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271Y1 - Climbing device with ramp adjustment - Google Patents
Climbing device with ramp adjust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8271Y1 KR200438271Y1 KR2020070004218U KR20070004218U KR200438271Y1 KR 200438271 Y1 KR200438271 Y1 KR 200438271Y1 KR 2020070004218 U KR2020070004218 U KR 2020070004218U KR 20070004218 U KR20070004218 U KR 20070004218U KR 200438271 Y1 KR200438271 Y1 KR 20043827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imbing
- frame
- deck
- user
- ram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4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mountaineering, e.g. climbing-walls, grip elements for climbing-w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로 하여금 경사로를 보행하거나 암벽등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보행 내지는 워킹, 런닝 등을 통한 유산소 운동은 물론 등반을 통한 전신운동이 가능하고, 미사용 시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컴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진 경사로 조절방식의 등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등반프레임(22)과, 복수개의 돌기부(27)가 형성된 궤도벨트(24)와 구동장치(25)가 구비된 등반데크(20)와, 전방으로 개방되어 상기 등반테크(20)를 수용하도록 공간이 마련된 본체프레임(40)의 전방을 덮는 오픈프레임(10)이 개폐장치(39)와 연결되어져 본체프레임(40)과 개폐가 가능하며, 조작부(36)가 구비된 마운팅프레임(30)과, 상기 등반데크(20)는 등반프레임(22)의 일측부에 결합된 슬라이딩휠(26) 및 슬라이딩레일(12)을 통해 오픈프레임(18)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부는 본체프레임(40)의 승강장치(33)와 연결된 지지대(32) 및 승강휠(41)과 승강레일(42)을 통해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서 경사각의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서 구성하는 경사로 조절방식의 등반장치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user to walk on a ramp or to climb a rock, so that the aerobic exercise through walking, walking, running, etc., as well as the whole body movement through climbing, and a compact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and stored when not in use It relates to an adjustable climbing devic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imbing frame 22, a climbing deck 24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27 and a climbing deck 20 provided with a driving device 25, and the front of the climbing tech 20 Open frame 10 covering the front of the main body frame 40 is provided with a space to accommodat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39 is opened and closed with the main body frame 40, the mounting frame 36 is provided 30 and the climbing deck 20 is coupled to be slidable with the open frame 18 through the sliding wheel 26 and the sliding rail 12 coupled to one side of the climbing frame 22, the other side The ramp is configured as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by being coupled to the support 32 and the elevating wheel 41 and the elevating rail 42 connected to the elevating device 33 of the main body frame 40 to enable the lifting and lowering Suggest an adjustable climbing device.
등반데크, 마운팅프레임, 오픈프레임, 궤도벨트, 돌기부. Climbing deck, mounting frame, open frame, track belt, protrusion.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런닝머신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treadmil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경사로 조절방식의 등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limbing device of the ramp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등반장치의 구조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structure of the climb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등반장치의 정면도.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climb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등반장치의 컴퓨터시스템의 개념도.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mputer system of a climb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등반장치의 사용상태도.Figure 6 is a state of use of the climb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등반장치를 접었을 때의 상태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fo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lded.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등반장치의 오픈프레임을 전면에서 도시한 측면도.Figure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n frame of the climb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도 9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경사로 조절방식의 등반장치의 등반데크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the climbing deck of the climbing device of the ramp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0: 오픈프레임 12: 안내홈10: open frame 12: home
14: 쿠션패드 16: 외부모니터14: cushion pad 16: external monitor
18: 결합부 20: 등반데크18: coupling unit 20: climbing deck
22: 등반프레임 24: 궤도밸트22: climbing frame 24: track belt
25: 구동장치 26: 슬라이휠25: drive unit 26: slice wheel
27: 돌기부 28: 제 1센서27: projection 28: first sensor
29: 휠 지지대 30: 마운팅프레임29: wheel support 30: mounting frame
31: 격벽 32: 승강 지지대31: bulkhead 32: lifting support
33: 승강장치 34: 모니터33: elevator 34: monitor
35: 모니터 지지대 36: 조작부35: monitor support 36: control panel
37: 승강홈 38: 힌지부37: lifting groove 38: hinge portion
39: 개폐장치 40: 본체프레임39: switchgear 40: body frame
50: 제 2센서 60: 컴퓨터시스템50: second sensor 60: computer system
100: 런닝머신100: treadmill
본 고안은 사용자로 하여금 경사로를 보행하거나 암벽등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보행 내지는 워킹, 런닝 등을 통한 유산소 운동은 물론 등반을 통한 전신운동을 제공하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등반데크의 경사각이 조절이 가능하고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컴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진 경사로 조절방식의 등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device that provides a user to walk the slope or climbing a rock climbing to provide aerobic exercise through walking or walking, as well as whole body movement through climbing, more specifically,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limbing deck It relates to a climbing device of the ramp adjustment method of the compact structure that can be adjusted and folded and stored.
일반적으로 동력장치와 연결된 회동하는 무한궤도를 통해 궤도의 상부에서 운동자가 런닝 혹은 워킹함으로써 유산소 운동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런닝머신은 여러가지 형태로 개발되어 다수가 공지된바 있으며, 일예로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27074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도 1을 참조하면, 메인프레임 및 콘트롤판넬과 런닝장치와 연동하는 무한궤도를 가지는 런닝데크수단 등을 구비한 구조의 런닝머신(100)이 있었다.In general, a treadmill that can provide aerobic exercise effect by running or walking by an athlete at the top of a track through a pivoting track connected to a power unit has been developed in various forms, and many have been known as utility models. Referring to FIG. 1 as disclosed in No. 20-270740, there was a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런닝머신(100)은 대부분이 하체의 운동을 위주로 제공함으로써 국부적인 운동효과를 전신근육으로 극대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주로 1인용으로 제공되는바, 한사람의 사용자를 위주로 적용하도록 개발됨으로서 사용자의 인원수에 맞추어 각각의 운동기구가 요구됨은 물론, 이에 따른 소요비용도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bar is mainly provided for one person, and is developed to apply one user mainly, so that each exercise device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users, and thus, the required cost increases.
아울러, 운동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방치되거나 보관 시에는 필요 이상의 공간만 차지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별도의 수납공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occupying more than necessary space when left unattended or stored when not using the exercise equipment,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requires a separate storage space.
또한, 운동 시 사용자로 하여금 일정시간 동안의 운동을 유도함으로서 운동효과를 최대화하는데 반해, 운동시간 동안에 지루함을 느껴 중도에 운동을 중단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일부 사용자의 경우 인쇄물을 보거나 워크맨 등의 음향장치를 소지하고 음악을 즐기며 운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로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고 지루함을 달래기에는 역부적이며, 운동 시 편한 복장의 체육복을 주로 착용하는데 반해 별도의 소지품을 소지하는 것 또한 불편한 문제점들이 있었다.In addition, while maximizing the exercise effect by inducing a user to exercise for a certain time during exercise, often feels bored during the exercise time, the exercise is often stopped. In order to alleviate this boredom, some users play sports while watching printed materials, or carrying a sound device such as a Walkman, and there is a risk of safety accidents, and it is inverse to relieve boredom and wears clothes that are comfortable to exercise. Wearing a separate physical belongings, but wearing a separate physical belongings were also uncomfortable problems.
따라서, 상술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런닝머신의 등반데크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적합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특히 등반데크가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상태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등반데크의 돌기부를 손으로 잡거나 발로 밟고 등반하는 등 손과 발 등의 신체부위에 전신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경사로 조절방식의 등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various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appropriate exercise for the user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climbing deck of the treadmill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and especially the climbing deck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vertical or near vertical state, the user can perform the whole body movement on the body parts such as the hands and feet, such as holding the foot of the climbing deck by hand or stepping on the foot, and climbing the climbing device In providing.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모니터 및 내장된 컴퓨터시스템을 통하여 각종 시각적 매체를 모니터링하면서 운동을 즐길 수 있게 함으로써 운동시간을 연장하거나 지적 만족도를 배가시킬 수 있는 경사로 조절방식의 등반장치를 제공 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imbing device of the slope adjustment method that can extend the exercise time or double the intellectual satisfaction by allowing you to enjoy the exercise while monitoring various visual media through the monitor and the built-in computer system .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시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콤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전면의 외부모니터를 통하여 시청각 및 컴퓨터시스템의 사용이 가능한 경사로 조절방식의 등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imbing device of the slope adjustment method that is made of a compact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and stored when not using the device, the audiovisual and computer systems can be used through the external monitor on the front. .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용자로 하여금 무한궤도의 회전을 통해서 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일반적인 운동기구에 있어서, 등반프레임(22)과 복수개의 돌기부(27)가 형성된 궤도벨트(24)와 구동장치(25)가 구비된 등반데크(20)와, 전방으로 개방되어 상기 등반데크(20)를 수용하도록 공간이 마련된 본체프레임(40)의 전방을 덮는 오픈프레임(10)이 개폐장치(39)와 연결되어져 본체프레임(40)과 개폐가 가능하며, 조작부(36)가 구비된 마운팅프레임(30)과, 상기 등반데크(20)는 등반프레임(22)의 일측부에 결합된 슬라이딩휠(26) 및 슬라이 딩레일(12)을 통해 오픈프레임(18)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부는 본체프레임(40)의 승강장치(33)와 연결된 지지대(32) 및 승강휠(41)과 승강레일(42)을 통해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서 경사각의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s a general exercise device that allows the user to induce the movement through the rotation of the endless track, the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에서 설명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려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intended to more clearly and easi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Also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우선 본 고안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경사로 조절방식의 등반장치의 개념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운동하는 등반데크(20)의 경사도를 조절함으로서, 등반데크(20)의 궤도벨트(24)에 돌기부(27)를 형성하여 등산효과를 제공하며, 등반데크(20)가 수직 및 수직에 가까운 급경사의 상태에서 암벽등반이 가능하도록 등반용 홀더가 구비된 경사로 조절방식의 등반장치를 제안 하고자 하는 것이다.Looking at the concept of the climbing device of the ramp adjustment method to b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우선 첨부된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경사로 조절방식의 등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등반장치의 구조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 안에 따른 등반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앞에서 제안한 경사로 조절방식의 등반장치의 전체구성은 도 2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다.First,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briefly describ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limbing device of the ramp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limb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This is a front view of the climbing device along the heigh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limbing device of the slope adjustment method proposed above is as shown in FIG.
상기의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하는 경사로 조절방식의 등반장치는 등반프레임(22)에 궤도벨트(24)와 구동장치(25)가 구비된 등반데크(20)와, 상기 등반테크(20)를 수용하는 본체프레임(40)의 전방을 덮는 오픈프레임(10)이 본체프레임(40)과 개폐가 가능하게 결합된 마운팅프레임(30)과, 상기 등반데크(20)는 등반프레임(22)의 일측부가 오픈프레임(18)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부는 본체프레임(40)과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서 경사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limbing device of the ramp adjustment method to be implem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limbing deck (20) equipped with a
그리고, 본 고안은 사용자의 신체부위나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 1센서(28)와, 사용자가 등반데크(20)를 등반 시 소정의 높이를 감지하는 제 2센서(50)가 구비되며, 모니터(16, 34) 및 컴퓨터시스템(60)이 구비되며, 상기 돌기부(27)는 암벽등반용 홀더로도 이루어질 수도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이러한 구성은 후술하는 도면들의 상세설명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This configura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b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o be described later.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경사로 조절방식의 등반장치를 도 2 내지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등반데크(2)는 양측의 등반프레임(22)이 판재 및 봉재 등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상부는 궤도벨트(24)가 처지지 않도록 평판 받침대로 바치도록 하여서 내장된 구동장치(25)를 보호하고 사용자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궤도벨트(24)는 연속적으로 이 어지는 무한궤도로 이루어지고 구동장치(25)와 연결되어 연동되며, 정회전 또는 역회전도 가능하다. 그리고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돌기부(27)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27)는 운동 시 사용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Referring to the climbing device of the ramp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s 2 to 4, the climbing deck (2) is the
상기 마운팅프레임(30)은 내측부에 격벽(31)으로 구획되고 전방으로 개방된 공간이 마련된 본체프레임(40)과, 상기 본체프레임(40)의 전방을 덮는 오픈프레임(10)이 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하며, 상기 등반테크(20)를 내부에 수용하고 오픈프레임(10)을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오픈프레임(18)은 상부에 결합된 쿠션패드(14)를 감싸도록 하고, 후방의 양측 결합부(18) 및 힌지부(38)를 통해 본체프레임(40)과 힌지 결합되고, 개폐장치(39)와 연결되어져 힌지부를 축으로 구간회동하면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쿠션패드(14)에는 안내홈(12)이 형성하여 지지대(29)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The
상기 본체프레임(40)에는 개폐장치(39)와 승강장치(33)가 내장되고, 격벽(31)에는 승강 지지대(32)와 간섭되지 않도록 안내용 승강홈(37)이 형성된다.Opening and
상기 등반데크(20)는 등반프레임(22)의 전방 양측부에 슬라이딩휠(26)이 결합된 휠 지지대(29)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휠(26)은 안내홈(12) 및 슬라이딩레일(12)의 안내를 통해 오픈프레임(18)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후방의 양측부에는 승강휠(41)이 결합된 승강용 지지대(32)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승강휠(41)은 승강장치(33)와 연결되어져 승강홈 (37) 및 승강레일(42)의 안내를 통해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져 등반프레임(22)이 수평상태 내지는 경사상태 및 수직상태에서 지지한다.The
상기한 바와 같은 구동장치(25) 및 승강장치(33)와 개폐장치(39)는 실린더장치 또는 모터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도면에서처럼, 전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바람직하며, 기어방식 내지는 체인 및 스프라켓, 와이어 등의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한 장치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부(36)가 본체프레임(40)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장된 컴퓨터시스템(60)과 연결된다.The
상기 등반데크(20)와 오픈프레임(10)의 사이, 예컨대 휠지지대(26)에는 제 1센서(28)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부위나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그리고, 본체프레임(4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등반데크(20)를 등반 시 소정의 높이, 예컨대 상반신에 해당하는 머리, 어께 및 손부위 등을 감지하는 제 2센서(50)가 구비된다. 상기 제 1센서(28) 및 제 2센서(50)는 필요 시 사용자의 주변에 다수개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etween the climbing
본체프레임(40)은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상부보다 하부의 폭이 넓은 구조로 이루어지고, 하단부 및 후측면을 벽 및 주위의 구조물이나 바닥 등에 볼트 등의 고정구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격벽(31)을 양측부에 나누어 제한적으로 수직 배치하거나 제외할 수도 있으며, 이는 상기 본체프레임(40)의 중간부 및 상부에 투명한 재질의 투시창을 마련함으로서 운동자의 시선이 모니터(34)뿐만 아니라 전방의 경치도 관람할 수 도 있도록 하여 운동을 보다 즐겁게 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본 고안에 따른 등반장치는 사용자로 하여금 전신운동효과는 물론 시각 및 청각적인 매체를 제공함으로서 운동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각적 매체를 출력하는 모니터(34) 및 음향장치를 상기 본체프레임(40)에 장착함으로서 사용자가 운동 시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 정보 및 시청각적인 매체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모니터(34)는 각도조절이 가능하게끔 지지대(35)를 통해 승강레일을 따라 승/하강되도록 구동모터와 결합시키거나, 상기 승강 지지대(32)와 결합되어져 연동하며 상하로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는 사용자가 운동 시 시선과 동일한 높이에 적절하게 위치하도록 하여서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Climb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exercise by providing a visual and auditory medium as well as the whole body movement effect. To this end, a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등반장치의 컴퓨터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상기 컴퓨터시스템(60)은 일반적인 형태로서 도 5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처리부와, 데이터입력부, 데이터저장부, 모니터(35,50)를 포함하는 화면출력부와, 스피커를 포함하는 음향출력부, 방송 및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로 이루어지며, 상기의 조작부(36) 및 센서(28, 50) 등이 연결된다.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mputer system of a climb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조작부(36)는 구동장치(25) 및 승강장치(33)와 개폐장치(39)가 연결되어 회전속도 및 등반각도를 수동으로 조절이 가능하고, 자동으로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사전에 저장된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등반데크(20)의 회전속도 및 등반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인터넷을 통해 수신된 신호에 의해서 작동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The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등반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경사로 조절방식의 등반장치의 작동상태를 도 6과 상기의 도 4 및 도7들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프레임(40)를 바닥이 흔들리지 않도록 설치하고, 오픈프레임(10)을 개방하여 전방으로 펼치면 수평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승강장치(33)가 작동하여 승강휠(41)를 하강시키고 슬라이딩휠(26)이 전진함으로서 등반데크(20)가 펼쳐진다. 상기 등반데크(20)를 수평으로 펼치거나 도 4에서처럼, 경사각을 사용자에 맞게 적절히 조절하고 궤도벨트(24)가 회동하면서 등반운동은 물론, 워킹하거나 런닝 등의 유산소 운동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등반데크(20)의 경사각이 높일수록 가파른 경사로를 오르는 것과 같이 운동량이 증가하게 된다.6 is a state diagram used of the climb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climbing device of the ramp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4 and 7. First, referring to FIG. 4,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작부(36)를 통해 수동으로 조작하거나 컴퓨터시스템(60)을 통해 등반데크(20)의 회동속도 및 경사각을 자동으로 변화시킴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여러 가지 조건에서의 경사로 등반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manually operate the
아울러, 상기 오픈프레임(10)의 바닥과 접하는 밑면에 완충기능을 가지는 받침대나 지지구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pedestal or support having a cushioning function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상기의 도 6에서는 등반데크(20)를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고정하여서 암벽을 등반한 것과 같은 전신운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돌기부(27)를 손으로 잡거나 발을 걸쳐 딛음으로서 등반데크(20)를 등반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일정 높이에 도달하면 즉, 상기 제 2센서(50)의 위치에 도달하여 신 체부위가 센싱되면 구동장치(25)가 작동하여 궤도벨트(24)를 일정 구간 정회전함으로서 사용자를 아래의 등반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때, 사용자의 발 등의 하체부위를 검출하는 별도의 센서를 구비하여서 구동장치(25)를 정지시킬 수도 있다.In FIG. 6, the climbing
이후, 사용자는 다시 등반이 가능하고 반복적으로 등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하체는 물론 상체 등의 전신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fter that, the user is able to climb again and repeatedly to be able to climb, so that the lower body as well as the whole body movement is possible.
상기 쿠션패드(14)는 스폰지, 고무, 합성고무, 합성수지 등의 완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운동 중 부주의로 추락 시 충격을 완화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소음을 감소시킨다.The
장치가 작동 시, 상기 제 1센서(28)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나 이물질 등이 궤도벨트(24)의 밑으로 감겨 들어가기 전에 감지하여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서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기능을 한다.When the device is in operation, the
도 7은 본 고안의 등반장치를 접었을 때의 상태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서처럼, 상기 오픈프레임(10)을 접을 때에는 펼칠 때와 역으로 승강휠(41)을 상승시키면 등반데크(20)가 세워지면서 본체프레임(40)에 수납되고 동시에 오픈프레임(10)이 회동하여 복귀하면서 접어진다. 이때, 상기 쿠션패드(14)에는 모니터(34)를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한 공간을 마련하여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when the fo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lded. As shown in FIG. 7, when the
상기와 같이 접힌 상태에서는 도 8에서처럼, 상기 오픈프레임(10)의 전면에 내장된 외부모니터(16)를 통하여 TV시청 및 컴퓨터시스템를 통한 시각적인 매체를 즐길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등반장치는 컴퓨터시스템(60) 및 조작부(36)가 리모컨를 통해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근거리 및 원거리에서도 조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e folded stat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8, the
본 고안에 따른 등반장치의 제 2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경사로 조절방식의 등반장치의 등반데크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등반데크(20)를 구성하는 궤도벨트(24)에는 돌기부(27)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27)는 형상이나 배치를 여러형태로 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등반이 용이하거나 또는, 오히려 어렵도록 구성하여서 등반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도 있으며, 이에 맞게끔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제 2의 실시예로서 불규칙하게 배열된 복수개의 암벽등반용 홀더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는 바이다.Referr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climb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the climbing deck of the climbing device of the ramp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상술한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동력장치에 의해 궤도벨트가 무한 회전되고 이 회전되는 궤도벨트의 상부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등산과 유사한 경사로 등반 또는 암벽타기, 워킹, 런닝 등의 다양한 형태의 유산소 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등반을 통한 전신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운동효과를 제공하는 바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user to perform various forms of aerobic exercise such as climbing, climbing, rock climbing, walking, running, etc. at the top of the track belt is infinitely rotated by the power unit and the rotating track belt. In addition, it provides the exercise effect that can perform the whole body exercise through climbing in particular.
또한, 본 고안은 등반데크의 경사도를 사용자에 맞게 평지에서부터 경사로, 수직에 이르는 경사각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서, 남녀노소 누구나 폭넓은 연령층에서 사용이 가능하여 그 활용도가 광범위한 이점이 있으며, 운동의 난이도를 적절히 적용함으로서 운동의 효과를 높이 등 여러 가지 이점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perly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limbing deck from the flat to the slope, vertical to suit the user, it can be used in a wide range of ages for men and women of all ages, the utilization has a wide range of advantages, the difficulty of exercise Appropriately applied, there are many advantages such as heightening the effect of exercise.
그리고, 본 고안은 등반데크가 경사로는 물론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상태의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서 사용자로 하여금 암벽등반을 통한 전신운동효과를 제공 할 수 있으며, 특히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구간 내에서 연속적으로 등반이 가능하여 추락 등으로 인한 충돌로부터 인체를 보호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오픈프레임의 상면에 쿠션패드가 마련되어져 완충작용를 함으로서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provide the whole body movement effect through the rock climbing by allowing the climbing deck to be inclined in the vertical or near vertical state as well as the ramp, and the climbing is continuously performed in a section having a certain heigh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by protecting the human body from collision due to falling. In addition, the cushion pa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 frame, there is an advantage to protect the user by the buffer action.
또한, 본 고안은 회동하는 궤도벨트와 장치 사이에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딸려 들어가기 진에 미리 안전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서 사용자를 보호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otecting the user by stopping the operation by detecting the safety sensor in advance by the user's body part is inserted between the rotating track belt and the device.
그리고, 본 고안은 사용하지 않을 시,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콤팩트한 구조로서 보관면적을 최소화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면에 설치된 외부모니터를 통해 TV시청이나 컴퓨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품의 가치를 보다 배가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act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and stored when not in use, thereby minimizing the storage area to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and enabling the use of a TV or a computer through an external monitor installed on the fro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double the value of.
그리고, 본 고안은 운동과 동시에 인터넷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업적 용도에 맞도록 크기를 대형화시키면 여러명이 동시에 운동을 즐길 수 있으며, 서로간의 단결력 및 스포츠맨쉽 등을 배양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Internet at the same time to exercise, and if the size is increased to fit the commercial use, several people can enjoy the exercise at the same time, it is also possible to cultivate the unity and sportsmanship between each other.
끝으로, 본 고안은 컴퓨터와 연결된 모니터를 통하여 인터넷과 연결된 연계운동을 가능하도록 하여 동호회 활동이나 아름다운 자연경치를 보면서 운동을 즐길 수 있게 하여 운동과 함께 지적만족을 배가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는 것이다.Finall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connected exercise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the monitor connected to the computer, so that you can enjoy the exercise while watching the club activities or the beautiful natural scenery, and can expect the effect that can double the intellectual satisfaction with the exercise. will b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70004218U KR200438271Y1 (en) | 2007-03-12 | 2007-03-12 | Climbing device with ramp adjust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70004218U KR200438271Y1 (en) | 2007-03-12 | 2007-03-12 | Climbing device with ramp adjustment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38271Y1 true KR200438271Y1 (en) | 2008-02-04 |
Family
ID=4133954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70004218U Expired - Fee Related KR200438271Y1 (en) | 2007-03-12 | 2007-03-12 | Climbing device with ramp adjustmen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38271Y1 (en) |
Cited By (1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50416B1 (en) * | 2009-04-15 | 2012-06-01 |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 Angle regulating apparatus |
| KR101297811B1 (en) | 2012-02-29 | 2013-08-19 | 문경식 | Multifunction Treadmill |
| KR101508289B1 (en) * | 2013-02-04 | 2015-04-07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Gait Training apparatus |
| KR101792634B1 (en) | 2017-09-06 | 2017-11-01 | 클라임코리아 주식회사 | A climbing wall being mounted easily |
| CN109663314A (en) * | 2019-01-07 | 2019-04-23 | 黄河科技学院 | Physical education is with trainer of ascending a height |
| CN110496032A (en) * | 2019-08-26 | 2019-11-26 | 姬允龙 | Cardiovascular internal disease rehabilitation physical therapy device |
| KR20210000810A (en) * | 2019-06-25 | 2021-01-06 | 정영규 | An artificial rock climbing |
| KR102249103B1 (en) * | 2019-11-26 | 2021-05-06 | 문태예 | Treadmill Type Rock Climbing Simulator |
| KR102301954B1 (en) * | 2020-04-23 | 2021-09-15 |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 Indoor Rock Climbing Simulator With Variable Climbing Angle and Climbing Speed |
| KR102859802B1 (en) * | 2024-06-10 | 2025-09-12 | 김성헌 | Multifunctional moving wall exercise equipment |
-
2007
- 2007-03-12 KR KR2020070004218U patent/KR200438271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50416B1 (en) * | 2009-04-15 | 2012-06-01 |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 Angle regulating apparatus |
| KR101297811B1 (en) | 2012-02-29 | 2013-08-19 | 문경식 | Multifunction Treadmill |
| KR101508289B1 (en) * | 2013-02-04 | 2015-04-07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Gait Training apparatus |
| KR101792634B1 (en) | 2017-09-06 | 2017-11-01 | 클라임코리아 주식회사 | A climbing wall being mounted easily |
| CN109663314A (en) * | 2019-01-07 | 2019-04-23 | 黄河科技学院 | Physical education is with trainer of ascending a height |
| KR20210000810A (en) * | 2019-06-25 | 2021-01-06 | 정영규 | An artificial rock climbing |
| KR102215968B1 (en) * | 2019-06-25 | 2021-02-16 | 정영규 | An artificial rock climbing |
| CN110496032A (en) * | 2019-08-26 | 2019-11-26 | 姬允龙 | Cardiovascular internal disease rehabilitation physical therapy device |
| KR102249103B1 (en) * | 2019-11-26 | 2021-05-06 | 문태예 | Treadmill Type Rock Climbing Simulator |
| KR102301954B1 (en) * | 2020-04-23 | 2021-09-15 |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 Indoor Rock Climbing Simulator With Variable Climbing Angle and Climbing Speed |
| KR102859802B1 (en) * | 2024-06-10 | 2025-09-12 | 김성헌 | Multifunctional moving wall exercise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0438271Y1 (en) | Climbing device with ramp adjustment | |
| US20040248699A1 (en) | Treadmill with adjustable platforms | |
| KR102139344B1 (en) | Seated treadmill and how to use | |
| US20110082400A1 (en) | Massage mechanism with a moveable massage set having a biased movement | |
| WO2017198012A1 (en) | Foldable multifunctional fitness device | |
| TWI801511B (en) | Portable automated massage apparatus | |
| CN111228740A (en) | Multi-mode weight-reducing dry-wet dual-purpose all-dimensional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 |
| KR102394632B1 (en) | Massage chair with stretch functions | |
| CN108785985A (en) | A kind of treadmill treadmill | |
| CN221579694U (en) | A kind of flight experience amusement equipment | |
| US20180064987A1 (en) | In-floor treadmill assembly | |
| US20180207056A1 (en) | Configurable Massaging Apparatus | |
| CN208756879U (en) | A kind of treadmill treadmill | |
| KR101945622B1 (en) | autonomic walking aid operating method | |
| CN211382470U (en) | Psychological training chair about VR glasses | |
| CN107252390B (en) | Multifunction health care device | |
| CN214633719U (en) | Lower waist auxiliary stand that dance teaching was used | |
| CN205759405U (en) | A kind of multi-functional folding body-shaper material | |
| CN212235820U (en) | Multi-mode weight-reducing dry-wet dual-purpose all-dimensional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 |
| KR200312995Y1 (en) | Running machine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using a wheelchair | |
| CN211461929U (en) | Treadmill with rear motor | |
| KR20010060721A (en) | Puppies running machine | |
| CN105251182A (en) | Entertainment body-building rolling ball with protecting net | |
| KR20220011382A (en) | Automatic posture change apparatus | |
| KR200396991Y1 (en) | healht machine for both running and bench pressing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1101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12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