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18693A - Button type switch - Google Patents

Button type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8693A
KR20040018693A KR1020020050614A KR20020050614A KR20040018693A KR 20040018693 A KR20040018693 A KR 20040018693A KR 1020020050614 A KR1020020050614 A KR 1020020050614A KR 20020050614 A KR20020050614 A KR 20020050614A KR 20040018693 A KR20040018693 A KR 20040018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type switch
circuit board
buttons
display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6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미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0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8693A/en
Publication of KR20040018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693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comprising a frame housing mating with two lids wherein the PCB is flat mounted on the fram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형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튼 중심에 돌기를 형성하여 버튼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 버튼형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type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tton-type switch in which a project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utton so that the button is operated by the lever principle.

회로기판의 소정부위에 다수개 설치된 텍트스위치와 상기 텍트스위치와 접촉하여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버튼으로 구성된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A switching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tact switches install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a circuit board and buttons for contacting the tact switches to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상기 버튼은, 사용자의 입력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표시부가 형성된 상부와;The button may include an upper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for guiding a user's input;

다수개의 상기 텍트 스위치와 접촉하도록 상기 표시부에 근접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접지편과, 그 중심부로부터 하향 돌출 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일정부위에 지지되는 중심돌기가 형성된 하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스위치.And a plurality of ground pieces formed proximate to the display portion so as to contact the plurality of text switches, and a lower portion formed with a central protrusion projecting downward from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본 발명에 따른 버튼형 스위치는 설계상 단순히 버튼 중심부에 돌기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탄성 리브 및 판 스프링과 같은 복원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공간적인 제약을 거의 받지 않아 버튼과 회로기판의 거리를 충분히 가깝게 설계할 수 있도록 하여 소형화, 경량화 제품들에 대한 적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In the button-typ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imply forming a projection in the center of the button, there is no need for a space for installing the restoring means such as elastic ribs and leaf springs. Therefore,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button and the circuit board can be designed sufficiently close to the space constrai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apply to miniaturized and lightweight products.

그리고, 여러 방향으로 동작하게 되는 다 방향성 버튼과 같이 탄성 리브의 설치가 곤란하고 설계가 복잡한 제품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각 방향에 따른 버튼 작동 시에도 동일한 클릭감을 갖게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install elastic ribs, such as multi-directional buttons that operate in various directions, and can be applied to products having a complicated design,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having the same click feeling even when buttons are operated in each direction.

Description

버튼형 스위치{Button type switch}Button type switch

본 발명은 버튼형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튼 중심에 돌기를 형성하여 버튼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 버튼형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type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tton-type switch in which a project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utton so that the button is operated by the lever principle.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제품의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버튼형 스위치는 제품 내부의 회로기판 상에 텍트 스위치가 장치되고, 상기 텍트 스위치를 제품 외부 판넬에 형성된 버튼에 의해 동작시키도록 되어있다.In general, a button-type switch, which is used for controlling operations and functions of various electronic products, has a text switch installed on a circuit board inside the product, and operates the text switch by a button formed on an external panel of the product.

그리고, 상기와 같은 버튼형 스위치는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실행한 후 버튼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기 위한 복원수단으로 탄성 리브의 구조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금속판 스프링을 사용하게 된다.In addition, the button-type switch as described above uses a structure of an elastic rib or a separate metal plate spring as a restoring means for restoring the button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executing the button pressing operation.

먼저, 탄성 리브 구조를 이용한 버튼형 스위치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a button-type switch using an elastic rib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종래의 탄성 리브 구조를 이용한 버튼형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탄성 리브 구조를 이용한 버튼형 스위치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고, 도 1c는 종래의 탄성 리브 구조를 이용한 버튼형 스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ure 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tton-type switch using a conventional elastic rib structure, Figure 1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utton-type switch using a conventional elastic rib structure, Figure 1c is a button-type switch using a conventional elastic rib structure Top view.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의 탄성 리브 구조를 이용한 버튼형 스위치는 회로의 회로기판(11)에 안착되는 텍트 스위치(10)와; 상기 텍트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버튼부(20)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각 상기 텍트 스위치(10)가 사용되는 부재의 세트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A, a button-type switch using a conventional elastic rib structure includes a text switch 10 mounted on a circuit board 11 of a circuit; It consists of a button unit 20 for actuating the tact switch, each of which is located inside the set of members for which the tact switch 10 is used.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텍트 스위치(10)는 회로기판(11)의 위에 안착되며, 크기나 외관상의 문제로 사용자에게 직접 노출되지 않고 세트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more detail, the text switch 10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1 and is generally located inside the set without being directly exposed to the user due to size or appearance problems.

상기 버튼부(2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상기 텍트 스위치(10)를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작동시키는 부재로서, 사용자가 직접 압력을 가하게 되는 버튼(21)과,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에 일체로 또는 형합 되어있어 상기 버튼(21)에 가해진 압력을 상기 텍트 스위치(10)에 전달하는 링크(22)와, 눌러진 상기 버튼(21)을 본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 리브(23)로 이루어져 있는데,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의 사출물로 이루어지는 상기 탄성 리브(23)는 사용 목적에 적합한 강도와 탄성을 지니기 위해 일정치 이상의 두께와 길이를 가지게 된다.The button unit 20 is a member for operating the text switch 10 which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pressure applied by the user, and the button 21 to which the user directly applies the pressure, as shown in FIG. 1B. As described above, the link 22 integrally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button transmit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utton 21 to the text switch 10, and an elastic rib for restoring the pressed button 21 to its original position. It consists of (23), generally the elastic rib 23 made of an injection molding of synthetic resin has a thickness and length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in order to have a strength and elasticity suitable for the purpose of use.

또한, 상기 링크(22)가 필요한 이유는 상기 버튼(21)과 텍트 스위치(10)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기 때문인데, 이처럼 거리를 이격 시켜놓은 것은 상기 버튼(21)에 압력을 가할 시 클릭감이 느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 link 22 is required is that the button 21 and the text switch 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is is to make it feel.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버튼형 스위치가 세트에 결합된 모습은 도 1c와 같게 되는데, 외부에는 상기 버튼(21)만이 보이게 되고 나머지 부분은 세트의판넬(30)에 의하여 가려지게 된다. 즉, 상기 세트의 판넬(30)에 상기 버튼부(20)를 설치한 후 체결수단(31)를 사용하여 고정시키고, 이를 다시 상기 회로기판(11)에 위치시키게 되는 것이다.The conventional button-type switch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coupled to the set as shown in Figure 1c, only the button 21 is visible on the outside and the remaining part is covered by the panel 30 of the set. That is, the button unit 20 is installed on the panel 30 of the set, and then fixed by using the fastening means 31, and then, the button unit 20 is positioned on the circuit board 11.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버튼형 스위치는 탄성을 위하여 일정 길이 이상의 탄성 리브(23)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일정 공간의 확보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클릭감을 위하여 상기 버튼(21)과 텍트 스위치(10) 사이에도 일정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간의 확보는 전체 세트의 대형화를 초래하여 현재의 소형화 추세에 역행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utton-type switch having such a structure uses an elastic rib 23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r more for elasticity, and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secure a predetermined space. In addition, a predetermined space is secured between the button 21 and the text switch 10 for a click feeling. However, such a secured space causes a large size of the entire set, which is a problem against the current miniaturization trend.

그리고, 판 스프링을 이용한 버튼형 스위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Then, the button-type switch using the leaf sprin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a는 종래의 판 스프링을 이용한 버튼형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종래의 판 스프링을 이용한 버튼형 스위치의 결합 상태도이며, 도 2c는 종래의 판 스프링을 이용한 버튼형 스위치의 측 단면도이다.Figure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tton-type switch using a conventional leaf spring, Figure 2b is a coupling state diagram of a button-type switch using a conventional leaf spring, Figure 2c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button-type switch using a conventional leaf spring.

도 2a를 참조하면,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종래의 판 스프링을 이용한 버튼형 스위치는 채널 조작 및 음성 조작 등 다양한 범위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상하 좌우 4방향의 버튼이 하나의 몸체에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2A, as shown in the drawing, a button-type switch using a conventional leaf spring is provided with four buttons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one body to easily adjust various ranges such as channel manipulation and voice manipulation.

상기와 같은 다 방향성 버튼(20')은 판 스프링(4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있는데, 상기 판 스프링(40)은 상하 좌우 4방향으로 탄성이 가해지도록 중앙 부분이 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다 방향성 버튼(20')에 알맞도록 텍트 스위치(10)가 회로기판(11)의 일정 위치 상하 좌우 4군데에 배치되어 있어야 함은물론이다.The multi-directional button 20 ′ as described above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leaf spring 40, and the leaf spring 40 has a center portion in a rectangular shape so that elasticity is applied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course, the text switch 10 should be disposed at four positions of the circuit board 11 in up, down, left, and right positions so as to be suitable for the multi-directional button 20 '.

이러한 구성을 갖는 버튼형 스위치의 결합 상태는 도 2b와 같게 되는데, 상기 다 방향성 버튼(20')이 상하 좌우로 눌려진 후 복원될 수 있도록 상기 판 스프링(4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중앙부는 상하 좌우 각 방향으로 눌려진 상기 다 방향성 버튼(20')이 복원될 수 있도록 각 방향으로 복원력을 확실하게 제공할 수 있는 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판 스프링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41)가 형성되어 있다.The combined state of the button-type switch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s shown in Figure 2b, it can be seen that the leaf spring 40 is formed so that the multi-directional button 20 'can be restored after being pressed up, down, left and right. That is, the central portion has a rectangular shape that can reliably provide the restoring force in each direction so that the multi-directional button 20 'press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can be restored, and fixing portions for fixing the leaf springs on both sides. 41 is formed.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중앙부(43)는 상기 다 방향성 버튼(20')의 중앙에 형성되는 눌림 방지 가이드(25)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 홀(4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4방향의 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도 버튼이 통과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다.In more detail, the central portion 43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43a to allow the anti-press guide 25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ulti-directional button 20 'to pass through, and the button in the four directions. The hole is formed so that the button can pass through the corresponding position.

또한, 상기 다 방향성 버튼(20')에 별도의 고정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상기 다 방향성 버튼(20')은 고정부(41)가 구비되어 있는 상기 판 스프링(40')에 얹혀진 채로 판넬(30) 전면에 결합된다.In addition, since the multidirectional button 20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fixing part, the multidirectional button 20' is panel-mounted on the leaf spring 40 'provided with the fixing part 41'. 30 is coupled to the front.

이 때의 측 단면은 도 2c와 같은데, 상기한 것과 같이 상기 다 방향성 버튼(20')이 상기 판 스프링(40')에 얹혀져서 판넬(30) 전면에 결합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상기 판 스프링(40)의 좌우 고정부(41)에는 융착 홀(41a)이 형성되고, 상기 융착 홀(41a)과 대합되는 융착돌기(33)가 판넬(30) 저면에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side cross-section is shown in Figure 2c,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multi-directional button 20 'is mounted on the leaf spring 40' and coupled to the front panel 30, the leaf spring A fusion hole 41a i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fixing portions 41 of the 40, and a fusion protrusion 33 which is opposed to the fusion hole 41a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anel 30.

상기 융착돌기(33)에 판 스프링(40)의 융착 홀(41a)이 끼움되도록 한다. 이때 판 스프링(40) 외측으로 융착돌기(33) 끝단이 일부 돌출 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돌출된 부위에 별도의 가열 수단을 이용하여 열을 가하여 열 융착 되도록 하여 판 스프링(40)이 판넬(30)에 고정되도록 한다.The welding hole 41a of the leaf spring 40 is fitted into the welding protrusion 33. At this time, the end of the fusion protrusion 33 is partially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leaf spring (40). Then, the plate spring 40 is fixed to the panel 30 by applying heat to the protruding portion by using a separate heating means to heat fusion.

또한, 상기 다 방향성 버튼(20')의 중앙에는 눌림 방지 가이드(25)가 형성되어 있어, 버튼 조작시 동시에 여러개의 텍트 스위치가 눌려지지 않고 어느 일 방향으로만 눌려지도록 한다.In addition, a pressing prevention guide 25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ulti-directional button 20 ', so that multiple text switches are pressed in any one direction without being pressed simultaneously when the button is operat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판 스프링을 이용한 버튼형 스위치는 판 스프링이라고 하는 별도의 버튼 복원수단을 사용하여야 하고, 이에 따른 판 스프링이 장착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a button-type switch using a leaf spring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o use a separate button restoring means called a leaf spring,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a space for mounting the leaf spring must be secured.

그리고, 상기 판 스프링의 형상적인 제한으로 인해 좌우 및 상하의 클릭감이 상이 할 수밖에 없게 된다.In addition, due to the shape limitations of the leaf spring, the left and right and upper and lower click feelings are inevitably different.

상기와 같은 이유로 소형, 경량화 제품에 적용 가능하도록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버튼형 스위치의 계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For this reason,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button-type switch having a simple structure that is not limited by space to be applicable to a compact and lightweight produ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버튼의 동작 후 원위치로의 복원을 위한 별도의 복원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이에 따른 공간적인 제약 문제를 해결하고 버튼의 동작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버튼형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restoration means for restoring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the operation of the button, thereby solving the spatial constraint problem and improving the operability of the button. To provide a button-type switch.

또 다른 목적으로는 간단한 방법으로 버튼의 구조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여 버튼의 동작시 적절한 클릭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버튼형 스위치를 제공하는데있다.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button-type switch that can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button in a simple way to obtain a proper click feeling when the button is operated.

도 1a는 종래의 탄성 리브 구조를 이용한 버튼형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tton-type switch using a conventional elastic rib structure.

도 1b는 종래의 탄성 리브 구조를 이용한 버튼형 스위치를 나타낸 측 단면도.Figure 1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utton-type switch using a conventional elastic rib structure.

도 1c는 종래의 탄성 리브 구조를 이용한 버튼형 스위치를 나타낸 평면도.Figure 1c is a plan view showing a button-type switch using a conventional elastic rib structure.

도 2a는 종래의 판 스프링을 이용한 버튼형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tton-type switch using a conventional leaf spring.

도 2b는 종래의 판 스프링을 이용한 버튼형 스위치의 결합 상태도.Figure 2b is a state of engagement of a button-type switch using a conventional leaf spring.

도 2c는 종래의 판 스프링을 이용한 버튼형 스위치의 측 단면도.Figure 2c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button-type switch using a conventional leaf spring.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형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3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tton-type switch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형 스위치의 측 단면도.Figure 3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button-type switch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확대사시도.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110: 텍트 스위치 11,111: 회로기판10,110: Tact switch 11,111: circuit board

20: 버튼부 20',120: 다 방향성 버튼20: button portion 20 ', 120: multi-directional button

21: 버튼 22: 링크21: Button 22: Link

23: 탄성 리브 25: 눌림 방지 가이드23: elastic rib 25: anti-press guide

30,130: 판넬 31: 체결수단30,130: Panel 31: fastening means

40: 판 스프링 121: 상부40: leaf spring 121: upper part

121a: 표시부 123: 하부121a: display unit 123: lower portion

123a: 접지편 123b: 중심돌기123a: ground piece 123b: center projec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튼형 스위치는 회로기판의 소정부위에 다수개 설치된 텍트스위치와 상기 텍트스위치와 접촉하여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버튼으로 구성된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utton-typ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witching devic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act switches install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a circuit board and a button to make a switching operation in contact with the tact switch,

상기 버튼은, 사용자의 입력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표시부가 형성된 상부와;The button may include an upper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for guiding a user's input;

다수개의 상기 텍트 스위치와 접촉하도록 상기 표시부에 근접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접지편과, 그 중심부로부터 하향 돌출 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일정부위에 지지되는 중심돌기가 형성된 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lower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ground pieces proximate to the display portion so as to contact the plurality of tact switches, and a central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형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다.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튼형 스위치의 구성은 회로기판(111)의 소정부위에 다수개 설치된 텍트스위치(110)와 상기 텍트스위치(110)와 접촉하여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버튼(120)으로 구성된다.Figure 3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tton-type switch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figuration of the button-typ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tton for making a switching operation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the tact switch 110 is install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111 and the text switch 110. It consists of 120.

그리고, 상기 버튼(120)은 사용자의 입력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표시부(121a)가 형성된 상부(121)와;In addition, the button 120 includes an upper part 121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 parts 121a for guiding a user's input;

다수개의 상기 텍트 스위치(110)와 접촉하도록 상기 표시부(121a)에 근접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접지편(123a)과, 그 중심부로부터 하향 돌출 되어 상기 회로기판(111)의 일정부위에 지지되는 중심돌기(123b)가 형성된 하부(123)로 구성된다.A plurality of ground pieces 123a formed in close proximity to the display portion 121a to contact the plurality of text switches 110, and a central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111. 123b is formed of a lower portion 123 formed therein.

그리고, 상기 텍트 스위치(110)는 회로기판(111) 상에 설치되어 외부 접촉에 의해 전기적 신호의 ON/OFF 동작을 지속적으로 반복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ext switch 110 is installed on the circuit board 111 to continuously repeat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electrical signal by external contact.

그리고, 상기 버튼(120)의 자세한 구성을 살펴보면, 몸통 둘레에 다수의 접지편(123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접지편(123a)은 적정 두께와 길이로 형성되어 있어, 일정 간격 반복되어지는 반복하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탄성력을 지니게된다.And, looking at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button 120, a plurality of ground pieces (123a) is formed around the body. At this time, the ground piece (123a) is formed with a suitable thickness and length, and has an elastic force enough to withstand repeated loads that are repeated at regular intervals.

그리고, 상기 하부(123)다 방향에 걸쳐 형성된 접지편(123a)들의 무게중심 위치에 중심돌기(123b)가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의 중심돌기(123b)는 상기 접지편(123a)들의 중심에 형성되어 지렛대 역할을 수행하면서 각 방향으로 눌려진 압력을 복원시키는 복원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The center protrusion 123b is formed 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ground pieces 123a form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lower portion 123. The center protrusion 123b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ground pieces 123a and serves as a restoring means for restoring the pressure pressed in each direction while serving as a lever.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s follows.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형 스위치의 측 단면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 방향성 버튼에 지렛대 원리를 적용한 것으로서, 우선, 버튼(120)의 무게 중심부에 지렛대 역할을 하도록 된 중심돌기(123b)가 형성된다. 상기 중심돌기(123b)는 버튼(120)의 몸체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한다.3B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button-typ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the principle of the lever to the multi-directional button, first, the center protrusion 123b is formed i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utton 120 to act as a lever. The center protrusion 123b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height of the body of the button 120.

상기, 버튼(120)은 도 3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내부 회로기판(111)과 판넬(13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버튼(120)이 중심돌기(123b)에 의해 회로기판(111) 상에 거치 되고, 상기 회로기판(1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판넬(13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The button 120 is located between the internal circuit board 111 and the panel 130 as shown in FIG. 3B. 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 button 120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11 by the center protrusion 123b and has a structure supported by the panel 130 that is separated from the circuit board 111.

그리고, 상기와 같이 회로기판(111)과 판넬(130) 사이에 설치된 버튼(120)의 일 방향을 사용자가 클릭하여 일정 압력(P)을 가하게 되면, 그 방향으로 버튼(120)의 무게중심이 기울어지게 된다.Then, when the user clicks on one direction of the button 120 installed between the circuit board 111 and the panel 130 to apply a predetermined pressure P,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utton 120 in that direction is It will tilt.

상기 버튼(120)이 기울어지는 쪽의 접지편(123a)에 의해 텍트 스위치(110)가 접지되어 작동된다.The text switch 110 is grounded and operated by the ground piece 123a of the side in which the button 120 is inclined.

이때, 상기 중심돌기(123b)를 정점으로 하여 압력(P)이 가해지지 않은 타 방향에는 누르는 압력(P)에 반대하여 들어 올려지려는 반발력(P')이 작용된다.At this time, the repulsive force P 'to be lifted against the pressing pressure P is applied to the other direction in which the pressure P is not applied with the center protrusion 123b as a vertex.

상기 반발력(P')은 판넬(130)에 의해 지탱되고, 접지편(123a)에 일정한 탄성력 집중된다.The repulsive force P 'is supported by the panel 130 and is concentrated at a constant elastic force on the ground piece 123a.

이는 사용자가 버튼(120)의 작동이 끝난 후 가했던 압력을 제거하면 자연스럽게 버튼(120)이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복원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 별도의 복원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는 이유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user removes the pressure applied after the operation of the button 120, the button 120 is naturally restored as the recovery means to restore the original position, so the reason for not requiring a separate restoration means in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또한, 중심돌기(123b)의 높이를 적절히 변경하여 줌으로써, 적절한 수준의 클릭감과 동작력을 손쉽게 수정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ppropriately changing the height of the center projection (123b), it is possible to easily modify the appropriate click feeling and operation force.

또한, 다양한 형상과 디자인의 버튼에도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쉽게 적용 가능하고 각 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동작의 클릭감을 가질수 있다.In addition, the buttons of various shapes and designs can be easily applied without being limited by space, and can have a click feeling of the same operation in each direc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확대사시도 이다.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도 4의 (a)는 상기 표시부(121a)가 상기 버튼(120)의 상부에 프린팅으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이 때 프린팅 하는 안료를 발광물질로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4, FIG. 4A shows that the display unit 121a is formed by printing on the upper part of the button 120. At this time,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the printing pigment as a light emitting material.

그리고, (b)는 상기 표시부(121a)가 버튼(120)의 상부에 돌출 되도록 엠보싱으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면에서는 삼각형을 취하고 있으나 방향성을 나타내는 형상이라면 다른 형상으로도 제작 가능하다.In addition, (b) shows that the display portion 121a is formed by embossing to protrude above the button 120. In the drawing, a triangle is taken, but if it is a shape that indicates the direction, it may be manufactured in other shapes.

또한, (c)는 상기 표시부(121a)가 버튼(120)의 상부에 음각으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고, (d)는 상기 표시부(121a)가 LED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In addition, (c) shows that the display portion 121a is formed intaglio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120, (d) shows that the display portion 121a is formed of LED.

본 발명에 따른 버튼형 스위치는 설계상 단순히 버튼 중심부에 돌기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탄성 리브 및 판 스프링과 같은 복원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없게 되어 공간적인 제약을 받지 않아 버튼과 회로기판의 거리가 가까운 소형화, 경량화 추세의 현 제품들에 적용이 용이한 이점을 갖게 된다.The button-typ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imply forming a protrusion in the center of the button design, there is no need for space for installing the restoring means, such as elastic ribs and leaf springs, the distance between the button and the circuit board is not restricted It will be easy to apply to the current products in the near miniaturization and lightweight trend.

그리고, 여러 방향으로 동작하게 되는 다 방향성 버튼과 같이 탄성 리브의 설치가 곤란하고 설계가 복잡한 제품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각 방향에 따른 버튼 작동 시에도 동일한 클릭감을 갖게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install elastic ribs, such as multi-directional buttons that operate in various directions, and can be applied to products having a complicated design,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having the same click feeling even when buttons are operated in each direction.

또한 버튼이 회로기판 위에 놓여지는 구조로 인해 버튼을 제품 판넬 등에 결합시키기위한 별도의 체결수단 등을 요하지 않으므로 조립이 간편하고, 이로 인한 작업성 향상과 단가절감의 효과를 갖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button is placed on the circuit board,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fastening means for coupling the button to a product panel, and the like, so that assembly is simple,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and cost reduction.

그리고, 제품의 디자인적인 변형 등에 따라 중심돌기의 길이를 수정하여 줌으로써, 최적의 동작력 및 클릭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 또한 갖게 된다.In addition, by modifying the length of the center protrusion in accordance with the design deformation of the product,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can maintain the optimum operating force and click feeling.

Claims (7)

회로기판의 소정부위에 다수개 설치된 텍트스위치와 상기 텍트스위치와 접촉하여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버튼으로 구성된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A switching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tact switches install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a circuit board and buttons for contacting the tact switches to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상기 버튼은,The button, 사용자의 입력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표시부가 형성된 상부와;An upper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display portions for guiding a user input; 다수개의 상기 텍트 스위치와 접촉하도록 상기 표시부에 근접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접지편과, 그 중심부로부터 하향 돌출 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일정부위에 지지되는 중심돌기가 형성된 하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스위치.And a plurality of ground pieces formed proximate to the display portion so as to contact the plurality of text switches, and a lower portion formed with a central protrusion projecting downward from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중심돌기의 높이를 조절하여 버튼과 회로기판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고 버튼의 동작력 및 클릭감을 조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스위치.The button-type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center projection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button and the circuit board and the operating force and click feeling of the button. 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표시부는 상기 버튼의 상부에 프린팅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스위치.The display unit is a button-type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printing on the top of the button. 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표시부는 상기 버튼의 상부에 엠보싱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버튼형 스위치.And the display unit is embossed on top of the button. 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표시부는 상기 버튼의 상부에 음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스위치.The display unit button-type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aglio on the top of the button. 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표시부는 상기 버튼의 상부에 발광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스위치.And the display unit is formed of a light emitting material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표시부는 상기 버튼의 상부에 LED를 형성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스위치.The display unit is a button-type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forming an LED on top of the button.
KR1020020050614A 2002-08-26 2002-08-26 Button type switch Withdrawn KR200400186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614A KR20040018693A (en) 2002-08-26 2002-08-26 Button type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614A KR20040018693A (en) 2002-08-26 2002-08-26 Button type swit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693A true KR20040018693A (en) 2004-03-04

Family

ID=37323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614A Withdrawn KR20040018693A (en) 2002-08-26 2002-08-26 Button type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869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9210A (en) Scissors-type key switch
US6930260B2 (en) Switch matrix
US5329079A (en) Computer keyboard with improved cantilever switch design
US5912443A (en) Membrane type keyboard with improved multiple key arrangement
KR100293611B1 (en) Push-on switch
JP2010135319A (en) Multi-stage operation switch
JP4973302B2 (en) Push-button switch
JP2004171924A (en) Multi-directional slide switch
JP2007265938A (en) Push/slide switch
JPH11126542A (en) Seesaw button device of electronic appliance
JP4395035B2 (en) Swing operation type electric parts
US20050161315A1 (en) Switch comprising an operating rocker button
KR20040018693A (en) Button type switch
US6388210B1 (en) Operating element for selectively producing electric contacts
JPH07282689A (en) Multi-directional input switch
JP2008311101A (en) Key switch structure
KR100863311B1 (en) Control panel assembly
JP2006510245A (en) Input device for mobile phone in particular, module with input device, mobile pho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m
JPH10188727A (en) Membrane switch
KR100465305B1 (en) Button type switch
KR101145808B1 (en) Slime start button apparatus
KR100691469B1 (en) Key button assembly
JP2557784Y2 (en) Tact switch
JP2592161Y2 (en) Tact switch knob
JPH0278120A (en) switch oper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