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28224Y1 - 경사부와 나사부를 가지는 파이프 피팅 - Google Patents

경사부와 나사부를 가지는 파이프 피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224Y1
KR200228224Y1 KR2020000033651U KR20000033651U KR200228224Y1 KR 200228224 Y1 KR200228224 Y1 KR 200228224Y1 KR 2020000033651 U KR2020000033651 U KR 2020000033651U KR 20000033651 U KR20000033651 U KR 20000033651U KR 200228224 Y1 KR200228224 Y1 KR 2002282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es
pipe fitting
protrusion
joi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6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열
이선구
Original Assignee
이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구 filed Critical 이선구
Priority to KR2020000033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2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22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피팅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 배관의 연결부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연결부에 형성된 경사와 나사에 의해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파이프 내부 물질의 유출을 방지하는 경사부와 나사부를 가지는 파이프 피팅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공장, 건물, 발전소 등의 배관과 가스관, 송유관, 상수도관 등의 파이프 배관에 사용되는 파이프 피팅으로서, 한쪽 끝이 몸체의 구경보다 작은 구경을 가지고 돌출된 제1파이프의 돌출부와, 제1파이프의 돌출부에 끼워져 연결되는 제2파이프의 접합부로 이루어지며, 돌출부와 접합부에는 경사와 나사를 설치하여 연결되는 배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연결부의 밀폐성을 높여 파이프 내부 물질의 누출을 방지하므로써 배관의 소정 목적을 달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피팅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파이프 피팅을 이용하여 파이프 배관을 하면, 종래의 방법에서 파이프의 접합부에 경사만 두어서 접착제로 파이프를 연결함으로써 결합이 완전하지 못하여 결합부가 작은 하중이나 충격으로 인해 분리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이 누출되는 단점을 제거하므로 배관의 안전성이 향상되며, 내구성도 증진된다.

Description

경사부와 나사부를 가지는 파이프 피팅{Tapered and Threaded Pipe Fitting}
본 고안은 파이프 피팅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연결될 파이프들의 직경이 동일할 때 파이프끼리 직접 연결하는 경우, 연결할 파이프의 직경이 서로 다를 때 리듀서 파이프 피팅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경우, 플랜지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경우, 앨보우형 파이프 피팅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ㄱ 자형으로 접합하는 경우 및 T형 피팅을 이용하여 세 개의 파이프를 접속하는 경우, +형 파이프 피팅을 이용하여 네 개의 파이프를 서로 접속하는 경우 및 다지형 파이프 피팅을 이용하여 다수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경우 등을 위한 경사부와 나사부를 가지는 파이프 피팅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파이프 피팅에 있어서, 파이프의 단부에 볼록과 오목의 경사를 두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파이프를 서로 접합하거나, 파이프에 부착하여 제작된 플랜지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접합하거나, 파이프의 외측과 평행하게 접속부 전체에 걸쳐 나사부를 두어 기계적으로 접합하거나 접착제를 동시에 사용하여 파이프를 접합하고 있다. 또한 파이프의 접합부에서 누출 등을 방지하기 위해 접합부의 외부에 복합소재 등으로 감싸거나 파이프가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 오링을 삽입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접합 공법에서는, 단순히 경사부만을 이용하여 접착제로 접합하는 경우는 접합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접합부가 가벼운 하중에 의해 결속력이 약해져서 파이프 내용물이 누출될 우려가 있다. 접속부 전체에 나사부를 두는 경우에는 나사부가 길어져서 제작할 때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설치시에도 인력이 많이 소요되며 나사부를 통한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제를 별도로 사용해야 한다. 접합부를 외부에서 감싸는 방법도 설치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누출에 대한 밀폐성을 확보하는 데 문제가 있다. 또한 파이프의 접촉부에 오링을 설치하는 것도 설치가 번거로우며 내용물의 누출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존재한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파이프 피팅의 문제점 및 파이프 접속 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공장 배관, 가스관, 송유관, 건물의 배관, 발전소의 배관, 아파트의 배관, 상수도의 배관 등 지상, 지하, 해상, 및 해저에 건설되는 모든 유형의 배관에 사용되는 파이프 피팅으로서, 경사부와 나사부로 이루어져, 경사부는 나사 접속부의 조립 및 분해시 나사부와 파이프 측면들의 접촉 및 걸림을 방지하므로써, 파이프 조립 및 분리시 작업성을 향상할 뿐만 아니라 접착제를 도포하여 결합함으로써 파이프 내용물의 누출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나사부는 파이프의 접합시 기계적인 접합력을 형성하여 제 1 파이프의 접속부에 제 2 파이프의 돌출부가 삽입되면 나사부가 물리적인 결속력으로 파이프 접속부를 압착하도록 구성되어 경사부에 도포된 접착제로 인한 접착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파이프 내부의 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나사부의 물리적인 결속력과 경사부의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은 파이프 배관에 발생할 수 있는 인장력에 저항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는, 파이프 피팅의 일 실시 예로서, 접속될 파이프에 단순하게 돌출부와 접속부를 설치하여 파이프의 결합이 용이하고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며, 파이프의 인장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부와 나사부를 가진 파이프 피팅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플랜지에 오목한 접합부를 설치하고 파이프에 돌출부를 설치하며 접합부에는 경사부와 나사부를 설치하여 파이프를 플랜지에 미리 장착하고 이들 플랜지를 서로 연결하여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피팅도 제공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연결될 파이프의 직경이 서로 다른 경우, 별도의 리듀서 파이프 피팅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서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리듀서 파이프 피팅도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파이프가 ㄱ 자형, T 자형 또는 + 자형으로 접속되는 경우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앨보우, T형 또는 +자형 파이프 피팅도 제공된다.
파이프 피팅의 일 실시 예로서, 상기 파이프 피팅은 구조용 강재, 알루미늄, 및 유리섬유, 아라미드 섬유 등과 같은 강화섬유를, 폴리에스터, 비닐에스터, 에폭시, 페놀 등과 같은 수지에 함침시켜 만든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피팅이 제공된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피팅의 일 실시 예로서 동일한 직경의 파이프를 접합하는 경우의 접합된 단면도이다.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피팅의 일 실시 예로서 동일한 직경의 파이프를 접합하는 경우에 접합하는 과정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피팅의 일 실시 예로서 동일한 직경의 파이프를 접합하는 경우의 접합된 도 1a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d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피팅의 일 실시 예로서 동일한 직경의 파이프를 접합하는 경우에 접합하는 과정을 보이는 도 1b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고안에 따른 돌출부 및 접합부의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피팅의 일 실시 예로서 플랜지를 갖는 파이프 피팅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피팅의 일 실시 예로서 파이프의 직경이 서로 다른 경우에 파이프 리듀서를 이용하는 파이프 피팅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피팅의 일 실시 예로서 앨보우(ㄱ 자형)로 연결되는 파이프 피팅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제1파이프 200 제2파이프
150 제1파이프 접합부 250 제2파이프 접합부
152 제1파이프 접합 경사부 252 제2파이프 접합 경사부
154 제1파이프 접합 나사부 254 제2파이프 접합 나사부
160 제1파이프 돌출부 260 제2파이프 돌출부
162 제1파이프 돌출 경사부 262 제2파이프 돌출 경사부
164 제1파이프 돌출 나사부 264 제2파이프 돌출 나사부
310 제1플랜지 400 리듀서
320 제2플랜지 450 리듀서 제1접합부
350 제1플랜지 접합부 452 리듀서 제1접합 경사부
352 제1플랜지 접합 경사부 454 리듀서 제1접합 나사부
354 제1플랜지 접합 나사부 460 리듀서 제2접합부
360 제2플랜지 접합 연결부 462 리듀서 제2접합 경사부
362 제2플랜지 접합 경사부 464 리듀서 제2접합 나사부
364 제2플랜지 접합 나사부
500 앨보우
550 앨보우 제1접합부 560 앨보우 제2접합부
552 앨보우 제1접합 경사부 562 앨보우 제2접합 경사부
554 앨보우 제1접합 나사부 564 앨보우 제2접합 나사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상세한 구성 및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피팅의 일 실시 예로서, 연결될 파이프의 직경이 서로 같은 경우의 파이프 피팅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1a는 연결이 완료된 단면도이며 도 1b는 연결되는 과정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c는 도 1a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d는 도 1b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피팅은 제 1 파이프 접속부(150)와 제 2 파이프 돌출부(250)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1 파이프 접속부(150)는 파이프를 연결할 때, 제2파이프 돌출부(260)가 삽입되어 파이프를 결합하는 기능을 한다.
제1파이프(100)의 내주면의 경사는 제2파이프(200)의 돌출부가 삽입되기 쉽게 하기 위해 바깥 구경이 넓고 안쪽으로 갈수록 구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2파이프(200)와 제1파이프(100) 사이에 접합부(150)의 나사부를 이용하여 내주면의 경사부가 압착되면, 제1파이프(100)와 제2파이프(200)사이를 통해 파이프 내부의 물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상기 제2파이프 돌출부(260)와 제1파이프 접합부(150)은 제2파이프 경사부(262)와 제1파이프 경사부(152) 및 제2파이프 나사부(264)와 제1파이프 나사부(154)가 각각 결합하면 파이프들이 서로 연결되게 된다.
파이프 피팅의 설치 위치, 경사부(152, 262) 및 나사부(154, 264)의 길이 등은, 파이프(100, 200)의 크기, 파이프의 인장 하중의 크기 등의 조건 등을 고려하여 구조계산에 따라 적절히 선정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접속부(150)가 단일한 경사를 가지는 경사부로 구성되어 있으나, 접합부(15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도 2a 내지 도 2f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나사부가 중간에 있는 경사부로 구성된 접합부(도 2a), 경사부 전체에 나사를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접합부(도 2b), 경사부 전체에 나사를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접합부(도 2c), 파이프 면에 평행한 나사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접속부(도 2d), 경사부와 경사부의 단부에 파이프 면에 평행한 나사부로 구성된 접합부(도 2e), 경사부의 단부에 일부분만 나사를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접속부(도 2f)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가진 접합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시한 단면형태를 조합한 형태도 가능하다.
도 3에는, 플랜지(310, 320)로 제1파이프(100)와 제2파이프(200)를 연결하는 경우에,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로서, 파이프의 돌출부(160, 260)와 플랜지의 접합부(350, 360)로 구성되는 파이프 피팅을 보인다.
제1파이프(100)에 접합되는 제1플랜지(310)는 접합부(350), 제1플랜지 경사부(352), 제1플랜지 나사부(354)로 구성되며, 이들은 각각 제1파이프 돌출부(160), 제1파이프 돌출 경사부(162), 제1파이프 돌출 나사부(164)와 접합된다.
제2파이프(200)에 접합되는 제2플랜지(320)는 접합부(360), 제2플랜지 경사부(362), 제2플랜지 나사부(364)로 구성되며, 이들은 각각 제2파이프 돌출부(260), 제2파이프 돌출 경사부(262), 제2파이프 돌출 나사부(264)와 접합된다.
이렇게 형성된 접합체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제1플랜지(310)와 제2플랜지(320)를 접합하면 제1파이프(100)와 제2파이프(200)가 자동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경사부(162, 262, 352, 362)와 나사부(164, 264, 354, 364)에는 접착제 등을 도포하여 파이프를 연결하면 수밀성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도 4에는, 연결하는 파이프의 직경이 서로 다른 경우에 리듀서(400)를 이용하여 제1파이프(100)와 제2파이프(200)를 연결하는 경우에,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로서, 직경이 큰 제1파이프의 돌출부(160)를 리듀서 제1접합부(450)에 연결하고 직경이 작은 제2파이프의 돌출부(260)를 리듀서 제2접합부(460)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파이프 피팅을 보인다.
제1파이프(100)에 접합되는 리듀서(400)의 접합부는 리듀서 제1접합부(450), 리듀서 제1경사부(452), 리듀서 제1나사부(454)로 구성되며, 이들은 각각 제1파이프 돌출부(160), 제1파이프 돌출 경사부(162), 제1파이프 돌출 나사부(164)와 접합된다.
제2파이프(200)에 접합되는 리듀서(400)의 접합부는 리듀서 제2접합부(460), 리듀서 제2경사부(462), 리듀서 제2나사부(464)로 구성되며, 이들은 각각 제2파이프 돌출부(260), 제2파이프 돌출 경사부(262), 제2파이프 돌출 나사부(264)와 접합된다.
제1파이프(100)과 제2파이프(200)을 리듀서(400)의 제1접합부(450)와 제2접합부(460)에 각각 연결하면, 직경이 다른 두 개의 파이프가 자동적으로 연결되며 경사부(162, 262, 452, 462)와 나사부(164, 264, 454, 464)에는 접착제 등을 도포하여 파이프를 연결하면 수밀성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리듀서(400)는 연결되는 파이프(100, 200)에 맞추어 적절한 형상과 구조를 갖게 된다.
도 5에는, 연결하는 파이프가 동일한 직선 상에 있지 않고 서로 각도를 가지고 연결될 경우에 앨보우(500)를 이용하여 제1파이프(100)와 제2파이프(200)를 연결하는 경우에,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로서, 직경이 큰 제1파이프의 돌출부(160)를 리듀서 제1접합부(450)에 연결하고 직경이 작은 제2파이프의 돌출부(260)를 리듀서 제2접합부(460)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파이프 피팅을 보인다.
제1파이프(100)에 접합되는 앨보우(500)의 접합부는 앨보우 제1접합부(550), 앨보우 제1경사부(552), 앨보우 제1나사부(554)로 구성되며, 이들은 각각 제1파이프 돌출부(160), 제1파이프 돌출 경사부(162), 제1파이프 돌출 나사부(164)와 접합된다.
제2파이프(200)에 접합되는 앨보우(500)의 접합부는 앨보우 제2접합부(560), 앨보우 제2경사부(562), 앨보우 제2나사부(564)로 구성되며, 이들은 각각 제2파이프 돌출부(260), 제2파이프 돌출 경사부(262), 제2파이프 돌출 나사부(264)와 접합된다.
제1파이프(100)과 제2파이프(200)을 앨보우(500)의 제1접합부(450)와 제2접합부(460)에 각각 연결하면, 직경이 다른 두 개의 파이프가 자동적으로 연결되며 경사부(162, 262, 552, 562)와 나사부(164, 264, 554, 564)에는 접착제 등을 도포하여 파이프를 연결하면 수밀성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파이프가 자동적으로 연결되며 경사부와 나사부에는 접착제 등을 도포하여 파이프를 연결하면 수밀성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 앨보우(500)는 연결되는 파이프(100, 200)의 형상, 크기 및 선형에 맞추어 적절한 형상과 구조를 갖게 된다.
T형이나 십자형 및 다지형으로 파이프가 연결되는 경우에도 앨보우와 유사한 형식을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재질로는 알루미늄, 강재, 합금강 또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등을 레진, 에폭시 등에 함침시켜 제작한 복합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복합소재와 강재 또는 합금강을 부분적으로 합성한 이종소재 합성형 파이프가 장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기준으로 본 고안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공장 배관, 가스관, 송유관, 건물의 배관, 발전소의 배관, 아파트의 배관, 상수도의 배관 등 지상, 지하, 해상, 및 해저에 건설되는 모든 유형의 배관에 사용되는 파이프 피팅이다.
본 고안의 파이프 피팅은 경사부와 나사부로 이루어지며, 경사부는 나사 접속부의 조립 및 분해시 나사부와 파이프 측면들의 접촉 및 걸림을 방지하므로써, 파이프 조립 및 분리시 작업성을 향상할 뿐만 아니라 접착제를 도포하여 결합함으로써 파이프 내용물의 누출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나사부는 파이프의 접합시 기계적인 접합력을 형성하여 제 1 파이프의 접속부에 제 2 파이프의 돌출부가 삽입되면 나사부가 물리적인 결속력으로 파이프 접속부를 압착하도록 구성되어 경사부에 도포된 접착제로 인한 접착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파이프 내부의 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나사부의 물리적인 결속력과 경사부의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은 파이프 배관에 발생할 수 있는 인장력에 저항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는, 한쪽 끝이 몸체의 구경보다 작은 구경을 가지고 돌출된 제1파이프의 돌출부와, 제1파이프의 돌출부에 끼워져 연결되는 제2파이프의 접합부로 이루어지며, 파이프 연결부에는 나사를 두어 연결되는 배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연결부의 밀폐성을 높여 파이프 내부 물질의 누출을 방지하므로써 배관의 소정 목적을 달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피팅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파이프 피팅을 이용하여 파이프 배관을 하면, 종래의 방법에서 파이프의 연결부에 경사만 두어서 접착제로 파이프를 연결함으로써 결합이 완전하지 못하여 결합부가 작은 하중이나 충격으로 인해 분리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이 누출되는 단점을 제거하므로 배관의 안전성이 향상되며, 내구성도 증진된다.
본 고안에서는 연결될 파이프들의 직경이 동일할 때 파이프끼리 직접 연결하는 경우에는 파이프에 직접 경사부와 나사부를 두어서 연결하도록 하고, 연결할 파이프의 직경이 서로 다를 때에는 리듀서 파이프 피팅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연결할 파이프의 직경이 서로 같거나 혹은 다르거나 간에 플랜지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방법도 제공된다. 연결되는 파이프의 각도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파이프를 ㄱ 자형으로 접합하도록 앨보우형 파이프 피팅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및 내용을 응용하여 세 개의 파이프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T형 피팅을 이용하고, 네 개의 파이프를 서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형 파이프 피팅을 이용하며 다수의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다지형 파이프 피팅을 이용하여 파이프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파이프 피팅의 일 실시 예로서, 상기 파이프 피팅은 구조용 강재, 알루미늄, 및 유리섬유, 아라미드 섬유 등과 같은 강화섬유를, 폴리에스터, 비닐에스터, 에폭시, 페놀 등과 같은 수지에 함침시켜 만든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피팅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파이프 피팅을 이용하면 파이프의 돌출부(160, 260)에서 일반적으로 나사부(164, 264)가 형성되는 내측의 외경이 경사부(162, 262)가 형성되는 외측의 외경보다 작으므로 파이프(100, 20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므로 공사 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파이프 피팅은 경사부(152, 162, 252, 262, 352, 362, 452, 462)와 나사부(154, 164, 254, 264, 354, 364, 454, 464)로 이루어지며, 경사부는 나사 접속부의 조립 및 분해시 나사부와 파이프 측면들의 접촉 및 걸림을 방지하므로써, 파이프 조립 및 분리시 작업성을 향상할 뿐만 아니라 경사부와 나사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결합함으로써 파이프 내용물의 누출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나사부는 파이프의 접합시 기계적인 접합력을 형성하여 제 1 파이프의 접속부에 제 2 파이프의 돌출부가 삽입되면 나사부가 물리적인 결속력으로 파이프 접속부를 압착하도록 구성되어 경사부에 도포된 접착제로 인한 접착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파이프 내부의 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파이프 피팅은 복합소재를 사용하여 투명하게 제작될 수 있으므로, 파이프 연결시 품질관리와 완공 후 사용중 파이프의 내용물의 누출 등 결함사항을 점검할 수 있어 유지관리에 매우 효과적이다.
한편, 복합소재로 제작하는 파잎 피팅에는 착색제를 첨가하여 소정의 색깔을 갖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맞는 미려한 외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경사부와 나사부로 구성된 파이프 피팅 구조로서, 접합될 파이프의 돌출부와 삽입부를 각각 경사지게 하여 나사 접속부의 조립 및 분해시 나사부와 파이프 측면들의 접촉 및 걸림을 방지하므로써, 파이프 조립 및 분리시 작업성을 향상한 경사부와, 경사부의 일부 또는 전부에 나사를 설치하여 파이프가 접할될 때 나사를 조여서 나사부의 물리적인 결속력으로 파이프 접속부를 압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부와 경사부를 가지는 파이프 피팅
  2. 제1항에 있어서, 파이프를 접합할 때 경사부와 나사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결합함으로써 파이프 내용물의 누출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부와 경사부를 가지는 파이프 피팅
  3. 제1항에 있어서, 삽입될 파이프인 제1파이프에서 돌출부(160)의 외경을 원래 파이프의 외경보다 작게하고,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2파이프의 접합부(250)의 외경은 접합부 파이프의 원래 직경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부와 경사부를 가지는 파이프 피팅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연결할 파이프의 직경이 서로 다를 때에는 리듀서 파이프 피팅(300)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부와 경사부를 가지는 파이프 피팅
  7. 제1항에 있어서, 연결할 파이프의 직경이 서로 같거나 혹은 다르거나 간에 플랜지형 파이프 피팅(400)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부와 경사부를 가지는 파이프 피팅
  8. 제1항에 있어서, 연결되는 파이프의 각도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앨보우형 파이프 피팅(500)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ㄱ 자형으로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부와 경사부를 가지는 파이프 피팅
  9.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파이프를 동시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다지형 파이프 피팅을 이용하여 파이프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부와 경사부를 가지는 파이프 피팅
  10. 제1항에 있어서, 파이프 피팅은 구조용 강재, 알루미늄 또는 유리섬유, 아라미드 섬유와 같은 강화섬유를, 폴리에스터, 비닐에스터, 에폭시, 페놀과 같은 수지에 함침시 만든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부와 경사부를 가지는 파이프 피팅
  11. 제10항에 있어서, 파이프 피팅은 복합소재를 사용하여 투명하게 제작하여, 파이프를 연결할 때 품질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완공 후 사용중에 파이프의 내용물이 누출되는 결함사항을 점검할 수 있어 유지관리에 매우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부와 경사부를 가지는 파이프 피팅
  12. 제10항에 있어서, 복합소재로 제작되는 파이프 피팅에 착색제를 첨가하여 소정의 색깔을 갖도록 하여 상황에 맞는 미려한 외관을 얻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부와 경사부를 가지는 파이프 피팅
KR2020000033651U 2000-12-01 2000-12-01 경사부와 나사부를 가지는 파이프 피팅 Expired - Fee Related KR200228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651U KR200228224Y1 (ko) 2000-12-01 2000-12-01 경사부와 나사부를 가지는 파이프 피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651U KR200228224Y1 (ko) 2000-12-01 2000-12-01 경사부와 나사부를 가지는 파이프 피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224Y1 true KR200228224Y1 (ko) 2001-06-15

Family

ID=73092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651U Expired - Fee Related KR200228224Y1 (ko) 2000-12-01 2000-12-01 경사부와 나사부를 가지는 파이프 피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2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547B1 (ko) 2006-04-06 2006-10-27 황수원 에프알피로 구성된 굴뚝의 제조 방법
KR20170141981A (ko) * 2016-06-16 2017-12-27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탱크
KR102403238B1 (ko) 2021-12-21 2022-05-26 박재곤 테이퍼나사가 형성된 파이프 연결용 피팅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547B1 (ko) 2006-04-06 2006-10-27 황수원 에프알피로 구성된 굴뚝의 제조 방법
KR20170141981A (ko) * 2016-06-16 2017-12-27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탱크
KR102081697B1 (ko) * 2016-06-16 2020-04-23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탱크
KR102403238B1 (ko) 2021-12-21 2022-05-26 박재곤 테이퍼나사가 형성된 파이프 연결용 피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9470A (en) Flange connection assembly for fiber-reinforced plastic pipe members
US4154466A (en) Pipe section and coupling
JPS62110094A (ja) 繊維補強されたプラスチツク管部分のためのフランジ結合装置
CA1308042C (en) Pipe renovation system
US6604761B1 (en) Coupling device for two pipes made of composite material based on a thermoplastic
US8020899B2 (en) PVC pipe coupling
US4252349A (en) High pressure plastic pipe coupling
KR102028180B1 (ko) 파이프 구조체
KR200228224Y1 (ko) 경사부와 나사부를 가지는 파이프 피팅
KR102359426B1 (ko) 관 연결 장치
CN112413250A (zh) 一种管道连接结构
NO177686B (no) Anordning for bruk ved skjöting av rörlengder, samt en fremgangsmåte til montasje/bruk av anordningen
USRE31123E (en) Pipe section and coupling
EP1502052B1 (en) Pipe connection for pipe pieces made of plastic
KR102584146B1 (ko)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의 설치방법
KR850001102Y1 (ko) 나선상 코러게이트관의 접속구
CN209892935U (zh) 一种rtp管高压密封连接结构
KR20210074546A (ko)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관 연결부품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방법
GB2293422A (en) A method of joining a conduit to a second conduit and a seal
CN222977705U (zh) 一种pe双壁柔性波纹管
KR200269749Y1 (ko) 신축 이음관
KR200308856Y1 (ko) 다층 수밀 강화용 패킹
RU2220355C2 (ru) Неразъе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0277305Y1 (ko) 파이프와 플렌지의 연결 구조
SU1665156A1 (ru) Стык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напор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N-5-6-H10-H12-rvc-UT0601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02041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2041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