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85426A -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송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송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5426A
KR20030085426A KR1020020023846A KR20020023846A KR20030085426A KR 20030085426 A KR20030085426 A KR 20030085426A KR 1020020023846 A KR1020020023846 A KR 1020020023846A KR 20020023846 A KR20020023846 A KR 20020023846A KR 20030085426 A KR20030085426 A KR 20030085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data
packet
transmission
transmitting
pream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민
안성우
김종한
허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3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5426A/ko
Priority to US10/425,932 priority patent/US7352724B2/en
Publication of KR20030085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542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5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at the moment of starting communication in a multiple access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0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의 송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에서는 고속의 패킷 전송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패킷 전송 구간에서 측정되는 수신 전력의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패킷 데이터의 불연속 전송으로 인하여 수신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수신기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수신 전력 레벨의 변화를 보상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의 장치는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송신 장치로서, 상기 패킷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 채널로 송신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패킷 데이터 송신기와, 프리앰블 신호를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의 이득에 따라 송신하기 위한 프리앰블 신호 생성기와,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로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다가 송신을 재개할 시 상기 패킷 데이터 송신 시점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앞서 상기 프리앰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선택 신호 발생기와,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프리앰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패킷 데이터를 시분할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고속 패킷 데이터 송신 시스템에서 단속 송신이 이루어질 경우 사용된다.

Description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DATA IN A HIGH PACKET DATA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의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 통신시스템(이하 "고속 패킷 전송 이동 통신시스템"이라 칭함)은 데이터 채널만을 지원하는 형태와 데이터 채널뿐만 아니라 음성 채널을 동시에 지원하는 형태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데이터 채널만을 지원하는 형태의 고속 패킷 전송 이동 통신시스템은 "IMT-2000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1xEV/DO(Evolution/Data Only) 시스템"이라 불리우며, 데이터 채널뿐만 아니라 음성 채널을 동시에 지원하는 고속패킷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은 "IMT-2000 1xEV/DV(Evolution/Data and Voice) 시스템"이라 불리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고속 패킷 전송 이동 통신시스템은 고속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여러 명의 사용자가 같은 채널을 시분할(Time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TDM"이라 칭함)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의 고속 패킷 전송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은 단말기로부터 순방향 채널 상태의 정보를 피드백(feedback)하여 수신하고, 채널 상태가 좋은 경우, 전송 데이터율을 높이기 위하여 8-PSK(phase shift keying) 또는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또는 64-QAM과 같은 고차의 변조(high order modulation)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고속 패킷 전송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순방향 패킷 전송 채널은 여러 명의 사용자가 시분할 변조(TDM : Time Division Modulation) 방식으로 나누어 쓰는 채널이기 때문에 특정한 사용자에게 할당된 시간에 상기 사용자에게 기지국은 가용 전력을 모두 한 사용자한테 할당하여 전송하게 된다.
그런데, 패킷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단속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패킷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시간이 존재한다. 즉, 패킷 데이터는 연속적으로 전송되지 않고, 불연속적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패킷 채널의 사용자 수가 적은 경우 또는 패킷 데이터의 지연(delay) 때문에 패킷 채널의 불연속 전송이 반복되면, 단말기의 수신 신호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자동 이득 제어기(Automatic Gain Controller : 이하 "AGC"라 칭함)가 패킷 채널의 전력 변화율을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수신 신호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 못하게 되면 16-QAM과 같이고차의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 패킷 채널의 수신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이를 첨부된 도 1의 구성도와 도 2의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은 수신 신호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자동 이득 제어기의 일반적인 블록 구성도이며, 도 2는 패킷 채널이 불연속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 대하여 송신기의 송신 전력 변화와 수신기의 수신 신호 레벨변화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상기 도 1에서 S(t)는 안테나로 수신된 수신 신호이다. 상기 안테나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이득제어 증폭기(GCA : Gain Controlled Amplifier)(10)로 입력된다. 상기 이득제어 증폭기(10)는 궤환(feedback)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증폭기이다. 상기 이득제어 증폭기(10)의 출력은 2로 분기되어 그 중 하나는 누적기(20)로 입력된다. 상기 누적기(20)는 상기 이득제어 증폭기(10)의 출력을 일정 구간 누적하여 가산기(30)로 출력한다. 그러면 가산기(30)는 후 목표로 하는 기준 신호 전압(AIM_AMP)에 음(-)의 값을 가지는 신호와 합하여 출력한다. 즉, 가산기(30)의 출력과 기준 신호 전압(AIM_AMP)과의 차를 구한다. 그런 후 일정한 대역폭(bandwidth)을 가지는 궤환 루프 필터(Feedback loop filter)(40)로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궤환 루프 필터(40)에 의해 필터링 된 차 신호는 이득 제어 증폭기(10)로 입력되어 입력 신호를 증폭하게 된다.
그러면 도 2를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fp벨 변화를 살펴본다. 상기 도 2에서 Ior은 기지국 송신 전력을 의미하며,는 AGC에 의해 제어된 수신 신호의 레벨을 나타낸 것이다.는 상기의변화에 따라 수신단에서 측정되는 기지국의 송신 전력를 보여준다. 상기 기지국의 송신 전력(Ior)을 살펴보면, 패킷(Packet) 전송 구간에서의 송신 전력은 Pmax인데 반해 패킷이 전송되지 않는 구간에서는 송신 전력이 Pnormal만큼만 할당되고 있다. 이때 수신기의 AGC에 의해 제어되는 수신 신호 레벨을 살펴보면 패킷 채널의 전송 구간의 시작 지점(A) 또는 전송이 중단된 시점(B)에서 송신 신호의 급격한 변화로 AGC에 의한 수신 신호 전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의 패킷 전송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전송구간에서 측정되는 수신 전력의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속 패킷 전송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의 불연속 전송으로 인하여 수신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속 패킷 전송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수신 신호 레벨의 변화를 보상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속 패킷 전송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수신기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수신 전력 레벨의 변화를 보상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송신 장치로서, 상기 패킷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 채널로 송신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패킷 데이터 송신기와, 프리앰블 신호를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의 이득에 따라 송신하기 위한 프리앰블 신호 생성기와,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로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다가 송신을 재개할 시 상기 패킷 데이터 송신 시점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앞서 상기 프리앰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선택 신호 발생기와, 상기 선택 신호에 수신 시 상기 프리앰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패킷 데이터를 시분할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패킷 데이터 송신이 요구될 시 패킷 인에이블 신호를 패킷 송신 시점보다 1슬롯 이전에 발생하여 상기 선택 신호 발생기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 신호 발생기는 ;
1슬롯의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실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기 1슬롯 전에 생성되는 패킷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패킷 인에이블 신호로부터 1슬롯동안 전송할 수 있는 칩 수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프리앰블의 칩만큼 뺀 값의 제1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패킷 인에이블 신호를 1슬롯 지연시켜 반전한 제2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신호와 제2신호가 모두 하이로 출력되는 구간에서 프리앰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들들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송신 방법으로서,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로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다가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의 송신을 재개할 시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의 송신 시점 이전에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앞서 상기 프리앰블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앰블 전송 이후에 상기 패킷 채널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킷 채널 데이터가 프리앰블 전송 후 소정 슬롯 이상동안 연속하여 송신될 경우 상기 패킷 채널 데이터 사이에 상기 프리앰블 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도 1은 수신 신호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자동 이득 제어기의 일반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패킷 채널이 불연속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 대하여 송신기의 송신 전력 변화와 수신기의 수신 신호 레벨변화를 도시한 타이밍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에서 순방향 공통 패킷 채널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한 프리앰블 발생 장치 및 패킷 채널 발생기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도 3의 선택 신호(S1)를 발생하는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선택 신호 발생기에서 선택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각 신호들의 타이밍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패킷 데이터의 전에 프리앰블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의 타이밍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순방향 공통 패킷 채널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 장치의 동작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로써, 프리앰블 전송 구간의 파워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에서 순방향 공통 패킷 채널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한 프리앰블 발생 장치 및 패킷 채널 발생기의 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메시지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1x CDMA 대역폭을 사용하여 음성 서비스 및 데이터 서비스를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고속 패킷 전송 이동 통신시스템의 순방향 링크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1x 대역폭은 기존의 IS-95 계열의 북미식 동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1.25MHz의 주파수 대역폭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에서 순방향 공통 패킷 채널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한 프리앰블 발생 장치 및 패킷 채널 발생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프리앰블 발생 장치 및 패킷 채널 발생기의 블록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프리앰블은 공통 패킷 채널이 아이들(idle)인 상태에서 액티브(active)상태로 바뀔 때 수신기의 자동이득제어기(AGC)가 패킷 채널의 전력 변화를 보상할 수 있도록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공통 패킷 채널의 아이들(idle) 상태는 패킷 채널 상에 패킷 전송이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액티브(active) 상태는 공통 패킷 채널 상에 패킷이 전송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프리앰블 신호는 모두 '0'인 심볼로 구성되며, 신호점 사상기(Signal Point Mapper)(100)로 입력된다. 상기 신호점 사상기(100)는 입력되는 '0'의 심볼들을 '+1'로 변환한 후, 패킷 데이터 채널에 할당된 채널 이득기(Channel Gain)(110)에서 사용된 채널 이득을 동일하게 적용하여 출력된다. 이와 같이 채널 이득을 적용한 프리앰블 신호는 확산기(120)에서 패킷 채널에 할당할 왈시(Walsh) 중의 하나로 확산되어서 후술될 패킷 데이터 채널(packet data channel)과 함께 멀티플렉서(130)로 입력된다.
패킷 채널(packet channel) 발생기(140)는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패킷 데이터(Packet Data)는 채널 인코더(channel encoder)(141)로 입력되어 채널 코딩을 수행한다. 상기 채널 코딩된 패킷 데이터는 블록 인터리버(Block Interleaver)(142)에서 인터리빙된 후 변조기(143)로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변조기(143)는 정해진 변조 방식에 따라 I, Q 심볼 매핑을 수행한다. 변조기(143)의 출력은 심볼 역다중화기(Symbol Demux)(144)에서 가용 월시 개수(available number of Walsh)에 따라 N개의 채널로 분리된 후 채널 이득기(145)로 입력되어 채널 이득이 곱해진다. 이때의 채널이득은 프리앰블에 적용된 채널 이득으로써, 각각의 패킷 채널에는 1/N으로 나누어져 적용된다. 이와 같이 채널 이득이 적용된 패킷 데이터 채널은 월시 확산기(146)로 입력되어 해당 월시 코드를 곱하여 직교확산하고 월시 칩 레벨 가산기(147)에서 가산되어 패킷 채널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발생된 프리앰블 신호와 패킷 데이터 채널은 멀티플렉서(130)로 입력된다. 상기 멀티플렉서(130)는 후술될 선택신호 발생기(도 3에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출력되는 선택 신호(S1)에 따라 프리앰블과 패킷 데이터 채널(Packet Data Channel)을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도 3의 선택 신호(S1)를 발생하는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선택 신호(S1)의 발생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선택 신호 발생기(200)는 패킷 인에이블(Packet Enable) 신호와 프리앰블(Preamble)을 전송할 칩(Chip)수를 제어부(도 4에 도시하지 않음)로부터수신하며, 슬롯 경계(Slot boundary) 참조 신호인 T125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1 slot은 1.25[ms]로 정의한다. 상기 제어부는 전송해야할 패킷 데이터가 발생하면 실제 패킷이 전송되기 1 슬롯 전에 패킷 인에이블(packet_enable) 신호를 '0'에서 '1'로 설정(setting)하고, 상기 패킷(packet) 전송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다시 '0'으로 설정(setting)한다. 선택 신호 발생기(200)에서 선택 신호(S1)를 생성하는 과정은 하기와 같이 이루어진다. 프리앰블 신호 발생기는 패킷 인에이블(packet_enable) 신호가 '1'이 되면, M 칩(chip) 후에 상기 프리앰블을 전송할 칩수 N 칩(chip) 구간동안 '1'이 되는 선택 신호(S1)를 출력한다. 여기서 M은 1 slot(1.25ms) 동안 포함된 칩(chip) 수에서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한 N 칩(chip)을 뺀 값이다.
그러면 이러한 방식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를 도 5의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선택 신호 발생기에서 선택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각 신호들의 타이밍도이다.
T125는 1.25[ms]의 시간마다 참조 신호를 발생한다. 즉, 도 5에서 T00, T02, T03, T04, T05, T06은 참조신호의 발생 간격이 된다. 이때 패킷 전송이 T02의 시점부터 전송된다면 패킷 인에이블 신호(packet_enable)는 패킷 전송의 1 슬롯 전인 T00의 시점에서 '0'에서 '1'로 설정되고, 패킷의 전송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0'로 설정된다. 상기 선택 신호 발생기(200)는 상기와 같이 패킷 인에이블 신호(packet_enable)를 수신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M 칩만큼 지연시킨 후 T01에서 프리앰블을 전송할 N 칩을 T02의 시점까지 '1'의 신호를 출력하며, T02의 시점에서T04의 시점까지 '0'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선택 신호 발생기(200)로부터 선택 신호(S1)가 출력되어 상기 도 3의 멀티플렉서(300)로 입력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패킷 데이터의 전에 프리앰블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의 타이밍도이다. 이하에서 상기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패킷 데이터의 송신 전에 프리앰블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의 타이밍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패킷 채널은 1.25[ms] 슬롯 경계에 동기를 맞추어 전송된다. 또한 프리앰블은 패킷 데이터의 전송 시작점(A)보다 N 칩(chip) 만큼 앞서 전송을 시작해서 패킷 데이터가 전송되기 전(B)까지 전송된다. 즉, 상기 도 4 및 도 5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패킷 데이터의 실제 전송시각보다 N 칩만큼 앞서 전송을 시작한다. 이러한 타이밍은 상술한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선택 신호(S1)가 출력되면, 상기 멀티플렉서(130)는 패킷 데이터 채널의 전송보다 N 칩만큼 앞선 시점에서 프리앰블 신호를 송신한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프리앰블에 할당되는 전력은 패킷에 할당되는 전력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그리고, 패킷이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지점(C)에서는 슬롯 경계지점에서 전력 변화가 없기 때문에 프리앰블을 전송하지 않는다. 이렇게 패킷 전송에 앞서 프리앰블을 전송함으로써 프리앰블 전송 시점에서 AGC가 수신전력을 따라갈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통해 패킷 전송 구간(A-B)에서 측정되는 기지국 송신전력()은 일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순방향 공통 패킷 채널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에서 순방향 공통 패킷 채널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기지국의 제어부는 400단계에서 새롭게 전송할 패킷이 발생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400단계의 검사 결과 새롭게 전송할 패킷이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402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패킷을 전송중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402단계의 검사결과 전송할 패킷이 없는 경우 403단계로 진행하여 패킷 인에이블 신호를 '0'으로 설정한다. 그런 후 기지국의 제어부는 다시 400단계로 진행하여 전송할 패킷이 있는지 검사를 한다,
이와 같은 검사를 수행하는 중에 만일 상기 400단계에서 전송할 패킷이 발생하면, 404단계로 진행하여 이전 패킷(packet) 시작 시점 및 전송 기간을 보관한 후, 406단계로 진행하여 새로운 패킷의 전송 시작 시점 및 전송 기간을 계산한다. 그런 후 기지국은 408단계로 진행하여 새로운 패킷의 시작 시점이 이전 패킷의 전송 구간과 겹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408단계의 검사결과 새로운 패킷의 시작 시점이 이전 패킷의 전송 구간과 겹치지 않는 경우에는 410단계로 진행하고, 겹치는 경우 400단계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이전 패킷 데이터의 전송 구간과 새로운 패킷 데이터의 전송 구간을 비교하는 이유는 하기와 같다. 기지국은 현재 패킷 데이터를 전송중이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중 하나이다. 따라서 만일 새로운 패킷 데이터의 전송이 이전 패킷 데이터와 그 구간이 겹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전에 전송되던 패킷 데이터가 (A) 시점부터 (C) 시점까지 전송되는 중에 다음 전송할 패킷 데이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은 (C) 시점부터 (B) 시점까지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A) 시점 이전과 같이 프리엠블 신호를 전송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다시 400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408단계의 검사결과 두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점이 겹치지 않는 경우 410단계로 진행하여 패킷 인에이블(packet_enable)과 N을 패킷 시작 시점보다 1 슬롯 전에 설정(setting)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로써, 프리앰블 전송 구간의 파워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그러면 도 8을 제 1 실시 예인 상기 도 6과 비교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도 6에서는 프리엠블의 파워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따라서 수신기 측에서는 상기 급격하게 변화하는 파워를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도 8의 제 2 실시 예에서는 프리앰블의 전력이 Pnormal에서 Pmax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리앰블 전력을 Pnormal에서 Pmax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면 패킷 데이터가 단속적으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제 1 실시 예의 경우보다 기존 음성 채널 사용자에게 미치는 간섭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에서 순방향 공통 패킷 채널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한 프리앰블 발생 장치 및 패킷 채널 발생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그러면 상기 도 9의 구성을 전술한 도 3과 대비하여 살펴본다.
상기 도 9는 전술한 도 3과 비교하여 볼 때, 프리앰블의 채널 이득기(channel gain)와 연결되는 채널 이득 제어기(channel gain controller)(1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채널 이득 제어기(150)는 칩(chip) 단위로 이득(gain)을 바꾸기 위하여 월시 확산된 후에 채널 이득(channel gain)을 적용하도록 되어 있다. 채널 이득 제어기(150)는 패킷 채널 이득(channel gain)과 프리앰블 전송 구간에 해당하는 칩(chip) 수(N)를 수신하고, 선택 신호(S1)를 수신하여 프리앰블 전력이 상기 도 8과 같이 점진적으로 변하도록 제어한다. 즉, 채널 이득 제어기(150)는 입력된 채널 이득을 프리앰블 전송 구간에 해당하는 칩(chip) 수(N)로 나누어서 채널 이득 증분(channel gain/N)을 계산하고, 선택 신호가 '1'이 되는 동안 채널 이득 증분만큼씩 채널 이득을 증가시키면서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발명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발명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속 패킷 전송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공통 패킷 채널 프리앰블(preamble)을 전송하므로 패킷 채널이 불연속적으로 전송될 때, 발생하는 수신 신호 레벨의 왜곡으로 인한 패킷 채널의 수신 품질 저하를 막을 수 있는이점이 있다.

Claims (8)

  1.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 채널로 송신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패킷 데이터 송신기와,
    프리앰블 신호를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의 이득에 따라 송신하기 위한 프리앰블 신호 생성기와,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지 않다가 송신할 개시 할 때 상기 패킷 데이터 송신 시점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앞서 상기 프리앰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선택 신호 발생기와,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프리앰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패킷 데이터를 시분할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패킷 데이터 송신이 요구될 시 패킷 인에이블 신호를 패킷 송신 시점보다 1슬롯 이전에 발생하여 상기 선택 신호 발생기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프리앰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수신기의 자동이득제어기가 패킷 채널의 전력 변화율을 따라가는 동안의 시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신호 발생기는,
    1슬롯의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실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기 1슬롯 전에 생성되는 패킷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패킷 인에이블 신호로부터 1슬롯동안 전송할 수 있는 칩 수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프리앰블의 칩수를 뺀 값만큼 지연시킨 후 상기 선택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신호 생성기에 프리앰블 신호를 상기 프리앰블의 칩수에 따라 최대 전력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이득을 제어하는 이득 제어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6.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송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로 송신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이전 패킷 데이터의 전송 시점 및 전송 시간을 보관하고, 새로운 패킷 전송 시점 및 전송 시간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패킷 전송의 시작 시점이 상기 이전 패킷 데이터의 전송 종료 시점과 중복되지 경우 패킷 데이터 송신 시점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앞서 상기 프리앰블 신호를 송신한 후 상기 패킷 채널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패킷 전송의 시작 시점이 상기 이전 패킷 데이터의 전송 종료 시점과 중복되는 상기 프리앰블 신호를 전송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신호의 전력은,
    프리앰블의 전송 구간과 칩수에 따라 최대 전력까지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20023846A 2002-04-30 2002-04-30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송신 장치 및 방법 Ceased KR2003008542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846A KR20030085426A (ko) 2002-04-30 2002-04-30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송신 장치 및 방법
US10/425,932 US7352724B2 (en) 2002-04-30 2003-04-30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data in a high-speed packet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846A KR20030085426A (ko) 2002-04-30 2002-04-30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송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426A true KR20030085426A (ko) 2003-11-05

Family

ID=29244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846A Ceased KR20030085426A (ko) 2002-04-30 2002-04-30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송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52724B2 (ko)
KR (1) KR200300854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098B1 (ko) * 2008-06-05 2010-02-18 한국해양연구원 프리앰블 이득을 갖는 신호 프레임 생성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724B1 (ko) * 2007-05-28 2008-09-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체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속도가 변하는 신호 송신 및수신 장치 및 방법
EP2136522A1 (en) * 2008-06-20 2009-12-23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nd device for data processing,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such device, transmitter and receiver
KR20120000192A (ko) * 2010-06-25 2012-01-0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누화잡음의 영향을 보상하여 병렬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827A (en) * 1987-06-30 1989-01-11 Nec Corp Radio transmission base station
KR950003972A (ko) * 1993-07-23 1995-02-17 이헌조 에이브이(av) 시스템의 연속 패킽 전송방법
US5453987A (en) * 1994-02-15 1995-09-26 The Mitre Corporation Random access protocol for multi-media networks
KR20010028874A (ko) * 1999-09-27 2001-04-06 서평원 무선패킷 데이터망에서의 전력제어 신호를 이용한 패킷 데이터 전송 방법
US20020013135A1 (en) * 2000-07-31 2002-01-31 Tantivy Communications, Inc. Time-slotted data packets with a preamble
US20040066772A1 (en) * 1998-03-23 2004-04-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verse link common channel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US7065298B1 (en) * 1998-11-17 2006-06-20 Intel Corporation Code-based optical networks, methods, and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424A (ko) * 1998-08-17 2000-03-15 윤종용 접속채널의 프리앰블 송신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827A (en) * 1987-06-30 1989-01-11 Nec Corp Radio transmission base station
KR950003972A (ko) * 1993-07-23 1995-02-17 이헌조 에이브이(av) 시스템의 연속 패킽 전송방법
US5453987A (en) * 1994-02-15 1995-09-26 The Mitre Corporation Random access protocol for multi-media networks
US20040066772A1 (en) * 1998-03-23 2004-04-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verse link common channel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US7065298B1 (en) * 1998-11-17 2006-06-20 Intel Corporation Code-based optical networks, methods, and apparatus
KR20010028874A (ko) * 1999-09-27 2001-04-06 서평원 무선패킷 데이터망에서의 전력제어 신호를 이용한 패킷 데이터 전송 방법
US20020013135A1 (en) * 2000-07-31 2002-01-31 Tantivy Communications, Inc. Time-slotted data packets with a preamb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098B1 (ko) * 2008-06-05 2010-02-18 한국해양연구원 프리앰블 이득을 갖는 신호 프레임 생성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202502A1 (en) 2003-10-30
US7352724B2 (en) 2008-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3695B1 (en) Mobile user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3078330B2 (ja) Cdma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遠隔送信機電力制御
FI106666B (fi) Tehonsäätömenetelmä epäjatkuvaan lähetykseen
KR100339034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제어유지상태에서역방향폐루프전력제어장치및방법
EP1392003A2 (en) Method for transmitting preamble of access channe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78292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peak to average power ratio
EP1467589A2 (en) Mobile communication controlling apparatus and inter-frequency handover control method
US6873626B2 (en)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radio network controller preferably used for the system and method
US7366536B2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and radio control apparatus in mobile packet communication system
KR101493794B1 (ko) 무선 주파수 전력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288381B1 (ko)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력할당 최적화 방법
KR20030085426A (ko)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송신 장치 및 방법
JP2001308723A (ja) 通信制御方法、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00278207A (ja)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JPH11154927A (ja) スペクトル拡散通信装置
JP5051269B2 (ja) 移動通信端末、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通信方法
KR20020031538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월시 지시 비트와 역방향 활성도 지시비트 전송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4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4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04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12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9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