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162Y1 - Beme axis aiming device of lamp for automobile - Google Patents
Beme axis aiming device of lamp for automobi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49162Y1 KR200249162Y1 KR2020010016066U KR20010016066U KR200249162Y1 KR 200249162 Y1 KR200249162 Y1 KR 200249162Y1 KR 2020010016066 U KR2020010016066 U KR 2020010016066U KR 20010016066 U KR20010016066 U KR 20010016066U KR 200249162 Y1 KR200249162 Y1 KR 20024916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er
- bracket
- mounting bracket
- hole
- lens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등화기구의 광축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렌즈 하우징(10)과, 피벗 브라켓(22)과 설치 브라켓(24)을 구비하여 상기 렌즈 하우징(10)에 설치되는 반사부재(20)와, 상기 반사부재(20)의 설치 브라켓(24)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렌즈 하우징(10)에 설치되는 조절볼트(16)가 체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반사부재(20)를 상,하 좌,우 측으로 각도 조절하기 위한 리테이너(30)로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렌즈 하우징(10)에 설치된 조절볼트(16)가 체결되는 리테이너(30)가 원호형의 탄성편(38A,38B)을 구비하여 원호형의 안착면(28A,28B)을 갖는 반사부재(20)의 설치 브라켓(24)에 설치됨으로 조절볼트(16)를 지지하는 리테이너(30)와 설치 브라켓(24)이 면접촉을 이루게 되어 설치 브라켓(24)의 파손방지는 물론, 반사부재(20)의 각도 조절이 보다 정확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리테이너(30)가 설치공(26)에 설치 브라켓(24)의 길이방향으로 조립되고, 리테이너(30)의 방향이 정방향이 아닌 상태에서는 리테이너(30)가 설치공(26)에 끼워지지 않게 되어 리테이너(30)의 오조립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for an automobile ligh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reflecting member 20 provided with the lens housing 10, the pivot bracket 22, and the mounting bracket 24, installed in the lens housing 10. ) And the adjustment bolt 16 installed in the mounting bracket 24 of the reflective member 20 and installed in the lens housing 10 are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flective member 20. It is composed of a retainer 30 for adjusting the angle to the right 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er 30 to which the adjusting bolt 16 installed in the lens housing 10 is fastened is provided with arc-shaped elastic pieces 38A and 38B to form arc-shaped seating surfaces 28A and 28B. Since the retainer 30 supporting the adjustment bolt 16 and the mounting bracket 24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mounting bracket 24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bracket 24 of the reflective member 20 to prevent damage to the mounting bracket 24. Angle adjustment of the reflecting member 20 can be made more precise and stable, the retainer 30 is assemb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bracket 24 in the mounting hole 26, the direction of the retainer 30 is In the non-retained state, the retainer 30 is not fitted to the installation hole 26, so that an incorrect assembly of the retainer 30 may be prevented at the source.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용 등화기구의 광축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렌즈 하우징에 설치되는 조절볼트가 체결되는 리테이너와 이 리테이너가 설치되는 반사부재의 브라켓의 구조를 변경하여 리테이너와 브라켓이 면접촉을 하도록 함으로써 반사부재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고, 리테이너의 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며 정확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광축의 조정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등화기구의 광축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of an automotive lighting device, and in particular,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bracket of the retainer to which the adjustment bolt installed in the lens housing is fastened and the reflecting member to which the retainer is mounted, so that the retainer and the bracket are in surface contact.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inimize breakage of the reflective member, to assemble the retainer quickly, easily, and accurately, and to provide an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of an equalization mechanism capable of improving optical axis adjusting performanc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조등과 같은 등화기구는 야간 주행시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그 빛의 방사상태가 정위치에서 약간만 벗어나더라도 조사되는 공간은 많은 차이가 있게 되어 효과적인 시야를 확보하기 어렵게 된다.In general, lighting devices such as headlights of automobiles are used to secure the view of the front when driving at night, and even if the radiation state of the light deviates only slightly from the home position, the space to be irradiated has a large difference, making it difficult to secure an effective field of view. .
이와 같은 전조등의 정위치 이탈현상은 자동차의 진동이나 사고등에 의한 충격, 혹은 차량 하중에 의한 움직임, 전조등 조립오차, 분해조립 등에 의하여 발생되기 쉽다.Such deviation of the headlight from the home position is likely to occur due to the impact of the vibration or accident of the vehicle, the movement of the vehicle load, the headlight assembly error, the disassembly and the like.
따라서, 이때에는 전조등을 정위치로 조정하여야 하는 것이고, 이와 같이 전조등의 방사상태를 정위치로 조정할 수 있는 장치가 광축 조정장치인 것이다.Therefore, at this time, the headlight should be adjusted to the correct position, and the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radiation state of the headlight to the correct position is the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종래기술에 의한 광축 조정장치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되는 반사부재(2)의 배면에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브라켓(2-1)의 설치공(2-2)에 끼워지는 리테이너(3)와, 상기 렌즈 하우징(1)에 체결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리테이너(3)에 체결되는 조절볼트(4)와, 상기 반사부재(2)를 지지하는 피벗(7)으로 이루어진 것이다.The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n installation hole (2-) of the bracket 2-1 extending rearwar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flective member 2 installed inside the lens housing 1 as shown in FIG. 1A. 2) a retainer (3) to be fitted, an adjusting bolt (4), the other end of which is fastened to the retainer (3) in a state of being fastened to the lens housing (1), and a pivot (2) for supporting the reflecting member ( 7).
이와 같은 구조의 광축 조정장치는 상기 조절볼트(4)를 조이거나 푸는 동작에 의해 상기 반사부재(2)가 상기 피벗(7)을 중심으로 상,하 각도가 조절되어 광원밸브로부터 방사되는 광선의 축(렌즈 등의 광학계에서 각 면의 중심과 곡률 중심과를 연결한 선)이 조정될 수 있었던 것이다.The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having such a structure has the upper and lower angles of the reflective member 2 adjusted about the pivot 7 by the tightening or releasing of the adjusting bolt 4 so that the light beam is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valve. The axis (the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each face and the center of curvature in an optical system such as a lens) could be adjust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광축 조정장치는 상기 조절볼트(4)가 체결되는 리테이너(3)가 상기 반사부재(2)의 브라켓(2-1)에 형성된 설치공(2-2)에 단순히 끼움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기 리테이너(3)와 브라켓(2-1)의 접촉이 선 또는 점 접촉을 이루게 되어 상기 브라켓(2-1)이 파손되거나, 리테이너(3)와 관통공(2-2)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여 정확한 광축의 조정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However, in the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retainer 3 to which the adjusting bolt 4 is fastened is simply fit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2-2 formed in the bracket 2-1 of the reflecting member 2. Since the contact between the retainer 3 and the bracket 2-1 is in line or point contact, the bracket 2-1 is broken or between the retainer 3 and the through hole 2-2.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adjust the optical axis due to the play.
한편,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광축 조정장치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재(2)의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브라켓(2-1)에 리테이너(3)가 설치되는 설치공(5)이 브라켓(2-1)의 측면에 형성된 관계로 리테이너(3)의 오조립 가능성이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optical axis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ure 1b the mounting hole 5 is installed in the retainer 3 to the bracket (2-1) protruding to the rear of the reflective member (2)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ossibility of misassembly of the retainer 3 became high due to the relationship formed on the side of the bracket 2-1.
즉, 상기 리테이너(3)가 전조등과 같은 등화기구의 조립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조립됨으로써,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공(5)에 잘못 끼워지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That is, since the retainer 3 is assembl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assembling direction of an equalizing mechanism such as a headlamp,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tainer 3 may be incorrectly fit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5 as shown in FIG. 1B.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반사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광축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조절볼트가 체결되는 리테이너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damage of the reflective member, can accurately adjust the optical axis, incorrect assembly of the retainer to which the adjustment bolt is fastened It is to provide a means to prevent the.
도 1a,1b는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등화기구의 광축 조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1a는 종래기술의 제 1실시예에 의한 광축 조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1b는 종래기술의 제 2실시시예에 의한 광축 조정장치를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1A and 1B are diagrams showing an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for a light emitting device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1a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ior art, and 1b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ior art. Partial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등화기구의 광축 조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of the automotiv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광축 조정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shown in FIG.
도 4a,4b,4c는 본 고안에 의한 광축 조정장치의 리테이너가 브라켓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4a는 결합전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고, 4b는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며, 4c는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4A, 4B, and 4C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etainer of an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bracket, and 4A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coupling, and 4B is a portion showing a coupled state. An enlarged cross sectional view, and 4c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도 5a,5b,5c는 본 고안에 의한 광축 조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5a,5b는 조절볼트의 작동으로 반사부재의 각도가 상,하로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5c는 리테이너가 설치공의 내부에서 좌,우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 5b의 A-A'선 단면도.5a, 5b, 5c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5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gle of the reflective member is adjusted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adjustment bolt, 5c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B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tainer is moved left and right in the installation hol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렌즈 하우징 12 : 렌즈10 lens housing 12 lens
14 : 피벗축 16 : 조절볼트14: pivot axis 16: adjusting bolt
20 : 반사부재 22 : 피벗 브라켓20: reflection member 22: pivot bracket
24 : 설치 브라켓 26 : 설치공24: mounting bracket 26: mounting hole
28A,28B : 상,하부 안착면 30 : 리테이너28A, 28B: Upper and lower seating surface 30: Retainer
32 : 나사공 34 : 탄성 여유홈32: screw hole 34: elastic clearance
36A,36B : 수직단 38A,38B : 상,하부 탄성편36A, 36B: Vertical ends 38A, 38B: Upper and lower elastic pieces
W1 : 외부폭 W2 : 내부폭W1: Outside width W2: Inside width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면에 렌즈가 설치되고, 내부 일측에는 피벗축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피벗축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조절볼트가 설치되어,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렌즈 하우징; 상기 피벗축이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벗 브라켓이 배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피벗 브라켓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브라켓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에는 브라켓의 길이방향으로 설치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의 중간부에는 원호형의 상,하부 안착면이 상,하부로 확장되고 상기 설치 브라켓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상기 렌즈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반사부재; 상기 조절볼트가 체결되도록 나사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의 양측에는 상기 설치공의 입구를 탄성을 구비하여 통과하도록 탄성 여유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하면에는 수직단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 수직단에는 상기 상,하부 안착면에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상,하부 탄성편이 원호형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설치공에 이탈이 방지되도록 브라켓의 길이방향으로 끼움 설치되는 리테이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등화기구의 광축 조정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the lens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the pivot shaft is protruded on one side of the inside, the adjustment bolt is installed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pivot shaft, the lens housing fixedly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 Pivot bracket to which the pivot shaft is fluidly coupl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r surface, the bracket is formed protruding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pivot bracket, the bracket is formed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acket, The middle portion has upper and lower seating surfaces of an arc shape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and extending in an ortho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length direction of the mounting bracket, the reflection member being installed in the lens housing; Screw holes are formed through the adjustment bolts to be fastened, and elastic clearance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crew holes so as to pass through the inlet of the installation hole with elasticity. Each vertical end is formed of a retainer which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acket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lastic pieces which are rotatably seated on the upper and lower seating surfaces are extended in an arc shape, respectively, to prevent the installation hole from being separated. Provided is an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for an automobile equalizer.
이때,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설치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평 직교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그 외부폭 상기 설치공의 내부폭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retain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width is formed smaller than the inner width of the installation hole to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ortho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acket in the fitted state.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features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등화기구의 광축 조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광축 조정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미설명 부호 '28C'는 설치공(28)의 내부에 형성되는 걸림턱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of the automotiv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shown in FIG. Hereinafter, reference numeral '28C' is a locking step formed in the installation hole 28.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광축 조정장치는 렌즈 하우징(10)과, 피벗 브라켓(22)과 설치 브라켓(24)을 구비하여 상기 렌즈 하우징(10)에 설치되는 반사부재(20)와, 상기 반사부재(20)의 설치 브라켓(24)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렌즈 하우징(10)에 설치되는 조절볼트(16)가 체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반사부재(20)를 상,하 좌,우 측으로 각도 조절하기 위한 리테이너(30)로 구성된 것이다.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ns housing 10, a pivot bracket 22, and an installation bracket 24, and includes a reflective member 20 installed in the lens housing 10. ) And the adjustment bolt 16 installed in the mounting bracket 24 of the reflective member 20 and installed in the lens housing 10 are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flective member 20. It is composed of a retainer 30 for adjusting the angle to the right side.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상기 렌즈 하우징(10)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2)와 반사부재(20)를 차체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에 렌즈(12)가 설치되고, 내부 일측에는 피벗축(14)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피벗축(14)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조절볼트(16)가 내부로 노출되도록 배면으로부터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피벗축(14)의 끝단은 구형으로 형성된다.The lens housing 10 is for installing the lens 12 and the reflecting member 20 to the vehicle body, as shown in Figures 2 to 3, the lens 12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the pivot shaft on one side inside 14 is formed to protrude, and has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from the rear side so that the adjustment bolt 16 is exposed to the inside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pivot axis (14). The end of the pivot shaft 14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상기 반사부재(20)는 광원밸브가 내설되어 광원의 빛을 전방으로 반사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10)의 내부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피벗축(14)이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벗 브라켓(22)이 배면 일측에 형성된다. 이 피벗 브라켓(22)은 그 끝단이 구형으로 형성된 상기 피벗축(14)이 결합되어 상기 반사부재(20)가 상기 피벗축(14)의 끝단부를 중심으로 전,후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각도 조절이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reflection member 20 is configured to reflect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forward by the light source valve is built in the angle adjustable in the interior of the lens housing 10, the pivot shaft 14 to be movable Pivot bracket 22 to be coupl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ack. The pivot bracket 22 is coupled to the pivot shaft 14 having a spherical end thereof so that the reflective member 20 is freely angl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about the end of the pivot shaft 14. It is to be controlled.
한편, 상기 반사부재(20)의 배면에는 상기 피벗 브라켓(22)과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 브라켓(24)이 후방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설치 브라켓(24)의 끝단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설치공(26)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26)의 중간부에는 원호형상의 상,하부 안착면(28A,28B)이 상,하부로 각각 확장되면서 상기 설치 브라켓(24)의 수평 직교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상,하부 안착면(28A,28B)은 상,하부가 분리된 원통형상을 갖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bracket 24 protrudes in the rear horizontal direction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pivot bracket 22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flective member 20. Inside the end of the mounting bracket 24, the mounting hole 26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the upper and lower seating surfaces 28A and 28B in the middle of the mounting hole 26 are upper, Each extending downwardly is forme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orthogonal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bracket 24. That is, the upper and lower seating surfaces 28A and 28B have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separated.
이때, 상기 설치공(26)의 내부폭(W2)은 상기 리테이너(30)의 외부폭(W1) 보다 크게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inner width (W2) of the mounting hole 26 is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width (W1) of the retainer (30).
또한, 상기 설치공(26)의 입구측과 상,하부 안착면(28A,28B) 사이에는 걸림턱(28C)이 형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브라켓(24)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설치공(26)의 입구 내측부에 상기 상,하부 안착면(28A,28B)의 외측부위가 거의 수직으로 만나고 있기 때문에 단이진 걸림턱(28C)이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locking step 28C is formed between the inlet side of the installation hole 26 and the upper and lower seating surfaces 28A and 28B. That is, as shown in FIG. 3, since the outer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seating surfaces 28A and 28B substantially meet vertically in the inlet inner portion of the mounting hole 26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bracket 24, Binary locking step 28C is formed.
이는 상기 상,하부 안착면(28A,29B)이 상기 설치공(26)의 중간부에서 상,하부로 확장되어 형성된 결과이다. 이와 같이 설치공(26)의 내측 상,하부에 형성된 각 걸림턱(28C)에는 후술할 리테이너(30)의 각 수직단(36A,36B) 끝단이 걸리게 되어 리테이너(3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This is the result of the upper and lower seating surface (28A, 29B) is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middle of the installation hole 26 to the upper, lower. In this way, the engaging jaw 28C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inner sides of the installation hole 26 is caught by the end of each vertical end 36A, 36B of the retainer 30 to be described later, thereby preventing the retainer 30 from being separated. will be.
상기 설치 브라켓(24)의 설치공(26)에 끼움 설치되는 리테이너(30)는 상기 설치공(26)에 끼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볼트(16)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 리테이너(3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측면 형상은 중간부가 길이방향으로 일부 절개된 'ㄷ'자 형상을 갖고, 정면 또는 배면은 사각형상을 갖는 것이다.The retainer 30 fit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26 of the installation bracket 24 is formed to be fastened to the adjustment bolt 16 in a state of being fit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26. As shown in Figs. 2 to 3, the retainer 30 has a 'c' shape in which the middle portion is partially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ront or rear surface has a quadrangular shape.
이러한 리테이너(30)는 상기 조절볼트(16)가 체결되는 나사공(32)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32)의 양측에는 상기 리테이너(30)가 상기 설치공(26)의 입구를 통과할 때, 탄성을 구비하여 변형된 상태로 끼워지도록 하기 탄성 여유홈(34)이 절개되어 형성된다.The retainer 30 has a screw hole 32 through which the adjustment bolt 16 is fasten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the retainer 30 is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screw hole 32. When passing through the inlet of the), the elastic clearance groove 34 is formed to be cut in order to fit in a deformed state with elasticity.
즉, 상기 설치공(26)의 입구는 상기 상,하부 안착면(28A,28B)이 형성된 중간부보다 상,하부 방향으로 협소하고, 상기 리테이너(30)의 상,하면에는 후술할 상,합 탄성편(38A,38B)이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리테이너(30)는 상기 설치공(26)으로의 끼워짐이 불가능하게 되나,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나사공(32)의 양측을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하여 탄성 여유홈(34)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리테이너(30)가 설치공(26)의 입구를 통과할 때 상기 리테이너(30)의 일측 상,하부가 상기 탄성 여유홈(34)의 간격만큼 탄성을 구비하여 각각 마주보는 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설치공(26)의 입구를 통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inlet of the installation hole 26 is narrower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than the middle portion formed with the upper and lower seating surfaces 28A and 28B,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tainer 30 will be described later. Since the elastic pieces 38A and 38B are formed to protrude, the retainer 30 cannot be fit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26, but both sides of the screw hole 32 are removed from FIG. 2 to solve this problem. When the cutaway is formed as shown in FIG. 3 to form the elastic clearance groove 34, one sid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etainer 30 are elastic when the retainer 30 passes through the inlet of the installation hole 26. It is provided with an elasticity as much as the interval of the clearance groove 34 to be able to pass through the inlet of the installation hole 26 while being deformed in the direction facing each.
한편, 상기 리테이너(30)의 상,하면에는 수직단(36A,36B)이 수직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고, 이러한 각 수직단(36A,36B)의 끝단에는 상,하부 탄성편(38A,38B)이 원호형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하부 탄성편(38A,38B)는 상기 나사공(32)이 형성된 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면서 그 외부폭(W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 탄성편(38A,38B)은 탄상을 갖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etainer 30, vertical ends (36A, 36B) are formed to protrude vertically, respectively, and the upper and lower elastic pieces (38A, 38B) at the end of each of the vertical ends (36A, 36B) It extends in an arc shape. 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elastic pieces 38A and 38B are formed to be cur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crew hole 32 is formed and extend in the outer width W1 direction. Therefore, the upper and lower elastic pieces 38A and 38B have a coal phas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4a,4b,4c는 본 고안에 의한 광축 조정장치의 리테이너가 브라켓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4a는 결합전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고, 4b는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며, 4c는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4A, 4B, and 4C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etainer of the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bracket, and 4a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coupling, and 4b is a coupled state. 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ed state.
상기 반사부재(20)의 설치 브라켓(24)에 형성된 설치공(26)으로 상기 리테이너(30)를 끼워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리테이너(30)의 상,하부 탄성편(38A,38B)의 끝단이 상기 설치공(26)을 향한 상태에서, 상기 리테이너(30)를 설치공(26)의 입구로 밀어 넣는다.In order to insert the retainer 30 into the installation hole 26 formed in the mounting bracket 24 of the reflective member 20, first, upper and lower elastic pieces of the retainer 30 as shown in FIG. With the ends of 38A and 38B facing the mounting hole 26, the retainer 30 is pushed into the inlet of the mounting hole 26.
이와 같이 상기 리테이너(30)를 설치공(26)으로 밀어 넣게 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여유홈(34)이 형성된 측의 상기 리테이너(30)가 상기 탄성 여유홈(34)의 간격만큼 각각 마주보는 방향으로 변형된다. 이때, 상기 상,하부 탄성편(38A,38B)도 리테이너(30)의 상,하면 측으로 변형된다.When the retainer 30 is push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26 in this manner, as shown in FIG. 4B, the retainer 30 on the side where the elastic clearance groove 34 is formed is spaced apart from the elastic clearance groove 34. As each of them is de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elastic pieces 38A and 38B are also deform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tainer 30.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리테이너(30)를 계속하여 밀어 넣게 되면, 상기 상,하부 탄성편(38A,38B)이 확장된 상,하부 안착면(28A,28B)에 안착된다.When the retainer 30 is continuously pushed in this state, the upper and lower elastic pieces 38A and 38B are seated on the extended upper and lower seating surfaces 28A and 28B.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공(26)의 입구측을 통과하면서 각각 내측으로 변형되었던 상,하부 탄성편(38A,38B)이 상기 설치공(26)의 중간부에 확장되어 형성된 상,하부 안착면(28A,28B)에 이르게 되면 자체 탄성과 상기 탄성 여유홈(34)에 의해 발생한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다시 복귀되면서 상기 상,하부 안착면(28A,28B)에 안착되는 것이다.That is, upper and lower elastic pieces 38A and 38B, which are deformed inwar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let side of the installation hole 26, are extend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installation hole 26 as shown in FIG. 4C. When the upper and lower seating surfaces 28A and 28B are reached, they are seated on the upper and lower seating surfaces 28A and 28B while being returned to their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ity generated by the elasticity and the elastic clearance groove 34.
이때, 상기 리테이너(30)는 상기 설치 브라켓(24)의 길이방향(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끼움 설치되기 때문에 리테이너(30)의 오조립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자는 상기 리테이너(30)의 방향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태에서 상기 리테이너(30)를 설치공(26)으로 끼워넣기 때문에 오조립이 방지되고, 또한 상기 리테이너(30)가 정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는 상기 설치공(26)에 끼워지지 않기 때문에 원천적으로 오조립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retainer 30 is fit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of the mounting bracket 24, so that the misassembly of the retainer 30 can be prevented. That is, since the worker inserts the retainer 30 into the installation hole 26 in a state where the direction of the retainer 30 can be visually checked, misassembly is prevented, and the retainer 30 is not in the positive direction. In the other direction, since it is not fitted to the installation hole 26, the misassembly can be prevented at the source.
상기와 같이 상기 리테이너(30)가 설치공(26)에 끼워지고 상기 상,하부 탄성편(38A,38B)이 상부 안착면(28A)과 하부 안착면(28)에 각각 안착되면, 상기 리테이너(30)는 상기 상,하부 탄성편(38A,38B)의 원호 중심점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할 수 있게 되고, 리테이너(30)의 외부폭(W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tainer 30 is fit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26 and the upper and lower elastic pieces 38A and 38B are respectively seated on the upper seating surface 28A and the lower seating surface 28, the retainer ( 30 is to be able to rotate up and down about the arc center point of the upper and lower elastic pieces (38A, 38B), it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width (W1) of the retainer (30).
이와 같이 리테이너(30)가 설치공(26)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부재(20)를 상기 렌즈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하되, 상기 피벗 브라켓(22)에 피벗축(14)을 결합시키고, 상기 렌즈 하우징(10)에 설치된 조절볼트(16)를 상기 설치공(26)에 끼워져 설치된 리테이너(30)의 나사공(32)에 체결한다.With the retainer 30 installed in the mounting hole 26 as described above, the reflective member 20 is installed inside the lens housing 10 as shown in FIG. 3, but the pivot bracket 22 is mounted on the pivot bracket 22. The pivot shaft 14 is coupled, and the adjustment bolt 16 installed in the lens housing 10 is fastened to the screw hole 32 of the retainer 30 installed by being fit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26.
이러한 상태에서 광축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볼트(16)를 조이거나 풀게 되면, 상기 반사부재(20)의 상,하 각도가 조절된다.To adjust the optical axis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5A, when the adjusting bolt 16 is tightened or released, the upper and lower angles of the reflective member 20 are adjusted.
즉, 상기 렌즈 하우징(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조절볼트(16)가 상기 리테이너(30)의 나사공(32)에 체결된 상태에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볼트(16)를 조이게 되면, 상기 조절볼트(16)가 현위치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리테이너(30)는 상기 렌즈 하우징(10) 측으로 당겨지게 되는 것이고, 따라서 상기 반사부재(20)는 상기 피벗축(14)의 끝단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하부로 각도 조절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adjustment bolt 16 rotatably installed in the lens housing 10 is fastened to the screw hole 32 of the retainer 30, as shown in FIG. 5A, tighten the adjustment bolt 16. In this case, the retainer 30 is pulled toward the lens housing 10 because the adjusting bolt 16 is rotated at the current position, and thus the reflecting member 20 is an end portion of the pivot shaft 14. The angle is adjusted to the lower side about the center.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볼트(16)를 풀게 되면 상기 리테이너(30)가 렌즈 하우징(10)에서 밀려나게 되어 상기 반사부재(20)는 상기 피벗축(14)을 중심으로 하여 상부로 각도 조절되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B, when the adjusting bolt 16 is released, the retainer 30 is pushed out of the lens housing 10 so that the reflecting member 20 has the pivot axis 14 as the center. It is angled upward.
이와 같이 상기 조절볼트(16)의 조임과 풀림에 의하여 반사부재(20)의 각도가 조절될 때, 상기 리테이너(30)는 상기 상,하부 탄성편(38A,38B)이 상기 상,하부 안착면(28A,28B)에 안착되어 면접촉하기 때문에 설치 브라켓(24)에 작용하는 하중이 분산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설치 브라켓(24) 또는 리테이너(30)의 손상이 최소화된다.As such, when the angle of the reflective member 20 is adjusted by tightening and loosening the adjusting bolt 16, the retainer 30 has the upper and lower elastic pieces 38A and 38B on the upper and lower seating surfaces. Loads acting on the mounting bracket 24 can be dissipated because they are seated on the surface 28A and 28B,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mounting bracket 24 or the retainer 30.
또한, 상기 리테이너(30)가 상기 설치 브라켓(24)에 면접촉을 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조절볼트(16)의 조임 및 풀림에 의한 상기 반사부재(20)의 각도 조절이 보다 안정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retainer 30 is installed in surface contact with the mounting bracket 24, the angle adjustment of the reflective member 20 by tightening and loosening the adjusting bolt 16 is more stable and accurate. It will be possible.
이때, 상기 조절볼트(16)의 조임 및 풀림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리테이너(30)는 상기 설치공(2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는데, 이는 상기 상,하부 탄성편(38A,38B)이 상,하부 안착면(28A,28B)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하부 탄성편(38A,38B)이 연장 형성된 각 수직단(36A,36B)의 끝단이 상기 설치공(26)의 걸림턱(28C)에 걸리기 때문이다.At this time, even if the tightening and loosening of the adjustment bolt 16 occurs, the retainer 30 is not separated from the installation hole 26, which is the upper, lower elastic pieces (38A, 38B) is mounted on the upper, lower In the state seated on the surface 28A, 28B, the end of each vertical end 36A, 36B having the upper and lower elastic pieces 38A, 38B formed thereon is caught by the catching jaw 28C of the installation hole 26. Because.
한편, 상기 반사부재(20)를 상기 피벗축(14)의 끝단부를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간격 조절하기 위해서는 첨부된 도면중에서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볼트(16)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하게 되면, 상기 반사부재(20의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djust the reflection member 20 to the left, right intervals around the end of the pivot shaft 14, the adjustment bolt 16 is moved to the left or right as shown in 5c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n the fixed and then fixed, it is possible to move the left and right of the reflective member 20.
이때, 상기 조절볼트(16)가 설치되는 렌즈 하우징(10)의 체결공(도시되지 않음)은 장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hole (not shown) of the lens housing 10 in which the adjusting bolt 16 is installed is preferably formed as a long hole.
이와 같이 상기 반사부재(20)의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상기 리테이너(30)의 외부폭(W1)이 상기 설치공(26)의 내부폭(W2)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상기 리테이너(30)는 상기 설치공(26)에 끼워진 상태에서 외부폭(W1)과 내부폭(W2)의 차이 간격만큼 좌,우로 이동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반사부재(20)의 좌우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way,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reflective member 20 is possible because the outer width W1 of the retainer 30 is smaller than the inner width W2 of the installation hole 26. 30 may be moved left and right by the difference interval between the outer width W1 and the inner width W2 in a state of being fit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26, and thus the left and right angles of the reflective member 20 It can be adjusted.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자동차용 등화기구의 광축 조정장치는 렌즈 하우징에 설치된 조절볼트가 체결되는 리테이너가 원호형의 탄성편을 구비하여 원호형의 안착면을 갖는 반사부재의 설치 브라켓에 설치됨으로 조절볼트를 지지하는 리테이너와 설치 브라켓이 면접촉을 이루게 되어 설치 브라켓의 파손방지는 물론, 반사부재의 각도 조절이 보다 정확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리테이너가 설치공에 설치 브라켓의 길이방향으로 조립되고, 리테이너의 방향이 정방향이 아닌 상태에서는 리테이너가 끼워지지 않게 되어 리테이너의 오조립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In the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of the automobile lighting device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er to which the adjustment bolt installed in the lens housing is fastened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bracket of the reflection member having the arc-shaped seating surface with an arc-shaped elastic piece. The retainer supporting the bolt and the mounting bracket make contact with the surface to prevent damage to the mounting bracket, and to adjust the angle of the reflective member more accurately and stably, and the retainer is assembled to the mounting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bracket. In the state where the direction of the retainer is not the forward direction, the retainer is not fitted so that an incorrect assembly of the retainer can be prevented at the source.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10016066U KR200249162Y1 (en) | 2001-05-30 | 2001-05-30 | Beme axis aiming device of lamp for automobi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10016066U KR200249162Y1 (en) | 2001-05-30 | 2001-05-30 | Beme axis aiming device of lamp for automobil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249162Y1 true KR200249162Y1 (en) | 2001-11-16 |
Family
ID=7306616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10016066U Expired - Fee Related KR200249162Y1 (en) | 2001-05-30 | 2001-05-30 | Beme axis aiming device of lamp for automobi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249162Y1 (en)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462666B1 (en) * | 2001-12-13 | 2004-12-23 |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 Vehicle lamp |
| KR101877724B1 (en) * | 2017-01-26 | 2018-07-12 | 신영공업 주식회사 | Indoor fire hydrant with improved assembly structure |
| KR101987916B1 (en) * | 2018-02-01 | 2019-06-12 | 주식회사 알리 | Lamp for vehicle and irradiation angle adjusting method thereof |
| CN116877949A (en) * | 2023-07-14 | 2023-10-13 | 常州星宇车灯股份有限公司 | Dimming bracket and adjusting method thereof |
-
2001
- 2001-05-30 KR KR2020010016066U patent/KR200249162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462666B1 (en) * | 2001-12-13 | 2004-12-23 |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 Vehicle lamp |
| KR101877724B1 (en) * | 2017-01-26 | 2018-07-12 | 신영공업 주식회사 | Indoor fire hydrant with improved assembly structure |
| KR101987916B1 (en) * | 2018-02-01 | 2019-06-12 | 주식회사 알리 | Lamp for vehicle and irradiation angle adjusting method thereof |
| CN116877949A (en) * | 2023-07-14 | 2023-10-13 | 常州星宇车灯股份有限公司 | Dimming bracket and adjusting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749575B1 (en) | Vehicular headlamp | |
| KR20090118873A (en) | Headlights for Projector Vehicles | |
| US20130141930A1 (en) | Vehicular headlamp | |
| US8235565B2 (en) | Vehicular lamp | |
| KR200249162Y1 (en) | Beme axis aiming device of lamp for automobile | |
| US5497298A (en) | Headlamp assembly with coil spring bulb shield | |
| JPH0423709Y2 (en) | ||
| US7284887B2 (en) | Sliding adjuster | |
| GB2303436A (en) | Aiming mechanism for vehicle lamp reflector | |
| WO2023026865A1 (en) | Lighting fixture for vehicle | |
| US5530629A (en) |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for automotive headlights | |
| US20160312971A1 (en) | Vehicle lighting fixture | |
| JP7469950B2 (en) | Vehicle parts and vehicle headlights | |
| JP3193638B2 (en) | Vehicle lighting | |
| JP4803166B2 (en) | Vehicle lighting | |
| KR20170062872A (en) | Lamp for vehicle | |
| KR20230031325A (en) | car headlight | |
| US20200400293A1 (en) | Automotive lighting device with an electrical wiring guiding member | |
| JPH0411283Y2 (en) | ||
| KR200495392Y1 (en) | Lamp for vehicle | |
| KR200148019Y1 (en) | Reflector optical axis adjuster for headlights for automobiles | |
| JP2021170509A (en) | Vehicle lighting | |
| JP2007042288A (en) | Clip and vehicular lighting fixture | |
| KR20180056952A (en) | Lamp for vehicle | |
| KR0127960Y1 (en) | License lamp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 UT0201 |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3-W10-W00-oth-UT0201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0209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T601 |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 ||
| UT0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N-5-6-H10-H12-rvc-UT0601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20923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