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848Y1 - Auxiliary Cell Phone Power Supply - Google Patents
Auxiliary Cell Phone Power Supp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7848Y1 KR200437848Y1 KR2020070006742U KR20070006742U KR200437848Y1 KR 200437848 Y1 KR200437848 Y1 KR 200437848Y1 KR 2020070006742 U KR2020070006742 U KR 2020070006742U KR 20070006742 U KR20070006742 U KR 20070006742U KR 200437848 Y1 KR200437848 Y1 KR 20043784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phone
- battery cell
- power supply
- case
- auxilia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는 휴대폰의 입출력커넥터에 간편하게 결합되어, 휴대폰의 배터리 방전시, 예비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에 있어서, 휴대폰의 입출력 커넥터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돌출형성되는 커넥팅부가 구비되며, 회로소자들이 실장되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에 내장되고,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는 전지셀; 상기 전지셀에 연결되며, 표면에 조사되는 일사량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전지셀을 충전시키는 태양전지판; 상기 커넥팅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판부, 전지셀 및 태양전지판을 덮어서 보호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mobile phone power supply. The auxiliary mobile phon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ily coupled to the input / output connector of the mobile phone, and the auxiliary mobile phone power supply for supplying spare power when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is discharged, and can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input / output connector of the mobile phone. A substrate portion having a connecting portion protruding to be formed thereon and mounted with circuit elements; A battery cell built in the substrate and charged with electricity from the outside; A solar panel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and absorbing the amount of solar radiation irradiated onto th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to convert the solar cell into electrical energy to charge the battery cell; The connecting part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covers the substrate unit, the battery cell and the solar panel to protect the cas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본 고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는 통상의 휴대폰 충전기를 연결하여 사용가능한 충전잭 삽입단자를 통해 전지셀을 충전하고, 상기 휴대폰의 입출력 커넥터에 연결되는 커넥팅부를 통해 휴대폰의 배터리 방전시 예비전원을 공급하는 전지셀에 태양전지판을 더 구비함으로써, 휴대폰의 사용자가 별도의 휴대폰 충전기 및 전원공급원 없이도, 태양광을 통해 전지셀을 자가충전이 가능하여 상기 전지셀의 전원을 항상 유지할 수 있으며, 필요 시에 전지셀 마저 방전되어 휴대폰 배터리의 보조공급원의 역할을 하지못하게 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mobile phon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rges the battery cell through a charging jack insertion terminal usable by connecting a conventional mobile phone charger, and the connection of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connector of the mobile phone The solar cell panel is further provided in the battery cell which supplies the spare power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so that the user of the mobile phone can self-charge the battery cell through solar power without using a separate mobile phone charger and a power supply. It can be maintained, and even when the battery cell is discharged as necessary to prevent the situation that the role of the secondary source of the mobile phone battery can be prevented.
휴대폰, 충전, 전원, 보조, 배터리 Mobile phone, charging, power, auxiliary, battery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가 휴대폰 및 충전기에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태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ventional auxiliary mobile phone power supply unit coupled to a mobile phone and a charger.
도 2a,b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의 외부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2a, b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auxiliary mobile phone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결합도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uxiliary mobile phone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의 외부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4a, b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auxiliary mobile phone power supp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결합도이다.Figure 5 is an explod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uxiliary mobile phone power supp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의 하측부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mobile phon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의 회전덮개부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the rotary cover of the auxiliary mobile phon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 <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0: 휴대폰 11: 입출력 커넥터10: cell phone 11: input / output connector
20: 충전기 21: 충전잭20: charger 21: charging jack
100: 케이스 110: 덮개부100: case 110: cover part
112: 회전덮개부 200: 기판부112: rotating cover 200: substrate portion
210: 발광다이오드 220: 스위치210: light emitting diode 220: switch
300: 전지셀 400: 커넥팅부300: battery cell 400: connecting portion
500: 충전잭 삽입단자 600: 태양전지판500: charging jack insertion terminal 600: solar panel
본 고안은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 휴대폰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휴대폰을 동작시키는 예비 배터리의 역할을 하며, 통상의 휴대폰 충전기 또는 태양전지판을 통해 전지셀을 충전시키는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mobile phone power supply,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is discharged, it functions as a spare battery that is easily mounted on the mobile phone to operate the mobile phone, the battery through a conventional mobile phone charger or solar panel A secondary cell phone power supply for charging a cell.
휴대폰은 이제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폰은 보통 크게 본체와 이러한 본체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본체에 결합된 배터리로 구성되어 있다. 휴대폰 사용자는 보통 이러한 배터리가 1~2개 정도 구비하고, 보통 가정용 전원을 이용하는 배터리 충전장치에 충전을하여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에 따라서는, 배터리를 장착한 휴대폰과는 별도로 충전된 예비 배터리를 가지고 다니다가, 휴대폰에 장착된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방전된 배터리를 예비 배터리로 교체하여 사용하게 된다.Mobile phones are now indispensable for modern people. Such a mobile phone usually consists of a main body and a battery coupled to the main body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Mobile phone users usually have one or two such batteries, and they usually charge and use battery chargers that use household power. Some users carry a spare battery charged separately from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battery, and when the battery mounted in the mobile phone is discharged, the discharged battery is replaced with a spare battery.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예비 배터리를 가지고 있지 않고, 충전장치 역시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휴대폰에 장착된 배터리가 방전되어 휴대폰이 꺼지게 되는 일도 종종 발생하게 된다. 특히, 급하게 연락을 취해야 하는 경우, 이러한 일이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는 곤란하게 된다. 최근, 거리에 많이 있는 편의점 등에서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휴대폰 배터리의 충전서비스를 받을 수는 있으나, 이러한 서비스는 별도의 비용을 지불하여야 할 뿐 아니라, 충전에 필요한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은 휴대폰을 꺼 놓아야 하는 불편이 있다However, in some cases, the battery does not have a spare battery, and the charging device is also difficult to use, so that the battery mounted on the mobile phone is discharged and the mobile phone is often turned off. In particular, when it is necessary to contact in a hurry, it happens that the user is difficult. In recent years, there are many convenience stores in the street, which can be used to charge mobile phone batteries. However, these services require not only to pay extra charges, but also to turn off the mobile phone for some time. Have inconvenience
이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가 시판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가 휴대폰 및 충전기에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태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폰(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입출력 커넥터(11)에 연결되어 휴대폰(10)을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또한 내부의 전원으로 빛을 발생시켜 손전등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케이스(100), 전지셀(300), 기판부(200), 커넥팅부(400), 충전잭 삽입단자(500) 및 발광다이오드(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auxiliary mobile phone power supply is commercially availabl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ventional auxiliary mobile phone power supply unit coupled to a mobile phone and a charger. Referring to FIG. 1,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케이스(100)는 장치의 외부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케이스(100)의 크기는 휴대폰에 사용되는 통상의 엑세서리처럼 휴대폰(10)의 고리에 결합하여 지니고 다니 는 것이 가능하도록 소형으로 제작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호 결합된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상술한 구성부품들이 장착되며, 케이스(100)에는 스위치(220)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커넥팅부(400)가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하부에는 충전잭 삽입단자(500)와 발광다이오드(210)의 장착을 위해 개구되어 있다.The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장착되는 기판부(200)에는 전지셀(3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기판부(200)에는 통상의 휴대폰 충전기(20)의 충전잭(21)를 연결하여 전원이 입력되는 충전잭 삽입단자(500)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전지셀(300)은 충전잭 삽입단자(500)로부터 기판부(200)를 거쳐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진다.The
상기 커넥팅부(400)는 상기 기판부(200)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커넥팅부(400)는 상기 휴대폰(10)의 입출력 커넥터(11)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입출력 커넥터(11)와 상보적인 구조를 가진다. 상기 커넥팅부(400)는 통상의 휴대폰(10)에 접속이 가능한 24핀의 표준화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connecting
상기 커넥팅부(400)는 상기 기판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전지셀(300)에 충전되어 있는 전기를 휴대폰(10)에 공급하게 된다.The connecting
그러나, 상술한 구조의 종래,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는 내부에 구비되는 전지셀(300)을 별도의 충전기(20)를 통해서만 충전되기 때문에 항상 전원 콘센트가 있는 곳에서만 충전이 가능하고, 예비 배터리 역활을 하게 되는 상기 전지셀 (300) 또한 휴대폰(10) 배터리와 마찬가지로 방전될 경우, 외부에서 충전하기가 곤란하여 본래의 목적을 이루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auxiliary mobile phone power supply is charged only in the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휴대폰 충전기를 연결하여 전지셀을 충전하며, 휴대폰의 배터리 방전시, 상기 휴대폰의 입출력 커넥터에 연결되는 커넥팅부에 연결하여 통해 예비전원을 공급하는 전지셀에 태양전지판을 더 구비하여, 별도의 휴대폰 충전기 및 전원공급원 없이 태양광을 통해 전지셀의 자가충전이 가능하며, 전지셀의 전원을 항상 유지할 수 있어, 필요 시에 전지셀 마저 방전되어, 보조공급원의 역할을 하지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connecting a conventional mobile phone charger to charge the battery cell, and when the battery discharge of the mobile phone, to supply a reserve power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input and output connectors of the mobile phone The battery cell is further provided with a solar cell panel, which enables self-charging of the battery cell through sunlight without a separate mobile phone charger and a power supply source, and can maintain the power of the battery cell at all tim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xiliary mobile phone power supply that prevents it from acting as an auxiliary source.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휴대폰의 입출력커넥터에 간편하게 결합되어, 휴대폰의 배터리 방전시, 예비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에 있어서, 휴대폰의 입출력 커넥터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돌출형성되는 커넥팅부가 구비되며, 회로소자들이 실장되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에 내장되고,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는 전지셀; 상기 전지셀에 연결되며, 표면에 조사되는 일사량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전지셀을 충전시키는 태양전지판; 상기 커넥팅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 며, 상기 기판부, 전지셀 및 태양전지판을 덮어서 보호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easily coupled to the input and output connector of the mobile phone, in the auxiliary mobile phone power supply for supplying a spare power when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coupled to the input and output connector of the mobile phone A substrate portion having a connecting portion protruding to be detachable, and mounted with circuit elements; A battery cell built in the substrate and charged with electricity from the outside; A solar panel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and absorbing the amount of solar radiation irradiated onto th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to convert the solar cell into electrical energy to charge the battery cell; The connecting part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covers the substrate unit, the battery cell and the solar panel to protect the cas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상기 케이스의 일방으로 상기 커넥팅부가 슬라이드 되어, 노출 및 내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is slid to one side of the cas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exposed and interpolated.
또한, 상기 기판부에는 상기 커넥팅부가 구비되는 타측부에 통상의 휴대폰 충전기의 충전잭이 탈착되는 충전잭 삽입단자가 더 구비되고, 상기 충전잭 삽입단자의 일측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bstrate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charging jack insertion terminal for detaching the charging jack of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charger on the other side provided with the connecting portion, the one side of the charging jack insertion terminal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It is characterized by the thing.
또한, 상기 케이스의 커넥팅부가 노출되는 일면의 측부에 개폐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덮개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ver portion is hinged to be opened and closed to the side of one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또한, 상기 커넥팅부가 노출되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 소정위치에 전,후측면으로 관통연결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덮개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is rotated about the rotating shaft through the front, rear side connect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case exposed to the rotating cover portion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또한, 상기 기판부에는, 상기 전지셀을 전원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온/오프 하는 스위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 및 스위치는 상기 케이스의 소정위치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substrate unit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using the battery cell as a power source; And a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light emitting diode, wherein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switch are formed to be expos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ase.
또한, 상기 케이스 또는 덮개부의 일측에 스트랩;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trap on one side of the case or the cover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도 2a,b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의 외부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결합도이다. 도 2a,b,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는 크게 케이스(100), 기판부(200), 전지셀(300) 및 태양전지판(600)으로 구성된다.Figure 2a, b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auxiliary mobile phone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uxiliary mobile phone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2B, and 3, the auxiliary mobile phone pow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케이스(100)는 장치의 외부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케이스(100)의 크기는 휴대폰에 사용되는 통상의 엑세서리처럼 휴대폰(10)의 고리에 결합하여 지니고 다니는 것이 가능하도록 소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케이스(100)는 상호 결합되는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후술할 각종 구성부품들이 장착되게 된다.The
기판부(200)는 휴대폰(10)의 입출력 커넥터(11)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돌출형성되는 커넥팅부(400)가 구비되도록 형성된다.The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후술할 태양전지판(600) 또는 충전잭 삽입단자(500)로부터 입력되는 전기를 전지셀(20)에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기판부(200)는 외형적으로 통상의 인쇄회로기판상에 필요한 전기 부품이 실장된 것이다.It is mounted inside the
전지셀(300)은 상기 기판부(200)에 내장되고,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구성부품이다.The
상기 전지셀(20)은 통상의 휴대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배터리로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종류이다. 다만, 휴대폰(10)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배터리에는 이러한 전지셀(300)이 여러개 구비되어 있는 것이고, 휴대폰(10) 본체에 충전을 위한 회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의 경우에는 휴대의 간편성을 위해 작은 크기의 전지셀(300)이 사용되고, 이의 충전을 위해 장치 내에 기판부(20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The
본 실시예의 경우, 전지셀(300)로서, 리튬, 폴리머 계통의 3.6볼트(V)의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지셀(300)의 크기는 보통의 엄지손톱 정도의 크기이며 그 두께도 수 mm 정도로 제작되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o use a lithium, polymer-based 3.6 volts (V) as the
상기 전지셀(300)은 기판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기판부(200)에는 후술할 태양전지판(600)과 연결되어 있어서, 전지셀(300)은 태양전지판(600)으로부터 기판부(200)를 거쳐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통상적으로 쓰이는 태양전지판(600)은 표면에 조사되는 일사량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케이스(100)의 일면에 표면이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지셀(300)에 연결되며, 표면에 조사되는 태양광을 흡수하여 상기 전지셀(300)을 외부 전원공급 없이 자가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커넥팅부(400)는 상기 기판부(200)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커넥팅부(400)는 상기 휴대폰(10)의 입출력 커넥터(11) 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입출력 커넥터(11)와 상보적인 구조를 가진다. 상기 커넥팅부(400)는 통상의 휴대폰(10)에 접속이 가능한 24핀의 표준화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ng
상기 커넥팅부(400)는 상기 기판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전지셀(300)에 충전되어 있는 전기를 휴대폰(10)에 공급하게 된다.The connecting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커넥팅부(400)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유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방으로 노출 및 내삽되도록 형성되게 된다.In the
도 4a,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의 외부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결합도이고,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의 하측부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b, 5, 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는 케이스(100), 기판부(200), 전지셀(300) 및 태양전지판(600)으로 구성된다.Figure 4a, b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auxiliary mobile phone power supp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tructure of the auxiliary mobile phone power supp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ower portion of an auxiliary mobile phone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b, 5, and 6, the auxiliary mobile phone pow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케이스(100)는 장치의 외부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케이스(100)의 크기는 휴대폰에 사용되는 통상의 엑세서리처럼 휴대폰(10)의 고리에 결합하여 지니고 다니는 것이 가능하도록 소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케이스(100)는 상호 결합된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스 (100)의 내부에는 후술할 각종 구성부품들이 장착되게 된다.The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부로는 커넥팅부(400)와 충전잭 삽입단자(5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장착되는 기판부(200), 전지셀(300) 및 태양전지판(600) 등을 덮어서 보호하도록 형성된다.One side portion of the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소정부분에 발광다이오드(210) 및 스위치가 장착되도록 개구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opening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상기 케이스(100)의 커넥팅부(400)가 노출되는 일면의 측부에는 개폐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덮개부(11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덮개부(110)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단부 일측면을 힌지축으로 개폐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단부 전, 후측 중 어느 일면을 힌지축으로 개폐가능하게 결합된다.The
기판부(200)는 휴대폰(10)의 입출력 커넥터(11)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돌출형성되는 커넥팅부(400)와 통상의 휴대폰 충전기(20)의 충전잭(21)이 탈착되는 충전잭 삽입단자(500)가 각각 구비되도록 형성된다.The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충전잭 삽입단자(500)로부터 입력되는 전기를 전지셀(20)에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기판부(200)는 외형적으로 통상의 인쇄회로기판상에 필요한 전기 부품이 실장된 것이다.It is mounted inside the
전지셀(300)은 상기 기판부(200)에 내장되고,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구성부품이다.The
상기 전지셀(300)은 기판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기판부 (200)에는 외부의 전원이 입력되는 충전잭 삽입단자(500)와 연결되어 있어서, 전지셀(300)은 충전잭 삽입단자(500)로부터 기판부(200)를 거쳐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장치에는 상기 전지셀(300)을 충전하기 위해, 충전잭 삽입단자(500) 이외에 태양전지판(600)을 더 구비하게 되는 특징을 갖는다.In additio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eature that the
커넥팅부(400)는 상기 기판부(200)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커넥팅부(400)는 상기 휴대폰(10)의 입출력 커넥터(11)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입출력 커넥터(11)와 상보적인 구조를 가진다. The connecting
또한, 상기 기판부(200)에는 상기 전지셀(300)을 전원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210)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210)를 온/오프 하는 스위치(220)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소정위치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상기 발광다이오드(210)는, 빛을 발하게 되는 발광부가 케이스(100)에서 외부로 일부분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역시 케이스(100)에 장착된 스위치(220)의 동작에 따라 전지셀(30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빛을 발한다. 발광다이오드(210)는 저 전력으로도 밝은 빛을 발하는 것이 가능하여, 비상시 유용하게사용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210)는, 회로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전지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다. 이때, 발광다이오드(210)로 공급되는 전기를 단속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스위치(220)를 구비한다.The
상기 발광다이오드(210)는 일반적인 손전등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전지셀(300)의 충전완료시점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The
도 7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의 회전덮개부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의 덮개부(11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가능하다.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the rotary cover of the auxiliary mobile phon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상기 케이스(100)의 상단의 커넥팅부(400)가 노출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100)의 상단부 소정위치에는 전,후측면을 관통연결하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단면의 형상이 "ㄷ"형태로 이루어지는 회전덮개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expose the connecting
상기 회전덮개부(112)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단에 위치하였을 때는 상기 커넥팅부(400)를 덮어서 보호하게 되고, 양측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커넥팅부(400)을 노출하게 되는 구조로 연결결합된다.When the
상기 덮개부(110) 및 회전덮개부(112)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어, 덮개부(110) 및 회전덮개부(112)가 열리게되는 경우, 케이스(100)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장착된 커넥팅부(400)가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110), 회전덮개부(112) 또는 케이스(100)의 일측부 소정위치에는 스트렙(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트렙(미도시)은 통상 휴대폰(10)에 구비되어 있는 고리부(미도시)에 결합되어, 본 장치를 휴대폰(10)과 함께 사용자가 지니고 다니기에 간편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such,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general technical idea and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will be described below.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조용 휴대폰 전원 공급장치는, 통상의 휴대폰 충전기를 연결하여 사용가능한 충전잭 삽입단자를 통해 전지셀을 충전하고, 상기 휴대폰의 입출력 커넥터에 연결되는 커넥팅부를 통해 휴대폰의 배터리 방전시 예비전원을 공급하는 전지셀에 태양전지판을 더 구비함으로써, 휴대폰의 사용자가 별도의 휴대폰 충전기 및 전원공급원 없이도, 태양광을 통해 전지셀을 자가충전이 가능하여 상기 전지셀의 전원을 항상 유지할 수 있으며, 필요 시에 전지셀 마저 방전되어 휴대폰 배터리의 보조공급원의 역할을 하지못하게 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mobile phon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cell is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jack insertion terminal usable by connecting a conventional mobile phone charger, the mobile phone through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connector of the mobile phone By further providing a solar cell panel in the battery cell for supplying a preliminary power when the battery discharged, the user of the mobile phone can be charged by the solar cell self-charged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mobile phone charger and power supply source to power the battery cell It can be maintained at all times, and even when the battery cell is discharged as necessary, it can prevent the situation that does not serve as an auxiliary source of the mobile phone battery.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70006742U KR200437848Y1 (en) | 2006-12-08 | 2007-04-24 | Auxiliary Cell Phone Power Supp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60031243 | 2006-12-08 | ||
| KR2020070006742U KR200437848Y1 (en) | 2006-12-08 | 2007-04-24 | Auxiliary Cell Phone Power Supply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37848Y1 true KR200437848Y1 (en) | 2008-01-02 |
Family
ID=4134383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70006742U Expired - Fee Related KR200437848Y1 (en) | 2006-12-08 | 2007-04-24 | Auxiliary Cell Phone Power Supply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37848Y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90495B1 (en) * | 2010-02-11 | 2010-10-29 | 박성훈 | Cas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auxiliary power using solar cell |
| WO2014092761A1 (en) * | 2012-12-14 | 2014-06-19 | Ascent Solar Technologies, Inc. | System for housing and powering a battery-operated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
-
2007
- 2007-04-24 KR KR2020070006742U patent/KR200437848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90495B1 (en) * | 2010-02-11 | 2010-10-29 | 박성훈 | Cas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auxiliary power using solar cell |
| WO2011099735A3 (en) * | 2010-02-11 | 2012-01-12 | Park Seonghoo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for supplying auxiliary power by using a solar cell |
| WO2014092761A1 (en) * | 2012-12-14 | 2014-06-19 | Ascent Solar Technologies, Inc. | System for housing and powering a battery-operated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
| US9538671B2 (en) | 2012-12-14 | 2017-01-03 | Ascent Solar Technologies, Inc. | System for housing and powering a battery-operated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127802A (en) | Charger with battery retention door | |
| JP3139151U (en) | Cell phone case | |
| US20090314400A1 (en) | Protective Cover With Power Supply Un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 JPH11103336A (en) | Power source for portable telephone set | |
| KR200437848Y1 (en) | Auxiliary Cell Phone Power Supply | |
| KR20080002285U (en) | Portable emergency battery | |
| US6219257B1 (en) | Integrated battery compartment and hinge | |
| US20080316713A1 (en) | Power supply and speakerphone for handheld devices | |
| KR20090001494U (en) | Auxiliary Battery Device for Mobile Terminal | |
| JP2011135491A (en) | Auxiliary power unit for mobile phone | |
| KR200426586Y1 (en) | Multifunction device for mobile phones | |
| CA2636123A1 (en) | Solar panel battery charger for electrical device | |
| KR100553003B1 (en) | Compact Battery Unit for Mobile Phones | |
| CN210093177U (en) | Solar battery box with double power supply systems | |
| KR20150073471A (en) | Mobile Phone Shieding Case with Sub-battery | |
| KR200291141Y1 (en) | A bag with electric power feeder using solar heat | |
| KR200409077Y1 (en) | Battery charger | |
| KR20100063408A (en) | Supply phone battery | |
| KR200307358Y1 (en) | Portable hand phone case having electric charging function | |
| KR20100007037U (en) | Portable case for battery of cellular phone | |
| CN219591552U (en) | Battery pack and electronic device | |
| KR200316322Y1 (en) | charging bettery for rechargeable batteries of a electronic apparatus like a portable phone using solar cells | |
| US20090045770A1 (en) | Headgear assembly capable of collecting solar power | |
| KR200422217Y1 (en) | Spare secondary battery unit for mobile devices | |
| US20050156565A1 (en) | Battery with a built-in charging circui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UA0301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UA03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 J206 |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 ||
| UJ0204 | Invalidation trial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1-apl-UJ0204 |
|
| UJ0206 |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1-apl-UJ0206 |
|
| J121 |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924 Effective date: 20081015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924 Effective date: 20081015 |
|
| UJ1201 | Withdrawal of trial |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3-apl-UJ1201 |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UN2301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227 Year of fee payment: 5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1212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2122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