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364Y1 - Table Tennis Ball Shatter Proof - Google Patents
Table Tennis Ball Shatter Pro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4364Y1 KR200434364Y1 KR2020060026635U KR20060026635U KR200434364Y1 KR 200434364 Y1 KR200434364 Y1 KR 200434364Y1 KR 2020060026635 U KR2020060026635 U KR 2020060026635U KR 20060026635 U KR20060026635 U KR 20060026635U KR 200434364 Y1 KR200434364 Y1 KR 20043436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ket
- net
- table tennis
- ping pong
- clam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4—Table games physically beneficial for the human body, modelled on outdoor sports, e.g. table tennis
- A63B67/045—Supports for table tennis net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탁구대용 탁구공 비산 방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비산하는 탁구공이 튕겨져 다시 경기자의 앞쪽으로 굴러갈 수 있도록 네트(16)의 양측에 바스켓(18)을 설치하므로서 탁구공을 줍는 데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시켜 탁구경기의 편리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게 하고, 다른 목적으로는 탁구경기를 할 때 바스켓(18)을 설치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게 하므로서 실용성이 보다 향상되게 하는 데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ng pong ball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for a table tennis, and its purpose is to pick up a ping pong ball by installing a basket 18 on both sides of the net 16 so that the flying ping pong ball can be bounced and rolled back to the front of the player. To solv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convenience of the table tennis game is greatly improved, the other purpose is to improve the practicality by being able to install or separate the basket 18 when playing table tennis.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테이블(4)의 중앙 양측단부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는 2개의 클램프(6)가 허브(8)를 후미에 형성하여 지주(12)를 결합하면서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지주(12)에 네트(16)가 끈(17)으로 묶여지면서 테이블(4)상에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탁구대용 탁구공 비산 방지기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6)에는 네트(16)에 부딪쳐 비산하는 탁구공이 경기자의 앞쪽으로 튕겨져 나오도록 하는 바스켓(18)이 설치된 탁구대용 탁구공 비산 방지기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two clamps 6 which are detachably coupled to central central side ends of the table 4 are respectively installed while forming the hub 8 at the rear to engage the support 12, respectively. In the ping pong ball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for a ping pong table which is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table 4 while the net 16 is tied to the support 12 of the net 12, the clamp 6 hits the net 16. It relates to a ping pong tabl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for a ping pong table provided with a basket 18 to allow the flying ping pong ball to bounce in front of the playe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테이블(4) 양측에 바스켓(18)이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라켓에 의해 타격 되는 탁구공이 실수로 네트(16)에 맞고 비산 되더라도 바스켓(18)측으로 굴러가 튕겨지면서 경기자의 앞쪽으로 다시 굴러 오게 되는데, 이로 인해 탁구공을 줍는 데에 따른 수고가 없게 되어 탁구경기의 편리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basket 18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able 4, even if the ping pong ball hit by the racket accidentally hits the net 16 and is scattered, it is thrown to the basket 18 side. Rolling back to the front of the player as it is built, which eliminates the trouble of picking up a table tennis ball,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table tennis game.
탁구대, 네트, 클램프, 바스켓, 클립 Table Tennis, Net, Clamp, Basket, Clip
Description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 실시 예로서 바스켓의 설치상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tallation state of a basket as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 실시 예로서 바스켓의 분리 사시도.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sket as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 실시 예로서 바스켓의 설치상태 평면도.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basket as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 실시 예로서 바스켓클램프를 결합한 바스켓의4 is a basket coupled to the basket clamp as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설치 상태도. Installation state diagram.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제 3 실시 예로서 오른손잡이용 바스켓의 설치 5 is an installation of a right-handed basket as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Top view showing status.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제 4 실시 예로서 왼손잡이용 바스켓의 설치 Figure 6 is the installation of the left-handed basket as a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Top view showing status.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제 5 실시 예를 나타낸 바스켓의 사시도.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ket showing a fif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제 6 실시 예로서 바스켓클램프를 결합한 바스켓의 8 is a basket combined with the basket clamp as a six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설치 상태도. Installation state diagram.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탁구대 4:테이블 2: table tennis table 4: table
6:클램프 8:허브 6: Clamp 8: Hub
10:절취부 12:지주 10: cutting part 12: holding
14:나사 16:네트 14: Screw 16: Net
17:끈 18,60:바스켓 17:
20,62:프레임 22,64:바닥망 20,62:
24,66:바닥부 27,61:중앙기둥 24,66:
28,70:차단망 30,72:둘레부 28,70:
32,74:클립부 31,73:하부고정부재 32, 74:
33,71:상부고정부재 34:후크 33,71: upper fixing member 34: hook
35,75:기둥벨크로 36:스토퍼 35, 75: pillar Velcro 36: stopper
37:지주벨크로 39,77:바스켓벨크로 37: Holding Velcro 39,77: Basket Velcro
41:테이블벨크로 42:제1테이블 41: table Velcro 42: first table
44:제2테이블 49,80:바스켓클램프 44: second table 49, 80: basket clamp
68:기둥 68: pillar
본 고안은 탁구대용 탁구공 비산 방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산하는 탁구공이 튕겨져 다시 경기자의 앞쪽으로 굴러갈 수 있도록 네트의 양측에 바스켓을 설치하므로서 탁구공을 줍는 데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시켜 탁구경기의 편리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게 하고, 또한 탁구경기를 할 때 바스켓을 설치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게 하므로서 실용성이 보다 향상되게 한 탁구대용 탁구공 비산 방지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ng pong ball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for table tennis, and more particularly,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picking up a ping pong ball by installing baskets on both sides of the net so that the flying ping pong ball can be bounced back to the player's front.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table tennis game, and also to allow the installation or separation of the basket when playing a table tennis game relates to a table tennis ball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for improved practicality.
일반적으로 탁구경기를 하기 전에 탁구대에서 충분한 연습을 하기 위해 다량의 탁구공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탁구공은 탁구경기자가 실수한 경우 네트에 맞고 비산하므로서 테이블 아래로 대부분 떨어지게 된다. In general, a large number of ping-pong balls are used in order to practice enough in the table tennis table before the table tennis game, and the table tennis ball falls to the bottom of the table mostly because it hits and scatters when the table tennis player makes a mistake.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탁구경기자는 테이블 아래로 떨어진 탁구공을 주으러 가는 것이 번거로우면서도 많은 시간이 경과 하게 되어 불편함이 따르고, 또한 운동연습 시간이 단축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In the above process, the ping pong player goes to give the ping pong ball under the table, but it is cumbersome and elapses a lot of time, and also serves as a factor that shortens the exercise training time.
이로 인해 최근에는 테이블 아래로 떨어지는 탁구공을 감소시키는 장치나 자동적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탁구대의 구조를 개선하고 있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As a result, in recent years, the structure of a table tennis table has been improved to install a device for reducing a table tennis ball falling under a table or a device for automatically collecting the table tennis ball.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비산하는 탁구공이 튕겨져 다시 경기자의 앞쪽으로 굴러갈 수 있도록 네트의 양측에 바스켓을 설치하므로서 탁구공을 줍는 데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시켜 탁구경기의 편리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게 하는 데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is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picking up the table tennis ball by installing the baskets on both sides of the net so that the flying table tennis ball is thrown back to the player's front. The convenience of the table tennis game is greatly improved.
다른 목적으로는 탁구경기를 할 때 바스켓을 설치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게 하므로서 실용성이 보다 향상되게 하는 데에 있다. Another object is to improve the practicality by allowing the basket to be installed or detached when playing table tenni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테이블(4)의 중앙 양측단부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는 2개의 클램프(6)가 허브(8)를 후미에 형성하여 지주(12)를 결합하면서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지주(12)에 네트(16)가 끈(17)으로 묶여지면서 테이블(4)상에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탁구대용 탁구공 비산 방지기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6)에는 네트(16)에 부딪쳐 비산하는 탁구공이 경기자의 앞쪽으로 튕겨져 나오도록 하는 바스켓(18)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3에서 살펴 보면, 먼저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탁구대(2)(도2참조)는 직 사각형 모양으로 된 테이블(4)이 하부에 다리를 장착하면서 구성되고, 상기 테이블(4)의 중앙부 양측에는 클램프(6)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된다. Looking at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Figures 1 to 3, the table tennis table (2) (see Fig. 2) that is commonly widely used first is a rectangular rectangular table (4) at the bottom It is configured while mounting the legs,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클램프(6) 후미에는 허브(8)가 일체로 형성되면서 후미에 절취부(10)를 세로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허브(8)에는 지지역할을 하는 지주(12)가 수직으로 결합 되면서 나사(14)로 고정 설치된다. The rear end of the
상기 지주(12)에는 네트(16)의 양단부가 끈(17)으로 묶여져 설치되면서 테이블(4)상에서 횡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클램프(6)에는 네트(16)에 걸려지면서 비산하는 탁구공이 튕겨져 경기자 앞측으로 굴러갈 수 있게 한 바스켓(basket)(18)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Both ends of the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바스켓(18)에 3개의 프레임(20)이 삼각형 모양으로 배치되면서 바닥망(22)을 장착하여 바닥부(24)를 형성하고, 상기 바닥부(24)의 후미 중앙에는 중앙기둥(27)을 수직으로 설치하며, 상기 프레임(20) 양단부와 중앙기둥(27) 상단부에 걸쳐서는 지지역할을 하는 프레임(20)이 기울어져 설치된다. The three
그리고 상기 앞쪽 프레임(20) 양쪽에서부터 중앙기둥(27)에 걸쳐 차단망(28)을 장착하여 둘레부(30)를 형성한다. And the
이때 상기 둘레부(30)는 테이블(4) 방향으로 전면이 개방되고, 상기 둘레부(30)의 양측면과 후면은 차단망(28)에 의해 폐쇄되는 형태를 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따라서 상기 네트(16)에 부딪치면서 비산하는 탁구공은 테이블(4)을 따라 굴러 이동하면서 바스켓(18)의 차단망(28)에 부딪쳐 테이블(4) 측으로 튕겨나가게 되고, 이러한 탁구공은 다시 경기자의 앞쪽으로 굴러가게 된다. Therefore, the ping pong ball scattering while hitting the net 16 moves along the table 4 and hits the blocking net 28 of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이 비산하는 탁구공이 바스켓(18)에 부딪치지 않고 벗어나게 되면 테이블(4)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However, if the ping pong ball scattering as described above is released without hitting the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바스켓(18)의 길이와 높이 및 폭 등은 타격된 탁구공의 튀어 오르는 평균적 높이와, 네트(16)에 부딪친 탁구공이 테이블(4)상에서 굴러 이동하며 떨어지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는 정도의 평균 길이로 만들어진다. The length, height, and width of the
이때 상기 바스켓(18)의 높이는 네트(16)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조금은 낮게 형성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계속하여 상기 바스켓(18)의 바닥부(24) 중앙에 클램프(6)의 허브(8)에 결합 되는 클립부(32)가 설치되는데, 상기 클립부(32)는 허브(8)에 용이하게 끼워지거나 빠질 수 있도록 "U"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클립부(32)의 후미 내측 면 중앙에는 허브(8)의 절취부(10)에 끼여지므로서 바스켓(18)이 좌,우로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후크(34)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클립부(32)의 후미 양측 내면에는 바스켓(18)이 허브(8)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 스토퍼(3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Subsequently, a
이때 상기 클립부(32)는 바닥부(24)의 중앙뿐 아니라 일측 또는 타측에 선택적으로 위치를 달리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바스켓(18)의 프레임(20) 양측에는 고정역할을 하는 하부고정부재(31)가 설치되고, 상기 바스켓(18)의 중앙기둥(27) 상부에는 고정역할을 하는 상부고정부재(33)가 설치된다. And the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부고정부재(33)는 중앙기둥(27) 상단부에 설치되는 기둥벨크로(35)가 구성되고, 상기 기둥벨크로(35)와 대응하는 지주벨크로(37)가 지주(12) 상단부에 고정 설치된다. The
그리고 상기 하부고정부재(31)에는 바스켓(18)의 프레임(20) 전면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바스켓벨크로(39)가 구성되고, 상기 바스켓벨크로(39)에 대응하는 테이블벨크로(41)가 테이블(4)의 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탁구대(2)를 구성하는 테이블(4)의 중앙부 일측단에 클램프(6)를 끼워 고정하고, 상기 테이블(4)의 중앙부 타측단에 다른 클램프(6)를 끼워 고정하면, 상기 클램프(6)의 허브(8)에 결합된 지주(12)는 테이블(4)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하여 있게 된다. First, the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네트(16)의 양단부 각각에 끈(17)을 묶고, 상기 끈(17)의 끝단부는 지주(12)에 묶어 고정하면, 상기 네트(16)는 테이블(4)상에서 펼쳐지며 횡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게 된다. When the
상기 이후로 네트(16)에 부딪쳐 비산하는 탁구공이 경기자의 앞쪽으로 튕겨져 나오도록 한 바스켓(18)을 테이블(4) 양측에 설치된 클램프(6)에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바스켓(18)의 둘레부(30) 중 개방된 전면을 테이블(4)측으로 향하게 하면서 클립부(32)를 지주(12)의 상단부에서부터 끼워 하방으로 밀어 결합시킨다. Afterwards, the
따라서 상기 클립부(32)를 형성하는 후크(34)는 허브(8)의 절취부(10)에 끼워져 바스켓(18)이 허브(8)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클립부(32)의 스토퍼(36)는 허브(8)의 측벽면 앞측에 위치하게 되어 바스켓(18)이 허브(8)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Thus, the
이로 인해 상기 바스켓(18)은 클램프(6)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면서 상기 테이블(4)의 양측 중앙부에 각각 위치하고, 동시에 상기 바스켓(18)은 클립부(32)를 중심으로 내부 공간이 2등분 되면서 네트(16)의 양면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상기 이후로 하부고정부재(31)를 구성하는 바스켓벨크로(39)를 테이블벨크로(41)에 부착시키고, 상기 상부고정부재(33)를 구성하는 기둥벨크로(35)를 지주벨크로(37)에 부착시키면, 상기 바스켓(18)은 지주(12)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부고정부재(31,33)에 의해 유동하지 않게 된다. After this, the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탁구연습 또는 경기를 시작하면 탁구공은 라켓(racket)에 의해 타격 되어 테이블(4) 위에 떨어지면서 튀어 네트(16)를 넘은 후 상대측 경기자가 위치하는 테이블(4) 위에 떨어지게 되고, 이후로 상기 탁구공은 상대측 경기자의 라켓에 의해 타격 되어 다시 네트(16)를 넘어오게 된다. When the table tennis practice or game is started in the above state, the table tennis ball is hit by the racket (racket), falls on the table 4, bounces over the net 16, and falls on the table 4 where the opponent player is located. After that, the ping pong ball is hit by the racket of the opponent's player and comes back over the net 16.
상기 탁구공이 반복적으로 네트(16)를 넘는 과정에서 경기자의 실수로 탁구공이 네트(16)에 부딪치며 테이블(4)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비산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테이블(4)의 양단부에 위치한 바스켓(18)으로 굴러온 탁구공이 둘레부(3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내부로 들어오게 되고, 이러한 탁구공은 차단망(28)에 부딪치면서 탄력적으로 다시 튕겨져 경기자 앞측으로 굴러가게 된다. The table tennis ball repeatedly hits the net 16 due to a player's mistake in the process of repeatedly crossing the net 16, and the table tennis ball is scatter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table 4, wherein the basket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table 4 18) the ping pong ball roll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open portion of the
따라서 경기자는 굴러온 탁구공을 손으로 잡고 다시 라켓으로 타격하는 과정을 전술한 바와 같이 반복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탁구공은 경기자 앞 측으로 되돌아 오는 관계로 경기자가 손으로 잡고 다시 경기를 진행할 수 있어 경기의 진행효율이 향상되면서 재미 또한 증대된다. Therefore, the player repeatedly holds the rolled table tennis ball by hand and hits the racket again as described above. These ping pong balls come back to the front of the player, so the player can hold the hand again and proceed to the game.
상기와는 달리 비산하는 탁구공이 바스켓(18)을 벗어나게 되면 테이블(4)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Unlike the above, when the flying table tennis ball leaves the
계속하여 바스켓(18) 없이 탁구경기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기둥벨크로(35)를 지주벨크로(37)로부터 분리하고, 이후로 상기 테이블(4) 양측에 각각 위치한 바스켓(18)의 바스켓벨크로(39)를 테이블벨크로(41)로부터 분리한 다음 상기 바스켓(18)을 지주(12) 상부로 들어 올리면, 상기 바스켓(18)을 구성하는 클립부(32)가 허브(8)로부터 벗어나 지주(12)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클램프(6)로부터 벗어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바스켓(18) 없이 탁구경기를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If you want to continue playing ping pong without the
한편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를 도 4에서 살펴 보면 상기 하부고정부재(31)는 고정역할을 하는 바스켓클램프(49)로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바 스켓클램프(49)는 전술한 클램프(6)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Meanwhile, looking at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the lower fixing
그러나 상기 바스켓클램프(49)는 고정기능을 가지면 되는 것으로 특정한 구조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However,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바스켓클램프(49)가 테이블(4)에 끼워져 결합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바스켓(18)은 지주(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고정부재(33) 및 하부고정부재(31)인 바스켓클램프(49)에 의해 유동하지 않게 된다. When the
그리고 상기 지주(12) 상단부에 설치된 상부고정부재(33)에는 하부고정부재(31)의 바스켓클램프(49)와 같은 동일한 구조의 바스켓클램프(49)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In addition, a
한편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의 구성을 도 5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5, a configuration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탁구경기자는 주로 오른손을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기자는 라켓을 주로 오른손에 잡고 탁구경기를 하는 관계로 타격된 탁구공은 주로 테이블(4)(도5참조)상에서 왼쪽으로 많이 이동하게 된다. First, a table tennis player uses a lot of his right hand, and such a player plays a table tennis game by holding a racket mainly in his right hand and a table tennis ball is mainly moved to the left on the table 4 (see FIG. 5).
따라서 상기 탁구대(2)의 네트(16) 좌측에는 비산하는 탁구공이 경기자의 앞쪽으로 튕겨져 나오도록 하는 바스켓(18)을 설치하되 제1테이블(42)로만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와는 달리 우측에 위치한 클램프(6)에도 비산하는 탁구공이 경기자의 앞쪽으로 튕겨져 나오도록 하는 바스켓(18)을 설치하되 제2테이블(44)로만 바스켓(18)이 배치되도록 한다. Therefore, on the left side of the net 16 of the ping pong table 2, a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바스켓(18)은 전술한 제 1 실시 예의 바스켓(18)을 이등분한 구조로서, 상기 클램프(6)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클립부(32)는 상 기 바스켓(18)의 바닥부(24) 앞 부분 일측에 설치된다. The
따라서 상기 바스켓(18)은 테이블(4)의 타측에 위치한 클램프(6)에 설치될 경우 제1테이블(42)로만 배치되어 있게 되고, 제2테이블(44)에는 바스켓(18)이 배치되어 있지 않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다만 상기 테이블(4) 우측에 위치한 클램프(6)에 바스켓(18)이 설치될 경우 제2테이블(44)로만 배치되어 있게 되고, 제1테이블(42)에는 바스켓(18)이 배치되어 있지 않게 된다. However, when the
그리고 상기 바스켓(18)은 전술한 제1실시 예의 바스켓(18)을 이등분한 구조가 아니더라도 전면을 개방한 형태의 다양한 바스켓(18) 구조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를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오른손을 주로 사용하는 탁구경기자가 라켓을 오른손에 잡고 탁구공을 타격하면, 상기 탁구공은 네트(16)(도5참조)를 반복적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경기자의 실수로 네트(16)에 부딪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탁구공은 경기자가 오른손으로 탁구공을 타격하는 관계로 네트(16)에 부딪치면서 비산하는 탁구공은 주로 테이블(4)의 좌측으로 굴러 이동하면서 테이블(4)의 좌측에 있는 바스켓(18)으로 들어가 부딪친 다음 튕겨져 나와 다시 경기자의 앞쪽으로 굴러가게 된다. First, when a ping pong player mainly using his right hand holds a racket in his right hand and hits the ping pong ball, the ping pong ball hits the net 16 by mistake of the player in the course of repeatedly crossing the net 16 (see FIG. 5). In this case, the ping pong ball hits the net 16 due to the player hitting the ping pong ball with his right hand, and the ping pong ball is mainly rolled to the left side of the table 4 while moving to the basket on the left side of the table 4. It enters (18), hits, then bounces off and rolls back to the player.
상기와는 달리 비산하는 탁구공이 바스켓(18)을 벗어나면 테이블(4)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Unlike the above, if the flying table tennis ball leaves the
한편 본 고안의 제 4 실시 예를 도 6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6,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탁구경기자 중에는 간헐적으로 왼손을 사용하는 경기자가 있게 되는데, 이러한 경기자는 라켓을 주로 왼손에 잡고 경기를 하는 관계로 타격된 탁구공은 주로 테이블(4)(도6참조)상에서 우측으로 많이 이동하게 된다. First, among the table tennis players, there is a player who uses the left hand intermittently, and such a player plays a game with the racket held by the left hand mainly, so that the ping pong ball mainly moves to the right on the table 4 (see FIG. 6). do.
따라서 상기 탁구대(2)의 네트(16) 우측에 위치한 클램프(6)에는 비산하는 탁구공이 경기자의 앞쪽으로 튕겨져 나오도록 하는 바스켓(18)을 설치하되 제1테이블(42)로만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와는 달리 좌측에 위치한 클램프(6)에도 비산하는 탁구공이 경기자의 앞쪽으로 튕겨져 나오도록 하는 바스켓(18)을 설치하되 제2테이블(44)로만 바스켓(18)이 배치되도록 한다. Therefore, the clamp (6)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net (16) of the table tennis table (2) is provided with a basket (18) so that the flying ping-pong ball bounces out in front of the player, so that only the first table (42) is disposed, Unlike the clamp (6) located on the left side is installed a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바스켓(18)은 전술한 제 3 실시 예의 구조와 동일하지만, 상기 클램프(6)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클립부(32)는 상기 바스켓(18)의 바닥부(24) 앞 부분 중 타측에 설치된다. The
따라서 상기 바스켓(18)은 테이블(4)의 우측에 위치한 클램프(6)에 설치될 경우 제1테이블(42)로만 배치되어 있게 되고, 제2테이블(44)에는 바스켓(18)이 배치되어 있지 않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다만 상기 테이블(4) 좌측에 위치한 클램프(6)에 바스켓(18)이 설치될 경우 제2테이블(44)로만 배치되어 있게 되고, 제1테이블(42)에는 바스켓(18)이 배치되어 있지 않게 된다. However, when the
그리고 상기 바스켓(18)은 전술한 제 3 실시 예와 같은 구조가 아니더라도 전면을 개방한 형태의 다양한 바스켓(18) 구조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 예를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왼손을 주로 사용하는 탁구경기자가 라켓을 왼손에 잡고 탁구공을 타격하면, 상기 탁구공은 네트(16)(도5참조)를 반복적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경기자의 실수로 네트(16)에 부딪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탁구공은 경기자가 왼손으로 탁구공을 타격하는 관계로 네트(16)에 부딪치면서 비산하는 탁구공은 주로 테이블(4)의 우측으로 굴러 이동하면서 테이블(4)의 우측에 있는 바스켓(18)으로 들어가 부딪친 다음 튕겨져 나와 다시 경기자의 앞쪽으로 굴러가게 된다. First, when a ping pong player mainly using his left hand holds a racket in his left hand and hits the ping pong ball, the ping pong ball hits the net 16 by mistake of the player in the course of repeatedly crossing the net 16 (see FIG. 5). In this case, the ping pong ball hits the net 16 due to the player hitting the ping pong ball with his left hand, and the ping pong ball is mainly rolled to the right side of the table 4 while moving to the right side of the table 4. It enters (18), hits, then bounces off and rolls back to the player.
상기와는 달리 비산하는 탁구공이 바스켓(18)을 벗어나면 테이블(4)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Unlike the above, if the flying table tennis ball leaves the
한편 본 고안의 제 5 실시 예를 구성하는 바스켓(60)의 구조를 도 7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Meanwhile, the structure of the
먼저 상기 바스켓(60)(도7참조)은 프레임(62)이 반원형으로 벤딩되어 형성되면서 바닥망(64)이 장착되어 바닥부(66)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62)의 후미측 중앙부와 양측에는 중앙기둥(61) 및 기둥(68)이 설치되며, 상기 기둥(68)과 중앙기둥(61)과 기둥(68)에 걸쳐서는 차단망(70)이 장착되면서 둘레부(72)를 형성한다. First, the basket 60 (see FIG. 7) is formed by bending the
이때 상기 중앙기둥(61)은 양측에 있는 기둥(68) 보다는 높게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차단망(70)은 양측에서 중앙기둥(61)으로 갈수록 높게 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루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상기 바닥부(66)의 선단측 중앙에는 전술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로 된 클립부(74)가 고정 설치된다. The
상기와 같이 설치된 둘레부(72)는 탁구대(2)(도2참조)에 설치될 때 테이블(4) 측으로 전면이 개방되고, 양측에서부터 후미에 이르기까지는 반원형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차단망(70)(도7참조)에 의해 폐쇄되는 형태를 한다. When the
계속하여 상기 바스켓(60)의 중앙기둥(61) 상단부와 프레임(62)의 전면 양측에 상,하부고정부재(71,73)가 설치되는데, 상기 상부고정부재(71)에는 중앙기둥(61) 상단부에 설치되는 기둥벨크로(75)가 구성되고, 상기 하부고정부재(73)에는 프레임(62)의 전면 양측에 설치되는 바스켓벨크로(77)가 구성된다. Subsequently, upper and
상기 기둥벨크로(75)와 바스켓벨크로(77)에 대응하는 지주벨크로(37)(도2참조)와 테이블벨크로(41)는 전술한 제1실시 예와 같이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게 된다. The holding velcro 37 (see Fig. 2) and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 예인 바스켓(60)(도7참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basket 60 (see Fig. 7)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60)을 구성하는 클립부(74)를 테이블(4)(도2참조)의 양측에 설치된 클램프(6)에 전술한 제 1 실시 예와 같이 동일하게 끼워 결합하면, 상기 바스켓(60)(도6참조)은 클립부(74)를 중심으로 내부 공간이 2등분 되면서 네트(16)(도2참조)의 양면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First, as described above, if the
상기 이후로 하부고정부재(73)를 구성하는 바스켓벨크로(77)를 테이블벨크로(41)에 부착시키고, 상기 상부고정부재(71)를 구성하는 기둥벨크로(75)를 지주벨크로(37)에 부착시켜 고정하면, 상기 바스켓(60)의 설치가 완료된다. After this, the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탁구대(2)에서 경기를 시작하면, 상 기 네트(16)에 부딪치며 테이블(4)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굴러 비산하는 탁구공은 바스켓(60)(도7참조)의 차단망(70)에 부딪치면서 튕겨져 나와 경기자의 앞쪽으로 굴러가게 되고, 이러한 탁구공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경기자가 손으로 잡고 다시 반복적으로 경기를 실시한다. In the above state, when the game is started in the table tennis table 2 as described above, the table tennis ball hitting the net 16 and rolling to the right or left side of the table 4 is basket 60 (see FIG. 7). Bumped out and hits the blocking
계속하여 본 고안의 제 6 실시 예를 도 8에서 살펴보면 바스켓(60)에 설치되는 상기 하부고정부재(73)는 바스켓클램프(80)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바스켓클램프(80)는 전술한 클램프(6)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8, the lower fixing
그러나 상기 바스켓클램프(80)는 고정기능을 가지면 되는 것으로 특정한 구조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However,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바스켓클램프(80)가 테이블(4)에 끼워져 결합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바스켓(18)은 지주(12)에 결합 되면서 테이블(4)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When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테이블(4) 양측에 바스켓(18)이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라켓에 의해 타격 되는 탁구공이 실수로 네트(16)에 맞고 비산 되더라도 바스켓(18)측으로 굴러가 튕겨지면서 경기자의 앞쪽으로 다시 굴러 오게 되는데, 이로 인해 탁구공을 줍는 데에 따른 수고가 없게 되어 탁구경기의 편리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다른 효과로는 탁구경기를 하고자 할 경우에 바스켓(18)을 필요에 따라 클램프(6)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므로 실용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Another effect is that if you want to play table tennis, the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60026635U KR200434364Y1 (en) | 2006-09-29 | 2006-09-29 | Table Tennis Ball Shatter Pro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60026635U KR200434364Y1 (en) | 2006-09-29 | 2006-09-29 | Table Tennis Ball Shatter Proof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34364Y1 true KR200434364Y1 (en) | 2006-12-20 |
Family
ID=4178268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60026635U Expired - Fee Related KR200434364Y1 (en) | 2006-09-29 | 2006-09-29 | Table Tennis Ball Shatter Proof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34364Y1 (en)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66223B1 (en) | 2008-08-04 | 2008-10-30 | 손공주 | Multi-purpose container that attaches to and attaches to a table tennis table |
| US8035651B2 (en) | 2004-08-25 | 2011-10-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of adjusting displaying state of display apparatus |
| KR101608082B1 (en) * | 2015-11-30 | 2016-04-11 | 홍성민 | A table tennis net equipment |
| CN108853994A (en) * | 2018-09-25 | 2018-11-23 | 邯郸学院 | Table tennis table with constant tension net |
-
2006
- 2006-09-29 KR KR2020060026635U patent/KR200434364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8035651B2 (en) | 2004-08-25 | 2011-10-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of adjusting displaying state of display apparatus |
| KR100866223B1 (en) | 2008-08-04 | 2008-10-30 | 손공주 | Multi-purpose container that attaches to and attaches to a table tennis table |
| KR101608082B1 (en) * | 2015-11-30 | 2016-04-11 | 홍성민 | A table tennis net equipment |
| CN108853994A (en) * | 2018-09-25 | 2018-11-23 | 邯郸学院 | Table tennis table with constant tension ne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540814B2 (en) | Collapsible ball game goal | |
| US7614968B1 (en) | Ball catching system for training soccer players | |
| US7731198B2 (en) | Ball returning tent net | |
| US8182372B2 (en) | Device for training athletic or sports ball players | |
| US8371964B2 (en) | Volleyball spiking training device | |
| JP6818044B2 (en) | Return device and system | |
| US6082736A (en) | Multipurpose game assembly which includes a table tennis assembly, a bowling assembly, a billiards assembly, a basketball assembly, and a hockey assembly | |
| US2838308A (en) | Basketball game apparatus | |
| KR200434364Y1 (en) | Table Tennis Ball Shatter Proof | |
| US20150105186A1 (en) | Indoor activity games | |
| CN204380156U (en) | A kind of portable single shuttlecock machine | |
| KR200450824Y1 (en) | A apparatus for throwing game | |
| US6761649B1 (en) | Ball return apparatus | |
| WO2015004478A1 (en) | Three sided soccer goal | |
| JP2006340738A (en) | Multipurpose sports net with battery stand | |
| KR20120136122A (en) | Golf training equipment | |
| CN209848274U (en) | Sports mr teaching basketball stands | |
| AU2008101055A4 (en) | A Training Aid | |
| CN202010402U (en) | Portable Multifunctional Ball Sports Training Rack | |
| KR20120029034A (en) | Golf training target | |
| US4627623A (en) | Handheld device for ball game | |
| JP2004344611A (en) | Ball striker | |
| JPH11169496A (en) | Ball playing tool | |
| CN205307729U (en) | Four sides far throw formula basketball stands | |
| CN216222835U (en) | Basketball fixed point shooting trainer convenient to us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 UT0201 |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5-5-W10-W00-oth-UT0201 |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 UT0701 |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
St.27 status event code: A-5-4-M10-M11-oth-UT07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827 Year of fee payment: 3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2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0912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121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