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924Y1 - Device for support of basin on bath - Google Patents
Device for support of basin on bat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2924Y1 KR200302924Y1 KR20-2002-0031014U KR20020031014U KR200302924Y1 KR 200302924 Y1 KR200302924 Y1 KR 200302924Y1 KR 20020031014 U KR20020031014 U KR 20020031014U KR 200302924 Y1 KR200302924 Y1 KR 20030292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in
- pedestal
- bath
- bathtub
- tub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10—Detachable frames with hand basins mountable on ba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욕실에 비치되어 사용되는 욕조(10)의 개구부(11)에 대야(20)를 받쳐 사용하기 위한 기구로서, 심부에 대야 수납공(11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욕조(10)의 가장자리부(12) 상면에 안착되도록 형성된 판상의 몸체부(110)와; 상기 대야 수납공(111)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횡단면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 깔대기 형상의 대야 수납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용 대야 받침대(100)를 제시함으로써, 욕조가 설치된 욕실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사용자가 세족 만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chanism for supporting the basin 20 in the opening 11 of the tub 10 to be used in the bathroom, the basin receiving hole 111 is formed in the core, and the tub 10 A plate-shaped body portion 110 formed to be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dge portion 12; A funnel-shaped basin accommodating part 1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asin accommodating hole 111 and formed so that the cross section becomes narrower gradually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By presenting the basin pedestal 100 for the bat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re efficient use of the space of the bathroom, the bathtub is install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o this even if you want to be a tribal.
Description
본 고안은 욕조(浴槽)용 대야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욕실에 비치되어 사용되는 욕조의 개구부에 대야를 받쳐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좁은 욕실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in pedestal for a bath tub,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chanism for allowing a narrow bathroom space to be used more efficiently by supporting a basin in an opening of a tub used in a bathroom. .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욕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tub.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욕조(10)는 내부에 목욕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사용자로 하여금 그 목욕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상부에 개구부(開口部)(11)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출입시 또는 목욕시 손잡이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개구부(11)의 둘레를 따라 가장자리부(12)가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As shown, the conventional general bath 10 has a space for a bath therein, an opening 11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so that the user can enter and exit the bath space, the user The edge portion 12 is general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11 to be used as a handle when entering or leaving the bath.
이러한 욕조(10)는 좌변기 등과 함께 가정이나 호텔 기타 숙박시설에 부설되는 욕실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욕실의 규모에 따라 그 형상이나 크기가 달라지게 되는데, 호텔과 같이 욕실의 규모가 큰 경우에는 임의의 형상이나 크기를 취하더라도 관계없을 것이나, 일반 가정과 같이 욕실의 규모가 작은 경우에는 공간의 경제적인 활용을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형(方形) 구조를 취하고 욕실의 구석 벽면에 맞대어져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bathtub 10 is installed in a bathroom attached to a home or hotel or other accommodation with a toilet seat, and its shape or siz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athroom. The shape or size may be used. However, in a case where the bathroom is small, such as a general home, the rectangular structure as shown in FIG. 1 is installed to face the corner wall of the bathroom for economical use of space. Is common.
즉, 욕조(10)는 욕실 내에 설치되는 구조물 중 점유공간이 가장 큰 것이므로 그 설치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고려가 요구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일반 가정용 욕실과 같이 협소한 곳에서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상기 욕조(10)가 점유하는 공간의 활용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bathtub 10 is the largest occupied space among the structures installed in the bathroom, so the above consideration is required in the installation thereof.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the space in a narrow place such as a normal home bathroom, It can be said that utilization of the space occupied by the bathtub 10 is necessary.
그런데, 종래에 있어서는 욕조(10)가 점유하는 공간에 관한 별도의 고려없이 욕실을 설계 및 사용해 오고 있었는 바,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By the way,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bathroom has been designed and used without any consideration regarding the space occupied by the bathtub 10, it has been pointed out as a problem.
한편, 일반적으로 가정용 욕실은 욕조(10), 좌변기, 세면대 기타 필요한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받침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여기서 세면대는 세면, 세수, 면도 등의 용도에 적합하도록 사용자의 허리 높이 정도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On the other hand, the home bathroom generally comprises a bath (10), toilet seats, sinks and other pedestals for storing the necessary items, where the sink is about the height of the user's waist to fit the purpose of washing, washing, shaving, etc. It is common to install.
따라서, 상기와 같은 기본적 구성을 갖춘 욕실에 있어서, 몸을 씻을 수 있도록 형성된 공간은 세면대와 욕조 뿐이므로, 사용자가 발 만을 씻고자 하는 경우에는, 세면대 위에 발을 올려놓고 씻거나, 욕조에 들어가 샤워기를 틀고 씻거나, 욕실 바닥에 대야를 놓고 씻는 방법 중의 하나를 선택해야만 한다.Therefore, in the bathroom having the basic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pace formed to wash the body is only the sink and the bathtub, if the user wants to wash only the feet, put your feet on the wash basin, or enter the bathtub shower You have to choose one of the following ways: to wash and wash or to wash the basin on the bathroom floor.
첫째 방법은 발을 허리 높이까지 들어올린 자세에서 씻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따르고, 둘째 방법은 샤워기에 의해 토출되는 물이 신체의 원하지 않는 부위에까지 튄다는 불편함이 따르며, 셋째 방법은 세족(洗足)을 위해 허리를 과도하게 굽혀야 한다는 불편함이 따른다.The first method is inconvenient to wash the feet in a posture raised to the waist height, the second method is the inconvenience that the water discharged by the shower to the undesired parts of the body, the third method is the inconvenience It is inconvenient to bend the waist excessively.
즉, 종래의 욕실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세족 만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관한 고려가 전혀 없는 설계 구조를 취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bathroom, it can be said that it took the design structure which has no consideration about the case where a user wants only three generations.
본 고안은 욕조가 설치된 욕실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사용자가 세족 만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욕조용 대야받침대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sent a bath basin for a bath that allows the user to use the space of a bathroom in which a bathtub is installed more efficientl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o this even if the user wants to be a tribal.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욕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tub
도 2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2 to 6 show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대야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basin pedestal
도 3은 제1실시예의 횡단면도3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제2실시예의 횡단면도4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도 5 및 도 6은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second embodimen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욕조 11 : 개구부(開口部)10: bathtub 11: opening part
12 : 가장자리부 20 : 대야12: edge 20: basin
21 : 손잡이부 22 : 바닥부21: handle portion 22: bottom portion
100 : 욕조용 대야 받침대 110 : 몸체부100: tub stand 110: body portion
111 : 대야 수납공 120 : 대야 수납부111: basin storage hole 120: basin storage
121 : 대야 안착수단 121a : 거친 면구조121: basin mounting means 121a: rough surface structure
121b : 계단형 구조 130 : 받침대 안착수단121b: staircase structure 130: pedestal mounting means
131 : 받침턱 132 : 지지면131: base jaw 132: support surface
133 : 흡착판133: suction plate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욕실에 비치되어 사용되는 욕조(10)의 개구부(11)에 대야(20)를 받쳐 사용하기 위한 기구로서, 심부에 대야 수납공(11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욕조(10)의 가장자리부(12) 상면에 안착되도록 형성된 판상의 몸체부(110)와; 상기 대야 수납공(111)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횡단면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 깔대기 형상의 대야 수납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용 대야 받침대(100)를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chanism for supporting the basin 20 to the opening 11 of the tub 10 to be used in the bathroom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basin receiving hole 111 in the core In addition, the plate-shaped body portion 110 is formed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portion 12 of the bathtub (10); A funnel-shaped basin accommodating part 1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asin accommodating hole 111 and formed so that the cross section becomes narrower gradually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t proposes a basin pedestal 100 for the bat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또한, 상기 대야 수납부(120)의 내주면에는 대야(20)를 안착시키기 위한 대야 안착수단(121)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in accommodating part 120 is preferably further provided with a basin seating means 121 for seating the basin 20.
여기서, 상기 대야 안착수단(121)은 대야(20)와의 사이에 표면 마찰이 증가되도록 형성된 거친 면구조(121a)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종단면이 계단형상을 형성하는 계단형 구조(121b)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Here, the basin seating means 121 may be implemented by a coarse surface structure 121a formed to increase the surface friction between the basin 20 and the stepped structure 121b having a longitudinal section forming a step shape. It may be implemented by.
한편, 상기 욕조(10)의 가장자리부(12)와 맞대어지는 상기 몸체부(110)의 단부에는 상기 받침대(100)를 상기 욕조(10)에 안착시키기 위한 받침대 안착수단(130)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end of the body portion 110 which is opposed to the edge portion 12 of the tub 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pedestal seating means 130 for seating the pedestal 100 to the tub 10 It is preferable.
여기서, 상기 받침대 안착수단(130)은 상기 몸체부(110)의 단부에서 상기 욕조(10)의 가장자리부(12)의 외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하측으로 굴곡형성된 받침턱(131)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욕조(10)가 설치된 욕실의 벽면 형상과 일치되도록 상기 몸체부(110)의 단부에 형성된 지지면(132)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욕조(10)의 가장자리부와 맞대어지는 상기 몸체부(110)의 단부 내측면에 장착된 흡착판(133)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Here, the pedestal seating means 130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edge portion 12 of the tub 10 at the end of the body portion 110, and may be implemented by the support step 131 bent downwards. Alternatively, the tub 10 may be implemented by a support surface 132 formed at an end of the body portion 110 so as to match the wall shape of the bathroom in which the tub 10 is installed. It may be implemented by the suction plate 133 mount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end of the body portion 110.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대야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한 제1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4는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한 제2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5 및 도 6은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2 to 6 show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of the basin pedestal,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2 AA, Figure 4 5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욕조용 대야 받침대(100)는 기본적으로, 욕실에 비치되어 사용되는 욕조(10)의 개구부(11)에 대야(20)를 받쳐 사용하기 위한 기구로서, 심부에 대야 수납공(11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욕조(10)의 가장자리부(12) 상면에 안착되도록 형성된 판상(板狀)의 몸체부(110)와; 상기 대야 수납공(111)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횡단면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 깔대기 형상의 대야 수납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basin pedestal 100 for a ba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 mechanism for supporting the basin 20 in an opening 11 of a tub 10 used in a bathroom. And the basin receiving hole 111 is formed in the core portion, and the plate-shaped body portion 110 formed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portion 12 of the bathtub 10; A funnel-shaped basin accommodating part 1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asin accommodating hole 111 and formed so that the cross section becomes narrower gradually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즉, 본 고안에 의한 대야 받침대(100)는 심부에 대야 수납부(120)가 형성된 몸체부(110)를 욕조(10)의 가장자리부(12)에 안착시키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세족(洗足) 만을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구조의 받침대(100)를 욕조(10)에 지지시키고, 대야(20)를 대야 수납공(111)을 통해 대야 수납부(120)에 지지시킨 후, 세족을 행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basin pedest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for seating the body portion 110 having the basin housing 120 formed at the core portion to the edge portion 12 of the bathtub 10, Iii) If you want to do only, after supporting the pedestal 100 of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o the tub 10, the basin 20 is supported by the basin storage unit 120 through the basin storage hole 111, then Can be done.
욕조(10)는 그 내부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이 편하도록 그 격벽의 높이가무릎 높이를 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바, 그 격벽의 상단인 가장자리부(12)에 대야 받침대(100)의 몸체부(110)를 지지시키고, 대야 수납부(120)에 대야(20)를 안착시킬 경우, 대야(20)는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무릎 높이 정도의 높이에 위치하게 되어, 세족을 편의롭게 할 수 있는 것이다.The tub 10 generally has a height of the bulkhead not exceeding the knee heigh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enter and exit the inner space. The body portion of the basin pedestal 100 is disposed at the edge 12 of the bulkhead. When the support 110 and the basin 20 is seated on the basin storage unit 120, the basin 20 is naturally located at a height of about the height of the knee of the user, thereby facilitating the three legs.
대야(20)가 수납되는 대야 수납부(12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몸체부(110)의 대야 수납공(111)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횡단면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 깔대기 형상의 구조를 취하므로, 대야(20)의 형상이나 크기가 다소 일정치 않더라도 받침대(10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을 것이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야 수납부(120)의 내주면에 대야(20)를 안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대야 안착수단(121)이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세족을 할 수 있도록 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The basin accommodating part 120 in which the basin 20 is accommodated basically extends downward from the basin accommodating hole 111 of the body part 110, as shown in FIGS. 3 to 6. Since the cross section becomes increasingly narrower in shape, the shape of the funnel is formed, so even if the shape or size of the basin 20 is not somewhat constant, it may be stably mounted on the pedestal 100, but the basin accommodating part 120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referable to take a structure that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parate basin seating means 121 for seating the basin 20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 terms of allowing the three legs in a more stable state.
이하, 대야 안착수단(121)의 실시예로서 2가지를 제시한다.Hereinafter, two examples will be presented as an example of the basin seating means 121.
첫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야 안착수단(121)은 대야(20)와의 사이에 표면 마찰이 증가되도록 형성된 거친 면구조(121a)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ure 3, the basin mounting means 121 may be implemented by the rough surface structure (121a) formed to increase the surface friction between the basin (20).
즉, 대야 수납부(120)의 내주면이 거친 표면 구조가 되도록 면가공을 함으로써, 이와 접촉하는 대야(20)의 외면과의 마찰을 증대시켜, 세족 도중 대야(20)가 받침대(100)로부터 미끄러지는 등의 상황을 방지하고자 한 것이다.That is, by performing the surface processing so tha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sin housing 120 is a rough surface structure, the friction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asin 20 in contact with it increases, so that the basin 20 slides from the pedestal 100 during the triangulation. Is intended to prevent such situations.
둘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야 안착수단(121)은 종단면이 계단형상을 형성하는 계단형 구조(121b)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Second, as shown in Figures 4 to 6, the basin seating means 121 may be implemented by a stepped structure (121b) whose longitudinal section forms a stepped shape.
즉, 대야(20)는 일반적으로 개구부의 둘레면을 따라 손잡이부(2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손잡이부(21)의 외경과 바닥부(22)의 외경의 비는 일정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구조의 대야(20)가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하기 위해 대야 수납부(120)의 내주면에 소정 간격의 계단형 구조(121b)가 형성된 구조를 강구한 것이다.That is, the basin 20 is generally formed with a handle portion 21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the ratio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portion 21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bottom portion 22 is not constant, such a structure In order to stably mount the basin 20,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epped structure 121b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in accommodating part 1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formed.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1)의 외경이 바닥부(22)의 외경에 비해 과도하게 큰 구조인 경우에는 손잡이부(21)가 계단형 구조(121b)에 걸림에 따라 안착이 이루어지게 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1)의 외경이 바닥부(22)의 외경에 비해 약간 큰 구조인 경우에는 바닥부(22)가 계단형 구조(121b)에 걸림에 따라 안착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본 고안에 의한 대야 받침대(100)는 대단히 넓은 범위의 대야(20)에 관한 호환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s shown in FIG. 5,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portion 21 is excessive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ttom portion 22, the handle portion 21 is caught by the stepped structure 121b. 6,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portion 21 is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ttom portion 22, the bottom portion 22 is disposed on the stepped structure 121b. Since the seating is made according to the locking, the basin pedest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have compatibility with the basin 20 in a very wide range.
또한, 세족 도중, 과도한 힘이 가해져 대야(20)가 받침대(100) 내에서 평형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안착수단(121a,121b)에 의해 대야(20)의 손잡이부(21)가 지지되므로, 대야(20)가 전복되는 사태는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excessive force is applied during the triangulation to prevent the basin 20 from maintaining equilibrium in the pedestal 100, the handle portion 21 of the basin 20 by the mounting means (121a, 121b) ) Is supported, the situation that the basin 20 is overturned can be prevented.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조(10)의 가장자리부(12)와 맞대어지는 몸체부(110)는 대야 받침대(100)를 욕조(10)에 지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그 길이가 욕조(10)의 폭보다 긴 구조를 취하는 것으로 족한 것이나,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세족(洗足)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몸체부(110)의 단부에 받침대 안착수단(130)이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the body portion 11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edge portion 12 of the tub 10 is to serve to support the basin pedestal 100 to the tub 10, the length is It is sufficient to take a structure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bathtub 10, but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perform a cubic in a more stable state, a pedestal seating means 130 is further provided at the end of the body portion 110 It is desirable to take a structured one.
이러한 받침대 안착수단(130)은 대야 받침대(100)를 욕조(10)의 원하는 위치에 임시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할 것이므로,받침턱(131)이나 지지면(132) 등의 구조에 의해 욕조(10)의 가장자리부(12)에 밀착시키는 방식에 의해서도 구현이 가능할 것이고, 이러한 구조와 함께, 또는 별개로 흡착판(133) 등에 의해 판상(板狀)의 몸체부(110)를 욕조(10)의 가장자리부(12)에 부착시키는 방식에 의해서도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Since the pedestal seating means 130 may be any structure that can temporarily fix the basin pedestal 100 to a desired position of the tub 10, the pedestal mounting means 131 or the support surface 132, etc. It may be implemented by a method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edge portion 12 of the bathtub 10, the plate-shaped body portion 110 by the suction plate 133 or the like together with this structure, or separately. It may also be implemented by attaching to the edge portion 12 of 10).
또한, 욕실 내부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욕조(10)는 욕실의 구석 벽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욕조의 가장자리부(12) 중 1면 내지 3면은 욕실 벽면과 맞대어지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the interior space of the bathroom, the bathtub 10 is generally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ner wall of the bathroom, so that one to three sides of the edge portion 12 of the bathtub is facing the bathroom wall.
따라서, 받침대 안착수단(130)은 대야 받침대(100)의 몸체부(110) 단부가 욕조(10)가 설치된 욕실 내부 벽면에 인접하는가 여부에 따라 그 구조가 달라져야 한다.Accordingly, the structure of the pedestal mounting means 130 sh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he end portion of the body 110 of the basin pedestal 100 is adjacent to the inner wall of the bathroom in which the tub 10 is installed.
먼저, 몸체부(110)의 단부가 욕실 벽면에 인접하지 않는 경우에는, 욕조(10)의 가장자리부(12) 인접공간을 자유로이 활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받침대 안착수단(130)은 몸체부(110)의 단부에서 상기 욕조(10)의 가장자리부(12)의 외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하측으로 굴곡형성된 받침턱(131)의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when the end of the body portion 110 is not adjacent to the bathroom wall, since the adjacent space of the edge portion 12 of the bathtub 10 can be used freely, the pedestal seating means 130 is the body portion 110 It is preferable to take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step 131 which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edge portion 12 of the tub 10 at the end of the tub 10 and is bent downward.
몸체부(110)의 단부가 욕실 벽면에 인접하는 경우에는, 욕조(10)의 가장자리부(12)가 벽면과 맞대어져 상기와 같은 구조를 취할 수 없으므로, 상기 받침대 안착수단(130)은 상기 욕조(10)가 설치된 욕실의 벽면 형상과 일치되도록 상기 몸체부(110)의 단부에 지지면(132)을 형성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is adjacent to the bathroom wall surface, the edge portion 12 of the bathtub 10 is abutted with the wall surface, so that the above structure cannot be taken, so that the pedestal seating means 130 is the bathtub. It is preferable to take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surface 13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body portion 110 so as to match the wall shape of the bathroom in which the 10 is installed.
나아가, 세족 동작 중에는 수직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힘이 가해질 것인 바, 이에 대항하여 대야 받침대(100)의 안정적인 장착을 이루기 위해서는, 상기 받침대 안착수단(130)이 상기 욕조(10)의 가장자리부와 맞대어지는 상기 몸체부(110)의 단부 내측면에 장착된 흡착판(133)을 더 구비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during the triangular operation, the force will be applied not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also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order to achieve stable mounting of the basin pedestal 100, the pedestal mounting means 130 may be configured to It is preferable to take the structure further provided with the adsorption plate 133 mount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which is opposed to the edge portion.
여기서, 흡착판(133)은 수분이 가해질 경우 강한 흡착력을 발휘하는 내용의 공지기술로서, 대야 받침대(100)의 몸체부(110) 단부 내측면과 욕조(10)의 가장자리부를 임시적으로 결합시킨다.Here, the adsorption plate 133 is a well-known technique for exerting a strong adsorption force when moisture is applied. The adsorption plate 133 temporarily couples the edge of the tub 10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body 110 of the basin pedestal 100.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구조의 받침대 안착수단(130)에 의해 대야 받침대(100)를 욕조(10)에 안착시킨 후, 편의롭게 세족을 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comfortably carry out after washing the basin pedestal 100 to the bathtub 10 by the pedestal seating means 130 of the above structure.
본 고안은 욕조가 설치된 욕실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사용자가 세족 만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욕조용 대야 받침대를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basin stand for a bathtub to more efficiently utilize a space of a bathroom in which a bathtub is install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o this even when a user wants to make only three generations.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2-0031014U KR200302924Y1 (en) | 2002-10-17 | 2002-10-17 | Device for support of basin on bat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2-0031014U KR200302924Y1 (en) | 2002-10-17 | 2002-10-17 | Device for support of basin on bath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302924Y1 true KR200302924Y1 (en) | 2003-02-05 |
Family
ID=4940001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2-0031014U Expired - Fee Related KR200302924Y1 (en) | 2002-10-17 | 2002-10-17 | Device for support of basin on bath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302924Y1 (en) |
-
2002
- 2002-10-17 KR KR20-2002-0031014U patent/KR200302924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115857A (en) | Foot support | |
| KR200302924Y1 (en) | Device for support of basin on bath | |
| WO2011014788A2 (en) | Bathtub insert for children | |
| CA1321858C (en) | Cover assembly for a sanitary fixture | |
| KR200300779Y1 (en) | Device for basin on bath | |
| JP2005224540A (en) | Washbowl for bathroom and toiletry item mount | |
| KR200368916Y1 (en) | A wash stand | |
| JP2009261626A (en) | Bathroom structure | |
| JP2020032106A (en) | Bathroom counter storage structure | |
| JPH0439315Y2 (en) | ||
| JP7186550B2 (en) | Bathroom counter and bathroom unit | |
| JP2023133820A (en) | hand washing device | |
| JP3562549B2 (en) | Handrail mounting structure for toilet room | |
| JP4606663B2 (en) | Hanging structure of bathroom chair | |
| JPH0622877A (en) | Foot bath equipment | |
| JP7186551B2 (en) | Bathroom counter storage structure and bathroom unit | |
| KR20000017506U (en) | A washstand for bathtus | |
| JP3015906U (en) | Wash basin | |
| KR200305342Y1 (en) | lavatory sink | |
| JP4315098B2 (en) | Bathroom counter panel | |
| JPH09228663A (en) | Bath room counter | |
| JPS6041195Y2 (en) | Step stool for standing bath | |
| JPH07189323A (en) | Toilet | |
| JP2023133819A (en) | hand washing device | |
| JP3115800U (en) | Auxiliary toilet seat device for Japanese style toile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 UT0201 |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5-5-W10-W00-oth-UT0201 |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 UT0701 |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
St.27 status event code: A-5-4-M10-M11-oth-UT07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120 Year of fee payment: 3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2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0601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6012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