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87380A -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7380A
KR20040087380A KR1020030021579A KR20030021579A KR20040087380A KR 20040087380 A KR20040087380 A KR 20040087380A KR 1020030021579 A KR1020030021579 A KR 1020030021579A KR 20030021579 A KR20030021579 A KR 20030021579A KR 20040087380 A KR20040087380 A KR 20040087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sential oil
antimicrobial
polyphosphate
oral bacteria
inhibitory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1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김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철 filed Critical 김종철
Priority to KR1020030021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7380A/ko
Publication of KR20040087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380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에센셜 오일 조성물에 의하면, 구강세균에 대한 더욱 우수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연 물질을 사용하므로 항생제와 같이 구강 내에 서식하는 인체 유익균까지 해치는 일이 없어 구강감염질환치료제나 구강청정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에센셜 오일 조성물은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물질로서 폴리포스페이트 또는 불화소다 중 하나 이상이 각각 상기 구강세균에 대해 정해진 최소억제농도를 기준으로 부피%로 최소억제농도의 1/2 ∼ 최소억제농도까지 포함되고, 에센셜 오일은 라벤더(lavender), 클로브(clove), 티트리(teatree), 페퍼민트(peppermint), 레몬(lemon)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부피%로 총 0.025 ∼ 0.05% 포함되며, 나머지는 증류수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Essential oil composition with excellent antibacterial effect on oral bacteria}
본 발명은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물질인 폴리포스페이트(polyphosphate) 및 불화소다(NaF)에 다양한 에센셜 오일을 혼합하여 그 시너지 작용에 의해 항균효과를 향상시킴으로써, 충치·치주염과 같은 세균감염질환에 대한 치료 및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에센셜 오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치·의학계에서는 여러 나라에서 지켜져 내려온 자연식물 등을 이용한 민간전통의학의 효용성과 그 가치를 인정하고 이를 대체의학으로 체계화함으로써 그 효과와 가치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자연 식물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을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아로마테러피(aromatheraphy)는 가장 주목받고 있는 대체의학 분야로서, 최근에 에센셜 오일의 적용방법 및 그 효과를 보다 객관적으로 정량화할 수 있는 방법들이 개발되면서 명실상부한 의학의 한 분야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아로마테러피에서 사용되는 에센셜 오일은 기본적으로 증류법에 의해서만 추출이 가능한 '방향성 식물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선에 노출된 식물의 엽록소가 발산하는 에너지가 식물이 빨아들인 물분자의 수소와 산소를 분리하고 이 수소가 탄소와 결합하여 만들어진 테르펜(Terpene)으로서, 식물이 자연 속에서 스스로의 영속을 위해 만들어 내는 정교한 물질이다.
이러한 에센셜 오일은 주로 그 채취되는 부위에 따라, 잎에서 얻어지는 것(유칼립스, 페퍼민트), 꽃에서 얻어지는 것(라벤더, 장미), 가지에서 얻어지는 것(쥬니퍼), 줄기에서 얻어지는 것(샌드우드), 뿌리에서 얻어지는 것(베티베르트, 칼라머스) 등으로 분류된다.
이 에센셜 오일에는 알콜, 알데하이드, 에스테르, 케톤, 옥사이드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 성분은 각각 항감염 작용, 항히스타민 작용, 항알러지 작용 등을 가지고 있고, 이들의 구성비율에 따라 에센셜 오일은 독특한 의학적 치료 효과를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케톤이 다량 함유되면 상처 치유의 효과가 우수하며 알콜이 많이 포함되면 항박테리아 효과가 월등하다. 에센셜 오일의 작용 기전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으나 인체 내부로 흡입된 에센셜 오일이 대뇌외 피질 호르몬을 자극하여 인체의 균형을 조절함으로써 비정상적으로 커진 체지방 세포의 크기를 줄여 주거나, 뇌세포를 자극하여 신경강장, 두뇌기능 촉진, 진정효과 등을 부여해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센셜 오일을 신체에 적용시키는 방법에는 직접 피부에 바르는 방법, 분무하는 방법, 그리고 코를 통해 흡입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피부를 통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피부를 통과한 에션셜 오일은 모세 혈관에 흡수되어 전신 순환계에 이르게 된다.
한편, 치의학 분야에서도 에센셜 오일의 의학적 치료효과에 관한 많은 임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 충치·치주염과 같은 세균 감염질환에 대해서는 항생제의 사용이 일반적이나, 항생제는 인체의 유익한 세균까지 모두 해칠 뿐만 아니라, 과용할 경우 내성균의 출현, 환자의 면역능력 저하, 이에 따른 감염질환의 만성화, 균교대증 등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시킨다. 이에 반해, 에센셜 오일은 그동안의 연구를 통해 구강세균에 관한 항균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을 뿐만 아니라, 환경친화적이고 인체친화적이라는 측면에서도 항생제의 대체의약품으로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 물질로 알려진 기존의 폴리포스페이트 또는 불화소다에 항균효과가 입증된 여러 에센셜 오일을 혼합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마련하여 충치, 치주염과 같은 세균감염질환에 대한 치료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그 혼합에 따른 시너지 작용에 의해 폴리포스페이트, 불화소다 및 에센셜 오일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더욱 우수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천연 물질을 사용하므로 항생제와 같이 구강 내에 서식하는 인체 유익균까지 해치는 일은 없어 구강감염질환치료제나 구강청정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물질의 최소억제농도(MIC)를 나타낸 도표.
도2는 충치 원인균인 무탄스 GS5에 대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표.
도3은 충치 원인균인 소브리너스 6715에 대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표.
도4는 치주염 원인 균주인 2561에 대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표.
도5는 치주염 원인 균주인 A7A1-28에 대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표.
도6은 치주염 원인 균주인 W50에 대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표.
도7은 정상세균총 균주인 고르도니 G9B에 대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표.
도8은 정상세균총 균주인 고르도니 찰리스에 대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센셜 오일 조성물은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물질로서 폴리포스페이트 또는 불화소다 중 하나 이상이 각각 구강세균에 대해 정해진 최소억제농도를 기준으로 부피%로 최소억제농도의 1/2 ∼ 최소억제농도로 포함되고, 에센셜 오일은 라벤더(lavender), 클로브(clove), 티트리(teatree), 페퍼민트(peppermint), 레몬(lemon)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총 0.025 ∼ 0.05% 포함되며, 나머지는 증류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항균 물질 및 에센셜 오일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성분 및 효능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폴리포스페이트(polyphosphate)와 불화소다(NaF)는 치의학계에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물질로 널리 알려진 것으로 단독 또는 혼합되어 사용되며, 치아의 표면에도포된 후 일정한 화학 작용에 의해 항우식 효과를 나타낸다.
라벤더(학명: Lavandula angustifolia, 원산지: 불가리아)는 에스테르(Esters) 및 모노테르펜 알코올(Monoterpene alcohol)을 주 구성성분으로 하며, 항경련성, 진통작용, 항바이러스, 항진균성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라벤더의 가장 큰 특징은 밸런서(balancer)라는 것이다. 즉 다른 오일과 혼합되면 라벤더 오일뿐만 아니라 혼합된 오일의 효능도 더욱 증대시켜 준다.
클로브(학명: Eugenia caryophyliata, 원산지: 인도)는 리날린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리날룰(linalool) 및 유지놀(eugenol)을 주 구성성분으로 하며, 항경련, 항우울, 강한 신경계 진정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티트리(학명: Melaleuca alternifolia, 원산지: 호주)는 모노테르펜 알코올(monoterpene alcohol) 및 시네올(cineol)을 주 구성성분으로 하며, 항균성, 항바이러스성, 및 면역 강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페퍼민트(학명: Mentha piperita, 원산지: 미국)는 멘솔(menthol) 및 멘숀(menthone)을 주 구성성분으로 하며, 방부, 항경련 및 거담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지막으로, 레몬(학명: Citrus limon, 원산지: 미국)은 알데히드(aldehydes) 및 모노테르펜 히드로카본(monoterpene hydrocarbons을 주 구성성분으로 하며, 방부, 살균 및 면역 강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인은 여러 번의 실험을 거쳐 상기 항균물질과 에센셜 오일을 일정한성분비로 혼합하는 경우 그 시너지 작용에 의해 구강세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였는 바,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실험균주 및 배양조건
치과의 대표적 세균질환인 충치와 치주염에 대한 본 발명의 항균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충치원인균인 스트렙토코크스. 무탄스 지에스5(S. mutans GS5, 이하 "무탄스 GS5"라 함), 스트렙토코크스. 소브리너스 6715(S. sobrinus 6715, 이하 "소브리너스 6715"라 함)와 치주염 원인균주인 피. 진지발리스 2561(P. gingivalis 2561, 이하 "2561"이라 함), 피. 진지발리스 에이7에이1-28(P. gingivalis A7A1-28, 이하 "A7A1-28"이라 함) 및 피. 진지발리스 더불유50(P. gingivalis W50, 이하 "W50"이라 함)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인체 유익균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구강 정상세균총 균주인 스트렙토코크스 고르도니 지9비(Streptococcus gordonii G9B, 이하 "고르도니 G9B"라 함), 스트렙토코크크스 고르도니 찰리스(Streptococcus gordonii challis, 이하 "고르도니 찰리스"라 함)을 사용하였다. 동일한 스트렙토코사이(Streptococci) 세균군에 속하는 충치원인균과 구강 정상세균총 균주의 배양을 위해서 브레인-하트 인퓨젼(brain-heart infusion) 배지(BHI, 이하 "BHI"라 함)를 사용하였고, 치주염 원인균주를 위해서는헤민(hemin, 5㎍/㎖)과 비타민 케이1(vitamin K1, 0.2㎍/㎖)이 첨가된 하프-스트렝스 브레인-하트 인퓨젼(half-strength brain-heart infusion) 배지(HK-BHI, 이하 "HK-BHI"라 함)를 사용하였으며, 2일간 37℃에서 혐기적(N280%, H210%, CO210%)으로 배양하였다.
(2) 항균물질의 최소억제농도 결정 및 에센셜 오일 각각의 항균효과 측정
상기한 구강세균에 대한 본 발명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먼저 항균물질인 폴리포스페이트와 불화소다의 각 구강세균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결정하였다. BHI와 HK-BHI 배지에 각 구강세균을 접종하고 폴리포스페이트와 불화소다를 부피%로 0 ∼ 0.2% 첨가한 다음 혐기적으로 37℃에서 48시간 혐기배양한 다음 각 실험균주의 성장정도를 분광광도계(540㎚) 상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관찰하였다. 측정결과 구강세균을 접종한 즉시 측정한 배지의 흡광도와 같거나 그 보다 적게 나왔을 때의 항균물질의 배지 내 첨가 농도를 각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물질의 최소억제농도로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1과 같다. 폴리포스페이트에 가장 감수적인 균주는 2561로 최소억제농도가 0.05%였고 소브리너스 6715가 가장 저항적인 것으로 나타나 최소억제농도가 0.17%였다. 한편, 불화소다의 경우 고르도니 G9B와 고르도니 찰리스가 가장 감수적인 균주로서 최소억제농도가 0.04%였으며, 소브리너스 6715는 0.08%로 가장 저항성이 높았다. 이러한 폴리포스페이트와 불화소다의 각 구강세균에 대한 최소억제농도는 이미 당학계에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 구강세균에 대한 에센셜 오일 각각의 항균효과도 측정하였다. 에센셜 오일은 소수성이기 때문에 BHI, HK-BHI 배지에 분산·유화시키기 어려운 관계로 동량의 분산용액과 함께 혼합한 다음 에센셜 오일과 분산용액 두 층이 사라질 때까지 저은 후에 멤버레인 필터(membrane filter, 0.45㎛)로 여과 멸균하였다. BHI와 HK-BHI 배지에 36 ∼ 48시간 혐기배양한 상기 구강세균을 각각 200㎕씩 5㎖ 배지에 접종한 후 에센셜 오일을 최종농도가 부피%로 0.025, 0.05% 되도록 BHI와 HK-BHI 배지에 첨가하여 저은 후에 48시간 동안 혐기적으로 배양한 다음 실험균주의 성장정도를 분광광도계(540㎛) 상에서의 흡광도로 측정하였다. 첨가되는 에센셜 오일의 농도는 부피%로 0.025 ∼ 0.05%가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에센셜 오일이 0.025% 이하인 경우 그 첨가량이 너무 적어 항균효과를 극대화하지 못하고 0.05% 이상인 경우 클로브는 그 주 활성성분인 유지놀에 의해 점막자극이 크게 나타나는 등 부작용이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에센셜 오일의 최소 첨가농도인 0.025%와 최대 첨가농도인 0.05%에 대해서 각각 실험을 실시하였다. 한편, 대조군으로는 BHI와 HK-BHI 배지에 분산용액만을 최종농도가 0.025%, 0.05%가 되도록 첨가한 후 48시간 동안 같은 조건에서 배양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한 방법으로 측정된 에센셜 오일의 항균효과는 후술할 항균물질과 에센셜 오일의 혼합에 따른 항균효과의 측정치와 비교하여 나타내기로 한다.
(3) 항균물질과 에센셜 오일의 병용효과 측정
본 발명의 목적인 항균물질과 에센셜 오일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의 병용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충치원인균과 구강 정상세균총 균주를 BHI 배지에 치주염 원인균주를 HK-BHI 배지에 각각 접종한 후 에센셜 오일(0.025%, 0.05%)과 함께 항균물질인 폴리포스페이트 또는 불화소다를 부피%로 최소억제농도의 1/2이 되도록 첨가하여 48시간 동안 혐기적으로 배양한 다음 실험균주의 성장정도를 분광광도계(540㎚) 상에서의 흡광도로 측정하였다. 여기서, 항균물질인 폴리포스페이트 또는 불화소다의 첨가 농도를 최소억제농도의 1/2로 정한 이유는 항균효과가 잘 알려져 있는 에센셜 오일과의 혼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측정하기 위함이다. 한편, 항균물질의 농도가 상기 최소억제농도의 1/2보다 적은 경우에는 첨가되는 에센셜 오일과의 큰 농도차로 인해 그 시너지 효과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볼 때 상기 항균물질은 각 구강세균에 대해 정해진 상기 최소억제농도의 1/2부터 최소억제농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실험결과 측정된 항균물질과 에센셜 오일과의 병용효과를 도2 내지 도8에 나타내었는 바, 이하에서 각각의 구강세균에 대한 측정 결과를 보다 상세하게 고찰해 본다.
먼저, 충치 원인균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충치 원인균인 무탄스 GS5에 대한 측정 결과를 도시한 도2를 보면, 불화소다 자체의 효과는 폴리포스페이트보다 성장억제효과가 더 크나, 병용효과 면에서는 불화소다보다 폴리포스페이트가 훨씬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에센셜 오일 중 클로브가 가장 뚜렷한 병용효과를 보여 0.05% 농도에서 클로브만으로는 38.9%의 억제를 보였고, 폴리포스페이트 자체로는 11.8% 밖에는 억제하지 못하였으나 서로 병용되었을 경우에는 성장억제효과가 크게 증가하여 79.5%로 나타났다. 폴리포스페이트의 병용효과는 티트리, 레몬에 대해서도 불화소다보다 뚜렷하게 나타나 각각 74.5%, 71.2%까지 억제하였다. 특히, 티트리의 경우 0.025% 농도에서는 클로브보다 폴리포스페이트의 병용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도3은 충치 원인균인 소브리너스 6715에 대한 측정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티트리를 사용했을 때 가장 좋은 병용효과가 나타났다. 최종 억제효과 면에서는 폴리포스페이트와 불화소다 모두 비슷한 정도를 나타내 티트리 0.05%와 함께 사용했을 때 성장억제는 각각 81.8%, 83.4%였으나 병용효과의 폭은 폴리포스페이트를 티트리와 사용했을 때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티트리 다음으로는 레몬, 클로브 등도 병용효과가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다음으로 치주염 원인 균주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2561에 대한 측정 결과를 도시한 도4를 보면, 티트리가 병용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관찰되어 0.025%의 티트리와 1/2 최소억제농도의 불화소다를 혼합한 경우 81.9%의 성장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0.05%의 티트리와 1/2 최소억제농도의 폴리포스페이트를 혼합한 경우 81.6%의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도5는 A7A1-28에 대한 측정 결과인데, 이 치주염 세균에 대해서는 에센셜 오일, 폴리포스페이트 및 불화소다 등 모두 단독으로도 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나 병용효과를 판단하기가 어려웠으나, 최종 성장억제량만을 비교한다면 클로브를 폴리포스페이트나 불화소다와 함께 사용하였을 때 가장 큰 성장억제효과가 나타나 각각 95.5%, 95.7%를 억제하였다.
W50에 대한 측정 결과를 도시한 도6을 보면, A7A1-28과 마찬가지로 에센셜 오일 중 클로브가 가장 강력한 자체 성장억제효과를 보였고 폴리포스페이트와 같이 사용했을 때 W50 균주의 성장을 92.9% 억제하였다. 티트리도 또한 강력한 성장억제효과를 보여 폴리포스페이트와 함께 사용했을 때 최종 억제효과는 87.9%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구강에 서식하고 인체에 유익한 세균인 구강 정상세균총 균주에 대한 측정 결과이다.
도7 및 도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불화소다 자체의 항균효과가 폴리포스페이트보다 강한 성장억제효과를 보이기는 하나, 에센셜 오일의 항균 효과를 증가시키지는 않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인체 유익균인 정상세균총 균주에 대해서는 병용효과가 크게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항생제 등이 인체 유익균까지 모두 멸균시키는 것과 뚜렷하게 대조되는 장점이 된다. 에센셜 오일이 이러한 기전을 나타내는 이유는 항생제와 같은 합성물질의 경우에는 항균 작용을 하는 분자만이 합성되어 만들어진 반면에 에센셜 오일과 같은 천연 물질에는 항균 작용을 하는 분자 외에도 그 작용을 보완·진정시키는 퀀쳐(quencher) 분자들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4) 결 론
a) 이상에서 살펴본 바를 종합해보면, 항균물질인 폴리포스페이트와 불화소다를 에센셜 오일과 혼합하여 사용하면 구강에 서식하는 인체 유익균은 해치지 않으면서도 충치 및 치주염의 원인이 되는 감염세균에 대한 항균효과는 그 혼합에 따른 시너지 작용에 의해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훨씬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폴리포스페이트와 불화소다는 서로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에센셜 오일의 항균상승효과를 위한 첨가 가능한 농도범위와 그 농도범위 내에서의 항균효과 및 안정성을 고려해 볼 때 폴리포스페이트가 더 유리하다.
b) 한 가지 주목할 점은 상기 실시예에서는 5가지 에센셜 오일을 각각에 대한 병용효과만을 측정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클로브는 다른 에센셜 오일과 혼합되었을 경우 그 자체의 효과뿐만 아니라 다른 에센셜 오일의 효과를 높여주는 밸런서(balancer)로서 역할을 한다는 것은 이미 상기한 바이며, 이와 같이 에센셜 오일은 다른 에센셜 오일과 혼합될 경우 그 작용효과가 더 높아진다는 것은 이미 당학계에 시너지 효과라는 특성으로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비록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에센셜 오일에 대한 병용효과만을 측정하였으나 본 발명은 폴리포스페이트나 불화소다에 상기 5가지 에센셜 오일을 하나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모두 포함한다. 다만, 에션셜 오일의 함량이 0.05% 넘으면 구강 내 자극이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5가지 에센셜 오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그 총 함량은 0.025 ∼ 0.05% 내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도2 및 도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충치 원인균에 대해서는 폴리포스페이트 또는 불화소다에 클로브, 티트리, 레몬이 혼합이 되었을 때 그 병용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별적으로는 무탄스 GS5는 클로브가 혼합되었을 때, 소브리너스 6715는 티트리가 혼합되었을 때 가장 큰 억제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d) 도4 내지 도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치주염 원인 균주에 대해서는 에센셜 오일, 폴리포스페이트 및 불화소다 모두 단독사용으로도 상당한 항균효과가 나타났으나, 클로브나 티트리가 혼합되었을 때 더 큰 억제상승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상세하게는 2561의 경우에는 티트리가 혼합되었을 때, A7A1-28의 경우에는 클로브가 혼합되었을 때, W50의 경우에는 클로브 또는 티트리가 혼합되었을 때 더 큰 억제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센셜 오일 조성물에 의하면, 그 혼합에 따른 시너지 작용에 의해 폴리포스페이트, 불화소다 및 에센셜 오일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더욱 우수한 항균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천연 물질인 에센셜 오일을 사용하므로 구강 내에 서식하는 인체 유익균까지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에센셜 오일은 치약, 구강청정제 또는 구강감염질환치료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8)

  1.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물질은 폴리포스페이트 또는 불화소다 중 하나 이상이 각각 상기 구강세균에 대해 정해진 최소억제농도를 기준으로 부피%로 최소억제농도의 1/2 ∼ 최소억제농도까지 포함되고, 에센셜 오일은 라벤더, 클로브, 티트리, 페퍼민트, 레몬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부피%로 총 0.025 ∼ 0.05% 포함되며, 나머지는 증류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세균 중 충치 원인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항균물질은 폴리포스페이트 또는 불화소다 중 하나 이상이 각각 상기 충치 원인균에 대해 정해진 최소억제농도를 기준으로 부피%로 최소억제농도의 1/2 ∼ 최소억제농도까지 포함되고, 상기 에센셜 오일은 클로브, 티트리, 레몬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부피%로 총 0.025 ∼ 0.05%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치 원인균 중 무탄스 GS5에 대한 항균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항균물질 중 폴리포스페이트가 0.04 ∼ 0.08% 포함되고, 상기 에센셜 오일 중 클로브가 0.025 ∼ 0.05%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치 원인균 중 소브리너스 6715에 대한 항균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항균물질 중 폴리포스페이트가 0.08 ∼ 0.17% 포함되고, 상기 에센셜 오일 중 티트리가 0.025 ∼ 0.05%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세균 중 치주염 원인 균주에 대한 항균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항균물질은 폴리포스페이트 또는 불화소다 중 하나 이상이 각각 상기 치주염 원인 균주에 대해 정해진 최소억제농도를 기준으로 부피%로 최소억제농도의 1/2 ∼ 최소억제농도까지 포함되고, 상기 에센셜 오일은 클로브, 티트리 중 하나 이상이 총 0.025 ∼ 0.05%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주염 원인 균주 중 2561에 대한 항균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항균물질 중 폴리포스페이트가 0.03 ∼ 0.06% 포함되고, 상기 에센셜 오일 중 티트리가 0.025 ∼ 0.05%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주염 원인 균주인 A7A1-28에 대한 항균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항균물질 중 폴리포스페이트가 0.06 ∼ 0.12% 포함되고, 상기 에센셜 오일 중 클로브가 0.025 ∼ 0.05%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주염 원인 균주 중 W50에 대한 항균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항균물질 중 폴리포스페이트가 0.03 ∼ 0.06% 포함되고, 상기 에센셜 오일 중 클로브 또는 티트리 중 하나 이상이 총 0.025 ∼ 0.05%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
KR1020030021579A 2003-04-07 2003-04-07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 Withdrawn KR200400873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579A KR20040087380A (ko) 2003-04-07 2003-04-07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579A KR20040087380A (ko) 2003-04-07 2003-04-07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380A true KR20040087380A (ko) 2004-10-14

Family

ID=3736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1579A Withdrawn KR20040087380A (ko) 2003-04-07 2003-04-07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738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9898A1 (en) * 2005-04-09 2006-10-19 Pion-Tech Co., Ltd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extract, nano silver and natural essential oil
KR100760970B1 (ko) 2004-11-04 2007-10-04 김종철 에센셜 오일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JP2019517584A (ja) * 2016-06-02 2019-06-24 ワイピング システムズ エイピーエス 酒石酸および乳酸を含む殺菌組成物
KR20200003608A (ko) * 2018-07-02 2020-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 세정용 오일 조성물
KR20200003607A (ko) * 2018-07-02 2020-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오일 조성물
KR20200003604A (ko) * 2018-07-02 2020-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오일 조성물
KR20200003610A (ko) * 2018-07-02 2020-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 세정용 혼합 오일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970B1 (ko) 2004-11-04 2007-10-04 김종철 에센셜 오일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WO2006109898A1 (en) * 2005-04-09 2006-10-19 Pion-Tech Co., Ltd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extract, nano silver and natural essential oil
JP2019517584A (ja) * 2016-06-02 2019-06-24 ワイピング システムズ エイピーエス 酒石酸および乳酸を含む殺菌組成物
KR20200003608A (ko) * 2018-07-02 2020-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 세정용 오일 조성물
KR20200003607A (ko) * 2018-07-02 2020-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오일 조성물
KR20200003604A (ko) * 2018-07-02 2020-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오일 조성물
KR20200003610A (ko) * 2018-07-02 2020-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 세정용 혼합 오일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huja et al. Apitherapy-A sweet approach to dental diseases. Part II: Propolis
CN102429840B (zh) 驱蚊液及其制备方法
WO2015034252A1 (ko) 한방추출물과 프로폴리스가 첨가된 치약
Angaji et al. Antimicrobial effects of four medicinal plants on dental plaque
Sharma et al. Health benefits of lavender (Lavandula angustifolia)
Pandita et al. Dentistry meets nature-role of herbs in periodontal care: A systematic review
JP2011102245A (ja) モミの木の抽出物
CN103446247A (zh) 一种防止肌肤衰老的高渗透力复方精油
CN111135209A (zh) 一种具有防疟驱蚊止痒修复的青蒿喷剂及其制备方法
Bodiba et al. The role of medicinal plants in oral care
CN112807237B (zh) 一种含有天然抑菌剂的化妆品
JP2021172620A (ja) 口腔ケア剤
KR20040087380A (ko)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
KR100760970B1 (ko) 에센셜 오일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KR100505486B1 (ko) 바이오 신물질 소재를 이용한 섬유소재와 그 제조방법
EP3364937A1 (en) Composition for oral hygiene
KR20180079959A (ko) 녹차 함유 구강세척제
KR100377319B1 (ko)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용 에센셜 오일 조성물
CN101336966A (zh) 含天然珊瑚姜精油的祛腋臭涂搽剂
Preethikaa An in-vitro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the essential oils from Leptospermum Scoparium and Melaleuca Alternifolia as an antimicrobial agent against P. Gingivalis
Ambhore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antimicrobial efficacy of 5%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as an intracanal irrigant) and 10% neem leaves extract against infected root canal microbial isolates with special reference to enterococcus faecalis and candida albicans.” an in vitro study
Panchbhai Dental Applications of Essential Oils
Hashmi PROPHETIC MEDICINE AND HERBS IN ORAL CARE A REVIEW OF LITERATURE
KR102862570B1 (ko) 반려동물 테라피 파우더
AU2017100714A4 (en) A Composition Containing Tea Tree Oil and Use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