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01640A - 중앙국 단말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가입자 단국장치간의정합시스템 - Google Patents

중앙국 단말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가입자 단국장치간의정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1640A
KR20040001640A KR1020020036925A KR20020036925A KR20040001640A KR 20040001640 A KR20040001640 A KR 20040001640A KR 1020020036925 A KR1020020036925 A KR 1020020036925A KR 20020036925 A KR20020036925 A KR 20020036925A KR 20040001640 A KR20040001640 A KR 20040001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message
interworking
processing unit
co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6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준현
김정규
오원기
김병규
최갑주
Original Assignee
삼우통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우통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우통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6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1640A/ko
Publication of KR20040001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164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국 단말 장치(이하 COT: Central Office Terminal)와 이를 포함하는 가입자 단국장치(AN: Access Network)간의 정합시스템으로서, 로컬 교환기(이하 LE: Local Exchange)와 V5.x 프로토콜로 연동함과 동시에 원격 단말(이하 RT: Remote Terminal)과도 V5.x 프로토콜로 연동할 수 있는 COT와, 망구조에 상관없이 LE의 V5.x 인터페이스를 최소화시키고, AN를 구성하는 COT와 RT간의 트래픽 점유가 효율적인 LE와 AN간의 정합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V5.x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호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LE; 복수의 가입자 단말을 수용하고, V5.x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가입자 단말에 의해 점유되는 채널을 집선하여 IDLC 기능을 구현하는 복수의 RT들; 상기 LE의 V5.x 프로토콜과 연동함과 동시에 상기 RT의 V5.x 프로토콜과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RT들과 상기 LE간을 정합시키는 COT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앙국 단말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가입자 단국장치간의 정합시스템{Central Office Terminal and inter Access Network matching system including thereof}
본 발명은 중앙국 단말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가입자 단국장치간의 정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DLC 기능구현을 위해 LE에 구비되는 V5.x 인터페이스 수를 최소화하고, 가입자 단국장치(이하 AN: Access Network)간을 구성하는 중앙국 단말 장치(이하 COT: Central Office Terminal)와 원격 단말(이하 RT: Remote Terminal)간의 트래픽 점유가 효율적인 AN간의 정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DLC(Integrated Digital-Loop Carrier)는 전전자 LE에 탑재된 가입자 망의 구축 방식 중 하나로 LE와 COT 및 RT로 이루어진 AN 간을 E1 단위로 다중화하여 정합하는 방식을 말한다.
IDLC를 구현하는 LE와 COT 및 RT간의 정합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10)에 1개 이상의 COT(20)가 연결되고, 상기 COT(20)에 1개 이상의 RT(30)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LE(10)는 IDLC 기능 수행을 위한 V5.x 프로토콜 처리부를 탑재하고 있고, 이러한 LE(10)와의 연동을 위해 COT(20)와 RT(30) 중 어느 하나에 V5.x 프로토콜 처리부를 탑재하여, RT(30)에 수용된 가입자와 LE(10)간의 데이터 교환이 E1 방식으로 원할히 행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RT(30)에 V5.x 프로토콜 처리부를 탑재하게 되면, IDLC 기능에 의해 가입자로부터 들어오는 신호에 대한 채널의 집선이 가능해져, RT(30)와 COT(20)간의 트래픽 대역의 점유가 효율적인 이점이 있긴 하지만, LE(10)의 입장에서는 각각의 RT(30)에 V5.x 프로토콜 처리부가 탑재됨으로 인해 그 V5.x 프로토콜 처리부의 수 만큼 V5.x 인터페이스를 갖추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참고로, V5 계열의 인터페이스는 LE(10)와 COT(20)간에 직접 E1 접속(최대 16E1)을 통해 PSTN 또는 ISDN-BRA(2B+D), ISDN-PRA(30B+D)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로서, COT(20) 또는 RT(30)에 탑재되는 V5.x 프로토콜 처리부의 갯수만큼 LE(10)에 구비되어야 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COT(20)에 V5.x 프로토콜 처리부를 탑재하는 구조가 제안되고 있지만, 이는 LE(10)에 구비되어야 할 V5.x 인터페이스는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반면, COT(20)와 RT(30) 구간에서의 집선 효과가 없어져 비효율적으로 트래픽 대역이 점유된다는 단점과 COT(20)에서 V5.x 프로토콜 및 집선 처리를 담당하게 되어 CPU의 부하가 가중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특성에 의해, COT(20)에 V5.x 프로토콜 처리부가 탑재된 AN은 가입자 수가 적은 다수의 RT(10)로 구성되는 망 구조에 적합하고, RT(30)에 V5.x 프로토콜 처리부가 탑재된 AN은 많은 수의 가입자를 수용하는 RT(10)로 구성된 망 구조에 적합하다.
이에, 본 발명은 LE와 V5.x 프로토콜로 연동함과 동시에 RT와도 V5.x 프로토콜로 연동할 수 있는 COT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망구조에 상관없이 LE의 V5.x 인터페이스를 최소화시키고, AN를 구성하는 COT와 RT간의 트래픽 점유가 효율적인 LE와 AN간의 정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LE와 RT간의 정합 시스템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와 RT간의 정합시스템의 블럭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와 RT간의 인터페이스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와 RT간의 인터페이스 설정을 위한 정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와 RT간의 정합시스템의 호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OT(COT)는, IDLC 기능을 갖춘 복수의 RT와 IDLC 기능을 갖춘 LE 사이에 설치되어 RT와 LE를 연결시키는 COT에 있어서,
상기 RT와의 정합을 위한 제1정합수단;
상기 RT와의 연동을 위한 V5.x 프로토콜이 탑재되고, 상기 V5.x 프로토콜에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RT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
상기 LE와의 정합을 위한 제2정합수단;
상기 LE와의 연동을 위한 V5.x 프로토콜이 탑재되고, 상기 V5.x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LE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
상기 LE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와 상기 RT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LE와 상기 RT간의 메시지 교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LE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변환하여 해당 메시지가 상기 RT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를 통해 상기 RT로 전송되게 하고, 상기 RT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변환하여 해당 메시지가 상기 LE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를 통해 상기 LE로 전송되게 하는 COT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와 RT간의 정합 시스템은, V5.x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호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로컬 교환 수단;
복수의 가입자 단말을 수용하고, V5.x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가입자 단말에 의해 점유되는 채널을 집선하여 IDLC 기능을 구현하는 복수의 RT들;
상기 LE의 V5.x 프로토콜과 연동함과 동시에 상기 RT의 V5.x 프로토콜과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RT들과 상기 LE간의 정합시키는 COT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DLC(Integrated Digital-Loop Carrier) 기능을 갖춘 AN의 기능적 블럭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100)와 COT(200)는 DS1E 정합부(110, 210)를 통해 서로 정합되고, 이를 통해 망을 구성·유지한다. 이러한 DS1E 정합부(110,210)는 물리적으로 LE(100)와 COT(200)를 정합시킨다.
COT(200)는 LE(100)와의 정합을 위한 DSIE 정합부(210)와, LE(100)에 탑재된 V5.x 프로토콜과 연동 가능한 V5.x 프로토콜이 탑재되어 그에 따른 메시지 처리를 행하는 LE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220), RT(300)에 탑재된 V5.x 프로토콜과 연동 가능한 V5.x 프로토콜이 탑재되어 그에 따른 메시지 처리를 행하는 RT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240), RT(300)와의 정합을 위한 DS1E 정합부(250) 및, COT(20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행하는 COT 시스템 제어부(23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COT 시스템 제어부(230)는 LE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220)와 RT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240)간의 메시지 교환을 위해 메시지 변환을 행하고, COT 시스템 상태를 담은 메시지를 생성하여 LE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220)로 전송하며, 각 RT들과 V5.x 인터페이스를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한다. 또한, COT 시스템 제어부(230)는 RT들의 가입자 정보 및 상태를 저장·유지·관리하는 기능이 있다.
그리고, RT(300)는 COT(200)와의 정합을 위한 DSIE 정합부(310)와, COT(200)로부터 전송된 V5.x 메시지를 처리하여, RT 시스템 제어부(330)로 전송하고, RT 시스템 제어부(330)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V5.x 프로토콜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COT(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RT V5.x 프로토콜 처리부(320), RT(30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행하는 RT시스템 제어부(330), 가입자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고속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채널 뱅크부(350) 및, 채널 뱅크부(350)의 상태를 감시하여 그 감시결과를 RT 시스템 제어부(330)로 전송하고 RT 시스템 제어부(300)의 제어하에 채널 뱅크부(350)를 관리하는 채널 처리부(34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RT 시스템 제어부(330)는 COT(20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처리하고, 이 메시지 중 가입자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는 이를 변환하여 채널 처리부(340)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하고, 채널 처리부(34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변환하여 RT V5.x 프로토콜 처리부(32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COT(200)와 연계하여 V5.x 인터페이스를 유지·관리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RT V5.x 프로토콜 처리부(32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LE(100)의 LE V5.x 프로토콜 처리부(120)와, COT(200)의 LE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220), COT(200)의 RT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240), RT(300)의 RT V5.x 프로토콜 처리부(320)는 입력되는 메시지 중에서 V5 신호처리와 관련된 E1의 타임슬롯을 추출하는 타임슬롯 교환부(이하 TSI: Time-slot interchange)를 구비하고, 상기 타임슬롯 교환부에서 V5 메시지 형태로 전송되어 온 메시지를 해석하기 위한 LAP-V5(Link Access Protocol-V5) 제어부를 구비하여 V5.x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로부터 Protection 정보, PSTN 신호처리 정보, ISDN D 채널 정보, Control 정보, Link 제어 정보, 베어러 채널 접속 정보, 타이밍과 관련된 정보 등을 추출하여 이를 해당 부의 제어부(130, 230, 330)로 전달한다.
LE(100)와 COT(200)와 RT(300)간의 인터페이스는 도 3과 같이 구성되는데, LE(100)와 COT(200)는 q개의 V5.x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1개의 V5.x 인터페이스 당 최대 16개의 E1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그리고 , COT(200)와 RT(300)는 1개의 V5.x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이 V5.x 인터페이스도 최대 16개의 E1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그리고, COT(200)는 d개의 RT(300_1∼300_d)에 대해 V5.x 인터페이스를 관리한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에 의해, 종래에는 LE(100)가 복수의 RT(300_1 ∼ 300_d)에 대해 각각 V5.x 인터페이스를 관리했기 때문에, 상기 RT의 수만큼 V5.x 인터페이스를 할당해야 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LE(100)가 COT(200)에 대해서만 V5.x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기 때문에, 최소한 1개의 V5.x 인터페이스만 할당하여도 COT(200)에 의해 관리되는 d개의 RT(300_1 ∼ 300_n)와 통신을 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되어진 각 V5.x 인터페이스는 각각의 셋-업(set-up) 과정을 거침으로서 LE(100)의 제어부(130), COT(200)의 COT 시스템 제어부(230), RT의 RT 시스템 제어부(330)에 의해 활성화되고, 여러 개의 RT가 존재할 경우 이를 구별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ID(V5ID)를 부여하여 COT(200)와 RT(300)에 프로비전(provision)한다. 특히, COT(200)의 COT 시스템 제어부(230)는 LE(100)와의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 후, RT(300)와의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킨다.
상술되어진 바와 같이 V5.x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러 채널 정보, ISDN D-채널 정보, PSTN 시그널링 정보, 제어프로토콜 정보, 링크 제어 프로토콜 정보, 보호 프로토콜 정보, BCC 정보, 타이밍 정보가 서로 교환되는데, LE(100)의 제어부(130)에서 생성된 각 정보 메시지는 교환 V5.x 프로토콜 처리부(120)에 의해 V5.x 형태의 메시지로 변환되어 DSIE 정합부(110, 210)를 통해 COT(200)의 LE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220)로 전달된다.
이에, LE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220)는 전달된 메시지를 해석하여 상기 V5.x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메시지를 COT 시스템 제어부(230)로 전달하고, COT 시스템 제어부(230)는 상기 정보 메시지를 RT(300)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정보 메시지를 변환하여 RT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240)로 전달한다.
이어, 상기 RT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240)가 상기 정보 메시지를 V5.x 형태의 메시지로 변환하여 RT(300)로 전송하면, 이 V5.x 메시지는 DS1E(250, 310)을 경유하여 RT(300)의 RT V5.x 프로토콜 처리부(320)로 전달되고, RT V5.x 프로토콜 처리부(320)가 상기 V5.x 메시지를 해석하여 상기 정보 메시지를 RT 시스템 제어부(300)로 전달하므로서, 상기 RT 시스템 제어부(300)가 상기 LE(100) 측에서 전송한 소정 정보 메시지를 전달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메시지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DLC(Integrated Digital-Loop Carrier) 기능을 갖춘 AN의 발신호 처리 동작을 설명한다.
RT(300)에 수용된 임의의 가입자가 단말기를 후크-오프(hook-off)하면, 이를 감지한 RT(300)의 시스템 제어부(330)는 RT V5.x 프로토콜 처리부(320)를 통해 ESTABLISH 메시지를 생성하여 COT(200)로 전송한다(S2).
이어, 상기 ESTABLISH 메시지는 RT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240)를 통해 추출되어 COT 시스템 제어부(230)로 전송되고, COT 시스템 제어부(230)는 상기 ESTABLISH 메시지를 변환해서 LE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220)로 전송하고, LE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220)는 상기 ESTABLISH 메시지를 LE(100)의 교환 V5.x 프로토콜 처리부(120)로 전송한다(S4).
여기서, COT 시스템 제어부(230)는 RT(300)로부터 전송받은 ESTABLISH 메시지를 LE(100)로 전송하기 위해서, 상기 ESTABLISH 메시지에 첨부되는 발/착신 상태 정보를 변경하여 이를 ESTABLISH 메시지와 함께 전송하는데, 이때 변경되는 발/착신 정보는 V5ID, L3address 등이 있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착신 정보 변경을 ESTABLISH 메시지 변경으로 표현한다. 이는 상기 ESTABLISH 메시지 변경에만 한정되지 않고, LE(100)와 RT(300)간의 전송되는 모든 메시지에 동일한 개념이 적용된다.
이후, 교환 V5.x 프로토콜 처리부(120)에 의해 ESTABLISH 메시지를 전송받은 LE(100)의 제어부(130)는 LE V5.x 프로토콜 처리부(120)를 통해 ESTABLISH_ACK 메시지를 생성하여 COT(200)로 전송하고(S6), 상기 COT(200)의 시스템 제어부(230)는 상기 ESTABLISH_ACK 메시지를 변환하여 RT(300)로 전송한다(S10).
이어, LE(100)의 제어부(130)는 음성통화를 위한 자원을 할당한 뒤, 교환 V5.x 프로토콜 처리부(120)를 통해 자원할당에 따른 ALLOCATION 메시지를 생성하여 COT(200)로 전송하고(S12), 상기 COT(200)의 시스템 제어부(230)는 ALLOCATION 메시지를 변환하여 RT(300)로 전송한다(S14).
RT(300)의 시스템 제어부(330)는 상기 ALLOCATION 메시지를 근거로 통화자원을 할당한 뒤, RT V5.x 프로토콜 처리부(320)를 통해 ALLOCATION_COMP 메시지를 생성하여 COT(200)로 전송하고(S16), COT(200)의 시스템 제어부(230)는 상기 ALLOCATION_COMP 메시지를 변환하여 LE(100)로 전송한다(S18).
이어, LE(100)는 RT(300)로 다이얼톤(Dial-Tone)을 전송하고(S20), RT(300)의 가입자가 착신번호를 다이얼링하므로서 생성된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가 LE(100)로 전송되고(S22), 이에 LE(100)는 상기 DTMF신호에 해당하는 착신번 단말을 호출함과 동시에 RT(300)로 링백톤(ring-back-tone)을 전송한다(S24). 이때, LE(100)는 상기 DTMF 신호를 근거로 착신번에 대한 번호번역을 행하고 해당 착신번이 LE(100)에 수용된 가입자이면 상기 착신번 단말을 바로 호출하지만, 상기 착신번이 다른 LE에 수용된 가입자이면 중계호 처리를 하여 상기 착신번이 수용된 LE로 착신호 처리를 요청한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호출을 받은 착신번 단말이 후크-오프상태가 되면 상기 LE(100)측의 착신번 단말과 RT(300)측의 착신번 단말간의 통화로가 설정된다(S26).
상술되어진 일련의 과정을 통해 COT(200)는 상기 LE(100)가 RT(300)와 직접적으로 V5.x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하더라도 RT(300)와의 메시지 교환을 원할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뿐 아니라, RT(300)는 RT V5.x 프로토콜 처리부(320)에 의해 가입자의 통화채널에 대한 집선기능이 행해지기 때문에, COT(200)와 RT(300)간의 트래픽 점유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LE 측에서는 V5.x 인터페이스를 최소화하여 LE의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고, COT와 RT간의 트래픽 점유가 감소할 뿐 아니라 COT의 부하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러한 수정 및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IDLC 기능을 갖춘 복수의 원격 단말(RT)들과 IDLC 기능을 갖춘 로컬 교환기(LE)의 사이에 설치되어 RT와 LE를 연결시키는 중앙국 단말장치(COT)에 있어서,
    상기 RT와의 정합을 위한 제1정합수단;
    상기 RT와의 연동을 위한 V5.x 프로토콜이 탑재되고, 상기 V5.x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RT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
    상기 LE와의 정합을 위한 제2정합수단;
    상기 LE와의 연동을 위한 V5.x 프로토콜이 탑재되고, 상기 V5.x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LE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
    상기 LE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와 상기 RT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LE와 상기 RT간의 메시지 교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LE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변환하여 해당 메시지가 상기 RT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를 통해 상기 RT로 전송되게 하고, 상기 RT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변환하여 해당 메시지가 상기 LE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를 통해 상기 LE로 전송되게 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국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COT의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LE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를 통해 상기 LE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국 단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LE와 V5.x 인터페이스를 유지 관리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LE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를 통해 상기 LE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국 단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각 RT와의 V5.x 인터페이스를 유지 관리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RT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를 통해 상기 RT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국 단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LE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로부터의 메시지에 첨부된 발/착신 상태 정보를 변경시켜 RT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RT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로부터의 메시지에 첨부된 발/착신 상태 정보를 변경시켜 상기 LE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로 전달하므로서 메시지 변경을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국 단말 장치.
  6. V5.x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호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로컬 교환 수단(LE);
    복수의 가입자 단말을 수용하고, V5.x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가입자 단말에 의해 점유되는 채널에 대한 집선시켜 IDLC 기능을 구현하는 복수의 원격 단말(RT);
    상기 로컬 교환기의 V5.x 프로토콜과 연동함과 동시에 상기 원격 단말기의 V5.x 프로토콜과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원격 단말과 상기 로컬 교환기간의 정합시키는 중앙국 단말장치(COT)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단국장치간의 정합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COT는
    상기 RT와의 정합을 위한 제1정합수단;
    상기 RT와의 연동을 위한 V5.x 프로토콜이 탑재되고, 상기 V5.x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RT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
    상기 LE와의 정합을 위한 제2정합수단;
    상기 LE와의 연동을 위한 V5.x 프로토콜이 탑재되고, 상기 V5.x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LE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
    상기 LE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와 상기 RT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LE와 상기 RT간의 메시지 교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LE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변환하여 해당 메시지가 상기 RT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를 통해 상기 RT로 전송되게 하고, 상기 RT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변환하여 해당 메시지가 상기 LE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를 통해 상기 LE로 전송되게 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단국장치간의 정합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중앙국 단말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LE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를 통해 상기 로컬 교환 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단국장치간의 정합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LE와 V5.x 인터페이스를 유지 관리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LE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를 통해 상기 로컬 교환 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단국장치간의 정합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각 RT와의 V5.x 인터페이스를 유지 관리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RT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를 통해 상기 원격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단국장치간의 정합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LE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로부터의 메시지에 첨부된 발/착신 상태 정보를 변경시켜 RT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RT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로부터의 메시지에 첨부된 발/착신 상태 정보를 변경시켜 상기 LE 연동 V5.x 프로토콜 처리부로 전달하므로서 메시지 변경을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단국장치간의 정합시스템.
KR1020020036925A 2002-06-28 2002-06-28 중앙국 단말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가입자 단국장치간의정합시스템 Ceased KR20040001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925A KR20040001640A (ko) 2002-06-28 2002-06-28 중앙국 단말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가입자 단국장치간의정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925A KR20040001640A (ko) 2002-06-28 2002-06-28 중앙국 단말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가입자 단국장치간의정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640A true KR20040001640A (ko) 2004-01-07

Family

ID=37313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925A Ceased KR20040001640A (ko) 2002-06-28 2002-06-28 중앙국 단말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가입자 단국장치간의정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164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33283A2 (en) * 1997-12-09 1999-07-01 Nokia Networks Oy Method for concentrating subscribers in a telephone network
JP2000253471A (ja) * 1999-02-26 2000-09-14 Nec Commun Syst Ltd インターフェース制御装置
KR20020034524A (ko) * 2000-11-02 2002-05-09 윤종용 Idlc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 시스템에서의 호처리장치 및 방법
KR20030044353A (ko) * 2001-11-29 2003-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교환기와 원격국 사이의 데이터링크 보호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33283A2 (en) * 1997-12-09 1999-07-01 Nokia Networks Oy Method for concentrating subscribers in a telephone network
JP2000253471A (ja) * 1999-02-26 2000-09-14 Nec Commun Syst Ltd インターフェース制御装置
KR20020034524A (ko) * 2000-11-02 2002-05-09 윤종용 Idlc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 시스템에서의 호처리장치 및 방법
KR20030044353A (ko) * 2001-11-29 2003-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교환기와 원격국 사이의 데이터링크 보호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5412B1 (en) Procedure and system for ensuring emergency communication in a wireless local loop environment
GB2326794A (en) ISDN bandwidth allocation
CA2252473C (en) Integrated telecommunication system architecture for wireless and wireline access featuring pacs radio technology
EP0605086A1 (en) Small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JPH0448844A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203355B1 (ko) 발신 전용 휴대 전화 시스템
KR20000066663A (ko)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의 호 설정 방법
KR20040001640A (ko) 중앙국 단말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가입자 단국장치간의정합시스템
US6088438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networking a plurality of private branch exchange systems using ISDN lines
JP3482311B2 (ja) 交換システムの中に組み込まれた多数の無線スイッチユニット
EP1040675B1 (en) Transmission of signalling information between a central terminal and a subscriber terminal of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20020044545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telecommunications device to a packet-switching communications network
US6418132B1 (en) Multi-directional multiplex communication system and ISDN servicing method therein
Lin Switch access architecture for quad voice lines with data on-demand per ISDN BRI
JP3417097B2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システム加入者用データ伝送方法
JP3001534B1 (ja) 多方向多重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isdnサービス方法
JPH01105693A (ja) Isdn遠隔局制御方式
KR100263379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타 그룹간 호 전환방법
KR100451725B1 (ko) Wll 시스템의 서비스 수행 방법
US20020101887A1 (en) Versatile network termination unit and line interface
KR940007917B1 (ko) Isdn 사용자부의 구현방법
KR0176398B1 (ko)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원격교환장치를 수용하는 방법
KR100385218B1 (ko) 발신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869879B1 (ko) 액세스 게이트웨이의 내부 호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394728B1 (ko) 무선 가입자망에서 가입자 정보 전송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6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8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4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