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227Y1 - Pallet Slings with Tensioner - Google Patents
Pallet Slings with Tens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9227Y1 KR200439227Y1 KR2020070008452U KR20070008452U KR200439227Y1 KR 200439227 Y1 KR200439227 Y1 KR 200439227Y1 KR 2020070008452 U KR2020070008452 U KR 2020070008452U KR 20070008452 U KR20070008452 U KR 20070008452U KR 200439227 Y1 KR200439227 Y1 KR 20043922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d
- wire rope
- ring
- pallet
- cargo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EEYBQQBJWHFJM-IGMARMGPSA-N iron-56 Chemical compound [56Fe] XEEYBQQBJWHFJM-IGMARMGP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4—Slings with hoo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6—Slings with load-engaging platforms or framewor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텐셔너를 구비한 파렛트 슬링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후크에 의해 견인될 수 있는 좌측상부고리와 원형의 형상으로 그 끝단은 상기 좌측상부고리의 하방에 결합되며 그 선단은 원형의 구멍이 있어 하방에 위치한 텐셔너(Tensioner)부재와 결합되는 좌측하부고리로 구성된 좌측연결부와, 상기 좌측연결부와 평행되게 이격되어 위치되며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후크에 의해 견인될 수 있는 우측상부고리와 원형의 형상으로 그 끝단은 상기 우측상부고리의 하방에 결합되며 그 선단은 원형의 구멍이 있어 하방에 위치한 텐셔너부재와 결합되는 우측하부고리로 구성된 우측연결부와, 상기 좌측하부고리와 우측하부고리에 각각 결합되며 사각형상으로 상부 덮개부와 하부 몸체부로 구성되되 상부 덮개부의 일측과 하부 몸체부의 일측이 하나의 축으로 결합 되어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덮개부는, 하부가 개방되며 양측면에 유동 가능한 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몸체부는,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좌측고정와이어로프 또는 우측고정와이어로프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몸체부 양측에 상기 레버가 체결될 수 있는 레버체결부가 형성되며 또 다른 일측면에 상기 좌측고정와이어로프와 우측고정와이어로프에 구비된 원통형상의 좌측형철 또는 우측형철이 체결될 수 있는 형철체결부로 구성되어 상기 좌측고정와이어로프 또는 우측고정와이어로프의 팽팽함과 길이를 조절시키는 텐셔너(Tensioner)부재와, 상기 좌측상부고리의 하방에 끝단이 결합되고 선단은 상기 우측하부고리에 결합된 텐셔너부재에 위치되며 줄을 꼬아서 형성시킨 좌측와이어로프와 원통형상으로 좌측와이어로프 외주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하부 몸체부에 구비된 형철체결부에 결합되는 좌측형철과 상기 좌측와이어로프 외주에 결합되며 좌측와이어로프 일측에 위치되는 파렛트(Pallet)의 파손을 막는 좌측보호튜브로 구성되는 좌측고정와이어로프와, 상기 좌측고정와이어로프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우측상부고리의 하방에 끝단이 결합되고 선단은 상기 좌측하부고리에 결합된 텐셔너부재에 위치되며 줄을 꼬아서 형성시킨 우측와이어로프와 원통형상으로 우측와이어로프 외주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하부 몸체부에 구비된 형철체결부에 결합되는 우측형철과 상기 우측와이어로프 외주에 결합되며 우측와이어로프 일측에 위치되는 파렛트의 파손을 막는 우측보호튜브로 구성되는 우측고정와이어로프와, 상기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 일측에 선단과 끝단이 각각 결합되어 평행을 유지시켜 파렛트에 위치한 화물의 균형을 유지하는 제어로프를 포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를 서로 평행하게 이격시켜고 그와 각각 결합된 좌측고정와이어로프와 우측고정와이어로프를 파렛트에 실린 화물이 아무리 높더라도 화물의 상부가 파손되지 않게 되며 연결되는 와이어로프가 접하는 파렛트의 접촉면에 보호튜브를 위치시켜 파렛트의 파손을 막을 수 있으며 상기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에 구비된 각각의 형철 이격 거리만큼 팽팽함을 주거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텐셔너부재를 구비시켜 파렛트에 실린 화물의 중심에 맞게 쉽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화물의 상부 양측면에 위치된 상기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를 다시 제어로프 이어주어 화물의 중심에 상기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가 오도록 하여 이송시 화물의 흔들림을 최소화시키며 상기 제어로프 외주에 칼라튜브를 결합시켜 크레인 운전자나 화물을 이송시키는 기계에 탑승한 운전자가 특정 화물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llet sling with a tensioner, the configuration of which has a circular shape and the upper left ring and a circular shape that can be towed by a hook, th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left ring and the front end thereof. Has a circular hole and has a left connection consisting of a lower left ring coupled with a lower tensioner member, and is spaced apart in parallel with the left connection and has a circular shape and can be towed by a hook. Ring and circular shape, th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right ring, the front end of the right hole consisting of a lower right ring which is coupled to the tensioner member located in the lower end, the lower ring and the lower right ring It is coupled to the ring, respectively, and consists of an upper cover part and a lower body part in a quadrangular shape. One side of the part is coupled to one axis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upper cover portion, the low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lever that is movable on both sides and the lower body portion, the upper portion is open and the lower side fixed wire rope or right fixed wire rope Th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through is formed is formed, and the lever fastening portion to which the lever can be fastened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portion and the cylindrical left side of the left side fixed wire rope and the right side fixed wire rop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r a tensioner member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the right-type iron, and to adjust the tension and length of the left fixed wire or the right fixed wire rope, and an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left ring. Located on the tensioner member coupled to the lower right ring and formed by twisting the string Pallet which is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left wire and the left side of the left wire rope coupled to the outer portion of the left wire rop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eft wire rope in the cylindrical shape and coupled to the mold fastening provided in the lower body portion Left fixed wire rope consisting of the left protective tube to prevent damage to the pallet, and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left fixed wire rope, the end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right ring and the tip is coupled to the lower left ring The right wire and the right wire are located on the tensioner member and the right wire rope is formed by twisting a string, and a plurality of the right wire rope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ight wire rop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upled to the die fastening portion provided in the lower body part. Right protection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pe to prevent damage to the pallet located on one side of the right wire rope The right fixed wire rope consisting of a bro, and the left and the left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ight end and the end i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control rope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cargo located on the pallet by maintaining parallel, the left connection portion The upper and upper parts of the pallet do not break even if the cargo loaded on the palle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right connection part is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protection tube can be placed on the pallet to prevent damage, and the tensioner member can be adjusted to give tension or adjust the distance as the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mold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connections, so that the pallet can be easily fitted to the center of the cargo loaded on the pallet. Adjustable in length and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argo The left connection and the right connection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rope again so that the left connection and the right connection are at the center of the cargo, minimizing the shaking of the cargo during transport and coupling the color tube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trol rope to transfer the crane driver or cargo. It is effective for the driver on board the machine to easily recognize the specific cargo.
Description
도 1은 본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텐셔너(Tensioner)부재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nsion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좌측연결부 12. 좌측상부고리10.
14. 좌측하부고리 16. 후크14. Lower
20. 우측연결부 22. 우측상부고리20.
24. 우측하부고리 30. 텐셔너(Tensioner)부재24. Lower
32. 상부 덮개부 34. 레버32.
36. 하부 몸체부 37. 형철체결부36.
38. 레버체결부 39. 관통공38. Lever
40. 좌측고정와이어로프 42. 좌측와이어로프40. Left
44. 좌측형철 46. 좌측보호튜브44.
50. 우측고정와이어로프 52. 우측와이어로프50. Right Fixed
54. 우측형철 56. 우측보호튜브54.
60. 제어로프 62. 칼라튜브60.
80.파렛트(Pallet) 82. 공간부80.Pallet 82. Space
84. 받침대 86. 파렛트날개84.
90. 화물90. Cargo
본 고안은 와이어로프 슬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부를 서로 평행 이격시켜 그 각각의 연결부에 형철과 보호튜브를 구비한 고정와이어로프와 화물에 체결된 고정와이어로프의 거리조절과 팽팽함을 주는 텐셔너부재를 구비시켜 보다 효율적으로 화물에 와이어로프 슬링을 체결시키기 위해서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rope sling,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distance control and tension between the fixed wire rope and the fixed wire rope which are fastened to the cargo and the fixed wire rope having a girder and a protective tube at each connection part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order to fasten the wire rope sling to the cargo by providing a tensioner member.
일반적으로 와이어로프 슬링(Wire rope Sling)은 중량을 가진 화물을 크레인이나 운반가능한 기계에 결합된 후크 등에 걸어, 운반을 가능케 하는 연결수단을 말한다.In general, a wire rope sling refers to a connection means for carrying a heavy load by hooking it to a crane or a hook coupled to a transportable machine.
그러나, 상기 와이어로프 슬링은 파렛트에 중량을 가진 화물이 실려 있을 때 이를 운반시 파렛트의 날개 부분이나 기게차 발이 들어갈 수 있는 구멍에, 후크를 걸수 있는 하나의 연결링에 여러개의 와이어로프가 결합되어 있는 와이어로프 슬링를 걸어 와이어로프의 길이 및 팽팽함을 조절시키는 와이어 윈치(Wire Winch)를 사용하여 이송시켰다.However, when the wire rope sling carries a heavy cargo on the pallet, a plurality of wire ropes are coupled to one connection ring that can be hooked to a hole into which the wing of the pallet or the foot of the pallet can be inserted when carrying the pallet. The wire rope sling was hooked and transferred using a wire winch to adjust the length and tension of the wire rope.
상기와 같이 후크를 걸 수 있는 하나의 연결링에 다수개의 와이어로프가 걸려 있으므로 파렛트에 실린 화물의 높이가 높으면 그만큼 와이어로프의 길이가 길어져 이송시 화물에 많은 흔들림이 가해지며 와이어로프를 너무 짧게 이송시 상부 에 위치한 연결링의 위치로 갈수록 그 공간이 좁아져 화물의 표면에 파손을 가할 수 있으며 와이어 원치를 사용하여 다수개의 와이어로프의 길이를 맞게 조정시켜 운송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와이어로프는 표면적이 작아 파렛트의 날개부분이나 지게차의 발이 들어가는 위치에 걸었을 때 접촉부분이 파손되며 크레인이나 화물을 운송시킬 수 있는 기계에 탑승한 운전자가 다수개의 화물 중 특정 화물을 쉽게 인식하지 못하여 작업을 지시하는 인력이 더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a plurality of wire ropes are hung on one connection ring that can be hooked as described above, if the height of the cargo loaded on the pallet is high, the length of the wire rope is increased so that a lot of shaking is applied to the cargo and the wire rope is transferred too short. The space becomes narrower as the connection ring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ity can damage the surface of the cargo. It takes a lot of time when transporting the wire rope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multiple wire ropes. It is so small that when it walks on the pallet's wing or forklift's foot, the contact part is broken and the driver on the crane or the machine capable of transporting the cargo does not recognize the specific cargo among the multiple cargoes. There was a problem of having more manpower.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를 서로 평행하게 이격시켜고 그와 각각 결합된 좌측고정와이어로프와 우측고정와이어로프를 파렛트에 실린 화물이 아무리 높더라도 화물의 상부가 파손되지 않게 되며 연결되는 와이어로프가 접하는 파렛트의 접촉면에 보호튜브를 위치시켜 파렛트의 파손을 막을 수 있으며 상기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에 구비된 각각의 형철 이격 거리만큼 팽팽함을 주거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텐셔너부재를 구비시켜 파렛트에 실린 화물의 중심에 맞게 쉽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화물의 상부 양측면에 위치된 상기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를 다시 제어로프 이어주어 화물의 중심에 상기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가 오도록 하여 이송시 화물의 흔들림을 최소화시키며 상기 제어로프 외주에 칼라튜브를 결합시켜 크레인 운전자나 화물을 이송시키는 기계에 탑승한 운전자가 특정 화물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텐셔너를 구비한 슬링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space the left and right connections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left and right fixed wire rope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pallet No matter how high the cargo is, the upper part of the cargo will not be damaged and the protection tube can be plac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pallet that the wire rope is connected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pallet. Equipped with a tensioner member that can give tension or adjust the distance, the length can be easily adjusted to fit the center of the cargo loaded on the pallet, and the left and right connection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cargo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rope again to the center of the cargo. The left connection and the right connection come to transport the cargo It minimizes the shaking may provide a seulringreul comprising a tensioner that allows a driver on board the machine to transfer the crane operator or goods by bonding the tube collar of the control rope periphery can readily recognize a specific cargo.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텐셔너를 구비한 파렛트슬링은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후크에 의해 견인될 수 있는 좌측상부고리와 원형의 형상으로 그 끝단은 상기 좌측상부고리의 하방에 결합되며 그 선단은 원형의 구멍이 있어 하방에 위치한 텐셔너(Tensioner)부재와 결합되는 좌측하부고리로 구성된 좌측연결부와, 상기 좌측연결부와 평행되게 이격되어 위치되며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후크에 의해 견인될 수 있는 우측상부고리와 원형의 형상으로 그 끝단은 상기 우측상부고리의 하방에 결합되며 그 선단은 원형의 구멍이 있어 하방에 위치한 텐셔너부재와 결합되는 우측하부고리로 구성된 우측연결부와, 상기 좌측하부고리와 우측하부고리에 각각 결합되며 사각형상으로 상부 덮개부와 하부 몸체부로 구성되되 상부 덮개부의 일측과 하부 몸체부의 일측이 하나의 축으로 결합 되어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덮개부는, 하부가 개방되며 양측면에 유동 가능한 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몸체부는,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좌측고정와이어로프 또는 우측고정와이어로프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몸체부 양측에 상기 레버가 체결될 수 있는 레버체결부가 형성되며 또 다른 일측면에 상기 좌측고정와이어로프와 우측고정와이어로프에 구비된 원통형상의 좌측형철 또는 우측형철이 체결될 수 있는 형철체결부로 구성되어 상기 좌측고정와이어로프 또는 우측고정와이어로프의 팽팽함과 길이를 조절시키는 텐셔너(Tensioner)부재와, 상기 좌측상부고리의 하방에 끝단이 결합되고 선단은 상기 우측하부고리에 결합된 텐셔너부재에 위치되며 줄을 꼬아서 형성시킨 좌측와이어로프와 원통형상으로 좌측와이어로프 외주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하부 몸체부에 구비된 형철체결부에 결합되는 좌측형철과 상기 좌측와이어로프 외주에 결합되며 좌측와이어로프 일측에 위치되는 파렛트(Pallet)의 파손을 막는 좌측보호튜브로 구성되는 좌측고정와이어로프와, 상기 좌측고정와이어로프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우측상부고리의 하방에 끝단이 결합되고 선단은 상기 좌측하부고리에 결합된 텐셔너부재에 위치되며 줄을 꼬아서 형성시킨 우측와이어로프와 원통형상으로 우측와이어로프 외주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하부 몸체부에 구비된 형철체결부에 결합되는 우측형철과 상기 우측와이어로프 외주에 결합되며 우측와이어로프 일측에 위치되는 파렛트(Pallet)의 파손을 막는 우측보호튜브로 구성되는 우측고정와이어로프와, 상기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 일측에 선단과 끝단이 각각 결합되어 평행을 유지시켜 파렛트에 위치한 화물의 균형을 유지하는 제어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allet sling having a tens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circular shape and the upper left ring and the circular shape that can be towed by a hook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left ring. The front end has a circular hole, the left connection portion consisting of a lower left ring coupled with a tensioner member located below, and is spaced apart in parallel with the left connection portion and has a circular shape and can be towed by a hook. A right upper ring and a circular shape, th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right ring, the tip of which has a circular hole, and a right connecting portion consisting of a lower right ring coupled to the lower tensioner member, and the lower left ring And upper and lower body part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ower right ring and the upper cover part One side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body portion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upper cover portion, the low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lever that is movable on both sides and the lower body portion, the upper portion is open and the lower portion is fixed to the left rop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right fixing wire can be penetrated is formed, and a lever coupling part through which the lever can be fastened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part,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the left fixing wire and the right fixing wire rope. A tensioner member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a cylindrical left-type iron or right-type iron and adjusts the tension and length of the left fixed wire or right fixed wire rope, and an end of the upper left ring under the upper end ring. The tip is positioned on the tensioner member coupled to the lower right hook and twisted A plurality of left wire ropes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eft wire rope outer circumference and are coupled to the left wire iron and the left wire rope outer circumference which are coupled to the die-fastening part provided in the lower body part. Left fixed wire rope consisting of a left protective tube to prevent damage to the pallet (Pallet) located, and is spaced apart in parallel with the left fixed wire rope, the end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right ring and the front end is the lower left Located on the tensioner member coupled to the ring and the right wire rope formed by twisting a string and a plurality of right-sid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ight wire rope in a cylindrical shape is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right form iron coupled to the fastening portion provided in the lower body portion and The pallet is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right wire rope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right wire rope (Pallet) Right fixed wire rope consisting of the right protective tube to prevent the hand, and the left and right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end i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control rope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cargo located on the pallet by maintaining parallel It is done.
또한, 상기 제어로프 외주에 위치되며 원통형상으로 화물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칼라튜브를 더 포함하는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rope is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y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lor tube for identifying the type of cargo in a cylindrical shap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텐셔너를 구비한 파렛트 슬링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allet sling with a tensio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텐셔너를 구비한 파렛트 슬링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도 2는 본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텐셔너(Tensioner)부재의 사시도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1 to 2 show a pallet sling with a tens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ensioner member (Tension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each is shown.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텐셔너를 구비한 파렛트 슬링은 좌측연결부(10)와, 좌측상부고리(12)와, 좌측하부고리(14)와, 후크(16)와, 우측연결부(20)와, 우측상부고리(22)와, 우측하부고리(24)와, 텐셔너(Tensioner)부재(30)와, 상부 덮개부(32)와, 레버(34)와, 하부 몸체부(36)와, 형철체결부(37)와, 레버체결부(38)와, 관통공(39)과, 좌측고정와이어로프(40)와, 좌측와이어로프(42)와, 좌측형철(44)과, 좌측보호튜브(46)와, 우측고정와이어로프(50)와, 우측와이어로프(52)와, 우측형철(54)과, 우측보호튜브(56)와, 제어로프(60)와, 칼라튜브(62)와, 파렛트(80)와, 공간부(82)와, 받침대(84)와, 파렛트(80)날개와, 화물(90)를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allet sling with a tens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상기 좌측연결부(10)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후크(16)에 의해 견인될 수 있는 좌측상부고리(12)와 원형의 형상으로 그 끝단은 상기 좌측상부고리(12)의 하방에 결합되며 그 선단은 원형의 구멍이 있어 하방에 위치한 텐셔너(Tensioner)부재(30)와 결합되는 좌측하부고리(14)로 구성된다.The
상기 우측연결부(20)는, 상기 좌측연결부(10)와 평행되게 이격되어 위치되며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후크(16)에 의해 견인될 수 있는 우측상부고리(22)와 원형의 형상으로 그 끝단은 상기 우측상부고리(22)의 하방에 결합되며 그 선단은 원형의 구멍이 있어 하방에 위치한 텐셔너부재(30)와 결합되는 우측하부고리(24)로 구성된다.The
상기 텐셔너부재(30)는, 상기 좌측하부고리(14)와 우측하부고리(24)에 각각 결합되며 사각형상으로 상부 덮개부(32)와 하부 몸체부(36)로 구성되되 상부 덮개부(32)의 일측과 하부 몸체부(36)의 일측이 하나의 축으로 결합 되어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덮개부(32)는, 하부가 개방되며 양측면에 유동 가능한 레버(34)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몸체부(36)는,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좌측고정와이어로프(40) 또는 우측고정와이어로프(50)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3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몸체부(36) 양측에 상기 레버(34)가 체결될 수 있는 레버체결부(38)가 형성되며 또 다른 일측면에 상기 좌측고정와이어로프(40)와 우측고정와이어로프(50)에 구비된 원통형상의 좌측형철(44) 또는 우측형철(54)이 체결될 수 있는 형철체결부(37)로 구성되어 상기 좌측고정와이어로프(40) 또는 우측고정와이어로프(50)의 팽팽함과 길이를 조절시킨다.The
상기 좌측고정와이어로프(40)는, 상기 좌측상부고리(12)의 하방에 끝단이 결합되고 선단은 상기 우측하부고리(24)에 결합된 텐셔너부재(30)에 위치되며 줄을 꼬아서 형성시킨 좌측와이어로프(42)와 원통형상으로 좌측와이어로프(42) 외주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하부 몸체부(36)에 구비된 형철체결부(37)에 결합되는 좌측형철(44)과 상기 좌측와이어로프(42) 외주에 결합되며 좌측와이어로프(42) 일측에 위치되는 파렛트(80)(Pallet)의 파손을 막는 좌측보호튜브(46)로 구성된다.The left fixed
상기 우측고정와이어로프(50)는, 상기 좌측고정와이어로프(40)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우측상부고리(22)의 하방에 끝단이 결합되고 선단은 상기 좌측하부고리(14)에 결합된 텐셔너부재(30)에 위치되며 줄을 꼬아서 형성시킨 우측와이어로프(52)와 원통형상으로 우측와이어로프(52) 외주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하부 몸체부(36)에 구비된 형철체결부(37)에 결합되는 우측형철(54)과 상기 우측와이어로프(52) 외주에 결합되며 우측와이어로프(52) 일측에 위치되는 파렛트(80)(Pallet)의 파손을 막는 우측보호튜브(56)로 구성된다.The right
상기 제어로프(60)는, 상기 좌측연결부(10)와 우측연결부(20) 일측에 선단과 끝단이 각각 결합되어 평행을 유지시켜 파렛트(80)에 위치한 화물(90)의 균형을 유지시킨다.The control rope 60, the front end and the end are respective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또한, 상기 제어로프(60) 외주에 위치되며 원통형상으로 화물(90)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칼라튜브(6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텐셔너를 구비한 파렛트슬링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Pallet sling having a tens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연결부(10)와 우측연결부(20)는 파렛트(80)에 실린 화물(90)의 측면에 각각 위치되어 크레인(미도시)이나 운반 가능한 기계에 연결된 후크(16)에 의해 견인될 수 있게 원형의 형상으로 좌측상부고리(12)와 우측상부고리(22)를 각각 구비시키며 그 각각의 하부에 결합되어 텐셔너(Tensioner)부재(30)와 결합되는 좌측하부고리(14)와 우측하부고리(24)로 구비되며 상기 파렛트(80)에 실린 화물(90)을 견인하기 위해 상기 좌측상부고리(12)의 하부에 끝단이 결합된 좌측고정와이어로프(40)와 우측하부고리(24)의 하부에 끝단이 결합된 우측고정와이어로프(50)를 파렛트(80) 내측에 복수개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 받침대(84)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82) 중 파렛트(80)의 외각 양쪽에 형성된 공간부(82)에 각각 좌측고정와이어로프(40)와 우측고정와이어로프(50)를 통과시키거나 파렛트날개(86)가 구비된 파렛트(80)는 그 양쪽 아래에 각각 걸어 주며 이때 상기 좌측고정와이어로프(40)와 우측고정와이어로프(50)에 각각 구비된 좌측보호튜브(46)와 우측보호튜브(56)가 파렛트(80) 공간부(82)의 내측 내지 파렛트날개(86)와 접하게 되는 곳에 위치되어 파렛트(80)와 직접적인 접촉을 막아 파렛트(80) 및 화물(90)의 파손을 막을 수 있으며 상기 좌측고정와이어로프(40)와 우측고정와이어로프(50)의 선단에 구비된 우측와이어로프(52)와 좌측와이어로프(42) 각각의 외주에 상기 좌측보호튜브(46)와 우측보호튜브(56)로 부터 각각 이격되어 원통형상의 우측형철(54)과 좌측형철(44)이 각각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좌측고정와이어로프(40)의 선단은 우측하부고리(24)와 결합된 텐셔너부재(30)에 위치되며 그리고 상기 우측고정와이어로프(50)의 선단은 좌측하부고리(14)와 결합된 텐셔너부재(30)에 위치되며 상기 좌측하부고리(14)와 우측하부고리(24)에 각각 결합된 텐셔너부재(30)는 상부 덮개부(32)와 하부 몸체부(36)로 구성되며 상부 덮개부(32)의 끝단과 하부 몸체부(36)의 끝단은 서로 한 축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 축을 기준으로 하부 몸체부(36)가 상부 덮개부(32)보다 작아 하부 몸체부(36)가 상부 덮개부(32)에 삽입되며 이때 상부 덮개부(32)와 하부 몸체부(36)가 축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을 때 상기 하부 몸체부(36)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39)으로 상기 좌측고정와이어로프(40)와 우측고정와이어로프(50)를 각각 관통시키고 화물(90)의 높이에 맞게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하부 몸체부(36) 일측에 구비된 형철체결부(37)에 상기 좌측형철(44)과 우측형철(54)을 각각 위치시켜 상기 상부 덮개부(32)의 양측면에 구비된 전 후진이 가능한 레버(34)를 뒤로 후퇴시킨 후 하부 몸체부(36)의 양측면에 구비된 레버체결부(38)에 체결시킨다. 즉 상기 좌측형철(44)과 우측형철(54)의 이격 간격이 일정하여 거리를 쉽게 조절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물(90)의 측면에 각각 위치되어 서로 이격되어 있는 좌측연결부(10)와 우측연결부(20)를 서로 이어주며 결합되어 있는 제어로프(60)는 화물(9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좌측연결부(10)와 우측연결부(20)를 평행 또는 화물(90)의 정중앙에 위치되게 하여 후크(16)에 의해 견인시 무게의 중심을 보다 빠르게 잡을 수 있으며 상기 제어로프(60)의 외주에 칼라튜브(62)를 위치시켜 크레인이나 운반 가능한 기계 운전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화물(90)을 식별하여 운반할 수 있게 하였다.First,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텐셔너를 구비한 파렛트 슬링에 의하면,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를 서로 평행하게 이격시켜고 그와 각각 결합된 좌측고정와이어로프와 우측고정와이어로프를 파렛트에 실린 화물이 아무리 높더라도 화물의 상부가 파손되지 않게 되며 연결되는 와이어로프가 접하는 파렛트의 접촉면에 보호튜브를 위치시켜 파렛트의 파손을 막을 수 있으며 상기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에 구비된 각각의 형철 이격 거리만큼 팽팽함을 주거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텐셔너부재를 구비시켜 파렛트에 실린 화물의 중심에 맞게 쉽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화물의 상부 양측면에 위치된 상기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를 다시 제어로프 이어주어 화물의 중심에 상기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가 오도록 하여 이송시 화물의 흔들림을 최소화시키며 상기 제어로프 외주에 칼라튜브를 결합시켜 크레인 운전자나 화물을 이송시키는 기계에 탑승한 운전자가 특정 화물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allet sling with a tens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connection part and the right connection par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and no matter how much cargo is loaded on the pallet with the left fixed wire and the right fixed wire, respectively. Even if it is high, the upper part of the cargo will not be damaged and the protection tube can be plac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pallet to which the wire rope is connected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pallet. Equipped with a tensioner member that can adjust the distance, the length can be easily adjusted to fit the center of the cargo loaded on the pallet, and the left connection and the right connection located in the upper both sides of the cargo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rope again to connect the left connection to the center of the cargo. And right side connection to prevent the shaking of cargo during transportation Digestion sikimyeo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river on board the machine to transfer the crane operator or freight by combining the color tub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control rope which can readily recognize a specific cargo.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70008452U KR200439227Y1 (en) | 2007-05-22 | 2007-05-22 | Pallet Slings with Tens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70008452U KR200439227Y1 (en) | 2007-05-22 | 2007-05-22 | Pallet Slings with Tension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39227Y1 true KR200439227Y1 (en) | 2008-03-27 |
Family
ID=4164084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70008452U Expired - Lifetime KR200439227Y1 (en) | 2007-05-22 | 2007-05-22 | Pallet Slings with Tension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39227Y1 (en) |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7900787B2 (en) | 2004-03-08 | 2011-03-08 | Dong-Gie Oh | Capsule tool |
| KR101444857B1 (en) * | 2013-04-24 | 2014-09-26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Movable heat exchanger tube bundle handling device and method |
| KR101795972B1 (en) * | 2016-11-30 | 2017-12-01 | 윤병예 | Euro-form carrying apparatus |
| KR20190002813U (en) | 2018-05-02 | 2019-11-12 | 송현식 | Anti-falling connecting apparatus of materials for crane |
| KR20200001035U (en) | 2018-11-14 | 2020-05-22 | 송현식 | Waterproof sling belt |
| KR20210074706A (en) * | 2019-12-12 | 2021-06-22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Heavy Weight Lifting Apparatus and Lifting System having the same |
-
2007
- 2007-05-22 KR KR2020070008452U patent/KR200439227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7900787B2 (en) | 2004-03-08 | 2011-03-08 | Dong-Gie Oh | Capsule tool |
| KR101444857B1 (en) * | 2013-04-24 | 2014-09-26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Movable heat exchanger tube bundle handling device and method |
| KR101795972B1 (en) * | 2016-11-30 | 2017-12-01 | 윤병예 | Euro-form carrying apparatus |
| KR20190002813U (en) | 2018-05-02 | 2019-11-12 | 송현식 | Anti-falling connecting apparatus of materials for crane |
| KR20200001035U (en) | 2018-11-14 | 2020-05-22 | 송현식 | Waterproof sling belt |
| KR20210074706A (en) * | 2019-12-12 | 2021-06-22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Heavy Weight Lifting Apparatus and Lifting System having the same |
| KR102336596B1 (en) * | 2019-12-12 | 2021-12-07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Heavy Weight Lifting Apparatus and Lifting System hav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0439227Y1 (en) | Pallet Slings with Tensioner | |
| US5688011A (en) | Lifting sling system having single strap with size-varying, spaced, in-line eye loops | |
| US7476149B2 (en) | Portable game hanger | |
| US8763993B2 (en) | Crane hook assembly having a hook weight arrangement | |
| US9282752B1 (en) | Collapsible hitch mounted game hoist apparatus | |
| US2987340A (en) | Lift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and the like | |
| US20130322981A1 (en) | Tie Down Strap Hook | |
| US20200002137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arrying elongate construction elements | |
| EP2513494B1 (en) | A clamping device | |
| KR200491173Y1 (en) | Anti-falling connecting apparatus of materials for crane | |
| US5297832A (en) | Log lifting beam assembly | |
| CN109533615A (en) | The carrying conveying device of middle-size and small-size equipment installation | |
| US4352516A (en) | Spreader bar | |
| KR102308615B1 (en) | Jig device for slinging work | |
| CN213475153U (en) | Fuel tank carrying auxiliary mechanism | |
| US20100247264A1 (en) | Tiedown system | |
| US8572817B2 (en) | Subsea transfer hook adaptor | |
| CN213445765U (en) | Gripping device for pipeline transportation | |
| US10544011B2 (en) | Hoisting frame for overweight lifting | |
| US20050242600A1 (en) | Lifting spreader for helicopter | |
| CN219567277U (en) | Novel bundling and hoisting integrated device | |
| US1802886A (en) | Hoisting rigging | |
| EP1080022A1 (en) | Open-sided cargo freight container | |
| US3575457A (en) | Mushroom hook | |
| KR200253225Y1 (en) | Carriage Stoper For Cable Way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522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0802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803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0324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6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3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7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9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10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7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