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40682Y1 - 연기감지형 화재감지기 - Google Patents

연기감지형 화재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682Y1
KR200340682Y1 KR20-2003-0036193U KR20030036193U KR200340682Y1 KR 200340682 Y1 KR200340682 Y1 KR 200340682Y1 KR 20030036193 U KR20030036193 U KR 20030036193U KR 200340682 Y1 KR200340682 Y1 KR 200340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smoke
light
che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효한
Original Assignee
와이이에스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이에스코리아(주) filed Critical 와이이에스코리아(주)
Priority to KR20-2003-0036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6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68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G08B17/10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for detecting light-scattering due to smo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기감지형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유입된 연기에 의한 감지빛의 산란에 의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점검수광소자를 구비하여서 기기의 정상작동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감지몸체(10)와 발광소자(20) 및 감지수광소자(30)로 이루어진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20)의 동작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발광소자(20)의 조사방향의 반대측에서 구비되어서 연기유입부(11)를 관통한 빛을 수신하는 점검수광소자(1)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발광소자의 동작 유무를 점검할 수 있는 점검수광소자를 구비하므로서 연기를 발생시키지 않고도 화재감지기의 동작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원거리에서 점검수광소자를 통하여 수신된 점검신호를 통하여 동작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화재감시시스템의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연기감지형 화재감지기{A smoke type fire detector}
본 고안은 연기감지형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된 연기에 의한 감지빛의 산란에 의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점검수광소자를 구비하여서 기기의 정상작동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감지기는 열감지형과 연기감지형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중 연기감지형 화재감지기는 초기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에 의하여 화재를 감지하게 구성되어 있어 그 응답성이 우수하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연기감지형 화재감지기는 저면 중앙부위에 연기유입부(11)를 형성하고 그 사방 외주연에 연기배출로(12)를 형성한 감지몸체(10)와, 상기 감지몸체(10)의 일측에서 연기유입부(11)의 연기유입을 감지를 위한 감지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20)와, 상기 발광소자(20)에 의한 조사방향에 대하여 각을 이루게 감지몸체(10)에 설치되며 연기유입부(11)로 유입된 연기에 의하여 산란된 빛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광소자(30)와, 상기 발광소자(20)의 동작과 감지수광소자(30)를 통하여 수신된 감지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감지제어부(4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화재감지기는 화재로 인하여 발생한 연기가 감지몸체(10)의 연기유입부(11)로 유입되면 발광소자(20)에서 조사된 감지빛이 연기에 의하여 산란되게 되며, 산란된 감지빛은 발광소자(20)에 의한 감지빛의 조사방향에 대하여 각을 이루게 설치되어 있는 감지수광소자(30)로 유입되어서 상기 감지수광소자(30)가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상기 감지수광소자(30)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감지제어부(40)는 화재신호를 출력하여서 화재를 감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연기감지형 화재감지기는 발광소자(20)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의 이의 확인이 불가능하고, 동작유무의 확인을 위하여는 연기를 연기유입부로 직접 유입시켜서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상과 같이 화재감지기의 동작유무 확인이 직접점검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인하여 원격관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발광소자의 조사방향 반대측 감지몸체에 점검수광소자를 구비하여서 발광소자의 동작유무를 통하여 화재감지기의 동작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재감지기의 저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기의 저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저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제어부의 주요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점검수광소자
10 : 감지몸체
11 : 연기유입부 12 : 연기배출로
20 : 발광소자
30 : 감지수광소자
40 : 감지제어부 41 : 타임제어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화재감지기의 동작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저면 중앙부위에 연기유입부(11)를 형성하고 그 사방 외주연에 연기배출로(12)를 형성한 감지몸체(10)와, 상기 감지몸체(10)의 일측에서 연기유입부(11)의 연기유입을 감지를 위한 감지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20)와, 상기 발광소자(20)에 의한 조사방향에 대하여 각을 이루게 감지몸체(10)에 설치되며 연기유입부(11)로 유입된 연기에 의하여 산란된 빛을 감지하는 감지수광소자(30)와, 상기 발광소자(20)의 동작과 감지수광소자(30)를 통하여 수신된 감지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감지제어부(40)로 구성된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20)의 동작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발광소자(20)의 조사방향의 반대측에서 구비되어서 연기유입부(11)를 관통한 빛을 수신하는 점검수광소자(1)를 구비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 있어 소비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게 감지제어부(40)에 클러신호부로 구성되는 타임제어부(41)를 구비하여 발광소자(20)의 점등이 일정 시차를 두고 점멸 점등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감지몸체(10)와 발광소자(20) 및 감지수광소자(30)로 이루어진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20)의 동작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발광소자(20)의 조사방향의 반대측에서 구비되어서 연기유입부(11)를 관통한 빛을 수신하는 점검수광소자(1)를 구비한 본 고안의 감지몸체(10)의 연기유입부(11)로 화재로 인한 연기가 유입되게 되면, 발광소자(20)에서 조사된 감지빛이 연기에 의하여 산란을 잃으켜 사방으로 확산조사되게 되며, 이상과 같이 사방으로 확산조사되는 감지빛 중 일부의 빛이 발광소자(20)의 조사방향과 각을 이루게 설치된 감지수광소자(30)로 입력되어서 상기 감지수광소자(30)에서 감지신호를 출력하므로서 감지제어부(40)가 화재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을 설치한 상태에서 발광소자(20)의 동작유무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는 점검수광소자(1)로의 점검신호의 출력유무를 확인하므로서 동작유무가 신속하게 확인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점검수광소자(1)를 통한 점검신호의 출력유무를 통하여 정상작동 유무의 확인이 가능하므로 이를 원거리에서 확인이 가능하여 직접점검을 하지 않고도 원거리에서 다수 구비되는 화재감지기를 원격으로 제어 감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발광소자의 동작 유무를 점검할 수 있는 점검수광소자를 구비하므로서 연기를 발생시키지 않고도 확재감지기의 동작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원거리에서 점검수광소자를 통하여 수신된 점검신호를 통하여 동작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화재감시시스템의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한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감지몸체(10)의 일측에서 연기유입부(11)의 연기유입을 감지를 위한 감지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20)와, 상기 발광소자(20)에 의한 조사방향에 대하여 각을 이루게 감지몸체(10)에 설치되며 연기유입부(11)로 유입된 연기에 의하여 산란된 빛을 감지하는 감지수광소자(30)와, 상기 발광소자(20)의 동작과 감지수광소자(30)를 통하여 수신된 감지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감지제어부(40)로 구성된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20)의 동작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발광소자(20)의 조사방향의 반대측에서 구비되어서 연기유입부(11)를 관통한 빛을 수신하는 점검수광소자(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감지형 화재감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소비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발광소자(20)가 일정 시차를 두고 점멸 점등되게 감지제어부(40)에 클럭신호부로 구성되는 타임제어부(4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감지형 화재감지기.
KR20-2003-0036193U 2003-11-19 2003-11-19 연기감지형 화재감지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3406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193U KR200340682Y1 (ko) 2003-11-19 2003-11-19 연기감지형 화재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193U KR200340682Y1 (ko) 2003-11-19 2003-11-19 연기감지형 화재감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682Y1 true KR200340682Y1 (ko) 2004-02-05

Family

ID=49423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193U Expired - Fee Related KR200340682Y1 (ko) 2003-11-19 2003-11-19 연기감지형 화재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68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279B1 (ko) 2019-02-11 2020-06-04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기 감지형 스프링클러 장치
KR20200092619A (ko) 2019-01-25 2020-08-04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기 흡입형 화재감지장치
CN115862256A (zh) * 2022-11-22 2023-03-2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光电感烟探测器以及光电感烟探测器自维保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619A (ko) 2019-01-25 2020-08-04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기 흡입형 화재감지장치
KR102119279B1 (ko) 2019-02-11 2020-06-04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기 감지형 스프링클러 장치
CN115862256A (zh) * 2022-11-22 2023-03-2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光电感烟探测器以及光电感烟探测器自维保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34856A1 (en) Evaluating scattered-light signals in an optical hazard detector and outputting a dust/steam warning or a fire alarm
EP2320397A1 (en) Fire 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fire
AU2006251047B9 (en) A flame detector and a method
TW200532593A (en) Fire detection method and fire detector therefor
CN201232854Y (zh) 家用煤气泄漏多向控制装置
ATE441910T1 (de) Alarmeinheit
AU2010202665B2 (en) Circuitry to monitor and control source of radiant energy in smoke detector
US20080220384A1 (en) Air quality sensor/interruptor
KR200340682Y1 (ko) 연기감지형 화재감지기
EP3074737A1 (en) Ultraviolet light flame detector
EP2592609B1 (en) Photoelectric detector combined with MOS gas sensor
KR100996730B1 (ko) 화재 경보장치
KR102081761B1 (ko) 광산란 및 감광 효과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광전식 연기 감지기 및 연기 감지 방법
EP1049059A3 (en) Fire detector
JP5901485B2 (ja) 煙感知器
ES2928763T3 (es) Sistema de detección auxiliar portátil
KR20130074382A (ko) 비상유도형 화재감지기 및 이를 적용한 화재감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JP2005250986A (ja) 火災感知器
JPH11224387A5 (ko)
JP2008287382A (ja) 火災警報器
JP7574709B2 (ja) 紫外線照射装置
JP2025085226A (ja) 煙感知器
KR19990015320A (ko) 적외선 경보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8258936A (ja) 赤外線タッチスイッチ
KR930016732A (ko) 급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5-5-W10-W00-oth-UT0201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N-5-6-H10-H12-rvc-UT0601

L13-X000 Limitation or reissue of ip righ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L10-L13-lim-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0501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5012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