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486Y1 - Heating structure using heat pipe - Google Patents
Heating structure using heat pi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4486Y1 KR200414486Y1 KR2020060001555U KR20060001555U KR200414486Y1 KR 200414486 Y1 KR200414486 Y1 KR 200414486Y1 KR 2020060001555 U KR2020060001555 U KR 2020060001555U KR 20060001555 U KR20060001555 U KR 20060001555U KR 200414486 Y1 KR200414486 Y1 KR 20041448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dissipation
- tube
- heater
- flange
-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02—Air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6—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 이격되며 일체로 구비되는 방열핀(110)을 갖는 방열관 (100) 내주면을 따라 양단으로 각각 결합공(121)을 갖으며 등간격 이격 구비되는 연결지지관(120)이 형성되는 방열관(100)과; 일측 외주면으로 결합공(211)이 천공되어 상기 연결지지관(120)의 결합공(121)과 체결 가능하게 되는 플렌지(210)가 환설되고, 내부로 히터선이 매입되며, 중앙으로 환설되는 지지환설체(222) 양방으로 각각 돌출되는 삽입구(221)를 갖는 캡(220)에 의해 타측단이 개폐되는 히터관(200)과; 상기 히터관(200)의 일측 플렌지(210)와 타측 캡(220)의 지지환설체(222)에 각각 탄지되는 스프링(230)과; 하부 기대(310)를 따라 다수개 등간격 이격 관통되는 고정공(311)이 천공되고, 상기 기대(310) 상방으로 결합 고정되며 상기 방열관(100)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체(300) 상면으로 각각 상기 기대(310)의 고정공(311)과 동일 위치상으로 고정공(301)이 등간격 천공되어, 상기 방열관(100)이 상기한 각 고정공(311,301)에 의해 고정지지되되 상기 플렌지(210)와 지지환설체(222)에 각각 스프링(23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여,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having a coupling hole 121 at both end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tube 100 having the heat dissipation fins 110 provided integrally. Heat dissipation tube 100 is formed; The flange 210 which can be fastened to the coupling hole 121 of the connection support pipe 120 by the coupling hole 211 is drilled to on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heater wire is embedded therein, and the support is turned into the center. A heater tube 200 whose other end is opened and closed by a cap 220 having insertion holes 221 protruding in both the ring tongue body 222; A spring 230 which is supported by the support ring body 222 of the one flange 210 and the other cap 220 of the heater tube 200; A plurality of fixing holes 311 penetrating a plurality of equally spaced intervals along the lower base 310 are drilled, coupled to and fixed above the base 310, an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body 300 for covering the heat dissipation tube 100. The fixing holes 301 are drilled at equal intervals in the same position as the fixing holes 311 of the base 310, respectively, so that the heat dissipation tube 100 is fixed by the fixing holes 311 and 301, respectively, and the flang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to b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230, 210 and the support ring tongue 222, respectively,
본원인에 의해 개시되어 있는 실용신안 등록 제404542호의 온수순환용 방열관체 구조와 실용신안등록 제297159호인 온수순환용 난방장치 등을 개선하여, 전기히터 또는 온수 등을 이용한 적은 열원으로도 실내의 난방 열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난방구조에 관한 것이다.Improvement of the heat dissipation pipe structure of hot water circul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404542 and Heating Device for Hot Water Circul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97159 discl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thereby heating the room even with a small heat source using an electric heater or hot wa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structure for maximizing thermal efficiency.
방열관, 방열핀, 히터관, 플렌지, 캡, 스프링, 커버체 Heat pipe, heat fin, heater pipe, flange, cap, spring, cover body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방열관과 히터관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eat dissipation tube and a heater tube ar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을 이용하여 난방장치를 이루기 위한 커버체 등과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coupled to the cover body and the like to achieve a heating device us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커버체의 상면과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방열관내 삽입된 히터관의 일측단부간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body and one end of the heater tube inserted into the heat dissipation tube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커버체의 하단측으로 이루어지는 기대와 방열관내 삽입된 히터관의 타측단부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between the bas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ver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heater tube inserted into the heat dissipation tube;
도 5는 히터관을 배제한 상태에서 상기 방열관내로 온수 등의 유체를 유동시켜 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서의 방열관과 방열관과의 체결수단에 대한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astening means between a heat dissipation tube and a heat dissipation tube in a case where a fluid such as hot water is heated by heating a fluid such as hot water in the state in which the heater tube is excluded;
도 6은 방열관 내부로 삽입되는 히팅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eating means inserted into the heat dissipation tube.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symbols in the drawings
100; 방열관 110; 방열핀100;
120; 연결지지관 121; 결합공120; Connecting
200; 히터관 201; 단자200;
210; 플렌지 211; 결합공210;
220; 캡 221; 삽입구220;
222; 지지환설체 230; 스프링222;
300; 커버체 301; 고정공300;
310; 기대 311; 고정공310; Expected 311; Fastener
400; 연결관 410; 플렌지400;
411; 연결공 500; 내화재411;
510; 관통공 520; 열선510; Through
600; 커버 610; 체결공600;
본 고안은 사우나 등의 업소 또는 일반 가정집이나 사무실 등에서 비교적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난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원인에 의해 개시되어 있는 실용신안 등록 제404542호의 온수순환용 방열관체 구조와 실용신안등록 제297159호인 온수순환용 난방장치 등을 개선하여, 전기히터 또는 온수 등을 이용한 적은 열원으로도 실내의 난방 열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난방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structure that can be used relatively easily in a business such as a sauna, a general home or an office, and the like, and in particular,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404542 discl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for the heat dissipation pipe structure 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agent 297159 improves the heating device for circulation, such as hot water circulation, and a heating structure for maximizing the heating thermal efficiency of the room with a small heat source using an electric heater or hot water.
통상 실내의 난방 또는 업소 등에서 사용되는 난방장치의 경우, 가스 및 전 기 등을 열원으로 하는 이동형 난방장치를 제외한 고정 타입으로 형성되는 난방장치의 경우 대부분 고가의 시설비와 장비 등을 이용하여 설치, 시공되는 경우가 많으나 만족할 만한 열효율을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열효율 대비 과다한 시설비 및 유지 보수 비용 등의 증가 등으로 인한 문제점 등이 지적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In the case of heating devices that are usually used for indoor heating or businesses, most of the heating devices that are formed of a fixed type other than portable heating devices that use gas and electric heat as heat sources are installed and constructed using expensive facility costs and equipment. Although there are many cases, there is a problem that a satisfactory thermal efficiency is not obtained, and problems due to an excessive increase in facility cost and maintenance cost, etc., are pointed out.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사우나 등의 업소시설이나 또는 일반 가정용, 사무 건물 등에서의 난방시설 구현시 비교적 저렴하면서도 열효율이 뛰어난 난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heating device having a relatively low cost and excellent thermal efficiency when implementing a heating facility in a business facility, such as a sauna, or a general home, office building.
또한 본 고안은, 유지보수 비용 및 작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purpose to improve the maintenance cost and workabilit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 이격되며 일체로 구비되는 방열핀(110)을 갖는 방열관(100) 내주면을 따라 양단으로 각각 결합공(121)을 갖으며 등간격 이격 구비되는 연결지지관(120)이 형성되는 방열관(100)과,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having a
일측 외주면으로 결합공(211)이 천공되어 상기 연결지지관(120)의 결합공(121)과 체결 가능하게 되는 플렌지(210)가 환설되고, 내부로 히터선이 매입되며, 중앙으로 환설되는 지지환설체(222) 양방으로 각각 돌출되는 삽입구(221)를 갖는 캡(220)에 의해 타측단이 개폐되는 히터관(200)과,The
상기 히터관(200)의 일측 플렌지(210)와 타측 캡(220)의 지지환설체(222)에 각각 탄지되는 스프링(230)과,A
하부 기대(310)를 따라 다수개 등간격 이격 관통되는 고정공(311)이 천공되고, 상기 기대(310) 상방으로 결합 고정되며 상기 방열관(100)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체(300) 상면으로 각각 상기 기대(310)의 고정공(311)과 동일 위치상으로 고정공(301)이 등간격 천공되어, 상기 방열관(100)이 상기한 각 고정공(311,301)에 의해 고정지지되되 상기 플렌지(210)와 지지환설체(222)에 각각 스프링(23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고 있다.A plurality of fixing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원인에 의해 고안된 방열핀(110)이 등간격 외주면을 따라 다수 구비되는 방열관(100)을 이용하여 우수한 열교환 효과에 의해 실내의 난방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난방체의 케이스를 이루는 커버체(300)와, 상기 커버체(300) 내부로 다수개 등간격 이격 고정되는 방열관(100)으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maximize the heating effect of the room by the excellent heat exchange effect using a
상기 커버체(300)의 경우 본 고안에서의 방열관(100)으로부터 발열되는 열기를 실내 대기중으로 확산 시킬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저면측으로 방열관(100)의 일측단을 고정하기 위한 기대(310)와 상기 방열관(100)의 타측단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기대(310) 상방측으로 입설되며 고정되는 커버체(300)로 되는데, 상기한 기대(310)와 커버체(300)로 각각 고정공(301)(311) 을 동일 위치상에 천공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이와같은 고정공(301)(311)은 등간격 이격 고정되는 것으로 각각 상하로 구분되는 고정공(301)(311)에 의해 상기 방열관(100)의 상하단부측이 각각 고정 지지될 수 있다.The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체(300) 내부로 각각 이격되며 고정 지지되는 방열관(100)은, 도 1에서 보는바와 같이 그 내부측으로 히터관(200)이 내재되어지는데 방열관(100) 내부에서의 유동성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방열관(100) 내주면측으로 등간격 이격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지지관(120)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으로, 방열관(100) 외주면으로 길이방향 등간격 이격 형설되는 다수의 방열핀(110)이 구비되어, 히터관(200)에 의해 발생된 열을 상기 방열핀(110)을 통하여 외부와 열교환 되도록 함으로써,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와 같은 연결지지관(120)이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원주면을 삼등분하며 형성되도록 하고, 그 각각의 연결지지관(120)측과 접하도록 상기 히터관(200)이 삽입되며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히터관(200)이 방열관(100)내에서 요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necting
또한 상기 연결지지관(120) 양단측으로는 각각 암나사로 가공되는 결합공(121)을 형성한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이와같은 결합공(121)은 후술하게 되는 히터관(200)의 플렌지(21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Such a
한편, 상기와 같은 방열관(100) 내부로 삽입되기 위한 히터관(200)은 도면에 서 보듯이 둥근 원봉상으로 되는 히터관(200) 내부에 열선코일이 구비되고 일단측으로 전력이 공급되기 위한 단자(201)가 돌출 형성되며, 히터관(200) 외주면 측 상방 바람직하게는 단자(201)측 외주면으로 일체로 환설되는 플렌지(210)를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플렌지(210)로는 등간격 이격되며 천공되는 결합공(211)을 갖는데, 상기 결합공(211)과 상술한 방열관(100)의 연결지지관(120) 내측으로 형성되는 결합공(121)과 일치되는 위치상에서 천공되어 고정 가능하게 구성한다.The
아울러, 히터관(200) 외주면으로 형성된 플렌지(210)와 대응되는 타단으로 도1에서 보듯이 캡(220)을 이용하여 마감 처리한다.In addition, the other end corresponding to the
이와같은 캡(220)은 중앙으로 일정 직경을 갖으며 환설되는 지지환설체(222)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각각 일체로 돌출되는 삽입구(221)를 형성하여 그 일단측이 상기 히터관(200) 일단(즉, 플렌지(210)와 대응되는 단부측)에 삽입 고정되고 타단측의 삽입구(221)는 상술한 커버체(300) 상면의 고정공(301)측으로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Such a
또한, 히터관(200)이 삽입되는 방열관(100)을 커버체(300)와 기대(310)에 고정할 때 완충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도 3 내지 도 4에서 보는바와 같이 히터관(200)의 플렌지(210)와 기대(310) 상면간을 탄성적으로 탄지하기 위한 스프링(230)과, 상기 히터관(200) 타측으로 고정되는 캡(220)의 삽입구(221)와 커버체(300)간을 탄성적으로 탄지하기 위한 스프링(230)을 각각 탄설하여 설치시 또는 외부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충격력 등을 상쇄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상기의 구성을 이용하여, 사무실이나 가정집 또는 사우나 시설 등의 업소용 난방장치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방열관(100) 내측으로 일측단이 캡(220)에 의해 마감처리되도록 하고 타단으로는 단자(201)가 돌출되는 히터관(200)을 삽입한 후 히터관(200)의 타단측 외주면으로 환설되어 있는 플렌지(210)와 방열관(100) 내측면으로 길게 등간격 형성되어 있는 연결지지관(120)을 일치시킨 다음 상기 플렌지(210)의 결합공(211)과 상기 연결지지관(120)의 결합공(121)간 별도의 볼트 등으로 되는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한다.By using the above configuration, in order to utilize as a heating device for businesses such as offices, homes, sauna facilities, etc., one end is to be finished by the
이와같이 방열관(100)내로 히터관(200)이 삽입 고정되면, 히터관(200) 외주면측으로 상기 방열관(100) 내주면에 형성된 연결지지관(120)과 접하는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히터관(200)이 방열관(100)내에서 요동되는 현상을 완벽하게 제어하며 동(同)상태로 유지, 고정되므로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해 방열관(100)과 히터관(200)간 충격이 방지됨은 물론, 안정적 고정상태의 유지 등에 의해 사용수명을 현저하게 연장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한편, 이와같이 히터관(200)을 방열관(100)내로 삽입, 고정하여서 되는 상기 방열관(100)을 상기한 커버체(300)와 기대(310) 사이에 각각 다수개 입설 고정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the
즉, 커버체(300)와 기대(310)에는 각각 동 위치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고정공(301,311)이 천공되는바, 상기 고정공(301,311)측으로 방열관(100)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히터관(200)의 일단부가 삽입되고, 히터관(200)의 타측 즉 캡(22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삽입구(221)를 이용하여 삽입, 커버체(300)내에서 입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That is, the
본 고안에서는 도면에서 보듯이 단자(201)가 구비되는 히터관(200)을 기대(310) 고정공(311)측으로 삽입하였고, 히터관(200)의 타단부측으로 마감처리된 캡(220)의 삽입구(221)가 커버체(300)의 고정공(301)측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고정하되, 상기 히터관(200)의 외주면상으로 환설되는 플렌지(210)와 기대(310)면간 스프링(230)이 탄설되도록 하고, 마찬가지로 타단측의 캡(220) 일측으로 돌출되는 삽입구(221) 외주면측으로 스프링(230)을 탄설하여 상기 캡(220)의 지지환설체(222)와 커버체(300) 상측 내면과 접하도록 함으로써, 방열관(100) 전체에 걸쳐 스프링(230)에 의한 탄지력이 제공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이러한 탄지력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력 등으로부터 방열관(100)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커버체(300)내로 방열관(100)을 고정하거나 또는 분리작업 등을 수행할 때 용이한 작업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This holding force can protect the
이와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을 이용하여, 사우나 등의 업소용 실내나 일반 가정집, 사무실 등에 설치하여 사용하였을 경우, 단자(201)측으로 제공되는 전력에 의해 방열관(100)내를 히팅하게 되어 대기와 열교환되어 실내 온도를 상승시키게 되는데, 상기 방열관(100)의 엠보싱 처리되는 방열핀(110)에 의한 열교환 면적의 증대에 의해 열교환 효율이 증대되며, 또한 비교적 적은 전력으로 고효율의 난방효과를 기대하게 된다.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installed and used in a business room such as a sauna, a general home, an office, or the like, the inside of the
한편, 상기한 구성과 같이 히터관(200)을 이용하지 않고 방열관(100)만을 이용하여 난방장치를 구현할 수 도 있는바, 예컨데 도시하지 않은 보일러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 등을 유동시키기 위해, 방열관(100)과 방열관(100)을 연결하여야 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이와같은 방열관(100)과의 연결을 위해, 연결공(411)을 갖는 플렌지(410)가 양단측에 각각 환설되는 연결관(400)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 apparatus may be implemented using only the
이러한 연결관(400)의 양단측 플렌지(410)는 방열관(100)의 내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구비되는 연결지지관(120)과 당접되는 위치에서 별도의 도시하지 않은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체결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Both ends of the
도면상 도시하지 않고 있으나 방열관(100)과 연결관(400)의 연결시 방열관(100) 내부를 유동하게 되는 유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고 기밀성 및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링부재를 게재하여야 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when connecting the
한편, 도 6에서 보듯이 방열관(100)내부에 히팅수단을 직접 내장할 수 있는데, 예컨데 상기의 방열관(100) 내부로 길이방향으로 관통공(510)이 다수 천공된 둥근 원기둥 형태의 일명 마그네샤라 불리우는 내화재(500)를 다단 삽입하되, 상기 관통공(510)을 통해 열선(520)을 삽입하여 상기 방열관(100)의 어느 일측단으로 열선(520)의 단자가 돌출되도록 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a heating means may be directly embedded in the
아울러, 상기 방열관(100)의 양측단을 각각 밀봉 처리하기 위한 커버(600)를 체결하도록 하는데, 상기 커버(600)를 관통하는 체결공(610)을 방열관(100) 내부측으로 형성된 연결지지관(120)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천공하여, 상기 연결지지관(120)에 형성되는 결합공(121)과 일치되도록 위치시킨 후 도시하지 않은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방열관(100) 내부에 수용되는 내화재(500)를 견고하게 고정수 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내부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도 내화재(500) 등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였으며 직접 내화재(500) 내부를 통해 구비되는 열선을 통해 발열되는 열이 직접 방열관(100)측으로 열전달 되며 방열핀(110)을 통해 대기와 열교환 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증대를 꾀하였다.In addition, to connect the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장치를 이용하여 사우나 등의 업소용 난방장치나 일반 가정집 및 사무실 등에서 채택되어 비교적 저렴한 전력 사용으로 고효율의 난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에 따른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 등이 용이하여 유지비용의 현저한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latively simple device is adopted in a business heating device such as a sauna or a general home and office, so that high efficiency heating effect can be expected by using relatively low power, and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 according to a simple configuration This is a very useful design that can be expecte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maintenance cost is easy.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60001555U KR200414486Y1 (en) | 2006-01-16 | 2006-01-16 | Heating structure using heat pi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60001555U KR200414486Y1 (en) | 2006-01-16 | 2006-01-16 | Heating structure using heat pip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14486Y1 true KR200414486Y1 (en) | 2006-04-20 |
Family
ID=4929683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60001555U Expired - Fee Related KR200414486Y1 (en) | 2006-01-16 | 2006-01-16 | Heating structure using heat pip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14486Y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61005Y1 (en) | 2010-03-30 | 2012-07-03 | 자원전자 주식회사 | Heating Pipe Assembly for Infrastructure |
| KR20180010431A (en) * | 2016-07-21 | 2018-01-31 | 강민수 | Repeat circulation of non-contact instantaneous water heater heating boilers |
-
2006
- 2006-01-16 KR KR2020060001555U patent/KR200414486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61005Y1 (en) | 2010-03-30 | 2012-07-03 | 자원전자 주식회사 | Heating Pipe Assembly for Infrastructure |
| KR20180010431A (en) * | 2016-07-21 | 2018-01-31 | 강민수 | Repeat circulation of non-contact instantaneous water heater heating boilers |
| KR101876260B1 (en) * | 2016-07-21 | 2018-07-09 | 강민수 | Repeat circulation of non-contact instantaneous water heater heating boilers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568212B2 (en) | Coil tube heat exchanger for a tankless hot water system | |
| KR101804216B1 (en) | Floor Heating Panel Using Conductive Composit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
| PL1729195T5 (en) | Thermostat (in particular for radiator for room heating) comprising thermoelectric generator | |
| KR200456010Y1 (en) | Electric radiator | |
| JPS5941095B2 (en) | heating device | |
| KR200414486Y1 (en) | Heating structure using heat pipe | |
| JP2004340199A (en) | Fluid control device with heater | |
| WO2017099512A1 (en) | Water heating apparatus and electric boiler using same | |
| KR200202377Y1 (en) | Heater for radianting heat | |
| KR20070113753A (en) | Ultra Low Power Triple Structure Heat Pipe Heating System | |
| KR20080017042A (en) | Heating device with thermoelectric module | |
| KR200267523Y1 (en) | packing device of electric heating water pipe | |
| KR101327384B1 (en) | Unitized heat radiator | |
| JP3199565U (en) | Water tank assembly and humidifier | |
| US9822985B2 (en) | Radiant heating system | |
| ES2384848B1 (en) | HIGH PERFORMANCE AND THERMODYNAMIC EFFICIENCY ELECTRICAL RADIATOR. | |
| CN112074144A (en) | Supporting structure and electric heater | |
| CN215002299U (en) | Plumbing and water heaters | |
| CN205481614U (en) | Embedded air conditioner and tubulose electric heater fixing device thereof | |
| KR101638137B1 (en) | Assembly type haeting structure having plate type heating system | |
| CN209027090U (en) | Flexible heating film warm-air drier | |
| KR20200131636A (en) | Electric floor heating apparatus and electric floor heating system using the same | |
| CN221630013U (en) | Electric water heater | |
| JP2020084516A (en) | Household power generator and air conditioner for house | |
| KR20080062418A (en) | Heatpipe boil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 UT0201 |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5-5-W10-W00-oth-UT0201 |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 UT0701 |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
St.27 status event code: A-5-4-M10-M11-oth-UT0701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2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414 Year of fee payment: 5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1104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41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