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25098A - 장면 기술 언어 및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의적응적 제공 장치 및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장면 기술 언어 및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의적응적 제공 장치 및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5098A
KR20040025098A KR1020020056919A KR20020056919A KR20040025098A KR 20040025098 A KR20040025098 A KR 20040025098A KR 1020020056919 A KR1020020056919 A KR 1020020056919A KR 20020056919 A KR20020056919 A KR 20020056919A KR 20040025098 A KR20040025098 A KR 20040025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broadcast
metadata
user
recei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6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규
이희경
강경옥
김진웅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56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5098A/ko
Publication of KR20040025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098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3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환경 하에서 다수의 단말 장치들이 댁내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통하여 고화질의 방송 프로그램을 각 단말 장치들의 성능 및 사용자 취향에 맞게 변환하여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 및 서비스 방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수신된 방송 신호를 재현하는데 있어서, 방송 신호를 복조/복호화 하여 수상기에 재현하거나 수신기 내에 저장매체 저장 한 후에 수상기에 재현 하였다. 향후 댁내에 홈 네트워크가 구축되면, 이 네트워크 상에 MP3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은 다양한 단말 장치들이 연결된다. 이러한 다양한 단말 장치에서 디지털 방송 셋탑 박스와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수신된 고화질의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홈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다양한 형태의 단말 장치들에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화질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 및 서비스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장면 기술 언어 및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의 적응적 제공 장치 및 서비스 방법{Adaptive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roadcasting Program Using Scene Description Language and Metadata}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성능을 갖는 다수개의 방송 단말들에 각각의 단말의 성능 및사용자의 컨텐츠 유형에 대한 선호도에 따라 고화질 방송 프로그램을 가공하여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때 네트워크는 홈 네트워크나 제한된 지역에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으며, 다양한 방송 단말들의 예로 방송수신 셋탑 박스, 개인 휴대 단말(PDA),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MP3 플레이어 등을 들 수 있다.
디지털 방송은 다수의 채널을 통하여 고화질의 프로그램을 제공할 뿐 아니라, 방송 프로그램에 다양한 부가 정보의 제공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방송 프로그램의 부가 정보 중에는 방송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검색 및 선택 등을 위한 메타데이터가 포함된다.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 셋탑 박스는 저장 매체를 사용하여 고화질의 방송 프로그램과 그 부가 정보로써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면, 이를 통하여 시청자는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시청할 수 있다.
그러나 시청 환경의 변화에 따라 댁내에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환경이 제공되며, 이러한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를 소비할 수 있는 단말들이 연결될 경우, 시청자가 고화질의 방송 프로그램을 각 단말에서 적절히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성능을 갖는 다수개의 방송 단말들에 각각의 단말의 성능 및 사용자의 컨텐츠 유형에 대한 선호도에 따라 고화질 방송 프로그램을 가공하여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성능을 갖는 다수개의 방송 단말들에 각각의 단말의 성능 및 사용자의 컨텐츠 유형에 대한 선호도에 따라 고화질 방송 프로그램을 가공하여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성능을 갖는 다수개의 방송 단말들에 각각의 단말의 성능 및 사용자의 컨텐츠 유형에 대한 선호도에 따라 고화질 방송 프로그램을 가공하여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의 도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홈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단말 장치의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상기 장치2 : 방송수신장치
3 : 홈 네트워크4, 5, 6 : 사용자 단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성능을 갖는 다수개의 방송 단말들에 각각의 단말의 성능 및 사용자의 컨텐츠 유형에 대한선호도에 따라 고화질 방송 프로그램을 가공하여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성능을 갖는 다수개의 방송 단말들에 각각의 단말의 성능 및 사용자의 컨텐츠 유형에 대한 선호도에 따라 고화질 방송 프로그램을 가공하여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성능을 갖는 다수개의 방송 단말들에 각각의 단말의 성능 및 사용자의 컨텐츠 유형에 대한 선호도에 따라 고화질 방송 프로그램을 가공하여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각 단말 장치로의 컨텐츠 유형 선호도와 단말장치 성능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사용하고, 이를 통하여 각 단말에 적절한 장면 기술 메타데이터와 컨텐츠 리소스를 생성 및 전송한다. 이를 통하여 각 단말 장치들에서는 적절한 형태로 방송 프로그램을 다른 형태의 컨텐츠로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가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면에 도시된 스위치는 개념적으로만 제시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의 작용은 프로그램 로직 또는 전용 로직을 통해 프로그램 제어 및 전용 로직의 상호 작용을 통하거나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정의 기술은 본 명세서의 보다 상세한 이해로서 설계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가 홈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다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와 연결되는 댁내의 방송 시청 환경의 구성도로서, 수상기 장치(1), 방송수신장치(2), 홈네트워크(3),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4,5,6)으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댁내의 방송 시청 환경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사용자 단말(4,5,6)이 홈네트워크(3)를 통해 방송수신장치(2)에 특정 컨텐츠 또는 부가정보에 대한 요청 신호를 송신하면, 방송수신장치(2)는 요청 신호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이 단말들(4,5,6) 중 어느 단말인지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 성능 및 단말 사용자의 취향에 적합한 형태로 요청한 컨텐츠 및 부가정보를 변환하여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한다.
도2는 상기의 도1에서 설명한 환경 구성의 일실시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로서, 방송수신장치와 하나의 사용자단말장치가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되었을 때 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전체적인 구성은 크게 방송수신장치(10)와 사용자 단말장치(20)가 홈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30)에 의하여 연결되는 형태이다.
방송수신장치(10)는 크게 방송신호수신부(11), 사용자취향관리부(12), 컨텐츠 및 메타데이터 저장장치(13),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부(14)로 구성된다. 사용자단말장치(20)는 방송수신장치원격제어부(21)과 맞춤형 프로그램 재생부(22)로 구성된다. 방송신호수신부(11)는 방송채널을 통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복조/복호화 하여, 컨텐츠 및 메타데이터 저장장치(13)에 저장한다. 사용자 취향관리부(12)는 사용자의 방송수신장치(10)에 대한 제어신호를 사용자단말장치(20)로부터 입력 받아서, 이로부터 사용자의 취향(user preference) 메타데이터를 추출하여,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내역(usage history)과 추출한 사용자 취향 메타데이터를 컨텐츠 및 메타데이터 저장장치(13)에 저장한다.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부(14)는 사용자단말장치(20)로부터의 요청에 의하여 해당 사용자단말장치(20)에 적절한 컨텐츠에 대한 장면기술(scene description) 메타데이터와 관련된 컨텐츠 리소스를 사용자단말장치(20)에 전송한다.
사용자단말장치(20)는 사용자의 개인 단말 장치에 해당하며, 방송수신장치(10)에 대한 원격 제어 및 맞춤형 프로그램을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며, 방송수신장치원격제어부(21), 맞춤형프로그램재생부(22)로 구성된다.
방송수신장치원격제어부(21)은 방송수신장치(10)에 대한 원격제어 입력을 방송수신장치(10)에 전송하며, 맞춤형프로그램재생부(22)는 맞춤형프로그램제공부(14)로부터 제공되는 장면기술 메타데이터와 컨텐츠 리소스를 입력으로 이를 재생하는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3은 일실시예에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에서 수행되는사용자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맞춤형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메타데이터와 세그먼트 메타데이터를 분석한다(101). 이때 프로그램 메타데이터는 프로그램 정보와 세그먼트 정보가 있다. 프로그램 정보는 프로그램의 타이틀, 개요, 키워드 등에 대하여 기술한 메타데이터이며, 세그먼트 정보는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의 위치 및 각 세그먼트에 대한 타이틀, 개요, 대표 프레임 위치 등에 대하여 기술한 메타데이터이다. 분석이라 함은 위와 같은 메타데이터 구성 요소들을 파싱하여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위의 방송 프로그램 메타데이터 분석(101)의 결과에 따라, 맞춤형 프로그램 리소스를 추출한다(102). 맞춤형 프로그램 리소스 추출은 위의 메타데이터 분석에 의하여 각 프로그램 및 세그먼트별로의 타이틀, 개요, 대표 프레임에 대한 정지 영상, 요약 비디오 등의 다양한 맞춤형 프로그램 리소스들을 원래의 방송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해내는 기능에 해당한다. 또한 메타데이터 내에 기술되어 있는 해당 프로그램 또는 세그먼트와 관련된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존재하는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도 맞춤형 프로그램 리소스 추출 기능에 해당한다.
이후 사용자 메타데이터를 분석한다(103). 이때 사용자 메타데이터는 사용자의 컨텐츠 유형 선호정보와 사용자 단말장치 성능정보가 있다. 컨텐츠유형 선호정보는 각 사용자단말장치(20)에서의 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 유형에 대한 메타데이터이며,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 등이 그 일례가 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특정 사용자단말장치에서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오디오 신호만을 소비하는 것을선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컨텐츠유형 선호정보에서 기술한다. 사용자 단말장치 성능정보는 사용자단말장치의 성능에 대하여 기술하는 메타데이터이며, 그 일례로 연산량, 저장장치 크기, 화면 크기 등이 일례이다. 이때 분석이라 함은 위와 같은 메타데이터 구성 요소들을 파싱하여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후 장면 기술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104). 장면 기술 메타데이터 생성은 위의 맞춤형 프로그램 리소스 추출(102)에 따라 추출된 맞춤형 프로그램 리소스를 사용자 메타데이터 분석(103)에 의하여 어떻게 조합 또는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장면을 기술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맞춤형 프로그램 전송 및 재생(105)은 상기의 과정으로부터 생성된 장면 기술 메타데이터와 맞춤형 프로그램 리소스들을 방송수신장치(10)에서 전송하고, 이를 사용자단말장치(20)에서 수신하여 재생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댁내에서 방송수신장치를 통하여 고화질의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뿐 아니라, 네트워크에 의하여 연결된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단말장치 들에서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방송 프로그램의 변형 절차는 단말의 성능 및 그 단말에서의 사용자의 프로그램 시청 취향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러한 변형 절차는 사용자의 단말장치의 사용 내역으로부터 자동으로 컨텐츠 유형 선호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사용자의 복잡한 조정 절차 없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성능을 갖는 다수개의 방송 단말들에 각각의 단말의 성능 및 사용자의 컨텐츠 유형에 대한 선호도에 따라 고화질 방송 프로그램을 가공하여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2.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성능을 갖는 다수개의 방송 단말들에 각각의 단말의 성능 및 사용자의 컨텐츠 유형에 대한 선호도에 따라 고화질 방송 프로그램을 가공하여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3.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성능을 갖는 다수개의 방송 단말들에 각각의 단말의 성능 및 사용자의 컨텐츠 유형에 대한 선호도에 따라 고화질 방송 프로그램을 가공하여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20056919A 2002-09-18 2002-09-18 장면 기술 언어 및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의적응적 제공 장치 및 서비스 방법 Withdrawn KR200400250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919A KR20040025098A (ko) 2002-09-18 2002-09-18 장면 기술 언어 및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의적응적 제공 장치 및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919A KR20040025098A (ko) 2002-09-18 2002-09-18 장면 기술 언어 및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의적응적 제공 장치 및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098A true KR20040025098A (ko) 2004-03-24

Family

ID=37328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919A Withdrawn KR20040025098A (ko) 2002-09-18 2002-09-18 장면 기술 언어 및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의적응적 제공 장치 및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509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963B1 (ko) * 2004-08-31 2006-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부가 데이터를 이용하는 연동형 방송서비스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인핸스드 방송 서비스 시스템
WO2008069501A1 (en) * 2006-12-08 200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and executing function of application appropriate to broadcast-receiving device
KR100848125B1 (ko) * 2005-01-07 2008-07-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명 정보 및 터미널 정보를 포함한 ued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0948256B1 (ko) * 2004-06-24 2010-03-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타겟팅 지원을 위한 확장된 서술구조와 이를 적용한티비애니타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01938632A (zh) * 2010-08-31 2011-01-05 中山大学 一种基于ip机顶盒的交互式业务的基础服务系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256B1 (ko) * 2004-06-24 2010-03-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타겟팅 지원을 위한 확장된 서술구조와 이를 적용한티비애니타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8365224B2 (en) 2004-06-24 2013-01-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xtended description to support targeting scheme, and TV anytime service and system employing the same
KR100585963B1 (ko) * 2004-08-31 2006-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부가 데이터를 이용하는 연동형 방송서비스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인핸스드 방송 서비스 시스템
KR100848125B1 (ko) * 2005-01-07 2008-07-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명 정보 및 터미널 정보를 포함한 ued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WO2008069501A1 (en) * 2006-12-08 200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and executing function of application appropriate to broadcast-receiving device
CN101938632A (zh) * 2010-08-31 2011-01-05 中山大学 一种基于ip机顶盒的交互式业务的基础服务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5145B2 (ja) メディアメタデータを相関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70288964A1 (en) Video recorder
JP6043089B2 (ja) 放送通信連携受信装置
US200400600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duplicate recording of a broadcasting program
US9794310B2 (en) Meta data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client apparatus, method of providing meta data information, and method of providing content
US20110268422A1 (en) Method, system, and medium for providing broadcasting service using home server and mobile phone
JP2010226630A (ja) コメント処理機能を有した映像処理装置及びそのコメント処理方法
KR101221473B1 (ko) 메타 데이터 정보 제공 서버, 클라이언트 장치, 메타데이터 정보 제공 방법 및 콘텐츠 제공 방법
JP2003125305A (ja) 放送番組の視聴方法、放送番組視聴装置、及び放送番組の視聴用プログラム
JP512134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EP35225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playing
KR20040025098A (ko) 장면 기술 언어 및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의적응적 제공 장치 및 서비스 방법
JP2006503468A (ja) 対話式オーディオ/ビデオコンポーネントの使用者選択的な実行及び記録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090162035A1 (en) Playback method and playback system of contents
KR101271086B1 (ko) 멀티미디어 시청시스템, 이에 포함되는 방송신호 수신장치, 이들을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시청방법, 방송신호 수신방법
JP2008020767A (ja)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78101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list of recorded broadcasting programs
JP2015228632A (ja) 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システム
KR20100030474A (ko) 서비스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장치
JP2003174623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8205969A (ja)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263431A1 (en) Video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information
JP3825589B2 (ja) マルチメディア端末機器
JP4969207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録画装置
JP7228204B2 (ja) 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