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44489A - 자동차용 에어 컨디션너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에어 컨디션너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4489A
KR20020044489A KR1020000073905A KR20000073905A KR20020044489A KR 20020044489 A KR20020044489 A KR 20020044489A KR 1020000073905 A KR1020000073905 A KR 1020000073905A KR 20000073905 A KR20000073905 A KR 20000073905A KR 20020044489 A KR20020044489 A KR 20020044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onditioner
switch
heater system
contro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남규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73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4489A/ko
Publication of KR20020044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48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60H1/007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the input being a stationary vehicle position, e.g. parking or st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1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85Smell or pollution preven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에어 컨디션너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에어컨디션너을 사용한 다음 시동을 끄더라도 강제로 외기를 유입시키면서 히터 시스템이 일정 시간 동안 구동되도록 히터 시스템을 제어함으로써, 엔진룸에서 냉각수와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뜨거운 외기를 이용해서 에어 덕트에 남아 있는 습기를 제거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에어 덕트에 남아 있는 습기로 인한 곰팡이의 발생을 막아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에어 컨디션너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어 컨디션너의 작동 여부와 시동 스위치의 ON/OFF 상태를 판단하여 내외기 선택 스위치와 히터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주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트롤러는 에어 컨디선너의 작동 후에 시동 스위치가 "OFF" 상태이면 내외기 선택 스위치를 외기에 두고 히터 시스템을 일정시간 동안 구동시켜 주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에어 컨디션너 제어 방법{Method of controlling air conditionor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에어 컨디션너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콘 작동 후 시동 "OFF"시에 내외기 선택 스위치를 외기에 두고 히터를 강제로 소정의 시간만큼 작동하도록 제어하여, 엔진과 냉각수로부터 발생된 뜨거운 공기로 에어 덕트에 남아 있는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여름철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편의시설로서 에어 컨디션너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에어 컨디션너 시스템은 외기 또는 내기를 순환시키면서 냉각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를 이용해서 차가운 공기를 형성하고, 이 차가운 공기를 차 내부에 배관된 에어덕트를 통해 실내에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에어 컨디션너는 차가운 공기를 만들기 위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증발기가 설치된 에어 덕트 부분에 침출수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 덕트에는 이 침출수를 차량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배출구가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 컨디션너는 배출구를 통해 침출수를 배출하더라도 소량이 습기가 에어 덕트에 남아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여기에서 곰팡이가 서식하거나 이물질이 축적되어 그 다음 에어 컨디션너를 작동시키게 되면 쾌쾌한 냄새가 실내로 유입되어 탑승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느끼게 하는 용인으로 작용하게 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에어컨디션너을 사용한 다음 시동을 끄더라도 강제로 외기를 유입시키면서 히터 시스템이 일정 시간 동안 구동되도록 히터 시스템을 제어함으로써, 엔진룸에서 냉각수와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뜨거운 외기를 이용해서 에어 덕트에 남아 있는 습기를 제거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에어 덕트에 남아 있는 습기로 인한 곰팡이의 발생을 막아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에어 컨디션너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어 컨디션너의 작동 여부와 시동 스위치의 ON/OFF 상태를 판단하여 내외기 선택 스위치와 히터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주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트롤러는 에어 컨디선너의 작동 후에 시동 스위치가 "OFF" 상태이면 내외기 선택 스위치를 외기에 두고 히터 시스템을 일정시간 동안 구동시켜 주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에어 컨디션너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에어 컨디션너 스위치 20 : 시동 스위치
30 : 히터 스위치 40 : 내외기 선택 스위치
50 : 컨트롤러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에어 컨디션너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 도면부호 10은 에어 컨디션너 스위치를 20은 시동 스위치를, 30은 히터 스위치를, 40은 내외기 선택 스위치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에어 컨디션너의 작동 후 미도시된 에어 덕트의 내부에 남아 있는 잔여 습기를 제거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 컨디션너를 사용한 다음 엔진 시동을 끄는 경우 엔진룸에서 발생된 외기를 히터 시스템에서 흡입하여 일정시간 동안 강제로 작동시켜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각 구성요소들로부터 입력신호를 받아 히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50)를 포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50)는 에어 컨디션너 스위치(10)와 시동 스위치(20)로부터 항상 작동 여부에 대한 입력 신호를 받게 되며, 이 신호에 따라 상기 히터 스위치(30)와 내외기 선택 스위치(40)에 출력 신호를 보내 미도시된 히터 시스템의 작동과 내외기 선택 밸브의 개폐를 담당하게 된다.
특히, 상기 컨트롤러(50)는 에어 덕트 내부에 남아 있는 잔여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에어 컨디션너를 다시 작동할지 모르는 엔진 구동 상태는 시동 스위치(20)를 통해 얻게 된다.
즉, 상기 시동 스위치(20)가 "ON" 상태에 있으면 에어 컨디션너 스위치(10)가 "OFF" 상태에 있더라도 운전자가 다시 에어 컨디션너 스위치(10)를 "ON"에 두어 에어 컨디션너를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컨트롤러(50)는 에어 컨디션너 스위치(10)의 작동 여부를 판단한 다음 시동 스위치(20)가 "OFF"에 있는지를 판단하여 히터 시스템을 작동시켜 주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컨트롤러(50)는 역으로 시동 스위치(20)가 "ON"에서 "OFF" 상태로 바뀌게 되면 "ON" 상태에서 에어 컨디션너 스위치(10)가 작동했었는지를 판단하고, 작동했다고 판단되면 히터 시스템과 내외기 선택 밸브를 작동시켜 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50)는 엔진 시동이 "OFF"된 상태에서 에어 컨디션너 스위치(10)가 작동되었다고 판단되면 히터 스위치(30)와 내외기 선택 스위치(40)를 작동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내외기 선택 스위치(40)는 외기를 선택하도록 제어를 하게 되며, 이러한 외기 선택은 차량의 외부에서 뜨거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것이다.
즉, 통상의 차량은 내외기 선택 스위치를 외기에 두는 경우 엔진룸과 차체의 외부 등을 통해 공기를 받아 들이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도 이러한 외기, 특히 엔진룸으로부터 외기를 받아 들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이때의 외기는 엔진룸에서 엔진과 냉각수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열과 주위의 열에 의해 예열된 것으로, 이 예열된 열을 외기 덕트를 통해 에어 덕트에 제공함으로써 잔여 습기를 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기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컨트롤러(50)는 히터 스위치(30)를 작동시켜 충분한 공기가 에어 덕트로 공급되도록 제어를 하게 된다. 물론, 상기 컨트롤러(50)는 이렇게 미도시된 히터 시스템을 구동시켜 주기 위해서 운전자가 상기 시동 스위치(20)를 "OFF" 시키더라도 일정시간 동안 "ON" 상태를 유지시켜 주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컨트롤러(50)가 시동 스위치(20)를 "OFF" 시키더라도 강제로 "ON"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시간은 에어 컨디션너의 작동시간이나 에어 덕트 상에 남아 있는 습기량 등을 별도로 측정하여 측정된 습기를 전부 없앨 수 있는 시간을 산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일정시간 동안(예를 들어, 약 10초간) 지속적으로 히터 스위치(30)가 작동되고 그 후에 상기 시동 스위치(20)와 히터 스위치(30)가 "OFF" 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히터 시스템은 시동을 끄더라도 그 사이에 에어 컨디셔너를 작동하게 되면 컨트롤러(50)의 제어를 받아 일정시간 동안 뜨거운 공기를 에어 덕트에 제공하게 되고, 이 뜨거운 공기는 에어 컨디션너의 작동으로 에어 덕트에 남아있는 잔여 습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 컨디션너의 작동 여부와 시동 스위치의 ON/OFF 상태를 판단하여 내외기 선택 스위치와 히터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주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트롤러는 에어 컨디선너의 작동 후에 시동 스위치가 "OFF" 상태이면 내외기 선택 스위치를 외기에 두고 히터 시스템을 일정시간 동안 구동시켜 주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 컨디션너 제어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외기가 유입되는 엔진룸 내부의 (냉각수와 엔진에서 발생되는) 따뜻한 공기를 이용해서 에어 덕트의 내부에 있는 잔여 습기를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습기와 이물질 때문에 발생되는 곰팡이 쾌쾌한 냄새를 없앨 수 있게 된다.
2) 또한, 에어 덕트의 내부가 청결하기 때문에 에어 컨디션너 사용시 쾌적한 냉기를 얻을 수 있게 되어 실내 환경을 향상시켜 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에어 컨디션너의 작동 여부와 시동 스위치의 ON/OFF 상태를 판단하여 내외기 선택 스위치와 히터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주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트롤러는 에어 컨디선너의 작동 후에 시동 스위치가 "OFF" 상태이면 내외기 선택 스위치를 외기에 두고 히터 시스템을 일정시간 동안 구동시켜 주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 컨디션너 제어 방법.
KR1020000073905A 2000-12-06 2000-12-06 자동차용 에어 컨디션너 제어 방법 Ceased KR200200444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905A KR20020044489A (ko) 2000-12-06 2000-12-06 자동차용 에어 컨디션너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905A KR20020044489A (ko) 2000-12-06 2000-12-06 자동차용 에어 컨디션너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489A true KR20020044489A (ko) 2002-06-15

Family

ID=27680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905A Ceased KR20020044489A (ko) 2000-12-06 2000-12-06 자동차용 에어 컨디션너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44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093B1 (ko) * 2009-09-04 2011-01-24 (주)티알에프 인테나를 포함하는 씨씨티브이 감시카메라
KR101235040B1 (ko) * 2006-07-27 2013-02-21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040B1 (ko) * 2006-07-27 2013-02-21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KR101010093B1 (ko) * 2009-09-04 2011-01-24 (주)티알에프 인테나를 포함하는 씨씨티브이 감시카메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36295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US7028493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having a seat air conditioning unit
US20040177630A1 (en) Vehicle air conditioner
US7172018B2 (en)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KR20020044489A (ko) 자동차용 에어 컨디션너 제어 방법
JP5359040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KR101511507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템프도어 제어방법
KR0143162B1 (ko) 자동차의 차내온도 자동제어방법
KR19990027015U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차량의 공조 장치
KR101253127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KR19980050724A (ko) 자동차 시트 공조장치
KR101682487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100057281A (ko) 차량용 공조 장치의 써머 모드 제어방법
KR20090126745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아이들 스톱시 공조시스템 제어방법
JP2010163052A (ja) 車両用空調システム
KR101220976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KR100452609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환기/습기제거 모드 제어방법
JP201013783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4230997A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車両用空調制御装置の制御用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546375Y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KR101187224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JPS63219412A (ja) 車輌用空調装置
JP2008143406A (ja) 自動車のオートエアコン制御装置
KR101730869B1 (ko) 겨울철 초기 시동 시의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
KR100566961B1 (ko) 자동차의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01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10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