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2628A -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12628A KR20030012628A KR1020010046752A KR20010046752A KR20030012628A KR 20030012628 A KR20030012628 A KR 20030012628A KR 1020010046752 A KR1020010046752 A KR 1020010046752A KR 20010046752 A KR20010046752 A KR 20010046752A KR 20030012628 A KR20030012628 A KR 200300126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er
- air
- blower
- cabinet
- air conditio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는 히터가 송풍기구의 팬 하우징 상부에 장착된 히터 체결편에 의해 송풍기구와 열교환기의 사이, 즉 전면패널의 후방에 설치되기 때문에 난방운전시 토출그릴을 통하여 이물질이 캐비닛 내로 유입되어도 가열된 히터와의 접촉이 차단되어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부가적으로 히터 보수작업을 위해 종래에는 흡입그릴, 전면패널 그리고 토출그릴을 캐비닛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탈거해야만 히터가 작업자에게 노출되었던 것에 비하여 흡입그릴과 전면패널만을 탈거하여도 노출되기 때문에 보수 공정이 보다 단순화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를 난방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히터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공기정화기 등으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장치이다.
특히 최근에는 냉방과 난방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히터 설치구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는 캐비닛(1)의 전면 상, 하측에 각각 토출그릴(2) 및 흡입그릴(3)이 장착되고, 상기 토출그릴(2) 및 흡입그릴(3)의 사이에는 캐비닛(1)의 앞쪽을 막아주는 전면패널(4)이 장착되고, 상기 토출그릴(2)과 흡입그릴(3)을 통해 실내공기를 강제 유입 및 배출시키는 송풍기구(5)가 캐비닛(1)의 내부에 설치되고, 냉방운전시 상기 캐비닛(1)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해 송풍기구(5)의 하측에 열교환기(6)가 설치되고, 난방운전시 상기 캐비닛(1)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해 송풍기구(5)의 상측에 히터(7)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히터(7)는 송풍기구(5)의 상측, 즉 토출그릴(3)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캐비닛(1)의 내부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히터 브래킷(11)에 안착될 수있도록 양측에 측면패널(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 브래킷(11)과 측면패널(13)에는 상호간에 나사(15)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구멍(12, 14)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은 토출그릴(2)의 후방에 히터(7)가 설치되기 때문에 실내를 난방시키기 위해 공기조화기를 난방기로 작동시킬 경우 가열된 히터(7)로 이물질이 투입되어 화재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토출그릴(2)의 후방에 설치된 히터(7)의 보수작업을 위해서는 캐비닛(1)으로부터 흡입그릴(3), 전면패널(4) 그리고 토출그릴(2)을 순차적으로 탈거해야만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탈거작업에 의한 작업시간의 증가 및 번거로움을 감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열된 히터로 이물질 등이 투입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부가적으로는 작업자가 히터의 보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히터 설치구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 설치구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5 : 송풍기구 56 : 열교환기
57 : 히터 61 : 측면패널
62 : 체결용 홀 63 : 히터 체결편
64 : 구멍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는 캐비닛에 장착된 흡입그릴 및 토출그릴을 통하여 공기를 강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기구와, 상기 송풍기구의 상측에 설치되어 냉방운전시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송풍기구와 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되어 난방운전시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 설치구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캐비닛(51)의 전면 상측에 토출그릴(52)이 장착되고, 상기 캐비닛의 전면 하측에 흡입그릴(53)이 장착되며, 상기 토출그릴(52)과 흡입그릴(53) 사이에는 캐비닛(51)의 앞쪽을 막을 수 있도록 전면패널(54)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51)의 내부에는 흡입그릴(53) 및 토출그릴(52)을 통해 실내공기를 강제 유입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송풍팬(55a) 및 송풍팬(55a)의 외부에 씌워진 팬 하우징(55b)으로 구성된 송풍기구(55)가 설치되고, 냉방운전시 상기 송풍기구(55)에 의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열교환기(56)가 설치되고, 난방운전시 상기 송풍기구(55)에 의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시킬 수 있도록 히터(57)가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56) 및 히터(57)는 송풍기구(55)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공기가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대류 열전달 방식을 이용하는 바, 실내의 냉방을 위해 열교환기(56)가 작동되는 경우 토출그릴(52)을 통해 차가운 공기가 배출되고, 실내의 난방을 위해 히터(57)가 작동되는 경우 토출그릴(52)을 통해 뜨거운 공기가 배출된다.
이러한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의 송풍기구(55)는 캐비닛(51)의 내부에 설치되되 흡입그릴(53)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56)는 송풍기구(55)의 팬 하우징(55b) 상부에 설치되되 그 상단이 전방을 향할 수 있도록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히터(57)는 송풍기구(55)와 열교환기(56) 사이에 설치되는 바, 상기 송풍기구(55)의해 공기가 토출그릴(52)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팬하우징(55b)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57)는 상기 팬하우징(55b)의 상부 양측, 즉 개구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곳에 각각 장착된 'ㄷ' 모양의 히터 체결편(63)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될 수 있도록 양측에 측면패널(61)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히터 체결편(63)은 상호간에 개구된 부분이 마주보도록 장착되고, 상기 히터(57)는 히터 체결편(63)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 모양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송풍기구(55)에 의해 발생되는 풍력 등의 외부충격에도 상기 히터(57)가 견실하게 히터 체결편(63)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히터(57)의 측면패널(61)에는 히터 체결편(63)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64)에 나사(65)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용 홀(62)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캐비닛(51)의 내부 하측에 송풍기구(55)를 설치하고, 송풍기구(55)의 상부에 열교환기(56)를 설치하며, 열교환기(56)가 설치되지 아니한 송풍기구(55)의 상부에 히터(57)를 설치한다.
여기서 히터(57)의 측면패널(61)은 송풍기구(55)의 상부에 장착된 히터 체결편(63)에 슬라이딩 삽입된 후, 나사(65)에 의해 체결된다.
다음 토출그릴(52), 전면패널(54) 그리고 흡입그릴(53)을 순차적으로 캐비닛(51)에 장착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이러한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가 사용자의 선택적인 조작에 의해 난방기로 작동되면 히터(57)는 가열되고, 송풍기구(55)에 의해 히터(57)를 통과하는 공기는 히터(57)의 열에 의해 따뜻한 공기로 변환되어 토출그릴(52)을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이때 토출그릴(52)을 통해 이물질 등이 캐비닛(51) 내로 유입되어도 히터(57)가 전면패널(54)의 후방에 위치되어 열교환기(56)에 의해 가려져 있기 때문에 이물질과 히터(57)의 접촉이 차단되어 화재 등의 안전사고가 방지된다.
한편 히터(57)의 고장 등에 의해 작업자가 보수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경우 흡입그릴(53)과 전면패널(54)만을 탈거하여도 작업자에게 히터(57)가 노출되어 보수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는 히터가 송풍기구의 팬 하우징 상부에 장착된 히터 체결편에 의해 송풍기구와 열교환기의 사이, 즉 전면패널의 후방에 설치되기 때문에 난방운전시 토출그릴을 통하여 이물질이 캐비닛 내로 유입되어도 가열된 히터와의 접촉이 차단되어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부가적으로 히터 보수작업을 위해 종래에는 흡입그릴, 전면패널 그리고 토출그릴을 캐비닛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탈거해야만 히터가 작업자에게 노출되었던 것에 비하여 흡입그릴과 전면패널만을 탈거하여도 노출되기 때문에 보수 공정이 보다 단순화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 캐비닛에 장착된 흡입그릴 및 토출그릴을 통하여 공기를 강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기구와, 상기 송풍기구의 상측에 설치되어 냉방운전시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송풍기구와 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되어 난방운전시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히터는 상기 송풍기구에 의해 공기가 상기 토출그릴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송풍기구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히터는 상기 팬하우징의 상부 양측에 장착된 'ㄷ' 모양의 히터 체결편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에 측면패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히터의 측면패널은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기다란 직사각 모양으로 형성되고, 삽입시 상기 히터 체결편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과 나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용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10046752A KR20030012628A (ko) | 2001-08-02 | 2001-08-02 |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10046752A KR20030012628A (ko) | 2001-08-02 | 2001-08-02 |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30012628A true KR20030012628A (ko) | 2003-02-12 |
Family
ID=2771778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10046752A Withdrawn KR20030012628A (ko) | 2001-08-02 | 2001-08-02 |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30012628A (ko)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575314B1 (ko) * | 2003-12-01 | 2006-05-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0833560B1 (ko) * | 2004-06-30 | 2008-05-29 |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 멀티형 공기 조화장치 |
| KR102092786B1 (ko) * | 2019-10-17 | 2020-03-24 | 국방과학연구소 | 작용기가 보호된 다이아지도글라이옥심 및 그의 합성 방법 |
-
2001
- 2001-08-02 KR KR1020010046752A patent/KR20030012628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575314B1 (ko) * | 2003-12-01 | 2006-05-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0833560B1 (ko) * | 2004-06-30 | 2008-05-29 |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 멀티형 공기 조화장치 |
| KR102092786B1 (ko) * | 2019-10-17 | 2020-03-24 | 국방과학연구소 | 작용기가 보호된 다이아지도글라이옥심 및 그의 합성 방법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629342B1 (ko) | 공기조화기 | |
| KR100273353B1 (ko) | 에어컨의실내기 | |
| WO2006071067A3 (en) | Indoor unit of air-conditioning system | |
| KR20030012628A (ko) |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 |
| KR100769893B1 (ko) |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 |
| KR100964362B1 (ko) | 공기조화기 | |
| KR20110027508A (ko)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
| KR20100023706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용 연교환 시스템 | |
| CN112628854A (zh) | 一种空调柜机及包括其的空调器 | |
| KR100393597B1 (ko) | 다면 토출형 공기조화기의 흡입부 구조 | |
| KR20090022643A (ko) | 공기조화시스템 | |
| KR100511987B1 (ko) |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 KR100697188B1 (ko) | 삼면 토출형 공기조화기의 집진기 고정장치 | |
| KR101230683B1 (ko) | 공기조화시스템 | |
| KR100192249B1 (ko) | 공기조화기의 보조그릴 제어방법 | |
| KR200267690Y1 (ko) | 에어컨 송풍팬 방호그릴의 진동 저감 구조 | |
| KR20030037556A (ko) |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 |
| KR20020002863A (ko) | 공기조화기의 난방장치 | |
| KR100260736B1 (ko) | 공조기기 | |
| KR100360440B1 (ko) | 삼면 토출형 공기조화기 | |
| KR0120865Y1 (ko) | 캐비넷형 에어컨의 실내기 | |
| KR20010104978A (ko) | 공기조화기의 난방장치 | |
| KR200263461Y1 (ko) | 제어부 지지수단을 구비한 에어컨 | |
| KR100579558B1 (ko) | 서비스밸브유닛이 장착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
| KR20010093371A (ko) | 냉난방 겸용 공기 조화기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80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