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44992Y1 - 치아 교정용 기구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992Y1
KR200244992Y1 KR2020010015481U KR20010015481U KR200244992Y1 KR 200244992 Y1 KR200244992 Y1 KR 200244992Y1 KR 2020010015481 U KR2020010015481 U KR 2020010015481U KR 20010015481 U KR20010015481 U KR 20010015481U KR 200244992 Y1 KR200244992 Y1 KR 2002449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thodontic
bracket
handle
tooth
tee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4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근
Original Assignee
박동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근 filed Critical 박동근
Priority to KR20200100154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9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9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99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아 교정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치아(1) 교정 브라켓트(2)를 치아(1)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된 치아 교정기구(3)가 구비되되, 상기 치아 교정기구(3)는 하나의 몸체에서 양 갈래로 분기된 손잡이(4)가 탄성을 가지면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4)의 일측 각 선단에 서로 대향될 수 있게 절곡됨으로써 교정 브라켓트(2)를 잡아줄 수 있도록 된 집게부(5)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4)의 타측 선단에 상기 교정 브라켓트(2)의 주위에 응고된 접착제를 긁어낼 수 있도록 제거용 칼날(6)이 절곡형성된 구조로서, 하나의 기구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치과의사의 의료작업 효율을 높여줌으로써 보다 향상된 치아의 교정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각종 치아 교정용 기구의 교체사용에 따른 시간과 노력을 줄여줌으로써 치료시간을 단축시켜 환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치아 교정용 기구{A tool for remedy the teeth}
본 고안은 치아에 교정 브라켓트를 부착시키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아 교정용 브라켓트를 치아에 부착시키는데 사용되는 브라켓트 홀더나 홀렌백을 하나의 기구에 복합설치함으로써 치과의사의 치아 교정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치아 교정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치과의사가 환자의 치아를 치료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기구가 사용되는 바, 상기 치과용 기구에는 치아를 갈거나 뽑는데 사용되는 치아가공용 기구와 또는 고르지 못한 치아를 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치아 교정기구 등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치아 교정기구는 벌어진 치아나 고르지 못한 치아에 교정용 브라켓트와 교정선 등을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즉, 상기 치아 교정기구를 이용하여 치열 교정환자의 치아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환자의 치아에 교정 브라켓트를 부착시켜야 하는 바, 이를 위하여 상기 교정 브라켓트를 잡아줄 수 있도록 된 브라켓트 홀더가 사용되고, 또한 상기 교정 브라켓트의 주변에 발생되는 접착제를 치아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된 홀렌백(hollenback)이 사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트 홀더의 종래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몸체에서 양 갈래로 분기된 손잡이(101)가 탄성을 가지면서 구비되고, 상기 각 손잡이(101)의 선단에 각각 집게부(102)가 형성되되, 상기 각 집게부(102)가 서로 대향될 수 있도록 절곡되어 상기 손잡이(101)의 탄성력에 의해 교정 브라켓트(103)를 잡아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브라켓트 홀더(104)의 경우 손잡이(101)를 눌러주면 전방의 집게부(102)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벌어져 교정 브라켓트(103)를 잡을 수 있고, 이상태에서 손잡이(101)에 힘을 빼게 되면 손잡이(101)의 자체 탄력에 의해 상기 교정 브라켓트(103)를 잡은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브라켓트 홀더(104)를 이용하여 환자의 치아(105)에 교정 브라켓트(103)를 부착시키게 되면, 상기 교정 브라켓트(103)의 외측에 응고된 접착제가 생성되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홀렌백이 사용되는 바, 상기 홀렌백(106)은 치과의사가 파지할 수 있도록 된 파지봉(107)과 이 파지봉(107)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교정 브라켓트(103)의 주위에 응고된 접착제를 긁어낼 수 있는 제거용 칼날(108)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치아(105) 교정을 하기 위해 환자의 치아(105)에 교정 브라켓트(103)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브라켓트 홀더(104) 및 홀렌백(106) 등과 같이 많은 기구들이 사용되기 때문에 번거로움이 있고, 상기 브라켓트 홀더(104)와 홀렌백(106)을 치과의사가 수시로 바꾸어 가면서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성 저하로 인한 치료효율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으며, 상기와 같이 많은 수의 기구를 번갈아 사용하는 관계로 치과의사의 주의력이 떨어져 진료시간이 장기화됨으로써 환자에게 불편함을 주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치아 교정용 브라켓트를 치아에 부착시키는데 사용되는 브라켓트 홀더나 홀렌백을 하나의 기구에 복합설치함으로써 치과의사의 치아 교정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치아 교정용 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나의 몸체에서 양 갈래로 분기된 손잡이가 탄성을 가지면서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의 일측 각 선단에 서로 대향될 수 있게 절곡됨으로써 교정 브라켓트를 잡아줄 수 있도록 된 집게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타측 선단에 상기 교정 브라켓트의 주위에 응고된 접착제를 긁어낼 수 있도록 제거용 칼날이 절곡형성된 구조이다.
즉,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치아 교정용 기구는 상기 손잡이를 눌러 집게부를 벌린 상태에서 교정 브라켓트를 고정하여 환자의 치아에 부착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의 타측 선단에 형성된 제거용 칼날을 이용하여 교정 브라켓트의 주위에 응고된 접착제를 긁어 낼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하나의 기구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치과의사의 의료작업 효율을 높여줌으로써 보다 향상된 치아의 교정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각종 치아 교정용 기구의 교체사용에 따른 시간과 노력을 줄여줌으로써 치료시간을 단축시켜 환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치과의사의 경우 치아 교정작업을 하기 위해 많은 수의 기구를 구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그 부담이 줄어들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브라켓트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홀렌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기구가 브라켓트 홀더 역할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기구가 홀렌백 역할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치아 2 : 교정 브라켓트
3 : 치아 교정기구 4 : 손잡이
5 : 집게부 6 : 제거용 칼날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기구가 브라켓트 홀더 역할을 수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기구가 홀렌백 역할을 수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의해 본 고안의 구조를 설명하면, 치아(1) 교정 브라켓트(2)를 치아(1)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된 치아 교정기구(3)가 구비되되, 상기 치아 교정기구(3)는 하나의 몸체에서 양 갈래로 분기된 손잡이(4)가 탄성을 가지면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4)의 일측 각 선단에 서로 대향될 수 있게 절곡됨으로써 교정 브라켓트(2)를 잡아줄 수 있도록 된 집게부(5)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4)의 타측 선단에 상기 교정 브라켓트(2)의 주위에 응고된 접착제를 긁어낼 수 있도록 제거용 칼날(6)이 절곡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치아 교정기구(3)의 특징은 상기 손잡이(4)의 일측 선단에 한 쌍의 집게부(5)가 형성되어 교정 브라켓트(2)를 잡아줄 수 있도록 된 것과, 상기 손잡이(4)의 타측 선단에 일정각도로 절곡된 접착제 제거용 칼날(6)이 형성된 것에 있는 것이다.
다시말하자면, 상기 치아 교정기구(3)는 상기 손잡이(4)를 눌러 집게부(5)를 벌린 상태에서 교정 브라켓트(2)를 고정하여 환자의 치아(1)에 부착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4)의 타측 선단에 형성된 제거용 칼날(6)을 이용하여 교정 브라켓트(2)의 주위에 응고된 접착제를 긁어 낼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치아 교정기구(3)를 사용하여 환자의 치아(1)에 교정 브라켓트(2)를 고정하게 되는 상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치아(1) 전방에 접착제가 도포된 교정 브라켓트(2)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치아 교정기구(3)의 손잡이(4)를 눌러 교정 브라켓트(2)를 취부하고, 이 상태에서 환자의 치아(1)에 교정 브라켓트(2)를 부착시킨 후 상기 손잡이(4)를 다시 눌러 교정 브라켓트(2)로부터 집게부(5)를 이탈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교정 브라켓트(2)의 부착이 마무리된 후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손잡이(4)의 타측에 형성된 접착제 제거용 칼날(6)을 이용하여 상기 교정 브라켓트(2) 주위에 응고된 접착제를 긁어낼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치과의사가 단일품으로 이루어진 치아 교정기구(3)를 이용하여 집게부(5)와 제거용 칼날(6)을 번갈아 사용하면서 환자를 치료하게 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교정 브라켓트(2) 부착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기구에 의하면, 하나의 기구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치과의사의 의료작업 효율을 높여줌으로써 보다 향상된 치아의 교정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각종 치아 교정용 기구의 교체사용에 따른 시간과 노력을 줄여줌으로써 치료시간을 단축시켜 환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하나의 몸체에서 양 갈래로 분기된 손잡이(4)가 탄성을 가지면서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4)의 일측 각 선단에 서로 대향될 수 있게 절곡됨으로써 교정 브라켓트(2)를 잡아줄 수 있도록 된 집게부(5)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4)의 타측 선단에 상기 교정 브라켓트(2)의 주위에 응고된 접착제를 긁어낼 수 있도록 제거용 칼날이 절곡형성된 치아 교정용 기구.
KR2020010015481U 2001-05-25 2001-05-25 치아 교정용 기구 Expired - Fee Related KR2002449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481U KR200244992Y1 (ko) 2001-05-25 2001-05-25 치아 교정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481U KR200244992Y1 (ko) 2001-05-25 2001-05-25 치아 교정용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992Y1 true KR200244992Y1 (ko) 2001-10-15

Family

ID=7310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481U Expired - Fee Related KR200244992Y1 (ko) 2001-05-25 2001-05-25 치아 교정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99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757B1 (ko) * 2020-01-16 2020-04-06 유태권 치아 교정용 튜브 트위저
KR102138463B1 (ko) * 2019-03-15 2020-07-27 정진환 게이지 트위저
KR20200002085U (ko) 2019-03-15 2020-09-23 김현모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
KR20200132074A (ko) * 2019-05-15 2020-11-25 이도훈 치열교정용 트위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463B1 (ko) * 2019-03-15 2020-07-27 정진환 게이지 트위저
KR20200002085U (ko) 2019-03-15 2020-09-23 김현모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
KR200492653Y1 (ko) 2019-03-15 2020-11-17 김현모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
KR20200132074A (ko) * 2019-05-15 2020-11-25 이도훈 치열교정용 트위저
KR102205533B1 (ko) 2019-05-15 2021-01-19 이도훈 치열교정용 트위저
KR102097757B1 (ko) * 2020-01-16 2020-04-06 유태권 치아 교정용 튜브 트위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2725A (en) Orthodontic palatal arch bar and method of using same
EP2777600B1 (en) Telescopic orthodontic appliance
US10307223B1 (en) Tooth aligner removal device
US5538421A (en) Dental instrument
EP1776931A3 (en) Orthodontic attachment device for interarch appliances
US20110045435A1 (en) Dental pliers
US10314672B2 (en) Cheek and tongue retractor
JP2002301090A (ja) 矯正歯科治療用プライヤー
US9987107B2 (en) Mandibular repositioning device
KR200244992Y1 (ko) 치아 교정용 기구
WO2002049528A2 (en) Dental tool
US6290495B1 (en) Dental tool for installing brackets for orthodontic braces
JP3122381B2 (ja) 歯列矯正具
CN109717968B (zh) 一种隐形矫治器附件粘接辅助就位器
KR100334361B1 (ko) 치열 교정 기구용 유지 키트
CN105395261A (zh) 弓丝末端弯制钳
CN216257493U (zh) 一种隐形矫治器粘接舌侧扣用网格钳
CN113648090B (zh) 一种牵引件易打开的正畸器具
US5836767A (en) Dental shim
CN212547217U (zh) 一种牵引件易打开的正畸器具
CN211355974U (zh) 正畸定位导板
KR200244990Y1 (ko) 치아 교정용 기구
CN210819900U (zh) 一种用于隐形矫正牙套的颌面打孔钳
CN211723484U (zh) 可与电动牙刷互换配合的口腔正畸牙移动加速工作头
KR100367329B1 (ko) 조절가능한 치열교정용 설측 브라켓 포지셔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0208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20822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