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58922A - Prismatic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Prismatic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8922A
KR20040058922A KR1020020085440A KR20020085440A KR20040058922A KR 20040058922 A KR20040058922 A KR 20040058922A KR 1020020085440 A KR1020020085440 A KR 1020020085440A KR 20020085440 A KR20020085440 A KR 20020085440A KR 20040058922 A KR20040058922 A KR 20040058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lithium secondary
secondary battery
plate
battery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54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장호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5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8922A/en
Publication of KR20040058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8922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PURPOSE: A prismatic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provided, to prevent the shrinkage of a separator due to abnormal high temperature and to prevent the shortage of the electrode plate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of a battery. CONSTITUTION: The prismatic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es a battery part(22) which comprises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plac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 can which provides the space receiving the battery part; a cap assembly which is combin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n, and comprises a cap plate having an electrolyte solution input hole(31b) and an electrode terminal set through the terminal hole formed in the cap plate and having a gasket for the insulation with the cap plate; and an electrical insulation case(30) which is set on the battery part and has a space part receiving the upper outer face of the battery part. Preferably the electrical insulation case(30) comprises a plated body(31) part which has a lead hole(31a) drawing any one electrode lead(27) drawn from the electrode plate, and a bridge part(33) which is extended downward from the bottom edge of the body part and has a space part where the upper outer face of the battery part can be inserted.

Description

각형 리튬 이차 전지{Prismatic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Square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Prismatic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각형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캡 조립체와 전지부를 상호 절연시키는 절연 케이스의 구조가 개선된 각형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tangula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ctangular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of an insulating case which mutually insulates a cap assembly and a battery unit.

통상적으로,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셀룰라 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등의 첨단 전자 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 이상으로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수소 전지보다 3배나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급속하게 신장되고 있는 추세이다.In general, a secondary battery refers to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not be charged, and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advanced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cellular phone, a notebook computer, and a camcorder. In particular,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an operating voltage of 3.6 V or more, which is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a nickel-cadmium battery or a nickel-hydrogen battery, which is widely used as a power sour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is rapidly expanded in terms of high energy density per unit weight. There is a trend.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양극 활물질로 리튬계 산화물, 음극 활물질로는 탄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 전지와, 고분자 전해질 전지로 분류되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이온 전지라 하고,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폴리머 전지라고 한다.Lithium secondary batteries mainly use lithium-based oxides as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and carbon materials as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In general, a battery is classified into a liquid electrolyte battery and a polymer electrolyte battery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rolyte, and a battery using a liquid electrolyte is called a lithium ion battery, and a battery using a polymer electrolyte is called a lithium polymer battery.

또한, 리튬 이차 전지는 여러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과, 각형과, 파우치형을 들 수 있다.Moreover, although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 typical shape is cylindrical shape, square shape, and pouch typ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각형 리튬 이차 전지(10)는 캔(11)과, 상기 캔(11)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지부(12)와, 상기 캔(11)에 결합되는 캡 조립체(1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ventional rectangular lithium secondary battery 10 includes a can 11, a battery unit 12 accommodated in the can 11, and a cap assembly coupled to the can 11. 100).

상기 캔(11)은 금속재로 된 각형의 케이스이다. 상기 전지부(12)는 양극판(13)과, 세퍼레이터(14)와, 음극판(15)이 젤리-롤형(jelly-roll type)으로 감겨져 있으며, 상기 캔(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양극 및 음극판(13)(14)으로부터 양극 및 음극 리드(16)(17)가 각각 인출되어 있다.The can 11 is a rectangular case made of metal. In the battery unit 12,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3, the separator 14,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5 are wound in a jelly-roll type, and are inserted into the can 11. The positive and negative lead 16 and 17 are drawn out from 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13 and 14, respectively.

상기 캡 조립체(100)는 상기 캔(11)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110)와, 상기 캡 플레이트(110)에 가스켓(120)을 매개로 하여 삽입되는 전극 단자(130)와, 상기 캡 플레이트(110)의 아랫면에 설치되는 절연 플레이트(140)와, 상기 절연 플레이트(140)의 아랫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 단자(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플레이트(150)를 포함하고 있다.The cap assembly 100 includes a cap plate 110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an 11, an electrode terminal 130 inserted into the cap plate 110 via a gasket 120, and the cap. Insulation plate 14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110, and the terminal plate 15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ulating plate 14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130.

상기 캡 플레이트(140)에는 캔(11) 내부로 전해액이 주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전해액 주입공(1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해액 주입공(111)에는 볼(160)이 밀폐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The cap plate 140 is formed with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111 that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can 11, and the ball 160 is coupled to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111 so as to be hermetically sealed. have.

이때, 상기 양극 리드(16)는 상기 캡 플레이트(110)의 저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음극 리드(17)는 상기 단자 플레이트(150)를 통하여 전극 단자(130)와 접속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positive lead 16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plate 110, and the negative lead 17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130 through the terminal plate 150.

한편, 상기 캔(11)의 내부에는 상기 전지부(12)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전지부(12)와, 캡 조립체(100)와의 절연을 위한 절연 케이스(19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연 케이스(190)에는 전극 리드(17)가 인출되는 리드공(191)과, 전해액이 유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전해액 유입공(192)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n 11 is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unit 12, an insulating case 190 for insulating the battery unit 12 and the cap assembly 100 is provided. The insulation case 190 has a lead hole 191 through which the electrode lead 17 is drawn out, and an electrolyte inlet hole 192 that provides a path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flows.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각형 리튬 이차 전지(10)는 캔(11)의 내부에 젤리-롤형의 전지부(12)를 삽입하고, 상기 전지부(12)의 윗면에 절연 케이스(190)를 안착시킨다. 상기 전지부(12)로부터 인출된 양극 리드(16)와, 음극 리드(17)는 캡 플레이트(110)의 저면과, 전극 단자(130)에 각각 용접하게 된다.In the rectangular lithium secondary battery 10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the jelly-roll battery part 12 is inserted into the can 11, and the insulating case 190 is se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attery part 12. Let's do it. The positive lead 16 and the negative lead 17 drawn from the battery unit 12 are wel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plate 110 and the electrode terminal 130, respectively.

다음으로, 상기 캔(11)에 대하여 캡 조립체(100)를 용접하고, 전해액 주입공(111)을 통하여 전해액을 주입하게 된다. 상기 전해액 주입공(111)은 볼(160)로서 밀폐하게 된다.Next, the cap assembly 100 is welded to the can 11, and the electrolyte is injected through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111.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111 is sealed as the ball 160.

그런데, 종래의 각형 리튬 이차 전지(1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rectangular lithium secondary battery 10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세퍼레이터(14)는 양극판(13)과 음극판(15)의 절연을 위하여 개재되는데, 대략 120℃ 이상의 고온에서 취약하다. 따라서, 전지(10)의 이상으로 인하여 내부 온도가 120℃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상기 세퍼레이터(14)는 열적 변형을 하게 되어서 수축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수축 현상은 극성을 달리하는 양극판(13)과 음극판(15)의 전기적 단락을 유도하게 되고, 결국에는 전지(10)의 안전성에 치명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The separator 14 is interposed to insulate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3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5, and is vulnerable at a high temperature of about 120 ° C. or higher. Therefore,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rises to 120 ° C. or more due to the abnormality of the battery 10, the separator 14 is thermally deformed to cause shrinkage. This shrinkage phenomenon leads to electrical short-circuits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3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5 with different polarities, which may be fatal to the safety of the battery 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캔과 캡 조립체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 케이스가 전지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되어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각형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tructure is improved so that the insulating case interposed between the can and the cap assembly to protect the battery unit to provide a rectangular lithium secondary battery that improves the safety of the battery. have.

도 1은 종래의 각형 리튬 이차 전지를 일부 절제 도시한 단면도,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rectangular lithium secondary batter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형 리튬 이차 전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ctangular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절연 케이스와 전지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ulating case and the battery unit of FIG. 2;

도 4는 도 3의 절연 케이스에 전지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unit is coupled to the insulating case of FIG. 3;

도 5는 도 2의 각형 리튬 이차 전지를 일부 절제 도시한 단면도.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showing the rectangular lithium secondary battery of FIG. 2;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리튬이차전지 21...캔20 ...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21 ... can

22...전지부 23...양극판22 Battery ... 23 Anode plate

24..세퍼레이터 25...음극판24.Separator 25 ... cathode plate

26...양극 리드 27...음극 리드26 ... anode lead 27 ... anode lead

30...절연 케이스 31...본체부30.Insulation case 31.Main unit

31a...리드공 31b...전해액 유입공31a ... Lead hole 31b ... Electrolyte inlet hole

32...벽부 33...브릿지부32.Wall 33.Bridge

200...캡 조립체 210...캡 플레이트200 ... cap assembly 210 ... cap plate

220...가스켓 230...전극 단자220 ... gasket 230 ... electrode terminal

240...절연 플레이트 250...단자 플레이트240 ... insulation plate 250 ... terminal pla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각형 리튬 이차 전지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ectangular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양극판과, 음극판과, 그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가 배치된 전지부;A battery unit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re disposed;

상기 전지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캔;A can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battery unit is accommodated;

상기 캔의 상부에 결합되며, 전해액 주입공이 형성된 캡 플레이트와, 상기 캡 플레이트에 형성된 단자 통공을 통하여 설치되며 그 외면에 상기 캡 플레이트와의 절연을 위하여 가스켓이 개재된 전극 단자를 가지는 캡 조립체; 및A cap assem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n and having a cap plate having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formed therein, and an electrode terminal having a gasket interposed therebetween for insulating the cap plate on an outer surface thereof through a terminal through hole formed in the cap plate; And

상기 전지부상에 설치되며, 상기 전지부의 상단부 외면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절연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insulating case installed on the battery unit and having a space part configured to receive an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unit.

또한, 상기 절연 케이스는 상기 전극판으로부터 인출된 어느 한 전극 리드가 인출되는 리드공이 형성된 평판형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저면 가장자리로부터 아랫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그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전지부의 상단부 외면이 삽입가능한 브릿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case may include a flat body portion having a lead hole through which one of the electrode leads drawn out from the electrode plate is formed, and a space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ttom edg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body portion downward to a space formed therei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ridg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게다가,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캔에 대하여 전지부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캔과 전지부의 상단부 외면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ridge portion is interposed between the ca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portion to set the position of the battery portion relative to the can.

더욱이, 상기 본체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tegrally from the main body portion.

나아가, 상기 절연 케이스는 상기 세퍼레이터보다 융점 온도가 높은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polymer material having a higher melting point temperature than the separator.

아울러,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는 상기 리드공을 통하여 전지부로부터 상방으로 인출된 전극 리드가 상기 캔의 내벽에 접촉하지 않도록 소정 높이의 벽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ll portion of a predetermined height is further formed so that the electrode lead drawn upward from the battery portion through the lead hole does not contact the inner wall of the ca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형 리튬 이차 전지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 rectangular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형 리튬 이차 전지(20)를 도시한 것이다.2 illustrates a rectangular lithium secondary battery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각형 리튬 이차 전지(20)는 캔(21)과, 상기 캔(21)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지부(22)와, 상기 캔(21)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 조립체(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rismatic lithium secondary battery 20 may include a can 21, a battery unit 22 accommodated in the can 21, and a cap assem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n 21. 200).

상기 캔(21)은 중공이 형성된 각형의 금속재이다. 상기 캔(21)은 그 자체가 단자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an 21 is a rectangular metal material in which a hollow is formed. The can 21 itself may serve as a terminal.

상기 전지부(22)는 양극판(23)과, 음극판(25)과, 세퍼레이터(2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양극 및 음극판(23)(25)과, 세퍼레이터(24)는 각각 한장의 스트립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지부(22)는 양극판(23), 세퍼레이터(24), 음극판(25), 세퍼레이터(24) 순으로 배치되어서, 젤리-롤형으로 감겨져 있다.The battery unit 22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plate 23, a negative electrode plate 25, and a separator 24. 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23 and 25 and the separator 24 each consist of one strip. The battery unit 22 is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23, the separator 24,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25, and the separator 24, and is wound in a jelly-roll shape.

상기 양극판(23)은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 박판, 예컨대 알루미늄 호일로 된 양극 집전체와, 그 양면에 코팅된 리튬계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코팅되는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한다. 상기 양극판(23)에는 양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양극 집전체의 영역에 양극 리드(26)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양극 리드(26)의 단부는 상기 전지부(22)의 상단부 위로 인출되어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plate 23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de of a thin metal plate, for example, aluminum foil having excellent conductivity, and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oated mainly on lithium-based oxides coated on both surfaces thereof. The positive electrode lead 2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reg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not formed. An end of the positive electrode lead 26 is drawn out over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unit 22.

상기 음극판(25)은 전도성의 금속 박판, 이를테면 구리 호일로 된 음극 집전체와, 그 양면에 코팅된 탄소재를 주성분으로 하여 코팅되는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한다. 상기 음극판(25)으로부터도 음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음극 집전체의 영역에 음극 리드(27)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음극 리드(27)의 단부도 상기 전지부(22)의 상단부 위로 인출되어 있다.The negative electrode plate 25 includes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de of a conductive metal plate, such as a copper foil,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oated mainly on a carbon material coated on both surfaces thereof. The negative electrode lead 27 is connected to the area | reg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in which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was not formed also from the said negative electrode plate 25. As shown in FIG. An end of the negative electrode lead 27 is also drawn out over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unit 22.

이때, 상기 양극 및 음극 리드(26)(27)는 극성을 달리하여 배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양극 및 음극 리드(26)(27)가 전지부(22)로부터 인출되는 부분에는 극판(23)(25)간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 테이프(28)가 감겨져 있다.In this case, the positive electrode and negative electrode leads 26 and 27 may be disposed with different polarities, and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23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leads 26 and 27 may be drawn out from the battery unit 22. Insulating tape 28 is wound to prevent short circuit between the terminals.

상기 세퍼레이터(24)는 폴리 에틸렌이나, 폴리 프로필렌이나, 폴리 에틸렌과 폴리 프로필렌의 복합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24)는 상기 양극판(23)과 음극판(25)보다 폭을 넓게 하여 형성하는 것이 극판(23)(25)간의 단락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고 할 것이다.The separator 24 is made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or a composite film of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The separator 24 may be formed to be wider tha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23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25 to prevent short circuits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23 and 25.

상기 캡 조립체(200)에는 상기 캔(21)의 입구와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평판형의 캡 플레이트(21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210)의 중앙에는 단자 통공(2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21)의 일측에는 전해액 주입공(212)이 형성되어 있다.The cap assembly 200 is provided with a flat cap plate 210 having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let of the can 21. A terminal through-hole 21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ap plate 210.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21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ap plate 21.

상기 단자 통공(211)에는 전극 단자(230)가 삽입가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전극 단자(230)의 외면에는 이와 캡 플레이트(210)와의 절연을 위하여 튜브 형상의 가스켓(2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210)의 아랫면에는 절연 플레이트(2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연 플레이트(240)의 아랫면에는 단자 플레이트(250)가 설치되어 있다.The electrode terminal 230 may be inserted into the terminal through hole 211.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terminal 230 is provided with a tube-shaped gasket 220 to insulate it from the cap plate 210. An insulating plate 240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plate 210. The terminal plate 25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ng plate 240.

상기 전극 단자(230)는 가스켓(220)이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단자 통공(211)을 통하여 삽입되어 있다. 상기 전극 단자(230)의 저면부는 절연 플레이트(240)를 개재한 상태에서 단자 플레이트(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electrode terminal 230 is inserted through the terminal through hole 211 in a state in which the gasket 220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bottom por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2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plate 250 with the insulating plate 240 interposed therebetween.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지부(22)의 상면에는 상기 전지부(22)와 캡 조립체(200)와의 전기적 절연을 위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전지부(22)의 상단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절연 케이스(30)가 마련된데에 있다. 상기 절연 케이스(30)는 절연성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이며, 폴리 프로필렌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unit 22 for electrical insulation between the battery unit 22 and the cap assembly 200, and at the same time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unit 22 An insulating case 30 is provided. The insulating case 30 is a polymer resin having insulating properties, and preferably made of polypropylene.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3은 도 2의 전지부(22)와 절연 케이스(30)를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의 절연 케이스(30)에 전지부(22)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3 illustrates the battery unit 22 and the insulating case 30 of FIG. 2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FIG. 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unit 22 is coupled to the insulating case 30 of FIG. 3.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절연 케이스(30)는 상기 캔(21) 내부에 삽입가능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절연 케이스(30)는 본체부(31)와, 상기 본체부(3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벽부(32)와, 상기 본체부(3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브릿지부(33)를 포함한다.3 and 4, the insulating case 30 has a size and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can 21. The insulating case 30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31, a wall portion 32 extending upward from the main body portion 31, and a bridge portion 3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main body portion 31. .

상기 본체부(31)는 직육면체 형상이며, 중앙에 상기 음극 리드(27)가 인출될 수 있는 리드공(3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31)의 일측에는 전해액이 전지부(22)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전해액 유입공(31b)이 형성되어 있다.The main body 31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lead hole 31a through which the negative electrode lead 27 can be drawn out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One side of the main body 31 is formed with an electrolyte inlet hole 31b that provides a path for the electrolyte to flow into the battery unit 22.

상기 본체부(31)의 상부면 가장자리로는 벽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31)의 단변부 가장자리로부터는 상방으로 소정 높이 연장되는 단변 벽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변 벽부(32a)는 단변부로부터 이와 인접한 장변부의 적정 영역까지 연장되어 있다.The wall portion 32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31. The short side wall part 32a which extends predetermined height upward from the edge of the short side part of the said main-body part 31 is formed. The short side wall portion 32a extends from the short side portion to an appropriate region of the long side portion adjacent thereto.

그리고, 상기 본체부(31)의 장변부 양 가장자리에도 상방으로 소정 높이 연장되는 장변 벽부(3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변 벽부(32b)는 상기 리드공(31a)이 위치한 부분과 대응되는 장변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장변 벽부(32b)는 상기 리드공(31a)을 통하여 인출되는 음극 리드(27)가 전지의 공간부를 줄이기 위하여 S자형으로 벤딩시 극성을 달리하는 캔(21)의 내벽과 접촉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장벽 벽부(32b)는 단변 벽부(32a)와 동일한 높이이다.Further, long side wall portions 32b extending upwards by a predetermined height are formed on both edges of the long side portions of the main body portion 31. The long side wall portion 32b is located at the edge of the long sid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where the lead hole 31a is located. The long side wall portion 32b blocks the negative lead 27 drawn out through the lead hole 31a from contacting the inner wall of the can 21 having different polarities when bending in an S-shape in order to reduce the space of the battery. Play a role. This barrier wall portion 32b is flush with the short side wall portion 32a.

상기 본체부(31)의 저면 가장자리로는 브릿지부(33)가 연장되어 있다. 상기 브릿지부(33)는 상기 본체부(31)의 저면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있다.The bridge portion 33 extends to the bottom edge of the main body portion 31. The bridge portion 33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from an edg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31.

상기 본체부(31) 저면의 단변부 가장자리로부터는 단변 브릿지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변 브릿지부(33a)는 대향되는 본체부(31)의 단변부에 공히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ort side bridge part 33a is formed from the edge of the short side part of the bottom face of the said main body part 31.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short side bridge part 33a is formed in the short side part of the main body part 31 which opposes.

또한, 상기 본체부(31) 저면의 장변부 가장자리로부터 장변 브릿지부(33b)가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변 브릿지부(33b)는 대향되는 본체부(31)의 장변부에 공히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변 브릿지부(33a)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Moreover, the long side bridge part 33b is formed from the long side edge of the bottom face of the said main body part 31. As shown in FIG. The long side bridge portion 33b is formed in the long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1 facing each other, a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hort side bridge portion 33a.

이에 따라, 상기 브릿지부(33)는 사각틀 형상으로 하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공간부가 존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변 및 장변 브릿지부(33a)(33b)는 상기 본체부(3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사출시 유리하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bridge portion 33 has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a space portion exists therein. In addition, it will be said that the short side and long side bridge portions 33a and 33b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portion 31 and advantageous in injection.

대안으로는, 상기 단변 또는 장변 브릿지부(33a)(33b)중 어느 한 쪽 브릿지부만 본체부(31)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으며, 별도로 마련된 브릿지부(33)를 이용하여 본체부(31)의 저면에 장착시킬 수도 있는등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Alternatively, only one of the short side or long side bridge portions 33a and 33b may extend from the main body portion 31, and the main body portion 31 may be formed using the bridge portion 33 provided separately. Various embodiments, such as may be mounted on the bottom.

이러한 브릿지부(33)가 본체부(31)의 저면에 형성되면, 상기 브릿지부(33)가 본체부(31)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만큼 본체부(31)의 저면으로부터 아랫쪽 방향으로는 공간부가 발생하게 된다.When such a bridge portion 33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31, the bridge portion 33 spaces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31 by a length extending from the edge of the main body portion 31. Wealth will occur.

이때, 상기 공간부에는 전지부(22)의 상단부측이 삽입가능하다. 즉, 상기 전지부(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양극판(23), 세퍼레이터(24), 음극판(25) 순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감겨져 있고, 최외곽면에는 이들의 고정을 위하여 마감 테이프(300)가 부착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side of the battery unit 22 can be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That is, the battery unit 22 is wound in the state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23, the separator 24,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25 as described above, the outermost surface to the finish tape 300 for fixing them Is attached.

상기 양극 및 음극판(23)(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 및 음극 리드(26)(27)가 인출되는 전지부(22)의 상단부는 상기 브릿지부(33)에 의하여 본체부(31)의 하부 방향으로 존재하게 되는 공간부에 삽입되어서 그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부(31)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브릿지부(33)는 상기 전지부(22)의 상단부 외면을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시켜야 한다.The upper end of the battery part 22 through which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leads 26 and 27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plates 23 and 25 are drawn out is lowered from the main body part 31 by the bridge part 33. It is inserted into the space part which exists in a direction, and sets the position. To this end, the bridge portion 33 extending below the main body portion 31 should be formed to have a length that can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unit 22 as a whole.

또한, 상기 브릿지부(33)는 세퍼레이터(24)의 수축으로 인한 전지부(22)의 열적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시키는 것이므로, 상기 세퍼레이터(24)보다 용융 온도가 높은 고분자 소재, 예컨대 120℃ 이상에서 견딜 수 있는 폴리 프로필렌 소재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bridge part 33 is formed to prevent thermal deformation of the battery part 22 due to shrinkage of the separator 24, a polymer material having a higher melting temperature than the separator 24, for example, 120 ° C. or more. It is preferably made of a polypropylene material that can withstand.

그리고, 상기 브릿지부(33)의 두께는 0.01 내지 1 밀리미터 이내가 바람직하다. 상기 브릿지부(33)의 두께가 0.01 밀리미터 이하가 되면, 상기 브릿지부(33)의 두께가 너무 얇아서 성형성이 좋지 않게 된다. 반면에, 상기 브릿지부(33)의 두께가 1 밀리미터 이상이 되면, 상기 캔(21)의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많아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전지부(22)의 용량이 줄어들게 된다.And, the thickness of the bridge portion 33 is preferably within 0.01 to 1 millimeter. When the thickness of the bridge portion 33 is 0.01 mm or less, the thickness of the bridge portion 33 is so thin that the formability is not good.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bridge portion 33 is 1 millimeter or more, the capacity of the battery unit 22 is relatively reduced as the space occupied in the can 21 increases.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각형 리튬 이차 전지(20)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Looking at the assembly process of the rectangular lithium secondary battery 20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as shown in FIG.

먼저, 양극판(23), 세퍼레이터(24), 음극판(25), 세퍼레이터(24) 순으로 배치된 전지부(22)를 젤리-롤형으로 와인딩하게 된다. 와인딩된 전지부(22)는 각형 캔(21)에 삽입된다.First, the battery unit 22 disposed in the order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23, the separator 24,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25, and the separator 24 is wound in a jelly-roll shape. The wound battery part 22 is inserted into the square can 21.

상기 전지부(22)의 상부에는 절연 케이스(30)가 안착되어 있다. 상기 절연 케이스(30)의 본체부(31)에 형성된 리드공(31a)을 통하여 음극 리드(27)가 인출되어 있다. 상기 양극 리드(26)는 절연 케이스(30)의 외벽과 캔(21)의 내벽 사이에 인출가능하다.An insulating case 30 is mounted on the battery unit 22. The negative electrode lead 27 is drawn out through the lead hole 31a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31 of the insulating case 30. The positive lead 26 is drawable between the outer wall of the insulating case 30 and the inner wall of the can 21.

이때, 상기 본체부(31)의 저면으로부터 그 가장자리를 따라 아랫 방향으로 연장된 브릿지부(33)의 형성으로 인하여 절연 케이스(30)의 내측에 존재하는 공간부에 상기 전지부(22)의 상단부 외면이 삽입된다.At this time, due to the formation of the bridge portion 3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31 along the edge there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battery unit 22 in the space existing inside the insulating case 30. The outer surface is inserted.

상기 브릿지부(33)로 인한 본체부(31)의 저면의 아랫 방향으로 존재하는 공간의 크기는 상기 전지부(22)의 상단부 외면을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는 크기이다. 그리고, 상기 전지부(22)의 상단면은 상기 본체부(31)의 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전지부(22)의 측면은 상기 브릿지부(33)의 내면에 접하여져 있다.The size of the space exist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bottom of the main body 31 due to the bridge portion 33 is a size that can wrap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unit 22. The upper end face of the battery part 22 is located on the bottom face of the main body part 31, and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part 22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ridge part 33.

또한, 상기 브릿지부(33)는 상기 캔(21)에 대하여 절연 케이스(30)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캔(21)의 내벽과 상기 전지부(22)의 상단부 외면 사이에 개재된다.In addition, the bridge portion 33 i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can 2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portion 22 to set the position of the insulating case 30 with respect to the can 21.

다음으로, 상기 캔(21)의 상단부에는 캡 조립체(200)이 공급된다. 상기 캡 조립체(200)는 가스켓(220)의 외주면에 개재한 전극 단자(230)가 단자 통공(211)을 통하여 캡 플레이트(210)에 삽입되며, 캡 플레이트(210)의 저면에 절연 플레이트(240)를 매개로 하여 단자 플레이트(250)가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Next, the cap assembly 200 is supplied to the upper end of the can 21. The cap assembly 200 has the electrode terminal 230 inter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ket 220 is inserted into the cap plate 210 through the terminal through-hole 211, the insulating plate 24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plate 210 The terminal plate 2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그리고, 상기 양극 리드(26)는 상기 캡 플레이트(210)의 저면에 직접적으로 용접되며, 상기 리드공(31a)을 통하여 인출된 음극 리드(27)는 상기 전극 단자(230)와 용접하게 된다.The anode lead 26 is directly wel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plate 210, and the cathode lead 27 drawn out through the lead hole 31a is welded to the electrode terminal 230.

이때, 상기 음극 리드(27)는 한정된 캔(21)의 내부 공간으로 인하여 좌우로 수회 접혀져서 전극 단자(230)와 접속되는데, 접혀진 부분은 리드공(31a)과 대향되는 본체부(32)의 장변 벽부(32b)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되여서 상기 캔(21)의 내벽과 절연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negative electrode lead 27 is folded to the left and right several times due to the limited internal space of the can 21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230, the folde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32 that is opposed to the lead hole (31a) Since it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long side wall portion 32b, the inner wall of the can 21 can be insulated.

이어서, 상기 캔(21)에 대하여 캡 플레이트(210)와 만나는 경계부를 용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캔(21)의 양극 단자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캡 플레이트(210)에 형성된 전해액 주입공(212)을 통하여 전해액을 주입하고, 상기 전해액 주입공(212)을 볼(260)을 이용하여 밀폐시키게 된다.Subsequently, a boundary portion that meets the cap plate 210 is welded to the can 21. Accordingly, it serves as a positive terminal of the can 21. Next, the electrolyte is injected through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212 formed in the cap plate 210, and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212 is sealed using the ball 260.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각형 리튬 이차 전지는 전지부의 상단부 외면이 캡 조립체와 전지부의 절연을 위하여 설치되는 절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브릿지부로 인하여 발생되는 공간부내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서, 전지의 이상으로 인하여 고온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수축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극성을 달리하는 극판의 단락을 차단할 수 있어서,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rectangular lithium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unit is located in the space portion generated by the bridge portion provided under the insulating case installed for insulation of the cap assembly and the battery unit. In addition, the shrinkage phenomenon of the separator due to the high temperatur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Thereby, the short circuit of the pole plate which differs in polarity can be interrupted, and the safety of a battery can be improv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9)

양극판과, 음극판과, 그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가 배치된 전지부;A battery unit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re disposed; 상기 전지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캔;A can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battery unit is accommodated; 상기 캔의 상부에 결합되며, 전해액 주입공이 형성된 캡 플레이트와, 상기 캡 플레이트에 형성된 단자 통공을 통하여 설치되며 그 외면에 상기 캡 플레이트와의 절연을 위하여 가스켓이 개재된 전극 단자를 가지는 캡 조립체; 및A cap assem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n and having a cap plate having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formed therein, and an electrode terminal having a gasket interposed therebetween for insulating the cap plate on an outer surface thereof through a terminal through hole formed in the cap plate; And 상기 전지부상에 설치되며, 상기 전지부의 상단부 외면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절연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리튬 이차 전지.And an insulating case provided on the battery unit and having a space part accommodating an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절연 케이스는 상기 전극판으로부터 인출된 어느 한 전극 리드가 인출되는 리드공이 형성된 평판형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저면 가장자리로부터 아랫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그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전지부의 상단부 외면이 삽입가능한 브릿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리튬 이차 전지.The insulating case may include a flat body portion having a lead hole through which one of the electrode leads drawn out from the electrode plate is formed, and an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portion extending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a bottom edg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he insertable bridge portion; rectangular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전지부의 상단부를 감쌀 수 있도록 본체부 저면의 단변 및 장변부의 가장자리로부터 공히 아랫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리튬 이차 전지.The bridge part is a rectangular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from the edge of the short side and the long side of the bottom of the main body portion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uni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캔에 대하여 전지부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캔과전지부의 상단부 외면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리튬 이차 전지.And the bridge portion is interposed between the can and an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portion to set the position of the battery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a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리튬 이차 전지.The bridge portion is a rectangular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from the body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절연 케이스는 상기 세퍼레이터보다 융점 온도가 높은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리튬 이차 전지.The insulating case is a rectangular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polymer material having a higher melting point temperature than the separator.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절연 케이스는 폴리 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리튬 이차 전지.The insulating case is a rectangular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ypropylen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브릿지부의 두께는 0.01 내지 1 밀리미터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리튬 이차 전지.The thickness of the bridge portion is a rectangular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about 0.01 to 1 millimet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는 상기 리드공을 통하여 전지부로부터 상방으로 인출된 전극 리드가 상기 캔의 내벽에 접촉하지 않도록 소정 높이의 벽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리튬 이차 전지.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s a rectangular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wall portion of a predetermined height is further formed so that the electrode lead drawn upward from the battery portion through the lead hole does not contact the inner wall of the can.
KR1020020085440A 2002-12-27 2002-12-27 Prismatic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Ceased KR2004005892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5440A KR20040058922A (en) 2002-12-27 2002-12-27 Prismatic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5440A KR20040058922A (en) 2002-12-27 2002-12-27 Prismatic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922A true KR20040058922A (en) 2004-07-05

Family

ID=37350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5440A Ceased KR20040058922A (en) 2002-12-27 2002-12-27 Prismatic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8922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4155B2 (en) 2004-10-18 2011-12-27 Samsung Sdi Co., Ltd.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US8530077B2 (en) 2008-11-28 2013-09-10 Samsung Sdi Co., Ltd. Insulating cas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US10014495B2 (en) 2013-05-15 2018-07-03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10573919B2 (en) 2015-11-04 2020-02-25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4155B2 (en) 2004-10-18 2011-12-27 Samsung Sdi Co., Ltd.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US8313852B2 (en) 2004-10-18 2012-11-20 Samsung Sdi Co., Ltd.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US8530077B2 (en) 2008-11-28 2013-09-10 Samsung Sdi Co., Ltd. Insulating cas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US10014495B2 (en) 2013-05-15 2018-07-03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10573919B2 (en) 2015-11-04 2020-02-25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6305B1 (en) Pouched-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0440934B1 (en) Secondary battery
JP4579880B2 (en) Secondary battery
US8530078B2 (en) Secondary battery
JP4628682B2 (en) Battery unit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US20070160904A1 (en)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0867923B1 (en) Secondary Battery with Protective Circuit Board
US8228033B2 (en) Protective circuit board having groove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KR20040026258A (en) Electorde assembly for lithium ion cell and lithium ion cell using the same
US20070154784A1 (en) Rechargeable battery and its fabrication method
KR20070097143A (en) Secondary battery
KR100947977B1 (en) Secondary battery
KR100865399B1 (en) Secondary battery
KR100911004B1 (en) Battery Part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0889769B1 (en) Rectangula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472510B1 (en) Jelly-roll type battery unit and winding method of the same and lith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0440935B1 (en) Prismatic type sealed battery
KR100467702B1 (en) Prismatic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KR20040058922A (en) Prismatic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KR20040042373A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KR100788559B1 (en) Secondary battery
KR100601528B1 (en) Secondary battery
KR100760786B1 (e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me
KR100502354B1 (en) Pouched-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KR20080036743A (en) Secondary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0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1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8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2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