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88408Y1 - Lighting Beverage Receptacle - Google Patents

Lighting Beverage Recepta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408Y1
KR200288408Y1 KR2020020018692U KR20020018692U KR200288408Y1 KR 200288408 Y1 KR200288408 Y1 KR 200288408Y1 KR 2020020018692 U KR2020020018692 U KR 2020020018692U KR 20020018692 U KR20020018692 U KR 20020018692U KR 200288408 Y1 KR200288408 Y1 KR 2002884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cup
pedestal
light
bever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69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성호
Original Assignee
홍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호 filed Critical 홍성호
Priority to KR20200200186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40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4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408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가 담겨지는 컵과 발광부가 수용되는 받침대가 탈착 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발광부의 발광색상을 컵에 담겨지는 음료에 맞게 선택할 수 있는 발광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발광음료용기(1)는, 조립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음료가 담겨지는 컵(10); 상기 컵(10)의 조립부(11)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10)을 지면에 대해 안전하게 지지하는 받침대(20); 및 상기 받침대(2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서로 다른 색상의 다수의 발광소자(31)와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31)의 발광색상을 선택하는 모드를 가진 스위치부(32)를 구비하는 발광부(30);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컵(10)의 조립부(11)는 환상의 돌기(11A)이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받침대(20)의 조립부(21)는 상기 환상형 돌기(11A)가 끼워맞춤되는 환상의 요부(21A)이며, 상기 돌기(11A)와 상기 요부(21A)는 탄성링(40)을 매개하여 끼워맞춤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대(20)에는 상기 컵(10)을 흔들림 없이 받쳐주고 손가락을 끼워 넣어 파지할 수 있도록 3개의 다리(22)가 하측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대(20)의 상기 발광소자(31)의 전방에는 상기 발광소자(31)의 빛을 상기 컵(10) 쪽으로 반사하는 반사판(36)과, 반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37)이 장착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emitting beverage container which can be selected to fit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as well as the detachable assembly of the cup in which the beverage is contained and the light-receiving portion. Light-emitting beverage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portion 11 is formed and the cup 10 is a drink is contained; Pedestal 20 is formed to be detachably assembled to the assembly portion (11) of the cup 10, the support 20 for supporting the cup 10 to the ground securely; And a switch unit 32 accommodated in an inner space of the pedestal 20 and having a mode for selecting light emitting colors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31 having different colors and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31. Light emitting unit 30; It includes. Preferably, the assembling portion 11 of the cup 10 is an annular protrusion 11A and the assembling portion 21 of the pedestal 20 corresponding thereto is an annular recess in which the annular protrusion 11A is fitted. 21A, and the protrusion 11A and the recessed portion 21A are fitted through the elastic ring 40. As shown in FIG. Preferably, the pedestal 20 has three legs 22 protruding downwardly to support the cup 10 without shaking and to pinch fingers therein,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pedestal 20. In front of the 31 is a reflecting plate 36 for reflect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31 toward the cup 10, and a diffuser plate 37 for diffusing the reflected light is mounted.

Description

발광음료용기{Lighting Beverage Receptacle}Lighted Beverage Receptacle

(기술분야)(Technology)

본 고안은 발광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가 담겨지는 컵과 발광부가 수용되는 받침대가 탈착 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발광부의 발광색상을 컵에 담겨지는 음료에 맞게 선택할 수 있는 발광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beverag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a cup containing a beverage and a pedestal for accommodating a light emitting unit are detachably assembled, and a light emitting beverage container for selecting the light emitting color of the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It is about.

(배경기술)(Background)

요식업소나 일반가정에서 각종 음료를 마실 때 사용하는 컵은, 그 사용장소, 용도, 음료의 종류 등에 따라 수없이 많은 형상과 색상 및 소재로 디자인되어 있으며, 최근 컵에 LED와 같은 발광소자를 장착하여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색다른 분위기를 연출시키고자 하는 소위 '발광컵'이 개발되어 일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발광컵의 예로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25886호(2001년 03월 21일 등록) 등이 있다.The cups used to drink various drinks in restaurants and homes are designed in numerous shapes, colors, and materials depending on the place of use, use, and type of beverage. So-called 'light-emitting cup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in part to create a different atmosphere by emitting light. Examples of such conventional light emitting cups includ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25886 (registered on March 21, 2001).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등록 발광컵을 포함한 종래의 발광컵들은, LED의 다양한 색상으로 컵을 발광시킨다고 하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지만, 그 사용과정에서 몇몇 문제점이 유발되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ight emitting cups including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light emitting cups can achieve the desired purpose of emitting the cups in various colors of the LED, but some problems are caused in the use process.

종래 발광컵의 문제점 중의 하나는, 발광소자, 배터리 및 발광회로를 포함하는 전기장치로서의 발광부가 컵에 일체로 장착되어 있는 것에 따른 세척과정에서의 발광부 손상 문제이다.One of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light emitting cup is a problem of damage to the light emitting part during the cleaning process, in which a light emitting part as an electric device including a light emitting element, a battery, and a light emitting circuit is integrally mounted to the cup.

즉, 종래의 발광컵은 컵에 발광부가 일체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부의 보호를 위한 방수조치가 일부 적용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사용한 후에 발광컵을 세척(설거지)할 때 발광부가 물에 적셔지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불편이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광부에의 물 침투로 인하여 발광부가 손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light emitting cup, since the light emitting part is integrally mounted to the cup, even though some waterproof measures for protecting the light emitting part are applied, careful attention is not paid to the light emitting part when the light emitting cup is washed (washing) after use.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pay attention, and nevertheless, the light emitting part is not damaged due to water penetration into the light emitting part.

종래 발광컵의 또 다른 문제점은, 컵에 담겨지는 내용물의 종류나 색상에 맞게 발광부의 발광색상을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발광이 오히려 역기능을 보이게 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Another problem of the conventional light emitting cup is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does not show a reverse function since the light emitting color of the light emitting unit cannot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r color of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up.

예를 들어 노란색 계통이나 적색 계통은 식욕을 돋구고, 청색 계통은 식욕을 저하시키지만 시원함과 청결함을 느끼게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것과 같이, 색상은 식욕을 포함한 사람의 심리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For example, it is widely known that color affects the psychology of a person, including appetite, as yellow and red strains are reported to stimulate appetite, while blue strains reduce appetite but feel cool and clean. have.

이와 같은 음식(음료)과 색상간의 밀접한 상관관계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발광컵은 컵에 담겨지는 음료의 종류나 색상 등에 관계없이 장착된 발광소자의 정해진 색상만을 일률적으로 발광하거나 여러 가지 색상을 아무런 의미 없이 점멸시키는 정도로 발광을 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시원한 청량음료에 적색계열의 색상이 발광되어 시원한 느낌을 저하시켜 버리는 경우도 있고 딸기주스에 청색계열의 색상이 발광되어 신선함이 떨어지는 것으로 느껴지게 하는 것과 같이, 오히려 발광이 역기능을 나타내는 경우가 적지 않다.Despite such close correlation between food and beverages, conventional light emitting cups uniformly emit only a predetermined color or emit various colors regardless of the type or color of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Because it emits light with a meaningless flickering, for example, a cool soft drink emits a reddish color, which may reduce the cool feeling, and strawberry juice emits a blued color, which makes it feel fresh. As can be seen, rather, light emission often shows a reverse function.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발광컵이 지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료가 담겨지는 컵과 발광부가 수용되는 받침대를 탈착식으로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발광부의 발광색상을 컵에 담겨지는 음료의 종류와 용도에 맞게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컵 세척시에 발광부가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음료의 종류에 맞는 최적의 색상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light emitting cup as described above, and to detachably assemble and detach the cup in which the beverage is contained and the bas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part is accommodated, and the light emitting color of the light emitting part. By allowing the user to select according to the type and use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ght emitting unit from being damaged when the cup is washed, and at the same time to emit an optimal color for the type of beverage.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발광음료용기의 외관 사시도,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xemplary light emitting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발광음료용기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emplary light emitting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발광부의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of an exemplary light emitting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본 고안의 발광음료용기 10: 컵 11: 조립부1: light-emitting beve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10: cup 11: assembly

11A: 돌기 20: 받침대 21: 조립부11A: protrusion 20: base 21: assembly

21A: 요부 22: 다리 23: 공간21A: Part 22: Leg 23: Space

30: 발광부 31: 발광소자 32: 스위치부30 light emitting unit 31 light emitting element 32 switch unit

33: 발광회로칩 34: 배터리 35: 푸시캡33: light emitting circuit chip 34: battery 35: push cap

36: 반사판 37: 확산판 40: 탄성링36: reflector 37: diffuser 40: elastic ring

본 고안에 따라, 음료가 담겨지는 컵과 발광부가 수용되는 받침대가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발광부의 발광색상을 상기 컵에 담겨지는 음료에 맞게 선택할 수 있는 발광음료용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emitting beverage container in which a cup in which a drink is placed and a pedestal in which a light emitting part is accommodated are detachably assembled, and the light emitting color of the light emitting part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drink contained in the cup.

본 고안에 따라, 조립부가 형성되어 있고 음료가 담겨지는 컵; 상기 컵의 조립부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을 지면에 대해 안전하게 지지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서로 다른 색상의 다수의 발광소자와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의 발광색상을 선택하는 모드를 가진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발광부; 를 포함하는 발광음료용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is formed and the cup containing the drink; An assembly part detachably assembled to an assembly part of the cup, the pedestal supporting the cup securely to the ground; And a light emitting unit accommodated in an inner space of the pedestal and having a switch unit having a mode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having different colors and emission colors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There is provided a light emitting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바람직하게 상기 컵의 조립부는 환상의 돌기로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받침대의 조립부는 상기 환상형 돌기가 끼워맞춤되는 환상의 요부로 구성하고, 상기 돌기와 상기 요부가 탄성링을 매개하여 끼워맞춤되도록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ssembly of the cup is composed of an annular projection, and the corresponding assembly of the pedestal is composed of an annular recess to which the annular projection is fitted, so that the projection and the recess are fitted through an elastic ring. can do.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대에는 3개의 다리를 하측 측방으로 돌출 형성함으로써, 상기 컵을 흔들림 없이 받쳐주고 손가락을 끼워 넣어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Preferably, by forming the three legs protruding downward in the pedestal,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cup without shaking and to easily grip the fingers.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발광소자의 전방에 상기 발광소자의 빛을 상기 컵 쪽으로 반사하는 반사판과 반사된 빛을 확산(난반사)시키는 확산판을 장착함으로써 상기 발광소자의 발광량에 대비하여 그 발광효과가 더욱 증진되도록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edestal is equipped with a reflecting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toward the cup and a diffuser plate for diffusing (reflected reflection) the light emitting element in front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in preparation for the light emission amount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Can be further enhanced.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발광음료용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음료용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Hereinafter, a light emitting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light emitting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발광음료용기의 외관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발광음료용기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발광부의 블록도이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xemplary light emitting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emplary light emitting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n exemplary light emitting por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광음료용기(1)는, 전체적으로 컵(10), 받침대(20), 및 발광부(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As shown, the light-emitting beverage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cup 10, a pedestal 20, and a light emitting portion 30 as a whole.

상기 컵(10)은 각종 음료를 따라 마실 수 있는 통상적인 컵-형성의 부재로서, 본 고안의 발광컵이 기본적으로 발광효과를 발휘하도록 하는 컵이라는 특징에 따라,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나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The cup 10 is a member of a conventional cup-forming that can drink along with a variety of beverages, and according to the feature that the light emitting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exerts a luminous effect, it is made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glass or plastic synthetic resin Can be formed.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상기 컵(10)의 하단에는 상기 받침대(20)와 탈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조립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컵(10)과 받침대(20)의 탈착식 조립 구조는, 컵(10)의 세척을 위해 받침대(20)로부터 컵(10)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고, 또한 컵(10)과 받침대(20)가 조립된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게 받침대(20)가 컵(1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구조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cup 10 is formed with an assembly portion 11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detachably assembled with the pedestal 20. The removable assembly structure of the cup 10 and the pedestal 20 can easily separate the cup 10 from the pedestal 20 for cleaning of the cup 10, and also the cup 10 and pedestal 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pedestal 20 is not inadvertently separated from the cup 10 in the assembled state.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상기 컵(10)의 조립부(11)로서 환상의 돌기(11A)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받침대(20)의 조립부(21)로서 상기 환상형 돌기(11A)가 끼워맞춤되는 환상의 요부(21A)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돌기(11A)와 상기 요부(21A)의 끼워맞춤 접면에 실리콘고무와 같은 탄성링(40)을 삽입하여 끼워맞춤하는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annular projection 11A is formed as the assembling portion 11 of the cup 10, and the annular projection 11A as the assembling portion 21 of the pedestal 20 corresponding thereto. While forming a ring-shaped recessed portion (21A) is fitted to the fitting surface of the projection (11A) and the recessed portion 21A by inserting the elastic ring 40, such as silicone rubber, to illustrate the structure will be.

이상과 같은 돌기(11A), 요부(21A) 및 탄성링(40)으로 예시되는 조립부(11, 21)의 구조에 따라, 돌기(11A) 둘레에 탄성링(40)을 삽입한 상태에서 요부(21A)에 강제로 끼워 넣는 방식으로 컵(10)을 받침대(20)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또한 받침대(20)에 대하여 컵(10)을 당겨 빼는 것으로 컵(10)과 받침대(2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일단 조립된 컵(10)과 받침대(20)는 탄성링(40)에 의한 견고한 끼워맞춤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assembling parts 11 and 21 illustrated by the protrusion 11A, the recessed part 21A, and the elastic ring 40 as described above, the recessed part in the state in which the elastic ring 40 is inserted around the protrusion 11A. The cup 10 can be easily assembled to the pedestal 20 by forcibly fitting it into the 21A, and the cup 10 and the pedestal 20 are pulled out by pulling the cup 10 against the pedestal 20. It can be easily separated, and once assembled cup 10 and the base 20 is not unintentionally separated by a tight fit by the elastic ring 40.

도시되지 않았지만, 컵(10)과 받침대(20)는 예를 들어 상호 나사 결합하는 구조와 같은 다른 구조에 의해서도 탈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cup 10 and the pedestal 20 may be detachably assembled by another structure such as, for example, a structure for screwing together.

컵(10)에 탈착식으로 조립되는 받침대(20)는, 컵(10)을 지면에 안전하게 지지하는 작용과 상기 발광부(3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작용을 한다.The pedestal 20 detachably assembled to the cup 10 functions to securely support the cup 10 to the ground and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part 30 is accommodated.

상기 받침대(20)에는 컵(10)과의 탈착 가능한 조립을 위해 앞서 설명한 조립부(21)가 그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한편, 내부에는 발광부(3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23)이 마련되어 있다.The pedestal 20 has the above-described assembling portion 21 formed thereon for detachable assembly with the cup 10, while a space 23 for accommodating the light emitting portion 30 is provided therein. have.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대(20)에는 컵(10)을 안전하게 지지하여 주는다리들(2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리(22)는 4개인 것도 배제되지 않지만 컵(10)을 흔들림 없이 받칠 수 있도록 3개를 120도 각도로 하측 측방으로 돌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3개의 다리(22)를 마치 우주선 날개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한 예를 예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다리(22)의 구조에 따라 전체의 발광음료용기(1)가 테이블과 같은 지면에 안전하게 세워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다리(22) 사이로 손가락을 끼워 넣은 상태로 발광음료용기(1)를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Preferably, the pedestal 20 may be formed with legs 22 that securely support the cup 10. Four legs 22 are not excluded, but it is preferable to protrude downward three at a 120 degree angle to support the cup 10 without shaking.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ree legs 22 are formed in a shape like a spaceship wing is illustrat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leg 22, not only the entire beverage container 1 can be securely erected on the ground such as a table, but also the user puts the finger between the legs 22, the beverage container (1) You can safely grip the.

상기 받침대(20)의 공간(23)에는 발광부(30)가 장착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상기 발광부(30)는 서로 다른 색상을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소자(31: 예, LED)와 이들 발광소자(31)의 발광색상을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부(32)를 포함한다. 물론, 발광부(30)의 작동을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시 되는 발광회로칩(33: 제어부)과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4)도 구비된다.The light emitting part 30 is mounted in the space 23 of the pedestal 20.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unit 30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31 (eg, LEDs) emitting different colors, and a switch for selecting a light emission color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31 as a user's desired color. Section 32; Of course, there is also provided a light emitting circuit chip 33 (control unit) which is basically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30 and a battery 34 for supplying power.

상기 발광소자(31)는 적색계열, 청색계열, 황색계열, 녹색계열, 백색계열 등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2개 이상이 구비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예를 들면 3가지 내지 5가지의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3개 내지 5개의 LED를 장착할 수 있다. 도시된 구체예는 3개의 서로 다른 색상의 LED를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The light emitting device 31 has two or more colors having different colors such as red, blue, yellow, green, white, and the like, and is basically provided. For example, three to five different colors are provided. 3 to 5 LEDs can be mounted. The illustrated embodiment shows an example in which three different color LEDs are applied.

상기 스위치부(32)는 예를 들어 적색계열 발광소자, 청색계열 발광소자 및 황색계열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의 발광소자(31)만이 지속적으로 발광 또는 점멸하도록 하는 모드(발광모드)와 전체의 발광소자들(31)을 소등시키는 모드(전원오프모드)가 포함되게 구성됨을 기본으로 하고, 여기에 전체의 발광소자들(31)이 모두 지속적으로 발광 또는 점멸하는 모드 및/또는 전체의 발광소자들(31)이 순서대로 순환하면서 발광하도록 하는 모드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도 있다.The switch unit 32 is a mode (light emitting mode) and the whole light emission such that only on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31 of the red light emitting device, the blu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yellow light emitting device 31 continuously emits or flashes, for example. It is basically configured to include a mode for turning off the elements 31 (power off mode), in which all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s 31 are continuously lighted or flashed, and / or all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s. A mode or the like for causing 31 to circulate in sequence may be further included.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상기 받침대(20)의 하측에 형성된 구멍에 푸시캡(35)을 장착하여 상기 푸시캡(35)을 손으로 가압하면 스위치부(32)의 버튼이 가압되면서 상기 스위칭 모드들이 순서대로 스위칭되도록 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when the push cap 35 is mounted in a hole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pedestal 20 to press the push cap 35 by hand, the buttons of the switch unit 32 press the switch modes. An example of switching in order is shown.

이와 같은 스위치부(32)가 적용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이다와 같은 청량음료가 담길 때에는 청색계열의 발광소자가, 키위주스를 담기 위해서는 녹색계열의 발광소자가, 딸기주스를 담기 위해서는 적색계열의 발광소자가, 음료를 통해 식욕을 돋구기 위해서는 황색계열의 발광소자가, 각각 발광 또는 점멸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사용자는 컵(10)에 담겨지는 음료의 종류와 기능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32)를 조작하여 최적의 발광이 조명되도록 할 수 있다.As the switch unit 32 is applied, for example, when a soft drink such as cider is contained,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blue color is used,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green color is to contain the kiwi juice, and the red light emitting device is to contain the strawberry juice. In order to lighten the appetite through the beverage,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yellow series, so that each of the light emitting or flashing, the user according to the type and function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10, the switch unit 32 It can be operated to ensure that the optimum light emission is illuminated.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대(20)의 발광소자(31)의 전방에는 빛을 컵(10) 쪽으로 반사하는 반사판(36)과 반사된 빛을 확산(난반사)시키는 확산판(37)을 장착함으로써 발광소자(31)의 발광량에 대비하여 그 발광효과가 더욱 증진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확산을 위한 돌기들이 표면에 형성된 볼록한 형상의 투명 플라스틱 확산판(37)을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Preferably, the light emitting device 31 is mounted in front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31 of the pedestal 20 by mounting a reflector 36 for reflecting light toward the cup 10 and a diffuser plate 37 for diffusing (reflected reflection) the reflected light. In contrast to the light emission amount of 31), the light emission effect can be further enhance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 example of applying a transparent plastic diffusion plate 37 having a convex shape in which protrusions for diffusion are formed on the surface is illustrat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발광음료용기(1)에 의하면, 음료가 담겨지는 컵(10)과 발광부(30)가 장착되는 받침대(20)를 탈착식으로 조립 및 분리할 수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한 발광음료용기(1)를 세척할 때 컵(10)을 발광부(30)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으므로, 세척과정에서 발광부(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ight-emitting beverage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ecause it is configured to detachably assemble and detach the pedestal 20 to which the cup 10 and the light emitting portion 30, in which the beverage is placed, are mounted. When the used light emitting beverage container 1 is washed, the cup 10 may be separated and wash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30, thereby preventing the light emitting unit 30 from being damaged during the cleaning process.

또한, 상기 받침대(20)에 다리(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컵(10)을 흔들림 없이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손가락을 끼워 넣어 발광컵(1)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egs 22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pedestal 20, the cup 10 can be supported without shaking and the fingers can be inserted to easily hold the light emitting cup 1. .

아울러, 본 고안의 발광음료용기(1)에 의하면, 상기 스위치부(32)의 조작으로 서로 다른 색상의 다수의 발광소자(31) 중에 담겨지는 음료에 적합한 색상의 발광소자(31)만을 선택하여 발광시킬 수 있음으로, 역기능 없이 담겨지는 음료의 종류와 용도 등에 맞는 최상의 발광효과가 발휘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beverage contain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elect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31 of the color suitable for the beverage contained in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31 of different colors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32 By emitting light, it is possible to exert the best luminous effect according to the type and use of the beverage to be contained without dysfunction.

Claims (4)

조립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음료가 담겨지는 컵(10);An assembly part 11 is formed and a cup 10 in which the beverage is contained; 상기 컵(10)의 조립부(11)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10)을 지면에 대해 안전하게 지지하는 받침대(20); 및An assembling unit 21 detachably assembled to the assembling unit 11 of the cup 10, and a pedestal 20 which supports the cup 10 securely to the ground; And 상기 받침대(2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서로 다른 색상의 다수의 발광소자(31)와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31)의 발광색상을 선택하는 모드를 가진 스위치부(32)를 구비하는 발광부(30);Light emission is provid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pedestal 20,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31 of different colors and a switch unit 32 having a mode for selecting the light emission color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31 Part 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음료용기.A light emitting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10)의 조립부(11)는 환상의 돌기(11A)이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받침대(20)의 조립부(21)는 상기 환상형 돌기(11A)가 끼워맞춤되는 환상의 요부(21A)이고, 상기 돌기(11A)와 상기 요부(21A)는 탄성링(40)을 매개하여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음료용기.The assembly portion 11 of the cup 10 is an annular projection 11A and the assembly portion 21 of the pedestal 20 corresponding thereto is fitted with the annular projection 11A. It is an annular recessed portion (21A), the projection (11A) and the recessed portion (21A) is a light emitting beve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 through the elastic ring (4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0)에는 상기 컵(10)을 흔들림 없이 받쳐주고 손가락을 끼워 넣어 파지할 수 있도록 3개의 다리(22)가 하측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음료용기.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The pedestal 2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ee legs 22 protruding downwardly to support the cup 10 without shaking and to pinch the fingers. Luminescent beverage container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0)의 상기 발광소자(31)의 전방에는 상기 발광소자(31)의 빛을 상기 컵(10) 쪽으로 반사하는 반사판(36)과, 반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37)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음료용기.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ront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31 of the pedestal 20, a reflecting plate 36 for reflect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31 toward the cup 10, and the reflected Light-emitting beve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usion plate 37 for diffusing light is mounted.
KR2020020018692U 2002-06-20 2002-06-20 Lighting Beverage Receptacle Expired - Fee Related KR20028840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692U KR200288408Y1 (en) 2002-06-20 2002-06-20 Lighting Beverage Recepta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692U KR200288408Y1 (en) 2002-06-20 2002-06-20 Lighting Beverage Recepta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408Y1 true KR200288408Y1 (en) 2002-09-10

Family

ID=73076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692U Expired - Fee Related KR200288408Y1 (en) 2002-06-20 2002-06-20 Lighting Beverage Recepta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408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9279A (en) Lighted drinking vessel
EP1313986B1 (en) Illuminatable beverage accessory device
US8827496B2 (en) Illumination apparatus
US6955443B2 (en) Lighted wine and drinking glass base
US8011816B1 (en) Lighted bottle cap apparatus
WO2007106125B1 (en) Illuminated container
KR20240051170A (en) Luminaires and lighting devices
JP2004105231A (en) Illuminated container
US20040125594A1 (en) Coaster Structure
KR200288408Y1 (en) Lighting Beverage Receptacle
KR200434901Y1 (en) LED Luminous Pedestal
WO2020227241A1 (en) Flower vase lamp
WO2019196772A1 (en) Led light-emitting coaster
US7476000B1 (en) Handheld illuminated apparatus for retaining a food item in an edible condition with the illumination directly passing through the food item
JP3216988U (en) Container luminous decoration
KR200314005Y1 (en) liquor bottle prop equipped with lighting fixtures
KR100768537B1 (en) Advertising display device using cup holder
US11712123B1 (en) Beverage container with illuminable arrangement
KR200225886Y1 (en) A light emitting cup
KR200242032Y1 (en) Cup having lighting device
CN217185571U (en) Luminous cup for children
KR200263813Y1 (en) Cup having illumination apparatus
KR200258683Y1 (en) Battery water boll
KR200352420Y1 (en) Battery water boll
KR200398695Y1 (en) Cup suppo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0308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30828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