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588Y1 - The portable h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The portable hea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80588Y1 KR200280588Y1 KR2020020009283U KR20020009283U KR200280588Y1 KR 200280588 Y1 KR200280588 Y1 KR 200280588Y1 KR 2020020009283 U KR2020020009283 U KR 2020020009283U KR 20020009283 U KR20020009283 U KR 20020009283U KR 200280588 Y1 KR200280588 Y1 KR 20028058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bustion chamber
- portable heating
- heating device
- portable
- water ta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휴대용 보일러는 그 열원이 분리되어 있거나 기존의 가스용기를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그 부피가 크고 사용상의 어려움과 여러 가지 위험요소가 있었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옷이나 매트 등 다양한 물품에 적용하여 난방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부에 난방호스와 연결된 급수관 및 배수관과 증기를 배출하는 압력조절밸브가 형성된 수조와, 상기 수조를 가열하는 열원으로 구성된 휴대용 난방장치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boiler, and the conventional portable boiler is composed of a structure in which the heat source is separated or combines the existing gas container is bulky and solves the problems of difficulty in use and various risk factors such as clothes or mats. In the portable heating device consisting of a water tank having a pressure control valve for discharging steam and a water supply pipe and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heating hose at the top to be applied to a variety of items to obtain the heating effect;
상기 수조의 외측으로 일정 공간부를 형성하고 일측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결된 배기구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결된 연소실을 형성한 외통과;An outer cylinder which forms a predetermined space portion outside the water tank, an exhaust port connected to the space portion at one side, and a combustion chamber connected to the space portion at a lower portion thereof;
상기 연소실에 상응하여 결합하는 돌출턱과, 상기 돌출턱 중앙에 측면으로 연장된 조절손잡이에 의하여 입출되는 심지와, 외부와 상기 연소실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흡입구와, 기름을 보충할 수 있는 주입구로 이루어지는 연료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Protruding jaw coupled 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wick entered by the control knob extending laterally in the center of the projection jaw, at least one air inlet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combustion chamber, and oil inlet It relates to a portable he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uel container made.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용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옷이나 매트 등 다양한 물품에 적용하여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편리하게 휴대하며 난방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heating device, to a portable heating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items such as clothes or mats to be conveniently carried regardless of the place and obtain the heating effect.
야외에서 난방 또는 보온의 중요성은 겨울과 같은 추운 계절뿐만 아니라 여름의 야간이나 비오는 날에도 중요하다.The importance of heating or keeping warm in the open air is important not only in cold seasons such as winter, but also in summer nights and rainy days.
특히 등산이나 낚시와 같은 레져활동을 하는 사람에게는 더욱 중요한 문제이지만 야영을 할 때 난방을 할 수 있는 휴대용 난방기구의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In particular, it is more important for leisure activities such as hiking and fishing, but the development of a portable heating device for heating when camping is insufficient.
도 5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종래 휴대용 난방기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버너나 가스레인지 위에 재치하여 온수를 가열시키는 수조(100)와, 상기 수조(100)의 상단에 연결되어 가열된 온수를 난방호스(101)쪽으로 공급하고 다시 수조(100)로 유입되도록 하는 연결관(102)과, 수조(100)의 내부공기를 밖으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관(103)으로 구성된 휴대용 난방기구를 나타내었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ortable heating mechanism designed to solve such a problem, the water tank 100 for heating the hot water mounted on the burner or gas range and the hot water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water tank 100 for heating The portable heating device is composed of a connecting pipe 102 for supplying to the hose 101 and flowing back into the water tank 100, and an air discharge pipe 103 for discharging the internal air of the water tank 100 outward.
상기와 같은 종래 휴대용 난방기구는 대부분이 열원은 별도의 휴대용 가스렌지나 버너에 의존하고 있어 열원이 외기에 노출이 되어 있고 가열부는 저면으로 한정이 되어 있어 종류에 따라 수조를 포함한 보일러의 구조는 차이가 있으나 열손실이 많은 단점과 화재의 위험을 가지고 있다.Most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heating apparatuses as described above rely on a separate portable gas stove or burner as the heat source, and the heat source is exposed to the outside air, and the heating part is limited to the bottom surface. However, there are many disadvantages of heat loss and risk of fire.
또한 휴대용 난방기구로서 상기와 같은 고안이 제안되었으나 실제 사용할 경우에는 제자리에 고정되어 사용하여야함으로서 휴대용이라는 의미는 미사용시 이동이 편리하다는 것에 한정된 고안이다.In addition, as the portable heating device has been proposed as above, but in actual use, the meaning of the portable means that the use is limited to the convenience of movement when not in use.
또한 가스를 이용하는 제품의 경우 대부분이 압력 및 온도에 따라 분사되는 가스의 양이 현저하게 차이가 나서 열원이 불안정적이고 누출된 가스에 의한 위험성을 항상 가지고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gas-based products, the amount of injected gas varies considerably according to pressure and temperature, so that the heat source is unstable and there is always a danger of leaking gas.
따라서 보행중이나 기타 여러 가지 방법으로의 이동 중에서도 목적한 바의 난방 또는 보온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휴대용 난방장치의 개발이 요구되는 바이다.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portable heating device that can obtain the effect of heating or warming of the desired bar while walking or moving in various other ways is require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 중에도 난방이나 보온이 가능한 휴대용 난방장치를 개발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is to develop a portable heating device that can be heated or insulated while on the move.
또한 화재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난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to provide a heating device that can reduc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such as fire.
또한 피복류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능동적인 보온이 가능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In addition, it is to be able to provide a garment that can be easily maintained by mounting on the clothing active.
또 기온 등의 주변 환경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보일러를 가열하는 열원이 오래 그리고 지속적이고 일정한 열을 발산 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정적인 보일러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stable boiler that minimizes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so that the heat source for heating the boiler can emit long, continuous and constant hea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에 난방호스와 연결된 급수관 및 배수관과 증기를 배출하는 압력조절밸브가 형성된 수조와, 상기 수조를 가열하는 열원으로 구성된 휴대용 난방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heating device consisting of a water tank and a pressure control valve for discharging steam and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a heating hose at the top, and a heat source for heating the water tank;
상기 수조의 외측으로 일정 공간부를 형성하고 일측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결된 배기구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결된 연소실을 형성한 외통과;An outer cylinder which forms a predetermined space portion outside the water tank, an exhaust port connected to the space portion at one side, and a combustion chamber connected to the space portion at a lower portion thereof;
상기 연소실에 상응하여 결합하는 돌출턱과, 상기 돌출턱 중앙에 측면으로 연장된 조절손잡이에 의하여 입출되는 심지와, 외부와 상기 연소실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흡입구와, 기름을 보충할 수 있는 주입구로 이루어지는 연료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Protruding jaw coupled 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wick entered by the control knob extending laterally in the center of the projection jaw, at least one air inlet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combustion chamber, and oil inlet It relates to a portable he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uel container mad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종래 휴대용 난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ortable heating device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외통1: external cylinder
11 : 급수관 12 : 배수관11: water pipe 12: drain pipe
13 : 압력조절밸브 14 : 배기구13 pressure control valve 14 exhaust port
15 : 연소실 15a : 나사산15: combustion chamber 15a: thread
16 : 수조 17 : 공간부16: tank 17: space
18 : 단열층18: heat insulation layer
2 : 연료통2: fuel container
21 : 조절손잡이 22 : 돌출턱21: adjusting knob 22: protruding jaw
22a : 나사산 23 : 심지22a: Thread 23: Wick
24 : 화염 이그나이트 25 : 스위치24: flame ignite 25: switch
26 : 조절손잡이 27 : 공기흡입구26: adjustment knob 27: air intake
28 : 칼라 28a : 관통홀28 color 28a through hole
29 : 주입구29: injection hole
3 : 난방호스3: heating hose
4 : 전지4: battery
5 : 순환펌프5: circulation pump
6 : 주입구6: injection hole
7 : 옷7: clothes
100 : 수조 101 : 난방호스100: tank 101: heating hose
102 : 연결관 103 : 공기배출관102: connecting tube 103: air discharge pipe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ccordingly,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상부에는 난방호스와 연결된 급수관(11) 및 배수관(12)과 증기를 배출하는 압력조절밸브(13)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으로 배기구(14)가 형성된 외통(1)과, 상기 외통(1)의 하부에는 휘발유 또는 알코올 등의 연료가 충진되는 연료통(2)이 장착됨을 나타내었다.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supply pipe 11 and a drain pipe 12 connected to a heating hose and a pressure control valve 13 for discharging steam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an exhaust port 14 to the side. It is shown that the outer cylinder 1 is forme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cylinder 1 is equipped with a fuel container 2 filled with fuel such as gasoline or alcohol.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가열수단인 열원과 연료가 보일러인 외통(1)과 일체의 구조를 가지게 되면 이동이 용이하고 이동 중 작동이 가능하게될 것이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if the heat source and the fuel as the heating means have an integral structure with the outer cylinder 1 as the boiler, the movement will be easy and the operation during the movement will be possible.
또한 상기 물품의 크기는 제작상의 어려움을 제외하고 보온 또는 난방 대상 물품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며 상황에 따라 상기 가스용기(2)의 측면에 돌출 되게 형성된 가스 양을 조절하는 조절손잡이(21)를 조정함으로서 온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article can be freely set according to the article to be kept warm or heating, except for manufacturing difficulti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to adjust the adjustment knob 21 to adjust the amount of gas protruding to the side of the gas container (2) By adjusting, temperature control was possible.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로서, 상기 외통(1)의 하부에는 연소실(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료통(2)은 상기 연소실(15)에 상응하여 결합하는 돌출턱(22)과, 상기 돌출턱(22) 중앙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며 돌출되고 내부와 연결되는 심지(23)와, 상기 심지(23)와 인접하게 장착된 화염이그나이트(24)와, 상기 화염이그나이트(24)와 연결되어 측면에 장착되는 스위치(25)와, 유입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손잡이(26)와, 외부와 상기 연소실(15)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흡입구(27)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난방장치를 나타내었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bustion chamber 15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cylinder 1, the fuel cylinder 2 is a projection jaw corresponding to the combustion chamber 15 22, a wick 23 extending upwardly from the center of the protruding jaw 22 and connected to the inside thereof, a flame ignite 24 mounted adjacent to the wick 23, and A switch 25 connected to the flame ignite 24 and mounted on the side, an adjusting knob 26 for adjusting the amount of gas introduced therein, and one or more air inlets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combustion chamber 15 ( 27 shows a portable heating device.
또한 상기 돌출턱(22)은 환형으로 형성되고 그 외측에는 나사산(22a)이 형성되어 상기 연소실(15) 하단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15a)과 결합하며, 상기돌출턱(22)과 연소실(15)의 결합부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흡입구(27)가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연료통(2)의 상단 외주면은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외통(1)의 저면 외측과 상응하는 칼라(28)가 형성되며 상기 칼라(28)에는 관통된 하나 이상의 관통홀(28a)이 형성되도록 하여 외부공기가 공기흡입구(27)를 거쳐 연소실(15)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jaw 22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and a screw thread 22a is formed at an outer side thereof, so that the protruding jaw 22 is combined with a screw thread 15a formed at an inne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combustion chamber 15, and the protruding jaw 22 and the combustion chamber 15 are formed. One or more air inlets 27 are formed 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uel cell 2, and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uel cell 2 extends upward to form a collar 28 corresponding to the out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1. 28, at least one through hole 28a is formed to allow external air to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5 through the air inlet 27.
또한 상기 공기흡입구(27)는 상술한 실시 예와 같이 관통된 관통홀의 형태로도 만들 수 있으나 상기 돌출턱(22)의 외주면에 홈을 형성하여 결합되었을 때 상기 홈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는 등의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 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air inlet 27 may be made in the form of a through-hol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groove when the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ding jaw 22. Many different embodiments may be applicable.
또 본 고안에서는 연료를 휘발류나 알코올 등을 사용하도록 구성하여 온도에 따라 그 분사압력이 현저하게 차이가 나거나 작동 중에 불이 꺼짐으로 가스가 누출되는 단점을 해결하고 안정적인 보일러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fuel to use a gas or gas, such that the injection pressure i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r the fire is turned off during operation to solve the shortcomings of gas leakage and to enable a stable boiler opera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상부에 난방호스(3)와 연결된 급수관(11) 및 배수관(12)과 증기를 배출하는 압력조절밸브(13)가 형성된 수조(16)와, 상기 수조(16)를 가열하는 열원으로 구성된 휴대용 난방장치에 있어서;3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tank 16 having a water supply pipe 11 and a drain pipe 12 connected to a heating hose 3 and a pressure control valve 13 for discharging steam, In the portable heating device consisting of a heat source for heating the water tank (16);
상기 수조(16)의 외측으로 일정 공간부(17)를 형성하고 일측에는 상기 공간부(17)와 연결된 배기구(14)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상기 공간부(17)와 연결된 연소실(15)을 형성한 외통(1)과;A predetermined space portion 17 is formed outside the water tank 16, and an exhaust port 14 connected to the space portion 17 is formed at one side, and a combustion chamber 15 connected to the space portion 17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One outer cylinder 1;
상기 연소실(15)에 상응하여 결합하는 돌출턱(22)과, 상기 돌출턱(22) 중앙에 측면으로 연장된 조절손잡이(26)에 의하여 입출되는 심지(23)와, 외부와 상기연소실(15)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흡입구(27)와, 기름을 보충할 수 있는 주입구(29)로 이루어지는 연료통(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난방장치를 나타내었다.Protruding jaw 22 coupled to the combustion chamber 15, the wick 23 entered by the adjustment knob 26 extending laterally in the center of the projection jaw 22, the outside and the combustion chamber 15 The portable heat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fuel tank (2) consisting of one or more air inlet (27) for connecting the oil, and the inlet (29) for replenishing oil.
또한 상기 급수관(11)에는 전지(4)로 가동되는 순환펌프(5)를 장착하여 물의 순환이 보다 용이하게 하여 난방의 효과를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 예일 것이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pipe 11 is equipped with a circulation pump (5) that is operated by the battery 4 it will be a preferred embodiment to increase the effect of heating to facilitate the circulation of water.
또한 상기 수조(16)에는 항상 물이 충만한 상태이어야 하며 보일러와 순환펌프(5)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서는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부족한 물을 보충하기 위한 주입구(6)가 있어야 한다.In addition, the water tank 16 should always be filled with water, and the steam generated for the stable operation of the boiler and the circulation pump 5 should have an inlet 6 for replenishing insufficient water.
이에 상기 도면에서는 수조에 주입구(6)가 형성된 일 실시 예를 나타내었으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수조(16)에 직접 주입하는 방법 이외에도 배수관(12)나 난방호스(3)를 통하여 물을 주입하는 여러 가지 실시 예를 용이하게 안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In the drawings, the inlet 6 is formed in the water tank, but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may inject water through the drain pipe 12 or the heating hose 3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directly injecting the water into the water tank 16. Various embodiments may be easily devised.
또 상기 도면에서 실전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물의 흐름을 나타내었다.In addition, the arrow indicated by practice in the figure indicates the flow of air, the arrow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dicates the flow of water.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난방호스(3)는 옷(7)에 내설됨을 보여주며 이때 본 고안을 허리나 들고 다닐 수 있을 정도의 소형으로 제작하게 되면 이동성이 뛰어나 낚시나 등산에서 체온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hose (3) shows that it is insulated in the clothes (7) and the mobility is excellent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small enough to carry around the waist It will be an effective way to protect your body temperature from fishing or hiking.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보일러는 의복뿐만 아니라 이동용 매트나 침낭 등과 같은 곳에 용이하게 적용한 실시 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embodiment easily applied to places such as moving mats or sleeping bags as well as clothes.
또한 상기 외통(1)은 진공단열처리된 단열층(18)을 형성하여 외통(1)의 표면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열교환을 최대한으로 억제하여 보일러의 효율을 높이고 외표면이 지나치게 고온으로 되어 사용자가 뜨거움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 예일 것이다.In addition, the outer cylinder (1) forms a vacuum insulation heat-insulating layer (18) to suppress heat exchange that may occur on the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1) to the maximum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boiler and the outer surface becomes too high temperature to the user hot It will be a preferred embodiment not to fee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일러를 가열하는 열원이 상기 보일러와 일체로 되어 이동 중에도 난방이나 보온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heat source for heating the boiler is integrated with the boiler so that heating or warming is possible even while moving.
또한 가열하는 불꽃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화재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due to fire by preventing the heating flame is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피복류에 난방호스를 내설하고 상기 난방호스를 따라 가열된 물을 흐르게 하면 기존의 체온을 유지시켜주는 보온에서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여 유지시켜주는 능동적인 보온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heating hose in the coating material and flowing the heated water along the heating hose, there is an active thermal insulation effect that is maintained by heating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from the heat retaining the existing body temperature.
또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열원을 제공하여 그 효과와 안정성을 높이는데 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stable and continuous heat source i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effect and stability.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20009283U KR200280588Y1 (en) | 2002-03-28 | 2002-03-28 | The portable hea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20009283U KR200280588Y1 (en) | 2002-03-28 | 2002-03-28 | The portable heat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280588Y1 true KR200280588Y1 (en) | 2002-07-04 |
Family
ID=7307445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20009283U Expired - Fee Related KR200280588Y1 (en) | 2002-03-28 | 2002-03-28 | The portable hea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280588Y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10151731A (en) * | 2021-11-26 | 2021-12-14 | 홍호명 | Heating device using plastic waste resources |
-
2002
- 2002-03-28 KR KR2020020009283U patent/KR200280588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10151731A (en) * | 2021-11-26 | 2021-12-14 | 홍호명 | Heating device using plastic waste resources |
| KR102601752B1 (en) * | 2021-11-26 | 2023-11-10 | 홍호명 | Heating device using plastic waste resources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110271915A1 (en) | Portable boiler for a hot mat | |
| US20160061456A1 (en) | Portable burner | |
| JP2009511857A (en) | Liquid fuel portable stove | |
| JPH04347450A (en) | portable heat transfer device | |
| AU2009222599A1 (en) | Portable instant hot water heater | |
| US6733282B2 (en) | Torch fuel delivery system and burner | |
| KR200280588Y1 (en) | The portable heating apparatus | |
| KR200280587Y1 (en) | The portable heating apparatus | |
| KR100443502B1 (en) | Complex Type Gas Warm Heater System | |
| KR200301373Y1 (en) | Candle-light heating type portable chair | |
| KR20130005803U (en) | Portable Boiler Thaw steamer | |
| KR100345242B1 (en) | Gas boiler | |
| KR100286368B1 (en) | A portable stove | |
| KR200179635Y1 (en) | Heating device of a mat | |
| KR200338858Y1 (en) | Portable gas heater | |
| JPS584033Y2 (en) | Vaporizing oil burning appliance | |
| KR100438362B1 (en) | A energy saving type hot-water boiler heating apparatus | |
| KR200313640Y1 (en) | Heating means combine a portable pot | |
| KR200352201Y1 (en) | Butane gas ignition-type roaster with an equipment for preventing cooling of the butane gas container | |
| KR101233230B1 (en) | Portable Gas Stove | |
| JPS599136Y2 (en) | liquid fuel combustion equipment | |
| JPS6246977Y2 (en) | ||
| KR20250130117A (en) | Warm seat for fishing | |
| JPS6246976Y2 (en) | ||
| JPS5824116Y2 (en) | hot water storage water heat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0306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3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