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86464Y1 - Omni-directional toy vehicle - Google Patents

Omni-directional toy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464Y1
KR200286464Y1 KR2020020004535U KR20020004535U KR200286464Y1 KR 200286464 Y1 KR200286464 Y1 KR 200286464Y1 KR 2020020004535 U KR2020020004535 U KR 2020020004535U KR 20020004535 U KR20020004535 U KR 20020004535U KR 200286464 Y1 KR200286464 Y1 KR 2002864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mnidirectional
wheels
coupled
driving
dr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53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변경석
최규만
이승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텍
Priority to KR20200200045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46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464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전방향 바퀴들을 장착하고 상기 바퀴들을 각각 수동으로 구동시킴으로서 상기 바퀴들 각각의 회전 조합에 의하여 전후, 좌우 및 회전의 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전방향 이동 승용완구가 게시된다. 상기 승용완구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전방향 바퀴, 상기 회전축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방향 바퀴를 구동시키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구동 수단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좌석부를 포함한다. 상기 승용완구는 전륜 및 후륜 바퀴 모두에 전방향 바퀴를 적용하고 상기 바퀴들을 각기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바퀴들의 구동 조합에 의하여 전후, 좌우, 및 회전의 전방향에 대하여 이동을 할 수 있으며, 전방향 바퀴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조향장치가 없이 구동 및 조향을 동시에 할 수 있다.By mounting the omni-directional wheels and manually driving the wheels respectively,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 is posted which can be moved forwards, backwards, leftwards and leftwards by the rotational combination of each of the wheels. The riding toy is a frame, at least three or more rotational shaft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at least three or more omnidirectional wheels coupled to the rotational shaft, and at least three connected to the rotational shafts to respectively drive the omnidirectional wheels At least one drive means and a seat portion coupled to the top of the frame. The riding toy can mov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and in all directions of rotation by driving combinations of the wheels by applying forward wheels to both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nd allowing the wheels to be driven separately. By using the directional wheel, it is possible to drive and steer simultaneously without a separate steering device.

Description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OMNI-DIRECTIONAL TOY VEHICLE}Omni-directional toy for riding {OMNI-DIRECTIONAL TOY VEHICLE}

본 고안은 전방향(Omni-direction) 이동 승용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용 완구에 전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바퀴들을 장착하고 상기 바퀴들을 각각 수동으로 구동시킴으로서 상기 바퀴들 각각의 회전방향 조합에 의하여 전진, 후진, 회전 및 좌우 이동 등 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 할 수 있도록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mni-directional moving toy,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driving toy, wheels for enabling omni-directional movement and manually driving the wheels, respectively, to rotate the directions of each of the wheel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ward-moving riding toy that enables movement in all directions, such as forward, backward, rotation, and horizontal movement.

일반적인 차량 및 이동 로봇 등을 구동방식에 따라 구분하면, 대체로 독립적인 두 바퀴 구동방식(Independent Two Driving Wheel Mechanism)이나 조향 구동방식(Steering and Driving Mechanism)으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구동방식에는 움직임에 제약이 있다. 즉, 앞으로 움직이던 상태에서 차체를 직접 회전시키지 않고는 바로 옆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의 제약으로 협소한 공간에서의 움직임이 어렵고,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하여 복잡한 경로의 계산이 필요하게 된다.When a general vehicle and a mobile robot are classified according to a driving method, they are generally classified into independent two driving wheel mechanisms or steering and driving mechanisms. The conventional driv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has a limitation in movement. That is, the vehicle can not move to the right side without directly rotating the body in the state of moving forward. Due to this limitation of movement, movement in a narrow space is difficult, and a complicated path calculation is required to reach a desired position.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개발된 것이 전방향 구동방식이다. 전방향 구동방식은 차량 및 이동 로봇 등의 운동능력을 향상시켜 2차원 평면에서 3자유도(전후, 좌우, 회전)의 운동이 가능 하도록 함으로써, 임의의 자세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주행이 가능하다.The omnidirectional driving method was developed to compensate for the above disadvantages. The omni-directional driving method improves the motor capability of a vehicle and a mobile robot to enable movement of three degrees of freedom (front, rear, left, and right) in a two-dimensional plane, so that it can travel in any direction in any posture.

지금까지 이러한 전방향 구동을 위한 여러 종류의 전방향 메커니즘이 연구되었으며, 상기 전방향 메커니즘은 크게 종래의 일반적인 바퀴를 사용하는 방법과 전방향 구동을 위하여 특수하게 설계된 바퀴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오프-센터 휠 메커니즘(Off-Centered Wheel Mechanism)은 종래의 바퀴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메커니즘으로서 전방향 구동을 하기 위하여 각 바퀴에 바퀴의 중심과 일정한 거리가 있도록 조향축을 설치하고, 각 바퀴를 조향 및 구동하여 전방향 구동이 가능 하도록 한다. 이에 대하여 전방향 구동을 위하여 특수하게 설계된 바퀴들로는 유니버설 휠(Universal Wheel), 메카넘 휠(Mecanum Wheel), 더블 휠(Double Wheel), 얼터닛 휠(Alternate Wheel), 하프 휠(Half Wheel), 오쏘고날 휠(Orthogonal Wheel), 볼 휠(Ball Wheel) 등의 여러 방식이 있다. 이들의 형태는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는 바퀴의 회전을 통해서 구동력을 전달하는 능동 모드와 구동력을 전달하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수동 모드의 두 가지 모드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능동과 수동 모드를 갖고 전방향 구동에 이용될 수 있는 바퀴를 통칭하여 전방향 바퀴라고 칭한다.Until now, various kinds of omnidirectional mechanisms for such omnidirectional driving have been studied, and the omnidirectional mechanisms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a method using a conventional general wheel and a method using a wheel specially designed for omnidirectional driving. have. Off-Centered Wheel Mechanism is a typical mechanism that uses conventional wheels. In order to drive in all directions, steering wheels are provided on each wheel so th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wheel is provided. To enable omni-directional driving. Specially designed wheels for omnidirectional driving include Universal Wheel, Mecanum Wheel, Double Wheel, Alternate Wheel, Half Wheel, and Oh. There are several methods, such as the Orthogonal Wheel and the Ball Wheel. Although there are various forms of these, there are two modes in common: an active mode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hrough rotation of a wheel and a passive mode for freely rotating without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he wheels that are active and passive as described above and can be used for omnidirectional driving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omnidirectional wheels.

도 1은 전방향 구동 바퀴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1 show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omni-directional driving wheels.

도 1의 (a)에 도시된 전방향 바퀴는 유니버설 휠이다. 상기 유니버설 휠은 전방향 바퀴 중 가장 고전적인 것으로서, 서로 다른 회전축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여러 개의 수동 롤러로 구성된다. 여기서, 각 수동 롤러의 회전축은 바퀴의원주와 접하는 방향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유니버설 휠은 각 수동 롤러간의 간격으로 인해 지면과의 접촉이 불연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므로, 차량이 수직방향으로 진동을 하게 된다.The omnidirectional wheel shown in FIG. 1A is a universal wheel. The universal wheel is the most classic of the omni-directional wheels, and consists of several manual rollers capable of freely rotating different rotation axes. Here, the rotation axis of each manual roller is configured in the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ce of the wheel. However, since the universal wheel is discontinuously in contact with the ground due to the distance between the manual rollers, the vehicle vib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와 같은 수직방향의 진동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 1의 (b) 및 (c)에 각각 도시된 메카넘 휠과 더블 휠이 제안되었다. 상기 메카넘 휠은 각 롤러를 바퀴 주위에 45도 기울여 배치한 것이고, 상기 더블 휠은 바퀴 2개를 겹쳐서 배치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메카넘 휠 및 더블 휠도 지면과 완전히 연속적으로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차량의 병진 운동시에는 수평방향의 진동을 야기하게 된다. 또한, 회전운동을 할 때에는 차량 몸체의 중심에서 바퀴까지의 반지름이 불연속 접촉시마다 변화되기 때문에, 바퀴가 일정한 각속도로 운동하는 경우에도 몸체의 회전속도가 일정하지 않게 된다. 더욱이, 메카넘 휠은 바퀴가 감속기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바퀴의 관성모멘트를 증가시키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주행시 구동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In order to eliminate the vertical vib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mecanum wheel and the double wheel shown in FIGS. 1B and 1C, respectively, have been proposed. The mecanum wheels are arranged at an angle of 45 degrees around the wheels, and the double wheels are arranged by overlapping two wheels. However, the mecanum wheel and the double wheel also do not come into complete contact with the ground, causing horizontal vibration during the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vehicle. In addition, during the rotational movement, since the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to the wheel changes every discontinuous contac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ody is not constant even when the wheel moves at a constant angular speed. In addition, since the wheel can act as a reducer, the mecanum wheel exhibits the same effect as increasing the moment of inertia of the wheel, thereby reducing driving efficiency during driving.

상기와 같은 수평 진동을 야기하지 않고 수직 진동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도 1의 (d) 및 (e)에 각각 도시된 얼터닛 휠 및 하프 휠이 제안되었다. 상기 얼터닛 휠은 작은 롤러와 큰 롤러를 번갈아 배치한 것이고, 상기 하프 휠은 기존 롤러의 절반을 절단한 형태의 롤러를 겹쳐서 배치한 것이다.As a method for reducing vertical vibration without causing horizontal vib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Ethernet wheel and the half wheel shown in FIGS. 1D and 1E, respectively, have been proposed. The alternate wheel is arranged alternately between a small roller and a large roller, and the half wheel is arranged by overlapping rollers in a form in which half of the existing roller is cut.

또한, 도 1의 (f)에 도시된 오쏘고날 휠은 롤러 2개의 회전축을 수직으로 배치한 것이며, 도 1의 (g)에 도시된 볼 휠은 구 형태의 바퀴를 사용하여 능동 모드와 수동 모드를 구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orthogonal wheel shown in Fig. 1 (f) is a vertical arrangement of the rotation axis of the two rollers, the ball wheel shown in Fig. 1 (g) is an active mode and passive using a spherical wheel It is an implementation of the mode.

상기와 같은 전방향 바퀴들은 각각 단점들을 가지고 있지만, 종래의 일반적인 바퀴와는 다르게 상술한 바와 같이 능동모드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방향과 수동 모드로 외부의 힘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하여 진행하는 방향을 동시에 갖게 되므로, 2차원 평면에서 3자유도(전후, 좌우, 회전)의 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Each of the omnidirectional wheels has its disadvantages, but unlike the conventional wheels,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wheels have a direction of transmitting driving force in an active mode and a direction of free rotation by an external force in a passive mod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ovement of three degrees of freedom (front, rear, left and right) in a two-dimensional plane is possible.

이에 대하여, Roger F. Hiscock은 미합중국 특허 제 4,335,899호에서 상술한 전방향 바퀴를 이용한 승용 완구를 제시하고 있다.In this regard, Roger F. Hiscock proposes a riding toy using the omnidirectional wheel described in US Pat. No. 4,335,899.

도 2는 상기 미국 특허에 제시된 승용 완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2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riding toy set forth in the above-mentioned US patent.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승용 완구(10)는 프레임(15) 및 상기 프레임(15)의 뒤쪽 상부에 장착되는 좌석(20)을 포함한다. 이 때, 후륜 바퀴(25)는 프레임(15)의 뒤쪽에 구동축(3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하우징(35)은 프레임(15)의 앞쪽에 결합된다. 상기 후륜 바퀴(25)의 외주면 상에는 후륜 바퀴(25)의 회전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다수의 롤러(70)가 결합된다. 또한, 전륜 바퀴(40)는 프레임(15)의 앞쪽에 지지축(45)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수직 핀(50)을 통하여 하우징(35)에 연결되어 승용 완구(10)를 조향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핸들(55)에 의하여 전륜 바퀴(40)가 조향되며, 이 경우 핸들(55)에 연결된 조향축(60) 및 조향축(60)에 연동하는 조향 링크(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전륜 바퀴(40)가 조향된다. 더욱이, 하우징(35)의 뒤쪽에는 페달(65)이 인접하게 장착된다. 이 때, 페달(65)과 구동축(30)은 체인 및 스프로켓(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페달(65)의 회전에 따라 후륜 바퀴(25)가 구동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riding toy 10 includes a frame 15 and a seat 20 mounted on a rear upper portion of the frame 15. At this time, the rear wheel 25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drive shaft 30 in the rear of the frame 15, the housing 35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rame (15).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wheel 25 is coupled a plurality of rollers 70 that can be rot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rear wheel 25. In addition, the front wheel 4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45 in front of the frame 15, is connected to the housing 35 through the vertical pin 50 to steer the riding toy 10. To help. In other words, the front wheel wheel 40 is steered by the handle 55, in this case the front wheel wheel by the steering shaft 60 connected to the handle 55 and the steering link (not shown) in conjunction with the steering shaft 60 40 is steered. Moreover, the pedal 65 is mounted adjacent to the rear of the housing 35. At this time, the pedal 65 and the drive shaft 30 are connected using a chain and a sprocket (not shown), so that the rear wheel 25 is drive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edal 65.

그러나, 전술한 구성을 갖는 승용 완구(10)는 후륜 바퀴(25)에 유니버설 휠형태의 전방향 바퀴를 적용하였지만, 후륜 바퀴(25)의 좌우가 각기 개별적으로 구동되지 않음과 동시에 핸들(55)과 연결된 전륜 바퀴(40)의 조향에 의하여 승용 완구(10)가 조향되므로 완전한 전방향 이동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riding toy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pplies the universal wheel-type omnidirectional wheels to the rear wheels 25, bu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wheels 25 are not individually driven, and at the same time the handle 55 is used. The riding toy 10 is steered by the steering of the front wheel 40 connected to the steering wheel.

따라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전륜 및 후륜 바퀴 모두에 전방향 바퀴를 적용하고 상기 바퀴들을 각기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바퀴들의 구동 방향 조합에 의하여 전후, 좌우, 및 회전의 전방향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한 승용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the omni-directional wheels to both the front and rear wheels, and to drive the wheels individually, so that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an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re rota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driving directions of the respective wheels. It is to provide a rideable toy that can be moved.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방향 바퀴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조향장치가 없이 상기 전방향 바퀴의 구동 조합에 의하여 구동 및 조향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전방향 바퀴의 구동을 수동으로 하게 함으로써 승용 완구의 운전에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승용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omni-directional wheel, to drive and steer simultaneously by the drive combination of the omni-directional wheel without a separate steering device, by driving the omni-directional wheel manually It is to provide a ride toy that can be fun to drive the toy.

도 1은 전방향 구동 바퀴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omni-directional driving wheels.

도 2는 종래 승용 완구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riding toy.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의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the toy for omnidirectional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 가운데 제1 전방향 바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FIG. 4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first omnidirectional wheel among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s shown in FIG. 3.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 가운데 제2 전방향 바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FIG. 5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among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s shown in FIG. 3.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 가운데 제3 전방향 바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FIG. 6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third omnidirectional wheel among the omnidirectional traveling toys shown in FIG. 3.

도 7은 도 3에 도시한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 가운데 제1 구동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FIG. 7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driving means among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s shown in FIG. 3.

도 8은 도 3에 도시한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 가운데 제2 구동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FIG. 8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second driving means among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s shown in FIG. 3.

도 9는 도 3에 도시한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 가운데 제3 구동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FIG. 9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third driving means among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s shown in FIG. 3.

도 10은 도 3에 도시한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 가운데 제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FIG. 10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braking means among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s shown in FIG. 3.

도 11은 도 3에 도시한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 가운데 클러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It is a top view for demonstrating the clutch among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s shown in FIG.

도 12는 도 3에 도시한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 12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riving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 shown in FIG. 3.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의 평면도이다.Figure 13 is a plan view of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의 평면도이다.14 is a plan view of the toy for omnidirectional mov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의 평면도이다.15 is a plan view of the toy for omnidirectional mov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의 평면도이다.16 is a plan view of the toy for omnidirectional mov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 가운데 제1 구동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It is a top view for demonstrating the 1st drive means among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 shown in FIG.

도 18은 도 16에 도시한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 가운데 제2 구동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It is a top view for demonstrating the 2nd drive means among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 shown in FIG.

도 19는 도 16에 도시한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 가운데 제3 구동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It is a top view for demonstrating the 3rd drive means among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 shown in FIG.

도 20은 도 16에 도시한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 가운데 제1 및 제2 차동기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 20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and second differential gears of the omnidirectional traveling toy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300, 400, 500, 600:승용 완구100, 300, 400, 500, 600: Riding toy

105, 305, 405, 505, 605:프레임105, 305, 405, 505, 605: Frame

105, 305, 405, 505, 605:프레임105, 305, 405, 505, 605: Frame

111, 112, 113:제1 내지 제3 회전축111, 112, and 113: first to third rotating shafts

121, 122, 123: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121, 122, and 123: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131, 132, 133:제1 내지 제3 구동 수단131, 132, and 133: first to third drive means

140, 340, 440, 540, 640:좌석부140, 340, 440, 540, 640: Seat

145, 345, 445, 545, 645:하우징 150, 155, 160:수동 롤러145, 345, 445, 545, 645: housing 150, 155, 160: manual roller

165, 655:베벨 기어부165, 655: Bevel gear part

171, 172, 173:제1 내지 제3 구동 손잡이171, 172, 173: first to third drive knobs

181, 182, 183, 184, 185, 186:제1 내지 제6 동력전달 수단181, 182, 183, 184, 185, 186: first to sixth power transmission means

191, 192, 193:제1 내지 제3 지지끈 201, 202:제1 및 제2 발판191, 192, 193: first to third support straps 201, 202: first and second footrests

205:제동수단205: braking means

211, 212, 213:제1 내지 제3 벨트 221, 222:제1 및 제2 파지부211, 212, 213: 1st to 3rd belts 221, 222: 1st and 2nd holding parts

225, 350, 450, 550, 715:제동 손잡이225, 350, 450, 550, 715: Braking handle

231, 232, 233:제1 내지 제3 제동 와이어231, 232, and 233: first to third braking wires

241, 242, 243:제1 내지 제3 제동부재 250:클러치241, 242, 243: first to third braking members 250: clutch

255, 355, 455, 555, 720:클러치 손잡이255, 355, 455, 555, 720 : clutch handle

261, 262, 263:제1 내지 제3 클러치 와이어261, 262, and 263: first to third clutch wires

271, 272, 273:제1 내지 제3 클러치 부재 280:승용완구 중심271, 272, 273: first to third clutch members 280: passenger toy center

311, 312, 313:제1 내지 제3 회전축311, 312, and 313: first to third rotation shafts

321, 322, 323: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321, 322, and 323: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331, 332, 333:제1 내지 제3 구동 수단331, 332, 333: first to third drive means

411, 412, 413:제1 내지 제3 회전축411, 412, 413: first to third rotary shafts

421, 422, 423: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421, 422, 423: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431, 432, 433:제1 내지 제3 구동 수단431, 432, 433: first to third drive means

511, 512, 513:제1 내지 제3 회전축511, 512, 513: first to third rotary shafts

521, 522, 523: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521, 522, 523: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531, 532, 533:제1 내지 제3 구동 수단531, 532, and 533: first to third drive means

611, 612, 613:제1 내지 제3 회전축611, 612, and 613: first to third rotary shafts

621, 622, 623: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621, 622, 623: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631, 632, 633:제1 내지 제3 구동 수단 651, 652:제1 및 제2 차동기어631, 632, 633: first to third drive means 651, 652: first and second differential gears

661, 662, 663:제1 내지 제3 구동 손잡이661, 662, 663: first to third drive knobs

671, 672, 673, 674, 675, 676:제1 내지 제6 동력전달 수단671, 672, 673, 674, 675, 676: first to sixth power transmission means

681, 682, 683:제1 내지 제3 벨트681, 682, and 683: first to third belts

691, 692, 693:제1 내지 제3 지지끈 701, 702:제1 및 제2 발판691, 692, 693: 1st to 3rd support strings 701, 702: 1st and 2nd scaffolding

705:기어부 711, 712:제1 및 제2 파지부705: Gear parts 711, 712: First and second gripping parts

725:연결축725: connecting shaft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동으로 구동되는 승용 완구에 있어서 상기 승용 완구의 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회전축,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전방향 바퀴,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회전축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전방향바퀴를 구동시키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구동 수단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좌석부를 포함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riding toy in a manually driven riding toy, at least three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frame At least three rotation wheels coupled to the at least three rotation shafts, at least three driving means connected to the at least three rotation shafts respectively to drive the at least three omnidirectional wheels, and An omnidirectional movable toy is provided that includes a seating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회전축은 제1 내지 제3 회전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회전축 가운데 선택된 어느 1개는 다른 2개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회전축 가운데 선택된 어느 2개에는 차동기어가 각각 장착된다.Preferably, the at least three or more rotation shafts are composed of first to third rotation shafts, any one selected from the first to third rotation shafts is coup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ther two, and the first to third rotation shafts. Two of the third rotating shafts are respectively equipped with differential gears.

또한,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전방향 바퀴는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로 구성되며, 이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는 수동 롤러를 갖는 전방향 바퀴 가운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개로 구성될 수 있다.The at least three omnidirectional wheels may includ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in which case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may include any one or two selected omnidirectional wheels having a manual roller. Can be.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 가운데 선택된 어느 하나는 전륜 바퀴이고, 나머지 2개는 후륜 바퀴일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selected from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may be front wheels, and the other two may be rear wheels.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 가운데 선택된 어느 2개는 전륜 바퀴이고, 나머지 1개는 후륜 바퀴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two selected from the first to the third forward wheels may be a front wheel, and the other one may be a rear wheel.

또한,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구동 수단은 제1 내지 제3 구동 수단으로 구성되며, 이 때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 수단은 일측이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제1 내지 제3 구동 손잡이,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 손잡이의 일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내지 제3 동력전달 수단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동력전달 수단과 각각 연결되는 제4 내지 제6 동력전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 손잡이에는 양측을 연결하는 제1 내지 제3 지지끈이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내지 제6 동력전달 수단은 기어 또는 풀리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내지 제3 동력전달 수단 및 제4 내지 제6 동력전달 수단은 체인 또는 벨트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t least three or more driving means is composed of first to third driving means, wherein the first to third driving means are first to third drive knobs,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respectively. And first to third power transmission mean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to third driving handles, and fourth to sixth power transmission mean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power transmission means. First to third support straps are coupled to the first to third driving knobs. Preferably, the first to sixth power transmission means may be a gear or a pulley, and the first to third power transmission means and the fourth to sixth power transmission means may be connected by a chain or a belt, respectively.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 손잡이 가운데 선택된 어느 2개는 전륜 구동용이고, 나머지 1개는 후륜 구동용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륜 구동용 구동 손잡이는 발로 구동되며, 상기 후륜 구동 손잡이는 손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전륜 구동용 구동 손잡이는 손으로 구동되며, 상기 후륜 구동 손잡이는 발로 구동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two selected from the first to third drive handle is for the front wheel drive, the other one may be for the rear wheel drive. In this case, the front wheel drive handle may be driven by the foot, the rear wheel drive handle may be driven by hand, the front wheel drive handle is driven by hand, the rear wheel drive handle may be driven by the foot.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 손잡이 가운데 선택된 어느 2개는 후륜 구동용이고, 나머지 1개는 전륜 구동용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륜 구동용 구동 손잡이는 발로 구동되며, 상기 후륜 구동 손잡이는 손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전륜 구동용 구동 손잡이는 손으로 구동되며, 상기 후륜 구동 손잡이는 발로 구동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two selected from the first to third drive handle is for the rear wheel drive, the other one may be for the front wheel drive. At this time, the front wheel drive driving handle is driven by the foot, the rear wheel drive handle may be driven by hand, the front wheel drive driving handle is driven by hand, the rear wheel drive handle may be driven by the foo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를 제동시키는 제동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동수단은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 손잡이 가운데 선택된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제동 손잡이, 일측이 상기 제동 손잡이의 일측과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로 각기 연장되는 제1 내지 제3 제동 와이어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제동 와이어의 타측과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의 외주면에 각각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 제동 부재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동수단은 상기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를 동시에 제동시키게 된다.Preferably, further comprising a braking means for braking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wherein the braking means is a braking handle coupled to any one selected from the first to third driving handles, one side of the braking handle I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to third braking wire and the first to third braking wire respectively extending to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respectively, the first to third And first to third braking members disposed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mnidirectional wheel. At this time, the braking means brakes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simultaneously.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단속시키는 클러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클러치는 자동 클러치 또는 수동 클러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동 클러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 손잡이 가운데 선택된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클러치 손잡이, 일측이 상기 클러치 손잡이의 일측과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로 각기 연장되는 제1 내지 제3 클러치 와이어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클러치 와이어의 타측과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4 내지 제6 동력전달 수단에 인접하게 각각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3 클러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동시에 단속시키게 된다.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clutch for selectively controlling a driving force transmitted to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wherein the clutch may use an automatic clutch or a manual clutch. In this case, the manual clutch is a clutch handle coupled to any one selected from the first to third drive handles, one side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lutch handle, the other side is extended to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respectively And first to third clutch wire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to third clutch wires and the first to third clutch wires, and installed to be adjacent to the fourth to sixth power transmission means. The clutch intermittently drives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to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 결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하우징은 자동차, 모터사이클 또는 캐릭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housing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In this case, the housing may be formed in an automobile, a motorcycle, or a character shape.

본 고안에 따른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에 의하면, 상기 승용 완구는 전륜 및 후륜 바퀴 모두에 전방향 바퀴를 적용하고 상기 바퀴들을 각기 독립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바퀴들의 구동 방향 조합에 의하여 전후, 좌우, 및 회전의 전방향에 대하여 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전방향 바퀴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조향장치가 없이 상기 전방향 바퀴의 구동 조합에 의하여 구동 및 조향을 동시에 할 수 있으며, 상기 전방향 바퀴의 구동을 수동으로 하게 함으로써 승용 완구의 운전에 재미를 느낄 수 있다.According to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iding toy is applied to all the front wheels and rear wheels to enable the front wheels and to drive the wheels independently, respectively, by the combination of the driving direction of each wheel, It can move about the right and left and the omnidirectional direction of rotation. In addition, by using the omni-directional wheels, it is possible to drive and steer simultaneously by the drive combination of the omni-directional wheels without a separate steering device, it is fun to drive the ride toys by manually driving the omni-directional wheels I can feel i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실시예 1Example 1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3 shows a plan view of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승용 완구(100)는 프레임(105), 제1 내지 제3 회전축(111, 112, 113),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121, 122, 123), 제1 내지 제3 구동 수단(131, 132, 133) 및 좌석부(140)를 포함한다. 이 때, 프레임(105)의 외부에는 하우징(145)이 결합되며, 하우징(145)은 자동차, 모터사이클, 캐릭터 등의 형상으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riding to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rame 105, first to third rotating shafts 111, 112, and 113, and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121, 122, and 123. ), First to third driving means (131, 132, 133) and the seat 140. At this time, the housing 145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105, the housing 145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ar, a motorcycle, a character.

상기 제1 내지 제3 회전축(111, 112, 113)은 프레임(105)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제2 및 제3 회전축(112, 113)은 프레임(105)의 후방에서 동일 선상에 결합되며, 제1 회전축(111)은 프레임(105)의 전방에서 제2 및 제3 회전축(112, 113)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된다. 또한,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121, 122, 123)는 제1 내지 제3 회전축(111, 112, 113)의 일측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 수단(131, 132, 133)은 프레임(105)에 결합되며, 제1 내지 제3 회전축(111, 112, 113)과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121, 122, 12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좌석부(140)가 프레임(105)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승용 완구(100)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to third rotation shafts 111, 112, and 113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105. In this case, the second and third rotation shafts 112 and 113 are coupled to the same line at the rear of the frame 105, and the first rotation shaft 111 is connected to the second and third rotation shafts 112 in front of the frame 105. , 113). 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121, 122, and 123 are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to third rotation shafts 111, 112, and 113, respectively. The first to third driving means 131, 132, and 133 are coupled to the frame 105,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rotation shafts 111, 112, and 113 so as to allow power transmission. 3 Rotate the omnidirectional wheels 121, 122, 123. Moreover, the seat 140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frame 105 to allow the user to ride on the riding toy 100.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 가운데 제1 전방향 바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4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first omnidirectional wheel among the omnidirectional traveling toys shown in FIG. 3.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방향 바퀴(121)는 더블 휠(Double Wheel)을 사용한다. 상기 더블 휠은 다수의 수동 롤러(150)가 바퀴의 외주면상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바퀴가 회전축의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즉, 제1 회전축(111)에 결합된 제1 전방향 바퀴(121)는 제1 회전축(111)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다수의 수동 롤러(150)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제1 전방향 바퀴(121)는 전륜 바퀴로서 동작을 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4,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12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a double wheel. The double wheel has a plurality of manual rollers 150 ar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to enable the wheel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That is,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121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al shaft 111 may be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first rotational shaft 111 and may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plurality of manual rollers 150. It becomes possible. At this time,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121 operates as a front wheel.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 가운데 제2 전방향 바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5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among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s shown in FIG.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전방향 바퀴(122)는 메카넘 휠(Mecanum Wheel)을 사용한다. 상기 메카넘 휠은 다수의 수동 롤러(155)가 바퀴의 외주면상에 회전 방향에 대하여 45°기울어져 배치된다. 즉, 제2 회전축(112)에 결합된 제2 전방향 바퀴(122)는 제2 회전축(112)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다수의 수동 롤러(155)에 의하여 제2 회전축(112)에 대하여 45°방향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제2 전방향 바퀴(122)는 후륜 바퀴로서 동작을 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5, the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12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a mecanum wheel. In the mecanum wheel, a plurality of manual rollers 155 are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at an angle of 45 °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That is, the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122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al shaft 112 may be rot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second rotational shaft 112 and the second rotational shaft 112 by the plurality of manual rollers 155. It is possible to move in the 45 ° direction. At this time, the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122 operates as a rear wheel.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 가운데 제3 전방향 바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6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third omnidirectional wheel among the omnidirectional traveling toys shown in FIG. 3.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전방향 바퀴(123)는 메카넘 휠을 사용한다. 상기 메카넘 휠은 다수의 수동 롤러(160)가 바퀴의 외주면상에 회전 방향에 대하여 45°기울어져 배치된다. 즉, 제3 회전축(113)에 결합된 제3 전방향 바퀴(123)는 제3 회전축(113)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다수의 수동 롤러(160)에 의하여 제3 회전축(113)에 대하여 45°방향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제3 전방향 바퀴(123)는 후륜 바퀴로서 동작을 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6, the third omnidirectional wheel 12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a mecanum wheel. In the mecanum wheel, a plurality of manual rollers 160 are disposed at an angle of 45 °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That is, the third omnidirectional wheel 123 coupled to the third rotation shaft 113 may be rot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third rotation shaft 113 and the third rotation shaft 113 by the plurality of manual rollers 160. It is possible to move in the 45 ° direction. At this time, the third omnidirectional wheel 123 operates as the rear wheels.

도 7은 도 3에 도시한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 가운데 제1 구동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7 show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driving means among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s shown in FIG.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구동 수단(131)은 제1 구동 손잡이(171), 제1 동력전달 수단(181) 및 제4 동력전달 수단(184)을 포함하고, 이 경우 제1 구동 수단(131)은 제1 전방향 바퀴(121)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며, 발을 이용하여 구동하게 된다.4 and 7, the first drive means 131 includes a first drive knob 171, a first power transmission means 181, and a fourth power transmission means 184, in which case The first driving means 131 is used as a means for driving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121 and is driven using the foot.

상기 제1 구동 손잡이(171)는 회전축에 대하여 양측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편심 되도록 형성되어, 제1 구동 수단(131)을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구동 손잡이(171)의 양측에는 제1 및 제2 발판(201, 202)이 결합되며, 제1 및 제2 발판(201, 202)에는 양측을 연결하는 소정 길이의 제1 지지끈(191)이 각각 결합되어 발을 이용하여 제1 구동 수단(131)을 전후 방향으로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drive knob 171 is formed so that both sides are eccentric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first drive means 131 can be rotated more easily. In addition, first and second footrests 201 and 202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driving handle 171, and first support strap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connecting both sides to the first and second footrests 201 and 202.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s 191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easily rotate the first driving means 131 in the front-rear direction using the foot.

상기 제1 동력전달 수단(181)은 풀리를 이용하게 되며, 제1 벨트(211)를 통하여 제4 동력전달 수단(184)과 연결된다. 이 때, 제4 동력전달 수단(184)은 베벨 기어부(165)를 포함하며, 베벨 기어부(165)의 일측은 제1 회전축(111)에 결합된다. 즉, 제1 구동 손잡이(171)에 의한 전후 방향의 회전이 베벨기어부(165)에 의하여 좌우 방향의 회전으로 변환되어 제1 회전축(111)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전방향 바퀴(121)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ans 181 uses a pulley and is connected to the fourth power transmission means 184 through the first belt 211. At this time, the fourth power transmission means 184 includes a bevel gear portion 165, one side of the bevel gear portion 165 is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111. That is, the rota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first driving knob 171 is converted to the rotat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by the bevel gear part 165 to rotate the first rotating shaft 111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reby making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 121) to rotate left and right.

도 8은 도 3에 도시한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 가운데 제2 구동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8: shows the top view for demonstrating the 2nd drive means among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 shown in FIG.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구동 수단(132)은 제2 구동 손잡이(172), 제2 동력전달 수단(182) 및 제5 동력전달 수단(185)을 포함하고, 이 경우 제2 구동 수단(132)은 제2 전방향 바퀴(122)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며, 손을 이용하여 구동하게 된다.5 and 8, the second drive means 132 includes a second drive handle 172, a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182, and a fifth power transmission means 185, in which case The second driving means 132 is used as a means for driving the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122, and is driven using a hand.

상기 제2 구동 손잡이(172)는 회전축에 대하여 편심 되도록 형성되어, 제2 구동 수단(132)을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구동 손잡이(172)의 일측에는 제1 파지부(221)가 결합되며, 제1 파지부(221)에는 양측을 연결하는 소정 길이의 제2 지지끈(192)이 결합되어 손을 이용하여 제2 구동 수단(132)을 전후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drive knob 172 is formed to be eccentric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so that the second drive means 132 can be rotated more easily. In addition, the first holding portion 221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driving handle 172, the second holding strap 192 of a predetermined length connecting both sides is coupled to the first holding portion 221 is a hand. By using the second drive means 132 can be easily rota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상기 제2 동력전달 수단(182)은 풀리를 이용하게 되며, 제2 벨트(212)를 통하여 제5 동력전달 수단(185)과 연결된다. 이 때, 제5 동력전달 수단(185)도 풀리를 이용하게 되며, 제2 회전축(112)에 결합된다. 즉, 제2 구동 손잡이(172)에 의한 전후 방향의 회전이 제2 회전축(112)으로 전달됨으로써, 제2 전방향 바퀴(122)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182 uses a pulley and is connected to the fifth power transmission means 185 through the second belt 212. At this time, the fifth power transmission means 185 also uses a pulley,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112. That is, the rota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second driving knob 172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112, so that the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122 may rotate in the front-rear direction.

도 9는 도 3에 도시한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 가운데 제3 구동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9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third driving means among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s shown in FIG.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3 구동 수단(133)은 제3 구동 손잡이(173), 제3 동력전달 수단(183) 및 제6 동력전달 수단(186)을 포함하고, 이 경우 제3 구동 수단(133)은 제3 전방향 바퀴(123)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며, 손을 이용하여 구동하게 된다.6 and 9, the third driving means 133 includes a third driving knob 173, a third power transmission means 183, and a sixth power transmission means 186, in which case The third driving means 133 is used as a means for driving the third omnidirectional wheel 123 and is driven by using a hand.

상기 제3 구동 손잡이(173)는 회전축에 대하여 편심 되도록 형성되어, 제3 구동 수단(133)을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3 구동 손잡이(173)의 일측에는 제2 파지부(222)가 결합되며, 제2 파지부(222)에는 양측을 연결하는 소정 길이의 제3 지지끈(193)이 결합되어 손을 이용하여 제3 구동 수단(133)을 전후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third drive knob 173 is formed to be eccentric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so that the third drive means 133 can be rotated more easily. In addition, the second gripper 222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third driving handle 173, and the third support strap 193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connecting both sides is coupled to the second gripper 222 to open a hand. By using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rotate the third drive means 133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제3 동력전달 수단(183)은 풀리를 이용하게 되며, 제3 벨트(213)를 통하여 제6 동력전달 수단(186)과 연결된다. 이 때, 제6 동력전달 수단(186)도 풀리를 이용하게 되며, 제3 회전축(113)에 결합된다. 즉, 제3 구동 손잡이(173)에 의한 전후 방향의 회전이 제3 회전축(113)으로 전달됨으로써, 제3 전방향 바퀴(123)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The third power transmission means 183 uses a pulley and is connected to the sixth power transmission means 186 through the third belt 213. At this time, the sixth power transmission means 186 also uses a pulley, and is coupled to the third rotation shaft 113. That is, the rota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third driving knob 173 is transmitted to the third rotation shaft 113, so that the third omnidirectional wheel 123 may rotate in the front-rear direction.

도 10은 도 3에 도시한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 가운데 제동수단을 설명하기위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10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braking means among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s shown in FIG.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동수단(205)은 제동 손잡이(225), 제1 내지 제3 제동 와이어(231, 232, 233) 및 제1 내지 제3 제동부재(241, 242, 24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braking means 205 includes a braking handle 225, first to third braking wires 231, 232, and 233, and first to third braking members 241, 242, and 243. do.

상기 제동 손잡이(225)의 일측은 제2 구동 손잡이(172)의 제1 파지부(2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동 손잡이(225)의 일측에는 제1 내지 제3 제동 와이어(231, 232, 233)의 일측이 각각 연결되며, 제1 내지 제3 제동 와이어(231, 232, 233)의 타측은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121, 122, 123)로 각각 연장된다. 이 때, 제1 내지 제3 제동 와이어(231, 232, 233)의 타측에는 제1 내지 제3 제동부재(241, 242, 243)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제동부재(241, 242, 243)는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121, 122, 123)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각각 설치된다. 즉, 제동 손잡이(225)를 움켜쥐게 되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제1 내지 제3 제동 와이어(231, 232, 233)가 당겨지게 되며, 제1 내지 제3 제동 와이어(231, 232, 233)의 타측에 각각 결합된 제1 내지 제3 제동부재(241, 242, 243)가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121, 122, 123)의 양측과 각각 접촉하게 됨으로서,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121, 122, 123)가 동시에 제동된다.One side of the braking handle 225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gripping portion 221 of the second driving handle 172. In addition, one side of the first to third braking wires 231, 232, and 233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raking handle 225,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to third braking wires 231, 232, and 233 may be the first side. To third third wheels 121, 122, and 123,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first to third braking members 241, 242, and 243 ar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to third braking wires 231, 232, and 233, respectively. The first to third braking members 241, 242, and 243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121, 122, and 123, respectively. That is, when the brake knob 225 is grasped, the first to third braking wires 231, 232, and 233 are pulled by the principle of the lever, and the first to third braking wires 231, 232, and 233 are pulled out. The first to third braking members 241, 242, and 243 respectively coupled to the other side come into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121, 122, and 123, respectively. The wheels 121, 122, 123 are braked simultaneously.

도 11은 도 3에 도시한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 가운데 클러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11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clutch among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s shown in FIG.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클러치(250)는 일반적인 수동 클러치를 사용하게 되며, 클러치 손잡이(255), 제1 내지 제3 클러치 와이어(261, 262, 263) 및 제1 내지제3 클러치 부재(271, 272, 27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clutch 250 uses a general manual clutch and includes a clutch handle 255, first to third clutch wires 261, 262 and 263, and first to third clutch members 271. , 272, 273).

상기 클러치 손잡이(255)의 일측은 제3 구동 손잡이(173)의 제2 파지부(2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클러치 손잡이(255)의 일측에는 제1 내지 제3 클러치 와이어(261, 262, 263)의 일측이 각각 연결되며, 제1 내지 제3 클러치 와이어(261, 262, 263)의 타측은 제4 내지 제6 동력전달 수단(184, 185, 186)으로 각각 연장된다. 이 때, 제1 내지 제3 클러치 와이어(261, 262, 263)의 타측에는 제1 내지 제3 클러치 부재(271, 272, 273)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클러치 부재(271, 272, 273)는 제4 내지 제6 동력전달 수단(184, 185, 186)과 동일 선상에 인접하게 각각 설치된다. 즉, 클러치 손잡이(255)를 움켜쥐게 되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제1 내지 제3 클러치 와이어(261, 262, 263)가 당겨지게 되며, 제1 내지 제3 클러치 와이어(261, 262, 263)의 타측에 각각 결합된 제1 내지 제3 클러치 부재(271, 272, 273)가 동작하게 됨으로서,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121, 122, 123)로 전달되는 동력이 동시에 단속된다.One side of the clutch handle 255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gripping portion 222 of the third drive handle 173. Also, one side of the first to third clutch wires 261, 262, and 263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lutch handle 255,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to third clutch wires 261, 262, and 263 is a fourth side. To sixth power transmission means 184, 185, 186,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first to third clutch members 271, 272, and 273 are coupled to the other sides of the first to third clutch wires 261, 262, and 263, respectively. The first to third clutch members 271, 272, and 273 are installed adjacent to the same line as the fourth to sixth power transmission means 184, 185, and 186, respectively. That is, when the clutch handle 255 is gripped, the first to third clutch wires 261, 262 and 263 are pulled by the principle of the lever, and the first to third clutch wires 261, 262 and 263 By operating the first to third clutch members 271, 272, and 273 coupled to the other side, power transmitted to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121, 122, and 123 is intermittently controlled.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승용 완구(100)의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driving method of the riding to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2는 도 3에 도시한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12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riving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 shown in FIG. 3.

도 3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 승용 완구(100)의 속도는 X축으로의 속도 VX, Y축으로의 속도 VY, Z축으로의 각속도 WZ로 주어지며, 상기 VX,VY및 WZ는 아래의 수학식으로 주어진다.3 and 12, the speed of the ride toy 10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given by the speed V X to the X axis, the speed V Y to the Y axis, the angular speed W Z to the Z axis, the V X , V Y and W Z are given by the following equations.

, ,

이며, Is,

And

이다. to be.

여기서, V1은 제1 전방향 바퀴(121)의 속도이고, V2는 제2 전방향 바퀴(122)의 속도이며, V3은 제3 전방향 바퀴(123)의 속도이다. 또한, J는 자코비안이고, θi는 승용완구 중심(280)을 기준한 XY평면상에서 X축으로부터 제1 전방향 바퀴(121), 제2 전방향 바퀴(122) 및 제3 전방향 바퀴(123)까지의 각도를 나타내며, Li는 승용완구 중심(280)으로부터 제1 전방향 바퀴(121), 제2 전방향 바퀴(122) 및 제3 전방향 바퀴(123)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Here, V 1 is the speed of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121, V 2 is the speed of the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122, V 3 is the speed of the third omnidirectional wheel 123. In addition, J is Jacobian and θ i is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121, the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122, and the third omnidirectional wheel from the X axis on the XY plane with respect to the riding toy center 280. I represents an angle to 123, and L i represents a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riding toy 280 to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121, the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122, and the third omnidirectional wheel 123.

이 때, 승용 완구(100)는 좌우가 대칭이므로 제1 전방향 바퀴(121), 제2 전방향 바퀴(122) 및 제3 전방향 바퀴(123)가 X축과 이루는 각도 θ1, θ2및 θ3이 각각 90°, 225°및 315°이고, 승용완구 중심(280)으로부터 제1 전방향 바퀴(121), 제2 전방향 바퀴(122) 및 제3 전방향 바퀴(123)까지의 거리 L1, L2및 L3이 같다고 가정하면, 승용 완구(100)의 X축으로의 속도 VX, Y축으로의 속도 VY, Z축으로의 각속도 WZ는 아래의 수학식으로 주어진다.At this time, since the riding toy 100 is symmetrical, the angle between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121, the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122, and the third omnidirectional wheel 123 with the X axis is θ 1 , θ 2. And θ 3 are 90 °, 225 °, and 315 °, respectively, from the ride toy center 280 to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121, the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122, and the third omnidirectional wheel 123. Assuming equal the distance L 1, L 2 and L 3, the angular speed W Z of the riding speed of the X-axis of the toy (100) V X, Y-axis velocity V Y, Z axes of a is given by the equation below, .

이고, ego,

이다. to be.

상술한 수학식에 의하면, 승용 완구(100)는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121, 122, 123)의 속도에 따라 X축 또는 Y축으로의 병진운동 및 Z축을 중심으로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즉, 제1 내지 제3 구동 수단(131, 132, 133)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121, 122, 123)를 구동시킬 경우에 구동력의 유무, 구동력의 크기 및 구동력의 방향에 따라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121, 122, 123)의 속도가 변하게 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121, 122, 123) 각각의 속도에 따라 승용 완구(100)는 2차원 평면상에서 3자유도(전후, 좌우, 회전)를 갖는 전방향 이동을 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equation, the riding toy 100 is a translational movement in the X-axis or Y-axis and a rotational movement around the Z-axis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121, 122, 123) Done. That is, when driving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121, 122, and 123 using the first to third driving means 131, 132, and 133, the presence or absence of driving force,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force, and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force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121, 122, 123) is changed, the riding toy 100 according to the speed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121, 122, 123) It moves forward with three degrees of freedom (front, rear, left and right) on a two-dimensional plane.

실시예 2Example 2

도 1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3 shows a plan view of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승용 완구(300)는 프레임(305), 제1 내지 제3 회전축(311, 312, 313),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321, 322, 323), 제1 내지 제3 구동 수단(331, 332, 333) 및 좌석부(340)를 포함한다. 이 때, 프레임(305)의 외부에는 하우징(345)이 결합되며, 하우징(345)은 자동차, 모터사이클, 캐릭터 등의 형상으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3, the riding toy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rame 305, first to third rotation shafts 311, 312 and 313, and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321, 322 and 323. ), First to third driving means (331, 332, 333) and the seat 340. At this time, the housing 345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305, the housing 345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ar, motorcycle, character.

본 실시예에 따른 승용 완구(300)에 있어서, 제1 구동 수단(331)은 손을 이용하여 구동되고 제2 및 제3 구동 수단(332, 333)은 발을 이용하여 구동되며, 제동 손잡이(350) 및 클러치 손잡이(355)가 제1 구동 수단(33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제외한 승용 완구(300)의 구성 및 형성은 전술한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riding toy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driving means 331 is driven using a hand, and the second and third driving means 332, 333 are driven using a foot, and a braking handle ( Since the configuration and formation of the riding toy 300 is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350 and the clutch handle 355 are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driving means 331,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승용 완구(300)의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driving method of the riding toy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다시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승용 완구(300)에 있어서 제1 구동 수단(331)은 손을 이용하여 구동되며 제2 및 제3 구동 수단(332, 333)은 발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것을 제외하면, 승용 완구(300)의 구동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back to FIG. 13, in the riding toy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driving means 331 is driven using a hand, and the second and third driving means 332, 333 are driven using a foot. Except for being driven, the driving method of the riding toy 300 is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실시예 3Example 3

도 1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14 is a plan view of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승용 완구(400)는 프레임(405), 제1 내지 제3 회전축(411, 412, 413),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421, 422, 423), 제1 내지 제3 구동 수단(431, 432, 433) 및 좌석부(440)를 포함한다. 이 때, 프레임(405)의 외부에는 하우징(445)이 결합되며, 하우징(445)은 자동차, 모터사이클, 캐릭터등의 형상으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4, the riding toy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rame 405, first to third rotating shafts 411, 412, and 413, and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421, 422, and 423. ), First to third driving means (431, 432, 433) and the seat 440. At this time, the housing 445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405, the housing 445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ar, motorcycle, character.

본 실시예에 따른 승용 완구(400)에 있어서, 제1 전방향 바퀴(421)는 후륜 바퀴로서 동작을 하고 제2 및 제3 전방향 바퀴(422, 423)는 전륜 바퀴로서 동작을 하며, 제1 구동 수단(431)은 손을 이용하여 구동되고 제2 및 제3 구동 수단(432, 433)은 발을 이용하여 구동되며, 제동 손잡이(450) 및 클러치 손잡이(455)가 제1 구동 수단(43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제외한 승용 완구(400)의 구성 및 형성은 전술한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riding toy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421 operates as a rear wheel, and the second and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422 and 423 operate as a front wheel. The first driving means 431 is driven using the hand, the second and third driving means 432, 433 are driven using the foot, and the braking handle 450 and the clutch handle 455 are driven by the first driving means ( Since the configuration and formation of the riding toy 400 except for being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431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승용 완구(400)의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driving method of the riding toy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 승용 완구(400)의 속도는 X축으로의 속도 VX, Y축으로의 속도 VY, Z축으로의 각속도 WZ로 주어지며, 상기 VX,VY및 WZ는 아래의 수학식으로 주어진다.When 12 and 14, the speed of the riding toy 400 in the present design is given by the angular velocity W Z of the speed V Y, Z axes of the speed V X, Y axes of the X-axis, the V X , V Y and W Z are given by the following equations.

, ,

이며, Is,

And

이다. to be.

여기서, V1은 제3 전방향 바퀴(423)의 속도이고, V2는 제2 전방향 바퀴(422)의 속도이며, V3은 제1 전방향 바퀴(421)의 속도이다. 또한, J는 자코비안이고, θi는 승용완구 중심(280)을 기준한 XY평면상에서 X축으로부터 제3 전방향 바퀴(423), 제2 전방향 바퀴(422) 및 제1 전방향 바퀴(421)까지의 각도를 나타내며, Li는 승용완구 중심(280)으로부터 제3 전방향 바퀴(423), 제2 전방향 바퀴(422) 및 제1 전방향 바퀴(421)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Here, V 1 is the speed of the third omnidirectional wheel 423, V 2 is the speed of the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422, and V 3 is the speed of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421. In addition, J is Jacobian and θ i is the third omnidirectional wheel 423, the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422, and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from the X-axis on the XY plane with respect to the riding toy center 280. 421 represents an angle to 421, and L i represents a distance from the riding toy center 280 to the third omnidirectional wheel 423, the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422, and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421.

이 때, 승용 완구(400)는 좌우가 대칭이므로 제3 전방향 바퀴(423), 제2 전방향 바퀴(422) 및 제1 전방향 바퀴(421)가 X축과 이루는 각도 θ1, θ2및 θ3이 각각 45°, 135°및 270°이고, 승용완구 중심(280)으로부터 제3 전방향 바퀴(423), 제2 전방향 바퀴(422) 및 제1 전방향 바퀴(421)까지의 거리 L1, L2및 L3이 같다고 가정하면, 승용 완구(400)의 X축으로의 속도 VX, Y축으로의 속도 VY, Z축으로의 각속도 WZ는 아래의 수학식으로 주어진다.At this time, the riding toy 400 is symmetrical left and right, so that the third omnidirectional wheel 423, the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422, and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421 form an angle θ 1 , θ 2 with the X axis. And θ 3 are 45 °, 135 °, and 270 °, respectively, from the ride toy center 280 to the third omnidirectional wheel 423, the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422, and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421. Assuming equal the distance L 1, L 2 and L 3, the angular speed W Z of the riding toy speed V Y of the speed V X, Y axes of the X-axis of the (400), Z-axis is given by the equation below, .

이고, ego,

이다. to be.

상술한 수학식에 의하면, 승용 완구(400)는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421, 422, 423)의 속도에 따라 X축 또는 Y축으로의 병진운동 및 Z축을 중심으로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즉, 제1 내지 제3 구동 수단(431, 432, 433)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421, 422, 423)를 구동시킬 경우에 구동력의 유무, 구동력의 크기 및 구동력의 방향에 따라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421, 422, 423)의 속도가 변하게 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421, 422, 423) 각각의 속도에 따라 승용 완구(400)는 2차원 평면상에서 3자유도(전후, 좌우, 회전)를 갖는 전방향 이동을 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equation, the ride toy 400 is a translational movement in the X-axis or Y-axis and a rotational movement around the Z-axis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421, 422, 423) Done. That is, when driving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421, 422, and 423 using the first to third driving means 431, 432, and 433, the presence or absence of driving force,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force, and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force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421, 422, 423) is changed, the ride toy 400 according to the speed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421, 422, 423) It moves forward with three degrees of freedom (front, rear, left and right) on a two-dimensional plane.

실시예 4Example 4

도 1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15 is a plan view of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승용 완구(500)는 프레임(505), 제1 내지 제3 회전축(511, 512, 513),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521, 522, 523), 제1 내지 제3 구동 수단(531, 532, 533) 및 좌석부(540)를 포함한다. 이 때, 프레임(505)의 외부에는 하우징(545)이 결합되며, 하우징(545)은 자동차, 모터사이클, 캐릭터 등의 형상으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5, the riding toy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rame 505, first to third rotating shafts 511, 512, and 513, and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521, 522, and 523. ), First to third driving means (531, 532, 533) and the seat 540. At this time, the housing 545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505, the housing 545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ar, motorcycle, character.

본 실시예에 따른 승용 완구(500)에 있어서, 제1 전방향 바퀴(521)는 후륜 바퀴로서 동작을 하고 제2 및 제3 전방향 바퀴(522, 523)는 전륜 바퀴로서 동작을 하며, 제1 구동 수단(531)은 발을 이용하여 구동되고 제2 및 제3 구동 수단(532, 533)은 손을 이용하여 구동되며, 제동 손잡이(550) 및 클러치 손잡이(555)가 제2 및 제3 구동 수단(532, 533)의 일측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제외한 승용 완구(500)의 구성 및 형성은 전술한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riding toy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521 operates as a rear wheel, and the second and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522 and 523 operate as a front wheel. The first driving means 531 is driven using the foot and the second and third driving means 532, 533 are driven using the hand, and the braking handle 550 and the clutch handle 555 are the second and third driving means. Since the configuration and formation of the riding toy 500 except for being coupled to one side of the driving means 532 and 533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승용 완구(500)의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driving method of the riding toy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다시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승용 완구(500)에 있어서 제1 구동 수단(531)은 발을 이용하여 구동되며 제2 및 제3 구동 수단(532, 533)은 손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것을 제외하면, 승용 완구(500)의 구동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 3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back to FIG. 15, in the riding toy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driving means 531 is driven using the foot, and the second and third driving means 532, 533 are driven using the hand. Except for being driven, the driving method of the riding toy 500 is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third embodiment,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실시예 5Example 5

도 16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16 is a plan view of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승용 완구(600)는 프레임(605), 제1 내지 제3 회전축(611, 612, 613),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621, 622, 623), 제1 내지 제3 구동 수단(631, 632, 633), 제1 및 제2 차동기어(651, 652) 그리고 좌석부(640)를 포함한다. 이 때, 프레임(605)의 외부에는 하우징(645)이 결합되며, 하우징(645)은 자동차, 모터사이클, 캐릭터 등의 형상으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6, the riding toy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rame 605, first to third rotating shafts 611, 612, and 613 and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621, 622, and 623. ), First to third driving means 631, 632, 633, first and second differential gears 651, 652, and a seat 640. At this time, the housing 645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605, the housing 645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ar, motorcycle, character.

상기 제1 내지 제3 회전축(611, 612, 613)은 프레임(605)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제2 및 제3 회전축(612, 613)은 프레임(605)의 전방에서 동일 선상에 결합되며, 제1 회전축(611)은 프레임(605)의 후방에서 제2 및 제3 회전축(612, 613)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된다. 이 경우, 제2 및 제3 회전축(612,613)의 일측에는 제1 및 제2 차동기어(651, 652)가 각각 결합된다. 또한,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621, 622, 623)는 제1 내지 제3 회전축(611, 612, 613)의 타측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 수단(631, 632, 633)은 프레임(605)에 결합되며, 제1 내지 제3 회전축(611, 612, 613)과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621, 622, 62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좌석부(640)가 프레임(605)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승용 완구(600)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to third rotation shafts 611, 612, and 613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605. In this case, the second and third rotation shafts 612 and 613 are coupled to the same line in front of the frame 605, and the first rotation shaft 611 is second and third rotation shafts 612 behind the frame 605. , 613 is coup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differential gears 651 and 652 are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and third rotation shafts 612 and 613,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621, 622, and 623 ar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to third rotation shafts 611, 612, and 613, respectively. The first to third driving means 631, 632, and 633 are coupled to the frame 605,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rotation shafts 611, 612, and 613 so that power transmission is possible. 3 Allow the omni-directional wheels 621, 622, and 623 to rotate. Furthermore, the seat 640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frame 605 to allow the user to ride in the riding toy 600.

본 실시예에 따른 승용 완구(600)에 있어서, 제1 전방향 바퀴(621)는 후륜 바퀴로서 동작을 하며 제2 및 제3 전방향 바퀴(622, 623)는 전륜 바퀴로서 동작하는 것을 제외하면,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621, 622, 623)의 구성 및 형성은 전술한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riding toy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xcept that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621 operates as a rear wheel and the second and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622 and 623 operate as a front wheel. Since the configuration and formation of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621, 622, and 623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 가운데 제1 구동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17 show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driving means among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s shown in FIG.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구동 수단(631)은 제1 구동 손잡이(661), 제1 동력전달 수단(671) 및 제4 동력전달 수단(674)을 포함하고, 이 경우 제1 구동 수단(631)은 제2 및 제3 전방향 바퀴(622, 623)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며, 발을 이용하여 구동하게 된다.16 and 17, the first drive means 631 includes a first drive knob 661, a first power transmission means 671, and a fourth power transmission means 674. The first driving means 631 is used as a means for driving the second and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622 and 623 and is driven using the foot.

상기 제1 구동 손잡이(661)는 회전축에 대하여 양측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편심 되도록 형성되어, 제1 구동 수단(631)을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구동 손잡이(661)의 양측에는 제1 및 제2 발판(701, 702)이 결합되며, 제1 및 제2 발판(701, 702)에는 양측을 연결하는 소정 길이의 제1 지지끈(691)이 각각 결합되어 발을 이용하여 제1 구동 수단(631)을 전후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driving knob 661 is formed so that both sides thereof are eccentric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haft, so that the first driving means 631 can be rotated more easily. In addition, first and second footrests 701 and 702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driving knob 661, and first support strap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connecting both sides to the first and second footrests 701 and 702. The 691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driving means 631 can be easily rot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using the foot.

상기 제1 동력전달 수단(671)은 풀리를 이용하게 되며, 제1 벨트(681)를 통하여 제4 동력전달 수단(674)과 연결된다. 이 때, 제4 동력전달 수단(674)은 제1 차동기어(651)에 결합된다. 즉, 제1 구동 손잡이(661)에 의한 전후 방향의 회전에 따라 제1 차동기어(651)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ans 671 uses a pulley and is connected to the fourth power transmission means 674 through the first belt 681. At this time, the fourth power transmission means 674 is coupled to the first differential gear 651. That is, the first differential gear 651 rotat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first drive knob 661.

도 18은 도 16에 도시한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 가운데 제2 구동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18 show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second driving means among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s shown in FIG.

도 16 및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구동 수단(632)은 제2 구동 손잡이(662), 제2 동력전달 수단(672) 및 제5 동력전달 수단(675)을 포함하고, 이 경우 제2 구동 수단(632)은 제1 전방향 바퀴(621)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며, 손을 이용하여 구동하게 된다.16 and 18, the second drive means 632 includes a second drive handle 662, a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672, and a fifth power transmission means 675, in which case The second driving means 632 is used as a means for driving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621 and is driven using a hand.

상기 제2 구동 손잡이(662)는 회전축에 대하여 편심 되도록 형성되어, 제2 구동 수단(632)을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구동 손잡이(662)의 일측에는 제1 파지부(711)가 결합되며, 제1 파지부(711)에는 양측을 연결하는 소정 길이의 제2 지지끈(692)이 결합되어 손을 이용하여 제2 구동 수단(632)을 전후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drive knob 662 is formed to be eccentric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so that the second drive means 632 can be rotated more easily. In addition, the first holding portion 711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driving handle 662, the second support strap 692 of a predetermined length connecting both sides to the first holding portion 711 is coupled to the hand. By using this, the second driving means 632 can be easily rot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제2 동력전달 수단(672)은 풀리를 이용하게 되며, 제2 벨트(682)를 통하여 제5 동력전달 수단(675)과 연결된다. 이 때, 제5 동력전달 수단(675)은 베벨기어부(655)를 포함하며, 베벨 기어부(655)의 일측은 제1 회전축(611)에 결합된다. 즉, 제2 구동 손잡이(662)에 의한 전후 방향의 회전이 베벨기어부(655)에 의하여 좌우 방향의 회전으로 변환되어 제1 회전축(611)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전방향 바퀴(621)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672 uses a pulley and is connected to the fifth power transmission means 675 through the second belt 682. At this time, the fifth power transmission means 675 includes a bevel gear portion 655, and one side of the bevel gear portion 655 is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611. That is, the rota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second drive knob 662 is converted to the rotat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by the bevel gear part 655 to rotate the first rotating shaft 611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reby making the first omnidirectional wheel ( 621 to ro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도 19는 도 16에 도시한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 가운데 제3 구동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19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third driving means among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s shown in FIG.

도 16 및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3 구동 수단(633)은 제3 구동 손잡이(663), 제3 동력전달 수단(673) 및 제6 동력전달 수단(676)을 포함하고, 이 경우 제3 구동 수단(633)은 제2 및 제3 전방향 바퀴(622, 623)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며, 손을 이용하여 구동하게 된다.16 and 19, the third drive means 633 includes a third drive knob 663, a third power transmission means 673, and a sixth power transmission means 676, in which case The third driving means 633 is used as a means for driving the second and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622 and 623 and is driven by hand.

상기 제3 구동 손잡이(663)는 회전축에 대하여 편심 되도록 형성되어, 제3 구동 수단(633)을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3 구동 손잡이(663)의 일측에는 제2 파지부(712)가 결합되며, 제2 파지부(712)에는 양측을 연결하는 소정 길이의 제3 지지끈(693)이 결합되어 손을 이용하여 제3 구동 수단(633)을 전후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third drive knob 663 is formed to be eccentric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so that the third drive means 633 can be rotated more easily. In addition, a second gripper 712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third driving knob 663, and a third support strap 693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connecting both sides is coupled to the second gripper 712 to lift a hand. By using this, the third driving means 633 can be easily rot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제3 동력전달 수단(673)은 풀리를 이용하게 되며, 제3 벨트(683)를 통하여 제6 동력전달 수단(676)과 연결된다. 이 때, 제6 동력전달 수단(676)도 풀리를 이용하게 되며, 일측에는 기어부(705)를 포함하여 제1 및 제2 차동기어(651, 652)와 연결된다. 즉, 제3 구동 손잡이(663)에 의한 전후 방향의 회전에 따라 제1 및 제2 차동기어(651, 652)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The third power transmission means 673 uses a pulley and is connected to the sixth power transmission means 676 through a third belt 683. At this time, the sixth power transmission means 676 also uses a pulley,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ifferential gears 651 and 652 including a gear part 705.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differential gears 651 and 652 rotat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the third drive knob 663 rotat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승용 완구(600)에 있어서, 제동수단(715) 및 클러치(720)의 구성 및 동작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riding toy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braking means 715 and the clutch 72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0은 도 16에 도시한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 가운데 제1 및 제2 차동기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20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and second differential gears among the omnidirectional traveling toys shown in FIG.

도 16 및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차동기어(651, 652)는 제2 및 제3 회전축(612, 613)을 통하여 제2 및 제3 전방향 바퀴(622, 623)와 연결된다. 상기 제1 차동기어(651)의 외부에는 제4 동력전달 수단(674)이 결합되어 제1 구동 수단(631)의 구동력에 의하여 제2 전방향 바퀴(622)가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제4 동력전달 수단(674)에는 연결축(725)의 일측이 결합되며, 연결축(725)의 타측은 제2 차동기어(652)에 결합되어 제1 구동 수단(631)의 구동력에 의하여 제3 전방향 바퀴(623)가 제2 전방향 바퀴(622)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제1 및 제2 차동기어(651, 652)의 사이에는 기어부(705)가 연결됨으로서, 제3 구동 수단(633)에 의한 구동력이 기어부(705)를 통하여 제1 및 제2 차동기어(651, 652)로 전달된다. 즉, 제3 구동 수단(633)의 구동력이 제1 및 제2 차동기어(651, 652)를 통하여 제2 및 제3 전방향 바퀴(622, 623)로 전달되므로, 제2 및 제3 전방향 바퀴(622, 623) 사이에는 속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3 구동 수단(631, 633)의 회전 조합에 의하여 제2 및 제3 전방향 바퀴(622, 623)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시킬 경우와 같은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16 and 20, the first and second differential gears 651 and 65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and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622 and 623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rotation shafts 612 and 613. Connected. The fourth power transmission means 674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differential gear 651 so that the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622 rotates by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driving means 631.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725 is coupled to the fourth power transmission means 674,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725 is coupled to the second differential gear 652 to drive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driving means 631. As a result, the third omnidirectional wheel 623 rotates at the same time as the second omnidirectional wheel 622. In addition, the gear part 705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fferential gears 651 and 652,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third driving means 633 is transmitted through the gear part 705 to the first and second differential gears. Transmission to gears 651 and 652. That is, since the driving force of the third driving means 633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and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622 and 623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ifferential gears 651 and 652, the second and third omnidirectional directions. A difference in speed occurs between the wheels 622 and 623. Therefore, the same effect as in the case of independently driving the second and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622 and 623 by the rotation combination of the first and third driving means 631 and 633 can be achieved.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승용 완구(600)의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driving method of the riding toy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다시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승용 완구(600)에 있어서 제2 및 제3 회전축(612, 613)에 결합된 제1 및 제2 차동기어(651, 652)를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면, 승용 완구(600)의 구동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 3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back to FIG. 16, except for using the first and second differential gears 651 and 652 coupled to the second and third rotation shafts 612 and 613 in the riding toy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driving method of the riding toy 600 is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third embodiment,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에 의하면, 상기 승용 완구는 전륜 및 후륜 바퀴 모두에 전방향 바퀴를 적용하고 상기 바퀴들을 각기 독립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바퀴들의 구동 방향 조합에 의하여 전후, 좌우, 및 회전의 전방향에 대하여 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전방향 바퀴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조향장치가 없이 상기 전방향 바퀴의 구동 조합에 의하여 구동 및 조향을 동시에 할 수 있으며, 상기 전방향 바퀴의 구동을 수동으로 하게 함으로써 승용 완구의 운전에 재미를 느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omnidirectional moving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iding toy is to apply the omnidirectional wheel to both the front and rear wheels and to drive the wheels independently, thereby driving direction of each wheel By combination, it can move with respect to the front-back, left-right, and all directions of rotation. In addition, by using the omni-directional wheels, it is possible to drive and steer simultaneously by the drive combination of the omni-directional wheels without a separate steering device, it is fun to drive the ride toys by manually driving the omni-directional wheels I can feel it.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에 대해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described and illustrated with respect to the omnidirectional mobile toy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eviates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Without this,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ma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re made.

Claims (27)

수동으로 구동되는 승용 완구에 있어서,In a manually driven toy, 상기 승용 완구의 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A frame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riding toy;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회전축;At least three rotation shafts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전방향 바퀴;At least three omnidirectional wheels coupled to the at least three rotational shafts;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회전축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전방향 바퀴를 구동시키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구동 수단; 및At least three drive means connected to each of the at least three rotation shafts to drive the at least three omnidirectional wheels; And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좌석부를 포함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An omnidirectional movable toy comprising a seat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회전축은 제1 내지 제3 회전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회전축 가운데 선택된 어느 1개는 다른 2개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The at least three or more rotating shafts are constituted by first to third rotating shafts, and any one selected from the first to third rotating shafts is coup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ther two. .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 내지 제3 회전축 가운데 선택된 어느 2개에는 차동기어가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Any two selected among the first to third rotary shafts is equipped with a differential g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erential gear is mounted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전방향 바퀴는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The at least three omnidirectional wheels omnidirectional moving to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는 수동 롤러를 갖는 전방향 바퀴 가운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Said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omnidirectionally moving toy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y one or two of the omnidirectional wheels having a manual roller.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 가운데 선택된 어느 하나는 전륜 바퀴이고, 나머지 2개는 후륜 바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Any one selected from among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is a front wheel wheel, and the other two are rear wheel wheels.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 가운데 선택된 어느 2개는 전륜 바퀴이고, 나머지 1개는 후륜 바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Any two selected among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are front wheels, and the other one is a rear wheel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구동 수단은 제1 내지 제3 구동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And said at least three or more drive means comprise first to third drive means.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 수단은The first to third driving means 일측이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제1 내지 제3 구동 손잡이;First to third driving knobs,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 손잡이의 일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내지 제3 동력전달 수단; 및First to third power transmission mean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to third driving knobs, respectively; And 상기 제1 내지 제3 동력전달 수단과 각각 연결되는 제4 내지 제6 동력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And a fourth to sixth power transmission means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power transmission means, respectively.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 손잡이에는 양측을 연결하는 제1 내지 제3 지지끈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The first to third drive handles omni-directional moving toy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o third support straps connecting both sides are coupled.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1 내지 제6 동력전달 수단은 기어 또는 풀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And the first to sixth power transmission means are gears or pulleys.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1 내지 제3 동력전달 수단 및 제4 내지 제6 동력전달 수단은 체인 또는 벨트로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And said first to third power transmission means and fourth to sixth power transmission means are connected by chains or belts, respectively.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 손잡이 가운데 선택된 어느 2개는 전륜 구동용이고, 나머지 1개는 후륜 구동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Any two selected from the first to third drive handle is for the front wheel drive, the other one is for the rear wheel drive toy.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전륜 구동용 구동 손잡이는 발로 구동되며, 상기 후륜 구동 손잡이는 손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The front wheel drive driving knob is driven by the foot, the rear wheel drive knob is driven by h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전륜 구동용 구동 손잡이는 손으로 구동되며, 상기 후륜 구동 손잡이는 발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The front wheel drive driving knob is driven by hand, the rear wheel drive knob is driven by the foot,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toy.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 손잡이 가운데 선택된 어느 2개는 후륜 구동용이고, 나머지 1개는 전륜 구동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Any two selected from the first to third drive knob is for the rear wheel drive, the other one is for the front wheel drive toy.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전륜 구동용 구동 손잡이는 발로 구동되며, 상기 후륜 구동 손잡이는 손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The front wheel drive driving knob is driven by the foot, the rear wheel drive knob is driven by h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전륜 구동용 구동 손잡이는 손으로 구동되며, 상기 후륜 구동 손잡이는 발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The front wheel drive driving knob is driven by hand, the rear wheel drive knob is driven by the foot,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toy.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를 제동시키는 제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And a braking means for braking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제 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제동수단은The braking means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 손잡이 가운데 선택된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제동 손잡이;A braking handle coupled to any one selected from the first to third driving handles; 일측이 상기 제동 손잡이의 일측과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로 각기 연장되는 제1 내지 제3 제동 와이어; 및First to third braking wires,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raking handle and the other side of which extends to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And 상기 제1 내지 제3 제동 와이어의 타측과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의 외주면에 각각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 제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The first and the third braking wire coupled to the other side, respectively, the first to third brak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respectively toy.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제동수단은 상기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를 동시에 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The braking means is a forward-moving toy, characterized in that for braking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at the same tim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단속시키는 클러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And a clutch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to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제 2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클러치는 자동 클러치 또는 수동 클러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And said clutch is an auto clutch or a manual clutch. 제 2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수동 클러치는The manual clutch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 손잡이 가운데 선택된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클러치 손잡이;A clutch handle coupled to any one selected from the first to third drive handles; 일측이 상기 클러치 손잡이의 일측과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로 각기 연장되는 제1 내지 제3 클러치 와이어; 및First to third clutch wires of which one side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lutch handle and the other side extends to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respectively; And 상기 제1 내지 제3 클러치 와이어의 타측과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4 내지 제6 동력전달 수단에 인접하게 각각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3 클러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And first to third clutch member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other sides of the first to third clutch wires and installed adjacent to the fourth to sixth power transmission means, respectively. 제 2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클러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 전방향 바퀴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동시에 단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The clutch omnidirectionally moving toy, characterized in that to simultaneously control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to the first to third omnidirectional wheel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 결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And a housing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제 2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하우징은 자동차, 모터사이클 또는 캐릭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 승용 완구.The housing is a omni-directional moving to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hape of a car, motorcycle or character.
KR2020020004535U 2002-02-15 2002-02-15 Omni-directional toy vehicle Expired - Fee Related KR20028646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535U KR200286464Y1 (en) 2002-02-15 2002-02-15 Omni-directional toy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535U KR200286464Y1 (en) 2002-02-15 2002-02-15 Omni-directional toy vehic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035A Division KR100520272B1 (en) 2002-02-15 2002-02-15 Omni-directional toy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464Y1 true KR200286464Y1 (en) 2002-08-22

Family

ID=73117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535U Expired - Fee Related KR200286464Y1 (en) 2002-02-15 2002-02-15 Omni-directional toy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464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0272B1 (en) Omni-directional toy vehicle
US5752871A (en) Running body
JP5398446B2 (en) Drive device
CA2360479C (en) Motorized vehicle
US20010044255A1 (en) Toy vehicle with pivotally mounted side wheels
WO2005087530A1 (en) Transmission of work vehicle
JP4759323B2 (en) Crawler type traveling device
JP6837910B2 (en) Omni-directional moving vehicle
JP2017121822A (en) Travelling mechanism
JPH0966169A (en) Direction convertor for game vehicle
KR200286464Y1 (en) Omni-directional toy vehicle
JP4563043B2 (en)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of model vehicle
Terakawa et al. Two-wheel-drive vehicle that i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and lateral directions with a small number of motors
KR20200128268A (en) Tilting structure of mobility device and mobility device incluiding the same
JP2004306782A (en) Traveling device
KR101881518B1 (en) Rear wheel drive type recumbent bicycle
JP7632124B2 (en) Rocker bogie car
JP3872314B2 (en) Electric vehicle
WO2019045065A1 (en) Connectable travel vehicle
JP2000142379A (en) Floating car
KR101485761B1 (en) Cycle having steering linked with saddle
JP2021161838A (en) Ride-grooving machine
KR101449346B1 (en) Torque transfer devices and vehicles using the same
JP2007044358A (en) Self-traveling type skateboard
KR20180065208A (en) Steering and tilting apparatus for trans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7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0308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3080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14-X000 Surrender of ip righ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4-5-L10-L14-rvc-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