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28857A - A method for providing telephone conversation service among at least three parties and a system thereof - Google Patents

A method for providing telephone conversation service among at least three parties and a syste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8857A
KR20040028857A KR1020040006708A KR20040006708A KR20040028857A KR 20040028857 A KR20040028857 A KR 20040028857A KR 1020040006708 A KR1020040006708 A KR 1020040006708A KR 20040006708 A KR20040006708 A KR 20040006708A KR 20040028857 A KR20040028857 A KR 20040028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number
group
service subscriber
terminal identification
simultaneous c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석호
Original Assignee
(주)제너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너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제너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040006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8857A/en
Publication of KR20040028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857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자간 동시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비스 가입자가 지정한 그룹에 대한 관리 기능을 강화하여 하나 이상의 그룹을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에 등록한 경우에도 단일 접속 번호를 통하여 다자간 동시 통화가 가능하도록 구현된 다자간 동시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enhance a management function for a group designated by a service subscriber so that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is possible through a single access number even when one or more groups are registered in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ystem implemented.

본 발명에 따른 그룹 관리 기능을 이용한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가입자 인증을 상기 가입자의 단말기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수행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의 편의를 제고하고, 상기 서비스 가입자가 등록되지 아니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다자간 동시통화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에도 상기 단말기 식별 번호 입력을 통해 용이하게 상기 서비스 가입자를 인증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and system for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using the group manag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subscriber authentication for the service subscriber using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is performed by us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ubscriber to enhance the convenience of service use. In addition, even when the service subscriber requests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using an unregistered terminal, the service subscriber can be easily authenticated by inputt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Description

그룹 관리 기능을 이용한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 및 시스템{A METHOD FOR PROVIDING TELEPHONE CONVERSATION SERVICE AMONG AT LEAST THREE PARTIES AND A SYSTEM THEREOF}A METHOD FOR PROVIDING TELEPHONE CONVERSATION SERVICE AMONG AT LEAST THREE PARTIES AND A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다자간 동시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입자가 지정한 그룹에 대한 관리 기능을 강화하여 하나 이상의 그룹을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에 등록한 경우에도 단일 접속 번호를 통하여 다자간 동시 통화가 가능하도록 구현된 다자간 동시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implement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through a single access number even when one or more groups are registered in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by enhancing a management function for a group designated by a subscriber. To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ystem.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라 함은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3명 이상의 인원이 전화를 통해 동시에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서비스를 의미한다.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는 주로 기업의 전화 회의(tele-conference)에 이용되고 있으며, 시간과 장소에 관계 없이 단말기만 있으면 다자간 동시 통화를 통해 회의를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반 회의를 전화 회의로 대체하는 경우 최대 90%까지 관련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어 기업 고객의 이용 빈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뿐만 아니라, 번거로운 모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업무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고, 특정 사안이 발생할 때마다 시의적절하게 회의를 소집할 수 있어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책임자 부재시 야기될 수 있는 업무 능률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의시 현장에 있는 자료를즉시 활용할 수 있어 실질적인 정보교환이 가능해지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활용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means a communication service that allows three or more people who are physically separated to make a phone call simultaneously.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is mainly used for corporate teleconferences, and it is possible to carry out conferences through multi-party simultaneous calls with a terminal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lated costs by up to 90%, which is increasing the frequency of use of corporate customers. In addition, minimizing troublesome meetings can improve work efficiency, and meetings can be convened in a timely manner whenever a specific issue aris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ductivity deterioration that may occur in the absence of the person in charge, and to improve productivity in various aspects such as actual information exchange is possible by immediately utilizing the data in the field during the meeting. Its use is increasing.

최근 KT에서는 유선 전화 또는 무선 전화를 이용해 최대 4명까지 동시에 통화를 할 수 있는 다자간 통화 서비스인 “멤버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멤버링” 서비스는 선정된(predetermined) 그룹 번호(1646-)에 그룹 서비스 가입자의 유무선 전화번호를 최대 4개까지 등록한 후, 가입자가 상기 그룹번호로 호를 설정하는 경우 상기 그룹 서비스 가입자와 동시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다자간 통화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멤버링” 서비스는 서비스 가입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자동 안내시스템을 이용한 안내 멘트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멤버링” 서비스의 경우, 상기 그룹 번호 하나에 대해서는 하나의 그룹만 지정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가입자가 지정한 해당 그룹 각각에 대해 별도의 접속 번호를 할당 받아야 한다. 이로 인해 서비스 가입자가 다수의 그룹을 지정한 경우에는 해당 그룹의 그룹 번호를 용이하게 기억하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가입자가 하나 이상의 그룹에 대한 다자간 통화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 해당 그룹별로 접속 번호가 상이하므로 이용자 입장에서는 서비스 이용에 혼란을 느낄 수 있다. 또한, 그룹 서비스 가입자의 상태가 이미 통화중이거나, 무응답인 경우 해결책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Recently, KT is offering a “Membering” service, a multi-party call service that allows up to four people to talk simultaneously using landline or wireless phones. The “membering” service registers up to four wired / wireless telephone numbers of a group service subscriber to a predetermined group number 1664, and then the subscriber sets up a call with the group number. By being connected at the same time, the conference call service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membering" service provides an announcement using an automatic guide system so that service subscribers can easily use. However, in the case of the "membering" service, since only one group can be designated for one group number, a separate access number must be allocated to each corresponding group designated by the service subscriber. For this reason, when a service subscriber designates a plurality of group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group number of the corresponding group may not be easily stored. That is, when the subscriber is using the multi-party call service for one or more groups, the access number is different for each group, so the user may feel confused in using the servic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no solution if the status of the group service subscriber is already busy or unanswered.

본 발명에 따른 그룹 관리 기능을 이용한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 및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룹 관리기능을 강화하여 하나 이상의 다자간 동시 통화 그룹에 대해 단일 접속 번호를 부여하고, 서비스 가입자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동시 통화 그룹에 대한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method and system for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using the group manag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reinforce the group management function to give a single access number to one or mor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groups. And to facilitate service subscriber identification of one or more simultaneous call group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룹 관리 기능을 이용한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 및 시스템은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가입자 인증을 상기 가입자의 단말기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수행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의 편의를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가입자가 등록되지 아니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다자간 동시통화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에도 상기 등록된 단말기 식별 번호 입력을 통해 용이하게 상기 서비스 가입자를 인증하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method and system using the group manag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convenience of service by performing service subscriber authentication for the service subscriber using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us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ubscrib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asily authenticate the service subscriber through input of the registere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even when the service subscriber requests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using an unregistered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룹 관리 기능을 이용한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가입자가 통화중(busy)이거나 무응답(out of service, absent 등)인 경우에도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요청이 있음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method and system using the group manag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one or more service subscribers belonging to a specific group (busy) or no answer (out of service, absent, etc.) Its purpose is to be able to indicate the presence of thi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룹 관리 기능을 이용한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그룹 사용자가 다자간 동시 통화에 참여할 수 없는 경우에도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요청이 있음을 알려주고 그에 상응하는 소정의 응답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and system for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using the group manag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s that even if one or more group users belonging to a specific group can not participate in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there is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request request and corresponding predetermined The purpose is to get a respon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룹 관리 기능을 이용한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 및 시스템은 유무선 인터넷 또는 자동 응답 시스템(ARS)을 이용하여 다자간 동시 통화서비스를 신청/등록하고, 상기 서비스 가입자가 등록한 하나 이상의 그룹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method and system using the group manag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pply / register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using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or an automatic answering system (ARS), and manages one or more groups registered by the service subscriber Its purpose is to make it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 시스템의 개괄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verview of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동시 통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제1 단말기 식별 번호, 그룹 식별 정보 및 제2 단말기 식별 번호 테이블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a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table recorded in a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가입자 등록을 위한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ystem configuration for service subscriber regist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of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동시 통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6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ystem that may be employed to construct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 다자간 동시 통화 시스템210 : 데이터베이스 수단200: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ystem 210: database means

220 : 그룹별 관리부230 : 접속 수신부220: group management unit 230: connection receiving unit

240 : 사용자 인증부250 : 통화 연결부240: user authentication unit 250: call connection unit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동시 통화 시스템은,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1 단말기 식별 번호 또는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하나 이상의 그룹 식별 정보를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 수단 - 상기 그룹 식별 정보는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하나 이상의 그룹 식별자 또는 상기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그룹 구성원의 제2 단말기 식별 번호를 포함함 -;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번호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 식별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제1 단말기 식별 번호 또는 상기 그룹 식별 번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기록 및 관리하는 그룹별 관리부;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요청을 수신 받는 접속 수신부; 상기 수신된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요청에 포함되는 제3 단말기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가입자를 인증하기 위한 서비스 가입자 인증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인증된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지정된 하나 이상의 그룹 구성원 간에 다자간 동시 통화 호를 설정하는 통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received from the service subscriber or one or more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service subscriber Database means for maintaining said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prising at least one group identifier input from said service subscriber or a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at least one group member belonging to said group; A group-specific management unit which receives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r the one or more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subscriber and records and manages the input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r the group identification number in the database means; A connection receiving unit receiving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request from the service subscriber; A service subscriber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the service subscriber using a thir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ncluded in the received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request; And a call connection portion for establishing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call between one or more group members designated by the authenticated service subscriber with reference to the database mean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은,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제1 단말기 식별 번호 또는 하나 이상의 그룹 식별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제1 단말기 식별 번호 또는 상기 그룹 식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기록하는단계 - 상기 그룹 식별 정보는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하나 이상의 그룹 식별자 또는 상기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그룹 구성원의 제2 단말기 식별 번호를 포함함 -;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요청을 수신 받는 단계; 상기 수신된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요청에 포함되는 제3 단말기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가입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인증된 서비스 가입자에 의해 지정된 하나 이상의 그룹 구성원 간에 다자간 동시 통화 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r one or more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a service subscriber, and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r the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in a database means. The at least one group identifier input from the service subscriber or at least one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at least one group member belonging to the group; Receiving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request from the service subscriber; Authenticating the service subscriber using a thir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ncluded in the received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request; And establishing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between one or more group members designated by the authenticated service subscriber with reference to the database mean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서비스 가입자는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 및 그 시스템에 서비스 가입자로서 등록된 자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에서는 상기 서비스 가입자의 서비스 이용 요청과 함께, 상기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 식별 번호 또는 상기 서비스 가입자가 지정하는 그룹 구성원의 단말기 식별 번호를 입력 받아 이를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저장/관리한다.As used herein, a service subscriber means a person registered as a service subscriber in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and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subscriber requests a service using the service subscriber. A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a service subscriber or a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a group member designated by the service subscriber is received and stored / managed in a predetermined database means.

또한, 그룹 구성원은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특정 그룹에 속하는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 대상자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상기 그룹 구성원의 하나 이상의 단말기 식별 번호를 입력 받아 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에서 저장/관리한다.In addition, a group member refers to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subject belonging to a specific group input from the service subscriber, and receives one or mor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s of the group member from the service subscriber and stores / manages them in the database means. .

또한, 단말기 식별 번호는 상기 서비스 가입자 또는 상기 그룹 구성원의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 부여된 번호 정보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means number information assigned to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service subscriber or the group memb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그룹 관리 기능을 이용한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 및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method and system using a group manage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 시스템의 개괄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verview of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서비스 가입자(110)는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동시 통화 시스템(120)에 동시 통화 서비스 접속 요청을 전송한다. 다자간 동시 통화 시스템(120)은 서비스 가입자(110)의 접속 요청에 포함된 단말기 식별 번호를 추출하고,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 식별 번호가 등록된 단말기 식별 번호 목록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말기 식별 번호가 상기 목록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비스 가입자(110)를 인증하고, 서비스 가입자(110)가 식별한 하나 이상의 그룹 중 서비스 가입자(110)가 다자간 동시 통화를 원하는 그룹의 그룹 구성원을 검색하여 검색된 그룹 구성원(131 내지 133)을 호출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그룹 관리 기능을 이용한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서비스 가입자(110)의 단말기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가 서비스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동작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서비스 가입자(110) 각각에 대해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 접속 번호를 각각 부여할 필요 없이, 전체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단일 접속 번호를 사용하고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 요청에 포함된 서비스 가입자(110)의 단말기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서비스 가입자(110)를 인증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다수의 서비스 접속 번호를 이용할 필요 없이 단일 서비스 접속 번호를 통해서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가입자의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 요청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The service subscriber 110 transmits a simultaneous call service access request to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ystem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ystem 120 extract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ncluded in the access request of the service subscriber 110 and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s in the registere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list by referring to a predetermined database means. .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s in the list, the service subscriber 110 is authenticated, and among the one or more groups identified by the service subscriber 110, the service subscriber 110 selects a group member of a group to which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is desired. The searched group members 131 to 133 are called. That is, the method and system for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using the group manag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o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user is a service subscriber us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ervice subscriber 110. In the case of using the user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having to assign each of the one or more service subscribers 110 each with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access number, use a single access number for the entire service use and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It is possible to authenticate the service subscriber 110 by us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ervice subscriber 110 included in the request, thereby enabling the service subscriber 110 to use one or more service subscriber numbers without having to use multiple service access numbers. Enables you to handl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request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룹에 포함된 그룹 구성원(131 내지 133) 중 하나 이상이 통화중 또는 무응답인 경우, 상기 그룹 구성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를 전송하여 서비스 가입자(110)로부터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설정 요청이 있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그룹 구성원은 상기 단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콜백 번호 또는 콜백 URL을 이용하여 특정 키 입력(일예로 “통화” 버튼을 누름)을 통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에 참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group members 131 to 133 included in the group is busy or unanswered, a short message service (SMS) is sen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group member. It may be transmitted by the service subscriber 110 to notify that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tup request. Receiving the short message allows the group member to join the current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through a specific key input (for example, by pressing a “call” button) using a callback number or a callback URL included in the short message. Can be implemented.

콜백 번호는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번호로서, 상기 콜백 번호를 포함하는 단문자 메시지를 확인한 상기 그룹 구성원이 “통화” 버튼을 누르는 등의 확인 응답을 함으로써 상기 콜백 번호를 통한 시스템 접속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그룹 구성원은 이를 통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에 참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콜백 URL은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범용 리소스 로케이터로서, 상기 콜백 URL을 포함하는 단문자 메시지를 확인한 상기 그룹 구성원이 “통화” 버튼을 눌렀을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에 참가할 수 있다.The callback number is a number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roup member who confirms the short message including the callback number presses the call button to confirm the callback number. Through this system connection can be performed, the group member can participate in the current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Similarly, the callback URL is a general-purpose resource locator that can access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roup member who checks the short message including the callback URL presses the “call” button,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You can connect to the system and join the ongoing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또한, 상기 단문 메시지를 받은 구성원이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에 참가할 수 없는 경우, 콜백 번호 또는 콜백 URL로 특정 키 입력(일예로, “메뉴 → 답장”순으로 버튼을 누름)을 통하여 불참 통보 등의 간단한 메모를 남길 수 있고 이렇게 전송된 메모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에 참여하는 그룹 구성원들에게 안내 방송 또는 단문 메시지의 형식으로 통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비스 가입자 또는 그룹 구성원은 동시 통화 서비스에 참여하는 인원을 보다 손쉽게 파악할 수 있고, 동시 통화 서비스에 참여하지 못하는 그룹 구성원의 경우, 불참 통보를 포함하는 메모를 전송함으로써 자신의 의사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a member who has received the short message cannot participate in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a simple notification such as a notification of absent through a specific key input (for example, pressing a button in the order of “Menu → Reply”) with a callback number or a callback URL The memo may be left and the transmitted memo may be implemented to be notified in the form of an announcement or a short message to group members participating in an ongoing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This makes it easier for service subscribers or group members to see who is participating in the simultaneous call service, and for group members who are unable to participate in the concurrent call service, they can indicate their intention by sending a note containing the absence notice. Will b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동시 통화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자간 동시 통화 시스템(200)은 데이터베이스 수단(210), 그룹별 관리부(220), 접속 수신부(230), 사용자 인증부(240), 및 통화 연결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ystem 200 may include a database means 210, a group management unit 220, a connection receiving unit 230, a user authentication unit 240, and a call connection unit 250.

데이터베이스 수단(210)은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서비스 가입자의 제1 단말기 식별 번호 또는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하나 이상의 그룹에 대한 그룹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 정보를 유지한다. 상기 그룹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속하는 그룹 사용자의 단말기 식별 번호 또는 상기 그룹 구성원과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설정이 되지 아니한 경우 단문 메시지 등을 전송할 이동통신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성상 본 발명이 제공되기 위해서는 서비스 가입자, 즉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에 가입하는 자의 단말기 식별 번호가 하나 이상 필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가입 신청을 받는 경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단말기 번호가 제1 단말기 식별 번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번호는 하나 이상(일예로 유선전화번호 또는 이동통신 번호) 존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수단(210)에는 제1 단말기 식별 번호와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신상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또한,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그룹을 입력 받고 상기 그룹에 속하는 그룹 구성원들의 단말기 식별 번호를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그룹 구성원의 단말기 식별 번호를 제2 단말기 식별 번호로서 저장하고,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번호는 구현에 따라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수단(210)에는 제1 단말기 식별 번호와 함께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번호가 트리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The database means 210 maintains group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ervice subscriber received from the service subscriber or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one or more groups inputted from the service subscriber. The group information may include a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a group user belonging to the one or more groups, or a mobile communication number to transmit a short message when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call is not set up with the group memb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ovide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s of a service subscriber, that is, a person who subscribes to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may be required. As such, when receiving a subscription request from the service subscriber, the terminal number input from the service subscriber may be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may exist at least one (for example, a landline number or a mobile communication number). The database means 210 stores and maintains the service subscriber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e service subscrib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ceive at least one group to use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from the service subscriber and register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s of the group members belonging to the group.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group member is stored as the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may exist at least on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The database means 210 may store the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n a tree form together with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수단(210)에 기록되어 있는 제1 단말기 식별 번호, 그룹 식별 정보, 및 제2 단말기 식별 번호를 테이블 형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the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recorded in the database means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table format.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 수단(210)에는 서비스 가입자의 신상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가입자 정보, 서비스 가입자가 등록한 그룹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서비스 가입자 A는 “가족 A” 및 “친구”라는 2개의 그룹을 유지하고 있으며 각각의 그룹은 하나 이상의 그룹 구성원을 포함하고 있다. 서비스 가입자 A의 “가족 A” 그룹의 구성원은 가족1(311), 가족2(312) 및 가족3(313)으로 구성되어 있고 “친구”라는 그룹의 구성원은 친구1(321, 322), 친구2(323) 및 친구3(324)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친구1의 경우, 등록 번호가 “031-268-7412(321)”, “019-9812-4516(322)”과 같이 복수 개가 지정될 수 있다. 제1 단말기 식별 번호 및 제2 단말기 식별 번호는 각각 하나 이상 지정될 수 있다는 점은 상술한 바와 같다. 서비스 가입자 B의 경우 “가족 B”과 “직장”이라는 2개의 그룹을 유지하고 있고, 서비스 가입자 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족5”라는 구서원이 “02-563-8714(332)”, “011-725-8125(333)”의 하나 이상의 제2 단말기 식별 번호를 등록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나 이상 등록된 단말기 식별 번호의 경우, 상기 단말기 식별 번호 간의 우선 순위(priority)를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입력 받고, 입력된 우선 순위에 따라 다자간 동시 통화 호를 설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database unit 210 may record service subscriber information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of the service subscriber and group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service subscriber. In the figure, service subscriber A maintains two groups, "family A" and "friend", each group containing one or more group members. The members of the “family A” group of service subscriber A are composed of family 1 (311), family 2 (312) and family 3 (313), and the members of the group called “friends” are friends 1 (321, 322) and friends. 2 (323) and friend 3 (324). Meanwhile, in the case of friend 1, a plurality of registration numbers may be designated as “031-268-7412 (321)” or “019-9812-4516 (322)”. As described above, one or more first and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s may be designated. In the case of service member B, there are two groups, “family B” and “workplace.” As in the case of service member A, the attendant, “family 5,” calls “02-563-8714 (332)”, “ 011-725-8125 (333) ”one or more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s are registered.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one or more registere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s, the terminal may receive a priority between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s from a service subscriber and set up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according to the input priority.

예를 들어, 서비스 가입자 B가 “가족 B” 그룹과 다자간 동시 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 가입자 B가 지정한 “가족 B” 그룹에 속해 있는 “가족5”는 등록되어 있는 2개의 제2 단말기 식별 번호, 즉 “02-563-8741(332)”, “011-725-8125(333)”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다자간 동시 통화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단말기 식별 번호 중 “011-725-8125(333)”가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경우, 등록되어 있는 2개의 제2 단말기 식별 번호 중 우선 순위가 높은 “011-725-8125”에 먼저 연결을 시도하고,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 다음 우선 순위를 갖는 제2 단말기 식별 번호인 “02-563-8741(332)”로 다시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러한 우선 순위는 서비스 가입자가 그룹을 등록할 때 지정할 수 있으며, 구현에 따라서는 상기 그룹 구성원에 의하여 지정될 수도 있다.For example, if service subscriber B wants to make a multi-party call with the “family B” group, “family 5” belonging to the “family B” group designated by the service subscriber B has two registered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s. That is, it is possible to make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by using any one of “02-563-8741 (332)” and “011-725-8125 (333)”.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011-725-8125 (333)" of two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s has a higher priority, "011-725-8125 having a higher priority among two registered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s". At first, if the connection is not made, the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having the next priority may be reconnected to “02-563-8741 (332)”. This priority may be specified when the service subscriber registers with the group, and may be assigned by the group member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그룹별 관리부(220)는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1 단말기 식별 번호 또는 하나 이상의 그룹 식별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제1 단말기 식별 번호 또는 상기 그룹 식별 번호를 데이터베이스 수단(210)에 기록 및 관리한다.또한, 그룹별 관리부(220)는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가입 신청을 수신하여 이를 처리하고,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번호 또는 상기 그룹 식별 번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 수단(210)에 기록하며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그룹별 리스트를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테이블 형식으로 관리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그룹별 관리부(220)는 상기 서비스 가입자가 설정한 특정 시간에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 구성원과의 다자간 동시 통화가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회사 프로젝트 팀”이라는 그룹을 지정한 서비스 가입자가 매일 아침 10시에 그룹 통화를 설정한 경우, 그룹별 관리부(220)는 상기 서비스 가입자의 상기 그룹에 대해 동시 통화 호출 시각을 설정해 두고, 해당 시각에 상기 그룹 구성원과의 동시 통화 호가 자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Group-specific management unit 220 receives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r one or more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subscriber, and records the input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r the group identification number in the database means 210 and In addition, the management unit 220 for each group receives a subscription request from the service subscriber and processes it, receives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r the group identification number input from the service subscriber and records it in the database means 210. In addition, the list for each service subscriber is managed in a table form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p manager 220 may control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to the one or more group members at a specific time set by the service subscriber. For example, when a service subscriber who designates a group called “company project team” sets up a group call at 10 am every morning, the group manager 220 sets a simultaneous call call time for the group of the service subscribers. At the corresponding time, simultaneous call with the group member can be controlled to be automatically connected.

이와 같이, 매회 특정 시각마다 동시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 뿐만 아니라, 1회에 한정되어 수행되는 특정 시각의 다자간 동시 통화도 가능하다. 그룹별 관리부(220)는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이를 위하여 다자간 동시 통화에 참여하는 단말기 식별 번호를 입력 받고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시각에 동시 통화 호출 시각을 설정하여 해당 시각에 상기 그룹 구성원과의 동시 통화 호가 자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단발성 동시 통화 서비스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별도의 그룹을 지정하고 그룹 구성원을 구성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는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기저장된, 사용자가 지정한 그룹 구성원이 아닌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발성 동시 통화 서비스가 종료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는, 단발성 동시 통화 서비스에 참여한 그룹 구성원이 자동 삭제되어 상기 단발성 통시 통화 서비스에 참여한 그룹 구성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this manner, not only the simultaneous call can be made at a specific time every time, but also the simultaneous multi-party call at a specific time can be performed. Group-specific management unit 220 receives a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participating in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for this purpose from the service subscriber, and also set the simultaneous call call time at the time input by the user to automatically receive a simultaneous call with the group member at that time. Can be controlled to be connected. This one-time simultaneous call service may receive input from a user, designate a separate group, configure group members, and store the same. This may be performed even if the user is not a group member designated by the user. In addition, when the one-time simultaneous call service is terminated, after receiving input from a user o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group member participating in the one-time simultaneous call service is automatically deleted to protect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group member who participated in the one-time communication service. Can be implemented to do so.

접속 수신부(230)는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요청을 수신한다. 이러한 호 설정 요청은 상술한 단일 서비스 접속 번호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단일 서비스 접속 번호라 함은, 다자간 동시 통화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지정한 번호를 의미한다. 상기 단일 서비스 접속 번호는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에서 유일한 것(모든 서비스 가입자가 동일한 서비스 접속 번호를 통해 접속함을 의미함)일 수 있다.The connection receiving unit 230 receives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request from a service subscriber. This call establishment request may be sent from the service subscriber via the single service access number described above. A single service access number means a number designated by a service provider for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The single service access number may be unique (meaning that all service subscribers access through the same service access number) in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가입자 A가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에 가입을 신청하고 “3355”라는 단일 서비스 접속 번호를 신청하여 등록한 경우, 서비스 가입자 A는 자신의 유선 또는 무선(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제1 단말기 식별 번호로 등록하고, “가족 A”라는 그룹과 “친구”라는 그룹을 등록하여 각 그룹의 그룹 구성원으로 가족 1, 가족 2, 가족 3, 친구 1, 친구 2, 및 친구 3을 등록한다. 서비스 가입자 A는 상기 등록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단일 서비스 접속 번호에 접속하고, 자신이 등록한 특정 그룹의 그룹 구성원들과 다자간 동시 통화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가입자가 상기 단일 서비스 접속 번호로 접속하여 특정 그룹의 그룹 구성원들을 호출한다. 구현에 따라서는 그룹 구성원이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서비스 가입자 A는 “가족 A” 또는, “친구”의 그룹 중 하나를 선택하여 동시 통화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가입자 A는 “3355” 번호로 통화 연결을 하여 “가족 A” 그룹을 선택하는 키인 “#1”, 또는 “친구” 그룹을 선택하는 키인 “#2”를 누름으로써 특정 그룹의 그룹 구성원과 다자간 동시 통화를 할 수 있다. 서비스 가입자 A에 대한 사용자 인증은 서비스 가입자 A의 단말기 식별 번호를 통해 수행되고, 서비스 가입자 A가 인증되는 경우 해당 가입자가 지정한 그룹 식별 정보는 도 2에서 상술한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참조하여 검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 when the service subscriber A applied for subscription to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pplied for a single service access number of "3355" and registered, the service subscriber A has its own wired or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Register the terminal number as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and register a group called "Family A" and a group called "Friends" to be members of each group as Family 1, Family 2, Family 3, Friend 1, Friend 2, and Friend. Register 3 The service subscriber A can access the single service access number using the registered terminal and make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with the group members of the specific group registered by the service subscriber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tart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a service subscriber accesses the single service access number and calls group members of a specific group.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it may be possible for group members to start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The service subscriber A can make a simultaneous call by selecting either "family A" or a group of "friend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subscriber A makes a call to the “3355” number, “# 1”, which is a key for selecting a “family A” group, or “# 2”, which is a key for selecting a “friend” group. By pressing, you can make a conference call with a group member of a specific group. User authentication for the service subscriber A is performed through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ervice subscriber A, and when the service subscriber A is authenticated, the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subscriber can be retrieved with reference to the database mean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서비스 가입자 A로부터 특정 그룹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그룹의 그룹 구성원에 대한 제2 단말기 식별 번호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2 단말기 식별 번호로 상기 그룹 구성원들과의 호를 연결한다.When the selec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group is input from the service subscriber A, the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for the group member of the selected group is retrieved by referring to the database means, and the group members are searched with the retrieved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Connect the arcs of.

위에서 설명한 “#1” 또는 “#2”는 일종의 그룹 식별자로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데, 서비스 가입자는 이러한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특정 그룹의 그룹 구성원과 다자간 동시 통화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그룹 식별자는 다양한 변형예를 가질 수 있으며, 상술한 일실시예에서 “#”이 생략된 번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위의 예에서 서비스 가입자 A는 “가족 A” 그룹과 동시 통화를 하기 위하여 “3355”의 단일 서비스 접속 번호로 접속한 후에 별도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1”을 눌러 “가족 A” 그룹과의 동시 통화 호를 요청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다수 개의 그룹을 설정한 것이 아닌, 하나의 그룹만을 지정하여 저장한 경우에는 단일 서비스 접속 번호로 접속하였을 때 특정 그룹을 지정하는 과정 없이 등록된 하나의 그룹의 다자간 동시 통화 호를 설정하도록구현될 수 있다.The "# 1" or "# 2" described above can serve as a kind of group identifier, and a service subscriber can use this group identifier to quickly connect a conference call with a group member of a specific group. . Such a group identifier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number in which “#” is omitt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e example above, service subscriber A connects to a single service access number of “3355” to make a simultaneous call with the “family A” group, and then press “# 1” immediately to go through the “family A” group without any additional procedure. You can request a simultaneous call of.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does not set up multiple groups but only one group and saves them, when a user accesses with a single service access number, the user can receive a conference call of one registered group without specifying a specific group. It can be implemented to set.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그룹 구성원이 상기 단일 서비스 접속 번호를 통하여 접속하는 경우 상기 그룹 구성원의 발신 번호, 즉 제2 단말기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기록된 상기 그룹 구성원이 포함되어 있는 그룹을 검색하고, 상기 그룹의 나머지 그룹 구성원의 제2 단말기 식별 번호로 다자간 동시 통화를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입자 이외의 그룹 구성원이 다자간 통시 통화 서비스를 시작하는 구성은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미리 상기 그룹 구성원에 대한 권한 설정 입력을 받아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서비스 가입자가 부재하는 경우에도 동시 통화 서비스가 필요할 경우를 고려한 것이며, 서비스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그룹 구성원에 대해 부여된 동시 통화 시작 권한을 삭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group member accesses through the single service access number, the group member recorded in the database means by using the originating number of the group member, that is, the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the included group and to connect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to the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remaining group members of the group. Such a configuration in which a group member other than the subscriber starts the multi-time communication call service may be performed by receiving an authority setting input for the group member from the service subscriber in advance. This takes into account the case where simultaneous call service is required even when the service subscriber is absent, and may be implemented to delete the simultaneous call start right granted to the group member at the request of the service subscriber.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설정 요청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 인증부(240)는 상기 수신된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요청에 포함되는 상기 서비스 가입자의 등록되지 아니한 제3 단말기 식별 번호에 대해 다음의 방법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 가입자를 인증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단말기 식별 번호는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입력되지 아니한 단말기(공중전화 또는 타인의 단말기 등)의 식별 번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예로 “017-***-####”의 제1 단말기 식별 번호를 갖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요청을 하는 경우 “02-572-****”인 제3 단말기 식별 번호를 갖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요청이 있는 경우 “02-572-****”이 제3 단말기 식별 번호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부(240)는 상기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요청에 포함된 제3 단말기 식별 번호를 추출하고, 데이터베이스 수단(210)을 참조하여 상기 추출된 제3 단말기 식별 번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210)에 기록된 제1 단말기 식별 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추출된 제3 단말기 식별 번호가 데이터베이스 수단(210)에 기록되어 있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정의 자동 응답 시스템(ARS) 또는 IVR(Interactive Voice Response)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서비스 가입자에게 등록된 단말기 등록 번호를 입력하도록 안내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번호를 입력 받아 상기 서비스 가입자를 인증하고, 인증된 서비스 가입자가 지정한 특정 그룹의 그룹 구성원과 다자간 동시 통화를 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신규 가입자인 경우에는, 소정의 신규 가입 절차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상기 신규 가입자의 등록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ceiving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tup request from a service subscriber,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240 is not registered in the service subscriber is included in the received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request request 3 The service subscriber can be authenticated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through the following method. Here, the thir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refers to an identification number of a terminal (such as a public telephone or another terminal) which is not input from the service subscriber, and is, for example, a first terminal of “017-***-####”. When making a conference call request using a terminal having an identification number When there is a conference call request using a terminal having a thir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02-572-****” “02-572 -**** ”may be the thir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n this case,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the thir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ncluded in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request, and the extracted thir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s referred to the database means 210.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same as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recorded in the database means 2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racted thir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s not recorded in the database means 210, the terminal registered with the service subscriber in conjunction with a predetermined answering system (ARS) or an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erver. It may be guided to enter a registration number, and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s inputted from the service subscriber to authenticate the service subscriber, and the multi-way simultaneous call with the group members of a specific group designated by the authorized service subscriber Can be.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new subscrib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uide for a predetermined new subscription procedure so that registration of the new subscriber is performed accordingly.

이는, 제1 단말기 식별 번호를 가진 단말기가 아닌 다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서비스 가입자는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번호를 갖는 단말기가 없는 경우에도 제1 단말기 식별 번호만 인지하고 있으면 어떠한 단말기(일예로, 공중전화 등)를 통해서도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This allows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provided by using a terminal other than a terminal having a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and a service subscriber can use the first terminal even if there is no terminal having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f only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s recognized,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can be used through any terminal (eg, a public telephone).

이와 같이 인증 과정을 마치면, 통화 연결부(250)는 상기 인증된 서비스 가입자 및 상기 그룹 구성원으로부터 다자간 동시 통화 호를 설정한다. 다자간 동시 통화 호는 일반적인 경우, 서비스 가입자가 동시 통화 호를 요청한 그룹 구성원 중응답이 빠른 구성원의 순서로 연결되며 상기 그룹 구성원들 중 응답이 없는 구성원의 경우 단문 메시지를 해당 그룹 구성원에게 전송하여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요청이 들어왔음을 통지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통화 연결부(250)는 상기 서비스 가입자와 상기 그룹 구성원 간에 다자간 동시 통화가 수행되는 도중,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의 특정 키 입력(일예로, “*1” 등)에 대응하여 상기 다자간 동시 통화에 참여하지 아니한 제3자와의 신규 호를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서비스 가입자와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 구성원 간의 동시 통화 도중 제3자의 참여가 요청되는 경우, 서비스 가입자는 특정 키 입력과 함께 제3자의 단말기 식별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다자간 동시 통화에 참여하지 아니한 제3자와의 호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authentication process is completed in this way, the call connection unit 250 establishes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from the authenticated service subscriber and the group member. In a general case, a conference call is connected in the order of quick response among group members whose service subscriber requests a simultaneous call, and in the case of an unresponsive member among the group members, a conference message is transmitted by sending a short message to the group member. It can be notified that a call call request has arrived and can derive a respon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 connection unit 250 may be configured to input a specific key input (eg, “* 1”, etc.) from the service subscriber during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between the service subscriber and the group member. Correspondingly, it may be controlled to connect a new call with a third party who does not participate in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For example, if a third party's participation is requested during a simultaneous call between the service subscriber and the one or more group members, the service subscriber does not participate in the multiparty call by entering a third party's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with a specific key input. It is possible to connect a call with a third party.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동시 통화 시스템은 상술한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 이외에도 상기 서비스 가입자가 지정한 특정 그룹의 그룹 구성원에 대해 소정의 음성 메시지를 전달하는 음성 메시지 전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비스 가입자가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동시 통화 시스템으로 접속하여 특정 메뉴 선택시 동시 통화 이외에 음성 메시지 전송 메뉴를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음성 메시지 전송 사실을 상기 그룹 구성원에게 단문자 메시지 또는 ARS를 이용하여 통지한다. 상기 그룹 구성원은 단문자 메시지에 대한 확인 응답 또는 ARS 접속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전송된 음성 메시지를 열람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may perform a voice message transfer function for delivering a predetermined voice message to a group member of a specific group designated by the service subscriber,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That is, the service subscriber is connected to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elect a voice message transmission menu in addition to the simultaneous call when a specific menu is selected, and transmits the voice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service subscriber to the group member. Notify using message or ARS. The group member may be implemented to view a voice message sent from the service subscriber via an acknowledgment for the short message or an ARS connection.

상술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동시 통화 시스템의 구성 모듈은 단순히 기능적으로 분류된 것일 뿐 물리적인 분류와는 무관하다. 상술한 구성 모듈은 하나 이상이 단일 구성 모듈로 통합되는 것은 물론, 하나 이상의 서브 모듈로 분리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러한 모든 변형 및 설계 변경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는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The configuration module of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described above is merely functionally classified and is not related to physical classification. One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odules may be integrated into a single configuration module as well as implemented separately into one or more sub-modules, and all such modifications and design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self explanatory.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가입자 등록을 위한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ystem configuration for service subscriber regist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서비스 가입자(410)는 웹 서버(420)이나 ARS(430, Automatic Response System) 또는 IVR(Interactive Voice Response) 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 이용 신청을 할 수 있다. 서비스 가입자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웹 서버(420)에 접속하고 서비스 가입자의 제1 단말기 식별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이용 가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고객 상담 서비스(예를 들어, 고객 센터)를 두어 서비스 상담원을 통한 가입도 가능하다.The service subscriber 410 may apply for service use by accessing the web server 420, an automatic response system (ARS), or an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erver. The service subscriber may access the web server 420 via wired or wireless Internet and enter the service subscriber's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to perform service subscri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 separate customer consultation service (for example, a customer center) may be added through a service counselor.

가입이 승인되는 경우 서비스 가입자가 다자간 동시 통화를 하고자 하는 그룹 및 그룹 구성원을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서비스 이용 신청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자동 응답 시스템(430) 등을 통하여 서비스 이용 신청을 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에 가입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ARS(430)에 접속하여 소정의 음성 안내에 따라 제1 단말기 식별 번호, 그룹 정보, 또는 그룹 구성원의 제2 단말기 식별 번호 등을 입력함으로써, 서비스 가입 신청을 할 수 있다. 가입 신청 완료 후,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지정된 그룹 구성원들은 ARS, 또는 단문자 메시지 등을 통하여 다자간 동시 통화 그룹에 가입되었음을 통보 받을 수 있다. 그룹 구성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인터넷 또는 ARS를 통하여 특정 그룹(서비스 가입자가 미리 정하여 놓은 그룹)에 가입할 수 있다. 상기 그룹 구성원은 인터넷 또는 ARS에 접속하여 자신을 포함시킬 그룹을 지정해 놓은 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검색하고(일예로, 제1 단말기 식별 번호를 입력하여 서비스 가입자 정보 및 서비스 가입자가 지정한 그룹을 검색), 상기 검색된 그룹 중 자신이 가입할 그룹을 정하여 상기 그룹에 그룹 구성원으로서 등록할 수 있다. 서비스 가입자 정보는, 상기 서비스 가입자의 간단한 신상 명세 정보, 서비스 식별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보안 정책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다. 이 때, 동시 통화 그룹에 가입되었음은 별도로 통보되지 않을 수 있다.If the subscription is approved, the service subscriber can register the group and the group member to which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is to be ma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service use request may be performed using the Internet, or may be implemented to apply for service use through the answering machine 430 or the like. The user who wants to subscribe to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esses the ARS 430 and inputs a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group information, or a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a group memb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voice guidance. You can apply to join the service. After completion of the subscription application, the designated group members may be notified that they have joined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group through ARS or a short message. Likewise, group members can join a specific group (a group predetermined by a service subscriber) through the Internet or ARS. The group member accesses the Internet or ARS to search for service subscriber information designating a group to include itself (e.g., search for service subscriber information and a group designated by the service subscriber by inputting a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Among the searched groups, a group to which the user joins can be selected and registered as a group member in the group. Service subscriber information may include simple personal details of the service subscriber, service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like and may be protected by a security policy. At this time, it may not be separately notified that the simultaneous call group has been joined.

이러한 웹 서버(420) 또는 자동 응답 시스템(43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동시 통화 시스템(440)에 포함될 수도 있고, 다자간 동시 통화 시스템(440)의 외부 시스템으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The web server 420 or the answering machine 430 may be included in the conference system 4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operate as an external system of the conference system 440.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flow of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단계 510에서는,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제1 단말기 식별 번호 또는 하나 이상의 그룹 식별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제1 단말기 식별 번호 또는 상기 그룹 식별 번호를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기록한다. 제1 단말기 식별 번호 또는 그룹 식별 정보는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ARS 또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등록할 수 있고, 등록된 상기 정보들은 서비스 가입자에 의하여 유무선 인터넷 등을 통하여수정될 수 있다.First, in step 510, a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r one or more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a service subscriber, and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r the group identification number is recorded in a database means.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r the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registered from the service subscriber via ARS or wired or wireless internet, and the registered information may be modified by the service subscriber via wired or wireless internet.

단계 520에서는,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요청을 수신하게 된다. 이 때, 서비스 가입자 또는 그룹 구성원으로부터 다자간 단일 서비스 접속 번호를 통하여 접속을 수신하게 된다.In step 520,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request is received from a service subscriber. At this time, the access is received from the service subscriber or the group member through a multi-party single service access number.

단계 530에서는 제3 단말기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가입자 또는 그룹 구성원을 인증한다. 단계 520에서 수신한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요청에 포함되는 제3 단말기 식별 번호, 즉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수신된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 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말기 식별 번호가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기록된 제1 단말기 식별 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추출된 제3 단말기 식별 번호가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기록되어 있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자동 응답 시스템의 음성 안내에 따라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등록된 제1 단말기 식별 번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렇게 입력 받은 단말기 식별 번호가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 가입자가 요청한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요청을 수락한다.In step 530, the service subscriber or group member is authenticated using a thir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The thir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ncluded in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request received in step 520, that i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terminal received from the service subscriber is extracted, and the extracte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s recorded in the database means. Check whether it is same as numb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racted thir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s not recorded in the database means, the registered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may be input from the service subscriber according to the voice guidance of the answering machine. If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received in this way is recorded in the database means, it accepts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request requested by the service subscriber.

단계 540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참조하여 단계 530에서 인증된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지정된 하나 이상의 그룹 구성원 간에 다자간 동시 통화 호를 설정한다. 서비스 가입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 구성원 중 한 명과 호 설정이 되는 시점부터 다자간 동시 통화를 수행할 수 있고, 나머지 그룹 구성원은 호가 설정되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다자간 동시 통화에 참여할 수 있다.In step 540, a multi-way simultaneous call is established between one or more group members designated by the service subscriber authenticated in step 530 with reference to the database means. The service subscriber may make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from the time when the call is set up with one of the one or more group members, and the other group members may sequentially participate in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in the order in which the call is set up.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 computer readable media containing program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implemented operations. The program recorded on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be configur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The medium o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The medium may be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n optical or metal wire, a waveguide, or the like including a carrier wave for transmitting a signal specifying a program command, a data structure, or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동시 통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6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ystem that may be employed to construct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컴퓨터 시스템(600)은 램(RAM: Random Access Memory)(620)과 롬(ROM: Read Only Memory)(6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6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6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6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램(6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양방향성으로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램(620) 및 롬(6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6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6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6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6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6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6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120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Computer system 600 includes one or more processors 610 connected to a main memory including random access memory (RAM) 620 and read only memory (ROM) 630. The processor 610 may also be called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s is well known in the art, the ROM 630 serves to transfer data and instructions to the CPU unidirectionally, and the RAM 620 typically transfers data and instructions bidirectionally. Used to. RAM 620 and ROM 630 may include any suitable form of computer readable media. Mass storage 640 is bidirectionally coupled to processor 610 to provide additional data storage capability, and may be any of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described above. The mass storage device 640 is used to store programs, data, and the like, and is a secondary memory device such as a hard disk which is generally slower than the main memory device. Certain mass storage devices such as CD ROM 660 may be used. The processor 610 may include one or more input / output interfaces such as a video monitor, trackball, mouse, keyboard, microphone, touchscreen display, card reader, magnetic or paper tape reader, voice or handwriting reader, joystick, or other known computer input / output device. 650 is connected. Finally, the processor 1201 may be connected to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670. Through this network connection, the procedure of the method described above can be performed. The apparatus and tools described above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hardware and software arts.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그룹 관리 기능을 이용한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그룹 관리 기능을 강화하여 하나 이상의 다자간 동시 통화 그룹에 대해 단일 서비스 접속 번호를 부여하고, 서비스 가입자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동시통화 그룹에 대한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and system for simultaneous conference call using the group manag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p management function is enhanced to assign a single service access number to one or more conference call groups, and the service subscriber is assigned to one or more simultaneous call groups.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the identification can be facilita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룹 관리 기능을 이용한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가입자 인증을 상기 가입자의 단말기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수행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의 편의를 제고하고, 상기 서비스 가입자가 등록되지 아니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다자간 동시통화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에도 상기 단말기 식별 번호 입력을 통해 용이하게 상기 서비스 가입자를 인증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method and system using the group manag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subscriber authentication for the service subscriber using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us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ubscriber to facilitate the use of the service In addition, even when the service subscriber requests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using a terminal which is not registered, the service subscriber can be easily authenticated by inputt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룹 관리 기능을 이용한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특정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그룹 사용자가 통화중이거나 무응답인 경우에도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요청이 있음을 알려줄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thod and system for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using the group manag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one or more group users belonging to a specific group can be informed that there is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request request even if the user is busy or no answer Can b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룹 관리 기능을 이용한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특정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그룹 사용자가 다자간 동시 통화에 참여할 수 없는 경우에도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요청이 있음을 알려주고 그에 상응하는 소정의 응답을 받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thod and system for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using the group manag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one or more group users belonging to a specific group is not able to participate in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and informs that there is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request and corresponding There is an effect that a predetermined response can be recei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룹 관리 기능을 이용한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유무선 인터넷 또는 자동 응답 시스템(ARS)을 이용하여 다자간 동시 통화 서비스를 신청/등록하고, 상기 서비스 가입자가 등록한 하나 이상의 그룹을 관리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thod and system for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using the group manag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wired or wireless Internet or an automatic answering system (ARS) to apply for / register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ervice, the at least one group registered by the service subscriber You can get the effect that you can manage.

Claims (12)

다자간 동시 통화 시스템에 있어서,In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system,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1 단말기 식별 번호 또는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하나 이상의 그룹 식별 정보를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 수단 - 상기 그룹 식별 정보는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하나 이상의 그룹 식별자 또는 상기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그룹 구성원의 제2 단말기 식별 번호를 포함함 -;Database means for maintaining a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nput from a service subscriber or one or more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service subscriber, wherein the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one or more group identifiers input from the service subscriber or one or more belonging to the group A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group member;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번호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 식별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제1 단말기 식별 번호 또는 상기 그룹 식별 번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기록 및 관리하는 그룹별 관리부;A group-specific management unit which receives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r the one or more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subscriber and records and manages the input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r the group identification number in the database means;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요청을 수신 받는 접속 수신부;A connection receiving unit receiving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request from the service subscriber; 상기 수신된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요청에 포함되는 제3 단말기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가입자를 인증하기 위한 서비스 가입자 인증부; 및A service subscriber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the service subscriber using a thir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ncluded in the received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request; And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인증된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지정된 하나 이상의 그룹 구성원 간에 다자간 동시 통화 호를 설정하는 통화 연결부Call connection unit for establishing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between one or more group members designated by the authorized service subscriber with reference to the database mean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동시 통화 시스템.Multi-party simultaneous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접속 수신부는 단일 서비스 접속 번호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상기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동시 통화 시스템.And the access receiving unit receives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request from the service subscriber through a single service access numb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비스 가입자 인증부는 상기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요청에 포함된 상기 제3 단말기 식별 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추출된 제3 단말기 식별 번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기록된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추출된 제3 단말기 식별 번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기록되어 있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번호를 입력 받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동시 통화 시스템.The service subscriber authentication unit extracts the thir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ncluded in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request, and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in which the extracted thir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s recorded in the database means by referring to the database means. Check whether the number is the same as the number, and if the extracted thir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s not recorded in the database means, controlling to receive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from the service subscriber. Simultaneous call syste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그룹별 관리부는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또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번호 또는 상기 그룹 식별 정보를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동시 통화 시스템.The group-specific management unit receives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r the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subscriber through an automatic response system (ARS) or a wired / wireless interne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통화 연결부는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그룹 식별자에대응되는 상기 그룹의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 구성원 사이에 다자간 동시 통화 호를 설정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동시 통화 시스템.And the call connection unit is operative to establish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between the one or more group members of the group corresponding to the group identifier input from the service subscrib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통화 연결부는 상기 다자간 동시 통화 중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수신된 특정 키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다자간 동시 통화에 참여하지 아니한 제3자의 단말기 식별 번호의 입력을 대기하고,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상기 제3자의 사익 단말기 식별 번호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 식별 번호로의 호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동시 통화 시스템.The call connection unit waits for input of a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a third party who has not participated in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in response to a specific key input received from the service subscriber during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and the third party benefits from the service subscriber. And if there is an input of a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controlling to set a call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에 있어서,In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method,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제1 단말기 식별 번호 또는 하나 이상의 그룹 식별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제1 단말기 식별 번호 또는 상기 그룹 식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기록하는 단계 - 상기 그룹 식별 정보는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하나 이상의 그룹 식별자 또는 상기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그룹 구성원의 제2 단말기 식별 번호를 포함함 -;Receiving a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r one or more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service subscriber, and recording the inputted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r the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 database means, wherein the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putted from the service subscriber; One or more group identifiers or secon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s of one or more group members belonging to the group;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요청을 수신 받는 단계;Receiving a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request from the service subscriber; 상기 수신된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요청에 포함되는 제3 단말기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가입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Authenticating the service subscriber using a thir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ncluded in the received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request; And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인증된 서비스 가입자에 의해 지정된 하나 이상의 그룹 구성원 간에 다자간 동시 통화 호를 설정하는 단계;Establishing a conference call between one or more group members designated by the authenticated service subscriber with reference to the database mean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Multi-party simultaneous calling method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요청을 수신 받는 상기 단계는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단일 서비스 접속 번호를 통하여 접속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And receiving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request request from the service subscriber, receiving the connection through the single service access number from the service subscriber.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수신된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요청에 포함되는 상기 제3 단말기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가입자를 인증하는 상기 단계는,The step of authenticating the service subscriber using the thir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ncluded in the received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request, 상기 다자간 동시 통화 호 요청에 포함된 상기 제3 단말기 식별 번호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the thir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ncluded in the multi-party simultaneous call request;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추출된 제3 단말기 식별 번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기록된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Checking whether the extracted thir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s the same as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recorded in the database means by referring to the database means; And 상기 제3 단말기 식별 번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기록된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번호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가입자를 인증하는 단계Authenticating the service subscrib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hir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s the same as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recorded in the database means. 를 포함하는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Multi-party simultaneous call method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추출된 제3 단말기 식별 번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기록된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상기 단계는,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extracted thir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s the same as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recorded in the database means by referring to the database means, 상기 추출된 제3 단말기 식별 번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기록되어 있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번호를 입력 받는 단계;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racted third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s not recorded in the database means, receiving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from the service subscriber; 상기 입력된 제1 단말기 식별 번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s recorded in the database means; And 상기 입력된 제1 단말기 식별 번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서비스 가입자를 인증하는 단계Authenticating the service subscrib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s recorded in the database means. 를 포함하는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Multi-party simultaneous call method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제1 단말기 식별 번호 또는 하나 이상의 그룹 식별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제1 단말기 식별 번호 또는 상기 그룹 식별 번호를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기록 및 관리하고 유지하는 상기 단계는,The step of receiving a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r one or more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service subscriber and recording, managing and maintaining the inputted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r group identification number in a database means,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또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을 수신하는 단계; 및Receiving a connection from the service subscriber through an automatic response system (ARS) or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And 상기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번호 또는 상기 그룹 식별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Receiving the first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r the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subscriber; 를 포함하는 다자간 통화 방법.Conference method comprising a.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claim 7.
KR1020040006708A 2004-02-02 2004-02-02 A method for providing telephone conversation service among at least three parties and a system thereof Ceased KR2004002885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708A KR20040028857A (en) 2004-02-02 2004-02-02 A method for providing telephone conversation service among at least three parties and a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708A KR20040028857A (en) 2004-02-02 2004-02-02 A method for providing telephone conversation service among at least three parties and a system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857A true KR20040028857A (en) 2004-04-03

Family

ID=37330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708A Ceased KR20040028857A (en) 2004-02-02 2004-02-02 A method for providing telephone conversation service among at least three parties and a syste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8857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723B1 (en) * 2004-12-10 2006-12-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roup communication service using group representative number
KR100829141B1 (en) * 2005-12-28 2008-05-14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Conference call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ystem
KR101217789B1 (en) * 2012-05-14 2013-01-02 주식회사 미니게이트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using motion cognizan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thereof
KR101231260B1 (en) * 2006-05-09 2013-02-22 (주)인텔리안시스템즈 Internet protocol broadcasting server interoperated with mobile network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723B1 (en) * 2004-12-10 2006-12-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roup communication service using group representative number
KR100829141B1 (en) * 2005-12-28 2008-05-14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Conference call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ystem
KR101231260B1 (en) * 2006-05-09 2013-02-22 (주)인텔리안시스템즈 Internet protocol broadcasting server interoperated with mobile network
KR101217789B1 (en) * 2012-05-14 2013-01-02 주식회사 미니게이트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using motion cognizan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6917B2 (en) Media channel management apparatus for network communications sessions
US9426295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tributing mobile attendant call
US20050031110A1 (en) System and method of an improved conference call service feature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3944528B2 (en) Group calling method and group calling system by telephone
US8855284B2 (en) Assignment of full enterprise identity to audio conference bridges for improved conference scheduling and call-in experience
US9967402B2 (en) Conference call authentication utilizing passcodes personal to users
US200702861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ferencing capabilities
AU20173267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interactive voice response
US200602856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ference call services
CN104603769A (en) Customer-centric network-based conferencing
CN1848881B (en) Implementatio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calling number display during communication
CN103888600A (en) Instant messaging client
WO2014075503A1 (en) Conference access method and device
EP20195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multi-party communication
KR20040028857A (en) A method for providing telephone conversation service among at least three parties and a system thereof
JP5582278B2 (en) Call control system and call control method
KR100965090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gent call connection service using JR-based video guide menu
KR20050080915A (en) A method for providing telephone conversation service among at least three parties and a system thereof
KR20100137331A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system for attending remote conference
KR101022310B1 (en) Conference call service system and method
CN113630509B (en) IP phone calling system and calling method
JP2008083860A (en) Electronic conference system, electronic conference management system,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program
KR100596003B1 (en) Pay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IP switch system employing the above method
WO2022208730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KR20170100315A (en) System for providing conference call service using dtmf tone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8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11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