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105813A - 직조된 햅틱부를 갖는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 - Google Patents

직조된 햅틱부를 갖는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5813A
KR20040105813A KR10-2004-7015406A KR20047015406A KR20040105813A KR 20040105813 A KR20040105813 A KR 20040105813A KR 20047015406 A KR20047015406 A KR 20047015406A KR 20040105813 A KR20040105813 A KR 20040105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traocular lens
distal
haptic
shaped hap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5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랴오슈가오
Original Assignee
스타 서지컬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 서지컬 컴퍼니 filed Critical 스타 서지컬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040105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81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or corneal implants;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or corneal implants;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61F2/1624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having adjustable focus; power activated variable focus means, e.g.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by the ciliary muscle or from the outside
    • A61F2/1629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having adjustable focus; power activated variable focus means, e.g.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by the ciliary muscle or from the outside for changing longitudinal position, i.e. along the visual axis when implan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or corneal implants;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or corneal implants; Artificial eyes
    • A61F2/15Implant having one or more holes, e.g. for nutrient transport, for facilitating hand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or corneal implants;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61F2002/1683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having filiform haptics
    • A61F2002/1686Securing a filiform haptic to a len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or corneal implants;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61F2002/1689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having plate-hap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렌즈 매트릭스가 제거된 육안의 수정체낭 속에 이식하기 위한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내 렌즈는 교정 시력을 제공하는 광학부와 상대적 가요성 부분 및 햅틱부의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이의 형상을 변화시키지 않고서 햅틱부 재료에 추가의 강도를 제공하는 메쉬 유사 재료로 보강된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을 갖는 한 쌍의 햅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직조된 햅틱부를 갖는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with textured haptics}
사람 안구의 생리는, 각막 또는 안구 투명부의 외부 표면과 홍채, 즉 광선에 반응성인 안구의 착색 부분 사이에 위치한 전방 챔버 및 유리체액으로 충전된 후방 챔버를 포함한다. 수정체낭 속에 함유된 렌즈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수정체는 홍채 뒤에 위치하고, 홍체를 후방 챔버와 분리시킨다. 수정체는 소대(zonules)로 불리우는 코드 유사 구조체에 의해 모양근에 부착된다. 후방 챔버의 배면 라이닝은 안구의 광선 감지 기관인 망막이고, 이는 시신경의 연장이다.
젊고 건강한 안구에 있어서, 사람의 안구는 모양근의 수축 및 이완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연 조절 능력을 갖는다. 모양근의 수축 및 이완은 수정체에 작용하여 안구에 각각 근시 및 원시를 제공한다. 모양근의 수축 및 이완은 안구의 망막 위로 들어가는 광선의 초점을 맞추는 적절한 광학 배열의 형태를 자연 수정체에 제공한다.
그러나, 자연 수정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정체의 렌즈 매트릭스의 구조가 변화하여 혼탁하게 되거나 상대적 비가요성으로 된다. 결국, 렌즈 매트릭스의 혼탁화는 당해 렌즈가 백내장성인 것으로 간주되는 시점까지 진행될 수 있고, 이는 수정체를 통해 및 궁극적으로 망막으로 통과하는 광선의 양을 현저하게 차단할 수 있다. 다행히, 광선이 망막내로 방해 없이 다시 통과할 수 있도록 백내장성 렌즈 매트릭스를 제거하는 현대의 외과적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백내장성 렌즈 매트릭스를 제거하면, 안구는 더 이상 근시 및 원시 둘 다를 제공하기 위해 자연적으로 조절할 수 없다. 백내장성 수정체는 통상의 일초점 안내 렌즈로 대체되고 있지만, 이러한 조절기능성은 회복되지 않는다. 전형적으로, 수정체를 통상의 일초점 안내 렌즈로 대체한 사람은 적절한 시각을 제공하기 위해 원시, 근시 또는 이들 둘 다에 있어서 교정 안경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원시 및 종종 중간범위 시야의 이러한 렌즈를 사람에게 이식하기 위해 다초점 안내 렌즈가 개발되었다. 이들 렌즈는 안구의 망막 위에 근거리 및 원거리 물체를 동시에 영상화하는 다초점 광학부를 갖는다. 이어서, 뇌는 적절한 영상을 선택하고 다른 영상을 은폐하며, 따라서 이초점 안내 렌즈가 안경 없이 근시 및 원시 시야 모두를 제공한다. 그러나, 다초점 안내 렌즈는 망막 위에 초점을 맞춘 각각의 다초점 영상이 단지 망막을 통해 안구에 들어가는 이용가능한 광선의 40% 이하이고 다초점 광학부에 의해 초점이 맞지 않는 나머지 광선이 안구에서 소실되어 산란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산란된 광선은 안구의 시력 및/또는 대비민감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는 이러한 렌즈 착용자가 야간에 승용차를 운전하거나 조종하고자 할 때와 같이 낮은 조명하에 시각적 업무를 시도하는 경우에 특히 중요할 수 있다.
최근 들어, 백내장성 수정체 매트릭스는, 백내장성 천연 렌즈 매트릭스를 전피막절개술을 통해 렌즈의 수정체낭으로부터 추출하는 절차를 사용하여 안구로부터 제거되어 텅빈 소포체낭을 잔류시키고, 소대를 통해 모양근에 부착된 상태로 부착된다. 전형적으로, 백내장성 렌즈 매트릭스는 파코-유화 및 흡출을 사용하는 전피막절개술을 통해 수정체낭으로부터 제거된다. 또는, 백내장성 렌즈 매트릭스는, 백내장성 물질을 파괴하여 수정체낭으로부터 흡출하는 다른 공지된 몇몇 기술을 사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백내장성 렌즈 매트릭스를 추출한 후, 안내 렌즈는 나머지 수정체낭 속에 이식될 수 있다.
모양근에 의해 수정체낭에 적용된 힘의 잇점을 취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서 안구의 광학적 접근을 따라 조절 운동을 갖는 안내 렌즈를 제공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렌즈는 휴식 또는 휴식 조건하에 안구의 최후방 위치에 위치하도록 편향되어 있다. 근초점이 바람직한 경우, 모양근이 수축하고, 렌즈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포지티브 조절기능성을 제공한다. 유사하게는, 시각적 업무가 원시를 요구하는 경우, 모양근이 자동적으로 이완하고, 렌즈가 이의 최후방 휴식 위치까지 후방으로 이동한다.
모양근에 의해 잠재적으로 제공된 조절 운동의 잇점을 취하는 안내 렌즈를 제공하는 종래의 시도는 수정체낭을 연장시키고 이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수정체낭을 완전히 충전시키는 원형 렌즈 형상을 이용하였다. 다른 시도는 수정체낭의 가장자리 또는 열구에 안내 렌즈를 고정하기 위해 중심 광학부로부터 연장하는 중심의 비가요성 광학부 및 상대적 가요성 판형 햅틱부(haptics)를 갖는 판형 구조를 이용하였다. 이들 판형 햅틱부는 너무 얇아서 중심 광학부에 대한 적절한 지지를 제공하지 않고 모양근의 이완시에 렌즈가 이의 후방 위치로 복귀하지 않거나, 판형 햅틱부는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너무 두껍게 제조되었으며, 이는 햅틱부를 상대적 비가요성으로 되게 하여, 안구에서의 렌즈 이동을 조절하도록 하는 적절한 가요성을 보장하기 위해 판형 햅틱부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경첩형 구조체의 부가를 필요로 한다.
가요성의 가변 영역을 도입하는 햅틱부를 갖는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가 요구되었고 이전에는 이용할 수 없었다. 가요성 햅틱부의 가변 영역은,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에 요구되는 조절 운동을 제공하기 위해 모양근에 의해 렌즈 위에 적용된 힘에 반응하여 햅틱부가 굴곡하도록 상대적 가요성인 햅틱부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가변 영역은, 수정체낭에서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의 위치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고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는 햅틱부의 가요성 부분 또는 영역과 비교하여 햅틱부를 상대적 비가요성으로 되도록 햅틱부가 보강되거나 강화되어 있는 영역 또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조절기능성 렌즈의 햅틱부는, 조절기능성 렌즈의 단단한 고정이 수정체낭 속에서 당해 위치에 단단하게 고정되는 것을 보장하고, 모양근에 의해 수정체에 적용된 힘이, 조절기능시 모양근의 수축 및 이완 도중에 수정체낭 속에서 렌즈 햅틱의 바람직하지 않은 이동 없이, 조절기능성 렌즈에 효율적으로 투과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섬유성 재료를 성장시켜야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의 개선된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는 햅틱부가 천연 렌즈 매트릭스의 수축 및 이완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요성의 가변 영역 또는 부분을 갖는 전체적으로 직선수차의 판형 햅틱부를 갖는다. 또한, 가요성의 가변 영역은 햅틱부가 안구의 모양근의 수축 및 이완에 따라 굴곡하여 안구의 시축을 따라 안내 렌즈의 광학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안구의 망막 위로 안내 렌즈를 통해 통과하는 광선의 초점을 변화시키고, 이에 의해 시각 조절기능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양태는 안구의 망막을 향해 광선의 초점을 맞추도록 적용된 광학부와, 광학부의 맞은 편에 결합되고 맞은 편으로부터 연장되는 전체적으로 직선수차의 판형 햅틱부 한 쌍을 포함하는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로서, 전체적으로 직선수차의 판형 햅틱부가 각각 가요성 부분과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을 포함하는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이다. 햅틱부의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은, 햅틱부의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의 두께로 배치된,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가요성이 가요성 부분의 가요성보다 작은 재료를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직선수차의 판형 햅틱부 쌍은 소정 길이, 소정 폭 및 소정 두께를 갖고, 판형 햅틱부의 두께는 햅틱부의 길이 및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한 가지 양태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직각수차의 판형 햅틱부는, 햅틱부의 종축이 광학부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광학부에 결합되어 있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햅틱부는, 햅틱부의 종축이 광학부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광학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햅틱부는 광학부에 대해 각이 이루고 있다.
한 가지 양태에 있어서,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은,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의 두께로 배치된, 강도를 증가시키는 재료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강도를 증가시키는 재료는 메쉬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판형 햅틱부 쌍 각각이 광학부에 연결된 근위 말단부 및 원위 말단부를 갖고, 하나 이상의 판형 햅틱부 쌍이 하나 이상의 판형 햅틱부 쌍의 원위 말단부에 인접한 판형 햅틱부를 통해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갖는다. 몇몇 양태에 있어서, 개구부는 판형 햅틱부의 원위 말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햅틱부 표면은 부드럽고 비점착성일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햅틱부의 표면은 직조되거나 부드러운 점착성이므로, 자연 렌즈 매트릭스의 제거 후에 전방 및 후방 피막 벽을 형성하는 섬유 조직에서 햅틱부의 고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의 양태에 있어서, 햅틱부의 원위 말단부는 복합체 형상, 예를 들면, 팔모양 또는 발모양 탭으로 형성되어 고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의 양태에 있어서, 개구부 또는 절단부는 햅틱부의 원위 말단부 속에 또는 원위 말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렌즈를 고정시키는 햅틱부 주위 또는 햅틱부를 통해 섬유 조직의 성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의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판형 햅틱부 쌍각각은 광학부에 연결된 근위 말단부 및 원위 말단부를 갖고, 하나 이상의 판형 햅틱부 쌍의 원위 말단부에 부착된 원위 부분 및 근위 말단부를 갖는 고정 부재를 추가로 포함한다. 고정 부재의 근위 말단부는 판형 햅틱부의 원위 말단부의 두께로 배치될 수 있다. 추가로, 고정 부재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굴곡시킬 수 있는 가요성 원위부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는 소정의 폭을 갖는 광학부를 갖고, 광학부에 연결된 판형 햅틱부는 근위 및 원위 말단부를 가지며, 원위 말단부는 광학부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는 폭을 갖고, 원위 말단부의 폭은 광학부의 폭과 상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햅틱부의 원위 말단부의 폭은 광학부의 폭보다 클 수도 있고, 또 다른 양태에서는 햅틱부의 원위 말단부의 폭은 광학부의 폭보다 작을 수도 있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광학부와, 가요성 및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을 갖는 햅틱부를 갖는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로서,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에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가요성이 가요성 부분보다 작은 재료가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에 도입되어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 속에 배치된 재료는 한 가지 양태로서 고체 구조를 갖거나, 또 다른 양태로서 메쉬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잇점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예로서 설명하는 다음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가 이식되어 있는 단면도로서, 렌즈는 안구의 후방 위치에 위치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가 도시되어 있는 안구의 단면도로서, 렌즈는 안구의 전방 위치에 위치한다.
도 3A는 중심 광학부와, 가요성 및 보강된 상대적 비가요성 영역을 갖는 한 쌍의 판형 햅틱부를 갖는 본 발명의 양태의 상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양태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중심 광학부와, 가요성 및 보강된 상대적 비가요성 영역을 갖는 한 쌍의 약간 볼록한 판형 햅틱부를 갖는 본 발명의 양태의 상면도로서, 햅틱부의 원위 말단부는 렌즈를 당해 위치에서 고정시키기 위해 렌즈를 통해 연장하는 섬유형성용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을 갖는다.
도 4B는 도 4A의 양태의 측면도이다.
도 5A는 섬유형성이 안내 렌즈 부분을 둘러쌈으로써 수정체낭에 렌즈를 고정시키는 복합체 형상으로 형성된 중심 광학부와 한 쌍의 판형 햅틱부를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의 상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측면도이다.
도 6A는 중심 광학부와, 각 햅틱부의 원위 말단부가 한 쌍의 암(arm)을 갖는 가요성 및 상대적 비가요성 영역을 갖는 한 쌍의 판형 햅틱부를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의 상면도로서, 각각의 암은 수정체낭에 렌즈를 고정시키기 위해 햅틱부를 통해 연장하는 홀을 포함한다.
도 6B는 도 6A의 양태의 측면도이다.
도 7A는 중심 광학부와, 가요성 및 상대적 비가요성 영역을 갖고 각 햅틱부의 원위 말단부에 위치한 슬롯을 포함하는 한 쌍의 판형 햅틱부를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의 상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양태의 측면도이다.
도 8A는 중심 광학부와, 가요성 및 상대적 비가요성 영역을 갖고 각 햅틱부의 원위 말단부에 위치한 한 쌍의 슬롯을 포함하는 한 쌍의 판형 햅틱부를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의 상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양태의 측면도이다.
도 9A는 중심 광학부와, 가요성 및 상대적 비가요성 영역을 갖는 한 쌍의 판형 햅틱부를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의 상면도로서, 각 햅틱부의 원위 말단부는 한 쌍의 탭을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탭은 햅틱부를 통해 연장하는 홀을 갖는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양태의 측면도이다.
도 10A는 중심 광학부와, 가요성 및 상대적 비가요성 영역을 갖고 햅틱부의 원위 말단부에 인접한 각 판형 햅틱부 속에 고정된 T형상 고정 부재가 도입된 한 쌍의 판형 햅틱부를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의 상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양태의 측면도이다.
도 11A는 중심 광학부와, 가요성 및 상대적 비가요성 영역을 갖는 한 쌍의 판형 햅틱부를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의 상면도로서, 각각의 판형 햅틱부는햅틱부의 원위 말단부에 위치한 한 쌍의 탭을 갖도록 형성되고, 광학부의 다른 면 위에 설치된 루프로부터 각 햅틱부의 탭 중의 하나에 사선으로 고정된 근위 말단부를 갖는 루프형 햅틱부를 갖고, 각 루프는 또한 당해 루프의 원위 말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홀을 갖는다.
도 11B는 도 10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양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안내 렌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안구에서 이방성 조절 운동을 제공하도록 적용되는 안내 렌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자연 수정체 매트릭스가 수정체낭의 전방 벽(20)에서 전피막절개술(30)을 수반하는 외과적 수술에 의해 미리 제거되어 있는 사람의 안구(10)를 나타낸다. 자연 렌즈는 탄성 전방 및 후방 벽(20 및 25)을 각각 갖는 렌즈 피막을 포함하고, 이는 안과 의사에 의해 수정체낭으로도 불리우고 본 명세서에서 각각 전방 및 후방 피막으로 불리운다. 수정체낭(15)은 통상 광학적으로 맑은 수정체 매트릭스(도시되지 않음)이다. 다수의 개개인에 있어서, 이러한 렌즈 매트릭스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혼탁하게 되고, 백내장이라고 불리우는 것을 형성하는데, 이는 렌즈를 통해 망막으로 통과하는 광선을 심각하게 방해하여, 이러한 백내장성 렌즈를 착용한 사람은 이들의 시각이 감소된다. 현재에는 자연 렌즈로부터 백내장을 제거하고 백내장성 렌즈 매트릭스를 인공 안내 렌즈로 대체함으로써 백내장 환자의 시각을 회복하는 것이 통상 실시된다.
백내장성 렌즈 매트릭스를 제거하는 통상의 외과적 수술은 전피막절개술(30)을 형성하는 것을 수반하거나, 백내장성 렌즈의 전방 피막 벽(20) 속에서 개방하는것을 수반한다. 이러한 개방이 이루어지면, 파코-유화 또는 몇몇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수정체낭(15)의 내부로부터 백내장성 렌즈 매트릭스를 제거하여 전피막절개술(20)을 통해 백내장성 렌즈 매트릭스를 제거할 수 있다.
통상, 가능한한 많은 렌즈 매트릭스를 제거하고 나머지 전방 및 후방 피막 표면을 렌즈 매트릭스 재료로부터 유리시키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피막절개술(30) 및 렌즈 매트릭스 제거 후, 수정체낭(15)은 환상 전방 피막 벽 잔류물 또는 림(rim)(35) 및 탄성 후방 피막 벽(25)을 포함하고, 이들은 수정체낭의 주변을 따라 결합하여 전방 벽 림(35)과 후방 피막 벽(25) 사이에 환상 균열형 피막 벽 열구(40)를 형성한다. 수정체낭(15)은, 전피막절개술이 자연 렌즈 위에서 실시되고 백내장성 렌즈 매트릭스가 제거된 후에 잔류하는, 자연 렌즈의 잔류물이다. 수정체낭(15)은 이의 주변에서 소대(50)에 의해 안구의 모양근(45)에 고정되어 있다.
정상 사람 수정체를 갖는 정상 사람 안구에서의 자연적인 조절기능성은 물체를 상이한 거리에서 주시하는 반응으로 자동 수축 또는 뇌에 의한 안구 모양근(45)의 수축 또는 이완을 수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육의 정상 상태인 모양근 이완은 원시를 위한 사람 수정체의 형상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양근 수축은 근시를 위한 사람 수정체의 형상이다. 원시에서 근시로의 뇌 유도된 변화를 조절기능성이라 언급한다.
안구(10)의 수정체낭(15) 속에 이식된 것은, 제거된 사람 수정체의 조절 기능을 대체하여 실시하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60)이다. 도 1에도시된 바와 같은 렌즈(60)는 통상 판형 촉각 렌즈라 한다.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를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완전히 불완전한 자연 렌즈, 예를 들면, 백내장성 자연 렌즈, 또는 안경을 착용하지 않고서 소정 거리에서 만족한 시야를 제공하지만 안경을 착용할 때에만 또 다른 거리에서 만족한 시야를 제공하는 자연 렌즈를 대체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를 사용하여 굴절 이상(refractive error)을 교정하거나, 노시성으로 되고 근시를 제공하기 위해 독서 안경, 이초점 또는 삼초점 또는 기타 광학 보조기구를 필요로 하지만 백내장은 아닐 수 있는 40대 중반 이후의 사람에 대한 조절기능성을 회복시킬 수 있다.
도 3A는, 바디(65)를 갖는 안내 렌즈(60)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원칙을 설명하고, 여기서 바디는 비교적 경질 재료, 비교적 연질 가요성 반고체 재료 또는 경질 재료와 연질 재료의 조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바디에 적합한 비교적 경질 재료의 예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설폰 및 기타 비교적 경질의 생물학적 불활성 광학 재료이다. 렌즈에 적합한 비교적 연질 재료의 예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연질 소수성 아크릴 재료, 열불안정성 재료 및 기타 가요성 반고체 생물학적 불활성 광학 재료이다.
도 3A의 설명으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바디(65)는 일반적으로 직각 형상이고, 중심 광학 영역 또는 광학부(70) 및 광학부(70)의 정반대 맞은편 엣지로부터 연장하는 판형 햅틱부(75)를 포함한다. 햅틱부는 광학부에 연결된 내부 또는 근위 말단부를 갖거나, 반대편 외부 또는 원위 자유 말단부를 갖는다. 촉각(75)의 외부 또는 원위 말단부는 광학부에 대해 전방으로 및 후방으로 이동가능하다. 설명된 특정한 렌즈 양태는 탄성 반고체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가요성의 가변 영역을 갖는 햅틱부를 갖는다.
햅틱부(75)는 햅틱부의 전체 길이를 따라 동일한 가요성을 갖지 않는다. 햅틱부(75)의 외부 부분(80)은 강화되어 적절한 강도를 제공함으로써 햅틱부(75)의 가요성을 감소시키고 수정체낭 속의 렌즈를 지지한다. 그러나, 햅틱부(75)의 내부 부분(85)은 상대적 가요성이고, 햅틱부(75)의 상대적 비가요성의 강화부(80)에 적용된 힘이 안구(5)의 시축을 따라 광학부(70)를 이동시키도록 당해 부분에서 햅틱부를 굴곡시킨다(도 1). 안구의 축(5)을 따라 광학부의 굴절은 도 2에 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모양근의 수축은, 안내 렌즈(60)의 판형 햅틱부(75)를 가요성 영역(85)에서 굴곡시키고 안내 렌즈(60)의 광학부(70)를 안구의 시축(5)을 따라 전방향으로 또는 각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정체낭(15)에 힘을 적용한다.
본 발명의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60)는 도 1에 도시된 위치에서 안구(10)의 수정체낭(15) 속에 이식된다. 수정체낭 속에 렌즈를 이식하는 경우, 안구(10)의 모양근(45)은, 도 1에서 수정체낭(15)의 위치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완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이완된 상태에서, 수정체낭은 이의 최대 직경까지 확장한다. 안내 렌즈(60)를 전피막절개술(30)을 통해 수정체낭(15)에 삽입하고, 도 1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위치에서, 렌즈 광학부(70)는 전피막절개술(30)로 안구의 축(5) 위에 정렬되고, 렌즈 면의 후방 면은 통상 수정체낭(15)의 탄성 후방 피막 벽(25)과 접촉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햅틱부(75)의 외부 또는 원위 말단부는 수정체낭(15)의 방사상 외부 주변에서 열구(40) 속에 위치한다. 안내 렌즈의 전체 길이는 확장된 수정체낭(15)의 내부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60)가 확장된 수정체낭(15) 속에 편안하게 설치된다. 통상, 안내 렌즈(60)의 길이는 전체 렌즈 직경이 9.0 내지 13.5mm, 보다 특히 10 내지 12mm일 것이다. 적합한 크기의 렌즈를 수정체낭(15)의 열구(40)에 설치함으로써 안내 렌즈(60)가 수축하고, 광학부(70)가 조절 도중에 피막 림(35) 내부 방향으로 이동된다. 통상, 안내 렌즈(60)의 중심 광학부(70)는 직경이 약 3 내지 7.5mm, 바람직하게는 광학 직경이 약 5 내지 6.5mm일 것이다.
안내 렌즈(60)의 판형 햅틱부(75)의 폭은 중심 광학부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또는, 판형 햅틱부(75)의 폭은 햅틱부(75)의 근위 말단부로부터 원위 말단부로 점차 감소하여, 햅틱부의 원위 말단부는 중심 광학부보다 넓지 않다. 또는, 햅틱부(75)의 원위 엣지의 폭은 광학부(7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판형 햅틱부(75)의 두께는 통상 약 0.05 내지 약 0.5mm이다. 판형 햅틱부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바디로부터 굴곡할 수 있다. 통상, 판형 햅틱부(75)의 각도는 광학부(70)에 대해 약 0 내지 2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광학부(70)와 햅틱부(75) 사이의 각도는 약 0 내지 12° 범위일 수 있다.
판형 햅틱부(75)의 표면은 부드럽거나 절삭 가공될 수 있다. 또는, 판형 햅틱부(75)의 표면은 부드럽고 비점착성일 수 있거나, 당해 표면을 처리하여 다소 점착성의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추가로, 햅틱부(75)의 표면은 수정체낭(15) 속에서 햅틱부(75)의 고정을 현저히 증가시키기 위해 섬유 조직의 성장을 햅틱부(75)의 표면에서 유도하는 방식으로 처리하고, 이에 의해 모양근(45)의 수축 및 이완에 의해 유도된 수정체낭(15)에 대한 힘이 렌즈(60)에 효율적으로 결합하여 안구의 축(5)을 따라 렌즈(60)의 광학부(70)를 이동시키는 것을 보장함으로서 렌즈(60)에 의해 제공된 조절기능성의 최대화를 보조할 수 있다. 렌즈(60)의 광학부 또는 광학 영역(70)은 일초점 광학부, 원환체 광학부 또는 다초점 광학부일 수 있다. 또한, 렌즈(60)의 광학부(70)의 또 다른 구조도,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가능하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되는 햅틱부(75)의 부분(80)은 햅틱부(75)의 두께로 보강재의 메쉬(90)를 유도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의 메쉬(90)는 비교적 얇은 촉각부를 보강하고, 이에 의해 햅틱부(75)의 강화부(80)는 햅틱부(75)의 가요성부(85)보다 실질적으로 덜 가요성으로 된다. 이는 비교적 얇은가요성 촉가부(75)를 사용하여 광학부(70)을 둘러싸고 있는 가요성 부분(85)에서 조절기능성을 제공하지만, 햅틱부(75)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 햅틱부(75)의 주변 또는 원위부(80)를 강화시킨다. 이러한 강화는 또한 햅틱부의 가요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또 다른 덜 경성의 재료를 햅틱부(75)에 결합시키거나 달리는 그래프트시킬 필요성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판형 햅틱부(75)의 강화에 사용된 메쉬(90)는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코폴리(프로필렌 및 에틸렌), 코폴리(프로필렌 및 부틸렌) 폴리비닐리딘 플루오라이드[등록 상표명 KYNAR로 아토피나 케미칼스 인코포레이티드(ATOFINA Chemicals, Inc.)가 시판함] 등일수 있다. 메쉬는 렌즈의 성형 도중에 렌즈(60)의 주변부(80)에 도입될 수 있다. 또는, 위에 기재된 재료의 고체 및 반고체 형태를 사용하여 햅틱부를 강화시키고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렌즈(60)는 렌즈의 형성에 사용된 재료에 적합한 성형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렌즈(60)는 사출 성형하거나 압출 성형할 수 있다. 또는, 광학부(70)가 형성될 수 있는 중심 부분 및 햅틱부(75)가 형성될 수 있는 메쉬(90)로 강화된 주변 부분이 도입되어 있는 렌즈 블랭크 또는 미가공물이 형성될 수 있다. 최종 렌즈는 광학부(70) 및 햅틱부(75)의 목적하는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정밀 선반 절단 및 연마를 사용하여 블랭크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렌즈(60)의 형성에 통상적인 재료는 앞에 기재되어 있다.
수정체낭(15)에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60)를 외과적으로 이식한 후에 2 내지 3주 정도의 수술후 치료 도중, 수정체낭(15)의 전방 피막 림(35)하의 상피 세포가 증식하고, 통상 전방 림(35)을 섬유형성으로 공지된 공정에 의해 후방 피막 벽(25)에 융합시킨다. 렌즈(60)의 햅틱부(75)는 수정체낭의 열구(40)로 연장하기 때문에, 햅틱부(75)는 통상 섬유형성으로 둘러싸이거나 캡슐화되고, 수정체낭(15) 속의 위치에 햅틱부(75)를 고정시킨다. 햅틱부(75)를 통해 연장하는 홀 또는 다른 입구가 부재하는 경우, 햅틱부는 섬유형성 속에 형성된 포켓에 존재한다. 복합체 형상의 햅틱부(75)가 형성되거나 홀 또는 다른 구멍을 포함하는 경우, 섬유형성은 햅틱부(75)를 통해 연장하여 섬유형성 재료의 포켓 속에 햅틱부(75)를 추가로 고정시킬 수 있다.
햅틱부 포켓의 적절한 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모양근 작용에 의한 렌즈 햅틱부의 굴곡 없이 섬유형성이 완결되기에 충분한 시간이 허용되어야 한다. 이를 달성하는 한 가지 방법은 환자의 안구에 주기적으로 안근마비 액적, 예를 들면, 아트로핀을 수술후 섬유형성 기간 동안 투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액적은 이의 이완된 상태로 모양근(45)을 유지시키고, 모양근(45)의 조기 수축을 방지하고, 햅틱부(75) 중의 하나 또는 둘 다를 이들 각각의 섬유 포켓으로부터 제거시키고 렌즈의 조절 기능의 만족한 성능보다 적은 성능을 유도할 수 있다. 최악의 경우, 외과의사는 안구를 다시 조작하고/하거나 렌즈(60)의 햅틱부(75)를 열구(40)에 다시 위치시킬 수 있다.
전방 피막 림(35)은 섬유형성 도중에 수축하고, 이에 의해 방사상 방향으로 약간 수정체낭(15)를 수축시킨다. 이러한 수축은 렌즈 햅틱부(75)의 고정과 조합되어, 햅틱부(75)의 가요성부(85)에서 렌즈를 휘게 하거나 굴곡시키는 경향이 있는 햅틱부(75)의 말단부 위에 반대 말단부식 압축력을 생성하고, 이에 의해 렌즈(60)의 광학부(70)를 안구의 축(5)를 따라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60)는 독특하게 구성되어 동일한 모양근 작용을 사용하며, 자연 렌즈는, 도 1에 도시된 원시 위치와 도 2에 도시된 근시 위치 사이에 안구의 광학 축(5)을 따라 렌즈 광학부(70)의 조절기능성 이동을 수행하는 상이한 거리에서 안구의 초점을 맞추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원경을 주시하는 경우, 뇌는 모양근(45)를 이완시킨다. 모양근의 이완은 수정체낭(15)을 이의 최대 직경까지 확장시키고, 이의 섬유성 전방 피막 림(35)을 가리치게 한다. 교시된 림(35)은 렌즈 광학부(70)를 후방으로 이의 후방 원시 위치로 편향시킨다. 책을 읽을 때와 같이 근경을 주시하는 경우, 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양근을 수축 또는 압축시킨다. 이러한 모양근 수축은, 유리체강 압력을 증가시키고, 수정체낭(15) 및 특히 이의 섬유형성 전방 피막 림(35)을 이완시키며, 렌즈(60)의 말단부식 압축을 일으키는 렌즈 햅틱부(75)의 말단부 위에서 반대 말단부식 압축력을 발휘하는 3배 효과를 갖는다. 전방 피막 림(35)의 이완은 림을 전방으로 굴곡시키고, 이에 의해 후방으로 확장된 후방 피막에 의해 렌즈(60) 위에서 발휘된 조합 전방 편향력 및 증가된 유리체강 압력을 도 1의 위치로부터 도 2의 위치까지 초기 조절기능성 이동으로 렌즈를 전방으로 밀어낸다.
렌즈 햅틱부(75)는 조절 도중에 렌즈 광학부(70)에 대해 이들의 가요성부(85)에서 굴곡한다. 이러한 굴곡 도중에 가요성부(85)에서 나타난 탄성 변형 에너지력은 렌즈(60) 위에 추가의 전방 및/또는 후방 힘을 생성한다. 렌즈(60)는 정상의 비강화된 위치를 나타내도록 설계되어, 렌즈의 비강화된 위치에 따라 가까운 위치에서 렌즈의 조절기능성을 보조 또는 방해하고 렌즈(60)를 이의 먼 위치로 반송하는 것을 보조한다.
도 4A 내지 11B는 본 발명의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에 대한 변형을 설명한다.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설명된 양태는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단지 본 발명의 가능한 각종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 구조 도입 양태의 예일 뿐이다. 이들 추가의 양태는, 후방 피막 벽(25)이 파괴되거나 또는 후피막절개술이 섬유형성에 기인하여 혼탁 또는 불명료하게 되는 피막 벽(25)에서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후방 피막 벽(25)에 실시되어야 하는 경우, 안구의 후방 챔버의 도입으로부터 렌즈를 보호하기 위해 렌즈 햅틱부를 수정체낭(15)에 고정 또는 고착시키는 각종 수단을 구체화한다.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도 4A 내지 도 11B에 도시된 추가의 양태가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대해 앞에 기재된 본 발명을 실시하는 렌즈 구조의 단순한 변형물이고 도 3A 내지 도 3C와 관련하여 기재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안구(10)의 수정체낭(15)에 이식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는 도 3A 내지 도 3C와 관련하여 기재한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와 유사하고, 여기에 부착된 광학부(125) 및 한 쌍의 햅틱부(130)를 갖는 렌즈 바디(122)를 갖는다. 햅틱부(130)는 외부 강화부(135) 및 내부 가요성부(140)를 갖는다. 햅틱부(130)의 강화부(135)는 도 3A 내지 도 3C와 관련하여 상술된 메쉬 또는 고체 재료 등의 상대적 비가요성 재료을 도입함으로써 형성된다. 햅틱부(130)의 강화부(135)의 주변 엣지에는 슬롯(150)이 인접하여 위치한다. 슬롯(155)은 전방 피막 림(35) 및 후방 피막 표면 벽(25) 사이에 섬유형성을 위한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전방 피막 림(35)의 형성을 위해 수정체낭(15)의 위치에 렌즈(120)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렌즈(120)는 수정체낭(15) 속의 위치에 단단하게 고정되며, 이는, 소대(50)를 통해 모양근(45)에 의해 수정체낭(15)의 림에 힘을 적용하는 경우, 모양근(45)에 의해 수정체낭에 부여된 임의의 운동이 햅틱부(130) 하나 또는 둘 다의 주변 말단부를 제거하지 않고서 렌즈(120)의 바디(122)에 투과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양태에 있어서, 바디(152), 광학부(155) 및 햅틱부(160)를 갖는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150)가 도시되어 있다. 이전 양태에서와 같이, 햅틱부(160)는 강화 부분(165) 및 가요성 부분(175)을 포함한다. 강화 부분(165)은,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상대적 비가요성 재료를 도입함으로써 형성된다. 추가로, 햅틱부(160)의 주변부(165)로부터 제조 도중에 재료를 제거함으로써 말단부 T 형상의 부분을 갖는 햅틱부(160)의 주변부가 형성된다. 주변부(165)의 생성된 형상은 주변부(165)에 컷 인(cut-ins)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복합 만곡부를 도입하고, 실질적으로 T 형상을 갖는 햅틱부(160)의 주변부(165)의 원위 말단부(180)을 생성한다. 또는, 컷 인(175)을 형성하기 위해 재료를 제거하는 대신에, 컷 인(175)은 렌즈(150)를 목적하는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햅틱부(160)의 T 형상 원위부(180)는 컷 인(175)에 멀리 떨어져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185)을 포함할 수 있다. 홀(175)은 도 5A에 도시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T 형상의 헤드 말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T 형상부(165)의 상부를 따라 어디든지 홀(175)을 형성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추가로, 햅틱부(160)의 T 형상 원위 말단부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의 구조 요건에 따라서만 다른 구조도 고려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위에 기재한 바와 같이, 컷 인(175) 및/또는 홀(180)의 형성은 수정체낭(15)의 섬유 형성 도중에 렌즈(150)의 햅틱부(160)의 고정을 개선시킨다. 햅틱부(160)의 T 형상의 원위부(180)는 성장한 다음 컷 인(175)을 통해 내피 세포의 섬유를 형성시키고, 섬유형성된 수정체낭 속에 햅틱부(160)의 T 형상의 원위부(180)를 단단히 고정시킨다. 추가로, 홀(185)의 크기는 봉합 트레드를 조절하는 크기이므로, 수정체낭이 파괴되거나 렌즈를 지지할 수 없는 경우에, 봉합선이 햅틱부의 말단부과 안구의 렌즈 유지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의 또 다른 양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양태에 있어서,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200)는 광학부(205) 및 한 쌍의 햅틱부(210)를 갖는 바디(202)를 포함한다. 햅틱부(210)는 강화부(215) 및 비강화 가요성부(220)를 포함한다. 강화부(215)는 상술된 메쉬 등의 상대적 비가요성 재료를, 목적하는 강도를 제공하도록 선택한 부분에서 햅틱부에 도입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햅틱부(210)의 강화부(215)는 햅틱부(225) 각각의 원위 말단부에 인접하여 통합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암(225)을 포함한다. 또는, 렌즈(200)는 단지 하나의 햅틱부(210) 쌍이 한 쌍의 암(225)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A에 도시된 양태에 따라서,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200)는 총 4개의 암(225)을 가질 수 있고, 한 쌍은 햅틱부(225) 각각의 주변 또는 원위 말단부에 위치한다. 또는, 렌즈(200)는 단지 하나의 햅틱부(210) 쌍이 한 쌍의 암(225)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햅틱부(225)의 강화부(215)는 암(225)을 형성하는 컷 아웃(230)을 포함한다. 암(225)의 폭에 따라, 암은 다소 가요성이거나 상대적 비가요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암(225)은, 암(225)이 섬유형성 동안에 수정체낭이 수축함에 따라서 약각 굴곡할 수 있기에 충분히 얇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추가로, 암(225)의 이러한 만곡부는 또한 렌즈의 이식 동안에 수정체낭(15) 속에서 렌즈(200)의 중심을 이루는 것을 보조할 수 있으며, 이는 스프링 암(225)을 안내 렌즈(200)의 광학부(205) 방향으로 편향시킨다. 예를 들면, 가요성 암(225)을 갖는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200)의 양태는, 암(225)의 가요성이 안내 렌즈(200)의 이식을 위한 최적 직경보다 직경이 약간 작거나 수정체낭(15)의 열구(40)의 형상으로 약간 균일하지 않을 수 있는, 안내 렌즈(200)를 수정체낭(15) 속에 이식되게 한다. 통합적으로 형성된 암(225)의 스프링 유사 성질은, 당해 렌즈가 이식되는 경우, 암을 약간 압축시킨다. 추가로, 암(225)의 스프링 유사 성질은, 렌즈가 이식된 후, 렌즈 피막의 섬유형성 동안에 광학부(205) 방향으로 암(225)을 압축시킨다. 다욱이, 컷 아웃(230)은 렌즈 피막의 전방 및 후방부가 함께 섬유 형성하여 암(225)을 포획하는 섬유형성 중의 포켓을 형성하고, 이는 수정체낭(15) 속에 안내 렌즈(200)의 적절한 고정 및 고착을 보장한다.
추가의 양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홀(235)이 암(225)의 하나 이상의 말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A는 홀(235)이, 암(225)이 햅틱부(225)의 나머지 강화부(215)에 연결되는 가장 먼 암(225)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며, 이는 홀(235)이 암(225)을 따라 어느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상술된 양태의 햅틱부에 형성된 홀과 유사하게, 홀(235)은 이들이 홀을 통해 섬유형성한다는 점에서 안내 렌즈의 추가의 고정 및 고착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렌즈(200)를 안구의 소정 부분에 결합시키기 위해 홀을 통해 꿰맨 봉합을 사용하여 이식 도중에 렌즈의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는, 도 6A에 도시된 양태로 제한하지 않고서, 봉합은, 안구의 작은 절개를 통해 및 비교적 작은 전피막절개술(30)을 통해 렌즈(200)의 이식 도중에 중첩 또는 압축 상태로 렌즈(200)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홀(235)을 통해 꿰매질 수 있다. 렌즈(200)가 수정체낭(15)에 삽입되면, 봉합은 홀(235)을 통해 잡아당겨지고, 암(235) 및 햅틱부(210)를 방출하여 햅틱부(210)가 정상의 비중첩되거나 비압축된 형상을 취하게 한다.
도 7A 및 도 7B는 도 3A 내지 도 3C와 관련하여 상술된 상태와 유사한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양태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양태와 유사하고, 이들 도면과 관련된 설명은 도 7A 및 도 7B에 동등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양태의 조절기능성 렌즈(250)는 여기에 부착된 광학부(255) 및 한 쌍의 햅틱부(260)을 갖는 렌즈 바디(252)를 갖는다. 햅틱부(260)는 외부 강화부(265) 및 내부 가요성부(270)를 갖는다. 햅틱부(260)의 강화부(265)는 상술된 메쉬 등의 상대적 비가요성 재료를 도입함으로써 형성된다. 햅틱부(260)의 강화부(265)의 주변 또는 원위 엣지에는 슬롯(275)이 인접하여 위치한다. 도4A 및 도 7A에 설명된 양태와 비교하는 경우에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렌즈 바디(122)(도 4A)는 렌즈(120)의 햅틱부(130)의 원위 말단부의 폭이 렌즈(120)의 광학부(125)의 폭보다 넓고, 렌즈(250)(도 7A)의 햅틱부(260)의 원위 말단부의 폭은 실질적으로 렌즈(250)의 광학부(255)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유사하게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양태는 도 7A의 양태와 유사하고, 단, 단일 슬롯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250)의 햅틱부(260)의 원위 말단부의중간 부분에 위치하기 보다는, 도 8A에 도시된 양태는 한 쌍의 슬롯(325)이 렌즈(300)의 햅틱부(310)의 강화부(315)의 원위 말단부의 주변 코너에 인접한 렌즈(300)의 햅틱부(310)에 형성된다.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슬롯(325)의 수가 도시된 양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경우에 따라, 다소 많거나 적은 슬롯(325)이 햅틱부(310)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도 9A 및 도 9B에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광학부(355) 및 한 쌍의 햅틱부(360)를 포함하는 바디(352)를 갖는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350)가 도시되어 있다. 햅틱부(360)는 강화부(365) 및 비강화된 상대적 가요성부(370)를 포함한다. 햅틱부(360)의 강화부(365)는 상대적 비가요성 재료, 예를 들면, 상술된 메쉬를 햅틱부(360)에 도입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9A에 도시된 양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햅틱부(360)의 원위 말단부는 렌즈(350)의 광학부(355)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다. 또는, 햅틱부(360)의 원위 말단부의 폭은 광학부(355)의 폭보다 크거나 동일할 수 있다.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350)는 또한, 수정체낭(15)에 렌즈(350)를 위치시키고 고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한 쌍의 탭 또는 발모양 형상(380)을 제공하는 햅틱부(360) 하나 또는 둘 다에 형성된 컷 아웃(375)을 포함할 수 있다. 컷 아웃(375)은 햅틱부(360)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되거나, 달리는, 컷 아웃(375)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성형 기술을 사용하여 렌즈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위의 양태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홀이 탭(380) 속에 형성되어 햅틱부(360)를 통해 섬유 조직을 성장시킬 수 있다. 도 9A는 각각의 탭(380)에 형성된 홀(385)을 갖는 렌즈(350)를 나타내지만, 각각의 탭에 홀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한 가지 양태에 있어서, 홀(385)은, 당해 홀이 광학부(355)에 서로 대각선으로 위치한 탭(380)에만 형성되도록 햅틱부(360)의 탭 속에 형성될 수 있다.
본원에 상술된 조절기능성 판형 햅틱부 렌즈는, 이러한 구조를 의사가 적절한 것으로 결정한 다른 상황에도 사용할 수 있지만, 전피막절개술 및 후속의 렌즈 매트릭스의 제거가 원주 연속적인 순수한 피막 잔류물 또는 림을 형성하고, 섬유형성 도중 및/또는 섬유형성 후에 수정체낭 속의 적절한 위치에 렌즈를 유지하기 위해 판형 햅틱부의 주변 엣지를 포획하기에 충분한 폭을 갖는 경우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단순한 판형 햅틱부에만 한정되지 않고, 도 10A, 도 10B,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시켜, 수정체낭의 전방 피막 또는 잔류물 또는 림이 파괴되거나 절단되거나 파괴되는 경우, 또는 이들의 방사상 폭이 너무 작아서 섬유형성 도중 및/또는 후에 적절한 위치에 렌즈를 단단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파괴된 전방 피막 또는 잔류물 또는 림, 또는 충분한 방사상 폭을 갖지 않는 것은 다음 이유로 인해 단순한 판형 햅틱부 렌즈의 활용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파괴된 림은 렌즈 햅틱부를 섬유형성 도중에 수정체낭의 열구 속에 단단히 유지시킬 수 없다. 이는, 전방 피막이 파괴되거나 장기간에 걸쳐 혼탁해지는 경우, 유리체강으로의 전위 등과 같은 렌즈의 중심이탈 및/또는 전위를 용이하게 하고, 레이저로 절단하여 후방 피막에서 피막절개술을 제공한다. 파괴된 피막 림은 순수한 피막 또는 림의 교시된 트램폴린 유사 조건을 가정할 수 없게 한다. 결과적으로, 파괴된 피막 림은 섬유형성 도중 및 후에 후방 피막에 대한 원시 위치로 판형 햅틱부 렌즈의 충분한 후방 굴절을 실시할 수 없다. 파괴된 피막 또는 림은 또한 섬유형성 동안 렌즈의 전방 굴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안내 렌즈의 배율은 개개 환자를 위해 선택되고 이들의 안경 디옵터에 의존하며, 안경 부재하의 양호한 시각은 조절기능성 범위 전체에 걸쳐 망막으로부터 정확한 교정 거리에 위치하는 렌즈 광학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단순한 판형 햅틱부 렌즈는 파괴된 전방 피막 잔류물 또는 림에 사용할 수 없다.
도 10A 및 도 10B는 렌즈 바디(405) 및 한 쌍의 햅틱부(410)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르는 변형된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400)를 설명한다. 이전 양태에서와 같이, 햅틱부(410)는 판형 형상을 갖고, 강화부(415) 및 상대적 가요성부(420)를 갖는다. 도시된 양태에 있어서, 햅틱부(410)의 원위 말단부는 하나 이상의 컷 아웃부(425)를 포함하고, 다른 양태는 컷 아웃부(425)를 포함하지 않는다. 고정 부재(430)는 햅틱부(410)의 강화부(415) 속에 고정된다. 한 가지 양태에 있어서, 고정 부재(430)는 햅틱부(410)의 두께로 설치되어 있는 근위 또는 고정 말단부(435), 및 한 쌍의 암(440)을 갖는 원위의 실질적으로 T 형상의 말단부를 갖는다. 암(440)은 가요성 또는 상대적 비가요성일 수 있다. 고정 부재(430)의 형상은 수정체낭에서 렌즈(400)의 고정 및 배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고정 부재(430)의 원위 말단부 주위에 섬유 조직을 성장시킨다. 고정 부재는 생물적합성 재료,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기타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단 이러한 재료는 생물적합성이 있고 요구되는 물리적 특성, 예를 들면, 가요성, 강도 및 멸균능을 갖는다.
고정 부재(430) 및 햅틱부(410)는, 당해 햅틱부가 렌즈의 조절 도중에 굴곡되는 경우, 당해 고정 부재(430) 및 햅틱부(410)가 햅틱부를 길게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상호 결합된다. 고정 부재는 통상 렌즈(400)의 제조 동안 햅틱부(410)의 두께로 설치된다. 한 가지 기술은, 고정 부재(430)를 수용하기 위해 설계된 주형을 사용하여 고정 부재(430)를 렌즈(400)의 햅틱부(410)에 도입하는 렌즈(400)의 삽입 성형을 포함한다. 또는, 렌즈 바디(402)가 충분한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 고정 부재(430)의 고정부(435)를 수용하고 유지하는 크기를 갖는 햅틱부(410)의 원위 말단부에 공동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 부재(430)는 렌즈 바디(402)가 형성된 후에 공동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 부재(430)를 햅틱부(410)에 설치하는 데에는, 고정 부재(430)의 고정부(435)의 삽입 및 유지를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히 가요성인, 햅틱부(410)의 강화부(415)를 적어도 공동에 인접한 부분에 반드시 필요로 한다. 또는, 햅틱부(410)의 강화부(415)가 상대적 비가요성인 경우, 공동 부분에서 강화부(415)를 확장시키지 않고서 공동에 삽입되도록 배열된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430)가 공동에 삽입되고, 햅틱부(410) 및 고정 부재(430)의 두께를 통해 연장하는 핀 또는 봉합 등의 적합한 접착 또는 기타 수단으로 유지될 수 있다.
안내 렌즈(450)의 바디에 통합적으로 부착된 고정 부재의 상이한 양태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의 또 다른 양태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양태에 있어서, 렌즈(450)는 렌즈 바디(452) 및 한 쌍의 햅틱부(460)를 갖는다. 이전 양태에서와 같이, 햅틱부(460)는 팔형 형상을 갖고, 상대적 비가요성의 강화부(465) 및 상대적 가요성부(470)를 갖는다. 도시된 양태에 있어서, 햅틱부(460)의 원위 말단부는 하나 이상의 컷 아웃부(475)를 포함하여, 햅틱부(460)의 원위 말단부에 한 쌍의 탭(480)을 형성하고, 다른 양태는 컷 아웃(475) 또는 탭(480)을 포함하지 않을 것이다. 고정 부재(490)는 햅틱부(460)의 강화부(465)에 고정된다. 한 가지 양태에 있어서, 고정 부재(490)는 루프 형상이고, 햅틱부(460)의 두께로 설치된 근위 또는 고정 말단부(495) 및 원위 말단부(500)을 갖는다. 고정 부재(490)는 가요성 또는 상대적 비가요성일 수 있다. 고정 부재(490)가 상대적 가요성인 경우, 가요성은 가변 형상 및 직경을 갖는 수정체낭을 조절하기 위해 원위 말단부(500)을 광학부(455) 방향으로 인접하게 또는 광학부(455)로부터 멀리 떨어져 이동시킨다. 추가로, 고정 부재(490)의 형상은 수정체낭에 렌즈(400)의 고정 및 배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고정 부재(430)의 원위 말단부 주위에 섬유 조직을 성장시킨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고정 부재(490)의 원위 말단부(500)은 홀(50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A는 고정 부재(490)가 이들의 원위 말단부(500)에 형성된 홀(505)을 갖는 본 발명의 양태를 나타내지만, 고정 부재(490) 쌍 중의 단지 하나만이 이의 원위 말단부(500)에 형성된 홀(505)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전의 양태에서와 같이, 홀(505)은 수정체낭에 고정 부재(490)의 원위 말단부(500)을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해 홀(505)을 통해 섬유 조직을 성장시킨다. 추가로, 고정 부재(490)의 원위 말단부(500) 속의 홀(505)은 봉합부를 홀(505)에 통과시키고, 이를 결합시켜 수정체낭에 렌즈(450)의 이식 동안 조립된 관계로 고정 부재(490) 및 렌즈 바디(452)를 유지시킨다. 앞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러한 봉합부는 수술 종결 시점에 제거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고정 부재(490)의 원위 말단부(500)을 방출시켜 수정체낭(15)(도 1)의 열구(40)로 도약할 수 있고, 렌즈(450)의 중심을 수정체낭(15) 속에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구체적인 양태가 설명되고 기재되었지만, 다양한 변형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명백하다. 따라서, 이는, 첨부된 청구의 범위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40)

  1. 안구의 망막 방향으로 광선의 초점을 맞추도록 적용된 광학부와, 광학부의 맞은 편에 결합되고 맞은 편으로부터 연장되는 전체적으로 직선수차의 판형 햅틱부 한 쌍을 포함하는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로서,
    전체적으로 직선수차의 판형 햅틱부가 각각 가요성 부분과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을 포함하는,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이, 햅틱부의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의 두께내에 배치된 것으로서,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가요성 부분의 가요성보다 작은 가요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는,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직선수차의 판형 햅틱부 쌍이 소정의 길이, 폭 및 두께를 가지고, 판형 햅틱부의 두께가 햅틱부의 길이 및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
  4. 제3항에 있어서,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이,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의 두께내에 배치된 것으로서,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재료를 포함하는,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
  5. 제1항에 있어서, 판형 햅틱부 쌍 각각이 광학부에 연결된 근위 말단부 및 원위 말단부를 갖고, 하나 이상의 판형 햅틱부 쌍이, 하나 이상의 판형 햅틱부의 원위 말단부에 인접한 판형 햅틱부를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개방부를 갖는,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
  6. 제1항에 있어서, 판형 햅틱부 쌍 각각이 광학부에 연결된 근위 말단부 및 원위 말단부를 갖고, 하나 이상의 판형 햅틱부 쌍의 원위 말단부에 부착된 원위부 및 근위 말단부를 갖는 고정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
  7. 제3항에 있어서, 광학부가 소정의 폭을 갖고, 하나 이상의 판형 햅틱부 쌍의 길이를 따라서 하나 이상의 판형 햅틱부 쌍의 폭이 광학부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
  8. 제3항에 있어서, 판형 햅틱부 쌍 각각이 광학부에 연결된 근위 말단부 및 원위 말단부를 갖고 광학부가 소정의 폭을 가지며, 하나 이상의 판형 햅틱부 쌍의 원위 말단부의 폭이 광학부의 폭과는 다른,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
  9. 제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판형 햅틱부 쌍의 원위 말단부의 폭이 광학부의 폭보다 작은,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
  10. 제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판형 햅틱부 쌍의 원위 말단부의 폭이 광학부의 폭보다 큰,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
  11. 제2항에 있어서, 재료가 메쉬 형태인,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
  12. 제4항에 있어서, 재료가 메쉬 형태인,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
  13. 제6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가 상대적 가요성 루프이고, 고정 부재의 원위 말단부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굴곡될 수 있는,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
  14. 제6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가 고정 부재를 통해 연장되는 홀을 포함하는,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
  15. 제14항에 있어서, 홀이 고정 부재의 원위부의 원위 말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
  16. 안구의 망막 방향으로 광선의 초점을 맞추도록 적용된 광학부와, 광학부의 맞은 편에 결합되고 맞은 편으로부터 연장되는 전체적으로 직선수차의 판형 햅틱부 한 쌍을 포함하는 안내 렌즈로서,
    전체적으로 직선수차의 판형 햅틱부가 소정의 길이 치수와 폭 치수를 갖고,길이 치수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가요성 부분과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을 포함하고,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이, 전체적으로 직선수차의 판형 햅틱부의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의 두께내에 배치된 것으로서, 가요성 부분의 가요성보다 작은 가요성을 갖는 상대적 비가요성 재료를 포함하는, 안내 렌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대적 비가요성 재료가 메쉬로서 형성되어 있는, 안내 렌즈.
  18. 제16항에 있어서, 판형 햅틱부가 광학부에 연결된 근위 말단부 및 소정의 폭 치수를 갖는 원위 말단부를 갖고, 판형 햅틱부의 원위 말단부의 폭 치수가 광학부의 폭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안내 렌즈.
  19. 제16항에 있어서, 판형 햅틱부가 광학부에 연결된 근위 말단부 및 소정의 폭 치수를 갖는 원위 말단부를 갖고, 판형 햅틱부의 원위 말단부의 폭 치수가 광학부의 폭 치수와는 다른, 안내 렌즈.
  20. 제19항에 있어서, 판형 햅틱부의 원위 말단부의 폭 치수가 광학부의 폭 치수보다 작은, 안내 렌즈.
  21. 제19항에 있어서, 판형 햅틱부의 원위 말단부의 폭 치수가 광학부의 폭 치수보다 큰, 안내 렌즈.
  22. 제16항에 있어서, 판형 햅틱부 쌍 각각이 광학부에 연결된 근위 말단부 및 원위 말단부를 갖고, 하나 이상의 판형 햅틱부 쌍의 원위 말단부 내에 배치된 것으로서 원위부 및 근위 말단부를 갖는 고정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내 렌즈.
  23. 제22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가 상대적 가요성 루프이고, 고정 부재의 원위부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굴곡될 수 있는, 안내 렌즈.
  24. 제16항에 있어서, 판형 햅틱부 쌍 각각이 각진 방식으로 광학부에 연결되어 있는, 안내 렌즈.
  25. 안구의 망막 방향으로 광선의 초점을 맞추도록 적용된 광학부와, 광학부의 맞은 편에 결합되고 맞은 편으로부터 연장되는 판형 햅틱부 한 쌍을 포함하는 안내 렌즈로서,
    판형 햅틱부 쌍이 소정의 길이 치수와 폭 치수를 갖고, 하나 이상의 판형 햅틱부 쌍이 길이 치수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판형 햅틱부가 가요성 부분과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을 포함하는, 안내 렌즈.
  26. 제25항에 있어서,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이,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의 두께내에 배치된, 강도 증가용 재료를 포함하는, 안내 렌즈.
  27. 제26항에 있어서, 상대적 비가요성 재료가 메쉬로서 형성되어 있는, 안내 렌즈.
  28. 제25항에 있어서, 판형 햅틱부가 광학부에 연결된 근위 말단부 및 폭 치수를 갖는 원위 말단부를 갖고, 판형 햅틱부의 원위 말단부의 폭 치수가 광학부의 폭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안내 렌즈.
  29. 제25항에 있어서, 판형 햅틱부가 광학부에 연결된 근위 말단부 및 폭 치수를 갖는 원위 말단부를 갖고, 판형 햅틱부의 근위 말단부의 폭 치수가 광학부의 폭 치수와는 다른, 안내 렌즈.
  30. 제29항에 있어서, 판형 햅틱부의 원위 말단부의 폭 치수가 광학부의 폭 치수보다 작은, 안내 렌즈.
  31. 제29항에 있어서, 판형 햅틱부의 원위 말단부의 폭 치수가 광학부의 폭 치수보다 큰, 안내 렌즈.
  32. 제25항에 있어서, 판형 햅틱부 쌍 각각이 광학부에 연결된 근위 말단부 및 원위 말단부를 갖고, 하나 이상의 판형 햅틱부 쌍의 원위 말단부내에 배치된 원위부 및 근위 말단부를 갖는 고정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내 렌즈.
  33. 제32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가 상대적 가요성 루프이고, 고정 부재의 원위부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굴곡될 수 있는, 안내 렌즈.
  34. 제25항에 있어서, 판형 햅틱부 쌍 각각이 각진 방식으로 광학부에 연결되어 있는, 안내 렌즈.
  35. 안구의 망막 방향으로 광선의 초점을 맞추도록 적용된 광학부와, 광학부의 맞은 편에 결합되고 맞은 편으로부터 연장되는 전체적으로 직선수차의 판형 햅틱부 한 쌍을 포함하는 안내 렌즈로서,
    전체적으로 직선수차의 판형 햅틱부 각각이 가요성 부분과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을 갖고,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이,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의 두께내에 도입되는 강도 증가용 수단을 갖는, 안내 렌즈.
  36. 제35항에 있어서, 판형 햅틱부 쌍 각각이 광학부에 연결된 근위 말단부 및 원위 말단부를 갖고, 하나 이상의 판형 햅틱부 쌍의 원위 말단부내에 배치된 것으로서 원위부 및 근위 말단부를 갖는 고정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내 렌즈.
  37. 제36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가 상대적 가요성 루프이고, 고정 부재의 원위 부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굴곡될 수 있는, 안내 렌즈.
  38. 광학부 및 한 쌍의 판형 햅틱부를 갖는, 안구의 시축을 따라 안구의 수정체낭에 이식하기 위한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에 있어서,
    판형 햅틱부가, 안구의 망막 방향으로 렌즈를 통과하는 광선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 소대(zonules)에 의해 수정체낭에 연결된 안구의 모양근에 의해 렌즈에 적용된 힘에 반응하여 안구의 축을 따라 광학부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되어 있고,
    판형 햅틱부 쌍 각각이 광학부에 연결된 근위 말단부 및 원위 말단부를 갖고, 근위 말단부로부터 원위 말단부까지 실질적으로 동일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근위 말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상대적 가요성 부분 및 원위 말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햅틱부의 가요성 부분보다 작은 가요성을 갖는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을 갖고,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이, 판형 햅틱부 쌍 각각의 두께내에 배치된 상대적 비가요성 부분에 강도를 제공하기 위한 재료를 포함하는,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
  39. 제38항에 있어서, 판형 햅틱부 쌍 각각이 광학부에 연결된 근위 말단부 및 원위 말단부를 갖고, 하나 이상의 판형 햅틱부 쌍의 원위 말단부내에 배치된 것으로서, 원위부 및 근위 말단부를 갖는 고정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내 렌즈.
  40. 제39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가 상대적 가요성 루프이고, 고정 부재의 원위부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굴곡될 수 있는, 안내 렌즈.
KR10-2004-7015406A 2002-03-29 2003-03-26 직조된 햅틱부를 갖는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 Ceased KR200401058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113,119 US20030187505A1 (en) 2002-03-29 2002-03-29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with textured haptics
US10/113,119 2002-03-29
PCT/US2003/009449 WO2003082147A2 (en) 2002-03-29 2003-03-26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with textured haptic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813A true KR20040105813A (ko) 2004-12-16

Family

ID=28453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5406A Ceased KR20040105813A (ko) 2002-03-29 2003-03-26 직조된 햅틱부를 갖는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030187505A1 (ko)
EP (1) EP1578307A3 (ko)
JP (1) JP2006511242A (ko)
KR (1) KR20040105813A (ko)
AU (1) AU2003218431B2 (ko)
CA (1) CA2477957A1 (ko)
WO (1) WO200308214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3634A (ko) * 2013-04-10 2015-12-23 데이브, 자그래트 나타바르 개방부 및 동심 환형 구역을 갖는 파킥 렌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27581T3 (es) * 1995-02-15 2005-04-01 Medevec Licensing B.V. Lente intraocular acomodadora que tiene hapticos en forma de t.
US20060149369A1 (en) * 1997-05-20 2006-07-06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Accommodating arching lens
US20030060881A1 (en) 1999-04-30 2003-03-27 Advanced Medical Optics, Inc. Intraocular lens combinations
US20060238702A1 (en) 1999-04-30 2006-10-26 Advanced Medical Optics, Inc. Ophthalmic lens combinations
US20120016349A1 (en) 2001-01-29 2012-01-19 Amo Development, Llc. Hybrid ophthalmic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of interfacing a surgical laser with an eye
US20030060878A1 (en) * 2001-08-31 2003-03-27 Shadduck John H. Intraocular lens system and method for power adjustment
US7150759B2 (en) * 2002-01-14 2006-12-19 Advanced Medical Optics, Inc. Multi-mechanisti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es
US7763069B2 (en) 2002-01-14 2010-07-27 Abbott Medical Optics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with outer support structure
US8048155B2 (en) 2002-02-02 2011-11-01 Powervision, Inc. Intraocular implant devices
US10045844B2 (en) 2002-02-02 2018-08-14 Powervision, Inc. Post-implant accommodating lens modification
US20040082993A1 (en) 2002-10-25 2004-04-29 Randall Woods Capsular intraocular lens implant having a refractive liquid therein
US7125422B2 (en) * 2002-10-25 2006-10-24 Quest Vision Technology,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implant
US7662180B2 (en) 2002-12-05 2010-02-16 Abbott Medical Optics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8328869B2 (en) 2002-12-12 2012-12-11 Powervision,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es and methods of use
US7217288B2 (en) 2002-12-12 2007-05-15 Powervision,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having peripherally actuated deflectable surface and method
US7637947B2 (en) 2002-12-12 2009-12-29 Powervision,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system having spherical aberration compensation and method
US10835373B2 (en) 2002-12-12 2020-11-17 Alcon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es and methods of use
US7438723B2 (en) 2002-12-12 2008-10-21 Powervision, Inc. Lens system and method for power adjustment using externally actuated micropumps
US8361145B2 (en) 2002-12-12 2013-01-29 Powervision,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system having circumferential haptic support and method
EP2559405A3 (en) 2002-12-12 2013-06-26 PowerVision,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system
US20040153150A1 (en) * 2003-01-30 2004-08-05 Advanced Medical Optics, Inc. Composite an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2006523130A (ja) 2003-03-06 2006-10-12 ジョン エイチ. シャダック, 適合性光学レンズおよび製造方法
US20050125058A1 (en) * 2003-12-03 2005-06-09 Eyeonics, Inc. Accommodating hybrid intraocular lens
US7553327B2 (en) * 2003-12-04 2009-06-30 The Nice Trust, A Trust Of The Isle Of Man Accommodating 360 degree sharp edge optic plate haptic lens
US7615073B2 (en) * 2003-12-09 2009-11-10 Advanced Medical Optics, Inc. Foldable intraocular lens and method of making
WO2005055875A2 (en) 2003-12-09 2005-06-23 Advanced Medical Optics, Inc. Foldable intraocular lens and method of making
US20050131535A1 (en) * 2003-12-15 2005-06-16 Randall Woods Intraocular lens implant having posterior bendable optic
US20080086208A1 (en) * 2004-08-24 2008-04-10 Nordan T Lee Foldable Intraocular Lens With Adaptable Haptics
WO2006023871A2 (en) * 2004-08-24 2006-03-02 Vision Membrane Technologies, Inc. Foldable intraocular lens with adaptable haptics
US7300464B2 (en) * 2004-09-30 2007-11-27 Alcon, Inc. Intraocular lens
US9872763B2 (en) 2004-10-22 2018-01-23 Powervision,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es
US7455691B2 (en) * 2004-11-03 2008-11-25 Biovision, Ag Intraocular and intracorneal refractive lenses
WO2006054130A1 (en) * 2004-11-19 2006-05-26 Bausch & Lomb Incorporated Thin iol
US7771471B2 (en) * 2005-05-13 2010-08-10 C & 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Floating opti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70032868A1 (en) * 2005-08-08 2007-02-08 Randall Woods Capsular shape-restoring device
US9636213B2 (en) 2005-09-30 2017-05-02 Abbott Medical Optics Inc. Deformable intraocular lenses and lens systems
US20080294254A1 (en) * 2005-12-06 2008-11-27 Cumming J Stuart Intraocular lens
US20070129803A1 (en) * 2005-12-06 2007-06-07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US7981155B2 (en) * 2005-12-07 2011-07-19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Hydroli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70129800A1 (en) * 2005-12-07 2007-06-07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Hydroli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7985253B2 (en) * 2005-12-07 2011-07-26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Hydroli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7837730B2 (en) * 2006-02-21 2010-11-23 C & C International Limited Floating opti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8163015B2 (en) 2006-07-25 2012-04-24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W”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7763070B2 (en) * 2006-07-25 2010-07-27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W”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80027539A1 (en) * 2006-07-25 2008-01-31 Cumming J Stuart "W"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80027538A1 (en) * 2006-07-27 2008-01-31 Cumming J Stuart Polyspheri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80027540A1 (en) * 2006-07-31 2008-01-31 Cumming J Stuart Stabilized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80046077A1 (en) * 2006-08-15 2008-02-21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Multiocular Intraocular Lens Systems
US20080077238A1 (en) * 2006-09-21 2008-03-27 Advanced Medical Optics, Inc. Intraocular lenses for managing glare, adhesion, and cell migration
US8568478B2 (en) 2006-09-21 2013-10-29 Abbott Medical Optics Inc. Intraocular lenses for managing glare, adhesion, and cell migration
WO2008077795A2 (en) 2006-12-22 2008-07-03 Amo Groningen Bv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lens system and frame therefor
US7713299B2 (en) 2006-12-29 2010-05-11 Abbott Medical Optics Inc. Haptic for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80161914A1 (en) 2006-12-29 2008-07-03 Advanced Medical Optics, Inc. Pre-stressed haptic for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WO2008083283A2 (en) 2006-12-29 2008-07-10 Advanced Medical Optics, Inc. Multifocal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8158712B2 (en) 2007-02-21 2012-04-17 Powervision, Inc. Polymeric materials suitable for ophthalmic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20080281415A1 (en) * 2007-03-13 2008-11-13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Second elastic hinge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90005866A1 (en) * 2007-03-13 2009-01-01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First elastic hinge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80288066A1 (en) * 2007-05-16 2008-11-20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Toric sulcus lens
WO2009015226A2 (en) 2007-07-23 2009-01-29 Powervision,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es and methods of use
US8668734B2 (en) 2010-07-09 2014-03-11 Powervision, Inc. Intraocular lens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of use
US8968396B2 (en) 2007-07-23 2015-03-03 Powervision, Inc. Intraocular lens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of use
WO2009015240A2 (en) 2007-07-23 2009-01-29 Powervision, Inc. Lens delivery system
US8314927B2 (en) 2007-07-23 2012-11-20 Powervis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intraocular lenses
US8034108B2 (en) 2008-03-28 2011-10-11 Abbott Medical Optics Inc. Intraocular lens having a haptic that includes a cap
US9089419B2 (en) * 2008-10-15 2015-07-28 Novartis Ag System to reduce surface contact between optic and haptic areas
US10299913B2 (en) 2009-01-09 2019-05-28 Powervision,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es and methods of use
WO2010151693A2 (en) 2009-06-26 2010-12-29 Abbott Medical Optics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es
AU2010279561B2 (en) 2009-08-03 2014-11-27 Johnson & Johnson Surgical Vision, Inc. Intraocular lens for providing accomodative vision
CA2772315C (en) * 2009-08-27 2017-09-05 Abbott Medical Optics Inc. An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with a surface adherent
US8447086B2 (en) 2009-08-31 2013-05-21 Powervision, Inc. Lens capsule size estimation
WO2011106435A2 (en) 2010-02-23 2011-09-01 Powervision, Inc. Fluid for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es
US9295545B2 (en) 2012-06-05 2016-03-29 James Stuart Cumming Intraocular lens
US8523942B2 (en) 2011-05-17 2013-09-03 James Stuart Cumming Variable focus intraocular lens
US9585745B2 (en) 2010-06-21 2017-03-07 James Stuart Cumming Foldable intraocular lens with rigid haptics
US9351825B2 (en) 2013-12-30 2016-05-31 James Stuart Cumming Semi-flexible posteriorly vaulted acrylic intraocular lens for the treatment of presbyopia
US10736732B2 (en) 2010-06-21 2020-08-11 James Stuart Cumming Intraocular lens with longitudinally rigid plate haptic
US9918830B2 (en) 2010-06-21 2018-03-20 James Stuart Cumming Foldable intraocular lens with rigid haptics
US8734512B2 (en) 2011-05-17 2014-05-27 James Stuart Cumming Biased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9295544B2 (en) 2012-06-05 2016-03-29 James Stuart Cumming Intraocular lens
US9295546B2 (en) 2013-09-24 2016-03-29 James Stuart Cumming Anterior capsule deflector ridge
WO2012129407A2 (en) 2011-03-24 2012-09-27 Powervision, Inc. Intraocular lens loading systems and methods of use
JP2013022273A (ja) * 2011-07-22 2013-02-04 Hoya Corp 眼内レンズ
US10433949B2 (en) 2011-11-08 2019-10-08 Powervision,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es
US8900300B1 (en) 2012-02-22 2014-12-02 Omega Ophthalmics Llc Prosthetic capsular bag and method of inserting the same
US9084674B2 (en) 2012-05-02 2015-07-21 Abbott Medical Optics Inc. Intraocular lens with shape changing capability to provide enhanced accomodation and visual acuity
ES2457840B1 (es) 2012-09-28 2015-02-16 Universidad De Murcia Lente intraocular acomodativa de potencia variable y conjunto de lente intraocular acomodativa de potencia variable y anillo capsular
EP2967842B1 (en) 2013-03-15 2020-11-04 Alcon Inc. Method of reconfiguring an intraocular lens for delivery to a delivery device
CN103340703A (zh) * 2013-06-17 2013-10-09 无锡蕾明视康科技有限公司 一种植入性近视眼透镜片及其制备方法
US9615916B2 (en) 2013-12-30 2017-04-11 James Stuart Cumming Intraocular lens
US10004594B2 (en) 2014-06-19 2018-06-26 Omega Ophthalmics Llc Prosthetic capsula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A2960503C (en) 2014-09-09 2022-01-25 Staar Surgical Company Ophthalmic implants with extended depth of field and enhanced distance visual acuity
US12127934B2 (en) 2014-09-09 2024-10-29 Staar Surgical Company Method of Providing Modified Monovision to a Subject with a First Lens and a Second Lens
US11109957B2 (en) 2014-09-22 2021-09-07 Onpoint Vision, Inc. Intraocular pseudophakic contact lens with mechanism for securing by anterior leaflet of capsular wall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US10159562B2 (en) 2014-09-22 2018-12-25 Kevin J. Cady Intraocular pseudophakic contact lens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11938018B2 (en) 2014-09-22 2024-03-26 Onpoint Vision, Inc. Intraocular pseudophakic contact lens (IOPCL) for treating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or other eye disorders
US9358103B1 (en) 2015-02-10 2016-06-07 Omega Ophthalmics Llc Prosthetic capsula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20180019609A (ko) * 2015-05-26 2018-02-26 스타 서지컬 컴퍼니 제어된 축방향 변위형 후방 유수정체 안내렌즈
EP3302360A4 (en) * 2015-05-26 2019-05-15 Staar Surgical Company PHAKIC REAR CHAMBER INTRAOCULAR LENS WITH CONTROLLED AXIAL SHIFTER
CA3219515A1 (en) 2015-06-10 2016-12-15 Alcon Inc. Intraocular lens materials and components
US11426270B2 (en) 2015-11-06 2022-08-30 Alcon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ES2631354B1 (es) 2016-02-29 2019-10-09 Univ Murcia Lente intraocular correctora de aberraciones
CN109070506B (zh) 2016-03-09 2021-06-29 斯塔尔外科有限公司 具有扩展的景深和增强的远距视力的眼科植入物
CA3026494C (en) 2016-06-06 2022-06-07 Omega Ophthalmics Llc Prosthetic capsula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AU2017345731B2 (en) 2016-10-21 2019-10-24 Omega Ophthalmics Llc Prosthetic capsula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EP3888595A1 (en) * 2017-07-11 2021-10-06 Onpoint Vision, Inc. Intraocular pseudophakic contact lens with mechanism for securing by anterior leaflet of capsular wall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CN107436982B (zh) * 2017-07-27 2020-04-14 东北大学 考虑基体刚度修正的剥落斜齿轮副的啮合特性分析方法
AU2018330604A1 (en) 2017-09-11 2020-04-02 Amo Groningen B.V. Methods and apparatuses to increase intraocular lenses positional stability
TW201927263A (zh) 2017-12-18 2019-07-16 瑞士商諾華公司 觸覺力分佈得到改善的眼內透鏡平台
WO2019195587A1 (en) 2018-04-06 2019-10-10 Omega Ophthalmics Llc Prosthetic capsula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WO2020035534A1 (en) * 2018-08-14 2020-02-20 Physiol Posterior chamber phakic intraocular lens
BE1026540B1 (fr) * 2018-08-14 2020-03-19 Physiol Implant phaque de chambre postérieure
US10774164B2 (en) 2018-08-17 2020-09-15 Staar Surgical Company Polymeric composition exhibiting nanogradient of refractive index
BE1027321B1 (fr) 2019-05-29 2021-01-13 Physiol Implant phaque de chambre postérieure
BR112021026265A2 (pt) * 2019-06-27 2022-06-14 Layerbio Inc Métodos e sistemas de entrega de dispositivos oculares
KR20220074942A (ko) 2019-10-04 2022-06-03 알콘 인코포레이티드 조정 가능한 안내 렌즈들 및 안내 렌즈들을 수술 후에 조정하는 방법들
WO2021195244A1 (en) * 2020-03-25 2021-09-30 University Of South Florida Intraocular lens repositioning device
US11759309B2 (en) 2020-04-29 2023-09-19 Long Bridge Medical, Inc. Devices to support and position an intraocular lens within the eye and methods of use
US12419736B2 (en) 2020-04-29 2025-09-23 Long Bridge Medical, Inc. Devices to support and position an intraocular lens within the eye and methods of use
EP4157146A1 (en) 2020-06-01 2023-04-05 Icares Medicus, Inc. Double-sided aspheric diffractive multifocal lens,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US11864991B2 (en) 2020-07-28 2024-01-09 Onpoint Vision, Inc. Intraocular pseudophakic contact lens (IOPCL)-based telescopic approach for treating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or other eye disorders
US12064338B2 (en) 2020-09-17 2024-08-20 Desikan Raiguru Kadambi Implantable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es and related methods
AU2021359888A1 (en) 2020-10-12 2023-06-15 Omega Ophthalmics Llc Prosthetic capsula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2295829B2 (en) 2021-10-04 2025-05-13 Staar Surgical Company Ophthalmic implants for correcting vision with a tunable optic,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US12023238B2 (en) 2021-10-14 2024-07-02 Physiol Posterior chamber phakic intraocular lens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2439A (en) * 1973-01-10 1977-01-11 David Volk Method of forming an ophthalmic lens for presbyopia and aphakia
US3950082A (en) * 1973-01-10 1976-04-13 David Volk Ophthalmic lens for presbyopia and aphakia
US4254509A (en) * 1979-04-09 1981-03-10 Tennant Jerald L Accommodating intraocular implant
US4710193A (en) * 1986-08-18 1987-12-01 David Volk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and lens series and method of lens selection
US4842601A (en) * 1987-05-18 1989-06-27 Smith S Gregory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and method of implanting and using same
US4932968A (en) * 1987-07-07 1990-06-12 Caldwell Delmar R Intraocular prostheses
US4888012A (en) * 1988-01-14 1989-12-19 Gerald Horn Intraocular lens assemblies
US4994082A (en) * 1988-09-09 1991-02-19 Ophthalmic Ventures Limited Partnership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5011494A (en) * 1988-09-16 1991-04-30 Clemson University Soft tissue implant with micron-scale surface texture to optimize anchorage
US5476514A (en) * 1990-04-27 1995-12-19 Cumming; J. Stuart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6197059B1 (en) * 1990-04-27 2001-03-06 Medevec Licensing, B.V. Accomodating intraocular lens
US5173723A (en) * 1990-10-02 1992-12-22 Volk Donald A Aspheric ophthalmic accommodating lens design for intraocular lens and contact lens
US5326347A (en) * 1991-08-12 1994-07-05 Cumming J Stuart Intraocular implants
US5275623A (en) * 1991-11-18 1994-01-04 Faezeh Sarfarazi Elliptical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for small incision surgery
DE4340205C1 (de) * 1993-11-25 1995-04-20 Dieter W Klaas Intraokularlinse mit einer Akkomodationseinrichtung
US5489302A (en) * 1994-05-24 1996-02-06 Skottun; Bernt 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6013101A (en) * 1994-11-21 2000-01-11 Acuity (Israel) Limited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implant
US5607472A (en) * 1995-05-09 1997-03-04 Emory University Intraocular lens for restoring accommodation and allows adjustment of optical power
WO1997012564A1 (en) * 1995-10-06 1997-04-10 Cumming J Stuart Intraocular lenses with fixated haptics
US6197018B1 (en) * 1996-08-12 2001-03-06 O'donnell, Jr. Francis E. Laser method for restoring accommodative potential
US5843188A (en) * 1997-10-20 1998-12-01 Henry H. McDonald Accommodative lens implantation
US6129759A (en) * 1997-12-10 2000-10-10 Staar Surgical Company, Inc. Frosted haptic intraocular lens
US6066172A (en) * 1998-10-13 2000-05-23 Pharmacia & Upjohn Ab Injectable intraocular lens
US6176878B1 (en) * 1998-12-17 2001-01-23 Allergan Sales,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6200342B1 (en) * 1999-05-11 2001-03-13 Marie-Jose B. Tassignon Intraocular lens with accommodative properties
US6217612B1 (en) * 1999-09-10 2001-04-17 Randall Woods Intraocular lens implant having eye accommodating capabilities
US6193750B1 (en) * 1999-10-15 2001-02-27 Medevec Licensing, B.V. Collars for lens loops
US6558420B2 (en) * 2000-12-12 2003-05-06 Bausch & Lomb Incorporated Durable flexible attachment components for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3634A (ko) * 2013-04-10 2015-12-23 데이브, 자그래트 나타바르 개방부 및 동심 환형 구역을 갖는 파킥 렌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511242A (ja) 2006-04-06
AU2003218431B2 (en) 2008-11-13
EP1578307A3 (en) 2005-10-12
CA2477957A1 (en) 2003-10-09
US20030187505A1 (en) 2003-10-02
US20050021140A1 (en) 2005-01-27
AU2003218431A1 (en) 2003-10-13
WO2003082147A2 (en) 2003-10-09
WO2003082147A3 (en) 2005-08-25
EP1578307A2 (en) 200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05813A (ko) 직조된 햅틱부를 갖는 조절기능성 안내 렌즈
EP1809206B1 (en) Intraocular lens system
US8034107B2 (en)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JP4624967B2 (ja) 眼内レンズ系
EP2295009B1 (en) Intraocular lens implant
EP0865261B1 (en) Single piece foldable intraocular lens
US9629712B2 (en)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AU2003270082B2 (en)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US7223288B2 (en)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EP1341485B1 (en) Attachment components for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7354451B2 (en)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implant
MXPA02004423A (es) Sistema de lente intraocular.
US20080161912A1 (en) Intraocular Lens
JP2003502109A (ja) 眼内レンズ
WO2003092553A1 (en) Intraocular lens
AU2009248882A1 (en) Reduced profile intraocular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9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3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2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