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14235Y1 - Water purif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Water purif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235Y1
KR200414235Y1 KR2020060003128U KR20060003128U KR200414235Y1 KR 200414235 Y1 KR200414235 Y1 KR 200414235Y1 KR 2020060003128 U KR2020060003128 U KR 2020060003128U KR 20060003128 U KR20060003128 U KR 20060003128U KR 200414235 Y1 KR200414235 Y1 KR 200414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cation
vessel
purifying
purification vess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12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시천
Original Assignee
양시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시천 filed Critical 양시천
Priority to KR20200600031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23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235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6Aerobic processes using submerg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수질 정화 장치는, 호소나 강, 바다 등의 물속에 일정 영역을 확보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내부에 정화할 오염수를 채워서 정화할 수 있도록 적어도 측면 및 하부가 밀폐된 구조를 갖는 정화 용기와; 상기 정화 용기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정화 용기에 채워진 오염수를 정화하는데 필요한 정화 기구와; 상기 정화 용기 및 정화 기구들이 물속으로 가라앉지 않도록 지지하는 부유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물 위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수처리 시설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오염수를 처리함에 있어서도 보다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특히 육상 설치 방식에 비하여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함과 아울러, 공간 절약과 함께 처리 시설의 설치 및 이동, 폐기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the side and the bottom are sealed to fill and clean the contaminated water to be purified therein in a state where it is positioned to secure a certain area in water such as a lake or a river or the sea. A purifying container; A purifying mechanism provided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purifying container and required to purify the contaminated water filled in the purifying container; Since the purification vessel and the purification apparatus is configured to include a float to support the sink so that it does not sink into the water, it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water to be used as a water treatment facility, more efficient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treatment in treating contaminated water, In particular, the installation cost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land installation method, and the space can be saved, and the installation, movement, and disposal of the treatment facility can be easily performed.

호소, 강, 바다, 정화 용기, 부유체, 펌프, 반응, 침전, 농축, 탈수 Appeal, river, sea, purification vessel, float, pump, reaction, precipitation, concentration, dehydration

Description

수질 정화 장치{Water purification apparatus}Water purification apparatus

도 1은 종래 기술의 오수 정화장치가 도시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aste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질 정화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이 도시된 개략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질 정화 장치의 일 실시예의 측면 구성도이다.3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질 정화 장치의 오버 플로우 구조가 도시된 주요부 상세도이다.Figure 4 is a detailed view of the main portion is shown the overflow structure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질 정화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 구성도이다.5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질 정화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 구성도이다.6 is a plan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 정화 용기 20A : 반응 정화 용기 20: purification vessel 20A: reaction purification vessel

20B : 침전 정화 용기 20C : 농축 정화 용기 20B: Sedimentation Purification Vessel 20C: Concentration Purification Vessel

25 : 구획막 30 : 부유체 25: partition membrane 30: floating body

35 : 부유체 37 : 오버 플로우 홀 35: floating body 37: overflow hole

39 : 월류수 통로39: overflow passage

40 : 정화 기구 41 : 에어 블로워 40: purifying mechanism 41: air blower

42 : 산기관 43 : 펌프 42: diffuser 43: pump

45 : 탈수기 46 : 오염원수인입관 45: dehydrator 46: contaminated water introduction pipe

48 : 오니함유처리수관 49 : 반송오니관 48: sludge treated water pipe 49: return sludge pipe

50 : 잉여오니관 52 : 농축오니관 50: surplus sludge pipe 52: concentrated sludge pipe

54 : 배출부 60 : 계류장치 54 outlet 60: mooring device

본 고안은 수질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상 공간에 수질 정화 시설을 설치하여 경제적이면서 친환경적인 수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수질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in a water space to provide an economic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water treatment.

산업의 발달과 인간의 대량 소비가 가속화 되면서 폐기되는 물질의 총량이 증가됨으로서 우리가 살고 있는 주변 환경의 오염은 이에 비례하여 심각하게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수질 오염물질이 모여드는 호소나 항만 등의 오염도는 해가 갈수록 기하급수적으로 누적 증가되어가고 있는 현실이다. As industrial development and mass consumption of humans accelerate, the total amount of material that is discarded increases, and the pollu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at we live in increases significantly in proportion.In particular, pollution levels such as appeals and harbors where water pollutants gather It is a reality that is increasing exponentially year after year.

이에 비하여 호소나 항만 등의 내부 오염수나 외부 유입수 중의 오염물질의 제거 처리는 그 대상 수량이 너무 많거나 유입 지천의 수가 많은 경우가 보통이므로 현재와 같은 육중한 육상 시설물에 의한 오수의 처리는 경제적으로 부담이 너무 커서 필요한 수준의 처리를 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moval of contaminants in internal contaminated water or external inflow water such as appeals and ports is usually too large or the number of inflow streams is large. The burden is so great that it makes it difficult to do the necessary level of processing.

즉, 현재 일반적으로 육상에 설치하여 운용하는 대규모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한 오수처리 설비는,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건설비가 상당한 정도로 많이 소요되고, 설치 기간도 길며, 처리 시설의 확장, 변경 또는 처리 시설의 제거도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sewage treatment facilities by large-scale concrete structures currently installed and operated on land not only occupy a lot of installation space, but also require a considerable construction cost, have a long installation period, and expand, change, or treat treatment facilities. Removal is also not easy problem.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고번호 10-249422호'에는 '수중부유형오수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수의 정화방법'을 게시하고 있는데, 도 1을 참조하여 특허 고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Korean Patent No. 10-249422 discloses an underwater type sewage purif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purifying sewage using the same. Referring to FIG. 1, the patented design is as follows.

도 1은 상기 특허 고안의 정화장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the purification device of the patent desig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허 고안은, 일정의 수역을 가두는 처리조(1)와, 그 처리조(1)를 수중에 부유시키기 위한 플로우트(5)로 구성되고, 상기 처리조(1)에는 다수의 생물담체(4)를 가짐과 동시에 취수구(2) 및 배수구(3)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 1, the patented invention comprises a treatment tank 1 for confining a predetermined body of water, and a float 5 for floating the treatment tank 1 in water. ) Has a plurality of biological carriers (4) and is provided with a water intake (2) and drain (3).

특히 상기 처리조(1)는 일정한 깊이로 일정수역을 둘러싸는 측면부에 의하여 구성되며, 저면을 필요로 하지 않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만, 상기 처리조(1) 중의 오염수가 충분히 정화되기 전에 처리조 저부로부터 처리조 밖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는 스커트부(8)를 처리조(1) 하단에 설치하고 있다.In particular, the treatment tank (1) is composed of a side portion surrounding a predetermined body of water at a constant depth, it is made of a configuration that does not require a bottom surface. 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contaminated water in the treatment tank 1 from coming out of the treatment tank from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before being sufficiently purified, a skirt portion 8 having a structure having an open lower portion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treatment tank 1. .

상기 처리조(1) 내의 생물담체(4)와 접촉하는 기회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오수의 처리조 내에 있어서의 체류시간을 충분하게 확보하기 위하여 처리조 내에는 적당한 칸막이벽(6)이 설치된다.In order to increase the chance of contact with the biological carrier 4 in the treatment tank 1 and to sufficiently secure the residence time of the sewage treatment tank, an appropriate partition wall 6 is provided in the treatment tank.

상기 처리조(1)의 상면에 차광수단(7)이 배치되는데, 이 차광수단(7)은 플라 스틱 시트나 판 그 외의 공지의 재료를 사용한 뚜껑으로 구성된다.The light shielding means 7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surface of the said processing tank 1, This light shielding means 7 is comprised by the lid which used a plastic sheet, a plate, or other well-known material.

상기 생물담체(4)는 처리조(1)의 상부에 위치되는 지지봉(12)에 달아 메는 방식으로 고정되고, 생물담체(4)에 부착된 미생물에 의하여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산화분해 시키기 위하여 처리조(1) 저부에 산기수단(9)이 배치되고, 산기 펌프(11)와 연결되어 있다.The biological carrier 4 is fixed in a manner of being attached to the support rod 12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eatment tank 1 and treated to efficiently oxidize contaminants by microorganisms attached to the biological carrier 4. The air dispersing means 9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tank 1, and is connected with the air dispersing pump 11. As shown in FIG.

참조번호 10은 상기 장치를 일정 수역에 정치(定置)시킬 수 있도록 앵커 등의 메어두는 수단이다.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means for embedding the anchor or the like so that the apparatus can be fixed in a predetermined body of wat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특허 고안은 처리조(1) 상부에서 생물담체를 이용하여 생물학적으로 정화하는 장치로서, 처리조(1)의 하부가 개방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호소나 하천 등의 수역을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서 정화할 수 없고, 오염된 물이 상기 처리조(1)로 유입될 경우에, 오염된 물에 포함된 슬러지 등이 그대로 바닥으로 가라앉게 되는 등 사실상 정상적인 오수 정화 처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patented design as described above is a device for biologically purifying by using a biological carrier in the upper part of the treatment tank 1, and since the lower part of the treatment tank 1 is configured to have an open structure, the water bodies such as lakes and rivers are completely removed. When the polluted water cannot be purified in a separated state, and contaminated water flows into the treatment tank 1, sludge or the like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water sinks to the bottom as it is. have.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측면과 하부가 밀폐된 정화 용기를 이용하여 호소나 하천, 바다 등에 바로 설치한 상태에서 물을 정화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정화 장치의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함과 아울러, 공간 절약과 함께 처리 시설의 설치 및 이동, 폐기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수질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using a purifying container of the side and the bottom is configured to be able to purify water in a state installed directly on the lake, river, sea, etc.,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purification devi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that can greatly reduce the cost, and save space and facilitate the installation, movement, and disposal of treatment facilities.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수질 정화 장치는, 호소나 강, 바다 등의 물속에 일정 영역을 확보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내부에 정화할 오염수를 채워서 정화할 수 있도록 적어도 측면 및 하부가 밀폐된 구조를 갖는 정화 용기와; 상기 정화 용기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정화 용기에 채워진 오염수를 정화하는데 필요한 정화 기구와; 상기 정화 용기 및 정화 기구들이 물속으로 가라앉지 않도록 지지하는 부유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Water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at a position to secure a certain area in the water, such as lakes, rivers, seas, etc., at least the side and A purging contain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part is sealed; A purifying mechanism provided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purifying container and required to purify the contaminated water filled in the purifying contain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oat for supporting the purification vessel and the purification mechanisms do not sink into the water.

여기서 상기 정화 용기는 두께가 얇은 시트 또는 판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urifying container is preferably composed of a thin sheet or plate.

상기 정화 용기는 물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적어도 어느 한 측면은 물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urification vessel is preferably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side is gradually narrower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water so as to reduce the resistance to the flow of water.

상기 부유체는 상기 정화 용기의 상단 둘레에 띠구조로 설치되어 정화 용기 내부의 물과 외부의 물이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loating body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band structure around the upper end of the purifying container is configured to block the water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purifying container.

상기 정화 용기 또는 부유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정화 용기 내부의 물이 외부로 월류할 수 있도록 역삼각형 구조를 가진 오버 플로우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side of the purifying container or the floating body is preferably formed with an overflow hole having an inverted triangular structure so that the water in the purifying container can overflow to the outside.

상기에서 상기 정화 용기는 단수 개 또는 복수 개로 사용하고, 상기 정화 기구는 수질을 정화하는 데 필요한 에어 블로워, 펌프, 산기관, 탈수기 등의 수질 정 화 설비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above, the purifying container is used in the singular or plural pieces, and the purifying mechanism may be composed of water purification facilities such as an air blower, a pump, an acid pipe, and a dehydrator necessary for purifying the water quality.

또한 상기 정화 용기는 단계적인 수처리가 이루어지도록 반응 정화 용기, 침전 정화 용기, 농축 정화 용기가 순서대로 상호 연결되고, 상기 각 정화 용기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수질을 정화하는데 필요한 상기 정화 기구들이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urification vessel comprises a reaction purification vessel, a precipitation purification vessel, a concentrated purification vessel in order to achieve a step-by-step water treatment, and the purification mechanisms necessary to purify the water quality are arranged inside or outside each of the purification vessels. It is desirable to be.

이때, 상기 정화 용기가 복수개로 구성된 경우에, 각 정화 용기들은 직렬 구조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case where the plurality of purification containers are configured, each of the purification containers may be connected in series.

이와 다르게, 상기 정화 용기가 복수개로 구성된 경우에, 하나의 정화 용기에 다른 정화 용기들이 수용된 구조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in the case where the plurality of purifying containers are configured, the plurality of purifying containers may be connected in a structure in which different purifying containers are accommod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질 정화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이 도시된 개략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수질 정화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호소나 강, 바다 등의 물속에 일정 영역을 확보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내부에 정화할 오염수를 채워서 정화할 수 있도록 적어도 측면 및 하부가 밀폐된 구조를 갖는 정화 용기(20)와, 상기 정화 용기(2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정화 용기(20)에 채워진 오염수를 정화하는데 필요한 정화 기구(40)와, 상기 정화 용기(20) 및 정화 기구(40)들이 물속으로 가라앉지 않도록 지지하는 부유체(30, 35)를 포함 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 2,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side so as to be purified by filling the contaminated water to be purified in the state positioned to secure a certain area in the water, such as lakes, rivers, seas, etc. And a purging container 20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lower part is sealed, a purifying mechanism 40 which is provided inside or outside of the purifying container 20 to purify the contaminated water filled in the purifying container 20, and It comprises a float (30, 35) for supporting the purification vessel 20 and the purification mechanism 40 to not sink into the water.

여기서 상기 정화 용기(20)는 두께가 얇은 시트 또는 판재 등으로 구성되고, 이를 지지하기 위해서 골격재의 사용도 가능하다.Here, the purifying container 20 is composed of a thin sheet or plate, etc.,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skeleton to support this.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화 용기(20)는 목재, 플라스틱 또는 금속제로 골격을 만든 후, 방수포 또는 플라스틱, 고무, 금속판 등 비교적 가공이 쉬운 재료로 만든 시트를 사용하여 측면과 하부를 밀폐시킨 일정한 크기의 용기 구조로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the purifying container 20 is made of wood, plastic or metal skeleton, and then the container of a constant size to seal the side and the bottom using a waterproof cloth or a sheet made of a relatively easy material such as plastic, rubber, metal plate Made of structure.

이와 같이 정화 용기(20)의 모양은 원통형, 원추형, 타원추형, 직육면체형, 육각기둥형 등 여러 가지가 가능하며, 상부는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us, the shape of the purification container 20 can be various, such as a cylindrical shape, a conical shape, an elliptical cone shap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hexagonal column shap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art consists of an open structure.

상기와 같은 정화 용기(20)는 단수 개 또는 복수 개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복수 개가 이용된 구성은 다음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purification vessel 20 a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in a single or a plurality of configuration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is us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상기 정화 용기(20)를 지지하는 부유체(30)는 정화 용기(20)의 상단에 플라스틱 발포체나 공기 주머니, 빈 드럼통 등을 띠구조로 빙 둘러 접합시킨 구조로 정화 용기(20)에 고정되어, 처리 대상인 오염수를 채운 정화 용기(20)가 가라앉지 않게 하고, 정화 용기(20) 내부와 외부의 물들이 넘쳐 섞이지 않도록 격리시키는 작용을 한다. 여기서 상기 부유체(30)는 상기 정화 용기 상단을 긴 튜브 모양으로 가공된 부분에 삽입하여 설치하여 부유체 띠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floating body 30 supporting the purifying container 20 is fixed to the purifying container 20 in a structure in which a plastic foam, an air bag, an empty drum, and the like are bonded around the top of the purifying container 20 in a belt structure. , So that the purification vessel 20 filled with the contaminated water to be treated does not sink and isolates the internal and external water from overflowing the purification vessel 20. In this case, the floating body 30 may be configured by inserting the upper end of the purifying container into a machined portion having a long tube shape to form a floating belt structure.

이와 같은 상기 부유체(30)는 수면으로부터 높이가 10㎝이상 100㎝ 이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하 또는 이 이상의 높이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floating body 3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height of 10 cm or more and 100 cm or less from the surface of the wa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정화 기구(40)를 지지하는 부유체(35)는 플라스틱 발포체나 공기 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물 위에 안정적으로 띄울 수 있도록 바지선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loating body 35 for supporting the purifying mechanism 40 is preferably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arge so that it can stably float on the water using a plastic foam or air bag.

한편, 상기 정화 기구(40)는 물리적,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수처리 방법과 수처리 수준, 범위 등 구체적인 실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수처리 기구의 구성으로 에어 블로워, 펌프, 산기관, 탈수기 등의 수질 정화 설비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purifying mechanism 4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physical, biological, or chemical water treatment method and the specific implementation conditions such as the water treatment level, range, air blower, pump, diffuser, It consists of water purification facilities, such as a dehydrator.

도 2에서는 개략적으로 상기 정화 용기(20) 내로 정화될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 라인(22)과, 상기 정화 용기(20) 내로 공기 또는 응집처리제, 미생물 영양제 등을 공급하는 펌핑 라인(24)과, 상기 정화 기구(40)를 통과하면서 처리된 물을 정화 용기(20)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라인(26)을 도시한 것이다.In FIG. 2 schematically, an inflow line 22 into which filthy water to be purified is introduced into the purification vessel 20, a pumping line 24 for supplying air or flocculant, microbial nutrients, etc. into the purification vessel 20; The discharge line 26 which discharges the processed water while passing through the said purification mechanism 40 to the outside of the purification container 20 is show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질 정화 장치의 기본적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basic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고안의 수질 정화 장치는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를 이용하는 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rchimedes' principle,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물의 수면으로부터 h만한 깊이의 수심에서 물체의 표면이 받는 압력은 물의 밀도(ρ)와 중력가속도(g)와 수심(h)의 곱인 ρgh으로 나타낼 수 있다. 만약 두 수계가 격막 즉, 본원 고안에서와 같이 정화 용기(20)로 분리된 경우 임의의 격막 상의 한 점에 있어서 격막 양측으로 수면까지의 높이가 한 편은 h₁, 다른 한 편은 h₂로 서로 다를 때 이 점에 나타나는 압력은 ρg(h₁-h₂)가 된다. 이와 같은 양측의 압력 차이는 "부력"이라는 힘의 형태로 나타나고, 이 부력은 격막 내부의 용량이 외부 수계의 물을 배제시킨 무게만큼의 힘에 상당하며 격막 내부체를 떠받치게 된다.The pressure exerted on the surface of an object at a depth of h from the water's surface can be expressed as ρgh, which is the product of the water's density (ρ),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g) and the depth (h). If the two water systems are separated by a diaphragm, that is, the purge vessel 20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from one side of the diaphragm to the surface of the diaphragm on one side of the diaphragm differs from one another by h₁ and the other by h₂ The pressure at this point is ρg (h₁-h₂). This difference in pressure between the two sides appears in the form of a "buoyancy" force, which is equivalent to a force equal to the weight of the inside of the diaphragm excluding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ystem and supports the inside of the diaphragm.

격막 내부와 외부의 수위가 서로 같은 경우 격막의 양면에 미치는 압력은 서로 같아지며, 이 때 격막은 아무런 압력이 미치지 않는 것과 같이 되어 격막에 미치는 장력은 0이 된다. 만약에 격막 양측의 수위가 10㎝의 차이를 나타내는 경우에 격막이 받는 압력은 물의 밀도가 1g중/㎤이므로 10g중/㎠로서 비교적 미약한 수준이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격막으로 둘러싸인 내부 수계가 외부 수계와 수심의 차이가 크지 않을 때 격막은 강성이 그리 크지 않은 재질을 사용하여도 파괴되지 않고 그 형상과 역할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water level inside and outside the diaphragm is the same, the pressures on both sides of the diaphragm are equal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diaphragm acts as if no pressure is applied, and the tension on the diaphragm becomes zero. If the water level on both sides of the diaphragm shows a difference of 10 cm, the pressure received by the diaphragm is relatively weak at 10 g / cm 2 because the density of water is 1 g / cm 3. Therefore, when the inner water system surrounded by the diaphragm is not largely different from the outer water system, the diaphragm can maintain its shape and role without being destroyed even by using a material having a small rigidity.

상기한 본원 고안의 정화 용기(20)도 상기한 원리의 격막과 같이 방수포, 플라스틱, 고무 등 방수용 시트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하여도, 수중에서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오염수를 저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Purification contain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onfigured to use a waterproof sheet material such as a tarpaulin, plastic, rubber, such as the diaphragm of the above principle, it is possible to store the contaminated water while maintaining a stable state in the water.

이와 같은 정화 용기(20)에 정화를 필요로 하는 오염수와 오염물질 정화용 미생물 집합체 등을 채워 넣은 채로 호소나 항만, 하천에 정치시키면 우수한 오수처리용 구축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If the purification vessel 20 is filled with contaminated water and microorganism assembly for purification of pollutants that need to be purified, it can serve as an excellent sewage treatment construct.

이때 오수처리 시스템은 공지의 사실로서 알려진 '활성오니법', '침지로상법' 등이나 '응집침전법' 등이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법들을 거치면 오염수 중의 BOD, COD 물질과 질소, 인 등 부영양화 물질은 미생물의 생존 활동에 의하여 산화 분해되거나 미생물의 체내에 축적된 후 오니 등 미생물체의 분리 제거 공정을 거치면서 물로부터 제거되어 오염되었던 피처리수는 깨끗하게 정화가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sewage treatment system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such as 'active sludge method', 'immersion furnace method', or 'aggregate precipitation method'. Through these treatments, BOD, COD substances and eutrophication substances such as nitrogen and phosphorus in contaminated water are oxidized or decomposed by the microorganism's viability or accumulated in the body of the microorganism and then removed from the water during the process of separating and removing microorganisms such as sludge. The treated water is purified cleanly.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다른 수질 정화 장치의 기본 원리를 이용한 구체적인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using the basic principle of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질 정화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로서, 호소나 물의 흐름이 미약한 곳에 유리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성이고, 정화 용기(20)가 단계적인 수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직렬 구조로 배치된 구성을 보여준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advantageously installed where there is a weak flow or water flow, and the purification vessel 20 has a series structure such that stepwise water treatment is performed. Show the deployed configuration.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정화 용기(20)는 반응 정화 용기(20A), 침전 정화 용기(20B), 농축 정화 용기(20C)가 직렬 구조로 배치되어 상호 연결되고, 상기 각 정화 용기(20)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수질을 정화하는데 필요한 에어 블로워(41), 펌프(43), 산기관(42), 탈수기(45) 등의 각종 정화 기구들이 배치되어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plurality of purification vessels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reaction purification vessel 20A, the precipitation purification vessel 20B, and the concentrated purification vessel 20C arranged in series and interconnected. I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various purification mechanisms such as an air blower 41, a pump 43, an diffuser 42, and a dehydrator 45, which are necessary to purify the water quality, are arranged and configured.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각각을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반응 정화 용기(20A)는 측면과 하부를 밀폐시킨 일정한 크기의 용기로서, 모양은 원통형, 원추형, 타원추형, 직육면체형, 육각 기둥형 등 여러 가지가 가능하고, 그 상단부 둘레에 띠형 구조로 이루어진 부유체(30)가 구성된다.The reaction purifying container 20A is a container of a constant size sealing the side and the lower part, and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shape, a conical shape, an elliptical cone shap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hexagonal column shape, and a band-shaped structure around the upper end thereof. The floating body 30 is comprised.

상기 부유체(30)는 처리 대상인 오염수를 채운 상기 반응 정화 용기(20A)가 가라앉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반응 정화 용기(20A)의 내부와 외부의 물들이 넘쳐 섞이지 않도록 격리시키는 작용을 하고, 그 높이는 수면으로부터 10㎝이상 100㎝ 이내가 적당하다.The floating body 30 serves to prevent the reaction purification vessel 20A filled with the contaminated water to be treated from sinking and to isolate the internal and external water from overflowing the reaction purification vessel 20A so as not to overflow. As for height, 10 cm or more and 100 cm or less from water surface are suitable.

상기 반응 정화 용기(20A) 내부에는 플라스틱 발포체나 공기주머니 등을 이용한 바지선 형태의 부유체(35) 위에 에어 블로워(41)를 장착하여 띄우고, 수중으로 산기관(42)을 연결하여 설치한다. Inside the reaction purification vessel 20A, an air blower 41 is mounted on a barge-shaped float 35 using a plastic foam or air bag, and the air diffuser 42 is connected to the water.

한편, 도 3에서 참조 번호 43은 물을 이송하는 펌프이고, 46은 오염원수 유입관을 나타낸다.In FIG. 3, reference numeral 43 is a pump for transferring water, and 46 represents a contaminant inflow pipe.

상기 침전 정화 용기(20B)는 상기 반응 정화 용기(20A)에서와 마찬가지 요령으로 골격과 시트를 이용하여 용기를 만들고, 측면판 상부에 부유체(30)를 빙 둘러 접합시켜서 제작하되, 부유체(30)와 부유체(30)의 사이를 역삼각형의 구멍이 연속적으로 뚫린 시트로 막아서 이 구멍을 통하여 처리 반응을 마친 물이 월류되어 나갈 수 있게 만든다.The sedimentation purification vessel 20B is manufactured by making a vessel using a skeleton and a sheet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reaction purification vessel 20A, by joining the float 30 around the side plate, 30) and the floating body 30 are blocked by a sheet of inverted triangle holes continuously so that the finished water can flow out through the holes.

즉, 도 4는 이를 설명하기 위한 오버 플로우 구조가 도시된 주요부 상세도로서, 상기 침전 정화 용기(20B) 또는 부유체(30)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정화 용기(20) 내부의 물이 외부로 월류할 수 있도록 역삼각형 구조를 가진 오버 플로우 홀(37)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오버 플로우 홀은 수면보다 일정 정도 높은 위치에서 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FIG. 4 is a detail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overflow structure for explaining the above, wherein the water inside the purification vessel 20 overflows to the outside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recipitation purification vessel 20B or the floating body 30. The overflow hole 37 having an inverted triangular structure can be formed. The overflow hole is preferably star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water surface.

상기 침전 정화 용기(20B)는 전체 형태를 원추형이나 각뿔형이 되도록 만들 어 뾰족한 아랫부분에는 경질의 관을 연결시키고 펌프를 이용하여 농축된 오니를 송출시킬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침전 정화 용기(20B)의 내부에는 상부에 부유체(30)를 접합시켜 만든 위와 아래가 뚫린 원통형의 구획막(25)을 설치하고 반응 정화 용기(20A)로부터 오니함유처리수관(48)을 통하여 이송되어 오는 활성오니함유 처리수를 상기 구획막(25) 내부로 유입시킨다.The sedimentation purification vessel 20B makes the entire form conical or pyramidal so that the pointed lower part connects a hard tube and allows the concentrated sludge to be sent out using a pump. And inside the sedimentation purification vessel 20B, a cylindrical partition membrane 25 formed by joining the floating body 30 to the upper portion is installed, and the sludge-containing treated water pipe 48 is removed from the reaction purification vessel 20A. Activated sludge-containing treated water which is conveyed through is introduced into the partition membrane 25.

상기 농축 정화 용기(20C)는 상기 침전 정화 용기(20B)와 같은 모양으로 만들되, 그 크기를 침전 정화 용기(20B)의 1/2 ~ 1/4 정도로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농축 정화 용기(20C)도 상기 침전 정화 용기(20B)에서와 같이 위와 아래가 뚫린 원통형의 구획막(25)을 설치할 수 있다.The concentrated purification vessel 20C is made in the same shape as the precipitation purification vessel 20B, but preferably has a size smaller than 1/2 to 1/4 of the precipitation purification vessel 20B. 20C may also be provided with a cylindrical partition membrane 25, which is drilled up and down, as in the precipitation purification vessel 20B.

한편, 상기 농축 정화 용기(20C) 다음에는 탈수기(45)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탈수기(45)는 공지의 활성오니 진공 탈수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발포체나 공기주머니 등을 이용한 바지선 형태의 부유체(35) 위에 장착하여 물 위에 띄워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dehydrator 45 after the concentrated purifying vessel 20C. The dehydrator 45 may use a well-known activated sludge vacuum dehydrator, etc., and barge shape using a plastic foam or an air bag. It is preferable to mount on the floating body 35 to float on the wate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질 정화 장치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One embodiment of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operated as follows.

처리를 필요로 하는 오염수는 오염원수인입관(46)을 통하여 펌프(43)로서 반응 정화 용기(20A)로 인입되며, 반응 정화 용기(20A) 내에 산기관(42)을 통하여 공급되는 산소와 활성오니의 작용에 의하여 정화된 후 오니함유처리수관(48)을 통하여 침전 정화 용기(20B) 내의 구획막(25) 안으로 이송된다. The contaminated water requiring treatment is introduced into the reaction purification vessel 20A as the pump 43 through the contaminant inlet pipe 46, and the oxygen and the activity supplied through the diffuser 42 in the reaction purification vessel 20A. After purifying by the action of the sludge, it is transferred into the partition membrane 25 in the settling purification vessel 20B through the sludge-containing treated water pipe 48.

오니함유처리수는 침전 정화 용기(20B) 내에서 침전 분리가 일어나 상등액은 월류되어 침전 정화 용기(20B) 바깥쪽의 호소나 강, 바다로 흘러들어가며 아래쪽으로 가라앉은 오니는 일부가 반송오니관(49)을 통하여 반응 정화 용기(20A)로 되돌려지며 나머지는 잉여오니관(50)을 통하여 농축 정화 용기(20C) 내의 구획막(25) 안으로 이송된다. 이 때 필요하다면 잉여오니관(50) 안으로 응집보조제를 주입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침전 정화 용기(20B)와 농축 정화 용기(20C) 내의 수면은 주변보다 5~10㎝ 정도 높게 유지시켜 월류가 원활히 일어나도록 하며, 반응 정화 용기(20A) 내의 수면은 용기 외부의 수면과 최대한 같게 유지시키도록 오니함유처리수 이송용 펌프의 유량을 조정한다. The sludge-containing treated water is sedimented and separated in the sedimentation purification vessel 20B, and the supernatant is overflowed to flow to the lake, river, and sea outside the sedimentation purification vessel 20B, and some of the sludge that sinks downward is returned to the sludge tube ( 49 is returned to the reaction purification vessel 20A, and the remainder is transferred to the partition membrane 25 in the concentrated purification vessel 20C via the surplus sludge tube 50. At this time, if necessary, the coagulant may be injected into the surplus sludge tube 50. Typically, the water surface in the settling purification vessel 20B and the concentrated purification vessel 20C is maintained at about 5 to 10 cm higher than the surroundings so that the overflow occurs smoothly. Adjust the flow rate of the sludge feed pump to maintain the same.

농축 정화 용기(20C) 내에서 농축된 오니는 펌프(43) 구동으로 농축 오니관(52)을 통해 탈수기(45)로 보내져서 탈수가 일어나고 케이크 상의 폐오니는 배출부(54)를 통해 일정 단위로 모은 후 반출하여 폐기시킨다. The sludge concentrated in the concentration purifying vessel 20C is sent to the dehydrator 45 through the concentrated sludge tube 52 by driving the pump 43, so that dehydration occurs, and the waste sludge on the cake is discharged through a discharge unit 54. After collecting them, they are taken out and discarded.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질 정화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 구성도 및 평면 구성도로서, 강이나 바다와 같이 물의 흐름이 있는 장소에서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하나의 정화 용기(20A)에 다른 정화 용기(20B)(20C)들이 수용된 구조로 연결되어 구성된다.5 and 6 are side and plan view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advantageously applied in a place where water flows, such as a river or the sea, and one purification vessel. It is comprised by the structure which 20 C of other purification vessels 20B and 20C accommodated.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을 참조하면, 반응 정화 용기(20A)를 커다란 육각기둥 모양의 유선형으로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강물 등에 설치될 때 물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물의 흐름 방향으로 앞쪽과 뒤쪽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구조인 육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다.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 6, the reaction purification vessel 20A is configured in a large hexagonal streamline. Such a configura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gonal pillar, which is a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gradually decreases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water so as to reduce the resistance to the flow of water when installed in the river.

물론, 육각기둥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양쪽 면이 라운드진 유선형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streamlined structure in which both sides are not limited to the hexagonal columnar structure.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응 정화 용기(20A)의 내부에 침전 정화 용기(20B), 농축 정화 용기(20C), 에어 블로워(41), 펌프(43), 산기관(42), 탈수기(미도시) 등의 설비를 모두 배치한다. 즉,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표시하였으나, 물을 정화하는데 필요한 정화 기구들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모두 구성될 수 있고, 다만 각각의 구성 요소들이 모두 반응 정화 용기(20A) 내부에 구성되는 점이 다르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cipitation purification vessel 20B, the concentrated purification vessel 20C, the air blower 41, the pump 43, the diffuser 42, and the dehydrator (not shown) inside the reaction purification vessel 20A. Place all equipment such as). That is, although schematically shown in the drawings, the purification mechanisms required to purify the water may be all configured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xcept that each of the components is configured inside the reaction purification vessel 20A. .

또한 본 실시예의 침전 정화 용기(20B)에는 내부에서 처리가 끝난 물이 각 용기의 오버 플로우 홀을 통하여 밖으로 월류될 때, 이 월류되는 처리수를 상기 반응 정화 용기(20A)의 밖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채널 구조를 가진 월류수 통로(39)가 설치된다.In addition, in the precipitation purification vessel 20B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treated water flows out through the overflow hole of each vessel, the overflowed treated water can be discharged out of the reaction purification vessel 20A. Overflow passage 39 having a channel structure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월류수 통로(39)는 통상의 관 또는 호스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overflow water passage 39 is preferably formed of a conventional pipe or hose structure.

한편, 상기 반응 정화 용기(20A)는 물의 유동이 있는 곳에 설치되는 관계로 한 쪽 끝에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계류 장치(60)를 부착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reaction purification vessel 20A is preferably installed by attaching a mooring device 60 for fixing it at one end because it is installed where there is water flow.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질 정화 장치는, 호소나 항만 또는 하천의 수질 오염 상태를 개선시키거나, 유입되는 오염원수를 처리하여 정화하는 시설로 물 위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수처리 시설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다량의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산소요구물질(BOD, COD 물질)이나 부유물질, 질소 인과 같은 부영양화물질 등을 함유한 오염수를 처리함에 있어서도 보다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struct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is a facility for improving the water pollution state of a lake or a port or a river, or for treating and purifying incoming polluted water to be used as a water treatment facility.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treated more efficiently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in treating contaminated wate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biological or chemical oxygen demand material (BOD, COD material) or suspended matter, eutrophication such as nitrogen phosphorus.

또한 본 고안은 수처리 공간을 제공하는 정화 용기를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를 이용하여 수중에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육상에 설치하여 운용하는 대규모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오수처리 설비에 비하여 건설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신속한 제작 및 이동이 가능하며, 폐기시에도 용이함과 아울러, 육상의 부지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공간 활용에 있어서도 상당한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compared to the sewage treatment facility composed of a large-scale concrete structure installed and operated on the land by installing the purification vessel providing the water treatment space in the water by using the Archimedes principl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d move, and also easy to dispo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pace utilization by not using the land of the land.

Claims (9)

호소나 강, 바다 등의 물속에 일정 영역을 확보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내부에 정화할 오염수를 채워서 정화할 수 있도록 적어도 측면 및 하부가 밀폐된 구조를 갖는 정화 용기와;A purifying container having at least a side and a bottom sealed structure to fill and purify the contaminated water to be purified in a state in which it is positioned to secure a predetermined area in water such as a lake or a river or the sea; 상기 정화 용기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정화 용기에 채워진 오염수를 정화하는데 필요한 정화 기구와;A purifying mechanism provided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purifying container and required to purify the contaminated water filled in the purifying container; 상기 정화 용기 및 정화 기구들이 물속으로 가라앉지 않도록 지지하는 부유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정화 장치.And a float for supporting the purifying vessel and the purifying mechanisms so that they do not sink into the water.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정화 용기는 두께가 얇은 시트 또는 판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정화 장치.The purifying container is a water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hin sheet or sheet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정화 용기는 물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적어도 어느 한 측면은 물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정화 장치.The purifying container is a water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ide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gradually narrows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water so as to reduce the resistance to the flow of water.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부유체는 상기 정화 용기의 상단 둘레에 띠구조로 설치되어 정화 용기 내부의 물과 외부의 물이 차단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정화 장치.The floating body is installed in a band structure around the upper end of the purification vessel,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lock the water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purification vessel.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정화 용기 또는 부유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정화 용기 내부의 물이 외부로 월류할 수 있도록 오버 플로우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정화 장치.At least one side of the purification vessel or the floating body is a water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verflow hole is formed so that the water in the purification vessel can flow to the outsid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정화 용기는 단수 개 또는 복수 개로 사용하고,The purification vessel is used in the singular or plural number, 상기 정화 기구는 수질을 정화하는 데 필요한 에어 블로워, 펌프, 산기관, 탈수기 등의 수질 정화 설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정화 장치.The purifying mechanis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consisting of a water blower, such as an air blower, a pump, an acid pipe, a dehydrator, etc. necessary to purify the water quality.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정화 용기는 단계적인 수처리가 이루어지도록 반응 정화 용기, 침전 정화 용기, 농축 정화 용기가 순서대로 상호 연결되고,The purification vessel is a mutually connected reaction purification vessel, precipitation purification vessel, concentrated purification vessel in order to achieve a stepwise water treatment, 상기 각 정화 용기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수질을 정화하는데 필요한 상기 정화 기구들이 배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정화 장치.And a purification mechanism necessary to purify the water quality is disposed inside or outside the respective purification containers.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정화 용기가 복수개로 구성된 경우에, 각 정화 용기들은 직렬 구조로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정화 장치.In the case where the purification vessels are configured in plural, each purification vessel is connected in a series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정화 용기가 복수개로 구성된 경우에, 하나의 정화 용기에 다른 정화 용기들이 수용된 구조로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정화 장치.When the purification vessel is composed of a plurality,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other purification vessels are accommodated in one purification vessel.
KR2020060003128U 2006-02-03 2006-02-03 Water purification device Ceased KR20041423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128U KR200414235Y1 (en) 2006-02-03 2006-02-03 Water purif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128U KR200414235Y1 (en) 2006-02-03 2006-02-03 Water purification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10690A Division KR100616551B1 (en) 2006-02-03 2006-02-03 Water purific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235Y1 true KR200414235Y1 (en) 2006-04-17

Family

ID=41764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128U Ceased KR200414235Y1 (en) 2006-02-03 2006-02-03 Water purif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235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28122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ment of polluted water
KR100992827B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Membrane Separation
KR101037888B1 (en) Sedimentation, Biological Decomposition, Filtration, Phosphorus Removal, UV Disinfection
KR20110138050A (en) Modular Lateral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Device
JP4136877B2 (en) Floating island type water purification system
JP2010046602A (en) Method of treating oil-containing waste water
KR100249422B1 (en) Submerged sewage purifier and method for purifying sewage by using the purifier
KR20130019164A (en) Continuous tim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dsorption pack
KR100616551B1 (en) Water purification device
KR101393533B1 (en) Purification method by system with string biomedia using multi air diffuser and draft tube
KR200336701Y1 (en) Polluted river-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direct aeration
KR200414235Y1 (en) Water purification device
CN111056716A (en) Buried biochemical sewage treatment method
KR100414688B1 (en) Foul drain processing unit and method using settling chamber and biofilm filteration aquarium
KR101198117B1 (en) Apparatus for purging
KR200257303Y1 (en) Device for treating stream and lake polluted
JP7577576B2 (en) Sedimentation tank, oxygen permeable membrane uni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edimentation tank
RU2137720C1 (en) Plant for biological cleaning of domestic waste water
RU187325U1 (en) SEWAGE TREATMENT DEVICE
JP2007136378A (en) Septic tank
JP4454825B2 (en) Wastewater purification tank and wastewater purification method
JP2005058957A (en) Floating water purification system
RU2809073C1 (en) Loc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and its biofilter for wastewater treatment for use in loc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JP3970612B2 (en) Purific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urification processing method
KR200242952Y1 (en) Foul drain processing unit using settling chamber and biofilm filteration aquar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03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20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
UC2102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