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855Y1 - Play Mechanism Using Rotating Plate - Google Patents
Play Mechanism Using Rotating Pla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27855Y1 KR200427855Y1 KR2020060011451U KR20060011451U KR200427855Y1 KR 200427855 Y1 KR200427855 Y1 KR 200427855Y1 KR 2020060011451 U KR2020060011451 U KR 2020060011451U KR 20060011451 U KR20060011451 U KR 20060011451U KR 200427855 Y1 KR200427855 Y1 KR 20042785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ting plate
- plate
- labyrinth
- support post
- bea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254173 Coleo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9 marb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1 m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4—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using balls to be shaken or rolled in small boxes, e.g. comprising labyrin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정형 미로가 형성되고 상기 미로 내에서 유동하는 비드(BEAD)가 내입된 회전플레이트가 지면에 입설된 지지포스트 상에서 자유회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자유회전 구조는 회전플레이트 저부에 구비되고 일부가 개방된 "C" 형상의 베어링이 상기 지지포스트 상단에 구비된 구(球) 형의 지지볼 외면에 감착되어서, 회전플레이트가 지지포스트 상에서 경사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y mechanism using a rotating plate, and more specifically, to form a non-irregular labyrinth and a rotating plate in which beads (BEAD) flowing in the labyrinth are allowed to rotate freely on a support post placed on the ground. The free rotating structure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rotating plate, and a part of the "C" shape bearing is open to the spherical support ball outer surfac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st, so that the rotating plate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ost. A play mechanism using a rotating plate configured to be tilted and rotated in a phase is disclosed.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희기구의 외형 전체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play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희기구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lay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희기구의 작용 상태도.3 is a state diagram of the play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희기구의 일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lay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희기구의 일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 및 사시도.5 is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lay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회전플레이트 11 : 비정형 미로 12 : 미로판10: rotating plate 11: atypical maze 12: maze plate
13 : 베어링 16 : 하(下)판 17 : 투명판13 bearing 16
18 : 결속테 20 : 지지포스트 21 : 지지볼(BALL)18: binding frame 20: support post 21: support ball (BALL)
30 : 앵커부 31 : 지면 B : 비드(BEAD)30: anchor part 31: ground B: bead
본 고안은 비정형 미로가 형성되고 상기 미로 내에서 유동하는 비드(BEAD)가 내재된 회전플레이트가 지면에 입설된 지지포스트 상에서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함으로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어린이가 회전플레이트를 기울이거나 회전시켜서 비정형 미로에 내재된 비드(BEAD)를 미로의 특정 목적 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작동시키는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tatable plate in which an atypical maze is formed and a bead (BEAD) flowing in the labyrinth can be freely rotated on a support post placed on the ground, so that at least one child tilts the rotating plate 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y mechanism using a rotating plate that rotates to move a BEAD inherent in an atypical maze to a specific target position of the maze.
종래, 비드(BEAD) 및 비정형 미로를 이용한 유희기구로서,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 제 1998-0000920호인 미로 찾기 게임기가 소개된 바 있으며, 그 구성은 용기체의 내벽면에 사방으로 갈래가 진 미로를 그 단면을 "U"자형의 요홈으로 형성하고, 상기 요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작동판의 상단을 일자로 절개한 절개부를 형성한 후 이에 구슬을 내입하여 상기 구슬이 절개부의 공간에서 좌우로 움직이면서 요홈을 따라 이동하여 작동판의 하부로 내려오게 구성된 것이다.Conventionally, a game machine using a bead and an atypical maze has been introduced a maze finding game machine of th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8-0000920, the configuration is a labyrinth maze in every direction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The cross section is formed into a groove having a “U” shape, and forms an incision in which the top of the operating plate is cut in a straight line so as to move along the groove, and then inserts a bead into the bead so that the bead moves from side to side in the space of the incision. It moves along the groove and comes down to the bottom of the operating plate.
그러나 이러한 종래 유희기구는 구슬이 좌우로 이동하면서 작동판의 하부로 내려오도록 하는 놀이에만 한정되어 있어서 놀이에 쉽게 싫증을 느낄 뿐만 아니라, 그 작동방법이 단순하여 어린이들의 성장에 따른 균형감각이나 집중력을 기를 수 없는 단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play equipment is limited only to the play that allows the marble to move down to the bottom of the operation plate while moving left and right, and not only get tired of playing easily, but also the simple method of operation makes it possible to balance or concentrate as children grow.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n not be raised.
또한, 상기 구조에 의한 놀이는 한 사람만 작동시킬 수밖에 없는 구조이므로 친구들과 여럿이 모인 경우에 협동심이나 경쟁심을 발휘하면서 함께 놀 수 있는 놀이기구로서의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lay by the structure is a structure that can only be operated by one pers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n not be used as a play equipment that can play together while showing a sense of cooperation or competition in the case of a group of friends.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비드(BEAD)가 내입된 비정형 미로를 갖는 회전플레이트를 지면에 입설된 지지포스트 상에서 경사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자유회동되게 함으로써 회전플레이트 주변에서 한 사람 이상 여러 사람이 동시에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서 협동심과 경쟁심의 유발로 흥미를 배가하며 동시에 집중력과 균형감각을 성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rotating the rotating plate having an irregular labyrinth in which the bead (BEAD) is embedded to allow free rotation to be tilted and rotated on the support post placed on the ground, one or more people around the rotating plat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lay mechanism using a rotating plate that enables people to play a game at the same time, thereby doubling interest by inducing cooperation and competition, and at the same time, increasing concentration and balan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비정형 미로가 형성되고 상기 미로 내에서 유동하는 비드(BEAD)를 내입시켜서 된 회전플레이트가 지면으로부터 입설된 지지포스트 상에서 경사 및 회전의 자유회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at an atypical labyrinth is formed and a bead (BEAD) flowing in the labyrinth, the rotating plate is made to enable free rotation of the tilt and rotation on the support post placed from the ground It features.
보다 상세한 특징으로서, 상기 자유회전은 회전플레이트 저부에 장착된 베어링이 상기 포스트 상단에 형성된 구(球) 형상의 지지볼과 결속되어서 베어링이 지지볼 외면에서 자유 회동이 가능하게 한다.As a more detailed feature, the free rotation allows the bearing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rotating plate to be engaged with the ball-shaped support ball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post to allow the bearing to freely rotate on the support ball outer surface.
보다 상세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비정형 미로의 상단은 투명판을 적층시켜서 비드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비정형 미로 어느 부위에 시작 위치와 더불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승위치를 형성시켜서 적어도 한 사람 이상이 동시에 게임을 진행할 수 있게 한다.In another more detailed feature, the upper part of the atypical maze prevents beads from stacking by stacking transparent plates, and forms at least one or more final positions together with a starting position at any part of the atypical maze so that at least one person can play the game simultaneously Allow it to proceed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희기구의 외형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희기구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희기구의 작용 상태도로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본 고안의 유희기구 구성과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play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lay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y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tate diagram of the operation, it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state of the play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FIGS.
먼저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플레이트(10)는 지지포스트(20) 상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됨은 물론, 지지포스트(20)의 상단을 기점으로 마치 시소(SEESAW)와 같이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이하에서 이러한 회전플레이트(10)의 회전을 '자유회전'이라 칭하기로 한다.First,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상기 회전플레이트(10) 내부에는 비정형 미로(11)가 형성된 미로판(12)이 내설되고, 비정형 미로(11) 내에는 비드(B)가 내입되어서 비드(B)가 미로(11) 내부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비정형 미로(11)는 미로판(12)의 구성요소를 생략한 채, 회전플레이트(10)의 상측 면에 밀링과 같은 가공수단으로 직접 가공,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다양한 실시예는 도 2에 기하여 설명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도 2를 참조하면, 회전플레이트(10)의 구체적인 구조와 회전플레이트(10)가 지지포스트(20) 상부에서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구조가 개시된다.Referring to FIG. 2, a detailed structure of the
먼저, 회전플레이트(10)는 하판(16)의 상면에 비정형 미로(11)가 형성된 미로판(12)이 안착되고, 미로판(12)의 상면에는 투명판(17)이 안착되며, 상기 하판(16), 미로판(12) 및 투명판(17)이 차례로 적층된 상태에서 그 가장자리에 단면이 "??"자 형상으로 된 결속테(18)가 끼워짐으로써 하판(16), 미로판(12) 및 투명판(17)이 상호 고정되어 있다.First, the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미로판(12) 요소가 생략된 채, 하판(16)의 상면에 직접 미로(11)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기술사상, 즉 회전플레이트(10) 내부에 비드(B)가 이동 가능하게 하는 미로(11)가 형성되고 상기 비드(B)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게 하는 조건을 만족한다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자유회전 구조는, 지지포스트(20) 상부에 구(球) 형상의 지지볼(21)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볼(21)의 외면과 회전플레이트(10) 저부 사이에 베어링(13)이 개재된 구조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free rotation structure, the
상기 베어링(13)은 도 2와 같이 "C" 형상으로 되어서 지지볼(21)의 외면을 감싸고 있고, 베어링(13)을 회전플레이트(10) 저부에 설치하기 위해 베어링(13)의 외측을 두 부분으로 분리 가능한 결합뭉치(14)가 감싸고 있으며, 상기 결합뭉치(14)는 상기 하판(16)의 저면에 고정된 하우징(15) 내부에 안착되어 있는 구조를 취한다.The
이때, 상기 지지볼(21)과 베어링(13)의 조립 편의성을 위해, 지지볼(21)과 지지포스트(20)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들 지지볼(21)과 지지포스트(20)가 상호 나사와 같은 결합수단(부호 미표시)으로 조립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자유회전 구조를 이루기 위한 조립 순서의 일예는 다음과 같다.At this time, for the convenience of assembly of the
먼저, 베어링(13)을 지지볼(21) 외면에 결속시킨 다음, 베어링(13)을 두 개로 분리된 결합뭉치(14) 내에 고정시키고, 하우징(15)으로 결합뭉치(14)가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시킨다.First, the
그리고, 지지볼(21) 하단을 지지포스트(20) 상부에 결속시키거나 또는 하우징(15)을 하판(16) 저면에 결속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면, 이러한 구조 역시 제조공정의 편의성와 생산성 향상을 위해 일부 구성요소들을 일체로 하거나 생략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예컨대 하우징(15)을 생략하고 결합뭉치(14) 각각의 요소를 상호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직접 하판(16)에 결속시킬 수도 있다.Then, when the bottom of the
한편, 상기 지지포스트(20)는 하부에 앵커부(30)가 마련되어서 지면(31)으로부터 수직하게 입설될 수 있고, 이로서 상기 회전플레이트(10)가 놀이터나 공원 등, 야외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희기구의 일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로서, 상기 비정형 미로(11)의 구조를 나타낸다.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lay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typical maze (1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정형 미로(11) 내부에는 비드(B)가 출발할 수 있도록 하는 시작위치(111)가 마련됨과 동시에 소정 위치에 비드(B)를 도착시키기 위한 결승위치(112)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마련된다.As shown in FIG. 4, the
이러한 구조의 회전플레이트(10)를 이용한 놀이 방법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승위치(112)가 3개소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 세 명의 어린이가 각각 회전플레이트(10) 내의 결승위치(112)를 하나씩 지정한 다음, 회전플레이트(10)를 회전시키거나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기울여서 비드(B)를 시작위치(111)에서 출발시킨다.In the play method using the
이때, 세 명의 어린이는 회전플레이트(10)를 잡고 회전과 기울임을 반복하여 비드(B)를 미로(111) 상에서 자신이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서 자신에게 지정된 결승위치(112)까지 도달하도록 서로 협동하거나 방해하는 등의 놀이를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three children hold the
이때, 비드(B)가 어느 한 어린이의 결승위치(112)에 근접한 위치에 다다르면, 나머지 두 어린이가 서로 협력해서 이를 방해하거나 또는 비드(B)가 자신에게 지정된 결승위치(112)에 근접하도록 조작하는 경쟁을 통해서 게임을 진행하며, 회 전 조절과 기울임의 조절을 가장 적절하게 이용한 어린이가 자신의 결승위치(112)에 비드(B)를 먼저 도착시키면 승리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놀이 과정을 통해서 경쟁심과 협동심을 유발케 함은 물론, 집중력과 균형감각을 익힐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bead (B) reaches a position close to the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희기구의 일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상기 유희기구의 흥미를 더욱 배가시키기 위해, 회전플레이트(10) 상에 도안을 구성한 것이며, 상기 도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쇠똥구리와 자연의 풍광을 그려 넣고, 상기 비드(B)를 쇠똥구리가 굴리는 것으로 표현한 것이다.Figure 5 is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lay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interest of the play mechanism, the figure is configured on a
또한, 시작위치(111)와 결승위치(112)를 도안이나 문자 등으로 표시하여 그 구획을 명확하게 표시한 것이다.In addition, the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에 따른 최선의 실시예를 도시한 구조에 한정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당업자는 상기 설명된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취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상기 지지볼을 회전플레이트 하부에 형성시키고, 베어링을 지지포스트 상부에 형성시킴으로써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토록 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다양한 변형 실시는 하기에 기재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is limited to the structure showing the be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above, the representative example is rotating the support bal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effect can be exerted by forming on the bottom of the plate and forming a bearing on the support post,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various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에 의하면, 지면에 입설된 지지포스트 상에 회전 및 기울임이 가능하도록 자유회전되는 회전플레이트 내부에 비드가 이동할 수 있는 미로를 형성시켜서 어린이가 비드를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집중력과 균형감각을 익힐 수 있게 되며, 또 한 다수의 어린이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경쟁심과 협동심을 함양할 수 있게 되며, 나아가 이러한 놀이를 통해서 흥미를 유발시킴과 동시에 자연 법칙을 일깨울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lay mechanism using the rotat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hild can bead by forming a maze in which the beads can move inside the rotating plate that is freely rotated to allow the rotation and tilting on the support post placed on the ground. By moving it in the direction you want, you can learn concentration and balance, and because it can be used by many children at the same time, you can cultivate a sense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At the same time, it is a very useful design that can awaken natural law.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60011451U KR200427855Y1 (en) | 2006-04-28 | 2006-04-28 | Play Mechanism Using Rotating Pla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60011451U KR200427855Y1 (en) | 2006-04-28 | 2006-04-28 | Play Mechanism Using Rotating Plat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27855Y1 true KR200427855Y1 (en) | 2006-10-02 |
Family
ID=4177640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60011451U Expired - Lifetime KR200427855Y1 (en) | 2006-04-28 | 2006-04-28 | Play Mechanism Using Rotating Plat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27855Y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60700Y1 (en) | 2011-10-19 | 2012-07-03 | 현철민 | The magnetic playing device |
-
2006
- 2006-04-28 KR KR2020060011451U patent/KR200427855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60700Y1 (en) | 2011-10-19 | 2012-07-03 | 현철민 | The magnetic play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AU2020253446B2 (en) | Game tile system | |
| US8042812B2 (en) | Ball-shaped puzzle | |
| KR20140022960A (en) | Amusement device | |
| US20180161667A1 (en) | Board logic game assembly and method | |
| KR200427855Y1 (en) | Play Mechanism Using Rotating Plate | |
| JPS61284282A (en) | Assembling toy | |
| JP7665758B2 (en) | Multi-layered toys | |
| KR200450701Y1 (en) | Puzzle assembly | |
| KR200443232Y1 (en) | Play Mechanism Using Rotating Plate | |
| JP3164368U (en) | Puzzle block assembly | |
| CN210057355U (en) | Disc ball toy | |
| CN202590333U (en) | Magic cube good for bodybuilding and intelligence development | |
| JP5385963B2 (en) | Inclined play surface forming apparatus | |
| CN2882729Y (en) | rotatable sphere puzzle | |
| KR200459191Y1 (en) | Cube for a play Chess | |
| JP6318409B1 (en) | Course transposition maze game | |
| JP3123010U (en) | Movement direction specific piece game puzzle | |
| CN217448931U (en) | Splicing track building block balance toy | |
| JP3080888U (en) | Unit-connected toy | |
| KR101933161B1 (en) | Magnet Merrymaking For Education | |
| JPH02277476A (en) | Toy | |
| IES86504B2 (en) | A board game apparatus | |
| JPH0717342Y2 (en) | On-board game equipment | |
| JP3051808U (en) | Game toys using bubbles | |
| WO2004037361A1 (en) | Board game piece, board game piece set, and board gam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428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09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502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91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9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8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7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9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8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9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10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6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