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104484A - 바닥, 몸체 또는 덮개 일부가 움직일 수 있는 음식물포장용기 - Google Patents

바닥, 몸체 또는 덮개 일부가 움직일 수 있는 음식물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4484A
KR20040104484A KR10-2004-7013889A KR20047013889A KR20040104484A KR 20040104484 A KR20040104484 A KR 20040104484A KR 20047013889 A KR20047013889 A KR 20047013889A KR 20040104484 A KR20040104484 A KR 20040104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container
container
container according
packaging
mova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토니우스알로일스루스미카엘마린 라인더스
Original Assignee
솔콜 비.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NL1020118A external-priority patent/NL1020118C2/nl
Priority claimed from NL1020926A external-priority patent/NL1020926C1/nl
Application filed by 솔콜 비. 브이. filed Critical 솔콜 비. 브이.
Publication of KR20040104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484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9/00Kinds or details of pack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9/00Kinds or details of pack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79/005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 B65D79/008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the deformable part being located in a rigid or semi-rigid container, e.g. in bottles or jars
    • B65D79/0081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the deformable part being located in a rigid or semi-rigid container, e.g. in bottles or jars in the bottom par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9/00Kinds or details of pack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79/005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 B65D79/008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the deformable part being located in a rigid or semi-rigid container, e.g. in bottles or jars
    • B65D79/0084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the deformable part being located in a rigid or semi-rigid container, e.g. in bottles or jars in the sidewall or shoulder par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9/00Kinds or details of pack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79/005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 B65D79/0087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the deformable part being located in a closure, e.g. in caps or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6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in a special atmosphere
    • B65D81/207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in a special atmosphere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바닥, 몸체 또는 덮개의 일부를 형성하면서 바닥, 몸체 또는 덮개의 나머지 주변부(16)에 탄성변형 결합 에지(17)에 의해 연결되는 가동부(160를 갖는 용기를 포함하여, 가동바닥부는 밖으로 돌출한 제1 위치와 안으로 들어간 제2 위치 사이를 움직인다. 이 포장용기는, 가동부가 바닥, 몸체 또는 덮개의 상기 나머지 부분의 형상과 일치하는 사각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가동부의 표면적은 바닥, 몸체 또는 덮개의 총 표면적의 50% 이상이며; 가동부는 굽힘강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바닥, 몸체 또는 덮개 일부가 움직일 수 있는 음식물 포장용기{PACKAGING FOR FOODSTUFF, COMPRISING A DISPLACEABLE BOTTOM, BODY OR LID PART}
이런 포장용기가 미국특허 3,426,939에 알려져 있다. 이 특허에 알려진 포장용기의 둥근 중앙 바닥부는 절두원추형 결합 에지를 통해 나머지 바닥에 연결된다.바닥은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을 가질 수 있다.
이런 포장용기의 단점은, 상기 바닥부의 움직임이 용기의 유효 체적에 비교적 적은 영향만 미친다는 것이다. 이 경우, 음식물을 가열하여 포장용기에 넣은 다음 용기를 밀폐한다. 내용물이 냉각되면서 포장용기 내부에는 부압이 생긴다. 그 결과, 주변 공기, 특히 공기중의 산소가 용기의 타입에 따라 시간이 지나면 음식물로 침투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저장수명, 즉 생산에서 소비할 때까지의 시간이 짧아진다. 종래에는 용기와 덮개가 외부 공기압과 이보다 상당히 낮은 내부압력 사이의 압력차를 견딜 수 있어야 했다.
본 발명은,
위에 입구가 있고 밑에는 직립 몸체가 연결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평평한 몸체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일체형 용기;
평면상에 놓여 있는 입구테두리로 둘러싸이되, 이 테두리는 상기 용기에 음식물과 기체나 기체혼합물을 채운 뒤, 예컨대 테두리에 밀착되는 호일 등의 덮개와 함께 밀봉기능을 하는 입구;
바닥, 몸체부 또는 덮개의 일부를 구성하고 디스플레이서(displacer) 역할을 하며, 각각 바닥, 몸체부 또는 덮개의 나머지 주변부에 적어도 1차원적으로 탄성변형하는 결합 에지에 의해 연결되는 평평한 가동부; 및
보호분위기 역할을 하는 기체, 예컨대 CO2와 N2의 혼합물이나 CO2와 O2의 혼합물을 갖는 충전제;를 포함하는 판매용 음식물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단면도;
도 2는 바닥이 내려가 있고 음식물을 채우는 상태의 도 1의 용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충전되어 밀폐된 용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일정 시간이 지난 뒤의 용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5-8은 본 발명에 따른 4가지 방법의 용기의 상태로서, a, b, c는 각각 차거나 가열된 음식물을 공급하고 채워서 밀봉하는 상태를 보여줌;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평면도;
도 9b는 도 9의 용기중 가동 바닥부가 상부 안정 위치에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용기의 사시도;
도 9c는 용기의 일부 파단 측면도;
도 9d는 도 9c의 IV 부분의 상세도;
도 10a-d는 각각 도 9a-d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가동 바닥부가 하부 안정위치에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도 10d는 도 10c의 X 부분의 상세도;
도 11a는 롤링 모서리를 갖는 다른 컨테이너의 코너부;
도 11b는 가동 바닥부가 하부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11a의 용기의 단면도;
도 11c는 가동 바닥부가 상승위치에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1b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12-15는 도 9, 10의 삼각형 코너구역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6-18은 다른 패턴의 힌지선을 갖는 용기의 평면도;
도 19-21은 가동부와 나머지 바닥 사이의 결합 에지의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들.
이상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무엇보다도 내용물을 채운뒤 밀봉에 사용되는 덮개와 용기에 기계적 요구사항이 비교적 적은 음식물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능한한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고 저장수명을 상당히 늘일 수 있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질소, 이산화탄소, 기타 기체혼합물 등의 보호분위기의 사용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여러 성분으로 이루어져 인스턴트 식사용으로 판매할 목적으로 구획된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종래의 미국특허 3,426,939에서는 포장용기에 작동부를 형성하지 못하여, 이런 작동부에서 얻어지는 효과가 없었다. 이것은 바닥을 여러 칸으로 구획하고, 각 칸이 제한된 표면적을 갖기 때문이다. 이렇게 제한된 표면적중에서도 상당한 부분은 각각의 이동식 바닥부를 주변 에지, 즉 해당 바닥부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하는 결합 에지가 차지한다.
이상을 감안하여, 포장용기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가동부는 바닥, 몸체 또는 뚜겅의 나머지 부분의 형상에 상응하는 사각형상을 갖고;
가동부의 표면적은 바닥, 몸체 또는 덮개의 전체 표면적의 50% 이상이며;
가동부가 굽힘강성을 갖고;
결합 에지의 4군데 코너부위 각각에는 상기 가동부의 전체 주변 위로 탄성 변형구역이 위치하며;
가동부는 바깥쪽으로 변위된 제1 위치와 안쪽으로 변위된 제2 위치 사이를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의 실질적인 장점은, 바닥, 몸체 및/또는 덮개의 상당히 큰 부분이 체적변동에 효과적으로 참여한다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가동부에 대한 "굽힘강성"이란, 압력차의 영향으로 가동부가 구부러져 생기는 체적변동은 가동부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움직여 생기는 유효 체적변동에 비해 무시할 정도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저장수명이 연장되므로, 상업적 가치도 증가된다. 본 발명의 포장용기의 운송 측면에서 보면, 운송반경이 증가되어, 마켓세어도 상당히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몸체와 덮개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직립벽을 갖는 바닥에 가동부를 형성하기에 적합하다. 예컨대, 평평하면서 납작하고 칸이 여러개이며 인스턴트 식품이 들어있는 포장용기의 경우, 특히 덮개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부를 수용하기에 적절한 장소이다.
미국특허 5,546,731은 바닥부가 움직이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문제의 바닥부는 바닥면 전체 표면적의 20% 정도의 표면적을 갖는다. 이 특허에서는, 용기의 구조상 바닥 전체의 굽힘강성이 비교적 작고, 양쪽 이동 위치에서 용기는 정형된 형태를 갖지 못한다. 바깥으로 돌출한 제 1 위치에서 용기는 바닥에 안정되게 놓일 수 없다. 기본적으로, 상기 미국특허에서는 가동부가 없고, 오히려 바닥의 굽힘강성이 비교적 적고 리브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의 경우, 바닥에 가동부가 있으며, 제1 위치에서는 용기를 바닥의 가동부에 놓을 수 있고 제2 위치에서는 바닥 에지에 놓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의 경우, 변형구역이 두개 이상의 힌지선으로 된 코너부에 있다. 힌지선들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지만, 서로 평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가동 바닥부는 두개의 안정된 위치 사이를 비교적 쉽게 움직일 수 있는데, 특히 코너의 변형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결합 에지를 가동 바닥부에 연결하는 힌지선 방향에 대해 각도를 이루면서 두개의 힌지선들이 4개 코너들 각각에서 연장하는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다른 구성이 적당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의 포장용기에서는, 변형구역이 롤링구역을 포함한다.
가동 바닥부가 밀폐용기의 내외부 압력차의 영향으로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움직이면, 4군데 코너구역들중 한 구역의 가장 약한 지점이 먼저 안쪽으로 움직인 다음 나머지 3개 코너구역의 취약지점들이 안쪽으로 움직여, 바닥부 전체가 다른 위치로 움직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에서, 힌지선들이 용기의 일부 메인 평면에서 튀어나온 주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주름은 하나나 여러개로서, 결합 에지가 가동 바닥부 및 바닥의 주변부에 힌지 연결된다.
포장용기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재료, 예컨대 주석도 적당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기는 열성형이나 진공성형법으로 예컨대 라미네이트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런 용기는 비교적 저렴하고 비교적 얇은 벽 두께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벽두께의 완전한 조정이 불가능하고 모든 부분에서 벽두께가 동일할 수 없다.
벽두께가 허용되는 한, 용기를 사출성형으로 제조해도 된다.
경우에 따라, 용기를 발포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용기를 발포재로 형성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있는데, 그 예로는 발포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용기를 발포재 띠로 형성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 경우, 발포재 띠를 압출과 사이징(sizing; 선택적)으로 제조한다.
기계적 강도를 추가하고 용기 내부의 기체성분에 대한 밀봉성을 좋게 하기 위해, 포장용기는 압출에 이은 라미네이팅 작업에 의해 적어도 한쪽에는 예컨대 산소차단 호일과 같은 호일층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호일층은 양쪽에 배열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 포장용기는 발포재 띠를 충분히 발포시키지 않고, 다이의 성형공간에 열을 가해 추가 성형을 함으로써 일정 두께의 벽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의 장점은 일정 한계내에서 원하는 벽 두께를 얻을 수 있고, 벽 두께를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충분히 발포된 발포재 띠에서 발포가 일어날 때는 불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용기가 조악하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포장용기는, 다이의 성형공간에 있는 리브(rib)를 이용해 힌지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리브가 다이의 성형공간에 배치되어야만 하는 착탈식 인서트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장점은, 결정된 다이를 사용할 때 이런식으로 힌지선 패턴을 쉽게 변경하여, 원하는 제품변경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용기를 발포재로 구성하는 또다른 포장용기에서, 힌지선에 대응하는 리브가 형성된 가열된 스탬프를 성형된 용기에 대고 눌러 힌지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하는 스탬프를 사용하면, 힌지선을 갖는 용기를 아주 쉽게 생산할 수 있다. 발포재 띠를 이용해 용기를 제작할 때, 높은 생산성을 얻을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의 포장용기는, 용기를 판지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뒤에 용기 내부를 형성하는 판지의 적어도 한쪽면에 산소차단 호일과 같은 호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간단한 실시예에서, 성형면과 이에 대응하는 스탬프를 갖는 주형을 이용해 판지로 용기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성형면을 갖는 주형과 대응 형상의 스탬프를 이용하면, 4개의 직립벽을 서로 연결하는 코너 구역들을 다소간 조정할수 있도록 서로 주름지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항상 최고의 품질이라는 인상을 주지는 않는다.
그러나, 품질이 아주 좋다는 인상을 줄 수 있는 약간의 고비용 실시예에서는, 먼저 판지에서 4군데 코너구역을 제거한 다음 벽면을 위로 접어서 벽면들이 서로 겹치게 밀봉 접착하여 용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판지의 양쪽면에 호일을 배치하고, 용접으로 밀봉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다른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는, 판지로 용기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런 기술은 공지되어 있으며, 달걀 포장용기 제작에 많이 사용된다.
다른 변형례의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는, 두께 60㎛ 정도의 알루미늄으로 용기를 제작한다.
본 발명에 다른 포장용기에 채울 음식물로는 감자, 특히 껍질을 벗긴 감자와 생선이 있다. 감자와 생선은 기체를 흡수하는 성질을 갖는다. 이들을 용기에 채울 때 이산화탄소와 질소의 혼합물로 된 보호분위기를 용기에 집어넣는다. 상기 흡수성 때문에, 용기를 밀폐한 뒤 점차로 부압이 생긴다. 이 경우, 가동바닥부가 외부돌출 위치에서 안쪽으로 변위된 위치로 움직여 압력차를 보상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는 주어진 환경변화에서도 정상적인 형상을 계속 유지하고, 호일커버가 받는 기계적 부하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다. 첫번째 상황에서, 용기는 중앙 바닥부 위에 놓이고, 두번째 상황에서 용기는 바닥 주변 에지에놓인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동 바닥부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는 둘다 안정하고, 따라서 구성상 이중안정성을 갖는다. 이 경우, 가동부는 한쪽 위치에서 다른쪽 위치로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포장용기가 감자 및/또는 생선 또는 그 가공물용 저장하기 위한 용도일 경우, 기체혼합물은 CO2와 N2를 함유하며, 이들 기체 성분비는 70:30, 바람직하게는 80:20, 더 바람직하게는 90: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체 성분비가 70:30이면, 종래에 비해 본 발명의 포장용기에 더 많은 기체가 존재한다. 기체성분비가 다르면, 예컨대 80:20이면, 포장용기에 물리적으로 더 많은 기체가 들어있을 뿐만 아니라, 방부제 기능을 하는 CO2도 더 많이 들어있다. 기체성분비가 90:10이면 실험상 저장수명이 더 연장됨이 증명되었다.
이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CO2:N2= 70:30 저장수명 7일
80:20 저장수명 9일
90:10 저장수명 12일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포장용기는 내부에 생기는 부압을 견딜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는 이것이 가능하다.
보호분위기의 다른 조성으로는, CO2와 O2를의 혼합물에다 상황에 따라 불활성 N2를 보충한 것이 있는데, 이것은 "의사진공" 문제가 거의 생기지 않으며, 육류분야에 사용된다. 이 기체의 일반적 CO2:N2성분비는 50:50이다. 산소는 육류 변색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CO2를 첨가할수록 저장수명이 길어짐이 밝혀졌다. 그러나, 이 경우 변색이 생길 수 있다. 이런 이유로 CO2와 N2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에서는 기체조성의 변화 없이 보존용으로 CO2를 더 많이 함유한다. 이런 과잉 CO2를 흡수하면, 변색방지용으로 비교적 많은 O2가 남게 된다. 즉, 변색을 걱정하지 않고 CO2의 상대량이 증가되게 기체조성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포장용기가 육류나 그 가공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도일 경우, 기체혼합물이 CO2와 N2를 함유하며, 이들 기체 성분비는 포장된 음식물의 변색과 저장수명의 관점에서 최적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동부를 바닥에 사용할 경우, 추가적인 장점이 얻어진다. 육류 포장을 할 때는 육즙을 흡수하기 위해 흔히 흡수천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포장용기에서는, 바닥 주변부에서 육즙을 수거할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할 필요가 없다. 바닥 주변부에 환형 흡수천을 깔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감자나 육류와 같은 신선한 식품에 주의를 집중했다. 생선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런 포장용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칸막이가 없는 용기를 사용한다. 다른 형태의 식품, 즉 인스턴트 식품의 경우에는 용기에 여러개의 격실이 있다. 디스플레이서(displacer) 역할을 하는 가동부는 원칙적으로 바닥,몸체인 벽면부 또는 덮개에 있고, 여러 곳에 있을 수도 있다. 결정적으로 이렇게 하려면 공간이 필요하고, 원하는 체적변동을 이룰 수 있어야 한다.
끝으로, 본 발명은 아이스크림이나 급속냉동식품과 같은 냉동식품을 저장하기 위한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기도 하는데, 이 경우 보호분위기는 없으며, 덮개를 제거한 뒤 가동부를 안쪽으로 누르면 용기에서 냉동식품을 꺼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용기(1)는 4개의 직립벽(2), 및 평평한 바닥부(3), 평평한 중앙부(4) 및 이들 부분(3,4)을 연결하는 결합 에지부(5)로 이루어진 바닥을 갖는다. 도 1의 바닥부(3,4,5)는 기본형으로서, 예컨대 사출성형기로 형성된다.
도 2의 상태는, 용기(1)를 흡입관(7)의 입구(6)에 놓은 상태이고, 이곳에 연결된 흡입기(도시 안됨)는 화살표(8)로 표시된 방향으로 가동되며, 따라서 중앙바닥부(4)가 하강하여 일시적으로 결합 에지부(5)가 변형되는데, 이것이 도 2에는 5'로 표시되었다. 이렇게 용기가 팽창된 상태에서, 뜨거운 음식물이 용기(1)로 흡입되고, 덮개(9)는 실링 등에 의해 입구 테두리(10)를 밀봉한다. 흡입기가 정지하면, 바닥은 자체의 기계적 성질과, 주변과 밀폐용기의 내부공간 사이의 압력차로 결정된 형상을 취한다.
도 3은 내부가 채워진 용기가 놓인 위치를 보여준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평평한 중앙부(4)는 용기(1)가 안정되게 놓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에 의하면, 용기 재질의 기체투과성 때문에 용기가 장기간의 압력평형 상태 이후 외부공기압이 화살표(11) 방향으로 작용하여, 중앙부(4)가 결국 원래의 기본형을 다시 취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덮개(10)를 열거나 제거해도 바닥면은 기본형을 그대로 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확실한 밀봉성을 갖는다.
도 5-8에서 (a), (b), (c)는 각각 감자(41)를 공급하는 상태, 감자를 채운 상태, 밀봉기(42)를 이용해 용기를 밀봉호일(43)로 밀봉하는 상태를 보여주는데, 이들에 대해 본 발명의 4가지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의 용기의 바닥부(4)는 아래로 돌출하고(도 5a 참조), 이 용기는 도 5b와 같이 채워져 도 5c와 같이 최종 밀봉된다. 뜨거운 음식물의 경우, 수증기의 응축 때문에 압력강하가 일어나 용기가 도 4와 같은 상태로 된다. 본 발명에서, 감자의 경우, 이런 형상변화는 감자가 용기내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이런 기체는 보호분위기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중앙바닥부(4)는 기계적 가압장치(44)에 의해 충전되기 전에 미리 화살표(45) 방향으로 아래로 눌려진다(도 6a 참조). 다음, 용기(1)를 채우고(도 6b 참조), 마지막으로 용기(1)를 밀봉한다(도 6c 참조).
도 7의 실시예의 용기(1)는 처음에는 도 1과 같은 형상을 취한다. 이 상태에서 음식물이 채워진다(도 7b 참조). 끝으로, 도 2, 3과 같이 중앙바닥부(4)를 아래로 내리는데(도 7c 참조), 이 때에는 예컨대 부압에 의한 흡입기나(도 2) 흡입컵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도 8의 실시예의 용기(1)는 도 7a의 경우와 동일하고, 기계적 또는 기체압에 의한 가압이나 흡입에 의해 중앙바닥부(4)가 아래로 내려간 뒤, 용기(1)를 음식물로 채운다(도 8b 참조). 이 상황에서 용기를 밀봉한다(도 8c 참조).
4가지 옵션중 어느 것을 사용할지는 무엇보다도 음식물의 종류에 달려있고, 기계적 처리과정이나 흡입헤드의 이용 여부에 따라 실제 어느것을 이용할지 결정된다.
도 5-8의 예는 아주 개략적이고 용기의 충전상태를 a, b, c로 각각 보여줄 뿐이다.
처리 관점에서 보면, 음식물을 통과하는 처리요소를 이용하는 것은 바닥부의 처리에 비실용적이므로, 외부수단, 특히 음식물을 손상시키지 않는 흡입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10의 용기(10)는 두가지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용기(10)는 4개의 직립벽(11-14)(도 9b 참조), 위아래로 움직이는 바닥부(15), 바닥주변 에지(16), 두 부분(15,16) 사이의 결합 에지(17)를 포함한다. 결합 에지(17)에 대해서는 용기(10)의 평면도인 도 9a를 참조해 설명한다. 바닥부(15)는 4개의 힌지선(18)을 경계로 한다. 코너 부분은 모따기된 힌지선(19)으로서, 힌지선의 끝은 각각 힌지선(20,21)에 연결된다. 힌지선(19-21)은 삼각형을 이룬다. 두개의 힌지선(20,21)은 주변 에지(16) 부분에 모인다. 이렇게 하여 움직이는 바닥부(15)가 실현된다. 단, 바닥부(15)는 피스톤처럼 승강운동하지는 않는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서, 압력차가 생기면, 힌지선(19) 부근에서, 즉 구조적으로 가장 약한 부분에서 국부적인 위치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가동 바닥부(15)가 도시된 위치에서 움직이자 마자, 도 9의 위치에서 도 10의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올 때까지 힌지선(18,19)을 따라 점진적인 변위가 일어난다.
이들 힌지선은 주름과 같은 형태로 실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열성형이나 진공성형의 경우 주름이 가장 실용적이지만, 사출성형의 경우, 힌지선의 벽면을 얇게 할 수도 있다.
용기(10)의 상단에는 테두리(119)로 둘러처진 입구(18)가 있다. 테두리는 도 9b, 9c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5c, 6c, 7c, 8c와 같이, 내용물로 채워진 용기를 밀봉호일로 쉽게 밀폐할 수 있도록 용기를 평탄면에 놓는다.
도 9, 10, 특히 도 9c, 10c에서 알 수 있듯이, 바닥부(15)가 움직이면 상당한 체적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이 점이 전술한 종래기술에 비해 상당한 장점이 된다.
도 11은 용기(20)의 상세도로서, 가동 바닥부(21)는 롤링 모서리(23)를 통해 바닥 주변 에지(22)에 연결된다. 도 11b, 11c는 롤링모서리(23)의 롤링에 의해 바닥부(21)가 도 11b의 하강위치와 도 11c의 상승위치 사이를 움직이는 방식을 보여준다.
롤링모서리(23)는 도시된 것처럼 위치이동하기에 충분한 이동성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 얇은 벽면에 여러개의 주름을 형성하거나 절첩선(24,25)에서 충분한이동성이 자연적으로 생길 수 있도록 롤링모서리를 실현한다.
도 12-15는 도 9,10에 대응하는 다른 삼각형 코너구역(19-21)을 보여준다.
도 12는 힌지선(20,21) 사이로 추가 선(30)이 뻗어있는 실시예로서, 이 경우 국부적인 이동성이 더 향상된다.
도 13의 실시예에서는 힌지선(18,19)이 만나는 곳과 힌지선(25) 사이에 타원형의 힌지선(31)이 뻗어 있고, 힌지선(25)은 결합 에지(17)와 바닥주변 에지(16) 사이를 뻗는다. 타원들은 2개열은 힌지선(18)에 평행한 방향으로, 2개열은 힌지선(19) 방향에 일치하는 패턴으로 형성된다.
도 14의 변형례에서는 힌지선들(32)이 삼각형 형태로 뻗어있다.
끝으로, 도 15는 도 13의 변형례로서, 원형의 힌지선들(33)을 도시된 패턴대로 사용하고 있다.
도 16은 용기(40)의 평면도이다. 이 용기(40)는 대략 사각형의 가동 바닥부(41)를 포함한다. 모든 힌지선(42)을 통해 가동 바닥부(41)는 기다란 형태의 결합 에지부(43)에 연결된다. 44는 결합 에지부의 코너이다. 코너와 결합 에지부(43)는 나머지 바닥부(45)에 연결된다. 설명의 편의상, 도 12-15의 상세부에서 관련 4개의 직립벽과 입구 주변부는 생략했다.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결합 에지의 코너부(43,44)가 전체적으로 유연하다는 것이다. 이들은 벽두께도 얇지만, 이들 코너부를 둘러싸는 힌지선을 형성해 유연성을 더 부여할 수도 있다. 예컨대, 가열된 스탬프로 프레스하여 아주 얇은 형상을 줄 수도 있다.
이렇게 얻어진 유연성 때문에, 가동 바닥부(41)가 첫번째 하강 위치와 두번째 상승위치 사이를 쉽게 움직일 수 있다.
도 17의 용기(46)의 가동 바닥부(41')는 기다란 부분(43')과 삼각형 코너부(47)로 이루어진 결합 에지로 둘러싸여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코너부(47)가 유연하다. 이들 코너부는 약간 윗쪽으로 볼록하고, 모든 실시예에서 처럼 가동부(41')가 한쪽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움직일 경우 한쪽 코너에서 시작하여 다른 코너로 연속되게 신속히 움직이면서 코너에서 4회 움직여 다른 위치로 도달한다.
도 18의 용기(48)에는 이동식 바닥부(41")가 달려있다. 기다란 결합 에지부는 43"으로 표시되고, 이들 부분과 가동 바닥부(41") 사이의 힌지선들은 42"로 표시되었는데, 이들이 도 17에는 42'로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 에지의 코너부(49)는 4분원 형태를 취한다. 이들 코너부는 유연하고 가동 바닥부(41')를 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9-21은 각각 도 18의 A-A선 단면도이다. 이들 3개 도면의 구성에서, 바닥부는 상승 위치에 놓여있다. 결합 에지들은 각각 42"-1, 42"-2, 42"-3으로 표시된다.
이들 3개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결합 에지는 다양한 적절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도, 용기는 구성상 가동바닥부의 이동성이 양호해야 하고, 압력차에 의해 외관상 뚜렷한 변형이 생기되 용기가 조악하다는 느낌을 사용자에게 주어서는 안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모두, 가동 바닥부가 특히 4군데 코너부위에서 움직이기 쉽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움직이는 부분을 포장용기 바닥에 형성한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 부분을 동일한 방식으로 벽면이나 덮개에도 형성할 수 있음은 말할 나위도 없다.

Claims (28)

  1. 위에 입구가 있고 밑에는 직립 몸체가 연결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평평한 몸체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일체형 용기;
    평면상에 놓여 있는 입구테두리로 둘러싸이되, 이 테두리는 상기 용기에 음식물과 기체나 기체혼합물을 채운 뒤, 예컨대 테두리에 밀착되는 호일 등의 덮개와 함께 밀봉기능을 하는 입구;
    바닥, 몸체부 또는 덮개의 일부를 구성하고 디스플레이서(displacer) 역할을 하며, 각각 바닥, 몸체부 또는 덮개의 나머지 주변부에 적어도 1차원적으로 탄성변형하는 결합 에지에 의해 연결되는 평평한 가동부; 및
    보호분위기 역할을 하는 기체, 예컨대 CO2와 N2의 혼합물이나 CO2와 O2의 혼합물을 갖는 충전제;를 포함하는 판매용 음식물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바닥, 몸체 또는 덮개의 상기 나머지 부위의 형상과 일치하는 사각형상을 갖고;
    상기 가동부의 표면적은 바닥, 몸체 또는 덮개의 전체 표면적의 50% 이상이며;
    상기 가동부가 굽힘강성을 갖고;
    상기 결합 에지의 4군데 코너부위 각각에는 상기 가동부의 전체 주변 위로 탄성 변형구역이 위치하며;
    상기 가동부는 바깥쪽으로 변위된 제1 위치와 안쪽으로 변위된 제2 위치 사이를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가 바닥에 위치하고, 상기 용기는 제1 위치에서는 바닥의 가동부, 제2 위치에서는 바닥 에지에 놓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구역이 두개 이상의 힌지선으로 된 상기 코너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구역이 롤링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선들이 용기의 일부 메인 평면에서 튀어나온 주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선들이 두께가 얇은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열성형이나 진공성형으로 예컨대 라미네이트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사출성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모두 안정적이어어서, 이중 안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발포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발포재 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 띠가 압출과 사이징(sizing; 선택적)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압출에 이은 라미네이팅 작업에 의해 적어도 한쪽에는 예컨대 산소차단 호일과 같은 호일층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 띠를 충분히 발포시키지 않고, 다이의 성형 공간에 열을 가하여 추가적인 성형을 함으로써 일정 두께의 벽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선들이 다이의 성형공간에 있는 리브(rib)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가 다이의 성형공간에 배치되어야만 하는 착탈식 인서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선들이 이들 힌지선에 대응하는 리브가 형성된 가열된 스탬프를 성형된 용기에 대고 눌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판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20. 제19항에 있어서, 뒤에 용기 내부를 형성하는 상기 판지의 적어도 한쪽에 산소차단 호일과 같은 호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성형면과 이에 대응하는 스탬프를 갖는 주형에 의해 판지로부터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22. 제19항에 있어서, 먼저 상기 판지에서 4군데 코너구역을 제거한 다음 벽면을 위로 접어서 벽면들이 서로 겹치게 밀봉 접착하여 상기 용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23. 제20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판지의 양쪽에 호일을 배치하고, 용접으로 밀봉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24. 제19항에 있어서, 용기에 상응하는 주형공동에 종이섬유펄프를 배치한 다음 압력 및/또는 열을 가한 상태에서 종이섬유펄프를 건조시켜 상기 용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두께 60㎛ 정도의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26. 제1항에 있어서, 감자 및/또는 생선 또는 그 가공물용 저장하기 위한 용도를갖고, 상기 기체혼합물이 CO2와 N2를 함유하며, 이들 기체 성분비는 70:30, 바람직하게는 80:20, 더 바람직하게는 9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27. 제1항에 있어서, 육류나 그 가공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도를 갖고, 상기 기체혼합물이 CO2와 N2를 함유하며, 이들 기체 성분비는 포장된 음식물의 변색과 저장수명의 관점에서 최적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28. 제1항에 있어서, 아이스크림이나 급속냉동식품과 같은 냉동식품을 저장하기 위한 용도를 갖고, 상기 보호분위기는 없으며, 덮개를 제거한 뒤 가동부를 안쪽으로 누르면 용기에서 냉동식품을 꺼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KR10-2004-7013889A 2002-03-06 2003-03-04 바닥, 몸체 또는 덮개 일부가 움직일 수 있는 음식물포장용기 Withdrawn KR200401044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20118A NL1020118C2 (nl) 2002-03-06 2002-03-06 Verpakking voor voedingswaar, voorzien van een vervormbare bodem.
NL1020118 2002-03-06
NL1020926 2002-06-23
NL1020926A NL1020926C1 (nl) 2002-03-06 2002-06-23 Verpakking voor voedingswaar, voorzien van een verplaatsbaar bodem-, romp- of dekseldeel.
NL1021508A NL1021508C1 (nl) 2002-03-06 2002-09-22 Verpakking voor voedingswaar, voorzien van een verplaatsbaar bodem-, romp- of dekseldeel.
NL1021508 2002-09-22
PCT/NL2003/000164 WO2003074385A1 (en) 2002-03-06 2003-03-04 Packaging for foodstuff comprising a displaceable bottom body or lid pa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484A true KR20040104484A (ko) 2004-12-10

Family

ID=27792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889A Withdrawn KR20040104484A (ko) 2002-03-06 2003-03-04 바닥, 몸체 또는 덮개 일부가 움직일 수 있는 음식물포장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50175741A1 (ko)
EP (1) EP1492715A1 (ko)
JP (1) JP2005519003A (ko)
KR (1) KR20040104484A (ko)
CN (1) CN1642824A (ko)
AU (1) AU2003213445A1 (ko)
NL (1) NL1021508C1 (ko)
WO (1) WO20030743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44128A1 (en) * 2003-12-17 2005-06-22 Impress Group B.V. Bowl with flexible bottom
BE1018274A3 (nl) * 2008-08-29 2010-08-03 Ryckewaert Jan Jozef Systeem en werkwijze voor het steriliseren van voedingsmiddelen in de eindverpakking.
GB0821704D0 (en) 2008-11-28 2008-12-31 British American Tobacco Co Container
SE534447C2 (sv) * 2009-11-13 2011-08-23 Pakit Int Trading Co Inc Vacuumanslutningsbar basplatta ämnad för cellulosamassagjutformar
NL1037934C2 (en) * 2010-04-29 2011-11-01 Naber Beheer B V Packaging tr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ckaging tray.
US8676718B2 (en) * 2011-10-19 2014-03-18 Frank Villegas Efficiently delivering and displaying a heated food product
WO2013142602A1 (en) 2012-03-20 2013-09-26 Berry Plastics Corporation Package
WO2014039786A1 (en) * 2012-09-07 2014-03-13 Evans James D Collapsible container
US9145251B2 (en) 2012-10-26 2015-09-29 Berry Plastics Corporation Package
JP6187850B2 (ja) * 2012-11-28 2017-08-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シート成形トレイおよび食品入トレイ
JP6117674B2 (ja) * 2013-10-22 2017-04-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貼合方法及び装置
FR3017113A1 (fr) * 2014-02-05 2015-08-07 Laurent Beaumont Procede de conditionnement de fruits frais en barquette et barquette de conditionnement
JP6388194B2 (ja) * 2014-05-09 2018-09-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シート成形トレイおよび食品入トレイ
CN103979139A (zh) * 2014-06-03 2014-08-13 兴宁市技工学校 一种熟食烹制保存方法及装置
KR101490669B1 (ko) * 2014-07-08 2015-02-06 주식회사 코빅푸드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
CN104229311A (zh) * 2014-08-28 2014-12-24 济南笨八戒食品有限公司 一种猪肉包装盒及保鲜方法
US10532872B2 (en) 2014-12-08 2020-01-14 Berry Plastics Corporation Package
GB201510505D0 (en) 2015-06-16 2015-07-29 Fiedler & Lundgren Ab Container
GB201510503D0 (en) 2015-06-16 2015-07-29 Fiedler & Lundgren Ab Container
JP7379878B2 (ja) * 2019-06-21 2023-11-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体と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4047A (en) * 1963-05-17 1965-05-18 Grace W R & Co Tray
US3426939A (en) * 1966-12-07 1969-02-11 William E Young Preferentially deformable containers
DE1302048B (de) * 1967-04-08 1969-10-16 Tedeco Verpackung Gmbh Kunststoffbehaelter
DE1982275U (de) * 1968-01-13 1968-03-28 Alfons W Thiel Behaelter, insbesondere in becherform fuer speiseeis u. dgl.
FR2503665A1 (fr) * 1981-04-09 1982-10-15 Oreal Perfectionnement aux flacons en matiere plastique
US4967538A (en) * 1988-01-29 1990-11-06 Aluminum Company Of America Inwardly reformable endwall for a container and a method of packaging a product in the container
US4836398A (en) * 1988-01-29 1989-06-06 Aluminum Company Of America Inwardly reformable endwall for a container
US5428943A (en) * 1988-09-14 1995-07-04 Kal Kan Foods, Inc. Method of filling and sealing a deformable container
CA2067256A1 (en) * 1992-04-27 1993-10-28 Chiu Hui Wu Lined and coated corrugated paperboard package systems for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f fresh fruits and vegetables
JPH07506795A (ja) * 1992-06-02 1995-07-27 エーシーアイ オペレイションズ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容器
GB9216247D0 (en) * 1992-07-30 1992-09-09 Cmb Foodcan Plc Souffle:can ends
US5546731A (en) * 1993-07-02 1996-08-20 Ihor Wyslotsky Method of extending shelf life of a comestible product while providing a locally packaged appearance
JPH11509490A (ja) * 1995-07-18 1999-08-24 コーラルテック リミテッド 成形品
US7205016B2 (en) * 1997-03-13 2007-04-17 Safefresh Technologies, Llc Packag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food products
JP2002507525A (ja) * 1998-03-20 2002-03-12 イーストマン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大気用変性包装材に使用するポリエステル発泡体
GB2337746B (en) * 1998-05-26 2002-09-18 Linpac Plastics Ltd Sealed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1021508C1 (nl) 2003-09-10
AU2003213445A1 (en) 2003-09-16
CN1642824A (zh) 2005-07-20
US20050175741A1 (en) 2005-08-11
EP1492715A1 (en) 2005-01-05
JP2005519003A (ja) 2005-06-30
WO2003074385A1 (en) 200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04484A (ko) 바닥, 몸체 또는 덮개 일부가 움직일 수 있는 음식물포장용기
JP7283777B2 (ja) フラットシートで構成される複合体、複合体を得る方法、パッケージ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品物を包装する方法
FI130517B (fi) Tuotepakkaus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sekä pakkausaihio
US8252217B2 (en) Container with injection-molded feature and tool for forming container
US5285954A (en) Flexible material container
US7000825B2 (en) Food enclosing container with rebondable rim and liquid absorption and barrier layers
EP4173981A1 (en) Manufacturing process of a heat-sealable packaging
CA2770922A1 (en) Thermal container, liner therefor, and liner forming dies
EP2259973A1 (en) A container and blank
US3863830A (en) Liquid and gas sealing cardboard package
US5060800A (en) Tight container particularly for food products
GB2024781A (en) Plastics container for the packing of a juicy product
MXPA06013453A (es) Contenedor.
WO1992017375A1 (en) Packaging container and 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the same
KR20220051980A (ko) 재활용 가능한 빙과류 포장지
EP1637459B1 (en) Folded container and relative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RU2733176C1 (ru) Картонная упаковка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NL1022835C2 (nl) Verpakking voor voedingswaar, voorzien van een verplaatsbaar bodem-, romp- of dekseldeel.
WO2005002990A2 (en) Packaging for foodstuff, comprising a displaceable bottom
JP3073821U (ja) 食品包装袋
FI20235111A1 (fi) Tuotepakkaus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JPH0986540A (ja) 包装用容器
JPH07300127A (ja) 貼 函
JPH07156982A (ja) 食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9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