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24514Y1 - 도립의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트리거식 분무장치 - Google Patents

도립의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트리거식 분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514Y1
KR200424514Y1 KR2020060014095U KR20060014095U KR200424514Y1 KR 200424514 Y1 KR200424514 Y1 KR 200424514Y1 KR 2020060014095 U KR2020060014095 U KR 2020060014095U KR 20060014095 U KR20060014095 U KR 20060014095U KR 200424514 Y1 KR200424514 Y1 KR 200424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casing
suction
upper casing
con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Priority to KR2020060014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5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51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59Components or details allowing operation in any orientation, e.g. for discharge in invert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9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 B05B11/1011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of the nozzl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립의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트리거식 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정립의 경우는 물론이며 도립된 경우에도 트리거를 당기면 용액을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트리거식 분무장치에 의하면; 상부면(111)에 밸브하우징(40)의 흡입유로(42)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1결합구(112)가 돌출되게 마련되며 저부가 개방된 원통상의 상부케이싱(110)과, 이 상부케이싱(110)의 개방된 저부에 끼워져 결합되어 상부케이싱(110)과의 사이에 용액이 일시 저장되는 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면(121)에 용액 흡입을 안내하는 제2결합구(122)가 돌출되게 마련된 원통상의 하부케이싱(120)과, 이 하부케이싱(120)의 제2결합구(122)에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어 용기(10)가 정립된 경우에 용액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튜브(130)와, 상부케이싱(110)의 상부면(111)에 마련되며 용기(10)가 도립된 경우에는 개방되어 상부케이싱(110)과 하부케이싱(120)과의 공간(S)으로 용액 흡입을 허용하며 용기(10)가 정립된 경우에는 폐쇄되는 전환밸브(140)로 이루어진 전환밸브 조립체(10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도립의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트리거식 분무장치{TRIGGER TYPE SPRAY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트리거식 분무장치의 전체 단면도로, 정립(正立)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트리거식 분무장치의 전환밸브 조립체를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환밸브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 - Ⅳ선에 따른 단면도로, 전환밸브 조립체의 조립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트리거식 분무장치의 도립(倒立)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용기 20..캡 30..분무장치
40..밸브하우징 42..흡입유로 100..전환밸브 조립체
110.상부케이싱 112..제1결합구 120..하부케이싱
122..제2결합구 130..흡입튜브 140..전환밸브
141..밸브시트부 142..볼 143..걸림턱
본 고안은 소형 트리거식 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립의 경우는 물론이며 도립된 경우에도 트리거를 당겨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도립의 경우에도 사용 가능한 트리것기 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분무기는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용액)을 펌핑하여 분무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용기 상부에는 분무장치가 부설된다. 즉, 종래 소형 분무기는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의 화장품이나 기타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와, 이 용기의 네크(neck)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캡과, 이 캡의 상부에 부설되며 트리거의 작동에 의해 액상의 내용물을 일정량씩 펌핑 분무하는 트리거식 분무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종래 트리거식 분무장치는 캡 상부에 설치되며 선단부에 분무노즐이 마련된 본체와, 이 본체내에 마련되며 용기내의 용액을 흡입 펌핑하도록 플런저를 구비한 펌프기구와, 이 펌프기구의 플런저를 반복 작동시키기 위해 본체의 선단부위에 힌지 결합된 트리거와, 이 트리거를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을 갖추고 있다. 또한, 펌프기구의 흡입구에는 흡입튜브가 결합되어 있는데, 이 흡입튜브의 하단은 용기 저부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트리거를 반복적으로 당김에 따라 용기내의 용액은 흡입튜브를 통해 펌프기구내로 흡입되며, 계속하여 분무노즐을 통해 분무형태로 압출된다. 이 때, 분무장치를 반듯하게 세운상태(정립 상태)에서는 분무가 가능하지만, 분무장치를 거꾸로 세운 상태(도립 상태)에서는 그 사용이 불가능하다.
즉, 종래 분무장치를 도립(倒立)시키면 흡입튜브 끝단이 용기 내부에서 공기 중에 노출됨으로써 용액 흡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 트리거식 분무장치는 세운 상태에서만 사용 가능하여 그 사용 조건에 많은 제약이 있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용액 흡입구조를 개선하여 정립의 경우는 물론이며 도립된 경우에도 트리거를 반복적으로 당기면 용액을 분무할 수 있는 도립의 경우에도 사용 가능한 트리거식 분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용기의 네크에 캡을 통해 결합되며 용기에 담겨진 용액을 흡입 펌핑할 수 있도록 플런저가 진퇴운동 가능하게 내장되는 실린더를 구비한 분무기본체와, 이 분무기본체의 저부에 삽입 배치되어 실린더로의 용액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유로가 마련된 밸브하우징과, 분무기본체의 선단에 설치된 분무노즐과, 분무기본체의 선단부위에 힌지 장착되어 반복적으로 당김 동작이 가능하며 배면에 플런저 선단이 결합된 트리거를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30)에 있어서;
밸브하우징의 흡입유로 단부에는 용기가 도립된 경우에도 용액 흡입을 허용하는 전환밸브 조립체가 배치되되;
전환밸브 조립체는; 상부면에 밸브하우징의 흡입유로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1결합구가 돌출되게 마련되며 저부가 개방된 원통상의 상부케이싱과, 이 상부케이싱의 개방된 저부에 끼워져 결합되어 상부케이싱과의 사이에 용액이 일시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면에 용액 흡입을 안내하는 제2결합구가 돌출되게 마련된 원통상의 하부케이싱과, 이 하부케이싱의 제2결합구에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어 용기가 정립된 경우에 용액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튜브와, 상부케이싱의 상부면에 마련되며 용기가 도립된 경우에는 개방되어 상부케이싱과 하부케이싱과의 공간으로 용액 흡입을 허용하며 용기가 정립된 경우에는 폐쇄되는 전환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전환밸브가 상부케이싱의 상부면 일측에 상하부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용액 통로를 확보하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드는 호퍼형태의 밸브시트부와, 이 밸브시트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밸브시트부의 통로를 개폐하는 볼과, 이 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밸브시트부의 상부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된 복수의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1결합구가 상부케이싱의 상부면에서 편심되게 이루어지고, 상부케이싱의 벽면 내측에 조립턱이 돌출되게 마련되며; 제2결합구는 하부케이싱의 하부면에서 편심되게 이루어지고, 하부케이싱의 벽면 상부에는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가 길이방향으로 동축을 이루면서 상부케이싱과 하부케이싱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조립턱이 수용 결합되는 조립 가이드부가 돌출되게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케이싱의 벽면 내주에 원주방향으로 띠 형태의 결합홈이 마련되며; 하부케이싱의 벽면 외주에 결합홈에 요철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결합턱이 띠 형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밸브하우징이 분무기본체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흡입유로가 편심되게 마련된 가이드 부시를 구비하며; 상부케이싱의 상부면에 흡입유로와 가이드부시 내벽과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1결합구 양측에 대향되게 한쌍의 조립 리브가 돌출되게 마련되어; 전환밸브 조립체의 결합 방향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분무장치가 소형 분무기에 적용된 것을 예로 설명한다.)
본 고안이 적용된 소형 분무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액(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10)와, 이 용기(10)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캡(20)과, 이 캡(20)에 부설되어 용액 내용물을 펌핑하여 스프레이 타입으로 분무하는 트리거식 분무장치(30)를 갖추고 있다.
용기(10)는 용액이 직접 저장되는 합성수지 용기이며, 이의 상부에는 소정의 내경을 갖는 네크(11;neck)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용기(10)의 네크(11) 외주에는 캡(20)과의 결합을 위해 수나사가 가공된다.
캡(20)은 분무장치(30)를 용기(10)의 네크(11)에 착탈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합성수지를 통해 원통 형태로 성형되며 내벽에는 암나사가 일체로 가공된 다.
그리고 트리거식 분무장치(30)는 용기(10)내의 용액을 흡입하여 펌핑 분무하는 것으로, 용기(10)의 네크(11)에 장착되는 밸브하우징(40)과, 이 밸브하우징(40)의 상부가 수용 결합되며 용액을 흡입하여 펌핑할 수 있도록 펌핑수단(50)이 내장된 분무기본체(60)와, 이 분무기본체(60)의 선단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분무노즐(70)과, 반복적인 당김 동작으로 펌핑수단(50)을 구동시키기 위한 트리거(80)와, 용기가 정립된 상태는 물론이며 도립된 경우에도 용액 흡입을 안내할 수 있는 전환밸브 조립체(100)를 갖추고 있다.
밸브하우징(40)은 용기(10)의 네크(11)부에 캡(20)을 통해 직접 장착되며, 여기에는 볼 타입의 1차 체크밸브(44)가 안착되도록 밸브시트(43)가 마련된 흡입유로(41)가 구성된다. 또한, 밸브하우징(40)의 저부에는 분무기본체(60)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가이드 부시(42)가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가이드 부시(42)의 내부에 흡입유로(41)가 편심되게 마련된다(도 3과 도 4참조). 그리고 흡입유로(41) 상류측에 배치된 1차 체크밸브(44)는 트리거(80)의 당김 동작 시 폐쇄되어 분무기본체(60)내의 용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복귀 동작 시 개방되어 전환밸브 조립체(100)를 통한 용액 흡입을 허용하게 된다. 또한, 흡입유로(41) 하류측에는 2차 체크밸브(63)가 안착되도록 밸브시트(62)가 구성되며, 2차 체크밸브(63)는 분무동작 시 개방되고 펌핑수단(50)으로의 용액 흡입 시 코일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폐쇄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분무기본체(60)는 밸브하우징(40)의 상부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져 있 는데, 여기에는 흡입유로(41)를 통해 용액을 흡입하여 소정압력으로 내보내는 펌핑수단(50)과, 이 펌핑수단(50)에서 내보내어지는 용액을 분무노즐(70)측으로 안내하는 토출유로(61)를 갖추고 있다. 펌핑수단(50)은 흡입유로(41)와 연계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51)와, 이 실린더(51)의 내부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며 코일스프링(53)을 통해 탄성 지지된 플런저(52)를 갖추고 있다. 이에 따라 코일스프링(53)을 압축시키면서 플런저(52)가 후진 동작하면 실린더(51)내의 용액은 가압되면서 토출유로(61)로 내보내지게 되며, 코일스프링(5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플런저(52)가 전진 동작하면 용액이 실린더(51)내로 흡입되어 일시 저장되게 된다.
그리고 토출유로(61)는 실린더(51)의 상부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이루어지면서 흡입유로(41) 및 실린더(51)와 연계된다. 이러한 토출유로(61)의 선단부에는 분무노즐(70)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된다. 즉, 분무노즐(70)은 분무기본체(60)의 선단에 장착되며, 용액을 분무형태로 토출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54"는 용액이 실린더(51)내로 흡입될 때 외부공기가 용기(10)내로 들어가도록 실린더(51) 벽면에 형성된 부압홀이다.
또한, 트리거(80)는 배면에 플런저(52) 선단이 결합되어 플런저(52) 코일스프링(53)의 탄성 복원력으로 반복적인 당김 동작이 가능한 것으로, 분무노즐(70)이 배치된 분무기본체(60)의 선단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다.
한편, 전환밸브 조립체(100)는 용기가 도립(倒立)된 경우 즉 거꾸로 세운 상태에서도 용액 흡입을 허용하는 것으로, 밸브하우징(40)의 흡입유로(41)에 끼워져 결합되는 상부케이싱(110)과, 이 상부케이싱(110)의 저부에 끼워져 결합되어 내부에 용액을 일시 저장할 수 있는 공간(S)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싱(120)과, 이 하부케이싱(1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흡입튜브(130)와, 상부케이싱(110)의 상부측에 마련되어 용액 흡입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전환밸브(140)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전환밸브 조립체(100)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케이싱(110)은 하부가 개방된 원통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의 상부면(11)에는 밸브하우징(40)의 흡입유로(41) 하단부에 직접 끼워져 결합되는 제1결합구(112)가 돌출되게 마련된다. 또한, 상부케이싱(110)의 벽면(113) 내측에는 조립턱(114)이 돌출 구성되어 있고, 제1결합구(112)는 상부케이싱(110)의 상부면(111)에 편심되게 마련된다. 조립턱(114)은 하부케이싱(120)의 조립방향을 가이드하여 편심되게 마련된 제1결합구(112)와 제2결합구(122)를 동축으로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부케이싱(110)의 벽면(113) 내주에는 원주방향으로 띠 형태의 결합홈(115)이 마련되는데, 이것은 하부케이싱(120)을 보다 견실하게 조립하기 위한 것이다.
하부케이싱(12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케이싱(11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끼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상부케이싱(120)과 하부케이싱(120)이 조립되면, 이들 내부에는 용액이 일시 저장되는 공간(S)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케이싱(120)의 하부면(121)에는 용액 흡입을 안내하는 제2결합구(122)가 편심되게 마련되며, 여기에는 흡입튜브(130)의 상단이 끼워져 결합된다. 이 흡입튜브(130)의 하단은 용기(10) 저부까지 연장됨으로써, 용기(10)가 정립 상태인 경우에는 흡입튜브(130), 상부케이싱(110)과 하부케이싱(120)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공간(S)을 통해 용액 흡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하부케이싱(120)의 벽면(123) 상부에는 상부케이싱(110)의 조립턱(114)이 수용 결합되는 조립 가이드부(124)가 돌출되게 성형된다. 이 조립 가이드부(124)는 상부케이싱(110)에 하부케이싱(120)이 설정된 조립방향으로만 끼워져 결합되게 하는 것으로, 이것에 의해 편심되게 이루어진 제1결합구(112)와 제2결합구(122)가 동축을 이루게 된다. 또한, 하부케이싱(120)의 벽면(123) 외주에는 결합홈(115)에 안착 결합되는 결합턱(125)이 띠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부케이싱(11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하부케이싱(120)을 끼워 넣으면, 결합홈(115)에 결합턱(125)이 요철 결합방식으로 결합되어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한 분리되지 않으며, 조립 가이드부(124)에 조립턱(114)이 수용 결합된다. 따라서 제1결합구(112)와 제2결합부(122)가 동축을 이루게 되며, 이로 인해 용기(10)가 정립된 상태에 용액이 직선상으로 즉시 흡입되게 된다.
그리고 전환밸브(140)는 용기(10)가 도립된 경우에는 개방되고 상부케이싱(110)과 하부케이싱(120)과의 공간(S)으로 용액 흡입을 허용하고 용기(10)가 정립된 경우에는 폐쇄되는 것으로, 상부케이싱(110)의 상부면(111) 일측에 상하부가 개방되어 용액 통로(141)를 확보하는 밸브시트부(142)와, 이 밸브시트부(142)의 내부에 배치되어 밸브시트부(142)의 통로(141)를 개폐하는 볼(143)과, 이 볼(14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밸브시트부(142)의 개방된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된 복수의 걸림턱(144)으로 정의된다. 밸브시트부(142)는 상부케이싱(110) 상부면(111)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줄어드는 호퍼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 볼(143)이 수용 배치된다. 따라서 용기(10)가 도립된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 볼(143)이 하강하게 되며, 이로 인해 밸브시트부(142) 용액 통로(141)가 폐쇄되게 된다. 반면에, 용기(10)가 거꾸로 세워진 상태 즉 도립된 상태에서는 볼(143)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걸림턱(144)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게 되며, 이로 인해 밸브시트부(142)의 용액 통로(141)가 개방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전환밸브 조립체(100)는 편심된 제1결합구(112)와 제2결합구(122)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밸브하우징(40)의 흡입유로(41)에 정확하게 조립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부케이싱(110)의 상부면(111)에는 흡입유로(41)와 가이드부시(42) 내벽과의 사이에 수용 배치되도록 제1결합구(112) 양측에 대향되게 한 쌍의 조립 리브(116L)(116R)가 돌출되게 마련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조립 리브(116L)(116R)가 가이드부시(42) 내벽과 편심된 흡입유로(41) 외측과의 공간에만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전환밸브 조립체(100)는 정해진 방향으로만 조립될 수 있다(도 3과 도 4참조). 이러한 것은 전환밸브 조립체(100)가 밸브하우징(40)에 조립된 상태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이며 캡(20)을 용기910) 네크(11)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도립 시에도 사용이 가능한 트리거식 분무장치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1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무장치(30)와 용기(10)가 정립된 상태에 서 사용자가 트리거(80)를 당겨 후진시키면, 코일스프링(53)이 압축되면서 플런저(52)가 실린더(51) 내부로 들어간다. 따라서 실린더(51)에 채워진 용액은 2차 체크밸브(63)를 개방시키면서 토출유로(61)와 분무노즐(7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이 때, 1차 체크밸브(43)는 흡입유로(41)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실린더(51)내의 용액은 분무노즐(70)측으로만 가압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트리거(80)를 놓으면, 코일스프링(53)의 복원력에 의해 플런저(52)가 다시 돌출됨과 동시에 트리거(80)가 초기상태로 복원되며, 실린더(51)내에는 진공압이 걸린다. 따라서 실린더(51)와 용기(10)내의 기압차에 의해 1차 체크밸브(44)가 상측으로 올라가 흡입유로(41)가 개방되며, 이로 인해 용기(10)내의 용액은 흡입튜브(130) → 전환밸브 조립체(100)의 상,하부케이싱(110)(120)의 내부공간(S) → 개방된 흡입유로(41)를 통해 실린더(51)내로 흡입된다(도 1의 화살표 방향 참조). 이 때, 2차 체크밸브(63)에는 토출유로(6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압력이 걸리기 때문에 누액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전환밸브 조립체(100)의 전환밸브(140) 역시 자중 및 부압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기 때문에, 오로지 용액 흡입은 흡입튜브(130)를 통해서만 이루어진다. 그리고 용액 일부가 빠져나간 용기(10)내에는 부압홀(54)을 통해 그 체적만큼의 외부공기가 들어와 채워져, 분무장치(30)는 초기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용기(10)를 거꾸로 세운상태 즉 도립된 상태에서도 트리거(80)를 당겨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흡입튜브(130)의 상단이 용기(10) 내에서 공기 중에 노출되어 이를 통해서는 용액 흡입을 할 수 없는 반면에 전환밸브 조립체(100)의 전환밸브(140)는 개방되어 용액 통로(141)가 확보된다. 즉, 전환밸브(140)의 볼(143)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용액 통로(141)가 개방된다.
따라서 트리거(80)를 반복적으로 동작시키면, 용기(10)내의 용액은 전환밸브 조립체(100)의 개방된 전환밸브(140)와 → 전환밸브 조립체(100)의 상,하부케이싱(110)(120)의 내부공간(S) → 흡입유로(41)를 통해 실린더(51)내로 흡입됨으로써, 지속적으로 용액을 분무할 수 있다(도 5의 화살표 방향 참조). 한편, 트리거(80) 작동시 부압홀(54)이 오픈되어 용기(10) 내부의 용액이 부압홀(54)측으로 빠져나오려는 순간에 기압차에 의해 외부공기가 용기(10)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도립된 상태에서 분무장치(30)를 사용하더라도 용액이 피스톤(52) 작동구간으로 흘러나오지 않는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트리거식 분무장치에 의하면, 밸브하우징의 흡입유로 단부에 용기가 도립된 경우에도 용기 흡입을 허용하는 전환밸브 조립체가 배치됨으로써, 정립의 경우는 물론이며 도립된 경우에도 트리거를 반복적으로 당기면 용액을 분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그 사용 편의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환밸브 조립체가 흡입유로에 끼워져 결합되는 상부케이싱과, 이 상부케이싱의 개방된 저부에 결합되어 용액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싱과, 상부케이싱의 상부면에 마련되어 용기가 도립된 경우에 개방되어 용액 흡입을 허용하 는 전환밸브 등으로 간편하게 구성되며, 트리거식 분무장치의 종래 구성을 변형시키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용기(10)의 네크(11)에 캡(20)을 통해 결합되며 용기(10)에 담겨진 용액을 흡입 펌핑할 수 있도록 플런저(52)가 진퇴운동 가능하게 내장되는 실린더(51)를 구비한 분무기본체(60)와, 상기 분무기본체(60)의 저부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51)로의 용액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유로(41)가 마련된 밸브하우징(40)과, 상기 분무기본체(60)의 선단에 설치된 분무노즐(70)과, 상기 분무기본체(60)의 선단부위에 힌지 장착되어 반복적으로 당김 동작이 가능하며 배면에 상기 플런저(52) 선단이 결합된 트리거(80)를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30)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40)의 흡입유로(41) 단부에는 상기 용기(10)가 도립된 경우에도 용액 흡입을 허용하는 전환밸브 조립체(100)가 배치되되;
    상기 전환밸브 조립체(100)는;
    상부면(111)에 상기 밸브하우징(40)의 흡입유로(41)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1결합구(112)가 돌출되게 마련되며 저부가 개방된 원통상의 상부케이싱(110)과,
    상기 상부케이싱(110)의 개방된 저부에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상부케이싱(110)과의 사이에 용액이 일시 저장되는 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면(121)에 용액 흡입을 안내하는 제2결합구(122)가 돌출되게 마련된 원통상의 하부케이싱(120)과,
    상기 하부케이싱(120)의 제2결합구(122)에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용기(10)가 정립된 경우에 용액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튜브(130)와,
    상기 상부케이싱(110)의 상부면(111)에 마련되며 상기 용기(10)가 도립된 경우에는 개방되어 상기 상부케이싱(110)과 하부케이싱(120)과의 공간(S)으로 용액 흡입을 허용하며 상기 용기(10)가 정립된 경우에는 폐쇄되는 전환밸브(1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립의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트리거식 분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140)는;
    상기 상부케이싱(110)의 상부면(111) 일측에 상하부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용액 통로(141)를 확보하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드는 호퍼형태의 밸브시트부(142)와,
    상기 밸브시트부(142)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밸브시트부(142)의 통로(141)를 개폐하는 볼(143)과,
    상기 볼(143)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밸브시트부(142)의 상부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된 복수의 걸림턱(1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립의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트리거식 분무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구(112)는 상기 상부케이싱(110)의 상부면(111)에서 편심되게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케이싱(110)의 벽면(113) 내측에는 조립턱(114)이 돌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제2결합구(122)는 상기 하부케이싱(120)의 하부면(121)에서 편심되게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케이싱(120)의 벽면(123) 상부에는 상기 제1결합구(112)와 제2결합구(122)가 길이방향으로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상부케이싱(110)과 하부케이싱(120)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조립턱(114)이 수용 결합되는 조립 가이드부(124)가 돌출되게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립의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트리거식 분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싱(110)의 벽면(113) 내주에는 원주방향으로 띠 형태의 결합홈(115)이 마련되며;
    상기 하부케이싱(120)의 벽면(123) 외주에는 상기 결합홈(115)에 요철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결합턱(125)이 띠 형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립의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트리거식 분무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40)은 상기 분무기본체(60)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상기 흡입유로(41)가 편심되게 마련된 가이드 부시(42)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케이싱(110)의 상부면(111)에는 상기 흡입유로(41)와 상기 가이드부시(42) 내벽과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결합구(112) 양측에 대향되게 한쌍 의 조립 리브(116L)(116R)가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전환밸브 조립체(100)의 결합 방향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립의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트리거식 분무장치.
KR2020060014095U 2006-05-25 2006-05-25 도립의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트리거식 분무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424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095U KR200424514Y1 (ko) 2006-05-25 2006-05-25 도립의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트리거식 분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095U KR200424514Y1 (ko) 2006-05-25 2006-05-25 도립의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트리거식 분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514Y1 true KR200424514Y1 (ko) 2006-08-28

Family

ID=41773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095U Expired - Lifetime KR200424514Y1 (ko) 2006-05-25 2006-05-25 도립의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트리거식 분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5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029B1 (ko) 2008-06-10 2010-05-28 조남월 분무기
KR20180057818A (ko) * 2016-11-22 2018-05-31 주식회사 다린 분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029B1 (ko) 2008-06-10 2010-05-28 조남월 분무기
KR20180057818A (ko) * 2016-11-22 2018-05-31 주식회사 다린 분무장치
KR101887397B1 (ko) * 2016-11-22 2018-09-21 주식회사 다린 분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50637C (zh) 简化的喷雾器装置
US6189739B1 (en) Pump dispenser with threshold actuation and restoring spring
EP1303358B1 (en) Liquid sprayers
US7942291B2 (en) Break-away spring and piston rod for a trigger sprayer
EP0020840A1 (en) Manual liquid dispensing device for spraying liquid
US7712636B2 (en) Trigger sprayer piston rod with integral spring and pivoting piston connection
US6669061B2 (en) Pump dispenser and spraying apparatus
WO2009134356A1 (en) A spraying device apparatus
MX2011001182A (es) Aspersor para liquidos.
KR200438751Y1 (ko) 도립의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트리거식 분무장치
US20090308896A1 (en) Venting System for Battery Operated Sprayer
US4182465A (en) Manually operated pump using hollow flexible member as pumping chamber
KR200424514Y1 (ko) 도립의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트리거식 분무장치
US7677416B2 (en) In-line manually operated liquid dispenser with simplified construction
KR100632143B1 (ko) 트리거식 분무장치
US20180141065A1 (en) Spraying apparatus
CA3114761A1 (en) Container appendage
CN110035831B (zh) 触发器泵分配器
US5722569A (en) Trigger sprayer with discharge port blocking mechanism
KR101672805B1 (ko) 분무장치
KR100996691B1 (ko) 향 분사장치
KR102848052B1 (ko) 분사장치
KR200414636Y1 (ko) 록킹수단을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
KR200413934Y1 (ko) 록킹수단을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
KR200419568Y1 (ko) 트리거식 분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52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5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3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6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