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107014A -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 댐퍼 - Google Patents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7014A
KR20040107014A KR1020030037789A KR20030037789A KR20040107014A KR 20040107014 A KR20040107014 A KR 20040107014A KR 1020030037789 A KR1020030037789 A KR 1020030037789A KR 20030037789 A KR20030037789 A KR 20030037789A KR 20040107014 A KR20040107014 A KR 20040107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damper
speaker
terminal
lead wi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홍섭
Original Assignee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7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7014A/ko
Publication of KR20040107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01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1Centering
    • H04R9/043Inner suspension or damper, e.g. spi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 댐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댐퍼를 포함하는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링판형태의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제 1링과, 상기 제 1링과 동일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 1링보다 지름이 더 크게 형성되는 제 2링과, 상기 제 1링과 동일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 1링의 외측에서 굴곡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상기 제 2링의 내측면을 연결시키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유지하는 리드선 고정 다리와, 상기 제 2링의 외주면에서 이와 일체로 사각 형태를 가지며,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면에서 상기 리드선이 고정 가능하도록 단자 러그가 결합되는 리드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리드 단자와 리드선이 스피커의 조립전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스피커의 조립시 결선 작업 공정을 생략하여 리드 단자의 위치, 프레임의 형상 등의 제약을 없애 설계 변경이 용이하도록 하여 스피커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리드 단자의 위치를 댐퍼와 일체로 형성하여 기존 리드 단자의 위치까지 댐퍼의 외경을 확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 댐퍼{LEAD TERMINAL UNITY TYPE DAMPER FOR SPEAKER}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평한 형태이고 리드선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댐퍼를 제작하고, 댐퍼와 일체로 리드선 및 리드 러그가 고정되는 리드 단자를 형성하여 댐퍼에 리드선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리드 러그에 리드선을 접속시켜 이들을 일체화시키도록 하는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마그네트로부터 자계가 발생되어 폴피스 및 요크를 통해 자기루프가 형성되고, 자기회로 갭(Gap) 내에 놓인 보이스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이 전류와 자계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보이스 코일이 진동하게 되고, 이 진동에 따라 보이스 코일에 결합된 진동판(일명 '콘지')이 음향 신호를 발생하여 소리를 내게 된다.
상기의 스피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절곡 형성된 원형의 요크(1)와, 상기 요크(1)의 공간부 저면에 부착된 마그네트(2)와, 상기 마그네트(2)의 상면에 부착된 폴피스(3)와, 상기 요크(1)와 결합된 원통형의 프레임(4)과, 상기 요크(1) 및 폴피스(3) 사이의 공간부에 위치된 권선부 및 보빈으로 구성된 보이스 코일(5)과, 상기 보이스 코일(5)의 상부에 형성된 보빈의 외측면에 각각 일단이 접착제에 의해 접착됨과 동시에 타단은 상기 프레임(4)에 결합된 진동판(6) 및 댐퍼(7)와, 상기 보이스 코일(5)의 상단에 접착되는 캡(8)으로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요크(1)와, 마그네트(2) 및 폴피스(3)를 합하여 자기 회로라 말한다. 여기에서 또한 T아기 보이스 코일(5)에 음향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리드선(도시 생략)이 연결되는데, 이러한 리드선은 보이스 코일(5)의 보빈 측면을 따라 진동판(6)을 통해 프레임(4) 저면에 형성된 단자판(9)과 연결하는 방법과, 보이스 코일(5)의 보빈 측면에서 곧바로 프레임(4) 저면에 형성된 단자판(9)과 연결하는 방법과, 리드선을 평면 형상으로 가공한 후 댐퍼(7)에 고정시킨 다음 열성형에 의해 골 형상의 댐퍼(7)를 형성하고, 내경 및 외경을 타발하여 댐퍼(7)와 리드선을 완성시킨 다음 리드선을 단자판(9)과 연결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스피커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마그네트(2)로부터 발생된 자계가 폴피스(3)를 통해 이와 요크(1)사이의 공간부인 자기회로 갭을 통과하여 요크(1)를 지나 자계를 형성하고, 자기회로 갭 내에 놓인 보이스 코일(5)에 전류가 흘러 구동력이 발생되어 진동판(6) 및 댐퍼(7)에 전달되면, 상기 진동판(6) 및 댐퍼(7)는 보이스 코일(5)의 구동력에 대응되어 진동을 하게 되고, 이 진동판(6) 및 댐퍼(7)의 진동으로 결국 음향 신호가 발생되어 음파를 생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피커의 리드선 결합 방법중 첫 번째로 진동판에서 연결하는 방법은 리드선을 납땜할 시 진동판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진동판의 진동시 리드선이 결선된 부분과 반대쪽의 질량이 달라 상하 방향의 직선 운동을 하지 못하고, 리드선과 보이스 코일과의 결선 부분이 진동하기 때문에 리드선이 짧은 경우 리드선이 당겨져서 납땜 부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로 보이스 코일의 측면에서 직접 연결하는 방법은 연결 부위가 보이스 코일 위에 위치하게 되므로 진동시 두께가 얇은 보이스 코일과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리드선이 결합된 결선 부위가 떨어지고, 리드선의 길이에 따라 보이스 코일의 진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세 번째로 리드선과 댐퍼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방법은 리드선의 결합을 댐퍼 성형 이전에 실시하기 때문에 댐퍼의 타발과 동시에 리드선도 같이 절단되기 때문에 단자판과 보이스 코일과 결선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중계선을 이용하여야만 하고, 중계선을 접속하는 과정에서 불량이 많이 발생하며, 작업 공수가 늘어 비용이 증가되며, 댐퍼에 리드선을 고정하기 때문에 둘 사이에 간섭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용 리드선 일체형 댐퍼가 개발되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 댐퍼의 구성 및 작용을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스피커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스피커용 리드선 일체형 댐퍼(20)는, 제 1링(21)과, 제 2링(22)과, 리드선 고정 다리(23)로 구성된다.
제 1링(21)은 링판형태의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제 2링(22)은 제 1링(21)과 동일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제 1링(21)보다 지름이 더 크게 형성된다.
리드선 고정 다리(23)는 제 1링(21)과 동일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제 1링(21)의 외측에서 굴곡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제 2링(22)의 내측면을 연결시키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나비 모양)을 유지한다. 여기에서 제 1링(21)과, 제 2링(22) 및 리드선 고정 다리(23)는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며, 사출시 리드선(10)을 이들에 인서트시켜 성형시킬 수도 있다.
여기에서 또한 제 1링(21)과, 제 2링(22) 및 리드선 고정 다리(2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선(10)의 수납 고정이 가능하도록 리드선 고정홈(21-1)을 만들고, 고정홈(21-1)의 측상면에는 리드선(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용 돌기(21-2)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댐퍼(20)의 상면에 리드선(10)을 접착제에 의해 고정시키거나 열 융착에 의해 고정시킬 수도 있고, 홀(도시 생략)을 형성하여 리드선(10)을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이렇게 리드선(10)이 고정된 댐퍼(20)는 제 1링(21)의 내측에 보이스 코일(5)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제 2링(22)이 프레임(4)에 고정된 상태에서 리드선(10)의 양단을 보이스 코일(5)과 단자판(9)에 각각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편평한 형태의 댐퍼(20)에 고정시키면 리드선(10)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여 리드선(10)의 길고 짧음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보이스 코일(5) 또는 단자판(9)과의 탈락이 방지될 수 있고, 리드선(10)을 보이스 코일(5) 또는 단자판(9)과 연결시키는 별도의 중계선을 필요치 않기 때문에 작업 공수가 줄어들어 비용이 절감되며, 진동판(6)에 리드선(10)이 접합되지 않아 진동판(6)의 중량차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가 제거되며, 리드선(10)에 의해 보이스 코일(5)의 진동시 간섭을 없애고, 댐퍼(100)에 리드선(10)을 완전히 고정하기 때문에 둘 사이에 간섭음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피커용 리드선 일체형 댐퍼는 스피커의 조립 후에 결선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선 작업이 가능하도록 리드 단자의 위치, 프레임의 형상 등에 제약이 있어 설계 변경시 많은 어려움이 있고, 이에 따라 성능 향상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피커의 구조상 리드 단자는 댐퍼의 외경부보다 바깥쪽 위치에 있어야만 한다. 캐비닛에 스피커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리드 단자의 위치가 프레임의 캐비닛 결합용 홀보다 내측에 위치해야만 하는데, 캐비닛 결합용 홀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 캐비닛에 결합시 리드 단자가 캐비닛에 걸려 작업이 불가능하거나, 리드 단자의 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에 리드 단자의 위치는 캐비닛 결합용 홀보다 내측에 위치해야 하고, 댐퍼의 외경 또는 리드 단자의 위치보다 작아야 하는 결과를 만족해야지만 하기 때문에 설계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며, 이에 따라 성능 향상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리드 단자와 리드선이 스피커의 조립전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스피커의 조립시 결선 작업 공정을 생략하여 리드 단자의 위치, 프레임의 형상 등의 제약을 없애 설계 변경이 용이하도록 하여 스피커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드 단자의 위치를 댐퍼와 일체로 형성하여 기존 리드 단자의 위치까지 댐퍼의 외경을 확대할 수 있고, 또 리드 단자의 위치 설정에 제약이 없어 스피커의 다양한 구조 변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스피커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피커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에 스피커용 리드선 일체형 댐퍼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에 댐퍼가 적용된 스피커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 댐퍼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 댐퍼가 적용된 스피커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프레임 5 : 보이스 코일
6 : 진동판 9 : 단자판
10 : 리드선 20, 100 : 댐퍼
21, 110 : 제 1링 22, 120 : 제 2링
23, 130 : 리드선 고정 다리 21-1, 101 : 리드선 고정홈
21-2, 102 : 이탈 방지용 돌기 140 : 리드 단자
141 : 리드 러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중앙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절곡 형성된 원형의 요크와, 상기 요크의 공간부 저면에 부착된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상면에 부착된 폴피스와, 상기 요크와 결합된 원통형의 프레임과, 상기 요크 및 폴피스 사이의 공간부에 위치된 권선부 및 보빈으로 구성된 보이스 코일과, 상기 보이스 코일의 상부에 형성된 보빈의 외측면에 각각 일단이 접착제에 의해 접착됨과 동시에 타단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진동판 및 댐퍼와, 상기 보이스 코일의 상단에 접착되는 캡을 포함하는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링판형태의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제 1링과,
상기 제 1링과 동일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 1링보다 지름이 더 크게 형성되는 제 2링과,
상기 제 1링과 동일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 1링의 외측에서 굴곡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상기 제 2링의 내측면을 연결시키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유지하는 리드선 고정 다리와,
상기 제 2링의 외주면에서 이와 일체로 사각 형태를 가지며,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면에서 상기 리드선이 고정 가능하도록 단자 러그가 결합되는 리드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리드 단자는,
상기 제 2링에 직접 상기 단자 러그를 설치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 2링의 내주면에서 이와 일체로 사각 형태를 가지며, 내측으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단자 러그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단자 러그는,
상기 댐퍼를 성형시 일체로 인서트되어 고정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리드 단자는,
상기 리드선의 단자 결합시 상기 리드선과 상기 댐퍼의 높이가 동일해지도록 상기 제 2링의 높이보다 낮게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 댐퍼의 구성 및 작용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스피커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 댐퍼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가 적용된 스피커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댐퍼(100)는, 제 1링(110)과, 제 2링(120)과, 리드선 고정 다리(130), 리드 단자(140)로 구성된다.
제 1링(110)은 링판형태의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제 2링(120)은 제 1링(110)과 동일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제 1링(110)보다 지름이 더 크게 형성된다.
리드선 고정 다리(130)는 제 1링(110)과 동일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제 1링(110)의 외측에서 굴곡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제 2링(120)의 내측면을 연결시키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나비 모양)을 유지한다. 여기에서 제 1링(110)과, 제 2링(120) 및 리드선 고정 다리(130)는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며, 사출시 리드선(10)을 이들에 인서트시켜 성형시킬 수도 있다. 여기에서 또한 제 1링(110)과, 제 2링(120) 및 리드선 고정 다리(13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선(10)의 수납 고정이 가능하도록 리드선 고정홈(101)을 만들고, 고정홈(101)의 측상면에는 리드선(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용 돌기(103)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댐퍼(100)의 상면에 리드선(10)을 접착제에 의해 고정시키거나 열 융착에 의해 고정시킬 수도 있고, 홀(도시 생략)을 형성하여 리드선(10)을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리드 단자(140)는 제 2링(120)의 외주면에서 이와 일체로 사각 형태를 가지며,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면에서 리드선(10)이 고정 가능하도록 단자 러그(141)가 결합된다. 여기에서 리드 단자(140)는 제 2링(120)에 직접 단자 러그(141)를 설치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제 2링(120)의 내주면에서 이와 일체로 사각 형태를 가지며, 내측으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고, 단자 러그(141)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또한 리드 단자(140)는 리드선(10)이 리드 단자(140)와 결합시 리드선(10)과 댐퍼(100)의 높이가 동일해지도록 제 2링(120)의 높이보다 낮게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리드 단자(140)의 단자 러그(141)는 댐퍼(100)를 성형시 일체로 인서트되어 고정된다.
한편 댐퍼(100)는 리드선(10)을 리드선 고정홈(101)에 이탈 방지용 돌기(103)를 통해 삽입 고정시킨 상태에서 끝단을 리드 단자(140)의 상면에 노출된 리드 러그(141)에 납땜을 통해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리드 단자(140)에 리드선(10)이 고정된 댐퍼의 제 1링(110)의 내측에 보이스 코일(5)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제 2링(120)이 프레임(4)에 고정된 상태시킨다.
이렇게 편평한 형태의 댐퍼에 리드 단자를 형성하고, 이에 리드선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스피커를 조립하면 종래에 스피커의 결합 과정에서 리드선을 프레임에 형성된 리드 단자에 납땜하는 공정이 사라지기 때문에 이에 따른 제조 단가 하락, 생산 효율 증가 등과 같은 효과가 발생하며, 댐퍼와 리드 단자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스피커의 설계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 댐퍼에 의하면, 리드 단자와 리드선이 스피커의 조립전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스피커의 조립시 결선 작업 공정을 생략하여 리드 단자의 위치, 프레임의 형상 등의 제약을 없애 설계 변경이 용이하도록 하여 스피커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리드 단자의 위치를 댐퍼와 일체로 형성하여 기존 리드 단자의 위치까지 댐퍼의 외경을 확대할 수 있고, 또 리드 단자의 위치 설정에 제약이 없어 스피커의 다양한 구조 변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스피커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중앙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절곡 형성된 원형의 요크와, 상기 요크의 공간부 저면에 부착된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상면에 부착된 폴피스와, 상기 요크와 결합된 원통형의 프레임과, 상기 요크 및 폴피스 사이의 공간부에 위치된 권선부 및 보빈으로 구성된 보이스 코일과, 상기 보이스 코일의 상부에 형성된 보빈의 외측면에 각각 일단이 접착제에 의해 접착됨과 동시에 타단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진동판 및 댐퍼와, 상기 보이스 코일의 상단에 접착되는 캡을 포함하는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링판형태의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제 1링과,
    상기 제 1링과 동일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 1링보다 지름이 더 크게 형성되는 제 2링과,
    상기 제 1링과 동일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 1링의 외측에서 굴곡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상기 제 2링의 내측면을 연결시키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유지하는 리드선 고정 다리와,
    상기 제 2링의 외주면에서 이와 일체로 사각 형태를 가지며,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면에서 상기 리드선이 고정 가능하도록 단자 러그가 결합되는 리드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 댐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단자는,
    상기 제 2링에 직접 상기 단자 러그를 설치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 2링의 내주면에서 이와 일체로 사각 형태를 가지며, 내측으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단자 러그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 댐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러그는,
    상기 댐퍼를 성형시 일체로 인서트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 댐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단자는,
    상기 리드선의 단자 결합시 상기 리드선과 상기 댐퍼의 높이가 동일해지도록 상기 제 2링의 높이보다 낮게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 댐퍼.
KR1020030037789A 2003-06-12 2003-06-12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 댐퍼 Ceased KR20040107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789A KR20040107014A (ko) 2003-06-12 2003-06-12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789A KR20040107014A (ko) 2003-06-12 2003-06-12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014A true KR20040107014A (ko) 2004-12-20

Family

ID=37381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789A Ceased KR20040107014A (ko) 2003-06-12 2003-06-12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701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13298A3 (en) * 2005-04-15 2007-09-05 Pioneer Corporation Speaker device
WO2010018932A3 (ko) * 2008-08-15 2010-05-27 Shin Jong Youl 스피커
KR101017070B1 (ko) * 2009-05-06 2011-02-25 에스텍 주식회사 스피커
CN109218941A (zh) * 2018-09-21 2019-01-15 歌尔股份有限公司 发声装置以及电子设备
CN110915235A (zh) * 2017-07-24 2020-03-24 安电株式会社 车辆用发声器
KR20210156803A (ko) * 2020-06-18 2021-12-27 주식회사 성주음향 평판형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제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13298A3 (en) * 2005-04-15 2007-09-05 Pioneer Corporation Speaker device
WO2010018932A3 (ko) * 2008-08-15 2010-05-27 Shin Jong Youl 스피커
KR101017070B1 (ko) * 2009-05-06 2011-02-25 에스텍 주식회사 스피커
CN110915235A (zh) * 2017-07-24 2020-03-24 安电株式会社 车辆用发声器
CN109218941A (zh) * 2018-09-21 2019-01-15 歌尔股份有限公司 发声装置以及电子设备
CN109218941B (zh) * 2018-09-21 2020-07-24 歌尔股份有限公司 发声装置以及电子设备
KR20210156803A (ko) * 2020-06-18 2021-12-27 주식회사 성주음향 평판형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9883B2 (ja) スピーカ
US9635446B2 (en) Speaker frame and speaker having the same
EP2262281B1 (en) Speaker
JPWO2009016743A1 (ja) スピーカ装置
JP4328245B2 (ja) スピー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7117669B2 (ja) スピーカ、および、スピーカの製造方法
JP2002247689A (ja) スピーカ
JP4159408B2 (ja) スピーカ
JP2005269335A (ja) スピーカ装置
KR101150508B1 (ko) 스피커 프레임 및 이를 사용한 스피커
KR20040107014A (ko)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 댐퍼
KR20040079038A (ko) 스피커용 리드선 일체형 댐퍼
JP2008131180A (ja) スピーカの製造方法、スピーカおよびスピーカ製造用治具
JP2013017066A (ja) スピーカシステム及びスピーカシステムの製造方法
KR101318699B1 (ko) 마이크로 스피커
KR101759065B1 (ko) 틴셀 와이어 삽입형 댐퍼를 구비한 스피커 및 그 댐퍼의 제조방법
US20050281430A1 (en) Speaker device
KR101468630B1 (ko) 진동판모듈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스피커
JP2002199490A (ja) スピーカ
KR101822186B1 (ko) 틴셀 와이어 삽입형 댐퍼를 구비한 스피커 및 그 댐퍼의 제조방법
JP4573547B2 (ja) スピー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34194B1 (ko) 스피커
KR20000002761U (ko) 평면스피커의 진동플레이트 고정장치
KR20120017220A (ko) 음향 변환 장치
KR200351435Y1 (ko) 소형 스피커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7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4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