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43809Y1 - 화물고정용 벨트세트 - Google Patents

화물고정용 벨트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809Y1
KR200143809Y1 KR2019960061923U KR19960061923U KR200143809Y1 KR 200143809 Y1 KR200143809 Y1 KR 200143809Y1 KR 2019960061923 U KR2019960061923 U KR 2019960061923U KR 19960061923 U KR19960061923 U KR 19960061923U KR 200143809 Y1 KR200143809 Y1 KR 2001438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ed
belt
piece
cargo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1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8758U (ko
Inventor
전재옥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61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809Y1/ko
Publication of KR199800487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87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8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80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23Straps; Tigh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07Attachment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렁크룸에 설치되는 화물 고정용 벨트세트에 있어서, 화물 크기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부(1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벨트(10); 돌출부(21) 및 상기 돌출부(21)로부터 굴곡연장 형성되며 상기 벨트(10)의 고정부(12)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단부(22)가 일체로 형성된 제 1고정고리(20); 고정부(31),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절곡 형성되며 상기 벨트(10)의 고정부(12)에 고정되는 고정단(32)이 일체로 형성된 제 2고정고리(30); 상기 제 1고정고리(20)의 돌출부(21)가 해재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편(41) 및 상기 고정편(41)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트렁크룸(TR)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42)으로 구성된 제 1체결편(40); 및 상기 제 2고정고리(30)의 고정편(31)이 고정되는 고정편(51), 및 상기 고정편(51)이 일체로 고정되며 트렁크룸(TR)에 고정되는 브래킷(52)으로 구성되는 제 2체결편(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트렁크룸에 적재되는 화물의 크기에 따라 벨트를 조절하여 화물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설치가 용이하고 트렁크룸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고정용 벨트세트
본 고안은 화물고정용 벨트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트렁크룸에 적재되는 화믈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버클과 고정고리의 결합이 용이할뿐 아니라 상호 견고하게 체결되며, 또한 화물의 크기에 따라 적정길이로 화물을 고정시킬 수 있는 화물고정용 벨트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트렁크룸이 제공되어 있어 화물을 적재 또는 보관한다. 또한 트렁크룸에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 화물의 밀림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화물고정용 벨트가 이용되는바, 이같은 일반적인 화물고정용 벨트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다르면, 자동차의 트렁크룸(TR)의 바닥면의 양측에는 고리(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같은 고정고리(1)에는 벨트(2)의 양단부에 형성된 체결고리(3)가 고정된다. 물론 이같은 벨트(2)는 화물에 접하여 화물을 직접 보지한다. 또한 이같은 벨트(1)는 탄성재 또는 비탄성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같은 일반적인 화물 고정용 벨트는 그 길이가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어 적정크기 이외의 화물을 고정시키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고정고리(1)가 항상 트렁크 표면상으로 돌출되어 있어 화물에 간섭되거나 그 화물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따라 최근에는 고정고리(1)를 과도하게 돌출시키지 않고 트렁크룸 표면에 홈을 형성하여 고정고리(1)를 반은폐식으로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경우에는 트렁크 표면에 형성된 홈에 이물질이 끼어 실내를 오염시킬뿐 아니라 이같은 홈을 형성하는데 따른 부가공정이 필요하며 고정고리의 장착 또한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트렁크내에 적재되는 화물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화물에 손상을 입히지 않는 화물 고정용 벨트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물의 크기에 따라 적정하게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화물고정용 벨트 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트렁크룸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벨트의 고정이 용이한 화물고정용 벨트 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같은 목적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달성되는바,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르면, 트렁크룸에 설치되는 화물 고정용 벨트세트에 있어서, 화물 크기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벨트;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로부터 굴곡연장 형성되며 상기 벨트의 고정부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단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 1고정고리;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절곡 형성되며 상기 벨트의 고정부에 고정되는 고정단이 일체로 형성된 제 2고정고리; 상기 제 1고정고리의 돌출부가 해재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트렁크룸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으로 구성된 제 1체결편; 및 상기 제 2고정고리의 고정편이 고정되는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이 일체로 고정되며 트렁크룸에 고정되는 브래킷으로 구성되는 제 2체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면에 따르면, 상기 벨트는 탄성밴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밴드의 고정부의 고정구멍에는 금속 보강편이 삽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면에 따르면, 상기 제 2체결편의 고정편에는 상기 제 2고정고리의 고정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화물 고정용 벨트 및 고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고정용 벨트 및 고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고정용 고리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고정용 세트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벨트12: 고정부
20: 제 1고정고리21: 돌출부
30: 제 2고정고리31: 고정부
40: 제 1체결편41: 고정편
50: 제 2체결편51: 고정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중 도 2에는 본 고안에 다른 화물고정용 벨트세트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고정용 제 1고정고리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고정용 벨트세트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도 3 및 도 4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화물고정용 벨트 세트는 벨트(10), 제 1고정고리(20), 제 2고정고리(30), 제 1체결편(40) 및 제 2체결편(5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벨트(10)는 양측에 고정구멍(12a)이 각각 천공된 다수의 고정부(12)가 형성된 본체(11)를 포함하는바, 상기 본체(11)는 탄성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12)의 개수는 임의로 직절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간격으로 또는 불규칙 간격으로 전체길이를 따라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각각의 고정부(12)의 고정구멍(12a)에는 자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편(12b)과 같은 보강재가 삽설될 수 있다.
제 1고정고리(20)는 상기 벨트(10)의 각각의 고정부(12)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고정고리(20)는 상세히 후술되는 제 1체결편에 고정되는 돌출부(21)와 상기 돌출부(21)로부터 양측으로 굴곡 연장되어 형성되는 단부(22)가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단부(22)는 상기 벨트(10)의 고정부(12)에 형성된 고저구멍(12a)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특히 본 고안의 특성에 따르면, 상기 상기 제 1고정고리(20)의 각각의 단부(22)를 평면상에 배치시킨상태에서 볼 때 돌출부(21)가 상방으로 높이(h)만큼 상승되어 형성된다.
제 2고정고리(30)는 상세히 후술되는 제 2체결편(50)에 고정되는 고정부(31)와 그로부터 연장 형성된 양측 고정단(32)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고정단(32)은 벨트(10)의 각각의 고정부(12)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양측단부에 형성되는 고정부(12)의 고정구멍(12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체결편(40)은 상기 제 1고정고리(20)의 돌출부(21)가 고정되는 고정편(41), 및 트렁크룸(TR)의 바닥면에 예컨대 볼트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고정고리(41)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브래킷(42)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고리(41)는 정상상태, 즉, 트렁크룸에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눕혀져 트렁크룸 바닥과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제 2체결편(50)은 상기 제 2고정고리(30)의 고정부(31)가 고정되는 고정편(51), 및 트렁크의 측벽 또는 바닥면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편(51)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브래킷(52)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보정편(51)의 단부에는 제 2고정고리(30)의 고정부(31)가 고정편(51)에 고정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본 고안에 따른 벨트시트의 설치방식 및 사용모드에 의하면, 먼저 작업자는 제 1고정편(40) 고정브래킷(42) 및 제 2고정편(50)의 브래킷(52)을 이용하여 트렁크룸(TR)의 바닥면 또는 측면에 예컨대 볼트고정시킨다.
이와같이 각각의 고정편(40,50)이 자동차의 트렁크(TR)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화물(L)을 적재하는 경우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트렁크룸내에 화물을 적정위치에 배치시킨후 그 화물(L)의 크기 및 부피에 따라 벨트(10)의 최적길이를 결정한후 그 길이의 범위의 양단에 위치하는 각각의 고정부(12)에 각각 제 1고정고리(20)의 양단부(22) 및 제 2고정고리(30)의 고정단(32)을 삽설고정시킨다. 이후, 제 1고정고리(20)의 돌출부(21)를 제 1체결편(40)의 고정편(41)에 고정시키고, 제 2고정고리(30)의 고정부(31)를 제 2체결편(51)의 고정편(40)에 고정시킴으로써 화물이 고정지지된다. 물론 이대는 화물(L)은 벨트(10)의 탄성력에 의해 트렁크룸(TR)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벨트세트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실재로는 다수의 체결편을 트렁크룸의 적정위치에 설치하여 다수의 벨트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비사용시에는 벨트를 분리하여 말아서 별도로 보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화물고정용 벨트세트를 자동차의 트렁크룸에 채용하면, 화물의 크기에 따라 벨트를 적정 길이로 설정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트렁크룸에 별도로 홈을 파는 경우가 회피되어 트렁크룸의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뿐 아니라 트렁크룸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3)

  1. 트렁크룸에 설치되는 화물 고정용 벨트세트에 있어서,
    화물 크기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부(1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벨트(10);
    돌출부(21) 및 상기 돌출부(21)로부터 굴곡연장 형성되며 상기 벨트(10)의 고정부(12)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단부(22)가 일체로 형성된 제 1고정고리(20);
    고정부(31),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절곡 형성되며 상기 벨트(10)의 고정부(12)에 고정되는 고정단(32)이 일체로 형성된 제 2고정고리(30);
    상기 제 1고정고리(20)의 돌출부(21)가 해재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편(41) 및 상기 고정편(41)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트렁크룸(TR)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42)으로 구성된 제 1체결편(40); 및
    상기 제 2고정고리(30)의 고정편(31)이 고정되는 고정편(51), 및 상기 고정편(51)이 일체로 고정되며 트렁크룸(TR)에 고정되는 브래킷(52)으로 구성되는 제 2체결편(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고정용 벨트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10)는 탄성밴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밴드의 고정부(12)의 고정구멍(12a)에는 금속 보강편(12b)이 삽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고정용 벨트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체결편(50)의 고정편(51)에는 상기 제 2고정고리(30)의 고정편(3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51a)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고정용 벨트시트.
KR2019960061923U 1996-12-30 1996-12-30 화물고정용 벨트세트 Expired - Fee Related KR2001438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1923U KR200143809Y1 (ko) 1996-12-30 1996-12-30 화물고정용 벨트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1923U KR200143809Y1 (ko) 1996-12-30 1996-12-30 화물고정용 벨트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758U KR19980048758U (ko) 1998-09-25
KR200143809Y1 true KR200143809Y1 (ko) 1999-06-15

Family

ID=1948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1923U Expired - Fee Related KR200143809Y1 (ko) 1996-12-30 1996-12-30 화물고정용 벨트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8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758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3419A (en) Article carrier tie-down and end piece
US20040028497A1 (en) Tie down anchor system
US6527487B2 (en) Cargo control system
US20070187939A1 (en) Seat Belt Shoulder Guide
US5807045A (en) Interlocking flatbed trailer load strap fastening system
US6416265B1 (en) Tie-down strap anchor and storage assembly
US9493105B2 (en) Securement system for transporting cargo
US5887840A (en) Pick-up truck tie down anchor
KR200143809Y1 (ko) 화물고정용 벨트세트
US5398385A (en) Cargo transport accessory
US5967720A (en) Interlocking flatbed trailer load strap fastening system
KR100439443B1 (ko) 화물차용 가변 탄성 화물벨트
GB2323581A (en) A restraint system
KR100478052B1 (ko) 자동차용 화물 고정 네트
JPH107073A (ja) 可動式ラッシング装置
JP2838174B2 (ja) 荷締ベルトに使用される着脱式端末金具
JP2539964Y2 (ja) 積荷保持用レール材
JP3350615B2 (ja) 積載物固定ベルト
WO2000013936A1 (en) Interlocking flatbed trailer load strap fastening system
JPS6347556Y2 (ko)
JPS586736Y2 (ja) ロ−プ等のフック装置
KR19980052412U (ko) 차량의 트렁크 적재함 화물고정 장치
JPH0210328Y2 (ko)
KR19980048833U (ko) 화물 고정장치가 설치된 후방시트
KR0138165B1 (ko) 버스 화물칸의 화물유동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U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02012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2012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