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80623A - 금연을 돕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연을 돕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0623A
KR20030080623A KR1020020019345A KR20020019345A KR20030080623A KR 20030080623 A KR20030080623 A KR 20030080623A KR 1020020019345 A KR1020020019345 A KR 1020020019345A KR 20020019345 A KR20020019345 A KR 20020019345A KR 20030080623 A KR20030080623 A KR 20030080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smoking
smoking cessation
nicot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만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메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메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메딕스
Priority to KR1020020019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0623A/ko
Publication of KR20030080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62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8Plantaginaceae (Plantai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6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3Thymelaeaceae (Mezereum family), e.g. leatherwood or false ohel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 A61K9/0073Sprays or powders for inhalation; Aerolised or nebulised preparations generated by other means than thermal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연을 돕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왕질경이, 서향, 은행잎 및 라벤더(Lavender)를 용매추출하여 금연을 돕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연 휘산제 조성물{omitted}
담배를 끊기 위하여 지금까지 다양한 종류의 금연약 또는 보조제가 개발되어 왔으나, 이들은 인체에 해를 미치거나 또는 금연을 성공적으로 유도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보다 효율적인 금연 방법이나 금연 유도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몸과 마음에 담배가 미치는 해로움이 널리 알려진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담배를 피우고 있다. 그 이유로 흡연을 하는 사람들이 흔히 말하는 심리적인 이유는 담배를 피우면 긴장이 풀리고, 불안이나 분노, 욕구 불만이 어느 정도 완화된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이러한 효과들은 일시적이다. 최근의 정신 역동 이론에서는 심리적 고통과 그 고통을 마음에서 처리하는 자기 조절력이 부족한 것에 대한 반응이 물질 의존을 일으킨다고 보고 있으며 이는 그대로 흡연 하는 이유에도 적용이 되고 있다.
니코틴은 담배 속에 존재하는 중요한 정신 활성 물질로 아편과 같은 수준의 습관성 중독을 일으키기 때문에 의학적으로는 마약으로 분류되고 있다. 담배를 통해 흡입된 니코틴의 약 25%가 혈액 내로 흡수되고, 7∼9초면 뇌에 도달하며 신경계에 작용하여 교감 및 부교감 신경을 흥분시킨다. 니코틴의 효과는 담배를 피운 후 1분 이내에 그 절정에 달하는데, 이러한 효과를 다시 얻기 위해서는 혈중 니코틴 용량을 유지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이 뒤따르게 된다 그것이 바로 담배를 한 대 더 피워 무는 것이다. 담배의 이러한 중독성 물질 때문에 흡연이 몸에 좋지 않다는 것을 알면서도 많은 사람들이 쉽게 담배를 버리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는 중단하였다가도 다시 피우는 일을 반복한다. 매년 흡연자의 90 % 가 담배를 끊기를 회망하지만 실제로 금연을 시도하는 사람은 15%에 불과하며, 금연에 성공하는 사람은 이보다도 훨씬 더 적은 비율이다.
담배를 끊기 위한 보조제로서 니코틴 대용 요법은 니코틴 투여중지에 의해 금단증상이 생긴다는 것이다. 니코틴 금단 증상은 마지막 담배 이후 몇 시간 내 징후를 가진다. 수많은 실험상의 임상 연구들은 니코틴 대용 요법이 투여중지의 괴로움을 상당히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럼으로써 이전의 흡연자가 흡연에 의해 깊이 배어든 습관 요소들을 좀더 쉽게 이르도록 돕는다.
니코틴 대용 요법의 성공은 담배 끊기를 보조하는 약품들을 찾고자 하는 관심을 촉진해 왔다. 많은 경우 지금까지는 효능의 증거를 확보하는데 실패하여 왔다.
한편 클로니틴 -혈압 강하제, 편두통약- 과 같은 다른 것들은, 부작용의 측면에 의해 상쇄되어 왔다. 최근에는 일부 노르아드레날린에 의해 그 효과가 활성화되고, 도파민에 민감한 활동으로 불규칙한 항우울증제인 부프로피언 약품이 미연방과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담배끊기 위한 첫번째 니코틴 제거 의약품으로 허가되었다.
우울하지 않은 흡연자들 사이에서 임상 시도들은 확실한 효능이 있었다. 부프로피언과 니코틴 패치는 반응 강화에 중독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프로피언은 이것을 사용한 흡연자들이 위약을 받은 흡연자들보다 몸무게가 덜하여 몸무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왔다. 이 효과는 또한 니코틴 대용 요법의 몇몇 시도들에서도 관찰되어졌다.
그러나 대부분의 나라에서 부프로피언은 아직 이용할 수 없다. 왜냐하면 그것은 예상된 양상이 니코틴중독의 뇌 기전에 타격을 줄 수 있고, 니코틴 대용 요법의 치료상의 효과에 더해서 잠재성이 있기 때문이다.
상용화된 금연보조제의 유형으로서는 니코틴 츄잉껌, 니코틴을 함유시킨 피부접착제, 니코틴 감량 파이프, 시판 금연보조제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러한 제품 중에서는 극소수이긴 하지만 식도나 위장에 염증을 일으키는 부작용이 있거나, 드물게는 구역질이나 두통이 일어나기도 한다. 또 흡연자에게는 니코틴이 함유되어 흡연과는 습성이 현저히 달라 담배를 끊기가 수월치 않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97-9806호에는 연초에 잎을 초저온 냉동한 후 이를 100도의 끓은 물에 삶아 연초 섬유질의모든 조직을 파괴한 후 이를 고압력 압축기로 니코틴, 타르 등의 중독성과 특성을 완전 제거하게 한 연초 흡연물질 및 제조법이 공개되어 있으며, 동 공보 공개번호 제97-9805호에는 육모초에 담배 맛을 나게 하는 물질을 추출하고, 연초에서 니코틴을 추출한 다음 이들 혼합액을 제조하여 니코틴의 특수향을 첨가하여 입에 넣으면 담배 특유의 맛을 혀끝에 느끼게 하는향 니코틴백신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고,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289111호에는 탁주 또는 탁주와 물의 혼합물에 담배 잎을 첨지시켜 두거나 또는 담뱃잎 위에 상기 처리액을 분무한 다음 상기 처리액과 함께 담뱃잎증자한 후 건조한 니코틴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담뱃잎의 가공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274825호에는 산조인, 원지, 세신, 정향, 천궁, 오수유 및 백자인으로 구성되는 분말성분과 증숙하고 건조하여 절단한 애엽 및 상백피와, 천낭성, 강활 및 백개자 추출물의 혼합물로 구성된 한방재료에 물엿 및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제조된 금연겸용 끽연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기술되어 있으나, 상기 종래의 기술들은 흡연자가 금연을 결심하였다 하더라도 중독증세에 따라 금연성공율이 매우 미약하며, 금연에 성공하였다고 하더라도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재차 흡연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러한 담배를 끊기 위하여 지금까지 다양한 종류의 금연약 또는 보조제가 개발되어 왔으나, 이들은 인체에 해를 미치거나 또는 금연을 성공적으로 유도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보다 효율적인 금연 방법이나 금연 유도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왕질경이, 서향, 은행잎 및 라벤더(Lavender)를 용매추출하여 금연을 돕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구성]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왕질경이 추출물; 및
b)서향 추출물; 및
c) 은행잎 추출물; 및
d) 라벤더 추출물
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들은 각 100 중량부를 에탄올 농도 30 내지 100 중량%의 에탄올 수용액 500 내지 1000 중량부의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추출물이 바람직하다.
[작용]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 왕질경이 추출물, 서향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과 라벤더 추출물의 사용은 단독으로 사용할 때 나타나지 않던 금연 상승 효과에 기인한 것이다.
질경이의 한명은 차전초(車前草), 차과로(車過路), 불이 등이며 다년초로 잎은 난형 또는 타운형이다. 화관이 깔대기 모양인 흰 꽃이 이삭 모양으로 피는데 열매에는 방추형이고 씨앗이 5 ∼ 6개 들어있다. 이 씨앗을 한방에서는 차전자(車前子)라고 해서 이뇨제로 쓰이고 있다. 어린 잎은 독이 없어 옛날부터 식용과 동물의 사료로 이용되어 왔다 우리나라에는 갯질경이, 긴잎질경이, 왕질경이, 털질경이 등의 1속 10 여종이 분포되어 있다.
질경이 잎에는 플라보노이드, 타닌과 더불어 플란타긴이라는 배당체가 들어 있다 이 플라타긴은 호흡중추 신경에 작용해서 호흡기의 운동을 깊게 하거나 느리게 하는 작용이 있어 기침을 멎게 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체내 분비 신경을 자극, 흥분시켜 기관이나 기관지의 점액, 소화액 분비를 촉진시켜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다. 분비 신경이란 이른 바 미주(迷走) 신경인데, 이 신경 말단에 플란타긴이 작용해거 자극을 주어 창자의 근육이나 자궁 근육 등의 운동을 촉진시키게 된다. 그 외에도 뇨산 배설 촉진, 이뇨작용도 갖는다. 또 위장 관계의 궤양에 대해서도 유효 작용이 있어 정맥 악성 궤양, 각막 궤양, 하지 궤양, 접종염증, 입술암 등에도 이용되고, 상처 치료에도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왕질경이를 사용하였으며 잎과 뿌리를 채집하여 물로 씻고 그늘에서 말려 사용하였다.
서향나무는 상록관목으로 높이 1m 내외로 중국 원산 관상수이며, 원줄기는 곧고 가지가 많으며 튼튼한 갈색 섬유가 있다. 잎은 호생하고 타원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 끝이 날카롭거나 둔하며 길이 3∼8cm로 톱니가 없다. 꽃은 2가화로 홍자색, 담홍자색, 백색이며 두상으로 달리며 향기가 진하다. 꽃받침은 통같고 끝이 4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겉쪽은 홍자색이고 털이 없으며 안쪽은 백색이다. 수술은 2줄로 배열되어 있고 꽃받침통에 달린다. 한방에서 지혈, 지사, 백일해, 구토, 통경, 거담, 살균, 해독, 폐병, 타박상, 강심, 변독, 구창, 어혈, 소독, 종창, 감기 등의 약재로 쓰이고 있다.
은행나무는 낙엽교목으로 암수 딴그루이다. 은행꽃은 밤에 피기 때문에 보기 힘들며 가을이 되면 잎의 엽록소가 파괴되고 카로틴이 생성되어 잎이 노랗게 물든다. 은행나무 잎은 혈액 순환제로 유명하여 심장을 돕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며 폐를 튼튼하게 하고 설사를 멈추게 하는 등의 효능이 입증되어 가슴앓이, 가래 및 천식, 설사, 백태, 상피증 등을 치료하는 약으로 널리 써 왔다. 은행잎에 들어 있는 성분인 징코라이드 A,B,C와 진놀, 프라보놀 등은 말초혈관 장애, 노인성 치매 등을 치료, 예방하는 획기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현대의학에서 비상한 관심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라벤더(Lavender)의 원산지는 지중해연안이며 감미로운 향 가운데 야무진 향미를 풍겨 향의 여왕으로 불린다. 라벤더의 잎과 씨앗의 성분에는 정신안정, 위통완화, 소화촉진, 살균작용, 방부효과 등이 있다.
또한 마음을 진정시켜 평안하게 잠들게 하는 효과도 있다.
상기 조성물에 솔잎 추출물 및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금연 휘산제 조성물을 조제할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들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왕질경이 추출물 제조 1)
건조시킨 왕질경이 잎과 뿌리 분말 200 g을 1.2 ℓ 메탄올에 2 주간 담근다.
이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리플럭스(reflux) 시킨 후 냉각하여 용액을 거르고, 그 나머지는 메탄올 1 ℓ로 2 번 같은 방법으로 재추출하였다. 각 여과액을 500 mℓ회전 증발기에서 혼합하고 농축시켰다.
이 농축용액을 증류된 아세톤 2.5 리터에 더하여 형성된 침전물은 아세톤과 분리 정제하였다. 이 침전물을 3 시간 동안감압 증발한 후 건조기에 보관하였다.
수득율은 18 g이었다.
실시예 2
(서향잎 추출물 제조 2)
1 kg 분말 서향잎을 6 ℓ 메탄올에 2주간 담근다.
이 혼합물을 8 시간 동안 리플럭스 시킨 후 냉각하여 용액을 거르고, 그 나머지는 메탄을 1 ℓ로 2 번 같은 방법으로 재추출하였다. 각 여과액을 500 ㎖ 회전 증발기에서 혼합하고 농축시켰다.
이 농축용액을 증류된 2.5 리터 에틸에테르에 더하여 형성된 침전물은 에틸에테르와 분리 정제하였다. 이 침전물을 3 시간 동안 감압 증발한 후 건조하였다. 상기 에틸에테르에서 녹지 않은 물질은 3 ℓ물에 다시 녹이고, 그 침전물을 3 일후에 감압 증발한 후 건조하였다. 두 건조분말을 잘 섞어 건조기에 보관하였다. 수득율은 30 g이었다.
실시예 3
(은행잎 추출물 제조 3)
건조시킨 은행잎 분말 300 g을 2.2 ℓ메탄올에 2 주간 담근다.
이 혼합물을 4 시간 동안 리플럭스 시킨 후 냉각하여 용액을 암베르라이트(Amberlite) IRN 77 양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하여 걸르고, 그 나머지는 메탄올 1 ℓ로 2 번 같은 방법으로 재추출하였다. 각 여과액을 500 ml 회전 증발기에서 혼합하고 농축시켰다.
이 농축용액을 증류된 아세톤 2.5 리터에 더하여 형성된 침전물은 아세톤과 분리 정제하였다. 이 침전물을 3 시간동안감압 증발한 후 건조기에 보관하였다. 수득율은 12 g이었다.
실시예 4
(라벤더 추출물 제조 4)
건조시킨 라벤더 꽃과 잎 분말 300 g을 2.2 ℓ 메탄올에 2 주간 담근다.
이 혼합물을 4 시간 동안 리플럭스 시킨 후 냉각하여 용액을 암베르라이트(Amberlite) IRN 77 양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하여 걸르고, 그 나머지는 메탄을 1 ℓ로 2 번 같은 방법으로 재추출하였다. 각 여과액을 500 ml 에 회전 증발기에서 혼합하고 농축시켰다.
이 농축용액을 증류된 아세톤 2.5 리터에 더하여 형성된 침전물은 아세톤과
분리 정제하였다. 이 침전물을 3 시간동안감압 증발한 후 건조기에 보관하였다. 수득율은 12 g이었다.
실시예 5-7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휘산제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과 2개의 대조군의 조성물을 에탄올로 대치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금연 휘산제 조성물
[실험 결과]
* 금연휘산제의 효과 시험
금연을 시도하려는 하루에 한갑 이상의 담배를 피우는 흡연자 60명을 시험 대상으로 하여 무작위로 20명씩 나누어 표1의 본 발명의 금연 휘산제 및 2개의 대조군 실험용 휘산제를 아침, 점심, 저녁에 각 5 분간씩 코로 맡게 하였다.
8주후 금연 성공율을 체크한 결과, 본 발명의 금연 휘산제 조성물은 75%였고 대조군 실험용 휘산제 조성물은 각각 50%, 15%였다.
표 2. 시간의 경과에 따른 금연 욕구에 대한 시험
이상의 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금연휘산제는 니코틴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효과적으로 금연 성공률을 높일 수 있었으며, 금연에 성공한 시험자들은 금단 증상, 불안감, 감정의 변화 등이 없는 상태로 담배의 사용을 중단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왕질경이 추출물과 서향 추출물에 은행잎 추출물과 라벤더 추출물의 사용으로 금연 상승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6)

  1. 왕질경이 추출물, 서향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과 라벤더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금연 휘산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솔잎 추출물 및 인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선택되는 추출물을 더욱 포함하는 금연 휘산제 조성물.
  3. 제 1 항 및 제 2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왕질경이 추출물의 조성물 내 함유량이 0.1 내지 10 중량%인 금연 휘산제 조성물.
  4. 제 1 항 및 제 2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향 추출물의 조성물 내 함유량이 0.1 내지 10 중량%인 금연 휘산제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2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들은 100 중량부를 에탄올 농도 30 내지 100 중량%의 에탄올 수용액 500 내지 1000 중량부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금연 휘산제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2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연 조성물의 제형이 휘산 또는 스프레이인 금연 조성물.
KR1020020019345A 2002-04-09 2002-04-09 금연을 돕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 Ceased KR200300806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345A KR20030080623A (ko) 2002-04-09 2002-04-09 금연을 돕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345A KR20030080623A (ko) 2002-04-09 2002-04-09 금연을 돕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623A true KR20030080623A (ko) 2003-10-17

Family

ID=32378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345A Ceased KR20030080623A (ko) 2002-04-09 2002-04-09 금연을 돕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0623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3554A (ko) * 1987-05-01 1988-12-21 원본미기재 금연 관련 금단증상의 치료법 및 그치료법에 사용되는 제제
JPH11137232A (ja) * 1997-08-02 1999-05-25 Ever Bright Ind Corp ハーブ製品
WO1999027943A1 (fr) * 1997-12-03 1999-06-10 Societe De Conseils De Recherches Et D'applications Scientifiques (S.C.R.A.S.) Utilisation d'extraits de ginkgo biloba pour preparer un medicament
KR20010014750A (ko) * 1999-07-16 2001-02-26 정종문 니코틴 분해음료 및 제재
KR200231153Y1 (ko) * 2001-01-26 2001-07-03 김진경 금단현상 치료 보조용 건조 인삼 권련
KR200251152Y1 (ko) * 2001-07-11 2001-11-17 김진경 향신료와 니코틴과 카페인을 첨가한 금단현상 치료보조용 건조 은행잎 권련
KR20030010166A (ko) * 2001-07-25 2003-02-05 조주환 은행잎 성분을 이용한 권련용 여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3554A (ko) * 1987-05-01 1988-12-21 원본미기재 금연 관련 금단증상의 치료법 및 그치료법에 사용되는 제제
JPH11137232A (ja) * 1997-08-02 1999-05-25 Ever Bright Ind Corp ハーブ製品
WO1999027943A1 (fr) * 1997-12-03 1999-06-10 Societe De Conseils De Recherches Et D'applications Scientifiques (S.C.R.A.S.) Utilisation d'extraits de ginkgo biloba pour preparer un medicament
KR20010014750A (ko) * 1999-07-16 2001-02-26 정종문 니코틴 분해음료 및 제재
KR200231153Y1 (ko) * 2001-01-26 2001-07-03 김진경 금단현상 치료 보조용 건조 인삼 권련
KR200251152Y1 (ko) * 2001-07-11 2001-11-17 김진경 향신료와 니코틴과 카페인을 첨가한 금단현상 치료보조용 건조 은행잎 권련
KR20030010166A (ko) * 2001-07-25 2003-02-05 조주환 은행잎 성분을 이용한 권련용 여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06241C (zh) 一种戒烟保健吸品及其制作方法
Grieve A modern herbal, vol. II
KR100739872B1 (ko) 녹차를 주성분으로 한 담배대용품 및 그 제조방법
Bakhru Herbs that heal: natural remedies for good health
US20050241658A1 (en) Composition to reduce or quit smoking addiction
JP7303969B2 (ja) 電子タバコ用液体組成物及びそれを有する電子タバコ
CN1408291A (zh) 无尼古丁香烟及低尼古丁香烟
WO2017155515A1 (en) Herbal sonicated e-nano e-liquid mix for zero-nicotine e-cigarette for improving smoker's health
Christison On the natural history, action, and uses of Indian hemp
CN109645549A (zh) 一种戒烟用的香烟
US6776169B1 (en) Ginkgo biloba L. leaves cigarette
KR19990000236A (ko) 금연겸용 끽연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642786A (zh) 一种具有防疫和保健功效的中草药茶烟及其应用
JP2959712B2 (ja) 禁煙兼用喫煙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70957B1 (ko) 담배의 제조방법
Grover Man and plants against pain
US20070042054A1 (en) Functional aphrodisiac rolled herbal bidis and cigarettes
Vaishnavi et al. A review on anesthetic herbs
KR20030080623A (ko) 금연을 돕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030050729A (ko) 천연식물을 추가한 끽연물의 제조방법
KR100851254B1 (ko) 뽕잎을 주성분으로 한 담배 및 그 제조방법
WO2020094610A1 (en) New tobacco substitutes
KR100370390B1 (ko) 토근의 알칼로이드를 포함하는 금연 유도 조성물
Manolova Natural pharmacy
US8399031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storing pulmonary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4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1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9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408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12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9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408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