 부재(25)가 화살표 X 및 X'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튜브(40) 상 임의의 원하는 위치에 조여질 수 있다. 퇴축 부재(20) 및 고정 부재(25)는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여 앞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구성된다. 퇴축 부재(20)의 본체부(21)는 도 7에 묘사된 바와 같이 절개(18)를 통하여 눈(10)의 전방(V) 속으로 아무 문제 없이 튜브(40)가 삽입되도록 그 선단부(22)가 직선인 상태로 튜브(40)에 수용된다. 튜브(40)에 대하여 화살표 X 방향으로 퇴축 부재(20)를 밀어 넣거나, 퇴축 부재(20)에 대하여 화살표 X' 방향으로 튜브를 당김으로써 이루어지는 퇴축 부재(20)와 튜브(40) 사이의 상대적 운동에 의해 상기 선단부(22)가 노출되며, 이것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상기억 특성으로 인해 화살표 R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본래의 갈고리 형상을 회복하여 체결부(23)를 형성한다. 이 위치에서 섕크는 간격(24)을 두고 본체부(21)에 거의 평행한 상태로 연장된다. 해당기술에 숙련된 자는 본체부(21)의 체결부 말단에 퇴축 부재(20)와 튜브(40) 사이의 상대적 운동을 보다 잘 다루기 위한 손잡이(grip)를 구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변형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튜브(40)에는 필라멘트의 형태로서 동연(同延)의 평행 배치인 두 개의 인접한 본체부(21)를 구비하는 변형된 퇴축 부재(20')가 수납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퇴축 부재(20')를 본체부(21)와 함께 튜브(40)에 상대적으로 화살표 X 방향으로 밀거나, 화살표 X' 방향으로 퇴축 부재(20')에 상대적으로 튜브(40)를 당겨서 각 본체부(21)의 선단부(22)를 노출시킨다. 형상기억으로 인해 점선으로 나타낸 직선형 선단부(22)가 갈고리 형상으로 구부러져 체결부(23)를 형성하며, 이 때 섕크(22')는 본체부(21)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서로 예각으로 배열되어 아래 쪽으로 벌어지는 대략 ∧ 형상을 나타낸다. 튜브(40)를 눈(10)의 전방(V) 속으로 삽입하기 전에, 두 개의 본체부(21)를 가진 퇴축 부재(20')를 튜브(40) 속으로 잡아당겨 직선 형상을 가지게 한다.
도 17을 참고하면, 눈(10)의 일부에 대한 개략 평면도로서, 여기서 홍채(13)는 도 10에 따른 퇴축 부재(20)에 의해 퇴축되고 있으며, 퇴축 부재(20)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고정 부재(25)는 퇴축 부재(2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도록전환부(17)에서 눈(10)의 외부 윤곽을 압박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퇴축 부재(20)와 일정한 거리를 둔 위치에 다른 위치에서 홍채(13)의 퇴축을 위한 노출된 체결부(23)를 갖는 퇴축 부재(20)가 수용되어 있는 튜브(40)가 있고. 튜브(40)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부재(25)가 전환부(17)에서 눈(10)의 외부 윤곽을 압박하여 튜브(4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킨다. 퇴축 부재(20)의 본체부(21)는 예를 들면 튜브(40) 내벽 표면과의 마찰을 통해 또는 고정 기구(45)에 의해 소정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홍채(13)에 의해 전방(V) 내부로 퇴축 부재(20)가 끌어당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8에서, 두 개의 본체부(21)를 구비한 도 16의 퇴축 부재(20')가 홍채(13)의 퇴축에 사용되고 고정 부재(25)가 장착된 튜브(40) 내에 수용된다. 퇴축 부재(20')는 튜브(40)로부터 밀려 나와 체결부(23)를 통해 홍채(13)에 부착된다. 고정 부재(25)는 전환부(17)에서 눈(10)의 외부 윤곽을 압박하여 튜브(4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킨다. 퇴축 부재(20')의 본체부(21)는 튜브(40) 내벽 표면과의 마찰을 통해 또는 고정 기구(45)에 의해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퇴축 부재(20, 20')의 본체부(21)는 가요성 필라멘트 또는 섬유의 형태로 만들어지고 약 0.12mm 내지 0.20mm의 직경을 갖는다. 본체부(21)는 적어도 갈고리형 체결부(23)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 내지 본체부(21) 전장(全長)의 1/2, 바람직하게는 본체부(21)의 전장에 걸쳐, 본체부에 인접한 홍채(13)의 색조와 명확히 대조되는 색조를 갖는 형상기억 재료, 바람직하게는 광학적 경계색을 나타내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적합하다. 본체부(21)는 원형 단면 또는 타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고, 홍채(13)의 색조와 대조되는 균질한 색으로 채색되는 것이 유리하다. 해당분야에 숙련된 자는 본체부(21) 및/또는 튜브(40) 중에 적어도 외과 수술 시 홍채(13)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도 홍채(13)의 색조와 대조되는 색조를 가져야 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물론 퇴축 부재(20, 20')에 부가하여 튜브(40)를 홍채(13)의 색조와 대조되는 균질한 색조로 채색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25) 및 고정 기구(45)를 눈에 띄고 시각적으로 뚜렷한 색을 나타내는 실리콘 탄성고무와 같은 탄성고무 혼합물로 적절히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생물체의 눈에 대한 외과 수술에 사용되는 장치 및 홍채를 퇴축하는 방법을 실시형태로 예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임의의 방식으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여러 가지 변형 및 구조적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시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홍채 퇴축 부재는 눈의 전방 속으로 삽입하고 전방에서 빼내기 위해 각막 내에 상대적으로 훨씬 작은 절개를 필요로 하며, 눈에 대한 상해 위험, 특히 퇴축 부재를 빼내는 과정에서의 상해 위험이 실질적으로 감소된다.
Claims (37)
- 생물체의 눈에 대한 외과적 수술에 사용되는 장치로서,눈의 전방(anterior chamber) 내부로 삽입시키기 위한 퇴축(退縮; retraction)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퇴축 부재는 홍채를 퇴축하기 위한 갈고리형(hook-shaped) 체결부(engagement part)를 가지며,상기 퇴축 부재의 적어도 상기 체결부는 형상기억 특성을 갖는 변형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짐으로써 상기 퇴축 부재는 체결부가 대체로 직선 형상인 상태로 전방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계속해서 체결부는 재료의 특성으로 인해 홍채의 퇴축을 행할 수 있도록 본래의 갈고리 형상을 회복할 수 있는안과 수술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전방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긴 튜브를 추가로 포함하며,상기 퇴축 부재는 상기 체결부가 직선 형상을 가지도록 수용되며, 상기 튜브와 상기 퇴축 부재 사이의 축방향에서의 상대 운동에 의해 상기 체결부가 노출됨으로써 체결부가 갈고리 형상을 회복할 수 있게 되는 안과 수술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긴 튜브를 추가로 포함하며,상기 퇴축 부재는 적어도 두 개의 체결부를 가지고, 체결부가 직선 형상을 가지도록 수용되며, 상기 튜브와 상기 퇴축 부재 사이의 축방향에서의 상대 운동에 의해 상기 체결부가 노출됨으로써 체결부들이 갈고리 형상을 회복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상기 체결부들이 ∧ 형상을 나타내도록 서로 소정의 각도로 벌어지는 안과 수술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퇴축 부재의 적어도 체결부가 열적 형상기억 특성을 갖는 가요성(flexible) 고분자 재료로 만들어지는 안과 수술용 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퇴축 부재의 체결부가 고유의 탄성 및 열적 형상기억 특성으로 인해 갈고리 형상을 회복할 수 있는 안과 수술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퇴축 부재가 전장(全長)에 걸쳐 열적 형상기억 특징을 갖는 가요성 고분자 재료로 만들어지는 가요성 필라멘트인 안과 수술용 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가요성 필라멘트가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안과 수술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퇴축 부재의 적어도 체결부가 열적 형상기억 특성을 갖는 가요성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안과 수술용 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이 니켈-티타늄 합금인 안과 수술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퇴축 부재가 전장에 걸쳐 열적 형상기억 특성을 갖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가요성 필라멘트인 안과 수술용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이 니켈-티타늄 합금인 안과 수술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퇴축 부재의 체결부는 전방 내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전방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직선 형상으로 펴질 수 있고, 전방 내에서는 높은 온도로 인해 갈고리 형상을 회복하는 안과 수술용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체결부는 약 18℃ 내지 22℃의 실온에서 전방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직선 형상으로 펴질 수 있고, 전방 내에서는 생물체의 체온인 약 35℃ 내지 37℃로 온도가 올라 가면 체결부 본래의 갈고리 형상을 회복하는 안과 수술용 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퇴축 부재가 전장에 걸쳐 고유의 탄성에 따른 기계적 형상기억 특성을 갖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가요성 필라멘트인 안과 수술용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이 니켈-티타늄 합금인 안과 수술용 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퇴축 부재가 전장에 걸쳐 고유의 탄성에 따른 기계적 형상기억 특성을 갖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가요성 필라멘트인 안과 수술용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이 니켈-티타늄 합금인 안과 수술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퇴축 부재가 체결부로부터 적어도 홍채 위에 위치하게 되어 있는 영역에서 광학적 경계색(optical warning color)으로 채색된 가요성 필라멘트인 안과 수술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퇴축 부재가 전장에 걸쳐 광학적 경계색으로 채색된 가요성 필라멘트인 안과 수술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퇴축 부재가 홍채의 색조와 대조되는 균질한 색조로 채색된 가요성 필라멘트인 안과 수술용 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튜브 및 상기 퇴축 부재가 각각 전방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선단부(forward section)를 가지며, 상기 튜브 및 상기 퇴축 부재의 적어도 상기 선단부는 경계색으로 채색되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안과 수술용 장치.
- 제21항에 있어서,상기 재료가 홍채의 색조와 대조되는 균질한 색조를 갖는 안과 수술용 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튜브 및 퇴축 부재가 전장에 걸쳐 광학적 경계색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안과 수술용 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튜브 및 상기 퇴축 부재가 각각 전방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선단부를 가지며, 상기 튜브 및 상기 퇴축 부재의 적어도 상기 선단부는 경계색으로 채색되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안과 수술용 장치.
- 제24항에 있어서,상기 재료가 홍채의 색조와 대조되는 균질한 색조를 갖는 안과 수술용 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튜브 및 퇴축 부재가 전장에 걸쳐 광학적 경계색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안과 수술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체결부가 홍채에 걸리면 상기 퇴축 부재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및 조임이 가능한 고정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상기 고정 부재는 디스크 형상을 가지며 광학적 경계색을 나타내는 탄성고무혼합물로 만들어지는안과 수술용 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체결부가 홍채를 걸었을 때 상기 퇴축 부재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튜브 상에 슬라이딩 및 조임이 가능한 1차 고정 부재, 및 퇴축 부재 상에 슬라이딩 및 조임이 가능한 2차 고정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과 수술용 장치.
- 제28항에 있어서,상기 1차 및 2차 고정 부재가 광학적 경계색을 나타내는 탄성고무 혼합물로 만들어지는 안과 수술용 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체결부가 홍채를 걸었을 때 상기 퇴축 부재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튜브 상에 슬라이딩 및 조임이 가능한 1차 고정 부재, 및 퇴축 부재 상에 슬라이딩 및 조임이 가능한 2차 고정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과 수술용 장치.
- 제30항에 있어서,상기 1차 및 2차 고정 부재가 광학적 경계색을 나타내는 탄성고무 혼합물로 만들어지는 안과 수술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퇴축 부재를 삽입하기 위해 각막에 위치하게 되어 있고, 전방 내부로 돌출되는 튜브형 부재를 구비하여 퇴축 부재를 빼낼 때 체결부의 상방향 벤딩을 위한 지지대(abutment)를 제공하는 슬리브(sleeve)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과 수술용 장치.
- 외과적 수술을 위해 생물체의 눈의 홍채를 퇴축하는 방법에 있어서,대체로 직선 형상을 갖는 형상기억 재료로 만들어지는 퇴축 부재를 각막 내의 절개를 통해 전방 내부로 삽입하고 퇴축 부재의 선단부가 본래의 갈고리형 단부 형상을 회복하도록 하여 체결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체결부를 홍채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외과적 수술을 위해 생물체의 눈의 홍채를 퇴축하는 방법에 있어서,형상기억 재료로 만들어진 퇴축 부재를 그것의 갈고리형 단부가 곧게 펴져서 직선 형상의 선단부가 되도록 튜브 내에 넣는 단계;상기 퇴축 부재를 수용한 상기 튜브를 각막 내의 절개를 통해 눈의 전방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상기 퇴축 부재와 상기 튜브를 상대적으로 운동시켜 선단부를 튜브 밖으로돌출시킴으로써 상기 퇴축 부재의 선단부가 그것 본래의 갈고리형 단부 형상을 회복하도록 하는 단계; 및상기 퇴축 부재의 갈고리형 단부를 홍채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34항에 있어서,상기 선단부가 갈고리형 단부 형상을 회복하는 현상이 재료 고유의 탄성(elasticity)에 기인하는 방법.
- 제34항에 있어서,상기 선단부가 갈고리형 단부 형상을 회복하는 현상이 주변의 실온에 비해 높은 온도에 노출됨으로써 이루어지는 방법.
- 제36항에 있어서,상기 선단부가 갈고리 단부 형상을 회복하는 현상이 약 35℃ 내지 37℃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US09/583,517 | 2000-05-31 | ||
| US09/583,517 US6561974B1 (en) | 2000-05-31 | 2000-05-31 | Device for use in a surgical procedure on an eye of a living being, and method of retracting the iri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10110095A true KR20010110095A (ko) | 2001-12-12 |
Family
ID=2433341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10024706A Withdrawn KR20010110095A (ko) | 2000-05-31 | 2001-05-07 | 생물체 눈의 외과적 수술에 사용되는 장치 및 홍채를퇴축시키는 방법 |
Country Status (5)
| Country | Link |
|---|---|
| US (1) | US6561974B1 (ko) |
| EP (1) | EP1161925A1 (ko) |
| JP (1) | JP2002095691A (ko) |
| KR (1) | KR20010110095A (ko) |
| TW (1) | TW49398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1999042036A1 (en) * | 1998-02-20 | 1999-08-26 | General Surgical Innovations, Inc. | Bendable, reusable medical instruments with improved fatigue life |
| US7867186B2 (en) | 2002-04-08 | 2011-01-11 | Glaukos Corporation |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ocular disorders |
| US6638239B1 (en) * | 2000-04-14 | 2003-10-28 | Glaukos Corporatio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glaucoma |
| WO2002080811A2 (en) | 2001-04-07 | 2002-10-17 | Glaukos Corporation | Glaucoma stent and methods thereof for glaucoma treatment |
| US7331984B2 (en) | 2001-08-28 | 2008-02-19 | Glaukos Corporation | Glaucoma stent for treating glaucoma and methods of use |
| US9301875B2 (en) * | 2002-04-08 | 2016-04-05 | Glaukos Corporation | Ocular disorder treatment implants with multiple opening |
| US20040225250A1 (en) | 2003-05-05 | 2004-11-11 | Michael Yablonski | Internal shunt and method for treating glaucoma |
| JP4370371B2 (ja) | 2003-05-15 | 2009-11-25 | 学校法人昭和大学 | 水晶体嚢保持器具 |
| US7291125B2 (en) | 2003-11-14 | 2007-11-06 | Transcend Medical, Inc. | Ocular pressure regulation |
| EP3632385B1 (en) * | 2006-01-17 | 2024-08-07 | Alcon Inc. | Glaucoma treatment device |
| US7766937B2 (en) * | 2006-03-13 | 2010-08-03 | Mini-Lap Technologies, Inc. | Minimally invasive surgical assembly and methods |
| WO2008061043A2 (en) | 2006-11-10 | 2008-05-22 | Glaukos Corporation | Uveoscleral shunt and methods for implanting same |
| US20080188860A1 (en) * | 2007-02-07 | 2008-08-07 | Vold Steven D | Ophthalmic surgical apparatus |
| WO2010011936A1 (en) * | 2008-07-25 | 2010-01-28 | William Beaumont Hospital | Opthalmic lens capsule support |
| ES2920877T3 (es) | 2009-01-28 | 2022-08-11 | Alcon Inc | Sistema de colocación de implantes oculares |
| AU2010313159B2 (en) * | 2009-11-02 | 2016-01-21 | Apx Ophthalmology Ltd. | Iris retractor |
| US9610072B2 (en) * | 2009-11-02 | 2017-04-04 | Apx Opthalmology Ltd. | Iris retractor |
| US9326757B2 (en) * | 2009-12-31 | 2016-05-03 | 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 Surgical instruments for laparoscopic aspiration and retraction |
| WO2011119621A2 (en) * | 2010-03-22 | 2011-09-29 | Microsurgical Technology, Inc. | Ocular lens capsule retainer |
| WO2012048348A1 (en) * | 2010-10-08 | 2012-04-12 | Prywes Arnold S |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ocular surgery |
| WO2012113450A1 (de) | 2011-02-23 | 2012-08-30 | Grieshaber Ophthalmic Research Foundaton | Implantat zur behandlung von glaukom |
| US8747299B2 (en) | 2011-06-02 | 2014-06-10 | Grieshaber Ophtalmic Research Foundation | Method and device for the pathology analysis of the Schlemm's canal |
| US9011325B2 (en) * | 2011-11-30 | 2015-04-21 | Abeon Medical Corporation | Tissue retractor stay |
| CA2868341C (en) | 2012-03-26 | 2021-01-12 | Glaukos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multiple ocular implants |
| US8852091B2 (en) * | 2012-04-04 | 2014-10-07 | Alcon Research, Ltd.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upil expansion |
| US10085633B2 (en) | 2012-04-19 | 2018-10-02 | Novartis Ag | Direct visualization system for glaucoma treatment |
| US9241832B2 (en) | 2012-04-24 | 2016-01-26 | Transcend Medical, Inc. | Delivery system for ocular implant |
| WO2014043698A2 (en) | 2012-09-17 | 2014-03-20 | Transcend Medical, Inc. | Expanding ocular implant devices and methods |
| WO2014078288A1 (en) | 2012-11-14 | 2014-05-22 | Transcend Medical, Inc. | Flow promoting ocular implant |
| US8900136B2 (en) | 2013-03-15 | 2014-12-02 | Beaver-Visitec International (Us), Inc. | Iris expander |
| US9592151B2 (en) | 2013-03-15 | 2017-03-14 | Glaukos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n ocular implant to the suprachoroidal space within an eye |
| US9987163B2 (en) | 2013-04-16 | 2018-06-05 | Novartis Ag | Device for dispensing intraocular substances |
| CN204050005U (zh) * | 2014-09-09 | 2014-12-31 | 赵潺 | 一次性负压前房穿刺针 |
| US20170007228A1 (en) * | 2015-07-07 | 2017-01-12 | Alphatec Spine, Inc. | Retractor and retractor blade |
| US11116625B2 (en) | 2017-09-28 | 2021-09-14 | Glaukos Corporatio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cement of intraocular implants |
| USD846738S1 (en) | 2017-10-27 | 2019-04-23 | Glaukos Corporation | Implant delivery apparatus |
| US10639195B1 (en) * | 2019-08-19 | 2020-05-05 | Richard Mackool | Capsular retractors |
Family Cites Families (1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959067A (en) * | 1983-11-21 | 1990-09-25 | Joseph J. Berke | Manual surgical separator structure and method |
| FR2641692A1 (fr) | 1989-01-17 | 1990-07-20 | Nippon Zeon Co | Bouchon de fermeture d'une breche pour application medicale et dispositif pour bouchon de fermeture l'utilisant |
| US4955889A (en) * | 1989-02-06 | 1990-09-11 | Allergan, Inc. | Apparatus for inserting a lens into an eye and method for using same |
| US4991567A (en) * | 1990-01-16 | 1991-02-12 | Mccuen Ii Brooks W | Micro-iris retractor |
| US5174279A (en) * | 1991-03-06 | 1992-12-29 | Duke University Medical Center | Iris retractor for use in operations on the eye of a living creature |
| DE4301418A1 (de) | 1993-01-20 | 1995-03-02 | Adatomed Pharma & Med |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durch Defekte geschädigtem Hautgewebe am Auge, insbesondere Irisgewebe |
| US5450842A (en) * | 1993-02-19 | 1995-09-19 |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 Endoscopic surgical retractor |
| US5370109A (en) * | 1993-02-19 | 1994-12-06 |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 Deformable endoscopic surgical retractor |
| DE59309633D1 (de) | 1993-11-15 | 1999-07-08 | Univ Duke | Operationshaken zur Verwendung beim Eingriff am Auge eines Lebewesens |
| US5514076A (en) * | 1994-01-27 | 1996-05-07 | Flexmedics Corporation | Surgical retractor |
| US5556417A (en) | 1994-03-23 | 1996-09-17 | Eyefix, Inc. | Luminescent eye fixation device |
| US5871496A (en) | 1996-03-20 | 1999-02-16 | Cardiothoracic Systems, Inc. | Surgical instrument for facilitating the detachment of an artery and the like |
| US5716328A (en) | 1996-08-07 | 1998-02-10 | Grieshaber & Co. Ag Schaffhausen | Iris retractor for use in surgical procedure on the eye of a living being |
| US5807244A (en) * | 1996-11-15 | 1998-09-15 | Barot; Jagdish Shantilal | Single use disposable iris retractor |
| WO1999037215A1 (en) * | 1998-01-22 | 1999-07-29 | Johns Hopkins University | Shape memory and superelastic iris retractors |
-
2000
- 2000-05-31 US US09/583,517 patent/US656197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
- 2001-04-18 TW TW090109291A patent/TW493983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05-04 EP EP01810442A patent/EP1161925A1/de not_active Withdrawn
- 2001-05-07 KR KR1020010024706A patent/KR20010110095A/ko not_active Withdrawn
- 2001-05-29 JP JP2001161238A patent/JP2002095691A/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TW493983B (en) | 2002-07-11 |
| EP1161925A1 (de) | 2001-12-12 |
| US6561974B1 (en) | 2003-05-13 |
| JP2002095691A (ja) | 2002-04-0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010110095A (ko) | 생물체 눈의 외과적 수술에 사용되는 장치 및 홍채를퇴축시키는 방법 | |
| AU2013243968B2 (en)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upil expansion | |
| US5807244A (en) | Single use disposable iris retractor | |
| US6267768B1 (en) | Lens protector for intraocular lens inserter | |
| JP4370371B2 (ja) | 水晶体嚢保持器具 | |
| US5123905A (en) | Intraocular lens injector | |
| US4991567A (en) | Micro-iris retractor | |
| US4349027A (en) | Needle guide for implanting intra-ocular lens | |
| US8439833B2 (en) | Ophthalmic structure | |
| US5716328A (en) | Iris retractor for use in surgical procedure on the eye of a living being | |
| US9510814B1 (en) | Surgical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 |
| CN100360096C (zh) | 人工晶状体 | |
| KR20010089259A (ko) | 생체 안구의 외과적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홍채 견인기 | |
| US6183480B1 (en) | Intraocular device for stabilizing of a lens capsule | |
| EP4173604A1 (en) | Pupil expansion device | |
| JP2003504094A (ja) | 眼内レンズ挿入器用レンズ保護器 | |
| JPH09505753A (ja) | 瞳孔拡張器、及びその使用方法 | |
| KR100276554B1 (ko) | 생물체의눈수술용수술후크 | |
| JP2007021147A (ja) | 水晶体嚢赤道部保持器具 | |
| GB2630344A (en) | Pupil expander | |
| WO2003011193A1 (en) | Intraocular lens implanting instrument | |
| WO2002038094A1 (en) | Intraocular device for stabilization of a lens | |
| AU5682094A (en) | Pupil expand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07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