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040Y1 -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 Google Patents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5040Y1 KR200445040Y1 KR2020090001433U KR20090001433U KR200445040Y1 KR 200445040 Y1 KR200445040 Y1 KR 200445040Y1 KR 2020090001433 U KR2020090001433 U KR 2020090001433U KR 20090001433 U KR20090001433 U KR 20090001433U KR 200445040 Y1 KR200445040 Y1 KR 20044504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in
- attachment device
- link
- pintle
- cen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4—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built up from readily-separable l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 Cam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는, 체인을 구동시키는 롤기어의 회전상태가 용이하도록 구조화시켜 체인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되는 어태치먼트 장치이다.The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ttachment device which is structured to easily rotate a roll gear for driving a chain to form a chain.
본 고안은, 체인링크의 형성을 위해 상기 체인의 회전을 위한 롤기어의 톱니를 삽입시키도록 중앙이 비어 있으며, 전단 체인링크의 후단과 후단 체인링크의 전단에 각각 핀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체인의 회전방향에 대해 가로지르도록 전단링크핀홀 및 후단링크핀홀이 형성되는 전단링크부 및 후단링크부와; 상기 전단링크부 및 후단링크부가 서로 연결되는 중앙부위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판형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단링크부 및 후단링크부의 연결부위 상부에 양측하단이 각각 접합되되 중앙하단이 상부로 볼록하게 패이도록 플라이트홈이 형성되는 플라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empty in the center to insert the teeth of the roll gear for the rotation of the chain for the formation of the chain link, the rotation of the chain to pin respectively to the rear end of the front chain link and the front end of the chain link A front link portion and a rear link portion formed with a front link pin hole and a rear link pin hole so as to cross the direction; The front link portion and the rear link portion protrudes upward from the center portion connected to each other is formed in a plate shape, so that the lower both sides are joi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front link portion and the rear link portion, respectively, the lower center convexly concave upward. The flight groove is configured to include a flight formed.
따라서 본 고안은, 본 고안의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가 적용된 체인을 원활하게 회전시키고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의 망실을 방지해 주며, 이를 통하여 작업기간을 단축하고 본 고안이 적용된 장치의 내구성을 높여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the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moothly rotate the chain and prevent the loss of the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thereby reducing the working period and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provide.
핀틀 체인, 어태치먼트, 플라이트, 기어, 슬러지 Pintle chains, attachments, flights, gears, sludge
Description
본 고안은 체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체인을 구동시키는 롤기어의 회전상태가 용이하도록 구조화시켜 상기 체인을 형성하기 위한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for forming the chain by structuring to facilitate the rotational state of the roll gear for driving the chain.
일반적으로 체인(chain)은 다수의 링크(체인링크, chain link)에 의해 결합되는 장치체나 형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공작기계, 산업용, 자동차 및 기타 도어의 개폐 등 동력전달이나 컨베이어 등에 많이 쓰인다.Generally, a chain refers to a device body or a shape that is connected by a plurality of links (chain links, chain links), and is widely used in power transmission or conveyors such as opening and closing of machine tools, industrial vehicles, and other doors.
아울러 체인은 그 자체로도 많이 쓰이지만 체인링크를 다른 모양으로 구조화시킨 어태치먼트(attachment) 장치 등과 결합시켜 형성하고, 하나의 싱글라인 형태 뿐만 아니라 더블라인 등 쌍을 이루는 상태로도 많이 쓰인다.In addition, although the chain is used a lot as it is, it is formed by combining the chain link with an attachment device structured in a different shape, and is also used in pairs such as a single line as well as a double line.
이하에서는 어태치먼트 장치가 결합된 체인을 이용하는 것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본다.Below we look at the prior art associated with using a chain with an attachment device.
먼저 어태치먼트 장치 결합 체인의 이용과 관련된 종래의 '분리형 치형틀을 갖는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71417호)'는, 정수장 및 하수처리장 침전지 바닥에 침강된 슬러지를 침전지 호퍼쪽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무한궤도형 체인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한 플라이트를 사용하는데, 체인과 축, 플라이트, 칼라류 및 체인스프로켓 본체를 해체하지 않고 체인 스프로켓 치형틀을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수집기 기술이다.First, the conventional 'chain flight type sludge collector (Separate registration model No. 371417) related to the use of the attachment device coupling chain, to transport the sludge settl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treatment plant and sewage treatment plant settling hopper toward the settling hopper As a means for the use, the flight is arranged in the track chain at regular intervals, the sludge collector technology characterized by replacing the chain sprocket teeth without dismantling the chain, shaft, flight, collars and chain sprocket body.
또한 어태치먼트 장치 결합 체인의 이용과 관련된 두 번째 종래기술인 '수처리장의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구동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829429호)'는, 체인에 걸려지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면서 체인을 연동시키는 드라이브휠의 구동핀 피치를 선택적으로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마모상태에 따라 교정을 할 수 있게 하므로써 장기간 안정적으로 체인 구동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수처리장의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구동장치로서, 드라이브휠에 외주연에 적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각 구동핀이 체인을 구성하는 각 체인블록의 한 측하방에 형성한 걸림홈에 걸리면서 밀어주어 체인을 연동되도록 구성한 기술이다.In addition, the second conventional technology related to the use of the attachment device coupling chain 'chain drive device for the sludge collector of the water treatment plant (Korea Patent No. 829429)', the drive wheel for interlocking the chain while the load applied to the chain is distributed It is a chain drive device for sludge collector in water treatment plant that enables stable chain drive for a long time by allowing the drive pin pitch to be selectively adjusted so that it can be calibrated according to abrasion condition. It is a technology that is configured to interlock the chain by pushing while pushing the engaging groove formed in one side and lower side of each chain block constituting the chain.
그러나 앞서와 같은 종래의 어태치먼트 장치 결합 체인을 이용하는 데에는 작동과 관련된 어려움과 많은 문제점들이 있다.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and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attachment device coupling chain as described above.
먼저 첫 번째 종래기술인 '분리형 치형틀을 갖는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71417호)'에서와 같이, 체인 스프로켓이 일체형으 로 이루어져 사용으로 인한 치형의 마모 또는 체인의 형태를 교체할 경우 어렵고 비효율적인 교체작업으로 인하여 시설물의 운전중단 기간이 길어지고 비경제적으로 운영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분리형 치형틀만 간단히 교체하므로써 생산효율을 향상시키고 시설투자비 및 유지관리 비를 절감하도록 발전하고 있다.First, as in the first conventional technology, 'Chain Flight Sludge Collector with Detachable Teeth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371417)', the chain sprocket is formed in one piece to replace the wear of the teeth or the shape of the chain. In this case, the problem of the long downtime of the facility due to difficult and inefficient replacement work and the uneconomic operation was solved.It is developed to improve the production efficiency and reduce the facility investment cost and maintenance cost by simply replacing the detachable tooth. have.
또한 두 번째 종래기술인 '수처리장의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구동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829429호)'에서와 같이, 드리이브휠에서 가해지는 구동력이 체인의 한 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어 구동력이 전달되므로, 안정적인 동력전달을 이룰 수 있으면서 체인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체인에 맞게 드라이브휠의 구동핀 피치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체인의 사용기간을 연장시키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In addition, as in the second prior art 'chain drive device for sludge collector of water treatment plant (Korea Patent No. 829429)', the driving force applied from the drive wheel is distributed without being concentrated on one part of the chain, so that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It is possible to achieve stable power transmission, improve the life of the chain, and adjust the drive pitch pitch of the drive wheel according to the chain, thereby simplifying maintenance and extending the service life of the chain.
하지만 이러한 관련주변 장치의 연구와 개발 이외에 어태치먼트 장치와 관련된 회전구동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또한 중요하다.However, in addition to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uch a peripheral device, it is also important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rotational drive associated with the attachment device.
즉, 어태치먼트 장치와 결합되는 체인에서 발생되는 문제의 한 축인 어태치먼트 장치 자체의 구조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조화시키는 것 역시, 관련된 장치에서 발생되는 큰 문제점을 해결하는 하나의 방안이 될 것이며,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In other words, more efficiently structuring the structure of the attachment device itself, which is one axis of the problem that occurs in the chain combined with the attachment device, will also be one way to solve the big problems occurring in the related devices. It is required.
따라서 앞서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체인에 결합구성되어 일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어태치먼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인을 구성하는 체인 링크 형태로 형성되기 위해 상기 체인의 회전을 위한 롤기어의 톱니를 삽입시키도록 중앙이 비어 있으며, 전단 체인링크의 후단과 후단 체인링크의 전단에 각각 핀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체인의 회전방향에 대해 가로지르도록 전단링크핀홀 및 후단링크핀홀이 형성되는 전단링크부 및 후단링크부와; 상기 전단링크부 및 후단링크부가 서로 연결되는 중앙부위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판형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단링크부 및 후단링크부의 연결부위 상부에 양측하단이 각각 접합되되 중앙하단이 상부로 볼록하게 패이도록 플라이트홈이 형성되는 플라이트를 포함하므로써; 회전상태가 용이하도록 구조화되는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meeting the above requirements is in the attachment device for coupling to the chain to perform a certain work, the roll gear for the rotation of the chain to be formed in the form of a chain link constituting the chain A front link portion having a center empty to insert the teeth and having a front link pin hole and a rear link pin hole formed to cros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hain to pin the front end of the front chain link and the front end of the rear chain link, respectively. And rear link portion; The front link portion and the rear link portion protrudes upward from the center portion connected to each other is formed in a plate shape, so that the lower both sides are joi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front link portion and the rear link portion, respectively, the lower center convexly concave upward. By including a flight in which a flight groove is form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that is structured to facilitate rotation.
또한 상기 플라이트홈은, 삽입되는 상기 롤기어 톱니의 외형형상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단링크부는 상기 후단링크핀홀 외측으로 중앙이 길게 비어있도록 패스홈이 형성되고 상하부에 반치돌기가 형성되며, 중앙의 상기 패스홈의 중심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된 상기 후단링크핀홀에 원기둥 토막의 양측 일부를 절단해낸 것처럼 직사반원체의 핀두를 가진 결합핀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light groove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roll gear teeth to be inserted; The rear link portion is formed with a pass groove so that the center is long empty outside the rear link pin hole, and half-hanging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both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cylindrical stub are formed in the rear link pin hole formed to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ass groove in the center. As cut out, it is preferable that the binding pin having the pin head of the rectangular semicircular body is coupled.
아울러 상기 각 목적에 따른 본 고안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에서의 각 구성부 및 각각에 대한 상세한 기술내용을 제공하며, 이러한 각 구성 및 기술내용은 각각 개별적이거나 서로 복합적으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provides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and each in the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object, each of these configurations and technical content can be implement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위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는, 본 고안의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가 적용된 체인을 원활하게 회전시키고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 자체와 체인의 망실을 방지해 준다. The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moothly rotates and prevents the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itself and the loss of the chain.
아울러 이를 통하여 작업기간을 단축하고 본 고안이 적용된 장치의 내구성이 높아져 생산성의 향상과 인건비 절감에 큰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is shortens the working period and increases the durability of the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and reducing labor costs.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 일 실시예의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에 대한 전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에 대한 후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에서 선분 X-X'에 의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를 결합시켜 체인을 형성하기 위한 결합핀의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in the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of FIG. 1,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pin for coupling the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of FIG. 1 to form a chain.
또한 도 5는 도 1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가 실제 기계설비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1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가 실제 기계설비에 적용되어 바닥부분을 긁어내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of Figure 1 is applied to the actual mechanical equipment.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craping the bottom portion of the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of Figure 1 is applied to the actual mechanical equipment.
본 고안 일실시예의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10)의 구성은, 전단링크부(110) 및 후단링크부(120)와, 플라이트(130)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The pintle
본 실시예의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10)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겠지만, 일반적으로 주물공정에 의해 전체적인 모양을 형성하고 차후 외관을 모양을 다듬는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pintle
도시한 바와 같이 본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10)는 하단 전후로 전단링크 부(110) 및 후단링크부(12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단링크부(110) 및 후단링크부(120) 각각에는 체인링크(20)를 결합시키기 위한 전단링크핀홀(110h) 및 후단링크핀홀(120h)가 역시 각각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the pintle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전단링크부(110) 및 후단링크부(120)는, 체인(1)을 구성하는 체인링크(20) 형태로 형성되기 위해 상기 체인(1)의 회전을 위한 롤기어(5)의 톱니(50)를 삽입시키도록 중앙이 비어 있으며, 전단 체인링크(20a)의 후단과 후단 체인링크(20b)의 전단에 각각 핀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체인(1)의 회전방향에 대해 가로지르도록 전단링크핀홀(110h) 및 후단링크핀홀(120h)이 형성된 형태가 된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그리고 본 실시예의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10)의 중앙으로는 플라이트(130)가 위치한다. 또한 전단링크부(110) 및 후단링크부(120)는 롤기어(5)가 삽입되도록 중앙이 뚫려져 있으며, 서로 연결된 상태로 일체화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루고 있다.And the
본 실시예에서 플라이트(130)는, 전단링크부(110) 및 후단링크부(120)가 서로 연결되는 중앙부위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판형 모양이며, 전단링크부(110) 및 후단링크부(120)의 연결부위 상부에 양측하단이 각각 접합되되 중앙하단이 상부로 볼록하게 패이는 플라이트홈(131)이 형성됨으로써, 본 실시예의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10)의 회전상태가 용이하도록 구조화된다.In this embodiment, the
체인(1)은 일반적인 체인링크(20)를 연속적으로 연결하고 필요한 위치에 플라이트(130)가 형성된 본 실시예의 어태치먼트 장치(10)를 결합시켜 형성하게 된 다. 따라서 체인(1)은 2~3개의 체인링크(20) 사이에 본 어태치먼트 장치(10)를 결합시키는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고, 다수개 예컨대 20~30단 정도로 길게 체인링크(20)를 연결하고 다음단에 본 어태치먼트 장치(10)를 형성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체인(1)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아울러 이러한 결합은 도 4에 도시한 결합핀(15)을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체인(1)을 형성하게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결합핀(15)은 핀두(15a)와 핀대(15b)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핀대(15b)에는 핀홀(15h)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핀두(15a)에는 결합핀(15)의 체결후 결합핀(15) 자체가 회전되지 않고 고정상태가 견고하도록 결합홈(15k)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단링크핀홀(120h) 외측으로도 이 결합홈(15k)에 끼워져 맞물리도록 결합돌기(120k)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such a coupling is to form a chain (1) by fastening using the
이 후 결합시 체인링크(2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결합핀(15)의 결합홈(15j)을 결합돌기(120k)에 잘 맞춘 상태로 결합핀(15)을 전단링크핀홀(110h) 및 후단링크핀홀(120h)에 끼운 후, 핀홀(15h)에 멈치못(미도시) 등을 끼워 체인(1)이 분리되지 않도록 단단히 결합시키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따라서 이렇게 완성된 체인(1)이 롤기어(5)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플라이트(130)는 상기 결합구성된 체인에 대해 외주연 방향으로 돌출된 판모양의 형태가 된다. 또한, 이 플라이트(130)에는 필요한 수만큼의,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거치홀(130h)이 형성되어 있어 여기에 철사나 밧줄, 나사못이나 보울트/너트 등으로 결합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필요한 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도구나 기구를 거치시키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completed
본 실시예의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10)에 있어 플라이트(130)는, 굵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하단부가 상부(체인의 외주연 방향)로 볼록하게 패여져 플라이트홈(131)이 형성된다. In the pintle
이는 작은 부분에 지나지 않는 것 같으면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This seems to be a small part, but it is important.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플라이트(130)에는 수행할 작업을 위한 도구나 기구 들을 거치시키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한 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러지 작업을 위해 본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10)가 결합된 체인(1)를 사용할 때,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의 두 롤기어(5)에 각각 체인(1)을 걸게 되며, 각 체인(1)에 결합되어 있는 본 플라이트(130)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작업을 위한 도구나 기구로서 작업판(7)이나 각기목을 묶거나 얽어매어(거치시켜) 사용하게 된다.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5, when using the
따라서 두 롤기어(5)를 작동시켜 회전시키게 되면 각 체인(1)의 플라이트(130)에 거치된 작업판(7)이 회전하면서 하천의 바닥 등을 긁게 됨에 따라 슬러지 등을 바닥으로부터 떼어내어 일정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when the two
이 과정에서 큰 힘이 걸리는 롤기어(5)의 톱니(50)는 회전 자체 뿐만아니라, 여러 가지 폐기물이나 슬러지 등이 많은 순탄하지 않은 거칠고 악조건인 작업으로 인해 긁히고 닳고 망실되고 변형되어, 전단링크부(110) 및 후단링크부(120) 사이의 삽입 등이 좋지 않게 되는 경우가 많다. The
이러한 악조건의 작업에 의해 롤기어(5)의 톱니(50)에 여러 가지 철근, 쇳조각, 가뭇가지 등이 걸리수 있으며, 롤기어(5)가 이러한 상황에서도 계속 회전하는 경우 톱니(50)에 걸린 물체들이 플라이트(130)를 갉아내고 망실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Due to such a bad work, the
하지만 장시간의 사용으로 롤기어(5) 특히 톱니(50)의 형태가 변화되어 체인(1) 특히 플라이트(130)에 손상을 입히는 경우가 잦아 많은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플라이트(130) 중에서도 롤기어(5)의 톱니(50)가 물려 회전되는 그 하단부는 다른 부분보다 많은 손상을 가하게 된다. However, the shape of the
결국 여러 가지 좋지 않는 여건으로 인해 플라이트(130)가 망실되면, 사용할 수 없는 플라이트(130)를 체인에서 교체하여 사용해야 하며, 이로 인한 시간적, 경제적 손실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Eventually, if the
본 실시예의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10)에서는 앞서와 같은 형태로 구조화시켜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일소에 해소하여 작업 능률을 높여주고 종래의 시간적, 경제적인 손실을 없애 준다.In the pintle
삭제delete
본 실시예에서는 이 밖에도 앞서 설명한 일반적인 예와는 달리, 롤기어(5)의 톱니(50)가 사다리꼴이나 사각 등과 같이 특수한 형태로도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unlike the general example described above, the
본 실시예의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10)에서는 이러한 변화된 형태에도 잘 적용될 수 있게 끔, 본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10)의 플라이트(130)는, 삽입되는 롤기어(5)의 톱니(50) 외형형상에 대응되도록, 앞서와 같이 특수한 경우 사다리꼴이나 사각 형태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intle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또다른 어태치먼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를 결합시켜 체인을 형성하기 위한 결합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또다른 어태치먼트 장치가 적용된 체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other attach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pin for forming a chain by coupling the attachment device of Figure 7 pintle chai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in to which another attach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또다른 어태치먼트 장치(10')는 앞서 설명한 도 1의 어태치먼트 장치(10) 보다 크기도 크고 길이도 길며 이는 함께 결합되는 전단 및 후단의 체인링크(20', 20a', 20b')도 동일한 것과 같이 형상적으로 차이를 나타낸다.As shown, another
하지만, 플라이트(130')의 중앙하단이 상부로 볼록하게 패이는 플라이트홈(131')이 형성됨으로써, 본 실시예의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10')의 회전상태가 용이하도록 구조화되는 것에 대한 기술적 내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However, by forming a flight groove 131 'in which the lower center of the flight 130' is convex upward,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structure of the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easily structured. Is as described above.
도 9의 상세도면에도 자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어태치먼트 장치(10')는 앞서 도 1의 어태치먼트 장치(10)와 달리 후단링크핀홀(120h') 외측으로 중앙이 길게 비어있도록 패스홈(120p')이 형성되고 상하부에 2개의 반치돌기(120ta', 120tb')가 형성되며, 중앙의 이 패스홈(120p') 중심으로 후단링크핀홀(120h')이 위치하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detail in FIG. 9, the
그리고 이 후단링크핀홀(120h')에는 이 패스홈(120p')에 맞도록 예컨대 토 막 단무지와 같은 원기둥 토막의 양측 일부를 절단해낸(제거한) 것처럼 직사반원체 모양으로 핀두(15a')가 형성된 또다른 형태의 결합핀(15')을 삽입결합시키므로써, 본 실시예의 어태치먼트 장치(10')와 전단 및 후단의 체인링크(20', 20a', 20b')를 체결하여 체인(1')을 형성하게 된다. In the rear
이러한 구조를 취하게 되면 결합핀(15')의 회전을 방지하여 더욱 큰 힘이 가해져도 보다 안정화되는 상태를 만들어 준다.This structure prevents the rotation of the coupling pin 15 'and creates a more stable state even when a greater force is applied.
이러한 또다른 실시예인 본 어태치먼트 장치(10')의 후단링크핀홀(120h') 및 결합핀(15')의 구조는 앞서 설명한 도 1의 어태치먼트 장치(10)에도 적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이와는 반대로 도 1의 어태치먼트 장치(10)의 후단링크핀홀(120h) 및 결합핀(15)의 구조 역시 또다른 실시예인 본 어태치먼트 장치(10')에 적용시켜 줄 수도 있다.The structure of the rear
본 실시예의 어태치먼트 장치(10, 10')는 크기에 따라 약간씩 변화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즉 플라이트(130, 130')도 그 크기를 용도에 맞게 크거나 작게 형성할 수 있으며, 플라이트(130, 130')의 거치홀(130h, 130h') 역시 2개나 4개 이외에도 6개, 8개 그리고 짝수 뿐만 아니라 홀수의 개수 등 작업을 위해 장착하는 장치나 도구 혹은 부속 등 필요한 데로 형성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size of the
아울러 전단링크부(110) 및 후단링크부(120)의 길이 역시 길거나 짧게 형성할 수 있으며, 플라이트(130, 130')를 지지하는 플라이트 지지대(132') 역시 필요한 수만큼, 그 크기도 원하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이상과 같은 실시예들로 구성된 본 실시예의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10)는 비록 슬러지 작업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10, 10')가 적용된 체인(1, 1')이나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모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lthough the pintle
아울러 본 설명에서는 특정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 개념의 범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다양한 실시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descrip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perform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cept, and these various embodiments may be carried out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long to the scope of rights.
도 1은 본 고안 일 실시예의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에 대한 전면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에 대한 후면사시도.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of Figure 1;
도 3은 도 1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에서 선분 X-X'에 의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in the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of FIG.
도 4는 도 1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를 결합시켜 체인을 형성하기 위한 결합핀의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pin for coupling the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of Figure 1 to form a chain.
도 5는 도 1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가 실제 기계설비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of Figure 1 is applied to the actual hardware.
도 6은 도 1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가 실제 기계설비에 적용되어 바닥부분을 긁어내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scraping the bottom portion of the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is applied to the actual mechanical equipment of FIG.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또다른 어태치먼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7 is a view showing another attach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를 결합시켜 체인을 형성하기 위한 결합핀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pin for coupling the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of Figure 7 to form a chain.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또다른 어태치먼트 장치가 적용된 체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9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in to which another attach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1' : 체인1, 1 ': chain
10, 10' : 핀틀체인 어태치먼트 장치10, 10 ':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110, 110' : 전단링크부 110h, 110h' : 전단링크핀홀110, 110 ':
120, 120' : 후단링크부 120h, 120h' : 후단링크핀홀120, 120 ': Rear link
130, 130': 플라이트 130h, 130h' : 거치홀130, 130 ':
131, 131' : 플라이트홈 132' : 플라이트 지지대131, 131 ': Flight groove 132': Flight support
15, 15' : 결합핀15, 15 ': engagement pin
20, 20a, 20b, 20', 20a', 20b' : 체인링크20, 20a, 20b, 20 ', 20a', 20b ': chain link
5 : 롤기어 50 : 톱니5: roll gear 50: tooth
7 : 작업판7: working board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90001433U KR200445040Y1 (en) | 2009-02-10 | 2009-02-10 |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090001433U KR200445040Y1 (en) | 2009-02-10 | 2009-02-10 |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45040Y1 true KR200445040Y1 (en) | 2009-06-25 |
Family
ID=4134992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90001433U Expired - Lifetime KR200445040Y1 (en) | 2009-02-10 | 2009-02-10 |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45040Y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14925B1 (en) * | 2014-06-11 | 2015-04-23 | 송영우 | Plastic chain |
Citations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5564806A (en) * | 1978-11-10 | 1980-05-15 | Hitachi Metals Ltd | Chain link for sludge scraping machine |
| US4663042A (en) * | 1985-08-26 | 1987-05-05 | Envirex Inc. | Polymeric sludge collector flight |
| US4950398A (en) * | 1986-01-31 | 1990-08-21 | Envirex Inc. | Cantilevered flight attachment for non-metallic chain |
| JP2000084305A (en) * | 1998-09-10 | 2000-03-28 | Hitachi Kiden Kogyo Ltd | Scrabber flight |
| KR20000016114U (en) * | 1999-01-25 | 2000-08-25 | 이동주 | Aaaaa |
| US6126019A (en) * | 1999-06-14 | 2000-10-03 | Greentech Design Ltd. | Sewage collector flight |
| KR200274300Y1 (en) * | 2002-02-01 | 2002-05-04 | 주식회사 삼흥기업 | A chain driving means for collecting sludge |
| KR20030077237A (en) * | 2002-03-25 | 2003-10-01 | 정용관 | Wide width chain flight type Non-metal sludge collector |
| KR200407645Y1 (en) * | 2005-11-11 | 2006-02-01 | 주식회사성우 | Pin chain for round sludge collectors |
-
2009
- 2009-02-10 KR KR2020090001433U patent/KR200445040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5564806A (en) * | 1978-11-10 | 1980-05-15 | Hitachi Metals Ltd | Chain link for sludge scraping machine |
| US4663042A (en) * | 1985-08-26 | 1987-05-05 | Envirex Inc. | Polymeric sludge collector flight |
| US4950398A (en) * | 1986-01-31 | 1990-08-21 | Envirex Inc. | Cantilevered flight attachment for non-metallic chain |
| JP2000084305A (en) * | 1998-09-10 | 2000-03-28 | Hitachi Kiden Kogyo Ltd | Scrabber flight |
| KR20000016114U (en) * | 1999-01-25 | 2000-08-25 | 이동주 | Aaaaa |
| US6126019A (en) * | 1999-06-14 | 2000-10-03 | Greentech Design Ltd. | Sewage collector flight |
| KR200274300Y1 (en) * | 2002-02-01 | 2002-05-04 | 주식회사 삼흥기업 | A chain driving means for collecting sludge |
| KR20030077237A (en) * | 2002-03-25 | 2003-10-01 | 정용관 | Wide width chain flight type Non-metal sludge collector |
| KR200407645Y1 (en) * | 2005-11-11 | 2006-02-01 | 주식회사성우 | Pin chain for round sludge collectors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14925B1 (en) * | 2014-06-11 | 2015-04-23 | 송영우 | Plastic chain |
| WO2015190824A1 (en) * | 2014-06-11 | 2015-12-17 | 송영우 | Plastic chain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3589162B2 (en) | Sprocket and scraper feeder for sludge scraper | |
| RU2587296C2 (en) | Chain scraper conveyor | |
| CN102307777A (en) | Lobed bushing for track assembly and track-type machine using same | |
| CN200988679Y (en) | Rolling table conveyor | |
| CN2883263Y (en) | Active chainwheel of pipe chain conveyer | |
| KR200445040Y1 (en) | Pintle Chain Attachment Device | |
| CN202296155U (en) | Plate type scraper for residual coke of coke oven | |
| JP7590574B2 (en) | Master Link and Articulated Chain Assemblies for Machinery | |
| CN206032444U (en) | Integral type elevating conveyor tail sprocket shaft group | |
| CN218377591U (en) | Piece-separating split type chain wheel assembly | |
| CN201047420Y (en) | Roller chain of conveying device | |
| KR100829429B1 (en) | Chain Drive for Sludge Collector in Water Treatment Plant | |
| DK2181947T3 (en) | Interchangeable cogwheel | |
| CN201023951Y (en) | Plate-chain type conveyor combined chain wheel | |
| CN204777182U (en) | Tubular cable conveyer scraper blade | |
| CN210566114U (en) | Sprocket rack | |
| CN211398487U (en) | Anti-drop combined chain wheel | |
| KR200470501Y1 (en) | Chain gear with adapter | |
| CN208079867U (en) | A kind of transmitting device of corn straw harvesting equipment | |
| KR20100000135U (en) | Chain Conveyor Replacement Jig | |
| CN201756316U (en) | Head transmission structure of scraper plate conveyor head | |
| US11840401B2 (en) | Plate chain with self-supported mechanism | |
| CN201882553U (en) | Chain conveyor for smelting | |
| CN217401643U (en) | Anti-loosening chain wheel | |
| US20050043132A1 (en) | Chain pulley block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210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12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10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90427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6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906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90619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5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6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7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8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9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10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90810 |