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3768A -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a doll using a compu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a doll using a compu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13768A KR20030013768A KR1020010047951A KR20010047951A KR20030013768A KR 20030013768 A KR20030013768 A KR 20030013768A KR 1020010047951 A KR1020010047951 A KR 1020010047951A KR 20010047951 A KR20010047951 A KR 20010047951A KR 20030013768 A KR20030013768 A KR 200300137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ll
- user
- computer
- voice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에 사용자와 상호 작용이 가능한 인형을 연결하여 인터넷 전화, 스크린 세이버, 메일, 시간 알람, 사용자 가족간 메모 전달, 성인 사이트 출입금지 등을 수행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인형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device for a doll using a computer that connects a doll that can interact with a user to a computer to perform an Internet phone call, a screen saver, an e-mail, a time alarm, a memo between a user's family, and an adult site prohibition. ,
본 발명의 특징은, 전용 음성 인식 프로그램과 전용 영상 인식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사용자 또는 특정 스타의 음성, 영상을 저장하는 컴퓨터본체수단; 상기 컴퓨터본체수단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특정 스타의 음성, 영상을 처리하는 마스코트인형수단;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마스코트인형수단을 기울이면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특정 스타의 음성이 오프되는 스피커수단; 및 스크린 세이버의 형태에 따라 상기 마스코트인형수단의 인형유니트를 움직이게 하고,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특정 스타의 음성, 영상에 따라 변화되는 스크린 세이버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수단을 포함하는데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uter body means for storing a voice or an image of a user or a specific star incorporating a dedicated voice recognition program and a dedicated image recognition program; Mascot doll means connected to the computer body means by wire or wirelessly to process the voice or image of the user or the specific star; Speaker means for turning off the voice of the user or the specific star when the user tilts the mascot doll; And monitor means for moving the doll unit of the mascot doll mean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creen saver, and displaying a screen saver which is changed according to the voice or image of the user or the specific star.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 전화기로 활용 가능하며 스크린 세이버와 조화되어 상호 반응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재미를 주고 스크린 세이버를 통한 정보 전달 및 특정 홈페이지 접속 유도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비서 기능을 수행하거나 성인 사이트에 아이들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인형이 사용자 개개인을 구별하여 대응하는 독특한 행동을 하여 친근감과 재미를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n Internet phone and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fun to the user by performing interaction with the screensaver and inducing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accessing a specific homepage through the screensaver.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linked to a computer program to perform a secretary function or to prevent children from entering the adult sit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oll can give a sense of intimacy and fun by distinguishing and responding to the individual users.
Description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한 인형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에 사용자와 상호 작용이 가능한 인형을 연결하여 인터넷 전화, 스크린 세이버, 메일, 시간 알람, 사용자 가족간 메모 전달, 성인 사이트 출입금지 등을 수행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인형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device of a doll using a computer, and more particularly, by connecting a doll capable of interacting with a user to a computer, Internet telephone, screensaver, mail, time alarm, user's family memo transmission, adult site access It relates to a control device of a doll using a computer for performing the prohibition.
최근, 개인 컴퓨터의 보유 대수와 초고속 인터넷 통신을 이용한 인터넷 이용율은 빠른 속도로 증가 추세에 있고, 사용 계층의 연령 하향화 현상도 눈에 띄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웹 케스팅(Web Casting) 관련 웹사이트들의 수도 빠른 증가 추세를 보이며 관련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 정보화 환경의 성숙과 이용자 수의 증가와 이용자 계층의 확대 및 인터넷 관련 기술 발전의 인프라를 이용하여 인터넷과 다른 컨셉(Concept)의 결합을 시도한 새로운 제품들의 출현이 기대되는 시점이다. 날마다 수많은 상업적 용도의 웹사이트들이 생기고 있지만 현 인터넷 사업의 수익모델의 부재와 “인터넷은 무료다”라는 인식으로 인해 닷컴 기업들은 수익 창출의 어려움을 격고 있다. 많은 인터넷 웹사이트 콘텐츠 업체들은 일반 사용자의 접속률을 높이기 위해 각종 마케팅 전략을 수행하면서 많은 자금을 투자하고 있지만 기대한 성과를 만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이고, 설령 회원 가입이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지속적인 접속 유지를 위해서는 각종 이벤트 개최와 상품 등을 제공함으로써 계속적인 추가 비용을 감수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또한, 컴퓨터 악세서리 인형을 이용하여 메일 체크, 타이머 기능과 같은 단순한 기능으로 사용자의 기대에 부합하고 있으나 크게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인터넷 전화로 쓰기위한 도구로 마이크와 헤드폰이 일체화된 헤드셋을 이용하는 경우, 일일이 해당 인터넷 업자의 홈페이지를 찾아서 프로그램을 구동시켜야 하는 등 불편한 점이 많이 있었다.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personal computers owned and the Internet usage rate using high-speed Internet communication have been increasing rapidly, and the age-decreasing phenomenon of the use class has been remarkably progressing. Accordingly, the number of websites related to web casting using streaming technology is increasing rapidly, and the related technologies are rapidly developing. The maturity of the social informatization environmen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users, the expansion of the user base, and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related to the Internet using the infrastructure of Internet-related technologies are expected to emerge. Every day there are numerous commercial-use websites, but the lack of a profit model of the current Internet business and the perception that "the Internet is free" are causing dot-com companies to make money. Many Internet website contents companies are investing a lot of money in carrying out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to increase the access rate of general users, but it is not enough to satisfy the expected outcomes. It was necessary to bear the additional costs by providing holdings and prizes. In addition, using computer accessory dolls, such as mail check, timer functions, such as meeting the user's expectations, but the situation is largely insufficient. In addition, when using a headset integrated with a microphone and a headphone as a tool for writing on the Internet, there were a lot of inconveniences, such as having to run the program to find the homepage of the Internet vendor.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컴퓨터에 필요한 악세서리를 통합하고 산업 디자인 요소를 가미 시켜 컴퓨터와 연동되어 사용자와 생동감있게 상호작용을 하는 인형을 만들어서 마이크, 웹카메라를 구입하는 정도로 여타 별도 비용의 상승없이 사용자에게 인터넷을 편리하게 사용하는 사용 환경을 만드는 컴퓨터를 이용한 인형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s the accessories required for the computer and adds industrial design elements to make a doll that interacts with the user lively and interact with the user to create a microphone, web camera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device for a doll using a computer that creates a user environment for using the Internet conveniently without any additional cost increa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크린 세이버 혹은 자체 프로그램을 통하여 인터넷 전화, 미성년자의 성인 사이트 출입 금지, 가족간 메모 전달, 비서 기능 등의 부가서비스를 수행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인형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device of a doll using a computer that performs additional services such as Internet telephone, minor adult access to the adult site, memo delivery between family members, secretary function, etc. through a screen saver or its own progra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체 프로그램에 있는 얼굴 인식 기능을 통하여 가족 구성원을 구별하고 애완 동물이 주인을 구별하는 것 처럼 인형이 특정 개인 사용자를 구분하는 행동이나 말을 하여, 친근감을 유발시키는 컴퓨터를 이용한 인형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dentify a family member through a face recognition function in its own program, and to make a computer that induces a friendliness by acting or saying that a doll distinguishes a specific individual user as a pet distinguishes owners. It is to provide a control device of the doll us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를 이용한 인형의 제어 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device of a doll using a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를 이용한 인형의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베이스유니트 및 인형유니트의 외관도,2 is an external view of a base unit and a doll unit constituting a control device of a doll using a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컴퓨터를 이용한 인형의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인형유니트의 세부 구성도.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doll unit constituting a control device of a doll using a computer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컴퓨터본체수단 200 : 마스코트인형수단100: computer body means 200: mascot doll means
300 : 스피커수단 400 : 모니터수단300: speaker means 400: monitor mean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전용 음성 인식 프로그램과 전용 영상 인식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사용자 또는 특정 스타의 음성, 영상을 저장하는 컴퓨터본체수단; 상기 컴퓨터본체수단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특정 스타의 음성, 영상을 처리하는 마스코트인형수단;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마스코트인형수단을 기울이면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특정 스타의 음성이 오프되는 스피커수단; 및 스크린 세이버의 형태에 따라 상기 마스코트인형수단의 인형유니트를 움직이게 하고,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특정 스타의 음성, 영상에 따라 변화되는 스크린 세이버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수단을 포함하는데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mputer body means for storing a voice or video of a user or a specific star embedded with a dedicated voice recognition program and a dedicated video recognition program; Mascot doll means connected to the computer body means by wire or wirelessly to process the voice or image of the user or the specific star; Speaker means for turning off the voice of the user or the specific star when the user tilts the mascot doll; And monitor means for moving the doll unit of the mascot doll mean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creen saver, and displaying a screen saver which is changed according to the voice or image of the user or the specific star.
바람직하게, 상기 마스코트인형수단은 인터넷 전화기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ascot puppet means is used as an Internet telephone.
바람직하게, 상기 마스코트인형수단은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베이스유니트; 및 상기 베이스유니트에서 전송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상호 제공하는 인형유니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ascot doll means includes a base unit for photographing and supplying power to the user; And a doll unit which receives power from the base unit and mutually provides a voice of the user.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유니트는 웹카메라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인식 기능을 가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ase unit comprises a web camera to have a face recognition function of the user.
바람직하게, 상기 인형유니트는 스피커와 마이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dol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eaker and a microphone.
바람직하게, 상기 인형유니트는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인형을 움직이는 구동부; 빛이나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통신모듈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사용자가 조작을 할 수 있고, 상기 각 수단을 제어하는 보조스위치및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doll unit is a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doll;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light or text;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when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n auxiliary switch and a control unit which can be operated by the user and control the respective mean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the other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를 이용한 인형의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를 이용한 인형의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베이스유니트및 인형유니트의 외관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컴퓨터를 이용한 인형의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인형유니트의 세부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device of a doll using a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ternal view of a base unit and a doll unit constituting a control device of a doll using a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t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doll unit which comprises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doll using the computer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본 발명은 컴퓨터본체수단(100), 마스코트인형수단(200), 스피커수단(300), 모니터수단(400)으로 구성된다.1 to 3,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mputer body means 100, mascot doll means 200, speaker means 300, monitor means 400.
컴퓨터본체수단(100)은 전용 음성 인식 프로그램과 전용 영상 인식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사용자 또는 특정 스타의 음성, 영상을 저장하며, 스크린 세이버(410)와 조화되도록 디자인되고 하나의 조형물로서 사무실 또는 가정의 집안의 분위기를 좋게하기 위하여 마치 살아있는 것으로 작동되는 마스코트인형수단(200)은 컴퓨터본체수단(1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컴퓨터본체수단(100)에 내장된 전용 음성 인식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인기 스타 등 특정인의 목소리를 내면서 서로 대화할 수 있고, 컴퓨터본체수단(100)에 내장된 전용 얼굴 인식 프로그램 및 음성 인식 및 합성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가족 구성원의 얼굴을 기억시키고, 컴퓨터를 사용할 때 가족 구성원 중 누가 사용하고 있는지 파악하여 구성원의 얼굴을 기억시키고, 사용자 또는 특정 스타의 음성, 영상을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베이스유니트(210) 및 베이스유니트(210)에서 전송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자의 음성을 상호 제공하며, 입만 벌릴 수 도 있고 기어 다닐 수 도 있게 움직이는 인형유니트(220)를 구비하며, 인형유니트(220)의 스피커(221)와 마이크(222)를 이용한 인터넷 전화기로 사용된다. 이때, 마스코트인형수단(200)은 컴퓨터를 사용할 때 가족 구성원 중 누가 사용하고 있는지 파악하여 가족간 메모를 남길 수 있도록 하는 비서 기능을 수행하며,베이스유니트(210)는 사용자가 화상 전화를 하거나 기타 화상신호를 컴퓨터본체수단(100)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웹카메라(211)를 포함한다.The computer body means 100 includes a dedicated voice recognition program and a dedicated image recognition program, stores voices and images of a user or a specific star, and is designed to be in harmony with the screen saver 410, and is used as an object in an office or home. In order to improve the atmosphere of the house, the mascot puppet means 200, which acts as a living thing,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main body 100 by wire or wirelessly and is linked with a dedicated voice recognition program built in the computer main body 100 to become a popular star. Etc.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ile making a voice of a specific person, interlocked with a dedicated face recognition program and a voice recognition and synthesis program built in the computer body means 100 to remember the faces of family members, Know what you're using to remember your face, In order to process the voice and video of the user to take a picture of the user and supply power from the base unit 210 and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se unit 210 to provide the user's voice to each other, can open only the mouth and gear It is provided with a doll unit 220 that can move around, and is used as an internet phone using a speaker 221 and a microphone 222 of the doll unit 220. At this time, the mascot puppet means 200 performs a secretary function to leave a memo between the family to find out who is using the member of the family when using the computer, the base unit 210, the user makes a video call or other video It includes a web camera 211 that performs a function for processing the signal in the computer body means (100).
스피커수단(300)은 컴퓨터 전용으로 사용자가 마스코트인형수단(200)을 인터넷 전화용으로 사용할 때 도 3의 보조스위치및제어부(227)에서 신호를 받아 인터넷 전화 사용중으로 판단하여 컴퓨터본체수단(100)에서 스피커수단(300)으로 전달되는 음향 및 음성 신호가 연결되도록 스크린세이버(410) 혹은 자체 프로그램에 인터넷 전화 화면이 떠서 사용자가 인터넷 전화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준다. 사용자가 인터넷 전화 사용을 종료하고 싶을 때, 마스코트인형수단(220)의 보조스위치및제어부(227)에 신호를 보내면 마스코트인형수단(220)은 컴퓨터본체수단(100)에서 자체의 스피커(221)로 연결되는 음향 및 음성 신호를 차단하고, 스피커수단(300)으로 음향 및 음성 신호가 연결되도록 하고, 인터넷 전화 화면을 종료 시킨다.Speaker means 300 is a computer only means that the user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auxiliary switch and control unit 227 of FIG. In order to connect the sound and voice signals transmitted to the speaker means 300, the screen saver 410 or the Internet phone screen on its own program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can use the Internet phone. When the user wants to finish using the Internet phone, the mascot doll means 220 sends a signal to the auxiliary switch and control unit 227 of the mascot doll means 220 from the computer body means 100 to its speaker 221. Blocks the sound and voice signals to be connected, the sound and voice signals are connected to the speaker means 300, and terminates the Internet phone screen.
한편, 인형유니트(220)는 무선전화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RF모듈을 통해서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또는 유선 방식의 통신모듈(223)과, 인형의 형상을 변환시키는 구동부(224)와, 빛이나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225)와, 통신모듈(223)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26) 및 사용자가 조작을 할 수 있고, 각 수단을 제어하는 보조스위치및제어부(227)를 더 포함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형유니트(220)가 악어 캐릭터로 만들어 지면 스크린 세이버(410)는 늪지대의 풍경으로 꾸미면서 악어 캐릭터의 먹이가 나타나도록 하고, 구동부(224)를 동작시켜 악어 캐릭터의 입이 움직이게 하던지스피커(221)를 통해서 소리를 내게 하는 등의 구성을 할 수 있다. 보조스위치및제어부(227)는 인터넷 중계 업체의 홈페이지가 뜨거나, 해당 인터넷 중계 업체와 연계되어 있는 소프트웨어가 동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번호를 눌러 통화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가가 원하는 전화번호는 컴퓨터본체수단(100)에 연결된 키보드를 이용하거나 보조스위치및제어부(227)의 보조스위치를 눌러 입력이 가능하며, 사용자는 모니터수단(400)의 앞에서 광고를 보면서 인터넷 전화 중계 업체의 무료 또는 저가의 통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마스코트인형수단(200)과 연동되는 스크린 세이버(410)는 인터넷 푸시 기술을 이용하여 짤막한 광고 문구를 보내던지, 특정 인터넷 사이트에 바로 갈 수 있는 아이콘을 생성하여 사용자를 유도함으로써 광고 수익을 발생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doll unit 220 is a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module 223 for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rough an RF module to perform a radiotelephone function, a drive unit 224 for converting the shape of the doll, and light Or a display unit 225 for displaying a letter, a power supply unit 226 for supplying power when performing a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223, and an auxiliary switch a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eans by the user ( 227 is further included, as shown in FIG. 2, when the doll unit 220 is made of a crocodile character, the screen saver 410 decorates a swampy landscape while displaying the food of the crocodile character, and the driving unit 224. The operation of the crocodile character's mouth to move or the speaker 221 can be configured to give a sound. The auxiliary switch and control unit 227 is a home page of the Internet relay company, or software associated with the Internet relay company is operated, so that the user can make a call by pressing the desired phone number. At this time, the user's desired phone number can be input by using the keyboard connected to the computer body means 100 or by pressing the auxiliary switch and the auxiliary switch of the control unit 227, the user watching the advertisement in front of the monitor means 400 You can receive free or low-cost call service of the Internet phone relay company, the screen saver 410 linked with the mascot doll means 200 sends a short advertising phrase using the Internet push technology, or go directly to a specific Internet site Ad revenue is generated by inducing a user by creating an ic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를 이용한 인형의 제어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발생한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doll using a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advantages occur.
즉, 인터넷 전화기로 활용 가능하며 스크린 세이버와 조화되어 상호 반응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재미를 주고 스크린 세이버를 통한 정보 전달 및 특정 홈페이지접속 유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비서 기능을 수행하거나 성인 사이트에 아이들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인형이 사용자 개개인을 구별하여 대응하는 독특한 행동을 하여 친근감과 재미를 줄 수 있다.That is, it can be used as an internet phone and can interact with the screen saver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o provide fun to the user and to transmit information through the screen saver and induce a specific homepage access. It also works in conjunction with computer programs to perform secretarial functions or to prevent children from entering adult sites. In addition, the doll can give a sense of friendliness and fun by distinguishing and responding to individual users.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10047951A KR20030013768A (en) | 2001-08-09 | 2001-08-09 |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a doll using a compu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10047951A KR20030013768A (en) | 2001-08-09 | 2001-08-09 |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a doll using a comput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30013768A true KR20030013768A (en) | 2003-02-15 |
Family
ID=2771849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10047951A Ceased KR20030013768A (en) | 2001-08-09 | 2001-08-09 |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a doll using a comput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30013768A (en) |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636994A (en) * | 1995-11-09 | 1997-06-10 | Tong; Vincent M. K. | Interactive computer controlled doll |
| JPH09185488A (en) * | 1995-12-27 | 1997-07-15 | Tetsuya Fuchiguchi | Multimedia doll system |
| US5746602A (en) * | 1996-02-27 | 1998-05-05 | Kikinis; Dan | PC peripheral interactive doll |
| KR20000036419A (en) * | 2000-03-10 | 2000-07-05 | 김경근 | WEB Robot System Attached Vision, Sound and Transmitting/Receiving Module |
| KR20000072753A (en) * | 2000-09-25 | 2000-12-05 | 오재덕 | An intelligent toy with Wireless Local Communications. |
| KR20010016530A (en) * | 2000-12-18 | 2001-03-05 | 조순영 | Toy system |
| KR20010017811A (en) * | 1999-08-14 | 2001-03-05 | 김상철 | Robot operating in response to image and voice through internet homepage |
-
2001
- 2001-08-09 KR KR1020010047951A patent/KR20030013768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636994A (en) * | 1995-11-09 | 1997-06-10 | Tong; Vincent M. K. | Interactive computer controlled doll |
| JPH09185488A (en) * | 1995-12-27 | 1997-07-15 | Tetsuya Fuchiguchi | Multimedia doll system |
| US5746602A (en) * | 1996-02-27 | 1998-05-05 | Kikinis; Dan | PC peripheral interactive doll |
| KR20010017811A (en) * | 1999-08-14 | 2001-03-05 | 김상철 | Robot operating in response to image and voice through internet homepage |
| KR20000036419A (en) * | 2000-03-10 | 2000-07-05 | 김경근 | WEB Robot System Attached Vision, Sound and Transmitting/Receiving Module |
| KR20000072753A (en) * | 2000-09-25 | 2000-12-05 | 오재덕 | An intelligent toy with Wireless Local Communications. |
| KR20010016530A (en) * | 2000-12-18 | 2001-03-05 | 조순영 | Toy system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Ballard | Designing the mobile user experience | |
| US20160134737A1 (en) | System having a miniatur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command and control of a plurality of wireless devices | |
| JP3501038B2 (en) | Mobile terminal system, mobile terminal used for it | |
| US20110191681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Human Intelligence Personal Assistance | |
| JPWO2002073423A1 (en) | How to communicate by email | |
| US20060073821A1 (en) | Method and device for simulating a communication on a terminal device | |
| KR20220016008A (en) | Emoticon, system and instant message system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 |
| JPWO2019073559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
| KR100943651B1 (en) | Interactive toys and schedule management using them | |
| JP2016207217A (en) |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identifying preference | |
| KR20030013768A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a doll using a computer | |
| KR102274161B1 (en) | Emoticons and systems for language education | |
| TWI574199B (en) | The way to dynamically change its texture style based on the user's virtual pet | |
| JP2002041279A (en) | Agent message system | |
| JP5925935B1 (en) | Management device and preference identification method | |
| KR101135845B1 (en) | Method for displaying game character information and terminal therefor | |
| KR20190138406A (en) | Chatting system using device | |
| KR20060058878A (en) | How to provide a phone page on a mobile device | |
| KR100538878B1 (en) | Schedule management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200332458Y1 (en) | Charac-Tone System use of Mobile-Communication device key-buttons and The method | |
| JP3147561U (en) | Portable terminal | |
| KR20060062614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vatar emotion in virtual space of mobile terminal | |
| Chang et al. | Personalized interactions with reality based interfaces | |
| Kometa et al. | Ringtone Stories: Voices from Bamenda’s Mobile Generation | |
| JP2005039525A (en) | Standby application program and portable information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8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4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2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