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210Y1 -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 Google Patents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5210Y1 KR200415210Y1 KR2020060004139U KR20060004139U KR200415210Y1 KR 200415210 Y1 KR200415210 Y1 KR 200415210Y1 KR 2020060004139 U KR2020060004139 U KR 2020060004139U KR 20060004139 U KR20060004139 U KR 20060004139U KR 200415210 Y1 KR200415210 Y1 KR 20041521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exible
- rigid
- printed circuit
- coverlay
- circuit boar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 H05K3/022—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ecursors of printed circuits, i.e. copper-clad substrat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5—Via connections; Lands around holes or via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05K1/185—Components encapsulated in the insulating substrate of the printed circuit or incorporated in internal layers of a multilayer circuit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동적층판, 동적층판 일면에 적층된 커버레이 및 상기 커버레이 일면에 적층된 프리프레그가 다수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1리지드부 및 제2리지드부와, 일단이 제1리지드부의 동적층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리지드부의 동적층판에 연결되는 플렉시블동적층판 및 일단이 제1리지드부의 커버레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리지드부의 커버레이에 연결되는 플렉시블커버레이를 구비하는 플렉시블부를 포함하는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이 플렉시블부는 각각의 플렉시블동적층판 및 플렉시블커버레이가 적층되어 형성된 층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이 개시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ynamic laminated plate, a coverlay stacked on one surface of a dynamic laminated plate, and a first preserved portion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prepregs stacked on one surface of the coverlay, and one end of a dynamic laminated plate A flexible portion having a flexible cover laminated to the cover layer,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verlay of the first rigid par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verlay of the second rigid part. A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omprising: a flexible layer formed by stacking each flexible dynamic laminate and a flexible coverlay A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disclosed, wherein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therebetween.
개시된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의하면 플렉시블부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다 유연성 있게 구부려질 수 있어, 회로굴곡부의 내굴곡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closed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since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in the flexible portion, the flexibl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an be bent more flexibly, thereby improving the flex resistance of the circuit bent portion.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비아홀, 동적층판, 커버레이, 프리프레그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Via Hole, Dynamic Layer, Coverlay, Prepreg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도 2f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제작단계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2A to 2F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n according to a manufacturing step of a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110...제1리지드부100 ... rigid flexible
111...폴리이미드층 112...동박층111
113...동적층판 114...커버레이(coverlay)113
115...프리프레그(prepreg) 116...비아홀(via hole)115 ...
117...에어갭 120...제2리지드부117 ... Airgap 120 ... Second Rigid Part
130...플렉시블부 133...플렉시블동적층판130 ...
134...플렉시블커버레이134.Flexible Coverlay
본 고안은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로굴곡부의 내굴곡성을 향상시킨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o improve the bending resistance of the circuit bent portion.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이란 전기 절연성 기판에 구리와 같은 전도성 재료로 회로 라인 패턴(line pattern)을 형성시킨 것으로 전자부품을 탑재하기 직전의 기판을 말한다. Generally, a printed circuit board is a circuit line pattern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opper on an electrically insulating substrate, and refers to a substrate immediately before mounting an electronic component.
인쇄회로기판은 기판 재료의 종류에 따라, 페놀과 에폭시로 제작되는 리지드(rigid) 인쇄회로기판과 폴리이미드(polyimid)와 같이 쉽게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는 플렉시블(flexible) 인쇄회로기판으로 분류된다.Printed circuit boards are classified into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made of phenol and epoxy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made of easily bendable materials such as polyimid, depending on the type of substrate material. do.
최근 들어, 휴대폰, PDA,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전자기기의 성장에 따라 인쇄회로기판 산언은 제품의 고집적화, 패키지화의 중요 핵심부품으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의 소형화, 경량화 및 경박 간소화를 위한 기술은 실장되는 부품의 소형 미세 가공 기술뿐만 아니라, 실장 공간의 최적화 설계 기술을 필요로 하는 것은 물론, 특히 고밀도의 고집적 부품 실장을 가능하게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제공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Recently, with the growth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DAs, and digital cameras, printed circuit board prose is an important core component of high integration and packaging of products. The technology for miniaturization, light weight, and light weight of the electronic device requires not only a small microfabrication technology for the mounted parts, but also an optimized design technology for the mounting space, and a printed circuit that enables high-density, high-density component mounting, in particular. Provision of the substrate is necessary.
여기서, 자동화기기, 캠코더 등 회로기판이 움직여야 하는 경우와 부품의 삽입, 구성시 회로기판의 굴곡을 요하는 경우에 유연성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만든 회로기판인 플렉시블 기판은 별도의 커넥터 사용으로 인하여 공간 문제, 접속신뢰성 문제 및 부품실장성 문제를 안고 있으며, 이는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적용하여 개선할 수 있다. Here, flexible boards, which are flexible circuit boards that can be flexibly responded to when circuit boards such as automation devices and camcorders need to move, and when circuit boards need to be inserted or inserted into components, are used for space problems due to the use of separate connectors. There is a problem of connection reliability and component mounting, which can be improved by applying a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이러한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은 부품실장기판의 기능과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Such a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y simultaneously perform a function of a component mounting board and a function of an interface.
따라서, 리지드 플렉시블 기판은 리지드 기판과 플렉시블 기판이 구조적으로 결합되어 별도의 커넥터 없이 리지드부와 플렉시블부가 연결되어 있는 기판으로서, 커넥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상의 공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종래의 커넥터 부분의 접속에서 발생되는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부품 실장성을 개선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Therefore, a rigid flexible board is a board in which a rigid board and a flexible board are structurally coupled and connected to a rigid unit and a flexible unit without a separate connector. Since the connector is not used, a space problem on a printed circuit board can be solve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reliability generated in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or portion, and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component mountability.
특히, 전자 부품과 부품내장 기술의 발달 및 전자제품의 경박단소화로 인하,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In particular, the demand for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is steadily grow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components and component embedding technology and the reduction of light and small size of electronic products.
종래의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은 전자기기의 회로굴곡부의 연속 반복 운동이 있을 때, 플렉시블부에 적층된 접착제에 의하여 굴곡성이 저하되고, 플렉시블 부분에 형성된 회로가 쉽게 단락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s a problem in that, when there is a continuous repetitive motion of the circuit bent por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flexibility is reduced by the adhesive laminated on the flexible portion, and the circuit formed on the flexible portion is easily shorted.
또한, 레이저로 드릴 가공한 후 내면에 금 도금을 하여 형성된 비아홀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레이저 비아홀은 비아홀 내부의 빈 공간에 의해 비아홀 표면이 울퉁불퉁해지는 현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각종 미세 전자부품과의 접촉면적이 적어 전자 부품과 비아홀과의 본딩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many via holes formed by plating gol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aser via hole after being drilled with a laser are used.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via hole becomes uneven due to the empty space inside the via hole, as well as contact with various microelectronic components. Since the area is small, there is a problem in that bonding characteristics between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the via hole are degraded.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플렉시블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회로굴곡부의 내굴곡성을 향상시킨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improved flex resistance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flexible part.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 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and will be apprecia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shown in the claims.
본 고안에 따르면, 동적층판, 상기 동적층판 일면에 적층된 커버레이 및 상기 커버레이 일면에 적층된 프리프레그가 다수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1리지드부 및 제2리지드부와, 일단이 제1리지드부의 동적층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리지드부의 동적층판에 연결되는 플렉시블동적층판 및 일단이 제1리지드부의 커버레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리지드부의 커버레이에 연결되는 플렉시블커버레이를 구비하는 플렉시블부를 포함하는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부는 각각의 플렉시블동적층판 및 플렉시블커버레이가 적층되어 형성된 층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이 개시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rigid part and a second rigid part formed by stacking a dynamic layer plate, a coverlay stacked on one surface of the dynamic layer plate and a prepreg stacked on one surface of the coverlay, and one end of the first rigid part A flexible cover plate connected to the dynamic layer plate,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dynamic layer plate of the second rigid part, and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verlay of the first rigid par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verlay of the second rigid part; A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omprising a flexible part, wherein the flexible part is formed by stacking each of the flexible dynamic laminate and the flexible coverlay. A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disclosed, wherein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therebetween.
여기서, 상기 제1리지드부 및 제2리지드부는, 충진재로 채워진 비아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rigid portion and the second rigid portion preferably include via holes filled with a filler.
또한, 상기 동적층판 및 플렉시블동적층판은, 폴리이미드층과 동박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dynamic laminated board and a flexible dynamic laminated board contain a polyimide layer and a copper foil layer.
게다가, 상기 동박층은 회로패턴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copper foil layer was formed with the circuit patter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will properly describ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desig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00)은 제1리지드부(110), 제2리지드부(120), 플렉시블부(130)로 이루어져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 a rigid flexible printed
먼저, 제1리지드부(110) 및 제2리지드부(120)는, 동적층판(113), 커버레이(coverlay)(114), 프리프레그(115), 비아홀(116)을 포함한다. First, the first
상기 동적층판(113)은, 폴리이미드층(111) 및 동박층(112)을 포함한다. 상기 동적층판(113)은, 상기 폴리이미드층(111)의 일면에 상기 동박층(112)이 적층되고, 내열성, 내 화학성의 성질을 가진다.The
여기서, 상기 동적층판(113)의 상기 동박층(112)은 드라이필름을 라미네이팅하고, 양면 노광, 현상, 에칭하는 과정을 통하여, 회로패턴이 형성된다.Here, the
상기 커버레이(coverlay)(114)는, 상기 동적층판(113)의 동박층(112)에 형성된 회로패턴의 노출면을 보호하고 절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절연성 수지로서, 상기 동적층판(113) 일면에 적층된다.The
상기 프리프레그(prepreg)(115)는 상기 커버레이(114) 일면에 개재된다. 또 한 상기 프리프레그(115)는, 상기 동적층판(113)을 상하로 적층시키기 위하여 상기 동적층판(113) 사이에 개재된다.The
상기 비아홀(116)은 상기 동적층판(113), 상기 커버레이(114), 상기 프리프래그(115) 및 상기 동적층판(113)이 차례로 적층된 곳에 관통되어 형성되고, 충진재로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 비아홀(116)이 형성된 후, 상면에 커버레이(114)가 적층된다.The
상기 플렉시블부(130)는, 일단이 상기 제1리지드부(110)의 동적층판(113)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리지드부(120)의 동적층판(113)에 연결되는 플렉시블동적층판(133) 및 일단이 상기 제1리지드부(110)의 커버레이(114)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리지드부(120)의 커버레이(114)에 연결되는 플렉시블커버레이(134)를 포함한다.The
여기서, 상기 플렉시블부(130)는 각각의 플렉시블동적층판(133) 및 플렉시블커버레이(134)가 적층되어 형성된 층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다. 상기 소정의 간격은 에어갭(117)이라고도 칭하며, 상기 프리프레그(115)가 개재되지 않는 곳이다.Here, the
도 2a 내지 도 2f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제작단계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2A to 2F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n according to a manufacturing step of a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도 2f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각 제작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S. 2A to 2F, each manufacturing step of the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이미드층(111) 일면에 동박층(112)이 적층된 동적층판(113)이 준비된다. 여기서, 상기 동적층판(113)의 상기 동박층(112)은 드라이필름을 라미네이팅하고, 양면 노광, 현상, 에칭하는 과정을 통하여, 회로패턴이 형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 2A, the
다음으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적층판(113)에 형성된 회로패턴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동적층판(113)의 상기 동박층(112) 일면에 커버레이(114)가 적층 된다. 여기서 커버레이(114)는, 회로패턴의 노출면을 보호하고 절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절연성 수지이다. Next, as shown in FIG. 2B, the
다음으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레이(114)로 피복된 동적층판(113) 두 개를 준비하고,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한 다음, 상기 프리프레그(115)를 개재한다. Next, as shown in FIG. 2C, as described above, two
여기서 상기 프리프레그(115)는 플렉시블부가 형성될 회로기판 부분에는 개재하지 않는다. 프리프레그(prepreg)란 유리섬유에 수지(regin)가 함침되어 경화된 재료로, 접착성을 가진다. Here, the
상기에서 준비된 두 개의 상기 동적층판(113)을 상기 프리프레그(115) 상하면에 적층시킨다. 상기 프리프레그(115)의 상하면에 상기 동적층판(113)이 적층되며, 상기 동적층판(113)은 진공프레스에 의해 상기 프리프레그(115)에 압착되어 적층된다.The two
다음으로,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형성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프리프레그(115)를 적층하지 않고 오픈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레이(114)에 오픈 영역이 아닌 부분에는 다른 동적층판(113)을 적층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레이(114)와 상기 동적층판(113) 사이에 프리프레그(115)를 이용하여 적층시키고, 프레스를 이용하여 압축 성형한다.Next, as shown in FIG. 2D, an open region is formed without stacking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또 다른 동적층판이 하나 더 적층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상기 동적층판은 여러 개가 더 적층될 수 있으며, 이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nother dynamic layer is described as being laminated,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dynamic layer may be further stacked, which is a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who have.
따라서, 상기 동적층판(113), 커버레이(114), 프리프레그(115) 및 또 다른 동적층판(113)으로 이루어진 제1리지드부(110) 및 제2리지드부(120)가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1리지드부(110)의 동적층판(113)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리지드부(120)의 동적층판(113)에 연결되는 플렉시블동적층판(133) 및 일단이 상기 제1리지드부(110)의 커버레이(114)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리지드부(120)의 커버레이(114)에 연결되는 플렉시블커버레이(134)를 포함하는 플렉시블부(130)가 형성된다.Accordingly, the first
여기서, 상기 플렉시블부(130)는 상기 프리프레그(115)가 개재되지 않아,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다. 상기 소정의 간격은 에어갭(117)이라고도 칭하며, 상기 프리프레그(115)가 개재되지 않는 곳이다. 따라서, 상기 프리프레그(115)가 개재되지 않은 소정의 간격으로 인하여 회로굴곡부의 내굴곡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Here, the
즉, 상기 프리프래그(115)를 상기 플렉시블부(130)에 개재하지 않음으로써, 플렉시블 기판이 구부려지는 경우에, 보다 유연성 있게 구부려질 수 있으며, 플렉시블부에 형성된 회로가 단락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That is, by not interposing the
그 다음으로,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리지드부(110) 및 제2리지 드부(120)에 다른 층간의 접속을 위한 비아홀(via hole)(116)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2E, via
상기 비아홀(116)은 레이저 드릴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리지드부(110,120)에 형성한 후, 충진재로 채워진다. 상기 비아홀(116)에 수지 종류의 잉크로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아홀(116)을 충진재로 채운 후, 연마에 의해 평탄화하고 양면 노광, 에칭 등의 과정을 통하여, 회로가 형성된다. The via
여기서, 충진된 비아홀의 평탄도로 인해 높은 본딩(bonding)성을 유지할 수 있고, 제품의 높은 전도성으로 신뢰성을 유지하며, 제품의 경박 단소화를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비아홀(116)에 충진재를 충진시킴으로써 표면이 울퉁불퉁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비아홀(116)의 접촉 면적을 넓혀, 기판에 실장되는 부품과의 전기적 접촉성 및 본딩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He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high bonding (bonding) due to the flatness of the filled via hole, maintain reliability by high conductivity of the product, and make it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product. In addition, by filling the via
마지막으로,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아홀(116)을 형성한 후, 가장 외층에 적층된 동적층판(113)에 커버레이(114)를 도포하여,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형성한다. 이 때, 외부표면은 상기 커버레이(114)를 대신하여 포토 솔더 레지스트를 인쇄할 수도 있고, 감광성 솔더 레지스터로 처리하는 등의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Finally, as shown in FIG. 2F, after forming the via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t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 claims.
본 고안의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따르면, 플렉시블부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다 유연성 있게 구부려질 수 있어, 회로굴곡부의 내굴곡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redetermined interval is formed in the flexible portion, the flexible flexible circuit board can be bent more flexibly, thereby improving the flex resistance of the circuit bent portion.
또한, 비아홀에 충진재를 충진시킴으로써 표면이 울퉁불퉁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비아홀의 접촉 면적을 넓혀, 기판에 실장되는 부품과의 전기적 접촉성 및 본딩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filling the via hole with a filler, the surface may be uneven, and the contact area of the via hole may be increased to improve electrical contact and bonding characteristics with components mounted on the substrat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60004139U KR200415210Y1 (en) | 2006-02-14 | 2006-02-14 |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60004139U KR200415210Y1 (en) | 2006-02-14 | 2006-02-14 |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15210Y1 true KR200415210Y1 (en) | 2006-04-28 |
Family
ID=4176470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60004139U Expired - Fee Related KR200415210Y1 (en) | 2006-02-14 | 2006-02-14 |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15210Y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53530B1 (en) * | 2015-02-26 | 2018-04-30 | 도시바 디엠에스 가부시키가이샤 | Multilayer rigid flexible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2006
- 2006-02-14 KR KR2020060004139U patent/KR200415210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53530B1 (en) * | 2015-02-26 | 2018-04-30 | 도시바 디엠에스 가부시키가이샤 | Multilayer rigid flexible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400782B2 (en) |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 US9320137B2 (en) |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 WO2022007274A1 (en) |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 JP5093353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nent built-in module and component built-in module | |
| US11812556B2 (en) | Printed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KR20090130727A (en) | Electronic component embedded printed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 |
| CN104756615B (en) | Printed circuit board | |
| WO2010113448A1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circuit board, and circuit board | |
| US20140318834A1 (en) |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 KR100747022B1 (en) | Embedded printed circuit boar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KR101006603B1 (en) | Printed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KR101905879B1 (en) |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 KR101701380B1 (en) | Device embedde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CN103052281A (en) | Embedded multilayer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KR200415210Y1 (en) |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 |
| TWI477214B (en) |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buried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 KR100734244B1 (en) |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JPWO2015083216A1 (en) | Multilayer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WO2019198241A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board with embedded components, and board with embedded components | |
| KR101108816B1 (en) |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KR100658437B1 (en) | Printed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bump board | |
| KR20100053761A (en) | Embedded pcb using unclad and embedded pcb manufactured thereby | |
| KR20050027758A (en) |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in parallel | |
| KR20090060551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 board embedded semiconductor device | |
| KR20120034530A (en) |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406 Year of fee payment: 3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2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0904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042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