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736Y1 - Beer cup - Google Patents
Beer cu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90736Y1 KR200290736Y1 KR2020020017610U KR20020017610U KR200290736Y1 KR 200290736 Y1 KR200290736 Y1 KR 200290736Y1 KR 2020020017610 U KR2020020017610 U KR 2020020017610U KR 20020017610 U KR20020017610 U KR 20020017610U KR 200290736 Y1 KR200290736 Y1 KR 20029073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er
- cup
- neck
- diameter
- beer cu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맥주 컵에 관한 것으로, 손이 맥주 컵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맥주가 외부로 넘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맥주 컵이 깨지지 않도록 하고, 맥주가 조금씩 토출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er cup, to prevent the hand from slipping in the beer cup to prevent the beer from overflowing to the outside, the beer cup is not broken, and the beer can be discharged little by little.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맥주 컵(10)은, 하측에서부터 차례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몸체부(11), 목부(12) 및 취출부(13)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와 취출부는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목부는 상기 몸체부의 대략 1/2이하의 직경이면서 그 길이는 대략 2배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목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끄럼방지용 파지부(14)가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목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환형 링(14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취출부의 상단 입구측에는 그 이전보다 직경이 작은 취출안내구(13a)가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맥주를 마시기 위해 파지부를 잡을 때 손이 파지부에서 미끄러지지 않으며, 맥주가 취출안내구에 의해 왈칵 토출되지 않고 조금씩 천천히 토출된다.Beer cup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body portion 11, a neck portion 12 and a blowout portion 13 which extend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in order. The body portion and the extraction portion is made of approximately the same diameter, and the neck portion may be approximately twice or less in diameter and approximately two times or more in length. At least one non-slip gripping portion 14 is formed in the neck. The gripping portion may consist of a plurality of annular rings 14a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ck. An ejection guide 13a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at before is formed at the upper inlet side of the ejection portion. As a result, the hand does not slip on the gripper when holding the gripper for drinking beer, and the beer is slowly discharged little by little without being ejected by the ejection guide.
Description
본 고안은 맥주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맥주 컵에서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고, 맥주가 천천히 조금씩 토출되도록 한 맥주 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er cup,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er cup that prevents the hand from slipping in the beer cup, the beer is slowly discharged little by little.
일반적으로 병맥주 컵은 상, 하단부의 직경이 거의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고, 생맥주 컵도 병맥주 컵과 거의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만, 생맥주 컵은 예컨대 500㏄, 1000㏄ 등 병맥주 컵보다 많은 용량의 맥주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외주면 일측에 손잡이가 더 설치된다.In general, the bottle beer cup is made of almost the same diameter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draft beer cup is also made of a shape similar to the bottle beer cup. However, the draft beer cup is made of a size that can accommodate a beer of a larger capacity than the bottle beer cup, such as 500 아울러, 1000㏄, and a handle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000㏄이상의 맥주를 수용하기 위한 대용량 생맥주용 용기로는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입구가 넓어지는 형태의 이른바 피쳐컵으로 널리 알려진 생맥주 컵이 사용되거나 밸브가 설치된 드럼통이 널리 사용된다.As a container for a large-scale draft beer for accommodating beer of 1000㏄ or more, a draft beer cup, widely known as a so-called feature cup, in which the inlet is widened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or a drum barrel with a valve is widely used.
피쳐컵이나 드럼통과 같은 대용량 생맥주용 용기에 수용된 생맥주를 마실 때에는 피쳐컵이나 드럼통을 위로 들기에 무겁기 때문에 피쳐컵이나 드럼통을 들고 직접 생맥주를 마시는 것이 아니라 작은 용량의 맥주 컵, 특히 500㏄ 용량의 맥주 컵에 조금씩 부어 마시는 것이 일반적이다.When you drink draft beer in a large draft beer container such as a feature cup or drum, it is too heavy to lift the feature cup or drum, so you do not drink the draft beer directly with the feature cup or drum. It is common to pour a little into a cup and drink.
그러나, 피쳐컵에 맥주가 가득 수용되어 있을 경우 소형 맥주 컵에 생맥주를 부을 때 피쳐컵이 무거워 피쳐컵을 위로 들기 힘들므로 피쳐컵을 위로 드는 과정에서 또는 생맥주를 붓는 과정에서 생맥주가 엎질러지기 쉽고, 테이블에 부피가 큰 피쳐컵이 놓임으로써 테이블의 사용면적을 많이 차지하며, 이에 따라 소형 맥주컵이나 안주 등 다른 물품을 놓을 자리가 좁아져 불편하고, 잘못하면 맥주컵을 엎지르게 된다.However, if the feature cup is filled with beer, when the draft beer is poured into a small beer cup, the feature cup is heavy and it is difficult to lift the feature cup, so the draft beer is likely to spill when the feature cup is lifted up or when the draft beer is poured. The bulky feature cups placed on the table occupy a large amount of used area of the table, which results in a narrow space for other items such as small beer cups or snacks, which is inconvenient.
그리고, 맥주 컵 등이 거의 일률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쉽게 식상함을 느끼는 단점이 있다.And, since the beer cup is made of a nearly uniform shap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feels easy to eat.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부피를 최소화하여 테이블의 사용면적을 줄일 수 있고, 독특하고 색다른 형상이 부여됨으로써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맥주컵 및 그 지지대를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8-2114호로 출원하여 등록(등록실용신안 제199179호)받은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drawback, the present applicant can reduce the use area of the table by minimizing the volume, and apply for the beer cup and its support which can cause curiosity by being given a unique and different shape as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1998-2114. Was registered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199179).
선출원된 맥주 컵은 상부 구멍의 직경이 중간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하단부와, 상기 하단부로부터 위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와, 그리고, 상기 연장부로부터 위로 확대 형성되는 상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registered beer cup comprises a lower end formed with a diameter of the upper hol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middle portion, an extens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lower end, and an upper end extending upwardly from the extension.
상기 하단부는 항아리형, 피라밋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ower end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jar shape, pyramid shape, polygonal shape, and the like.
상기 연장부는 상기 하단부의 구멍으로부터 이 구멍과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위로 길게 연장되어 이루어진다.The extension extends up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hole with a diameter approximately equal to that of the hole.
상기 상단부는 상기 연장부의 상단으로부터 위로 확대 형성됨으로써 대략 깔때기형을 하고 있다.The upper end portion is substantially funnel-shaped by being enlarged upward from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이와 같이 구성된 선출원된 맥주 컵에 따르면, 맥주를 마실 경우 맥주 컵의 연장부를 잡고 들어 상단부를 입에 대고 기울여서 맥주를 마시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registered beer cup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drinking beer, the beer is held by holding the extension of the beer cup and tilting the upper end with the mouth.
선 출원된 맥주 컵에 의하면, 그 형상이 기존의 맥주 컵과 비교할 때 독특하기 때문에 기존에 느낄 수 없는 재미를 느낄 수 있고, 우스꽝스러운 분위기가 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applied beer cup, the shape is uniqu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eer cup, it is possible to feel the fun that can not be felt conventionally, there is an effect that a comical atmosphere can be produced.
그러나, 선출원된 맥주 컵은 현저한 효과가 있음에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However, although the pre-registered beer cup has a significant effect, it has the following disadvantages.
맥주 컵에 담긴 맥주를 마시기 위해서는 타구간에 직경이 작은 맥주 컵의 연장부를 손으로 잡고 맥주 컵을 들어야 하는데, 이 연장부의 외주면이 매끄러운 면으로 이루어져 연장부를 잡은 손이 연장부에서 미끄러지게 되고, 이에 따라 맥주 컵이 흔들리면서 맥주 컵에 담긴 맥주가 쏟아질 수 있고, 맥주 컵이 깨질 수 있다.In order to drink the beer contained in the beer cup, you need to hold the extension of the small diameter beer cup by hand and lift the beer cup.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is made of smooth surface, and the hand holding the extension slides on the extension. The beer cups may shake and the beer in the beer cups may spill out and the beer cups may break.
그리고, 맥주가 토출되는 상단부가 입구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연장부에서 나온 맥주가 한꺼번에 빨리 상단부를 통해 왈칵 쏟아지게 되어 맥주를 마실 때 맥주가 입가로 흘러내려 옷을 오염시키는 단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ameter of the upper part of the beer discharged toward the entrance side is expanded, the beer from the extension portion spills quickly through the upper part at once, and the beer flows down to the mouth when drinking beer and contaminates clothes. .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맥주 컵을 잡을 때 손이 맥주 컵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 맥주 컵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er cup in which a hand does not slip out of the beer cup when the beer cup is held.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맥주 컵에 담긴 맥주가 조금씩 부드럽게 토출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beer contained in the beer cup to be discharged little by littl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맥주 컵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er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맥주 컵의 종단면도.Figure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beer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맥주 컵에 적용된 파지부의 예시도.3 to 5 are each an illustration of a grip applied to the beer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맥주 컵, 11 : 몸체부10; Beer Cup, 11: Body
11a : 구멍, 11b : 인출안내홈11a: hole, 11b: withdrawal guide
12 : 목부, 13 : 취출부12: neck, 13: outlet
13a : 취출안내구, 14 : 파지부13a: ejection guide, 14: gripper
14a : 환형 링,14a: annular ring,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 중앙의 구멍이 중간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구멍과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구멍으로부터 길게 연장되는 목부와; 그리고, 상기 목부의 상단으로부터 위로 확경 형성되는 취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맥주 컵에 있어서, 상기 목부의 외주면에는 미끄럼방지용 파지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body portion is formed in the upper central hole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middle portion; A neck portion extending from the hole with a diameter substantially equal to that of the body portion; And, in the beer cup comprising a take-out portion formed to be enlarged from the upper end of the neck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slip grip portion is further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eck portion.
상기 미끄럼방지용 파지부는 상기 목부에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non-slip gripp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n uneven shape in the neck.
상기 취출부의 상단에는 맥주가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타구간에 비해 직경이 작은 취출안내구가 더 형성될 수 있다.An ejection guide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at of the other section may be further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outlet so that beer can be smoothly discharged.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defined 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or her own design. It must be interpreted to mean meanings and concepts.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맥주 컵(10)은,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다르게 차례로 연장 형성되는 몸체부(11), 목부(12) 및 취출부(13)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 and Figure 2, the beer cup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11, the neck portion 12 and the blowout portion 13 is formed extending in sequence in order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Can be done.
몸체부(11)와 취출부(13)는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목부(12)는 그 직경이 몸체부(11)의 대략 1/2 정도 이하이면서 길이는 2배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dy portion 11 and the extraction portion 13 may be made of approximately the same diameter, the neck portion 12 may be made of twice or more in length while its diameter is about 1/2 or less of the body portion (11). .
몸체부(11)는 그 상단 중앙의 구멍(11a)이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Body portion 11 may be formed with a hole (11a)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smaller than the diameter.
몸체부(11)의 외주면에는 맥주 컵(10)을 냉각 용기 등에 수납하였을 때 용기와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함으로써 인출이 용이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인출안내홈(11b)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 when the beer cup 10 is stored in a cooling vessel or the like, a plurality of drawing guide grooves 11b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facilitate withdrawal by reduc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container. Can be.
목부(12)는 그 외주면이 매끈한 면으로 형성되면서 몸체부(11)의 구멍(11a)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지만, 본 고안에서는, 맥주 컵(10)을 들 때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으로 손이 목부(12)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목부(12)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미끄럼방지용 파지부(14)가 형성된다. 파지부(14)는 목부(12)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환형 링(14a)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neck 12 extends upward from the hole 11a of the body 11 while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as a smooth surfac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 is held by the hand when the beer cup 10 is lifted. At least one non-slip gripping portion 14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ck 12 so as not to slip from the neck 12. The gripping portion 14 is preferably an annular ring 14a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ck portion 12.
환형 링(14a)은 복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손바닥의 폭을 감안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예로, 도 1에는 8개가 도시되어 있다. 즉, 파지부(14)는 다수의 환형 링(14a)들에 의하여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The annular ring 14a may be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of the palm as a whole, while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example, eight are illustrated in FIG. 1. That is, the gripping portion 14 is formed in a concave-convex shape by a plurality of annular rings 14a.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파지부(14)는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목부(12)에 오목하게 요입 형성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grip portion 14 may not be formed in an uneven shape, and may be recessed in the neck 12.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맥주가 부드럽게 나오고, 촉감을 좋게 할 수 있으며, 손이 목부(12)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파지부(14)는 그 내면 및 외면이 곡선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 the beer comes out smoothly, feels good, and the grip portion 14 may be curved in its inner and outer surfaces so that the hand does not slip on the neck 12.
파지부(14)는 목부(12)의 어느 일부분 1개소(도 2참조) 또는 2개소(도 3참조) 또는 3개소(도 4참조) 또는 목부(12) 전체(도 5참조)에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14)는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단면이 각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정 간격을 두고 4개소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14)의 수량에 따라 목부(12)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The gripping portion 14 may be formed at one portion (see FIG. 2) or two (see FIG. 3) or three (see FIG. 4) or the entire neck 12 (see FIG. 5) of any part of the neck 12. Can be. The holding part 14 is not limited to what is shown in the figure, the cross section may be formed in a square shape, and may be formed at four or more places at regular intervals. The length of the neck 12 may be lengthened depending on the quantity of the grip 14.
취출부(13)는 목부(12)를 기준으로 할 때 목부(12)의 상단부에서 확경 형성된 것으로, 목부(12)에서 확경된 후 동일한 직경을 유지할 수도 있고,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깔때기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그 횡단면이원형,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xtraction part 13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neck 12 when the reference to the neck 12 is enlarged diameter, may be maintained in the same diameter after being expanded in the neck 12, the funnel that gradually increases in diameter toward the top It may be made of a shape, the cross section may be made of a circular, polygonal.
목부(12)에서 나오는 맥주가 취출부(13)를 통해 한꺼번에 밖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취출부(13)의 입구 상단에는 이전보다 직경이 작은 취출안내구(13a)가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beer from the neck 12 from being discharged out at once through the ejection portion 13, the ejection guide 13a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before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inlet portion of the ejection portion 13.
취출안내구(13a)는 맥주가 왈칵 쏟아지지 않고 부드럽게 토출될 수 있는 곡률로 이루어진다.The ejection guide 13a has a curvature in which beer can be discharged smoothly without spilling.
본 고안에 따른 맥주 컵은 사이즈에 따라 손으로 들고 마실 수 있고, 선출원된 것처럼 지지대에 세워 놓고 지지대와 함께 입쪽으로 기울여 마실 수도 있다.Beer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held by hand according to the size and drink, can also be drunk inclined toward the mouth with the support, such as standing up on the support.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맥주 컵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beer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맥주를 마시기 위하여 맥주 컵(10)을 들 경우 목부(12)의 파지부(14) 중 사용자가 가장 파지하기 편한 곳을 잡고 맥주 컵(10)을 들게 되며, 이때 파지부(14)가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된 환형 링(14a)으로 이루어져 파지부(14)를 감싼 손이 파지부(14)에서 미끄러지지 않는다.When the beer cup 10 is lifted to drink beer, the grip portion 14 of the neck 12 is held by the user most comfortable to hold the beer cup 10, wherein the grip portion 14 is a certain interval Consists of the annular ring (14a) protruding with the hand wrapped around the gripping portion 14 does not slip in the gripping portion (14).
이와 같이 맥주 컵(10)을 들고 기울여 취출부(13)의 상단 취출안내구(13a)를 입에 대고, 맥주가 나오도록 맥주 컵(10)을 계속해서 기울이면, 맥주가 목부(12)를 따라 흐르다가 취출부(13)를 통과한 후, 입구측의 취출안내구(13a)를 거쳐 토출되는데, 이때 취출안내구(13a)가 그 이전보다 직경이 작기 때문에 토출되려는 맥주가 취출안내구(13a) 직전에 모아진 후 천천히 조금씩 토출된다.In this manner, the beer cup 10 is tilted, the upper ejection guide 13a of the ejection part 13 is held in the mouth, and the beer cup 10 is continuously tilted so that the beer comes out. After passing through the dispensing unit 13, the discharging unit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pensing guide 13a on the inlet side. At this time, since the dispensing guide 13a is smaller in diameter than before, the beer to be discharged is discharged. 13a) Collected just before, and slowly slowly discharged.
한편, 맥주를 다른 컵에 따르거나 마실 때 목부(12)의 직경이 몸체부(11) 보다 작기 때문에 목부에 차 있는 공기가 몸체부(11)에 들어갈 때 꿀렁꿀렁 소리가나게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diameter of the neck portion 12 is smaller than the body portion 11 when pouring or drinking beer into the cup, the air filled in the neck enters the body portion 11 and makes a loud sound.
따라서, 손으로 파지부(14)를 잡고 맥주 컵(10)을 들 경우 파지부(14)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종래와 같이 매끈한 목부를 잡고 들 때와는 달리 손이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Therefore, when holding the gripping portion 14 by hand and holding the beer cup 10, the gripping portion 14 is formed in an uneven shape so that the hand does not slip, unlike when holding a smooth neck as in the prior art.
그리고, 상단 취출안내구(13a)가 타구간에 비해 직경이 작기 때문에 맥주가 토출될 때 종래와 같이 맥주가 취출부를 통해 한꺼번에 토출되지 않고 조금씩 서서히 토출된다.Further, since the upper ejection guide 13a is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other section, when beer is ejected, the beer is gradually ejected little by little without discharging at once through the ejection unit as in the prior ar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맥주 컵에 의하면, 목부의 파지부를 손으로 잡고 맥주 컵을 들게 되면 손이 파지부에서 미끄러지지 않으므로 맥주가 넘치지 않고, 맥주 컵이 깨지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eer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 holding the grip portion of the neck holding the beer cup, the hand does not slip in the grip portion, the beer does not overflow, the beer cup is not broken.
그리고, 맥주가 토출될 때 맥주가 소경부를 통해 한꺼번에 토출되지 않고 조금씩 천천히 토출되므로 맥주를 흘리지 않는 등의 효과가 있다.When the beer is discharged, the beer is not discharged all at once through the small diameter portion, so that the beer is discharged slowly little by little.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connection with a preferre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bu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Rath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20017610U KR200290736Y1 (en) | 2002-06-10 | 2002-06-10 | Beer cu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20017610U KR200290736Y1 (en) | 2002-06-10 | 2002-06-10 | Beer cup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290736Y1 true KR200290736Y1 (en) | 2002-10-04 |
Family
ID=7312457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20017610U Expired - Fee Related KR200290736Y1 (en) | 2002-06-10 | 2002-06-10 | Beer cup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290736Y1 (en) |
-
2002
- 2002-06-10 KR KR2020020017610U patent/KR200290736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5203836A (en) | Nestable mixing bowl with integral handle | |
| US4452381A (en) | Beverage dispensing system | |
| WO2001062614A1 (en) | Bottle holder | |
| US7014162B2 (en) | Ice cube tray with server cover | |
| US5183169A (en) | Reusable bottle handle | |
| US6739363B2 (en) | Funnel set | |
| US5868272A (en) | Beverage container | |
| US4967918A (en) | Drinking vessel with finger recesses | |
| JPH0524024B2 (en) | ||
| CA2826898A1 (en) | Tilted grooved beverage drinking container | |
| US5367775A (en) | Skimming ladle | |
| CA2602986C (en) | Liquid dispensing apparatus and device | |
| US6364385B1 (en) | Bottle handle and carry assist device | |
| US20080257845A1 (en) | Self Righting Baby Bottle | |
| US8141740B2 (en) | Portable container | |
| US20030214140A1 (en) | Combination bottle holder and pitcher type container | |
| WO1992012901A1 (en) | Beverage bottle with grip | |
| AU2008251469A1 (en) | Easy grip bottle | |
| KR200290736Y1 (en) | Beer cup | |
| US20060006182A1 (en) | Self-righting sipper cup | |
| JP5053057B2 (en) | Bottle-shaped container with two grips | |
| US20040232714A1 (en) | Portable device for holding a liquid container and method therefor | |
| US6739484B2 (en) | Sanitary liquid dispenser | |
| KR19990067330A (en) | Liquid Dispensing Cups for Toddlers | |
| CN218229853U (en) | Plastic bottle with structure of shaking hand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UN2301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 UT0201 |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5-5-W10-W00-oth-UT0201 |
|
| L13-X000 | Limitation or reissue of ip righ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L10-L13-lim-X000 |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 UT0701 |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
St.27 status event code: A-5-4-M10-M11-oth-UT0701 |
|
| G701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 ||
| U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9-oth-UG1701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 20021004 Gazette number: 2002907360000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 20031008 Republication note text: 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Based on Technical Evalu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318 Year of fee payment: 3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2 |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0509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50918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