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18954Y1 - 다면체를 이용한 게임기 - Google Patents

다면체를 이용한 게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954Y1
KR200218954Y1 KR2020000027644U KR20000027644U KR200218954Y1 KR 200218954 Y1 KR200218954 Y1 KR 200218954Y1 KR 2020000027644 U KR2020000027644 U KR 2020000027644U KR 20000027644 U KR20000027644 U KR 20000027644U KR 200218954 Y1 KR200218954 Y1 KR 2002189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machine
game
dice
polyhedron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6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호 filed Critical 김영호
Priority to KR20200000276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9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9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95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사위나 윷과 같이 다면체를 가지는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다면체를 하부에서 충격을 주어 공중으로 상승시킨 다음 바닥으로 떨어진 표면을 감지하여 각종 디스플레이 및 효과와 시상 등을 가능케 형성하므로서, 게임의 자동화에 기인하며 게임의 조작이 불가능하여 사용자에게 신뢰감을 주게됨은 물론 게임이 흥미롭고 스피드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만족감을 갖게 하는 다면체를 이용한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면체를 이용한 게임기 {game device using multi-faceted article}
본 고안은 다면체를 가지는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작동구내에 삽입된 다면체의 하부에 순간적으로 충격을 주어 공중으로 회전하여 던지므로, 바닥으로 떨어진 다면체들의 임의 표면 상태를 검출하여 정해진 배열테이블과 비교케 함으로서 시상품 지급을 가능하게 한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주사위를 이용한 게임은 여러개의 주사위를 한꺼번에 던져 그 물체의 표면에 나타난 상태를 갖고 게임을 즐기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게임방법은 항상 관리자가 배석하여 게임을 진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단일 주사위를 케이스에 넣어 모터로 회전시키고 6가지 경우의 수에 결과 예측을 선택하여 배팅을 한다거나 한 것이 있으나, 작동부를 회전시켜야 하는 메카니즘과 또 검출을 위한 센싱 구조가 매우 복잡함에도 불구하고 게임자체는 단순하면서 스피드 감이 떨어지며 흥미감을 주기엔 미흡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구조적인 복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아예 모니터 상에 그림으로 표현되게 한 게임이 있겠으나, 이러한 게임기는 회로상의 조작이 가능하여 고객에게 신뢰를 주기에는 부족하였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키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주사위를 하부에서 충격을 주어 공중으로 상승시켜 바닥으로 떨어뜨린뒤, 표면의 무늬 또는 숫자를 간단히 검출하여 디스플레이 및 각종 효과를 가능토록 형성하므로서, 육안확인 및 디스플레이된 무늬 및 숫자의 배열에 의해 상품을 지급하므로, 게임의 조작이 불가능하여 사용자에게 신뢰감을 주게 됨은 물론 게임이 흥미롭고 스피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만족감을 갖게 하는 실물을 이용한 게임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게임기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게임기의 측단면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 게임기내의 작동부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게임기의 작동부 작용설명도
도 5는 본 고안 게임기내의 작동부 측단면 설명도
도 6은 본 고안 게임기내의 작동부의 평면 설명도
도 7은 본 고안 게임기의 주사위 내부 결선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 게임기내의 회로 블록도
도 9는 본 고안 게임기 게임기에 의해 출력되는 결과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몸체 2 : 디스플레이
3 : 작동버튼 4 : 동전투입기
5 : 상품배출구 6 : 투명창
10,10' : 작동구 11a, 11b, 11c, 11d : 전극
12 : 타격축 13 : 솔레노이드
14 : 경사면 17 : 주사위
A,B,C,D,E,F : 해당면
A1,A2,A3‥‥‥F3,F4 : 도전성 돌기
이상과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기술적 수단은 동전투입수단과 작동기에 의해 동시에 작동하는 물체의 상승수단과, 바닥에 놓여진 주사위의 무늬 및 숫자를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인지된 상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인지된 배열에 의해 적정한 상품을 지급하는 배출수단으로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면체를 이용한 게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게임기를 단면도시한 측단면 설명도이다.
몸체(1)의 내측 상부에는 디스플레이(2)가 위치하고, 중간부에는 작동버튼(3)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동전투입기(4)와 상품배출구(5)가 형성된 통상의 게임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2)와 작동버튼(3)의 사이에는 투명창(6)에 의해 내부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내측 하부에는 다수의 작동구(10)(10')를 형성하되,
각각의 작동구(10)(10')는 그 하부의 바닥면에 다수의 전극(11a)(11b)(11c)(11d)이 위치하고, 그 바닥면 중심을 기준으로 솔레노이드(13에 의해 상하 승강하는 타격축(12)을 형성하며, 작동구(10)(10')의 중간 격벽은 경사면(14)으로 형성하고, 작동구(10)(10')의 최상부는 투명창(6)으로 마감형성하여, 타격축(12)의 상부에 각면에 각기 다른 그림이나 숫자가 그려진 주사위(17)가 안치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전기한 주사위(17)는 각 해당면(A)(B)(C)(D)(E)(F)의 모서리에 도전성의 돌기(A1,A2,A3‥‥‥F3,F4)를 형성하고, 그 돌기(A1,A2,A3‥‥‥F3,F4)는 각 해당면(A)(B)(C)(D)(E)(F)에 따라서 서로 다른 결선이 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우선 육면을 가지는 주사위를 가지고 설명을 이끌어 간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게임기와 같이 몸체(1)의 하부에 동전투입기(4)와 상품배출구(5)가 형성되어 있고, 그 게임기를 작동키 위한 작동버튼(3)이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작동구(10)내 하부의 타격축(12)은 내부의 솔레노이드(13)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 게임기를 사용하고져 하는 경우, 그 동전투입기(4)에 설정된 량의 동전을 투입하면 게임기의 작동준비가 되고,
이 상태에서 작동버튼(3)을 누르면 다수의 작동구(10)(10')하부의 솔레노이드(13)가 작동하여 주사위(17)를 상부로 튕겨 올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2의 단면설명도와 같이 다수의 작동구(10)(10')에 의해 상부로 튕겨 올라간 주사위는 수회 임의의 회전과 충돌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며, 하강이 완료되어 작동구(10)(10')의 바닥면에 위치하게 되면 하부의 전극(11a)(11b)(11c)(11d)과 주사위의 도전성 돌기(A1,A2,A3‥‥‥F3,F4)들과 접촉이 되게되어 각각의 전극(11a)(11b)(11c)(11d)간에 연결되는 경우를 판독 회로에 의해 표면을 판독하여 이를 몸체(1) 내측 상부의 디스플레이(2)로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3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작동버튼(3)의 동작에 의해 솔레노이드(13)에 전원이 인가되는 순간 그 상부의 타격축(12)을 상승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타격축(12) 상부의 주사위(17)는 공중으로 상승하며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작동구(10)(10')의 내벽에 부딪치며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자중에 의해 주사위(17)가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그 작동구(10)(10') 내측의 경사면(14)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며 하나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안치되는 것이다.
이때, 주사위(17)의 각 면에 형성된 도전성 돌기(A1,A2,A3‥‥‥F3,F4)는 각 면에 형성된 무늬 및 숫자와 동일한 속성을 갖도록 내부적 연결을 구성하였음으로, 접촉된 주사위(17)를 전자 장치에 의해 전극(11a)(11b)(11c)(11d)간 연결 상황을 검출 인지하고, 전기한 디스플레이(2)로 출력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출력의 결과는 그 출력된 무늬의 배열 및 숫자 또는 색깔의 조합에 의해 각기 해당하는 상품을 지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품의 시상내역은 투명창(6) 내측의 디스플레이(2)에 표시하므로서, 사용자는 게임도중 상품의 종류 및 시상내역을 미리 알 수 있게 하며, 게임의 진행상황 등을 기록하여 두는 것이다.
예를들어, 주사위의 A 면이 어떠한 경우이든지 바닥의 전극(11a)(11b)(11c)(11d)을 상호 연결 시킬수 있는 방법은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가지 경우뿐이다.
즉, 도 7의 도시와 같이 결선된 각각의 해당면(A)(B)(C)(D)(E)(F)에 형성된 각각의 도전성 돌기(A1,A2,A3‥‥‥F3,F4)가 각기 서로 다른 형태의 결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각 해당면(A)(B)(C)(D)(E)(F)의 도전성 돌기(A1,A2,A3‥‥‥F3,F4)가 전극(11a)(11b)(11c)(11d)과 닿게 되면, 도전성 돌기(A1,A2,A3‥‥‥F3,F4)의 결선에 의해 전극(11a)(11b)(11c)(11d)이 쇼트되며 각 전극(11a)(11b)(11c)(11d)의 쇼트 상태에 따라 주사위(17)의 어떠한 면이 위치하고 있는 가를 판단케 되는 것이다.
즉, 전극(11a)(11b)(11c)(11d)의 쇼트상태가 (11a)-(11b)의 상태라면 A면이 위치한 경우이고, (11a)-(11b)와 (11c)-(11d)의 쇼트상태라면 B면이 위치하고 있음을 감지할 것이고, (11a)-(11b)-(11c)가 동시에 쇼트상태인 경우는 C면이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기호(-)는 각 전극(11a)(11b)(11c)(11d)이 결선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한다.
만약, 놓여진 결과값이 두개의 전극(11a)-(11d)을 쇼트 시켰다고 가정한다면 D면이 검출된 결과인 것이다.
또한, E면과 F면은 각각 (11a)-(11d), (11b)-(11c)의 쇼트상태와 (11a)-(11b)-(11c)-(11d)의 쇼트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각각의 경우의 수를 표로 나열하여 보면, 회전되는 주사위(17)의 놓여진 상태에 따라 각 경우의 수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인데 그 해당 경우의 수는 아래와 같다.
접촉면 내부 결선에 의한 경우의 수
A (11a)-(11b) or(11b)-(11d) or(11c)-(11d) or(11a)-(11c) 의 네가지 경우
B (11a)-(11b), (11c)-(11d) or(11a)-(11c), (11b)-(11d) 의 두가지 경우
C (11a)-(11b)-(11c) or(11a)-(11c)-(11d) or(11c)-(11d)-(11b) or(11a)-(11b)-(11d) 의 네가지 경우
D (11a)-(11d) or(11b)-(11c) 의 두가지 경우
E (11a)-(11d), (11b)-(11c)의 한가지 경우
F (11a)-(11b), (11c)-(11d)의 한가지 경우
이와같이 다면체의 표면에 몇 개의 도전성분을 돌출한뒤 내부적으로 여러 방법의 연결을 꾀하여, 다면체와 접촉하게 될 검출면에 전극을 둔다면 전극간 연결 기법상 논리적으로 삼각뿔형태, 육각면체형태를 비롯해 다양한 다면체를 이용하는 게임기를 만들 수 있다.
특히, 두면 밖에 없는 윷의 경우는 바닥면에 길게 도전성분을 붙이고 두 개의 전극을 조밀하게 설치하여, 두 전극간의 연결을 의미하는 바닥면에 대한 검출만 하면 됨으로 매우 쉽게 제작이 가능하다.
이와같이 함으로서, 게임기의 인위적 조작이 없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며 게임의 진행상태 및 결과를 알 수 있게 하므로 보다 신뢰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게임이 기구의 구조상 신속하고 빠른 출력을 하게 되므로 보다 실감있는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주사위, 윷 등의 다면체를 이용한 배열 놀이에 적용 가능하며 이들의 작동에 의해 게임의 결과를 육안확인 및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 할 수 있게 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으로서, 값 비싼 센서와 복잡한 검출기를 일체 사용치 않고서 단지 접점간의 논리적 접촉을 읽게 한 것과, 자중에 의한 자연적 발상에 기인한 작동구의 형상에, 단순한 하부 타격을 함에 발상의 초점을 둔 것에 불과하지만, 정확한 다면체의 안착 유도와 함께 무늬 및 숫자의 배열에 의해 게임 진행과 상품을 지급되게 하는데 충분한 조건이 되며, 게임의 조작이 불가능한 잇점으로 사용자에게 게임의 신뢰감을 주게 됨은 물론 게임기의 구조상 흥미롭고 스피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만족감을 갖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몸체의 내측 상부에는 디스플레이가 위치하고, 하부에는 동전투입기와 상품배출구가 형성된 통상의 게임기에 있어서,
    투명창 내에 내부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내측 하부에는 다수의 작동구를 형성하며, 작동구의 저면에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하 승강하는 타격축을 형성하되, 작동구의 중간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최상부는 투명창으로 마감형성하며, 다면체의 표면 검출을 위한 전극이 작동구의 저면에 설치되고, 다면체의 각 해당면에 다수의 도전성 돌기를 형성하되, 각각의 해당면에 형성된 돌기는 각각의 면마다 각기 다른 내부결선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체를 이용한 게임기.
KR2020000027644U 2000-10-04 2000-10-04 다면체를 이용한 게임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2189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644U KR200218954Y1 (ko) 2000-10-04 2000-10-04 다면체를 이용한 게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644U KR200218954Y1 (ko) 2000-10-04 2000-10-04 다면체를 이용한 게임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095A Division KR20020026982A (ko) 2000-10-04 2000-10-04 다면체를 이용한 게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954Y1 true KR200218954Y1 (ko) 2001-04-02

Family

ID=73089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644U Expired - Fee Related KR200218954Y1 (ko) 2000-10-04 2000-10-04 다면체를 이용한 게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95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8678B1 (en) Ball selector and display device for use with gaming devices
JP5181241B2 (ja) 遊技台
US5885157A (en) Die, dice game machine, and dice game system
US7708628B2 (en) Gaming device having a multiple coordinate award distributor
ES2427420A2 (es) Sistema de juego y aparato de juego.
US6983935B2 (en) Gaming device having an interactive matrix game
EP1699026A2 (en) Gaming machine
US20070082728A1 (en) Electronic gaming machine, game and electronic gaming method
JP5640205B2 (ja) 遊技台
US7413511B2 (en) Gaming machine with action unit container
KR200218954Y1 (ko) 다면체를 이용한 게임기
EP0615775A2 (en) Game devices and machines
JP3892661B2 (ja) 遊技機の図柄表示装置
KR20020026982A (ko) 다면체를 이용한 게임기
CN100431647C (zh) 游戏机
WO2004026419A1 (ja) ゲーム機及びプログラム
JP4433112B2 (ja) 遊技機
US20080108415A1 (en) Gaming machine
KR200232609Y1 (ko) 게임기용 주사위 표면검출장치
KR100374738B1 (ko) 주사위를 이용한 게임기
AU2003200162B2 (en) Ball selector and display device for use with gaming devices
KR102093834B1 (ko) 게임머신의 조작장치 및 게임머신
KR200218962Y1 (ko) 주사위를 이용한 게임기
JP2004049625A (ja) 遊技機およびその遊技機における遊技内容報知方法
JP2843285B2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7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22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U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0401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4012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