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508Y1 - Holding table for ginseng field - Google Patents
Holding table for ginseng fiel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9508Y1 KR200439508Y1 KR2020070008050U KR20070008050U KR200439508Y1 KR 200439508 Y1 KR200439508 Y1 KR 200439508Y1 KR 2020070008050 U KR2020070008050 U KR 2020070008050U KR 20070008050 U KR20070008050 U KR 20070008050U KR 200439508 Y1 KR200439508 Y1 KR 20043950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ed
- light shielding
- holding
- shielding film
- b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삼밭용 지주대에 관한 것으로, 철판을 절곡하여 제작되는 지주대가 큰 힘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땅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며, 차광막을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는 한편 차광막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삼밭용 지주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ing table for ginseng field, so that the holding table produced by bending the iron plate can withstand great force and not easily fall out of the ground, so that the shading film can be firmly fixed and the installation of the shading film is easy. It is about the holding table for the ginseng field.
이러한 본 고안은 단면이 사각 형태로 절곡된 지주대의 상하부에 캡을 씌운 후 지면에 박아 고정시키고, 상기 지주대 사이는 단면이 사각 형태로 절곡된 연결대로 결합시키되 상기 연결대의 양쪽에는 연결구를 끼워 지주대에 결합되게 하며, 상기 연결대 사이는 단면이 ㄷ자 형태로 절곡된 고정대를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대의 상부에 차광막을 놓고 연결대의 상측으로 단면이 ㄷ자 형태로 절곡된 조임대를 놓은 후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게 하며, 상기 지주대에는 차광막에서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차광망 걸음고리를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눈이나 바람에 쓰러지지 않는 견고한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ped on the upper and lower sections of the support post bent in a square shape, and then fixed to the ground, and between the holding posts are coupled to the connecting section bent in a square shape, but the connector is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connection stand. To be coupled to the stand, between the connecting rods to fix the fixed bent cross-section in the U-shape, place the light shielding film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and the cross-section bent in the U-shape to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rod by the fixing means It is to be fixed, and the holding stand is made by inserting the light shielding net gai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light shielding film, to provide a solid shielding film frame for ginseng field that does not fall down in the snow or wind.
인삼밭, 지주대, 캡, 차광망, 고리 Ginseng field, prop, cap, shading net, collar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인삼밭용 골조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for the ginseng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지주대와 연결대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rut and connecting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지주대와 연결대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rut stand and connecting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 결합부위 정면도5 is a front view of the main portion coupl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연결대 정단면도6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ng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 연결대의 길이를 줄인 상태의 평단면도Figure 7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reduced state of the subject innovation
도 8은 본 고안 연결대의 길이를 늘린 상태의 평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reased
도 9는 본 고안의 연결대와 고정대 결합부위 분해 사시도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fixed portion coupling portion of the subject innovation
도 10은 본 고안의 연결대와 고정대 결합상태 측면도10 is a side view of the connecting rod and the fixing state of the subject innovation
도 11은 본 고안의 조임대를 U 볼트로 고정시킨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fixing the clamp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U bolt
도 12는 본 고안의 U볼트 결합상태 측면도12 is a side view of the U bolt coupl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11 : 지주대 10a : 구멍10,11: holding
15,16 : 캡 20 : 연결대15,16 cap 20: connecting rod
21 : 결합구 22 : 연결구21: connector 22: connector
30 : 고정대 40 : 조임대30: fixed base 40: fastener
50 : 차광막 51 : U 볼트50: light shielding film 51: U bolt
60 : 차광망 70 : 차광망 걸음고리60: shading net 70: shading net step hook
본 고안은 인삼밭용 지주대에 관한 것으로, 철판을 절곡하여 제작되는 지주대가 큰 힘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땅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며, 차광막을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는 한편 차광막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삼밭용 지주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ing table for ginseng field, so that the holding table produced by bending the iron plate can withstand great force and not easily fall out of the ground, so that the shading film can be firmly fixed and the installation of the shading film is easy. It is about the holding table for the ginseng field.
인삼밭에는 인삼의 생육을 위하여 차광막용 골조를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차광막은 인삼이 심겨진 두둑의 전방과 후방에 수직으로 지주대를 지면에 박아 고정시킨 후 전방과 후방에 고정된 지주대 사이를 연결대로 연결하되 전방보다 후방이 낮도록 경사지게 연결하고, 전방에 고정된 지주대와 후방에 고정된 지주대는 각각 인접된 지주대와 고정대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골조의 상부에서 연결대와 고정대를 이용하여 설치하고 있다.In the ginseng field, a frame for the growth of ginseng is installed for the growth of ginseng, and the shading membrane is fixed between the props fixed in the front and the rear after fixing the props in the ground perpendicular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planted ginseng. Connect as a connection, but inclinedly connected to the rear to be lower than the front, and the support post fixed to the front and the support post fixed to the rear is installed using the connecting and the anchor i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fixed by the adjacent support and the support, respectively Doing.
상기 된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는 각목을 이용하거나, 파이프나 각관 또는 벤딩한 형강을 이용하게 되는 것으로, 각목을 이용하는 경우 눈의 무게나 바람을 견디는 힘이 부족하고, 파이프나 각관 또는 벤딩한 형강을 이용하는 경우 어느 정도 눈의 무게를 견디고, 바람에 무너지지 않게 되나, 눈의 무게나 바람을 견디는 데 한계가 있게 된다.The ginseng frame shading frame for ginseng is to use the wood or pipe or pipe or bent section steel, when using the wood bark lacks the weight of the snow or wind force, using the pipe or pipe or bent section steel In some cases, the weight of the snow to endure, not to collapse in the wind, but the weight of the snow or wind is limited.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가 쓰러지는 경우 인삼밭을 망치는 한편 새로 제작하는 비용이 추가로 들어가게 되므로, 견고하고 단단한 차광막 골조를 필요로 하고 있다.When the ginseng field shading frame is collapsed, a new manufacturing cost is added while ruining the ginseng field, requiring a solid and hard shading frame skeleton.
기존의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는 벤딩한 형강을 이용하여 지주대, 연결대, 고정대 등을 제작한 후 이를 조립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지주대는 지면에 박힌 상태에서 바람에 의하여 쉽게 빠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또한 연결대와 고정대의 상부에 끈 등으로 고정된 차광막은 바람에 의하여 쉽게 벗겨지거나 무너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또한 차광막의 상부에 쌓이는 눈의 무게를 견디기 위하여 고강도의 연결대를 사용하여야 하나 과도한 눈이 차광막의 상부에 쌓일 경우 연결대를 무너트리게 된다.Conventional ginseng field shading frame frame is used to fabricate the strut stand, connecting rod, fixed stand, etc. by using the bent section steel, but the strut stand is easily pulled out by the wind in the state stuck to the ground, and also The light shielding film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rod and the fixing stand may be easily peeled off or collapsed by wind, and a high strength connecting rod should be used to endure the weight of snow accumul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light shielding film. If piled up on top, the connecting rod will be broken.
그리고 연결대와 고정대의 상부에 차광막의 고정이 단단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또한 차광막의 상부에서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차광망을 설치하여야 하나, 상기 차광망을 끈 등으로 고정시킬 경우 차광망의 고정에 상당한 노동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light shielding film is not firmly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rod and the fixing stand, and a light shielding net should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part of the light shielding film. However, when fixing the light shielding net with a string or the like, it requires considerable labor to fix the light shielding net. Done.
특히 기존의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는 바람에 불 때 지주대가 뽑히는 현상과, 눈이 올 때 연결대와 고정대의 상부에 고정된 차광막의 상부에 쌓이는 눈의 무게로 인하여 골조가 쓰러지게 되는 것은 피할 수 없었던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없애도록 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existing shading frame frame for ginseng field was unavoidable due to the phenomenon that the holding rod is pulled out when the wind blows and the weight of the snow pi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hading layer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rod and the fixing stand when snow is inevit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problem is eliminated.
본 고안은 절곡된 형강을 이용하여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를 설치함에 있어서, 단면이 사각 형태를 갖고 내측으로 함몰된 면을 갖는 지주대와 연결대를 사용하되 상기 지주대에는 상하부에 캡을 씌워 지면에 박힌 지주대가 잘 빠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연결대의 상부에는 차광막을 놓고 그 위에는 연결대와 같은 방향으로 조임대를 놓은 후 U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게 하며, 상기 연결대는 양쪽이 지주대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골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installing a shading membrane frame for ginseng field using a bent section steel, a cross section has a square shape and a support stand and a connecting rod having a surface recessed inward, but the support stand is capped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Do not fall off the support stand well, place a light shielding film on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rod, and then put the fastening tabl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onnecting table, and then fixed using a U-bolt, etc., so that both ends can be fixed firmly to the holding table. This provides a solid framework.
이러한 본 고안은 단면이 사각 형태로 절곡된 지주대의 상하부에 캡을 씌운 후 지면에 박아 고정시키고, 상기 지주대 사이는 단면이 사각 형태로 절곡된 연결대로 결합시키되 상기 연결대의 양쪽에는 연결구를 끼워 지주대에 결합되게 하며, 상기 연결대 사이는 단면이 ㄷ자 형태로 절곡된 고정대를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대의 상부에 차광막을 놓고 연결대의 상측으로 단면이 ㄷ자 형태로 절곡된 조임대를 놓은 후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게 하며, 상기 지주대에는 차광막에서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차광망 걸음고리를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눈이나 바람에 쓰러지지 않는 견고한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ped on the upper and lower sections of the support post bent in a square shape, and then fixed to the ground, and between the holding posts are coupled to the connecting section bent in a square shape, but the connector is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connection stand. To be coupled to the stand, between the connecting rods to fix the fixed bent cross-section in the U-shape, place the light shielding film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and the cross-section bent in the U-shape to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rod by the fixing means It is to be fixed, and the holding stand is made by inserting the light shielding net gai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light shielding film, to provide a solid shielding film frame for ginseng field that does not fall down in the snow or wind.
본 고안은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에 관한 것으로, 단면이 사각 형태가 되게 철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진 지주대(10)(11)를 인삼이 심겨지는 두둑의 전방과 후방에 고정시키되 지면에 구멍을 파고 지주대(10)(11)를 꼿아 주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ding frame frame for ginseng field, and is fix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head of the ginseng planted ginseng planted by bending the iron plate so that the cross section becomes a square shape, digging a hole in the ground (10) (11) will be taken away.
지주대(10)(11)는 단면이 사각 형태가 되게 절곡하되 선단부와 중앙부위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태를 갖도록 하여 수직으로 받는 힘을 증대시키도록 하고, 상 기 지주대(10)의 상하부에는 각각 캡(15)(16)을 씌워주며, 지면에 굴착기 등을 이용하여 구멍을 낸 후 캡(15)(16)이 씌워진 지주대(10)(11)를 꼿아 고정시키게 된다.The
여기서 지주대(10)(11)는 단면이 사각을 갖도록 하고, 절곡의 측면이 서로 맞닿게 하는 한편 대향되는 면이 내측으로 함몰되게 하여 전체적으로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힘을 많이 받도록 한다.Here, the
그리고 지주대(10)(11)는 캡(15)(16)이 씌워진 채로 지면에 뚫린 구멍에 끼워지게 되는 것으로, 지주대(10)의 하부가 땅으로 묻히게 되면 지주대(10)가 뽑힐 때 캡(16)이 흙에 묻힌 채로 지주대(10)를 잡아주게 되어 결과적으로 지주대(10)가 땅에서 뽑히지 않게 되며, 이는 차광막(50)이 바람에 의해 상부로 들리는 힘을 받더라도 지주대(10)가 땅에서 뽑히지 않게 됨을 의미 한다.And the support stand 10, 11 is to be fitted into the hole drilled in the ground while the cap (15) (16) is covered, when the bottom of the support stand (10) is buried in the ground when the support stand (10) is pulled out The
지주대(10)(11)가 전후로 땅에 박혀 고정되게 되면, 지주대(10)(11) 사이로 지주대(10)(11)와 동일 구조를 갖는 연결대(20)를 고정시키되 상기 연결대(20)는 양쪽으로 지주대(10)(11)에 끼워지는 연결구(22)가 결합구(21)에 끼워져 형성되는 것으로, 결합구(21)의 양쪽에 연결구(22)가 끼워져 길이 조절되어 고정되게 되고, 연결구(22)는 지주대(10)(11)에 끼워져 고정핀 등으로 고정되게 된다.When the
여기서 연결대(20)의 연결구(22)는 결합구(21)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연결구(22)가 파손되는 경우 부분으로 교체하여 결합구(21)에 고정시킬 수 있다.Here, the
즉 연결대(20)의 연결구(22)를 이용하여 지주대(10)(11)에 끼워준 후 고정시 키게 되고, 지주대(10)(11)의 높이를 따라 연결구(22)의 결합위치를 변화시킴으로서 원하는 높이로 연결대(20)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그리고 연결구(22)는 결합구(21)의 양쪽으로 끼워지는 정도를 조절하여 전체적인 연결대(2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다.And the
상기 연결대(20)의 하부에는 연결대(20) 끼리를 연결하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고정대(30)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대(20)에 고정시키는 방식은 철사로 된 고정구(31) 등 일반적인 고정수단을 활용하게 되고, 상기 고정대(30)는 연결대(20)와 연결대(20) 사이를 고정시켜 견고하게 골조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table 20 is to fix the fixing table 30 bent in the U-shaped cross section connecting the connecting table 20, the method of fixing to the connecting table 20 is a wire fixture (31) It is to use a common fixing means, such as the
이 같이 지주대(10)(11)를 전후로 고정시키고, 지주대(10)(11) 사이를 연결대(20)로 고정시키되 연결대(20)가 경사지게 하여 전방이 높고 후방이 낮도록 하며, 상기 연결대(20) 사이는 고정대(30)를 대고 고정수단인 고정구(31)로 고정되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를 완성시킬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상기 연결대(30)의 상부에는 차광막(50)을 깔아주되 상기 차광막(50)의 상부에는 조임대(40)를 설치하되 상기 조임대(40)는 연결대(20)의 상부에 놓이도록 하고, 상기 조임대(40)와 연결대(20)를 U볼트(51) 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차광막(50)이 조임대(40)로 눌리면서 연결대(20)의 상부에 고정되게 된다.The
즉 연결대(20)의 상부에 차광막(50)을 깔아주되 차광막(50)의 상부를 조임대(40)로 눌러주고, 상기 조임대(40)는 연결대(20)의 상부에 겹쳐서 놓이도록 한 후 조임대(40)와 연결대(20)를 U볼트(51)로 고정시킴으로써 조임대(40)는 차광막(50)의 상부를 단단히 눌러주게 되며, 상기 U볼트(51)는 차광막(50)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바람에 의해 차광막(50)이 상부로 들리는 힘을 받더라도 차광막(50)이 연결대(20)에서 분리되는 경우를 없애도록 한다.That is, the
이러한 본 고안은 단면이 사각 형태로 절곡된 지주대(10)(11)및 연결대(20)를 구비하고, 단면이 ㄷ자 형태로 절곡된 고정대(30)및 조임대(40)를 구비한 후 지주대(10)(11)를 인삼밭의 전후방에 고정시키되 지주대(10)(11)의 상하부에 캡(15)(16)을 씌워준 후 지면에 뚫은 구멍에 끼워 고정시키도록 하며, 상기 지주대(10)(11) 사이에는 결합구(21)의 양쪽으로 연결구(22)를 끼워 고정시키도록 하고, 연결대(20)의 하부에는 고정대(30)를 고정시키되 고정대(30)는 넓은 부분이 연결대(20)의 하부와 맞닿도록 하여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게 하며, 상기 연결대(20)의 상부에는 차광막(50)을 씌우되 차광막(50)의 상부에서 연결대(20)와 겹치게 고정대(30)를 올려놓은 후 U 볼트(51) 등의 고정수단으로 연결대(20)와 고정대(30)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여기서 지주대(10)(11)는 하부에 캡(15)(16)이 씌워져 있고, 캡(16)이 씌워진 상태로 지면에 굴착기로 뚫어놓은 구멍에 끼워준 후 구멍의 흙을 무너트려 지주대(10)(11)가 땅에 박히도록 하며, 이 같이 지주대(10)(11)를 고정시키면 바람에 의하여 지주대(10)(11)가 상부로 들리는 힘을 받더라도 캡(16)이 흙이 받쳐지게 되어 지주대(10)(11)가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Here, the
상기 지주대(10)는 바람이 차광막(50)을 들어 올리는 힘을 가할 때 뽑히는 힘을 받게 되는 것으로, 지주대(10)(11)의 캡(16)이 지면에 박혀 고정되게 되므로, 바람이 차광막(50)을 들어주는 힘으로는 쉽게 뽑히지 않고 견고성을 유지하게 된다.The
그리고 지주대(10)(11) 사이는 연결대(20)를 끼워 고정시키게 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대(20)는 결합구(21)의 양쪽으로 연결구(22)가 끼워지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끼워지게 되고, 상기 연결대(20)는 지주대(10)(11) 사이에서 경사진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And between the support stand (10, 11) is to be fixed by inserting the connecting table 20, the connecting table 20 is fitted to enable the length adjustment is fitted to the
상기 연결대(20)의 하부에는 고정대(30)가 받쳐져 고정구(31)에 의해 고정되게 되는 것으로, 연결대(20) 사이를 고정대(30)가 단단히 고정하여 골조가 측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table 20 is supported by the fixing table 30 is fixed by the
연결대(20)의 상부에는 차광막(50)을 깔아주고, 상기 차광막(50)의 상부에는 조임대(40)를 올려놓은 후 U 볼트(51)를 이용하여 차광막(50)을 관통하여 조임대(40)와 연결대(20)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으로, 차광막(50)이 연결대(20)에서 이탈되지 않고 단단히 붙어있게 된다.The
따라서 차광막(50)의 하부에서 상측으로 큰 힘의 바람이 불더라도 차광막(50)이 연결대(20)의 상부에서 이탈되는 경우를 없애게 되고, 지주대(10)(11) 또한 지면에 박힌 상태에서 뽑히지 않으므로, 왠만한 바람에 의해서는 차광막 골조가 쓰러지거나 파손되는 경우를 없애게 된다.Therefore, even if a large force wind blows up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한편 지주대(10)(11)에는 차광막(50)의 상측으로 차광망 걸음고리(70)를 끼워주는 구멍(10a)을 형성하여 차광망 걸음고리(70)의 끼움부(71)를 끼워주도록 하 고, 차광망 걸음고리(70)의 고리부(72)에는 차광망(60)의 귀퉁이를 끼워주어 차광망(60)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차광망(60)은 차광막(50)의 상부에서 일정거리를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holding base (10) (11) to form a hole (10a) for fitting the light shielding
즉 기존에는 차광망(60)을 설치하는 경우 지주대(10)(11)에 철사 등을 이용하여 일일이 고정시키는 수고를 필요로 하였으나, 본 고안은 지주대(10)의 상측에 구멍(10a)을 뚫어 차광망 걸음고리(70)의 끼움부(71)를 끼워 고정시킨 후 차광망 걸음고리(70)의 고리부(72)에 차광망(71)을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차광망(60)을 설치하는 불편을 없애게 된다.That is, in the past, when installing the light shielding net (60), it was necessary to effort to fix the support stand 10 by using wires, etc., one by one, bu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le (10a) i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stand (10) After opening and fixing the
여기서 차광망(60)은 그물과 같은 형태이고 상당한 크기의 그물코가 형성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차광망 걸음고리(72)의 고리부(72)에 차광망(60)을 간단히 끼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Since the
본 고안은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에 있어서, 지주대의 견고성을 높이는 한편 지주대가 지면에서 박힌 채로 잘 뽑히지 않도록 하고, 지주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대의 상부에 설치된 차광막은 조임대로 눌러 고정시킴으로써 연결대에서 차광막이 이탈되는 경우를 없애게 되어 바람이 많이 불고 눈이 많이 오더라도 차광막 골조가 무너지거나 쓰러지는 경우를 없애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rigidity of the struts in ginseng field shading frame frame, and prevents the struts from being pulled out from the ground well, and the shading membrane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joints connecting the struts are fixed by pressing them as fastenings. Eliminates the case of departure, even if the wind is blowing a lot of snow, the shading frame frame collapse or fall.
그리고 본 고안은 지주대의 상부에 간단히 차광망 걸음고리를 고정시킨 후 차광망 걸음고리를 이용하여 차광막의 상부에서 일정 거리를 이격시킨 상태로 차광망을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y install the light shielding net in a stat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part of the light shielding film using the light shielding net gait hook simply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lding post.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70008050U KR200439508Y1 (en) | 2007-05-16 | 2007-05-16 | Holding table for ginseng fiel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70008050U KR200439508Y1 (en) | 2007-05-16 | 2007-05-16 | Holding table for ginseng field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39508Y1 true KR200439508Y1 (en) | 2008-04-16 |
Family
ID=4134554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70008050U Expired - Fee Related KR200439508Y1 (en) | 2007-05-16 | 2007-05-16 | Holding table for ginseng fiel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39508Y1 (en) |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69563B1 (en) | 2008-07-09 | 2010-07-12 | 장호철 | Installation height adjusting device of agricultural screen |
| KR200469070Y1 (en) | 2012-07-10 | 2013-09-17 | 김홍민 | A shade fixing apparatus for agriculture |
| KR101758066B1 (en) * | 2015-11-03 | 2017-07-14 | 한정열 | Shading device for ginseng field |
| KR20190002214U (en) * | 2019-05-09 | 2019-09-02 | (주) 고려인삼해가림 | Pipe fixing type sun shade fixing apparatus |
| KR102433629B1 (en) * | 2021-04-06 | 2022-08-18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Foldable hyperspectral imaging device for phenotype measurement of large-scale cornered crops |
-
2007
- 2007-05-16 KR KR2020070008050U patent/KR200439508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69563B1 (en) | 2008-07-09 | 2010-07-12 | 장호철 | Installation height adjusting device of agricultural screen |
| KR200469070Y1 (en) | 2012-07-10 | 2013-09-17 | 김홍민 | A shade fixing apparatus for agriculture |
| KR101758066B1 (en) * | 2015-11-03 | 2017-07-14 | 한정열 | Shading device for ginseng field |
| KR20190002214U (en) * | 2019-05-09 | 2019-09-02 | (주) 고려인삼해가림 | Pipe fixing type sun shade fixing apparatus |
| KR200490838Y1 (en) * | 2019-05-09 | 2020-02-11 | (주) 고려인삼해가림 | Pipe fixing type sun shade fixing apparatus |
| KR102433629B1 (en) * | 2021-04-06 | 2022-08-18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Foldable hyperspectral imaging device for phenotype measurement of large-scale cornered crops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0439508Y1 (en) | Holding table for ginseng field | |
| US20020170588A1 (en) | Tower-type sunshade | |
| CN104081136A (en) | Solar energy system installation component | |
| US10140894B2 (en) | Yard sign anchor and stabilizer | |
| KR101754932B1 (en) | Method and structure of installing wooden column on a cornerstone and summerhouse having the same | |
| CN114718049B (en) | Photovoltaic windproof grass-proof device for expressway side slope and construction method | |
| US20140017423A1 (en) | Apparatus, system and/or a method for holding a pole | |
| KR200356726Y1 (en) | Shading support for growing ginseng | |
| KR200423356Y1 (en) | Ginseng Cultivation Shading Support Joint Structure | |
| CN210959653U (en) | High-strength greenhouse structure | |
| KR101758066B1 (en) | Shading device for ginseng field | |
| KR200452548Y1 (en) | Green house ceiling support body support | |
| KR102080328B1 (en) | Concrete base for a pile of vinyl house | |
| CN214530720U (en) | Water and soil conservation greening structure for quarrying mine | |
| KR200189914Y1 (en) | Tower-type sunshade | |
| KR100666655B1 (en) | Ginseng Cultivation Shading Frame | |
| KR200290946Y1 (en) | a sunshade structure for planting ginseng | |
| JPH077384U (en) | Prop used for windproof nets, etc. | |
| CN109769527B (en) | Ventilating and rain-sheltering greenhouse | |
| KR102599522B1 (en) | Free angle fence using transverse connecto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 CN209914625U (en) | Greening plant support frame | |
| CN223118992U (en) | A kind of water conservancy project slope protection net | |
| KR102155131B1 (en) | Floor Anchorage Structure of a Greenhouse | |
| KR20170043283A (en) | The shading facilities for farming ginseng | |
| KR200429225Y1 (en) | Ginseng field shading memb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1104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409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