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8975A - Optical signal quality observ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Optical signal quality observ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98975A KR20040098975A KR1020030031333A KR20030031333A KR20040098975A KR 20040098975 A KR20040098975 A KR 20040098975A KR 1020030031333 A KR1020030031333 A KR 1020030031333A KR 20030031333 A KR20030031333 A KR 20030031333A KR 20040098975 A KR20040098975 A KR 200400989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ue
- signal
- optical signal
- level
- reference volt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9—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measurements of the data signal
- H04B10/0795—Performance monitoring; Measurement of transmission parameters
- H04B10/07953—Monitoring or measuring OSNR, BER or Q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03/00—Aspects of optical multiplex system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H04J14/05 and H04J14/07
- H04J2203/0001—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i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ing frames of the 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or using synchronous transfer mode [STM], e.g. SONET, SDH
- H04J2203/0062—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광신호 성능 감시 장치에가 개시된다. 광신호 성능 감시 장치는, 전송선로를 통해 수신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신호검출부, 전기신호의 신호레벨의 전 범위를 포함하는 일정 간격의 기준전압들을 발생하는 기준전압생성부, 전기신호의 신호레벨과 기준전압들의 크기를 각각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른 차이값을 산출하는 비교부, 소정 신호레벨 단위로 차이값에 대한 평균전압값을 산출하는 평균전압산출부, 평균전압값을 누적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누적된 평균전압값을 이용하여 분포함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서를 갖는다.An optical signal performance monitoring apparatus is disclosed. The optical signal performance monitoring apparatus includes an optical signal detector for converting an optical signal received through a transmission line into an electrical signal, a reference voltage generator for generating reference voltag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cluding a full range of signal levels of the electrical signal,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signal level of the signal and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voltages respectively to calculate the dif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average voltag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average voltage value for the difference value in units of a predetermined signal level, accumulate the average voltage value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calculate a distribution function using the accumulated average voltage value stored in the memory.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신호 성능 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준 전압 변화에 따른 데이터의 분포 변화를 이용하여 광신호가 송수신될 때 발생하는 광신호의 왜곡 여부를 감시할 수 있는 광신호 성능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signal performance monito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monitor the optical signal performance that can monitor the distortion of the optical signal generated when the optical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using a change in the distribution of data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reference voltage Relates to a device.
광전송 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광신호는 사용되는 광소자에서의 손실, 전송매체인 광섬유의 특성에 의한 비선형 현상, 색 분산, 및 광증폭기에 의한 ASE 노이즈 등에 의해 신호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신호의 왜곡 여부에 따른 신호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광신호 성능 감시 장치가 요구된다.The optical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in th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may cause distortion of the signal due to loss in the optical device used, nonlinear phenomen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tical fiber as a transmission medium, color dispersion, and ASE noise caused by the optical amplifier.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n optical signal performance monitoring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a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optical signal is distorted.
광신호의 성능 감시는 특정 지점에서 광신호의 전송채널 성능을 판단하는데 이용되는 방식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광신호 성능 감시 방법을 사용하면, 데이터의 전송 정보나 경로에 대한 사전 지식 없이도 네트웍의 특정 지점에서 광신호의 품질이나 성능을 알아 낼 수 있다.Monitoring the performance of optical signals is one of the methods used to determine the transmission channel performance of optical signals at specific points. Using this optical signal performance monitoring method, it is possible to find out the quality or performance of an optical signal at a specific point in the network without prior knowledge of data transmission information or path.
현재의 광신호 성능 감시 방법으로는 비트 오율(BER)과 Q값을 결정하기 위해 소넷(SONET) 프레임의 B1 비트(bit interleaved parity bit)를 감시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법은 모든 바이트의 1부터 8까지의 각각의 비트에서 "1"을 카운트하여 짝수(even), 홀수(odd)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정해진 현재의 패리티 바이트와 과거의 바이트를 비교하여 상호간에 차이가 발생하면 오류로 판정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광신호 성능 감시 방식은 패리티가 계산되는 비트 중 짝수개의 오차가 발생할 경우, 전체 패리티 값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실제 비트 오율과차이가 생기고 데이터 전송속도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은 부분이 있다.Current optical signal performance monitoring method is to monitor the bit interleaved parity bit (B1) of the SONET frame to determine the bit error rate (BER) and Q value. This method counts " 1 " in each bit from 1 to 8 of every byte to determine even and odd. In this case, the current parity byte and the past byte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a difference is generated. However, such an optical signal performance monitoring method is not suitable when an even number of bits in which parity is calculated does not affect the overall parity value, and thus an actual bit error rate and difference are affected by the data rate. There is this.
광신호 성능 감시를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비트 오율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감시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은 신호 대 잡음 비(SNR) 감소의 원인과 신호 왜곡(distortion) 정도도 광증폭기의 잡음지수나 광섬유 분산값을 측정함으로써 계산해 낼 수 있다. 그러나, 차세대 네트웍은 점점 다이나믹해지고 있다. 또한, 광신호는 광섬유, 증폭기, 광 분기/결합 다중화기, 및 광 크로스커넥트와 같은 다양하고 복잡한 경로를 거치게 된다. 따라서, 네트웍의 특정 부분에서의 파장 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전송과정을 거치게 되고, 파장이 다이나믹하게 분기/결합됨에 따라 전송 경로와 과정도 다이나믹하게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비트 오율의 직접적인 측정은 데이터의 패턴이 랜덤(random)하고, 통과신호의 저하를 방지하려면 극히 일부의 파워만을 감시해야 하므로 상당히 곤란하게 된다.Another method for monitoring optical signal performance is to measure indirectly by measuring variables that affect the bit error rate. This method can also be used to calculate the cause of signal-to-noise ratio (SNR) reduction and the degree of signal distortion by measuring the noise figure or optical fiber dispersion of the optical amplifier. However, next generation networks are becoming more dynamic. In addition, optical signals are subject to various complex paths such as optical fibers, amplifiers, optical branch / coupling multiplexers, and optical cross-connects. Therefore, the wavelength signal in a specific part of the network goes through different transmission processes, and the transmission path and process change dynamically as the wavelength is dynamically branched / combined. Accordingly, the direct measurement of the bit error rate is quite difficult because the data pattern is random and only a part of the power needs to be monitored to prevent degradation of the pass signal.
따라서, 광신호 성능 감시를 위한 차선책으로 광신호에 대한 누화의 정도를 알 수 있는 분산이나, 크로스토크, 소멸비, 신호 대 잡음 비, 및 채널 파워 등을 통해 채널 특성을 감시하기도 한다. 또한, 신호 대 잡음의 비로 구할 수 있는 광신호 대 잡음 비(OSNR)를 통해서 광신호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다. 하지만, 광신호 대 잡음 비의 측정을 위해서는 경로의 중간 중간에 많은 감시 지점이 필요하고, 유용한 광신호 대 잡음 비 데이터를 위해서 여러 채널의 입력신호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광신호 대 잡음 비는 평균 시간에 대한 측정이므로 비선형적 특성이나 광섬유 분산과 같은 신호 왜곡에 민감하지 않아 측정결과에 반영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광신호 대 잡음 비는 신호의 소멸비나 수신기 종류, 및 비트의 "1", "0" 을 판단하는 결정 포인트(decision point)에 무관한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광신호 대 잡음 비를 통해서 정확한 비트 오율을 판단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Accordingly, channel characteristics are monitored through dispersion, crosstalk, extinction ratio, signal-to-noise ratio, channel power, and the like, as a suboptimal measure for optical signal performance monitoring. In addition, the optical signal-to-noise ratio (OSNR), which can be obtained from the signal-to-noise ratio, can predict the performance of the optical signal. However, the measurement of the optical signal-to-noise ratio requires a lot of monitoring points in the middle of the path, and the input signal of several channels is required for the useful optical signal-to-noise ratio data. In addition, since the optical signal-to-noise ratio is a measurement for the average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tical signal-to-noise ratio is not sensitive to signal distortion such as nonlinear characteristics or optical fiber dispersion and thus is not reflected in the measurement result. In addition, the optical signal-to-noise ratio has characteristics that are independent of the signal extinction ratio or receiver type, and the decision point for determining "1" and "0" of the bit.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bit error rate through the optical signal-to-noise ratio.
전술할 바와 같이, 광신호 성능 감시를 위해서 광신호의 비트 오율 이나 Q값을 예측하는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비트 오율이나 신호의 Q값을 예측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샘플링된 신호의 히스토그램 분석(histogram analysis)의 범주에 국한되고 있다. 즉, 출력 전압의 "1" 과 "0" 레벨의 평균 및 표준편차값을 각각 μ1,μ0및 σ1,σ0라고 하고, ASE 노이즈 분포를 가우시안 랜덤 변수로 근사화할 때, Q값과 비트 오율(BER)은 아래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통해 산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methods for predicting the bit error rate or the Q value of the optical signal have been proposed for monitoring the optical signal performance. However, this approach is limited to the scope of histogram analysis of sampled signals as a means for predicting bit errors or Q values of signals. That is, as each of μ 1, μ 0 and σ 1, σ 0,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values of "1" and "0" level of the output voltage, and, Q values to approximate the ASE noise distribution to a Gaussian random variable The bit error rate (BER) can be calculated through Equations 1 and 2 below.
한편, 광신호의 샘플링 방식으로는 비동기식 방식 및 동기식 방식이 있다. 비동기식 샘플링 방식은 결정 시간(decision time)에 관계된 정해진 샘플링 포인트가 없이 랜덤하게 모든 비트 중에서 신호 레벨을 샘플링하는 방식으로써, 클럭의 복구가 필요치 않고 비트 레이트나 신호 포맷에 완전한 투명성을 보장한다. 그러나, 비동기식 샘플링 방식은 방대한 량의 추가적인, 그리고 원하지 않는 샘플들로 인해 결과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re are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methods for sampling optical signals. The asynchronous sampling method randomly samples the signal level among all bits without a fixed sampling point related to decision time,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clock recovery and ensuring complete transparency in bit rate or signal format. However, the asynchronous sampling scheme affects the accuracy of the results due to the large amount of additional and unwanted samples.
한편, 동기식 샘플링 방식은 신호 레벨을 결정 레벨(decision level)에서만 효과적으로 샘플링함으로써, 히스토그램을 만들고 신호의 Q값과 비트 오율을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비동기식 샘플링 방식의 데이터보다 좀 더 원하는 데이터에 근접한 값을 얻을 수 있으나, 클럭 복구 회로를 갖는 수신기가 별도로 필요하다. 이에 따라, 동기식 샘플링 방식은 고정된 비트 레이트를 갖는 클럭 복구 회로를 사용하는 경우, 비트 레이트에 대해서 투명성이 없고, 데이터 포맷에 대해서 투명성이 보장한다.On the other hand, the synchronous sampling method effectively samples the signal level only at the decision level, thereby creating a histogram and analyzing the Q value and the bit error rate of the signal. In general, a value closer to the desired data can be obtained than the data of the asynchronous sampling method, but a receiver having a clock recovery circuit is separately required. Accordingly, in the synchronous sampling method, when using a clock recovery circuit having a fixed bit rate, there is no transparency for the bit rate, and transparency for the data format is guaranteed.
직접적인 비트 오율 측정방법의 하나의 예로 문턱값(Threshold)의 작은 변화에 따른 데이터 값 "1" 과 "0"의 변화를 논리소자(ExOR)로 비교함으로써, 비트 오율을 측정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As an example of a direct bit error rate measuring method, a method of measuring a bit error rate by comparing a change of data values "1" and "0" according to a small change of a threshold with a logic element ExOR has been proposed. .
도 1은 광신호 성능 감시를 위해 논리소자를 이용한 비트 오율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방식은 기준전압값이 Vth1일 때에 "0"으로 판별되고, 기준전압값이 Vth2일 때에 "1"로 판별된 두 번째 비트를 에러로 인식한다. 이러한 방식은 고정된 기준전압을 갖는 결정회로와 기준전압을 가변할 수 있는 결정회로, 두 개만으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신호레벨의 전체 범위를 감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실제 비트 오율과상당한 차이를 갖고 있다.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easuring a bit error rate using a logic device for monitoring optical signal performance. As shown, this scheme recognizes the second bit determined as "0" when the reference voltage value is Vth1 and an error as determined by "1" when the reference voltage value is Vth2. This method can be easily configured with only two decision circuits having a fixed reference voltage and a decision circuit capable of varying the reference voltage. However, since it does not monitor the full range of signal levels, it is quite different from the actual bit error rate.
히스토그램을 통해 Q값을 결정해서 비트 오율을 추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0" 레벨 카운팅 방법이 있다. 이 방식은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신호 레벨의 기준 전압을 변화시키면서 기준전압값보다 작은 신호 레벨(즉, "0" 레벨)을 카운팅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이러한 방식은 특정 기준 전압에서 카운팅된 수치를 메모리에 저장한 후 가변된 기준전압별로 얻어진 분포를 통해 히스토그램을 구하고 μ1,0 과 σ1,0 을 결정하여 Q값을 산출한다. 이러한 방식은 광전변환된 전기적인 신호와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0"과 "1"을 판별한 후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히스토그램을 얻어내기 때문에, 정확한 분포를 얻어내기 위해서는 기준전압 레벨을 세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방식을 이용할 경우, ASE 노이즈에 의한 신호의 미세한 변화를 찾아내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 representative method of estimating the bit error rate by determining the Q value through a histogram is a "0" level counting method. This method converts an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counts a signal level small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alue (ie, a "0" level) while changing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signal level. Accordingly, in this method, a value counted at a specific reference voltage is stored in a memory, a histogram is obtained through a distribution obtained for each variable reference voltage, and μ1,0 and σ1,0 are determined to calculate a Q value. Since this method compares the photoelectrically converted electrical signal with the reference voltage and obtains a histogram using the data after determining "0" and "1",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the reference voltage level to obtain an accurate distribution. Do. In addition, when using this method, it is difficult to find a minute change in the signal due to ASE nois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트 오율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측정하여 광신호의 저하된 성능을 간접적으로 감시하는 방법의 단점을 해결하고, Q값을 통한 비트 오율 측정법의 오차율을 줄일 수 있는 광신호 성능 감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solve the disadvantage of the method of indirectly monitoring the degraded performance of the optical signal by measuring the variables affecting the bit error rate, and the method of measuring the bit error rate through the Q value It is to provide an optical signal performance monitoring device that can reduce the error rat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전송시스템에서 여러 요인으로 인해 누화될 수 있는 신호의 품질과 성능을 감시할 수 있는 장치로써 기준전압에 의해 판별된 "0" 과 "1" 데이터가 아닌 보다 실제 비트 오율에 근접한 값을 얻을 수 있는 광신호 성능감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monitoring the quality and performance of a signal that may be crosstalk due to various factors in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nd thus more actual bit error rate than "0" and "1" data determined by reference voltag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tical signal performance monitoring apparatus capable of obtaining a value close to.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호레벨의 미세한 변화에 의한 누화를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는 광신호 성능 감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tical signal performance monitor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monitoring crosstalk due to minute changes in signal levels.
도 1은 광신호 성능 감시를 위해 논리소자를 이용한 비트 오율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1 is a view briefly illustrating a method of measuring a bit error rate using a logic device for monitoring optical signal performanc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신호 성능 감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optical signal performance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의해 입력되는 전기신호와 기준전압의 차이를 이용해 평균 전압을 산출하기 위한 비교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3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mparator for calculating the average voltage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voltage input by FIG.
도 6은 평균전압값을 이용하여 입력 신호레벨의 전압분포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6 is a graph for explaining a method of calculating a voltage distribution of an input signal level using an average voltage valu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20 : 광신호검출부 130 : 클럭발생부120: optical signal detector 130: clock generator
140 : 비교부 160 : 기준전압생성부140: comparison unit 160: reference voltage generation unit
180 : 평균전압산출부 220 : 메모리180: average voltage calculation unit 220: memory
260 : 프로세서260: Processor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송선로를 통해 수신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신호검출부, 전기신호의 신호레벨의 전 범위를 포함하는 일정 간격의 기준전압들을 발생하는 기준전압생성부, 전기신호의 신호레벨과 기준전압들의 크기를 각각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른 차이값을 산출하는 비교부, 소정 신호레벨 단위로 차이값에 대한 평균전압값을 산출하는 평균전압산출부, 평균전압값을 누적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누적된 평균전압값을 이용하여 분포함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광신호 성능 감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signal detection unit for converting the optica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transmission line into an electrical signal, generating a reference voltage for generating a reference voltage of a predetermined interval including the full range of the signal level of the electrical signal A comparison unit for comparing the signal level of the electrical signal and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voltages to calculate the dif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average voltag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average voltage value for the difference value in units of a predetermined signal level, average voltage An optical signal performance monitoring apparatus includes a memory for accumulating and storing a value, and a processor for calculating a distribution function using the accumulated average voltage value stored in the memory.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전압생성부는 기준전압을 생성할 때, 전기신호의 신호레벨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검출하여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에서 등간격을 갖는 기준전압을 생성한다.Preferably, when generating the reference voltage, the reference voltage generator detects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the signal level of the electrical signal and generates reference voltages having equal intervals between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또한, 상기 비교부는 기준전압생성부에서 생성된 기준전압과 전기신호의 모든 신호레벨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른 차이값에 대한 절대값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평균전압산출부는 소정 신호레벨 단위로 절대값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한다.In addition, the comparison unit compares all the signal levels of the electrical signal with the reference voltage generated by the reference voltage generation unit to calculate the absolute value for the dif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ccordingly, the average voltage calculator calculates an average value of the absolute values in units of a predetermined signal level.
한편, 상기 평균값산출부는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산출된 차이값의 절대값을 합산하여 합산된 절대값을 전기신호의 전체 신호레벨 개수로 나누어 각각의 기준전압에 대한 평균전압값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value calculation unit is to calculate the average voltage value for each reference voltage by dividing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y the sum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valu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ison unit by the total number of signal levels of the electrical signal Do.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평균전압산출부에서 산출된 평균전압값으로부터 전기신호의 신호레벨에 대한 분포함수를 산출하고 신호레벨의 "0"레벨과 "1"레벨의 평균값 및 표준편차값을 각각 산출하여 광신호의 성능 감시를 위한 변수인 Q값 및 비트 오율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processor calculates a distribution function for the signal level of the electrical signal from the average voltage value calculated by the average voltage calculator and calculates the average value and the standard deviation value of the "0" level and the "1" level of the signal level,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o calculate the Q value and the bit error rate which are variables for monitoring the performance of the optical signal.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신호레벨과 기준전압값을 비교하여 평균전압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전압값을 통해 신호레벨의 분포함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분포함수에서 "0" 레벨과 "1" 레벨의 평균값 및 분산을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값 및 분산을 이용하여 광신호 성능을 감시하기 위한 변수들인 Q값과 비트 오율을 산출함으로써, 데이터 포맷에 무관하게 광신호의 성능을 감시할 수 있다. 또한, 광소자에서 발생하는 손실, 광섬유에서의 비선형 현상, 색 분산, 및 광신호 대 잡음 비의 저하와 같은 여러 요인에 의한 광신호의 품질저하를 간단히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verage voltage value is calculated by comparing an input signal level with a reference voltage value, and a distribution function of a signal level is calculated using the average voltage value, and the "0" level and "1" level are calculated from the calculated distribution function. By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and the variance, and calculating the Q value and the bit error rate, which are variables for monitoring the optical signal performance using the calculated average value and the variance, the performance of the optical signal can be monitored regardless of the data forma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measure the deterioration of the optical signal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loss occurring in the optical device, nonlinear phenomenon in the optical fiber, color dispersion, and deterioration of the optical signal to noise ratio.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신호 성능 감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신호 성능 감시 장치는, 광신호검출부(120), 기준전압생성부(160), 클럭발생부(130), 비교부(140), 평균전압산출부(180),메모리(220), 및 프로세서(260)를 갖는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optical signal performance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optical signal performance monitoring apparatus, the optical signal detector 120, the reference voltage generator 160, the clock generator 130, the comparison unit 140, the average voltage calculation unit 180, the memory ( 220, and a processor 260.
광신호검출부(120)는 입력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기준전압생성부(160)는 기준전압을 가변적으로 생성한다. 클럭발생부(130)는 광신호검출부(120)에 의해 변환된 전기신호로부터 기준 클럭을 검출한다. 비교부(140)는 기준전압생성부(160)에서 생성된 기준전압과 광신호검출부(120)에서 변환된 전기신호의 레벨 차이를 판별 및 검출한다. 평균전압산출부(180)는 비교부(140)에서 특정 기준전압과 전기신호들의 비교 결과값의 평균전압을 산출한다. 메모리(220)는 평균전압산출부(180)에서 산출된 평균전압을 누적하여 저장한다. 프로세서(26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평균전압값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분포를 얻어내 Q값과 비트 오율을 계산한다.The optical signal detector 120 converts the input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reference voltage generator 160 variably generates the reference voltage. The clock generator 130 detects the reference clock from the electrical signal converted by the optical signal detector 120. The comparator 140 determines and detects a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voltage generated by the reference voltage generator 160 and the electrical signal converted by the optical signal detector 120. The average voltage calculator 180 calculates an average voltage of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specific reference voltage and the electrical signals in the comparator 140. The memory 220 accumulates and stores the average voltage calculated by the average voltage calculator 180. The processor 260 calculates a Q value and a bit error rate by obtaining a distribution of data using an average voltage value stored in the memory 220.
도 3, 도 4 및 도 5는 도 2에 의해 입력되는 전기신호와 기준전압의 차이를 이용해 평균 전압을 산출하기 위한 비교부(14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따라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평균 전압 산출을 위한 비교 방식을 설명한다.3,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mparator 140 for calculating the average voltage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lectrical signal and the reference voltage input by FIG. Therefore, a comparison method for calculating the average volta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광신호검출기(120)에 의해 변환된 전기신호는 도 3A, 도 4A, 및 도 5A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기준전압생성부(160)는 변환된 전기신호의 신호레벨(Vi)의 최저값a(Vmin)과 최고값d(Vmax)을 검출하여 일정간격(Δ)으로 기준 전압(Vth)을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준 전압(Vth)으로서, Vth1, Vth2, 및 Vth3이 설정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Vth1은 신호레벨(Vi)의 최저값a(Vmin)과 "0"레벨의최고값(b) 사이에서 설정되어 있고, Vth2는 "0"레벨과 "1"레벨 사이에 설정되어 있으며, Vth3은 신호레벨(Vi)의 최고값d(Vmax)와 "1"레벨의 최저값(c) 사이에 설정되어 있다.The electrical signal converted by the optical signal detector 120 may be represented as shown in FIGS. 3A, 4A, and 5A. Here, the reference voltage generator 160 detects the lowest value a (V min ) and the highest value d (V max ) of the signal level (V i ) of the converted electric signal, and the reference voltage (V th ) at a predetermined interval (Δ). Occurs. In this embodiment, V th 1, V th 2, and V th 3 are set as the reference voltage V th . More specifically, V th 1 is is set between the minimum value of the signal level (V i) a (V min ) and a maximum value of "0" level (b), V th 2 is "0" level and "1 "it is set between the levels, and, V th is a 3-level signal (V i) up to the value d (V max) and the" is set between the first "minimum value (c) of the level.
비교부(140)는 기준전압발생부(160)에서 발생된 기준전압(Vth)과 광신호발생기(120)에서 전송되어 입력되는 전기신호의 신호레벨(Vi)의 차이값(Vth-Vi)의 절대값(|Vth-Vi|)을 평균전압산출부(180)로 출력한다.Comparator 140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voltage (V th ) generated by the reference voltage generator 160 and the signal level (V i ) of the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ptical signal generator 120 (V th- the absolute value of V i) (| V th -V i | a) and outputs the average voltage calculation unit 180.
도 3B는 기준전압이 "0" 레벨과 인접한 Vth1인 경우, 비교부(140)에서 산출된 비교 결과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즉, 도면은 기준전압(Vth)이 Vth1일 때, Vth1과 입력 신호레벨(Vi)과의 차이를 표현하고 있다.3B is a graph illustrating a comparison result calculated by the comparator 140 when the reference voltage is V th 1 adjacent to the "0" level. In other words, the figure is represented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voltage (V th) is V th in case of 1, V th 1 and an input signal level (V i).
도 4B는 기준전압이 "0" 레벨과 "1"레벨 사이인 Vth2인 경우, 비교부(140)에서 산출된 비교 결과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즉, 도면은 기준전압(Vth)이 Vth2일 때, Vth2와 입력 신호레벨(Vi)과의 차이를 표현하고 있다.4B is a graph illustrating a comparison result calculated by the comparator 140 when the reference voltage is V th2 between the level "0" and the level "1". In other words, the figure is represented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voltage (V th) is V th 2 when il, V th 2 and an input signal level (V i).
도 5B는 기준전압이 "1" 레벨과 인접한 Vth3인 경우, 비교부(140)에서 산출된 비교 결과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즉, 도면은 기준전압(Vth)이 Vth3일 때, Vth3과 입력 신호레벨(Vi)과의 차이를 표현하고 있다.5B is a graph illustrating a comparison result calculated by the comparator 140 when the reference voltage is Vth3 adjacent to the "1" level. In other words, the figure is represented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voltage (V th) is 3 V th be when, V th 3 and an input signal level (V i).
전술할 바와 같이, 비교부(140)는 특정 기준전압(Vth)과 입력 신호레벨(Vi)의비교 결과값(도3B,도4B,도5B)을 평균전압산출부(180)로 출력한다. 평균전압산출부(180)는 각 기준전압(Vth)에 대한 비교 결과값을, 상기 기준전압(Vth) 별로 산출된 비교 결과값의 전체 신호레벨수로 나누어 평균전압을 산출한다. 이때, 메모리(220)는 평균전압산출부(180)에서 산출된 기준전압(Vth)에 대한 입력 신호레벨(Vi)의 평균값을 저장하다. 바람직하게는, 메모리(220)는 비교부(140)에서 비교되는 일정간격(Δ)으로 가변하는 기준전압(Vth)이 "Vmin+α"가 될 때까지 누적해서 저장한다.As to above, the comparator 140 outputs a specific reference voltage (V th) and an input signal level (V i) comparing the result (FIG. 3B, FIG. 4B, FIG. 5B) to the average voltage calculation unit 180 do. An average voltage calculation unit 180 calculates an average voltage value by dividing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to the reference voltage (V th), the total signal level of the comparison result output by each of the respective reference voltage (V th). At this time, the memory 220 is stored an average value of an input signal level (V i) to the reference voltage (V th) calculated from the average voltage calculation unit 180. Preferably, the memory 220 accumulates and stores until the reference voltage V th , which vari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Δ compared by the comparator 140, becomes “V min + α”.
도 6은 평균전압값을 이용하여 입력 신호레벨의 전압분포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6 is a graph for explaining a method of calculating a voltage distribution of an input signal level using an average voltage value.
도 6A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평균전압값을 기준전압(Vth) 별로 구분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메모리(220)에 저장된 평균전압값의 함수를 g(υi)이라 정의하고 있으며, 기준전압(Vth)의 범위를 크게 a,b,c,d,e로 크게 다섯 부분으로 구분하고 있다.FIG. 6A is a graph illustrating the average voltage value stored in the memory 220 divided by the reference voltage V th . Here, the function of the average voltage value stored in the memory 220 is defined as g (υ i ), and the range of the reference voltage V th is largely divided into five parts as a, b, c, d, and e. have.
첫 번째로 a영역에서는 기준전압(Vth)이 "0"부터 Vmin(a)까지의 범주로써, 어떤 입력 신호레벨(Vi)도 없는 영역이므로 기준전압(Vth)을 증가할 시 평균전압은 선형적으로 감소하게된다.Mean Time to increase as the first to the scope of the a domain reference voltage (V th) is from "0" to V min (a), any input signal level (V i), so even areas that the reference voltage (V th) The voltage will decrease linearly.
두 번째로 b영역은 "0" 레벨이 분포하는 기준전압 Vth1이 포함되는 영역으로"0" 레벨의 최저값(도3A의 a)부터 "0" 레벨의 최고값(도3A의 b)까지를 말한다. 결국 이 부분에서의 분포를 구해 "0" 레벨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할 수 있다.Second, area b includes the reference voltage V th 1 in which the "0" level is distributed. The lowest value of the "0" level (a in FIG. 3A) to the highest value of the "0" level (b in FIG. 3A) is included. Say. Eventually, we can find the distribution in this area to fi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0" level.
세 번째로 c영역은 기준전압 Vth2가 포함되는 "0" 레벨과 "1" 레벨의 사이값으로 "0" 레벨과 "1" 레벨의 전체 분포에 따라 그래프가 달라지게 된다. 도 4A에서는 c영역은 동일한 분포일 때를 나타낸 것으로, c영역에서의 평균값은 일정한 값을 유지한다.Third, the region c is a value between the level "0" and the level "1" including the reference voltage V th 2, and the graph is changed according to the overall distribution of the level "0" and the level "1". In FIG. 4A, the region c shows the same distribution, and the average value in the region c remains constant.
네 째로 d영역은 기준전압 Vth3이 포함되는 영역으로 "1" 레벨이 분포하는 영역이다. 즉, d영역은 "1" 레벨의 최저값(도 3A의 c)부터 최고값(도 3A의 d)까지를 말한다. 결국 d영역에서의 분포를 구해 "1" 레벨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하게 된다.Fourthly, the d region is a region in which the reference voltage V th 3 is included and the "1" level is distributed. That is, the d region refers to the lowest value (c in FIG. 3A) to the highest value (d in FIG. 3A) at the " 1 " level. As a result, the distribution in the d region is obtained to obtain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1" level.
마지막으로 e영역은 기준전압이 Vmax(도 3A의 d) 이상이 될 때로써 평균전압값은 선형적으로 증가하게 된다.Finally, in the e region, when the reference voltage is greater than V max (d in FIG. 3A), the average voltage value increases linearly.
프로세서(260)는 도 6A에 도시된 평균전압값을 이용하여 평균전압의 변화량(F(vi))을 아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산출한다.The processor 260 calculates the change amount F (v i ) of the average voltage by using Equation 3 below using the average voltage value shown in FIG. 6A.
이렇게 산출된 평균전압값의 변화량(F(vi))은 도 6B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60)는 아래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신호의 전압분포f(υi)를 산출한다.The variation amount F (v i ) of the average voltage value thus calculated may be represented as shown in FIG. 6B. In addition, the processor 260 calculates the voltage distribution f (υ i ) of the signal by using Equation 4 below.
이렇게 산출된 신호의 전압분포f(υi)는 도 6C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신호의 전압분포f(υi)를 나타내는 분포함수 f(υi)는 평균값 υmi와 υm0을 갖는 두 개의 가우시안 분포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평균값 υmi와 υm0는 ASE 노이즈가 없을 때의 marks/spaces rail과 등가이고 아래 [수학식 5]를 만족한다.The voltage distribution f (υ i ) of the signal thus calculated may be represented as shown in FIG. 6C. Here, the distribution function f (υ i ) representing the voltage distribution f (υ i ) of the signal can be expressed by two Gaussian distributions having average values υ mi and υ m0 . At this time, the average values υ mi and υ m0 are equivalent to marks / spaces rail in the absence of ASE noise and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5.
이에 따라, marks/spaces rail의 전압 분포 f(υi)는 일반적인 가우시안 분포로써 아래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ly, the voltage distribution f (υ i ) of the marks / spaces rail may be expressed as Equation 6 below as a general Gaussian distribution.
또한, 표준 편차값σ0, σ1은 일반적으로 분포함수 f(υi)와 평균값 υmi및 υm0을 이용하여 아래 [수학식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ndard deviation values σ 0 and σ 1 can be generally expressed by Equation 7 below using the distribution functions f (υ i ) and the average values υ mi and υ m0 .
프로세서(260)는 위의 수학식들로부터 신호의 분포함수 f(υi)와 marks/spaces rail의 평균값 υmi및 υm0, 표준편차 σ0및 σ1을 구해서 Q값과 비트 오율을 산출할 수 있다.The processor 260 calculates the Q value and the bit error rate by calculating the signal distribution function f (υ i ) and the mean values υ mi and υ m0 of the signals / spaces rail and the standard deviations σ 0 and σ 1 from the above equations. Can be.
상기 Q값은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μ0및 μ1은 광신호가 변환되어 입력되는 전기신호의 입력 신호레벨이 각각 "0" 및 "1"일 때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σ1및 σ0은 각각의 평균값에 대한 분산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상기 비트 오율은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The Q value may be calculated by Equation 1. Here, mu 0 and mu 1 represent the average values when the input signal levels of the electrical signals to which the optical signals are converted and input are "0" and "1", respectively. σ 1 and σ 0 represent the variance for each mean value. Accordingly, the bit error rate may be calculated by Equation 2.
따라서, 본 실시예의 광신호 성능 감시 장치는 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신호의 신호레벨을 기준전압값과 비교하여 평균전압값을 산출함으로써 신호레벨의 분포를 산출한다. 이리하여 광신호 성능 감시 장치는 산출된 분포함수에서 "0" 레벨과 "1" 레벨의 평균값 및 분산을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값 및 분산을 이용하여 광신호 성능을 감시하기 위한 변수들인 Q값과 비트 오율을 산출한다. 이에 따라, 광신호 성능 감시 장치는 데이터 포맷에 무관하게 광신호의 성능을 감시할 수 있으며, 광소자에서 발생하는 손실, 광섬유에서의 비선형현상, 색 분산, 및 광신호 대 잡음 비의 저하와 같은 여러 요인에 의한 광신호의 품질저하를 간단히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광신호 성능 감시 장치를 이용하여 광신호의 품질저하를 측정함으로써,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유연성 있고 안정적인 전송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Therefore, the optical signal performance monitoring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calculates the distribution of signal levels by converting the input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calculating the average voltage value by comparing the signal level of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with a reference voltage value. Thus, the optical signal performance monitoring apparatus calculates an average value and a variance of the "0" level and the "1" level from the calculated distribution function, respectively, and uses the calculated average value and the variance of the Q values, which are variables for monitoring the optical signal performance. Calculate the bit error rate. Accordingly, the optical signal performance monitoring apparatus can monitor the performance of the optical signal regardless of the data format, such as loss in the optical device, nonlinear phenomenon in the optical fiber, color dispersion, and degradation of the optical signal-to-noise ratio. The deterioration of the optical signal due to various factors can be easily measured. By measuring the degradation of the optical signal using the optical signal performance monitoring devic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flexible and stable transmission system using the measurement results.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신호레벨과 기준전압값을 비교하여 평균전압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전압값을 통해 신호레벨의 분포함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분포함수에서 "0" 레벨과 "1" 레벨의 평균값 및 분산을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값 및 분산을 이용하여 광신호 성능을 감시하기 위한 변수들인 Q값과 비트 오율을 산출함으로써, 데이터 포맷에 무관하게 광신호의 성능을 감시할 수 있다. 또한, 광소자에서 발생하는 손실, 광섬유에서의 비선형 현상, 색 분산, 및 광신호 대 잡음 비의 저하와 같은 여러 요인에 의한 광신호의 품질저하를 간단히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verage voltage value is calculated by comparing an input signal level with a reference voltage value, and a distribution function of a signal level is calculated using the average voltage value, and the "0" level and "1" level are calculated from the calculated distribution function. By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and the variance, and calculating the Q value and the bit error rate, which are variables for monitoring the optical signal performance using the calculated average value and the variance, the performance of the optical signal can be monitored regardless of the data forma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measure the deterioration of the optical signal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loss occurring in the optical device, nonlinear phenomenon in the optical fiber, color dispersion, and deterioration of the optical signal to noise ratio.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the claims. will b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30031333A KR20040098975A (en) | 2003-05-16 | 2003-05-16 | Optical signal quality observ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30031333A KR20040098975A (en) | 2003-05-16 | 2003-05-16 | Optical signal quality observ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0098975A true KR20040098975A (en) | 2004-11-26 |
Family
ID=3737666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30031333A Ceased KR20040098975A (en) | 2003-05-16 | 2003-05-16 | Optical signal quality observ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0098975A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9154226B2 (en) | 2013-04-10 | 2015-10-06 |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Optical signal quality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software-based synchronized amplitude histogram |
-
2003
- 2003-05-16 KR KR1020030031333A patent/KR20040098975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9154226B2 (en) | 2013-04-10 | 2015-10-06 |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Optical signal quality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software-based synchronized amplitude histogram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90719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estimating optical signal to noise ratio in photonic networks | |
| US6952529B1 (en)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SNR in an optical network | |
| US20020141009A1 (en) | Performance monitoring for multi-port optical devices and systems | |
| EP1239623A2 (en) | Optical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 signal monitoring apparatus | |
| US6968134B1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measuring the signal quality in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 |
| US714609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signal and noise analysis using pulse amplitude histogram | |
| US698073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ly measuring optic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in photonic networks | |
| CA2413218C (en) | Flash optical performance monitor | |
| KR20040098975A (en) | Optical signal quality observing apparatus | |
| JP3930886B2 (en) | Optical signal quality monitor | |
| Lobzov et al. | Channel performance criteria in optical transport systems with forward error correcting codes | |
| US1212694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transmitter performance capabilities in a passive optical network | |
| Downie et al. | Performance monitoring of optical networks with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sampling | |
| US2004005252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in-band cross-talk i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s | |
| EP2214331A1 (en) | Optical channel quality monitor | |
| EP1602189A1 (en) | Bit error rate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 |
| EP180042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a disturbing effect in an information channel | |
| US7149661B1 (en) | Method and circuit for statistical estimation | |
| EP1303062A2 (en) | Distortion measurement in optical communications systems | |
| Kilper et al. | Q-factor monitoring using FEC for fault-management applications | |
| CN1397113A (en) |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in-band cross-talk i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 |
| KR100339663B1 (en) | Apparatus for monitoring optical signal quality in a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 |
| Shake et al. | Determination of the origin of BER degradation utilizing asynchronous amplitude histograms | |
| JPH11261653A (en) | Signal quality monitoring circuit | |
| AU2004211308A1 (en) | Bit error rate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1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512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8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