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라민-농축 호르몬 길항 작용을 갖고 비만 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로서 유용한 화합물의 개발에 대한 상당한 요구가 존재하여 왔다.
MCH 길항 작용을 갖는 화합물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의 결과로서, 본 발명자들은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이하, 종종 화합물 (I)로 언급함) 이 우수한 MCH 길항 작용을 가짐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8) 질소 함유 헤테로사이클이 아제티딘, 모르폴린, 피페리딘, 피페라진, 피롤리딘, 헥사메틸렌이민, 1,3-티아졸리딘, 1H-이미다졸, 4,5-디히드로-1H-이미다졸, 2,3-디히드로인돌, 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 또는 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인 상기 7) 의 화합물;
20) 화합물 (I), 및 항당뇨병제, 고지혈증 치료제, 관절염 치료제, 항불안제 및 항울병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조합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제제;
22) 화합물 (I) 또는 이의 염 또는 이의 전구약물의 유효량을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멜라민-농축 호르몬 수용체를 길항하는 방법;
23) 멜라민-농축 호르몬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화합물 (I) 또는 이의 염 또는 이의 전구약물의 용도;
24) 화합물 (I) 또는 이의 염 또는 이의 전구약물의 유효량을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멜라민-농축 호르몬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26) 화합물 (I) 또는 이의 염 또는 이의 전구약물의 유효량을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30) 화합물 (I) 또는 이의 염 또는 이의 전구약물의 유효량을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울병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32) 화합물 (I) 또는 이의 염 또는 이의 전구약물의 유효량을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불안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33) 화학식 Ar-X-COOH [식중, Ar 및 X 는 상기 1) 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또는 이의 반응성 유도체를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합물 (I) 또는이의 염 또는 이의 전구약물의 제조 방법:
[식중, 화학식 내의 기호는 상기 1) 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등.
Ar 에 대해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시클릭 기" 의 "시클릭 기"의 예에는, 방향족기, 비방향족 시클릭 탄화수소기, 비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등이 포함된다.
여기에서, "방향족 기" 의 예에는 모노시클릭 방향족 기 및 축합 폴리시클릭 방향족 기가 포함된다.
모노시클릭 방향족 기의 예에는 페닐 및 5- 또는 6-원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가 포함된다.
"5- 또는 6-원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의 예에는,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 원자, 황 원자 및 산소 원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예컨대, 1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5- 또는 6-원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등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티에닐, 푸릴,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피리딜,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옥사디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푸라자닐 등이 언급될 수 있다.
"모노시클릭 방향족 기" 의 구체적인 예에는, 페닐, 2- 또는 3-티에닐, 2-, 3-, 또는 4-피리딜, 2- 또는 3-푸릴, 2-, 4- 또는 5-티아졸릴, 2-, 4- 또는 5-옥사졸릴, 1-, 3- 또는 4-피라졸릴, 2-피라지닐, 2-, 4- 또는 5-피리미디닐, 1-, 2- 또는 3-피롤릴, 1-, 2- 또는 4-이미다졸릴, 3- 또는 4-피리다지닐, 3-이소티아졸릴, 3-이속사졸릴, 1,2,4-옥사디아졸-5-일, 1,2,4-옥사디아졸-3-일 등이 포함된다.
"축합 폴리시클릭 방향족 기" 는 바람직하게는 비시클릭 내지 테트라시클릭,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시클릭 또는 트리시클릭 방향족 기이다. "축합 폴리시클릭 방향족 기" 의 예에는, 축합 폴리시클릭 방향족 탄화수소기, 축합 폴리시클릭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등이 포함된다.
"축합 폴리시클릭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의 예에는, 탄소 원자 이외에 질소 원자, 황 원자 및 산소 원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예를 들어, 1 내지 4 개의 원자)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9- 내지 14-원, 바람직하게는 9- 또는 10-원축합 폴리시클릭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등이 포함된다. "축합 폴리시클릭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원 축합 폴리시클릭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이다.
"축합 폴리시클릭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의 구체적인 예에는, 벤조티에닐 벤조푸라닐, 벤즈이미다졸릴, 벤즈옥사졸릴, 벤조티아졸릴, 벤즈이소티아졸릴, 나프토[2,3-b]티오페닐, 이소퀴놀릴, 퀴놀릴, 인돌릴, 퀴녹살리닐, 펜안트리디닐, 페노티아디닐, 페녹사지닐, 프탈라디닐, 나프티리디닐, 퀴나졸리닐, 신놀리닐, 카르바졸릴, b-카르볼리닐, 아크리디닐, 페나지닐, 프탈이미도, 티오크산테닐 등이 포함된다.
"축합 폴리시클릭 방향족 기" 의 구체적인 예에는, 1-나프틸; 2-나프틸; 2-, 3-, 4-, 5- 또는 8-퀴놀릴; 1-, 3-, 4-, 5-, 6-, 7- 또는 8-이소퀴놀릴; 1-, 2-, 3-, 4-, 5-, 6- 또는 7-인돌릴; 1-, 2-, 4- 또는 5-이소인돌릴; 1-, 5- 또는 6-프탈라지닐; 2-, 3- 또는 5-퀴녹살리닐; 2-, 3-, 4-, 5- 또는 6-벤조티에닐; 2-, 3-, 4-, 5- 또는 6-벤조푸라닐; 2-, 4-, 5- 또는 6-벤조티아졸릴; 및 1-, 2-, 4-, 5- 또는 6-벤즈이미다졸릴; 등이 포함된다.
"비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의 예에는 모노시클릭 비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축합 폴리시클릭 비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등이 포함된다.
"모노시클릭 비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의 예에는,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 원자, 황 원자 및 산소 원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예컨대, 1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8-원 모노시클릭 비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등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테트라히드로티오페닐, 테트라히드로푸라닐, 피롤리디닐, 이미다졸리닐, 이미다졸리디닐, 피라졸리닐, 피라졸리디닐, 테트라히드로티아졸릴, 테트라히드로이소티아졸릴, 테트라히드로옥사졸릴, 테트라히드로이속사졸릴, 피페리디닐, 테트라히드로피리딜, 디히드로피리딜, 피페라지닐, 모르폴리닐, 티오모르폴리닐, 테트라히드로피리미디닐, 테트라히드로피리다지닐, 헥사메틸렌이미닐, 디옥사닐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축합 폴리시클릭 비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는 바람직하게는 비시클릭 내지 테트라시클릭,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시클릭 또는 트리시클릭 비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이다. "축합 폴리시클릭 비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의 예에는,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 원자, 황 원자 및 산소 원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예컨대, 1 내지 4 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9- 내지 14-원, 바람직하게는 9- 또는 10-원 축합 폴리시클릭 비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등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디히드로벤조푸라닐, 디히드로벤즈이미다졸릴, 디히드로벤즈옥사졸릴, 디히드로벤조티아졸릴, 디히드로벤즈이소티아졸릴, 디히드로나프토[2,3-b]티오페닐,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릴, 테트라히드로퀴놀릴, 인돌리닐, 이소인돌리닐, 테트라히드로퀴녹살리닐, 테트라히드로펜안트리디닐, 헥사히드로페노티아디닐, 헥사히드로페녹사지닐, 테트라히드로프탈라디닐, 테트라히드로나프티리디닐, 테트라히드로퀴나졸리닐, 테트라히드로신놀리닐, 테트라히드로카르바졸릴, 테트라히드로-b-카르볼리닐, 테트라히드로아크리디닐, 테트라히드로페나지닐, 테트라히드로티오크산테닐, 디히드로벤조피라닐, 테트라히드로벤조제피닐 등이 언급될 수 있다.
Ar 에 대한 "시클릭 기" 는 바람직하게는 페닐, 5- 또는 6-원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5- 내지 8-원 모노시클릭 비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등,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 피리딜, 피페리디닐 등이다.
Ar 에 대해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시클릭 기" 의 "치환기(들)" 의 예에는, 할로겐 원자 (예컨대,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 C1-3알킬렌디옥시 (예컨대, 메틸렌디옥시, 에틸렌디옥시 등), 니트로, 시아노, 임의로 할로겐화된 C1-10알킬, 히드록시-C1-10알킬 (예컨대, 히드록시메틸, 히드록시에틸), C6-14아릴옥시-C1-6알킬 (예컨대, 페녹시메틸 등), C1-6알킬-C6-14아릴-C2-6알케닐 (예컨대, 메틸페닐에테닐 등), 임의로 할로겐화된 C1-10알콕시, 임의로 할로겐화된 C1-10알킬티오,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C7-19아르알킬, 히드록시,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C6-14아릴옥시,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C7-19아르알킬옥시, 아미노, 아미노-C1-10알킬 (예컨대, 아미노메틸, 아미노에틸, 아미노프로필, 아미노부틸 등), 모노- 또는 디- C1-10알킬아미노 (예컨대,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프로필아미노, 이소프로필아미노, 부틸아미노,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디프로필아미노, 디부틸아미노, 에틸메틸아미노 등), 모노- 또는 디- C1-10알킬아미노-C1-6알킬 (예컨대, 메틸아미노메틸, 에틸아미노메틸, 프로필아미노메틸, 이소프로필아미노에틸, 부틸아미노에틸, 디메틸아미노메틸, 디에틸아미노메틸, 디프로필아미노메틸, 디이소프로필아미노에틸, 디부틸아미노에틸 등),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방향족 고리기,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비방향족 고리기,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C3-6시클로알킬-C1-6알킬,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C3-6시클로알킬-C1-6알콕시, C1-6알콕시-C1-6알콕시, 아실, 아실아미노, 아실옥시, 아실-C1-6알킬, 아실아미노-C1-6알킬, 아실옥시-C1-6알킬 등이 포함된다.
Ar 에 대한 "시클릭 기" 는 1 내지 5 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개의 상기 언급된 치환기를 시클릭 기 상의 치환가능한 위치(들)에 가질 수 있다. 치환기의 수가 2 이상인 경우, 각각의 치환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방향족 고리기" 의 "방향족 고리기" 로서, Ar 에 대해 예시된 상기 "방향족 기" 가 언급될 수 있다. "방향족 고리기" 는 바람직하게는 페닐, 나프틸, 5- 또는 6-원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9- 또는 10-원 축합 폴리시클릭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등,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 5- 또는 6-원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등이다. 이중, 페닐, 피리딜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비방향족 고리기" 의 "비방향족 고리기" 로서, Ar 에 대해 예시된 상기 "비방향족 시클릭 탄화수소기" 및 "비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가 언급될 수 있다. "비방향족 고리기" 는 바람직하게는 C3-8시클로알킬, 5- 내지 8-원 모노시클릭 비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등, 더욱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헥실 등이다.
상기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5- 내지 10-원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의 "5- 내지 10-원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로서, 예를 들어 탄소 원자 이외에 질소 원자, 황 원자 및 산소 원자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 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10-원 모노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가 언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2- 또는 3-티에닐; 2-, 3- 또는 4-피리딜; 2- 또는 3-푸릴; 2-, 4- 또는 5-티아졸릴; 2-, 4- 또는 5-옥사졸릴; 1-, 3- 또는 4-피라졸릴; 2-피라지닐; 2-, 4- 또는 5-피리미디닐; 1-, 2- 또는 3-피롤릴; 1-, 2- 또는 4-이미다졸릴; 3- 또는 4-피리다지닐; 3-이소티아졸릴; 3-이속사졸릴; 1, 2, 4-옥사디아졸-5-일; 1, 2, 4-옥사디아졸-3-일; 2-, 3-, 4-, 5- 또는 8-퀴놀릴; 1-, 3-, 4-, 5-, 6-, 7- 또는 8-이소퀴놀릴; 1-, 2-, 3-, 4-, 5-, 6- 또는 7-인돌릴; 1-, 2-, 4- 또는 5-이소인돌릴; 1-, 5- 또는 6-프탈라지닐; 2-, 3- 또는 5-퀴녹살리닐; 2-, 3-, 4-, 5- 또는 6-벤조푸라닐; 2-, 4-, 5- 또는 6-벤조티아졸릴; 1-, 2-, 4-, 5- 또는 6-벤즈이미다졸릴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상기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5- 또는 6-원 헤테로시클릴카르보닐" 의 "5- 또는 6-원 헤테로시클릴카르보닐" 로서, 상기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C7-19아르알킬" 의 "치환기(들)" 에 대해 예시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5- 또는 6-원 헤테로시클릴카르바모일" 의 "5- 또는 6-원 헤테로시클릴카르바모일" 로서, 상기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C7-19아르알킬" 의 "치환기(들)" 에 대해 예시된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5- 또는 6-원 헤테로시클릴카르보닐옥시" 의 "5- 또는 6-원 헤테로시클릴카르보닐옥시" 로서, 예를 들어 니코틴오일옥시, 이소니코틴오일옥시, 2-테노일옥시, 3-테노일옥시, 2-푸로일옥시, 3-푸로일옥시, 모르폴리노카르보닐옥시, 피페리디노카르보닐옥시, 피롤리딘-1-일카르보닐옥시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의 예에는, 탄소 원자 이외에 질소 원자, 황 원자 및 산소 원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 (예컨대, 1 내지 4 개)를 포함하는 5- 내지 14-원,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원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등이 포함된다. 구체적인 예에는,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예컨대 티에닐, 푸릴,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피리딜,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옥사디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푸라자닐, 벤조티에닐, 벤조푸라닐, 벤즈이미다졸릴, 벤즈옥사졸릴, 벤조티아졸릴, 벤즈이소티아졸릴, 나프토[2,3-b]티오페닐, 페녹사티이닐, 인돌릴, 이소인돌릴,1H-인다졸릴, 푸리닐, 4H-퀴놀리디닐, 이소퀴놀리닐, 퀴놀릴, 프탈라지닐, 나프티리디닐, 퀴녹살리닐, 퀴나졸리닐, 신놀리닐, 카르바졸릴, b-카르볼리닐, 펜안트리디닐, 아크리디닐, 페나진페노티아디닐, 페녹사지닐, 프탈이미도 등; 또는 하나 내지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 개)의 방향족 고리 (예컨대, 벤젠 고리 등) 에 상술한 기를 축합시켜 형성되는 기를 포함한다.
"5- 내지 10-원 비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의 예에는, 2- 또는 3-피롤릴, 피롤리디닐, 2- 또는 3-이미다졸리닐, 2-옥사졸리닐, 옥사졸리디닐, 2- 또는 3-피라졸리닐, 피라졸리디닐, 2-티아졸리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헥사메틸렌이미닐, 모르폴리닐, 티오모르폴리닐, 테트라히드로푸라닐 등이 포함된다.
"7- 내지 10-원 가교연결 헤테로시클릭 기" 의 예에는, 퀴누클리디닐, 7-아자비시클로[2.2.1]헵타닐 등이 포함된다.
"헤테로시클릭 기" 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 원자, 황 원자 및 산소 원자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 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10-원 (모노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헤테로시클릭 기이다. 구체적인 예에는,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예컨대 2- 또는 3-티에닐; 2-, 3- 또는 4-피리딜; 2- 또는 3-푸릴; 2-, 4- 또는 5-티아졸릴; 2-, 4- 또는 5-옥사졸릴; 1-, 3- 또는 4-피라졸릴; 2-피라지닐; 2-, 4- 또는 5-피리미디닐; 1-, 2- 또는 3-피롤릴; 1-, 2- 또는 4-이미다졸릴; 3- 또는 4-피리다지닐; 3-이소티아졸릴; 3-이속사졸릴; 1,2,4-옥사디아졸-5-일; 1,2,4-옥사디아졸-3-일; 2-, 3-, 4-, 5- 또는 8-퀴놀릴; 1-, 3-, 4-, 5-, 6-, 7- 또는 8-이소퀴놀릴; 1-, 2-, 3-, 4-, 5-, 6- 또는 7-인돌릴; 1-, 2-, 4- 또는 5-이소인돌릴; 1-, 5- 또는 6-프탈라지닐; 2-, 3- 또는 5-퀴녹살리닐; 2-, 3-, 4-, 5- 또는 6-벤조푸라닐; 2-, 3-, 4-, 5- 또는 6-벤조티에닐; 2-, 4-, 5- 또는 6-벤조티아졸릴; 1-, 2-, 4-, 5- 또는 6-벤즈이미다졸릴 등; 및 비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예컨대 1-, 2- 또는 3-피롤리디닐; 1-, 2-, 4- 또는 5-이미다졸리디닐; 2- 또는 4-이미다졸리닐; 2-, 3- 또는 4-피라졸리디닐; 피페리디노; 2-, 3- 또는 4-피페리딜; 1- 또는 2-피페라지닐; 모르폴리노 등이 포함된다.
상기 "아실아미노" 로서, 예를 들어 상기 "아실" 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치환된 아미노가 언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아실아미노 등이 언급될 수 있다: -NR6-COR7, -NR6-COOR7a, -NR6-SO2R7a, -NR6-CONR7aR7b, -NR6-PO(-OR7)-OR7b또는 -NR6-PO2-R7[식중, R6는 수소 원자 또는 C1-6알킬이고; R7는 상기 R4에 대해 정의되 바와 같고; R7a는 상기 R4a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고; R7b는 R5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다].
상기 "아실옥시" 로서, 예를 들어 상기 "아실" 로부터의 하나로 치환된 옥시가 언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실옥시 등이 언급될 수 있다: -O-COR8, -O-COOR8, -O-CONHR8, -O-PO(OH)-OR8또는 -O-PO2-R8[식중, R8는 상기 R4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다].
Ar 에 대한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시클릭 기" 의 "치환기(들)" 는, 바람직하게는 할로겐 원자 (예컨대,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 C1-3알킬렌디옥시 (예컨대, 메틸렌디옥시, 에틸렌디옥시 등), 니트로, 시아노, 임의로 할로겐화된 C1-10알킬,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방향족 고리기,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비방향족 고리기, 임의로 할로겐화된 C1-10알콕시,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C6-14아릴옥시,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C7-19아르알킬옥시, C3-6시클로알킬-C1-6알킬,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C3-6시클로알킬-C1-6알콕시, 아실, 아실-C1-6알킬, 히드록시, C1-6알콕시-C1-6알콕시, 임의로 할로겐화된 C1-10알킬티오, 아실아미노, 아실옥시 등이다.
Ar 의 바람직한 예로서, 페닐, 5- 또는 6-원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또는 5- 내지 8-원 모노시클릭 비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바람직하게는 페닐, 피리딜, 피페리디닐)이 또한 언급될 수 있고, 각각은 하기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 개의 치환기를 임의로 갖는다: 할로겐 원자 (예컨대,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 C1-3알킬렌디옥시 (예컨대, 메틸렌디옥시, 에틸렌디옥시 등), 니트로, 시아노, 임의로 할로겐화된 C1-10알킬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임의로 할로겐화된 C1-10알콕시 (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펜틸옥시, 이소펜틸옥시 등),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C6-14아릴옥시 (바람직하게는 페녹시), 치환기(들) (바람직하게는 할로겐 원자, 임의로 할로겐화된 C1-10알킬, 임의로 할로겐화된 C1-10알콕시 등)를 임의로 갖는 C7-19아르알킬옥시 (바람직하게는 벤질옥시), C3-6시클로알킬-C1-6알킬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프로필메틸),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C3-6시클로알킬-C1-6알콕시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프로필메톡시), 아실 [바람직하게는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알킬-카르보닐 (예컨대, 펜타노일, 헥사노일 등),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알킬술포닐 (예컨대, 부틸술포닐, 등) 등], 아실-C1-6알킬 [바람직하게는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알킬-카르보닐-C1-6알킬 (예컨대, 프로파노일메틸, 프로파노일에틸, 2-메틸프로파노일메틸, 부타노일메틸, 3-메틸부타노일메틸, 펜타노일메틸 등),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알킬술포닐-C1-6알킬 (예컨대, 프로필술포닐메틸, 부틸술포닐메틸, 등), C6-14아릴-카르보닐-C1-6알킬 (예컨대, 벤조일메틸 등), C3-6시클로알킬-카르보닐-C1-6알킬 (예컨대, 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메틸, 시클로부틸카르보닐메틸 등), 5- 또는 6-원 헤테로시클릴카르보닐-C1-6알킬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로일메틸 등) 등], 히드록시, C1-6알콕시-C1-6알콕시 (바람직하게는 메톡시메톡시, 에톡시에톡시), 임의로 할로겐화된 C1-10알킬티오 (바람직하게는 메틸티오, 부틸티오 등), 아실아미노 [바람직하게는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알킬-카르복사미도 (예컨대, 프로필카르복사미도, 이소프로필카르복사미도, 부틸카르복사미도 등), 치환기(들) (바람직하게는 C1-6알킬-카르보닐-C1-6알킬)를 임의로 갖는 C6-14아릴-카르복사미도 (바람직하게는 페닐카르복사미도, 프로파노일메틸페닐카르복사미도 등) 등], 아실옥시 [바람직하게는 C1-6알킬-카르보닐옥시 (예컨대, 프로파노일옥시, 부타노일옥시 등)] 등.
X 에 대한 "1 내지 6 개 원자의 주쇄를 갖는 간격자" 는 1 내지 6 개 원자의 간격으로 주쇄에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주쇄내 원자수" 는 주쇄내 원자수가 최소가 되도록 계수된다. 예를 들어, 1,2-시클로펜틸렌의 원자수는 2 로서 계수되고, 1,3-시클로펜틸렌의 원자수는 3 으로서 계수된다.
X 는 바람직하게는 결합이다.
Y 에 대한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2가 탄화수소기 (CO 제외)" 의 "치환기(들)" 로서, 예를 들어 할로겐 원자 (예컨대,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 C1-3알킬렌디옥시 (예컨대, 메틸렌디옥시, 에틸렌디옥시 등), 니트로, 시아노, 임의로 할로겐화된 C1-10알콕시, 임의로 할로겐화된 C1-10알킬티오, 히드록시, 아미노, 모노- 또는 디-C1-10알킬아미노, 포르밀, 카르복시, 카르바모일, 티오카르바모일,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알킬-카르보닐, C1-6알콕시-카르보닐, 모노- 또는 디-C1-6알킬-카르바모일,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알킬술포닐, 포르밀아미노,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알킬-카르복사미도, C1-6알콕시-카르복사미도, C1-6알킬술포닐아미노, C1-6알킬-카르보닐옥시, C1-6알콕시-카르보닐옥시, 모노- 또는 디-C1-6알킬-카르바모일옥시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상기 치환기로서, 상기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C7-19아르알킬" 의 "치환기(들)" 과 유사한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치환기 수는, 예를 들어 1 내지 5 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개이다. 치환기 수가 2 이상인 경우, 각각의 치환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방향족 고리기" 로서, Ar 에 대한 상기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시클릭 기" 에 대해 예시된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식중, 화학식내 기호는 각각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치환기 수는, 예를 들어 1 내지 3 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개이다. 치환기 수가 2 이상인 경우, 각각의 치환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화합물 (I) 의 바람직한 예로서, 하기의 화합물이 언급될 수 있다.
Ar 이 페닐 또는 5- 또는 6-원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또는 5- 내지 8-원 모노시클릭 비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바람직하게는 페닐, 피리딜, 피페리디닐)이고, 각각은 하기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 개의 치환기를 임의로 갖고: 할로겐 원자 (예컨대,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 C1-3알킬렌디옥시 (예컨대, 메틸렌디옥시, 에틸렌디옥시 등), 니트로, 시아노, 임의로 할로겐화된 C1-10알킬, 임의로 할로겐화된 C1-10알콕시,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C6-14아릴옥시,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C7-19아르알킬옥시,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C3-6시클로알킬-C1-6알콕시 치환기(들), 아실, 아실-C1-6알킬 등;
고리 A 및 고리 B 는 하기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 개의 치환기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게는 불소, 염소, 브롬 등),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프로필, 트리플루오로메틸 등) 및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알콕시 (바람직하게는 메톡시, 에톡시 등).
Ar 은 페닐, 5- 또는 6-원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바람직하게는 피리딜), 또는 5- 내지 8-원 모노시클릭 비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 (바람직하게는 피페리디닐)이고, 각각은 하기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 개의 치환기를 임의로 갖고: 할로겐원자 (예컨대,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 C1-3알킬렌디옥시 (예컨대, 메틸렌디옥시, 에틸렌디옥시 등), 니트로, 시아노, 임의로 할로겐화된 C1-10알킬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임의로 할로겐화된 C1-10알콕시 (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펜틸옥시, 이소펜틸옥시 등),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C6-14아릴옥시 (바람직하게는 페녹시),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C7-19아르알킬옥시 (바람직하게는 벤질옥시) (바람직하게는 할로겐 원자, 임의로 할로겐화된 C1-10알킬, 임의로 할로겐화된 C1-10알콕시 등), C3-6시클로알킬-C1-6알킬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프로필메틸),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C3-6시클로알킬-C1-6알콕시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프로필메톡시), 아실 [바람직하게는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알킬-카르보닐 (예컨대, 펜타노일, 헥사노일 등),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알킬술포닐 (예컨대, 부틸술포닐 등) 등], 아실-C1-6알킬 [바람직하게는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알킬-카르보닐-C1-6알킬 (예컨대, 프로파노일메틸, 프로파노일에틸, 2-메틸프로파노일메틸, 부타노일메틸, 3-메틸부타노일메틸, 펜타노일메틸 등),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알킬술포닐-C1-6알킬 (예컨대, 프로필술포닐메틸, 부틸술포닐메틸 등), C6-14아릴-카르보닐-C1-6알킬 (예컨대, 벤조일메틸 등), C3-6시클로알킬-카르보닐-C1-6알킬 (예컨대, 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메틸, 시클로부틸카르보닐메틸등), 5- 또는 6-원 헤테로시클릴카르보닐-C1-6알킬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로일메틸 등) 등], 히드록시, C1-6알콕시-C1-6알콕시 (바람직하게는 메톡시메톡시, 에톡시에톡시), 임의로 할로겐화된 C1-10알킬티오 (바람직하게는 메틸티오, 부틸티오 등), 아실아미노 [바람직하게는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알킬-카르복사미도 (예컨대, 프로필카르복사미도, 이소프로필카르복사미도, 부틸카르복사미도 등),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C6-14아릴-카르복사미도 (바람직하게는 페닐카르복사미도, 프로파노일메틸페닐카르복사미도 등) (바람직하게는 C1-6알킬-카르보닐-C1-6알킬) 등] 및 아실옥시 [바람직하게는 C1-6알킬-카르보닐옥시 (예컨대, 프로파노일옥시, 부타노일옥시 등)];
고리 A 및 고리 B 는 하기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 개의 치환기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게는 불소, 염소, 브롬 등),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프로필, 트리플루오로메틸 등) 및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알콕시 (바람직하게는 메톡시, 에톡시 등).
N-[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2-옥소펜틸)벤즈아미드 (실시예 번호: 315); 또는 이들의 염.
화합물 (I) 이 염의 형태인 경우, 이의 구체적인 예에는, 무기염기와의 염, 암모늄염, 유기염기와의 염, 유기염과의 염, 무기산과의 염, 유기산과의 염, 염기성 또는 산성 아민산과의 염 등이 포함된다.
무기 염기과의 염의 바람직한 예에는, 알칼리 금속염, 예컨대 나트륨염, 칼륨염, 등; 알칼리 토금속염, 예컨대 칼슘염, 마그네슘염, 바륨염 등; 알루미늄염 등이 포함된다.
유기 염기와의 염의 바람직한 예에는,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피콜린,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등과의 염이 포함된다.
무기산과의 염의 바람직한 예에는, 염산, 브롬산, 질산, 황산, 인산 등과의 염이 포함된다.
유기산과의 염의 바람직한 예에는,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푸마르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말레산, 시트르산, 숙신산, 말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과의 염이 포함된다.
염기성 아미노산과읨 염의 바람직한 예에는, 아르기닌, 리신, 오르니틴 등과의 염이 포함된다.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의 예에는, 아스파트산, 글루탐산 등과의 염이 포함된다.
이중,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바람직하다.
화합물 (I) 이 산성 관능기를 갖는 경우에 바람직한 예에는, 무기염, 예컨대 알칼리 금속염 (예컨대, 나트륨염, 칼륨염 등), 알칼리 토금속염 (예컨대, 칼슘염, 마그네슘염, 바륨염 등) 등, 암모늄염 등이 포함되고; 및 화합물 (I) 이 염기성 관능기를 갖는 경우에는, 무기염, 예컨대 히드로클로라이드, 술페이트, 포스페이트 및 히드로브로마이드; 또는 유기염, 예컨대 아세테이트, 말레에이트, 푸마레이트, 숙시네이트, 메탄술포네이트, p-톨루엔술포네이트, 시트레이트 및 타르트레이트가 포함된다.
화합물 (I) 은 무수물 또는 수화물일 수 있다. 수화물인 경우, 이는 0.5 내지 3 의 수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합물 (I) 은 광학 이성질체, 입체이성질체, 영역(regio) 이성질체 및 회전 (rotational) 이성질체를 포함하고, 이들은 화합물 (I) 의 범위내이며, 합성 또는 자명하게 공지된 분리방법에 의해서 단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 (I) 의 광학 이성질체가 존재하는 경우, 광학 분리를 통해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분리되는 것들은 화합물 (I) 의 범위내이다.
상기 광학 이성질체는 자명하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 활성인 합성 중간체가 사용되거나, 최종 산물의 라세미체의 혼합물을 통상적인 광학 분해 처리하여, 대응하는 광학 이성질체를 수득한다.
광학 분해 방법으로서, 자명하게 공지되어 있는 방법, 예컨대 하기에 기술되어 있는 분획 재결정 방법, 키랄 컬럼 방법, 부분입체이성질체 방법이 사용된다.
라세미체를 광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 (예컨대, (+)-만델산, (-)-만델산, (+)-타르타르산, (-)-타르타르산, (+)-1-페네틸아민, (-)-1-페네틸아민, 신코닌, (-)-신코니딘, 부루신 등)과 반응시켜, 염을 수득한 다음, 분획 재결정 방법을 통해 단리시키고, 요구되는 경우 중화되도록 화합물을 처리하여 유리 광학 이성질체를 수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광학 이성질체 (키랄 컬럼) 를 분획하하기 위한 컬럼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라세미체 또는 이의 염의 분리 방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경우에, 예를 들어 광학 이성질체를 키랄 컬럼, 예컨대 ENANTIO-OVM (Tosoh Corp. 제조), CHIRAL SERIES (Daicel Co. 제조) 등에 적용한 다음, 물, 각종 완충액 (예컨대, 포스페이트 완충액) 및 유기 용매 (예컨대,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아세토니트릴,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디에틸아민 등) 로 용출하여, 단독 또는 적당한 혼합물로서 개별적인 광학 이성질체를 분리한다.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의 경우에, 예를 들어 키랄 컬럼, 예컨대 CP-Chirasil-DeX CB (GL Science Co. 제조) 등이 분리를 위해 사용된다.
라세믹 혼합물을 광학적으로 활성인 시약과 반응시켜, 부분입체 이성질체의 혼합물을 수득하고, 이에 통상적인 분리 수단 (예컨대, 분획 재결정,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적용시켜, 단일 화합물을 수득한다. 이어서, 상기 분리된 단일 화합물은 화학적으로 처리되고, 예를 들어 가수분해를 통해 화합물로부터 광학적으로 활성인 시약 부위를 제거함으로써 광학 이성질체를 수득한다. 예를 들어, 화합물 (I) 이 히드록시기 또는 1차 또는 2차 아미노기를 분자내에 갖는 경우, 광학적으로 활성인 유기산 (예컨대, MTPA [a-메톡시-a-(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산], (-)-멘톡시아세트산 등) 등에 축합하여, 대응하는 에스테르형 또는 아미드형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수득한다. 한편, 화합물 (I) 이 카르복실산 기를 갖는 경우, 이는 광학적으로 활성인 아민 또는 알콜 시약에 축합시켜, 대응하는 아미드형 또는 에스테르형 부분입체이성질체를 각각 수득한다. 이어서, 상기 분리된 부분입체이성질체에 본래 화합물의 광학이성질체로 전환시키는 산성 또는 염기성 가수분해를 수행한다.
화합물 (I) 의 전구약물은 생체내에서 효소 또는 위장 쥬스 등의 작용에 의해서 생리학적 조건하에서 화합물 (I) 로 전환될 수 있는 화합물, 즉 효소적 산화, 환원 또는 가수분해시에 화합물 (I) 로 전환될 수 있는 화합물, 또는 위장 쥬스 등에 의한 가수분해시에 화합물 (I) 로 전환될 수 있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화합물 (I) 의 전구약물로서, 화합물 (I) 의 아미노기의 아실화, 알킬화 또는 포스포릴화에 의해 유도된 화합물 (예컨대, 화합물 (I) 의 아미노기의 에이코사노일화, 알라닐화, 펜틸아미노카르보닐화, (5-메틸-2-옥소-1,3-디옥솔렌-4-일)메톡시카르보닐화, 테트라히드로푸라닐화, 피롤리딜메틸화, 피발로일옥시메틸화 또는 tert-부틸화 등에 의해 유도된 화합물); 화합물 (I) 의 히드록실기의 아실화, 알킬화, 포스포릴화 또는 붕소화에 의해 유도된 화합물 (예컨대, 화합물 (I) 의 히드록실기의 아세틸화, 팔미토일화, 프로파노일화, 피발로일화, 숙시닐화, 푸마릴화, 알라닐화 또는 디메틸아미노메틸카르보닐화 등에 의해 유도된 화합물); 및 화합물 (I) 의 카르복실기의 에스테르화 또는 아미드화에 의해 유도된 화합물 (예컨대, 화합물 (I) 의 카르복실기의 에틸 에스테르화, 페닐 에스테르화, 카르복시메틸 에스테르화, 디메틸아미노메틸 에스테르화, 피발로일옥시메틸 에스테르화, 에톡시카르보닐옥시에틸 에스테르화, 프탈리딜 에스테르화, (5-메틸-2-옥소-1,3-디옥솔렌-4-일)메틸 에스테르화, 시클로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 에스테르화, 또는 메틸아미드화 등에 의해 유도된 화합물)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자명하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화합물 (I) 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화합물 (I) 은 하기에 상세히 기재된 [제조방법 1] 내지 [제조방법 4],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출발 물질 화합물용 화합물은 각각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서, 상기 화합물 (I) 에 대해 예시된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하기 [제조방법 1] 내지 [제조방법 4] 에 있어서, 알킬화 반응, 가수분해 반응, 아민화 반응, 에스테르화 반응, 아미드화 반응, 에스테르화 반응, 에테르화 반응, 산화 반응, 환원 반응 등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반응은 자명하게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Organic Functional Group Preparations, 2nd Ed., Academic Press Inc., 1989;Comprehensive Organic Transformations, VCH Publishers Inc., 1989; 등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행된다.
하기 화합물 중, 화합물 (I), (Ia), (Ib), (Ic), (III), (IIIa), (IIIb), (IIIh) 및 (IIIj) 는 신규한 화합물이다.
화합물 (I) 은, 예를 들어 하기의 아미드화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식중, 화학식내의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아미드화 반응" 에는, 후술되는 "탈수축합제를 이용한 방법" 및 "카르복시의 반응성 유도체를 이용하는 방법" 이 포함된다.
화합물 (III), 1 내지 5 당량의 화합물 (II) 및 1 내지 2 당량의 탈수축합제를 비활성 용매 중에서 반응시킨다. 필요한 경우, 반응은 1 내지 1.5 당량의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HOBT) 및/또는 촉매활성량 내지 5 당량의 염기의 공존하에 수행될 수 있다.
"탈수축합제" 로서, 예를 들어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DC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WSC)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이중, WSC 가 바람직하다.
"비활성 용매" 로서, 예를 들어 니트릴 용매 (바람직하게는 아세토니트릴), 아미드 용매 (바람직하게는 DMF), 할로겐화된 탄화수소 용매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 에테르 용매 (바람직하게는 THF)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상기 중 2종 이상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1) 강염기, 예컨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히드라이드 (예컨대, 리튬 히드라이드, 나트륨 히드라이드, 칼륨 히드라이드, 칼슘 히드라이드 등),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아미드 (예컨대, 리튬 아미드, 나트륨 아미드,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리튬 디시클로헥실아미드, 리튬 헥사메틸디실라지드, 나트륨 헥사메틸디실라지드, 칼륨 헥사메틸디실라지드 등),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저급 알콕시드 (예컨대, 나트륨 메톡시드, 나트륨 에톡시드, 칼륨 tert-부톡시드 등), 등;
2) 무기 염기, 예컨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히드록시드 (예컨대, 나트륨 히드록시드, 칼륨 히드록시드, 리튬 히드록시드, 바륨 히드록시드, 등),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카보네이트 (예컨대, 나트륨 카보네이트, 칼륨 카보네이트, 세슘 카보네이트, 등),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소 카보네이트 (예컨대, 나트륨 수소 카보네이트, 칼륨 수소 카보네이트 등) 등; 및
3) 유기 염기, 예컨대 하기로 예시되는 아민: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N-메틸모르폴린, 디메틸아미노피리딘, DBU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크-7-엔), DBN (1,5-디아자비시클로[4.3.0]논-5-엔) 등; 하기로 예시되는 염기성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피리딘, 이미다졸, 2,6-루티딘 등. 상기 언급된 염기 중, 트리에틸아민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이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상온 (0 내지 30℃, 이하, 동일함) 이다. 반응 시간은, 예를 들어 10 시간 내지 24 시간이다.
화합물 (II) 의 반응성 유도체 및 1 내지 5 당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당량) 의 화합물 (III) 를 비활성 용매 중에서 반응시킨다. 필요한 경우, 반응은 1 내지 10 당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당량의 염기의 공존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화합물 (II) 의 "반응성 유도체" 에는, 예를 들어 산 할라이드 (예컨대, 산 클로라이드, 산 브로마이드 등), 혼합 산 무수물 (예컨대, C1-6알킬 카르복실산, C6-10아릴 카르복실산 또는 C1-6알킬 카본산 등과의 무수물), 활성화 에스테르 (예컨대,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페놀과의 에스테르,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또는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등) 등이 포함된다.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페놀" 의 "치환기(들)" 에는, 예를 들어 할로겐원자 (예컨대,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 니트로,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알킬 및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알콕시가 포함된다. 치환기 수는, 예를 들어 1 내지 5 이다.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페놀" 의 구체적인 예에는, 페놀, 펜타클로로페놀, 펜타플루오로페놀, p-니트로페놀 등이 포함된다. 반응성 유도체는, 바람직하게는 산 할라이드이다.
"비활성 용매" 에는, 예를 들어 에테르 용매, 할로겐화된 탄화수소 용매, 방향족 용매, 니트릴 용매, 아미드 용매, 케톤 용매, 술폭시드 용매, 물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적당한 비율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 아세토니트릴, THF,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이 바람직하다.
"염기" 로서, 상술한 것과 유사한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염기는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히드라이드, 칼륨 카보네이트, 나트륨 카보네이트, 나트륨 히드록시드, 칼륨 히드록시드, 나트륨 수소 카보네이트, 칼륨 수소 카보네이트,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등이다.
반응 시간은 일반적으로 -2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상온이다. 반응 시간은 일반적으로 5 분 내지 40 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8 시간이다.
상술한 화합물 (II) 은 자명하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식중, W 는 아미노 보호기이고, 기타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탈보호 반응은, 예를 들어 산, 예컨대 미네랄 산 (예컨대, 염산, 황산, 브롬산, 요오드산, 과요오드산 등) 등, 또는 염기, 예컨대 알칼리 금속 히드록시드 (예컨대, 나트륨 히드록시드, 칼륨 히드록시드, 리튬 히드록시드) 등의 수용액 중에서 화합물 (IIIa) 를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40℃ 에서 유지시키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사용되는 산 및 염기의 양은, 화합물 (IIIa) 에 대해 일반적으로 1 내지 100 당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당량이다. 산 또는 염기의 강도는 일반적으로 0.1N 내지 18N, 바람직하게는 1N 내지 12N 이다.
반응 시간은 일반적으로 0.5 시간 내지 48 시간, 바람직하게는 1 시간 내지 24 시간이다.
W 가 tert-부톡시카르보닐기 등인 경우, 탈보호 반응은 또한 화합물 (IIIa) 를 유기 산 (예컨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포름산, 아세트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등) 중에 용해시킨 후, 일반적으로 -2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0℃ 로 유지시키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사용되는 유기 산의 양은, 화합물 (IIIa) 에 대해 일반적으로 1 내지 100 당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당량이다.
또한, 탈보호 반응은, 화합물 (IIIa) 에 촉매로서 팔라듐, 팔라듐-탄소, 라니(Raney)-니켈, 라니 코발트, 플라티늄 옥시드 등을 이용한 촉매 수소화 반응을,예를 들어 알콜 용매 (예컨대 에탄올 등) 또는 아세트산 등의 용매 중에서 정상압 또는 필요한 경우 가압하에 수행하여 실행된다.
[식중, 화학식내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이탈기" 는, 바람직하게는 할로겐 원자 (예컨대, 염소, 브롬, 요오드 등), 메탄술포닐옥시,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옥시, p-톨루엔술포닐옥시 등이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비활성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비활성 용매" 로서, 예를 들어 알콜 용매, 에테르 용매, 할로겐화된 탄화수소 용매, 방향족 용매, 니트릴 용매, 아미드 용매, 케톤 용매, 술폭시드 용매, 물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이들은 2종 이상의 적절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 아세토니트릴,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F), 아세톤, 에탄올, 피리딘 등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화합물 (IV) 의 양은, 화합물 (IIIb) 에 대해 일반적으로 1 당량 내지 100 당량이다. 과량의 화합물 (IV) 가 또한 반응 용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약 -2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상온 내지 100℃ 이다. 반응 시간은, 예를 들어 약 0.5 시간 내지 1 일이다.
반응은 또한 염기의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다. 염기로서, "탈수축합제를 사용하는 방법" 에 대해 예시된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염기는,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히드라이드, 칼륨 카보네이트, 나트륨 카보네이트, 나트륨 히드록시드, 칼륨 히드록시드, 나트륨 수소 카보네이트, 칼륨 수소 카보네이트,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등이다. 사용되는 염기의 양은, 화합물 (IIIb) 에 대해 일반적으로 0.1 내지 100 당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당량이다.
[식중, 화학식내 기호는 상기한 바와 같다].
"염기" 로서, "탈수축합제를 이용한 반응" 에 대해 예시된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염기는, 바람직하게는 칼륨 카보네이트, 나트륨 수소 카보네이트, 트리에틸아민, N-메틸모르폴린, 피리딘 등이다. 사용되는 염기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당량이다.
"비활성 용매" 로서, 예를 들어 에테르 용매, 할로겐화된 탄화수소 용매, 방향족 용매, 니트릴 용매, 아미드 용매, 케톤 용매, 술폭시드 용매 등이 언급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2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0℃ 이다. 반응 시간은 일반적으로 0.1 시간 내지 48 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4 시간이다.
L 이 할로겐 원자인 화합물 (IIIb) 는 화합물 (IIIh) 에 공지된 할로겐화 반응을 수행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할로겐화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할로겐화제로서, 예를 들어 할로겐화된 무기 산, 예컨대 티오닐 클로라이드, 티오닐 브로마이드, 인 트리클로라이드, 인 펜타클로라이드, 인 옥시클로라이드 등; 수소 할라이드, 예컨대 수소 클로라이드, 수소 브로마이드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용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수행된다. 용매로서, 예를 들어 화합물 (IIIh) 및 술포닐 할라이드의 상술한 반응에 사용되는 "비활성 용매" 등이 언급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2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0℃ 이다. 반응 시간은 일반적으로 0.1 시간 내지 48 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4 시간이다.
상술한 화합물 (IV) 는 자명하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화합물 (IIIc) 를 일반적으로 1 내지 20 당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당량의 화합물 (IV) 과 환원제의 존재하에 비활성 용매중에서 반응시켜 수행될 수 있다.
"비활성 용매" 로서, 예를 들어 알콜 용매, 에테르 용매, 할로겐화된 탄화수소 용매, 방향족 용매, 니트릴 용매, 아미드 용매, 유기 산 용매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이들은 둘 이상의 적절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 메탄올, 에탄올, 아세트산 등이 바람직하다.
환원제로서, 예를 들어 나트륨 보로히드라이드, 트리아세톡시 나트륨 보로히드라이드, 나트륨 시아노 보로히드라이드 등이 사용된다. 사용되는 환원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1 내지 20 당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당량이다.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2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이다. 반응 시간은 일반적으로 5 분 내지 40 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4 시간이다.
상기 반응은 또한 산의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다. 사용되는 산으로서, 예를 들어 유기 산, 예컨대 아세트산, 메탄술폰산 등; 무기 산, 예컨대 염산, 황산 등이언급될 수 있다. 사용되는 산의 양은, 무기산인 경우, 일반적으로 0.01 당량 내지 0.1 당량이고, 유기 산인 경우, 일반적으로 0.01 당량 내지 100 당량이다. 유기 산을 사용하는 경우, 과량의 유기 산이 반응 용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화합물 (IIIc) 는, 자명하게 공지된 방법에서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 (IIIc) 에 함유된 N-(3-포르밀-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Synthesis, p. 1351(2001), 등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화합물 (IIIc) 는 또한, 상술한 화합물 (IIIh) 에 공지된 산화 반응을 수행하여 제조될 수 있다. 산화 반응은 예를 들어 산화제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산화제의 경우, 예를 들어 망간 디옥시드, 크롬산, 납 테트라아세테이트, 은 옥시드, 구리 옥시드, 산 할라이드, 디메틸 술폭시드를 이용하는 산화 (Swern 산화), 유기 과산, 산소, 전극-산화 등이 이용된다.
화합물 (IIIc) 는 또한 후술되는 에스테르 화합물 (IIId) 로부터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유기 금속 시약, 예컨대 그리냐르 시약, 디알킬 구리 리튬 등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화합물 (IIIa) 는 또한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에 화합물 (VI) 와의 공지된 축합 반응 (예컨대, 탈수축합제 또는 카르복시의 반응성 유도체를 이용한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고, 생성된 아미드 화합물에 공지된 환원 반응을 수행하여 제조될 수 있다:
[식중, 화학식내 각각의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상기 환원 반응은 일반적으로 환원제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환원제로서, 예를 들어 보로히드라이드 시약, 예컨대 디보란, 나트륨 보로히드라이드 등, 알루미늄 히드라이드 시약, 예컨대 리튬 알루미늄 히드라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 (IIId) 는 자명하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 (IIId) [식중, Ya 는 결합이다] 는 JP-A-2001-139555 등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에틸 7-아미노-3-퀴놀린카르복실레이트의 아미노기를 W 로 보호하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보호기는 자명하게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Protective Group in Orginic Synthesis, John Wiley and Sons (1980) 등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도입될 수 있다.
화합물 (I) 은 또한, 예를 들어 화합물 (IIIj) 를 화합물 (IV) 와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식중, 화학식내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은, 상기 언급된 화합물 (IIIb) 과 화합물 (IV) 의 반응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Ar 이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비방향족 시클릭 아미노 기이고, X 가 결합인 화합물 (Ia) 는 또한, 예를 들어 하기 우레아 반응에 반응에 의해서 제조된다:
[식중, Ar' 는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비방향족 시클릭 아미노 기이고, Ph 는 페닐 기이고, 기타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Ar' 에 대한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비방향족 시클릭 아미노 기" 로서, 시클릭 기가 비방향족 시클릭 아미노 기인 Ar 에 대해 예시된 상기 "치환기(들)을 임의로 갖는 시클릭 기" 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비방향족 시클릭 아미노 기의 구체적인 예로서,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모르폴리닐, 티오모르폴리닐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화합물 (IIIk) 를 1 내지 5 당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당량) 의 화합물 (IIa) 와 비활성 용매 중에서 염기의 공존하에 반응시켜 수행된다.
"염기" 로서, 상술한 "탈수축합제를 이용한 방법" 에서 예시된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염기는, 바람직하게는 칼륨 카보네이트, 나트륨 카보네이트, 나트륨 히드록시드, 칼륨 히드록시드, 나트륨 수소 카보네이트, 칼륨 수소 카보네이트,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등이다.
"비활성 용매" 로서, 예를 들어 알콜 용매, 에테르 용매, 할로겐화된 탄화수소 용매, 방향족 용매, 니트릴 용매, 아미드 용매, 케톤 용매, 술폭시드 용매, 물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이들은 2종 이상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중, 아세토니트릴, DMF, 아세톤, 에탄올, 피리딘 등이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약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상온 내지 80℃이다. 반응 시간은, 예를 들어 약 0.5 시간 내지 1 일이다.
상술한 화합물 (IIa) 및 화합물 (IIIk) 는 자명하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예를 들어 화합물 (IIb) 를 1 내지 3 당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당량) 의 화합물 (Ic) 과 비활성 용매 중에서 염기 및 전이 금속 촉매의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염기" 로서, 상기 "탈수축합제를 사용하는 방법" 에서 예시된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염기는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카보네이트, 나트륨 수소 카보네이트 등이다.
사용되는 "염기" 의 양은, 예를 들어 화합물 (Ic) 에 대해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10 당량이다.
"전이 금속 촉매" 로서, 예를 들어 팔라듐 촉매, 니켈 촉매 등이 언급될 수 있다. "팔라듐 촉매"로서, 예를 들어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0), 팔라듐 아세테이트,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클로라이드, 팔라듐-탄소 등이 언급될 수 있다.
"니켈 촉매" 로서, 예를 들어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니켈(0)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사용되는 "전이 금속 촉매" 의 양은, 일반적으로 화합물 (Ic) 에 대해 약 0.01 내지 1 당량,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5 당량이다.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상온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약 80℃ 내지 150℃ 이다. 반응 시간은, 예를 들어 약 1 내지 48 시간이다.
"비활성 용매" 로서, 예를 들어 물, 알콜 용매, 방향족 용매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이들은 둘 이상의 적절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중, 물, 에탄올, 톨루엔 등의 단독 또는 둘 이상의 혼합 용매가 바람직하다.
상술한 화합물 (IIb) 는 자명하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화합물 (Ic) 은 화합물 (I) 에 포함되고, 예를 들어 상술한 [제조방법 1] 등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알콜 용매" 로서,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tert-부탄올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상술한 "에테르 용매" 로서, 예를 들어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THF), 1,4-디옥산, 1,2-디메톡시에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할로겐화된 탄화수소 용매" 로서,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1,2-디클로로에탄, 탄소 테트라클로라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방향족 용매" 로서, 예를 들어 벤젠, 톨루엔, 크실렌, 피리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탄화수소 용매" 로서, 예를 들어 헥산, 펜탄, 시클로헥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아미드 용매" 로서, 예를 들어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F),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케톤 용매" 로서, 예를 들어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술폭시드 용매" 로서, 예를 들어 디메틸 술폭시드 (DMSO)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니트릴 용매" 로서, 예를 들어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득된 화합물 (I) 에 있어서, 분자내의 관능기는 또한, 자명하게 공지된 화학 반응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서 목적 관능기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한 화학반응의 예로서, 산화 반응, 환원 반응, 알킬화 반응, 가수분해 반응, 아민화 반응, 에스테르화 반응, 아릴 커플링 반응, 탈보호 반응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상술한 반응 각각에 있어서, 출발 물질 화합물이 아미노 기, 카르복시 기, 히드록시 기 또는 카르보닐 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경우, 펩티드 화학물질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호기가 도입될 수 있고, 목적 화합물이 필요한 반응 후에 보호기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아미노 보호기로서, 상술한 W 에 대해 예시된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 (I) 은 자명하게 공지된 방법, 예컨대 용매 추출, 액체 성질 변화, 트랜스분해(transdisollution), 결정화, 재결정화 크로마토그래피 등에 의해 분리되고 정제될 수 있다. 화합물 (I) 의 출발물질 또는 이의 염을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분리하고 정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들은 또한 분리없이 반응 혼합물로서 이후의 공정에서 출발물질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 (I) 및 이의 전구약물 (이후, 본 발명의 화합물로 약함) 은 우수한 MCH 수용체 길항제 작용을 가지므로, MCH 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낮은 독성, 우수한 경구 흡수 성능 및 뇌로의 전달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MCH 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로서 포유동물 (예컨대, 랫트, 마우스, 기니픽, 래빗, 양, 말, 돼지, 소, 원숭이, 인간 등)에게 안전하게 투여된다.
MCH 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에는, 예를 들어 비만 [예컨대, 악성 비만세포증, 외생적 비만, 고인슐린성 비만, 과혈장성 비만, 뇌하수체 지방비만, 저혈장성 비만, 갑상선기능부전 비만, 시상하부성 비만, 대증성(symptomatic) 비만, 소아 비만, 상체 비만, 영양작용(alimentary) 비만, 성기능저하 비만, 전신 비만세포증, 단순 비만, 중추 비만 등], 식욕과다증, 흥분성 장해, 성기능부전, 울병, 불안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생활양식-관련 질환, 예컨대 당뇨병, 당뇨병 합병증, (예컨대, 당뇨병성 망막병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당뇨병성 신장병증 등), 동맥경화, 슬관절염 등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식이 억지제로서 또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식이 치료(예컨대, 당뇨병 등에 대한 식이 치료) 또는 운동 치료와 병행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멜라닌 또는 멜라노사이트의 이상에 기초한 색소침착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색소침착 질환으로서, 색소 증식, 색소 질환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색소 증식으로서, 항종양제 등에 의해 유발되는 약물 색소침착; 색소세포증(chromatosis), 및 내분비 대사 질환 (예컨대, 애디슨 질환 (Addison's disease))과 같은 질환에 관련된 색소의 비적합성, 유전성 질환, 만성 간병증, 신부전, 흑색극세포증 (acanthosis nigricans), 전신 피부경화증 (systemic scleroderma)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색소 질환으로서, 페닐케톤뇨증, 전신 또는 국소 백피증, 결정성 경화에 관련된 엽상 백혈병 (foliaceous leukoderma) 또는 통상의 백혈병; 전신 피부경화증에 관련된 탈색소침착 등이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간반 (chloasma), 모반 (ephelides), 선번(sunburn) 등으로 인한 탈색소침착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및 또한, 화장 목적용 과색소침착 및 저색소침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그 자체로 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자명하게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하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로서, 제제용 물질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 담체 물질, 예컨대 고체 제제용 부형제, 윤활제, 접합제, 붕해제; 액체 제제용 용매, 용해 보조제, 현탁재, 등장화제, 완충액, 진정제 (soothing agent)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제제의 제형화에 있어서, 보존제, 항산화제, 착색제, 감미제, 흡수제, 보습제 등과 같은 첨가제가 필요하다면 첨가될 수 있다.
부형제의 예에는,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D-만니톨, 전분, 옥수수 전분, 결정성 셀룰로오스, 경량성 규소 함유 무수물 등이 포함된다.
윤활제의 예에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콜로이드성 실리카 등이 포함된다.
접합제의 예에는, 결정성 셀룰로오스, 사카로오스, D-만니톨, 덱스트린,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전분, 수크로오스, 젤라틴, 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등이 포함된다.
붕해제의 예에는, 전분,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칼슘,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전분 나트륨, 저급 치환된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L-HPC) 등이 포함된다.
용매의 예에는, 주사용 물, 알콜, 프로필렌 글리콜, 마크로골, 참께유, 옥수수유 등이 포함된다.
용해 보조제의 예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D-만니톨, 벤질 벤조에이트, 에탄올, 트리스-아미노메탄, 콜레스테롤, 트리에탄올아민, 나트륨 카보네이트, 나트륨 시트레이트 등이 포함된다.
현탁제의 예에는, 계면활성제, 예컨대 스테아릴 트리에탄올아민,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 라우릴 아미노프로피온산, 레시틴,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벤제토늄 클로라이드,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등; 친수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등이 포함된다.
등장화제의 예에는, 글루코오스, D-소르비톨, 나트륨 클로라이드, 글리세린, D-만니톨 등이 포함된다.
완충액의 예에는, 포스페이트, 아세테이트, 카보네이트, 시트레이트 등과 같은 완충액 등이 포함된다.
진정제의 예에는 벤질 알콜 등이 포함된다.
보존제의 예에는, p-옥시벤조산 에스테르, 클로로부탄올, 벤질 알콜, 페네틸 알콜, 데히드로아세트산, 소르브산 등이 포함된다.
항산화제의 예에는 술파이트, 아스코르브산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약 형태의 예에는, 환약과 같은 경구 제제 (당-코팅 환약 및 필름 코팅 환약 포함), 분말, 과립, 캡슐 (연질 캡슐 포함), 액체 등; 주사제와 같은 비경구 제제 (예컨대, 피하 주사제, 정맥내 주사제, 근육내 주사제, 복강내 주사제 등), 외용 제제 (예컨대, 경비(transnasal) 투여 제제, 경피제제, 연구 등), 좌약 (예컨대, 직장 좌약, 페서리 등), 서방 제제 (예컨대, 서방성 마이크로캡슐 등), 펠렛, 드롭 등이 포함되고,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예컨대, 국부, 직장, 정맥내 투여 등) 안전하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내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함량은, 예를 들어 전체 약학 조성물의 전체량에 대해 약 0.1 내지 100 wt% 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약량은, 투여 대상체, 투여 경로, 질환 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이 비만인 (체중 약 60 kg)의 성인 환자에게 경구 투여되는 경우, 하루 투약량은 약 0.1 내지 약 500 ㎎,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100 ㎎ 이고, 상기 투약량은 하루에 한번 또는 여러번으로 나누어서 투여된다.
예를 들어 "비만에 대한 치료 효과의 강화", "울병 또는 불안에 대한 치료 효과의 강화", "사용되는 MCH 길항제의 양의 감소" 등의 목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에 악영향을 발휘하지 않는 조합 약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조합 약물로서, 예를 들어 "항당뇨병제", "당뇨병 합병증 치료제", "MCH 길항제와 다른 항비만제", "고혈압 치료제", "고지혈증 치료제 (동맥경화 치료제)", "관절염 치료제", "항불안제", "항울병제" 등이 언급된다. 이러한 조합 약물은 적합한 비율로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항당뇨병제" 로서, 예를 들어 인슐린 감작제(sensitizer), 인슐린 분비자극제(secretagogue), 비구아나이드계 약제 (biguanide agent), 인슐린, α-굴루코시다아제 억제제, β3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작용물질(agonist) 등이 언급된다.
인슐린 감작제로서, 예를 들어 피오글리타존 또는 이의 염 (바람직하게는 히드로클로라이드), 트로글리타존, 로시글리토존 또는 이의 염 (바람직하게는 말레에이트), 레글리산 (JTT-501), GI-262570, 네토글리타존 (MCC-555), YM-440, DRF-2593, BM-13-1258, KRP-297, R-119702, CS-011, FK-614, WO99/58510 에 기재된 화합물 (예컨대, (E)-4-[4-(5-메틸-2-페닐-4-옥사졸릴메톡시)벤질옥시이미노]-4-페닐부탄산), 테사글리타자르 (AZ-242), 라가글리타자르 (NN-622), BMS-298585, ONO-5816, BM-13-1258, LM-4156, MBX-102, LY-519818, MX-6054, LY-510929 등이 언급된다.
인슐린 분비자극제로서, 예를 들어 술포닐우레아 약제가 언급된다. 술포닐우레아 약제의 예에는, 톨부타미드, 클로프로파미드, 톨라자임드, 아세토헥사미드, 글리클로피라미드 및 이의 암모늄염, 글리벤클라미드, 글리클라지드, 글리메피리데 등이 포함된다.
상기 이외에, 인슐린 분비자극제에는, 예를 들어 레파글리나이드, 나테글리나이드, 미티글리나이드 (KAD-1229), JTT-608 등이 포함된다.
비구아나이드계 약제로서, 예를 들어 메트포르민, 부포르민, 펜포르민 등이 언급된다.
인슐린으로서, 예를 들어 소 및 돼지의 췌장으로부터 추출된 동물 인슐린; 돼지 췌장으로부터 추출된 인슐린으로부터 효소적으로 합성된 반-합성 인간 인슐린; Escherichia coli 또는 효모를 이용하여 유전적으로 합성된 인간 인슐린 등이 언급된다. 인슐린으로서, 0.45 내지 0.9 (w/w)% 의 아연을 포함하는 인슐린 아연; 아연 클로라이드, 프로타민 술페이트 및 인슐린으로부터 제조된 프로타민 인슐린 아연 등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인슐린은 절편 또는 이의 유도체 (예컨대, INS-1 등) 일 수 있다.
인슐린은, 매우 빠른 작용 형태, 짧은 작용 형태, 2상 형태, 중간 작용 형태, 확장된 형태 등과 같은 각종 형태를 포함하지만, 환자의 질환 상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α-글루코시다아제 억제제로서, 예를 들어 아카르보스, 보글리보스, 미글리톨, 에미글리테이트 등이 언급된다.
β3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작용물질로서, 예를 들어 AJ-9677, BMS-196085, SB-226552, AZ40140, CP-331684 등이 언급된다.
상기 이외에, "항당뇨병제" 에는, 예를 들어 에르고셋, 프람린티드, 렙틴, BAY-27-9955 등이 포함된다.
상술한 "당뇨병 치료제" 로서, 예를 들어 알도오스 리덕타아제 억제제, 해당 (glycation) 억제제, 프로테인 키나아제 C 억제제 등이 언급된다.
알도오스 리덕타아제 억제제로서, 예를 들어 톨레스탯; 에팔레스탯; 이미레스탯; 젠나레스탯; SNK-860; 조폴레스탯; ARI-509; AS-3201 등이 언급된다.
해당 억제제로서, 예를 들어 피말게딘 등이 언급된다.
프로테인 키나아제 C 억제제로서, 예를 들어 NGF, LY-333531 등이 언급된다.
상기 이외에, "당뇨병 합병증 치료제" 에는, 예를 들어 알프로스타딜, 티아프리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실로스타졸, 멕시레틴 히드로클로라이드, 에틸 이코사펜테이트, 메만틴, 피마게드린 (ALT-711), 신경기원 인자 및 이의 강화제 (예컨대, NGF, NT-3, BDNF, 뉴트로핀 산물/분비 촉진제 (예컨대, WO01/14372 에 기재된 4-(4-클로로페닐)-2-(2-메틸-1-이미다졸릴)-5-[3-(2-메틸페녹시)프로필]옥사졸 등), 신경재생 가속화 약물 (예컨대, Y-128 등) 등이 포함된다.
상술한 "MCH 길항제와 다른 항비만제" 로서, 예를 들어 리파아제 억제제, 식욕감퇴제, β3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작용물질 등이 언급된다.
리파아제 억제제로서, 예를 들어 오르리스탯, ATL-962 등이 언급된다.
식욕감퇴제로서, 예를 들어 마진돌, 덱스펜플루라민, 풀루옥세틴, 시부트라민, 비아민 등이 언급된다.
β3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작용물질로서, 상술한 "항당뇨병제" 에 대해 예시된 "β3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작용물질" 이 언급될 수 있다.
상기 이외에, "MCH 길항제와는 다른 항비만제" 에는 예를 들어 리프스타틴 등이 언급된다.
상술한 "고혈압 치료제" 로서, 예를 들어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 칼슘 길항제, 칼륨 채널 개방제, 안지오텐신 II 길항제 등이 언급된다.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로서, 예를 들어 카프토릴, 에날라프릴, 알라세프릴, 델라프릴 (히드로클로라이드), 리시노프릴, 이미다프릴, 벤나제프릴, 실라자프릴, 테모카프릴, 트란돌라프릴, 만니디핀 (히드로클로라이드) 등이 언급된다.
칼슘 길항제로서, 예를 들어 니페디핀, 암로디핀, 에포니디핀, 나카르디핀 등이 언급된다.
칼륨 채널 개방제로서, 예를 들어 레브크로마칼림, L-27152, AL 0671, NIP-121 등이 언급된다.
안지오텐신 II 길항제로서, 예를 들어 로사르탄, 칸데사르탄, 실렉세틸, 발사르탄, 이르베사르탄, CS-866, E4177 등이 언급된다.
상술한 "고지혈증 치료제 (동맥경화 치료제)" 로서, 예를 들어 HMG-CoA 리덕타아제 억제제, 피브레이트 화합물 등이 언급된다.
HMG-CoA 리덕타아제 억제제로서, 예를 들어 프라바스타틴, 심바타틴, 로바스타틴, 아토르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리판틸, 세리바스타틴, 이타바스타틴, ZD-4522 또는 이의 염 (예컨대, 나트륨염 등) 등이 언급된다.
피브레이트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베자피브레이트, 클리노피브레이트, 클로피브레이트, 심피브레이트 등이 언급된다.
상술한 "관절염 치료제" 로서, 예를 들어 이부프로펜 등이 언급된다.
상술한 "항불안제" 로서, 예를 들어 클로르디아제폭시드, 디아제팜, 옥사졸암, 메다제팜, 클록사졸암, 브로마제팜, 로라제팜, 알프라졸람, 플루디아제팜 등이 언급된다.
상술한 "항울병제" 로서, 예를 들어 플루옥세틴, 플루복사민, 이미프라민, 파로크세틴, 세르트랄린 등이 언급된다.
상술한 조합 약물의 투여 기간은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조합 약물은 투여 대상체에 동시에 투여되거나 지그재그 방식으로 투여된다. 조합 약물의 투약량은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투여 대상체, 투여 결로, 질환, 조합 등에 다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조합 약물의 투여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조합 약물이 투여시에 조합된다면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상기 투여 방식은 하기에 의해 예시될 수 있다: 1)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조합약물(들)을 동시에 제형화시켜 수득된 단일 제제의 투여, 2)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조합약물(들)을 개별적으로 제형화하여 수득된 2종의 제제를 동일한 투여 경로에 의해 동시 투여, 3)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조합약물(들)을 개별적으로 제형화하여 수득된 2종의 제제를 동일한 투여 경로에 의해 지그재그로 투여, 4)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조합약물(들)을 개별적으로 제형화하여 수득된 2종의 제제를 상이한 투여 경로에 의해 동시 투여, 5)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조합약물(들)을 개별적으로 제형화하여 수득된 2종의 제제를 상이한 투여 경로에 의해 지그재그로 투여 (예컨대,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조합약물을 이런 순서로 투여하거나 반대순서로 투여) 등.
본 발명의 화합물과 조합약물의 혼합 비율은 투여 대상체, 투여 경로, 질환 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하기 참조예, 실시예, 제형예 및 실험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은 본 발명의 한정을 의도하지 않고, 본 발명의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하기 참조예 및 실시예에서 "상온" 은 0℃ 내지 30℃ 의 온도를 의미한다.유기층의 건조를 위해서는, 마그네슘 술페이트 무수물 또는 나트륨 술페이트 무수물이 사용된다. 다른 지적이 구체적으로 없다면, "%" 는 중량% 를 의미한다.
적회선 스펙트럼은 포리어 변형 적외선 분광광도계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photometer) 를 사용하여 확산 반사법에 의해서 측정되었다.
FABMS(pos) 는 Fast Atom Bombardment Mass Spectrometry 중의 (+) 법에 의해서 측정된 질량 스펙트럼이다.
명세서 내에서사용된 다른 정의는 하기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 염기, 아미노산 등이 약어를 사용하여 나타내어지는 경우, 이들은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IUPAC-IUB Commission on Biochemical Nomenclature and conventional abbreviations] 에 따른 약어에 기초한다. 이들의 표현은 하기에 나타낸다. 광학 이성질체가 아미노산으로 인해 존재하는 경우, 이는 특별히 지적하지 않는다면, L 형태이다.
본 명세서에 종종 보여지는 치환기, 보호기 및 시약은 하기의 기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본 명세서 중의 서열목록 중의 서열번호는, 하기의 서열을 나타낸다.
랫트 SLC-1 를 코딩하는 cDNA 를 스크리닝하기 위해 사용되는 합성 DNA.
랫트 SLC-1 를 코딩하는 cDNA 를 스크리닝하기 위해 사용되는 합성 DNA.
랫트 SLC-1 의 전장 아미노산 서열.
5' 측 상에 부가된 Sal I 인식서열 및 3' 측 상에 부가된 Spe I 인식서열을 포함하는 랫트 SLC-1 cDNA 의 전장 염기 서열.
랫트 SLC-1 발현 CHO 세포의 각각의 클론에서 SLC-1 mRNA 의 발현량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리보프로브.
인간 SLC-1 을 코딩하는 cDNA 를 수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합성 DNA.
인간 SLC-1 이중가닥을 코딩하는 cDNA 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라이머.
인간 SLC-1 를 코딩하는 cDNA 의 전장 염기 서열.
인간 SLC-1 의 전장 아미노산 서열.
인간 SLC-1(S) 을 코딩하는 cDNA 를 스크리닝하기 위해 사용되는 합성 DNA.
인간 SLC-1(S) 를 코딩하는 cDNA 를 스크리닝하기 위해 사용되는 합성 DNA.
인간 SLC-1(L) 을 코딩하는 cDNA 를 스크리닝하기 위해 사용되는 합성 DNA.
인간 SLC-1(L) 을 코딩하는 cDNA 를 스크리닝하기 위해 사용되는 합성 DNA.
5' 측 상에 부가된 Sal I 인식서열 및 3' 측 상에 부가된 Spe I 인식서열을 포함하는 인간 SLC-1(S) cDNA 의 전장 염기 서열.
5' 상에 부가된 Sal I 인식서열 및 5' 상에 부가된 Spe I 인식서열을 포함하는 인간 SLC-1(L) cDNA 의 전장 염기 서열.
인간 SLC-1(S) 발현 CHO 세포 및 인간 SLC-1(L) 발현 CHO 세포의 각각의 클론에서의 SLC-1 mRNA 의 발현량의 결정을 위해 사용되는 리보프로브.
참조예 1
N-[3-(히드록시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에탄올 (60 ㎖) 중의 N-(3-(포르밀-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5.68 g, 26.5 mmol) 의 현탁액에 나트륨 보로히드라이드 (2.01 g, 53.0 mmol) 를 0℃ 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반응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술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 농축하고, 수득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처리하여, 표제 화합물 (4.47 g) 을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δ 2.12(3H,s), 4.67(2H,d,J=5.4Hz), 5.40(1H,t,J=5.4Hz), 7.67(1H,dd,J=1.8,9.0Hz), 7.88(1H,d,J=9.0Hz), 8.12(1H,s), 8.39(1H,s), 8.78(1H,d,J=1.8Hz), 10.27(1H,s).
참조예 2
N-[3-(클로로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참조예 1 에서 수득된 N-[3-(히드록시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4.47 g, 20.7 mmol) 를 티오닐 클로라이드 (60 ㎖) 에 0℃ 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수득된 잔류물을 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처리하여, 표제 화합물 (5.55 g) 을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CD3OD) δ 2.27 (3H, s), 5.02 (2H, s), 7.82 (1H, dd, J = 1.8, 9.0 Hz), 8.27 (1H, d, J = 9.0 Hz), 9.03 (1H, d, J = 1.8 Hz), 9.14 (1H, s), 9.20 (1H, d, J = 1.8 Hz).
참조예 3
N-{3-[(디메틸아미노)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3.5 ㎖) 중의 참조예 2 에서 수득된 N-[3-(클로로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200 ㎎, 0.738 mmol), 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601 ㎎, 7.38 mmol) 및 칼륨 카보네이트 (1.02 g, 7.38 mmol) 의 용액을 80℃ 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반응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술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 농축하고, 수득된 잔류물을 알루미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전개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79 ㎎) 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δ 2.24(3H,s), 2.29(6H,s), 3.59(2H,s), 7.73(1H,d,J=8.8Hz), 7.93-8.09(4H,m), 8.82(1H,d,J=1.8Hz).
참조예 4
N-[(7-아미노-3-퀴놀리닐)메틸]-N,N-디메틸아민
농축 염산 (3 ㎖) 중의 참조예 3 에서 수득된 N-{3-[(디메틸아미노)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179 ㎎, 0.738 mmol) 의 용액을 100℃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칼륨 카보네이트의 첨가에 의해 염기성화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술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 농축하고, 수득된 잔류물을 알루미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전개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87.8 ㎎) 을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2.28(6H,s), 3.54(2H,s), 4.06(2H,br), 6.97(1H,dd,J=8.7,1.6Hz), 7.21(1H,d,J=1.6Hz), 7.59(1H,d,J=8.7Hz), 7.89(1H,d,J=1.4 Hz), 8.69(1H,d,J=1.4Hz).
참조예 5
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참조예 3 및 참조예 4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 에서 수득된 N-[3-(클로로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CD3OD) δ 2.11(4H,m), 3.40(4H,m), 4.54(2H,m), 7.02(1H,d,J=2.4Hz), 7.19(1H,dd,J=9.0,2.1Hz), 7.78(1H,d,J=9.0Hz), 8.46(1H,d,J=2.4Hz), 8.74(1H,d,J=2.1Hz).
참조예 6
N-[3-(히드록시메틸)-8-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에탄올 (60 ㎖) 중의 N-(3-아미노-2-메틸페닐)아세트아미드 (1.00 g, 6.09 mmol) 및 2-디메틸아미노메틸렌-1,3-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임모니오)프로판 비스-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6.52 g, 18.3 mmol) 의 용액을 오일조에서 100℃ 로 1 일 동안 교반하였다. 상온으로 냉각한 후,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테트라히드로푸란 (30 ㎖) 및 1N 염산 (30 ㎖) 중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혼합물을 칼륨 카보네이트 수용액의 첨가에 의해 염기성화시키고, 생성된 침전물을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에탄올 (30 ㎖) 중의 상기 수득된 침전물의 현탁액에 나트륨 보로히드라이드 (461 ㎎, 12.2 mmol) 를 0℃ 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반응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술페이트으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 농축하고, 수득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처리하여, 표제 화합물 (575 ㎎) 을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2.13 (3H, s), 2.62 (3H, s), 4.71 (2H, d, J = 5.4 Hz), 5.42 (1H, t, J = 5.4 Hz), 7.70 (2H, m), 8.16 (1H, s), 8.85 (1H, s), 9.65 (1H, s).
참조예 7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참조예 2 및 참조예 3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 에서 수득된 N-[3-(히드록시메틸)-8-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81 (4H, m), 2.29 (3H, s), 2.58 (4H, m), 2.74 (3H, s), 3.80 (2H, s), 7.30 (1H, br), 7.65 (1H, d, J = 8.7 Hz), 8.05 (2H, m), 8.88 (1H, d, J = 1.8 Hz).
참조예 8
N-[3-(히드록시메틸)-6-메톡시-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1) 2-디메틸아미노메틸렌-1,3-비스(디메틸임모니오)프로판 비스-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39.6 g, 111 mmol) 를 에탄올 (550 ㎖)에 현탁하였다. 상기 수득된 현탁액에 N-(5-아미노-2-메톡시페닐)아세트아미드 (10.0 g, 55.5 mmol)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오일조에서 90℃ 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테트라히드로푸란 (275 ㎖) 및 1N 염산 (275 ㎖) 을 반응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테트라히드로푸란을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빙냉시켰다. 클로로포름 (40 ㎖)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칼륨 카보네이트의 첨가에 의해 중화시켰다. 침전 결정을 여과하여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황색 결정 (38.44 g) 을 수득하였다.
2) 나트륨 보로히드라이드 (4.20 g, 111 mmol) 를 에탄올 (400 ㎖) 에 현탁하고, 현탁액을 빙냉시켰다. 상기 1) 에서 수득된 황색 결정 (38.44 g) 을 반응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탄올을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00 ㎖) 및 포화 염수 (400 ㎖) 를 잔류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 후, 수상 및 유기상을 분리하고, 수상을 에틸 아세테이트 (250 ㎖) 로 2회 추출하였다. 추출물 및 상술한 유기상을 결합하고, 마그네슘 술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수득된 잔류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7.08 g) 을 황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2.19 (3H, s), 3.98 (3H, s), 4.66 (2H, s), 5.43 (1H, br s), 7.40 (1H, s), 8.06 (1H, d, J=1.0Hz), 8.65 (1H, d, J=2.0Hz), 8.70 (1H, s), 9.38 (1H, s).
참조예 9
N-[3-(클로로메틸)-6-메톡시-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참조예 8 에서 수득된 N-[3-(히드록시메틸)-6-메톡시-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7.08 g, 28.8 mmol) 를 티오닐 클로라이드 (20 ㎖) 중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6.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과량의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톨루엔을 잔류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건조되도록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6.95 g) 을 황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2.28 (3H, s), 4.09 (3H, s), 5.12 (2H, s), 7.85 (1H, s), 9.01 (1H, s), 9.15 (1H, d, J=2.0Hz), 9.23 (1H, s), 9.96 (1H, s).
참조예 10
N-[3-[(디에틸아미노)메틸]-6-메톡시-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참조예 9 에서 수득된 N-[3-(클로로메틸)-6-메톡시-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2.00 g, 6.64 mmol) 를 DMF (20 ㎖) 중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빙냉하였다. 디에틸아민 (3.43 ㎖, 33.20 mmol) 을 반응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14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반응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포화 염수 (50 ㎖) 및 물 (50 ㎖) 의 혼합 용매로 2 회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감압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NH-실리카 겔 컬럼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16 g) 을 갈색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07 (6H, t, J=7.1Hz), 2.27 (3H, s), 2.56 (4H, q, J=7.1Hz), 3.70 (2H, s), 4.01 (3H, s), 7.04 (1H, s), 7.92 (1H, d, J=1.2Hz), 8.01 (2H, m), 8.72 (1H, d, J=2.0Hz).
참조예 11
N-[6-메톡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참조예 1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9 에서 수득된 N-[3-(클로로메틸)-6-메톡시-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69 (4H, m), 2.27 (3H, s), 2.42 (4H, m), 3.61 (2H, s), 4.01 (3H, s), 7.04 (1H, s), 7.90 (1H, d, J=1.2Hz), 8.00 (1H, br s), 8.01 (1H, s), 8.71 (1H, d, J=2.0Hz).
참조예 12
N-[6-메톡시-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참조예 1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9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톡시-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44 (2H, m), 1.58 (4H, m), 2.27 (3H, s), 2.55 (4H,m), 3.76 (2H, s), 4.01 (3H, s), 7.03 (1H, s), 7.93 (1H, d, J=1.5Hz), 8.00 (1H, br s), 8.01 (1H, s), 8.73 (1H, d, J=2.2Hz).
참조예 13
3-[(디에틸아미노)메틸]-6-메톡시-7-퀴놀리닐아민
참조예 10 에서 수득한 N-[3-[(디에틸아미노)메틸]-6-메톡시-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1.16 g, 3.85 mmol) 를 6N 염산 (20 ㎖) 중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100℃ 에서 3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 용액을 빙냉시키고, 4N 나트륨 히드록시드 수용액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pH 10 으로 조정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 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NH-실리카 겔 컬럼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810 ㎎) 을 황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06 (6H, t, J=7.1Hz), 2.55 (4H, q, J=7.1Hz), 3.67 (2H, s), 3.97 (3H, s), 4.27 (2H, br s), 6.94 (1H, s), 7.22 (1H, s), 7.86 (1H, d, J=1.7Hz), 8.58 (1H, d, J=2.0Hz).
참조예 14
6-메톡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참조예 11 에서 수득한 N-[6-메톡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1.28 g, 4.28 mmol) 를 6N 염산 (20 ㎖) 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100℃ 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빙냉하고, 4N 나트륨 히드록시드 수용액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pH 10 으로 조정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 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NH-실리카 겔 컬럼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816 ㎎) 을 황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79 (4H, m), 2.54 (4H, m), 3.72 (2H, s), 3.97 (3H, s), 4.28 (2H, br s), 6.94 (1H, s), 7.21 (1H, s), 7.87 (1H, d, J=2.0Hz), 8.60 (1H, d, J=2.0Hz).
참조예 15
6-메톡시-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참조예 12 에서 수득한 N-[6-메톡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1.48 g, 4.94 mmol) 를 6N 염산 (20 ㎖) 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100℃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빙냉하고, 4N 나트륨 히드록시드 수용액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pH 10 으로 조정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 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NH-실리카 겔 컬럼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800 ㎎) 을 황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44 (2H, m), 1.57 (4H, m), 2.41 (4H, m), 3.57 (2H, s), 3.98 (3H, s), 4.27 (2H, br s), 6.90 (1H, s), 7.21 (1H, s), 7.84 (1H, d, J=1.7Hz), 8.57 (1H, d, J=2.2Hz).
참조예 16
N-[6-클로로-3-(히드록시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참조예 8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N-(5-아미노-2-클로로페닐)아세트아미드를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2.12 (3H, s), 7.42 (1H, d, J=8.8Hz), 4.66 (2H, s), 7.56 (1H, d, J=8.8Hz), 7.94 (1H, s), 9.48 (1H, s), 9.63 (1H, s), 9.81 (1H, s).
참조예 17
N-[6-클로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참조예 8 및 참조예 9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16 에서 수득한 N-[6-클로로-3-(히드록시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81 (4H, m), 2.30 (3H, s), 2.55 (4H, m), 3.77 (2H, s), 7.08 (1H, d, J=8.5Hz), 7.80 (1H, br s), 7.82 (1H, s), 7.93 (1H, d, J=1.2Hz), 8.86 (1H, d, J=2.2Hz).
참조예 18
6-클로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참조예 13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17 에서 수득한 N-[6-클로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 담황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80 (4H, m), 2.54 (4H, m), 3.72 (2H, s), 4.42 (2H, br s), 7.32 (1H, s), 7.74 (1H, s), 7.85 (1H, m), 8.72 (1H, d, J=2.2Hz).
참조예 19
N-[3-(1-아제파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참조예 3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63 (8H, m), 2.24 (3H, s), 2.66 (4H, m), 3.79 (2H, s), 7.28 (1H, s), 7.73 (1H, d, J=8.8Hz), 7.97 (1H, m), 8.08 (1H, s), 8.49 (1H, br s), 8.86 (1H, m).
참조예 20
3-(1-아제파닐메틸)-7-퀴놀리닐아민
참조예 4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19 에서 수득한 N-[3-(1-아제파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δ 1.62 (8H, m), 2.65 (4H, m), 3.74 (2H, s), 4.02 (2H,br s), 6.96 (1H, dd, J=2.2, 8.5Hz), 7.20 (1H, d, J=2.2Hz), 7.58 (1H, d, J=8.5Hz), 7.89 (1H, d, J=1.2Hz), 8.74 (1H, d, J=2.2Hz).
참조예 21
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참조예 6, 참조예 2, 참조예 3 및 참조예 4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N-(5-아미노-2-메틸페닐) 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CDCl3) δ 1.72 - 1.82 (4H, m), 2.34 (3H, s), 2.48 - 2.62 (4H, m), 3.71 (2H, s), 4.02 (2H, br), 7.22 (1H, s), 7.44 (1H, s), 7.86 (1H, s), 8.66 (1H, d, J = 2.1 Hz).
참조예 22
N-[3-(클로로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THF (6.5 ㎖) 중의 4'-플루오로-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 [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550 ㎎, 1.29 mmol) 의 현탁액에 에틸 클로로카보네이트 (0.245 ㎖, 2.59 mmol)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나트륨 수소 카보네이트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마그네슘 술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수득된 잔류물을 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처리하여, 표제 화합물 (447 ㎎) 을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5.02 (2H, s), 7.34 (1H, d, J = 8.8 Hz), 7.39 (1H, d, J = 8.8 Hz), 7.79 - 7.92 (4H, m), 7.99 - 8.05 (2H, m), 8.14 (2H, d, J = 8.4 Hz), 8.39 (1H, m), 8.65 (1H, s), 8.93 (1H, d, J = 2.2 Hz), 10.70 (1H, s).
참조예 23
N-[6-플루오로-3-(히드록시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참조예 6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N-(5-아미노-2-플루오로페닐) 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2.18 (3H, s), 4.69 (2H, d, J = 5.6 Hz), 5.44 (1H, t, J = 5.6 Hz), 7.83 (1H, d, J = 11.8 Hz), 8.15 (1H, s), 8.67 (1H, d, J = 7.6 Hz), 8.78 (1H, s), 9.98 (1H, s).
참조예 24
N-[3-(클로로메틸)-6-플루오로-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참조예 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3 에서 수득된 N-[6-플루오로-3-(히드록시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3OD) δ 2.33 (3H, s), 5.02 (2H, s), 8.13 (1H, d, J = 11.0 Hz), 9.11 (1H, s), 9.22 (1H, d, J = 2.0 Hz), 9.35 (1H, d, J = 6.8 Hz).
참조예 25
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참조예 3 및 참조예 4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4 에서 수득된 N-[3-(클로로메틸)-6-플루오로-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80 (4H, m), 2.52 (4H, m), 3.73 (2H, s), 4.24 (2H, br), 7.32 (2H, m), 7.89 (1H, s), 8.69 (1H, d, J = 1.5 Hz).
참조예 26
N-[5-아미노-2-(1-피롤리디닐)페닐]-4-브로모벤즈아미드
디메틸 술폭시드 (25 ㎖) 중의 4-브로모-N-(2-플루오로-5-니트로페닐)벤즈아미드 (5.00 g, 14.7 mmol) 의 용액에 피롤리딘 (6.15 ㎖, 73.7 mmo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60℃ 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반응 용액에 첨가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수집하고, 몰로 세척하였다. 85% 에탄올 중의 수득된 침전물의 수용액 (180 ㎖), 환원된 철 (4.12 g, 73.7 mmol) 및 칼슘 클로라이드 (818 ㎎, 7.37 mmol) 를 3 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고, 냉각하였다. 셀라이트 여과 후, 여액을 농축하고, 물을 첨가하여, N-[5-아미노-2-(1-피롤리디닐)페닐-4-브로모벤즈아미드 (5.00 g) 를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85 (4H, m), 2.91 (4H, m), 4.91 (2H, br), 6.35 (1H, d, J = 8.7 Hz), 6.91 (1H, d, J = 8.7 Hz), 7.27 (1H, s), 7.75 (2H, d, J = 8.4 Hz), 7.82 (2H, d, J = 8.4 Hz), 9.66 (1H, s).
참조예 27
4-브로모-N-[3-포르밀-6-(1-피롤리디닐)-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8-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6 에서 수득된 N-[5-아미노-2-(1-피롤리디닐)페닐]-4-브로모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91 (4H, m), 3.34 (4H, m), 7.41 (1H, s), 7.78 (2H, d, J = 8.4 Hz), 7.99 (2H, d, J = 8.4 Hz), 8.07 (1H, s), 8.72 (1H, s), 9.00 (1H, d, J = 2.2 Hz), 10.18 (1H, s), 10.34 (1H, s).
참조예 28
N-(2-플루오로-3-니트로페닐)아세트아미드
피리딘 중의 2-플루오로-3-니트로아닐린 (18.2 g, 116 mol) 의 용액 (233 ㎖) 에 아세트산 무수물 (27.4 ㎖, 291 mmo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수득된 잔류물을 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처리하여, 표제 화합물 (19.2 g) 을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NMR(CDCl3) δ 2.30 (3H, s), 7.24-7.34 (1H, m), 7.56-7.70 (1H, br), 7.72-7.81 (1H, m), 8.64-8.72 (1H, m).
참조예 29
N-(3-아미노-2-플루오로페닐)아세트아미드
에탄올 중의 참조예 28 에서 수득된 N-(2-플루오로-3-니트로페닐)아세트아미드 (18.2 g, 91.7 mmol) 의 용액 (183 ㎖) 에 10% 팔라듐 탄소 (1.82 g) 및 시클로헥센 (27.9 ㎖, 275 mmo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60℃ 에서 2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액체 혼합물을 상온에서 냉각한 후 여과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수득된 잔류물을 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처리하여, 표제 화합물 (14.2 g) 을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NMR(CDCl3) δ 2.20 (3H, s), 3.62-3.82 (2H, br), 6.48-6.58 (1H, m), 6.85-6.94 (1H, m), 7.28 - 7.46 (1H, br), 7.56-7.76 (1H, m).
참조예 30
8-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린아민
참조예 6, 참조예 2, 참조예 3 및 참조예 4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9 에서 수득한 N-(3-아미노-2-플루오로페닐) 아세트아미드를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CDCl3) δ 1.80 (4H, m), 2.55 (4H, m), 3.75 (2H, s), 4.11 (2H, br), 7.06 (1H, m), 7.40 (1H, d, J = 8.7 Hz), 7.96 (1H, m), 8.80 (1H, d, J = 2.1 Hz).
참조예 31
2-메톡시-3-니트로벤조산
1N 나트륨 히드록시드를 메탄올 중의 메틸 2-메톡시-3-니트로벤조에이트 (4.96 g, 23.5 mmol) 의 용액 (50 ㎖)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50℃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메탄올을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물을 첨가하였다. 수층을 1N 염산으로 산성화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마그네슘 술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잔류물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시켜, 표제 화합물 (4.37 g) 을 담황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융점: 224-226℃
1H-NMR (CDCl3) δ 4.02 (3H, s), 7.25-7.34 (1H, m), 7.91 (1H, ddd, J = 0.6, 1.8, 8.0 Hz), 8.10 (1H, ddd, J = 0.8, 1.8, 8.4 Hz).
참조예 32
4-브로모-N-(2-메톡시-3-니트로페닐)벤즈아미드
tert-부탄올 중의 참조예 31 에서 수득된 2-메톡시-3-니트로벤조산 (9.25 g, 46.9 mmol) 의 용액 (350 ㎖) 에 트리에틸아민 (9.9 ㎖, 70.35 mmol) 및 디페닐포스포릴 아지드 (11.2 ㎖, 51.6 mmol)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5 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로 정제하여, 디페닐포스포릴 아지드와의 혼합물 (13.0 g)로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상기 혼합물의 용액 (50 ㎖) 에 4N 수소 클로라이드 - 에틸 아세테이트 (100 ㎖) 를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50℃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생성된 결정을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결정의 현탁액 (150 ㎖) 에 4-브로모벤조일 클로라이드 (10.0 g, 45.8 mmol) 을 첨가하고, 트리에틸아민 (17.5 ㎖, 125 mmol) 을 빙냉하게 적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상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1N 나트륨 히드록시드, 물 및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마그네슘 술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잔류물을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14.2 g) 을 담황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3.99 (3H, s), 7.24-7.33 (1H, m), 7.64-7.79 (5H, m),8.53 (1H, br) 8.78 (1H, dd, J = 1.8, 8.4 Hz).
융점: 162-163℃
참조예 33
N-(3-아미노-2-메톡시페닐)-4-브로모벤즈아미드
90% 에탄올 중의 참조예 32 에서 수득된 4-브로모-N-(2-메톡시-3-니트로페닐)벤즈아미드 (14.21 g, 40.5 mmol) 의 수용액 (440 ㎖) 에 환원된 철 (11.3 g, 20.3 mmol) 및 칼슘 클로라이드 (2.25 g, 20.3 mmo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00℃ 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철을 셀라이트 여과하고, 여액을 에탄올로 세척하였다. 에탄올을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 및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마그네슘 술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시켜, 표제 화합물 (11.18 g) 을 무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3.76-3.82 (5H, m), 6.54 (1H, dd, J = 1.2, 7.8 Hz), 6.94-6.99 (1H, m), 7.62-7.65 (2H, m), 7.73-7.77 (2H, m), 7.82 (1H, dd, J = 1.5, 8.4 Hz), 8.37 (1H, br).
융점: 111-112℃
참조예 34
4-브로모-N-[3-(히드록시메틸)-8-메톡시-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6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33 에서 수득된 N-(3-아미노-2-메톡시페닐)-4-브로모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4.11 (3H, s), 4.73 (2H, d, J = 5.7 Hz), 5.48 (1H, t, J = 5.4 Hz), 7.71-7.78 (3H, m), 7.96-8.03 (3H, m), 8.22 (1H, s), 8.87 (1H, d, J = 1.8 Hz), 10.02 (1H, s).
융점: 185-187℃
참조예 35
4-브로모-N-[3-(클로로메틸)-8-메톡시-7-퀴놀리닐]벤즈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참조예 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34 에서 수득한 4-브로모-N-[3-(히드록시메틸)-8-메톡시-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3OD) δ 4.09 (3H, s), 5.07 (2H, s), 7.76 (2H, d, J = 8.4 Hz), 7.96 (2H, d, J = 8.8 Hz), 8.11 (1H, d, J = 9.2 Hz), 8.52 (1H, d, J = 9.0 Hz), 9.24 (2H, s).
융점: 167-169℃
참조예 36
메틸 3-니트로-2-{[(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옥시}벤조에이트
메틸 2-히드록시-3-니트로벤조에이트 (10.03 g, 50.9 mmol) 를 테트라히드로푸란 (200 ㎖)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3.3 ㎖, 76.4 mmol) 중에 용해시키고, N-(메틸술포닐)-N-페닐메탄술폰아미드 (21.82 g, 61 mmol) 를 빙냉하에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상온에서 2 일 동안 교반하였다. 테트라히드로푸란을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포화 수성 나트륨 수소 카보네이트, 1N 염산, 물 및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마그네슘 술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6.7 g) 을 담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4.00 (3H, s), 7.60-7.68 (1H, m), 8.19-8.33 (2H, m).
참조예 37
메틸 3-니트로-2-비닐벤조에이트
DMF 중의 참조예 36 에서 수득된 메틸 3-니트로-2-{[(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옥시}벤조에이트 (10 g, 30.4 mmol) 의 용액 (150 ㎖) 에 비닐 트리-n-부틸 주석 (10.7 ㎖, 36.48 m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1.76 g, 1.52 mmol) 를 질소 흐름 하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80℃ 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 포화 수성 나트륨 수소 카보네이트 및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마그네슘 술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수득된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4.91 g) 을 담황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3.89 (3H, s), 5.24 (1H, dd, J = 1.0, 17.6 Hz), 5.42 (1H, dd, J = 1.2, 11.8 Hz), 7.17 (1H, dd, J = 11.4, 17.6 Hz), 7.44-7.52 (1H, m), 7.89 (1H, dd, J = 1.4, 8.4 Hz), 7.98 (1H, dd, J = 1.6, 7.8 Hz).
융점: 44-45℃
참조예 38
3-니트로-2-비닐벤조산
메탄올 중의 참조예 37 에서 수득된 메틸 3-니트로-2-비닐벤조에이트 (4.91 g, 23.7 mmol) 의 용액 (50 ㎖) 에, 1N 나트륨 히드록시드 (50 ㎖, 50 mmol)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50℃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메탄올을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물을 첨가하였다. 수층을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수층을 1N 염산으로 산성화하고, 이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마그네슘 술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잔류물을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4.23 g) 을 담황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5.26 (1H, d, J = 18.0 Hz), 5.40 (1H, dd, J = 0.6, 13.2 Hz), 7.21 (1H, dd, J = 11.4, 17.6 Hz), 7.42-7.49 (1H, m), 7.83 (1H, dd, J = 1.2, 8.2 Hz), 8.05 (1H, dd, J = 1.2, 7.8 Hz), 10-12 (1H, br).
융점: 166-167℃ (결정화 용매 :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참조예 39
tert-부틸 3-니트로-2-비닐페닐카르바메이트
tert-부탄올 중의 참조예 38 에서 수득된 3-니트로-2-비닐벤조산 (7.86 g, 40.7 mmol) 의 용액 (400 ㎖) 에 트리에틸아민 (8.6 ㎖, 61.1 mmol) 및 디페닐포스포릴 아지드 (9.65 ㎖, 44.8 mmol) 를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24 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9.99 g) 을 담황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52 (9H, s), 5.43 (1H, dd, J = 1.0, 18.0 Hz), 5.72-5.78 (1H, m), 6.82 (1H, dd, J = 11.4, 18.4 Hz), 7.02 (1H, br), 7.33-7.38 (1H, m), 7.42-7.59 (1H, m), 8.42 (1H, d, J = 8.4 Hz).
융점: 120-121℃
참조예 40
tert-부틸 3-아미노-2-에틸페닐카르바메이트
에탄올 중의 실시예 39 에서 수득된 tert-부틸 3-니트로-2-비닐페닐카르바메이트 (5.0 g, 18.9 mmol) 의 용액 (100 ㎖) 에 5% 팔라듐 탄소 (1 g) 를 첨가하고,이 혼합물을 수소 대기 하에 상온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팔라듐 탄소를 셀라이트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수득된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88 g) 을 담황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15 (3H, t, J = 7.8 Hz), 1.51 (9H, s), 2.52 (2H, q, J = 7.5 Hz), 3.62 (2H, br), 6.21 (1H, br), 6.48 (1H, dd, J = 1.2, 8.1 Hz), 6.96-7.02 (1H, m), 7.16 (1H, d, J = 8.4 Hz).
융점: 109-110℃
참조예 41
tert-부틸 3-[(4-브로모벤조일)아미노]-2-에틸페닐카르바메이트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참조예 40 에서 수득된 tert-부틸 3-아미노-2-에틸페닐카르바메이트 (3.78 g, 16.0 mmol) 의 용액 (50 ㎖) 에 트리에틸아민 (6.70 ㎖, 48 mmol) 및 4-브로모벤조일클로라이드 (3.87 g, 17.6 mmol) 을 빙냉하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1N 나트륨 히드록시드, 물 및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마그네슘 술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수득된 잔류물을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시켜, 표제 화합물 (6.58 g) 을 담황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17 (3H, t, J = 7.6 Hz), 1.52 (9H, s), 2.62 (2H, q, J = 6.6 Hz), 6.27 (1H, s), 7.19-7.27 (1H, m), 7.48 (1H, d, J = 7.8 Hz), 7.59-7.68 (6H, m).
융점: 181-183℃
참조예 42
N-(3-아미노-2-에틸페닐)-4-브로모벤즈아미드
에틸 아세테이트-테트라히드로푸란 (50 ㎖ - 30 ㎖) 중의 참조예 41 에서 수득된 tert-부틸 3-[(4-브로모벤조일)아미노]-2-에틸페닐카르바메이트(6.48 g, 15.45 mmol) 의 용액에 4N 수소 클로라이드 - 에틸 아세테이트 (60 ㎖) 를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60℃ 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및 칼륨 카보네이트를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4.53 g) 을 무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20 (3H, d, J = 7.6 Hz), 2.57 (2H, q, J = 7.6 Hz), 3.70 (2H, br), 6.61 (1H, dd, J = 1.2, 7.8 Hz), 7.02-7.09 (1H, m), 7.16-7.20 (1H, br), 7.60-7.64 (3H, m), 7.73 (2H, d, J = 8.4 Hz).
융점: 169-170℃
참조예 43
4-브로모-N-[8-에틸-3-(히드록시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6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42 에서 수득된 N-(3-아미노-2-에틸페닐)-4-브로모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3) δ 1.15 (3H, t, J = 7.4 Hz), 3.28 (2H, q, J = 7.0 Hz), 4.74 (2H, s), 5.46 (1H, t, J = 3.6 Hz), 7.54 (2H, d, J = 8.8 Hz), 7.72-7.80 (3H, m), 7.84-8.00 (2H, m), 8.22 (1H, s), 8.89 (1H, d, J = 1.8 Hz), 10.25 (1H, s).
융점: 202-204℃
참조예 44
4-브로모-N-[3-(클로로메틸)-8-에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참조예 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43 에서 수득된4-브로모-N-[8-에틸-3-(히드록시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3OD) δ 1.30 (3H, t, J = 7.6 Hz), 3.33 (2H, q, J = 7.4 Hz), 5.10 (2H, s), 7.75 (2H, d, J = 8.8 Hz), 7.96 (2H, d, J = 8.8 Hz), 8.14 (1H, d, J = 8.8 Hz), 8.26 (1H, d, J = 8.8 Hz), 9.28-9.30 (2H, m).
융점: 170-172℃
참조예 45
4'-클로로-N-[3-(클로로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참조예 2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 에서 수득된 4'-클로로-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5.01 (2H, s), 7.58 (2H, d, J = 8.6 Hz), 7.82 (2H, d, J = 8.6 Hz), 7.89 (2H, d, J = 8.6 Hz), 8.02 (2H, m), 8.13 (2H, d, J = 8.6 Hz), 8.37 (1H, d, J = 2.0 Hz), 8.63 (1H, d, J = 1.7 Hz), 8.82 (1H, d, J = 2.2 Hz), 10.67 (1H, s).
참조예 46
N-(3-아미노-2-메틸페닐)-4-브로모벤즈아미드
참조예 33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4-브로모-N-(2-메틸-3-니트로페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90 (3H, s), 4.91 (2H, s), 6.48 (1H, d, J = 7.6 Hz), 6.55 (1H, d, J = 8.0 Hz), 6.88 (1H, m), 7.72 (2H, d, J = 8.6 Hz), 7.90 (2H, d, J = 8.6 Hz), 9.81 (1H, s).
참조예 47
4-브로모-N-(3-포르밀-8-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8-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46 에서 수득된 N-(3-아미노-2-메틸페닐)-4-브로모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2.69 (3H, s), 7.78 (2H, d, J = 8.8 Hz), 7.80 (1H, d, J = 8.8 Hz), 8.01 (2H, d, J = 8.8 Hz), 8.07 (1H, d, J = 8.8 Hz), 8.94 (1H,d, J = 2.2 Hz), 9.32 (1H, d, J = 2.2 Hz), 10.26 (1H, s), 10.46 (1H, s).
참조예 48
4-브로모-N-[3-(히드록시메틸)-8-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47 에서 수득된 4-브로모-N-(3-포르밀-8-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2.65 (3H, s), 4.74 (2H, d, J = 5.4 Hz), 5.48 (1H, t, J = 5.4 Hz), 7.60 (1H, d, J = 8.7 Hz), 7.78 (2H, d, J = 8.1 Hz), 7.82 (1H, d, J = 8.7 Hz), 7.99 (2H, d, J = 8.1 Hz), 8.22 (1H, d, J = 1.5 Hz), 8.89 (1H, d, J = 1.5 Hz), 10.31 (1H, s).
참조예 49
4-브로모-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 벤즈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참조예 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48 에서 수득된4-브로모-N-[3-(히드록시메틸)-8-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CD3OD) δ 2.74 (3H, s), 5.09 (2H, s), 7.76 (2H, d, J = 6.6 Hz), 7.97 (2H, d, J = 6.6 Hz), 8.09 (1H, d, J = 9.0 Hz), 8.24 (1H, d, J = 9.0 Hz), 9.25 (1H, d, J = 2.1 Hz), 9.26 (1H, d, J = 2.1 Hz).
참조예 50
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참조예 3 및 참조예 4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49 에서 수득된 4-브로모-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43 (2H, m), 1.56 (4H, m), 2.40 (4H, m), 2.59 (3H, s), 3.59 (2H, s), 4.02 (2H, s), 6.97 (1H, d,J= 8.8 Hz), 7.47 (1H, d,J= 8.6 Hz), 7.88 (1H, d,J= 1.8 Hz), 8.77 (1H, d,J= 2.0 Hz).
참조예 51
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아민
참조예 3 및 참조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49 에서 수득한 4-브로모-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62 (8H, m), 2.60 (3H, s), 2.65 (4H, m), 3.76 (2H, s), 3.99 (2H, s), 7.00 (1H, d,J = 8.8 Hz), 7.49 (1H, d,J = 8.8 Hz), 7.89 (1H, d,J = 2.2 Hz), 8.81 (1H, d,J = 2.2 Hz).
참조예 52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참조예 2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19 에서 수득한 4'-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2.68 (3H, s), 5.04 (2H, s), 7.25-7.42 (2H, m), 7.70 (1H, d, J = 8.8 Hz), 7.74-7.93 (5H, m), 8.15 (2H, d, J = 8.4 Hz), 8.42 (1H, d, J = 2.4 Hz), 9.00 (1H, d, J = 2.2 Hz), 10.32 (1H, s).
참조예 53
N-(5-아미노-2-메틸페닐)-4-브로모벤즈아미드
참조예 33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4-브로모-N-(2-메틸-5-니트로페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CDCl3) δ 2.22 (3H, s), 3.66 (2H, br), 6.42-6.52 (1H, m), 6.99 (1H, d, J = 8.0 Hz), 7.44-7.50 (1H, m), 7.54-7.68 (3H, m), 7.73 (2H, d, J = 8.4 Hz).
참조예 54
4-브로모-N-(3-포르밀-6-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8-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3 에서 수득한 N-(5-아미노-2-메틸페닐)-4-브로모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DMSO-d6) δ 2.52 (3H, s), 7.79 (2H, d, J = 8.4 Hz), 7.98 (2H, d, J = 8.4 Hz), 8.09 (1H, s), 8.31 (1H, s), 8.85 (1H, m), 9.22 (1H, m),10.22(2H, s).
참조예 55
4-브로모-N-[3-(히드록시메틸)-6-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4 에서 수득한 4-브로모-N-(3-포르밀-6-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DMSO-d6) δ 2.44 (3H, s), 4.71 (2H, d, J = 4.8 Hz), 5.46 (1H, m), 7.78 (2H, d, J = 8.4 Hz), 7.84 (1H, s), 7.98 (2H, d, J = 8.4 Hz), 8.07 (1H, s), 8.15 (1H, m), 8.80 (1H, m), 10.18 (1H, s).
참조예 56
4-브로모-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참조예 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5 에서 수득한 4-브로모-N-[3-(히드록시메틸)-6-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DMSO-d6) δ 2.55 (3H, s), 5.08 (2H, s), 7.79 (2H, d, J = 8.4 Hz), 8.00 (2H, d, J = 8.4 Hz), 8.10 (1H, s), 8.50 (1H, s), 8.80 (1H, s), 9.16 (1H, s), 10.34 (1H, s).
참조예 57
4'-플루오로-N-(3-포르밀-8-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참조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47 에서 수득한 4-브로모-N-(3-포르밀-8-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2.72 (3H, s), 7.30-7.44 (2H, m), 7.79-7.93 (5H, m), 8.06-8.20 (3H, m), 8.96 (1H, d, J = 2.2 Hz), 9.33 (1H, d, J = 2.2 Hz), 10.27 (1H, s), 10.43 (1H, s).
융점: 236-239℃ (분해) (결정화 용매 : 에틸 아세테이트 - 테트라히드로푸란)
참조예 58
4'-플루오로-N-[3-(1-히드록시에틸)-8-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건조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참조예 57 에서 수득한 4'-플루오로-N-(3-포르밀-8-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1 g) 의 용액 (30 ㎖) 에 3M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8.7 ㎖) 를 질소 흐름하에 상온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조심스럽게 반응 용액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 테트라히드로푸란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마그네슘 술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수득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 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시켜, 표제 화합물 (0.85 g) 을 담황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48 (3H, d, J = 6.2 Hz), 2.68 (3H, s), 4.90-5.10 (1H, m), 5.49 (1H, d, J = 4.4 Hz), 7.27-7.41 (2H, m), 7.62 (1H, d, J = 8.8 Hz), 7.75-7.90 (5H, m), 8.15 (2H, d, J = 8.4 Hz), 8.23 (1H, d, J = 2.2 Hz), 8.94 (1H, d, J = 2.2 Hz), 10.27 (1H, s).
융점: 189-19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디에틸에테르)
참조예 59
N-[3-(1-클로로에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참조예 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8 에서 수득한 4'-플루오로-N-[3-(1-히드록시에틸)-8-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97 (3H, d, J = 6.9 Hz), 5.66 (1H, q, J = 6.9 Hz), 7.27-7.41 (2H, m), 7.71 (1H, d, J = 8.8 Hz), 7.76-7.96 (5H, m), 8.15 (2H, d, J = 8.1 Hz), 8.49 (1H, d, J = 2.2 Hz), 9.07 (1H, d, J = 2.2 Hz), 10.35 (1H, s).
참조예 60
4'-플루오로-N-[3-(1-히드록시프로필)-8-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참조예 58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7 에서 수득한 4'-플루오로-N-(3-포르밀-8-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89 (3H, t, J = 7.3 Hz), 1.68-1.88 (2H, m), 2.68 (3H, s), 4.67-4.80 (1H, m), 5.47 (1H, d, J = 4.4 Hz), 7.26-7.41 (2H, m), 7.61 (1H, d, J = 8.8 Hz), 7.73-7.90 (5H, m), 8.09-8.25 (3H, m), 8.91 (1H, d, J = 2.2 Hz), 10.28 (1H, s).
융점: 204-208℃ (결정화 용매 : 디에틸에테르)
참조예 61
N-[3-(1-클로로프로필)-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참조예 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0 에서 수득한 4'-플루오로-N-[3-(1-히드록시프로필)-8-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01 (3H, t, J = 7.5 Hz), 2.12-2.37 (2H, m), 2.68 (3H, s), 5.37 (1H, t, J = 7.1 Hz), 7.26-7.44 (2H, m), 7.69 (1H, d, J = 8.8 Hz), 7.75-7.95 (5H, m), 8.05-8.22 (2H, m), 8.42 (1H, d, J = 2.2 Hz), 9.02(1H, d, J = 2.2 Hz), 10.33 (1H, s).
참조예 62
4'-플루오로-N-{3-[히드록시(페닐)메틸]-8-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참조예 58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7 에서 수득한 4'-플루오로-N-(3-포르밀-8-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H2O) δ: 2.64 (3H, s), 6.01 (1H, s), 7.20-7.53 (7H, m), 7.64 (1H, d, J = 8.8 Hz), 7.77-7.91 (5H, m), 8.14 (2H, d, J = 8.4 Hz), 8.34 (1H, br), 8.92 (1H, d, J = 2.2 Hz), 10.30 (1H, s).
융점: 182-186℃ (결정화 용매 : 에틸 아세테이트 -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참조예 63
N-{3-[클로로(페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참조예 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2 에서 수득한 4'-플루오로-N-{3-[히드록시(페닐)메틸]-8-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2.67 (3H, s), 6.84 (1H, s), 7.25-7.50 (5H, m), 7.53-7.63 (2H, m), 7.70 (1H, d, J = 8.8 Hz), 7.75-7.96 (5H, m), 8.10-8.21 (2H, m), 8.45 (1H, d, J = 2.2 Hz), 9.02 (1H, d, J = 2.5 Hz), 10.34 (1H, s).
참조예 64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참조예 2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37 에서 수득한 4'-플루오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2.50 (3H, s), 5.02 (2H, s), 7.36 (2H, m), 7.80-7.90 (5H, m), 8.12-8.18 (3H, m), 8.34 (1H, d, J = 1.8 Hz), 8.90 (1H, d, J = 2.2 Hz), 10.17 (1H, s).
참조예 65
2-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 나프티리딘-7-아민
에탄올 (70 ㎖) 중의 2,4-디아미노벤즈알데히드 (1.00 g, 7.34 mmol), 1-메틸-4-피페리디노ne (1.08 ㎖, 8.81 mmol) 및 4N 나트륨 히드록시드 수용액 (11 ㎖) 의 용액을 60℃ 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칼륨 카보네이트 수용액 및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술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수득된 조 생성물을 NH-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용출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로 정제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1:5) 로 처리하여, 표제 화합물 (666 ㎎) 을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2.37 (3H, s), 2.71 (2H, t, J = 6.0 Hz), 2.96 (2H, t, J = 6.0 Hz), 3.56 (2H, s), 5.58 (2H, br), 6.80 (1H, d, J = 2.1 Hz), 6.87 (1H, dd, J = 2.1, 8.4 Hz), 7.48 (1H, d, J = 8.4 Hz), 7.64 (1H, s).
참조예 66
7-아미노-8-메틸-3-퀴놀린카보알데히드
이소프로판올 (500 ㎖) 중의 2-메틸-1,3-벤젠디아민 (30.0 g, 246 mmol) 및 2-디메틸아미노메틸렌-1,3-비스(디메틸임모니오)프로판 비스-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263 g, 737 mmol) 의 현탁액을 교반하면서 16 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고,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반응 용액에 1N 염산 (500 ㎖) 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0℃ 에서 5 시간 동안 가열하면서 교반하고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집전물을 수집하고, 물, 아세토니트릴 및 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500 ㎖)-물 (500 ㎖) 중의 상기 수득된 침전물 (61.6 g) 및 칼륨 카보네이트 (170 g, 1.23 mol) 의 현탁액을 90℃ 로 가열하면서 격렬하게 교반하고,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나트륨 술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유리 필터에 팩킹된 실리카 겔 (100 g) 에 통과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수득된 조생성물을 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처리하여, 표제 화합물 (35.4 g) 을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2.43 (3H, s), 6.17 (2H, br), 7.15 (1H, t, J = 8.7 Hz), 7.71 (1H, d, J = 8.7 Hz), 8.51 (1H, d, J = 2.4 Hz), 9.04 (1H, d, J = 2.4 Hz), 10.03 (1H, s).
참조예 67
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린아민
디클로로에탄 (210 ㎖) 중의 참조예 66 에서 수득한 7-아미노-8-메틸-3-퀴놀린카보알데히드 (21.00 g, 112.8 mmol) 의 현탁액에 피롤리딘 (28.28 ㎖, 145.0 mmol) 및 트리아세톡시 나트륨 보로히드라이드 (35.84 g, 169.2 mmol) 를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상온에서 4.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포화 수성 나트륨 수소 카보네이트를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NH-실리카 겔 컬럼 (Fuji Silysia Chemical Lyd., Pro. No. DM1020, 용출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5.7 g) 을 점성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79 (4 H, m), 2.54 (4H, m), 2.59 (3H, s), 3.74 (2H, s), 3.98 (2H, s), 6.98 (1H, d, J=8.6Hz), 7.47 (1H, d, J=8.8Hz), 7.91 (1H, d, J=2.2Hz), 8.76 (1H, d, J=2.2Hz).
참조예 68
2-플루오로-4-(4-플루오로부톡시)벤조산
1-브로모-4-플루오로부탄 (3.57 g, 23.1 mmol) 을 2-플루오로-4-히드록시벤조산 (3.00 g, 19.2 mmol), 에탄올 (11.5 ㎖) 및 물 (2.3 ㎖) 의 혼합물에 적가하고, 칼륨 히드록시드 (2.37 g, 42.3 mmol) 를 80℃ 에서 적가하고, 이 혼합물을 80℃ 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물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1N 염산의 첨가에 의해 산성화시켰다. 불용성 물질을 여과 제거하고,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1.73 g) 을 담갈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82 (2H, m), 4.09 (2H, t, J=6.0Hz), 4.42 (2H, t, J=5.8Hz), 4.58 (2H, m), 6.86 (1H, m), 6.87 (1H, m), 7.80 (1H, t, J=8.6Hz), 12.84 (1H, s).
참조예 69
플루오로-4-(4,4,4-트리플루오로부톡시)벤조산
참조예 68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1,1,1-트리플루오로-4-요오도부탄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97 (2H, m), 2.44 (2H, m), 4.13 (2H, t, J=6.3Hz), 6.89 (1H, t, J=2.0Hz), 6.90 (1H, m) 7.84 (1H, t, J=9.0Hz), 14.44 (1H, s).
참조예 70
4-(2-에톡시에톡시)-2-플루오로벤조산
참조예 68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1-브로모-2-에톡시에탄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11 (3H, t, J=7.0Hz), 3.48 (2H, q, J=7.0Hz), 3.68 (2H, m), 4.16 (2H, m), 6.87 (1H, d, J=1.7Hz), 6.89 (1H, m), 7.79 (1H, m), 12.84 (1H, s).
참조예 71
2-플루오로-4-(3-메틸부톡시)벤조산
참조예 68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1-요오도-3-메틸부탄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93 (6H, d, J=6.6Hz), 1.62 (2H, q, J=6.8Hz), 1.77 (1H, s), 4.07 (2H, t, J=6.7Hz), 6.87 (2H, m), 7.81 (1H, t, J=8.7Hz), 12.85 (1H, s).
참조예 72
메틸 4-[(1Z)-2-니트로펜타-1-에닐]벤조에이트
n-부틸아민 (8.31 ㎖, 84.1 mmol) 및 메틸 4-포르밀벤조에이트 (10.6 g, 64.7 mmol) 를 환류 벤젠 (50 ㎖) 과 함께, Dean-Stark trap 중에서, 이론적 양의 물이 회수될 때까지 가열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에 얼음 아세트산 (30 ㎖) 및 니트로부탄 (10.0 g, 97.0 mmol) 를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110℃ 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고,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불용성 물질을 여과 제거하고,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7.53 g) 을 담황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00 (3H, t, J=7.5Hz), 1.67 (2H, m), 2.78 (2H, m), 3.95 (3H, s), 7.45 (2H, d, J=8.1Hz), 8.01 (1H, s), 8.10 (2H, ddd, J=8.2, 2.0, 1.8Hz).
참조예 73
메틸 4-(2-옥소펜틸)벤조에이트
메탄올 중의 참조예 72 에서 수득한 메틸 4-[(1Z)-2-니트로펜타-1-에닐]벤조에이트 (5.50 g, 22.0 mmol) 및 철 분말 (7.40 g, 132 mmol) 의 용액 (82 ㎖) 에 농축 염산 (37.0 ㎖) 을 65℃ 에서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65℃ 에서 4 시간 동안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물을 잔류물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추출하고, 포화 수성 나트륨 수소 카보네이트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용출 용매;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4 : 1)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53 g) 을 담황색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88 (3H, t, J=7.3Hz), 1.59 (2H, m), 2.44 (2H, t, J=7.3Hz), 3.74 (2H, s), 3.91 (3H, s), 7.27 (2H, m), 7.99 (2H, dt, J=8.5, 1.9Hz).
참조예 74
4-(2-옥소펜틸)벤조산
참조예 73 에서 수득한 메틸 4-(2-옥소펜틸)벤조에이트 (2.84 g, 12.9 mmol), 1N 나트륨 히드록시드 수용액 (20 ㎖) 및 메탄올 (30 ㎖) 의 혼합물을 65℃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물에 용해시키고, 1N 염산을 첨가하여 산성화시켰다. 불용성 물질을 여과 제거하고,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2.00 g) 을 담황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82 (3H, t, J=7.4Hz), 1.49 (2H, m), 2.50 (2H, m),3.85 (2H, s), 7.30 (2H, d, J=8.5Hz), 7.88 (2H, dt, J=8.3, 1.9Hz), 12.82 (1H, s).
참조예 75
4-(2-옥소부틸)벤조산
참조예 74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메틸 4-(2-옥소부틸)벤조에이트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93 (3H, t, J=7.2Hz), 2.53 (2H, q, J=7.3Hz), 3.86 (2H, s), 7.29 (2H, dt, J=8.4, 1.9Hz), 7.87 (2H, dt, J=8.4, 1.9Hz), 12.88 (1H, s).
참조예 76
4-(2-옥소헥실)벤조산
참조예 74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메틸 4-(2-옥소헥실)벤조에이트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83 (3H, t, J=7.3Hz), 1.22 (2H, m), 1.44 (2H, m),2.50 (2H, m), 3.85 (2H, s), 7.28 (2H, d, J=8.4Hz), 7.86 (2H, dt, J=8.3, 1.8Hz), 12.83 (1H, s).
참조예 77
메틸 4-(3-메틸-2-옥소부틸)벤조에이트
아연 분말 (1.70 g, 26.0 mmol), 1,2-디브로모에탄 (0.087 ㎖, 1.0 mmol) 및 THF (2 ㎖) 의 혼합물을 65℃ 에서 15 분 동안 교반하고, 이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반응 용액에 트리메틸실릴 클로라이드 (0.1 ㎖, 0.8 mmol) 를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0℃ 로 냉각하였다. 반응 용액에 THF 중의 메틸 4-(브로모메틸)벤조에이트 (4.93 g, 21.5 mmol) 의 용액 (11 ㎖) 을 0℃ 에서 적가하고, 이 혼합물을 5℃ 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여, 유기 아연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구리 시아나이드 (1.75 g, 20.0 mmol), 리튬 클로라이드 (1.70 g, 40.0 mmol) 및 THF (20 ㎖) 의 혼합물을 -70℃ 로 냉각하고, 상기 유기 아연 혼합물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20℃ 까지 가열하고, -70℃ 로 냉각하였다. 반응 용액에 2-메틸프로파노일 클로라이드 (1.68 ㎖, 16.0 mmol) 를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점진적으로 0℃ 까지 가열하였다. 6N 염산 (10 ㎖) 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포화 염수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용출 용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4 : 1)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05 g) 을 무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12 (6H, d, J=7.0Hz), 2.72 (1H, m), 3.81 (2H, s), 3.91 (3H, s), 7.28 (2H, m), 8.00 (2H, dt, J=8.4, 1.8Hz).
참조예 78
4-(3-메틸-2-옥소부틸)벤조산
참조예 74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7 에서 수득한 메틸 4-(3-메틸-2-옥소부틸)벤조에이트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13 (6H, d, J=7.1Hz), 2.73 (1H, m), 3.83 (2H, s), 7.30 (2H, d, J=8.3Hz), 8.06 (2H, d, J=8.3Hz).
참조예 79
메틸 4-(2-시클로프로필-2-옥소에틸)벤조에이트
참조예 77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액체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13 (2H, m), 0.88 (2H, m), 1.05 (1H, m), 2.90 (2H, m), 3.92 (3H, s), 7.32 (2H, dt, J=8.3, 1.7Hz), 7.97 (2H, dt, J=8.4, 1.8Hz).
참조예 80
4-(2-시클로프로필-2-옥소에틸)벤조산
참조예 74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9 에서 수득한 메틸 4-(2-시클로프로필-2-옥소에틸)벤조에이트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88 (4H, m), 1.21 (1H, m), 2.80 (2H, s), 7.37 (2H, d, J=8.2Hz), 7.82 (2H, d, J=8.2Hz), 12.74 (1H, s).
참조예 81
메틸 4-(4-메틸-2-옥소펜틸)벤조에이트
참조예 77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3-메틸부타노일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88 (6H, d, J=6.6Hz), 2.15 (1H, m), 2.34 (2H, m), 3.72 (2H, s), 3.91 (3H, s), 7.27 (2H, d, J=8.4Hz), 8.00 (2H, dt, J=8.4, 1.8Hz).
참조예 82
4-(4-메틸-2-옥소펜틸)벤조산
참조예 74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81 에서 수득한 메틸 4-(4-메틸-2-옥소펜틸)벤조에이트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84 (6H, d, J=6.6Hz), 2.03 (1H, m), 2.39 (2H, d, J=7.0Hz), 3.83 (2H, s), 7.29 (2H, dt, J=8.3, 1.7Hz), 7.87 (2H, dt, J=8.4, 1.9Hz), 12.85 (1H, s).
참조예 83
메틸 4-(2-옥소-2-테트라히드로푸란-2-일에틸)벤조에이트
참조예 77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테트라히드로푸란-2-카르보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89 (3H, m), 2.18 (1H, m), 3.91 (3H, s), 3.91 (2H, m), 3.94 (2H, s), 4.39 (1H, m), 7.29 (2H, dt, J=8.5, 1.8Hz), 7.99 (2H, dt, J=8.3, 1.9Hz).
참조예 84
4-(2-옥소-2-테트라히드로푸란-2-일에틸)벤조산
참조예 74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83 에서 수득한 메틸 4-(2-옥소-2-테트라히드로푸란-2-일에틸)벤조에이트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96 (4H, m), 3.84 (2H, m), 3.97 (2H, s), 4.41 (1H, m), 7.30 (2H, d, J=8.2Hz), 7.87 (2H, d, J=8.2Hz), 12.85 (1H, s).
참조예 85
메틸 4-(2-옥소-2-테트라히드로푸란-3-일에틸)벤조에이트
참조예 77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테트라히드로푸란-3-카르보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2.13 (3H, m), 3.30 (1H, m), 3.83 (2H, s), 3.87 (3H, m), 3.92 (3H, s), 7.28 (2H, dt, J=8.5, 1.7Hz), 8.02 (2H, dt, J=8.3, 1.9Hz).
참조예 86
4-(2-옥소-2-테트라히드로푸란-3-일에틸)벤조산
참조예 74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85 에서 수득한 메틸 4-(2-옥소-2-테트라히드로푸란-3-일에틸)벤조에이트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2.02 (2H, m), 3.38 (1H, m), 3.66 (2H, m), 3.79 (2H, d, J=6.9Hz), 3.98 (2H, s), 7.31 (2H, d, J=8.6Hz), 7.88 (2H, ddd, J=8.4, 3.9, 2.1Hz), 12.88 (1H, s).
참조예 87
8-메틸-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7-퀴놀린아민
참조예 67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6 에서 수득한 7-아미노-8-메틸-3-퀴놀린카보알데히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2.28 (3H, s), 2.42 (8H, m), 2.59 (3H, s), 3.63 (2H, s), 4.00 (2H, s), 7.00 (1H, d, J=8.5Hz), 7.49 (1H, d, J=8.5Hz), 7.88 (1H, d, J=2.2Hz), 8.78 (1H, d, J=2.2Hz).
실시예 1
4'-클로로-N-[3-[(디메틸아미노)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2 ㎖) 중의 참조예 4 에서 수득한 N-[(7-아미노-3-퀴놀리닐)메틸]-N,N-디메틸아민 (87 ㎎, 0.432 mmol), 4'-클로로[1,1'-비페닐]-4-카르복실산 (101 ㎎, 0.432 mmol) 및 디메틸아미노피리딘 (52.8 ㎎, 0.432 mmol) 의 용액에 에틸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101 ㎎, 0.432 mmol) 를 0℃ 에서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반응 용액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칼륨 카보네이트 수용액 및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술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 농축하고, 수득된 잔류물을 알루미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용출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로 정제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1:5) 로 처리하여, 표제 화합물 (120 ㎎) 을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2.21 (6H, s), 3.59 (2H, s), 7.58 (2H, d, J = 8.7 Hz), 7.82 (2H, d, J = 8.7 Hz), 7.89 (2H, d, J = 8.7 Hz), 7.97 (2H, m), 8.13 (3H, m), 8.60 (1H, m), 8.79 (1H, d, J = 2.1 Hz), 10.63 (1H, s).
FABMS(pos): 416 [M+H]+
융점: 236-23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
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 에서 수득한 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1,1'-비페닐]-4-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3.77 (2H, s), 7.44 (1H, m), 7.53 (2H, m), 7.78 (2H, d, J = 6.9 Hz), 7.88 (2H, d, J = 8.7 Hz), 7.96 (2H, m), 8.14 (3H, m), 8.59 (1H, s), 8.81 (1H, d, J = 2.1 Hz), 10.61 (1H, s).
FABMS(pos): 408 [M+H]+
융점: 192-194℃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
4'-메톡시-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 에서 수득한 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4'-메톡시[1,1'-비페닐]-4-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72 (4H, m), 2.50 (4H, m), 3.76 (2H, s), 3.82 (3H, s), 7.08 (2H, d, J = 8.7 Hz), 7.74 (2H, d, J = 8.7 Hz), 7.83 (2H, d, J = 8.4Hz), 7.97 (2H, m), 8.10 (2H, d, J = 8.7 Hz), 8.15 (1H, d, J = 1.2 Hz), 8.59 (1H, d, J = 1.8 Hz), 8.81 (1H, d, J = 2.1 Hz), 10.57 (1H, s).
FABMS(pos): 438 [M+H]+
융점: 202-204℃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4
4'-플루오로-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 에서 수득한 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72 (4H, m), 2.50 (4H, m), 3.77 (2H, s), 7.35 (2H, m), 7.85 (4H, m), 7.97 (2H, m), 8.14 (3H, m), 8.59 (1H, d, J = 1.8 Hz), 8.81 (1H, d, J = 2.1 Hz), 10.61 (1H, s).
FABMS(pos): 426 [M+H]+
융점: 210-21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5
4'-메틸-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 에서 수득한 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4'-메틸[1,1'-비페닐]-4-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72 (4H, m), 2.37 (3H, s), 2.50 (4H, m), 3.77 (2H, s), 7.33 (2H, d, J = 7.8 Hz), 7.68 (2H, d, J = 8.4 Hz), 7.85 (2H, d, J = 8.4 Hz), 7.97 (2H, m), 8.11 (2H, d, J = 8.7 Hz), 8.16 (1H, d, J = 1.5 Hz), 8.59 (1H, d, J = 1.8 Hz), 8.81 (1H, d, J = 2.1 Hz), 10.59 (1H, s).
FABMS(pos): 422 [M+H]+
융점: 206-20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6
4'-클로로-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 에서 수득한 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4'-클로로[1,1'-비페닐]-4-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72 (4H, m), 2.50 (4H, m), 3.77 (2H, s), 7.58 (2H, d, J = 8.7 Hz), 7.82 (2H, d, J = 8.4 Hz), 7.88 (2H, d, J = 8.4 Hz), 7.97 (2H, m), 8.13 (2H, d, J = 8.7 Hz), 8.16 (1H, d, J = 1.2 Hz), 8.59 (1H, s), 8.81 (1H, d, J = 2.1 Hz), 10.62 (1H, s).
FABMS(pos): 442 [M+H]+
융점: 217-22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7
6-페닐-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니코틴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 에서 수득한 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6-페닐니코틴산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72 (4H, m), 2.50 (4H, m), 3.76 (2H, s), 7.55 (3H, m), 7.96 (2H, m), 8.20 (4H, m), 8.45 (1H, dd, J = 8.4, 2.4 Hz), 8.59 (1H, s), 8.82 (1H, d, J = 2.1 Hz), 9.26 (1H, d, J = 1.8 Hz), 10.76 (1H, s).
FABMS(pos): 409 [M+H]+
융점: 208-21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8
6-(4-메톡시페닐)-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니코틴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 에서 수득한 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6-(4-메톡시페닐)니코틴산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72 (4H, m), 2.50 (4H, m), 3.77 (2H, s), 3.85 (3H, s), 7.10 (2H, d, J = 9.3 Hz), 7.96 (2H, m), 8.11 (1H, d, J = 8.1 Hz), 8.19 (3H, m), 8.40 (1H, dd, J = 8.4, 2.1 Hz), 8.58 (1H, s), 8.82 (1H, d, J = 2.1Hz), 9.21 (1H, d, J = 1.5 Hz), 10.72 (1H, s).
FABMS(pos): 439 [M+H]+
융점: 246-24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9
6-(4-플루오로페닐)-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니코틴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 에서 수득한 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6-(4-플루오로페닐)니코틴산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72 (4H, m), 2.50 (4H, m), 3.76 (2H, s), 7.38 (2H, m), 7.96 (2H, m), 8.18 (2H, m), 8.28 (2H, m), 8.45 (1H, dd, J = 8.4, 2.4 Hz), 8.59 (1H, s), 8.82 (1H, d, J = 2.1 Hz), 9.25 (1H, d, J = 1.5 Hz), 10.76 (1H, s).
FABMS(pos): 427 [M+H]+
융점: 218-22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0
6-(4-메틸페닐)-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니코틴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 에서 수득한 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6-(4-메틸페닐)니코틴산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72 (4H, m), 2.39 (3H, s), 2.50 (4H, m), 3.77 (2H, s), 7.36 (2H, d, J = 8.1 Hz), 7.96 (2H, m), 8.11 (2H, d, J = 8.1 Hz), 8.17 (2H, m), 8.42 (1H, dd, J = 8.4, 2.4 Hz), 8.59 (1H, s), 8.82 (1H, d, J = 2.1 Hz), 9.23 (1H, m), 10.74 (1H, s).
FABMS(pos): 423 [M+H]+
융점: 226-22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1
6-(4-클로로페닐)-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니코틴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 에서 수득한 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6-(4-클로로페닐)니코틴산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72 (4H, m), 2.50 (4H, m), 3.77 (2H, s), 7.62 (2H, d, J = 9.0 Hz), 7.96 (2H, m), 8.17-8.26 (4H, m), 8.47 (1H, dd, J = 8.4, 2.4 Hz), 8.59 (1H, s), 8.82 (1H, d, J = 2.1 Hz), 9.26 (1H, d, J = 1.5 Hz), 10.77 (1H, s).
FABMS(pos): 443 [M+H]+
융점: 223-225℃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2
4-페닐-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피페리딘 카르복사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3 ㎖) 중의 참조예 5 에서 수득한 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150 ㎎, 0.569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0791 ㎖, 0.569 mmol) 의 용액에 카르보닐디이미다졸 (111 ㎎, 0.682 mmol) 을 0℃ 에서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용액에 4-페닐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상온에서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반응 용액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칼륨 카보네이트 수용액 및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술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 농축하고, 수득된 잔류물을 알루미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용출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로 정제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1:5) 로 처리하여, 표제 화합물 (18.8 ㎎) 을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59-1.67 (2H, m), 1.71 (4H, m), 1.81-1.85 (2H, m), 2.50 (4H, m), 2.77 (1H, m), 2.94 (2H, m), 3.73 (2H, s), 4.32-4.36 (2H, m), 7.18-7.34 (5H, m), 7.73-7.82 (2H, m), 8.07 (1H, s), 8.16 (1H, d, J = 2.1 Hz), 8.73 (1H, d, J = 2.4 Hz), 8.87 (1H, s).
FABMS(pos): 415 [M+H]+
융점: 222-224℃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3
4-(4-메톡시페닐)-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피페리딘 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 에서 수득한 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4-(4-메톡시페닐)피페리딘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55-1.62 (2H, m), 1.71 (4H, m), 1.78-1.82 (2H, m), 2.49 (4H, m), 2.71 (1H, m), 2.91 (2H, m), 3.72 (5H, m), 4.31-4.35 (2H, m), 6.87 (2H, d, J = 8.7 Hz), 7.19 (2H, d, J = 8.7 Hz), 7.77 (2H, m), 8.07 (1H, s), 8.16 (1H, s), 8.72 (1H, d, J = 2.1 Hz), 8.88 (1H, s).
FABMS(pos): 445 [M+H]+
융점: 241-24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4
4-(4-플루오로페닐)-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피페리딘 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 에서 수득한 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4-(4-플루오로페닐)피페리딘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56-1.64 (2H, m), 1.71 (4H, m), 1.80-1.84 (2H, m), 2.47 (4H, m), 2.78 (1H, m), 2.92 (2H, m), 3.73 (2H, s), 4.31-4.36 (2H, m), 7.12 (2H, m), 7.32 (2H, m), 7.73-7.82 (2H, m), 8.06 (1H, d, J = 1.5 Hz), 8.16(1H, d, J = 2.1 Hz), 8.72 (1H, d, J = 1.8 Hz), 8.87 (1H, s).
FABMS(pos): 433 [M+H]+
융점: 239-241℃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5
4-(4-메틸페닐)-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피페리딘 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 에서 수득한 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4-(4-메틸페닐)피페리딘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55-1.65 (2H, m), 1.71 (4H, m), 1.78-1.82 (2H, m), 2.26 (3H, s), 2.47 (4H, m), 2.72 (1H, m), 2.92 (2H, m), 3.72 (2H, s), 4.31-4.35 (2H, m), 7.09-7.17 (4H, m), 7.73-7.82 (2H, m), 8.07 (1H, s), 8.15 (1H, d, J = 1.8 Hz), 8.72 (1H, d, J = 1.8 Hz), 8.88 (1H, s).
FABMS(pos): 429 [M+H]+
융점: 244-246℃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6
4-(4-클로로페닐)-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피페리딘 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 에서 수득한 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4-(4-클로로페닐)피페리딘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56-1.64 (2H, m), 1.71 (4H, m), 1.80-1.84 (2H, m), 2.47 (4H, m), 2.79 (1H, m), 2.92 (2H, m), 3.72 (2H, s), 4.31-4.36 (2H, m), 7.30-7.38 (4H, m), 7.72-7.82 (2H, m), 8.06 (1H, s), 8.16 (1H, s), 8.72 (1H, d, J = 1.8 Hz), 8.87 (1H, s).
FABMS(pos): 449 [M+H]+
융점: 249-251℃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7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 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67 (3H, s), 3.81 (2H, s), 7.46 (1H, m), 7.53 (2H, m), 7.63 (1H, d, J = 9.0 Hz), 7.77-7.88 (5H, m), 8.15 (2H, d, J = 8.7 Hz), 8.22 (1H, d, J = 1.8 Hz), 8.88 (1H, d, J = 2.1 Hz), 10.28 (1H, s).
FABMS(pos): 422 [M+H]+
융점: 184-186℃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8
4'-메톡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 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67 (3H, s), 3.80 (2H, s), 3.82 (3H, s), 7.08 (2H, d, J = 8.7 Hz), 7.62 (1H, d, J = 8.7 Hz), 7.74 (2H, d, J = 8.7 Hz), 7.83 (3H, m), 8.12 (2H, d, J = 8.4 Hz), 8.21 (1H, d, J = 2.1 Hz), 8.88 (1H, d, J = 1.8 Hz), 10.23 (1H, s).
FABMS(pos): 452 [M+H]+
융점: 210-21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9
4'-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 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67 (3H, s), 3.80 (2H, s), 7.35 (2H, m), 7.62 (1H, d, J = 8.7 Hz), 7.81-7.87 (5H, m), 8.14 (2H, d, J = 8.1 Hz), 8.22 (1H, d, J = 1.8 Hz), 8.88 (1H, d, J = 1.8 Hz), 10.28 (1H, s).
FABMS(pos): 440 [M+H]+
융점: 220-22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0
4'-메틸-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 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72 (4H, m), 2.37 (3H, s), 2.50 (4H, m), 2.67 (3H, s), 3.80 (2H, s), 7.34 (2H, m), 7.61-7.72 (3H, m), 7.81-7.85 (2H, m), 7.93 (1H, d, J = 8.1 Hz), 8.13 (2H, d, J = 8.1 Hz), 8.20 (1H, m), 8.88 (1H, d, J = 1.8 Hz), 10.27 (1H, s).
FABMS(pos): 436 [M+H]+
융점: 177-179℃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1
4'-클로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 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67 (3H, s), 3.81 (2H, s), 7.57 (2H, d, J = 8.7 Hz), 7.62 (1H, d, J = 9.0 Hz), 7.81-7.89 (5H, m), 8.15 (2H, d, J = 8.1 Hz), 8.23 (1H, s), 8.88 (1H, d, J = 2.1 Hz), 10.29 (1H, s).
FABMS(pos): 456 [M+H]+
융점: 227-229℃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2
4'-클로로-N-{3-[(디에틸아미노)메틸]-6-메톡시-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4'-클로로[1,1'-비페닐]-4-카르복실산 (100 ㎎, 0.430 mmol) 을 테트라히드로푸란 (5 ㎖)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용액에 옥살릴 클로라이드 (0.0375 ㎖, 0.430 mmol) 및 한 방울의 DMF 를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상온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수득된 담황색 결정을 DMF (1 ㎖) 중에 용해시켰다. 이에 DMF (1 ㎖) 중의 참조예 13 에서 수득한 3-[(디에틸아미노)메틸]-6-메톡시-7-퀴놀리닐아민 (111 ㎎, 0.430 mmol) 의 용액 및 트리에틸아민 (0.0719 ㎖, 0.516 mmol) 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상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20 ㎖) 를 반응 용액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칼륨 카보네이트 수용액 (10 ㎖) 및 포화 염수 (5 ㎖) 의 혼합 용매로 세척한 다음, 포화 염수 (10 ㎖) 및 물 (10 ㎖) 의 혼합 용매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H-실리카 겔 컬럼으로 정제하고, 침전된 결정을 에틸 아세테이트:이소프로필 에테르=2:1 로 세척하였다. 결정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27.5 ㎎) 을 담황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02 (6H, m), 2.50 (4H, m), 3.71 (2H, s), 4.02 (3H,s), 7.50 (1H, s), 7.58 (2H, d, J=8.3Hz), 7.81 (2H, d, J=8.5), 7.87 (2H, d, J=8.3Hz), 8.10 (3H, m), 8.63 (1H, s), 8.69 (1H, s), 9.65 (1H, s).
FABMS(pos): 474 [M+H]+
융점: 271℃ (분해) (세척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3
4'-클로로-N-[6-메톡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2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14 에서 수득한 6-메톡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72 (4H, m), 2.50 (4H, m), 3.76 (2H, br s), 4.02 (3H, s), 7.50 (1H, s), 7.58 (2H, d, J=8.5Hz), 7.81 (2H, d, J=8.5), 7.87 (2H, d, J=8.5Hz), 8.10 (3H, m), 8.64 (1H, s), 8.69 (1H, d, J=2.0Hz), 9.65 (1H, s).
FABMS(pos): 472 [M+H]+
융점: 271℃ (분해) (세척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4
4'-클로로-N-[6-메톡시-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2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15 에서 수득한 6-메톡시-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40 (2H, m), 1.52 (4H, m), 3.62 (4H, m), 3.62 (2H, br s), 4.02 (3H, s), 7.50 (1H, s), 7.58 (2H, d, J=8.5Hz), 7.81 (2H, d, J=8.5), 7.87 (2H, d, J=8.3Hz), 8.11 (3H, m), 8.64 (1H, s), 8.67 (1H, m), 9.65 (1H, s).
FABMS(pos): 486 [M+H]+
융점: 236℃ (분해) (세척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5
4'-클로로-N-[6-클로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2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18 에서 수득한 6-클로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3.80 (2H, br s), 7.58 (2H, d, J=8.5Hz), 7.82 (2H, d, J=8.5), 7.89 (2H, d, J=8.3Hz), 8.14 (2H, d, J=8.3Hz), 8.28 (3H, m), 8.88 (1H, d, J=2.0Hz), 10.33 (1H, s).
FABMS(pos): 476 [M+H]+
융점: 188℃ (분해) (세척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6
1-[(8-메틸-7-{[(4'-메틸-1,1'-비페닐-4-일)카르보닐]아미노}-3-퀴놀리닐)메틸]-4-피페리딘 카르복사미드
1) 실시예 20 에서 수득한 4'-메틸-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50 ㎎, 0.115 mmol) 를 테트라히드로푸란 (1 ㎖) 중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빙냉하였다. 반응 용액에 칼륨 카보네이트 (23.8 ㎎, 0.172 mmol) 및 에틸 클로로카보네이트 (0.0165 ㎖, 0.172 mmol)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에틸 아세테이트 (20 ㎖)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칼륨 카보네이트 수용액 (10 ㎖) 으로 세척하였다. 침전된 결정을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 용해시키고, NH-실리카 겔 컬럼으로 정제하여,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메틸[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75 ㎎) 를 담황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2.37 (3H, s), 2.67 (3H, s), 5.04 (2H, s), 7.34 (2H, m), 7.69 (3H, m), 7.84 (2H, d, J=8.5Hz), 7.88 (1H, m), 8.13 (2H, d, J=8.3Hz), 8.42 (1H, d, J=2.4Hz), 8.99 (1H, d, J=2.2Hz), 10.28 (1H, s).
2) DMF (1 ㎖) 중에 상기 1)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메틸[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75 ㎎) 를 현탁하였다. 칼륨 카보네이트 (47.6 ㎎, 0.344 mmol) 및 4-피페리딘 카르복사미드 (17.7 ㎎, 0.126 mmol) 를 반응 용액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상온에서 15 시간 동안 현탁하였다. 반응 용액에 에틸 아세테이트 (20 ㎖) 를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칼륨 카보네이트 수용액 (10 ㎖) 및 포화 염수 (5 ㎖) 의 혼합 용매으로 세척한 다음, 포화 염수 (10 ㎖) 및 물 (10 ㎖) 의 혼합 용매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침전된 결정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표제화합물 (23.0 ㎎) 을 담황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59 (2H, m), 1.67 (2H, m), 1.99 (2H, m), 2.07 (1H, m), 2.37 (3H, s), 2.67 (3H, s), 2.86 (2H, m), 3.67 (2H, s), 6.70 (1H, br s), 7.20 (1H, br s), 7.31 (2H, d, J=7.8Hz), 7.62 (1H, d, J=8.8Hz), 7.68 (2H, d, J=8.1Hz), 7.82 (1H, d, J=8.8Hz), 7.83 (2H, d, J=8.5Hz), 8.13 (2H, d, J=8.5Hz), 8.19 (1H, d, J=2.0Hz), 8.86 (1H, d, J=2.2Hz), 10.26 (1H, s).
FABMS(pos): 493 [M+H]+
융점: 287℃ (분해) (세척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실시예 27
N-[3-(1-아제파닐메틸)-7-퀴놀리닐]-4'-클로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0 에서 수득한 3-(1-아제파닐메틸)-7-퀴놀리닐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59 (8H, m), 2.64 (4H, m), 3.80 (2H, br s), 7.58 (2H, m), 7.82 (2H, m), 7.89 (2H, m), 7.98 (2H, m), 8.13 (3H, m), 8.58 (1H, s), 8.83 (1H, m), 10.61 (1H, s).
FABMS(pos): 470 [M+H]+
융점: 204℃ (세척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8
N-[3-(1-아제파닐메틸)-7-퀴놀리닐]-4'-메틸[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0 에서 수득한 3-(1-아제파닐메틸)-7-퀴놀리닐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59 (8H, m), 2.37 (3H, s), 2.65 (4H, m), 3.81 (2H, br s), 7.33 (2H, d, J=8.1Hz), 7.68 (2H, d, J=8.1Hz), 7.85 (2H, d, J=8.5Hz), 7.96 (2H, m), 8.11 (2H, d, J=8.5Hz), 8.15 (1H, s), 8.58 (1H, m), 8.83 (1H, m), 10.58 (1H, s).
FABMS(pos): 450 [M+H]+
융점: 209℃ (세척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9
N-[3-(1-아제파닐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0 에서 수득한 3-(1-아제파닐메틸)-7-퀴놀리닐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59 (8H, m), 2.64 (4H, m), 3.80 (2H, br s), 7.36 (2H, m), 7.82 (2H, m), 7.86 (2H, d, J=8.1Hz), 7.97 (2H, m), 8.12 (2H, d, J=8.5Hz), 8.15 (1H, s), 8.58 (1H, s), 8.83 (1H, m), 10.60 (1H, s).
FABMS(pos): 454 [M+H]+
융점: 202℃ (세척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0
N-[3-(1-아제파닐메틸)-7-퀴놀리닐]-4'-메톡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0 에서 수득한 3-(1-아제파닐메틸)-7-퀴놀리닐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59 (8H, m), 2.64 (4H, m), 3.80 (2H, br s), 3.82 (3H, s), 7.08 (2H, d, J=8.8Hz), 7.74 (2H, d, J=8.8Hz), 7.83 (2H, d, J=8.5Hz), 7.96 (2H, m), 8.09 (2H, d, J=8.5Hz), 8.14 (1H, s), 8.58 (1H, m), 8.83 (1H, m), 10.56 (1H, s).
FABMS(pos): 466 [M+H]+
융점: 212℃ (분해) (세척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1
N-[3-(1-아제파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0 에서 수득한 3-(1-아제파닐메틸)-7-퀴놀리닐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59 (8H, m), 2.64 (4H, m), 3.80 (2H, br s), 7.44 (1H, m), 7.52 (2H, m), 7.78 (2H, d, J=7.1Hz), 7.88 (2H, d, J=8.3Hz), 7.96 (2H, m), 8.13 (2H, d, J=8.3Hz), 8.15 (1H, s), 8.58 (1H, m), 8.83 (1H, m), 10.61 (1H, s).
FABMS(pos): 436 [M+H]+
융점: 205℃ (분해) (세척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2
N-[3-(1-아제파닐메틸)-7-퀴놀리닐]-6-(4-클로로페닐)니코틴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0 에서 수득한 3-(1-아제파닐메틸)-7-퀴놀리닐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58 (8H, m), 2.64 (4H, m), 3.80 (2H, s), 7.61 (2H, m), 7.96 (2H, s), 8.15 (1H, m), 8.23 (3H, m), 8.47 (1H, dd, J=8.3, 2.4Hz), 8.58 (1H, s), 8.84 (1H, d, J=2.2Hz), 9.26 (1H, d, J=2.2Hz), 10.76 (1H, s).
FABMS(pos): 471 [M+H]+
융점: 233℃ (분해) (세척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3
N-[3-(1-아제파닐메틸)-7-퀴놀리닐]-6-(4-메틸페닐)니코틴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0 에서 수득한 3-(1-아제파닐메틸)-7-퀴놀리닐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59 (8H, m), 2.39 (3H, s), 2.65 (4H, m), 3.81 (2H, s), 7.36 (2H, d, J=8.5Hz), 7.96 (2H, s), 8.11 (2H, d, J=8.1Hz), 8.14 (2H, d, J=8.5Hz), 8.43 (1H, dd, J=8.5, 2.2Hz), 8.58 (1H, s), 8.84 (1H, d, J=2.2Hz), 9.23 (1H, dd, J=3.1, 0.7Hz), 10.73 (1H, s).
FABMS(pos): 451 [M+H]+
융점: 237℃ (분해) (세척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4
N-[3-(1-아제파닐메틸)-7-퀴놀리닐]-4-(4-클로로페닐)-1-피페리딘 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0 에서 수득한 3-(1-아제파닐메틸)-7-퀴놀리닐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58 (10H, m), 1.81 (2H, m), 2.61 (4H, m), 2.78 (1H, m), 2.92 (2H, m), 3.75 (2H, s), 4.34 (2H, m), 7.31 (2H, d, J=8.5Hz), 7.36 (2H, d, J=8.3Hz), 7.74 (1H, dd, J=1.7, 8.7Hz), 7.80 (1H, d, J=8.7Hz),8.05 (1H, s), 8.15 (1H, s), 8.74 (1H, d, J=1.7Hz), 8.87 (1H, s).
FABMS(pos): 477 [M+H]+
융점: 247℃ (분해) (세척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5
N-[3-(1-아제파닐메틸)-7-퀴놀리닐]-4-(4-메틸페닐)-1-피페리딘 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0 에서 수득한 3-(1-아제파닐메틸)-7-퀴놀리닐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58 (10H, m), 1.80 (2H, m), 2.26 (3H, s), 2.61 (4H, m), 2.72 (1H, m), 2.91 (2H, m), 3.75 (2H, s), 4.32 (2H, m), 7.11 (2H, d, J=7.8Hz), 7.15 (2H, d, J=8.3Hz), 7.74 (1H, d, J=8.5Hz), 7.80 (1H, d, J=8.3Hz), 8.05 (1H, s), 8.15 (1H, s), 8.75 (1H, s), 8.86 (1H, s).
FABMS(pos): 457 [M+H]+
융점: : 240℃ (분해) (세척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6
4'-메톡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1 에서 수득한 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및 4'-메톡시[1,1'-비페닐]-4-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CDCl3) δ 1.80 (4H, m), 2.52 (3H, s), 2.55 (4H, m), 3.77 (2H, s), 3.86 (3H, s), 7.00 (2H, d, J = 8.8 Hz), 7.57 (2H, d, J = 8.8 Hz), 7.62 (1H, s), 7.67 (2H, d, J = 8.0 Hz), 7.97 (2H, d, J = 8.0 Hz), 7.97 (2H, m), 8.74 (1H, s), 8.82 (1H, d, J = 1.8 Hz).
융점: 194 - 198 ℃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7
4'-플루오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1 에서 수득한 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및 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CDCl3) δ 1.82 (4H, m), 2.53 (3H, s), 2.56 (4H, m), 3.78 (2H, s), 7.12 - 7.22 (2H, m), 7.54 - 7.72 (5H, m), 7.94 - 8.04 (4H, m), 8.75 (1H, s), 8.83 (1H, d, J = 1.6 Hz).
융점: 182 - 187 ℃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8
4'-메틸-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1 에서 수득한 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및 4'-메틸[1,1'-비페닐]-4-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CDCl3) δ 1.81 (4H, m), 2.42 (3H, s), 2.54 (3H, s), 2.56 (4H, m), 3.78 (2H, s), 7.29 (2H, d, J = 8.0 Hz), 7.54 (2H, d, J = 8.0 Hz), 7.63 (1H, s), 7.72 (2H, d, J = 8.4 Hz), 7.97 (2H, m), 7.99 (2H, d, J = 8.4 Hz),8.76 (1H, s), 8.83 (1H, d, J = 1.8 Hz).
융점: 191 - 193 ℃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9
4'-클로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1 에서 수득한 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및 4'-클로로[1,1'-비페닐]-4-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CDCl3) δ 1.82 (4H, m), 2.55 (3H, s), 2.57 (4H, m), 3.79 (2H, s), 7.40 - 7.49 (2H, m), 7.54 - 7.72 (5H, m), 7.90 - 8.04 (4H, m), 8.76 (1H, s), 8.84 (1H, d, J = 2.2 Hz).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8H26N3ClO
계산치: C, 73.75; H, 5.75; N, 9.22; Cl, 7.78.
실측치: C, 73.47; H, 5.64; N, 9.12, Cl, 7.82.
융점: 214 - 217 ℃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40
6-(4-메틸페닐)-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니코틴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1 에서 수득한 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및 6-(4-메틸페닐)니코틴산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CDCl3) δ 1.82 (4H, m), 2.44 (3H, s), 2.55 (3H, s), 2.57 (4H, m), 3.79 (2H, s), 7.33 (2H, d, J = 7.6 Hz), 7.65 (1H, s), 7.87 (1H, d, J = 8.6 Hz), 7.95 - 8.04 (4H, m), 8.33 (1H, dd, J = 2.2, 8.6 Hz), 8.75 (1H, s), 8.85 (1H, d, J = 2.2 Hz), 9.19 (1H, d, J = 1.6 Hz).
융점: 214 - 218 ℃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41
6-(4-클로로페닐)-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니코틴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1 에서 수득한 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및 6-(4-클로로페닐)니코틴산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CDCl3) δ 1.82 (4H, m), 2.55 (3H, s), 2.57 (4H, m), 3.79 (2H, s), 7.49 (2H, d, J = 8.8 Hz), 7.66 (1H, s), 7.87 (1H, d, J = 8.4 Hz), 7.97 - 8.07 (4H, m), 8.35 (1H, dd, J = 2.6, 8.4 Hz), 8.74 (1H, s), 8.85 (1H, d, J = 2.2 Hz), 9.20 (1H, d, J = 2.0 Hz).
융점: 232 - 237 ℃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42
1-[(7-{[(4'-플루오로[1,1'-비페닐]-4-일)카르보닐]아미노}-3-퀴놀리닐)메틸]-4-피페리딘 카르복사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2.0 ㎖) 중의 참조예 2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150 ㎎, 0.384 mmol), 4-피페리딘 카르복사미드 (68.0 ㎎, 0.531 mmol) 및 칼륨 카보네이트 (73.0 ㎎, 0.528 mmol) 의 용액을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1N NaOH 를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무수 마그네슘 술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수득된 잔류물을 알루미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용출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43.8 ㎎)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0 - 1.76 (4H, m), 1.91 - 2.12 (3H, m), 2.87 (2H, m), 3.64 (2H, s), 6.73 (1H, s), 7.22 (1H, s), 7.34 (1H, d, J = 8.8 Hz), 7.38 (1H, d, J = 8.8 Hz), 7.80 - 7.90 (4H, m), 7.98 (2H, s), 8.13 (2H, d, J = 8.4 Hz), 8.15 (1H, s), 8.60 (1H, s), 8.81 (1H, d, J = 1.8 Hz), 10.62 (1H, s).
FABMS(pos): 483 [M+H]+
융점: 261 - 265 ℃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43
N-(3-{[3-(아세틸아미노)-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및 N-(3-피롤리디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7 (1H, m), 1.78 (3H, s), 2.11 (1H, m), 2.31 - 2.84 (2H, m), 2.65 - 2.75 (2H, m), 3.78 (2H, s), 4.16 (1H, br), 7.34 (1H, d,J = 8.8 Hz), 7.38 (1H, d, J = 9.2 Hz), 7.80 - 8.06 (7H, m), 8.11 (2H, d, J = 8.4 Hz), 8.13 - 8.19 (1H, m), 8.61 (1H, s), 8.83 (1H, d, J = 2.0 Hz), 10.63 (1H, s).
FABMS(pos): 483 [M+H]+
융점: 250 - 253 ℃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44
N-[3-({4-[2-(에틸아미노)-2-옥소에틸]-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및 N-에틸-2-(4-피페리디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97 (3H, t, J= 7.2 Hz), 1.06 - 1.27 (2H, m), 1.52 - 1.76 (3H, m), 1.91 - 2.12 (4H, m), 2.73 - 2.87 (2H, m), 3.03(2H, q, J = 7.2 Hz), 3.61 (2H, s), 7.34 (1H, d, J = 8.7 Hz), 7.36 (1H, d, J = 9.0 Hz), 7.72 - 7.89 (5H, m), 7.91 - 8.03 (2H, m), 8.08 - 8.15 (3H, m), 8.58 (1H, s), 8.79 (1H, d, J = 2.1 Hz), 10.61 (1H, s).
FABMS(pos): 525 [M+H]+
융점: 224 - 227 ℃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45
4'-플루오로-N-(3-{[4-(히드록시메틸)-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및 4-피페리딘메탄올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00 - 1.46 (3H, m), 1.64 (2H, m), 1.96 (2H, m), 2.85 (2H, m), 3.25 (2H, t, J = 5.2 Hz), 3.63 (2H, s), 4.43 (1H, t, J = 5.2 Hz), 7.33 (1H, d, J = 8.8 Hz), 7.38 (1H, d, J = 9.0 Hz), 7.78 - 8.03 (6H, m), 8.08 - 8.18 (3H, m), 8.60 (1H, s), 8.80 (1H, d, J = 2.0 Hz), 10.63 (1H, s).
FABMS(pos): 470 [M+H]+
융점: 191 - 195 ℃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46
4'-플루오로-N-(3-{[4-(2-히드록시에틸)-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및 2-(4-피페리디닐)에탄올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03 - 1.52 (5H, m), 1.62 (2H, m), 1.97 (2H, m), 2.83 (2H, m), 3.43 (2H, q, J = 5.2 Hz), 3.62 (2H, s), 4.33 (1H, t, J = 5.2 Hz), 7.33 (1H, d, J = 8.8 Hz), 7.38 (1H, d, J = 8.6 Hz), 7.78 - 8.03 (6H, m), 8.08 - 8.18 (3H, m), 8.60 (1H, s), 8.80 (1H, d, J = 2.0 Hz), 10.62 (1H, s).
FABMS(pos): 484 [M+H]+
융점: 193 - 196 ℃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47
N-[3-({4-[4-(에틸아미노)-4-옥소부틸]-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및 N-에틸-4-(4-피페리디닐)butan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98 (3H, t, J = 7.2 Hz), 1.06 - 1.26 (5H, m), 1.42 - 1.70 (4H, m), 1.88 - 2.06 (4H, m), 2.83 (2H, m), 3.05 (2H, q, J = 7.2 Hz), 3.62 (2H, s), 7.33 (1H, d, J = 8.8 Hz), 7.38 (1H, d, J = 8.8 Hz), 7.70 - 7.92 (5H, m), 7.94 - 7.99 (2H, m), 8.08 - 8.18 (3H, m), 8.59 (1H, s), 8.79 (1H, d, J = 2.2 Hz), 10.61 (1H, s).
FABMS(pos): 553 [M+H]+
융점: 209 - 213 ℃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48
N-[3-({4-[2-(에틸아미노)-2-옥소에톡시]-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및 N-에틸-2-(4-피페리디닐옥시)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ABMS(pos): 541 [M+H]+
융점: 228 - 23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49
4-브로모-N-[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5 에서 수득한 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3.78 (2H, s), 7.78 (2H, d, J = 8.4 Hz), 7.89 (1H, d, J = 11.1 Hz), 7.95 (2H, d, J = 8.4 Hz), 8.22 (1H, s), 8.33 (1H, d, J = 7.5 Hz), 8.82 (1H, d, J = 1.8 Hz), 10.47 (1H, s).
융점: 119-121℃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50
4'-플루오로-N-[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1,2-디메톡시에탄 (3 ㎖) 중의 실시예 49 에서 수득한 4-브로모-N-[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100 ㎎, 0.233 mmol), 4-플루오로페닐보론산 (65.3 ㎎, 0.467 mmol) 및 2N 나트륨 카보네이트 (0.233 ㎖) 의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8.1 ㎎, 0.007 mmol) 을 90℃ 에서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질소 대기하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무수 나트륨 술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수득된 조 생성물을 NH-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용출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로 정제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1:5) 로 처리하여, 표제 화합물 (55.2 ㎎) 을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3.80 (2H, s), 7.36 (2H, m), 7.82-7.93 (5H, m), 8.12 (2H, d, J = 8.4 Hz), 8.23 (1H, s), 8.37 (1H, d, J = 8.1 Hz), 8.83 (1H, s), 10.45 (1H, s).
융점: 198-20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44 [M+H]+
실시예 51
4'-클로로-N-[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49 에서 수득한 4-브로모-N-[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3.80 (2H, s), 7.60 (2H, d, J = 8.4 Hz), 7.80-7.94 (5H, m), 8.13 (2H, d, J = 8.4 Hz), 8.23 (1H, s), 8.37 (1H, d, J = 7.6 Hz), 8.83 (1H, s), 10.46 (1H, s).
융점: 218-22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60 [M+H]+
실시예 52
N-[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49 에서 수득한 4-브로모-N-[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4 (4H, m), 2.50 (4H, m), 3.79 (2H, s), 7.44 (1H, d, J = 7.2 Hz), 7.52 (2H, m), 7.77 (2H, d, J = 6.9 Hz), 7.89 (3H, m), 8.12 (2H, d, J = 8.4 Hz), 8.23 (1H, s), 8.37 (1H, d, J = 7.5 Hz), 8.82 (1H, s), 10.42 (1H, s).
융점: 206-20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26 [M+H]+
실시예 53
N-[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메톡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49 에서 수득한 4-브로모-N-[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3.79 (2H, s), 3.82 (3H, s), 7.07 (2H, d, J = 8.4 Hz), 7.74 (2H, d, J = 8.4 Hz), 7.82 (2H, d, J = 8.4 Hz), 7.90 (1H, d, J = 11.1 Hz), 8.08 (2H, d, J = 8.4 Hz), 8.22 (1H, s), 8.36 (1H, d, J = 7.5 Hz), 8.82 (1H, d, J = 1.5 Hz), 10.39 (1H, s).
융점: 184-186℃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6 [M+H]+
실시예 54
N-[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메틸[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49 에서 수득한 4-브로모-N-[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4 (4H, m), 2.37 (3H, s), 2.50 (4H, m), 3.80 (2H, s), 7.32 (2H, d, J = 8.4 Hz), 7.68 (2H, d, J = 8.1 Hz), 7.84 (2H, d, J = 8.4Hz), 7.90 (1H, d, J = 11.1 Hz), 8.10 (2H, d, J = 8.7 Hz), 8.22 (1H, s), 8.36 (1H, d, J = 7.8 Hz), 8.83 (1H, d, J = 1.5 Hz), 10.40 (1H, s).
융점: 202-204℃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40 [M+H]+
실시예 55
N-[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트리플루오로메틸)[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49 에서 수득한 4-브로모-N-[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3.80 (2H, s), 7.85-8.02 (7H, m), 8.15 (2H, d, J = 7.2 Hz), 8.22 (1H, s), 8.37 (1H, d, J = 7.2 Hz), 8.82 (1H, s), 10.47 (1H, s).
융점: 209-21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94 [M+H]+
실시예 56
N-[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트리플루오로메톡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49 에서 수득한 4-브로모-N-[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3.80 (2H, s), 7.50 (2H, d, J = 8.1 Hz), 7.90 (5H, m), 8.13 (2H, d, J = 7.8 Hz), 8.22 (1H, s), 8.37 (1H, d, J = 7.5 Hz), 8.82 (1H, s), 10.44 (1H, s).
융점: 184-18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510 [M+H]+
실시예 57
4-브로모-2-플루오로-N-[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5 에서 수득한 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2 (4H, m), 2.50 (4H, m), 3.78 (2H, s), 7.59 (1H, dd, J = 2.1, 8.4 Hz), 7.73 (1H, d, J = 8.1 Hz), 7.78 (1H, d, J = 8.1 Hz), 7.90 (1H, d, J = 8.4 Hz), 8.21 (1H, s), 8.61 (1H, d, J = 7.5 Hz), 8.82 (1H, d, J = 2.1 Hz), 10.50 (1H, s).
융점: 149-151℃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58
3-플루오로-N-[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57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3.79 (2H, s), 7.45-7.57 (3H, s), 7.69-7.94 (6H, m), 8.22 (1H, s), 8.65 (1H, d, J = 8.0 Hz), 8.82 (1H, d, J = 2.2 Hz), 10.39 (1H, s).
융점: 163-164℃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44 [M+H]+
실시예 59
3-플루오로-N-[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메톡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57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4 (4H, m), 2.50 (4H, m), 3.83 (5H, m), 7.07 (2H, d, J = 9.2 Hz), 7.68-7.94 (6H, m), 8.22 (1H, s), 8.65 (1H, d, J = 7.4 Hz), 8.84 (1H, s), 10.32 (1H, s).
융점: 174-176℃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74 [M+H]+
실시예 60
3,4'-디플루오로-N-[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57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3.79 (2H, s), 7.36 (2H, m), 7.71 (2H, m), 7.88 (4H, m), 8.22 (1H, s), 8.64 (1H, d, J = 7.4 Hz), 8.82 (1H, d, J = 1.4 Hz), 10.39 (1H, s).
융점: 200-20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62 [M+H]+
실시예 61
3-플루오로-N-[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메틸[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57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37 (3H, s), 2.50 (4H, m), 3.79 (2H, s), 7.33 (2H, d, J = 8.2 Hz), 7.69 (4H, m), 7.88 (2H, m), 8.21 (1H, s), 8.64 (1H, d, J = 7.6 Hz), 8.82 (1H, d, J = 2.2 Hz), 10.34 (1H, s).
융점: 179-181℃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8 [M+H]+
실시예 62
4'-클로로-3-플루오로-N-[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57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6-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3.78 (2H, s), 7.58 (2H, d, J = 8.4 Hz), 7.73-7.93 (6H, m), 8.21 (1H, s), 8.65 (1H, m), 8.82 (1H, s), 10.40 (1H, s).
융점: 217-219℃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78 [M+H]+
실시예 63
4-브로모-N-[6-(1-피롤리디닐)-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1, 참조예 2 및 참조예 3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27 에서 수득한 4-브로모-N-[3-포르밀-6-(1-피롤리디닐)-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2 (4H, m), 1.89 (4H, m), 2.49 (4H, m), 3.30 (4H, m), 3.71 (2H, s), 7.19 (1H, s), 7.76 (2H, d, J = 8.4 Hz), 7.91 (1H, s), 7.96-7.99 (3H, m), 8.55 (1H, d, J = 2.1 Hz), 10.17 (1H, s).
융점: 171-17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ESI(pos) 480 [M+H]+
실시예 64
4'-플루오로-N-[6-(1-피롤리디닐)-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6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6-(1-피롤리디닐)-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1.90 (4H, m), 2.50 (8H, m), 3.74 (2H, s), 7.22 (1H, s), 7.35 (2H, m), 7.82 (4H, m), 8.00 (2H, m), 8.13 (2H, d, J = 8.6 Hz), 8.57 (1H, s), 10.16 (1H, s).
융점: 182-184℃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95 [M+H]+
실시예 65
4-브로모-N-[6-클로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18 에서 수득한 6-클로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3.80 (2H, s), 1.98 (2H, s), 7.46 (2H, d, J = 8.05 Hz), 7.63 (2H, d, J = 8.30 Hz), 8.26 (3H, m), 8.88 (1H, d, J = 1.47 Hz), 10.37 (1H, s).
실시예 66
4'-플루오로-N-[6-클로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65 에서 수득한 4-브로모-N-[6-클로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d 1.73 (4H, m), 2.50 (4H, m), 3.80 (2H, s), 7.36 (2H, m), 7.82 (2H, m), 7.87 (2H, m), 8.14 (2H, d, J = 7.8 Hz), 8.26 (1H, s), 8.29 (2H, d, J = 6.8 Hz), 8.89 (1H, s), 10.32 (1H, s).
융점: 18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67
N-[6-클로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메톡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65 에서 수득한 4-브로모-N-[6-클로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d 1.82 (4H, m), 2.56 (4H, m), 3.79 (2H, s), 3.87 (3H, s), 7.02 (2H, m), 7.60 (2H, m), 7.72 (2H, d, J = 8.3 Hz), 7.88 (1H, s), 7.97 (1H, d, J = 1.7 Hz), 8.02 (2H, d, J = 8.3 Hz), 8.69 (1H, s), 8.90 (1H, d, J = 2.0 Hz), 9.34 (1H, s).
융점: 184℃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8H26N3ClFO
계산치: C, 70.80; H, 5.52; N, 8.85.
실측치: C, 70.77; H, 5.67; N, 8.60.
실시예 68
4-(1-벤조푸란-2-일)-N-[6-클로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65 에서 수득한 4-브로모-N-[6-클로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d 1.79 (4H, m), 2.54 (4H, m), 3.77 (2H, s), 7.16 (1H, s), 7.24 (1H, m), 7.30 (1H, m), 7.53 (1H, d, J = 8.3 Hz), 7.60 (1H, d, J = 7.8 Hz), 7.87 (1H, s), 7.94 (1H, m), 8.01 (4H, m), 8.67 (1H, s), 8.88 (1H, d, J = 2.0 Hz), 9.31 (1H, s).
융점: 209℃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9H24N3ClO2
계산치: C, 72.27; H, 5.02; N, 8.72.
실측치: C, 72.16; H, 4.79; N, 8.96.
실시예 69
N-[6-클로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5-클로로티엔-2-일)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65 에서 수득한 4-브로모-N-[6-클로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d 1.79 (4H, m) 2.54 (4H, m) 3.77 (2H, s) 6.92 (1H, d, J = 3.9 Hz) 7.18 (1H, d, J = 3.9 Hz) 7.63 (2H, m) 7.86 (1H, s) 7.95 (3H, m) 8.63 (1H, s) 8.88 (1H, d, J = 2.0 Hz) 9.29 (1H, s).
융점: 185℃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5H21N3Cl2OSㆍ0.25H2O
계산치: C, 61.67; H, 4.45; N, 8.62.
실측치: C, 61.69; H, 4.28; N, 8.44.
실시예 70
4-브로모-N-[8-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30 에서 수득한 8-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린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DMSO-d6) δ 1.73 (4H, m), 2.51 (4H, m), 3.81 (2H, s), 7.75-7.83 (4H, m), 7.98 (2H, d, J = 8.4 Hz), 8.30 (1H, s), 8.90 (1H, d, J = 2.1 Hz), 10.54 (1H, s).
실시예 71
N-[8-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70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DMSO-d6) δ 1.73 (4H, m), 2.51 (4H, m), 3.82 (2H, s), 7.39 - 7.57 (3H, m), 7.78 (2H, d, J = 8.1 Hz), 7.82 (2H, m), 7.87 (2H, d, J = 8.1 Hz), 8.14 (2H, d, J = 8.1 Hz), 8.30 (1H, s), 8.90 (1H, s), 10.47 (1H, s).
융점: 186-18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26 [M+H]+
실시예 72
N-[8-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메톡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70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DMSO-d6) δ 1.73 (4H, m), 2.50 (4H, m), 3.82 (5H, m), 7.07 (2H, d, J = 8.4 Hz), 7.73 (2H, d, J = 8.4 Hz), 7.77 - 7.88 (4H, m), 8.10 (2H, d, J = 8.1 Hz), 8.29 (1H, s), 8.89 (1H, d, J = 1.8 Hz), 10.43 (1H, s).
융점: 217-220 ℃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6 [M+H]+
실시예 73
4'-플루오로-N-[8-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70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DMSO-d6) δ 1.74 (4H, m), 2.51 (4H, m), 3.83 (2H, s), 7.35 (2H, m), 7.80-7.90 (6H, m), 8.14 (2H, d, J = 8.4 Hz), 8.31 (1H, s), 8.90 (1H, d, J = 1.8 Hz), 10.49 (1H, s).
융점: 17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44 [M+H]+
실시예 74
N-[8-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메틸[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70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DMSO-d6) δ 1.73 (4H, m), 2.37 (3H, s), 2.50 (4H, m), 3.82 (2H, s), 7.32 (2H, d, J = 7.8 Hz), 7.68 (2H, d, J = 7.8 Hz), 7.80-7.88 (4H, m), 8.12 (2H, d, J = 8.1 Hz), 8.30 (1H, s), 8.90 (1H, s), 10.46 (1H, s).
융점: 210-21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40 [M+H]+
실시예 75
4'-클로로-N-[8-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70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DMSO-d6) δ 1.73 (4H, m), 2.50 (4H, m), 3.82 (2H, s), 7.57 (2H, d, J = 8.7 Hz), 7.78-7.86 (4H, m), 7.88 (2H, d, J = 8.4 Hz), 8.14 (2H, d, J = 8.4 Hz), 8.30 (1H, s), 8.90 (1H, d, J = 1.8 Hz), 10.50 (1H, s).
융점: 206-20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60 [M+H]+
실시예 76
4-브로모-2-플루오로-N-[8-플루오로-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30 에서 수득한 8-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린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3.81 (2H, s), 7.57-8.10 (5H, m), 8.28 (1H, s), 8.89 (1H, s), 10.53 (1H, s).
실시예 77
3-플루오로-N-[8-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76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8-플루오로-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3.81 (2H, s), 7.45-8.00 (10H, m), 8.29 (1H, s), 8.90 (1H, s), 10.48 (1H, s).
융점: 136-13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44 [M+H]+
실시예 78
3,4'-디플루오로-N-[8-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76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8-플루오로-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3.81 (2H, s), 7.32-8.30 (11H, m), 8.90 (1H, s), 10.49 (1H, s).
실시예 79
3-플루오로-N-[8-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메톡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76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8-플루오로-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1 (4H, m), 3.82 (5H, m), 7.07 (2H, m), 7.64-8.02 (7H, m), 8.30 (1H, s), 8.90 (1H, s), 10.42 (1H, s).
융점: 182-18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74 [M+H]+
실시예 80
4-브로모-N-[8-메톡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3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35 에서 수득한 4-브로모-N-[3-(클로로메틸)-8-메톡시-7-퀴놀리닐]벤즈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2 (4H, m), 2.50-2.54 (4H, m), 3.78 (2H, s), 4.11 (3H, s), 7.69-7.79 (3H, m), 7.96-8.00 (3H, m), 8.21 (1H, d, J = 1.8 Hz), 8.85 (1H, d, J = 1.8 Hz), 10.03 (1H, s).
융점: 121-122℃
실시예 81
4'-플루오로-N-[8-메톡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80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톡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4 (4H, br), 2.48-2.54 (4H, m), 3.81 (2H, s), 4.13 (3H, s)7.30-7.39 (2H, m), 7.73 (1H, d, J = 8.6 Hz), 7.79-7.87 (4H, m), 8.04-8.15 (3H, m), 8.23 (1H, d, J = 2.2 Hz), 8.86 (1H, d, J = 2.2 Hz), 9.97 (1H, s).
융점: 142-144℃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8H26N3FO2·0.25H2O
계산치: C, 73.10; H, 5.81; N, 9.13.
실측치: C, 73.32; H, 5.67; N, 9.34.
실시예 82
4-브로모-N-[8-에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3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44 에서 수득한 4-브로모-N-[3-(클로로메틸)-8-에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15 (3H, t, J = 7.2 Hz), 1.73-1.79 (4H, m), 2.50-2.51 (4H, m), 3.27 (2H, q, J = 7.4 Hz), 3.80 (2H, s), 7.54 (1H, d, J = 8.8 Hz), 7.76-7.85 (3H, m), 7.99 (2H, d, J = 8.4 Hz), 8.22 (1H, d, J = 2.2 Hz), 8.88 (1H, d, J = 2.2 Hz), 10.28 (1H, s).
융점: 230-231℃
실시예 83
N-[8-에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82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에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17 (3H, t, J = 7.2 Hz), 1.73 (4H, br), 2.50 (4H, br), 2.91-3.35 (2H, m), 3.80 (2H, s), 7.31-7.40 (2H, m), 7.57 (1H, d, J = 8.4Hz), 7.80-7.88 (5H, m), 8.14 (2H, d, J = 8.4 Hz), 8.22 (1H, d, J = 1.8 Hz), 8.90 (1H, d, J = 1.8 Hz), 10.25 (1H, s).
융점: 266-26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4 [M+H]+
실시예 84
4-브로모-2-플루오로-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 에서 수득한 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1 (4H, m), 2.48 (4H, m), 3.74 (2H, s), 7.58 (1H, dd, J = 8.30, 1.71 Hz), 7.67 (1H, d, J = 7.57 Hz), 7.79 (2H, m), 7.93 (1H, m), 8.14 (1H, d, J = 1.46 Hz), 8.49 (1H, s), 8.79 (1H, d, J = 1.95 Hz), 10.78 (1H, s).
실시예 85
4'-클로로-3-플루오로-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84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d 1.72 (4H, m), 2.50 (4H, m), 3.76 (2H, s), 7.57 (2H, m), 7.69 (1H, m), 7.76 (1H, m), 7.84 (4H, m), 7.95 (1H, m), 8.16 (1H, d, J = 1.2 Hz), 8.53 (1H, d, J = 1.7 Hz), 8.80 (1H, d, J = 2.2 Hz), 10.78 (1H, s).
융점: 23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7H23N3ClFO
계산치: C, 70.51; H, 5.04; N, 9.14.
실측치: C, 70.12; H, 5.04; N, 8.74.
실시예 86
4'-클로로-3-플루오로-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84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d 1.71 (4H, m), 2.49 (4H, m), 3.75 (2H, s), 7.34 (2H, m), 7.66 (1H, dd, J = 8.1, 1.7 Hz), 7.73 (1H, m), 7.83 (4H, m), 7.94 (1H, m), 8.14 (1H, d, J = 1.2 Hz), 8.52 (1H, d, J = 1.5 Hz), 8.79 (1H, d, J = 2.2 Hz), 10.76 (1H, s).
융점: 17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7H23N3F2O
계산치: C, 73.12; H, 5.23; N, 9.47.
실측치: C, 73.33; H, 5.26; N, 9.22.
실시예 87
3-플루오로-4'-메톡시-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84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d 1.71 (4H, m), 2.49 (4H, m), 3.75 (2H, s), 3.87 (3H, s), 7.57 (2H, m), 7.69 (1H, m), 7.76 (1H, m), 7.84 (4H, m), 7.95 (1H, m), 8.16 (1H, d, J = 1.2 Hz), 8.53 (1H, d, J = 1.7 Hz), 8.80 (1H, d, J = 2.2 Hz), 10.78 (1H, s).
융점: 174℃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6 [M+H]+
실시예 88
3-플루오로-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84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d 1.71 (4H, m), 2.49 (4H, m), 3.75 (2H, s), 7.47 (3H, m), 7.68 (1H, m), 7.72 (1H, m), 7.80 (4H, m), 7.94 (1H, m), 8.15 (1H, d, J = 1.5 Hz), 8.53 (1H, d, J = 1.5 Hz), 8.79 (1H, d, J = 2.2 Hz), 10.76 (1H, s).
융점: 166℃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7H24N3FOㆍ0.5H2O
계산치: C, 74.63; H, 5.79; N, 9.67.
실측치: C, 74.44; H, 5.50; N, 9.42.
실시예 89
4'-클로로-N-(3-{[4-(2-히드록시에틸)-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45 에서 수득한 4'-클로로-N-[3-(클로로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d 1.17 (2H, m), 1.35 (3H, m), 1.61 (2H, m), 1.98 (2H, s), 2.81 (2H, m), 3.42 (2H, m), 3.62 (2H, s), 4.31 (1H, t, J = 4.9 Hz), 7.58 (2H, m), 7.82 (2H, m), 7.88 (2H, d, J = 8.3 Hz), 7.97 (4H, m), 8.13 (2H, d, J = 8.6 Hz), 8.58 (1H, s), 8.79 (1H, d, J = 1.5 Hz), 10.62 (1H, s).
융점: 204℃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0H30N3ClO2ㆍ1.25H2O
계산치: C, 68.95; H, 6.26; N, 8.04.
실측치: C, 69.04; H, 6.56; N, 7.79.
실시예 90
1-[(7-{[(4'-클로로-1,1'-비페닐-4-일)카르보닐]아미노}-3-퀴놀리닐)메틸]피페리딘-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45 에서 수득한 4'-클로로-N-[3-(클로로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d 1.66 (4H, m), 1.99 (2H, m), 2.06 (1H, m), 2.86 (2H, m), 3.64 (2H, s), 6.70 (1H, s), 7.20 (1H, s), 7.58 (2H, m), 7.83 (2H, m), 7.89 (2H, m), 7.96 (1H, d, J=8.8 Hz), 7.99 (1H, m), 8.14 (3H, m), 8.59 (1H, s), 8.80 (1H, d, J = 1.5 Hz), 10.62 (1H, s).
융점: 26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9H27N4ClO2
계산치: C, 69.80; H, 5.45; N, 11.23.
실측치: C, 69.76; H, 5.47; N, 10.83.
실시예 91
4'-클로로-N-[3-({4-[2-(에틸아미노)-2-옥소에틸]-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45 에서 수득한 4'-클로로-N-[3-(클로로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d 0.98 (3H, t, J = 7.3 Hz), 1.16 (2H, m), 1.59 (2H, m), 1.66 (1H, s), 1.97 (4H, m), 2.81 (2H, m), 3.03 (2H, m), 3.62 (2H, s), 7.57 (2H, m), 7.75 (1H, m), 7.82 (2H, m), 7.88 (2H, d, J = 8.8 Hz), 7.97 (2H, m), 8.13 (3H, m), 8.58 (1H, d, J = 1.5 Hz), 8.79 (1H, d, J = 1.7 Hz), 10.61 (1H, s).
융점: 25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원소분석: C32H33N4ClO2ㆍ0.25H2O
계산치: C, 70.44; H, 6.18; N, 10.26.
실측치: C, 70.25; H, 6.24; N, 9.99.
실시예 92
N-(3-{[3-(아세틸아미노)-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클로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45 에서 수득한 4'-클로로-N-[3-(클로로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9 (1H, m), 1.77 (3H, s), 2.12 (1H, m), 2.36 (1H, m), 2.47 (1H, m), 2.69 (2H, m), 3.76 (2H, d, J = 6.8 Hz), 4.16 (1H, m), 7.58 (2H, m), 7.83 (2H, m), 7.89 (2H, m), 7.98 (3H, m), 8.14 (2H, d, J = 8.6 Hz), 8.16 (1H, s), 8.60 (1H, d, J = 1.5 Hz), 8.83 (1H, d, J = 2.2 Hz), 10.62 (1H, s).
융점: >285℃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8H43N4FO2ㆍ0.5H2O
계산치: C, 68.56; H, 5.55; N, 11.02.
실측치: C, 68.95; H, 5.66; N, 10.61.
실시예 93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3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49 에서 수득한 4-브로모-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72 (4H, m), 2.50 (4H, m), 2.64 (3H, s), 3.80 (2H, s), 7.59 (1H, d, J = 8.7 Hz), 7.78 (2H, d, J = 9.0 Hz), 7.82 (1H, d, J = 8.7 Hz), 7.98 (2H, d, J = 9.0 Hz), 8.22 (1H, d, J = 2.1 Hz), 8.88 (1H, d, J = 2.1 Hz), 10.32 (1H, s).
실시예 94
6-(4-메틸페닐)-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니코틴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 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39 (3H, s), 2.50 (4H, m), 2.68 (3H,s), 3.81 (2H, s), 7.36 (2H, d, J = 7.2 Hz), 7.64 (1H, d, J = 8.7 Hz), 7.84 (1H, d, J = 8.7 Hz), 8.13 (3H, m), 8.23 (1H, s), 8.45 (1H, d, J = 8.7 Hz), 8.89 (1H, s), 9.26 (1H, s), 10.43 (1H, s).
융점: 178-18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37 [M+H]+
실시예 95
6-(4-클로로페닐)-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니코틴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 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68 (3H, s), 3.81 (2H, s), 7.63 (3H, m), 7.84 (1H, d, J = 8.4 Hz), 8.23 (4H, m), 8.49 (1H, d, J = 8.4 Hz), 8.89 (1H, d, J = 1.8 Hz), 9.28 (1H, s), 10.47 (1H, s).
융점: 234-236℃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7 [M+H]+
실시예 96
6-(4-메톡시페닐)-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니코틴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 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68 (3H, s), 3.85 (5H, m), 7.10 (2H, d, J = 8.7 Hz), 7.64 (1H, d, J = 8.7 Hz), 7.84 (1H, d, J = 8.7 Hz), 8.10-8.24 (4H, m), 8.42 (1H, d, J = 9.0 Hz), 8.90 (1H, s), 9.24 (1H, s), 10.41 (1H, s).
융점: 180-18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3 [M+H]+
실시예 97
6-(4-플루오로페닐)-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니코틴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68 (3H, s), 3.82 (2H, s), 7.39 (2H, m), 7.64 (1H, d, J = 9.0 Hz), 7.85 (1H, d, J = 9.0 Hz), 8.17-8.30 (4H, m), 8.47 (1H, m), 8.89 (1H, d, J = 2.1 Hz), 9.27 (1H, s), 10.46 (1H, s).
융점: 207-209℃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41 [M+H]+
실시예 98
4-(4-클로로페닐)-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피페리딘 카르복사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 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8-1.83 (8H, m), 2.50 (4H, m), 2.58 (3H, s), 2.73-2.79 (1H,m), 2.93 (2H, m), 3.78 (2H, s), 4.27-4.32 (2H, m), 7.30-7.39(4H, m), 7.50 (1H, d, J = 9.0 Hz), 7.71 (1H, d, J = 9.0 Hz), 8.14 (1H, s), 8.39 (1H, s), 8.82 (1H, s).
융점: 203-205℃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63 [M+H]+
실시예 99
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67 (3H, s), 3.81 (2H, s), 7.33-7.86 (8H, m), 8.15 (2H, d, J = 8.4 Hz), 8.22 (1H, d, J = 2.2 Hz), 8.89 (1H, d, J = 2.0 Hz), 10.31 (1H, s).
융점: 133-135℃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40 [M+H]+
실시예 100
2',4'-디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67 (3H, s), 3.81 (2H, s), 7.26 (1H, m), 7.44 (1H, m), 7.60-7.75 (4H, m), 7.83 (1H, d, J = 8.8 Hz), 8.15 (2H, d, J = 8.4 Hz), 8.22 (1H, d, J = 2.2 Hz), 8.88 (1H, d, J = 2.2 Hz), 10.31 (1H, s).
융점: 177-179℃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8 [M+H]+
실시예 101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트리플루오로메틸)[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67 (3H, s), 3.81 (2H, s), 7.62 (1H, d, J = 8.6 Hz), 7.82-8.03 (7H, m), 8.17-8.22 (3H, m), 8.88 (1H, d, J = 2.2 Hz), 10.36 (1H, s).
융점: 220-22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90 [M+H]+
실시예 102
3',4'-디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66 (3H, s), 3.81 (2H, s), 7.63 (3H, m), 7.89 (4H, m), 8.15 (2H, d, J = 8.1 Hz), 8.22 (1H, s), 8.88(1H, s), 10.31 (1H, s).
융점: 199-201℃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8 [M+H]+
실시예 103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트리플루오로메톡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4 (4H, m), 2.50 (4H, m), 2.67 (3H, s), 3.80 (2H, s), 7.51 (2H, d, J = 7.8 Hz), 7.62 (1H, d, J = 9.0 Hz), 7.83 (1H, d, J = 9.3 Hz), 7.90 (4H, m), 8.15 (2H, d, J = 8.1 Hz), 8.22 (1H, s), 8.88 (1H, s), 10.29 (1H, s).
융점: 200-20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506 [M+H]+
실시예 104
4'-에틸-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23 (3H, m), 1.73 (4H, m), 2.50 (4H, m), 2.67 (5H, m), 3.82 (2H, s), 7.35-8.23 (11H, m), 8.79 (1H, m), 10.28 (1H, s).
융점: 189-19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05
4-(1,3-벤조디옥소l-5-일)-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66 (3H, s), 3.81 (2H, s), 6.09 (2H, m), 7.06-8.22 (10H, m), 8.89 (1H, m), 10.26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9H27N3O3ㆍ0.5H2O
계산치: C, 73.40; H, 5.95; N, 8.85.
실측치: C, 73.09; H, 5.63; N, 8.69.
융점: 171-17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06
4-(1-벤조푸란-2-일)-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2 (4H, m), 2.50 (4H, m), 2.68 (3H, s), 3.80 (2H, s), 7.31-8.22 (12H, m), 8.89 (1H, m), 10.36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0H27N3O2ㆍ0.5H2O
계산치: C, 76.57; H, 6.00; N, 8.93.
실측치: C, 76.36; H, 5.79; N, 8.74.
융점: 217-21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07
4-(5-클로로-2-티에닐)-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1 (4H, m), 2.66 (3H, s), 3.80 (2H, s), 7.24(1H, m), 7.62 (2H, m), 7.82 (3H, m), 8.10(2H, m), 8.22 (1H, m), 8.88 (1H, m), 10.29 (1H, s).
융점: 210-211℃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62 [M+H]+
실시예 108
2'-클로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2 (4H, m), 2.50 (4H, m), 2.68 (3H, s), 3.80 (2H, s), 7.49-8.22 (11H, m), 8.90 (1H, m), 10.35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8H26ClN3Oㆍ1.5H2O
계산치: C, 69.63; H, 6.05; N, 8.70.
실측치: C, 70.01; H, 5.67; N, 8.30.
융점: 128-129℃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09
3'-메틸-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42 (3H, s), 2.50 (4H, m), 2.68 (3H, s), 3.81 (2H, s), 7.24-8.22 (11H, m), 8.89 (1H, s), 10.29 (1H, s).
융점: 151-15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36 [M+H]+
실시예 110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메틸술파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54 (3H, s), 2.67 (3H, s), 3.81 (2H, s), 7.38-7.41 (2H, m), 7.61-8.22 (9H, m), 8.89 (1H, s), 10.28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9H29N3OSㆍH2O
계산치: C, 71.72; H, 6.43; N, 8.65.
실측치: C, 71.40; H, 6.09; N, 8.86.
융점: 206-20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11
2'-메틸-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29 (3H, s), 2.50 (4H, m), 2.68 (3H, s), 3.81 (2H, s), 7.28-8.23 (11H, m), 8.89 (1H, s), 10.30 (1H, s).
융점: 150-151℃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36 [M+H]+
실시예 112
3'-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67 (3H, s), 3.81 (2H, s), 7.25-8.22 (11H, m), 8.89 (1H, s), 10.32 (1H, s).
융점: 158-159℃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40 [M+H]+
실시예 113
4-(2,3-디히드로-1-벤조푸란-5-일)-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67 (3H, s), 3.27 (2H, t,J= 9.0 Hz), 3.83 (2H, s), 4.60 (2H, t,J= 9.0 Hz), 6.89 (1H, d,J= 8.4 Hz), 7.51-7.84 (6H, m), 8.09-8.23 (3H, m), 8.89 (1H, s), 10.25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0H29N3O2ㆍH2O
계산치: C, 74.82; H, 6.49; N, 8.73.
실측치: C, 74.75; H, 6.20; N, 8.65.
융점: 176-17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14
4-(3,4-디히드로-2H-크로멘-6-일)-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1.97 (2H, m), 2.51 (4H, m), 2.67 (3H, s), 2.84 (2H, m), 3.82 (2H, s), 4.19 (2H, m), 6.86 (1H, d,J= 8.4 Hz), 7.51-8.23 (9H, m), 8.89 (1H, s), 10.25 (1H, s).
융점: 195-19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78 [M+H]+
실시예 115
4-(2,3-디히드로-1,4-벤조디옥신-6-일)-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65 (3H, s), 3.81 (2H, s), 4.30 (4H, s), 6.99 (1H, d,J= 8.4 Hz), 7.28-7.88 (6H, m), 8.09-8.22 (3H, m), 8.89 (1H, s), 10.25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0H29N3O3ㆍ1.5H2O
계산치: C, 71.13; H, 6.37; N, 8.29.
실측치: C, 71.45; H, 6.02; N, 7.98.
융점: 187-18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16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2,3,4,5-테트라히드로-1-벤조크세핀-7-일)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6H, m), 1.92 (2H, m), 2.50 (4H, m), 2.67 (3H, s), 2.85 (2H, m), 3.82 (2H, s), 3.99 (2H, m), 7.05 (1H, d,J= 8.4 Hz), 7.52-7.84 (6H, m), 8.11-8.22 (3H, m), 8.89 (1H, s), 10.27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2H33N3O2ㆍ1.5H2O
계산치: C, 74.10; H, 7.00; N, 8.10.
실측치: C, 74.12; H, 6.61; N, 8.01.
융점: 162-16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17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5-메틸-2-티에닐)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7H, m), 2.65 (3H, s), 3.81 (2H, s), 7.56-8.22 (9H, m), 8.80 (1H, d,J= 2.2 Hz), 10.30 (1H, s).
융점: 220-221℃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18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4-메틸-2-티에닐)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7H, m), 2.65 (3H, s), 3.81 (2H, s), 7.57-8.22 (9H, m), 8.80 (1H, d,J= 2.0 Hz), 10.28 (1H, s).
융점: 224-225℃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19
4-(5-아세틸-2-티에닐)-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58 (3H, s), 2.66 (3H, s), 2.80 (2H, s), 7.56-8.21 (9H, m), 8.89 (1H, s), 10.31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8H27N3O2Sㆍ0.5H2O
계산치: C, 77.03; H, 7.85; N, 9.62.
실측치: C, 76.95; H, 7.73; N, 9.31.
융점: 194-195℃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20
4-(1-벤조티엔-2-일)-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68 (3H, s), 3.80 (2H, s), 7.44-8.21 (12H, m), 8.89 (1H, s), 10.31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0H27N3OSㆍ0.5H2O
계산치: C, 74.04; H, 5.80; N, 8.63.
실측치: C, 74.41; H, 5.61; N, 8.29.
융점: 217-21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21
4-(벤질옥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 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2 (4H, m), 2.50 (4H, m), 2.64 (3H, s), 3.80 (2H, s), 5.21 (2H, s), 7.12-8.20 (12H, m), 8.88 (1H, s), 10.06 (1H, s).
융점: 177-17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22
4-시클로헥실-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 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44 (6H, m), 1.79 (8H, m), 2.50 (5H, m), 2.64 (3H, s), 3.79 (2H, s), 7.24-8.20 (7H, m), 8.87 (1H, s), 10.13 (1H, s).
융점: 178-179℃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28 [M+H]+
실시예 123
4-[(4-플루오로벤질)옥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 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3 (4H, m), 2.41 (4H, m), 2.64 (3H, s), 3.68 (2H, s), 5.21 (2H, s), 7.12-8.19 (11H, m), 8.87 (1H, s), 10.08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9H28FN3O2ㆍ0.5H2O
계산치: C, 72.78; H, 6.11; N, 8.78.
실측치: C, 72.90; H, 6.01; N, 9.03.
융점: 177-17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24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페녹시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81 (4H, m), 2.57 (4H, m), 2.80 (3H, s), 3.81 (2H, s), 7.08 (4H, m), 7.19 (1H, t, J = 7.5 Hz), 7.40 (2H, t, J = 7.5 Hz), 7.69 (1H, d, J = 9.0 Hz), 7.91 (3H, m), 8.05 (1H, s), 8.21 (1H, d, J = 8.4 Hz), 8.88 (1H, s).
융점: 161-16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25
3-(벤질옥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 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82 (4H, m), 2.58 (4H, m), 2.79 (3H, s), 3.82 (2H, s), 5.16 (2H, s), 7.21-7.59 (9H, m), 7.69 (1H, d, J = 13.8 Hz), 7.97 (1H, s), 8.07 (1H, s), 8.23 (1H, d, J = 13.2 Hz), 8.90 (1H, s).
융점: 148-149℃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26
4-[(4-메톡시벤질)옥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 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82 (4H, m), 2.58 (4H, m), 2.81 (3H, s), 3.83 (5H, m), 5.08 (2H, s), 6.94 (2H, d, J = 8.4 Hz), 7.08 (2H, d, J = 8.4 Hz), 7.38 (2H, m), 7.69 (1H, d, J = 8.8 Hz), 7.92 (3H, m), 8.07 (1H, s), 8.24 (1H, d, J = 8.8 Hz), 8.89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0H31N3O3ㆍH2O
계산치: C, 72.12; H, 6.66; N, 8.41.
실측치: C, 72.02; H, 6.59; N, 8.16.
융점: 192-19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27
4-[(2-플루오로벤질)옥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 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82 (4H, m), 2.59 (4H, m), 2.80 (3H, s), 3.83 (2H, s), 5.22 (2H, s), 7.08-7.35 (6H, m), 7.50 (1H, m), 7.69 (1H, d, J = 8.4 Hz), 7.91 (2H, m), 8.07 (1H, s), 8.22 (1H, d, J = 9.0 Hz), 8.88 (1H, s).
융점: 104-105℃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28
4-[(3-플루오로벤질)옥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 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82 (4H, m), 2.58 (4H, m), 2.80 (3H, s), 3.81 (2H, s), 5.14 (2H, s), 7.04-7.37 (6H, m), 7.68 (1H, d, J = 8.7 Hz), 7.93 (3H, m), 8.06 (1H, s), 8.21 (1H, d, J = 9.0 Hz), 8.88 (1H, s).
융점: 151-15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29
4-[(4-클로로벤질)옥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 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82 (4H, m), 2.58 (4H, m), 2.80 (3H, s), 3.81 (2H, s), 5.11 (2H, s), 7.05 (2H, d, J = 8.4 Hz), 7.38 (5H, m), 7.68 (1H, d, J = 8.8 Hz), 7.90-8.06 (3H, m), 8.21 (1H, d, J = 9.2 Hz), 8.89 (1H, s).
융점: 167-16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30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옥시}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 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82 (4H, m), 2.58 (4H, m), 2.81 (3H, s), 3.82 (2H, s), 5.22 (2H, s), 7.08 (2H, d, J = 8.8 Hz), 7.55-8.06 (9H, m), 8.23 (1H, d, J = 8.6 Hz), 8.89 (1H, s).
융점: 196-19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31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3-페녹시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 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81 (4H, m), 2.57 (4H, m), 2.79 (3H, s), 3.81 (2H,s), 7.05-7.72 (10H, m), 7.92 (1H, s), 8.06 (1H, s), 8.21 (1H, d, J = 8.4 Hz), 8.89 (1H, s).
융점: 147-14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32
4-(벤질옥시)-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 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81 (4H, m), 2.57 (4H, m), 2.82 (3H, s), 3.66 (2H, s), 5.15 (2H, s), 6.76-6.96 (2H, m), 7.42 (5H, m), 7.69 (1H, d, J = 9.2 Hz), 8.02 (1H, s), 8.20 (1H, t, J = 9.4 Hz), 8.36 (1H, d, J = 9.2 Hz), 8.59-8.67 (1H, m), 8.88 (1H, s).
융점: 176-17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33
4-브로모-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 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72 (4H, m), 2.50 (4H, m), 2.67 (3H, s), 3.80 (2H, s), 7.58-7.85 (5H, m), 8.21 (1H, s), 8.88 (1H, d, J = 2.2 Hz), 10.26 (1H, s).
실시예 134
4-(2,3-디히드로-1-벤조푸란-5-일)-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33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70 (3H, s), 3.26 (2H, t, J = 8.4 Hz), 3.82 (2H, s), 4.60 (2H, t, J = 8.7 Hz), 6.88 (1H, d, J = 8.4Hz), 7.52-7.82 (7H, m), 8.20 (1H, s), 8.88 (1H, s), 10.11 (1H, s).
융점: 181-18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35
3-플루오로-4'-메틸-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33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37 (3H, s), 2.50 (4H, m), 2.70 (3H, s), 3.80 (2H, s), 7.33 (2H, d, J = 8.2 Hz), 7.65-7.86 (7H, m), 8.21 (1H, s), 8.88 (1H, d, J = 2.2 Hz), 10.19 (1H, s).
융점: 180-18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4 [M+H]+
실시예 136
3-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트리플루오로메톡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33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70 (3H, s), 3.80 (2H, s), 7.52 (2H, d, J = 8.4 Hz), 7.70-7.95 (7H, m), 8.21 (1H, s), 8.88 (1H, s), 10.23 (1H, s).
융점: 175-17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524 [M+H]+
실시예 137
2',4'-디클로로-3-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33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2 (4H, m), 2.50 (4H, m), 2.71 (3H, s), 3.80 (2H, s), 7.43-7.91 (8H, m), 8.22 (1H, s), 8.89 (1H, s), 10.33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8H24Cl2FN3Oㆍ0.5H2O
계산치: C, 65.00; H, 4.87; N, 8.12.
실측치: C, 65.08; H, 4.58; N, 7.78.
융점: 162-16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38
3-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트리플루오로메틸)[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33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1 (4H, m), 2.71 (3H, s), 3.82 (2H, s), 7.77-8.06 (9H, m), 8.23 (1H, s), 8.90 (1H, s), 10.29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9H25F4N3OㆍH2O
계산치: C, 66.28; H, 5.18; N, 8.00.
실측치: C, 66.24; H, 4.82; N, 7.98.
융점: 202-20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39
2',3,4'-트리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33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71 (3H, s), 3.82 (2H, s), 7.23-7.93 (8H, m), 8.21 (1H, d,J= 2.2 Hz), 8.88 (1H, d,J= 1.8 Hz), 10.25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8H24F3N3O
계산치: C, 70.72; H, 5.09; N, 8.84.
실측치: C, 70.42; H, 4.93; N, 8.45.
융점: 172-17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40
4'-에틸-3-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33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23 (3H, t,J= 7.8 Hz), 1.73 (4H, m), 2.50 (4H, m), 2.62 (2H, q,J= 7.8 Hz), 2.71 (3H, s), 3. 83 (2H, s), 7.35 (2H, d,J= 8.0 Hz), 7.65-7.86 (7H, m), 8.21 (1H, s), 8.88 (1H, s), 10.15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0H30FN3O
계산치: C, 70.06; H, 6.47; N, 8.99.
실측치: C, 76.78; H, 6.35; N, 8.71.
융점: 178-179℃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41
4-(1,3-벤조디옥소l-5-일)-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33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70 (3H, s), 3.80 (2H, s), 6.11 (2H, s), 7.04-7.85 (8H, m), 8.22 (1H, s), 8.89 (1H, s), 10.18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9H26FN3O3ㆍH2O
계산치: C, 69.45; H, 5.63; N, 8.38.
실측치: C, 69.45; H, 5.39; N, 8.41.
융점: 181-18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42
4-(1-벤조푸란-2-일)-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33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71 (3H, s), 3.81 (2H, s), 7.31-7.98 (10H, m), 8.21 (1H, s), 8.89 (1H, s), 10.27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0H26FN3O2
계산치: C, 75.14; H, 5.46; N, 8.76.
실측치: C, 74.93; H, 5.28; N, 8.48.
융점: 202-20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43
4-(5-클로로-2-티에닐)-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33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2 (4H, m), 2.50 (4H, m), 2.69 (3H, s), 3.80 (2H, s), 7.26-7.82 (7H, m), 8.21 (1H, s), 8.89 (1H, s), 10.20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6H23ClFN3OSㆍH2O
계산치: C, 62.70; H, 5.06; N, 8.44.
실측치: C, 62.38; H, 4.71; N, 8.00.
융점: 160-16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44
3-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메틸술파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33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2 (4H, m), 2.50 (4H, m), 2.54 (3H, s), 2.71 (3H, s), 3.79 (2H, s), 7.39 (2H, m), 7.68-7.87 (7H, m), 8.22 (1H, s), 8.89 (1H, s), 10.20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9H28FN3OS
계산치: C, 71.73; H, 5.81; N, 8.65.
실측치: C, 71.49; H, 5.71; N, 8.31.
융점: 189-19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45
3,4'-디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33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2 (4H, m), 2.50 (4H, m), 2.70 (3H, s), 3.80 (2H, s), 7.36 (2H, m), 7.67-7.76 (3H, m), 7.82-7.89 (4H, m), 8.22 (1H, s), 8.88 (1H, d, J = 1.5 Hz), 10.23 (1H, s).
융점: 176-17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8 [M+H]+
실시예 146
4'-클로로-3-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33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2 (4H, m), 2.50 (4H, m), 2.70 (3H, s), 3.80 (2H, s), 7.58 (2H, d, J = 8.4 Hz), 7.69-7.88 (7H, m), 8.21 (1H, s), 8.88 (1H, d, J = 1.8 Hz), 10.23 (1H, s).
융점: 181-18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74 [M+H]+
실시예 147
3-플루오로-4'-메톡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33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70 (3H, s), 3.80 (2H, s), 3.83 (3H, s), 7.07 (2H, d, J = 9.0 Hz), 7.64-7.84 (7H, m), 8.21 (1H, s), 8.88 (1H, d, J = 1.8 Hz), 10.17 (1H, s).
융점: 164-166℃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70 [M+H]+
실시예 148
2',3-디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33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2 (4H, m), 2.50 (4H, m), 2.71 (3H, s), 3.80 (2H, s), 7.35-7.42 (2H, m), 7.49-7.68 (4H, m), 7.74 (1H, d, J = 9.3 Hz), 7.83-7.92 (2H, m), 8.21 (1H, s), 8.88 (1H, d, J = 1.8 Hz), 10.28 (1H, s).
융점: 159-16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8 [M+H]+
실시예 149
3-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33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2 (4H, m), 2.50 (4H, m), 2.71 (3H, s), 3.80 (2H, s), 7.46-7.55 (3H, m), 7.69-7.88 (7H, m), 8.21 (1H, s), 8.88 (1H, s), 10.23 (1H, s).
융점: 166-16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40 [M+H]+
실시예 150
4-브로모-3-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 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1.72 (4H, m), 2.50 (4H, m), 2.64 (3H, s), 3.81 (2H, s), 7.58 (1H, d, J = 8.8 Hz), 7.81-8.03 (4H, m), 8.23 (1H, s), 8.89 (1H, d, J = 2.2 Hz), 10.38 (1H, s).
실시예 151
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50 에서 수득한 4-브로모-3-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67 (3H, s), 3.81 (2H,s), 7.47-7.66 (6H, m), 7.75 (1H, m), 7.84 (1H, d, J = 9.0 Hz), 8.00 (2H, m), 8.23 (1H, s), 8.89 (1H, d, J = 2.1 Hz), 10.38 (1H, s).
융점: 156-15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40 [M+H]+
실시예 152
2-플루오로-4'-메톡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50 에서 수득한 4-브로모-3-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6 (4H, m), 2.50 (4H, m), 2.66 (3H, s), 3.83 (5H, m), 7.10 (2H, d, J = 8.7 Hz), 7.58-7.64 (3H, m), 7.71 (1H, m), 7.85 (1H, d, J = 8.7 Hz), 7.95 (2H, m), 8.28 (1H, s), 8.92 (1H, s), 10.36 (1H, s).
융점: 174-176℃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70 [M+H]+
실시예 153
2,4'-디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50 에서 수득한 4-브로모-3-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66 (3H, s), 3.82 (2H, s), 7.38 (2H, m), 7.60-7.63 (1H, m), 7.68-7.79 (3H, m), 7.84 (1H, d, J = 9.0 Hz), 8.24 (1H, s), 8.89 (1H, s), 10.38 (1H, s).
융점: 176-17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8 [M+H]+
실시예 154
4'-클로로-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50 에서 수득한 4-브로모-3-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66 (3H, s), 3.81 (2H, s), 7.59-7.83 (6H, m), 7.84 (1H, d, J = 9.3 Hz), 8.00 (2H, m), 8.24 (1H, s), 8.90 (1H, s), 10.39 (1H, s).
융점: 190-19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74 [M+H]+
실시예 155
2-플루오로-4'-메틸-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50 에서 수득한 4-브로모-3-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38 (3H, s), 2.50 (4H, m), 2.66 (3H, s), 3.81 (2H, s), 7.34 (2H, d, J = 8.4 Hz), 7.54 (2H, d, J = 7.2 Hz), 7.61 (1H, d, J = 8.4 Hz), 7.72 (1H, m), 7.84 (1H, d, J = 9.0 Hz), 7.97 (2H, m), 8.23 (1H, s), 8.89 (1H, d, J = 2.1 Hz), 10.36 (1H, s).
융점: 193-194℃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4 [M+H]+
실시예 156
2,2'-디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50 에서 수득한 4-브로모-3-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67 (3H, s), 3.80 (2H, s), 7.39 (2H, m), 7.53-7.71 (4H, m), 7.85 (1H, d, J = 9.0 Hz), 7.99 (2H, m), 8.23 (1H, s), 8.89 (1H, d, J = 2.1 Hz), 10.40 (1H, s).
융점: 139-14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8 [M+H]+
실시예 157
4-브로모-2-메틸-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 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47 (3H, s), 2.50 (4H, m), 2.68 (3H, s), 3.79 (2H, s), 7.54-7.58 (3H, m), 7.65 (1H, d, J = 9.0 Hz), 7.81 (1H, d, J = 8.7 Hz), 8.19 (1H, d, J = 2.1 Hz), 8.86 (1H, d, J = 2.4 Hz), 10.17 (1H, s).
실시예 158
4'-플루오로-3-메틸-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57 에서 수득한 4-브로모-2-메틸-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55 (3H, s), 2.70 (3H, s), 3.80 (2H, s), 7.33 (2H, m), 7.64 (4H, m), 7.79 (3H, m), 8.21 (1H, s), 8.88 (1H, d, J = 1.8 Hz), 10.18 (1H, s).
융점: 200-20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4 [M+H]+
실시예 159
4-브로모-3-메틸-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7 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2 (4H, m), 2.46 (3H, s), 2.50 (4H, m), 2.64 (3H, s), 3.79 (2H, s), 7.57 (1H, d, J = 8.7 Hz), 7.77-7.82 (3H, m), 8.01 (1H, s), 8.20 (1H, d, J = 1.8 Hz), 8.87 (1H, d, J = 2.1 Hz), 10.25 (1H, s).
실시예 160
4'-플루오로-2-메틸-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59 에서 수득한 4-브로모-2-메틸-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33 (3H, s), 2.50 (4H, m), 2.66 (3H, s), 3.81 (2H, s), 7.32 (2H, m), 7.38 (1H, d, J = 8.4 Hz), 7.46 (2H, m), 7.61 (1H, d, J = 9.0 Hz), 7.82 (1H, d, J = 8.7 Hz), 7.93 (1H, d, J = 7.8 Hz), 7.99 (1H, s), 8.22 (1H, s), 8.88 (1H, d, J = 2.1 Hz), 10.25 (1H, s).
융점: 200-20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4 [M+H]+
실시예 161
4-(벤질옥시)-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0 에서 수득한 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1 (6H, m), 2.39 (4H, m), 2.64 (3H, s), 3.64 (2H, s), 5.23 (2H, s), 7.16-8.17 (12H, m), 8.86 (1H, s), 10.07 (1H, s).
융점: 186-18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66 [M+H]+
실시예 162
4-[(4-플루오로벤질)옥시]-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0 에서 수득한 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3 (6H, m), 2.41 (4H, m), 2.64 (3H, s), 3.68 (2H, s), 5.21 (2H, s), 7.12-8.19 (11H, m), 8.87 (1H, s), 10.08 (1H, s).
융점: 159-16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84 [M+H]+
실시예 163
4-(벤질옥시)-2-플루오로-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0 에서 수득한 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46 (2H, m), 1.59 (4H, m), 2.44 (4H, m), 2.82 (3H, s), 3.66 (2H, s), 5.15 (2H, s), 6.76-6.96 (2H, m), 7.42 (5H, m), 7.69 (1H, d,J = 9.2 Hz), 8.02 (1H, s), 8.20 (1H, t, J = 9.4 Hz), 8.36 (1H, d, J = 9.2 Hz), 8.59-8.67 (1H, m), 8.88 (1H, s).
융점: 180-181℃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64
4-브로모-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3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49 에서 수득한 4-브로모-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9 (6H, m), 2.65 (7H, m), 3.84 (2H, s), 7.59 (1H, d,J= 9.2 Hz), 7.80 (3H, s), 8.00 (2H, d,J= 8.4 Hz), 8.21 (1H, m), 8.91 (1H, d,J= 1.8 Hz), 10.32 (1H, s).
실시예 165
4'-메톡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64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42-1.52 (6H, m), 2.40 (4H, s), 2.66 (3H, s), 3.65 (2H, s), 3.82 (3H, s), 7.07 (2H, d, J = 8.8 Hz), 7.62 (1H, d, J = 8.8 Hz), 7.73 (2H, d, J = 8.8 Hz), 7.82 (3H, m), 8.11 (2H, d, J = 8.4 Hz), 8.19 (1H, s), 8.87 (1H, d, J = 2.2 Hz), 10.25 (1H, s).
융점: 190-19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66 [M+H]+
실시예 166
4'-플루오로-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64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41 (2H, m), 1.52 (4H, m), 2.40 (4H, m), 2.67 (3H, s), 3.66 (2H, s), 7.36 (2H, m), 7.62 (1H, d, J = 8.4 Hz), 7.84 (5H, m), 8.14(2H, d, J = 8.1 Hz), 8.19 (1H, s), 8.87 (1H, d, J = 1.2 Hz), 10.29 (1H, s).
융점: 188-19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4 [M+H]+
실시예 167
4-(5-클로로-2-티에닐)-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64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41-1.52 (6H, m), 2.40 (4H, m), 2.66 (3H, s), 3.66 (2H, s), 7.25 (1H, m), 7.60-7.84 (5H, m), 8.09-8.20 (3H, m), 8.87 (1H, s), 10.29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7H26ClN3OS
계산치: C, 68.12; H, 5.51; N, 8.83.
실측치: C, 67.92; H, 5.42; N, 8.52.
융점: 212-21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68
4-브로모-2-플루오로-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0 에서 수득한 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1 (6H, m), 2.39 (4H, m), 2.67 (3H, s), 3.66 (2H, s), 7.56-7.85 (5H, m), 8.17 (1H, s), 8.86 (1H, d,J= 1.8 Hz), 10.26 (1H, s).
실시예 169
3-플루오로-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68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2 (6H, m), 2.39 (4H, m), 2.71 (3H, s), 3.66 (2H,s), 7.45-7.88 (10H, m), 8.17 (1H, s), 8.87 (1H, d,J= 2.2 Hz), 10.19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9H28FN3Oㆍ0.5H2O
계산치: C, 75.30; H, 6.32; N, 9.08.
실측치: C, 75.60; H, 6.17; N, 9.23.
융점: 187-18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70
3,4'-디플루오로-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68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2 (6H, m), 2.39 (4H, m), 2.71 (3H, s), 3.65 (2H, s), 7.31-7.90 (9H, m), 8.18 (1H, s), 8.86(1H, s), 10.20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9H27F2N3O
계산치: C, 73.87; H, 5.77; N, 8.91.
실측치: C, 73.65; H, 5.72; N, 8.88.
융점: 186-18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71
3-플루오로-4'-메톡시-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68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2 (6H, m), 2.39 (4H, m), 2.70 (3H, s), 3.65 (2H, s), 3.83 (3H, s), 7.07 (2H, d,J= 8.8 Hz), 7.62-7.84 (7H, m), 8.18 (1H, s), 8.86(1H, s), 10.15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0H30FN3O2
계산치: C, 74.51; H, 6.25; N, 8.69.
실측치: C, 74.31; H, 6.37; N, 8.61.
융점: 191-19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72
4-(5-클로로-2-티에닐)-2-플루오로-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68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1 (6H, m), 2.39-2.50 (4H, m), 2.69 (3H, s), 3.66 (2H, s), 7.25-7.81 (7H, m), 8.18 (1H, s), 8.87(1H, s), 10.20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0H30ClFN3OSㆍ0.5H2O
계산치: C, 64.47; H, 5.21; N, 8.35.
실측치: C, 64.85; H, 5.04; N, 8.17.
융점: 205-206℃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73
4-(2,3-디히드로-1-벤조푸란-5-일)-2-플루오로-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68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41-1.52 (6H, m), 2.39-2.50 (4H, m), 2.70 (3H, s), 3.29 (2H, t, J = 8.4 Hz), 3.65 (2H, s), 4.60 (2H, t, J = 8.4 Hz), 6.88 (1H, d, J = 8.4 Hz), 7.53-7.83 (7H, m), 8.17 (1H, s), 8.86 (1H, s), 10.12 (1H, s).
융점: 202-20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74
4-브로모-3-플루오로-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0 에서 수득한 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42 (2H, m), 1.52 (4H, m), 2.39 (4H, m), 2.69 (3H, s), 3.83 (2H, s), 7.56-8.03 (5H, m), 8.20 (1H, m), 8.91 (1H, m), 10.36 (1H, s).
실시예 175
2-플루오로-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74 에서 수득한 4-브로모-3-플루오로-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1 (6H, m), 2.40 (4H, m), 2.67 (3H, s), 3.67 (2H, s), 7.30-8.20 (11H, m), 8.87 (1H, s), 10.37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9H28FN3OㆍH2O
계산치: C, 73.86; H, 6.41; N, 8.91.
실측치: C, 73.95; H, 6.02; N, 8.51.
융점: 138-139℃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76
2,4'-디플루오로-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74 에서 수득한 4-브로모-3-플루오로-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2 (6H, m), 2.39 (4H, m), 2.67 (3H, s), 3.65 (2H, s), 7.30-8.20 (10H, m), 8.88 (1H, s), 10.37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9H27F2N3OㆍH2O
계산치: C, 71.15; H, 5.97; N, 8.58.
실측치: C, 70.77; H, 6.02; N, 8.41.
융점: 161-16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77
2-플루오로-4'-메톡시-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74 에서 수득한 4-브로모-3-플루오로-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2 (6H, m), 2.40 (4H, m), 2.67 (3H, s), 3.66 (2H,s), 3.83 (3H, s), 7.08-8.20 (10H, m), 8.87 (1H, s), 10.37 (1H, s).
융점: 148-149℃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78
N-[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브로모벤즈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1 에서 수득한 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9 (8H, m), 2.66 (11H, m), 3.83 (2H, s), 7.59 (1H, d,J = 9.2 Hz), 7.80 (3H, s), 8.00 (2H, d,J = 8.4 Hz), 8.21 (1H, m), 8.91 (1H, d,J = 1.8 Hz), 10.32 (1H, s).
실시예 179
N-[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메톡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78 에서 수득한 N-[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브로모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9 (8H, m), 2.67 (7H, m), 3.82 (5H, m), 7.07 (2H, d, J = 8.8 Hz), 7.62 (1H, d, J = 8.8 Hz), 7.74 (2H, d, J = 8.8 Hz), 7.81 (3H, m), 8.12 (2H, d, J = 8.8 Hz), 8.19 (1H, d, J = 1.8 Hz), 8.91 (1H, d, J = 2.2 Hz), 10.25 (1H, s).
융점: 165-16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80 [M+H]+
실시예 180
N-[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78 에서 수득한 N-[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브로모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9 (8H, m), 2.64-2.67 (7H, m), 3.83 (2H, s), 7.36 (2H, m), 7.62 (1H, d, J = 8.7 Hz), 7.84 (5H, m), 8.14 (2H, d, J = 8.4 Hz), 8.21 (1H, s), 8.90 (1H, d, J = 1.5 Hz), 10.29 (1H, s).
융점: 166-16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68 [M+H]+
실시예 181
N-[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5-클로로-2-티에닐)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78 에서 수득한 N-[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브로모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9 (8H, m), 2.66 (7H, m), 3.83 (2H, s), 7.24 (1H, m), 7.61 (2H, m), 7.81 (3H, m), 8.08-8.19 (3H, m), 8.91 (1H, s), 10.29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8H28ClN3O2Sㆍ0.5H2O
계산치: C, 67.39; H, 5.86; N, 8.42.
실측치: C, 67.71; H, 5.57; N, 8.21.
융점: 186-18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82
N-[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브로모-2-플루오로벤즈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1 에서 수득한 3-(1-아제파닐메틸)-8-에틸-7-퀴놀리닐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9 (8H, m), 2.50 (2H, m), 2.64 (2H, m), 2.68 (3H, s), 3.83 (2H, s), 7.61-7.80 (5H, m), 8.19 (1H, s), 8.90 (1H, d,J = 1.8 Hz), 10.26 (1H, s).
실시예 183
N-[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3-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82 에서 수득한 N-[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브로모-2-플루오로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9 (8H, m), 2.65 (4H, m), 2.71 (3H, s), 3.84 (2H, s), 7.50-7.79 (10H, m), 8.21 (1H, s), 8.92 (1H, s), 10.23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0H30FN3Oㆍ0.5H2O
계산치: C, 75.60; H, 6.56; N, 8.82.
실측치: C, 75.92; H, 6.20; N, 8.75.
융점: 151-15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84
N-[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3,4'-디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82 에서 수득한 N-[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브로모-2-플루오로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9 (8H, m), 2.65 (4H, m), 2.70 (3H, s), 3.84 (2H, s), 7.32-7.86 (9H, m), 8.20 (1H, s), 8.91 (1H, s), 10.22 (1H, s).
융점: 159-16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85
N-[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3-플루오로-4'-메톡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82 에서 수득한 N-[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브로모-2-플루오로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60 (8H, m), 2.71 (7H, m), 3.83-3.88 (5H, m), 7.08 (2H, d, J = 8.8 Hz), 7.67-7.85 (7H, m), 8.22 (1H, s), 8.92 (1H, s), 10.17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1H32FN3O2
계산치: C, 74.83; H, 6.48; N, 8.44.
실측치: C, 74.53; H, 6.30; N, 8.09.
융점: 171-17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86
N-[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5-클로로-2-티에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82 에서 수득한 N-[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브로모-2-플루오로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9 (8H, m), 2.69 (7H, m), 3.86 (2H, s), 7.25-7.85 (7H, m), 8.21 (1H, s), 8.91 (1H, s), 10.21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8H27ClFN3OSㆍ0.5H2O
계산치: C, 65.04; H, 5.46; N, 8.13.
실측치: C, 65.00; H, 5.07; N, 8.00.
융점: 166-16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87
N-[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브로모-3-플루오로벤즈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1 에서 수득한 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9 (8H, m), 2.65 (4H, m), 2.69 (3H, s), 3.83 (2H, s), 7.56-8.03 (5H, m), 8.20 (1H, m), 8.91 (1H, m), 10.36 (1H, s).
실시예 188
N-[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2-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87 에서 수득한 N-[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브로모-3-플루오로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9 (8H, m), 2.67 (7H, m), 3.84 (2H, s), 7.33-7.98 (10H, m), 8.21 (1H, s), 8.92 (1H, s), 10.35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0H30FN3Oㆍ2H2O
계산치: C, 71.55; H, 6.80; N, 8.34.
실측치: C, 71.94; H, 6.64; N, 8.02.
융점: 129-13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89
N-[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2,4'-디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87 에서 수득한 N-[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브로모-3-플루오로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9 (8H, m), 2.67 (7H, m), 3.83 (2H, m), 7.34-8.01 (9H, m), 8.20 (1H, s), 8.91 (1H, s), 10.37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0H29F2N3Oㆍ1.5H2O
계산치: C, 70.29; H, 6.29; N, 8.20.
실측치: C, 70.63; H, 6.02; N, 8.41.
융점: 162-16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90
N-[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2-플루오로-4'-메톡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187 에서 수득한 N-[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브로모-3-플루오로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9 (8H, m), 2.67 (7H, m), 3.83 (5H, m), 7.11-7.98(9H, m), 8.22 (1H, s), 8.92 (1H, s), 10.33 (1H, s).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1H32FN3O2ㆍH2O
계산치: C, 72.21; H, 6.65; N, 8.15.
실측치: C, 71.90; H, 6.39; N, 8.46.
융점: 160-161℃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91
N-[3-(1-아제티디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99-2.02 (2H, m), 2.50 (4H, m), 2.67 (3H, s), 3.85 (2H, s), 7.36 (2H, m), 7.62 (1H, m), 7.84 (5H, m), 8.16 (3H, m), 8.84-8.95 (1H, m), 10.30 (1H, s).
융점: 153-155℃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26 [M+H]+
실시예 192
N-{3-[(디에틸아미노)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03 (6H, m), 2.50 (4H, m), 2.66 (3H, s), 3.77 (2H, s), 7.61-8.22 (11H, m), 8.89 (1H, m), 10.31 (1H, s).
융점: 155-156℃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93
N-(3-{[(2R,6S)-2,6-디메틸피페리디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02 (6H, m), 1.30 (4H, m), 1.59 (4H, m), 2.50-2.66 (3H, s), 3.94 (2H, s), 7.36-8.26 (11H, m), 8.94 (1H, m), 10.28 (1H, s).
융점: 167-16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82 [M+H]+
실시예 194
N-{3-[(디이소프로필아미노)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융점: 179-18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70 [M+H]+
실시예 195
N-{3-[(디메틸아미노)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2.25 (6H, s), 2.67 (3H, s), 3.68 (2H, s), 7.36-8.23 (11H, m), 8.88 (1H, m), 10.30 (1H, s).
융점: 161-16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96
4'-플루오로-N-{8-메틸-3-[(4-페닐-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4 (4H, m), 2.15 (2H, m), 2.66 (4H, m), 2.98 (2H, m), 3.75 (2H, s), 7.18-7.39 (6H, m), 7.59-8.24 (10H, m), 8.92 (1H, m), 10.30 (1H, s).
융점: 171-17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97
4'-플루오로-N-{8-메틸-3-[(4-메틸-1-피페라지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2.19 (3H, s), 2.42 (4H, m), 2.50 (4H, m), 2.66 (3H, s), 3.69 (2H, s), 7.31-8.20 (11H, m), 8.87 (1H, m), 10.30 (1H, s).
융점: 152-15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198
4'-플루오로-N-[8-메틸-3-(4-모르폴리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2.43 (4H, m), 2.67 (3H, s), 3.60 (4H, m), 3.70 (2H, s), 7.35 (2H, m), 7.63 (1H, d, J = 8.7 Hz), 7.84 (5H, m), 8.14 (2H, d, J = 8.1 Hz), 8.23 (1H, s), 8.88 (1H, d, J = 1.5 Hz), 10.30 (1H, s).
융점: 176-17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6 [M+H]+
실시예 199
4'-플루오로-N-{8-메틸-3-[(2-메틸-4,5-디히드로-1H-이미다졸-1-일)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2.00 (3H, s), 2.67 (3H, s), 3.13 (4H, m), 3.50 (4H, m), 4.51 (2H, s), 7.36 (2H, m), 7.65 (1H, d, J = 8.7 Hz), 7.84 (5H, m), 8.14 (2H, d, J = 7.8 Hz), 8.22 (1H, s), 8.88 (1H, s), 10.31 (1H, s).
FABMS(pos) 453 [M+H]+
실시예 200
N-[8-에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18-1.21 (2H, m), 1.65-1.66 (3H, m), 1.96-2.12 (3H, m), 2.68 (3H, s), 2.81-2.87 (2H, m), 3.69 (2H, s), 6.74 (1H, s), 7.26-7.40 (3H, m), 7.64 (1H, d, J = 8.8 Hz), 7.81-7.88 (5H, m), 8.13-8.20 (3H, m), 8.87-8.88 (1H, m), 10.30 (1H, s).
융점: 258-26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511 [M+H]+
실시예 201
4'-플루오로-N-[8-메틸-3-({4-[2-(메틸아미노)-2-옥소에틸]-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21-1.33 (2H, m), 1.66-1.70 (2H, m), 1.80-1.87 (1H, m), 2.00-2.07 (4H, m), 2.79 (3H, d, J = 5.1 Hz), 2.82 (3H, s), 2.88 (2H, d, J = 11.4 Hz), 3.65 (2H, s), 5.21 (1H, d, J = 4.5 Hz), 7.14-7.20 (2H, m), 7.58-7.63 (2H, m), 7.67-7.70 (3H, m), 8.02 (3H, m), 8.11 (1H, s), 8.21 (1H, d, J = 8.7 Hz), 8.88 (1H, d, J = 2.1 Hz).
융점: 229-231℃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2H33FN4O2·0.25H2O
계산치: C, 72.64; H, 6.38; N, 10.59
실측치: C, 72.54; H, 6.25; N, 10.54.
실시예 202
N-[3-({4-[2-(디메틸아미노)-2-옥소에틸]-1-피페리디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18-1.29 (2H, m), 1.62-1.68 (3H, m), 1.95-2.05 (2H, m), 2.20 (2H, d, J = 9.3 Hz), 2.67 (3H, s), 2.80 (6H, m), 2.94 (2H, m), 3.66 (2H, s), 7.30-7.39 (2H, m), 7.62 (1H, d, J = 8.8 Hz), 7.79-7.87 (5H, m), 8.13-8.18 (3H, m), 8.87 (1H, d, J = 2.2 Hz), 10.28 (1H, s).
융점: 200-201℃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3H35FN4O2·0.25H2O
계산치: C, 72.97; H, 6.59; N, 10.31
실측치: C, 72.82; H, 6.36; N, 10.30.
실시예 203
N-[3-({4-[2-(에틸아미노)-2-옥소에틸]-1-피페리디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99 (3H, t, J = 7.4 Hz), 1.63-1.21 (2H, m), 1.57-1.62 (3H, m), 1.96-2.05 (4H, m), 2.67 (3H, m), 2.84 (2H, d, J = 9.8 Hz), 2.98-3.11 (2H, m), 3.67 (2H, s), 7.31-7.40 (2H, m), 7.63 (1H, d, J = 8.4 Hz), 7.76-7.88 (6H, m), 8.13-8.20 (3H, m), 8.87 (1H, d, J = 1.8 Hz), 10.30 (1H, s).
융점: 243-245℃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3H35FN4O2·0.25H2O
계산치: C, 72.97; H, 6.59; N, 10.31
실측치: C, 73.15; H, 6.35; N, 10.28.
실시예 204
N-[3-({4-[2-(디에틸아미노)-2-옥소에틸]-1-피페리디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99 (3H, t, J = 7.0 Hz), 1.08 (3H, t, J = 7.0 Hz), 1.19-1.31 (2H, m), 1.61-1.76 (3H, m), 1.95-2.06 (2H, m), 2.19 (2H, d, J = 6.2 Hz), 2.68 (3H, s), 2.84 (2H, d, J = 10.8 Hz), 3.19-3.30 (4H, m), 3.67 (2H, s), 7.31-7.40 (1H, m), 7.63 (2H, d, J = 8.4 Hz), 7.81-7.88 (5H, m), 8.13-8.19 (3H, m), 8.87 (1H, d, J = 1.8 Hz), 10.30 (1H, s).
융점: 158-16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5H39FN4O2·0.25H2O
계산치: C, 73.59; H, 6.97; N, 9.81
실측치: C, 73.32; H, 6.72; N, 9.73.
실시예 205
4'-플루오로-N-[8-메틸-3-({4-[2-옥소-2-(1-피페리디닐)에틸]-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18-1.67 (11H, m),1.94-2.06 (2H, m), 2.21 (2H, d, J = 8.2 Hz), 2.67 (3H, s), 2.83 (2H, d, J = 11.0 Hz), 3.39 (4H, d, J = 5.0 Hz), 3.66 (2H, s), 7.30-7.39 (2H, m), 7.62 (1H, d, J = 8.4 Hz), 7.79-7.87 (5H, m), 8.13-8.17 (3H, m) 8.87 (1H, d, J = 2.2 Hz), 10.28 (1H, s).
융점: 189-19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579 [M+H]+
실시예 206
N-(3-{[4-(4-아미노-4-옥소부틸)-1-피페리디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17 (5H, br), 1.49 (2H, br), 1.60-1.65 (2H, d, J = 9.6 Hz), 1.97-2.04 (4H, m), 2.67 (3H, s), 2.82-2.89 (2H, m), 3.67 (2H, s), 6.68 (1H, br), 7.22 (1H, br), 7.30-7.39 (2H, m), 7.62 (1H, d, J = 8.8 Hz), 7.80-7.87 (5H, m), 8.13-8.17 (3H, m), 8.87 (1H, d, J = 1.8 Hz), 10.29 (1H, s).
융점: 232-234℃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3H35FN4O2·0.25H2O
계산치: C, 72.97; H, 6.59; N, 10.31
실측치: C, 72.86; H, 6.44; N, 10.29.
실시예 207
4'-플루오로-N-[8-메틸-3-({4-[4-(메틸아미노)-4-옥소부틸]-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17 (5H, br), 1.48 (2H, br), 1.62-1.64 (2H, br), 1.98-2.05 (4H, m), 2.55 (3H, s), 2.67 (3H, s), 2.25 (2H, d, J = 10.0 Hz) 3.67 (2H, s), 7.30-7.39 (2H, m), 7.60-7.64 (2H, m), 7.80-7.87 (5H, m), 8.13-8.17 (3H, m), 8.87 (1H, d, J = 1.8 Hz), 10.29 (1H, s)
융점: 210-21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4H37FN4O2·0.5H2O
계산치: C, 72.70; H, 6.82; N, 9.97
실측치: C, 72.38; H, 6.59; N, 9.91.
실시예 208
N-[3-({4-[4-(디메틸아미노)-4-옥소부틸]-1-피페리디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19 (5H, br), 1.48 (2H, br), 1.59-1.65 (2H, m),1.93-1.98 (2H, m), 2.23 (2H, t, J = 5.4 Hz), 2.67 (3H, s), 2.79 (3H, s), 2.87 (2H, br), 2.93 (3H, s), 3.66 (2H, s), 7.34 (2H, t, J = 8.8 Hz), 7.62 (1H, d, J = 8.4 Hz), 7.80-7.87 (5H, m), 8.13-8.17 (3H, m), 8.86 (1H, d, J = 1.8 Hz), 10.29 (1H, s).
융점: 202-204℃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5H39FN4O2·0.25H2O
계산치: C, 73.59; H, 6.97; N, 9.81
실측치: C, 73.37; H, 6.69; N, 9.75.
실시예 209
N-[3-({4-[4-(에틸아미노)-4-옥소부틸]-1-피페리디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99 (3H, t, J = 7.2 Hz), 1.17 (5H, br), 1.49-1.63 (4H, m), 1.91-2.04 (4H, m), 2.68 (3H, s), 2.83 (2H, d, J = 10.8 Hz), 2.98-3.07 (2H, m), 3.65 (2H, s), 7.34 (2H, t, J = 8.8 Hz), 7.63 (1H, d, J = 8.8 Hz), 7.74-7.86 (6H, m), 8.13-8.17 (3H, m), 8.86 (1H, d, J = 1.6 Hz), 10.29 (1H, s).
융점: 217-22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5H39FN4O2·0.25H2O
계산치: C, 73.59; H, 6.97; N, 9.81
실측치: C, 73.54; H, 6.80; N, 9.88.
실시예 210
N-[3-({4-[4-(디에틸아미노)-4-옥소부틸]-1-피페리디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98 (3H, t, J = 6.8 Hz), 1.07 (3H, t, J = 7.2 Hz), 1.19 (5H, br), 1.50-1.64 (4H, m), 1.92-1.97 (2H, m), 2.18-2.25 (2H, m), 2.67 (3H, s), 2.84 (2H, d, J = 11.0 Hz), 3.18-3.35 (4H, m), 3.65 (2H, s), 7.34(2H, t, J = 8.8 Hz), 7.62 (1H, d, J = 8.4 Hz), 7.80-7.86 (5H, m), 8.13-8.17 (3H, m), 8.85 (1H, d, J = 1.8 Hz), 10.29 (1H, s).
융점: 145-146℃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7H43FN4O2·0.5H2O
계산치: C, 73.60; H, 7.35; N, 9.28
실측치: C, 73.79; H, 7.04; N, 9.34.
실시예 211
4'-플루오로-N-[8-메틸-3-({4-[4-옥소-4-(1-피페리디닐)부틸]-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19 (6H, m), 1.45 (9H, m), 1.92-1.97 (2H, m), 2.20-2.27 (2H, m), 2.67 (3H, s), 2.83 (2H, d, J = 11.0 Hz), 3.34 (4H, m), 3.65 (2H, s), 7.34 (2H, t, J = 8.8 Hz), 7.62 (1H, d, J = 8.8 Hz), 7.80-7.86 (5H, m), 8.13-8.17 (3H, m), 8.85 (1H, d, J = 1.8 Hz), 10.29 (1H, s).
융점: 154-156℃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8H43FN4O2·0.25H2O
계산치: C, 74.12; H, 7.20; N, 9.10
실측치: C, 74.23; H, 7.05; N, 9.25.
실시예 212
4-브로모-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3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6 에서 수득한 4-브로모-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DMSO-d6) δ 1.71 (4H, m), 2.44 (3H, s), 2.48 (4H, m), 3.76 (2H, s), 7.77 (2H, d, J = 8.8 Hz), 7.83 (1H, s), 7.97 (2H, d, J = 8.8 Hz), 8.06 (1H, s), 8.12 (1H, m), 8.78 (1H, d, J = 2.2 Hz), 10.16 (1H, s).
실시예 213
2'-플루오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12 에서 수득한 4-브로모-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DMSO-d6) δ 1.72 (4H, m), 2.48 (3H, s), 2.50 (4H, m), 3.78 (2H, s), 7.30-7.68 (4H, m), 7.75 (2H, dd, J = 1.4, 8.4 Hz), 7.85 (1H, s), 8.09-8.18 (4H, m), 8.79 (1H, d, J = 1.8 Hz), 10.16 (1H, s).
융점: 148-149 ℃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40 [M+H]+
실시예 214
2',4'-디플루오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12 에서 수득한 4-브로모-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DMSO-d6) δ 1.72 (4H, m), 2.47 (3H, s), 2.50 (4H, m), 3.78 (2H, s), 7.26 (1H, m), 7.43 (1H, m), 7.61-7.77 (3H, m), 7.85 (1H, s), 8.08-8.18 (4H, m), 8.79 (1H, d, J = 2.2 Hz), 10.16 (1H, s).
융점: 158-160 ℃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8H25F2N3O
계산치: C, 73.51; H, 5.51; N, 9.18.
실측치: C, 73.31; H, 5.38; N, 9.12.
실시예 215
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트리플루오로메틸)[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12 에서 수득한 4-브로모-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DMSO-d6) δ 1.72 (4H, m), 2.48 (3H, s), 2.50 (4H, m), 3.78 (2H,s), 7.83-8.05 (7H, m), 8.09-8.21 (4H, m), 8.79 (1H, d, J = 2.2 Hz), 10.19 (1H, s).
융점: 216-219 ℃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9H26F3N3O
계산치: C, 71.15; H, 5.35; N, 8.58.
실측치: C, 70.92; H, 5.06; N, 8.53.
실시예 216
3',4'-디플루오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12 에서 수득한 4-브로모-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DMSO-d6) δ 1.72 (4H, m), 2.47 (3H, s), 2.50 (4H, m), 3.78 (2H, s), 7.52-7.71 (2H, m), 7.82-7.98 (4H, m), 8.06-8.18 (4H, m), 8.79 (1H, d, J = 1.8 Hz), 10.16 (1H, s).
융점: 220-22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8 [M+H]+
실시예 217
4'-에틸-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12 에서 수득한 4-브로모-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22 (3H, t, J = 7.6 Hz), 1.71 (4H, m), 2.47 (3H, s), 2.49 (4H, m), 2.66 (2H, q, J = 7.6 Hz), 3.77 (2H, s), 7.35 (2H, d, J = 8.3 Hz), 7.69 (2H, d, J = 8.3 Hz), 7.84 (3H, m), 8.11 (4H, m), 8.78 (1H, d, J = 2.0 Hz), 10.10 (1H, s).
융점: 18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0H31N3O
계산치: C, 80.14; H, 6.95; N, 9.35.
실측치: C, 97.82; H, 7.10; N, 9.14.
실시예 218
2'-클로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12 에서 수득한 4-브로모-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91 (2H, m), 2.05 (2H, m), 2.61 (3H, s), 3.15 (2H, dd, J = 10.74, 7.32 Hz), 3.44 (2H, m, J = 5.13 Hz), 4.66 (2H, d, J = 5.62 Hz), 7.47 (2H, m), 7.61 (1H, m), 7.64 (2H, d, J = 8.30 Hz), 8.10 (1H, s), 8.15 (2H, d, J = 8.30 Hz), 8.61 (1H, s), 9.02 (1H, s), 9.33 (1H, d, J = 1.71 Hz), 10.38 (1H, s), 11.71 (1H, s).
융점: 28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0H29FN4O2ㆍHCl
계산치: C, 68.29; H, 5.52; N, 8.53.
실측치: C, 69.07; H, 5.85; N, 8.30.
실시예 219
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메틸티오)-[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12 에서 수득한 4-브로모-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4 (4H, m), 2.47 (3H, s), 2.50 (4H, m), 2.53 (3H, s), 3.77 (2H, s), 7.39 (2H, d, J = 8.6 Hz), 7.74 (2H, d, J = 8.3 Hz), 7.85 (3H, m), 8.11 (4H, m), 8.79 (1H, d, J = 2.0 Hz), 10.10 (1H, s).
융점: 19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9H29N3OS
계산치: C, 74.48; H, 6.25; N, 8.99.
실측치: C, 74.33; H, 6.36; N, 8.82.
실시예 220
4-(5-클로로티엔-2-일)-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12 에서 수득한 4-브로모-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2 (4H, m), 2.45 (3H, s), 2.50 (4H, m), 3.77 (2H, s), 7.23 (1H, d, J = 3.9 Hz), 7.59 (1H, d, J = 3.9 Hz), 7.80 (2H, d, J = 8.3 Hz), 7.84 (1H, s), 8.09 (3H, m), 8.13 (1H, s), 8.78 (1H, d, J = 2.0 Hz), 10.11 (1H, s).
융점: 216℃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6H24ClN3O2S
계산치: C, 67.59; H, 5.24; N, 9.10.
실측치: C, 67.26; H, 5.28; N, 8.84.
실시예 221
4-(1-벤조푸란-2-일)-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12 에서 수득한 4-브로모-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5 (4H, m), 2.47 (3H, s), 2.49 (4H, m), 3.78 (2H, s), 7.36 (3H, m), 7.65 (1H, s), 7.70 (2H, m), 7.85 (1H, s), 8.11 (2H, d, J = 8.8 Hz), 8.14 (1H, s), 8.17 (2H, m), 8.79 (1H, d, J = 1.7 Hz), 10.18 (1H, s).
융점: 219℃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22
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2-나프틸)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12 에서 수득한 4-브로모-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4 (4H, m), 2.50 (3H, s), 2.51 (4H, m), 3.78 (2H, s), 7.58 (2H, m), 7.86 (1H, s), 7.97 (2H, m), 8.06 (4H, m), 8.13 (1H, s), 8.14 (1H, s), 8.20 (2H, d, J = 8.6 Hz), 8.37 (1H, d, J = 1.2 Hz), 8.80 (1H, d, J = 2.2 Hz), 10.17 (1H, s).
융점: 194℃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2H29N3Oㆍ0.25H2O
계산치: C, 80.72; H, 6.24; N, 8.82.
실측치: C, 80.96; H, 6.25; N, 8.51.
실시예 223
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티엔-3-일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12 에서 수득한 4-브로모-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47 (3H, s), 2.50 (4H, m), 3.78 (2H, s), 7.70 (2H, m), 7.85 (1H, s), 7.93 (2H, d, J = 8.6 Hz), 8.09 (4H, m), 8.14 (1H, s), 8.79 (1H, d, J = 2.0 Hz), 10.09 (1H, s).
융점: 18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6H25N3OS
계산치: C, 73.04; H, 5.89; N, 9.83.
실측치: C, 72.64; H, 5.91; N, 9.46.
실시예 224
4-(2-푸릴)-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12 에서 수득한 4-브로모-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69 (4H, m), 2.44 (3H, s), 2.47 (4H, m), 3.75 (2H, s), 6.64 (1H, dd, J = 3.4, 2.0 Hz), 7.13 (1H, d, J = 3.4 Hz), 7.82 (2H, m), 7.85 (2H, d, J = 8.6 Hz), 8.07 (4H, m), 8.76 (1H, d, J = 2.0 Hz), 10.08 (1H, s).
융점: 154℃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6H25N3O2
계산치: C, 75.89; H, 6.12; N, 10.21.
실측치: C, 75.67; H, 6.11; N, 9.87.
실시예 225
4-브로모-2-플루오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12 에서 수득한 4-브로모-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DMSO-d6) δ 1.71 (4H, m), 2.47 (3H, s), 2.50 (4H, m), 3.76 (2H, s), 7.60 (1H, dd, J = 1.4, 8.0 Hz), 7.72-7.84 (3H, m), 8.10 (1H, m), 8.26 (1H, m), 8.77 (1H, d, J = 1.8 Hz), 10.04 (1H, s).
실시예 226
3-플루오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25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DMSO-d6) δ 1.72 (4H, m), 2.49 (4H, m), 2.51 (3H, s), 3.79 (2H,s), 7.42-7.56 (3H, m), 7.67-7.86 (5H, m), 7.92 (1H, m), 8.12 (1H, s), 8.34 (1H, s), 8.79 (1H, d, J = 1.8 Hz), 9.99 (1H, s).
융점: 180-18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40 [M+H]+
실시예 227
3-플루오로-4'-메톡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25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DMSO-d6) δ 1.73 (4H, m), 2.50 (7H, m), 3.82 (5H, m), 7.07 (2H, d, J = 8.4 Hz), 7.63-7.73 (2H, m), 7.77 (2H, d, J = 8.4 Hz), 7.82-7.92 (2H, m), 8.14 (1H, s), 8.35 (1H, s), 8.80 (1H, s), 9.94 (1H, d, J = 3.0 Hz).
융점: 187-19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70 [M+H]+
실시예 228
3,4'-디플루오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25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DMSO-d6) δ 1.73 (4H, m), 2.51 (7H, m), 3.81 (2H, s), 7.37 (2H, m), 7.67-7.80 (2H, m), 7.82-7.96 (4H, m), 8.14 (1H, s), 8.34 (1H, s), 8.80 (1H, s), 10.04 (1H, m).
융점: 174-17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8 [M+H]+
실시예 229
3-플루오로-4'-메틸-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25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DMSO-d6) δ 1.73 (4H, m), 2.37 (3H, s), 2.50 (7H, m), 3.82 (2H, s), 7.33 (2H, d, J = 8.0 Hz), 7.64-7.75 (4H, m,), 7.82-7.94 (2H, m), 8.13 (1H, s), 8.34 (1H, s), 8.79 (1H, d, J = 1.8 Hz), 9.93 (1H, s).
융점: 176-179℃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4 [M+H]+
실시예 230
4'-클로로-3-플루오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25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DMSO-d6) δ 1.72 (4H, m), 2.50 (7H, m), 3.79 (2H, s), 7.58 (2H, d, J = 8.4 Hz), 7.66-7.97 (6H, m), 8.12 (1H, s), 8.33 (1H, s), 8.79 (1H, d, J = 1.8 Hz), 10.01 (1H, s).
융점: 195-19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74 [M+H]+
실시예 231
4-브로모-3-플루오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12 에서 수득한 4-브로모-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DMSO-d6)d 1.71 (4H, m), 2.44 (3H, s), 2.50 (4H, m), 3.76 (2H, s), 7.78-8.06 (5H, m), 8.12 (1H, m), 8.78 (1H, d, J = 1.8 Hz), 10.24 (1H, s).
실시예 232
2-플루오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31 에서 수득한 4-브로모-3-플루오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DMSO-d6) δ 1.74 (4H, m), 2.50 (7H, m), 3.80 (2H, s), 7.46-7.82 (6H, m), 7.87 (1H, s), 7.92-8.03 (2H, m), 8.09 (1H, s), 8.16 (1H, m), 8.80 (1H, m), 10.23 (1H, s).
융점: 167-17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40 [M+H]+
실시예 233
2,4'-디플루오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31 에서 수득한 4-브로모-3-플루오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DMSO-d6) δ 1.73 (4H, m), 2.47 (3H, s), 2.50 (4H, m), 3.79 (2H, s), 7.39 (2H, m), 7.64-7.80 (3H, m), 7.86 (1H, s), 7.92-8.03 (2H, m), 8.06-8.17 (2H, m), 8.80 (1H, d, J = 2.2 Hz), 10.24 (1H, s).
융점: 163-166℃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8 [M+H]+
실시예 234
2-플루오로-4'-메틸-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31 에서 수득한 4-브로모-3-플루오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DMSO-d6) δ 1.72 (4H, m), 2.38 (3H, s), 2.46 (3H, s), 2.50 (4H, m), 3.78 (2H, s), 7.34 (2H, d, J = 8.4 Hz), 7.53 (2H, m), 7.71 (1H, m), 7.85 (1H, s), 7.89-8.00 (2H, m), 8.08 (1H, s), 8.13 (1H, s), 8.79 (1H, m), 10.21 (1H, s).
융점: 175-17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4 [M+H]+
실시예 235
4'-클로로-2-플루오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31 에서 수득한 4-브로모-3-플루오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DMSO-d6) δ 1.72 (4H, m), 2.46 (3H, s), 2.50 (4H, m), 3.78 (2H, s), 7.56-7.73 (4H, m), 7.75 (1H, m), 7.85 (1H, s), 7.92-8.02 (2H, m), 8.08 (1H, s), 8.14 (1H, m), 8.79 (1H, d, J = 1.8 Hz), 10.24 (1H, s).
융점: 181-185℃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74 [M+H]+
실시예 236
2-플루오로-4'-메톡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31 에서 수득한 4-브로모-3-플루오로-N-[6-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DMSO-d6) δ 1.72 (4H, m), 2.46 (3H, s), 2.50 (4H, m), 3.78 (2H, s), 3.83 (3H, s), 7.09 (2H, d, J = 8.8 Hz), 7.60 (2H, m), 7.71 (1H, m), 7.85 (1H, s), 7.89-7.99 (2H, m), 8.08 (1H, s), 8.14 (1H, m), 8.79 (1H, d, J = 1.8 Hz), 10.19 (1H, s).
융점: 165-16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70 [M+H]+
실시예 237
N-[3-(1-아제파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브로모벤즈아미드
참조예 3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6 에서 수득한 4-브로모-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9 (8H, m), 2.44 (3H, s), 2.63 (4H, m), 3.80 (2H, s), 7.78 (2H, d, J = 8.8 Hz), 7.84 (1H, s), 7.98 (2H, d, J = 8.8 Hz), 8.06 (1H, s), 8.12 (1H, m), 8.81 (1H, d, J = 2.2 Hz), 10.19 (1H, s).
실시예 238
N-[3-(1-아제파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클로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37 에서 수득한 N-[3-(1-아제파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브로모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60 (4H, s), 1.63 (4H, m), 2.54 (3H, s), 2.66 (4H, m), 3.80 (2H, s), 7.45 (2H, m), 7.57 (2H, m), 7.65 (1H, s), 7.70 (2H, d, J = 8.1 Hz), 7.94 (2H, m), 8.01 (2H, d, J = 8.3 Hz), 8.74 (1H, s), 8.87 (1H, d, J = 2.0 Hz).
융점: 204℃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0H30ClN3O
계산치: C, 74.44; H, 6.25; N, 8.68.
실측치: C, 74.30; H, 6.15; N, 8.59.
실시예 239
N-[3-(1-아제파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메톡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37 에서 수득한 N-[3-(1-아제파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브로모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57 (4H, m), 1.60 (4H, m), 2.51 (3H, s), 2.63 (4H, m), 3.77 (2H, s), 3.84 (3H, s), 6.99 (2H, m), 7.56 (2H, m), 7.61 (1H, s), 7.67 (2H, d, J = 8.1 Hz), 7.90 (1H, s), 7.93 (1H, d, J = 1.2 Hz), 7.96 (2H, d, J = 8.1 Hz), 8.72 (1H, s), 8.83 (1H, d, J = 2.2 Hz).
융점: 161℃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40
N-[3-(1-아제파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1-벤조푸란-2-일)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37 에서 수득한 N-[3-(1-아제파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브로모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62 (8H, m), 2.55 (3H, s), 2.67 (4H, m), 3.79 (2H, s), 7.17 (1H, s), 7.26 (2H, m), 7.33 (1H, m), 7.56 (1H, d, J = 8.1 Hz), 7.63 (2H, m), 7.95 (2H, m), 8.01 (3H, m), 8.74 (1H, s), 8.86 (1H, d, J = 2.0 Hz).
융점: 20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2H31N3O2
계산치: C, 78.50; H, 6.38; N, 8.58.
실측치: C, 78.78; H, 6.38; N, 8.29.
실시예 241
N-[3-(1-아제파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5-클로로티엔-2-일)벤즈아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37 에서 수득한 N-[3-(1-아제파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브로모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62 (8H, m), 2.52 (3H, s), 2.66 (4H, m), 3.79 (2H, s), 6.94 (1H, d, J = 3.9 Hz), 7.19 (1H, d, J = 3.9 Hz), 7.63 (3H, m), 7.90(1H, s), 7.94 (2H, d, J = 8.3 Hz), 7.95 (1H, s), 8.72 (1H, s), 8.86 (1H, d, J = 2.2 Hz).
융점: 18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28H28ClN3OS
계산치: C, 68.62; H, 5.76; N, 8.57.
실측치: C, 68.42; H, 5.74; N, 8.43.
실시예 242
N-[3-(1-아제파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브로모-2-플루오로벤즈아미드
4 개의 참조예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37 에서 수득한 N-[3-(1-아제파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브로모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8 (8H, m), 2.47 (3H, s), 2.62 (4H, m), 3.79 (2H, s), 7.61 (1H, dd, J = 8.2, 1.7 Hz), 7.81 (3H, m), 8.11 (1H, s), 8.27 (1H, m), 8.81 (1H, d, J = 2.2 Hz), 10.06 (1H, s).
실시예 243
N-[3-(1-아제파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클로로-3-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42 에서 수득한 N-[3-(1-아제파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브로모-2-플루오로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61 (8H, m), 2.52 (3H, s), 2.64 (4H, m), 3.77 (2H, s), 7.37 (1H, m), 7.43 (2H, m), 7.52 (3H, m), 7.61 (1H, s), 7.92 (1H, s), 8.31 (1H, t, J = 8.4 Hz), 8.66 (1H, d, J = 16.9 Hz), 8.84 (1H, d, J = 2.0 Hz), 8.94 (1H, s).
융점: 209℃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0H29ClFN3O
계산치: C, 71.77; H, 5.82; N, 8.37.
실측치: C, 72.25; H, 5.63; N, 8.06.
실시예 244
N-[3-(1-아제파닐메틸)-6-메틸-7-퀴놀리닐]-3,4'-디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42 에서 수득한 N-[3-(1-아제파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브로모-2-플루오로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62 (8H, m), 2.55 (3H, s), 2.67 (4H, m), 3.80 (2H, s), 7.18 (2H, m), 7.39 (1H, m), 7.53 (1H, dd, J = 8.3, 1.7 Hz), 7.61 (2H, m), 7.64 (1H, s), 7.96 (1H, s), 8.34 (1H, m), 8.69 (1H, d, J = 16.6 Hz), 8.87 (1H, d, J = 2.0 Hz), 8.97 (1H, s).
융점: 17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0H29F2N3O
계산치: C, 74.21; H, 6.02; N, 8.65.
실측치: C, 74.72; H, 5.75; N, 8.41.
실시예 245
N-[3-(1-아제파닐메틸)-6-메틸-7-퀴놀리닐]-3-플루오로-4'-메톡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42 에서 수득한 N-[3-(1-아제파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브로모-2-플루오로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63 (8H, m), 2.55 (3H, s), 2.67 (4H, m), 3.80 (2H, s), 3.87 (3H, s), 7.02 (2H, m), 7.39 (1H, m), 7.54 (1H, dd, J = 8.2, 1.6 Hz), 7.59 (2H, m), 7.64 (1H, s), 7.95 (1H, s), 8.31 (1H, m), 8.70 (1H, d, J = 17.1 Hz), 8.86 (1H, d, J = 2.2 Hz), 8.98 (1H, s).
융점: 16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1H32FN3O2
계산치: C, 74.83; H, 6.48; N, 8.44.
실측치: C, 75.02; H, 6.62; N, 8.10.
실시예 246
N-[3-(1-아제파닐메틸)-6-메틸-7-퀴놀리닐]-3-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242 에서 수득한 N-[3-(1-아제파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브로모-2-플루오로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62 (8H, m), 2.54 (3H, s), 2.66 (4H, m), 3.79 (2H, s), 7.45 (4H, m), 7.57 (1H, dd, J = 8.2, 1.6 Hz), 7.63 (3H, m), 7.94 (1H, s), 8.33 (1H, m), 8.69 (1H, d, J = 17.1 Hz), 8.86 (1H, d, J = 2.0 Hz), 8.96 (1H, s).
융점: 151℃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0H30FN3O
계산치: C, 77.06; H, 6.47; N, 8.99.
실측치: C, 77.34; H, 6.52; N, 8.65.
실시예 247
4-부톡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99 (3H, t, J = 7.3 Hz), 1.51 (2H, m), 1.80 (6H, m), 2.55 (4H, m), 2.80 (3H, s), 3.80 (2H, s), 4.03 (2H, t, J = 6.5 Hz), 6.98 (2H, m), 7.68 (1H, d, J = 9.0 Hz), 7.89 (3H, m), 8.04 (1H, d, J = 2.2 Hz), 8.22 (1H, d, J = 8.8 Hz), 8.87 (1H, d, J = 2.2 Hz).
융점: 161℃ (결정화 용매: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48
N-{3-[(디메틸아미노)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2.20 (6H, s), 2.47 (3H, s), 3.59 (2H, s), 7.35 (2H, m), 7.80-7.90 (5H, m), 8.08-8.16 (4H, m), 8.77 (1H, d, J = 1.5 Hz), 10.15(1H, s).
융점: 183-186℃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14 [M+H]+
실시예 249
N-{3-[(디에틸아미노)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02 (6H, t, J = 7.2 Hz), 2.20-2.64 (4H, m), 2.48 (3H, s), 3.74 (2H, s), 7.35 (2H, m), 7.77-7.92 (5H, m), 8.06-8.18 (4H, m), 8.79 (1H, d, J = 1.8 Hz), 10.14 (1H, s).
융점: 145-14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42 [M+H]+
실시예 250
4'-플루오로-N-[6-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32-1.60 (6H, m), 2.39 (4H, m), 2.48 (3H, s), 3.63 (2H, s), 7.36 (2H, m), 7.76-7.92 (5H, m), 8.08-8.14 (4H, m), 8.78 (1H, d, J = 1.8 Hz), 10.14 (1H, s).
융점: 185-18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4 [M+H]+
실시예 251
N-[3-(1-아제파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9 (8H, m), 2.48 (3H, s), 2.64 (4H, m), 3.81 (2H, s), 7.35 (2H, m), 7.78-7.92 (5H, m), 8.08-8.20 (4H, m), 8.81 (1H, d, J = 1.8 Hz), 10.14 (1H, s).
융점: 170-174℃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68 [M+H]+
실시예 252
4'-플루오로-N-[6-메틸-3-(4-모르폴리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2.42 (4H, m), 2.47 (3H, s), 3.59 (4H, m), 3.67 (2H, s), 7.35 (2H, m), 7.79-7.89 (5H, m), 8.08-8.16 (4H, m), 8.79 (1H, d, J = 1.8 Hz), 10.15 (1H, s).
융점: 153-15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6 [M+H]+
실시예 253
N-(3-{[4-(3-아미노-3-옥소프로필)-1-피페리디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03-1.24 (3H, m), 1.42 (2H, m), 1.62 (2H, m), 1.95 (2H, m), 2.04 (2H, m), 2.47 (3H, s), 2.77 (2H, m), 3.63 (2H, s), 6.69 (1H, s), 7.24 (1H, s), 7.35 (2H, m), 7.78-7.90 (5H, m), 8.07-8.16 (4H, m), 8.76 (1H, s), 10.14 (1H, s).
융점: 223-22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525 [M+H]+
실시예 254
4'-플루오로-N-[6-메틸-3-({4-[3-(메틸아미노)-3-옥소프로필]-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15 (3H, m), 1.43 (2H, m), 1.62 (2H, m), 1.95 (2H, m), 2.06 (2H, m), 2.48 (3H, s), 2.54 (3H, d, J = 4.5 Hz), 2.83 (2H, m), 3.63 (2H, s), 7.36 (2H, m), 7.71 (1H, d, J = 4.5 Hz), 7.80-7.90 (5H, m), 8.08-8.17 (4H, m), 8.77 (1H, d, J = 1.2 Hz), 10.16 (1H, s).
융점: 207-211℃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539 [M+H]+
실시예 255
N-[3-({4-[3-(에틸아미노)-3-옥소프로필]-1-피페리디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98 (3H, t, J = 7.2 Hz), 1.14 (3H, m), 1.41 (2H, m), 1.61 (2H, m), 1.94 (2H, m), 2.04 (2H, m), 2.47 (3H, s), 2.82 (2H, m), 3.02 (2H, m), 3.63 (2H, s), 7.35 (2H, m), 7.72-7.92 (6H, m), 8.06-8.17 (4H, m), 8.76 (1H, s), 10.15 (1H, s).
융점: 227-23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553 [M+H]+
실시예 256
N-[3-({4-[3-(디메틸아미노)-3-옥소프로필]-1-피페리디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06-1.28 (3H, m), 1.42 (2H, m), 1.65 (2H, m), 1.96 (2H, m), 2.28 (2H, m), 2.48 (3H, s), 2.79 (3H, s), 2.84 (2H, m), 2.94 (3H,s), 3.64 (2H, s), 7.36 (2H, m), 7.80-7.90 (5H, m), 8.08-8.16 (4H, m), 8.78 (1H, s), 10.15 (1H, s).
융점: 193-196℃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553 [M+H]+
실시예 257
N-[3-({4-[3-(디에틸아미노)-3-옥소프로필]-1-피페리디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98 (3H, t, J = 6.9 Hz), 1.07 (3H, t, J = 6.9 Hz), 1.10-1.30 (3H, m), 1.43 (2H, m), 1.63 (2H, m), 1.95 (2H, m), 2.25 (2H, m), 2.47 (3H, s), 2.83 (2H, m), 3.18-3.30 (4H, m), 3.63 (2H, s), 7.35 (2H, m), 7.79-7.88 (5H, m), 8.08-8.16 (4H, m), 8.77 (1H, d, J = 1.5 Hz), 10.14 (1H, s).
융점: 150-154℃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581 [M+H]+
실시예 258
4'-플루오로-N-[6-메틸-3-({4-[3-옥소-3-(1-피페리디닐)프로필]-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04-1.27 (3H, m), 1.32-1.50 (6H, m), 1.54 (2H, m), 1.64 (2H, m), 1.95 (2H, m), 2.27 (2H, m), 2.47 (3H, s), 2.82 (2H, m), 3.27-3.42 (4H, m), 3.63 (2H, s), 7.35 (2H, m), 7.79-7.89 (5H, m), 8.08-8.16 (4H, m), 8.76 (1H, s), 10.14 (1H, s).
융점: 189-191℃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593 [M+H]+
실시예 259
4'-플루오로-N-[6-메틸-3-({4-[4-옥소-4-(1-피페리디닐)부틸]-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18 (5H, m), 1.37 (2H, m), 1.46 (4H, m), 1.54 (2H, m), 1.61 (2H, m), 1.98 (2H, m), 2.23 (2H, t, J = 7.5 Hz), 2.46 (3H, s), 2.82 (2H, m), 3.36 (4H, m), 3.63 (2H, s), 7.34 (2H, m), 7.82 (5H, m), 8.10 (2H, m), 8.12 (2H, d, J = 8.5 Hz), 8.76 (1H, d, J = 1.5 Hz), 10.12 (1H, s).
융점: 179℃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8H43FN4O2ㆍ0.25H2O
계산치: C, 74.66; H, 7.17; N, 9.16.
실측치: C, 74.70; H, 7.09; N, 9.03.
실시예 260
N-[3-({4-[4-(디에틸아미노)-4-옥소부틸]-1-피페리디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97 (3H, t, J = 7.0 Hz), 1.07 (3H, t, J = 7.0 Hz), 1.13 (1H, m), 1.18 (3H, m), 1.49 (2H, m), 1.61 (2H, m), 1.96 (2H, m), 2.21 (2H, t, J = 7.3 Hz), 2.46 (3H, s), 2.82 (2H, m), 3.24 (5H, m), 3.63 (2H, s), 7.34 (2H, m), 7.82 (5H, m), 8.11 (4H, m), 8.76 (1H, d, J = 1.7 Hz), 10.12 (1H, s).
융점: 181℃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7H43FN4O2ㆍ0.25H2O
계산치: C, 74.15; H, 7.32; N, 9.34.
실측치: C, 74.18; H, 7.38; N, 9.28.
실시예 261
N-[3-({4-[4-(에틸아미노)-4-옥소부틸]-1-피페리디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97 (3H, t, J = 7.2 Hz), 1.14 (5H, m), 1.47 (2H, m), 1.60 (2H, m), 1.97 (4H, m), 2.46 (3H, s), 2.82 (2H, m), 3.02 (2H, m), 3.62 (2H, s), 7.34 (2H, m), 7.72 (1H, m), 7.82 (5H, m), 8.09 (2H, s), 8.13 (2H, d, J = 8.3 Hz), 8.76 (1H, d, J = 2.0 Hz), 10.15 (1H, s).
융점: 24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5H39FN4O2
계산치: C, 74.18; H, 6.94; N, 9.89.
실측치: C, 74.42; H, 6.92; N, 9.66.
실시예 262
N-[3-({4-[4-(디메틸아미노)-4-옥소부틸]-1-피페리디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17 (5H, m), 1.47 (2H, m), 1.61 (2H, m), 1.96 (2H, m), 2.23 (2H, t, J = 7.45 Hz), 2.46 (3H, s), 2.78 (3H, s), 2.82 (2H, m), 2.92 (3H, s), 3.63 (2H, s), 7.34 (2H, m), 7.82 (5H, m), 8.11 (4H, m), 8.76 (1H, d, J = 1.5 Hz), 10.12 (1H, s).
융점: 194℃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5H39FN4O2
계산치: C, 74.18; H, 6.94; N, 9.89.
실측치: C, 73.64; H, 6.97; N, 9.65.
실시예 263
4'-플루오로-N-[6-메틸-3-({4-[4-(메틸아미노)-4-옥소부틸]-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15 (5H, m), 1.49 (2H, m), 1.61 (2H, m), 1.99 (4H, m), 2.47 (3H, s), 2.54 (3H, d, J = 4.6 Hz), 2.83 (2H, m), 3.63 (2H, s), 7.35 (2H, m), 7.67 (1H, d, J = 4.2 Hz), 7.83 (5H, m), 8.10 (1H, d, J = 1.2 Hz), 8.13 (3H, m), 8.76 (1H, d, J = 2.0 Hz), 10.14 (1H, s).
융점: 22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64
N-(3-{[4-(4-아미노-4-옥소부틸)-1-피페리디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16 (5H, m), 1.49 (2H, m), 1.62 (2H, m), 1.99 (4H, m), 2.48 (3H, s), 2.83 (2H, m), 3.64 (2H, s), 6.66 (1H, s), 7.21 (1H, s), 7.36 (2H, m), 7.83 (5H, m), 8.13 (4H, m), 8.77 (1H, d, J = 2.0 Hz), 10.13 (1H, s).
융점: 22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3H35FN4O2ㆍ0.4H2O
계산치: C, 72.61; H, 6.61; N, 10.26.
실측치: C, 72.70; H, 6.71; N, 10.20.
실시예 265
4'-플루오로-N-[6-메틸-3-({4-[2-옥소-2-(1-피페리디닐)에틸]-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22 (2H, m), 1.40 (2H, m), 1.45 (2H, m), 1.56 (2H,m), 1.64 (3H, m), 1.99 (2H, m), 2.22 (2H, d, J = 6.6 Hz), 2.48 (3H, s), 2.82 (2H, d, J = 9.8 Hz), 3.39 (4H, m), 3.64 (2H, s), 7.36 (2H, m), 7.84 (5H, m), 8.11 (2H, s), 8.13 (2H, d, J = 8.5 Hz), 8.78 (1H, d, J = 1.2 Hz), 10.13 (1H, s).
융점: 216℃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6H39FN4O2
계산치: C, 74.71; H, 6.79; N, 9.68.
실측치: C, 74.26; H, 6.73; N, 9.46.
실시예 266
N-[3-({4-[2-(디에틸아미노)-2-옥소에틸]-1-피페리디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98 (3H, t, J = 7.1 Hz), 1.07 (3H, t, J = 7.1 Hz), 1.21 (2H, m), 1.63 (2H, m), 1.72 (1H, s), 1.98 (2H, m), 2.17 (2H, d, J = 6.6Hz), 2.47 (3H, s), 2.81 (2H, m), 3.25 (4H, m), 3.63 (2H, s), 7.34 (2H, m), 7.83 (5H, m), 8.10 (2H, s), 8.12 (2H, d, J = 8.6 Hz), 8.76 (1H, d, J = 1.7 Hz), 10.11 (1H, s).
융점: 19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5H39FN4O2
계산치: C, 74.18; H, 6.94; N, 9.89.
실측치: C, 73.50; H, 6.87; N, 9.52.
실시예 267
N-[3-({4-[2-(에틸아미노)-2-옥소에틸]-1-피페리디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97 (3H, t, J = 7.3 Hz), 1.17 (2H, m), 1.58 (2H, m), 1.64 (1H, m), 1.97 (4H, m), 2.46 (3H, s), 2.80 (2H, m), 3.03 (2H, m), 3.62 (2H, s), 7.34 (2H, m), 7.75 (1H, m), 7.81 (5H, m), 8.07 (1H, d, J = 1.2Hz), 8.12 (1H, s), 8.13 (2H, m), 8.74 (1H, d, J = 2.0 Hz), 10.13 (1H, s).
융점: 251℃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4H37FN4O2
계산치: C, 73.58; H, 6.55; N, 10.40.
실측치: C, 73.65; H, 6.76; N, 10.11.
실시예 268
N-[3-({4-[2-(디메틸아미노)-2-옥소에틸]-1-피페리디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19 (2H, m), 1.66 (3H, m), 1.98 (2H, m), 2.20 (2H, d, J = 6.6 Hz), 2.47 (3H, s), 2.81 (5H, m), 2.94 (3H, s), 3.63 (2H, s), 7.35 (2H, m), 7.83 (5H, m), 8.10 (2H, s), 8.12 (2H, d, J = 8.3 Hz), 8.77 (1H, s), 10.12 (1H, s).
융점: 219℃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3H35FN4O2ㆍ0.5H2O
계산치: C, 72.37; H, 6.62; N, 10.22.
실측치: C, 72.64; H, 6.51; N, 9.98.
실시예 269
4'-플루오로-N-[6-메틸-3-({4-[2-(메틸아미노)-2-옥소에틸]-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16 (2H, m), 1.57 (2H, m), 1.63 (1H, m), 1.97 (4H, m), 2.46 (3H, s), 2.53 (3H, d, J = 4.6 Hz), 2.80 (2H, m), 3.62 (2H, s), 7.34 (2H, m), 7.69 (1H, d, J = 4.6 Hz), 7.82 (5H, m), 8.07 (1H, s), 8.12 (2H, m), 8.14 (1H, s), 8.74 (1H, d, J = 2.0 Hz), 10.13 (1H, s).
융점: 24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2H33FN4O2
계산치: C, 73.26; H, 6.34; N, 10.68.
실측치: C, 73.47; H, 6.40; N, 10.40.
실시예 270
N-(3-{[4-(2-아미노-2-옥소에틸)-1-피페리디닐]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16 (2H, m), 1.63 (3H, m), 1.96 (4H, m), 2.46 (3H, s), 2.81 (2H, m), 3.62 (2H, s), 6.69 (1H, s), 7.22 (1H, s), 7.34 (2H, m), 7.82 (5H, m), 8.07 (1H, s), 8.13 (3H, m), 8.75 (1H, d, J = 2.0 Hz), 10.13 (1H, s).
융점: 249℃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1H31FN4O2
계산치: C, 72.92; H, 6.12; N, 10.97.
실측치: C, 72.91; H, 6.43; N, 10.66.
실시예 271
4'-플루오로-N-(6-메틸-3-{[4-(1-피페리디닐카르보닐)-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39 (2H, m), 1.46 (2H, m), 1.58 (6H, m), 2.07 (2H, m), 2.47 (3H, s), 2.53 (1H, m), 2.86 (2H, m), 3.40 (4H, m), 3.66 (2H, s), 7.34 (2H, m), 7.83 (5H, m), 8.12 (4H, m), 8.77 (1H, s), 10.12 (1H, s).
융점: 25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5H37FN4O2
계산치: C, 74.44; H, 6.60; N, 9.92.
실측치: C, 74.13; H, 6.51; N, 9.79.
실시예 272
N,N-디에틸-1-[(7-{[(4'-플루오로-1,1'-비페닐-4-일)카르보닐]아미노}-6-메틸-3-퀴놀리닐)메틸]피페리딘-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97 (3H, t, J = 7.0 Hz), 1.09 (3H, t, J = 7.0 Hz), 1.61 (2H, m), 2.05 (2H, m), 2.47 (3H, s), 2.51 (1H, m), 2.87 (2H, m), 3.23 (2H, q, J = 7.0 Hz), 3.30 (4H, m), 3.66 (2H, s), 7.34 (2H, m), 7.83 (5H, m), 8.12 (4H, m), 8.77 (1H, d, J = 1.7 Hz), 10.12 (1H, s).
융점: 20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2H33FN4O2ㆍ0.25H2O
계산치: C, 73.29; H, 6.78; N, 10.05.
실측치: C, 73.26; H, 6.97; N, 9.94.
실시예 273
N-에틸-1-[(7-{[(4'-플루오로-1,1'-비페닐-4-일)카르보닐]아미노}-6-메틸-3-퀴놀리닐)메틸]피페리딘-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97 (3H, t, J = 7.2 Hz), 1.61 (4H, m), 1.97 (2H, m), 2.04 (1H, m), 2.46 (3H, s), 2.86 (2H, m), 3.03 (2H, m), 3.63 (2H, s), 7.34 (2H, m), 7.70 (1H, m), 7.81 (5H, m), 8.08 (1H, s), 8.13 (3H, m), 8.74 (1H, d, J = 2.0 Hz), 10.13 (1H, s).
융점: 254℃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2H33FN4O2
계산치: C, 73.26; H, 6.34; N, 10.68.
실측치: C, 73.46; H, 6.64; N, 10.17.
실시예 274
1-[(7-{[(4'-플루오로-1,1'-비페닐-4-일)카르보닐]아미노}-6-메틸-3-퀴놀리닐)메틸]-N,N-디메틸피페리딘-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9 (4H, m), 2.07 (2H, m), 2.47 (3H, s), 2.54 (1H, m), 2.78 (3H, s), 2.87 (2H, m), 2.98 (3H, s), 3.66 (2H, s), 7.34 (2H, m), 7.83 (5H, m), 8.11 (4H, m), 8.77 (1H, d, J = 2.0 Hz), 10.12 (1H, s).
융점: 229℃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2H33FN4O2
계산치: C, 73.26; H, 6.34; N, 10.68.
실측치: C, 72.89; H, 6.54; N, 10.38.
실시예 275
1-[(7-{[(4'-플루오로-1,1'-비페닐-4-일)카르보닐]아미노}-6-메틸-3-퀴놀리닐)메틸]-N-메틸피페리딘-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60 (4H, m), 1.97 (2H, m), 2.06 (1H, m), 2.46 (3H, s), 2.54 (3H, m), 2.85 (2H, m), 3.63 (2H, s), 7.34 (2H, m), 7.66 (1H, m), 7.83 (5H, m), 8.12 (4H, m), 8.75 (1H, s), 10.13 (1H, s).
융점: 25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1H31FN4O2
계산치: C, 72.92; H, 6.12; N, 10.97.
실측치: C, 73.10; H, 6.08; N, 10.82.
실시예 276
1-[(7-{[(4'-플루오로-1,1'-비페닐-4-일)카르보닐]아미노}-6-메틸-3-퀴놀리닐)메틸]피페리딘-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4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6-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8 (2H, m), 1.67 (2H, m), 1.98 (2H, m), 2.06 (1H, m), 2.47 (3H, s), 2.85 (2H, m), 3.64 (2H, s), 6.70 (1H, s), 7.19 (1H, s), 7.34 (2H, m), 7.82 (5H, m), 8.12 (4H, m), 8.76 (1H, d, J = 2.0 Hz), 10.12 (1H, s).
융점: 265℃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다음에 대한 원소분석: C30H29FN4O2ㆍH2O
계산치: C, 70.02; H, 6.07; N, 10.88.
실측치: C, 69.66; H, 6.01; N, 10.59.
실시예 277
3-플루오로-4'-메틸-N-[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84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3-(피롤리딘-1-일메틸)퀴놀린-7-일]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2 (4H, m), 2.37 (3H, s), 2.50 (4H, m), 3.75 (2H, s), 7.32 (2H, d, J = 8.3 Hz), 7.68 (4H, m), 7.80 (1H, m), 7.86 (1H, d, J =2.0 Hz), 7.95 (1H, m), 8.15 (1H, d, J = 2.2 Hz), 8.54 (1H, s), 8.80 (1H, d, J = 2.0 Hz), 10.76 (1H, s).
융점: 17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40 [M+H]+
실시예 278
3-플루오로-N-[8-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메틸[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76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8-플루오로-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37 (3H, s), 2.50 (4H, m), 3.81 (2H, s), 7.33 (2H, d, J = 8.4 Hz), 7.68 (4H, m), 7.85 (2H, m), 8.01 (1H, m), 8.31 (1H, s), 8.91 (1H, d, J = 1.8 Hz), 10.47 (1H, s).
융점: 17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58 [M+H]+
실시예 279
4'-클로로-3-플루오로-N-[8-플루오로-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50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76 에서 수득한 4-브로모-2-플루오로-N-[8-플루오로-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4 (4H, m), 2.50 (4H, m), 3.81 (2H, s), 7.59 (2H, d, J = 8.8 Hz), 7.81 (6H, m), 8.01 (1H, m), 8.31 (1H, s), 8.91 (1H, d, J = 1.8 Hz), 10.53 (1H, s).
융점: 20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FABMS(pos) 478 [M+H]+
실시예 280
4'-플루오로-N-{8-메틸-3-[1-(1-피롤리디닐)에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9 에서 수득한 N-[3-(1-클로로에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45 (3H, d, J = 6.6 Hz), 1.62-1.83 (4H, m), 2.26-2.72 (7H, m), 3.49 (1H, q, J = 6.6 Hz), 7.28-7.42 (2H, m), 7.61 (1H, d, J = 8.8 Hz), 7.74-7.92 (5H, m), 8.15 (2H, d, J = 8.1 Hz), 8.20 (1H, d, J = 2.2 Hz), 8.92 (1H, d, J = 2.2 Hz), 10.29 (1H, s).
융점: 179-18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81
4'-플루오로-N-{8-메틸-3-[1-(1-피페리디닐)에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9 에서 수득한 N-[3-(1-클로로에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27-1.62 (9H, m), 2.26-2.46 (4H, m), 2.67 (3H, s), 3.76 (1H, q, J = 6.6 Hz), 7.27-7.42 (2H, m), 7.61 (1H, d, J = 8.8 Hz), 7.77-7.90 (5H, m), 8.10-8.21 (3H, m), 8.91 (1H, d, J = 1.8 Hz), 10.29 (1H, s).
융점: 168-17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82
N-{3-[(2-벤질-1-피롤리디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43-1.80 (4H, m), 2.13-2.33 (1H, m), 2.45-2.92 (6H, m), 3.00-3.17 (1H, m), 3.50 (1H, d, J = 13.6 Hz), 4.30 (1H, d, J = 13.6 Hz), 7.12-7.45 (7H, m), 7.63 (1H, d, J = 8.8 Hz), 7.74-7.92 (5H, m), 8.10-8.25 (3H, m), 8.90 (1H, d, J = 2.2 Hz), 10.28 (1H, s).
융점: 172-174℃ (결정화 용매: 이소프로판올 -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83
4'-플루오로-N-{3-[(2-이소부틸-1-피롤리디닐)메틸]-8-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93 (6H, t like, J = ca. 5.7 Hz), 1.18-1.73 (7H, m), 1.86-2.22 (2H, m), 2.62-2.92 (4H, m), ca. 3.36 (1H, d, J = 13.9 Hz), 4.20 (1H, d, J = 13.9 Hz), 7.25-7.40 (2H, m), 7.61 (1H, d, J = 8.4 Hz), 7.73-7.92 (5H, m), 8.08-8.23 (3H, m), 8.86 (1H, d, J = 1.8 Hz), 10.27 (1H, s).
융점: 193-196℃ (결정화 용매: 이소프로판올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84
N-{3-[(2-시클로헥실-1-피롤리디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2 에서 수득한 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90-1.35 (6H, m), 1.50-2.50 (11H, m), 2.78-2.97 (4H, m), 3.34 (1H, d, J = 13.6 Hz), 4.21 (1H, d, J = 13.6 Hz), 7.10-7.24 (2H, m), 7.57-7.78 (5H, m), 7.98-8.10 (4H, m), 8.25 (1H, d, J = 9.2 Hz), 8.94 (1H, d, J = 1.8 Hz).
융점: 204-205℃ (결정화 용매: 이소프로판올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85
4'-플루오로-N-{8-메틸-3-[1-(1-피롤리디닐)프로필]-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1 에서 수득한 N-[3-(1-클로로프로필)-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67 (3H, t, J = 7.3 Hz), 1.60-2.75 (13H, m), ca.3.35 (1H, br), 7.26-7.43 (2H, m), 7.61 (1H, d, J = 8.8 Hz), 7.72-7.91 (5H, m), 8.05-8.26 (3H, m), 8.87 (1H, s), 10.30 (1H, s).
융점: 188-191℃ (결정화 용매: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86
4'-플루오로-N-{8-메틸-3-[페닐(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4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3 에서 수득한 N-{3-[클로로(페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82 (4H, br), 2.49 (4H, br), 2.79 (3H, s), 4.41 (1H, s), 7.10-7.35 (5H, m), 7.47-7.77 (7H, m), 7.93-8.09 (3H, m), 8.16 (1H, d, J = 1.8 Hz), 8.25 (1H, d, J = 8.8 Hz), 9.05 (1H, d, J = 1.8 Hz).
융점: 192-195℃ (결정화 용매: 이소프로판올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87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펜틸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91 (3H, m), 1.35 (4H, m), 1.67 (2H, m), 1.81 (4H, dt, J = 6.6, 3.3 Hz), 2.57 (4H, m), 2.69 (2H, m), 2.81 (3H, s), 3.81 (2H, s), 7.33 (2H, d, J = 8.3 Hz), 7.70 (1H, d, J = 9.0 Hz), 7.87 (2H, d, J = 8.1 Hz), 7.95 (1H, s), 8.06 (1H, d, J = 2.2 Hz), 8.25 (1H, d, J = 8.8 Hz), 8.88 (1H, d, J = 2.0 Hz).
융점: 121℃ (결정화 용매: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88
4-부틸-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95 (3H, t, J = 7.3 Hz), 1.38 (2H, m), 1.65 (2H, m), 1.81 (4H, ddd, J = 6.8, 3.3, 3.1 Hz), 2.57 (4H, m), 2.70 (2H, m), 2.81 (3H, s), 3.81 (2H, s), 7.33 (2H, d, J = 8.1 Hz), 7.70 (1H, d, J = 9.0 Hz), 7.86 (2H, d, J = 8.1 Hz), 7.95 (1H, s), 8.06 (1H, d, J = 2.2 Hz), 8.25 (1H, d, J = 8.8 Hz), 8.88 (1H, d, J = 2.2 Hz).
융점: 131℃ (결정화 용매: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89
4-헥실-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88 (3H, m), 1.33 (6H, m), 1.63 (2H, m), 1.80 (4H, m), 2.56 (4H, m), 2.69 (2H, m), 2.80 (3H, s), 3.80 (2H, s), 7.32 (2H, d, J=8.0Hz), 7.70 (1H, d, J=9.1Hz), 7.86 (2H, d, J=8.0Hz), 7.95 (1H, s), 8.06 (1H, d, J=2.2Hz), 8.25 (1H, d, J=9.1Hz), 8.88 (1H, d, J=2.2Hz).
융점: 116℃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90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펜틸옥시)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94 (3H, t, J=7.0Hz), 1.42 (4H, m), 1.82 (6H, m), 2.56 (4H, m), 2.80 (3H, s), 3.80 (2H, s), 4.03 (2H, t, J=6.6Hz), 6.99 (2H, d, J=8.8Hz), 7.69 (1H, d, J=8.8Hz), 7.91 (3H, m), 8.06 (1H, d, J=2.2Hz), 8.24 (1H, d, J=8.8Hz), 8.88 (1H, d, J=2.2Hz).
융점: 155℃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91
4-(벤조일아미노)-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4 (4H, m), 2.50 (4H, m), 2.66 (3H, s), 3.80 (2H, s), 7.59 (4H, m), 7.81 (1H, d, J=8.8Hz), 7.98 (4H, m), 8.06 (2H, m), 8.21 (1H, d, J=1.7Hz), 8.87 (1H, d, J=2.2Hz), 10.14 (1H, s), 10.53 (1H, s).
융점: 24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92
4-부톡시-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99 (3H, t, J=7.3Hz), 1.51 (2H, m), 1.80 (6H, m), 2.55 (4H, m), 2.81 (3H, s), 3.80 (2H, s), 4.03 (2H, t, J=6.6Hz), 6.70 (1H, dd, J=14.5, 2.3Hz), 6.84 (1H, dd, J=8.9, 2.3Hz), 7.68 (1H, d, J=9.0Hz), 8.04 (1H, d, J=2.0Hz), 8.17 (1H, t, J=9.2Hz), 8.35 (1H, d, J=9.0Hz), 8.63 (1H, d, J=17.3Hz), 8.87 (1H, d, J=2.2Hz).
융점: 13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93
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펜틸옥시)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94 (3H, m), 1.42 (4H, m), 1.81 (6H, m), 2.55 (4H, m), 2.81 (3H, s), 3.80 (2H, s), 4.02 (2H, t, J=6.6Hz), 6.70 (1H, dd, J=14.7, 2.4Hz), 6.84 (1H, dd, J=9.0, 2.4Hz), 7.68 (1H, d, J=9.0Hz), 8.04 (1H, d, J=2.2Hz), 8.17 (1H, m), 8.35 (1H, d, J=8.8Hz), 8.63 (1H, d, J=16.9Hz,), 8.87 (1H, d, J=2.2Hz).
융점: 14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94
4-(부틸티오)-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95 (3H, t, J=7.1Hz), 1.48 (2H, m), 1.68 (2H, m), 1.81 (4H, m), 2.55 (4H, m), 2.80 (3H, s), 3.00 (2H, m), 3.80 (2H, s), 7.37 (2H, d, J=8.4Hz), 7.69 (1H, d, J=8.8Hz), 7.85 (2H, d, J=8.4Hz), 7.92 (1H, s), 8.05 (1H, d, J=2.2Hz), 8.22 (1H, d, J=8.8Hz), 8.88 (1H, d, J=2.2Hz).
융점: 14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95
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4,4,4-트리플루오로부톡시)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80 (4H, m), 2.10 (2H, m), 2.35 (2H, m), 2.56 (4H, m), 2.81 (3H, s), 3.80 (2H, s), 4.09 (2H t, J=6.0Hz,), 6.71 (1H, dd, J=14.5, 2.4Hz), 6.85 (1H, dd, J=9.0, 2.4Hz), 7.69 (1H, d, J=9.2Hz,), 8.05 (1H, d,J=2.2Hz), 8.20 (1H, t, J=9.2Hz), 8.35 (1H, d, J=8.8Hz), 8.63 (1H, d, J=16.9Hz,), 8.88 (1H, d, J=2.2Hz).
융점: 14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96
4-(부틸술포닐)-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90 (3H, t, J=7.3Hz), 1.38 (2H, m), 1.67 (2H, m), 1.81 (4H, m), 2.56 (4H, m), 2.81 (3H, s), 3.12 (2H, m), 3.81 (2H, s), 7.72 (1H, d, J=8.4Hz), 8.07 (7H, m), 8.90 (1H, d, J=2.2Hz).
융점: 21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97
4-(시클로프로필메톡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39 (2H, m), 0.69 (2H, m), 1.30 (1H, m), 1.81 (4H, m), 2.56 (4H, m), 2.80 (3H, s), 3.80 (2H, s), 3.88 (2H, d, J=6.8Hz), 7.00 (2H, m), 7.68 (1H, d, J=8.6Hz), 7.90 (3H, m), 8.05 (1H, d, J=2.0Hz), 8.23 (1H, d, J=8.8Hz), 8.87 (1H, d, J=2.0Hz).
융점: 16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98
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프로폭시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06 (3H, t, J=7.3Hz), 1.83 (6H, m), 2.55 (4H, m), 2.81 (3H, s), 3.79 (2H, s), 3.98 (2H, t, J=6.6Hz), 6.70 (1H, dd, J=14.4,2.4Hz), 6.84 (1H, dd, J=9.0, 2.2Hz), 7.68 (1H, d, J=8.8Hz), 8.04 (1H, d, J=1.7Hz), 8.17 (1H, t, J=9.3Hz), 8.35 (1H, d, J=9.0Hz), 8.63 (1H, d, J=17.3Hz), 8.87 (1H, d, J=2.2Hz).
융점: 146℃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299
2-플루오로-4-(3-메틸부톡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98 (6H, d, J=6.6Hz), 1.71 (2H, q, J=6.8Hz), 1.80 (4H, m), 1.84 (1H, m), 2.55 (4H, m), 2.81 (3H, s), 3.80 (2H, s), 4.05 (2H, t, J=6.6Hz), 6.70 (1H, dd, J=14.7, 2.4Hz), 6.84 (1H, dd, J=8.8, 2.4Hz), 7.68 (1H, d, J=8.8Hz), 8.04 (1H, d, J=2.2Hz), 8.17 (1H, t, J=9.2Hz), 8.35 (1H, d, J=9.0Hz), 8.63 (1H, d, J=16.9Hz,), 8.87 (1H, d, J=2.0Hz).
융점: 131℃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00
2-플루오로-4-(4-플루오로부톡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81 (4H, m), 1.98 (4H, m), 2.56 (4H, m), 2.82 (3H, s), 3.80 (2H, s), 4.09 (2H, m), 4.47 (1H, t, J=5.6Hz), 4.62 (1H, t, J=4.8Hz), 6.71 (1H, dd, J=14.7, 2.4Hz), 6.85 (1H, dd, J=8.9, 2.3Hz), 7.69 (1H, d, J=8.8Hz), 8.05 (1H, d, J=2.2Hz), 8.19 (1H, t, J=9.4Hz), 8.36 (1H, d, J=9.3Hz), 8.64 (1H, d, J=17.1Hz), 8.88 (1H, d, J=2.0Hz).
융점: 14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01
4-(2-에톡시에톡시)-2-플루오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27 (3H, t, J=7.0Hz), 1.81 (4H, m), 2.56 (4H, m), 2.82 (3H, s), 3.62 (2H, q, J=7.0Hz), 3.80 (2H, s), 3.83 (2H, m), 4.20 (2H, m), 6.76 (1H, dd, J=14.2, 2.2Hz), 6.89 (1H, dd, J=8.9, 2.6Hz), 7.69 (1H, d, J=8.8Hz), 8.05 (1H, d, J=2.2Hz), 8.18 (1H, m), 8.36 (1H, d, J=8.8Hz), 8.64 (1H, d, J=16.6Hz), 8.88 (1H, d, J=2.4Hz).
융점: 13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02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2-옥소-2-페닐에틸)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81 (4H, m), 2.55 (4H, m), 2.79 (3H, s), 3.80 (2H, s), 4.39 (2H, s), 7.42 (2H, d, J=8.6Hz,), 7.48 (2H, m), 7.58 (1H, m), 7.68(1H, d, J=9.0Hz), 7.91 (3H, m), 8.02 (3H, m), 8.22 (1H, d, J=9.0Hz), 8.87 (1H, d, J=2.2Hz).
융점: 18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03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2-옥소부틸)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07 (3H, t, J=7.3Hz), 1.80 (4H, m), 2.55 (6H, m), 2.80 (3H, s), 3.79 (2H, s), 3.80 (2H, s), 7.35 (2H, d, J=8.1Hz), 7.69 (1H, d, J=8.8Hz), 7.91 (3H, d, J=8.1Hz), 8.05 (1H, d, J=2.2Hz), 8.22 (1H, d, J=9.0Hz), 8.88 (1H, d, J=2.2Hz).
융점: 15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04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펜타노일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97 (3H, t, J=7.3Hz), 1.42 (2H, m), 1.74 (2H, m), 1.81 (4H, m), 2.56 (4H, m), 2.81 (3H, s), 3.01 (2H, m), 3.80 (2H, s), 7.70 (1H, d, J=8.8Hz), 8.05 (6H, m), 8.18 (1H, d, J=8.8Hz), 8.88 (1H, d, J=2.2Hz).
융점: 18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05
4-헥사노일-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93 (3H, m), 1.39 (4H, m), 1.82 (6H, m), 2.57 (4H, m), 2.82 (3H, s), 3.02 (2H, t, J=7.5Hz), 3.82 (2H, s), 7.72 (1H, d, J=9.2Hz), 8.02 (1H, d, J=2.2Hz), 8.09 (5H, m), 8.19 (1H, d, J=8.8Hz), 8.91 (1H, d, J=2.2Hz).
융점: 175℃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06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2-옥소펜틸)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91 (3H, t, J=7.5Hz), 1.63 (2H, m), 1.81 (4H, m), 2.48 (2H, t, J=7.2Hz), 2.57 (4H, m), 2.81 (3H, s), 3.79 (2H, s), 3.82 (2H, s), 7.36 (2H, d, J=8.3Hz), 7.70 (1H, d, J=9.0Hz), 7.91 (3H, m), 8.06 (1H, d, J=2.0Hz), 8.23 (1H, d, J=8.6Hz), 8.89 (1H, d, J=2.2Hz).
융점: 139-140℃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07
4-(부티릴아미노)-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03 (3H, t, J=7.3Hz), 1.80 (6H, m), 2.39 (2H, t, J=7.5Hz), 2.57 (4H, m), 2.81 (3H, s), 3.81 (2H, s), 7.31 (1H, s), 7.72 (3H, m), 7.93 (3H, m), 8.05 (1H, d, J=2.0Hz), 8.21 (1H, d, J=8.8Hz), 8.88 (1H, d, J=2.0Hz).
융점: 192-194℃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08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펜타노일아미노)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97 (3H, t, J=7.2Hz), 1.44 (2H, m) 1.73 (2H, m), 1.81 (4H, m), 2.41 (2H, m), 2.57 (4H, m), 2.81 (3H, s), 3.81 (2H, s), 7.30 (1H, s), 7.69 (3H, m), 7.92 (3H, m), 8.05 (1H, d, J=2.2Hz), 8.21 (1H, d, J=8.8Hz), 8.88 (1H, d, J=2.4Hz).
융점: 206-20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09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2-옥소헥실)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89 (3H, t, J=7.3Hz), 1.30 (2H, m), 1.57 (2H, m), 1.81 (4H, m), 2.50 (2H, t, J=7.3Hz), 2.57 (4H, m), 2.81 (3H, s), 3.79 (2H, s), 3.81 (2H, s), 7.35 (2H, d, J=8.3Hz), 7.70 (1H, d, J=9.0Hz), 7.92 (3H, m), 8.05 (1H, d, J=2.2Hz), 8.22 (1H, d, J=8.8Hz), 8.88 (1H, d, J=2.2Hz).
융점: 156℃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10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프로필술포닐)메틸]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07 (3H, t, J=7.5Hz), 1.88 (6H, m), 2.57 (4H, m), 2.82 (3H, s), 2.86 (2H, m), 3.82 (2H, s), 4.30 (2H, s), 7.58 (2H, d, J=8.4Hz), 7.71 (1H, d, J=8.8Hz), 8.00 (3H, m), 8.07 (1H, d, J=2.2Hz), 8.19 (1H, d, J=8.8Hz), 8.90 (1H, d, J=2.2Hz).
융점: 191℃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11
4-[(부틸술포닐)메틸]-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95 (3H, t, J=7.3Hz), 1.46 (2H, m), 1.83 (6H, m), 2.56 (4H, m), 2.82 (3H, s), 2.89 (2H, m), 3.82 (2H, s), 4.31 (2H, s), 7.59 (2H, d, J=8.4Hz), 7.72 (1H, d, J=9.2Hz,), 8.00 (3H, m), 8.07 (1H, d, J=2.2Hz), 8.20 (1H, d, J=8.8Hz), 8.91 (1H, d, J=2.2Hz).
융점: 199℃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12
3'-(이소부티릴아미노)-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28 (6H, d, J=6.9Hz), 1.82 (4H, m), 2.57 (5H, m), 2.84 (3H, s), 3.82 (2H, s), 7.33 (1H, s), 7.39 (1H, m), 7.43 (1H, t, J=7.6Hz), 7.51 (1H, ddd, J=7.8, 1.9, 1.7Hz), 7.74 (3H, m), 7.95 (1H, s), 8.01 (3H, m), 8.08 (1H, d, J=2.2Hz), 8.24 (1H, d, J=8.8Hz), 8.91 (1H, d, J=2.2Hz).
융점: 152-155℃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13
4-(2-시클로프로필-2-옥소에틸)-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89 (4H, m), 1.88 (4H, m), 2.02 (1H, m), 2.66 (4H, m), 2.69 (3H, s), 3.57 (2H, s), 4.02 (2H, s), 7.39 (2H, dd, J=8.3, 1.7Hz), 7.73 (1H, d, J=9.0Hz), 7.91 (1H, d, J=8.6Hz), 7.99 (2H, dd, J=8.6, 2.2Hz), 8.65 (1H, m), 9.09 (1H, m), 10.29 (1H, s).
융점: 200-201℃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14
N-[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4-(2-옥소펜틸)벤즈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0 에서 수득한 8-메틸-3-(1-피페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91 (3H, t, J=7.5Hz), 1.45 (2H, m), 1.61 (6H, m), 2.45 (4H, m), 2.48 (2H, t, J=7.3Hz), 2.81 (3H, s), 3.66 (2H, s), 3.79 (2H, s), 7.35 (2H, d, J=8.3Hz), 7.70 (1H, d, J=8.8Hz), 7.92 (2H, dt, J=8.4, 1.9Hz), 7.96 (1H, s), 8.02 (1H, d, J=2.2Hz), 8.22 (1H, d, J=9.0Hz), 8.88 (1H, d, J=2.0Hz).
융점: 164-165℃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15
N-[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4-(2-옥소펜틸)벤즈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1 에서 수득한 3-(1-아제파닐메틸)-8-메틸-7-퀴놀리닐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91 (3H, t, J=7.5Hz), 1.63 (10H, m), 2.48 (2H, t, J=7.3Hz), 2.65 (4H, m), 2.81 (3H, s), 3.79 (2H, s), 3.82 (2H, s), 7.35 (2H, d, J=8.3Hz), 7.70 (1H, d, J=8.8Hz), 7.91 (2H, m), 7.96 (1H, s), 8.02 (1H, d, J=2.0Hz), 8.20 (1H, d, J=8.8Hz), 8.92 (1H, d, J=2.2Hz).
융점: 136-13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16
4-(3-메틸-2-옥소부틸)-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15 (6H, d, J=6.8Hz), 1.81 (4H, m), 2.57 (4H, m), 2.77 (1H, m), 2.80 (3H, s), 3.81 (2H, s), 3.85 (2H, s), 7.34 (2H, d, J=8.3Hz), 7.69 (1H, d, J=8.8Hz), 7.91 (2H, dt, J=8.4, 1.9Hz), 7.97 (1H, s), 8.05 (1H, d, J=2.2Hz), 8.21 (1H, d, J=9.0Hz), 8.88 (1H, d, J=2.2Hz).
융점: 146-14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17
4-(4-메틸-2-옥소펜틸)-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91 (6H, d, J=6.6Hz), 1.81 (4H, m), 2.17 (1H, m), 2.38 (2H, d, J=6.8Hz), 2.57 (4H, m), 2.80 (3H, s), 3.77 (2H, s), 3.81 (2H, s), 7.34 (2H, d, J=8.3Hz), 7.69 (1H, d, J=8.8Hz), 7.91 (2H, dt, J=8.4, 1.9Hz), 7.98 (1H, s), 8.05 (1H, d, J=2.2Hz), 8.20 (1H, d, J=8.8Hz), 8.88 (1H, d, J=2.2Hz).
융점: 15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18
4-부톡시-N-{8-메틸-3-[(2-메틸-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3,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49 에서 수득한 4-브로모-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00 (3H, t, J = 7.3 Hz), 1.23 (3H, d, J = 5.9 Hz), 1.38-2.28 (9H, m), 2.40-2.60 (1H, m), 2.81 (3H, s), 2.85-3.03 (1H, m), 3.38 (1H, d, J = 13.4 Hz), 4.05 (2H, t, J = 6.4 Hz), 4.20 (1H, d, J = 13.4 Hz), 7.01 (2H, d, J = 8.8 Hz), 7.71 (1H, d, J = 8.8 Hz), 7.87-7.97 (3H, m), 8.07 (1H, br), 8.25 (1H, d, J = 8.8 Hz), 8.89 (1H, d, J = 2.2 Hz).
융점: 153-156℃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19
4-부톡시-N-{8-메틸-3-[1-(1-피롤리디닐)에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3,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참조예 59 에서 수득한 N-[3-(1-클로로에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00 (3H, t, J = 7.3 Hz), 1.42-1.92 (11H, m), 2.33-2.51 (2H, m), 2.53-2.70 (2H, m), 2.81 (3H, s), 3.44 (1H, q, J = 6.6 Hz), 4.05 (2H, t, J = 6.4 Hz), 7.01 (2H, d, J = 8.8 Hz), 7.70 (1H, d, J = 8.9 Hz), 7.85-7.98 (3H, m), 8.06 (1H, d, J = 2.2 Hz), 8.24 (1H, d, J = 8.9 Hz), 8.92 (1H, d, J = 2.2 Hz).
융점: 136-139℃ (결정화 용매: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20
(+)-4'-플루오로-N-{8-메틸-3-[1-(1-피롤리디닐)에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및 (-)-4'-플루오로-N-{8-메틸-3-[1-(1-피롤리디닐)에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280 에서 수득한 4'-플루오로-N-{8-메틸-3-[1-(1-피롤리디닐)에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키랄 HPLC 를 사용하여 분리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HPLC 분리조건: 컬럼: CHIRALCEL OJ 50 mm ID´500 mm L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제조); 이동상: 헥산/에탄올 = 84/16; 유속: 60 ㎖/분; 온도: 30℃; UV 검출: 254 nm.
광학 순도 분석 조건: 컬럼: CHIRALCEL OJ 4.6 mm ID´250 mm L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제조); 이동산: 헥산/에탄올 = 85/15; 유속: 0.5 ㎖/분; 온도: 30℃; UV 검출: 254 nm; 광학 회전력 검출: Shodex 또는 -2.
(+)-4'-플루오로-N-{8-메틸-3-[1-(1-피롤리디닐)에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융점: 198-200℃ (결정화 용매: 이소프로필 에테르)
분석 조건하의 머무름 시간: 37.0 분
광학 순도: >99.9% ee
광학 회전력: 파장 470 nm, 헥산/에탄올 (85/15) 용매 중에서, (+)
(-)-4'-플루오로-N-{8-메틸-3-[1-(1-피롤리디닐)에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융점: 198-200℃ (결정화 용매:이소프로필 에테르)
분석 조건하의 머무름 시간: 48.5 분
광학 순도: 99.6% ee
광학 회전력: 파장 470 nm, 헥산/에탄올(85/15) 용매 중에서, (-)
실시예 321
4-부톡시-N-{3-[(2-이소부틸-1-피롤리디닐)메틸]-8-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3,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49 에서 수득한 4-브로모-N-[3-(클로로메틸)-8-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83-1.08 (9H, m), 1.42-2.90 (16H, m), ca.3.1 (1H, br), ca.3.5 (1H, br), 4.06 (2H, t, J = 6.4 Hz), ca.4.5 (1H, br), 7.01 (2H, d, J = 8.8 Hz), 7.76 (1H, d, J = 9.5 Hz), 7.94 (2H, d, J = 8.8 Hz), 8.05 (1H, s), 8.30 (1H, d, J = 9.2 Hz), 8.51 (1H, br), 8.90 (1H, d, J = 2.2 Hz).
융점: 193-196℃ (결정화 용매:이소프로판올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22
(+)-4-부톡시-N-{3-[(2-이소부틸-1-피롤리디닐)메틸]-8-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및 (-)-4-부톡시-N-{3-[(2-이소부틸-1-피롤리디닐)메틸]-8-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321 에서 수득한 4-부톡시-N-{3-[(2-이소부틸-1-피롤리디닐)메틸]-8-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키랄 HPLC 로 분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HPLC 분리조건: 컬럼: CHIRALCEL OJ 50 mm ID×500 mm L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제조); 이동상: 헥산/에탄올 = 92/8; 유속: 60 ㎖/분; 온도: 30℃; UV 검출, 254 nm.
광학 순도, 광학 회전력 분석 조건: 컬럼, CHIRALCEL OJ 4.6 mm ID×250 mm L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제조); 이동상: 헥산/에탄올 = 95/5; 유속, 1.0 ㎖/분; 온도: 30℃; UV 검출: 254 nm; 광학 회전력 검출: Shodex 또는 -2.
(+)-4-부톡시-N-{3-[(2-이소부틸-1-피롤리디닐)메틸]-8-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융점: 128-130℃ (결정화 용매: 이소프로필 에테르)
분석 조건하의 머무름 시간: 20.7 분
광학 순도: 99.9% ee
광학 회전력: 파장 470 nm, 헥산/에탄올 (95/5) 용매 중에서, (+)
(-)-4-부톡시-N-{3-[(2-이소부틸-1-피롤리디닐)메틸]-8-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융점: 128-130℃ (결정화 용매: 이소프로필 에테르)
분석 조건하의 머무름 시간: 25.0 분
광학 순도: 99.8% ee
광학 회전력: 파장 470 nm, 헥산/에탄올 (95/5) 용매 중에서, (-)
실시예 323
4-(시클로프로필메톡시)-N-{8-메틸-3-[1-(1-피롤리디닐)에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3,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9 에서 수득한 N-[3-(1-클로로에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34-0.45 (2H, m), 0.63-0.76 (2H, m), 1.20-1.43 (1H, m), 1.51 (3H, d, J = 6.6 Hz), 1.60-1.90 (4H, m), 2.35-2.50 (2H, m), 2.53-2.70 (2H, m), 2.81 (3H, s), 3.44 (1H, q, J = 6.6 Hz), 3.89 (2H, d, J = 7.0 Hz), 7.01 (2H, d, J = 8.9 Hz), 7.70 (1H, d, J = 7.7 Hz), 7.85-7.98 (3H, m), 8.06 (1H, d, J = 2.2 Hz), 8.24 (1H, d, J = 8.9 Hz), 8.92 (1H, d, J = 2.2 Hz).
융점: 162-164℃ (결정화 용매: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24
N-{8-메틸-3-[1-(1-피롤리디닐)에틸]-7-퀴놀리닐}-4-(2-옥소부틸)벤즈아미드
참조예 3,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59 에서 수득한 N-[3-(1-클로로에틸)-8-메틸-7-퀴놀리닐]-4'-플루오로[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08 (3H, t, J = 7.3 Hz), 1.53 (3H, d, J = 6.6 Hz), 1.60-1.92 (4H, m), 2.35-2.74 (6H, m), 2.82 (3H, s), 3.46 (1H, q, J = 6.6 Hz), 3.81 (2H, s), 7.38 (2H, d, J = 8.4 Hz), 7.71 (1H, d, J = 9.0 Hz), 7.87-8.02 (3H, m), 8.08 (1H, d, J = 2.2 Hz), 8.23 (1H, d, J = 9.0 Hz), 8.93 (1H, d, J = 2.2 Hz).
융점: 123-127℃ (결정화 용매: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25
(+)-4'-플루오로-N-{3-[(2-이소부틸-1-피롤리디닐)메틸]-8-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및 (-)-4'-플루오로-N-{3-[(2-이소부틸-1-피롤리디닐)메틸]-8-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283 에서 수득한 4'-플루오로-N-{3-[(2-이소부틸-1-피롤리디닐)메틸]-8-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를 키랄 HPLC 로 분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HPLC 분리조건: 컬럼: CHIRALCEL OJ 50 mm ID×500 mm L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제조); 이동상: 헥산/에탄올 = 90/10; 유속: 60 ㎖/분; 온도: 30℃; UV 검출: 254 nm.
광학 순도, 광학 회전력 분석 조건: 컬럼, CHIRALCEL OJ 4.6 mm ID×250 mm L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제조); 이동상: 헥산/에탄올 = 85/15; 유속: 0.5 ㎖/분; 온도: 30℃; UV 검출: 254 nm; 광학 회전력 검출: Shodex 또는 -2.
(+)-4'-플루오로-N-{3-[(2-이소부틸-1-피롤리디닐)메틸]-8-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융점: 192-194℃ (결정화 용매: 이소프로필 에테르)
분석 조건하의 머무름 시간: 22.0 분
광학 순도: >99.9% ee
광학 회전력: 파장 470 nm, 헥산/에탄올 (80/20) 용매 중에서, (+)
(-)-4'-플루오로-N-{3-[(2-이소부틸-1-피롤리디닐)메틸]-8-메틸-7-퀴놀리닐}[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융점: 192-194℃ (결정화 용매: 이소프로필 에테르)
분석 조건하의 머무름 시간: 27.9 분
광학 순도: 99.7% ee
광학 회전력: 파장 470 nm, 헥산/에탄올 (80/20) 용매 중에서, (-)
실시예 326
4'-클로로-N-(2-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7-일)[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5 에서 수득한 2-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7-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2.42 (3H, s), 2.81 (2H, t, J = 6.0 Hz), 3.10 (2H, t, J = 6.0 Hz), 3.71 (2H, s), 7.58 (2H, d, J = 8.4 Hz), 7.81-7.95 (7H, m), 8.12 (2H, d, J = 8.4 Hz), 8.47 (1H, s), 10.57 (1H, s).
FABMS(pos) 428 [M+H]+
융점: >220℃ (분해)(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27
4-브로모-2-플루오로-N-(2-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7-일)벤즈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5 에서 수득한 2-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7-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2.41 (3H, s), 2.78 (2H, t, J = 6.0 Hz), 3.09 (2H, t, J = 6.0 Hz), 3.68 (2H, s), 7.58 (1H, dd, J = 2.1, 8.4 Hz), 7.66-7.85 (4H, m), 7.94 (1H, s), 8.37 (1H, s), 10.73 (1H, s).
실시예 328
4'-클로로-3-플루오로-N-(2-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7-일)[1,1'-비페닐]-4-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65 에서 수득한 2-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7-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2.42 (3H, s), 2.80 (2H, t, J = 6.0 Hz), 3.09 (2H, t, J = 6.0 Hz), 3.70 (2H, s), 7.57 (2H, d, J = 8.7 Hz), 7.67-7.85 (7H, m), 7.94 (1H, s), 8.40 (1H, s), 10.72 (1H, s).
FABMS(pos) 446 [M+H]+
융점: >220℃ (분해)(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29
4-히드록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참조예 4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7 에서 수득한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테트라히드로푸란 (20 ㎖) 중의 상기 수득된 오일성 물질 (1.00 g, 4.14 mmol), 4-(클로로카르보닐)페닐 아세테이트 (905 ㎎, 4.56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865 ㎖, 6.22 mmol) 의 용액을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반응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칼륨 카보네이트 수용액 및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술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 농축하고, 수득된 잔류물을 알루미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용출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로 정제하였다. 테트라히드로푸란 (15 ㎖)-메탄올 (15 ㎖) 중의 수득된 고체 (1.24 g, 3.07 mmol) 의 혼합 용액에 1N 나트륨 히드록시드 수용액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수득된 잔류물을 1N 염산의 첨가에 의해 중화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물, 이소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 (631 ㎎)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73 (4H, m), 2.50 (4H, m), 2.63 (3H, s), 3.81 (2H, s), 6.88 (2H, d, J = 8.4 Hz), 7.58 (1H, d, J = 8.4 Hz), 7.78 (1H, d, J = 8.4 Hz), 7.92 (2H, d, J = 8.4 Hz), 8.19 (1H, d, J = 1.8 Hz), 8.86 (1H, d, J = 1.8 Hz), 9.93 (1H, s), 10.08 (1H, s).
실시예 330
4-({[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미노}카르보닐)페닐 프로피오네이트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329 에서 수득한 4-히드록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67 (3H, t, J = 7.5 Hz), 1.73 (4H, m), 2.50 (4H, m), 2.65 (5H, m), 3.81 (2H, s), 7.31 (2H, d, J = 8.7 Hz), 7.59 (1H, d, J = 8.4 Hz), 7.81 (1H, d, J = 8.4 Hz), 8.08 (2H, d, J = 8.7 Hz), 8.21 (1H, s), 8.88 (1H, s), 10.24 (1H, s).
FABMS(pos) 418 [M+H]+
융점: 146-14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31
4-({[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아미노}카르보닐)페닐 부티레이트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329 에서 수득한 4-히드록시-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00 (3H, t, J = 7.5 Hz), 1.71 (6H, m), 2.50 (4H, m), 2.59-2.65 (5H, m), 3.81 (2H, s), 7.30 (2H, d, J = 9.0 Hz), 7.59 (1H, d, J = 9.0 Hz), 7.81 (1H, d, J = 9.0 Hz), 8.09 (2H, d, J = 9.0 Hz), 8.21 (1H, s), 8.88 (1H, s), 10.24 (1H, s).
FABMS(pos) 432 [M+H]+
융점: 156-15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32
5-(4-클로로페닐)-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5-옥소펜탄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80 (4H, m), 2.22 (2H, m), 2.56 (6H, m), 2.73 (3H, s), 3.14 (2H, t, J=6.71 Hz) 3.79 (2H, s), 7.42 (2H, d, J=8.55 Hz) 7.46 (1H, s), 7.63 (1H, d, J=8.8Hz), 7.92 (2H, d, J=8.55 Hz) 8.02 (1H, d, J=1.95 Hz) 8.06 (1H, d, J=9.0Hz), 8.85 (1H, d, J=1.71 Hz)
융점: 173-174℃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33
5-(4-플루오로페닐)-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5-옥소펜탄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79 (4H, m), 2.23 (2H, m), 2.57 (6H, m), 2.73 (3H, s), 3.15 (2H, t, J=6.71 Hz) 3.78 (2H, s), 7.12 (2H, t, J=8.67 Hz) 7.48 (1H, s), 7.64 (1H, d, J=8.8Hz), 8.03 (4H, m), 8.85 (1H, d, J=1.95 Hz)
융점: 170-171℃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34
5-(4-플루오로페닐)-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펜탄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76 (2H, m), 1.88 (4H, m), 2.04 (3H, m), 2.50 (2H,t, J=6.7Hz), 2.67 (6H, m), 2.71 (3H, s), 3.91 (2H, s), 6.97 (2H, t, J=8.7Hz), 7.15 (1H, m), 7.24 (1H, s), 7.67 (1H, d, J=8.8Hz), 8.10 (1H, d, J=9.1Hz), 8.16 (1H, s), 8.88 (1H, d, J=1.9Hz).
융점: 137-13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35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3-옥소부틸)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82 (4H, m), 2.17 (3H, s), 2.56 (4H, m), 2.80 (3H, s), 2.81 (2H, t, J=7.1Hz), 2.99 (2H, t, J=7.3Hz), 3.81 (2H, s), 7.34 (2H, d, J=8.1Hz), 7.69 (1H, d, J=8.8Hz), 7.87 (2H, ddd, J=8.2, 2.1, 1.9Hz), 7.94 (1H, s), 8.05 (1H, d, J=2.2Hz), 8.23 (1H, d, J=8.8Hz), 8.88 (1H, d, J=2.2Hz).
융점: 106-10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36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2-옥소-2-테트라히드로푸란-2-일에틸)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82 (4H, m), 1.94 (3H, m), 2.20 (1H, m), 2.57 (4H, m), 2.81 (3H, s), 3.81 (2H, s), 3.95 (4H, m), 4.42 (1H, m), 7.37 (2H, d, J=8.3Hz), 7.70 (1H, d, J=9.0Hz), 7.91 (2H, dt, J=8.4, 1.9Hz), 7.95 (1H, s), 8.06 (1H, d, J=2.2Hz), 8.23 (1H, d, J=9.0Hz), 8.88 (1H, d, J=2.4Hz).
융점: 102℃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37
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4-(2-옥소-2-테트라히드로푸란-3-일에틸)벤즈아미드
참조예 4 및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작하고, 실시예 93 에서 수득한 4-브로모-N-[8-메틸-3-(1-피롤리디닐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를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82 (4H, m), 2.12 (2H, m), 2.57 (4H, m), 2.82 (3H, s), 3.82 (2H, s), 3.85 (6H, m), 3.88 (2H, s), 7.37 (2H, d, J=8.4Hz), 7.71 (1H, d, J=9.2Hz), 7.94 (2H, d, J=8.4Hz), 8.07 (1H, d, J=2.2Hz), 8.23 (1H, d, J=9.2Hz), 8.90 (1H, d, J=2.2Hz).
융점: 142-143℃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38
N-{8-메틸-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7-퀴놀리닐}-4-(2-옥소펜틸)벤즈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87 에서 수득한 8-메틸-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7-퀴놀린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91 (3H, t, J=7.3Hz), 1.61 (2H, m), 2.29 (3H, s), 2.48 (2H, t, J=7.3Hz), 2.51 (8H, m), 2.81 (3H, s), 3.70 (2H, s), 3.79 (2H, s), 7.36 (2H, d, J=8.1Hz), 7.70 (1H, d, J=8.8Hz), 7.92 (2H, d, J=8.1Hz), 7.94 (1H, s), 8.02 (1H, d, J=2.0Hz), 8.24 (1H, d, J=9.0Hz), 8.89 (1H, d, J=2.0Hz).
융점: 177℃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39
4-부톡시-2-플루오로-N-{8-메틸-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87 에서 수득한 8-메틸-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7-퀴놀린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00 (3H, t, J=7.3Hz), 1.52 (2H, m), 1.81 (2H, m), 2.29 (3H, s), 2.51 (8H, m), 2.82 (3H, s), 3.69 (2H, s), 4.04 (2H, t, J=6.5Hz), 6.71 (1H, dd, J=14.7, 2.2Hz), 6.85 (1H, dd, J=8.8, 2.4Hz), 7.69 (1H, d, J=8.8Hz), 8.01 (1H, d, J=2.2Hz), 8.18 (1H, m), 8.38 (1H, d, J=8.8Hz), 8.65 (1H, d, J=17.6Hz), 8.88 (1H, d, J=2.2Hz).
융점: 155℃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40
4-부톡시-N-{8-메틸-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7-퀴놀리닐}벤즈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87 에서 수득한 8-메틸-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7-퀴놀린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1.00 (3H, t, J=7.3Hz), 1.53 (2H, m), 1.82 (2H, m), 2.29 (3H, s), 2.51 (8H, m), 2.81 (3H, s), 3.69 (2H, s), 4.05 (2H, t, J=6.5Hz), 7.00 (2H, m), 7.69 (1H, d, J=8.8Hz), 7.90 (3H, m), 8.02 (1H, d, J=2.2Hz), 8.26 (1H, d, J=9.0Hz), 8.88 (1H, d, J=2.2Hz).
융점: 145℃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실시예 341
N-{8-메틸-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7-퀴놀리닐}-4-펜틸벤즈아미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참조예 87 에서 수득한 8-메틸-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7-퀴놀린아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91 (3H, m), 1.34 (4H, m), 1.66 (2H, m), 2.29 (3H, s), 2.50 (8H, m), 2.70 (2H, m), 2.81 (3H, s), 3.69 (2H, s), 7.33 (2H, d, J=8.6Hz), 7.70 (1H, d, J=8.8Hz), 7.87 (2H, m), 7.95 (1H, s), 8.02 (1H, d, J=2.2Hz), 8.27 (1H, d, J=8.8Hz), 8.89 (1H, d, J=2.2Hz).
융점: 128℃ (결정화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 이소프로필 에테르)
제형예 1
(1) 실시예 8 에서 수득한 화합물 50 ㎎
(2) 락토오스 34 ㎎
(3) 옥수수전분 10.6 ㎎
(4) 옥수수전분 (페이스트) 5 ㎎
(5)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4㎎
(6)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칼슘 20 ㎎
총 120 ㎎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상기 (1) 내지 (6) 을 혼합하고, 정제화 기계에 의해 압인하여, 정제를 수득하였다.
참조예 1-1랫트의 뇌로부터 유래된 cDNA 를 이용한, PCR 방법에 의한 랫트 SLC-1 수용체 cDNA 의 증폭
주형으로서 랫트 뇌 유래의 폴리 (A)+RNA (Clontech) 및 랜덤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역전사 반응을 수행하였다. 역전사 반응을 위해, TaKaRa RNA PCR ver. 2 키트의 시약을 사용하였다. 주형으로서 상기 역전사 산물 및 서열번호 1 및 2 의 합성 DNA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 방법에 의해서 증폭을 수행하였다. 수용체 단백질로 번역되는 영역내의 유전자가 증폭될 수 있도록 합성 DNA 프라이머를 구축하였고, 이 동안에, 제한효소 Sal I 에 의해 인식되는 염기서열이 유전자의 5' 측에 첨가되고 제한효소 Spe I 에 의해 인식되는 염기서열이 유전자의 3' 측에 부가되도록, 제한효소 Sal I 및 제한효소 Spe I 의 제한효소 인식서열을 5' 측 및 3' 측 각각에 부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조성은, cDNA 주형 5 ㎕, 각각의 합성 DNA 프라이머 0.4 μM, 0.25 mM dNTP, pfu (Stratagene) DNA 폴리머라아제 0.5 ㎕ 및 효소에 덧붙여진 완충액 (총 반응부피 50 ㎕) 였다. 증폭 사이클을 위해, Thermal Cycler (Perkins Elmer) 을 사용하였다. 94 ℃ 에서 60 초 동안 가열한 후에, 94 ℃ 에서 60 초, 60 ℃ 에서 30 초 및 72 ℃ 에서 150 초의 가열 사이클을 35 회 반복하고, 혼합물을 최종적으로 72 ℃ 에서 10 분 동안 반응시켰다. 증폭 산물을, 0.8% 아가로오스 겔 전기영동 후에, 에티듐 브로마이드 염색에 의해 확인하였다.
참조예 1-2플라스미드 벡터로의 PCR 산물의 서브클로닝, 및 삽입 cDNA 의 염기 서열의 해독에 의한 증폭된 cDNA 서열의 확인
참조예 1-1 에서 수행된 PCR 후의 반응 산물을 0.8% 저융점 아가로오스 겔을 사용하여 분리하고, 밴드를 면도날로 절단한 후, 최소화 (minimization), 페놀 추출, 페놀-클로로포름 추출 및 에탄올 침전을 수행하여, DNA 를 회수하였다. PCR-ScriptTMAmp SK(+) 클로닝 키트 (Stratagene) 의 방향에 따라, 회수된 DNA 를 플라스미드 벡터 pCR-Script Amp SK(+) 로 서브클로닝하였다. 이를Escherichia coliXL-1 Blue (Stratagene) 로 도입하여 형질전환시킨 후, cDNA 삽입부 절편을 포함하는 클론을 암피실린 및 X-gal 을 함유하는 LB 아가 배지에서 선별하고, 백색클론에 대해 무균 이쑤시게를 사용하여 분리함으로써, 형질전환체E. coliXL-1 Blue/랫트 SLC-1 를 수득하였다. 각각의 클론을 암피실린을 함유하는 LB 배지에서 하룻밤동안 배양하고, QIA prep8 mini prep (QIAGEN) 를 사용하여, 플라스미드 DNA 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DNA 의 일부를 제한효소 Sal I 및 Spe I 로 절단하여, 삽입된 수용체 cNDA 절편의 크기를 확인하였다. 염기서열 결정을 위한 반응은, DyeDeoxy Terminator Clycle Sequence 키트 (Perkins Elmer) 를 사용하여 수행하였고, 형광 자동화 DNA 서열분석기를 사용하여 해독하였다. 수득된 3 개의 클론의 서열을 분석하였고, 이의 전장 서열이 기록되어 있는 랫트 SLC-1 단백질 (서열번호 3) 을 코딩하는 cDNA 서열 (Lakaye, B. 등,Biochim. Biophys. Acta, Vol. 1401, pp. 216-220 (1998), 접근번호 AF08650), 5' 측 상에 부가된 Sal I 인식서열 및 3' 측 상에 부가된 Spe I 인식서열 (서열번호: 4)로 이루어진 유전자 서열과 동일함이 확인되었다.
참조예 1-3랫트 SLC-1 발현 CHO 세포의 제조
랫트 뇌 유래의 SLC-1 의 전장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혼입시켰고 5' 측 상에 부가된 Sal I 인식서열 및 3' 측 상에 부가된 Spe I 인식서열을 갖는 플라스미드 (이의 서열은 참조예 1-2 에서 확인되었다)로 형질전환시킨E. coli의 클론으로부터, Plasmid Midi Kit (QIAGEN) 를 사용하여 플라스미드를 제조하고, 제한효소 Sal I 및 Spe I 로 절단하여, 삽입부를 절단하였다. 삽입 DNA 는, 전기영동 후, 면도날로 아가로오스 겔로부터 절단시키고, 최소화, 페놀 추출, 페놀-클로로포름 추출 및 에탄올 침전을 적용시켜, 회수하였다. 상기 삽입 DNA 를 Sal I및 Spe I 로 절단된 동물세포 발현 벡터 플라스미드 pAKKO-111H (Hinuma, S. 등,Biochim. Biophys. Acta, Vol. 1219, pp. 251-259 (1994) 에 기재된 pAKKO1.11H 와 동일한 벡터 플라스미드) 에 부가하고, T4 라이가아제 (Takara Shuzo Co.) 를 사용하여 라이게이션시킴으로써, 단백질 발현 플라스미드 pAKKO-SLC-1 을 구축하였다.
pAKKO-SLC-1 로 형질전환된E. coliDH5 (TOYOBO) 를 배양하고, pAKKO-SLC-1 의 플라스미드 DNA 를 Plasmid Midi Kit (QIAGEN) 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이를 CHO dhfr-세포에 CellPhect Transfection Kit (Amersham Pharmacia Biotech) 를 사용하여 첨부된 프로토콜에 따라 도입시켰다. DNA (10 ㎍) 을 칼슘 포스페이트와의 공침전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24 시간 전에 5 ×105또는 1 ×106CHO dhfr-를 접종시킨 10 cm 디쉬에 첨가하였다. 세포를 10% 우태아혈청을 함유하는 MEM α배지 중에서 1일 동안 배양하고, 계대하고, 10% 투석 우태아혈청을 함유하는 무(無)-핵산 MEM α배지 (선별 배지) 중에서 배양하였다. 선별배지에서 성장하는 SLC-1 발현 CHO 세포인 형질전환된 세포 콜로니의 56 개의 클론이 선별되었다.
참조예 1-4전장 랫트 SLC-1 수용체 단백질 mRNA 의 고발현량을 갖는 CHO/SLC-1 세포주의 선별
참조예 1-3 에서 확립된 CHO/SLC-1 세포주의 56 개의 클론에 의한 전장 랫트 SLC-1 수용체 단백질 mRNA 의 발현량을, Cytostar T 플레이트 (Amersham Pharmacia Biotech) 를 사용하여 부착된 프로토콜에 따라,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CHO/SLC-1 세포주의 각각의 클론을, Cytostar T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에 2.5 ×104로 접종시키고, 24 시간 동안 배양하고, 10% 포르말린으로 고정시켰다. 세포 투과성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0.25% Triton X-100 을 각각의 웰에 첨가한 후에,35S 표지된 서열번호 5 의 리보프로브를 하이브리드형성을 위해 첨가하였다. RNase A (20 ㎎/㎖) 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여, 유리 리보프로브를 절단하였다. 플레이트를 철저하게 세척하고, 하이브리드형성된 리보프로브의 방사능을 Topcounter 상에서 측정하였다. 높은 방사능을 갖는 세포주는 더 높은 발현량의 mRNA 를 나타내었다. 높은 mRNA 발현량을 나타내는 3 개의 클론 중, 특히 클론 44 가 주로 사용되었다.
참조예 1-5인간 SLC-1 cDNA 를 함유하는 플라스미드의 분리
Genetrapper cDNA 양성 선별계 (GIBCOBRL) 에 첨부된 매뉴얼에 따라, 파지 F1 엔도뉴클레아제를 사용하여, 닉 (nick) 을 인간 태아 뇌 라이브러리로부터 유래된 cDNA (SUPERSCRIPTTMcDNA Library; GIBCOBRL) 에 삽입하고,Escherichia coli엑소뉴클레아제 III 로 절단하여, 인간 태아 뇌 유래의 단일가닥 cDNA 를 제조하였다.
말단 데옥시뉴클레오티딜 트랜스퍼라아제를 사용하여, 바이오틴-14-dCTP 를, Kolakowski Jr. 등 (Kolakowski Jr., et al (1996)FEBS Lett. Vol. 398, pp. 253-258) 의 기록에 기초하여 제조된 서열번호 6 의 합성 올리코뉴클레오타이드 (접근번호 U71092 의 1434-1451 에 상응함)의 3' 말단에 첨가함으로써, 바이오틴화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제조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조성 및 반응 시간은 매뉴얼에 따른다.
인간 태아 뇌 유래의 단일가닥 cDNA 라이브러리 (4 ㎍) 를 95℃ 에서 1 분간 유지시키고, 얼음 상에서 빠르게 냉각시켰다. 바이오틴화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20 ng)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동봉된 하이브리드형성 완충액 중에서 37℃ 에서 1 시간 동안 하이브리드형성시켰다. 스트렙타비딘 비드를 첨가하고, 바이오틴화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에 하이브리드형성된 인간 태아 뇌 유래의 단일가닥 cDNA 를 MAGNA-SEP Magnetic Particle Separator (GIBCOBRL) 를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Kolakowski Jr. 등 (Kolakowski Jr., 등 (1996)FEBS Lett. Vol. 398, pp. 253-258) 의 기록에 따라 제조된 서열번호 7 의 합성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50 ng, 접근번호 U71092 의 1011-1028 에 상응함) 를 프라이머로서 사용하여, 상보 측를 매뉴얼에 따라 합성함으로써, 이중가닥 플라스미드를 수득하였다.
참조예 1-6분리된 인간 SLC-1 cDNA 를 함유하는 플라스미드의 염기서열 결정.
참조예 1-5 에서 수득한 플라스미드를 ELECTROMAXTMDH10BTM세포로 전기천공법에 의해 도입하여, 형질전환을 수행한 후, cDNA 삽입부 절편을 함유하는 클론을 암피실린 및 X-gal 를 함유하는 LB 아가 배지 중에서 선별하고, 백색 클론에 대해 무균 이쑤시게를 사용하여 분리하여, 형질전환체E. coliDH10B/hSLC-1 를 수득하였다. 각각의 클론을 암피실린을 함유하는 LB 배지에서 하룻밤동안 배양하고, QIA prep8 mini prep (QIAGEN) 를 사용하여, 플라스미드 DNA 를 정제하였다. 염기서열 결정을 위한 반응은 DyeDeoxy Terminator Cycle Sequence Kit (PerkinsElmer) 를 사용하여 수행하고, 형광 자동화 DNA 서열분석기를 사용하여 해독하였다. 결과로서, 서열번호 8 에 나타낸 서열이 수득되었다. 수득된 염기서열에 의해 코딩되는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9) 은, 인간 SLC-1 의 서열을 함유하는 인간 크로모좀 DNA 서열 (접근 번호 Z86090) 에 기초한 랫트 SLC-1 로부터 유추된 서열로서 인간 SLC-1 아미노산 서열과는 상이하고, Lakaye 등 (Lakaye, B. 등 (1998)Biochem. Biophys. Acta, vol. 1401, pp. 216-220) 에 의한 보고에 의하면, mRNA 상의 개시코돈 ATG 의 존재는 상기 유추된 서열의 69 및 64 아미노산 앞쪽 상류에서 나타난다. 상기 서열을 코딩하는 플라스미드를 사용하여 수득된 형질전환체Escherichia coliDH10B/phSLC1L8 는 IFO 에 기탁하였다.
참조예 1-7인간 태아 뇌 유래의 cDNA 를 사용하는 PCR 방법에 의한 인간 SLC-1 cDNA 의 증폭
주형으로서 유전자-포획법에 의해서 클로닝된 인간 SLC-1 DNA 서열을 함유하는 플라스미드, 서열번호 10 및 11 의 합성 DNA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12 및 13 의 합성 DNA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증폭을 PCR 방법에 의해서 수행하였다. 전자의 증폭된 DNA 는 인간 SLC-1(S) 로 명명하고, 후자의 증폭된 DNA 를 인간 SLC-1(L) 로 명명하였다. 합성 DNA 프라이머를, 수용체 단백질로 번역되는 영역의 유전자가 증폭되도록 구축하였고, 증폭 동안에, 제한효소 Sal I 에 의해 인식되는 염기서열이 유전자의 5' 측에 부가되고 제한효소 Spe I 에 의해 인식되는 염기서열이 유전자의 3' 측에 부가되도록, 제한효소 Sal I 및 제한효소 Spe I 의 제한효소 인식서열이 5' 측 및 3' 측에 각각 부가되었다. 인간 SLC-1(S) 증폭을 위한 반응 혼합물의 조성은, 인간 SLC-1 DNA 서열을 포함하는 플라스미드 주형 (5 ㎕), 각각의 합성 DNA 프라이머 (0.4 μM), dNTP(0.2 mM), pfu DNA 폴리머라아제 (0.5 ㎕) 및 효소에 덧붙여진 완충액 (총 반응부피: 50 ㎕) 이었다. 증폭 사이클을 위해, Thermal Cycler (Perkins Elmer) 가 사용되었다. 94℃ 에서 60 초의 가열 후에, 94℃ 에서 60 초, 57℃ 에서 60 초 및 72℃ 에서 150 초의 가열 사이클을 25 회 반복하고, 혼합물을 최종적으로 72℃ 에서 10 분 동안 배양하였다. 인간 SLC-1(L) 증폭을 위한 반응 혼합물의 조성은, 인간 SLC-1 DNA 서열을 포함하는 플라스미드 주형 (5 ㎕), 각각의 합성 DNA 프라이머 (0.4 μM), dNTP (0.2 mM), pfu DNA 폴리머라아제 (0.5 ㎕) 및 효소에 덧붙여진 완충액 (총 반응부피: 50 ㎕) 이었다. 증폭 사이클을 위해, Thermal Cycler (Perkins Elmer) 가 사용되었다. 94℃ 에서 60 초의 가열 후에, 94℃ 에서 60 초, 60℃ 에서 60 초 및 72℃ 에서 3 분의 가열 사이클을 25 회 반복하고, 혼합물을 최종적으로 72℃ 에서 10 분 동안 배양하였다. 증폭된 산물을 0.8% 아가로오스 겔 전기영동 후에 에티듐 브로마이드 염색으로 확인하였다.
참조예 1-8플라스미드 벡터로의 PCR 산물의 서브클로닝 및 삽입 cDNA 의 염기서열의 해독에 의한 증폭된 cDNA 서열의 확인
참조예 1-7 에서 수행된 PCR 후의 반응 산물을 저융점 아가로오스 겔을 사용하여 분리하고, 밴드 영역을 면도날로 절단하고, 최소화, 페놀 추출, 페놀-클로로포름 추출 및 에탄올 침전을 수행하여 DNA 를 회수하였다. PCR-ScriptTMAmp SK(+) 클로닝 키트 (Stratagene) 의 방향에 따라, 회수된 DNA 를 플라스미드 벡터 pCR-Script Amp SK(+) 로 서브클로닝하였다. 이를Escherichia coliDH5 α적합 세포 (TOYOBO) 로 도입하여, 형질전환시킨 후, cDNA 삽입 절편을 포함하는 클론을 암피실린 및 X-gal 을 포함하는 LB 아가 배지에서 선별하고, 백색 클론에 대해 무균 이쑤시게를 사용하여 분리하여, 형질전환체 인간 SLC-1(S) 의E. coliDH5 α/hSLC-1(S) 및 형질전환체 인간 SLC-1(L) 의E. coliDH5 α/hSLC-1(L) 를 수득하였다. 각각의 클론을 암피실린을 함유하는 LB 배지에서 하룻밤동안 배양하고, QIA prep8 mini prep (QIAGEN) 을 사용하여, 플라스미드 DNA 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DNA 의 일부를 제한효소 Sal I 및 Spe I 로 절단하여, 삽입된 수용체 cDNA 절편의 크기를 확인하였다. 염기서열 결정을 위한 반응은 DyeDeoxy Terminator Cycle Sequence Kit (Perkins Elmer) 를 사용하여 수행하였고, 형광 자동화 DNA 서열분석기를 사용하여 해독하였다. 수득된 클론의 서열은, 인간 SLC-1 유전자를 주형으로서 사용하면서, 서열번호 10 및 11 의 합성 DNA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증폭된 DNA 서열 (서열번호 14), 및 서열번호 12 및 13 의 합성 DNA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증폭된 DNA 서열 (서열번호 15) 과 동일하였다.
참조예 1-9인간 SLC-1(S) 발현 CHO 세포 및 인간 SLC-1(L) 발현 CHO 세포의 제조
인간 SLC-1(S) 및 인간 SLC-1(L) 를 혼입시킨 플라스미드 (이의 서열은 참조예 1-8 에서 확인되었다) 로 형질전환된E. coli의 클론으로부터, 플라스미드를 Plasmid Midi Kit (QIAGEN) 를 사용하여 제조하고, 제한효소 Sal I 및 Spe I 로 절단하여, 삽입부를 절단하였다. 삽입 DNA 를, 전기영동 후 면도날로 아가로오스 겔로부터 절단한 후, 최소화, 페놀 추출, 페놀-클로로포름 추출 및 에탄올 침전을 적용하여 회수하였다. 상기 삽입부 DNA 를, Sal I 및 Spe I 에 의해 절단된 동물세포 발현벡터 플라스미드 pAKKO-111H (Hinuma, S. 등Biochim. Biophys. Acta, Vol. 1219, pp. 251-259 (1994)에 기재된 pAKKO1.11H 와 동일한 벡터 플라스미드) 에 부가하고, T4 라이가아제 (Takara Shuzo Co.) 를 사용하여 라이게이션시켜, 단백질 발현 플라스미드 pAKKO-hSLC-1(S) 및 PAKKO-hSLC-1(L) 를 각각 구축하였다.
pAKKO-hSLC-1(S) 및 pAKKO-hSLC-1(L) 로 형질전환시킨E. coliDH5 α (TOYOBO) 를 배양하고, Plasmid Midi Kit (QIAGEN) 를 사용하여, pAKKO-hSLC-1(S) 및 pAKKO-hSLC-1(L) 의 플라스미드 DNA 를 제조하였다. 이들을 CHO dhfr-세포로 CellPhect Transfection Kit (Amersham Pharmacia Biotech) 를 사용하여 첨부된 프로토콜에 따라 도입하였다. DNA (10 ㎍) 를 칼슘 포스페이트와의 공침전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24 시간 전에 5 ×105또는 1 ×106CHO dhfr-세포를 접종시킨 10 cm 디쉬에 첨가하였다. 세포를 10% 우태아혈청을 함유한 MEM α배지에서 1 일 동안 배양하고, 계대하고, 10% 투석 우태아혈청을 함유한 무-핵산 MEM α배지 (선별 배지) 에서 배양하였다. 인간 SLC-1(S) 유전자가 도입된 CHO 세포인 형질전환된 세포 콜로니 중 56 개의 클론, 및 인간 SLC-1(L) 유전자가 도입된 CHO 세포인 형질전환된 세포 콜로니 중 61 개의 클론을, 선별 배지에서 성장시켜 선별하였다.
참조예 1-10인간 SLC-1(S) mRNA 및 인간 SLC-1(L) mRNA 의 고발현량을 갖는 유전자 도입된 세포주의 선별
참조예 1-9 에서 확립된 CHO/hSLC-1(S) 세포주의 56 개의 클론 및 CHO/hSLC-1(L) 세포주의 61 개의 클론의 mRNA 의 발현량을, Cytostar T 플레이트 (Amersham Pharmacia Biotech) 를 사용하여, 첨부된 프로토콜에 따라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CHO/hSLC-1(S) 세포주 및 CHO/hSLC-1(L) 세포주의 각각의 클론을 Cytostar T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에 2.5 ×104로 접종하고, 24 시간 동안 배양하고, 10% 포르말린으로 고정시켰다. 세포의 투과성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0.25% Triton X-100 를 각각의 웰에 첨가한 후,35S 표지된 서열번호 16 의 리브프로브를 하이브리드형성을 위해 첨가하였다. RNase A (20 ㎎/㎖) 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여, 유리 리보프로브를 절단하였다. 플레이트를 철저하게 세척하고, 하이브리드형성된 리보프로브의 방사능을 Topcounter 상에서 측정하였다. 높은 방사능을 갖는 세포주는, 더 높은 mRNA 발현량을 나타내었다. 높은 mRNA 발현량을 나타내는 7 개의 클론 중, 특히 클론 57 이 주로 사용되었다.
실험예 1GTP γS 결합 검사를 사용한 시험 화합물의 길항 활성의 측정
참조예 1-10 에서 수득한 인간 SLC-1 발현 CHO 세포 클론 57 및 참조예 1-4 에서 수득한 랫트 SLC-1 발현 CHO 세포 클론 44 를 사용하여, 하기의 방법에 의해 막 분획을 제조하였다. 5 mM EDTA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를 보충한 포스페이트 완충된 식염수 (pH 7.4) 에 인간 및 랫트 SLC-1 발현 CHO 세포 (1 ×108) 를현탁하고, 원심분리하였다. 균질화 완충액 (10 ㎖, 10 mM NaHCO3, 5 mM EDTA, pH 7.5) 를 세포 펠렛에 첨가하고, Polytron Homogeniser 를 사용하여, 혼합물을 균질화시켰다. 400 ×g 에서 15 분간 원심분리한 후 수득된 상청액을 100,000 ×g 에서 1 시간 동안 추가로 원심분리하여, 막 분획의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침전물을 2 ㎖ 의 검사 완충액 [50 mM 트리스-HCl (pH 7.5), 1 mM EDTA, 0.1% BSA (우태아혈청 알부민), 10 mM MgCl2, 100 mM NaCl, 1 mM GDP (구아노신 5'-디포스페이트), 0.25 mM PMSF (페닐메틸술포닐플루오라이드), 1 ㎎/㎖ 펩스타틴, 20 ㎎/㎖ 루펩틴, 10 ㎎/㎖ 포스포라미돈] 에 현탁하고, 100,000 ×g 에서 1 시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침전물로서 회수된 막 분획을 20 ㎖ 의 검사 완충액 중에 다시 현탁하고, 분산 후 -80℃ 에서 보존하고, 사용할때마다 녹여서 사용하였다.
시험 화합물의 길항 활성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검사 완충액으로 희석한 SLC-1 발현 CHO 세포막 분획 (171 ㎕)을 폴리프로필렌 96웰 플레이트에 분산하고, DMSO 용액으로 희석한 3 ×10-10M MCH (2 ㎕), 각종 농도로 희석한 시험 화합물 용액 (2 ㎕) 및 [35S]-구아노신 5'-(γ-티오)트리포스페이트 (25 ㎕, Daiichi Pure Chemicals Co., Ltd.) 를 각각 첨가하였다 (세포막의 최종농도: 20 ㎍/㎖, [35S]-구아노신 5'-(Υ-티오)트리포스페이트 최종농도: 0.33 nM). 반응 혼합물을 25℃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키고, 유리 필터 (GF-C) 로 흡인여과하고, 세척 용액 (300 ㎕, 50 mM 트리스-HCl 완충액, pH 7.5) 으로 3회 세척하였다.액체 신틸레이터 (50 ㎖) 를 유리 필터에 첨가하고, 잔류 방사능을 액체 신틸레이터 계수기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합 저해성 (%) = (화합물 및 MCH 첨가시의 방사능 - DMSO 용액 첨가시의 방사능)/(MCH 첨가시의 방사능 - DMSO 용액 첨가시의 방사능) ×100
결합 저해성 (%) 으로부터, 화합물의 IC50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에 나타낸다.
| 화합물 번호 |
저해활성 (IC50: nM) |
| 실시예 8 |
6 |
실험예 2강요된 수영 시험에 의한 항울병 활성의 평가
SD (Sprague Dawley) 랫트 (7 주령 수컷, 체중 233.3 내지 266.9 g, Japan Clea 로부터 구입) 를 사용하여 강요된 수영 시험을 수행시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항울병 활성을 평가하였다.
우선, 실시예 19 의 화합물의 0.5% 메틸 셀룰로오스 중의 현탁액을 SD 랫트 (n=10) 에 경구투여하였다 (화합물 투약량: 3 ㎎/kg 체중). 30 분 후에, 랫트를, 탭(tap) 물 (물 온도 25 ±2℃, 30cm 깊이) 을 포함하는 Plexiglass (상품명, Rohm & Haas, U.S.A. 제조) 로 구성된 파이프 (직경 21 cm, 높이 50 cm)에 위치시켰다. 이어서, 5 분 동안의 랫트의 부동(immobility) 시간을,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화합물이 없는 0.5% 메틸 셀룰로오스 현탁액을 SD 랫트 (n=10) 에 경구투여하고, 랫트에 강화된 수영 시험을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시키고, 대조군으로 하였다.
결과로서, 화합물 투여군 및 대조군의 랫트의 부동 시간 (초, 평균 ± 표준편차) 는 각각 15.93 ±5.62 및 30.86 ±8.71 이었고, 부동 시간은 화합물 투여군에서 단축되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이 우수한 항울병 활성을 가짐이 명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